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0591A - 이미징 렌즈 어셈블리, 카메라 모듈 및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이미징 렌즈 어셈블리, 카메라 모듈 및 전자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20591A KR20200020591A KR1020190090432A KR20190090432A KR20200020591A KR 20200020591 A KR20200020591 A KR 20200020591A KR 1020190090432 A KR1020190090432 A KR 1020190090432A KR 20190090432 A KR20190090432 A KR 20190090432A KR 20200020591 A KR20200020591 A KR 2020002059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ns element
- image
- recess structure
- side lens
- optical axi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18—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with lenses having one or more non-spherical faces, e.g. for reducing geometrical aberration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02B1/041—Lens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lens and mount having complementary engagement means, e.g. screw/thread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 H04N5/2254—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9/00—Combinations of cameras, projectors or 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with non-photographic non-optical apparatus, e.g. clocks or weapons; Cameras having the shape of other objec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ens Barrels (AREA)
- Lenses (AREA)
Abstract
이미징 렌즈 어셈블리는 플라스틱 배럴과 렌즈 요소 세트를 포함한다. 렌즈 요소 세트는 플라스틱 배럴에 배치되고 광축을 갖는다. 렌즈 요소 세트는 물체 측 렌즈 요소와 이미지 측 렌즈 요소를 포함한다. 물체 측 렌즈 요소는 외경 표면 및 광학 유효 부분을 가지며, 물체 측 렌즈 요소의 이미지 측 표면 상에 위치되고 이미지 측 렌즈 요소를 동축으로 정렬 및 연결하기 위한 원추형 정렬 표면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개시는 이미징 렌즈 어셈블리 및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개시는 휴대용 전자 장치에 적용가능한 이미징 렌즈 어셈블리 및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 디바이스, 테블릿 등의 휴대용 전자 장치가 급속히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전자 장치는 현대인의 일상 생활로 가득 차 있었고 휴대용 전자 장치에 탑재된 이미징 렌즈 어셈블리가 번성했다. 이미징 렌즈 어셈블리의 품질에 대한 요구는 기술의 진보와 함께 증가한다. 따라서, 이미징 렌즈 어셈블리는 광학 디자인의 품질뿐만 아니라 제조 조립 정밀도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이미징 렌즈 어셈블리의 제조 및 조립 공정 중에, 이미징 렌즈 어셈블리의 조립 및 화질은 배럴과 렌즈 요소 사이 및 렌즈 요소 사이의 상대적인 배치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연결 구조체는 다른 렌즈 요소 또는 베럴과 협력하기 위해 렌즈 요소 상에 배치되어, 화질에 영향을 미치도록 이미징 동안 미광이 생성된다. 따라서, 조립 안정성과 화질을 겸비한 이미징 렌즈 어셈블리의 개발이 관련 업계의 목표였다.
본문 내에 포함되어 있음.
본 개시의 일 측에 따르면, 이미징 렌즈 어셈블리는 플라스틱 배럴 및 렌즈 요소 세트를 포함한다. 렌즈 요소 세트는 플라스틱 배럴에 배치되고 광축을 갖는다. 렌즈 요소 세트는 물체-측 렌즈 요소와 이미지-측 렌즈 요소를 포함한다. 물체-측 렌즈 요소는 외경 표면 및 광학 유효 부분을 갖는다. 물체-측 렌즈 요소는 물체-측 렌즈 요소의 이미지-측 표면 상에 위치되고 이미지-측 렌즈 요소를 동축으로 정렬 및 연결하기 위한 원추형 정렬 표면을 포함한다. 원추형 정렬 표면의 최소 직경 위치와 외경 표면 사이의 최소 반경 거리가 L1일 때, 0.03 mm < L1 < 0.28 mm의 조건이 만족된다.
본 개시의 다른 측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은 전술한 측에 따른 이미징 렌즈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른 측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전술한 측에 따른 카메라 모듈 및 이미지 센서를 포함한다. 이미지 센서는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표면 상에 배치된다.
본문 내에 포함되어 있음.
본 개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의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읽음으로써 더욱 완전히 이해될 수 있다.
도 1a는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물체-측 렌즈 요소와 이미지-측 렌즈 요소의 개략도이다.
도 1c는 도 1a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물체-측 렌즈 요소와 이미지-측 렌즈 요소의 연결 상황의 개략도이다.
도 2a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물체-측 렌즈 요소와 이미지-측 렌즈 요소의 개략도이다.
도 2c는 도 2a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물체-측 렌즈 요소와 이미지-측 렌즈 요소의 연결 상황의 개략도이다.
도 3a는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물체-측 렌즈 요소와 이미지-측 렌즈 요소의 개략도이다.
도 3c는 도 3a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물체-측 렌즈 요소와 이미지-측 렌즈 요소의 연결 상황의 개략도이다.
도 4a는 본 개시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물체-측 렌즈 요소와 이미지-측 렌즈 요소의 개략도이다.
도 4c는 도 4a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물체-측 렌즈 요소와 이미지-측 렌즈 요소의 연결 상황의 개략도이다.
도 5a는 본 개시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5b는 제5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다른 개략도이다.
도 5c는 제5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6은 제6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7은 제7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a는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물체-측 렌즈 요소와 이미지-측 렌즈 요소의 개략도이다.
도 1c는 도 1a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물체-측 렌즈 요소와 이미지-측 렌즈 요소의 연결 상황의 개략도이다.
도 2a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물체-측 렌즈 요소와 이미지-측 렌즈 요소의 개략도이다.
도 2c는 도 2a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물체-측 렌즈 요소와 이미지-측 렌즈 요소의 연결 상황의 개략도이다.
도 3a는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물체-측 렌즈 요소와 이미지-측 렌즈 요소의 개략도이다.
도 3c는 도 3a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물체-측 렌즈 요소와 이미지-측 렌즈 요소의 연결 상황의 개략도이다.
도 4a는 본 개시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물체-측 렌즈 요소와 이미지-측 렌즈 요소의 개략도이다.
도 4c는 도 4a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물체-측 렌즈 요소와 이미지-측 렌즈 요소의 연결 상황의 개략도이다.
도 5a는 본 개시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5b는 제5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다른 개략도이다.
도 5c는 제5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6은 제6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7은 제7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개략도이다.
이미징 렌즈 어셈블리는 플라스틱 배럴과 렌즈 요소 세트를 포함한다. 렌즈 요소 세트는 플라스틱 배럴에 배치되고, 렌즈 요소 세트는 광축을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물체-측 렌즈와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측 렌즈 요소를 포함한다. 물체-측 렌즈 요소는 인접한 이미지-측 렌즈 요소에 상응하게 연결된다.
물체-측 렌즈 요소는 외경 표면 및 광학 유효 부분을 가지며, 원추형 정렬 표면을 포함한다. 원추형 정렬 표면은 물체-측 렌즈 요소의 이미지-측 표면 상에 위치되고 이미지-측 렌즈 요소를 동축으로 정렬 및 연결한다. 원추형 정렬 표면의 최소 직경 위치와 외경 표면 사이의 최소 반경 거리가 L1일 때, 0.03 mm < L1 < 0.28 mm의 조건이 만족된다. 따라서, 본 개시는 조립 안정성 및 화질을 모두 얻을 수 있는 렌즈 소자의 설계 및 제조 방법을 제공하며, 렌즈 상에 원추형 정렬 표면을 배치함으로써 렌즈 요소 세트의 광학 동축성을 보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는 물체-측 렌즈 요소 내부의 미광의 표면 반사를 제어하기 위해, 광경로 시뮬레이션과 다양한 어셈블리 시험기를 통해 L1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물체-측 렌즈 요소를 개발한다. L1의 값이 너무 크면 원추형 정렬 표면에서 이미지 표면으로 반사된 과도한 미광이 화질에 영향을 미친다; L1의 값이 너무 작으면, 외력의 영향을 받기 쉬운 렌즈 요소 세트의 안정성에 기인하여 허용할 수 없는 렌즈 요소 세트의 광학 동축성의 편차가 발생하기 쉽다. 또한, 0.03 mm < L1 ≤ 0.23 mm의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따라서, L1의 값을 보다 정확하게 설정하여 보다 이상적인 미광 억제를 얻을 수 있다.
