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1168A - 방제 보트 - Google Patents

방제 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1168A
KR20200021168A KR1020180096582A KR20180096582A KR20200021168A KR 20200021168 A KR20200021168 A KR 20200021168A KR 1020180096582 A KR1020180096582 A KR 1020180096582A KR 20180096582 A KR20180096582 A KR 20180096582A KR 20200021168 A KR20200021168 A KR 202000211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ain body
control
propeller
contro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6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2840B1 (ko
Inventor
정경수
Original Assignee
(유)광원농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광원농기계 filed Critical (유)광원농기계
Priority to KR1020180096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2840B1/ko
Publication of KR20200021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1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2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2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48Steering or slowing-down by deflection of propeller slipstream otherwise than by rud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7/00Propulsion directly actuated on air
    • B63H7/02Propulsion directly actuated on air using 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035/006Unmanned surface vessels, e.g. remotely controlled
    • B63B2035/008Unmanned surface vessels, e.g. remotely controlled remotely control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02Initiating means for steering, for slowing 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or for dynamic anchoring
    • B63H2025/028Initiating means for steering, for slowing 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or for dynamic anchoring using remote control means, e.g. wireless contro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물이 채워진 장소에 대한 방제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방제 보트를 제공한다. 여기서, 방제 보트는 본체부, 제1동력발생부, 수용부, 펌프부, 프로펠러부, 방향조절부, 추력발생부, 중계부 그리고 컨트롤러부를 포함한다. 본체부는 물이 채워진 논에서 주행하며, 제1동력발생부는 본체부에 구비되고 동력을 발생시킨다. 수용부는 본체부에 구비되고 약제가 수용된다. 펌프부는 본체부에 구비되고, 제1동력발생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수용부에 수용된 약제를 배출튜브를 통해 논에 배출시킨다. 프로펠러부는 본체부에 구비되고, 제1동력발생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송풍력을 발생시킨다. 방향조절부는 본체부에 구비되고, 프로펠러부로부터 발생되는 송풍 방향을 조절하여 본체부의 주행방향이 조절되도록 한다. 추력발생부는 방향조절부의 상부에 구비되고, 프로펠러부로부터 발생되는 송풍 방향을 하측으로 안내하여 추력이 발생되도록 한다. 중계부는 본체부에 구비되고, 제1동력발생부 및 방향조절부의 작동을 제어한다. 컨트롤러부는 중계부와 무선 통신하면서 제1동력발생부 및 방향조절부의 작동을 제어한다.

Description

방제 보트{BOAT FOR CONTROLLING PEST}
본 발명은 방제 보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이 채워진 장소에 대한 방제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방제 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논에 모를 심기 전이나, 논에 모를 심은 후 일정 기간 때까지 벼의 성장을 촉진시키고 각종 병충해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 농약 및 제초제 등과 같은 약제를 사용하여 방제작업을 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방제작업은 작업자가 농약 살포기나 제초제 살포기를 짊어지고 논 전체에 직접 살포해야 하므로 노동력이 많이 소용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199625호에는 농약 살포기가 개시된다. 위 문헌에 개시되는 농약 살포기는 부피가 크고 숙련자에 의해 운전되어야 하며, 작동을 위해서는 비용이 많이 소요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조작이 간단하고, 적은 비용이 소요되면서도 물이 채워진 장소에 대한 방제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0199625호(2000.08.03. 등록)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물이 채워진 장소에 대한 방제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방제 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물이 채워진 논에서 주행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고, 동력을 발생시키는 제1동력발생부;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고, 약제가 수용되는 수용부;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동력발생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약제를 배출튜브를 통해 상기 논에 배출시키는 펌프부;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동력발생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프로펠러부;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고, 상기 프로펠러부로부터 발생되는 송풍 방향을 조절하여 상기 본체부의 주행방향이 조절되도록 하는 방향조절부; 상기 방향조절부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프로펠러부로부터 발생되는 송풍 방향을 하측으로 안내하여 추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추력발생부;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동력발생부 및 상기 방향조절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중계부; 그리고 상기 중계부와 무선 통신하면서 상기 제1동력발생부 및 상기 방향조절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부를 포함하는 방제 보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향조절부는 상기 프로펠러부의 후방에 서로 이격되어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수직지지프레임 