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3237A - 티아졸로 피페라진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가면역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티아졸로 피페라진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가면역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3237A
KR20200023237A KR1020190103810A KR20190103810A KR20200023237A KR 20200023237 A KR20200023237 A KR 20200023237A KR 1020190103810 A KR1020190103810 A KR 1020190103810A KR 20190103810 A KR20190103810 A KR 20190103810A KR 20200023237 A KR20200023237 A KR 202000232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yridin
acetyl
tetrahydrothiazolo
propanoic acid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3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4677B1 (ko
Inventor
신동윤
최지웅
지준구
Original Assignee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00023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3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4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46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5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7D463/00, C07D477/00 or C07D499/00 - C07D507/00
    • C07D5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7D463/00, C07D477/00 or C07D499/00 - C07D50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513/04Ortho-condens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35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3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the heterocyclic ring system containing a five-membered ring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indolizine, beta-carbo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Immu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Condensed Heterocyclic R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티아졸로 피페라진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가면역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LPA1(Lysophosphatidic acid 1) 수용체 활성화 저해 효과를 가질 수 있어, LPA1 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학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조성물로 자가면역질환 뿐만 아니라, 발생기전이 유사한 타 면역관련질환도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Description

티아졸로 피페라진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가면역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THIAZOLOPIPERAZINE DERIVATIVES AN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UTOIMMUNE DISEASES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티아졸로 피페라진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가면역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자가면역질환은 생체 자체의 물질을 항원으로 오인하여 비정상적인 면역 반응을 유발시키는 질환으로, 건선, 쇼그렌 증후군, 염증성 장질환, 류마티스성 관절염, 다발성경화증, 시신경척수염, 길렝바레 증후군, 그레이브스병, 베체트병 등이 있다.
자가면역질환의 주 원인은 림프구가 조직으로 이동하여 자가면역체계에 이상이 촉발되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으나, 각 질환에 대한 명확한 발병기전은 아직 알려져 있지 않다.
최근, 효율적 면역억제에 초점을 두고, 세포수준(림프구 및 질환 병변 조직에서 면역반응을 담당하는 세포종들의 활성화 억제) 및 분자수준에서의 면역억제를 핵심으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개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리소포스파티딘산(Lysophosphatidic acid; LPA)과 스핑고신 1-인산(sphingosine 1-phosphate; S1P)으로 대변되는 리소인지질은 오랫동안 세포막 성분의 인지질 대사체로 여겨져 왔으나, 현재는 G 단백질 연결 수용체(G protein-coupled receptor; GPCR)로 분류되는 리소인지질 수용체 활성화를 통해 다양한 생체 기능을 조절하는 중요한 세포외 신호물질로 보고되었다.
그 중, LPA1은 리소인지질 수용체 중 최초로 규명된 수용체로(1996년 규명) 신경계 발달을 조절하는 핵심인자이며, 최근 연구들을 통해 다양한 질환에서의 중요성이 규명되고 있으며, LPA1의 T 세포 기능 조절을 통한 면역반응 조절이 주목받고 있다. 여러 연구 자료를 통해 밝혀진 LPA1의 신호 전달 매커니즘, 생체 내 조직과의 유기적 시스템 등이 쇼그렌증후군, 뇌졸중, 건선, 염증성 장질환, 당뇨병성 신증 및 섬유증, 전신경화증과 같은 자가면역질환 뿐만 아니라, 신경 정신계 장애, 신경성 통증, 불임, 심혈관 질환, 및 암을 포함하는 다양한 질환의 치료를 위한 중요 데이터가 되고 있다.(참고 문헌 Park et al, “Inhibition of lysophosphatidic acid receptor ameliorates Sjogren's syndrome in NOD mice” Oncotarget. 2017, 8(16), 27240-27251, Yung et al, “LPA receptor signaling: pharmacology, physiology, and pathophysiology“ J Lipid Res. 2014, 55, 1192-1214, Choi et al. "LPA receptors: subtypes and biological actions” Annu Rev Pharmacol Toxicol. 2010;50:157-86. Debendra Pattanaik et al, "A Role for Lysophosphatidic Acid and Sphingosine 1-Phosphate in the Pathogenesis of Systemic Sclerosis" Discov Med 10(51):161-167, August 2010.)
현재 스테로이드와 사이클로스포린(Cyclosporine), 라파마이신(Rapamycin), 메토트렉세이트(Methotrexate), 사이클로포스파미드(Cyclophosphamide), IV 면역글로불린(IV Immunoglobulin), 아자티오프린(Axathioprine), 인플릭시맙(Infliximab) 등의 다양한 면역억제제의 복합요법으로 치료하고 있지만, 대부분 지속적인 염증과 잦은 재발이 발생하고 있고 치료에 따른 전신적인 부작용도 많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희귀성 자가면역질환은 환자 수가 적은 반면, 적용하는 치료제의 비용이 매우 고가여서 환자들의 경제적인 부담이 매우 크고, 장기간의 치료를 필요로 하기에 비용적 부담이 더 커지고 있다. 국내에서 희귀성 자가면역질환의 환자 수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지만, 뚜렷한 치료제가 없고 완치율이 낮아 여전히 경제적·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20431호(2011.02.28 등록)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티아졸로 피페라진 유도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티아졸로 피페라진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가면역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티아졸로 피페라진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가면역질환 개선 또는 예방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각각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고, 수소, (C1~C4)알킬, (C1~C4)알콕시, 할로겐, 니트로, 또는 하기 화학식 2의 치환기에서 선택되고,
[화학식 2]
Figure pat00002
이 때, R3 및 R4는 각각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고, 수소, (C1~C4)알킬, (C1~C4)알콕시, 트리플로로메틸, 페녹시, 할로겐 또는 니트로에서 선택되거나, R3와 R4가 연결되어 5환의 헤테로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LPA1 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은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LPA1 (Lysophosphatidic acid 1) 수용체 활성화 저해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LPA1 관련 질환 개선 또는 예방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LPA1 (Lysophosphatidic acid 1) 수용체 활성화 저해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티아졸로 피페라진 유도체는 LPA1 수용체 활성화 저해 효과를 가지므로, 뇌졸중, 건선, 쇼그렌증후군, 염증성 장질환, 당뇨병성 신증 및 섬유증 등의 LPA1 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LPA1 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통해 자가면역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가면역질환 뿐만 아니라, 발생기전이 유사한 타 면역관련질환 치료에도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칼슘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쇼그렌 증후군(sjogren’s disease), 건선(psoriasis), 다발성경화증 등의 자가면역질환 및 당뇨병성 신증(diabetic nephropathy), 뇌졸중(cerebral ischemia) 등의 비정상적인 면역반응 질환의 동물 모델(in vivo 질환 모델)을 활용한 선행 연구를 통해 LPA1이 자가면역질환 치료를 위한 신규 표적 분자로서 유용함을 검증하고, LPA1 길항작용이 있는 화합물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3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각각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고, 수소, (C1~C4)알킬, (C1~C4)알콕시, 할로겐, 니트로, 또는 하기 화학식 2의 치환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4