물체-측 렌즈 요소는 이미지-측 수용 표면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미지-측 렌즈 요소는 물체-측 수용 표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미지-측 수용 표면은 물체-측 수용 표면과 연결되고, 이미지-측 수용 표면은 원추형 정렬 표면이 광학 유효 부분으로부터 있는 것보다 광학 유효 부분으로부터 더 멀리 있다. 구체적으로, 이미지-측 수용 표면과 물체-측 수용 표면은 모두 인접한 이미지-측 수용 표면 및 물체-측 수용 표면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광축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주로 연장되어, 화질과 조립 안정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물체-측 렌즈 요소는 광학 유효 부분을 둘러싼 환형의 스텝 마트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분할 선은 외경 표면과 이미지-측 수용 표면 사이에 위치된다. 분할 선의 배치에 의해, 물체-측 렌즈 요소의 치수 정밀도가 증가될 수 있다.
물체-측 렌즈 요소는 외경 표면과 원추형 정렬 표면 사이에 위치된 환형 리세스(recess) 구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광축에 평행한 환형 리세스 구조의 리세스 깊이가 s1일 때, s1 < 0.015 mm 의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따라서, 작은 환형 리세스 구조를 전술한 파라미터 L1로 배치함으로써 렌즈 요소의 공통 버어(burr) 간섭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따라서 조립 안정성이 얻어질 수 있고, 버어 간섭에 의해 영향을 받는 미광을 방지함으로써 화질의 예기지 않은 영향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s1 < 0.01 mm의 조건이 만족될 수 있다.
이미지-측 렌즈 요소는 물체-측 렌즈 요소의 환형 리세스 구조를 향하는 제1 리세스 구조를 포함한다. 광축에 평행한 환형 리세스 구조의 리세스 깊이는 s1이고, 광축에 평행한 제1 리세스 구조의 리세스 깊이가 s2일 때, 0.005 mm < s1+s2 < 0.035 mm의 조건이 만족될 수 있다. 따라서, 대응하는 리세스 구조는 물체-측 렌즈 요소와 이미지-측 렌즈 요소 모두에 배치되기 때문에, 조립 공정 중에 구조적 간섭이 감소될 수 있고, 전술한 파라미터(L1)는 적절한 범위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0.005 mm < s1+s2 < 0.02 mm의 조건이 만족될 수 있다. 또한 s1 < s2의 조건이 만족될 수 있다. 그러므로, 구조적 간섭은 보다 향상될 수 있다.
원추형 정렬 표면의 최소 직경 위치와 광학 유효 부분 사이의 최소 반경 거리가 L0일 때, 0.2 mm < L0의 조건이 만족될 수 있다. 따라서, 파라미터(L0)를 특정 값 범위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물체-측 렌즈 요소 내부의 비-이미징 광 내부의 반사 상황을 제어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다른 차광 시트를 추가하기 위한 충분한 공간을 제어할 수 있다. 파라이터 L0의 값이 너무 작으면, 더 높은 강도의 비-이미징 광은 원추형 정렬 표면을 직접 통과하여 직접적으로 회복 불가능한 광 공해를 초래할 것이다.
물체 단부에 가장 가까운 플라스틱 배럴의 외경이 Φoo 인 경우, 1.05 mm < Φoo < 3.05 mm 의 조건이 만족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파라미터 L1의 배치에 의해, 렌즈 어셈블리 외측의 미광에 의한 차단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원추형 정렬 표면과 광축 사이의 각도가 θ 일 때, 2도 < θ < 30도의 조건이 만족될 수 있다. 따라서, 조립 안정성 및 화질이 증가될 수 있다. 조립 안정성은 과도한 각도의 배열에 의해 심각해지는 미광의 반사로 인해 악화될 것이다; 광축의 동축성은 너무 작은 각도로 보정하기가 쉽지 않으므로 보정할 수 없는 광축의 변위가 존재하게 된다.
종래 기술에서, 조립 방법은 렌즈 요소 세트의 렌즈 요소를 조립한 다음 플라스틱 배럴에 배치하여 광축의 동축성의 정밀도를 보장하는 것이지만, 종래의 조립 방법은 더 어렵고 복잡하다. 본 개시의 이미징 렌즈 어셈블리에서, 물체-측 렌즈 요소의 외경 표면은 플라스틱 배럴과 직접 접촉될 수 있다. 물체-측 렌즈 요소와 플라스틱 배럴 사이의 직접적 접촉 배열에 의해, 물체-측 렌즈 요소는 먼저 플라스틱 배럴과 다른 렌즈 요소 사이의 수용가능한 변위 오차가 존재하도록 플라스틱 배럴에 조립되고, 이하의 렌즈 요소는 전술한 변위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또한, 렌즈 요소 세트는 적어도 4개의 렌즈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4개의 렌즈 요소는 물체-측 렌즈 요소와 이미지-측 렌즈 요소를 포함하고, 이미지 단부에 가장 가까운 렌즈 요소는 두께를 가지며, 두께는 렌즈 요소의 중심에서 가장자리까지 작은 것으로부터 큰 것으로 변한다. 따라서, 전술한 렌즈 소자 내부의 미광에 의한 전반사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미징 렌즈 어셈블리의 전술한 특징의 각각은 대응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조합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측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은 이미징 렌즈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따라서, 화질과 조립 안정성을 모두 갖춘 카메라 모듈이 제공된다.
본 개시의 다른 측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전술한 카메라 모듈 및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며, 이미지 센서는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표면 상에 배치된다. 따라서, 화질 및 조립 안정성 모두를 갖는 전자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전자 장치의 이미지 센서의 화소 사이즈를 p라고 하면, 0.1 um < p < 0.95 um의 조건이 만족될 수 있다. 따라서, 고화질의 광학 성능과 미광 효과를 보다 미세한 화소 사이즈로 완전히 반영할 수 있고, 개선 후의 파라미터 L1에 관한 특징을 양호한 이미지 센서로 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상기 설명에 따르면, 이하의 특정 실시예는 추가 설명을 위해 제공된다.
<제1 실시예>
도 1a는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의 개략도이다. 도 1a에서, 전자 장치(10)는 카메라 모듈(도면 부호 생략) 및 이미지 센서(11)를 포함하며, 이미지 센서(11)는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표면(170) 상에 배치된다. 카메라 모듈은 이미징 렌즈 어셈블리(도면 부호는 생략됨)를 포함한다. 이미징 렌즈 어셈블리는 플라스틱 배럴(12), 렌즈 요소(도면 부호는 생략됨) 및 필터(160)를 포함하고, 렌즈 요소 세트는 플라스틱 배럴(12) 내에 배치되고, 필터(160)는 플라스틱 배럴(12)의 이미지 단부 내에 배치된다. 렌즈 요소 세트는 광축(X)을 갖고 적어도 4개의 렌즈 요소를 포함한다. 제1 실시예에서, 렌즈 요소 세트는 물체 단부로부터 이미지 단부 까지, 제1 렌즈 요소, 제2 렌즈 요소, 제3 렌즈 요소(130), 제4 렌즈 요소(140), 제5 렌즈 요소(150) 인 5개의 렌즈 요소를 포함하고, 제1 렌즈 요소는 물체-측 렌즈 요소(110)이고, 제2 렌즈 요소는 이미지-측 렌즈 요소(120)이다.
