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5006A - 가정용 화로 - Google Patents

가정용 화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5006A
KR20200025006A KR1020180101720A KR20180101720A KR20200025006A KR 20200025006 A KR20200025006 A KR 20200025006A KR 1020180101720 A KR1020180101720 A KR 1020180101720A KR 20180101720 A KR20180101720 A KR 20180101720A KR 20200025006 A KR20200025006 A KR 202000250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ace
brazier
opening
wall
bas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1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문기
Original Assignee
민문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문기 filed Critical 민문기
Priority to KR1020180101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25006A/ko
Publication of KR20200025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50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63Small-size, portable barbecu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00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restricted to solid fuel or to a type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groups F24C3/00 - F24C9/00; 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type of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specifi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4Elements and arrangements for heat storage or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정용 화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숯을 이용하면서도 사용 후 소각이 용이한 가정용 화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가정용 화로에 있어서, 단열공간을 가지며 측방 및 후방을 차폐하는 벽(110)과 바닥면(120)을 가지는 베이스하우징(100)과; 상기 베이스하우징(100)의 각 벽(110)이 형성하는 공간으로 삽입설치되는 화로(200)와; 상기 화로(200)를 덮는 덮개(300)를 포함하며 구성되며, 상기 화로(200)가 상기 베이스하우징(100)에 삽입설치되면 상기 화로(200)의 각 외벽과 상기 베이스하우징(100)의 각 벽(110)과 소정의 간격(d)을 가지고, 상기 화로(200)는 공기를 소통시키기 위한 통공(210)들과, 상기 통공(210)들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수단(22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화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가정용 화로{A BRAZIER FOR INDOOR}
본 발명은 가정용 화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숯을 이용하면서도 사용 후 소각이 용이한 가정용 화로에 관한 것이다.
숯을 이용한 숯불구이는 음식을 조리하는 방법 중 많은 사람들이 선호하는 방법이다. 숯의 향기가 음식에 배어 일반 열원으로 조리하는 것에 비해 음식에 독특한 풍미를 부여할 수 있다.
그러나, 숯을 사용하는 화로는 가정에서 사용하기 용이하지 않다. 연기가 많이 나며, 특히 조리 후 남은 숯을 처리하기가 곤란한 문제가 있다.
이하, 종래의 기술들을 살펴본다. 하기 종래기술 문헌에서의 식별부호는 본원발명과는 무관하다.
등록특허 제10-1636886호 '휴대용 미니 화로'는 사용자가 쉽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고, 보관 및 휴대가 편리하도록 이루어진 제품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로를 상부화로와 하부받침대로만 나누어, 사용 전 조립과 사용 후 분해를 원터치 방식이나 나사결합 방식으로 쉽게 할 수 있고, 분해 상태에서는 하부받침대를 상부화로에 포개어 수납할 수 있으므로 부피를 줄여 보관 및 휴대를 용이하게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과 휴대성을 높인 것이다. 이는 외주면과 바닥면에 다수 개의 통기통로를 갖는 숯받침을 형성하고, 숯받침의 저면에 하향 돌출된 상부가이드의 내주면에 서로 대칭되게 결합돌기를 갖는 상부 화로와; 상기 상부 화로의 상부가이드에 탈부착되며 하측 면에 홈을 갖는 고정다리와 재받이가 형성된 받침판의 상면에 공기통로가 형성된 4개의 지주를 형성하고 그 중 2개의 지주 상면에는 삽입홈을 갖는 하부가이드 홈이 일체로 형성된 하부받침대와; 상기 고정다리의 홈에 삽입 설치되는 실리콘 패킹과; 상기 상부 화로의 결합돌기를 2개의 지주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하고 하부 가이드 홈 쪽으로 회전시켜 고정 및 분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81248호 '구이용 화로'는, 상측으로 개방된 내부공간을 갖되 상단 가장자리에 플랜지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에 투입되는 맥반파쇄석; 기준치 이상의 온도로 가열될 수 있고 설정범위 이내의 열지속력을 갖는 재료로 제작되되,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으로 인입되어 상기 맥반파쇄석에 안착되는 가열블록; 상기 가열블록 의 상부를 덮도록 상기 본체의 플랜지에 걸쳐지는 구이망;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 의한 구이용 화로를 이용하면, 숯이나 석탄 등과 같은 별도의 연료를 사용하지 아니하더라도 음식물을 구울 수 있으므로 연료 절감 및 환경오염 문제 해결이 가능해지고, 가열블록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등록특허 제10-1636886호 '휴대용 미니 화로' 공고일자 2016년07월06일 등록실용신안 제20-0481248호 '구이용 화로' 공고일자 2016년09월05일
