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3710A -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3710A
KR20200023710A KR1020180098569A KR20180098569A KR20200023710A KR 20200023710 A KR20200023710 A KR 20200023710A KR 1020180098569 A KR1020180098569 A KR 1020180098569A KR 20180098569 A KR20180098569 A KR 20180098569A KR 20200023710 A KR20200023710 A KR 202000237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isplay control
display device
resource distribution
control re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8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4348B1 (ko
Inventor
임재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8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4348B1/ko
Priority to US16/174,991 priority patent/US10809963B2/en
Priority to DE102018219526.9A priority patent/DE102018219526A1/de
Priority to CN201811381232.0A priority patent/CN110857065A/zh
Publication of KR20200023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3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4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4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1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 B60R16/0232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for measuring vehicle parameters and indicating critical, abnormal or dangerous condi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3Eye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8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video entertainment or vehicle dynamics information;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for attracting the attention of th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9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information is handled, e.g. showing information on plural displays or prioritising information according to driv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8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instruments
    • B60K35/81Arrangements for controlling instruments for controlling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4Adaptive cruis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49Instrument input by detecting viewing direc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6Type of output information
    • B60K2360/175Autonomous driv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8Information management
    • B60K2360/182Distributing information between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8Information management
    • B60K2360/186Displaying information according to releva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8Information management
    • B60K2360/186Displaying information according to relevancy
    • B60K2360/1876Displaying information according to relevancy according to vehicle situ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는 차량의 자율 주행 상태, 사용자의 시선 방향,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컨텐츠 특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비율을 산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비율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산출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lay of vehicle, system having the sam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자원 분배 기술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운전석 주변에는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출발지에서 목적지로의 경로에 대한 정보나, 현재의 차량의 위치, 차속, 경고 등에 대한 각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음악이나 동영상을 재생하거나 지상파 방송 또는 위성 방송을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으며, 또한 차량의 상태에 대한 정보, 날씨나 뉴스 등과 같은 같은 사용자 편의를 위한 정보들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에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센터페시아에 단일 디스플레이가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나타낼 수 있는 정보가 다양해 지면서 보다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되었고, 최근에는 차량의 클러스터 디스플레이 장치,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AVN(Audio Video Navigation) 디스플레이 장치 등을 동시에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별로 각각의 마이컴을 사용하게 되어 면적 및 비용 소모가 큰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하나의 마이컴으로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더라도,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 및 해상도가 증가하는 추세여서 마이컴 최적화가 어려워 디스플레이 장치의 프레임 저하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자율 주행 상태, 시선 방향,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컨텐츠 특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따라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비율을 결정하고, 결정된 디스플레이 자원 비율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저성능의 단일 마이컴으로 복수개의 고성능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가 절감이 가능하면서도 고성능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는 차량의 자율 주행 상태, 사용자의 시선 방향,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컨텐츠 특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비율을 산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비율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산출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의 자율 주행 상태, 상기 사용자의 시선 방향,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컨텐츠 특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산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비율을 산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의 차량의 자율 주행 상태, 사용자의 시선 방향,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컨텐츠 특성 각각에 따른 가중치의 합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모든 가중치의 합으로 나눈 값의 백분율에서 최소 화면 표시를 위한 자원 비율을 뺀 값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제 1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비율로서 산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차량이 반자율 주행 상태인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에서 주행 상태를 표시하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경고를 표시하는 제 2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증가시키고, 차량이 자율 주행 상태인 경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표시하는 