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3606A - 선택 가능한 어택 각도를 갖는 발사체 - Google Patents

선택 가능한 어택 각도를 갖는 발사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3606A
KR20200023606A KR1020197034823A KR20197034823A KR20200023606A KR 20200023606 A KR20200023606 A KR 20200023606A KR 1020197034823 A KR1020197034823 A KR 1020197034823A KR 20197034823 A KR20197034823 A KR 20197034823A KR 20200023606 A KR20200023606 A KR 202000236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jectile
target
angle
active
gyr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4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8677B1 (ko
Inventor
크리스터 투만
토마스 페테르손
마츠 라르손
Original Assignee
비에이이 시스템즈 보포즈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에이이 시스템즈 보포즈 아베 filed Critical 비에이이 시스템즈 보포즈 아베
Publication of KR20200023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36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8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86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0/00Means for influencing, e.g. improving, the aerodynamic properties of projectiles or missiles; Arrangements on projectiles or missiles for stabilising, steering, range-reducing, range-increasing or fall-retarding
    • F42B10/60Steering arrangements
    • F42B10/66Steering by varying intensity or direction of thrust
    • F42B10/661Steering by varying intensity or direction of thrust using several transversally acting rocket motors, each motor containing an individual propellant charge, e.g. solid char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KJET-PROPULSION PLANTS
    • F02K9/00Rocket-engine plants, i.e. plants carrying both fuel and oxidant therefor; Control thereof
    • F02K9/70Rocket-engine plants, i.e. plants carrying both fuel and oxidant therefor; Control thereof using semi- solid or pulverulent propell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2/00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 F42B12/02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 F42B12/20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of high-explosive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2/00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 F42B12/02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 F42B12/20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of high-explosive type
    • F42B12/201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of high-explosive type characterised by target class
    • F42B12/202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of high-explosive type characterised by target class for attacking land area or area targets, e.g. airbur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30/00Projectiles or missi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ammunition class or type, e.g. by the launching apparatus or weapon used
    • F42B30/08Ordnance projectiles or missiles, e.g. shells
    • F42B30/10Mortar projecti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0/00Means for influencing, e.g. improving, the aerodynamic properties of projectiles or missiles; Arrangements on projectiles or missiles for stabilising, steering, range-reducing, range-increasing or fall-retarding
    • F42B10/02Stabilising arrangements
    • F42B10/04Stabilising arrangements using fixed fins
    • F42B10/06Tail f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2/00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 F42B12/02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 F42B12/04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of armour-piercing type
    • F42B12/10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of armour-piercing type with shaped or hollow char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2/00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 F42B12/02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 F42B12/20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of high-explosive type
    • F42B12/22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of high-explosive type with fragmentation-hull construction
    • F42B12/32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of high-explosive type with fragmentation-hull construction the hull or case comprising a plurality of discrete bodies, e.g. steel balls, embedded therein or disposed around the explosive char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겟에 대한 충격을 증가시키기 위해 선택 가능한 어택 각도를 갖는 발사체(100)에 관한 것으로서, 활성 장약(active charge)(1) 및 활성 장약(1)의 개시를 위한 제어 가능한 개시 장치(2)를 포함하고, 여기서 발사체(100)는 또한 발사체의 전방 면(N)이 타겟을 향해 지향되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위치로부터, 발사체(100)의 외부 표면(M)이 타겟을 향해 지향되는 보다 수평인 위치로 발사체(100)를 궤도에 대해 기울어지게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측면 작용 임펄스 모터(3)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택 가능한 어택 각도를 갖는 발사체
본 발명은 타겟에 대한 충격을 증가시키기 위해 선택 가능한 어택 각도를 갖는 발사체에 관한 것이다.
박격포(Mortars)는 종종 총포 위치에서 보이지 않는 타겟에 대한 간접 사격에 사용된다. 마찬가지로, 타겟이 어떤 방법으로든 측면에서 보호/차단되거나, 또는 다양한 이유로 측면에서 관통될 수 없지만, 그러나 위로부터 보다 접근하기 쉬운 경우에는, 박격포가 적합한 선택이다. 예를 들어, 인클로저/벽 내의 타겟, 가라앉아 있는(sunken) 타겟 등이 언급될 수 있다.