및 상기 수직지지프레임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수평지지프레임을 가지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수평지지프레임을 관통하여 서로 이격되어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 수직고정프레임과, 상기 수직고정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의 좌우 이동방향을 조절하는 조절판과, 상기 수평지지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수평지지프레임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구동축을 가지는 제2동력발생부와, 양단부가 각각 상기 조절판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수평하게 구비되는 연결레버 및 상기 수평지지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되, 일단부는 상기 구동축과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연결레버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구동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연결레버를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켜 상기 조절판을 회전시키는 조향레버를 가지는 조향링크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추력발생부는 하단부가 상기 수직고정프레임의 상단부와 힌지축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단부가 상기 프로펠러부와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회전하는 회전프레임과, 상기 회전프레임의 상단부를 연결하고, 상기 프로펠러부에서 분사되는 송풍흐름을 안내하는 제1블레이드와, 상기 제1블레이드의 하측에 상기 제1블레이드와 평행하게 이격되도록 회전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제1블레이드와 함께 송풍흐름을 안내하는 제2블레이드를 가지고, 상기 회전프레임의 하단부에는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동일한 반경을 가지도록 슬릿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프레임의 회전각도가 구속되도록 상기 수직고정프레임의 상단부에는 상기 슬릿을 관통하여 결합구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부는 상기 중계부를 통해 상기 제2동력발생부를 제어하여 상기 조향링크와 연결되는 상기 조절판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제1조절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는 수용되는 상기 약제의 수위를 센싱하는 제1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컨트롤러부는 상기 제1센서에서 센싱되는 상기 약제의 수위정보가 상기 중계부를 통해 전달되면 표시하는 표시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부는 상기 중계부를 통해 상기 제1동력발생부의 온/오프를 제어하여 상기 약제의 배출 여부를 조절하는 제2조절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부는 상기 중계부를 통해 상기 제1동력발생부의 출력을 제어하여 상기 약제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제3조절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본체부의 주행 속도를 센싱하는 제2센서와, 상기 배출튜브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약제의 배출량을 센싱하는 제3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컨트롤러부는 상기 본체부의 주행 속도에 따른 상기 약제의 배출량의 정보가 저장된 상관데이터 테이블과, 상기 상관데이터 테이블을 참고하여 상기 제2센서에서 센싱되는 상기 본체부의 주행 속도에 대응되어 상기 약제가 미리 설정된 양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약제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조절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방제 보트를 무선으로 조정함으로써 물이 채워진 장소에 대한 방제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콘트롤러부를 조작하여 약제의 배출량을 수동 조절하거나, 방제 보트의 주행 속도에 따라 약제의 배출량이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선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논의 상태 등에 따라 적절하게 약제의 배출량이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제 보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제 보트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제 보트의 컨트롤러부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제 보트의 방향조절부 및 추력발생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제 보트의 방향조절부 및 추력발생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정면예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A”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제 보트의 추력발생부의 작동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제 보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제 보트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제 보트의 컨트롤러부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방제 보트는 본체부(100), 제1동력발생부(200), 수용부(300), 펌프부(400), 프로펠러부(500), 방향조절부(600), 추력발생부(700), 중계부(800) 그리고 컨트롤러부(9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00)는 방제 보트의 몸체를 형성할 수 있다. 본체부(100)는 바닥이 편평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물이 얕게 채워진 논에서도 안정적으로 주행할 수 있다.
본체부(100)의 상부에는 제1장착부(110), 제2장착부(120) 및 제3장착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100)는 섬유강화플라스틱(FRP)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장착부(110), 제2장착부(120) 및 제3장착부(130)는 본체부(100)의 성형 시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방제 보트를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본체부(100)의 상부에는 손잡이(141)가 구비될 수 있다.
제1동력발생부(200)는 본체부(100)의 제3장착부(130)에 구비될 수 있다. 제3장착부(130)에는 설치프레임(140)이 마련될 수 있으며, 제1동력발생부(200)는 설치프레임(14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제1동력발생부(200)는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1동력발생부(200)는 모터일 수 있으며, 설치프레임(140)의 상부에 구비되는 연료탱크(210)와 연결되어 연료탱크(210)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을 수 있다.
