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2344A - 자세 교정 장치 - Google Patents

자세 교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2344A
KR20200022344A KR1020190099928A KR20190099928A KR20200022344A KR 20200022344 A KR20200022344 A KR 20200022344A KR 1020190099928 A KR1020190099928 A KR 1020190099928A KR 20190099928 A KR20190099928 A KR 20190099928A KR 20200022344 A KR20200022344 A KR 202000223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posture
recognition unit
coupled
main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9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5917B1 (ko
Inventor
곽태영
Original Assignee
곽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태영 filed Critical 곽태영
Priority to CN201980025453.0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2074211A/zh
Priority to EP19851981.1A priority patent/EP3841922A4/en
Priority to JP2020557164A priority patent/JP7142377B2/ja
Priority to PCT/KR2019/010423 priority patent/WO2020040488A1/ko
Publication of KR20200022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2344A/ko
Priority to US17/068,610 priority patent/US20210022503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5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5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47C31/126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for chai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F16M13/02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reposition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6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upward-downward translation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0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2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1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with ball-joi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07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 F16M11/2021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around a horizont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92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depth adjustment, i.e. forward-backward translation of the head relatively to the undercarri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26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telescoping, with or without folding
    • F16M11/28Undercarriages for supports with one single telescoping pill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4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means of coilable or bendable legs or spiral shaped leg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자세 교정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는 베이스부; 및 일측이 상기 베이스부와 결합되어 높이 및 각도 중 하나 이상이 조절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시각 또는 촉각에 의해 인지되도록 마련되는 인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책상과 사용자 사이 공간을 활용하여, 시각적 또는 촉각적 신호를 통해 사용자가 무의식적으로 또는 편안함을 느끼기 위해 잘못된 자세를 취하면, 자신의 자세를 자연스럽게 곧바로 인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바른 자세 습관을 지닐 수 있도록 끊임없이 유도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세 교정 장치{POSTURE CORRECTION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자세 교정 기술과 관련된다.
최근 연령대를 가리지 않고 문제가 되는 척추, 특히 목과 허리의 통증은 과도하게 내민 목, 구부정한 허리, 너무 앞쪽 또는 뒤쪽에 위치한 골반뿐만 아니라 무의식적으로 편안하다고 느껴 취하게 되는 나쁜 자세, 객관적으로 잘못된 자세이지만 본인은 바른 자세라고 생각하며 취하게 되는 나쁜 자세가 원인이다.
일반적으로, 책상에 앉아서 공부를 하거나 작업을 하는 학생 또는 직장인들은 허리를 구부정하게 구부리고 앉아있거나 또는 목을 앞으로 쭉 빼고 앉아 있는 자세로 장시간 앉아 있게 되며, 이러한 잘못된 자세가 습관이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습관으로 인하여 잘못된 자세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되면 허리에 하중이 집중됨으로써 다양한 신체적 문제를 야기하게 되어 허리 또는 목 디스크 및 척추측만증 등의 질환으로 이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허리를 구부정하게 하고 목을 앞으로 숙이고 학습 또는 작업을 하게 되면 눈과 책 또는 컴퓨터와의 거리가 가까워져 눈이 피로함을 쉽게 느끼게 되며, 장시간 지속될 경우, 근시가 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책상에 앉아서 공부를 하거나 작업을 하는 학생 또는 직장인들의 목, 등 허리 또는 골반의 자세 또는 위치를 동시에 바른 자세로 유도할 수 있는 자세 교정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56482호 (2014.05.12.)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책상과 사용자 사이 공간을 활용하여, 시각적 또는 촉각적 신호를 통해 사용자가 무의식적으로 또는 편안함을 느끼기 위해 잘못된 자세를 취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부; 및 일측이 상기 베이스부와 결합되어 높이 및 각도 중 하나 이상이 조절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시각 또는 촉각에 의해 인지되도록 마련되는 인지부를 포함하는 자세 교정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자세 교정 장치는,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사용자의 복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접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양 측에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슬라이드 결합을 통해 상기 베이스부에서 상기 사용자의 복부 측으로 돌출되는 길이가 조절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양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드 홈;과 상기 슬라이드 홈을 따라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한 한 쌍의 슬라이더;와 상기 한 쌍의 슬라이더를 상기 슬라이드 홈 내에 고정하는 슬라이더 고정수단 및상기 한 쌍의 슬라이더의 단부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사용자의 복부와 접촉되는 복부 접촉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세 교정 장치는, 상기 베이스부에 좌우 회동이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프레임의 일측과 결합되어 상기 인지부를 사용자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피봇하는 결합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는, 하부에 흡착패드를 마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인지부와 결합되는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측에 마련되는 하부 플레이트;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를 가구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지부는,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지부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복수 개의 지주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지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결합되는 지지 지주관; 및 관절부에 의해 상기 지지 지주관과 각도를 이루는 인지 지주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지부는, 외력에 의해 일 방향으로 회동(틸팅,tilting)되고, 외력이 해제될 경우 탄성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원되도록 상기 복수 개의 지주관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지부는, 상기 프레임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사용자의 턱 밑 또는 목 주변에 위치하여 상기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시각 또는 촉각에 의해 인지되도록 마련되는 시각/촉각 확인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지부는,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시각/촉각 확인부재가 상기 사용자의 턱 밑 또는 목 주변에 위치하면, 상기 사용자의 목 아래의 상체 주변에 위치하는 상체 자세 확인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지부는, 상기 프레임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어 시각/촉각 확인부재의 아래로 형성된 줄 또는 프레임; 및 상기 아래로 형성된 줄 또는 프레임의 끝단에 마련되고, 상기 시각/촉각 확인부재가 상기 사용자의 턱 밑 또는 목 주변에 위치하면, 상기 사용자의 목 아래의 상체 주변에 위치하는 상체 자세 확인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지부는, 