도 1b는 도 1a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의 물체-측 렌즈 요소(110) 및 이미지-측 렌즈 요소(120)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1c는 도 1a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의 물체-측 렌즈 요소(110)와 이미지-측 렌즈 요소(120)의 연결상황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1b 및 도 1c에서, 물체-측 렌즈 요소(110)와 이미지-측 렌즈 요소(120)는 서로 연결되고, 물체 측 렌즈 요소(110)와 이미지-측 렌즈 요소(120) 사이에는 렌즈 요소가 배치되지 않는다. 또한, 5개의 렌즈 요소(제1 실시예에서는 제5 렌즈 요소(150)인)는 두께를 가지고 있고, 두께가 렌즈 요소의 중심에서 가장자리까지 작은 것에서 큰 것으로 그리고 이어서 작은 것으로 변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물체-측 렌즈 요소(110)는 외경 표면(111) 및 광학 유효 부분(112)을 갖고, 외경 표면(111)은 광학 유쵸 부분(112)이 광축(X)로부터 있는 것보다 더 멀리 광축으로부터 있고, 물체-측 렌즈 요소(110)의 외경 표면(111)은 플라스틱 배럴(12)과 직접적으로 접촉된다. 물체-측 렌즈 요소(110)는 원추형 정렬 표면(113) 및 환형 리세스 구조(114)를 포함하고, 원추형 정렬 표면(113)은 외경 표면(111)과 광학 유효 부분(1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환형 리세스 구조(114)는 외경 표면(111)과 광학 유효 부분(1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환형 리세스 구조(114)는 외경 표면(111)과 원추형 정렬 표면(113) 사이에 위치된다. 원추형 정렬 표면(113)은 물체-측 렌즈 요소(110)의 이미지-측 표면(이의 도면 부호는 생략) 상에 위치하며 이미지-측 렌즈 요소(120)를 동축으로 정렬 및 연결하기 위하고, 원추형 정렬 표면(113)은 외경 표면(111)으로부터 광학 유효 부분(112)까지의 방향을 따라 물체-측 렌즈 요소(110)의 물체 단부를 향하여 테이퍼한다. 즉, 원추형 정렬 표면(113)에 의해 물체-측 렌즈 요소(110)의 이미지-측 표면 상에 외경 표면(111)로부터 광학 유효 부분(112)까지의 수축 구조가 형성된다. 또한, 원추형 정렬 표면(113)은 매끄러운 원형 표면이다.
이미지-측 렌즈 요소(120)는 물체-측 렌즈 요소(110)의 환형 리세스 구조(114)를 향한 제1 리세스 구조(121)를 포함하고, 리세스 구조는 이미지-측 렌즈 요소(120)의 제1 리세스 구조(121)에 대응하는 물체-측 렌즈 요소(110)의 환형 리세스 구조(114)인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물체-측 렌즈 요소(110)는 이미지-측 수용 표면(115)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미지-측 렌즈 요소(120)는 물체-측 수용 표면(12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측 수용 표면(115)은 물체-측 수용 표면(122)과 연결되고, 원추형 정렬 표면(113)이 광학 유효 부분(112)으로부터 있는 것보다 이미지-측 수용 표면(115)이 광학 유효 부분(112)보다 더 멀리 있다. 따라서, 화질 및 조립 안정성이 유지될 수 있다.
도 1b에서, 물체-측 렌즈 요소(110)는 광학 유효 부분(112)을 둘러싸는 환형 스텝 마크(도면 부호는 생략됨)를 갖는 분할선(116)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분할선(116)은 외경 표면(111)과 이미지-측 수용 표면(115) 사이에 위치한다. 도 1b에서, 물체-측 렌즈 요소(110) 및 이미지-측 렌즈 요소(120)는 각각 탈형 위치 M1 및 M2를 갖는다. 탈형 위치 M1 및 M2는 물체-측 렌즈 요소(110) 및 이미지-측 렌즈 요소(120)의 탈형 위치의 마크를 나타내고, 상이한 구조를 갖는 주형물에 의해 형성된 대응하는 주입 공간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플라스틱 렌즈 요소(즉, 물체-측 렌즈 요소(110))의 제조 공정 중에, 주형물들 사이의 표면 스텝 마크는 주형 공정에 따라 주형물들이 탈형 스텝에서 분리될 때 물체-측 렌즈 요소(110) 상에 남아 있고, 표면 스텝 마크는 분할선(116)이다. 분할선(116)은 환형 리세스 구조가 이미지-측 수용 표면(115)으로부터 있는 것보다 이미지-측 수용 표면(115)으로부터 더 멀리 잇고, 즉, 환형 리세스 구조(114)는 분할선(116)과 이미지-측 수용 표면(115) 사이에 위치한다. 분할선(116)은 환형 리세스 구조(114)가 원추형 정렬 표면(113)으로부터 있는 것보다 원추형 정렬 표면(113)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져 있고, 즉, 환형 리세스 구조(114)는 분할선(116)과 원추형 정렬 표면(113) 사이에 위치한다. 분할선(116)은 이미지-측 수용 표면(115)이 원주형 정렬 표면(113)으로부터 있는 것보다 원추형 정렬 표면(113)으로부터 더 멀리 있고, 즉, 이미지-측 수용 표면(115)이 분할선(116)과 원추형 정렬 표면(113)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이미지-측 렌즈 요소(120)는 환형 스텝 마크(이의 도면 부호는 생략됨)를 갖는 분할선(126)을 더 포함한다.
도 1a, 1b 및 1c에 있는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원추형 정렬 표면(113)의 최소 직경 위치와 외경 표면(111)사이의 최소 반경 거리는 L1이고, 이는 원추형 정렬 표면(113)의 최소 직경 위치와 외경 표면(111) 사이에서 광축(X)에 수직인 거리이다. 원추형 정렬 표면(113)의 최소 직경 위치와 광학 유효 부분(112) 사이의 최소 반경 거리는 L0이고, 이는 원추형 정렬 표면(113)의 최소 직경과 광학 유효 부분(112) 사이의 광축(X)에 수직인 거리이다. 환형 리세스 구조(114)의 광축(X)에 평행한 리세스 깊이는 s1이다. 제1 리세스 구조(121)의 광축(X)에 평행한 리세스 깊이는 s2이다. 원뿔형 정렬 표면(113)과 광축(X) 사이의 각도는 θ이다. 물체 단부에 가장 가까운 플라스틱 배럴(12)의 외경은 Φoo이다. 이미지 센서(11)의 픽셀 크기는 p이다. 전술한 파라미터는 하기 표 1에 열거된 조건을 만족한다.
표1, 제1 실시예 | |||
L1 (mm) | 0.175 | s1+s2 (mm) | 0.025 |
L0 (mm) | 0.205 | θ (degree) | 20 |
s1 (mm) | 0.01 | Φoo (mm) | 2.999 |
s2 (mm) | 0.015 | p (um) | 0.8 |
<제2 실시예>
도 2a는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2a에서, 전자 장치(20)는 카메라 모듈(이의 도면 부호는 생략됨)과 이미지 센서(21)를 포함하며, 이미지 센서(21)는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표면(270) 상에 배치된다. 카메라 모듈은 이미징 렌즈 어셈블리(이의 도면 부호는 생략됨)를 포함한다. 이미징 렌즈 어셈블리는 플라스틱 배럴(22), 렌즈 요소 세트(이의 도면 부호는 생략됨) 및 필터(260)를 포함하고, 렌즈 요소 세트는 플라스틱 배럴(22) 내에 배치되고 필터(260)는 플라스틱 배럴(22)의 이미지 단부에 배치된다. 렌즈 요소 세트는 광축(X)을 갖고 적어도 4개의 렌즈 요소를 포함한다. 제2 실시예에서, 렌즈 요소 세트는 물체 단부에서 이미지 단부까지, 제1 렌즈 요소, 제2 렌즈 요소, 제3 렌즈 요소(230), 제4 렌즈 요소(240) 및 제5 렌즈 요소(250)인 5개의 렌즈 요소 세트를 포함하고, 제1 렌즈 요소는 물체-측 렌즈 요소(210)이고, 제2 렌즈 요소는 이미지-측 렌즈 요소(220)이다.