제 3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증가시키며, 차량이 일반 주행 상태인 경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의 시선 방향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시선 방향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의 시선 방향이 전방인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에서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증가시키고, 상기 사용자의 시선 방향이 아래인 경우, 클러스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증가시키며, 상기 사용자의 시선 방향이 우측인 경우, AVN(Audio Video Navigation)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위험 상황에서 경고가 표시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에서 주행 상태를 표시하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경고를 표시하는 제 2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증가시키고, 교차 지점방향 안내가 표시되는 경우, 교차로를 지나갈 때까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표시하는 제 3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3 디스플레이 장치가 동작 중에 상기 차량의 고장 발생으로 긴급 경고가 표시되는 경우, 상기 제 3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일시 중지한 후, 모든 자원을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제 2 디스플레이 장치를 위해 사용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는 차량 내 위치가 서로 다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차량의 자율 주행 상태, 사용자의 시선 방향,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컨텐츠 특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비율을 산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비율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는, 상기 차량의 자율 주행 상태, 상기 사용자의 시선 방향,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컨텐츠 특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산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비율을 산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는 차량의 자율 주행 상태, 사용자의 시선 방향,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컨텐츠 특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비율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에 제어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자율 주행 상태, 상기 사용자의 시선 방향,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컨텐츠 특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의 차량의 자율 주행 상태, 사용자의 시선 방향,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컨텐츠 특성 각각에 따른 가중치의 합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모든 가중치의 합으로 나눈 값의 백분율에서 최소 화면 표시를 위한 자원 비율을 뺀 값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제 1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비율로서 산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산출하는 단계는, 차량이 반자율 주행 상태인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에서 주행 상태를 표시하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경고를 표시하는 제 2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증가시키고, 차량이 자율 주행 상태인 경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표시하는 제 3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증가시키며, 차량이 일반 주행 상태인 경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산출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시선 방향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시선 방향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시선 방향이 전방인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에서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증가시키고, 상기 사용자의 시선 방향이 아래인 경우, 클러스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증가시키며, 상기 사용자의 시선 방향이 우측인 경우, AVN(Audio Video Navigation)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산출하는 단계는, 위험 상황에서 경고가 표시되는 경우, 주행 상태를 표시하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경고를 표시하는 제 2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증가시키고, 교차 지점방향 안내가 표시되는 경우, 교차로를 지나갈 때까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표시하는 제 3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기술은 차량의 자율 주행 상태, 시선 방향,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따라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비율을 결정하고, 결정된 디스플레이 자원 비율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의 제어 자원 분배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의 자율 주행 상태에 따른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산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의 시선 방향에 따른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산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의 표시 컨텐츠 특성에 따른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산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의 긴급 경고 발생 시 자원 분배 가중치를 산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시스템을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은 영상 획득장치(110), 자율 주행 제어 장치(120),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200), 및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획득 장치(110)는 차량 내에 탑재되고 사용자의 얼굴 부분을 촬영하며, 사용자의 안구의 움직임을 추적할 수 있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획득 장치(110)에 의해 획득된 사용자의 안구의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여 프로세서(230)는 사용자의 시선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자율 주행 제어 장치(120)는 완전 자율 주행 모드, 반자율 주행 모드, 일반 주행 모드 중 하나로 차량의 주행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현재 차량의 자율 주행 상태 정보를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200)로 제공한다. 완전 자율 주행 모드는 차량이 주체적으로 차량 주행을 제어하며, 반자율 주행 모드는 차량이 주체적으로 차량 주행을 제어하되 사용자의 개입 시 바로 사용자에 의해 주체적으로 차량이 주행될 수 있다. 일반 주행 모드는 시스템의 도움없이 사용자가 주체적으로 차량 주행을 제어하는 모드이다.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200)는 차량의 자율 주행 상태, 사용자의 시선 방향,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컨텐츠 특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따라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산출하고,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는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200)가 제 1 디스플레이 장치(310), 제 2 디스플레이 장치(320), 제 3 디스플레이 장치(330)를 제어하기 위한 자원(resource, 표시 성능)을 분배하는 가중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자율 주행 상태인 경우 사용자가 주행 정보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등에 더 집중하게 되므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표시 성능을 높이는 방향으로 멀티 미디어 컨텐츠를 표시하는 제 3 디스플레이 장치(330)의 자원 분배 가중치를 증가시킨다.
