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5813A - 미서기 창호용 닫힘 속도 감소 장치 - Google Patents

미서기 창호용 닫힘 속도 감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5813A
KR20200025813A KR1020180103725A KR20180103725A KR20200025813A KR 20200025813 A KR20200025813 A KR 20200025813A KR 1020180103725 A KR1020180103725 A KR 1020180103725A KR 20180103725 A KR20180103725 A KR 20180103725A KR 20200025813 A KR20200025813 A KR 202000258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hook
closed
locking
redu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3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3044B1 (ko
Inventor
김준우
이판대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주식회사 대현상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주식회사 대현상공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80103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3044B1/ko
Priority to DE212019000364.8U priority patent/DE212019000364U1/de
Priority to JP2021533126A priority patent/JP7025602B2/ja
Priority to CN201990000941.1U priority patent/CN215212953U/zh
Priority to PCT/KR2019/005421 priority patent/WO2020045792A1/ko
Publication of KR20200025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58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3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3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6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05F5/08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with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05F5/10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with piston 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Brakes
    • E05Y2201/212Buff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4Function thereof
    • E05Y2201/41Function thereof for closing
    • E05Y2201/412Function thereof for closing for the final clos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E05Y2201/448Fluid motors; Details thereof
    • E05Y2201/456Pist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짝의 닫힘 조작 시 소정구간에서 댐퍼의 압축력과 인장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이 순차적으로 작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창짝이 관성에 의해 빠른 속도로 강하게 닫히는 것을 방지해줌과 아울러, 적은 힘으로 창짝이 쉽게 닫힐 수 있도록 한 미서기 창호용 닫힘 속도 감소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미서기 창호용 닫힘 속도 감소 장치{Window closing speed reduction device}
본 발명은 미서기 창호용 닫힘 속도 감소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창짝의 닫힘 조작 시 소정 구간에서 속도를 감소시켜줌과 아울러, 창짝이 쉽게 닫히도록 한 미서기 창호용 닫힘 속도 감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주택의 창 또는 거실 등의 개구부에는 창짝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미서기 창호가 설치된다.
이러한 미서기 창호는 창짝의 닫힘 조작 시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필요 이상의 힘이 들어가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강한 힘으로 빠르게 닫히는 창짝은 관성에 의해 창틀에 충격을 가하게 되며, 이로 인해 소음이 발생하거나 심한 경우 창호가 파손될 수 있는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할 수 있도록 종래에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01776호(공개일자: 2010.01.06)로 '미서기 창호의 안전 닫힘장치'가 선 출원된 바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미서기 창호의 안전 닫힘장치는, 창짝에 걸림부재가 설치되고, 창틀에는 상기 창짝의 닫힘 시 걸림부재가 걸리면서 창짝의 닫힘 속도를 줄일 수 있도록 로드 선단에 후크가 구비된 댐퍼가 설치된다. 이 경우 댐퍼 일측에는 인장스프링이 연결되어 댐퍼의 압축력과 인장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창짝이 급격히 닫히지 않고 부드럽게 닫히도록 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와 같은 구성의 안전 닫힘장치는 댐퍼의 압축력과 인장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이 동시에 작용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 인장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을 댐퍼의 압축력이 상쇄시키게 된다.
즉 상기 창짝을 적은 힘으로 수월하게 닫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탄성 복원력이 필요하다.
