KR101603591B1 - 냉장고 도어용 하부 힌지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냉장고 도어용 하부 힌지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3591B1
KR101603591B1 KR1020140134229A KR20140134229A KR101603591B1 KR 101603591 B1 KR101603591 B1 KR 101603591B1 KR 1020140134229 A KR1020140134229 A KR 1020140134229A KR 20140134229 A KR20140134229 A KR 20140134229A KR 101603591 B1 KR101603591 B1 KR 1016035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main body
refrigerator
body fixing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4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운
Original Assignee
(주)청호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청호시스템 filed Critical (주)청호시스템
Priority to KR1020140134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35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3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35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 힌지어셈블리에 대한 구조를 개선하여 냉장고 도어의 정확한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냉장고 도어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강도를 가지며, 또한 제조 및 조립이 쉽고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으로써, 이를 위해 냉장고 본체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수평하게 설치되면서 냉장고 도어의 저면이 얹히는 평판형의 도어 받침부;
배면은 냉장고 본체의 전면에 밀착 결합되면서 상기 냉장고 본체와의 스크류 체결을 위한 복수의 체결공이 관통 형성되고, 전면에는 상기 도어 받침부의 후단이 수용되도록 수용홈이 요입 형성되어 이루어진 본체 고정부; 상기 본체 고정부의 후면으로부터 상기 본체 고정부를 관통하여 상기 도어 받침부의 후면 내부로 요입되면서 상기 본체 고정부에 상기 도어 받침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그리고, 상기 도어 받침부의 선단 부위에 수직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냉장고 도어가 결합되는 힌지샤프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용 하부 힌지어셈블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냉장고 도어용 하부 힌지어셈블리{lower hinge assembly for a door of refrigerator}
본 발명은 힌지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냉장고 도어의 하부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부 힌지어셈블리에 대한 구조적 개선을 통해 제조 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결합 강도의 향상을 이룰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냉장고 도어용 하부 힌지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 도어용 힌지 어셈블리는 냉장고 도어의 열림 혹은, 닫힘 조작시 해당 도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냉장고 도어용 힌지 어셈블리는 냉장고 도어의 상부 회전을 지지하는 상부 힌지어셈블리 및 냉장고 도어의 하부 회전을 지지하는 하부 힌지어셈블리로 구분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 힌지어셈블리의 경우 냉장고 도어의 하중을 지탱하면서도 냉장고 도어의 회전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지하여야만 하며, 이를 위해 종래에는 냉장고 도어의 저면에 결합됨과 더불어 힌지축이 구비되는 수평측 브라켓 및 이 수평측 브라켓으로부터 절곡되면서 냉장고 본체의 전면에 밀착된 상태로 결합 고정되는 수직측 브라켓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관련하여는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51221호, 공개특허공보 제10-1997-0047642호, 공개특허공보 제10-1999-0032447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39001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다.
하지만,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하부 힌지어셈블리는 상기 수평측 브라켓의 절곡 각도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지 못하고, 스프링백(spring back) 현상 등에 의해 일부의 각도 변형이 야기되었으며, 이로써 이 하부 힌지어셈블리로 냉장고 본체에 냉장고 도어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상기 냉장고 도어의 조립이 정확히 이루어지지 못하였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물론, 상기 하부 힌지어셈블리를 사출 성형하여 전술된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도록 한 일부의 시도도 있었지만, 이는 외관이 수려하지 못하여 재차적인 기계 가공이 이루어져야만 한다는 단점과, 절곡 부위에 대한 강도가 약하여 냉장고 도어를 안정적으로 지탱하지 못하고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됨에 따라 그 적용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부 힌지어셈블리에 대한 구조를 개선하여 냉장고 도어의 정확한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냉장고 도어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강도를 가지며, 또한 제조 및 조립이 쉽고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냉장고 도어용 하부 힌지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냉장고 도어용 하부 힌지어셈블리에 따르면 냉장고 본체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수평하게 설치되면서 냉장고 도어의 저면이 얹히는 평판형의 도어 받침부; 배면은 냉장고 본체의 전면에 밀착 결합되면서 상기 냉장고 본체와의 스크류 체결을 위한 복수의 체결공이 관통 형성되고, 전면에는 상기 도어 받침부의 후단이 수용되도록 수용홈이 요입 형성되어 이루어진 본체 고정부; 상기 본체 고정부의 후면으로부터 상기 본체 고정부를 관통하여 상기 도어 받침부의 후면 내부로 요입되면서 상기 본체 고정부에 상기 도어 받침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그리고, 상기 도어 받침부의 선단 부위에 수직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냉장고 도어가 결합되는 힌지샤프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 고정부의 전면 중 상기 수용홈의 둘레로는 상기 도어 받침부의 둘레를 