일측이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상체를 향해 돌출되는 접촉 프레임; 및 상기 접촉 프레임의 타측 단부에 마련되고,상기 시각/촉각 확인부재가 상기 사용자의 턱 밑 또는 목 주변에 위치하면, 상기 사용자의 목 아래의 상체 주변에 위치하는 상체 자세 확인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세 교정 장치는, 상기 시각/촉각 확인부에 마련되고,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센서;와 상기 사용자에게 경고음을 발생하는 알림부재; 및 상기 거리센서에서 측정된 거리를 기초로 상기 알림부재를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지부는, 일측이 상기 베이스와 결합되고, 타측이 관절부에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과 각도를 이루는 메인 지주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메인 지주관은, 상기 베이스부와 결합되는 제1 메인 지주관; 상기 제1 메인 지주관과 결합되는 제2 메인 지주관; 및 상기 제2 메인 지주관과 결합되며 탄성부재가 삽입되는 중공이 마련되는 제3 메인 지주관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3 메인 지주관에 형성된 중공에 삽입되며, 일측이 상기 관절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2 메인 지주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3 메인 지주관의 타측은 구체, 삼각형, 사각형 중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관절부는 상기 제3 메인 지주관의 타측과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3 메인 지주관의 타측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인지부는 일측이 상기 베이스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책상과 사용자 사이 공간을 활용하여, 시각적 또는 촉각적 신호를 통해 사용자가 무의식적으로 또는 편안함을 느끼기 위해 잘못된 자세를 취하면, 자신의 자세를 자연스럽게 곧바로 인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바른 자세 습관을 지닐 수 있도록 끊임없이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의 베이스부의 변형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를 적용하여 의자에 앉은 사람의 자세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를 적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올바른 자세와 잘못된 자세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를 적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올바른 자세와 잘못된 자세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를 적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올바른 자세와 잘못된 자세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를 적용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일반적으로 자주 취하는 잘못된 자세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를 적용한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의 인지부의 변형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의 인지부의 변형 예를 적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올바른 자세와 잘못된 자세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를 적용하여 의자에 앉은 사람의 자세를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를 적용하여 의자에 앉은 사람의 자세를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1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10)의 베이스부(100)의 변형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10)는 베이스부(100), 인지부(200) 및 접촉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100)는 소정의 구조물(예를 들어, 테이블, 책상, 책장, 의자 손잡이, 의자 등받이 등)에 자세 교정 장치(10)를 고정할 수 있으며, 육면체나 원통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베이스부(100)는 책상 또는 책장 등에 세워 고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잘못된 자세를 취하여 자세 교정 장치(10)와 접촉하여도 쓰러지지 않는 정도의 무게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100)는 양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드 홈(110)이 마련될 수 있으며, 슬라이드 홈(110)을 이용하여 접촉부(300)를 슬라이딩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100)는 좌우, 앞뒤, 대각선 또는 360°등 다양한 각도로 회전가능한 결합수단(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수단은 인지부(200)의 일측과 결합되어 인지부(200)와 베이스부(100)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결합수단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봇되는 관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인지부(200)를 사용자에 대하여 좌우,앞뒤, 대각선 또는 360°등 다양한 각도로 회전할 수 있다.
결합수단은 좌우,앞뒤, 대각선 또는 360°처럼 다양한 각도로 회전하여 사용자의 턱밑 또는 목주변에 시각/촉각 확인부재(220)를 위치하게 할 수 있는 방식이라면 피봇 형태뿐만 아니라 베어링 구조,유니버셜 조인트,톱니바퀴 형태,볼 조인트 등 공지된 어떠한 방식을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10)는 베이스부(100)를 세우는 형태의 고정 수단을 개시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의 고정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00)는 상부 플레이트(121), 하부 플레이트(122) 및 상부 플레이트(121)와 하부 플레이트(122)를 가구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1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121)와 하부 플레이트(122)의 소정 영역에 스크류 삽입홈(124)이 마련될 수 있고, 상부 플레이트(121)와 하부 플레이트(122)의 양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드 홈(110)이 마련될 수 있으며, 상부 플레이트(121) 또는 하부 플레이트(122)의 슬라이드 홈(110)을 이용하여 접촉부(300)를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체결수단(123)은 볼트(123a)와 너트(123b)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베이스부(100)는 스크류 삽입홈(124)을 관통하여 하부 플레이트(122)로부터 상부 플레이트(121)의 상부로 연장되는 체결수단(123)의 볼트(123a)에 너트(123b)가 나사체결되어 설치하고자 하는 가구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100)는 베이스부(100)의 하부에 흡착패드(미도시)를 마련할 수 있다. 이 경우, 베이스부(100)는 흡착패드에 의하여 설치하고자 하는 가구에 고정하여 자세 교정 장치(10)의 무게를 줄일 수 있으며, 설치하고자 하는 가구에 흡착하여 간편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유리 등 파손되기 쉬운 재질의 테이블에도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인지부(200)는 베이스부(100)에 연결되고 사용자로 하여금 사용자의 자세가 바른지 여부를 인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인지부(200)는 베이스부(100)에 마련된 결합수단과 결합되어 베이스부(100)에 연결되고 사용자로 하여금 사용자의 자세가 바른지 여부를 인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인지부(200)는 일측이 베이스부(100)와 결합되고, 타측이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시각 또는 촉각에 의해 인지되는 프레임(21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여기서는 인지부(200)가 베이스부(100)에 연결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인지부(200)가 베이스부(100)에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어 이동성 및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프레임(210)은 각도 및 높이가 조절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프레임(210)은 좌우, 앞뒤 또는 360°로 회전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프레임(210)은 원통형, 타원형, 사각형 또는 다각형의 봉 형상일 수 있으며, 사용자에 따라 다양한 높이 및 각도조정이 가능하도록 사용자의 힘에 의하여 변형된 상태를 유지하는 플렉시블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프레임(210)은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시각/촉각 확인부재(220)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프레임(210)은 비틀거나 절곡시킴으로써, 자유로운 형상변형이 가능하고, 변형된 형상을 지속시킬 수 있는 방식이라면 공지된 어떠한 방식을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프레임(210)은 자유로이 구부려 변형할 수 있는 구리관과 같은 금속관의 형태일 수 있으며, 또한, 프레임(210)은 금속판과 금속선을 나선형으로 함께 권선한 코브라관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인지부(200)는 프레임(210)의 타측 단부에 마련되는 시각/촉각 확인부재(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시각/촉각 확인부재(220)는 프레임(210)의 타측 단부에 마련되어 프레임(210)의 높이 및 각도조정을 통하여 사용자의 턱 밑 또는 목 주변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각/촉각 확인부재(220)는 사용자의 턱 밑 또는 목 주변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시각 또는 촉각에 의해 인지되어 사용자 자신의 잘못된 자세를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시각/촉각 확인부재(220)는 사용자의 시각 또는 촉각으로 인지될 수 있다면 형태와 크기, 재료 그리고 색에 있어서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접촉부(300)는 베이스부(100)의 측면 일측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복부를 향해 돌출할 수 있다.