그러나 상기 인장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은 댐퍼를 압축시키는데 함께 사용됨에 따라, 정작 상기 창짝을 쉽게 닫히도록 밀어주는 힘(탄성 복원력)이 모자랄 수 있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창짝의 닫힘 조작 시 소정구간에서 댐퍼의 압축력과 인장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이 순차적으로 작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창짝이 관성에 의해 빠른 속도로 강하게 닫히는 것을 방지해줌과 아울러, 적은 힘으로 창짝이 쉽게 닫힐 수 있도록 한 미서기 창호용 닫힘 속도 감소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미서기 창호용 닫힘 속도 감소 장치는, 창틀에 고정 설치되며,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 상기 창틀에 슬라이딩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창짝에 설치되며, 내부에 수납공간이 마련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내에 설치되며, 상기 창짝의 닫힘 조작 시 댐퍼로드의 선단에 구비된 제1후크가 상기 걸림돌기에 걸려 댐퍼실린더를 압축시키면서 상기 창짝의 닫힘 속도를 줄여주는 감속부; 및 상기 창짝의 닫힘 조작 시 상기 감속부의 작동 후 소정의 시간차를 두고 작동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에 제2후크가 설치되는 인장스프링을 포함하여, 상기 제2후크가 상기 걸림돌기에 걸리는 순간 인장되었던 인장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창짝을 닫히는 방향으로 밀어 이동시켜주는 탄성구동부;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은, 창짝의 닫힘 조작 시 댐퍼의 압축력을 이용하여 창짝이 관성에 의해 빠른 속도로 강하게 닫히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고, 아울러 순차적으로 작동하는 인장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적은 힘으로 창짝을 쉽게 닫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서기 창호용 닫힘 속도 감소 장치의 실내측 입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서기 창호용 닫힘 속도 감소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서기 창호용 닫힘 속도 감소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감속부의 구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5의 (a), (b)는 본 발명에 따른 감속부의 작동 원리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댐퍼실린더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구동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의 (a), (b)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구동부의 작동 원리를 보여주는 도면,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서기 창호용 닫힘 속도 감소 장치의 작동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서기 창호용 닫힘 속도 감소 장치의 실내측 입면도이고, 도 2는 닫힘 속도 감소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닫힘 속도 감소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서기 창호용 닫힘 속도 감소 장치(100)는, 걸림부(110), 본체부(120), 감속부(130), 탄성구동부(140)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걸림부(110)는 창틀(10)의 상부 소정지점에 고정 설치되며, 하방으로 걸림돌기(111)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111)에는 후술할 감속부(130)의 제1후크(135)와 탄성구동부(140)의 제2후크(143)가 순차적으로 걸림 고정된다.
이 경우 본 발명에서는 걸림부(110)를 포함한 닫힘 속도 감소 장치(100)가 창틀(10)의 상부에 설치된 경우의 일례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창틀(10)의 하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사용자의 부주의나 어린이의 호기심으로 인한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음에 따라 상기 닫힘 속도 감소 장치(100)는 사용자의 손이 닿지 않는 창틀(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부(120)는 닫힘 속도 감소 장치(100)의 주된 몸체를 이루는 것으로, 창틀(10)에 슬라이딩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창짝(20)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수납공간이 마련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부(120) 내에는 창짝(20)의 개폐방향을 따라 제1가이드홈(121)과 제2가이드홈(123)이 나란하게 형성되되, 상기 감속부(130)와 탄성구동부(140)가 시간 차를 두고 순차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1, 2가이드홈(121)(123)의 구체적인 구성은 후술할 감속부(130)와 탄성구동부(140)와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감속부(130)는 본체부(120) 내의 수납공간에 설치되는 것으로, 창짝(20)의 닫힘 조작 시 일정구간, 즉 감속부(130)의 제1후크(135)가 걸림부(110)의 걸림돌기(111)에 걸리기 시작하는 지점부터 작동하면서 창짝(20)이 관성에 의해 강하게 닫히는 것을 방지해준다.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해보면, 상기 감속부(130)는 본체부(120)의 수납공간에 설치되는 댐퍼실린더(131)와, 댐퍼실린더(131) 내에 창짝(20)의 개폐방향을 따라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는 댐퍼로드(133)와, 댐퍼로드(133)의 선단에 소정각도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됨과 아울러 제1가이드홈(12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후크(135)를 포함하여, 창짝(20)의 닫힘 조작 시 상기 걸림부(110)의 걸림돌기(111)에 제1후크(135)의 걸림홈(135a)이 걸리면서 전진된 댐퍼로드(133)를 후진시켜주면서 압축력을 발생시켜주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가이드홈(121)은 창짝(20)의 닫힘 조작 시(도 5의 (a) 참조) 제1후크(135)가 걸림돌기(111)에 걸린 상태로 수평이동 될 수 있도록 가이드해주는 제1직선부(121a)와, 상기 창짝(20)이 닫히는 방향의 제1직선부(121a) 끝단에서 하향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어 창짝(20)의 개방 시(도 5의 (b) 참조) 걸림돌기(111)로부터 제1후크(135)의 걸림을 해제시킬 수 있도록 제1후크(135)가 선회되면서 안착되는 제1곡선걸림부(121b)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후크(135)는 댐퍼로드(133) 선단의 힌지축(133a)에 결합되되, 상기 제1곡선걸림부(121b) 내에 자동으로 선회 안착될 수 있도록 스프링(135b)(도 4 참조)을 매개로 탄성지지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댐퍼실린더(131)의 내부에는 댐퍼로드(133) 후단의 피스톤(133b)이 왕복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댐퍼로드(133)의 후진 시 상기 피스톤(133b)이 감속구간(131a)을 이동한 후 압력이 해제된 자유구간(131b)을 소정거리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댐퍼실린더(131)의 내경(d1, d2)이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감속구간(131a)의 내경(d1)은 피스톤(133b)의 이동 시 일측의 에어밸브(V)를 통해 댐퍼실린더(131)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동안 압력이 상승하면서 천천히 이동할 수 있도록 피스톤(133b)의 외경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이에 반해 자유구간(131b)의 내경(d2)은 피스톤(133b)의 이동 시 압력이 걸리지 않도록 감속구간(131a)의 내경(d1)에 비해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피스톤(133b)이 자유구간(131b)에 들어서는 순간에는 압력이 걸리지 않음에 따라 감속구간(131a)에 비해 댐퍼로드(133)가 빠르게 이동할 수 있다.
