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1661A -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퇴비 제조시스템 - Google Patents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퇴비 제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1661A
KR20200021661A KR1020180097245A KR20180097245A KR20200021661A KR 20200021661 A KR20200021661 A KR 20200021661A KR 1020180097245 A KR1020180097245 A KR 1020180097245A KR 20180097245 A KR20180097245 A KR 20180097245A KR 20200021661 A KR20200021661 A KR 202000216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container
compressed
compos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7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2407B1 (ko
Inventor
주동규
Original Assignee
주동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규 filed Critical 주동규
Priority to KR1020180097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2407B1/ko
Publication of KR20200021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16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2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24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9/00Fertilisers from household or town refuse
    • C05F9/02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1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a roller co-operating with a stationary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28Details
    • B02C4/30Shape or construction of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1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 B30B9/14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operating with only one screw or worm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1/00Other organic fertilisers
    • C05F11/08Organic fertilisers containing added bacterial cultures, mycelia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90Apparatus therefor
    • C05F17/964Constructional parts, e.g. floors, covers or doors
    • C05F17/971Constructional parts, e.g. floors, covers or doors for feeding or discharging materials to be treated; for feeding or discharging other material
    • C05F17/986Constructional parts, e.g. floors, covers or doors for feeding or discharging materials to be treated; for feeding or discharging other material the other material being liquid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9/00Fertilisers from household or town refuse
    • C05F9/04Biological compos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입구에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기 전 1차 세척되고 투입구에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될 때 2차 세척되기 때문에 음식물쓰레기의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송압축스크류를 통해 음식물쓰레기가 압축 이송될 때 오수가 하수관을 통해 버려지며 압축 이송된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할 때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잔여수분이 탈수되며 분쇄된 음식물쓰레기에 미생물을 분사하고 톱밥을 공급하여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하여 퇴비를 제조함에 따라, 발생되는 악취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수거통측으로 수분이 전달되지 않아 제조된 퇴비에 수분이 포함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간단한 공정에 의해 친환경적인 퇴비가 제조될 수 있어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퇴비 제조에 따른 작업성은 물론 생산성과 작업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퇴비 제조시스템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퇴비 제조시스템{Compost manufacturing system used of food waste}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퇴비 제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투입구에 넣어진 음식물쓰레기를 이송 압축한 후 수분이 제거된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고 분쇄된 음식물쓰레기에 톱밥 및 미생물을 혼합하여 퇴비를 제조하도록 하여 친환경적인 퇴비 제조가 가능하고 버려지는 음식물쓰레기의 처리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한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퇴비 제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쓰레기의 재활용률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많은 음식물쓰레기가 매립 또는 소각 처리되고 있다.
그러나, 음식물쓰레기를 매립하고자 할 경우에는 매립지 선정의 어려움과 음식물쓰레기로부터 배출되는 폐수로 인해 매립지 주변 토양과 수질이 오염되는 현상이 발생됨은 물론 심한 악취가 유발되어 각 지역마다 매립지의 신설을 반대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음식물쓰레기를 소각하고자 할 경우에는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높은 수분 함량으로 인해 소각 시 과도한 연료비가 소요됨은 물론 음식물쓰레기를 소각할 때 불완전 연소로 인해 다이옥신과 같은 암발생물질이 발생되어 주변 지역 주민들로부터 쓰레기소각장에 대한 항의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으며 쓰레기소각장의 신설이 매우 어려워 심각한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하여 퇴비를 제조하는 기술들이 다양하게 안출되고 있다.