접촉부(300)는 베이스부(100)의 양측면에 형성된 슬라이드 홈(110)을 따라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더(310), 슬라이더(310)를 슬라이드 홈(110) 내에 고정하는 슬라이더 고정수단(320) 및 슬라이더(310)를 연결하고 사용자의 복부와 접촉되는 복부 접촉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부(300)는 베이스부(100)의 양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드 홈(110)에 결합되어 슬라이드 홈(110) 내로 슬라이딩하여 사용자의 복부를 향해 돌출할 수 있으며, 슬라이더 고정수단(320)에 의해 사용자 복부에 대해 슬라이더(310)의 전후 방향 길이를 조정하여 복부 접촉부재(330)의 돌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접촉부(300)는 복부 접촉부재(330)와 사용자와의 접촉을 사용자가 촉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복부 접촉부재(330)는 사용자의 엉덩이가 과도하게 뒤로 빠지거나 상체나 목을 과도하게 앞으로 내민 상태에서 사용자가 인지부(200)를 통해 아무런 신호를 받지 못하더라도 접촉부(300)와 복부의 접촉 또는 비접촉을 통하여 사용자는 자신의 잘못된 현재 자세를 빠르고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10)를 적용하여 의자에 앉은 사람의 자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10)를 적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올바른 자세와 잘못된 자세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10)를 적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올바른 자세와 잘못된 자세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10)를 적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올바른 자세와 잘못된 자세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10)를 적용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일반적으로 자주 취하는 잘못된 자세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바른 자세를 취하고, 인지부(200)가 사용자의 턱 밑 또는 목 주변에 위치하도록 프레임(210)을 조절하여 자세 교정 장치(10)를 올바르게 적용할 수 있다.
이 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허리를 굽히게 되면 인지부(200)는 사용자의 목 부위에 접촉하게 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등을 의자 등받이에 기대고 엉덩이를 책상 쪽으로 이동시키면(허리를 앞으로 내밀고 등을 뒤로 젖힘) 인지부(200)는 사용자의 시선 정면에 있게 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몸을 기울이게 되면 인지부(200)는 사용자의 우측 (또는 좌측)에 위치하게 되어 인지부(200)에 의해 사용자의 잘못된 현재 자세를 빠르고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책상에 앉아서 공부를 하거나 작업을 하는 학생 또는 직장인들이 자주 취하게 되는 허리를 구부정하게 구부리고 앉아있거나 목을 앞으로 쭉 빼고 앉아 있는 자세를 취하게 되면, 인지부(200)가 사용자의 정면 시야에 들어와 사용자는 자신의 잘못된 현재 자세를 빠르고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한편, 도 3내지 도 7에는 베이스부(100)를 책상에 고정하고, 사용자의 정면에서 자세 교정 장치(10)를 적용하는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베이스부(100)가 사용자의 정면이 아닌 측면(예를 들어, 사용자의 팔보다 더 좌측 또는 우측에 있는 테이블 모서리)에 위치시키고, 인지부(200)가 사용자의 턱 밑 또는 목 주변에 위치하도록 프레임(210)을 조절하여 자세 교정 장치(10)를 올바르게 적용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10)를 적용한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베이스부(100)를 책장 등에 고정하여 사용자의 측면 또는 대각선에 위치시키고, 인지부(200)가 사용자의 턱 밑 또는 목 주변에 위치하도록 프레임(210)을 조절하여 자세 교정 장치(10)를 올바르게 적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10)를 사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는 스스로 바른 자세(상체가 앞으로 기울지 않고 수직인 상태에서 경추와 요추가 전만(역C자)인 상태)를 취한다.
그 다음, 사용자가 거북목 형태로 목을 내밀면 인지부(200)가 사용자의 목 부위에 닿거나 시야에 들어오지만, 바른 자세에서는 인지부(200)에서 아무런 시각 또는 촉각 신호를 받지 못하도록 프레임(210)의 높이 및 각도를 조절한다.
인지부(200)는 사용자 필요에 따라 턱 아래쪽을 향해 좀 더 깊숙이 위치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너무 가까운 것이 부담스럽거나 목의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원하는 사용자는 목이 시작하는 부분 앞에 인지부(200)를 위치시키는 것이 좋다.
접촉부(300)는 바른 자세에서는 사용자의 복부에 닿지 않고 의식적으로 복부를 살짝 내밀었을 때만 닿게 한다. 여기서, 호흡을 통해 배를 내미는 것이 아니라 척추를 정상적인 자세보다 살짝 더 큰 만곡 형태를 만들면서 허리를 앞으로 내밀어 촉각으로 접촉부(300)를 인지하게 한다. (이 때, 허리를 과도하게 내밀지 않아야 한다.) 살짝 허리를 앞쪽으로 내밀었을 때, 접촉부(300)에 복부가 닿고, 허리를 내밀지 않았을 때에는 닿지 않는 것이 좋다.
한편, 접촉부(300)는 개개인의 취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책상 앞에서 생활할 때 계속해서 접촉부(300)에 닿아도 괜찮은 사람은 바른 자세를 취할 때 접촉부(300)가 계속 닿도록 하여 허리가 과도하게 뒤로 빠져 있는 것을 방지해도 문제되지 않는다.
접촉부(300)는 책상이 곡면형이거나 책상에서 멀리 떨어져 작업하는 경우 또는 사용자의 의자 또는 신체적 특징으로 인해 책상에서 멀어져 있는 경우에 길이 조절을 통해 사용자 환경에 맞는 촉각을 제공하는 것으로, 허리나 골반의 위치 확인은 접촉부(300)를 대신하여 베이스부(100)나 책상 끝을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접촉부(300)는 돌출 시키지 않고 고정하거나, 분리해서 별도로 보관할 수 있다.
따라서, 바른 자세를 취한 사용자는 아무런 시각, 촉각 신호를 받지 못한다. 즉, 사용자가 바른 자세를 취하였을 때, 인지부(200)는 거북 목 형태로 목을 내밀면 목 부위에 닿게 되는 곳에 위치하고, 베이스부(100) 또는 접촉부(300)는 배를 의식적으로 살짝 내밀었을 때 닿게 되는 곳에 위치한다. 만약, 목은 바른 자세이지만 허리가 구부정한 상태이면 인지부(200)가 사용자 눈 바로 앞에서 보이거나, 목이 아닌 턱 부분에 닿게 된다. 이에 목의 바른 자세를 유도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허리의 바른 자세도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목과 허리의 동시 교정이 가능하게 된다.