탄성구동부(140)는 창짝(20)의 닫힘 조작 시 감속부(130)와 소정의 시간차를 두고 작동되는 것으로, 작동 시 발생하는 인장스프링(141)(도 3 참조)의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창짝(20)이 수월하게 닫히도록 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상기 탄성구동부(140)는 감속부(130)가 감속구간(131a)에서 자유구간(131b)으로 진입하는 시점에 작동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감속부(130)의 압축력과 탄성구동부(140)의 탄성 복원력이 서로 상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해보면, 상기 탄성구동부(140)는 본체부(120)의 스프링 설치홈(125) 내에 인장스프링(141)의 일단이 고정되고, 인장스프링(141)의 타단에는 제2후크(143)가 설치된다. 따라서 제2후크(143)의 걸림홈(143a)이 걸림돌기(111)에 걸리는 순간 인장되었던 인장스프링(141)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창짝(20)을 닫히는 방향으로 밀어 이동시켜주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2후크(143)는 본체부(120) 내의 제2가이드홈(123)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양측면에 가이드핀(143b)이 구비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2가이드홈(123)은 창짝(20)의 닫힘 조작 시(도 8의 (a) 참조) 제2후크(143)가 걸림돌기(111)에 걸린 상태로 수평이동 될 수 있도록 가이드해주는 제2직선부(123a)와, 상기 창짝(20)이 닫히는 방향의 제2직선부(123a) 끝단에서 하향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어 창짝(20)의 개방 시(도 8의 (b) 참조) 걸림돌기(111)로부터 제2후크(143)의 걸림을 해제시킬 수 있도록 제2후크(143)가 선회되면서 안착되는 제2곡선걸림부(123b)로 이루어진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탄성구동부(140)의 일측에는 창짝(20)의 하중이나 다양한 조건 등에 맞게 인장스프링(141)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장력조절부(150)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장력조절부(150)는, 상기 본체부(120)의 안착홈(127)에 공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일측에 드라이버홈이 형성된 나사머리(151a)가 구비되고 타측에 나사산이 구비되는 조절나사(151)와, 상기 인장스프링(141)의 일단에 일체로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나사산(151b)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조절나사(151)의 회동 조작 시 스프링 설치홈(125)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되는 조절너트(153)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조절나사(151)의 나사산(151b)은 조절너트(153)에 나사결합 된 후 인장스프링(141) 내의 중심축선을 따라 왕복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구조임에 따라, 상기 나사산(151b)과 인장스프링(141)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장력조절부(150)는 창호 시공 시 작업자가 드라이버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본체부(120)의 일측에 외부로 노출된 나사머리(151a)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조작하여 조절너트(153)의 위치를 이동시켜줌으로써 인장스프링(141)의 장력을 용이하게 조절해줄 수 있다.
그러면,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미서기 창호용 닫힘 속도 감소 장치(100)의 작동원리에 대하여 도 9a 내지 도 9d를 참조하여 설명해보기로 한다.