일예로, 등록특허 제10-1226987호인 코코넛 필렛을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퇴비 제조시스템이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받침대로써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고 하단에 투입 호퍼가 구비된 컨베이어프레임상에 장착되는 구동모터로써 이송 가능하게 장착되어 코코넛 필렛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컨베이어로 이루어진 코코넛필렛공급장치, 상기 공급컨베이어 상단 하부 영역의 받침대 상에 장착된 코코넛필렛공급호퍼와, 상기 코코넛필렛공급호퍼 상부 영역에 장착되어 코코넛 필렛을 분말로 분쇄하기 위한 코코넛필렛분쇄수단으로 이루어진 코코넛분쇄장치, 상기 코코넛필렛분쇄수단에서 분쇄된 코코넛분말을 공급받아 보관하여 코코넛분말 및 침출수혼합장치로 공급하기 위한 분말코코넛공급장치, 상기 분말코코넛공급장치와 연결되어 코코넛분말이 공급되고 음식물쓰레기의 처리시 발생되는 침출수를 공급받아 내부에서 혼합시켜 반죽 혼합물을 생성하기 위한 코코넛분말 및 침출수혼합장치, 상기 코코넛분말 및 침출수혼합장치에서 생성된 반죽 혼합물을 공급받아 히팅시켜 필렛 분말을 살균하고 침출수를 건조시켜 함수율을 낮추기 위한 혼합물히팅장치, 상기 혼합물히팅장치의 하부 영역과 연통되게 구비된 혼합물공급수단으로써 반죽 혼합물을 공급받아 교반하기 위해 받침대로써 지지된 혼합물교반호퍼와, 상기 혼합물교반호퍼 하부 영역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공급되는 반죽 혼합물을 교반하기 위한 혼합물교반수단으로 이루어진 1차혼합물교반장치, 상기 혼합물교반호퍼의 배출관과 연통 되게 구비되어 반죽 혼합물을 2차로 교반하여 외부로 배출공급하기 위한 2차혼합물교반장치, 상기 2차혼합물교반장치와 근접되게 받침대로써 설치된 컨베이어프레임에 장착되는 구동모터로써 이송 가능하게 장착되어 반죽 혼합물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컨베이어로 이루어진 혼합물이송장치 및 상기 이송컨베이어 하부 영역에 구비되어 공급된 반죽 혼합물을 상승 공급하기 위한 혼합물상승공급수단이 구비된 혼합물저장탱크와, 상기 혼합물저장탱크 하단에 연통 되게 구비되어 혼합물을 외부로 공급하기 위한 혼합물배출수단과, 상기 혼합물배출수단과 연통 되게 구비되어 혼합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혼합물외부배출수단으로 이루어진 혼합물외부배출장치로 구성되어 제어장치로써 전체적인 동작이 제어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코코넛 펠렛을 분쇄한 코코넛 펠렛 분말을 혼합한 후 여러 장치들에 의해 냄새를 제거하고 위생적인 퇴비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구성이 복잡하게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여러 장치들을 설치하는데 따른 설치비용에 큰 부담을 갖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여러 장치들을 거쳐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하여 퇴비를 제조하기 때문에 작업공정이 복잡하여 퇴비 제조에 따른 생산성 및 작업성은 물론 작업효율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코코넛 필렛을 이용하기 때문에 코코넛 필렛을 구입해야 하는 문제점은 물론, 비용이 추가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226987호(2013.01.22. 등록) 특허문헌 2 :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105731호(2012.01.06. 등록)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를 이송 압축하여 수분을 제거한 후 분쇄하여 톱밥과 미생물을 혼합하여 퇴비를 제조하도록 함에 따라 공정의 단순화는 물론 설치비용에 큰 부담을 갖지 않으며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퇴비 제조 시 생산성은 물론 작업성과 작업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퇴비 제조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퇴비 제조시스템은,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구와; 투입구에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이송 압축하고 투입호퍼를 갖는 압축이송스크류와; 압축이송된 음식물쓰레기가 수거되는 수거통으로 이루어지는 퇴비 제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압축이송스크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되어 음식물쓰레기를 압축 이송하도록 상기 모터와 연결되는 스크류축을 포함하고, 상기 압축이송스크류의 둘레부에는 상기 압축이송스크류를 통해 음식물쓰레기가 압축 이송될 때 음식물쓰레기가 탈수되는 과정에서 배출되는 오수가 배출되는 오수배출망이 구비되고, 상기 오수배출망의 하부에는 하수관과 연결되어 오수배출망을 통해 배출되는 오수가 담아져 연결된 하수관으로 버려지는 오수받이구가 구비되며, 