숯불을 사용함에 있어서, 사용 후 숯을 처리하는 일은 용이한 일이 아니다. 숯을 소각하기 위하여 물을 붇는다면 다량의 연기가 발생하게 되어 실내에서는 물을 부을 수 없다. 야외에서는 숯을 파묻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나, 실내에서는 이 또한 불가능하다. 특히, 숯불구이 음식점과 같이 별도의 처리시설을 구비하지 아니한 가정에서는 더욱 그러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실내에서 사용이 가능하고 화로의 소각이 용이한 화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가정용 화로에 있어서, 단열공간을 가지며 측방 및 후방을 차폐하는 벽(110)과 바닥면(120)을 가지는 베이스하우징(100)과; 상기 베이스하우징(100)의 각 벽(110)이 형성하는 공간으로 삽입설치되는 화로(200)와; 상기 화로(200)를 덮는 덮개(300)를 포함하며 구성되며, 상기 화로(200)가 상기 베이스하우징(100)에 삽입설치되면 상기 화로(200)의 각 외벽과 상기 베이스하우징(100)의 각 벽(110)과 소정의 간격(d)을 가지고, 상기 화로(200)는 공기를 소통시키기 위한 통공(210)들과, 상기 통공(210)들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수단(22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화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정 등의 실내에서 용이하게 숯을 점화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 후 용이하게 소각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화로는 덮개를 덮고, 공기가 소통하는 통공들을 개폐수단으로 막음으로써 화로를 실내에서 과도한 연기 없이 안전하게 소각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소각된 숯은 물에 젖지 아니하기 때문에 차후 재활용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하우징의 각 벽에 단열공간이 형성되고, 화로의 전면 역시 단열공간이 설치되므로 조리하는 방향인 상면으로만 열이 전달되어 높은 열효율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가정용 화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가정용 화로의 덮개를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3은 통공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수단의 제1실시예의 설명도이다.
도4는 통공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수단의 제2실시예의 설명도이다.
도5는 통공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수단의 제3실시예의 설명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가정용 화로의 분해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가정용 화로의 덮개를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가정용 화로에 있어서, 단열공간을 가지며 측방 및 후방을 차폐하는 벽(110)과 바닥면(120)을 가지는 베이스하우징(100)과; 상기 베이스하우징(100)의 각 벽(110)이 형성하는 공간으로 삽입설치되는 화로(200)와; 상기 화로(200)를 덮는 덮개(300)를 포함하며 구성되며, 상기 화로(200)가 상기 베이스하우징(100)에 삽입설치되면 상기 화로(200)의 각 외벽과 상기 베이스하우징(100)의 각 벽(110)과 소정의 간격(d)을 가지고, 상기 화로(200)는 공기를 소통시키기 위한 통공(210)들과, 상기 통공(210)들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수단(22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화로를 제공한다.
상기 베이스하우징(1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단열공간을 가지며 측방 및 후방을 차폐하는 벽(110)과 바닥면(120)을 가진다. 이러한 구조는 조리를 위한 상면으로만 열을 전달하기 위함이며, 가정용으로서 주변에 과도한 열이 방사되지 아니하게 한다.
이와같은 목적으로 상기 각 벽(110)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삽입설치되는 화로(200)의 전면벽 역시 단열공간(230)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로(200)의 각 외벽과 상기 베이스하우징(100)의 각 벽(110)과 소정의 간격(d)을 가진다. 이는 외부로부터의 공기가 통공(210)으로 유입될 수 있는 간격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상기 간격(d)는 1~2c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간격을 확보하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각 벽(110)에 간격유지가이드부재(111)가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화로(200)에 숯을 담고 화로(200)에 설치된 개폐수단(220)을 이용하여 통공(210)을 개방한다. 이는 화로(200) 내에 공기를 소통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후, 화로(200)를 베이스하우징(100)에 삽입설치하고, 화로(200)에 담긴 숯을 토치, 착화탄 등의 착화수단을 이용하여 착화한 후 조리를 하게 된다.
조리가 끝나면 사용자는 개폐수단(220)을 이용하여 통공(210)을 폐쇄한 후, 덮개(300)를 덮어 화로(200)내로 산소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화로(200)내로 산소가 유입되지 아니함에 따라 내부의 숯은 꺼지게 된다. 숯이 확실하게 소각되도록 산소를 차단하는 시간은 충분하게 유지한다.
도3은 통공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수단의 제1실시예의 설명도이다. 도3의 개폐수단(220)은 통공(210)을 개폐하기 위하여 개폐판(221)과 축볼트(222)를 적용한다. 개폐판(221)을 축볼트(222)의 축을 따라 회전시키면서 통공(210)을 개폐한다.
도4는 통공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수단의 제2실시예의 설명도이다. a)는 제2실시예의 설명도이고, b)는 개폐판(223)의 단면도이다.
제2실시예에서는 개폐판(223)이 위아래로 슬라이드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경우 개폐판(223)은 제1실시예와는 달리 개별적으로 조여지지 아니하기 때문에 긴밀한 공기차단효과를 위하여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판(223)의 통공(210) 대응부위에 차단돌기(224)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은 구성에 따르면 상기 개폐판(226)을 슬라이딩구조에 따라 오르내리면 여러 통공(210)들을 한 번에 개폐할 수 있게 된다.
도5는 통공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수단의 제3실시예의 설명도이다. 도5의 실시예에서는 각 개폐판(225)들은 각각의 축볼트(226)에 의해 회동되며, 각 개폐판(225)의 말단에 각 개폐판(225)을 일괄적으로 움직이게 하는 제어막대(227)가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제어막대(227)만을 움직임으로써 모든 통공(210)들을 개폐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요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 형태 중의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변경, 치환, 대체 등에 의해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것이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은 구성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보다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제공된 것임을 명확히 한다. 또한, 청구항 부호는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형상과 구조를 첨부된 도면에 한정한다는 뜻이 아니다.
100. 베이스하우징
110. 벽
111. 간격유지가이드부재
120. 바닥면
200. 화로
210. 통공
220. 개폐수단
221. 개폐판
222. 축볼트
223. 개폐판
224. 차단돌기
225. 개폐판
226. 축볼트
227. 제어막대
300. 덮개