먼저,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짝(20)이 개방된 경우 감속부(130)의 제1후크(135)와 탄성구동부(140)의 제2후크(143)는 걸림부(110)의 걸림돌기(111)로부터 걸림이 해제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감속부(130)의 제1후크(135)는 제1가이드홈(121)의 제1곡선걸림부(121b) 내에 가이드 안착되어 소정각도 선회된 상태이다. 즉 제1후크(135)의 걸림홈(135a)은 창짝(20)의 닫힘 시 걸림돌기(111)에 다시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동일 수평선상에서 걸림돌기(111)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아울러 탄성구동부(140)의 제2후크(143)는 창짝(20)이 개방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후크(135)와 소정거리 이격 배치되며, 제2가이드홈(123)의 제2곡선걸림부(123b) 내에 가이드 안착되어 소정각도 선회된 상태이다. 즉 제2후크(143)의 걸림홈(143a)은 상기 제1후크(143)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창짝(20)의 닫힘 시 걸림돌기(111)에 다시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동일 수평선상에서 걸림돌기(111)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도 9b를 참조하면, 창짝(20)의 닫힘 조작 시에는 창짝(20)이 창틀(10)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창틀(10)의 소정지점에 설치된 걸림돌기(111)에 감속부(130)의 제1후크(135)가 먼저 걸림 고정된다.
이 경우 제1후크(135)는 창짝(20)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인 제1가이드홈(121)의 제1곡선걸림부(121b)에서 제1직선부(121a) 측으로 가이드 이동되면서 댐퍼로드(133)가 후진하게 된다. 다시 말해, 빠르게 닫히던 창짝(20)은 댐퍼로드(133)의 후진 시 댐퍼실린더(131) 내에 발생하는 압축력에 의해 속도가 줄어들게 된다. 이때 창짝(20)의 감속 이동 거리는 댐퍼실린더(131) 내의 감속구간(131a)(도 6 참조)에 해당한다.
도 9c를 참조하면, 창짝(20)이 상기 감속구간(131a)을 이동하고 난 후에는, 댐퍼실린더(131) 내의 자유구간(131b)(도 6 참조)을 진입하게 된다. 즉 자유구간(131b)을 통과하게 되는 창짝(20)은 감속구간(131a)에서 작용하던 압력이 해제됨에 따라 창짝(20)의 수월한 이동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상기 창짝(20)이 댐퍼실린더(131)의 감속구간(131a)에서 자유구간(131b)으로 진입하는 순간 상기 탄성구동부(140)의 제2후크(143)가 걸림돌기(111)에 걸리게 된다.
이와 동시에 인장되었던 인장스프링(141)의 탄성 복원력이 작용하게 되면서 창짝(20)을 닫히는 방향으로 밀어 이동시켜주게 되고, 이에 따라 도 9d에서와 같이 창짝(20)의 수월한 닫힘 조작이 완료된다.
한편, 창짝(20)의 개방 시에는 도 9a 내지 도 9d에서 순차적으로 도시한 과정의 역순으로 감속부(130)와 탄성구동부(140)가 작동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창틀 20 : 창짝
100 : 닫힘 속도 감소 장치 110 : 걸림부
111 : 걸림돌기 120 : 본체부
121 : 제1가이드홈 121a : 제1직선부
121b : 제1곡선걸림부 123 : 제2가이드홈
123a : 제2직선부 123b : 제2곡선걸림부
125 : 스프링 설치홈 127 : 안착홈
130 : 감속부 131 : 댐퍼실린더
131a : 감속구간 131b : 자유구간
V : 밸브 133 : 댐퍼로드
133a : 힌지축 133b : 피스톤
135 : 제1후크 135a : 걸림홈
135b : 스프링 140 : 탄성구동부
141 : 인장스프링 143 : 제2후크
143a : 걸림홈 143b : 가이드핀
150 : 장력조절부 151 : 조절나사
151a : 나사머리 151b : 나사산
153 : 조절너트

Claims (9)

  1. 창틀(10)에 고정 설치되며, 걸림돌기(111)가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110);
    상기 창틀(10)에 슬라이딩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창짝(20)에 설치되며, 내부에 수납공간이 마련되는 본체부(120);
    상기 본체부(120) 내에 설치되며, 상기 창짝(20)의 닫힘 조작 시 댐퍼로드(133)의 선단에 구비된 제1후크(135)가 상기 걸림돌기(111)에 걸려 댐퍼실린더(131)를 압축시키면서 상기 창짝(20)의 닫힘 속도를 줄여주는 감속부(130); 및