상기 압축이송스크류의 스크류축 선단에는, 압축이송스크류에 의해 압축 이송되어 압축 탈수된 음식물쓰레기가 분쇄되는 분쇄기가 구비되며, 제어구와; 상기 제어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에어공급유니트와; 상기 에어공급유니트에 에어를 공급하는 콤프레셔와; 상기 에어공급유니트와 연결되는 벤츄리밸브가 하부에 구비되고 톱밥이 저장되는 톱밥탱크와; 상기 벤츄리밸브와 연결되고 상기 수거통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탈수 분쇄된 음식물쓰레기가 수거되는 수거통 내부로 상기 톱밥탱크에 저장된 톱밥을 공급하는 톱밥공급관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수거통의 하부에는 수거통을 받쳐주고 상기 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수거통에 수거된 음식물쓰레기의 중량값을 감지하여 설정된 중량값에 도달하면 상기 모터를 정지하여 상기 스크류축의 회전을 정지시켜 수거통 내부로 음식물쓰레기가 낙하되는 것을 차단하는 전자저울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콤프레셔와 연결되는 미생물분사전자변이 구비되고 미생물이 저장되는 미생물탱크와; 상기 미생물탱크와 연결되는 압력조절밸브와; 상기 압력조절밸브와 연결되고 상기 수거통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수거통으로 낙하되어 수거되는 탈수 분쇄된 음식물쓰레기에 미생물을 분사하는 미생물분사노즐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분쇄기는, 상기 스크류축으로부터 연장되는 분쇄회전부와; 상기 분쇄회전부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구비되되 끝단에 테이퍼진 경사면을 갖는 회전분쇄날부와; 상기 회전분쇄날부와 대응되게 위치되는 고정분쇄날부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투입구에는 투입된 음식물쓰레기에 물을 분사하여 음식물쓰레기를 1차세척하는 제1물분사노즐이 구비되고 상기 제1물분사노즐을 통해 물이 분사되도록 제어하는 제1물분사전자변이 구비되며, 상기 압축이송스크류의 투입호퍼 상부에는 투입호퍼에 투입되어 압축이송스크류 내부로 유입되는 음식물쓰레기를 2차세척하는 제2물분사노즐이 구비되고 상기 제2물분사노즐을 통해 물이 분사되도록 제어하는 제2물분사전자변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투입구에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기 전 1차 세척되고 투입구에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될 때 2차 세척되기 때문에 음식물쓰레기의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송압축스크류를 통해 음식물쓰레기가 압축 이송될 때 오수가 하수관을 통해 버려지며 압축 이송된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할 때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잔여수분이 탈수되며 분쇄된 음식물쓰레기에 미생물을 분사하고 톱밥을 공급하여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하여 퇴비를 제조함에 따라, 발생되는 악취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수거통측으로 수분이 전달되지 않아 제조된 퇴비에 수분이 포함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간단한 공정에 의해 친환경적인 퇴비가 제조될 수 있어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퇴비 제조에 따른 작업성은 물론 생산성과 작업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퇴비 제조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분 확대 정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의 'A'부분 확대 측면 구성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퇴비 제조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구(10)와, 투입구(10)에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이송 압축하고 투입호퍼(21)를 갖는 압축이송스크류(20)와, 압축이송된 음식물쓰레기가 수거되는 수거통(30)으로 이루어지는 퇴비 제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압축이송스크류(20)는, 모터(22)와, 상기 모터(22)의 동력에 의해 회전되어 음식물쓰레기를 압축 이송하도록 상기 모터(22)와 연결되는 스크류축(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투입구(10)에 투입된 음식물쓰레기가 상기 투입호퍼(21)를 통해 압축이송스크류(20)측으로 유입되면 상기 모터(22)의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스크류축(23)의 회전에 의해 상기 음식물쓰레기가 압축이송스크류(20)의 선단측으로 압축되면서 이송된다.