상체나 목이 좌, 우로 기울어진 상태이면 오른쪽 또는 왼쪽에 인지부(200)가 보여 자신이 기울어진 상태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뒤로 기대어 상체가 젖혀진 상태에서는 인지부(200)가 조금 떨어진 정면에 보이게 되어 자신의 상체가 젖혀져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인지부(200)에서 아무런 신호를 받지 못하더라도, 허리나 골반이 과도하게 뒤로 빠져 있으면 상체나 목이 과도하게 앞으로 내민 상태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는 자신의 배를 수시로 살짝 내밀어 접촉부(300)나 베이스부(100)에 배가 닿는지 확인함으로써, 본인의 허리가 너무 뒤에 위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인지부(200)가 목에 닿거나 시야에 들어오고, 배를 살짝 내밀었을 때 촉각을 느낄 수 없다면 사용자는 잘못된 자세를 취하고 있는 것이고, 사용자는 이런 사실을 곧바로 알 수 있다. 이처럼 바로 앞에서 시각 또는 촉각 신호를 계속 받기 때문에 사용자는 자신도 모르게 자신의 자세를 의식하게 되어 무의식적으로 혹은 의식적으로 잘못된 자세를 취하다가도 금세 바른 자세를 취하게 된다.
의자에 기댄 채 의자 끝에 엉덩이를 걸치고 있으므로 눈앞에 인지부(200)가 보이더라도 귀찮음 혹은 편안함 때문에 곧바로 자세를 교정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계속해서 그 신호를 보다 보면, 한번은 바른 자세를 취하게 되고 점차 반복되면서 바른 자세를 취하는 시간이 늘어날 것이다.
접촉부(300)의 촉각 신호도 마찬가지이다. 처음에는 잊어버리고 이를 의식하는 횟수가 적지만, 인지부(200)에 의해 의식적으로 또는 무의식적으로 목과 척추의 자세를 신경 쓰다 보면, 저절로 골반의 위치도 함께 신경 쓰게 될 것이다.
즉, 사용자에게 바른 자세의 기준을 제공하여 지속적이고 즉각적으로 사용자가 자신의 자세를 인식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잘못된 자세를 바른 자세로 착각하지 않을 수 있으며, 목을 인지부(200) 위로 이동하는 것으로 바른 자세를 취할 수 있기 때문에 쉽고 빠르며 정확하게 바른 자세를 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10)는 다른 자세 교정 장치와 달리 바른 자세를 물리적으로 강제하거나 지지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스스로 바른 자세를 취하도록 유도하고, 장기간 이를 사용하면서 사용자 스스로 자신의 근육을 사용하여 자주 바른 자세를 취하고 그 과정에서 바른 자세를 취하는 습관을 기르는 것이다. 이 때문에 사용자의 움직임이 자유롭고, 자연스럽게 잘못된 동작과 바른 동작을 반복하면서 스스로 신체를 움직이게 되어 근육 경직이나 관련 근육 약화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자세 교정 장치의 지지에 의지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상체가 기울어지거나 낮아진 상태, 즉, 잘못된 자세를 장시간 무의식적으로 유지하는 것이나 장기 또는 복부 압박 그리고 접촉으로 인한 피부 발진 등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목과 허리는 연계되어 움직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목의 바른 자세를 확보하는 움직임을 통해 자연스럽게 허리의 바른 자세도 확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척추 건강을 위해서는 경추와 요추의 전만(역C자형 곡선)을 확보한 바른 자세뿐만 아니라 적절한 움직임이 필요하다. 바른 자세에서 벗어나 숙이게 되면, 디스크의 수핵이 등쪽으로 밀려나고 후방 섬유륜이 얇아진다. 또한, 경추에는 머리 무게뿐만 아니라 경추 뒤의 근육이 수축하는 힘까지 작용하게 되고, 요추에는 상체 무게뿐만 아니라 요추 뒤의 근육이 수축하는 힘까지 작용하게 된다. 한편, 경추나 요추의 전만 상태를 하루 종일 유지하고 있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며, 척추 디스크 수핵 속 세포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왜냐하면 바른 자세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척추 신전근의 수축이 필요한데 30분 만 계속 허리를 꼿꼿이 펴고 있어도 근육이 지치기 때문이다. 또한, 디스크 내부로 바로 들어가는 혈관이 없기 때문에 수핵 속의 세포는 디스크에 압박이 가해졌다 풀리는 과정에서 뼈에서 스며 들어오는 (확산) 체액을 통해 산소와 포도당을 얻고, 노폐물을 배출한다. 그런데 척추가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면 체액이 디스크로 드나들지 않기 때문에 수핵 속의 세포들이 죽게 된다. 이 때문에 척추 건강을 위해서는 바른 자세뿐만 아니라 적절한 움직임도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10)는 목과 가슴 주변에서 바른 자세의 기준을 제공하여 지속적이고 즉각적으로 사용자가 자신의 자세를 인식할 수 있게 하고, 자신의 자세를 가늠할 필요 없이, 한 번의 동작으로 바른 자세를 정확하게 취할 수 있게 하여, 사용자가 잘못된 자세를 바른 자세라고 착각하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10)는 신체 외부에 존재하고, 신체에 물리력을 가하여 자세를 교정하는 형태가 아니기 때문에 외부 물리력에 의존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즉, 물리적 지지력에 의존하여 자세를 장시간 유지하는 과정에서 디스크 질환의 주된 원인인 은근하고 지속적인 척추 디스크 압박이 발생하는 것이나 물리적 지지를 받는 부분 위의 신체를 앞으로 내밀거나 숙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부 압박, 피부 트러블, 물리적 지지를 받는 관련 근육의 약화 또는 경직의 문제 등의 외부 물리력에 의한 자세 교정의 문제점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10)는 사용자의 신체에 외부의 물리력을 가하여 자세를 교정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의 움직임이 자유롭다. 사용자 스스로의 움직임을 통해 바른 자세를 취하기 때문에 바른 자세를 취하는 습관을 형성할 수 있고, 수시로 바른 자세를 취하는 과정에서 척추 건강을 위한 움직임을 확보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의 구성요소와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우선, 인지부(400)는 원통형, 타원형, 사각형 또는 다각형 봉 형상으로서, 서로 다른 크기의 복수의 지주관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여기서는 3개의 지주관(411, 412, 413)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2개의 지주관을 포함하거나 또는 4개 이상의 지주관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인지부(400)는 복수의 관절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여기서는 1개의 관절부(414)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2개 이상의 관절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의 인지부(400)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수직 상태의 2개의 지지 지주관(411, 412), 일측이 관절부(414)에 결합되어 지주관(412)과 각도를 이루는 인지 지주관(413) 및 인지 지주관(413)의 타측에 마련되는 시각/촉각 확인부재(4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수직 상태의 2개의 지지 지주관(411, 412)은 베이스부(100)와 결합되는 하부 지지 지주관(411) 및 하부 지지 지주관(411)에 끼워지는 상부 지지 지주관(412)으로 구성되어 상하 방향으로 높이가 조절될 수 있으며, 시각/촉각 확인부재(420)는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시각 또는 촉각에 의해 인지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마다 사용 환경과 사용자 신체의 배, 가슴의 형태가 다르므로 상하 방향으로 높이조절 가능한 인지부의 지주관 개수와 각각의 지주관을 전후 방향으로 피봇시키는 관절부의 개수를 가감함으로써 더욱 다양한 형태의 인지부(400)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관절부(414)는 피봇 형태뿐만 아니라 베어링 구조, 유니버셜 조인트, 톱니바퀴 형태, 볼 조인트 등 좌우, 앞뒤 또는 360°로 움직일 수 있는 방식이라면 공지된 어떠한 방식을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즉, 