    상기 창짝(20)의 닫힘 조작 시 상기 감속부(130)의 작동 후 소정의 시간차를 두고 작동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120)의 내부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에 제2후크(143)가 설치되는 인장스프링(141)을 포함하여, 상기 제2후크(143)가 상기 걸림돌기(111)에 걸리는 순간 인장되었던 인장스프링(141)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창짝(20)을 닫히는 방향으로 밀어 이동시켜주는 탄성구동부(140);를 포함하는 미서기 창호용 닫힘 속도 감소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후크(135)는,
    상기 본체부(120) 내의 제1가이드홈(121)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댐퍼로드(133)의 선단에 소정각도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상기 창짝(20)의 닫힘 조작 시 상기 걸림돌기(111)에 상기 제1후크(135)의 걸림홈(135a)이 걸리면서 상기 댐퍼실린더(131)에서 전진된 댐퍼로드(133)를 후진시켜주는 것인 미서기 창호용 닫힘 속도 감소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홈(121)은,
    상기 창짝(20)의 닫힘 조작 시 상기 제1후크(135)가 걸림돌기(111)에 걸린 상태로 수평이동 될 수 있도록 가이드해주는 제1직선부(121a); 및
    상기 창짝(20)이 닫히는 방향의 제1직선부(121a) 끝단에서 하향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창짝(20)의 개방 시 걸림돌기(111)로부터 제1후크(135)의 걸림을 해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후크(135)가 소정각도 선회되면서 안착되는 제1곡선걸림부(121b);를 포함하는 미서기 창호용 닫힘 속도 감소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후크(135)는,
    상기 댐퍼로드(133) 선단의 힌지축(133a)에 결합되되, 상기 제1곡선걸림부(121b) 내에 자동으로 선회 안착될 수 있도록 스프링(135b)을 매개로 탄성지지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인 미서기 창호용 닫힘 속도 감소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실린더(131)의 내부에는,
    상기 댐퍼로드(133) 후단의 피스톤(133b)이 왕복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댐퍼로드(133)의 후진 시 상기 피스톤(133b)이 감속구간(131a)을 이동한 후 압력이 해제된 자유구간(131b)을 소정거리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댐퍼실린더(131)의 내경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인 미서기 창호용 닫힘 속도 감소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구동부(140)는,
    상기 감속부(130)가 상기 감속구간(131a)에서 자유구간(131b)으로 진입하는 시점에 작동되는 것인 미서기 창호용 닫힘 속도 감소 장치.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후크(143)는,
    상기 본체부(120) 내에 구비된 제2가이드홈(123)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가이드핀(143b);이 구비되는 것인 미서기 창호용 닫힘 속도 감소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홈(123)은,
    상기 창짝(20)의 닫힘 조작 시 상기 제2후크(143)의 걸림홈(143a)이 걸림돌기(111)에 걸린 상태로 수평이동 될 수 있도록 가이드해주는 제2직선부(123a); 및
    상기 창짝(20)이 닫히는 방향의 제2직선부(123a) 끝단에서 하향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창짝(20)의 개방 시 걸림돌기(111)로부터 제2후크(143)의 걸림을 해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후크(143)가 선회되면서 안착되는 제2곡선걸림부(123b);를 포함하는 미서기 창호용 닫힘 속도 감소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구동부(140)의 일측에는,
    상기 인장스프링(141)의 장력을 조절해주는 장력조절부(15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장력조절부(150)는,
    상기 본체부(120)의 안착홈(127)에 공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일측에 드라이버홈이 형성된 나사머리(151a)가 구비되고 타측에 나사산(151b)이 구비되는 조절나사(151); 및
    상기 인장스프링(141)의 일단에 일체로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나사산(151b)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조절나사(151)의 회동 조작 시 스프링 설치홈(125)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되는 조절너트(153);를 포함하는 미서기 창호용 닫힘 속도 감소 장치.