이때, 상기 압축이송스크류(20)의 둘레부에는 오수배출망(40)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압축이송스크류(20)를 통해 음식물쓰레기가 압축 이송될 때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되는 수분이 탈수되는 바, 이와 같이 음식물쓰레기가 탈수되는 과정에서 배출되는 오수가 상기 오수배출망(40)을 통해 배출되어 압축이송스크류(20) 선단측으로 갈수록 음식물쓰레기에 수분이 잔류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오수배출망(40)의 하부에는 하수관(51)과 연결되어 상기 오수배출망(40)을 통해 배출되는 오수가 담아져 연결된 하수관으로 버려지는 오수받이구(5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오수배출망(40)은 상기 음식물쓰레기가 탈수되는 과정에서 수분이 상기 오수받이구(50)측으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해 복수개 타공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음식물쓰레기가 탈수되는 과정에서 배출되는 오수가 상기 오수배출망(40)을 통해 배출되어 상기 오수받이구(50)측으로 낙하되고 낙하된 오수는 상기 오수받이구(50)와 연결되는 하수관(51)을 통해 버려지기 때문에 상기 압축이송스크류(20) 선단측으로 갈수록 음식물쓰레기에 수분이 잔류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오수에 의한 악취 발생을 최소화한다.
또한, 상기 투입구(10)에는 투입된 음식물쓰레기에 물을 분사하여 음식물쓰레기를 1차세척하는 제1물분사노즐(11)이 구비되고 상기 제1물분사노즐(11)을 통해 물이 분사되도록 제어하는 제1물분사전자변(12)이 구비되며, 상기 압축이송스크류(20)의 투입호퍼(21) 상부에는 상기 투입호퍼(21)에 투입되어 압축이송스크류(20) 내부로 유입되는 음식물쓰레기를 2차세척하는 제2물분사노즐(13)이 구비되고 상기 제2물분사노즐(13)을 통해 물이 분사되도록 제어하는 제2물분사전자변(14)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1물분사노즐(11)과 제2물분사노즐(13)을 통해 분사가 이루어지는 물은 예컨대, 상수돗물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이를 위해 상기 제1물분사전자변(12)과 제2물분사전자변(14)은 상수도관과 연결된다.
이와 같이, 상기 압축이송스크류(20)측으로 음식물쓰레기가 유입되어 압축이송스크류(20)의 선단측으로 압축이송되기 전, 상기 제1물분사노즐(11)에 의해 1차적으로 세척되고 상기 제2물분사노즐(13)에 의해 2차적으로 세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음식물쓰레기의 오염을 방지함은 물론 음식물쓰레기의 탈수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수에 의한 악취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압축이송스크류(20)에 의해 압축이송되는 음식물쓰레기는 분쇄기(60)에 의해 탈수분쇄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상기 압축이송스크류(20)의 스크류축(23) 선단에는, 압축이송스크류(20)에 의해 압축 이송되어 압축 탈수된 음식물쓰레기가 분쇄되는 분쇄기(6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상기 분쇄기(60)는, 상기 스크류축(23)으로부터 연장되는 분쇄회전부(61)와, 상기 분쇄회전부(61)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구비되되 끝단에 테이퍼진 경사면(62)을 갖는 회전분쇄날부(63)와, 상기 회전분쇄날부(63)와 대응되게 위치되는 고정분쇄날부(64)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분쇄기(60)측으로 음식물쓰레기가 압축이송되면 음식물쓰레기가 상기 회전분쇄날부(63)와 고정분쇄날부(64) 사이에 위치되는 바, 상기 스크류축(23)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분쇄회전부(61)에 의해 상기 회전분쇄날부(63)가 회전되면서 상기 회전분쇄날부(63)와 고정분쇄날부(64) 사이에 위치된 음식물쓰레기가 분쇄된다.
또한, 분쇄기(60)를 통해 음식물쓰레기가 분쇄되는 과정에서 음식물쓰레기에 잔류하는 수분이 탈수되어 상기 오수배출망(40)을 통해 오수받이구(50)측으로 버려지기 때문에 상기 수거통(30)측으로 수거되는 음식물쓰레기의 수분이 완전히 제거된 상태로 수거통(30) 내부로 수거된다.