수용부(300)는 본체부(100)의 제1장착부(110)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장착부(110)는 함몰 형성될 수 있으며, 수용부(300)는 제1장착부(110)에 수용될 수 있다.
수용부(300)에는 약제가 수용될 수 있으며, 수용부(300)에는 약제의 투입이 용이하도록 뚜껑(301)이 결합될 수 있다. 수용부(300)에 수용되는 약제는 농약, 제초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수용부(300)에는 제1센서(310), 조절밸브(320) 및 공급튜브(330)가 구비될 수 있다.
제1센서(310)는 수용부(300)에 수용되는 약제의 수위를 센싱할 수 있다. 제1센서(310)는 수위센서일 수 있다.
공급튜브(330)를 통해서는 수용부(300)에 수용된 약제가 배출될 수 있으며, 조절밸브(320)는 공급튜브(330)를 통해 배출되는 약제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펌프부(400)는 본체부(100)의 제3장착부(130)에 구비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설치프레임(140)의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설치프레임(140)의 상부에 제1동력발생부(200) 및 연료탱크(210)가 마련되고, 설치프레임(140)의 하측에 펌프부(400)가 마련되도록 함으로써, 필요한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방제 보트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다.
펌프부(400)에는 공급튜브(330)가 연결될 수 있다. 펌프부(400)는 제1동력발생부(20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작동할 수 있으며, 수용부(300)에 수용된 약제는 공급튜브(330)를 통해 펌프부(400)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펌프부(400)에는 배출튜브(450)가 연결될 수 있다. 배출튜브(450)는 본체부(100)의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펌프부(400)에 의해 배출되는 약제를 배출시킬 수 있다. 배출튜브(450)는 본체부(100)의 후단부보다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기 때문에, 배출튜브(450)에서 배출되는 약제는 방제 보트가 주행하는 장소(예를 들면, 논)에 안정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배출튜브(450)는 베이스프레임(613)의 하부와 본체부(100)의 상부 사이에 구비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프로펠러부(500)는 본체부(100)의 제3장착부(130)에 구비될 수 있으며, 본체부(100)의 주행방향을 기준으로 제1동력발생부(200)의 후방에 구비될 수 있다.
프로펠러부(500)는 프로펠러(510) 및 보호커버(520)를 가질 수 있다.
프로펠러(510)는 제1동력발생부(20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송풍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보호커버(520)는 프로펠러(510)를 내측에 수용하여 외부로부터 프로펠러(510)를 보호하고, 회전하는 프로펠러(510)로부터 사용자에 안전을 제공할 수 있다.
방향조절부(600)는 본체부(100)의 제3장착부(130)에 구비될 수 있으며, 본체부(100)의 주행방향을 기준으로 프로펠러부(500)의 후방에 구비될 수 있다.
방향조절부(600)는 프로펠러부(500)에서 발생되는 송풍 방향을 조절하여 본체부(100)의 주행방향이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추력발생부(700)는 방향조절부(60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프로펠러부(500)에서 발생되는 송풍 방향을 하측으로 안내하여 추력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제 보트의 방향조절부 및 추력발생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제 보트의 방향조절부 및 추력발생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정면예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A”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제 보트의 추력발생부의 작동예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방향조절부(600)는 지지프레임(610), 수직고정프레임(620), 조절판(630), 제2동력발생부(640) 및 조향링크(650)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지지프레임(610)은 수직지지프레임(611) 및 수평지지프레임(612)을 가질 수 있다.
수직지지프레임(611)은 본체부(10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프로펠러부(500)의 후방에 구비될 수 있다. 수직지지프레임(611)은 서로 이격되어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610)은 본체부(100)의 상부에 구비되는 베이스프레임(613)을 더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수직지지프레임(611)은 베이스프레임(613)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수평지지프레임(612)은 수직지지프레임(611)의 상단부를 연결할 수 있으며, 수평하게 구비될 수 있다.
수직고정프레임(620)은 본체부(100)의 상부에 수직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수평지지프레임(612)을 관통하여 구비될 수 있다. 수직고정프레임(620)은 서로 이격되어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수직고정프레임(620)의 상단부에는 제1관통공(621) 및 제2관통공(622)이 형성될 수 있다.