박격포는 다수의 설계 및 상이한 구경을 가지고 있으며, 가장 일반적인 것은 8 또는 12 ㎝ 구경의 박격포이며, 이는 승무원(crew)이 수동으로 취급한다. 박격포는 또한 스탠드 또는 차량 상에 장착될 수도 있다. 박격포에서 발포되는 발사체, 예를 들어 포탄-액션 포탄(shell-action shell)(박격포 포탄)은 우선 타겟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인 팁으로 타겟을 위로부터 타격한다. 대부분의 박격포 포탄은 자연적으로 단편화되고, 만능 공격 능력(all-round strike capability)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폭발 시 파편이 주로 옆으로 발산된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는 예를 들어 차량 지붕, 은폐된 또는 누워있는 타겟에 대해 어떠한 큰 영향을 주지 못한다.
박격포의 장점은 그들의 간단한 구조, 저렴한 가격 및 적은 무게에 있다. 약한 측면은 주로 짧은 발사 거리 및 개별 발포의 효과가 거의 없다는 것이다.
오늘날 위에서 설명된 문제점들을 어느 정도 해결하도록 설계된 발사체는 기술적으로 훨씬 더 진보되고, 훨씬 더 비싸며, 일반적으로 다른 유형의 상황 및 타겟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전방-지향 볼 플레이트를 갖는 발사체가 있는데, 이는 볼/발사체를 포탄의 이동 방향으로, 즉 지면을 향해 아래로 배출한다.
다른 예는 핀 안정화(fin-stabilized) 포병 포탄이다. 이들은 제어 표면 및 핀을 가지며, GPS 기술로 안내되고, 이는 포탄이 매우 정확하게 한다. 포탄은 일반적으로 곡사포로 배출되며, 최대 약 15,000 미터로 매우 높게 날고, 이 높이에서 날개가 전개되고 포탄은 타겟을 향해 글라이딩되기(glide) 시작한다. 마지막 비트에서, 포탄은 거의 수직으로 떨어지며, 이 경우 효과를 최적화한다. 그러나, 발사 거리가 긴 경우, 기동성(maneuverability)(다이빙 능력)이 제한되고, 이는 폭발 시 포탄의 각도가 최적이 아니라는 것을 의미한다.
요약하면,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해 발사체의 어택 각도를 선택하고 제어할 수 있기 위한 방법이 필요하다. 만능 공격 능력을 갖는 볼/파편으로는 접근하기 어려운 타겟에 보다 양호한 충격을 주는 보다 저렴한 발사체, 예를 들어 박격포 포탄이 또한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현재 사용되는 발사체에 비해 반-경질(semi-hard) 타겟에 대한 충격이 증가된 발사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본원의 청구범위 제1항에 정의된 경로 접선에 직각인 종축을 갖는 배향으로 통과하는 발사체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사체는 노즈 부분, 케이싱 부분 및 핀 부분을 포함한다. 발사체는 활성 장약(active charge), 제1 개시 장치, 센서, 적어도 하나의 노즐, 제어 컴퓨터, 적어도 하나의 임펄스 모터 및 제2 개시 장치를 더 포함한다.
제1 개시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임펄스 모터를 개시한다. 제2 개시 장치는 활성 장약을 개시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발사체는 거리 센서 형태의 센서를 포함한다. 거리 센서는 발사체와 타겟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거리 센서는 예를 들어 높이 센서일 수 있다.
측면 작용 임펄스 모터는 발사체를 하나의 위치로부터 다른 위치로 기울어지게 한다. 예를 들어, 발사체는 발사체의 전방 면이 타겟을 향해 지향되는 수직 위치로부터, 외부 표면이 타겟을 향해 지향되는 실질적으로 수평인 위치로 실질적으로 기울어진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개시 장치는 거리 센서를 통해 개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발사체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 작용 임펄스 모터는 발사체의 전방에 인접한 발사체의 그 측면 상에 배치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면 작용 임펄스 모터는 예를 들어 분말 장약에 의해 구동된다.
발사체의 다른 실시예에서, 임펄스 모터는 불꽃 작용식이다.
일 실시예에서, 발사체는 또한 적어도 하나의 자이로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발사체는 단축(single-axis) 자이로를 포함한다. 단축 자이로는 발사체의 회전 각도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자이로는 다축이다.