도 2b는 도 2a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의 물체-측 렌즈 요소(210) 및 이미지-측 렌즈 요소(220)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도 2c는 도 2a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의 물체-측 렌즈 요소(210) 및 이미지-측 렌즈 요소(220)의 연결 상황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2b 및 도 2c에서, 물체-측 렌즈 요소(210) 및 이미지-측 렌즈 요소(220)는 서로 연결되고 물체-측 렌즈 요소(210)와 이미지-측 렌즈 요소(220) 사이에는 렌즈 요소가 배치되지 않는다. 또한, 5개의 렌즈 요소의 이미지 단부에 가장 가까운 렌즈 요소(제2 실시예에서, 제5 렌즈 요소(250)인)는 두께를 갖고, 두께는 렌즈 요소의 중심에서 가장자리까지 작은 것에서 큰 것으로 그리고 이어서 작은 것으로 변한다.
상세하게는, 물체-측 렌즈 요소(210)는 외경 표면(211) 및 광학 유효 부분(212)을 갖고, 외경 표면(211)은 광학 유효 부분(212)이 광축(X)으로부터 있는 것보다 광축(X)으로부터 더 멀리 있고, 물체-측 렌즈 요소(210)의 외경 표면(211)은 플라스틱 배럴(22)과 직접 접촉한다. 물체-측 렌즈 요소(210)는 원추형 정렬 표면(213)과 환형 리세스 구조(214)를 포함하고, 원추형 정렬 표면(213)은 외경 표면(211)과 광학 유효 부분(2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환형 리세스 구조(214)는 외경 표면(211)과 원추형 정렬 표면(213) 사이에 배치된다. 원추형 정렬 표면(213)은 물체-측 렌즈 요소(210)의 이미지-측 표면(이의 도면 부호는 생략됨) 상에 위치하여 이미지-측 렌즈 요소(220)를 동축으로 정렬 및 연결한다. 원추형 정렬 표면(213)은 외경 표면(211)으로부터 광학 유효 부분(212)까지의 방향을 따라 물체-측 렌즈 요소(210)까지의 방향을 따라 물체-측 렌즈 요소(210)의 물체 단부를 향하여 테이퍼한다. 즉, 원추형 정렬 표면(213)에 의해 물체-측 렌즈 요소(210)의 이미지-측 표면 상에 외경 표면(211)으로부터 광학 유효 부분(212)까지의 수축 구조가 형성된다. 또한, 원추형 정렬 표면(213)은 매끄러운 원형 표면이다.
이미지-측 렌즈 요소(220)는 물체-측 렌즈 요소(210)의 환형 리세스 구조(214)를 향하는 제1 리세스 구조(221)를 포함하고, 리세스 구조는 이미지-측 렌즈 요소(220)의 제1 리세스 구조(221)에 대응하는 물체-측 렌즈 요소(210)의 환형 리세스 구조(214)인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물체-측 렌즈 요소(210)는 이미지-측 수용 표면(215)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미지-측 렌즈 요소(220)는 물체-측 수용 표면(222)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미지-측 수용 표면(215)은 물체-측 수용 표면(222)과 연결되고, 이미지-측 수용 표면(215)은 광학 유효 부분(212)으로부터 원추형 정렬 표면(213)이 광학 유효 부분(212)으로부터 더 멀리 있다. 그러므로, 화질 및 조립 안정성이 유지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체-측 렌즈 요소(210)는 광학 유효 부분(212)을 둘러싸는 환형의 스텝 마크(이의 도면 부호는 생략됨)를 갖는 분할선(216)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분할선(216)은 외경 표면(211) 및 이미지-측 수용 표면(215) 사이에 위치된다. 제2 실시예에서, 분할선(216)과 물체-측 렌즈 요소(210)의 다른 구조들의 배치 정렬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이미지-측 렌즈 요소(220)는 환형 스텝 마트(도면 부호는 생략됨)를 갖는 분할선(22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a, 2b 및 2c에 따르면, 표 2의 파라미터의 정의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표 2, 제2 실시예 | |||
L1 (mm) | 0.23 | s1+s2 (mm) | 0.015 |
L0 (mm) | 0.11 | θ (degree) | 20 |
s1 (mm) | 0.005 | Φoo (mm) | 2.95 |
s2 (mm) | 0.01 | p (um) | 0.8 |
<제3 실시예>
도 3a는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의 대략도를 도시한다. 도 3a에서, 전자 장치(30)는 카메라 모듈(이의 도면 부호는 생략됨)와 이미지 센서(31)를 포함하며, 이미지 센서(31)는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표면(370) 상에 배치된다. 카메라 모듈은 이미징 렌즈 어셈블리(이의 도면 부호는 생략됨)를 포함한다. 이미징 렌즈 어셈블리는 플라스틱 배럴(32), 렌즈 요소 세트(이의 도면 부호는 생략됨), 필터(360)을 포함하고, 렌즈 요소 세트는 플라스틱 배럴(32) 내에 배치되고 필터(360)는 플라스틱 배럴(32)의 이미지 단부에 배치된다. 렌즈 요소 세트는 광축(X)을 갖고 적어도 4개의 렌즈 요소를 포함한다. 제3 실시예에서, 렌즈 요소 세트는 물체 단부로부터 이미지 단부까지 제1 렌즈 요소, 제2 렌즈 요소, 제3 렌즈 요소(330), 제4 렌즈 요소(340) 및 제5 렌즈 요소(350)인 5개의 렌즈 요소를 포함하며, 제1 렌즈 요소는 물체-측 렌즈 요소(310)이고, 제2 렌즈 요소는 이미지-측 렌즈 요소(320)이다.
도 3b는 도 3a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의 물체-측 렌즈 요소(310) 및 이미지-측 렌즈 요소(320)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도 3c는 도 3a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의 물체-측 렌즈 요소(310) 및 이미지-측 렌즈 요소(320)의 연결상황을 도시한다. 도 3b 및 도 3c에서, 물체-측 렌즈 요소(310) 및 이미지-측 렌즈 요소(320)는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물체-측 렌즈 요소(310)와 이미지-측 렌즈 요소(320) 사이에는 렌즈 요소가 배치되어 있지 않다. 또한, 5개의 렌즈 요소(제3 실시예에서, 제5 렌즈 요소(350)인)의 이미지 단부에 가장 가까운 렌즈 요소는 두께를 가지며, 두께는 렌즈 요소의 중심에서 가장자리까지 작은 것에서 큰 것으로 변하고 그리고 이어서 작은 것으로 변한다.
상세하게는, 물체-측 렌즈 요소(310)는 외경 표면(311) 및 광학 유효 부분(312)을 갖고, 외경 표면(311)은 광학 유효 부분(312)이 광축(X)으로부터 있는 것보다 광축(X)으로부터 더 멀리 있고, 물체-측 렌즈 요소(310)의 외경 표면(311)은 플라스틱 배럴(32)과 직접 접촉한다. 물체-측 렌즈 요소(310)는 원추형 정렬 표면(313) 및 환형 리세스 구조(314)를 포함하고, 원추형 정렬 표면(313)은 외경 표면(311)과 광학 유효 부분(312) 사이에 배치도리 수 있고, 환형 리세스 구조(314)는 외경 표면(311)과 원추형 정렬 표면(313) 사이에 위치된다. 원추형 정렬 표면(313)은 물체-측 렌즈 요소(310)의 이미지-측 표면(이의 도면 부호는 생략됨)에 위치되고 이미지-측 렌즈 요소(320)를 동축으로 정렬 및 연결된다. 원추형 정렬 표면(313)은 외경 표면(311)으로부터 광학 유효 부분(312)까지의 방향을 따라 물체-측 렌즈 요소(310)의 물체 단부쪽으로 테이퍼진다. 즉, 원추형 정렬 표면(313)에 의해 물체-측 렌즈 요소(310)의 이미지-측 표면에 외경 표면(311)으로부터 광학 유효 부분(312)까지의 수축 구조가 형성된다. 또한, 원추형 정렬 표면(313)은 매끄러운 원형 표면이다.