감싸는 수용플랜지가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 고정부의 수용홈 내에는 압입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도어 받침부의 후면에는 상기 본체 고정부의 압입공 내에 압입되는 압입돌부가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압입돌부의 후면 양측 끝단에는 휨 변형 가능한 휨변형부가 각각 추가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본체 고정부의 후면에는 상기 휨변형부의 휨변형시 그 휨 부위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냉장고 도어용 하부 힌지어셈블리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르면 냉장고 본체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수평하게 설치되면서 냉장고 도어의 저면이 얹히는 평판형의 도어 받침부; 배면은 냉장고 본체의 전면에 밀착 결합되면서 상기 냉장고 본체와의 스크류 체결을 위한 복수의 체결공이 관통 형성되고, 전면에는 상기 도어 받침부의 후단이 수용되도록 수용홈이 요입 형성되어 이루어진 본체 고정부; 상기 도어 받침부의 선단 부위에 수직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냉장고 도어가 결합되는 힌지샤프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 고정부의 수용홈 내에는 압입공이 관통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도어 받침부의 후면에는 상기 본체 고정부의 압입공 내에 압입되는 압입돌부가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압입돌부의 후면 양측 끝단에는 휨 변형 가능한 휨변형부가 각각 추가로 돌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본체 고정부의 후면에는 상기 휨변형부의 휨변형시 그 휨 부위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냉장고 도어용 하부 힌지어셈블리는 냉장고 본체에 고정되는 본체 고정부와 냉장고 도어에 결합되는 도어 받침부가 서로 개별 형성됨에 따라 상기 본체 고정부로부터 도어 받침부를 절곡시키는 작업 등과 같이 벤딩 공정을 수행하지 않고도 본체 고정부로부터 도어 받침부가 수직하게 결합된 상태를 이룰 수 있게 되며, 이로써 상기한 벤딩에 의해 야기되는 스프링백 현상에 의한 냉장고 도어 조립 불량 현상은 완전히 해소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특히, 본 발명의 냉장고 도어용 하부 힌지어셈블리는 개별 형성되는 본체 고정부와 도어 받침부 간의 결합을 위해 고정부재의 제공과, 수용홈의 구조, 수용플랜지의 구조, 압입공 및 압입돌부의 구조, 체결핀, 휨변형부의 구조 등이 부가적으로 제공됨으로써 본체 고정부와 도어 받침부가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된다 하더라도 서로 간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면서도 상기 도어 받침부에 의한 냉장고 도어의 하중 지지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용 하부 힌지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해 전방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용 하부 힌지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해 후방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용 하부 힌지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용 하부 힌지어셈블리 중 본체고정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 1과는 다른 방향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용 하부 힌지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도 5의 I-I선 단면도
도 7은 도 5의 II-II선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냉장고 도어용 하부 힌지어셈블리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용 하부 힌지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용 하부 힌지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용 하부 힌지어셈블리(이하, “힌지어셈블리”라 함)는 크게 도어 받침부(100)와, 본체 고정부(200)와, 고정부재(300) 및 힌지샤프트(4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제시하며, 특히 상기 본체 고정부(200)와 도어 받침부(100)는 각각 개별적으로 형성하여 벤딩 구조가 생략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냉장고 도어(10)의 조립 불량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도어 받침부(100)는 힌지샤프트(400)가 설치됨과 더불어 냉장고 도어(10)가 얹힌 상태로 상기 힌지샤프트(40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도어 받침부(100)는 냉장고 본체(20)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수평하게 설치되면서 냉장고 도어(10)(도 6 참조)의 저면이 얹히도록 평판형으로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도어 받침부(100)는 상기 냉장고 도어(10)가 얹히더라도 휨 변형이 발생되지 않을 정도의 강도를 제공하도록 충분한 두께로 형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도어 받침부(100)의 선단(냉장고 본체의 전면으로부터 먼 측의 부위)측에는 힌지샤프트(400)의 설치를 위한 결합공(110)이 관통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본체 고정부(200)는 냉장고 본체(20)(도 6 참조)의 전면에 밀착 결합되면서 고정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본체 고정부(200)에는 상기 냉장고 본체(20)와의 스크류(도시는 생략됨) 체결을 위한 복수의 체결공(210)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본체 고정부(200)의 배면은 상기 냉장고 본체(20)의 전면에 밀착되도록 평면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 고정부(200)의 전면에는 상기 도어 받침부(100)의 후단이 수용되도록 수용홈(220)이 요입 형성된다. 즉, 상기한 수용홈(220)의 형성을 통해 도어 받침부(100)의 설치 위치가 정확히 결정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도어 받침부(100)가 수평하게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상기 본체 고정부(200)의 전면 중 상기 수용홈(220)의 둘레로는 상기 도어 받침부(100)의 둘레를 감싸는 수용플랜지(230)가 추가로 돌출 형성되며, 이를 통해 상기 도어 받침부(100)가 더욱 안정적으로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본체 고정부(200)의 수용홈(220) 내에는 압입공(240)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도어 받침부(100)의 후면에는 상기 본체 고정부(200)의 압입공(240) 내에 압입되는 압입돌부(120)가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추가로 제시한다.