일 실시예에서, 활성 장약은 볼로 사전 파편화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활성 장약은 큐브(cubes), 육각형 또는 디스크로 사전 파편화된다.
활성 장약의 파편들은 발사체의 외부 표면의 하나의 측면 상에,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노즐과 동일한 측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 개시 장치는 예를 들어 단축 자이로를 통해 개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 개시 장치는 다축 자이로에 의해 개시된다.
발사체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2 개시 장치의 활성 부분은 자이로가 약 90°의 제1 각도에 대한 제2 각도를 시그널링할 때 개시된다. 발사체의 다른 실시예에서, 활성 부분은 자이로가 60 내지 120°의 범위 내에서 제1 각도에 대한 제2 각도를 시그널링할 때 개시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활성 장약은 발사체-형성 방향성 폭발 액션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발사체의 활성 장약은 다른 실시예에서 중금속 또는 강철로 제조된 볼, 큐브, 육각형 또는 디스크로 사전 파편화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발사체는 GPS 유닛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개시 장치는 GPS 유닛을 통해 개시될 수 있다.
핀 안정화 발사체에서, 다축 자이로가 복수의 임펄스 모터와 함께 사용되어 수직 라인/수평면에 대해 발사체를 배향시키므로, 발사체는 폭발 순간에 효과 측면에서 유리한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발사체의 하강 각도가 얕으면, 발사체의 일 측면 상의 임펄스 모터가 활성화되어, 발사체는 보다 수직인 위치를 취한다. 따라서 핀 안정화 발사체의 일 실시예는 복수의 임펄스 모터를 포함한다.
또 다른 예로는 직접 사격을 위한 중-구경 이상의 구경의 핀 안정화 발사체가 있다. 이 경우 하나 이상의 임펄스 모터를 사용하여, 폭발 전에 발사체를 임의의 선택된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발사체는 포탄의 전방 면 뒤에 배치된 더 작은 활성 장약을 통해 및/또는 포탄의 외부 표면 뒤에 배치된 더 큰 활성 장약을 통해, 2개의 액션 모드에 따라 액션을 위한 2개의 선택 가능한 활성 장약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타겟과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발사체의 어택 각도를 기울어지게 하거나 또는 선택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타겟 위에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발사체의 어택 각도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은, 예를 들어,
- 높이 센서로 타겟에 대한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 선택된 임펄스 모터를 작동 시작하는 단계 - 발사체는 그 경로에 대해 회전됨 - , 및
- 활성 부분을 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다른 센서 또는 수단이 제1 임펄스 모터를 개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 타겟에 대한 미리 결정된 거리에서 자이로(5)의 제1 각도 신호를 0°로 설정하고, 타겟 위에서 제2 각도 신호를 원하는 각도 변화로 설정하는 단계,
- 높이 센서(4)로 타겟에 대한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 선택된 임펄스 모터(3)를 작동 시작하는 단계 - 발사체는 그 경로에 대해 회전함 - ,
- 자이로가 제2 미리 결정된 각도를 시그널링할 때 활성 부분(1)을 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2 미리 정해진 각도는 발사체 유형에 따라 다르다.
원하는 타겟 위에서 발사체의 어택 각도를 선택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서,
- 타겟에 대한 미리 결정된 거리에서 자이로의 제1 각도 신호를 0°로 설정하고, 타겟 위에서 제2 각도 신호를 원하는 각도 변화로 설정하는 단계,
- 높이 센서로 타겟에 대한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 임펄스 모터를 작동 시작하는 단계 - 제1 힘 방향은 그 궤도에 대해 발사체의 회전을 발생시킴 - ,
- 자이로가 발사체의 외부 표면이 타겟에 노출되는 제2 미리 결정된 각도를 시그널링할 때 활성 부분을 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활성 부분은 예를 들어 자이로가 약 90°의 제1 각도에 대한 제2 각도를 시그널링할 때 개시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각도에 대한 제2 미리 결정된 각도는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
제2 미리 결정된 각도는 1 내지 120°의 범위 내에서 제1 각도에 대해 변한다.
제2 미리 결정된 각도는 1 내지 60°의 범위 내에서 제1 각도에 대해 변한다.
제2 미리 결정된 각도는 60 내지 120°의 범위 내에서 제1 각도에 대해 변한다.