또한, 물체-측 렌즈 요소(310)는 이미지-측 수용 표면(315)을 도 포함할 수 있고, 이미지-측 렌즈 요소(320)는 물체-측 수용 표면(322)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미지-측 수용 표면(315)은 물체-측 수용 표면(322)과 연결되고, 이미지-측 수용 표면(315)이 광학 유효 부분(312)으로부터 원추형 정렬 표면(313)이 광학 유효 부분(312)으로부터 있는 것보다 더 멀리 있다. 그러므로, 화질 및 조립 안정성이 유지될 수 있다.
도 3b에 따르면, 물체-측 렌즈 요소(310)는 광학 유효 부분(312)을 둘러싸는 환형 스텝 마트(이의 도면 부호는 생략됨)를 갖는 분할선(316)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분할선(316)은 외경 표면(311)과 이미지-측 수용 표면(315) 사이에 위치한다. 제3 실시예에서, 분할선(316)과 물체-측 렌즈 요소(310)의 다른 구조들의 배치 정렬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이미지-측 렌즈 요소(320)는 환형 스텝 마크(이의 도면 부호는 생략됨)를 갖는 분할선(32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a, 3b 및 3c에 따르면, 표 3의 파라미터의 정의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표 3, 제3 실시예 | |||
L1 (mm) | 0.21 | s1+s2 (mm) | - |
L0 (mm) | 0.062 | θ (도) | 20 |
s1 (mm) | 0.005 | Φoo (mm) | 2.898 |
s2 (mm) | - | p (um) | 0.8 |
<제4 실시예>
도 4a는 본 개시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40)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4a에서, 전자 장치(40)는 카메라 모듈(이의 도면 부호는 생략됨) 및 이미지 센서(41)를 포함하며, 이미지 센서(41)는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표면(470) 상에 배치된다. 카메라 모듈은 이미징 렌즈 어셈블리(이의 도면 부호는 생략됨)를 포함한다. 이미징 렌즈 어셈블리는 플라스틱 배럴(42) 및 렌즈 요소 세트(이의 도면 부호는 생략됨)를 포함하며, 렌즈 요소 세트는 플라스틱 배럴(42) 내에 배치된다. 렌즈 요소 세트는 광축(X)을 갖고 적어도 4개의 렌즈 요소를 포함한다. 제4 실시예에서, 렌즈 요소 세트는 5개의 렌즈 요소를 포함한다. 물체 단부로부터 이미지 단부까지의 5개의 렌즈 요소는 제1 렌즈 요소, 제2 렌즈 요소, 제3 렌즈 요소(430), 제4 렌즈 요소(440) 및 제5 렌즈 요소(450)이고, 제1 렌즈 요소는 물체-측 렌즈 요소(410)이고, 제2 렌즈 요소는 이미지-측 렌즈 요소(420)이다.
도 4b는 도 4a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40)의 물체-측 렌즈 요소(410)와 이미지-측 렌즈 요소(420)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도 4c는 도 4a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40)의 물체-측 렌즈 요소(410) 및 이미지-측 렌즈 요소(420)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도 4c는 도 4a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40)의 물체-측 렌즈 요소(410)와 이미지-측 렌즈 요소(420)의 연결 상황을 도시한다. 도 4b와 도 4c에서, 물체-측 렌즈 요소(410)와 이미지-측 렌즈 요소(420)는 서로 연결되고, 물체-측 렌즈 요소(410)와 이미지-측 렌즈 요소(420) 사이에 렌즈 요소가 배치되지 않는다. 또한, 5개의 렌즈 요소(제4 실시예에서, 제5 렌즈 요소(450)인)의 이미지 단부에 가장 가까운 렌즈 요소는 두께를 갖고, 두께는 렌즈 요소의 중심에서 가장자리로 작은 것에서 큰 것으로 변하고 그리고 이어서 작은 것으로 변한다.
상세하게는, 물체-측 렌즈 요소(410)는 외경 표면(411)과 광학 유효 부분(412)을 갖고, 외경 표면(411)이 광축(X)으로부터 광학 유효 부분(412)이 광축(X)으로부터 있는 것보다 더 멀리있고, 물체-측 렌즈 요소(410)의 외경 표면(411)은 직접적으로 플라스틱 배럴(42)과 연결된다. 물체-측 렌즈 요소(410)는 원추형 정렬 표면(413) 및 환형 리세스 구조(414)를 포함하며, 원추형 정렬 표면(413)은 외경 표면(411)과 광학 유효 부분(4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환형 리세스 구조(414)는 외경 표면(411)과 원추형 정렬 표면(413) 사이에 위치한다. 원추형 정렬 표면(413)은 물체-측 렌즈 요소(410)의 이미지-측 표면(이의 도면 부호는 생략됨) 상에 위치하며 이미지-측 렌즈 요소(420)를 동축으로 정렬 및 연결한다. 원추형 정렬 표면(413)은 외경 표면(411)으로부터 광학 유효 부분(412)으로의 방향으로 물체-측 렌즈 요소(410)의 물체 단부를 향하여 테이퍼진다. 즉, 원추형 정렬 표면(413)에 의해 물체-측 렌즈 요소(410)의 이미지-측 표면 상에 외경 표면(411)으로부터 광학 유효 부분(412)까지의 수축 구조가 형성된다. 또한, 원추형 정렬 표면(413)은 매끄러운 원형 표면이다.
이미지-측 렌즈 요소(420)는 물체-측 렌즈 요소(410)의 환형 리세스 구조(414)를 향하는 제1 리세스 구조(421)를 포함하고, 이미지-측 렌즈 요소(420)의 제1 리세스 구조(421)에 대응하는 물체-측 렌즈 요소(410)의 환형 리세스 구조(414)인 위치에 리세스 구조가 형성된다.
또한, 물체-측 렌즈 요소(410)는 이미지-측 수용 표면(415)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미지-측 렌즈 요소(420)는 물체-측 수용 표면(422)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미지-측 수용 표면(415)은 물체-측 수용 표면(422)과 연결되고, 이미지-측 수용 표면(415)은 광학 유효 부분(412)으로부터 원추형 정렬 표면(413)이 광학 유효 부분(412)으로부터 있는 것보다 더 멀리 있다. 따라서, 화질과 조립 안정성이 유지될 수 있다.