상기한 압입공(240) 및 압입돌부(120)에 대한 구조적 특징은 후술될 고정부재(300)를 이용하여 상기 본체 고정부(200)에 도어 받침부(100)를 결합하는 전까지 상기 본체 고정부(200)와 도어 받침부(100)가 서로 조립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임과 더불어 상기 본체 고정부(200)와 도어 받침부(100) 간의 결합 부위를 최대화하여 서로 간의 결합이 더욱 견고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압입돌부(120)의 후면 양측 끝단에 휨변형부(121)가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본체 고정부(200)의 후면에는 상기 휨변형부(121)의 휨변형시 그 휨 부위가 안착되는 안착홈(250)이 형성됨을 추가로 제시한다.
이때, 상기 휨변형부(121)는 상기 압입돌부(120)를 상기 압입공(240) 내에 압입시킬 경우 본체 고정부(200)의 후면으로 노출되며, 이후 그의 휨변형을 통해 리벳팅 구조로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도어 받침부(100)는 상기 본체 고정부(200)로부터 더욱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 고정부(200)의 경우 전체적인 구조가 기계 가공으로 형성하기에는 오랜 작업 시간의 소요 및 제조 단가의 상승이 야기될 수 있기 때문에 아연이나 알루미늄 재질로써 다이캐스팅을 통해 성형되도록 함이 가장 바람직하며, 도어 받침부(100)의 경우에는 충분한 강도의 제공 및 외부로의 노출 부위를 이룸에 따라 냉간 압연 강판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부재(300)는 본체 고정부(200)와 도어 받침부(100)를 서로 결합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본체 고정부(200)의 수용홈(22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260)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300)는 상기 본체 고정부(200)의 후면으로부터 상기 관통공(260)을 관통하여 상기 도어 받침부(100)의 후면 내부로 요입되면서 상기 본체 고정부(200)에 상기 도어 받침부(100)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고정부재(300)는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부재(300)가 나사(혹은, 볼트)로 이루어짐을 그 예로 한다.
이때, 상기 본체 고정부(220)의 후면 중 상기 관통공(260)이 형성되는 부위는 상기 나사로 이루어진 고정부재(300)의 머리 부위(310)가 상기 본체 고정부(200)의 후면으로부터 요입되게 위치될 수 있도록 요입홈(261)이 더 형성된다. 즉, 상기한 요입홈(261) 내로 고정부재(300)의 머리 부위가 요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본체 고정부(200)의 후면은 어떠한 돌출 부위가 존재하지 않고 평면을 이룰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냉장고 본체(20)의 전면에 정확히 밀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본체 고정부(200)와 도어 받침부(100) 간의 체결력을 더욱 강화할 수 있도록 체결핀(500)이 더 구비됨을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체결핀(500)은 상기 본체 고정부(200)의 수용홈(220) 내로 상기 도어 받침부(100)가 수용될 경우 서로 간의 대향면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며, 이를 통해 상기 수용홈(220) 내로 수용된 도어 받침부(100)가 더욱 견고히 압입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수용홈(220)의 내부 둘레면에는 상기 체결핀(500)의 일부만 삽입되는 삽입홈(221)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체결핀(500)은 상기 삽입홈(221) 내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힌지샤프트(400)는 냉장고 도어(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힌지샤프트(400)는 일단이 상기 도어 받침부(100)의 선단 부위에 형성된 결합공(110)에 수직하게 결합됨과 더불어 타단은 상기 냉장고 도어(10)가 결합된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어셈블리의 조립 과정 및 그 작용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개별적인 공정을 통해 제조된 도어 받침부(100)와 본체 고정부(200), 고정부재(300) 및 힌지샤프트(400)를 각각 준비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 고정부(200)의 경우는 냉장고의 종류에 상관없이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도어 받침부(100) 및 힌지샤프트(400)만 각 냉장고에 따른 모델별로 달리 준비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준비된 본체 고정부(200)의 삽입홈(221)에 체결핀(500)을 삽입한 후 상기 본체 고정부(200)의 수용홈(220) 내로 도어 받침부(100)의 후단을 삽입한다. 