120 ㎜ 구경의 박격포 발사체가 상기에 따라 충분히 멀리 회전하고 외부 표면을 타겟에 노출시킬 수 있기 위해서는, 20 내지 150 Ns 범위 내의 임펄스가 필요하다.
측면 방향으로 더 적은 회전을 위해서는, 더 작은 임펄스가 필요하다.
다른 실시예에서, 발사체의 노즈는 타겟에 노출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장점 및 효과는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나타날 것이다.
본 발명은 이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로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발사체의 종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발사체의 최종 단계 동안 발사체의 기울어짐의 개략적인 순서를 도시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사체(B)가 종래 기술(A)과 비교하여 다양한 타겟 상황에 어떻게 관련되는지에 대한 상이한 예들을 도시한다.
본 발명이 상세하게 개시되고 설명되기 전에, 본 발명은 여기에 설명된 특정 재료 또는 구성으로 제한되지 않고, 오히려 구성 및 재료가 변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적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며, 제한하도록 의도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설명에서, 발사체라는 용어는 무기로부터 발사되거나 또는 무기와 함께 발포되는 오브젝트와 관련된다. 포탄은 폭발성 장약 또는 다른 유형의 활성 부분을 포함하는 발사체이다.
본 설명에서, 발사체라는 용어는 위에서 타겟을 타격하는 것을 목표로 발사체를 예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각도는 비스듬할 수 있다.
타겟은 반-경질인 것으로 설명되지만, 그러나 본 방법은 다른 타겟에도 또한 적용 가능하다.
중-구경 탄약에 대한 타겟은 탱크 정면을 제외한 모든 유형의 장갑(armored) 타겟, 즉 약 10 내지 200 ㎜ 장갑 강철에 상응하는 장갑 보호 기능을 갖춘 타겟으로 설명된다. 이러한 발사체는 축소 구경(subcaliber) 및 핀 안정식이고, 1,200 내지 1,600 ㎧의 속도로 발사되는 중금속 또는 열화 우라늄으로 제조되는 관통탄(penetrator)을 갖는다. 이러한 유형의 발사체에 대한 표기는 APFSDS(방어물 관통 핀 안정 분리 철갑탄)("Armor Piercing, Fin Stabilised, Discarding Sabot")이다. 대-구경 발사체는 주로 탱크 정면에 대한 전투를 위해 고안되었다.
도 1은 발사체의 개략적인 종단면도를 도시한다. 발사체(100)는 관련된 개시 장치(2)를 갖는 활성 장약(1), 및 관련된 개시 장치(6)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임펄스 모터(3)를 포함한다. 발사체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임펄스 모터(3)는 발사체의 전방에 인접한 발사체의 그 측면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면 작용 임펄스 모터(3)는 예를 들어 분말 장약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발사체는 또한 적어도 하나의 자이로 장치(5)와 함께, 높이 센서(4)를 포함한다.
발사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임펄스 모터(3)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제1 개시 장치(6)를 포함한다.
임펄스 모터(3) 및 제1 개시 장치(6)는 높이 센서(4)를 통해 개시될 수 있다.
임펄스 모터(3)는 일 실시예에서 GPS 유닛을 통해 개시될 수 있다.
임펄스 모터(3)는 불꽃 작용식일 수 있다.
제1 개시 장치(6)는 일 실시예에서 GPS 유닛을 통해 원격 제어된다.
제2 개시 장치(6)는 일 실시예에서 GPS 유닛을 통해 원격 제어된다.
활성 장약(1)은 발사체가 경로 접선에 대해 90 도 회전되면 가능한 최고의 파편 방출 각도를 달성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 비-원형 단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활성 장약(1)은 발사체-형성 방향성 폭발 액션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활성 장약(1)은 또한 외부 표면 후방에 배치된 2개의 더 작은, 반대로 지향되는 활성 장약을 포함할 수 있다.
활성 장약(1)은 또한 중금속 또는 강철로 제조된 볼, 큐브, 육각형 또는 디스크로 사전 파편화될 수 있다.