이 때, R3 및 R4는 각각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고, 수소, (C1~C4)알킬, (C1~C4)알콕시, 트리플로로메틸, 페녹시, 할로겐 또는 니트로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또는 R3와 R4가 연결되어 5환의 헤테로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화합물은 R1 및 R2는 각각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고, 수소, (C1~C2)알콕시, 할로겐, 또는 니트로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화합물은 3-(5-(2-페닐아세틸)-4,5,6,7-테트라하이드로티아졸로[5,4-c]피리딘-2-일)프로판산, 3-(5-(2-(2-클로로페닐)아세틸)-4,5,6,7-테트라하이드로티아졸로[5,4-c]피리딘-2-일)프로판산, 3-(5-(2-(3-클로로페닐)아세틸)-4,5,6,7-테트라하이드로티아졸로[5,4-c]피리딘-2-일)프로판산, 3-(5-(2-(4-클로로페닐)아세틸)-4,5,6,7-테트라하이드로티아졸로[5,4-c]피리딘-2-일)프로판산, 3-(5-(2-(3,4-디클로로페닐)아세틸)-4,5,6,7-테트라하이드로티아졸로[5,4-c]피리딘-2-일)프로판산, 3-(5-(2-(3-플로로페닐)아세틸)-4,5,6,7-테트라하이드로티아졸로[5,4-c]피리딘-2-일)프로판산, 3-(5-(2-(4-브로모페닐)아세틸-4,5,6,7-테트라하이드로티아졸로[5,4-c]피리딘-2-일)프로판산, 3-(5-(2-(4-메톡시페닐)아세틸)-4,5,6,7-테트라하이드로티아졸로[5,4-c]피리딘-2-일)프로판산, 3-(5-(2-(3-메톡시페닐)아세틸)-4,5,6,7-테트라하이드로티아졸로[5,4-c]피리딘-2-일)프로판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일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pat00005
상기 화학식 3에서, R1 및 R2는 각각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고, 수소, (C1~C4)알킬, (C1~C4)알콕시, 트리플로로메틸, 페녹시, 할로겐 또는 니트로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R1과 R2가 연결되어 5환의 헤테로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R1 및 R2는 각각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고, 수소, (C1~C4)알킬, (C1~C2)알콕시, 트리플로로메틸, 페녹시, 플로로, 또는 클로로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R1과 R2가 연결되어 1,3-다이옥솔 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화합물은 3-(5-(2-(4'-메톡시-[1,1'-바이페닐]-4-일)아세틸)-4,5,6,7-테트라하이드로티아졸로[5,4-c]피리딘-2-일)프로판산, 3-(5-(2-(3'-메톡시-[1,1'-바이페닐]-4-일)아세틸)-4,5,6,7-테트라하이드로티아졸로[5,4-c]피리딘-2-일)프로판산, 3-(5-(2-(4'-페녹시-[1,1'-바이페닐]-4-일)아세틸)-4,5,6,7-테트라하이드로티아졸로[5,4-c]피리딘-2-일)프로판산, 3-(5-(2-(3'-플로로-[1,1'-바이페닐]-4-일)아세틸)-4,5,6,7-테트라하이드로티아졸로[5,4-c]피리딘-2-일)프로판산, 3-(5-(2-(4'-플로로-[1,1'-바이페닐]-4-일)아세틸)-4,5,6,7-테트라하이드로티아졸로[5,4-c]피리딘-2-일)프로판산, 3-(5-(2-(4'-(터트-부틸)-[1,1'-바이페닐]-4-일)아세틸)-4,5,6,7-테트라하이드로티아졸로[5,4-c]피리딘-2-일)프로판산, 3-(5-(2-(4'-(트리플로로메틸)-[1,1'-바이페닐]-4-일)아세틸)-4,5,6,7-테트라하이드로티아졸로[5,4-c]피리딘-2-일)프로판산, 3-(5-(2-(4'-메틸-[1,1'-바이페닐]-4-일)아세틸)-4,5,6,7-테트라하이드로티아졸로[5,4-c]피리딘-2-일)프로판산, 3-(5-(2-(4-(벤조[d][1,3]다이옥솔-5-일)페닐)아세틸)-4,5,6,7-테트라하이드로티아졸로[5,4-c]피리딘-2-일)프로판산, 3-(5-(2-(4'-클로로-[1,1'-바이페닐]-4-일)아세틸)-4,5,6,7-테트라하이드로티아졸로[5,4-c]피리딘-2-일)프로판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중 어느 하나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LPA1(Lysophosphatidic acid 1) 수용체 활성화 저해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PA1 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LPA1 관련 질환은 뇌졸중, 건선, 쇼그렌증후군, 염증성 장질환, 당뇨병성 신증 및 섬유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조성물은 상기 제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이란, 상기 약학조성물에 노출되는 세포나 인간에게 독성이 없는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또는 광물유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조성물을 상기 형태로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약학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이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하며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을 정도의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환자의 건강상태, 궤양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방법,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배합 또는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조성물의 유효성분인 화합물의 사용량은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 질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0.001 내지 100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mg/kg을 일일 1회 내지 수회 투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투여량은 투여경로, 질병의 정도, 성별, 체중, 나이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약학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기관지내 흡입,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LPA1(Lysophosphatidic acid 1) 수용체 활성화 저해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PA1 관련 질환 개선 또는 예방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LPA1 관련 질환은 뇌졸중, 건선, 쇼그렌증후군, 염증성 장질환, 당뇨병성 신증 및 섬유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기능식품은 분말, 과립, 정제, 캡슐, 시럽 또는 음료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유효성분인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이외에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첨가물과 함께 사용되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 예를 들어, 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기능식품에 함유된 상기 화합물의 유효용량은 상기 약학조성물의 유효용량에 준해서 사용할 수 있으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유효성분은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기능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고,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합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기성 염 또는 산성염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염기성 염은 유기염기염, 무기염기염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나트륨염, 칼륨염, 칼슘염, 리튬염, 마그네슘염, 세슘염, 아미늄(aminium)염, 암모늄염, 트리에칠아미늄염 및 피리디늄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산성 염은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부가염이 유용하다. 유리산으로는 무기산과 유기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무기산으로는 염산, 브롬산, 황산, 아황산, 인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유기산으로는 구연산, 초산, 말레산, 퓨마르산, 글루코산, 메탄설폰산, 벤젠설폰산, 캠퍼설폰산, 옥살산, 말론산, 글루타릭산, 아세트산, 글리콘산, 석신산, 타타르산, 4-톨루엔설폰산, 갈락투론산, 엠본산, 글루탐산, 시트르산, 아스파르탄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무기산으로는 염산, 유기산으로는 메탄설폰산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합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뿐만 아니라,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모든 염, 수화물 및 용매화물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가염은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화학식 1 내지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수혼화성 유기용매, 예를 들면 아세톤, 메탄올, 에탄올, 또는 아세토니트릴 등에 녹이고 과량의 유기염기를 가하거나 무기염기의 염기 수용액을 가한 후 침전시키거나 결정화시켜서 제조할 수 있다. 또는 이 혼합물에서 용매나 과량의 염기를 증발시킨 후 건조시켜서 부가염을 얻거나 또는 석출된 염을 흡인 여과시켜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합성방법>
TCI, Sigma Aldrich, Alfa Aesar에서 합성에 필요한 모든 시약을 순도 97% 이상으로 구입하였다. 합성을 수행하기 전, 아세톤으로 반응에 사용될 유리 기구를 충분히 세척한 후 60℃ 오븐에서 건조하였고 질소 기류하에서 합성을 진행하였다.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테트라하이드로퓨란(Tetrahydrofuran), 메탄올(Methanol), 아세톤(Acetone), 톨루엔(toluene), 디에틸에테르(Diethyl ether),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헥산(Hexane)은 대정화금에서 구입하였고, 무수 용매의 경우 Sigma Aldrich에서 구입하였다. TLC에서 UV 램프와 발색 시약인 AA, CAM, 과망간산칼륨(KMnO4), 닌하이드린(Ninhydrin)을 사용하여 반응의 진행을 확인하였다. H NMR, C NMR Spectra는 BRUKER Ascend 600 spectrometer와 Varian VnmrS-400을 사용하였고, 분석을 위해서 CDCl3와 DMSO-d6를 용매로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화학적 이동(Chemical shift)값은 ppm 단위로 나타내었고, 결합 상수(Coupling constants)(J)는 Hz 단위로 나타내었다.
<실시예 1>
모핵 디하이드로티아졸로피라딘(Dihydrothiazolopyridine)의 합성
[반응식 1]
Figure pat00006
상기 반응식 1은 본 발명에 따른 핵심 모핵인 디하이드로티아졸로피리딘을 합성하는 과정으로, 상기 반응식 1과 같은 방법으로, 메틸 4-아미노-4-옥소부타노에이트(methyl 4-amino-4-oxobutanoate)를 출발 물질로 하여 하기 방법에 따라 디하이드로티아졸로피리딘의 합성이 수행되었다.
<실시예 1-1> 메틸 4-아미노-4-티옥소부타노에이트[Methyl 4-amino-4-thioxobutanoate]
메틸-4-아미노-4-옥소부타노에이트(5g, 0.038mol)와 라웨슨 시약(lawesson's reagent, 6.15g, 0.015mol)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Tetrahydrofuran, 200ml)에 첨가하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용매를 제거하고, 칼럼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분리 정제하여 화합물 1(4.4g, 80%)을 얻었다.