이를 위해,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200)는 통신부(210), 저장부(220), 및 프로세서(23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무선 또는 유선 연결을 통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해 다양한 전자 회로로 구현되는 하드웨어 장치로서, 본 발명에서는 캔(can) 통신 등을 통해 차량 내 통신을 수행하며, 영상 획득장치(110), 자율 주행 제어 장치(120), 및 디스플레이 장치(3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저장부(220)는 영상 획득 장치(110)로부터 획득된 영상 데이터, 프로세서(230)에 의해 산출된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2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마이크로 타입(micro type), 및 카드 타입(예컨대, SD 카드(Secure Digital Card) 또는 XD 카드(eXtream Digital Card)) 등의 메모리와,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M), 롬(ROM,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M), 자기 메모리(MRAM, Magnetic RAM), 자기 디스크(magnetic disk), 및 광디스크(optical disk) 타입의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기록 매체(storage medium)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통신부(210), 저장부(220)뿐만 아니라 영상 획득 장치(110), 자율 주행 제어 장치(120), 및 디스플레이 장치(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각 구성들을 전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의 명령을 실행하는 전기 회로가 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후술하는 다양한 데이터 처리 및 계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자율 주행 상태 정보, 사용자의 시선 정보, 및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표시되는 컨텐츠 특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따라 제 1 디스플레이 장치(헤드업 디스플레이, 310), 제 2 디스플레이 장치(클러스터, 320), 제 3 디스플레이 장치(AVN, 330) 각각에 표시되는 컨텐츠를 결정하고, 제 1 디스플레이 장치(310), 제 2 디스플레이 장치(320), 제 3 디스플레이 장치(330) 각각의 제어 분배 가중치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영상 획득 장치(11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시선 방향을 판단하고, 자율 주행 제어 장치(120)로부터 수신한 자율 주행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완전 자율 주행 모드, 반자율 주행 모드, 일반 주행 모드 중 어떤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현재 주행 상태가 위험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30)는 저장부(220)에 미리 저장해둔 또는 네비게이션 장치로부터 수신한 지도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현재 주행 위치가 교차점에 접근하였는지, 경고가 필요한지 등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30)는 차량 내 장치들과의 통신을 통해 차량의 고장 등을 판단하여 긴급 경고 등을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차량의 자율 주행 상태, 사용자의 시선 방향, 및 디스플레이 장치(310, 320, 330)에 표시되는 컨텐츠 특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따라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산출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310, 320, 330) 각각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310, 320, 330) 각각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30)는 차량의 자율 주행 상태, 사용자의 시선 방향,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컨텐츠 특성 각각에 따라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산출하고, 각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230)는 아래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3을 통해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수학식 1은 제 1 디스플레이 장치(310)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비율(F_HUD%)를 산출하는 식이고, 수학식 2는 제 2 디스플레이 장치(320)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비율(F_CLU%)를 산출하는 식이고, 수학식 3은 제 3 디스플레이 장치(330)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비율(F_AVN%)를 산출하는 식이다.
F2_HUD은 자율 주행 상태에 따른 제 1 디스플레이 장치(310)의 가중치이고, F2_CLU는 자율 주행 상태에 따른 제 2 디스플레이 장치(320)의 가중치이며, F2_AVN은 자율 주행 상태에 따른 제 3 디스플레이 장치(330)의 가중치이다.
F3_HUD은 사용자의 시선 방향에 따른 제 1 디스플레이 장치(310)의 가중치이고, F3_CLU는 사용자의 시선 방향에 따른 제 2 디스플레이 장치(320)의 가중치이며, F3_AVN은 사용자의 시선 방향에 따른 제 3 디스플레이 장치(330)의 가중치이다.
F4_HUD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컨텐츠 특성에 따른 제 1 디스플레이 장치(310)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이고, F4_CLU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컨텐츠 특성에 따른 제 2 디스플레이 장치(320)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이며, F4_AVN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컨텐츠 특성에 따른 제 3 디스플레이 장치(330)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이다. F_min은 최소 화면 표시를 위한 자원 비율이다.
프로세서(230)는 상기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3을 통해 산출된 각 디스플레이 장치(310, 320, 330)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비율에 따라 각 디스플레이 장치(310, 320, 330)에 제어 자원을 할당한다.
프로세서(230)는 차량이 반자율 주행 상태인 경우, 주행 상태를 표시하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경고를 표시하는 제 2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증가시키고, 차량이 자율 주행 상태인 경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표시하는 제 3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증가시키며, 차량이 일반 주행 상태인 경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증가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사용자의 시선 방향에 따라, 사용자의 시선 방향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증가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사용자의 시선 방향이 전방인 경우,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증가시키고, 사용자의 시선 방향이 아래인 경우, 클러스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증가시키며, 사용자의 시선 방향이 우측인 경우, AVN(Audio Video Navigation)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증가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위험 상황에서 경고가 표시되는 경우, 주행 상태를 표시하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경고를 표시하는 제 2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증가시키고, 교차 지점방향 안내가 표시되는 경우, 교차로를 지나갈 때까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표시하는 제 3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증가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제 3 디스플레이 장치가 동작 중에 상기 차량의 고장 발생으로 긴급 경고가 표시되는 경우, 상기 제 3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일시 중지한 후, 모든 자원을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제 2 디스플레이 장치를 위해 사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차량 주행 정보, 경고 정보, 멀티미디어 컨텐츠 등 차량 주행 중 필요한 정보들을 고성능의 해상도로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310), 제 2 디스플레이 장치(320), 제 3 디스플레이 장치(3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에서는 3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예를 개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이상 또는 그 이하의 개수를 가질 수 있다.