원하는 타겟, 예를 들어 지면 위에서 발사체(100)를 기울어지게 하기 위한 방법이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방법은 자이로(5)의 제1 각도 신호가 타겟에 대해 미리 결정된 거리에서 0°로 설정되고, 제2 각도 신호가 타겟 위에서 원하는 각도 변화로 설정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타겟에 대한 거리는 예컨대 높이 센서(4)를 사용하여 측정되고, 정의된 높이에서 임펄스 모터(3)가 작동 시작되고, 포탄은 그의 경로에 대해 회전된다. 활성 부분(1)은 자이로(5)가 제2 미리 결정된 각도를 시그널링할 때 개시되며, 그에 따라 발사체의 외부 표면이 타겟에 노출된다.
제1 액션 모드에서, 발사체는, 바람직하게는 발사체의 노즈에 인접한 발사체의 그 측면 상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측면 작용 임펄스 모터(들)의 도움으로, 예를 들어 그 궤도에 대해 약 90°로 기울어진다. 현재 발사체의 가장 간단한 실시예는 타겟을 식별/분석하기 위한 장비를 갖지 않는데, 이것은 증가된 비용과 관련되기 때문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타겟 오브젝트의 식별을 위해 및/또는 거리 측정을 위해 최종 단계 동안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포탄과 타겟 사이의 거리 측정을 위해 높이 센서가 사용된다. 타겟으로부터 적절한 거리에서, 하나 이상의 측면 작용 임펄스 모터(들)가 개시된다. 궤도에 대해 약 90 도에 걸친 발사체의 회전을 위한 충분한 힘을 생성하는 임펄스 모터, 바람직하게는 고체 추진제 모터가 선택된다. 120 ㎜ 박격포 포탄의 경우, 임펄스가 20 내지 150 Ns 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
고체 추진제의 예는 니트로 셀룰로오스 기반(1, 2, 삼중 또는 다중 기반) 또는 복합 분말이다. 실행된 기울어짐 후에, 발사체 내의 활성 장약이 활성화 장치 및 개시 장치를 통해 개시된다. 개시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불꽃 작용식이고, 공지된 유형이며, 계속되는 상세한 설명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차가운 또는 따뜻한 임펄스 모터로 인한, 발사체/포탄의 회전 각도의 불확실성을 보상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자이로 장치가 사용된다. 자이로의 기능은 임펄스 모터가 작동 시작된 후 포탄의 각도 변화를 측정하는 것이다. 임펄스 모터가 작동 시작되기 전에, 자이로의 각도 신호가 0 도로 설정된다. 임펄스 모터가 작동 시작되고, 자이로가 90 도를 통지하면, 활성 장약의 개시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각도는 다양하며, 60 내지 120 도의 각도가 달성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70 내지 110 또는 80 내지 100 도의 각도가 더 유리하고, 약 90 도의 각도가 이상적인 시나리오이다. 포탄의 볼 및 파편이 특정 분산을 갖는 경우, 각도가 90 도에서 약간 벗어나도 효과가 결여되지는 않는다.
본체에 대해 고정된 어떤 축에 대해 발사체의 회전이 발생하는지가 알려지기 때문에, 상기 발사체에 대한 단일 축 자이로가 충분하다. 발사체의 기본 설계에서는, 그러나, 임펄스 모터의 노즐이 기울어짐에 있어서 어떤 방향으로 향하고 있는지는 알 수 없지만, 그러나 90 도 기동이 이루어진다면 이것은 중요하지 않다.
발사체는 임펄스 모터에 속하는 노즐이 안착되는 것과 동일한 측면을 타겟으로 향하게 한다. 이는 케이싱의 일측, 즉 노즐이 안착된 것과 동일한 측에 볼을 배치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방법의 단점은 제2 액션 모드로 파견대(detachment)와 싸우기 위한 의도라면, 포탄을 전혀 기울이지 않고, 그 대신에 발사체의 사이딩(scything) 액션을 활성화하는 것이 요구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일 실시예에서, 볼 분산을 최적화하기 위해 (노출된) 일측에 곡선형 볼 컵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파견대에 대한 전투 시에, 자연적 파편화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는데, 즉 포탄의 일측에만 볼이 존재한다는 것은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추가의 액션 설계(이중 목적)에서는, 일측에 작은 볼이 배치되고, 타측에 큰 볼이 배치된다.
요약하면, 본 발명은, 볼이 상향으로 던져지지 않기 때문에, 타겟에 대한 충격이 증가하고 위험 영역이 감소된다.