조절판(630)은 수직고정프레임(62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조절판(630)은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2동력발생부(640)는 수평지지프레임(612)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제2동력발생부(640)는 구동축(641)을 가질 수 있으며, 구동축(641)은 수평지지프레임(612)을 관통하여 구비될 수 있다.
조향링크(650)는 연결레버(651) 및 조향레버(653)를 가질 수 있다.
연결레버(651)는 한 쌍의 조절판(630)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조절판(630)에는 서로 대향되도록 지지플랜지(652)가 구비될 수 있으며, 연결레버(651)의 양단부는 각각 지지플랜지(65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지지플랜지(652)는 동일한 높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연결레버(651)는 수평하게 구비될 수 있다.
조향레버(653)는 수평지지프레임(612)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일단부는 구동축(641)에 연결될 수 있다. 조향레버(653)는 구동축(641)이 회전함에 따라, 구동축(641)을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조향레버(653)의 타단부는 연결레버(651)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축(641)이 회전하면 구동축(641)을 중심으로 조향레버(653)가 회전하게 되고, 조향레버(653)가 회전함에 따라 연결레버(651)가 이동되어 조절판(630)이 회전될 수 있다. 조향레버(653)의 회전 방향에 따라 연결레버(651)의 이동 방향은 바뀔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조절판(630)은 좌우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조절판(630)이 회전됨에 따라 프로펠러부(500)에서 발생되는 송풍방향이 바뀌면서 본체부(100)의 주행방향이 조절될 수 있다.
추력발생부(700)는 수직고정프레임(62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프로펠러부(500)에서 발생되는 송풍방향을 하측으로 안내하여 추력이 증가되도록 할 수 있다.
추력발생부(700)는 회전프레임(710), 제1블레이드(720) 및 제2블레이드(730)를 가질 수 있다.
회전프레임(710)은 하단부가 수직고정프레임(620)의 상단부와 힌지축(623)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회전프레임(710)은 힌지축(623)을 중심으로 회전프레임(710)의 상단부가 프로펠러부(500)와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회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프레임(710)은 수직상태에서부터 본체부(100)의 후방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1블레이드(720)는 회전프레임(710)의 상단부를 연결하도록 수평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1블레이드(720)는 프로펠러부(500)에서 분사되는 송풍흐름을 안내할 수 있다.
제2블레이드(730)는 제1블레이드(720)의 하측에 제1블레이드(720)와 평행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2블레이드(730)는 회전프레임(71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1블레이드(720)와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블레이드(730)는 제1블레이드(720)와 함께 송풍흐름을 안내할 수 있다.
한편, 회전프레임(710)의 하단부에는 수직고정프레임(620)에 형성되는 제1관통공(621)에 대응되는 제3관통공(71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관통공(621) 및 제3관통공(711)에는 힌지축(623)이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힌지축(623)으로는 볼트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힌지축(623)과 나사 결합되는 제1너트(713)가 더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힌지축(623)은 볼트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회전프레임(710)의 하단부에는 제3관통공(711)을 중심으로 동일한 반경을 가지도록 슬릿(712)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관통공(622) 및 슬릿(712)에는 결합구(624)가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결합구(624)로는 볼트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결합구(624)와 나사 결합되는 제2너트(714)가 더 사용될 수 있다.