화합물 1 : 1H NMR (600 MHz, Chloroform-d) δ 7.52 (d, J = 58.7 Hz, 2H), 3.71 (s, 3H), 2.93 - 2.90 (m, 2H), 2.88 (dd, J = 5.6, 1.2 Hz, 2H); 13C NMR (151 MHz, Chloroform-d) δ 208.8, 173.8, 52.1, 39.1, 32.7.
<실시예 1-2> 터트-부틸 2-(3-메톡시-3-옥소프로필)-6,7-디하이드로티아졸로[5,4-c]피리딘-5(4H)-카르복시레이트 [Tert-butyl 2-(3-methoxy-3-oxopropyl)-6,7-dihydrothiazolo[5,4-c]pyridine-5(4H)-carboxylate]
화합물 1(2.28g, 0.015mol)과 터트-부틸 3-브로모-4-옥소피페리딘-1-카르복시레이트(Tert-butyl 3-bromo-4-oxopiperidine-1-carboxylate, 4.3g, 0.015mol)을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38ml)에 첨가하여 1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실온에서 화합물을 식힌 후,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를 통해 추출하고 마그네슘 설페이트(Magnesium Sulfate)를 통해 물을 제거하였다. 여과액을 감압 농축한 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분리 정제하여 화합물 2(2.9g, 60%)를 얻었다.
화합물 2 : 1H NMR (600 MHz, Chloroform-d) δ 4.58 (s, 2H), 3.75 - 3.71 (m, 2H), 3.71 (s, 3H), 3.27 (s, 2H), 2.82 (s, 4H), 1.48 (s, 9H).
<실시예 1-3> 핵심 중간체 화합물 3의 합성
화합물 2(1.1g, 3.37mmol)를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19ml)에 첨가한 후, 트리플루오르아세틱에시드(Trifluoroacetic acid; TFA, 6.3ml)를 0℃에서 천천히 적가하였다. 그 후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감압 농축한 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분리 정제하여 화합물 3(1g, 99%)을 얻었다.
화합물 3 : 1H NMR (600 MHz, Chloroform-d) δ 4.47 (s, 2H), 3.71 (d, J = 2.7 Hz, 3H), 3.62 (t, J = 5.9 Hz, 2H), 3.39 (t, J = 7.0 Hz, 2H), 3.21 (d, J = 6.1 Hz, 2H), 2.85 (t, J = 7.1 Hz, 2H).
<실시예 1-4> 아미드 커플링 반응(4a~4i)
클로로포름(Chloroform, 2ml)에 아민(Amine, 146mg, 0.56mmol), 산 (113.6mg, 0.67mmol), 트리에틸아민(Triethylamine;TEA, 0.14ml, 1.11mmol)을 첨가하여 혼합물을 생성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에 4-다이메틸아미노피리딘(4-dimethylaminopyridine, 6.8mg, 0.055mmol), N,N'-다이싸이클로헥실카르보다이아마이드(N,N'-dicyclohexylcarbodiamide, 114.5mg, 0.55mmol)를 첨가하고 상온에서 1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디클로로메탄을 통해 생성물을 추출하였다. 추출한 생성물에 마그네슘 설페이트를 첨가하여 물을 제거한 뒤,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고 분리 없이 다음 반응을 진행하였다.
<실시예 1-5> 가수분해(5a~5i)
테트라히드로푸란(0.4ml)에 에스터(Ester, 116mg, 0.3mmol)를 첨가하여 혼합물을 생성하였다. 그 후 물(0.8ml)에 녹아있는 수산화나트륨(24mg, 0.6mmol)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1노르말 염산을 첨가하여 중화시키고 디클로로메탄을 통해 생성물을 추출하였다. 추출한 생성물에 마그네슘 설페이트를 첨가하여 물을 제거한 뒤,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고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분리 정제하여 화합물 5a~5i(100mg, 91%)를 얻었다.
[화합물 5a~5i]
Figure pat00007
1) 화합물 5a : 3-(5-(2-페닐아세틸)-4,5,6,7-테트라하이드로티아졸로[5,4-c]피리딘-2-일)프로판산 [3-(5-(2-phenylacetyl)-4,5,6,7-tetrahydrothiazolo[5,4-c]pyridin-2-yl)propanoic acid]
1H NMR (600 MHz, DMSO-d6) δ 7.31 (t, J = 7.5 Hz, 1H), 7.26 (dd, J = 6.7, 2.1 Hz, 2H), 7.22 (t, J = 7.2 Hz, 2H), 4.75 (s, 0.5H), 4.67 (s, 1.5H), 3.83 (s, 1.5H), 3.80 (s, 0.5H), 3.79 - 3.76 (m, 2H), 3.11 (t, J = 7.2 Hz, 2H), 2.69 (s, 0.5H), 2.67 (t, J = 7.1 Hz, 2H), 2.62 - 2.59 (m, 1.5H); 13C NMR (151 MHz, CDCl3) δ 175.7, 170.3, 167.5, 147.4, 134.5, 129.4, 128.9, 128.7, 128.6, 127.3, 127.1, 41.3, 41.0, 40.4, 33.4, 27.9, 27.1.
2) 화합물 5b : 3-(5-(2-(2-클로로페닐)아세틸)-4,5,6,7-테트라하이드로티아졸로[5,4-c]피리딘-2-일)프로판산 [3-(5-(2-(2-chlorophenyl)acetyl)-4,5,6,7-tetrahydrothiazolo[5,4-c]pyridin-2-yl)propanoic acid]
1H NMR (600 MHz, DMSO-d6) δ 7.42 (ddd, J = 6.6, 5.7, 3.6 Hz, 1H), 7.40 - 7.36 (m, 1H), 7.32 - 7.29 (m, 1H), 7.26 (s, 1H), 4.82 (s, 0.5H), 4.67 (d, J = 1.9 Hz, 1.5H), 3.94 (s, 1.5H), 3.87 (s, 0.5H), 3.84 (s, 1.5H), 3.79 (s, 0.5H), 3.12 (d, J = 8.2 Hz, 2H), 2.80 (s, 1.5H), 2.71 - 2.69 (m, 0.5H), 2.67 (d, J = 6.8 Hz, 2H); 13C NMR (151 MHz, DMSO) δ 173.6, 168.6, 167.4, 148.2, 134.2, 129.5, 129.4, 129.2, 128.9, 127.6, 127.5, 39.2, 38.4, 37.9, 33.4, 28.4, 27.6.
3) 화합물 5c : 3-(5-(2-(3-클로로페닐)아세틸)-4,5,6,7-테트라하이드로티아졸로[5,4-c]피리딘-2-일)프로판산 [3-(5-(2-(3-chlorophenyl)acetyl)-4,5,6,7-tetrahydrothiazolo[5,4-c]pyridin-2-yl)propanoic acid]
1H NMR (600 MHz, DMSO-d6) δ 7.34 (dd, J = 4.9, 2.7 Hz, 1H), 7.33 - 7.30 (m, 1H), 7.30 - 7.26 (m, 1H), 7.23 - 7.16 (m, 1H), 4.77 (s, 0.5H), 4.67 (d, J = 1.9 Hz, 1.5H), 3.87 (s, 1.5H), 3.81 (s, 0.5H), 3.83 - 3.77 (m, 2H), 3.12 (q, J = 7.0 Hz, 2H), 2.74 - 2.69 (m, 2H), 2.69 - 2.65 (m, 2H); 13C NMR (151 MHz, DMSO) δ 173.6, 169.4, 167.4, 148.1, 138.8, 133.2, 130.5, 129.7, 128.5, 126.9, 125.1, 55.4, 43.4, 39.3, 33.4, 28.4, 27.6, 26.7.