발사체 또는 포탄을 기울이는 제안된 원리는 공중 타겟 또는 육상 및 해상 표면 타겟에 대해 사용하기 위해 비행 폭탄 또는 핀 안정화 포탄에도 또한 적용 가능하다. 이를 위해, 발사체의 정확한 측면 상에서 임펄스를 개시하여 이를 타겟과 관련하여 정확한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기 위해 일반적으로 복수의 임펄스 모터가 필요하다. 다축 자이로는 발사체의 위치를 추적하므로, 선택 가능한 각도를 조정하기 위해 정확한 측면 상에서 임펄스가 개시된다.
예를 들어, 핀 안정화된 포병 포탄이 안내된다. 이들은 제어 표면 및 핀을 가지고 있으며, GPS 기술로 안내되어, 이들을 매우 정확하게 한다. 포탄은 일반적으로 곡사포로 발포되어, 최대 약 15,000 미터까지 매우 높이 날아가고, 이 높이에서 날개는 이 때 전개되고 포탄은 타겟을 향해 글라이딩하기 시작한다. 마지막 비트에서, 포탄은 거의 수직으로 떨어지고, 이 경우 하향으로 지향되는 파편에 취약한 타겟에 대한 충격을 최적화하기 위해 포탄이 대신 회전되는 박격포 포탄에 대해 설명된 버전과 달리, 사이딩 파편 효과에 취약한 특정 타겟 유형에 대한 충격이 최적화된다.
안내된 포탄의 기동성이 경로의 단부에서 수직 폭발 위치를 달성하기에 충분하지 않은 그러한 경우, 포탄이 똑바르게 되거나 또는 타겟에 대해 임의의 선택된 각도로 설정될 수 있는 능력을 갖는다면 효과가 개선될 수 있다. 포탄을 수직으로 설정하기 위해서는 더 작은 각도 조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각도 조정은 박격포 포탄보다 작을 것이다.
정밀도는 높지만 그러나 기동성이 좋지 않은 포탄은, 임펄스 모터를 사용하여 원하는 폭발 위치를 달성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해 상당히 더 나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B)이, 파편이 타겟을 향해 하향으로 지향되도록[포탄(B)에서 화살표 방향 참조], 최종 단계 동안 포탄을 기울어지게 함으로써 측면 보호를 갖는 타겟에 대한 전투에서 종래 기술의 발사체(A)에 대한 불충분한 파편 효과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예시하는 상이한 가능한 방법을 도시한다.
도 3a는 예를 들어 파견대가 측벽에 의해 보호되는 상황을 도시하고 있다. 도 3b는 유사한 상황을 도시하고 있지만, 그러나 타겟은 예를 들어 벙커와 같은 대야형 구역(basin)에 위치된다. 도 3c는 기울어진 포탄(B)이 그 액션을 위로부터 차량을 향해 효과적으로 지향시키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지붕(121)은 종종 차량의 측면보다 더 얇은 재료로 구성되므로, 따라서 적합한 타겟이다. 모든 도면에서는, B가 수직 방향으로 타겟에 충격을 주는 반면, A는 수평 방향으로 타겟에 충격을 주는 다양한 상황들에서 포탄(A)과 포탄(B) 사이에 파편 패턴이 어떻게 다른지를 보여준다. 파편 패턴은 각 포탄으로부터의 화살표로 도시된다.