Claims (1)

  1. 가정용 화로에 있어서,
    단열공간을 가지며 측방 및 후방을 차폐하는 벽(110)과 바닥면(120)을 가지는 베이스하우징(100)과;
    상기 베이스하우징(100)의 각 벽(110)이 형성하는 공간으로 삽입설치되는 화로(200)와;
    상기 화로(200)를 덮는 덮개(300)를 포함하며 구성되며,
    상기 화로(200)가 상기 베이스하우징(100)에 삽입설치되면 상기 화로(200)의 각 외벽과 상기 베이스하우징(100)의 각 벽(110)과 소정의 간격(d)을 가지고,
    상기 화로(200)는 공기를 소통시키기 위한 통공(210)들과, 상기 통공(210)들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수단(22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화로.
KR1020180101720A 2018-08-29 2018-08-29 가정용 화로 KR202000250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720A KR20200025006A (ko) 2018-08-29 2018-08-29 가정용 화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720A KR20200025006A (ko) 2018-08-29 2018-08-29 가정용 화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006A true KR20200025006A (ko) 2020-03-10

Family

ID=69800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1720A KR20200025006A (ko) 2018-08-29 2018-08-29 가정용 화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25006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6886B1 (ko) 2015-01-22 2016-07-06 임희경 휴대용 미니 화로
KR200481248Y1 (ko) 2016-01-08 2016-09-05 최병희 구이용 화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6886B1 (ko) 2015-01-22 2016-07-06 임희경 휴대용 미니 화로
KR200481248Y1 (ko) 2016-01-08 2016-09-05 최병희 구이용 화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41769A (en) Portable brick oven
US11051655B2 (en) Table having a heating appliance
TWI599748B (zh) 燃燒爐
US20130298895A1 (en) Fire safe camp stove and fire pit
KR20120129025A (ko) 장작 난로
KR101703393B1 (ko) 화목난로
US20220322877A1 (en) Modular cooking appliance
KR20170002517U (ko) 고체연료용 화로
KR200452982Y1 (ko) 화목난로
KR101997388B1 (ko) 난로 겸용 구이기
KR101647724B1 (ko) 직화 구이장치
KR20200025006A (ko) 가정용 화로
KR101932451B1 (ko) 복합기능을 갖는 구이기
ES1044244U (es) Barbacoa modular mejorada.
KR101434784B1 (ko) 난로의 상단구조
US2072276A (en) Cooking stove
KR200384374Y1 (ko) 열풍가열식 고기구이구
JP2502713Y2 (ja) 卓上コンロ用固形燃料台座
KR101811750B1 (ko) 난로와 온돌 타입 일체형 실내 난방장치
KR20150057573A (ko) 대형 연소용기
CN205144354U (zh) 一种碳烤炉
KR102508607B1 (ko) 캠핑용 조립식 화목 그릴 겸용 난방장치
JP2004232932A (ja) 薪焚き調理ストーブ
KR102023865B1 (ko) 목재연료를 이용한 구이장치
US20060027229A1 (en) Portable smo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