이와 같이 수분이 완전히 제거된 음식물쓰레기가 수거된 수거통(30)의 내부에 톱밥을 공급하여 퇴비화 진행하면 되는 것으로,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제어구(70)와, 상기 제어구(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에어공급유니트(71)와, 상기 에어공급유니트(71)에 에어를 공급하는 콤프레셔(72)와, 상기 에어공급유니트(71)와 연결되는 벤츄리밸브(81)가 하부에 구비되고 톱밥이 저장되는 톱밥탱크(82)와, 상기 벤츄리밸브(81)와 연결되고 상기 수거통(30)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탈수 분쇄된 음식물쓰레기가 수거되는 상기 수거통(30) 내부로 상기 톱밥탱크(82)에 저장된 톱밥을 공급하는 톱밥공급관(83)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상기 수거통(30) 내부에 음식물쓰레기가 수거되면 상기 톱밥탱크(82)에 저장된 톱밥이 톱밥공급관(83)을 통해 수거통(30) 내부로 공급되어 퇴비화가 진행된다.
상기 톱밥탱크(82)에 저장된 톱밥은, 상기 콤프레셔(72)에 의해 생성된 에어가 상기 에어공급유니트(71)로 전달되고 상기 에어공급유니트(71)에 전달된 에어가 상기 벤츄리밸브(81)에 전달되어 벤츄리밸브(81)가 개방되면서 전달되는 에어에 의해 상기 톱밥공급관(83)을 통해 톱밥이 수거통(30)측으로 공급된다.
물론, 상기 에어공급유니트(71)가 상기 제어구(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어구(70)의 제어동작에 의해 상기 에어공급유니트(71)에 상기 콤프레셔(72)에 의해 생성된 에어가 전달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콤프레셔(72)와 연결되는 미생물분사전자변(84)이 구비되고 미생물이 저장되는 미생물탱크(85)와, 상기 미생물탱크(85)와 연결되는 압력조절밸브(86)와, 상기 압력조절밸브(86)와 연결되고 상기 수거통(30)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수거통(30)으로 낙하되어 수거되는 탈수 분쇄된 음식물쓰레기에 미생물을 분사하는 미생물분사노즐(87)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상기 수거통(30)의 내부로 상기 미생물분사노즐(87)에 의해 미생물이 분사되는 것으로, 상기 미생물탱크(85)에는 미생물과 물이 혼합되어 저장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물과 같이 혼합된 미생물이 상기 미생물분사노즐(87)을 통해 수거통(30) 내부로 분사되어 공급되기 때문에 음식물쓰레기의 퇴비화 과정에서의 오염을 방지함은 물론 멸균처리가 가능하여 친환경적인 퇴비 제조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상기 수거통(30)의 하부에는 수거통(30)을 받쳐주는 전자저울(90)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전자저울(90)은 상기 모터(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수거통(30)에 수거된 음식물쓰레기의 중량값을 감지하여 설정된 중량값에 도달하면 상기 모터(22)를 정지하여 상기 압축이송스크류(20)의 스크류축(23) 회전을 정지시켜 수거통(30) 내부로 음식물쓰레기가 낙하되는 것을 차단한다.
물론, 상기 모터(22) 역시 상기 제어구(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제어구(70)의 제어동작에 의해 모터(22)의 작동이 제어되는 것으로, 이에 따라 상기 전자저울(90)에서 추가되는 중량값에 의해 상기 모터(22)와 에어공급유니트(71)의 동작을 제어하여 톱밥과 미생물을 수거통(30) 내부로 적당량 투입할 수 있다.