4) 화합물 5d : 3-(5-(2-(4-클로로페닐)아세틸)-4,5,6,7-테트라하이드로티아졸로[5,4-c]피리딘-2-일)프로판산 [3-(5-(2-(4-chlorophenyl)acetyl)-4,5,6,7-tetrahydrothiazolo[5,4-c]pyridin-2-yl)propanoic acid]
1H NMR (600 MHz, Chloroform-d) δ 7.31 - 7.24 (m, 2H), 7.21 - 7.12 (m, 2H), 4.76 (d, J = 2.0 Hz, 1.5H), 4.57 (s, 0.5H), 3.92 (s, 0.5H), 3.79 (s, 1.5H), 3.73 (s, 1.5H), 3.25 (t, J = 7.2 Hz, 0.5H), 2.85 (t, J = 1.7 Hz, 0.5H), 2.80 (t, J = 7.2 Hz, 2H), 2.71 (s, 1.5H); 13C NMR (151 MHz, CDCl3) δ 174.9, 169.8, 167.8, 147.3, 133.0, 130.1, 130.1, 129.0, 129.0, 128.9, 125.1, 43.7, 40.5, 40.3, 33.5, 28.1, 27.2.
5) 화합물 5e : 3-(5-(2-(3,4-디클로로페닐)아세틸)-4,5,6,7-테트라하이드로티아졸로[5,4-c]피리딘-2-일)프로판산 [3-(5-(2-(3,4-dichlorophenyl)acetyl)-4,5,6,7-tetrahydrothiazolo[5,4-c]pyridin-2-yl)propanoic acid]
1H NMR (600 MHz, Chloroform-d) δ 7.43 - 7.35 (m, 2H), 7.11 (dd, J = 8.3, 2.1 Hz, 1H), 4.78 (t, J = 1.8 Hz, 1.5H), 4.60 (d, J = 1.9 Hz, 0.5H), 3.94 (s, 0.5H), 3.78 (s, 1.5H), 3.77 - 3.73 (m, 1.5H), 3.60 (s, 0.5H), 3.27 (t, J = 7.2 Hz, 2H), 2.89 - 2.86 (m, 0.5H), 2.84 (t, J = 7.2 Hz, 2H), 2.80 (s, 1.5H); 13C NMR (151 MHz, CDCl3) δ 175.8, 169.2, 167.8, 147.2, 134.6, 132.8, 131.4, 130.9, 130.7, 128.3, 125.1, 43.7, 40.6, 39.8, 33.4, 27.9, 27.2.
6) 화합물 5f : 3-(5-(2-(3-플로로페닐)아세틸)-4,5,6,7-테트라하이드로티아졸로[5,4-c]피리딘-2-일)프로판산 [3-(5-(2-(3-fluorophenyl)acetyl)-4,5,6,7-tetrahydrothiazolo[5,4-c]pyridin-2-yl)propanoic acid]
1H NMR (600 MHz, Chloroform-d) δ 7.30 (d, J = 6.0 Hz, 1H), 7.06 - 7.02 (m, 1H), 6.99 (td, J = 6.7, 6.1, 2.0 Hz, 1H), 6.96 - 6.92 (m, 1H), 4.79 (d, J = 1.8 Hz, 1.5H), 4.59 (s, 0.5H), 3.94 (s, 0.5H), 3.83 (s, 1.5H), 3.79 (s, 0.5H), 3.75 (s, 1.5H), 3.26 (s, 2H), 2.89 - 2.86 (m, 0.5H), 2.85 (d, J = 6.8 Hz, 2H), 2.72 (s, 1.5H); 13C NMR (151 MHz, CDCl3) δ 169.6, 167.7, 163.8, 162.2, 147.2, 136.9, 130.4, 125.2, 124.4, 115.7, 114.1, 43.7, 40.8, 40.5, 33.4, 27.9, 27.2.
7) 화합물 5g : 3-(5-(2-(4-브로모페닐)아세틸)-4,5,6,7-테트라하이드로티아졸로[5,4-c]피리딘-2-일)프로판산 [3-(5-(2-(4-bromophenyl)acetyl)-4,5,6,7-tetrahydrothiazolo[5,4-c]pyridin-2-yl)propanoic acid]
1H NMR (600 MHz, DMSO-d6) δ 7.48 (dd, J = 19.9, 8.2 Hz, 2H), 7.20 (dd, J = 26.0, 8.1 Hz, 2H), 4.75 (s, 0.5H), 4.66 (s, 1.5H), 3.83 (s, 1.5H), 3.81 - 3.78 (m, 2H), 3.77 (s, 0.5H), 3.12 (q, J = 7.4 Hz, 2H), 2.71 - 2.68 (m, 2H), 2.67 (d, J = 7.2 Hz, 2H); 13C NMR (151 MHz, DMSO) δ 173.6, 169.5, 167.4, 148.1, 135.8, 132.0, 131.6, 131.6, 125.1, 124.8, 120.1, 43.4, 39.2, 33.4, 28.4, 27.6, 26.7.
8) 화합물 5h : 3-(5-(2-(4-메톡시페닐)아세틸)-4,5,6,7-테트라하이드로티아졸로[5,4-c]피리딘-2-일)프로판산 [3-(5-(2-(4-methoxyphenyl)acetyl)-4,5,6,7-tetrahydrothiazolo[5,4-c]pyridin-2-yl)propanoic acid]
1H NMR (600 MHz, Chloroform-d) δ 7.14 (dd, J = 33.8, 8.5 Hz, 2H), 6.83 (dd, J = 20.8, 8.6 Hz, 2H), 4.77 (t, J = 1.8 Hz, 1.5H), 4.57 (d, J = 1.9 Hz, 0.5H), 3.92 (s, 0.5H), 3.78 (s, 3H), 3.77 (s, 1.5H), 3.73 (s, 2H), 3.25 (s, 2H), 2.85 (d, J = 5.8 Hz, 1H), 2.81 (s, 2H), 2.66 (s, 1.5H); 13C NMR (151 MHz, CDCl3) δ 175.4, 170.8, 167.8, 158.6, 147.4, 129.6, 129.6, 126.4, 125.2, 114.3, 114.3, 55.3, 43.7, 40.4, 40.4, 33.5, 28.0, 27.1.
9) 화합물 5i : 3-(5-(2-(3-메톡시페닐)아세틸)-4,5,6,7-테트라하이드로티아졸로[5,4-c]피리딘-2-일)프로판산 [3-(5-(2-(3-methoxyphenyl)acetyl)-4,5,6,7-tetrahydrothiazolo[5,4-c]pyridin-2-yl)propanoic acid]
1H NMR (600 MHz, Chloroform-d) δ 7.26 - 7.17 (m, 1H), 6.84 (d, J = 7.7 Hz, 1H), 6.81 (d, J = 1.8 Hz, 1H), 6.80 - 6.73 (m, 1H), 4.78 (d, J = 2.0 Hz, 1.5H), 4.56 (s, 0.5H), 3.93 (s, 0.5H), 3.81 (s, 1.5H), 3.78 (s, 3H), 3.74 (s, 2H), 3.25 (d, J = 7.2 Hz, 2H), 2.87 (s, 0.5H), 2.82 (s, 2H), 2.67 (s, 1.5H); 13C NMR (151 MHz, CDCl3) δ 175.2, 170.2, 167.6, 156.0, 147.4, 136.0, 129.9, 125.2, 120.9, 114.3, 112.5, 55.3, 43.8, 41.3, 40.4, 33.5, 28.0, 27.1.
<실시예 2> 바이페닐아세트산 유도체 합성
<실시예 2-1> 바이페닐아세트산 합성(6a~6j)
바이페닐아세트산(Biphenylacetic acid) 유도체를 합성하기 위해서 하기 반응식 2와 같은 방법으로, 바이페닐아세트산을 먼저 합성하였다.
[반응식 2]
Figure pat00008
메탄올(2.5ml)에 4-브로모페닐아세트산(4-Bromophenylacetic acid, 500mg, 2.325mmol)과 4-메틸페닐보론산(4-Methylphenylboronic acid, 340mg, 4.65mmol), 세슘 카보네이트(Cesium Carbonate, 1.5g, 4.6mmol)를 첨가하여 혼합물을 생성하였다. 그 후 팔라듐 촉매(2.5mg)를 첨가하고 하루 동안 환류시켰다. 반응종료 후, 혼합물의 온도를 상온에 근접하게 만들고 1 노르말 염산을 이용해 중화시키고 생성물을 디클로로메탄을 통해 추출하였다. 추출한 생성물에 마그네슘 설페이트를 첨가하여 물을 제거한 뒤,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고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분리 정제하여 화합물 6a~6j(470mg, 95%)를 얻었다.