관절부(414)는 좌우, 앞뒤 또는 360°로 움직이도록 형성됨으로써, 베이스부(100)를 사용자의 정면이 아닌 측면(예를 들어, 사용자의 팔보다 더 좌측 또는 우측에 있는 테이블 모서리)에 위치시키거나, 책장 등에 고정하여 사용자의 측면 또는 대각선에 위치시키는 경우에도 인지부(400)가 사용자의 턱 밑 또는 목 주변에 위치하도록 관절부(414)를 좌우, 앞뒤 또는 360°로 조절하여 자세 교정 장치를 올바르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의 인지부의 변형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의 인지부(400)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수직 상태의 2개의 지지 지주관(411, 412), 일측이 관절부(414)에 결합되어 지주관(412)과 각도를 이루는 인지 지주관(413) 및 인지 지주관(413)의 타측에 마련되는 시각/촉각 확인부재(4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지부(400)는 인지부(400)가 외력에 의해 일 방향으로 회동(틸팅,tilting)되고, 외력이 해제될 경우 탄성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원되도록 지지 지주관(411) 및 인지 지주관(413)에 마련되는 탄성부재(411-1, 41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411-1, 413-1)는 지지 지주관(411) 및 인지 지주관(413)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으며,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의 인지부의 변형 예를 적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올바른 자세와 잘못된 자세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바른 자세를 취하고, 인지부(400)가 사용자의 턱 밑 또는 목 주변에 위치하도록 지주관(411, 412, 413) 및 관절부(414)를 조절하여 자세 교정 장치를 올바르게 적용할 수 있다.
이 후, 사용자가 일시적으로 불가피하게 잘못된 자세를 취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 인지부(400)는 사용자에 의해 일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다시 바른 자세를 취하면 원래 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불가피하게 잘못된 자세(예를 들어, 숙인 자세)로 작업을 해야 하는 경우, 숙인 자세에서 인지부(400)가 사용자에 접촉하고 있고 그 접촉 강도가 작업에 방해하지 않을 정도이면, 사용자는 작업에 집중하면서도 자신의 자세가 잘못된 자세인 것을 의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잘못된 자세임을 잊지 않고, 무의식적으로 잘못된 자세를 유지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이 잘못된 자세임을 잊지 않고 작업을 완료하면, 곧바로 바른 자세를 취할 수 있으며, 작업이 지속되는 경우에도, 중간중간 바른 자세로 앉아 쉬거나 신전 자세(뒤로 젖히는 자세)를 취하여 근육의 피로와 디스크 압박에 의한 디스크 손상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의 구성요소와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는 프레임(210)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어 시각/촉각 확인부재(220)의 아래로 형성되는 줄 또는 프레임(510) 및 아래로 형성된 줄 또는 프레임(510)의 끝단에 마련되는 상체 자세 확인부재(5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체 자세 확인부재(520)는 프레임(210)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어 시각/촉각 확인부재(220)의 아래로 형성된 줄 또는 프레임(510)의 끝단에 마련되어 시각/촉각 확인부재(220)의 아래에 연장되어 있으며, 시각/촉각 확인부재(220)가 사용자의 턱 밑 또는 목 주변에 위치할 경우, 상체 자세 확인부재(520)는 사용자의 상체(예를 들어, 가슴)에 위치할 수 있다.
상체 자세 확인부재(520)는 사용자의 시각 또는 촉각으로 인지될 수 있다면 형태와 크기, 재료 그리고 색에 있어서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의 구성요소와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는 일측이 프레임(210)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상체를 향해 돌출되는 접촉 프레임(610) 및 접촉 프레임(610)의 타측 단부에 마련되는 상체 자세 확인부재(6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체 자세 확인부재(620)는 일측이 프레임(210)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상체를 향해 돌출되는 접촉 프레임(610)의 타측 단부에 마련되어 시각/촉각 확인부재(220)가 사용자의 턱 밑 또는 목 주변에 위치할 경우, 상체 자세 확인부재(620)는 사용자의 목 아래의 상체 주변(예를 들어, 가슴)에 위치할 수 있다.
상체 자세 확인부재(620)는 사용자의 시각 또는 촉각으로 인지될 수 있다면 형태와 크기, 재료 그리고 색에 있어서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를 적용하여 의자에 앉은 사람의 자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를 적용하여 의자에 앉은 사람의 자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바른 자세를 취하고, 인지부(200)가 사용자의 턱 밑 또는 목 주변에 위치하도록 프레임(210)을 조절하여 자세 교정 장치를 올바르게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체 자세 확인부재(520)가 사용자의 가슴부위에 위치하게 되어 사용자의 엉덩이가 과도하게 뒤로 빠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시각/촉각 확인부재(220)를 통해 아무런 신호를 받지 못하더라도 상체 자세 확인부재(520)와 상체가 닿지 않거나, 상체 자세 확인부재(520)의 아래(수직으로 아래 방향)로 자신의 상체가 없는 것을 시각으로 확인하여 사용자의 엉덩이가 어느 정도 빠져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의 엉덩이가 과도하게 뒤로 빠져 목이 앞으로 나온 상태임에도 사용자가 시각/촉각 확인부재(220)를 통해 아무런 신호를 받지 못하여 바른 자세라고 착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의 구성요소와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는 입력부재(710), 거리센서(720), 알림부재(730) 및 제어부(7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재(710)는 베이스부(100) 상측에 설치되어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제공받아 가동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740)로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부재(710)는 사용자가 시각/촉각 확인부재(220)를 사용자의 턱 밑 또는 목 주변에 위치시킨 후 입력을 제공받아 가동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740)로 출력할 수 있다.
거리센서(720)는 시각/촉각 확인부재(220)에 설치되어 제어부(740)의 제어에 의해 사용자의 턱, 목, 가슴 또는 복부 등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각/촉각 확인부재(220)의 상측, 사용자측 및 하측에 각각 거리센서를 설치하여 시각/촉각 확인부재(220)의 상측에 설치된 거리센서는 사용자의 턱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시각/촉각 확인부재(220)의 사용자측에 설치된 거리센서는 사용자의 목 또는 목 주변과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시각/촉각 확인부재(220)의 하측에 설치된 거리센서는 사용자의 가슴 또는 복부 등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거리센서(720)은 베이스부(100)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복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알림부재(730)는 베이스부(100) 상측에 설치되어 제어부(740)의 제어에 의해 사용자의 잘못된 자세를 알릴 수 있다.