제 1 디스플레이 장치(310)는 차량의 주행 정보를 표시하며 차량의 전방 위쪽에 구비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HUD)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디스플레이 장치(320)는 차량의 상태 정보 또는 경고 정보 등을 표시하며 차량의 전방 아래쪽에 구비되는 클러스터(cluster)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디스플레이 장치(330)는 지도 정보, 멀티미디어 컨텐츠 등을 표시하며 차량의 전방 가운데측에 구비되는 AVN(Audio Video Navig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FT LCD, Thin Film Transistor-LCD),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능동형 OLED(AMOLED, Active Matrix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벤디드 디스플레이(bended display), 그리고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명형으로 구성되는 투명 디스플레이(transparent display)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touchscreen)으로서 마련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자율 주행 상태, 사용자의 시선 방향, 표시되는 컨텐츠의 특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따라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에 투입되는 자원 분배 비율을 다르게 적용하여 낮은 성능의 단일 마이컴(MICOM,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200))으로도 복수의 고성능 디스플레이 장치(310, 320, 330)를 제어 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저성능의 단일 마이컴만으로 복수의 고성능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복수개의 마이컴 또는 고성능의 단일 마이컴을 사용하지 않고도 사용자에게 고성능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어 원가 절감하면서 상품성을 높일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200)의 제어 자원 분배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1의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200)가 도 2 내지 도 6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을 가정한다. 또한, 도 2 내지 도 6의 설명에서,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은 장치(200)의 프로세서(230)에 의해 제어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200)의 제어 자원 분배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의 제어 자원 분배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200)는 자율 주행 상태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계산한다(S100). 이때,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는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200)가 제 1 디스플레이 장치(310), 제 2 디스플레이 장치(320), 제 3 디스플레이 장치(330)를 제어하기 위한 자원(resource, 표시 성능)의 분배하는 가중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자율 주행 상태인 경우 사용자가 주행 정보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등에 더 집중하게 되므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표시 성능을 높이는 방향으로 멀티 미디어 컨텐츠를 표시하는 제 3 디스플레이 장치(330)의 자원 분배 가중치를 증가시킨다.
이어,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200)는 사용자의 시선 방향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계산한다(S200). 예를 들어, 사용자의 시선 방향이 전방 위쪽이면 사용자가 전방 위쪽에 위치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증대시킨다.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표시되는 컨텐츠 특성에 따라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계산한다(S300). 예를 들어, 제 3 디스플레이 장치(330)에 교차로 지점 방향안내가 표시되고 있는 경우 차량이 교차로를 다 지나갈 때까지 제 3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증가시킨다.
이어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200)는 자율 주행 상태, 사용자 시선 방향, 컨텐츠 특성에 따라 산출된 각 디스플레이 장치(310, 320, 330)의 가중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비율을 산출한다(S400). 이때,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비율은 전체를 100%로 볼 때 제 1 디스플레이 장치(310), 제 2 디스플레이 장치(320), 제 3 디스플레이 장치(330) 각각의 비율을 산출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200)는 제 1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310)의 자율 주행 상태, 사용자 시선 방향, 컨텐츠 특성에 따라 각각 산출된 가중치의 합을 제 1 디스플레이 장치(310), 제 2 디스플레이 장치(320), 제 3 디스플레이 장치(330) 각각의 가중치를 모두 더한 값으로 나눈 후 100을 곱한 값에서 최소(또는 정지)화면 표시를 위한 자원 분배 비율을 제외한 값을 제 1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310)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비율로서 산출할 수 있다.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200)는 산출된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비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한다(S500). 예를 들어, 제 1 디스플레이 장치(310)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비율이 20%, 제 2 디스플레이 장치(320)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비율이 10%, 제 3 디스플레이 장치(330)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비율이 70%로 산출된 경우,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200)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310)에 대해 성능이 20% 로 구현되도록 제어하고, 제 2 디스플레이 장치(320)에 대해 성능이 10%만 구현되도록 제어하고, 제 3 디스플레이 장치(330)에 대해 성능이 70%로 구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의 자율 주행 상태에 따른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산출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의 자율 주행 상태에 따른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산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200)는 차량이 현재 완전 자율 주행 모드인지를 판단한다(S101). 이때, 완전 자율 주행 모드는 사용자의 개입없이 자율 주행 제어 장치(120)에 의해 주행되는 모드를 의미한다.