[화합물 6a~6j]
Figure pat00009
1) 화합물 6a : 2-(4'-메톡시-[1,1'-바이페닐]-4-일)아세트산 [2-(4'-methoxy-[1,1'-biphenyl]-4-yl)acetic acid]
1H NMR (600 MHz, Methanol-d4) δ 7.52 (m, 4H), 7.32 (m, 2H), 6.98 (m, 2H), 3.82 (s, 3H), 3.62 (s, 2H).
2) 화합물 6b : 2-(3'-메톡시-[1,1'-바이페닐]-4-일)아세트산 [2-(3'-methoxy-[1,1'-biphenyl]-4-yl)acetic acid]
1H NMR (600 MHz, Methanol-d4) δ 7.54 (d, J = 8.1 Hz, 2H), 7.33 (dd, J = 17.4, 8.2 Hz, 3H), 7.16 (d, J = 7.0 Hz, 1H), 7.12 (m, 1H), 6.88 (ddd, J = 8.2, 2.5, 1.0 Hz, 1H), 3.82 (s, 3H), 3.63 (s, 2H).
3) 화합물 6c : 2-(4'-페녹시-[1,1'-바이페닐]-4-일)아세트산 [2-(4'-phenoxy-[1,1'-biphenyl]-4-yl)acetic acid]
1H NMR (600 MHz, Methanol-d4) δ 7.60 (m, 2H), 7.55 (m, 2H), 7.36 (m, 4H), 7.12 (m, 1H), 7.03 (m, 4H), 3.64 (s, 2H).
4) 화합물 6d : 2-(3'-플로로-[1,1'-바이페닐]-4-일)아세트산 [2-(3'-fluoro-[1,1'-biphenyl]-4-yl)acetic acid]
1H NMR (600 MHz, Methanol-d4) δ 7.57 (m, 2H), 7.42 (m, 2H), 7.35 (m, 4H), 3.65 (s, 2H).
5) 화합물 6e : 2-(4'-플로로-[1,1'-바이페닐]-4-일)아세트산 [2-(4'-fluoro-[1,1'-biphenyl]-4-yl)acetic acid]
1H NMR (600 MHz, Methanol-d4) δ 7.61 (m, 2H), 7.54 (m, 2H), 7.36 (m, 2H), 7.15 (m, 2H), 3.64 (s, 2H).
6) 화합물 6f : 2-(4'-(터트-부틸)-[1,1'-바이페닐]-4-일)아세트산 [2-(4'-(tert-butyl)-[1,1'-biphenyl]-4-yl)acetic acid]
1H NMR (600 MHz, Methanol-d4) δ 7.54 (m, 4H), 7.45 (d, J = 8.6 Hz, 2H), 7.33 (m, 2H), 3.63 (s, 2H), 1.34 (s, 9H).
7) 화합물 6g : 2-(4'-(트리플로로메틸)-[1,1'-바이페닐]-4-일)아세트산 [2-(4'-(trifluoromethyl)-[1,1'-biphenyl]-4-yl)acetic acid]
1H NMR (600 MHz, Methanol-d4) δ 7.80 (m, 2H), 7.72 (m, 2H), 7.64 (m, 2H), 7.41 (m, 2H), 3.67 (s, 2H).
8) 화합물 6h : 2-(4'-(메틸)-[1,1'-바이페닐]-4-일)아세트산 [2-(4'-methyl-[1,1'-biphenyl]-4-yl)acetic acid]
1H NMR (600 MHz, Methanol-d4) δ 7.54 (m, 2H), 7.48 (m, 2H), 7.33 (m, 2H), 7.23 (m, 2H), 3.63 (s, 2H), 2.36 (s, 3H).
9) 화합물 6i : 2-(4-(벤조[d][1,3]다이옥솔-5-일)페닐)아세트산 [2-(4-(benzo[d][1,3]dioxol-5-yl)phenyl)acetic acid]
1H NMR (600 MHz, Methanol-d4) δ 7.49 (m, 2H), 7.32 (m, 2H), 7.08 (m, 2H), 6.87 (m, 1H), 5.97 (s, 2H), 3.62 (s, 2H).
10) 화합물 6j : 2-(4'-클로로-[1,1'-바이페닐]-4-일)아세트산 [2-(4'-chloro-[1,1'-biphenyl]-4-yl)acetic acid]
1H NMR (600 MHz, Methanol-d4) δ 7.57 (dd, J = 18.5, 8.4 Hz, 4H), 7.42 (d, J = 8.5 Hz, 2H), 7.37 (d, J = 8.5 Hz, 2H), 3.64 (s, 2H).
<실시예 2-2> 바이페닐아세트산 유도체 합성
[반응식 3]
Figure pat00010
상기 반응식 3과 같은 방법으로, 상기 실시예 1에서 합성된 핵심 중간체 화합물 3과 상기 합성된 화합물 6a~6j를 상기 실시예 1-4의 아미드 커플링 반응을 이용하여 화합물 7a~7j를 합성하였고, 상기 실시예 1-5의 가수분해를 이용하여 화합물 8a~8j를 합성하였다.
[화합물 8a~8j]
Figure pat00011
1) 화합물 8a : 3-(5-(2-(4'-메톡시-[1,1'-바이페닐]-4-일)아세틸)-4,5,6,7-테트라하이드로티아졸로[5,4-c]피리딘-2-일)프로판산 [3-(5-(2-(4'-methoxy-[1,1'-biphenyl]-4-yl)acetyl)-4,5,6,7-tetrahydrothiazolo[5,4-c]pyridin-2-yl)propanoic acid]
1H NMR (600 MHz, Chloroform-d) δ 7.55 (d, J = 8.2 Hz, 2H), 7.36 - 7.31 (m, 2H), 7.28 (s, 1H), 7.18 - 7.13 (m, 1H), 7.10 (dd, J = 2.6, 1.7 Hz, 1H), 6.89 (dd, J = 8.2, 1.0 Hz, 1H), 4.80 (d, J = 1.8 Hz, 1.5H), 4.61 (s, 0.5H), 3.95 (s, 0.5H), 3.87 (s, 1.5H), 3.86 (d, J = 2.6 Hz, 3H), 3.84 (s, 0.5H), 3.78 (s, 1.5H), 3.25 (d, J = 7.1 Hz, 2H), 2.88 (s, 0.5H), 2.82 (d, J = 7.0 Hz, 2H), 2.72 (s, 1.5H); 13C NMR (151 MHz, CDCl3) δ 175.2, 170.2, 167.6, 159.9, 147.4, 142.1, 139.9, 133.7, 129.8, 129.0, 129.0, 127.6, 127.6, 125.3, 119.6, 112.8, 55.3, 43.8, 40.8, 40.4, 33.4, 28.0, 27.2.
2) 화합물 8b : 3-(5-(2-(3'-메톡시-[1,1'-바이페닐]-4-일)아세틸)-4,5,6,7-테트라하이드로티아졸로[5,4-c]피리딘-2-일)프로판산 [3-(5-(2-(3'-methoxy-[1,1'-biphenyl]-4-yl)acetyl)-4,5,6,7-tetrahydrothiazolo[5,4-c]pyridin-2-yl)propanoic acid]
1H NMR (600 MHz, Chloroform-d) δ 7.53 - 7.49 (m, 3H), 7.49 - 7.44 (m, 1H), 7.30 (d, J = 7.9 Hz, 1H), 7.26 (s, 1H), 7.04 - 6.94 (m, 2H), 4.79 (s, 1.5H), 4.60 (s, 0.5H), 3.94 (s, 0.5H), 3.86 (s, 1.5H), 3.84 (d, J = 2.8 Hz, 3H), 3.82 (s, 0.5H), 3.77 (t, J = 5.8 Hz, 1.5H), 3.24 (d, J = 7.2 Hz, 2H), 2.87 (s, 0.5H), 2.81 (t, J = 7.1 Hz, 2H), 2.71 (s, 1.5H); 13C NMR (151 MHz, CDCl3) δ 175.2, 170.3, 167.7, 159.2, 147.4, 139.6, 133.1, 132.9, 129.0, 129.0, 128.0, 128.0, 127.3, 127.1, 127.1, 125.2, 114.2, 55.4, 43.8, 40.8, 40.4, 33.5, 28.0, 27.2.