제어부(740)는 측정된 거리를 기초로 기 설정된 거리 이상 멀어지는 경우, 알림부재(73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740)는 사용자가 시각/촉각 확인부재(220)를 사용자의 턱 밑 또는 목 주변에 위치시키고, 입력부재(710)를 통하여 가동 신호를 생성하면, 거리센서(720)를 이용하여 시각/촉각 확인부재(220)와 현재 사용자의 턱, 목, 가슴 또는 복부 등의 거리를 측정하여 기본값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거리센서(720)에 의해 측정된 거리가 기본값과 기 설정된 거리 이상 멀어지는 경우, 사용자가 잘못된 자세를 취한 것으로 판단하고 알림부재(730)를 작동하여 사용자에게 이를 알릴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알림부재(730)는 신호음 또는 발광 등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40)는 거리센서(720)에 의해 측정된 거리가 기본값과 기 설정된 거리 이상 멀어지고,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사용자가 잘못된 자세를 취한 것으로 판단하고 알림부재(730)를 작동하여 사용자에게 이를 알릴 수 있다. 이 경우, 알림부재(730)의 과도한 신호음 또는 발광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의 구성요소와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의 베이스부(100)는 상부 플레이트(121) 및 하부 플레이트(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121)의 소정 영역에 홈(121-1)이 마련될 수 있고, 하부 플레이트(122)의 소정 영역에 결합수단(122-1)이 마련될 수 있다. 결합수단(122-1)은 홈(121-1)을 관통하여 메인 지주관(431)의 삽입홈(미도시)에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베이스부(100)는 하부 플레이트(122)의 결합수단(122-1)이 상부 플레이트(121)의 홈(121-1)을 관통하여 메인 지주관(431)의 삽입홈에 삽입되어 고정되어 설치하고자 하는 가구에 결합할 수 있다.
우선, 인지부(400)는 원통형, 타원형, 사각형 또는 다각형 봉 형상으로서, 서로 다른 크기의 복수의 지주관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여기서는 5개의 지주관(431, 432, 433, 434, 435)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4개의 이하의 지주관을 포함하거나 또는 6개 이상의 지주관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인지부(400)는 복수의 관절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여기서는 2개의 관절부(414-1, 414-2)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3개 이상의 관절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7 및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의 인지부(400)는 메인 지주관(431), 2개의 지지 지주관(432, 433) 및 2개의 인지 지주관(434, 435)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지주관(431)과 2개의 지지 지주관(432,433)은 제1 관절부(414-1)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제1 관절부(414-1)는 제1 고리(414-1a)가 형성되어 탄성부재(431-4)의 일측이 연결될 수 있다. 제1 관절부(414-1)의 일측은 제3 메인 지주관(431-4)의 타측에 형성된 사각의 형태에 결합되도록 사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2개의 지지 지주관(432,433)과 2개의 인지 지주관(434, 435)은 제2 관절부(414-2)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메인 지주관(431)은 제1 메인 지주관(431-1), 제2 메인 지주관(431-2), 제3 메인 지주관(431-3) 및 탄성부재(43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메인 지주관(431-1), 제2 메인 지주관(431-2) 및 제3 메인 지주관(431-3)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1 메인 지주관(431-1)은 일측에 삽입홈(미도시)이 형성되어 하부 플레이트(122)의 결합수단(122-1)이 삽입될 수 있으며, 타측은 제2 메인 지주관(431-2)과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제1 메인 지주관(431-1)과 제2 메인 지주관(431-2)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자세 교정 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인지부(400)가 회전되어 보관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은 물론 공간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베이스부(100) 및 제1 메인 지주관(431-1)은 설치된 상태에서 제1 메인 지주관(431-1)을 제외한 인지부(400)를 분리함으로써, 따로 보관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은 물론 공간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세 교정 장치를 완전히 제거할 필요없이 인지부(400)를 회전하거나, 제1 메인 지주관(431-1)을 제외한 인지부(400)를 분리함으로써, 쉽게 자세 교정 장치의 사용을 중단할 수 있다.
제2 메인 지주관(431-2)은 일측이 제1 메인 지주관(431-1)과 연결될 수 있으며, 타측은 제3 메인 지주관(431-3)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메인 지주관(431-2)의 타측에는 제2 고리(431-2a)가 형성되어 탄성부재(431-4)의 타측이 연결될 수 있다.
제3 메인 지주관(431-3)은 일측이 제2 메인 지주관(431-2)와 연결될 수 있으며, 타측은 제1 관절부(414-1)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메인 지주관(431-3)의 타측은 사각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외력에 의하여 제3 메인 지주관(431-3)과 제1 관절부(414-1)가 이격되는 경우, 탄성부재(431-4)에 의하여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각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탄성부재(431-4)에 의하여 제1 관절부(414-1)는 원래 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즉, 제3 메인 지주관(431-3)과 제1 관절부(414-1)가 각각 사각의 형태로 형성되어 결합됨으로써, 원래 위치로 복원되는 경우 시각/촉각 확인부재(420)가 회전되거나 다른 위치로 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여기서는 제3 메인 지주관(431-3)과 제1 관절부(414-1)가 각각 사각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구체, 삼각형, 사각형 등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3 메인 지주관(431-3)과 제1 관절부(414-1)이 결합되는 부분이 각각 사각의 형태로 형성되어 탄성부재(431-4)에 의하여 제1 관절부(414-1)가 일정한 위치로 복원됨으로써, 제1 관절부(414-1)가 원래 위치로 복원되더라도 시각/촉각 확인부재(420)가 미세한 정도로 위치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3 메인 지주관(431-3)은 중공(中孔)이 형성될 수 있다. 중공에는 탄성부재(431-4)가 삽입될 수 있다. 탄성부재(431-4)는 제3 메인 지주관(431-3)의 중공에 삽입될 수 있다. 탄성부재(431-4)의 일측은 제1 관절부(414-1)의 제1 고리(414-1a)에 연결되고, 타측은 제2 메인 지주관(431-2)의 제2 고리(431-2a)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제3 메인 지주관(431-3)은 탄성부재(431-4)의 탄성력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외력이 없는 경우에는 인지부(400)의 무게나 방향으로 인하여 탄성부재(431-4)가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작은 접촉이 있는 경우에 쉽게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3 메인 지주관(431-3)은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는 탄성력으로 인해 예측가능한 방향으로 회동(틸팅,tilting)되게 하며, 외력이 해제될 경우 탄성부재만 있었을 때와 비교하여 더 빠르고, 정확하게 원위치로 복원되게 하며, 잔진동도 더 빨리 멈추게 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 장치는 외력이 발생하여 자세 교정 장치가 변형되어도 탄성부재(431-4)에 의하여 원 상태로 복원되기 때문에, 시각/촉각 확인부재(420)를 일정한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외력에 의하여 지주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2개의 지지 지주관(432,433)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질 수 있다. 2개의 지지 지주관(432, 433)은 제1 관절부(414-1)와 연결되는 제1 지지 지주관(432) 및 제1 지지 지주관(432)에 끼워지는 제2 지지 지주관(433)으로 구성되어 상하 방향으로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여기서는 제1 관절부(414-1)는 피봇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베어링 구조, 유니버셜 조인트, 톱니바퀴 형태, 볼 조인트 등 좌우, 앞뒤 또는 360°로 움직일 수 있는 방식이라면 공지된 어떠한 