상기 과정 S101에서 현재 차량이 완전 자율 주행 모드로 판단된 경우,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200)는 사용자의 개입이 적어, 사용자가 주행 정보보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등에 더 관심을 가지게 되므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표시하는 제 3 디스플레이 장치(AVN, 330)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증대시킨다(F2_AVN=3)(S102). 이때, 제 1 디스플레이 장치(헤드업 디스플레이(HUD), 310)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1증가 시키고(F2_HUD=1), 제 2 디스플레이 장치(클러스터(CLU, 320)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1 증가시킨다(F2_CLU=1). 즉, 완전 자율 주행 모드에서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310) 및 제 2 디스플레이 장치(320)의 가중치도 증가시키나, 제 3 디스플레이 장치(330)의 가중치를 가장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과정 S101에서 현재 차량이 완전 자율 주행 모드가 아닌 경우,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200)는 반자율 주행 모드인지를 판단한다(S103). 이때, 반자율 주행 모드는 자율 주행 제어 장치(120)에서 자율 주행을 제어하나 사용자의 개입이 어느 정도 반영되는 주행 모드를 의미한다. 이러한 반자율 주행 모드에서는 다양한 돌발 상황이 발생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주행 상태나 경고 상태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과정 S103에서 반자율 주행 모드로 판단된 경우,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200)는 사용자의 주행 상태나 경고 상태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주행 상태나 경고 상태를 표시하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310) 또는 제 2 디스플레이 장치(320)의 표시 성능을 증가시키기 위해 제 1 디스플레이 장치(310) 또는 제 2 디스플레이 장치(320)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증가시킬 수 있다(F2_HUD=2, F2_CLU=2)(S104). 이때, 제 1 디스플레이 장치(310) 또는 제 2 디스플레이 장치(320)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2로 증가시키고 제 3 디스플레이 장치(330)의 가중치는 1로 초기화시킨다(F2_AVN=1).
상기 과정 S103에서 반자율 주행 모드가 아닌 일반 주행 모드로 판단된 경우, 일반 주행 모드에서는 사용자가 주행 정보를 정확히 인지하기 위해 전방을 주로 주시하게 되므로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200)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310)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증가시킨다(F2_HUD=2)(S105). 이때, 제 2 디스플레이 장치(320) 및 제 3 디스플레이 장치(330)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는 초기화시킨다(F2_CLU=1, F2_AVN=1).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자율 주행 상태(완전 자율 주행 모드, 반 자율 주행 모드, 일반 주행 모드)에 따라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의 시선 방향에 따른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산출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의 시선 방향에 따른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산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200)는 영상 획득장치(110)로부터 사용자의 시선 방향 정보를 획득하여 사용자의 시선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S201).
사용자의 시선 방향이 전방을 향하고 있는 경우,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200)는 차량 전방에 위치하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HUD, 310)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증가시킨다(F3_HUD=2)(S202). 이때, 제 2 디스플레이 장치(CLU, 320) 및 제 3 디스플레이 장치(AVN, 330)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는 각각 "1"로 초기화할 수 있다(F3_CLU=1, F3_AVN=1).
한편,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200)는 사용자의 시선 방향이 전방을 향하고 있지 않은 경우, 사용자의 시선 방향이 아래 방향을 향하고 있는지를 판단하여(S203), 사용자의 시선 방향이 아래쪽을 향하고 있는 경우,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200)는 차량의 전방의 아래 방향에 위치하는 제 2 디스플레 장치(320)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분배 가중치를 증가시킨다(F3_CLU=2)(S204). 이때, 제 1 디스플레이 장치(310) 및 제 3 디스플레이 장치(AVN, 330)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는 각각 "1"로 초기화할 수 있다(F3_HUD=1, F3_AVN=1).
한편, 사용자의 시선 방향이 아래 방향을 향하고 있지 않은 경우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200)는 사용자의 시선 방향이 우측을 향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S205).
사용자의 시선 방향이 우측을 향하고 있는 경우,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200)는 사용자가 차량 전방 중앙에 위치하는 제 3 디스플레이 장치(330)를 보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제 3 디스플레이 장치(330)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증가시킨다(F3_AVN=2)(S206). 이때, 제 1 디스플레이 장치(310) 및 제 2 디스플레이 장치(320)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는 각각 "1"로 초기화할 수 있다(F3_HUD=1, F3_CLU=1).
한편, 사용자의 시선 방향이 전방, 아래, 우측 방향이 모두 아닌 경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310), 제 2 디스플레이 장치(320), 제 3 디스플레이 장치(AVN, 330)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모두 "1"로 초기화할 수 있다(F3_HUD=1, F3_CLU=1, F3_AVN=1)(S207).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의 표시 컨텐츠 특성에 따른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산출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의 표시 컨텐츠 특성에 따른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산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200)는 주행 상황 또는 위험 상황에 따른 경고 발생 상황인지를 판단한다(S301). 이때,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200)는 차량과 연계된 각종 센서 장치로부터 수신한 주행 상황 정보 또는 자율 주행 제어 장치(120)로부터 수신한 위험 상황 정보를 기반으로 경고 발생 상황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과정 S301에서 현재 상황이 차량 경고 발생 상황으로 판단된 경우,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200)는 경고 표시를 수행할 수 있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310) 및/또는 제 2 디스플레이 장치(320)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증가시킨다(F4_HUD=2, F4_CLU=2)(S302). 이때, 제 3 디스플레이 장치(330)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는 "1"로 초기화한다(F4_AVN=1).