도 4b에 따르면, 물체-측 렌즈 요소(410)가 광학 유효 부분(412)을 둘러싸는 환형 스텝 마크(이의 도면 부호는 생략됨)를 갖는 분할선(416)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분할선(416)은 외경 표면(411)과 이미지-측 수용 표면(415) 사이에 위치된다. 제4 실시예에서, 분할선(416)과 물체-측 렌즈 요소(410)의 다른 구조들의 배치 정렬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이미지-측 렌즈 요소(420)는 환형 스텝 마크(이의 도면 부호는 생략됨)를 갖는 분할선(42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a, 4b 및 4c에 따르면, 표 4의 파라미터의 정의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표 4, 제4 실시예 | |||
L1 (mm) | 0.2 | s1+s2 (mm) | 0.015 |
L0 (mm) | 0.15 | θ (degree) | 20 |
s1 (mm) | 0 | Φoo (mm) | 2.95 |
s2 (mm) | 0.015 | p (um) | 0.8 |
<제5 실시예>
도 5a는 본 개시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50)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도 5b는 제5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50)의 다른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5a 및 도 5b에서, 제5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50)는 스마트폰이다. 전자 장치(50)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51)과 이미지 센서(52)를 포함하며, 이미징 렌즈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51)은 전술한 실시예의 전자 장치의 카메라 모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미지 센서(52)는 카메라 모듈(51)의 이미지 표면(도시되지 않음) 상에 배치된다. 따라서, 현재 전자 장치 시장의 카메라 모듈의 양산 및 출현에 대한 높은 요구가 만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전자 장치(5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58)를 통해 캡쳐 모드를 활성화하고, 제5 실시예의 사용자 인터페이스(58)는 터치 스크린(58a), 버튼(58b), 등이 될 수 잇다. 이 때, 카메라 모듈(51)은 이미지 센서(52) 상에 이미징 광을 모으고, 이미지들과 관련된 전자 신호를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ISP)(57)에 출력한다.
도 5c는 제5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50), 특히 전자 장치(50)의 카메라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5a 내지 도 5c에서, 전자 장치(50)는 전자 장치(50)의 카메라 사양에 응답하여 자동 초점 부품(53) 및 광학 흔들림 방지 부품(5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50)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광학 요소(56) 및 적어도 하나의 감지 요소(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 광학 요소(56)는 플래시 모듈, 적외선 거리 측정 부품, 레이저 포커스 모듈 및 색온도 보정을 위한 모듈일 수 있다. 감지 요소(55)는 가속기, 자이로스코프, 홀 효과 요소와 같은 물리적 운동량 및 운동 에너지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손 또는 외부 환경에 의해 가해지는 흔들림 또는 떨림을 감지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전자 장치(50) 상에 배치된 자동 초점 부품(53) 및 광학 흔들림 방지 부품(54)은 양호한 화질을 얻고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50)가 최적화된 셀프 촬영, 낮은 광원으로의 높은 동적 범위(HDR), 4K 해상도 녹음 등의 다중 모드를 갖는 캡쳐 기능을 용이하게 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을 통해 카메라의 캡쳐된 이미지를 시각적으로 보고 터치 스크린에서 수동으로 뷰 찾기 범위를 조작하여 사용자가 보는 것의 자동 초점 기능을 얻을 수 있다.
도 5b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51), 이미지 센서(52), 자동 초점 부품(53), 광학 흔들림 방지 부품(54), 감지 요소(55) 및 보조 광학 요소(56)는 유연한 인쇄 회로 기판(FPC)(59a)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캡쳐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하여 커넥터(59b)를 통하여 이미징 신호 프로세싱 요소(57)와 같은 관련된 요소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스마트폰과 같은 현재의 전자 장치는 가볍고 얇은 경향이 있기 때문에, 카메라 모듈, 이미징 렌즈 어셈블리 및 관련된 요소들을 유연한 인쇄 회로기판 상에 배치하고, 두번째로 커넥터를 통해 전자 장치의 메인 보드에 회로를 통합하는 방법은 정자 장치 내부의 제한된 공간의 기계적 디자인과 레이아웃 요구 사항을 만족시키고 더 많은 마진을 얻을 수 있다. 이미징 렌즈 모듈의 자동 초점 기능은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을 통해 보다 더 유연하게 제어될 수 있다. 제5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50)는 복수의 감지 요소(55) 및 복수의 보조 광학 요소(56)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 요소(55) 및 보조 광학 요소(56)는 유연한 인쇄 회로기판(59a) 및 적어도 하나의 유연한 인쇄 회로기판(특별히 라벨링되지 않음) 상에 배치되고, 캡쳐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하여 대응하는 커넥터를 통해 이미징 신호 프로세싱 요소(57)와 같은 관련된 요소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다른 실시예들(미도시)에서, 감지 요소 및 보조 광학 부품은 기계적 디자인 및 회로 레이아웃의 요구 사항에 따른 다른 형태로 전자 장치의 메인 보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50)는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 임의접근기억장치, 읽기-전용 기억장치, 또는 이들의 조합을 더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6 실시예>
도 6은 본 개시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60)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6에서, 제6 실시예의 전자 장치(60)는 태블릿이다. 전자 장치(60)는 본 개시에 따른 카메라 모듈(61) 및 이미지 센서(미도시)를 포함하고, 이미지 센서는 카메라 모듈(61)의 이미지 표면(미도시) 상에 배치되고, 카메라 모듈(61)은 본 개시의 이미징 렌즈 어셈블리(미도시)를 포함한다.
<제7 실시예>
도 7은 본 개시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70)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7에서, 전자 장치(70)는 착용가능한 장치이다. 전자 장치(70)는 카메라 모듈(71) 및 이미지 센서(미도시)를 포함하고, 이미지 센서는 카메라 모듈(71)의 이미지 표면(미도시) 상에 배치되고, 카메라 모듈(71)은 본 개시의 이미징 렌즈 어셈블리(미도시)를 포함한다.
전술한 설명은 설명을 목적으로 특정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다. 표는 상이한 실시예의 다른 데이터를 나타낸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그러나, 상이한 실시예의 데이터는 실험으로부터 얻어진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원리 및 그 실제 응용을 가장 잘 설명하고, 당업자가 본 개시 내용 및 의도된 특정 용도에 적합한 다양한 변형 예를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선택되고 기술되었다.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포괄적이거나 본 개시의 범위를 개시된 정확한 형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가르침의 관점에서 많은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28)
- 플라스틱 배럴; 및
플라스틱 배럴 내에 배치되고 광축을 가지는 렌즈 요소 세트를 포함하고, 렌즈 요소 세트는 물체-측 렌즈 요소 및 이미지-측 렌즈 요소를 포함하고,
물체-측 렌즈 요소가 외경 표면 및 광학 유효 부분을 가지고, 물체-측 렌즈 요소의 이미지-측 표면 상에 위치되고 이미지-측 렌즈 요소를 동축으로 정렬 및 연결하기 위한 원추형 정렬 표면을 포함하고,
원추형 정렬 표면의 최소 직경 위치와 외경 표면 사이의 최소 반경 거리가 L1이고, 0.03 mm < L1 < 0.28 mm의 조건이 만족되는,