이의 과정에서 상기 도어 받침부(100)의 후면에 돌출 형성된 압입돌부(120)는 상기 본체 고정부(200)의 수용홈(220) 내에 형성된 압입공(240)을 관통하여 강제 압입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압입공(240) 내로의 압입돌부(120)에 대한 강제 압입이 완료되면 상기 압입돌부(120)의 끝단면 양측에 형성된 휨변형부(121)를 각각 외향 절곡시킴으로써 외력을 제거하더라도 상기 도어 받침부(100)는 상기 본체 고정부(200)에 안정적으로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본체 고정부(200)의 각 관통공(260)에 고정부재(300)를 각각 관통 결합한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300)는 본체 고정부(200)의 후면으로부터 상기 관통공(260)을 관통하여 상기 본체 고정부(200)의 수용홈(220) 내에 수용되어 있던 도어 받침부(100)의 후면 내부로 요입되면서 상기 본체 고정부(200)에 상기 도어 받침부(100)를 고정시키게 된다.
이로써, 상기 본체 고정부(200)와 도어 받침부(100) 간의 결합이 완료되며, 이후 상기 도어 받침부(100)에 힌지샤프트(400)를 고정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어셈블리의 조립이 완료된다.
물론, 상기 힌지샤프트(400)를 도어 받침부(100)에 결합하는 작업은 상기 도어 받침부(100)를 상기 본체 고정부(200)에 고정시키는 작업을 수행하기 전에 진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체결핀(500) 역시 상기 도어 받침부(100)를 본체 고정부(200)에 고정한 후 삽입홈(221)에의 강제 압입을 통해 상기 도어 받침부(100)가 더욱 견고히 체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힌지어셈블리는 본체 고정부(200)를 냉장고 본체(20)의 전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각 체결공(210)에 스크류(도시는 생략됨)를 체결하여 상기 본체 고정부(200)와 냉장고 본체(20) 간이 고정되도록 하고, 도어 받침부(100)에는 냉장고 도어(10)가 얹힌 상태로 힌지샤프트(400)의 지지를 받도록 결합함으로써 상기 힌지어셈블리에 의한 냉장고 본체(20)와 냉장고 도어(10) 간의 결합이 완료된다.
결국, 본 발명의 힌지어셈블리는 냉장고 본체(20)에 고정되는 본체 고정부(200)와 냉장고 도어(10)에 결합되는 도어 받침부(100)가 서로 개별 형성됨에 따라 상기 본체 고정부(200)로부터 도어 받침부(100)를 절곡시키는 작업 등과 같이 벤딩 공정을 수행하지 않고도 본체 고정부(200)로부터 도어 받침부(100)가 수직하게 결합된 상태를 이룰 수 있게 되며, 이로써 상기한 벤딩에 의해 야기되는 스프링백 현상에 의한 냉장고 도어(10)의 조립 불량 현상은 완전히 해소될 수 있다.
특히, 전술된 바와 같이 개별 형성되는 본체 고정부(200)와 도어 받침부(100) 간의 결합을 위해 고정부재(300)의 제공과, 수용홈(220)의 구조, 수용플랜지(230)의 구조, 압입공(240) 및 압입돌부(120)의 구조, 체결핀(500), 휨변형부(121)의 구조 등이 부가적으로 제공됨으로써 본체 고정부(200)와 도어 받침부(100)가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된다 하더라도 서로 간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면서도 상기 도어 받침부(100)에 의한 냉장고 도어(10)의 하중 지지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된 실시예와 같이 본체 고정부(200)와 도어 받침부(100) 간의 결합을 위한 각 구조가 모두 일괄적으로 제공되어야 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고정부재(300)를 제공하지 않고, 압입돌부(120)와 압입공(240) 간의 압입 고정 구조와, 체결핀(500)에 의한 체결력의 강화 구조 및 휨변형부(121)에 의한 고정 구조로도 상기 본체 고정부(200)와 도어 받침부(100) 간의 안정적인 결합도 가능한 것이다.
이렇듯, 본 발명의 냉장고 도어용 하부 힌지어셈블리는 다양한 변형이나 추가적인 결합 구조의 부가 등이 가능한 유용한 발명이다.