한편, 상기 과정 S301에서 차량 경고 발생 상황이 아닌 경우, 차량이 교차지점 접근 중이거나 주행 방향 안내 화면을 표시하고 있는 상태인지를 판단한다(S303).
차량이 교차지점 접근 중이거나 주행 방향 안내 표시 상태인 경우,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200)는 제 3 디스플레이 장치(330)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증가시킨다(F4_AVN=3)(S304). 이때, 제 1 디스플레이 장치(310) 및 제 2 디스플레이 장치(320)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모두 "1"로 초기화할 수 있다(F3_HUD=1, F3_CLU=1).
한편, 차량이 교차지점 접근 중이거나 주행 방향 안내 표시 상태가 아닌 경우,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200)는 멀티미디어 정보 화면(컨텐츠)을 표시하고 있는 상태인지를 판단하고(S305), 멀티미디어 정보 화면을 표시하고 있는 상태인 경우 제 3 디스플레이 장치(330)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증가시킨다(F4_AVN=3)(S304). 이때, 제 1 디스플레이 장치(310) 및 제 2 디스플레이 장치(320)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모두 "1"로 초기화할 수 있다(F3_HUD=1, F3_CLU=1).
차량 경고 발생 상태가 아니고, 교차 지점 접근 및 방향 안내 표시 상태가 아니며 멀티미디어 정보 화면의 표시 상태가 아닌 경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310), 제 2 디스플레이 장치(320), 제 3 디스플레이 장치(AVN, 330)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모두 "1"로 초기화할 수 있다(F3_HUD=1, F3_AVN=1)(S306).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의 긴급 경고 발생 시 자원 분배 가중치를 산출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의 긴급 경고 발생 시 자원 분배 가중치를 산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200)는 주행 상황이나 고장 발생으로 긴급 경고가 필요한 상황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한다(S401).
이에 긴급 경고가 필요한 상황인 경우,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200)는 현재 제 1 디스플레이 장치(310), 제 2 디스플레이 장치(320), 및 제 3 디스플레이 장치(330)에서 긴급 경고를 표시할 수 있는지를 판단한다(S402). 즉 현재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중인지 여부 등에 따라 긴급 경고의 표시가 어려울 수 있다.
이에 긴급 경고의 표시가 어려운 경우, 작동중인 제 3 디스플레이 장치(330)의 화면을 일시 정지시키고,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의 분배없이 모든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을 제 1 디스플레이 장치(310) 또는 제 2 디스플레이 장치(320) 중 하나에 제공하여, 긴급 경고를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성능을 최대화시킨다(F2_AVN=0, F3_AVN=0, F4_AVN=0)(S403).
한편 상기 과정 S401에서 긴급 경고 발생 상황이 아닌 경우,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200)는 정차중 제 3 디스플레이 장치(330)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표시 중인지를 판단한다(S404).
제 3 디스플레이 장치(330)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표시중인 경우,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20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표시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지를 판단하고(ㄴ405),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표시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어려운 경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310)의 동작을 정지시켜 제 3 디스플레이 장치(330)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증대시킨다(S406). 특히, 제 3 디스플레이 장치(330)에 멀티미디어 컨텐츠로서 교차 지점방향 안내 화면이 표시되고 있던 경우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200)는 교차로를 완전히 지나갈 때까지 제 3 디스플레이 장치(330)에 분배되는 제어 자원 가중치를 높여 원활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자율 주행 상태, 사용자의 시선 방향, 및 컨텐츠 특성을 이용하여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의 표시 성능을 위한 제어 자원 분배 비율을 차별화하여, 낮은 제어 성능으로 복수개의 고성능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를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컴퓨팅 시스템(1000)은 버스(1200)를 통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0), 메모리(13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14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장치(1500), 스토리지(160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0)는 중앙 처리 장치(CPU) 또는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저장된 명령어들에 대한 처리를 실행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1300) 및 스토리지(1600)는 다양한 종류의 휘발성 또는 불휘발성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300)는 ROM(Read Only Memory) 및 RAM(Random Access Memory)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프로세서(1100)에 의해 실행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2 개의 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즉,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에 커플링되며, 그 프로세서(110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주문형 집적회로(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개별 컴포넌트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차량의 자율 주행 상태, 사용자의 시선 방향,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컨텐츠 특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비율을 산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비율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산출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를 포함하는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의 자율 주행 상태, 상기 사용자의 시선 방향,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컨텐츠 특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비율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의 차량의 자율 주행 상태, 사용자의 시선 방향,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컨텐츠 특성 각각에 따른 가중치의 합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모든 가중치의 합으로 나눈 값의 백분율에서 최소 화면 표시를 위한 자원 비율을 뺀 값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제 1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비율로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차량이 반자율 주행 상태인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에서 주행 상태를 표시하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경고를 표시하는 제 2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증가시키고,
    차량이 자율 주행 상태인 경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표시하는 제 3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증가시키며,
    차량이 일반 주행 상태인 경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의 시선 방향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시선 방향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의 시선 방향이 전방인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에서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증가시키고,
    상기 사용자의 시선 방향이 아래인 경우, 클러스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증가시키며,
    상기 사용자의 시선 방향이 우측인 경우, AVN(Audio Video Navigation)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위험 상황에서 경고가 표시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에서 주행 상태를 표시하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경고를 표시하는 제 2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증가시키고,
    교차 지점방향 안내가 표시되는 경우, 교차로를 지나갈 때까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표시하는 제 3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3 디스플레이 장치가 동작 중에 상기 차량의 고장 발생으로 긴급 경고가 표시되는 경우, 상기 제 3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일시 중지한 후, 모든 자원을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제 2 디스플레이 장치를 위해 사용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10. 차량 내 위치가 서로 다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차량의 자율 주행 상태, 사용자의 시선 방향,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컨텐츠 특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비율을 산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비율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를 포함하는 차량 시스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는,
    상기 차량의 자율 주행 상태, 상기 사용자의 시선 방향,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컨텐츠 특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스템.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비율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스템.