이미징 렌즈 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
물체-측 렌즈 요소는 물체-측 수용 표면을 더 포함하고, 이미지-측 렌즈 요소는 물체-측 수용 표면을 포함하며, 이미지-측 수용 표면은 물체-측 수용 표면과 연결되고 이미지-측 수용 표면은 원추형 정렬 표면이 광학 유효 부분으로부터 있는 것보다 광학 유효 부분으로부터 더 멀리 있는,
이미징 렌즈 어셈블리. - 제2항에 있어서,
물체-측 렌즈 요소는 광학 유효 부분을 둘러싸는 환형의 스텝 마크를 갖는 분할선을 더 포함하고, 분할선은 외경 표면과 이미지-측 수용 표면 사이에 있는,
이미징 렌즈 어셈블리. - 제3항에 있어서,
물체-측 렌즈 요소는 외경 표면과 원추형 정렬 표면 사이에 위치된 환형 리세스 구조를 더 포함하고, 환형 리세스 구조의 광축에 평행한 리세스 깊이는 s1이며, s1 < 0.015 mm의 조건이 만족되는,
이미징 렌즈 어셈블리. - 제3항에 있어서,
물체-측 렌즈 요소는 외경 표면과 원추형 정렬 표면 사이에 위치된 환형 리세스 구조를 더 포함하고;
이미지-측 렌즈 요소는 물체-측 렌즈 요소의 환형 리세스 구조를 향하는 제1 리세스 구조를 포함하고;
광축에 평행한 환형 리세스 구조의 리세스 깊이는 s1이고, 광축에 평행한 제1 리세스 구조의 리세스 깊이는 s2이고, 0.005 mm < s1+s2 < 0.035 mm의 조건이 만족되는,
이미징 렌즈 어셈블리. - 제3항에 있어서,
물체-측 렌즈 요소는 외경 표면과 원추형 정렬 표면 사이에 위치된 환형 리세스 구조를 더 포함하고;
이미지-측 렌즈 요소는 환형 리세스 구조를 향하는 제1 리세스 구조를 포함하고;
광축에 평행한 황형 리세스 구조의 리세스 깊이는 s1이고, 광축에 평행한 제1 리세스 구조의 리세스 깊이는 s2이고, s1<s2의 조건이 만족되는,
이미징 렌즈 어셈블리. - 제3항에 있어서,
원추형 정렬 표면의 최소 직경 위치와 외경 표면 사이의 최소 반경 거리가 L1이고, 0.03 mm < L1 ≤ 0.23 mm의 조건이 만족되는,
이미징 렌즈 어셈블리. - 제2항에 있어서,
원추형 정렬 표면의 최소 직경 위치와 광학 유효 부분 사이의 최소 반경 거리가 L0이고, 0.2 mm < L0의 조건이 만족되는,
이미징 렌즈 어셈블리. - 제2항에 있어서,
물체 단부에 가장 가까운 플라스틱 배럴의 외경은 Φoo 이고, 1.05 mm < Φoo < 3.05 mm 의 조건이 만족되는,
이미징 렌즈 어셈블리. - 제2항에 있어서,
렌즈 요소 세트는 적어도 4개의 렌즈 요소를 포함하고, 적어도 4개의 요소는 물체-측 렌즈 요소 및 이미지-측 렌즈 요소를 포함하며, 이미지 단부에 가장 가까운 적어도 4개의 렌즈 요소의 렌즈 요소는 두께를 가지며, 두께는 렌즈 요소의 중심에서 렌즈 요소의 가장자리까지 작은 것에서 큰 것으로 그리고 이어서 작은 것으로 변하는,
이미징 렌즈 어셈블리. - 제5항에 있어서,
광축에 평행한 환형 리세스 구조의 리세스 깊이는 s1이고, 광축과 평행한 제1 리세스 구조의 리세스 깊이는 s2이고, 0.005 mm < s1+s2 < 0.02 mm의 조건이 만족되는,
이미징 렌즈 어셈블리. - 제5항에 있어서,
광축에 평행한 환형 리세스 구조의 리세스의 깊이는 s1이고, 광축과 평행한 제1 리세스 구조의 리세스 깊이는 s2이고, s1 < s2의 조건이 만족되는,
이미징 렌즈 어셈블리. - 제12항에 있어서,
광축에 평행한 환형 리세스 구조의 리세스 깊이는 s1이고, s1 < 0.015 mm의 조건이 만족되는,
이미징 렌즈 어셈블리. - 제13항에 있어서,
광축에 평행한 환형 리세스 구조의 리세스 깊이는 s1이고, s1 < 0.01 mm의 조건이 만족되는,
이미징 렌즈 어셈블리. - 제6항에 있어서,
광축에 평행한 환형 리세스 구조의 리세스 깊이는 s1이고, s1 < 0.01 mm의 조건이 만족되는,
이미징 렌즈 어셈블리. - 제7항에 있어서,
물체-측 렌즈 요소는 외경 표면과 원추형 정렬 표면 사이에 위치된 환형 리세스 구조를 더 포함하고, 광축에 평행한 환형 리세스 구조의 리세스 깊이는 s1이고, s1 < 0.015 mm의 조건이 만족되는,
이미징 렌즈 어셈블리. - 제16항에 있어서,
이미지-측 렌즈 요소는 물체-측 렌즈 요소의 환형 리세스 구조와 대향하는 제1 리세스 구조를 더 포함하고;
광축에 평행한 환형 리세스 구조의 리세스 깊이는 s1이고, 광축과 평행한 제1 리세스 구조의 리세스 깊이는 s2이고, 0.005 mm < s1+s2 < 0.02 mm의 조건이 만족되는,
이미징 렌즈 어셈블리. - 제7항에 있어서,
물체-측 렌즈 요소는 외경 표면과 원추형 정렬 표면 사이에 위치된 환형 리세스 구조를 더 포함하고;
이미지-측 렌즈 요소는 물체-측 렌즈 요소의 환형 리세스 구조를 향하는 제1 리세스 구조를 더 포함하고;
광축과 평행한 환형 리세스 구조의 리세스 깊이는 s1이고, 광축과 평행한 환형 리세스 구조의 리세스 깊이는 s2이고, 0.005 mm < s1+s2 < 0.035 mm의 조건이 만족되는,
이미징 렌즈 어셈블리. - 제18항에 있어서,
광축에 평행한 환형 리세스 구조의 리세스 깊이는 s1이고, 광축과 평행한 제1 리세스 구조의 리세스 깊이는 s2이고, s1 < s2의 조건이 만족되는,
이미징 렌즈 어셈블리. - 제7항에 있어서,
물체-측 렌즈 요소는 외경 표면과 원추형 정렬 표면 사이에 위치된 환형 리세스 구조를 더 포함하고;
이미지-측 렌즈 요소는 물체-측 렌즈 요소의 환형 리세스 구조를 향하는 제1 리세스 구조를 더 포함하고;
광축에 형행한 환형 리세스 구조의 리세스 깊이는 s1이고, 광축에 평행한 제1 리세스 구조의 리세스 깊이는 s2이고, s1 < s2의 조건이 만족되는,
이미징 렌즈 어셈블리. - 제20항에 있어서,
광축에 평행한 환형 리세스 구조의 리세스 깊이는 s1이고, 광축과 평행한 제1 리세스 구조의 리세스 깊이는 s2이고, 0.005 mm < s1+s2 < 0.02 mm의 조건이 만족되는,
이미징 렌즈 어셈블리. - 제7항에 있어서,
원추형 정렬 표면의 최소 직경 위치와 광학 유효 부분 사이의 최소 직경 거리는 L0이고, 0.2 mm < L0의 조건이 만족되는,
이미징 렌즈 어셈블리. - 제7항에 있어서,
렌즈 요소 세트는 적어도 4개의 렌즈 요소를 포함하고, 적어도 4개의 렌즈 요소는 물체-측 렌즈 요소 및 이미지-측 렌즈 요소를 포함하고, 적어도 4개의 렌즈 요소의 이미지 단부에 가장 가까운 렌즈 요소는 두께를 가지고, 두께는 렌즈 소자의 중심에서 렌즈 소자의 가장자리까지 작은 것에서 큰 것으로 변하고 그리고 이어서 작은 것으로 변하는,
이미징 렌즈 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
물체 단부에 가장 가까운 플라스틱 배럴의 외경은 Φoo 이고, 1.05 mm <Φoo < 3.05 mm의 조건이 만족되는,
이미징 렌즈 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
원추형 정렬 표면과 광축 사이의 각도는 θ이고, 2 degrees < θ < 30 degrees의 조건이 만족되는,
이미징 렌즈 어셈블리. - 제1항에 따른 이미징 렌즈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제26항에 따른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표면 상에 배치된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제27항에 있어서,
이미지 센서의 픽셀 크기는 p이고, 0.1 um < p < 0.95 um의 조건이 만족되는,
전자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10722A KR102420243B1 (ko) | 2018-08-17 | 2021-08-23 | 이미징 렌즈 어셈블리, 카메라 모듈 및 전자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TW107128863 | 2018-08-17 | ||
TW107128863A TWI671548B (zh) | 2018-08-17 | 2018-08-17 | 成像鏡頭、相機模組及電子裝置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10722A Division KR102420243B1 (ko) | 2018-08-17 | 2021-08-23 | 이미징 렌즈 어셈블리, 카메라 모듈 및 전자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20591A true KR20200020591A (ko) | 2020-02-26 |
KR102295162B1 KR102295162B1 (ko) | 2021-08-30 |
Family
ID=6861914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90432A KR102295162B1 (ko) | 2018-08-17 | 2019-07-25 | 이미징 렌즈 어셈블리, 카메라 모듈 및 전자 장치 |
KR1020210110722A KR102420243B1 (ko) | 2018-08-17 | 2021-08-23 | 이미징 렌즈 어셈블리, 카메라 모듈 및 전자 장치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10722A KR102420243B1 (ko) | 2018-08-17 | 2021-08-23 | 이미징 렌즈 어셈블리, 카메라 모듈 및 전자 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2) | US11150433B2 (ko) |
KR (2) | KR102295162B1 (ko) |
CN (2) | CN113960767B (ko) |
BR (1) | BR102019016045A2 (ko) |
TW (1) | TWI671548B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039016A1 (ko) * | 2022-08-19 | 2024-02-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렌즈들을 포함하는 카메라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TWI730639B (zh) * | 2020-02-25 | 2021-06-11 |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 成像鏡頭模組與電子裝置 |
CN113777734A (zh) * | 2020-06-05 | 2021-12-10 | 三营超精密光电(晋城)有限公司 | 镜头组件、镜头模块及电子装置 |