10. 냉장고 도어 20. 냉장고 본체
100. 도어 받침부 110. 결합공
120. 압입돌부 121. 휨변형부
200. 본체 고정부 210. 체결공
220. 수용홈 221. 삽입홈
230. 수용플랜지 240. 압입공
250. 안착홈 260. 관통공
261. 요입홈 300. 고정부재
310. 머리 부위 400. 힌지샤프트
500. 체결핀

Claims (5)

  1. 냉장고 본체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수평하게 설치되면서 냉장고 도어의 저면이 얹히는 평판형의 도어 받침부;
    배면은 냉장고 본체의 전면에 밀착 결합되면서 상기 냉장고 본체와의 스크류 체결을 위한 복수의 체결공이 관통 형성되고, 전면에는 상기 도어 받침부의 끝단이 수용되도록 수용홈이 요입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수용홈의 둘레로는 상기 도어 받침부의 끝단 둘레를 감싸는 수용플랜지가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진 본체 고정부;
    상기 본체 고정부의 후면으로부터 상기 본체 고정부를 관통하여 상기 도어 받침부의 후면 내부로 요입되면서 상기 본체 고정부에 상기 도어 받침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그리고,
    상기 도어 받침부의 선단 부위에 수직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냉장고 도어가 결합되는 힌지샤프트;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 고정부의 수용홈 내에는 압입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도어 받침부의 후면에는 상기 본체 고정부의 압입공 내에 압입되는 압입돌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의 내부 둘레면인 상기 도어 받침부와의 대향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부위에는 삽입홈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에는 일부가 상기 도어 받침부와의 대향면을 향해 노출되게 설치되는 체결핀이 삽입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본체 고정부의 수용홈 내로 상기 도어 받침부가 수용될 경우 도어 받침부가 상기 체결핀에 의해 상기 수용홈 내에 압입 고정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용 하부 힌지어셈블리.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입돌부의 후면 양측 끝단에는 휨 변형 가능한 휨변형부가 각각 추가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본체 고정부의 후면에는 상기 휨변형부의 휨변형시 그 휨 부위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용 하부 힌지어셈블리.
  5. 삭제
KR1020140134229A 2014-10-06 2014-10-06 냉장고 도어용 하부 힌지어셈블리 KR1016035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4229A KR101603591B1 (ko) 2014-10-06 2014-10-06 냉장고 도어용 하부 힌지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4229A KR101603591B1 (ko) 2014-10-06 2014-10-06 냉장고 도어용 하부 힌지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3591B1 true KR101603591B1 (ko) 2016-03-15

Family

ID=55542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4229A KR101603591B1 (ko) 2014-10-06 2014-10-06 냉장고 도어용 하부 힌지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359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215U (ko) * 1999-06-04 2001-01-05 최태현 광고용 램프의 부착장치
KR20060013715A (ko) * 2004-08-09 2006-02-1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 도어용 상부힌지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215U (ko) * 1999-06-04 2001-01-05 최태현 광고용 램프의 부착장치
KR20060013715A (ko) * 2004-08-09 2006-02-1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 도어용 상부힌지 결합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71291A1 (en) Multi-directional adjustment hinge
US10233630B1 (en) Bracket assembly having a rotating locking plate
RU2466303C2 (ru) Сборочная система
KR101603591B1 (ko) 냉장고 도어용 하부 힌지어셈블리
CN107345543B (zh) 同步器滑块及同步器
KR20190012585A (ko) 케이블 트레이 렁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9281101A (ja) 蝶番
US10288405B2 (en) Alignment gauge and method of use
KR20110119465A (ko) 가구용 경첩
JPS641362Y2 (ko)
JP4309490B2 (ja) 家具のちょう番
KR20080027652A (ko) 냉장고의 도어용 상부힌지 결합구조
CN215110123U (zh) 一种止推主轴承盖
CN115087377A (zh) 用于搁架的紧固元件
CN210598569U (zh) 合页用固定件
JP4858455B2 (ja) 壁とドアの連結構造
KR101340941B1 (ko) 힌지 조립체
CN212672175U (zh) 一种家具连接件
CN219220096U (zh) 一种门窗不锈钢锁扣
JP6600980B2 (ja) ノックダウン式キャビネット
JP2019082108A (ja) 窓ステー、窓システム及び設置方法
JPH0348305B2 (ko)
TWI720776B (zh) 連接器
KR101453692B1 (ko) 앵커형 가구 힌지
CN220184898U (zh) 一种天地合页以及具有该天地合页的门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