방식을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2개의 지지 지주관(432, 433)은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제1 조절수단(436)이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여기서는 제1 조절수단(436)은 제1 지지 지주관(432)에 형성된 나사산을 따라 회전하여 조임으로써 높이를 고정하는 방식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방식이라면 공지된 어떠한 방식을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2개의 인지 지주관(434, 435)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질 수 있다. 2개의 인지 지주관(434, 435)은 제2 관절부(414-2)와 연결되는 제1 인지 지주관(434) 및 제1 인지 지주관(434)에 끼워지는 제2 인지 지주관(435)으로 구성되어 상하 방향으로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제2 인지 지주관(435)에는 시각/촉각 확인부재(420)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여기서는 제2 관절부(414-2)는 피봇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베어링 구조, 유니버셜 조인트, 톱니바퀴 형태, 볼 조인트 등 좌우, 앞뒤 또는 360°로 움직일 수 있는 방식이라면 공지된 어떠한 방식을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2개의 인지 지주관(434, 435)은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제2 조절수단(437)이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여기서는 제2 조절수단(437)은 제1 인지 지주관(434)에 형성된 나사산을 따라 회전하여 조임으로써 높이를 고정하는 방식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방식이라면 공지된 어떠한 방식을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자세 교정 장치
100 : 베이스부
110 : 슬라이드 홈
121 : 상부 플레이트
122 : 하부 플레이트
123 : 체결수단
124 : 스크류 삽입홈
200, 400 : 인지부
210: 프레임
220, 420 : 시각/촉각 확인부재
300 : 접촉부
310 : 슬라이더
320 : 슬라이더 고정수단
330 : 복부 접촉부재
411, 412, 413, 431, 432, 433, 434, 435 : 지주관
414 : 관절부
411-1, 411-3 : 탄성부재
510 : 줄 또는 프레임
520, 620 : 상체 자세 확인부재
610 : 접촉 프레임
710 : 입력부재
720 : 거리센서
730 : 알림부재
740 : 제어부

Claims (19)

  1. 베이스부; 및
    일측이 상기 베이스부와 결합되어 높이 및 각도 중 하나 이상이 조절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시각 또는 촉각에 의해 인지되도록 마련되는 인지부를 포함하는, 자세 교정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세 교정 장치는,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사용자의 복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접촉부를 더 포함하는, 자세 교정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양 측에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슬라이드 결합을 통해 상기 베이스부에서 상기 사용자의 복부 측으로 돌출되는 길이가 조절되도록 마련되는, 자세 교정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양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드 홈;
    상기 슬라이드 홈을 따라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한 한 쌍의 슬라이더;
    상기 한 쌍의 슬라이더를 상기 슬라이드 홈 내에 고정하는 슬라이더 고정수단 및
    상기 한 쌍의 슬라이더의 단부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사용자의 복부와 접촉되는 복부 접촉부재를 포함하는, 자세 교정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세 교정 장치는,
    상기 베이스부에 좌우 회동이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프레임의 일측과 결합되어 상기 인지부를 사용자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피봇하는 결합수단을 더 포함하는, 자세 교정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하부에 흡착패드를 마련하는, 자세 교정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인지부와 결합되는 상부 플레이트;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측에 마련되는 하부 플레이트;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를 가구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자세 교정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지부는,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되는, 자세 교정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지부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복수 개의 지주관으로 형성되는, 자세 교정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인지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결합되는 지지 지주관; 및
    관절부에 의해 상기 지지 지주관과 각도를 이루는 인지 지주관을 더 포함하는, 자세 교정 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인지부는,
    외력에 의해 일 방향으로 회동(틸팅,tilting)되고, 외력이 해제될 경우 탄성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원되도록 상기 복수 개의 지주관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자세 교정 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지부는,
    상기 프레임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사용자의 턱 밑 또는 목 주변에 위치하여 상기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시각 또는 촉각에 의해 인지되도록 마련되는 시각/촉각 확인부재를 더 포함하는, 자세 교정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인지부는,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시각/촉각 확인부재가 상기 사용자의 턱 밑 또는 목 주변에 위치하면, 상기 사용자의 목 아래의 상체 주변에 위치하는 상체 자세 확인부재를 더 포함하는, 자세 교정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인지부는,
    상기 프레임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어 시각/촉각 확인부재의 아래로 형성된 줄 또는 프레임; 및
    상기 아래로 형성된 줄 또는 프레임의 끝단에 마련되고, 상기 시각/촉각 확인부재가 상기 사용자의 턱 밑 또는 목 주변에 위치하면, 상기 사용자의 목 아래의 상체 주변에 위치하는 상체 자세 확인부재를 더 포함하는, 자세 교정 장치.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인지부는,
    일측이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상체를 향해 돌출되는 접촉 프레임; 및
    상기 접촉 프레임의 타측 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시각/촉각 확인부재가 상기 사용자의 턱 밑 또는 목 주변에 위치하면, 상기 사용자의 목 아래의 상체 주변에 위치하는 상체 자세 확인부재를 더 포함하는, 자세 교정 장치.
  16.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자세 교정 장치는 상기 시각/촉각 확인부에 마련되고,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센서;
    상기 사용자에게 경고음을 발생하는 알림부재; 및
    상기 거리센서에서 측정된 거리를 기초로 상기 알림부재를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자세 교정 장치.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지부는, 일측이 상기 베이스와 결합되고, 타측이 관절부에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과 각도를 이루는 메인 지주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메인 지주관은,
    상기 베이스부와 결합되는 제1 메인 지주관;
    상기 제1 메인 지주관과 결합되는 제2 메인 지주관; 및
    상기 제2 메인 지주관과 결합되며 탄성부재가 삽입되는 중공이 마련되는 제3 메인 지주관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3 메인 지주관에 형성된 중공에 삽입되며, 일측이 상기 관절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2 메인 지주관에 연결되는, 자세 교정 장치.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3 메인 지주관의 타측은 구체, 삼각형, 사각형 중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관절부는 상기 제3 메인 지주관의 타측과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3 메인 지주관의 타측에 안착되는, 자세 교정 장치.