또한, 압축이송스크류(20) 동작 전 전자저울(90)을 이용하여 수거통(30)의 무게와 수거통(30)에 음식물쓰레기가 수거된 후의 무게를 각각 측정한 후 측정된 중량값을 계산하여 미생물과 톱밥의 공급량을 음식물쓰레기와 비례하여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저울(90) 역시 상기 제어구(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수거통(30)의 중량이 설정값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제어구(70)에 의해 상기 수거통(30)을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라는 경고 또는 알람을 송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어구(70)는 유무선통신에 의해 작업자 또는 관리자 단말기로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관리자 또는 작업자가 원거리에서 원격으로 제어구(70)에 의해 실시간으로 퇴비화 공정을 운전, 제어 감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투입구 11 : 제1물분사노즐
12 : 제1물분사전자변 13 : 제2물분사노즐
14 : 제2물분사전자변 20 : 압축이송스크류
21 : 투입호퍼 22 : 모터
23 : 스크류축 30 : 수거통
40 : 오수배출망 50 : 오수받이구
51 : 하수관 60 : 분쇄기
61 : 분쇄회전부 62 : 경사면
63 : 회전분쇄날부 64 : 고정분쇄날부
70 : 제어구 71 : 에어공급유니트
72 : 콤프레셔 81 : 밴츄리밸브
82 : 톱밥탱크 83 : 톱밥공급관
84 : 미생물분사전자변 85 : 미생물탱크
86 : 압력조절밸브 87 : 미생물분사노즐
90 : 전자저울

Claims (5)

  1.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구(10)와;
    투입구(10)에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이송 압축하고 투입호퍼(21)를 갖는 압축이송스크류(20)와;
    압축이송된 음식물쓰레기가 수거되는 수거통(30)으로 이루어지는 퇴비 제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압축이송스크류(20)는,
    모터(22)와;
    상기 모터(22)의 동력에 의해 회전되어 음식물쓰레기를 압축 이송하도록 상기 모터(22)와 연결되는 스크류축(23)을 포함하고,
    상기 압축이송스크류(20)의 둘레부에는 상기 압축이송스크류(20)를 통해 음식물쓰레기가 압축 이송될 때 음식물쓰레기가 탈수되는 과정에서 배출되는 오수가 배출되는 오수배출망(40)이 구비되고,
    상기 오수배출망(40)의 하부에는 하수관(51)과 연결되어 상기 오수배출망(40)을 통해 배출되는 오수가 담아져 연결된 하수관으로 버려지는 오수받이구(50)가 구비되며,
    상기 압축이송스크류(20)의 스크류축(23) 선단에는,
    압축이송스크류(20)에 의해 압축 이송되어 압축 탈수된 음식물쓰레기가 분쇄되는 분쇄기(60)가 구비되며,
    제어구(70)와;
    상기 제어구(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에어공급유니트(71)와;
    상기 에어공급유니트(71)에 에어를 공급하는 콤프레셔(72)와;
    상기 에어공급유니트(71)와 연결되는 벤츄리밸브(81)가 하부에 구비되고 톱밥이 저장되는 톱밥탱크(82)와;
    상기 벤츄리밸브(81)와 연결되고 상기 수거통(30)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탈수 분쇄된 음식물쓰레기가 수거되는 상기 수거통(30) 내부로 상기 톱밥탱크(82)에 저장된 톱밥을 공급하는 톱밥공급관(83)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퇴비 제조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통(30)의 하부에는,
    상기 수거통(30)을 받쳐주고 상기 모터(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수거통(30)에 수거된 음식물쓰레기의 중량값을 감지하여 설정된 중량값에 도달하면 상기 모터(22)를 정지하여 상기 압축이송스크류(20)의 스크류축(23) 회전을 정지시켜 수거통(30) 내부로 음식물쓰레기가 낙하되는 것을 차단하는 전자저울(90)이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퇴비 제조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콤프레셔(72)와 연결되는 미생물분사전자변(84)이 구비되고 미생물이 저장되는 미생물탱크(85)와;
    상기 미생물탱크(85)와 연결되는 압력조절밸브(86)와;
    상기 압력조절밸브(86)와 연결되고 상기 수거통(30)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수거통(30)으로 낙하되어 수거되는 탈수 분쇄된 음식물쓰레기에 미생물을 분사하는 미생물분사노즐(87)이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퇴비 제조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기(60)는,
    상기 스크류축(23)으로부터 연장되는 분쇄회전부(61)와;
    상기 분쇄회전부(61)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구비되되 끝단에 테이퍼진 경사면(62)을 갖는 회전분쇄날부(63)와;
    상기 회전분쇄날부(63)와 대응되게 위치되는 고정분쇄날부(64)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퇴비 제조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10)에는 투입된 음식물쓰레기에 물을 분사하여 음식물쓰레기를 1차세척하는 제1물분사노즐(11)이 구비되고 상기 제1물분사노즐(11)을 통해 물이 분사되도록 제어하는 제1물분사전자변(12)이 구비되며,
    상기 압축이송스크류(20)의 투입호퍼(21) 상부에는 상기 투입호퍼(21)에 투입되어 압축이송스크류(20) 내부로 유입되는 음식물쓰레기를 2차세척하는 제2물분사노즐(13)이 구비되고 상기 제2물분사노즐(13)을 통해 물이 분사되도록 제어하는 제2물분사전자변(14)이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퇴비 제조시스템.