예를 들어 샌드백, 벽, 벙커(도 3a 내지 도 3c 참조)에 의해 측면에서 보호되는 차량 지붕 및 피켓(pickets)과 같은 민감한 타겟에 대한 파편 충격을 증가시키기 위해 타겟 위에서 발사체를 기울어지게 하는 방법은 또한 다른 타겟들에 대해 사용되는 다른 발사체, 비행 폭탄 또는 핀 안정화 포탄에도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1)

  1. 전방 노즈(nose) 부분(N)과, 상기 노즈 부분(N)과 핀(fin) 부분(9)을 포함하는 후방 부분 사이에 배치되는 활성 부분(1)을 포함하는 케이싱 부분(M)을 포함하는 발사체(100)로서, 상기 노즈 부분(N)은 센서(4), 상기 발사체(100)를 기울어지게 하기 위해 상기 센서(4)에 의해 개시되는 제1 개시 장치(6) 및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임펄스 모터(3), 노즐(7), 제어 컴퓨터(8), 및 상기 케이싱(M) 내에 배치되는 상기 활성 부분(1)에 인접하여 이를 개시하기 위한 제2 개시 장치(2)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발사체(100)에 있어서,
    상기 발사체(100)는 타겟 위에서 상기 제2 개시 장치(2) 및 상기 활성 부분(1)을 개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자이로(gyro)(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사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임펄스 모터(3)는 분말 장약(powder charge)에 의해 구동되는 것인 발사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4)는 높이 센서인 것인 발사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임펄스 모터(3)는 불꽃 작용식인 것인 발사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장약(1)은 볼을 포함하는 것인 발사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장약(1)은 상기 발사체의 상기 케이싱 부분(M)의 일측에 배치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즐(7)이 상기 노즈 부분(N) 내에서 배치되는 것과 동일한 상기 발사체의 측에 배치되는 것인 발사체.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장약(1)은 발사체-형성 방향성 폭발 액션으로서 구성되는 것인 발사체.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장약(1)은 중금속 또는 강철로 제조된 볼, 큐브(cubes), 육각형 또는 디스크로 사전 파편화되는 것인 발사체.
  9. 타겟 위에서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발사체(100)의 어택 각도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 상기 타겟에 대한 미리 결정된 거리에서 자이로(5)의 제1 각도 신호를 0°로 설정하고, 상기 타겟 위에서 제2 각도 신호를 원하는 각도 변화로 설정하는 단계,
    - 높이 센서(4)로 상기 타겟에 대한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 선택된 임펄스 모터(3)를 정해진 높이에서 작동 시작하는 단계 - 상기 발사체(100)는 그 경로에 대해 수평으로 회전함 - , 및
    - 상기 자이로(5)가 미리 결정된 제2 각도를 시그널링할 때 활성 부분(1)을 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각도에 대한 상기 제2 각도는 선택 가능한 것인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부분(1)은, 상기 자이로(5)가 약 90°의 상기 제1 각도에 대한 제2 각도를 시그널링할 때 개시되는 것인 방법.
KR1020197034823A 2017-04-28 2018-04-27 선택 가능한 어택 각도를 갖는 발사체 KR1025186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1700079-5 2017-04-28
SE1700079A SE541615C2 (sv) 2017-04-28 2017-04-28 Projektil med valbar anfallsvinkel
PCT/SE2018/050440 WO2018199843A1 (en) 2017-04-28 2018-04-27 Projectile with selectable angle of atta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3606A true KR20200023606A (ko) 2020-03-05
KR102518677B1 KR102518677B1 (ko) 2023-04-05

Family

ID=62116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4823A KR102518677B1 (ko) 2017-04-28 2018-04-27 선택 가능한 어택 각도를 갖는 발사체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11231259B2 (ko)
EP (1) EP3615884B1 (ko)
JP (1) JP7128205B2 (ko)
KR (1) KR102518677B1 (ko)
CA (1) CA3059887A1 (ko)
IL (1) IL269989B (ko)
PL (1) PL3615884T3 (ko)
RS (1) RS61801B1 (ko)
SE (1) SE541615C2 (ko)
SG (1) SG11201909460XA (ko)
WO (1) WO2018199843A1 (ko)
ZA (1) ZA20190685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83971B (zh) * 2021-09-23 2023-03-24 西安近代化学研究所 根据运动速度由双滑块四杆机构驱动尾翼迎风面积自动调节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30859A1 (de) * 1977-08-23 1979-03-08 Serat Boden-boden panzerabwehrwaffe
US5123612A (en) * 1990-01-26 1992-06-23 Thomson-Brandt Armements Projectile and process for its use
DE19509346A1 (de) * 1995-03-15 1996-09-19 Rheinmetall Ind Gmbh Leitwerkstabilisierter Flugkörper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49334A (en) * 1966-04-04 1973-07-31 Us Army Attitude compensating missile system
US3645475A (en) * 1969-12-01 1972-02-29 Us Army Fluid amplifier with direct-coupled gyrocontrol