슬릿(712)에 결합구(624)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2너트(714)를 풀어 회전프레임(710)의 구속이 해제되도록 한 상태에서는, 회전프레임(710)은 힌지축(623)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프레임(710)을 원하는 상태로 회전시킨 후 제2너트(714)를 조여 결합구(624)와 제2너트(714)의 결합력을 높이면 회전프레임(710)의 회전각도가 구속될 수 있다. 결합구(624)는 볼트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추력발생부(700)가 수평상태인 경우, 프로펠러부(500)에서 발생되는 송풍방향은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7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추력발생부(700)가 후방의 하측으로 경사지도록 고정된 경우, 프로펠러부(500)에서 발생되는 송풍방향은 후방의 하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 송풍방향이 후방의 하측을 향하도록 형성되면 추력발생부(700)에 의해 안내되는 공기의 흐름이 논에 채워진 수면에 부딪히면서 추력이 커질 수 있으며, 본체부(100)는 더욱 안정적으로 주행될 수 있다. 반면, 추력발생부(700)의 경사각도가 너무 커지면 추력발생부(700)에 의해 안내되는 공기의 흐름이 수면에 부딪히는 각도가 커지게 되면서 오히려 추력이 감소될 수 있기 때문에, 추력발생부(700)의 경사각도는 적절하게 조절됨이 바람직하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중계부(800)는 본체부(100)의 제2장착부(120)에 수용될 수 있다. 제2장착부(120)는 덮개(121)에 의해 개폐될 수 있으며, 중계부(800)가 제2장착부(120)에 수용되면 덮개(121)를 덮어 중계부(800)가 물에 젖거나 외부의 이물질이 제2장착부(120)에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중계부(800)는 제1동력발생부(200) 및 방향조절부(600)의 제2동력발생부(6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1동력발생부(200) 및 방향조절부(6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부(900)는 중계부(800)를 통해 제1동력발생부(200) 및 방향조절부(6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부(900)와 중계부(800)는 무선 통신될 수 있다.
컨트롤러부(900)는 표시부(910), 제1조절부(920), 제2조절부(930), 제3조절부(940), 상관데이터 테이블(950) 및 제어부(960)를 가질 수 있다.
수용부(300)에 구비되는 제1센서(310)에서 센싱되는 약제의 수위정보는 중계부(800)를 통해 컨트롤러부(900)에 전달될 수 있으며, 표시부(910)는 이렇게 전달되는 수위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제1조절부(920)는 중계부(800)를 통해 제2동력발생부(640)의 작동을 제어하여 조향링크(650)와 연결되는 조절판(630)의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2조절부(930)는 중계부(800)를 통해 제1동력발생부(200)의 온(ON)/오프(OFF)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약제가 배출되도록 하거나, 배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3조절부(940)는 중계부(800)를 통해 제1동력발생부(200)의 출력을 제어하여 약제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제1조절부(920), 제2조절부(930) 및 제3조절부(940)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방제 보트는 제2센서(160) 및 제3센서(460)를 가질 수 있다.
제2센서(160)는 본체부(100)에 구비되어 본체부(100)의 주행 속도를 센싱할 수 있다.
제3센서(460)는 배출튜브(450)를 통해 배출되는 약제의 배출량을 센싱할 수 있다. 제3센서(460)는 본체부(100)에 구비되고 배출튜브(450)와 연결되어 약제의 배출량을 센싱하거나, 수용부(300)에 구비되고 조절밸브(320)에 연결되어 약제의 배출량을 센싱할 수 있다.
상관데이터 테이블(950)에는 본체부(100)의 주행 속도에 따른 약제의 배출량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상관데이터 테이블(950)의 주행 속도에 따른 약제의 배출량은 실험 또는 프로그램 해석 등을 통해서 구해져서 저장될 수 있다. 상관데이터 테이블(950)의 주행 속도에 따른 약제의 배출량은 테이블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함수의 형태로 저장될 수도 있다.
제어부(960)는 상관데이터 테이블(950)을 참고하여 제2센서(160)에서 센싱되는 본체부(100)의 주행 속도에 대응되어 약제가 미리 설정된 양으로 배출되도록 조절밸브(32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약제의 배출량이 조절될 수 있다.