3) 화합물 8c : 3-(5-(2-(4'-페녹시-[1,1'-바이페닐]-4-일)아세틸)-4,5,6,7-테트라하이드로티아졸로[5,4-c]피리딘-2-일)프로판산 [3-(5-(2-(4'-phenoxy-[1,1'-biphenyl]-4-yl)acetyl)-4,5,6,7-tetrahydrothiazolo[5,4-c]pyridin-2-yl)propanoic acid]
1H NMR (600 MHz, Chloroform-d) δ 7.53 (dd, J = 6.5, 4.5 Hz, 2H), 7.52 - 7.49 (m, 1H), 7.39 - 7.31 (m, 3H), 7.27 (s, 3H), 7.13 (s, 1H), 7.09 - 7.04 (m, 3H), 4.81 (s, 1.5H), 4.62 (s, 0.5H), 3.96 (s, 0.5H), 3.87 (s, 1.5H), 3.83 (s, 0.5H), 3.79 (s, 1.5H), 3.26 (s, 2H), 2.93 (d, J = 43.9 Hz, 2H), 2.84 (s, 1H), 2.72 (s, 1H);
4) 화합물 8d : 3-(5-(2-(3'-플로로-[1,1'-바이페닐]-4-일)아세틸)-4,5,6,7-테트라하이드로티아졸로[5,4-c]피리딘-2-일)프로판산 [3-(5-(2-(3'-fluoro-[1,1'-biphenyl]-4-yl)acetyl)-4,5,6,7-tetrahydrothiazolo[5,4-c]pyridin-2-yl)propanoic acid]
1H NMR (600 MHz, Chloroform-d) δ 7.56 - 7.49 (m, 2H), 7.41 - 7.37 (m, 1H), 7.36 - 7.33 (m, 2H), 7.32 - 7.25 (m, 2H), 7.05 - 7.00 (m, 1H), 4.80 (t, J = 1.8 Hz, 1.5H), 4.61 (d, J = 1.8 Hz, 0.5H), 3.96 (s, 0.5H), 3.88 (s, 1.5H), 3.84 (s, 0.5H), 3.78 (t, J = 5.8 Hz, 1.5H), 3.25 (d, J = 7.1 Hz, 2H), 2.90 - 2.86 (m, 0.5H), 2.83 (s, 2H), 2.73 (s, 1.5H); 13C NMR (151 MHz, CDCl3) δ 170.1, 167.7, 164.0, 162.4, 147.3, 138.7, 134.2, 130.3, 130.2, 129.2, 129.2, 127.5, 127.5, 125.2, 122.7, 122.7, 114.1, 43.8, 40.8, 40.5, 33.5, 28.0, 27.2.
5) 화합물 8e : 3-(5-(2-(4'-플로로-[1,1'-바이페닐]-4-일)아세틸)-4,5,6,7-테트라하이드로티아졸로[5,4-c]피리딘-2-일)프로판산 [3-(5-(2-(4'-fluoro-[1,1'-biphenyl]-4-yl)acetyl)-4,5,6,7-tetrahydrothiazolo[5,4-c]pyridin-2-yl)propanoic acid]
1H NMR (600 MHz, Chloroform-d) δ 7.54 - 7.51 (m, 2H), 7.50 (s, 1.5H), 7.47 (d, J = 7.9 Hz, 0.5H), 7.33 (d, J = 8.1 Hz, 1.5H), 7.28 (s, 0.5H), 7.14 - 7.08 (m, 2H), 4.80 (d, J = 1.8 Hz, 1.5H), 4.62 (s, 0.5H), 3.96 (s, 0.5H), 3.87 (s, 1.5H), 3.83 (s, 0.5H), 3.78 (s, 1.5H), 3.25 (d, J = 6.9 Hz, 2H), 2.90 - 2.87 (m, 0.5H), 2.82 (d, J = 6.9 Hz, 2H), 2.72 (s, 1.5H); 13C NMR (151 MHz, CDCl3) δ 175.1, 170.1, 167.6, 163.3, 147.4, 139.1, 136.7, 133.6, 129.2, 129.1, 128.6, 128.6, 128.5, 127.5, 127.4, 115.7, 115.6, 43.8, 40.8, 40.4, 33.5, 28.0, 27.2.
6) 화합물 8f : 3-(5-(2-(4'-(터트-부틸)-[1,1'-바이페닐]-4-일)아세틸)-4,5,6,7-테트라하이드로티아졸로[5,4-c]피리딘-2-일)프로판산 [3-(5-(2-(4'-(tert-butyl)-[1,1'-biphenyl]-4-yl)acetyl)-4,5,6,7-tetrahydrothiazolo[5,4-c]pyridin-2-yl)propanoic acid]
1H NMR (600 MHz, Chloroform-d) δ 7.56 (d, J = 8.2 Hz, 2H), 7.51 (s, 2H), 7.48 - 7.44 (m, 2H), 7.32 (d, J = 8.1 Hz, 1.5H), 7.27 (s, 0.5H), 4.80 (d, J = 1.8 Hz, 1.5H), 4.61 (s, 0.5H), 3.95 (s, 0.5H), 3.87 (s, 1.5H), 3.83 (s,0.51H), 3.78 (s, 1.5H), 3.26 (s, 2H), 2.88 (s, 0.5H), 2.82 (d, J = 7.0 Hz, 2H), 2.72 (s, 1.5H), 1.36 (s, 9H); 13C NMR (151 MHz, CDCl3) δ 175.4, 170.3, 167.7, 150.4, 147.4, 139.9, 137.7, 133.2, 129.0, 129.0, 129.0, 127.4, 127.4, 126.7, 126.6, 125.8, 125.2, 43.8, 40.8, 40.5, 34.6, 33.5, 31.4, 28.0, 27.2.
7) 화합물 8g : 3-(5-(2-(4'-(트리플로로메틸)-[1,1'-바이페닐]-4-일)아세틸)-4,5,6,7-테트라하이드로티아졸로[5,4-c]피리딘-2-일)프로판산 [3-(5-(2-(4'-(trifluoromethyl)-[1,1'-biphenyl]-4-yl)acetyl)-4,5,6,7-tetrahydrothiazolo[5,4-c]pyridin-2-yl)propanoic acid]
1H NMR (600 MHz, Chloroform-d) δ 7.70 - 7.64 (m, 4H), 7.55 (dd, J = 21.9, 8.1 Hz, 2H), 7.35 (dd, J = 33.4, 8.0 Hz, 2H), 4.81 (d, J = 1.8 Hz, 1.5H), 4.63 (s, 0.5H), 3.96 (s, 0.5H), 3.89 (s, 1.5H), 3.85 (s, 0.5H), 3.79 (t, J = 5.8 Hz, 1.5H), 3.26 (t, J = 7.1 Hz, 2H), 2.88 (s, 0.5H), 2.83 (t, J = 7.0 Hz, 2H), 2.75 (s, 1.5H); 13C NMR (151 MHz, CDCl3) δ 175.3, 170.0, 167.6, 147.3, 144.1, 138.5, 134.6, 129.4, 129.3, 127.7, 127.6, 127.3, 127.3, 125.8, 125.7, 125.7, 125.2, 125.2, 43.8, 40.7, 40.5, 33.5, 28.0, 27.2.
8) 화합물 8h : 3-(5-(2-(4'-메틸-[1,1'-바이페닐]-4-일)아세틸)-4,5,6,7-테트라하이드로티아졸로[5,4-c]피리딘-2-일)프로판산 [3-(5-(2-(4'-methyl-[1,1'-biphenyl]-4-yl)acetyl)-4,5,6,7-tetrahydrothiazolo[5,4-c]pyridin-2-yl)propanoic acid]
1H NMR (600 MHz, Chloroform-d) δ 7.54 (d, J = 8.2 Hz, 2H), 7.47 (d, J = 8.1 Hz, 2H), 7.32 (d, J = 8.1 Hz, 1.5H), 7.26 (s, 0.5H), 7.23 (d, J = 8.0 Hz, 2H), 4.80 (d, J = 1.8 Hz, 1.5H), 4.60 (s, 0.5H), 3.95 (s, 0.5H), 3.86 (s, 1.5H), 3.83 (s, 0.5H), 3.77 (t, J = 5.7 Hz, 1.5H), 3.24 (dt, J = 15.3, 7.1 Hz, 2H), 2.87 (s, 0.5H), 2.84 - 2.78 (m, 2H), 2.74 - 2.69 (m, 1.5H), 2.39 (s, 3H); 13C NMR (151 MHz, CDCl3) δ 175.2, 170.2, 170.1, 167.6, 147.4, 139.9, 137.7, 137.1, 133.2, 129.5, 129.0, 129.0, 127.4, 127.3, 126.9, 126.8, 125.2, 43.8, 40.8, 40.4, 33.5, 28.0, 27.2, 21.1.