  13. 차량의 자율 주행 상태, 사용자의 시선 방향,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컨텐츠 특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비율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에 제어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자율 주행 상태, 상기 사용자의 시선 방향,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컨텐츠 특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의 차량의 자율 주행 상태, 사용자의 시선 방향,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컨텐츠 특성 각각에 따른 가중치의 합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모든 가중치의 합으로 나눈 값의 백분율에서 최소 화면 표시를 위한 자원 비율을 뺀 값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제 1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비율로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17.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산출하는 단계는,
    차량이 반자율 주행 상태인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에서 주행 상태를 표시하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경고를 표시하는 제 2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증가시키고,
    차량이 자율 주행 상태인 경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표시하는 제 3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증가시키며,
    차량이 일반 주행 상태인 경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18.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산출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시선 방향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시선 방향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19.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시선 방향이 전방인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에서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증가시키고,
    상기 사용자의 시선 방향이 아래인 경우, 클러스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증가시키며,
    상기 사용자의 시선 방향이 우측인 경우, AVN(Audio Video Navigation)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20.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산출하는 단계는,
    위험 상황에서 경고가 표시되는 경우, 주행 상태를 표시하는 제 1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경고를 표시하는 제 2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증가시키고,
    교차 지점방향 안내가 표시되는 경우, 교차로를 지나갈 때까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표시하는 제 3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자원 분배 가중치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1020180098569A 2018-08-23 2018-08-23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634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569A KR102634348B1 (ko) 2018-08-23 2018-08-23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
US16/174,991 US10809963B2 (en) 2018-08-23 2018-10-30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lay of vehicle, system having the same, and method thereof
DE102018219526.9A DE102018219526A1 (de) 2018-08-23 2018-11-15 Einrichtung zum Steuern eines Fahrzeugs, System, das Selbige aufweist, und Verfahren dafür
CN201811381232.0A CN110857065A (zh) 2018-08-23 2018-11-20 用于控制车辆显示器的装置、具有该装置的系统及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569A KR102634348B1 (ko) 2018-08-23 2018-08-23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3710A true KR20200023710A (ko) 2020-03-06
KR102634348B1 KR102634348B1 (ko) 2024-02-07

Family

ID=69412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8569A KR102634348B1 (ko) 2018-08-23 2018-08-23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809963B2 (ko)
KR (1) KR102634348B1 (ko)
CN (1) CN110857065A (ko)
DE (1) DE1020182195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20262453A1 (ko) * 2019-06-28 2020-12-30
CN115470000A (zh) * 2022-08-22 2022-12-13 华为技术有限公司 资源分配的方法、装置和运载工具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68196A (ja) * 2012-05-16 2012-09-06 Denso It Laboratory Inc 情報表示装置
JP5555526B2 (ja) * 2010-04-06 2014-07-23 東芝アルパイン・オートモティブ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車両用ディスプレイ装置
KR20170047044A (ko) * 2015-10-22 2017-05-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표시정보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US20170364148A1 (en) * 2016-06-15 2017-12-21 Lg Electronics Inc. Control device for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28725A (en) * 1976-04-21 1977-06-07 Grumman Aerospace Corporation High-resolution vision system
JP2515387B2 (ja) * 1988-12-29 1996-07-1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表示装置
JPH06233306A (ja) * 1993-02-03 1994-08-19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表示装置
DE10038808A1 (de) * 2000-08-09 2002-02-21 Volkswagen Ag Elektronische Kameraeinrichtung
US7624210B2 (en) * 2004-12-24 2009-11-24 Masahiro Izutsu Mobile information communication apparatus, connection unit for mobile informatio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external input/output unit for mobile information communication apparatus
US9467647B2 (en) * 2007-07-17 2016-10-11 Carnegie Mellon University Multiple resolution video network with context based control