  1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지부는 일측이 상기 베이스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와 결합되는, 자세 교정 장치.
KR1020190099928A 2018-08-22 2019-08-14 자세 교정 장치 KR102225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80025453.0A CN112074211A (zh) 2018-08-22 2019-08-16 姿势矫正装置
EP19851981.1A EP3841922A4 (en) 2018-08-22 2019-08-16 POSITION CORRECTION DEVICE
JP2020557164A JP7142377B2 (ja) 2018-08-22 2019-08-16 姿勢矯正装置
PCT/KR2019/010423 WO2020040488A1 (ko) 2018-08-22 2019-08-16 자세 교정 장치
US17/068,610 US20210022503A1 (en) 2018-08-22 2020-10-12 Posture correc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089 2018-08-22
KR20180098089 2018-08-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344A true KR20200022344A (ko) 2020-03-03
KR102225917B1 KR102225917B1 (ko) 2021-03-10

Family

ID=69938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9928A KR102225917B1 (ko) 2018-08-22 2019-08-14 자세 교정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10022503A1 (ko)
JP (1) JP7142377B2 (ko)
KR (1) KR102225917B1 (ko)
CN (1) CN112074211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0376U (ja) * 1994-06-14 1995-05-02 幸治 鬼池 姿勢矯正器具
KR20100116152A (ko) * 2010-10-11 2010-10-29 이요섭 사무용 복부받이 책상용 거치대
KR20140056482A (ko) 2012-10-26 2014-05-1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암 진단 및 치료용 유-무기 나노복합체
KR101546249B1 (ko) * 2014-11-17 2015-08-2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앉은 자세에 반응하는 엠비언트 미디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610917Y1 (ko) * 1967-12-23 1971-04-16
US4650249A (en) * 1984-12-31 1987-03-17 Hector Serber Ergonomic seating assembly system with front chest support component, pelvic tilt seat component and related attachments
LU87596A1 (de) * 1989-09-25 1991-05-07 Europ Communities Feststoff-sauerstoffsensor
US5542746A (en) * 1994-03-17 1996-08-06 Bujaryn; L. Walter Variable posture component system seating device
JP3015432U (ja) 1994-10-04 1995-09-05 良子 八田部 机用の近視防止バー
GB2395112B (en) * 2002-11-07 2005-06-08 James Kinsman Body stabiliser
CN2662735Y (zh) * 2003-11-20 2004-12-15 卢圣青 学生矫正器
CN200990874Y (zh) * 2006-12-07 2007-12-19 程鸿 头托
CN201452146U (zh) * 2009-04-04 2010-05-12 姜元孝 组合坐姿矫正器
CN201468490U (zh) * 2009-06-15 2010-05-19 施永祥 学生坐姿矫正器
CN201563960U (zh) * 2009-12-21 2010-09-01 黄新忠 一种书写坐姿矫正器
CN201718735U (zh) * 2010-04-09 2011-01-26 刘杰勇 姿势矫正装置以及电脑桌
KR20130007203A (ko) * 2011-06-30 2013-01-18 최재만 책상 탈부착 자세 교정용 받침대
US9226587B2 (en) * 2012-03-11 2016-01-05 Henry M. Halimi Portable personal support
KR20140093368A (ko) * 2013-01-16 2014-07-28 정진구 책상 앞 앉음 자세 교정구
KR101449665B1 (ko) 2013-04-19 2014-10-13 주식회사 천성그룹 책상용 자세 교정장치
CN105411220A (zh) * 2015-11-30 2016-03-23 李江涛 具有纠正坐姿功能的多功能桌椅
JP6550023B2 (ja) * 2016-09-02 2019-07-24 国立大学法人三重大学 姿勢保持装置
US9770110B1 (en) * 2017-01-06 2017-09-26 Joseph R. Biggs Head support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0376U (ja) * 1994-06-14 1995-05-02 幸治 鬼池 姿勢矯正器具
KR20100116152A (ko) * 2010-10-11 2010-10-29 이요섭 사무용 복부받이 책상용 거치대
KR20140056482A (ko) 2012-10-26 2014-05-1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암 진단 및 치료용 유-무기 나노복합체
KR101546249B1 (ko) * 2014-11-17 2015-08-2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앉은 자세에 반응하는 엠비언트 미디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074211A (zh) 2020-12-11
KR102225917B1 (ko) 2021-03-10
JP2021530254A (ja) 2021-11-11
JP7142377B2 (ja) 2022-09-27
US20210022503A1 (en) 2021-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61238T3 (es) Respaldo ajustable.
WO201805453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ergonomic chairs
US20130341980A1 (en) Customizable chair with multipoint adjustment
CN100502728C (zh) 一种矫姿保健坐椅
KR20160093231A (ko) 3d 스캐너와 3d 프린터를 이용한 척추 교정기구
KR20160096253A (ko) 분절 움직임이 가능한 척추 건강 의자
KR20200026494A (ko) 인터넷을 이용한 척추측만증 교정 솔루션 제공 방법
JP4642127B1 (ja) 首整体器具
CN200994588Y (zh) 一种矫姿保健坐椅
KR102225917B1 (ko) 자세 교정 장치
JP6003454B2 (ja) シート着座姿勢マネキン
KR101647461B1 (ko) 안장형 척추 건강 의자
KR100749454B1 (ko) 척추 및 목디스크 교정장치
KR102651179B1 (ko) 경량형 목 보조기 및 그 조정방법
KR101605830B1 (ko) 자세교정용 의자 보조기구
KR101187635B1 (ko) 골반 고정식 착석물
KR20160082334A (ko) 책상 부착용 자세교정 장치
EP3841922A1 (en) Posture correcting apparatus
KR20170068837A (ko) 척추부담을 줄인 자세교정기구
CN208909432U (zh) 多功能坐姿矫正二联垫
KR200474245Y1 (ko) 척추 교정과 허리 통증 완화용 받침대
KR102630274B1 (ko) 바른 자세 유지를 도와주는 자세교정의자
JPH0292353A (ja) 肋骨矯正装置
CN216318572U (zh) 胸腰椎爆裂骨折外固定术后体位垫
Hyeong et al. Development of Tilting Chair for Maintaining Working Position at Reclined Pos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