KR1020180097245A 2018-08-21 2018-08-21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퇴비 제조시스템 KR102112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245A KR102112407B1 (ko) 2018-08-21 2018-08-21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퇴비 제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245A KR102112407B1 (ko) 2018-08-21 2018-08-21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퇴비 제조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1661A true KR20200021661A (ko) 2020-03-02
KR102112407B1 KR102112407B1 (ko) 2020-05-18

Family

ID=69805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7245A KR102112407B1 (ko) 2018-08-21 2018-08-21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퇴비 제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24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71986A (zh) * 2021-01-21 2021-06-01 张玉琴 一种厨余垃圾压缩及水油分离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1289A (ko) * 2000-09-14 2002-03-20 김원중 음식물 쓰레기와 축산폐수의 혼합처리 방법
KR20110065781A (ko) * 2009-12-10 2011-06-16 주식회사 대경테크노 2중 스크류 구조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105731B1 (ko) 2009-07-11 2012-01-13 천호산업(주) 일체형 음식물쓰레기 퇴비화 시스템
KR101226987B1 (ko) 2012-06-07 2013-01-29 조건희 코코넛 필렛을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퇴비 제조시스템
KR20150054408A (ko) * 2013-11-12 2015-05-20 김태완 음식물쓰레기의 유기농 비료화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1289A (ko) * 2000-09-14 2002-03-20 김원중 음식물 쓰레기와 축산폐수의 혼합처리 방법
KR101105731B1 (ko) 2009-07-11 2012-01-13 천호산업(주) 일체형 음식물쓰레기 퇴비화 시스템
KR20110065781A (ko) * 2009-12-10 2011-06-16 주식회사 대경테크노 2중 스크류 구조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226987B1 (ko) 2012-06-07 2013-01-29 조건희 코코넛 필렛을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퇴비 제조시스템
KR20150054408A (ko) * 2013-11-12 2015-05-20 김태완 음식물쓰레기의 유기농 비료화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71986A (zh) * 2021-01-21 2021-06-01 张玉琴 一种厨余垃圾压缩及水油分离设备
CN112871986B (zh) * 2021-01-21 2022-04-12 浙江小麦控股有限公司 一种厨余垃圾压缩及水油分离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2407B1 (ko) 2020-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143552B (zh) 厨余垃圾资源化无害化综合处理方法
CN211005156U (zh) 一种厨余垃圾综合处理设备
JP2009172457A (ja) 生ゴミ分別処理システム
KR20140006897A (ko) 퇴비화 기계장치
KR20180028347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599989B1 (ko) 슬러지 발효 건조장치
CN108126973B (zh) 一种餐厨垃圾的一体化破碎处理方法
KR20020015759A (ko) 하수/폐수 슬러지 및 가연성 폐기물과 음식물쓰레기건조물을 이용한 고체연료 제조방법
KR20200021661A (ko)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퇴비 제조시스템
KR100811437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379120B1 (ko) 고온 고압의 공기를 이용한 고형물 처리 시스템
KR200432685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00122622A (ko) 석회처리 비료 제조장치 및 방법
CN103551367B (zh) 城市生活垃圾综合处理方法
CN203091402U (zh) 生活垃圾综合处理制碳棒系统
JP2007185568A (ja) 生ごみリサイクル方法およびその設備
KR101634977B1 (ko) 축분 연료화 시스템
JP2008086915A (ja) 生ゴミ処理装置
KR101248888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CN101596540A (zh) 有机物质膨化处理装置
CN201399463Y (zh) 有机物质膨化处理装置
KR200422461Y1 (ko) 식품폐기물 탈수장치
CN108126972B (zh) 一种餐厨垃圾的一体化破碎处理装置
KR19990084655A (ko) 음식물 찌꺼기를 이용한 사료 제조장치
CN208728296U (zh) 一种有机废弃物回收循环利用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