CN114077024B (zh) * | 2020-08-10 | 2024-06-18 | 玉晶光电(厦门)有限公司 | 光学成像镜头 |
CN212276071U (zh) * | 2020-11-26 | 2021-01-01 | 常州市瑞泰光电有限公司 | 镜头模组及摄像装置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13680A (ko) * | 2009-08-03 | 2011-02-10 | 삼성전기주식회사 | 렌즈 어셈블리 |
KR20110058094A (ko) * | 2009-11-25 | 2011-06-01 | 삼성전기주식회사 | 렌즈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 |
KR20150101352A (ko) * | 2014-02-26 | 2015-09-03 | 삼성전기주식회사 | 렌즈 모듈 |
KR20160076843A (ko) * | 2014-12-23 | 2016-07-01 | 삼성전기주식회사 | 렌즈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 |
KR20170001529U (ko) * | 2015-10-22 | 2017-05-04 | 애플 인크. | 렌즈 시스템 |
Family Cites Familie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47352A (ja) * | 1998-11-11 | 2000-05-26 | Nikon Corp | 可変焦点距離レンズ鏡筒 |
CN103217767B (zh) * | 2012-01-18 | 2015-07-15 | 玉晶光电(厦门)有限公司 | 镜筒及镜头模组 |
JP2014164239A (ja) * | 2013-02-27 | 2014-09-08 | Konica Minolta Inc | レンズユニット及び撮像装置 |
TWI484240B (zh) | 2013-10-04 | 2015-05-11 | Largan Precision Co Ltd | 光學鏡片組 |
JP2016109859A (ja) * | 2014-12-05 | 2016-06-20 | オリンパス株式会社 | レンズ鏡筒 |
TWM509915U (zh) * | 2015-07-20 | 2015-10-01 | Largan Precision Co Ltd | 具有自動對焦機構的鏡頭模組及電子裝置 |
US9612437B1 (en) * | 2015-09-11 | 2017-04-04 | Largan Precision Co., Ltd. | Optical lens module with plastic barrel, imaging apparatus including same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apparatus |
TWM519751U (zh) * | 2015-11-09 | 2016-04-01 |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 塑膠鏡筒、鏡頭模組及電子裝置 |
TWM520143U (zh) * | 2015-12-17 | 2016-04-11 |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 成像鏡頭模組及電子裝置 |
CN106291859A (zh) * | 2016-10-27 | 2017-01-04 | 浙江舜宇光学有限公司 | 光学镜片组 |
JP6825888B2 (ja) * | 2016-11-29 | 2021-02-03 | マクセル株式会社 | レンズユニットおよびカメラモジュール |
CN206757143U (zh) * | 2017-01-12 | 2017-12-15 | 大立光电股份有限公司 | 光学镜片组、成像镜头与电子装置 |
TWI676832B (zh) * | 2017-04-21 | 2019-11-11 | 先進光電科技股份有限公司 | 光學成像系統 |
TWI623787B (zh) | 2017-05-16 | 2018-05-11 |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 含有塑膠透鏡的成像透鏡組、成像鏡頭模組及電子裝置 |
TWI625557B (zh) * | 2017-07-11 | 2018-06-01 |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 環形光學元件、成像鏡頭模組與電子裝置 |
-
2018
- 2018-08-17 TW TW107128863A patent/TWI671548B/zh active
- 2018-10-23 CN CN202111403533.0A patent/CN113960767B/zh active Active
- 2018-10-23 CN CN201811234241.7A patent/CN110837176B/zh active Active
-
2019
- 2019-05-01 US US16/400,062 patent/US11150433B2/en active Active
- 2019-07-25 KR KR1020190090432A patent/KR10229516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08-02 BR BR102019016045-4A patent/BR102019016045A2/pt unknown
-
2021
- 2021-08-23 KR KR1020210110722A patent/KR10242024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1-09-14 US US17/474,096 patent/US11714251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13680A (ko) * | 2009-08-03 | 2011-02-10 | 삼성전기주식회사 | 렌즈 어셈블리 |
KR20110058094A (ko) * | 2009-11-25 | 2011-06-01 | 삼성전기주식회사 | 렌즈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 |
KR20150101352A (ko) * | 2014-02-26 | 2015-09-03 | 삼성전기주식회사 | 렌즈 모듈 |
KR20160076843A (ko) * | 2014-12-23 | 2016-07-01 | 삼성전기주식회사 | 렌즈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 |
KR101823195B1 (ko) * | 2014-12-23 | 2018-01-29 | 삼성전기주식회사 | 렌즈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 |
KR20170001529U (ko) * | 2015-10-22 | 2017-05-04 | 애플 인크. | 렌즈 시스템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039016A1 (ko) * | 2022-08-19 | 2024-02-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렌즈들을 포함하는 카메라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0837176B (zh) | 2021-12-14 |
TWI671548B (zh) | 2019-09-11 |
KR20210107580A (ko) | 2021-09-01 |
US20200057234A1 (en) | 2020-02-20 |
CN110837176A (zh) | 2020-02-25 |
BR102019016045A2 (pt) | 2020-03-10 |
TW202009548A (zh) | 2020-03-01 |
US20210405317A1 (en) | 2021-12-30 |
CN113960767A (zh) | 2022-01-21 |
US11150433B2 (en) | 2021-10-19 |
KR102420243B1 (ko) | 2022-07-13 |
CN113960767B (zh) | 2023-05-02 |
KR102295162B1 (ko) | 2021-08-30 |
US11714251B2 (en) | 2023-08-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20243B1 (ko) | 이미징 렌즈 어셈블리, 카메라 모듈 및 전자 장치 | |
US10928560B2 (en) | Imaging lens assembly with dual molded optical element and electronic device | |
US11333864B2 (en) | Plastic optical lens assembly, imaging lens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 |
US11604325B2 (en) | Imaging lens module with plastic barrel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module | |
US11880117B2 (en) |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 |
US12013514B2 (en) | Imaging lens assembly,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 |
US11531181B2 (en) | Imaging lens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 |
US11467366B2 (en) | Imaging lens assembly, camera module, electronic device and external adjusting jig for manufacturing same imaging lens assembly | |
US11693205B2 (en) | Plastic lens barrel,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 |
US20190011667A1 (en) | Imaging lens element,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 |
US11435500B2 (en) | Optical lens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 |
US10336021B2 (en) | Imaging lens element,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 |
US11762166B2 (en) | Plastic lens barrel, imaging lens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