제2센서(160)는 본체부(100)의 주행 속도를 실시간으로 센싱할 수 있으며, 제어부(960)는 실시간으로 센싱되는 본체부(100)의 주행 속도를 기초로 약제의 배출량이 실시간으로 조절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960)는 본체부(100)의 주행 속도가 빠른 경우 약제의 배출량이 증가되도록 제어하고, 본체부(100)의 주행 속도가 느린 경우 약제의 배출량이 감소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약제가 논 전체에 균일한 농도로 분포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3조절부(940)를 조절하여 약제의 배출량을 조절하거나, 제어부(960)가 본체부(100)의 주행 속도에 따라 약제의 배출량이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선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논의 상태 등에 따라 적절하게 약제의 배출량이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본체부 200: 제1동력발생부
300: 수용부 320: 조절밸브
400: 펌프부 450: 배출튜브
500: 프로펠러부 600: 방향조절부
624: 결합구 630: 조절판
640: 제2동력발생부 650: 조향링크
700: 추력발생부 720: 제1블레이드
730: 제2블레이드 800: 중계부
900: 컨트롤러부 910: 표시부
920: 제1조절부 930: 제2조절부
940: 제3조절부 950: 상관데이터 테이블
960: 제어부

Claims (8)

  1. 물이 채워진 논에서 주행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고, 동력을 발생시키는 제1동력발생부;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고, 약제가 수용되는 수용부;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동력발생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약제를 배출튜브를 통해 상기 논에 배출시키는 펌프부;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동력발생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프로펠러부;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고, 상기 프로펠러부로부터 발생되는 송풍 방향을 조절하여 상기 본체부의 주행방향이 조절되도록 하는 방향조절부;
    상기 방향조절부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프로펠러부로부터 발생되는 송풍 방향을 하측으로 안내하여 추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추력발생부;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동력발생부 및 상기 방향조절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중계부; 그리고
    상기 중계부와 무선 통신하면서 상기 제1동력발생부 및 상기 방향조절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부를 포함하는 방제 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조절부는
    상기 프로펠러부의 후방에 서로 이격되어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수직지지프레임 및 상기 수직지지프레임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수평지지프레임을 가지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수평지지프레임을 관통하여 서로 이격되어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 수직고정프레임과,
    상기 수직고정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의 좌우 이동방향을 조절하는 조절판과,
    상기 수평지지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수평지지프레임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구동축을 가지는 제2동력발생부와,
    양단부가 각각 상기 조절판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수평하게 구비되는 연결레버 및 상기 수평지지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되, 일단부는 상기 구동축과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연결레버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구동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연결레버를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켜 상기 조절판을 회전시키는 조향레버를 가지는 조향링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제 보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력발생부는
    하단부가 상기 수직고정프레임의 상단부와 힌지축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단부가 상기 프로펠러부와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회전하는 회전프레임과,
    상기 회전프레임의 상단부를 연결하고, 상기 프로펠러부에서 분사되는 송풍흐름을 안내하는 제1블레이드와,
    상기 제1블레이드의 하측에 상기 제1블레이드와 평행하게 이격되도록 회전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제1블레이드와 함께 송풍흐름을 안내하는 제2블레이드를 가지고,
    상기 회전프레임의 하단부에는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동일한 반경을 가지도록 슬릿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프레임의 회전각도가 구속되도록 상기 수직고정프레임의 상단부에는 상기 슬릿을 관통하여 결합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제 보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부는 상기 중계부를 통해 상기 제2동력발생부를 제어하여 상기 조향링크와 연결되는 상기 조절판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제1조절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제 보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는 수용되는 상기 약제의 수위를 센싱하는 제1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컨트롤러부는 상기 제1센서에서 센싱되는 상기 약제의 수위정보가 상기 중계부를 통해 전달되면 표시하는 표시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제 보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부는 상기 중계부를 통해 상기 제1동력발생부의 온/오프를 제어하여 상기 약제의 배출 여부를 조절하는 제2조절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제 보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부는 상기 중계부를 통해 상기 제1동력발생부의 출력을 제어하여 상기 약제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제3조절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제 보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본체부의 주행 속도를 센싱하는 제2센서와, 상기 배출튜브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약제의 배출량을 센싱하는 제3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컨트롤러부는 상기 본체부의 주행 속도에 따른 상기 약제의 배출량의 정보가 저장된 상관데이터 테이블과,
    상기 상관데이터 테이블을 참고하여 상기 제2센서에서 센싱되는 상기 본체부의 주행 속도에 대응되어 상기 약제가 미리 설정된 양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약제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조절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제 보트.