9) 화합물 8i : 3-(5-(2-(4-(벤조[d][1,3]다이옥솔-5-일)페닐)아세틸)-4,5,6,7-테트라하이드로티아졸로[5,4-c]피리딘-2-일)프로판산 [3-(5-(2-(4-(benzo[d][1,3]dioxol-5-yl)phenyl)acetyl)-4,5,6,7-tetrahydrothiazolo[5,4-c]pyridin-2-yl)propanoic acid]
1H NMR (600 MHz, Chloroform-d) δ 7.49 - 7.42 (m, 2H), 7.32 - 7.24 (m, 2H), 7.05 - 7.00 (m, 2H), 6.88 - 6.85 (m, 1H), 5.99 (s, 2H), 4.80 (d, J = 1.8 Hz, 1.5H), 4.60 (s, 0.5H), 3.95 (s, 0.5H), 3.86 (s, 1.5H), 3.82 (s, 0.5H), 3.77 (t, J = 5.8 Hz, 1.5H), 3.25 (d, J = 6.9 Hz, 2H), 2.87 (s, 0.5H), 2.82 (t, J = 7.3 Hz, 2H), 2.72 (td, J = 5.6, 2.7 Hz, 1.5H); 13C NMR (151 MHz, CDCl3) δ 175.2, 170.2, 167.6, 148.1, 147.4, 147.1, 139.7, 135.0, 133.2, 129.0, 129.0, 127.3, 127.2, 125.2, 120.5, 108.6, 107.5, 101.2, 43.8, 40.8, 40.4, 33.5, 28.0, 27.2.
10) 화합물 8j : 3-(5-(2-(4'-클로로-[1,1'-바이페닐]-4-일)아세틸)-4,5,6,7-테트라하이드로티아졸로[5,4-c]피리딘-2-일)프로판산 [3-(5-(2-(4'-chloro-[1,1'-biphenyl]-4-yl)acetyl)-4,5,6,7-tetrahydrothiazolo[5,4-c]pyridin-2-yl)propanoic acid]
1H NMR (600 MHz, Chloroform-d) δ 7.53 ? 7.49 (m, 2H), 7.48 (d, J = 9.5 Hz, 2H), 7.41 - 7.37 (m, 2H), 7.34 (d, J = 8.1 Hz, 1.5H), 7.28 (d, J = 8.1 Hz, 0.5H), 4.80 (d, J = 1.8 Hz, 1.5H), 4.61 (s, 0.5H), 3.95 (s, 0.5H), 3.87 (s, 1.5H), 3.83 (s, 0.5H), 3.78 (s, 1.5H), 3.25 (d, J = 7.1 Hz, 2H), 2.87 (s, 0.5H), 2.81 (d, J = 7.3 Hz, 2H), 2.73 (s, 1.5H); 13C NMR (151 MHz, CDCl3) δ 175.4, 170.1, 167.7, 147.3, 139.0, 138.8, 134.0, 133.5, 129.2, 129.2, 129.0, 128.3, 128.2, 127.4, 127.4, 125.2, 43.8, 40.7, 40.5,
<실험예 1> 칼슘 분석(Calcium assay)
LPA1 과발현 세포주(RH7777-human EDG1 cell)를 96웰 블랙 플레이트(96well black plate, clear bottom)에 1×105/well로 시딩(seeding)하고 하루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0.1% 지방산 없는 BSA(fatty acid-free BSA)가 들어있는 무혈청(serum-free) 배양액으로 교체하여 하루 추가 배양하였다.
다음, 약물(화합물 5a~5i, 6a~6j 또는 AM152(LPA1 길항제), 1μM)로 30분간 전처치한 뒤, 칼슘(calcium) 측정용 형광 염료(dye)인 Fluo-3AM(5μM)을 처치하여 60분 동안 배양하였고, 10μM LPA를 세포에 처치한 뒤 1분 후에 형광 세기를 측정(absorption: 506 nm) 하였다. (Fluorescence intensity: 3층 victor 사용)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칼슘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기 그래프의 ‘Ca2+ response’는 비히클(vehicle) 대비 증가 정도(fold increase)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화합물 6c는 AM152(1μM)와 거의 유사한 효능을 나타내었고, 그 외 다른 화합물들은 AM152(1μM) 효능 대비 약 50%의 효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2> 독성 평가
웅성 Balb/c 마우스에 화합물 5a, 화합물 5g, 및 화합물 5h를 0.5% 메틸셀룰로즈 용액에 각각 현탁하여 0.5g/kg, 1g/kg 및 2g/kg의 용량으로 1회 단회 경구투여하고 7일간 마우스의 생존율 및 체중을 조사하였다.
이러한 투여 후 동물의 폐사여부, 임상증상, 체중변화를 관찰하고 혈액학적 검사와 혈액생화학적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부검하여 육안으로 복강장기와 흉강장기의 이상여부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모든 동물에서 특기할 만한 임상증상이나 폐사된 동물은 없었으며, 체중변화, 혈액검사, 혈액생화학검사, 부검소견 등에서도 독성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마우스에서 2g/㎏까지 독성변화를 나타내지 않으며, 따라서, 경구 투여 중간 치사량(LD50)은 2g/kg 이상인 안전한 물질로 판단되었다.
하기에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5h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처방예 1> 약학조성물의 처방예
<처방예 1-1> 산제의 제조
화합물 5h 20 mg, 유당 100 mg 및 탈크 10 mg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처방예 1-2> 정제의 제조
화합물 5h 2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처방예 1-3> 캅셀제의 제조
화합물 5h 1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mg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처방예 1-4> 주사제의 제조
화합물 5h 1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적량 및 pH 조절제 적량을 혼합한 후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앰플당(2㎖)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하였다.
<처방예 1-5> 연고제의 제조
화합물 5h 10mg, PEG-4000 250mg, PEG-400 650mg, 백색바셀린 10mg,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1.44mg,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0.18mg 및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한 후 통상의 연고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연고제를 제조하였다.
<처방예 2> 건강기능식품
<처방예 2-1> 건강식품의 제조
화합물 5h 1 ㎎, 비타민 혼합물 적량(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 1 0.13 ㎎, 비타민 B 2 0.15 ㎎, 비타민 B 6 0.5 ㎎, 비타민 B 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및 무기질 혼합물 적량(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을 제조하였다.