US8827717B2 (en) * 2010-07-02 2014-09-09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Physiologically modulating videogames or simulations which use motion-sensing input devices
US8184069B1 (en) * 2011-06-20 2012-05-22 Goog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daptive transmission of data
KR101806983B1 (ko) * 2012-12-28 2017-12-08 페이스북, 인크. 배터리 및 데이터 사용의 절약
US10264211B2 (en) * 2014-03-14 2019-04-16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Adaptive resolution in software applications based on dynamic eye tracking
US9436007B2 (en) * 2014-08-22 2016-09-06 Hyundai Motor Company Integrated cluster and head-up display device for vehicle
EP3237953A1 (en) * 2014-12-26 2017-11-01 CY Vision Inc. Near-to-eye display device with variable resolution
EP3040809B1 (en) * 2015-01-02 2018-12-12 Harman Becker Automotive Systems GmbH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human-machine interface having at least two displays
CN104537976B (zh) * 2015-01-16 2018-09-04 北京智谷睿拓技术服务有限公司 时分显示控制方法和装置、显示设备
KR101687543B1 (ko) * 2015-04-27 2016-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6314290A (zh) * 2015-06-24 2017-01-11 戴万谋 车载智能后视镜装置
US20170028850A1 (en) * 2015-07-31 2017-02-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display systems
JP6636828B2 (ja) * 2016-03-02 2020-01-29 株式会社東芝 監視システム、監視方法、および監視プログラム
KR102608997B1 (ko) * 2016-08-01 2023-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80070198A (ko) * 2016-12-16 2018-06-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20180074373A (ko) * 2016-12-23 2018-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운송 장치 및 운송 장치 제어 방법
KR101973159B1 (ko) * 2016-12-27 2019-08-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내 멀티 원격 제어 설정 방법과 이를 위한 차량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55526B2 (ja) * 2010-04-06 2014-07-23 東芝アルパイン・オートモティブ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車両用ディスプレイ装置
JP2012168196A (ja) * 2012-05-16 2012-09-06 Denso It Laboratory Inc 情報表示装置
KR20170047044A (ko) * 2015-10-22 2017-05-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표시정보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US20170364148A1 (en) * 2016-06-15 2017-12-21 Lg Electronics Inc. Control device for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70141484A (ko) * 2016-06-15 2017-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제어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809963B2 (en) 2020-10-20
US20200065042A1 (en) 2020-02-27
CN110857065A (zh) 2020-03-03
DE102018219526A1 (de) 2020-02-27
KR102634348B1 (ko) 2024-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69066B2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ing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ADAS) as a system on a chip (SOC)
KR102463717B1 (ko) 군집 차량 제동력 제어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
US8912979B1 (en) Virtual window in head-mounted display
US20220415182A1 (en) Platooning control apparatus based on active collision avoidance control, a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a method thereof
EP3488579A1 (en) Efficient communications amongst computing nodes for operating autonomous vehicles
KR102406522B1 (ko) 기상 환경 기반 군집 주행 제어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
US9779685B2 (en) Display control device for vehicle to generate native display images and versatile display images
US11216906B2 (en) Display apparatus to control display form of virtual object
US10303045B1 (en) Control of display device for autonomous vehicle
KR102634348B1 (ko)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979803B2 (en) Responding to a signal indicating that an autonomous driving feature has been overridden by alerting plural vehicles
KR20170132404A (ko) 화면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10571919B2 (en) Systems and methods to identify directions based on use of autonomous vehicle function
CN115185408A (zh) 一种车载娱乐信息显示方法、装置、设备和介质
KR20210025766A (ko) 군집 주행 관리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
JP7174926B2 (ja) 表示制御システム、移動体、表示制御方法、表示装置、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3796157B1 (en) Apparatus for over the air update for vehicle and method therefor
EP3839437A1 (en) Metho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for displaying ar navigation
US10489947B2 (en) Mobile device, application display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N113434620A (zh) 显示方法、装置、设备、存储介质以及计算机程序产品
KR20200130773A (ko) 차량 자율 주행 제어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20028029A1 (en) Vehicle device and vehicle device control method
CN111346373A (zh) 游戏中虚拟摇杆显示控制方法、装置及电子设备
WO2018216394A1 (ja) 運転負荷推定装置
CN111947680B (zh) 用于展示数据的方法、装置、设备以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