FR2425049A1 (fr) 1978-03-09 1979-11-30 Serat Perfectionnements apportes aux armes sol-sol agissant en survolant l'objectif
FR2517818A1 (fr) * 1981-12-09 1983-06-10 Thomson Brandt Methode de guidage terminal et missile guide operant selon cette methode
US4533094A (en) * 1982-10-18 1985-08-06 Raytheon Company Mortar system with improved round
FR2622966B1 (fr) 1987-11-06 1993-05-07 Thomson Brandt Armements Dispositif de stabilisation gyroscopique pour un organe de manoeuvre de projectile
FR2635180B1 (fr) * 1988-08-05 1992-11-06 Aris Spa Ensemble de commande, de controle et de propulsion, en particulier pour des objets balistiques
SE513646C2 (sv) * 1997-12-08 2000-10-16 Bofors Weapon Sys Ab Sätt och artelleriprojektil r bankorrigering av aerodynamiska projektiler försedda med impulsmotorer
DE102007059397A1 (de) 2007-12-10 2009-06-18 Diehl Bgt Defence Gmbh & Co. Kg Taumelzünder
SE533045C2 (sv) 2008-09-09 2010-06-15 Bae Systems Bofors Ab Verkansdel med valbar initiering
JP5256078B2 (ja) * 2009-03-03 2013-08-07 株式会社Ihiエアロスペース 指向性りゅう弾
US8563910B2 (en) * 2009-06-05 2013-10-22 The Charles Stark Draper Laborator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argeting a projectile payload
US8975565B2 (en) 2012-07-17 2015-03-10 Raytheon Company Integrated propulsion and attitude control system from a common pressure vessel for an interceptor
JP6183850B2 (ja) * 2013-12-26 2017-08-23 株式会社Ihiエアロスペース トップアタック装置とその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30859A1 (de) * 1977-08-23 1979-03-08 Serat Boden-boden panzerabwehrwaffe
US5123612A (en) * 1990-01-26 1992-06-23 Thomson-Brandt Armements Projectile and process for its use
DE19509346A1 (de) * 1995-03-15 1996-09-19 Rheinmetall Ind Gmbh Leitwerkstabilisierter Flugkörp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ZA201906850B (en) 2020-11-25
CA3059887A1 (en) 2018-11-01
SG11201909460XA (en) 2019-11-28
RS61801B1 (sr) 2021-06-30
US11231259B2 (en) 2022-01-25
SE541615C2 (sv) 2019-11-12
PL3615884T3 (pl) 2021-07-26
EP3615884B1 (en) 2021-03-10
SE1700079A1 (sv) 2018-10-29
US20200191537A1 (en) 2020-06-18
JP2020517904A (ja) 2020-06-18
WO2018199843A1 (en) 2018-11-01
JP7128205B2 (ja) 2022-08-30
EP3615884A1 (en) 2020-03-04
KR102518677B1 (ko) 2023-04-05
IL269989B (en) 2021-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05929B1 (en) System for protection against missiles
US856391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argeting a projectile payload
US4399962A (en) Wobble nose control for projectiles
RU2527610C2 (ru) Двухступенчатая противотанковая управляемая ракета
US8528480B2 (en) Warhead
US6012393A (en) Asymmetric penetration warhead
US4657208A (en) Rotating warhead
JPH05312497A (ja) 特別に形成された砲弾の所期の分解による成功確率の向上方法
US7044045B2 (en) Method for programming the shattering of projectiles and tube weapon with programming system
KR102518677B1 (ko) 선택 가능한 어택 각도를 갖는 발사체
AU749086B2 (en) Projectile firing apparatus
EP3052889B1 (en) Munition
GB2161907A (en) Ammunition unit
RU2336486C2 (ru) Комплекс самозащиты летательных аппаратов от зенитных управляемых ракет
RU2127861C1 (ru) Боеприпас для поражения снарядов вблизи защищаемого объекта
EP0760458B1 (en) Asymmetric penetration warhead
RU2515950C1 (ru) Танковый кассетный многопрограммный снаряд "удомля" с поперечным разбросом субснарядов
US6318273B1 (en) Shaped-charge projectile and weapon system for launching such a projectile
RU2237230C1 (ru) Осколочный снаряд направленного действия "стрибог"
RU2257531C1 (ru) Система самообороны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рановит"
RU2740417C2 (ru) Система активной защиты бронеобъектов
RU2309365C1 (ru) Автономный модуль барьерной пво
RU2656979C1 (ru) Граната для гранатомёта бокового поражения
AU774597B2 (en) Projectile firing weapons pod
AU700862B2 (en) Asymmetric penetration warhea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