<처방예 2-2> 건강음료의 제조
화합물 5h 1 ㎎,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및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가 되도록 하며,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L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하였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즉,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

Claims (10)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화학식 1]
    Figure pat00012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각각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고, 수소, (C1~C4)알킬, (C1~C4)알콕시, 할로겐, 니트로, 또는 하기 화학식 2의 치환기에서 선택되고,
    [화학식 2]
    Figure pat00013

    이 때, R3 및 R4는 각각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고, 수소, (C1~C4)알킬, (C1~C4)알콕시, 트리플로로메틸, 페녹시, 할로겐 또는 니트로에서 선택되거나, R3와 R4가 연결되어 5환의 헤테로고리를 형성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R1 및 R2는 각각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고, 수소, (C1~C2)알콕시, 할로겐, 또는 니트로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3-(5-(2-페닐아세틸)-4,5,6,7-테트라하이드로티아졸로[5,4-c]피리딘-2-일)프로판산, 3-(5-(2-(2-클로로페닐)아세틸)-4,5,6,7-테트라하이드로티아졸로[5,4-c]피리딘-2-일)프로판산, 3-(5-(2-(3-클로로페닐)아세틸)-4,5,6,7-테트라하이드로티아졸로[5,4-c]피리딘-2-일)프로판산, 3-(5-(2-(4-클로로페닐)아세틸)-4,5,6,7-테트라하이드로티아졸로[5,4-c]피리딘-2-일)프로판산, 3-(5-(2-(3,4-디클로로페닐)아세틸)-4,5,6,7-테트라하이드로티아졸로[5,4-c]피리딘-2-일)프로판산, 3-(5-(2-(3-플로로페닐)아세틸)-4,5,6,7-테트라하이드로티아졸로[5,4-c]피리딘-2-일)프로판산, 3-(5-(2-(4-브로모페닐)아세틸-4,5,6,7-테트라하이드로티아졸로[5,4-c]피리딘-2-일)프로판산, 3-(5-(2-(4-메톡시페닐)아세틸)-4,5,6,7-테트라하이드로티아졸로[5,4-c]피리딘-2-일)프로판산, 3-(5-(2-(3-메톡시페닐)아세틸)-4,5,6,7-테트라하이드로티아졸로[5,4-c]피리딘-2-일)프로판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화학식 3]
    Figure pat00014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각각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고, 수소, (C1~C4)알킬, (C1~C4)알콕시, 트리플로로메틸, 페녹시, 할로겐 또는 니트로에서 선택되거나, R1과 R2가 연결되어 5환의 헤테로고리를 형성함.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R1 및 R2는 각각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고, 수소, (C1~C4)알킬, (C1~C2)알콕시, 트리플로로메틸, 페녹시, 플로로, 또는 클로로에서 선택되거나, R1과 R2가 연결되어 1,3-다이옥솔 고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3-(5-(2-(4'-메톡시-[1,1'-바이페닐]-4-일)아세틸)-4,5,6,7-테트라하이드로티아졸로[5,4-c]피리딘-2-일)프로판산, 3-(5-(2-(3'-메톡시-[1,1'-바이페닐]-4-일)아세틸)-4,5,6,7-테트라하이드로티아졸로[5,4-c]피리딘-2-일)프로판산, 3-(5-(2-(4'-페녹시-[1,1'-바이페닐]-4-일)아세틸)-4,5,6,7-테트라하이드로티아졸로[5,4-c]피리딘-2-일)프로판산, 3-(5-(2-(3'-플로로-[1,1'-바이페닐]-4-일)아세틸)-4,5,6,7-테트라하이드로티아졸로[5,4-c]피리딘-2-일)프로판산, 3-(5-(2-(4'-플로로-[1,1'-바이페닐]-4-일)아세틸)-4,5,6,7-테트라하이드로티아졸로[5,4-c]피리딘-2-일)프로판산, 3-(5-(2-(4'-(터트-부틸)-[1,1'-바이페닐]-4-일)아세틸)-4,5,6,7-테트라하이드로티아졸로[5,4-c]피리딘-2-일)프로판산, 3-(5-(2-(4'-(트리플로로메틸)-[1,1'-바이페닐]-4-일)아세틸)-4,5,6,7-테트라하이드로티아졸로[5,4-c]피리딘-2-일)프로판산, 3-(5-(2-(4'-메틸-[1,1'-바이페닐]-4-일)아세틸)-4,5,6,7-테트라하이드로티아졸로[5,4-c]피리딘-2-일)프로판산, 3-(5-(2-(4-(벤조[d][1,3]다이옥솔-5-일)페닐)아세틸)-4,5,6,7-테트라하이드로티아졸로[5,4-c]피리딘-2-일)프로판산, 3-(5-(2-(4'-클로로-[1,1'-바이페닐]-4-일)아세틸)-4,5,6,7-테트라하이드로티아졸로[5,4-c]피리딘-2-일)프로판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LPA1(Lysophosphatidic acid 1) 수용체 활성화 저해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PA1 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LPA1 관련 질환은 뇌졸중, 건선, 쇼그렌증후군, 염증성 장질환, 당뇨병성 신증 및 섬유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PA1 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LPA1(Lysophosphatidic acid 1) 수용체 활성화 저해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PA1 관련 질환 개선 또는 예방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LPA1 관련 질환은 뇌졸중, 건선, 쇼그렌증후군, 염증성 장질환, 당뇨병성 신증 및 섬유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PA1 관련 질환 개선 또는 예방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20190103810A 2018-08-23 2019-08-23 티아졸로 피페라진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가면역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246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454 2018-08-23
KR20180098454 2018-08-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3237A true KR20200023237A (ko) 2020-03-04
KR102224677B1 KR102224677B1 (ko) 2021-03-08

Family

ID=69783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3810A KR102224677B1 (ko) 2018-08-23 2019-08-23 티아졸로 피페라진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가면역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467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431B1 (ko) 2005-11-08 2011-03-08 에프. 호프만-라 로슈 아게 mGluR5 수용체 길항제로서의 티아졸로[4,5-c]피리딘 유도체
KR20120101429A (ko) * 2009-11-02 2012-09-13 사노피 아실아미노-치환된 사이클릭 카복실산 유도체들 및 이들의 약제로서의 용도
WO2013074388A1 (en) * 2011-11-15 2013-05-23 Merck Sharp & Dohme Corp. Substituted cyclopropyl compounds useful as gpr119 agonists
JP2013544890A (ja) * 2010-12-07 2013-12-19 アミラ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多環式lpa1アンタゴニストおよびその使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431B1 (ko) 2005-11-08 2011-03-08 에프. 호프만-라 로슈 아게 mGluR5 수용체 길항제로서의 티아졸로[4,5-c]피리딘 유도체
KR20120101429A (ko) * 2009-11-02 2012-09-13 사노피 아실아미노-치환된 사이클릭 카복실산 유도체들 및 이들의 약제로서의 용도
JP2013544890A (ja) * 2010-12-07 2013-12-19 アミラ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多環式lpa1アンタゴニストおよびその使用
WO2013074388A1 (en) * 2011-11-15 2013-05-23 Merck Sharp & Dohme Corp. Substituted cyclopropyl compounds useful as gpr119 agonis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4677B1 (ko) 2021-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6026B1 (ko) 플루오렌, 안트라센, 잔텐, 디벤조수베론 및 아크리딘의 유도체 및 이의 용도
JP6106603B2 (ja) ヘテロアリール化合物及びその使用方法
TW201738226A (zh) 雜環化合物
JP7060298B1 (ja) Mgat2阻害活性を有する縮合環誘導体
WO2016169421A1 (zh) 咪唑并异吲哚类衍生物、其制备方法及其在医药上的应用
AU2011292144B2 (en) 1,5-diphenyl-penta-1,4-dien-3-one compounds
CN107033097B (zh) 噁二唑类衍生物、其制备方法及其在医药上的应用
EP2382189A1 (en) Toluidine sulfonamides and their use
KR20200024880A (ko) 인돌-포름아마이드 유도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의약에서의 이의 용도
CA3072420A1 (en) Pyridine compound substituted with azole
JP7068743B2 (ja) Mgat2阻害活性を有する縮合環誘導体を含有する医薬組成物
TW201643143A (zh) 抑制氧化壓迫引發的神經細胞死亡之化合物
AU2019227770B2 (en) Methyllactam ring compound and medicinal use thereof
JP6236439B2 (ja) ヘテロアリール化合物及びその使用方法
BR112020004611A2 (pt) derivado de indol formamida substituído por átomo de deutério, método de preparação do mesmo e aplicações médicas do mesmo
KR101558475B1 (ko) 인돌리진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KR102224677B1 (ko) 티아졸로 피페라진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가면역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23218B1 (ko) 페닐아세트산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가면역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TW201400490A (zh) 嘧啶二胺類衍生物、其製備方法及其在醫藥上的應用
KR102401818B1 (ko) 신규 3-(벤조일)-2-티옥소이미다졸리딘-4-온 유도체 화합물 및 이의 용도
KR102381002B1 (ko) 벤조산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가면역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54476B1 (ko) 신장 및/또는 간 질환 치료용 조성물
KR20210139279A (ko) 퀴나졸리논 화합물
CN110709401A (zh) 杂环化合物
KR101870968B1 (ko) Ppar, fxr 및 ampk 활성화 효능을 갖는 신규 티오펜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이의 의학적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