KR1020180103725A 2018-08-31 2018-08-31 미서기 창호용 닫힘 속도 감소 장치 KR102183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725A KR102183044B1 (ko) 2018-08-31 2018-08-31 미서기 창호용 닫힘 속도 감소 장치
DE212019000364.8U DE212019000364U1 (de) 2018-08-31 2019-05-07 Vorrichtung zum Verringern der Schliessgeschwindigkeit eines Schiebefensters oder einer Schiebetür
JP2021533126A JP7025602B2 (ja) 2018-08-31 2019-05-07 引違い建具用閉速度減少装置
CN201990000941.1U CN215212953U (zh) 2018-08-31 2019-05-07 推拉窗用的关闭速度减小装置
PCT/KR2019/005421 WO2020045792A1 (ko) 2018-08-31 2019-05-07 미서기 창호용 닫힘 속도 감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725A KR102183044B1 (ko) 2018-08-31 2018-08-31 미서기 창호용 닫힘 속도 감소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813A true KR20200025813A (ko) 2020-03-10
KR102183044B1 KR102183044B1 (ko) 2020-11-25

Family

ID=69644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3725A KR102183044B1 (ko) 2018-08-31 2018-08-31 미서기 창호용 닫힘 속도 감소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7025602B2 (ko)
KR (1) KR102183044B1 (ko)
CN (1) CN215212953U (ko)
DE (1) DE212019000364U1 (ko)
WO (1) WO20200457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008572B4 (de) * 2019-12-10 2021-09-16 Günther Zimmer Schiebetürsystem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3661A (ja) * 2001-07-02 2003-01-15 Yogo Jukin Sangyo Kk 昇降扉ユニット
KR20120070779A (ko) * 2010-12-22 2012-07-02 한화엘앤씨 주식회사 창호의 안전 닫힘장치
KR101430754B1 (ko) * 2014-04-03 2014-08-13 주식회사 세일건구 미닫이문의 속도조절댐퍼
KR20170039546A (ko) * 2015-10-01 2017-04-11 김용갑 릴레이식 속도조절용 댐퍼
KR20180096936A (ko) * 2017-02-22 2018-08-30 (주)엘지하우시스 미서기 창호용 안전감속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976Y1 (ko) * 2010-01-08 2010-11-15 신정철 자동닫힘장치를 구비한 창문
JP5581462B1 (ja) * 2014-03-31 2014-08-27 マツ六株式会社 開閉補助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引き戸構造
JP2015203284A (ja) * 2014-04-16 2015-11-16 株式会社ウチダ 収納箱用ドアクローザ
JP6148648B2 (ja) * 2014-09-30 2017-06-14 株式会社ニフコ 可動体のアシスト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3661A (ja) * 2001-07-02 2003-01-15 Yogo Jukin Sangyo Kk 昇降扉ユニット
KR20120070779A (ko) * 2010-12-22 2012-07-02 한화엘앤씨 주식회사 창호의 안전 닫힘장치
KR101430754B1 (ko) * 2014-04-03 2014-08-13 주식회사 세일건구 미닫이문의 속도조절댐퍼
KR20170039546A (ko) * 2015-10-01 2017-04-11 김용갑 릴레이식 속도조절용 댐퍼
KR20180096936A (ko) * 2017-02-22 2018-08-30 (주)엘지하우시스 미서기 창호용 안전감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3044B1 (ko) 2020-11-25
JP2021535308A (ja) 2021-12-16
JP7025602B2 (ja) 2022-02-24
DE212019000364U1 (de) 2021-04-06
CN215212953U (zh) 2021-12-17
WO2020045792A1 (ko) 2020-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0335B1 (ko) 도어 폐쇄장치 및 상기 도어 폐쇄장치를 갖춘 도어 장치
JP6611360B2 (ja) ドア用のベアリング装置
JP5982420B2 (ja) 引戸制動装置
KR102042312B1 (ko) 창짝의 개폐가 용이한 미서기 창호용 자동닫힘장치
KR20200025813A (ko) 미서기 창호용 닫힘 속도 감소 장치
JP5087716B1 (ja) 開き扉制動装置
KR101985136B1 (ko) 슬라이딩 창호용 댐퍼
KR101268957B1 (ko) 댐핑 장치
KR102083056B1 (ko) 미서기 창호용 안전감속장치
JP6823142B1 (ja) 窓開閉ロック装置
US11674342B2 (en) Door silencing mechanism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KR101825080B1 (ko) 걸림턱에 의하여 개폐속도조절 및 자동이송이 가능한 폴딩도어
JP2021536540A (ja) スライド式パネルおよびドアのための衝撃吸収制動装置
JPS594772A (ja) 傾動開き建具用治具
KR102519537B1 (ko) 슬라이딩 창호용 댐퍼조립체
US20190345750A1 (en) Fitting arrangement for connecting a slidable and tiltable leaf
EP3927923B1 (en) Hinge assembly
KR102083058B1 (ko)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용 안전감속장치
KR20110138544A (ko) 창호의 자동 잠금장치
KR101784984B1 (ko) 개폐속도조절 및 자동이송이 가능한 폴딩도어
CN219754340U (zh) 双开门式闭门器
JP7464961B2 (ja) 制動装置、片方向制動装置、双方向制動装置、片方向制動ユニット、双方向制動ユニット、片方向制動ユニット付き引戸、双方向制動ユニット付き引戸
KR20180097307A (ko) 도르래를 이용한 미서기 창호용 자동닫힘장치
CN111719971B (zh) 门体移动装置
KR102003115B1 (ko) 창짝의 부분 개폐가 가능한 창호용 자동닫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