KR1020180096582A 2018-08-20 2018-08-20 방제 보트 KR102132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582A KR102132840B1 (ko) 2018-08-20 2018-08-20 방제 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582A KR102132840B1 (ko) 2018-08-20 2018-08-20 방제 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1168A true KR20200021168A (ko) 2020-02-28
KR102132840B1 KR102132840B1 (ko) 2020-07-13

Family

ID=69638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6582A KR102132840B1 (ko) 2018-08-20 2018-08-20 방제 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284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9045B1 (ko) * 2020-03-02 2021-01-28 주식회사 가민무인기술 농약 살포용 보트의 안전망 설치구조
KR102268241B1 (ko) * 2020-12-02 2021-06-23 주식회사 씨랩 무인 수상정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21453A (ko) * 2021-02-25 2022-09-01 이영재 농약 살포용 보트의 운전제어방법
KR102477293B1 (ko) * 2021-06-28 2022-12-13 전종오 선박용 엔진 조립체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558U (ko) * 1989-05-02 1991-01-21
JPH1189503A (ja) * 1997-09-17 1999-04-06 Hokuetsu Nouji Kk 薬液散布機
KR100199625B1 (ko) 1996-12-30 1999-06-15 정몽규 높이조절이 가능한 자동차 시트의 아암 레스트
KR200428708Y1 (ko) * 2006-07-10 2006-10-16 한아에쎄스 주식회사 분사각도 조절이 용이한 미립자 광역방제기
KR101460945B1 (ko) * 2014-05-30 2014-11-14 신정일 약제 살포용 무선조정 보트
KR20150145015A (ko) * 2014-06-18 2015-12-29 김시서 수륙 양용 약액살포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558U (ko) * 1989-05-02 1991-01-21
KR100199625B1 (ko) 1996-12-30 1999-06-15 정몽규 높이조절이 가능한 자동차 시트의 아암 레스트
JPH1189503A (ja) * 1997-09-17 1999-04-06 Hokuetsu Nouji Kk 薬液散布機
KR200428708Y1 (ko) * 2006-07-10 2006-10-16 한아에쎄스 주식회사 분사각도 조절이 용이한 미립자 광역방제기
KR101460945B1 (ko) * 2014-05-30 2014-11-14 신정일 약제 살포용 무선조정 보트
KR20150145015A (ko) * 2014-06-18 2015-12-29 김시서 수륙 양용 약액살포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9045B1 (ko) * 2020-03-02 2021-01-28 주식회사 가민무인기술 농약 살포용 보트의 안전망 설치구조
KR102268241B1 (ko) * 2020-12-02 2021-06-23 주식회사 씨랩 무인 수상정 및 그 제조방법
WO2022119007A1 (ko) * 2020-12-02 2022-06-09 주식회사 씨랩 무인 수상정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21453A (ko) * 2021-02-25 2022-09-01 이영재 농약 살포용 보트의 운전제어방법
KR102477293B1 (ko) * 2021-06-28 2022-12-13 전종오 선박용 엔진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2840B1 (ko) 2020-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2840B1 (ko) 방제 보트
JP3836469B2 (ja) ラジコンヘリコプターを使用した散布装置および散布方法
KR101047392B1 (ko) 방제기
KR101460945B1 (ko) 약제 살포용 무선조정 보트
KR101230753B1 (ko) 휴대용 분무기
KR102002064B1 (ko) 농약살포용 드론의 충전 스테이션
KR20170116531A (ko) 농약살포용 하이브리드 드론
KR101367316B1 (ko) 다기능을 가지는 동력주행형 ss분무기
KR101367632B1 (ko) 원거리용 방제기
KR102267356B1 (ko) 약제 분사용 드론 모니터링 시스템
JPH09275877A (ja) ヘリコプタの散布装置
KR200482553Y1 (ko) 분무기 겸용 트랙터 탑재식 원거리 방제기
KR101918541B1 (ko) 방제차량의 송풍장치
KR101626557B1 (ko) 약액살포장치
KR101929013B1 (ko) 탁상형 약액 분무장치
KR200254086Y1 (ko) 이동식 방역장치
KR101803510B1 (ko) 약제의 살포폭이 넓은 방제용 드론
KR101515499B1 (ko) 좌우로 살포되는 트랙터 탑재식 원거리용 방제기
KR101385233B1 (ko) 간이 ss분무기
JPH0525728Y2 (ko)
KR20160003343U (ko) 멀티 회전 송풍기를 갖는 트랙터 탑재식 원거리용 방제기
KR20170027464A (ko) 이종 동력원을 이용하는 약제 방제장치
KR101566377B1 (ko) 입제비료 자동살포보트
KR102374965B1 (ko) 방역용 소독기
KR102331622B1 (ko) 스프레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