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0045A - 풍량 제어 댐퍼 - Google Patents

풍량 제어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0045A
KR20200020045A KR1020180095262A KR20180095262A KR20200020045A KR 20200020045 A KR20200020045 A KR 20200020045A KR 1020180095262 A KR1020180095262 A KR 1020180095262A KR 20180095262 A KR20180095262 A KR 20180095262A KR 20200020045 A KR20200020045 A KR 202000200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g
movement controller
hinge
movement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5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8184B1 (ko
Inventor
박성종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5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8184B1/ko
Publication of KR20200020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00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8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81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유동 소음을 최소화한 풍량 제어 댐퍼가 제공된다. 상기 풍량 제어 댐퍼는, 덕트에 구비되어 풍량을 조절하는 것으로서, 내부가 비어 있는 몸체부; 몸체부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1 날개, 제1 날개의 하측에 위치하며 제1 날개에 연결되는 제2 날개, 제1 날개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3 날개, 제3 날개의 하측에 위치하며 제3 날개에 연결되는 제4 날개, 제1 날개와 제3 날개의 사이에 위치하여 제1 날개와 제3 날개에 연결되는 제5 날개, 및 제2 날개와 제4 날개의 사이에 위치하여 제2 날개와 제4 날개에 연결되는 제6 날개를 구비하는 날개부; 및 제5 날개가 고정되는 제1 이동 제어기, 및 제6 날개가 고정되는 제2 이동 제어기를 구비하며, 제1 이동 제어기 및 제2 이동 제어기를 몸체부의 상하 방향으로 각각 이동시켜 날개부를 몸체부의 전후 방향으로 팽창시키거나 몸체부의 상하 방향으로 팽창시키는 날개 이동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풍량 제어 댐퍼 {Damper for controlling air volume}
본 발명은 풍량을 조절하는 댐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덕트(duct)에 구비되어 풍량을 조절하는 댐퍼에 관한 것이다.
HVAC(Heating, Ventilation, Air Conditionering) 시스템은 공조 시스템으로서, 선박이나 건물 내의 각 구역마다 온도, 습도, 풍량 등이 적당하게 조절되어 공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거주민의 안락함과 안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HVAC 시스템을 구성하는 덕트(HVAC duct)는 공기 이송을 위한 통로로서, 풍량을 조절하기 위해 그 내부에 풍량 조절 댐퍼가 설치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90696호 (공고일: 2013.07.29.)
종래의 풍량 조절 댐퍼는 바람의 진행 방향에 수평 또는 수직이 되도록 회전하는 복수개의 날개를 구비한다. 풍량 조절 댐퍼는 이러한 날개의 회전을 제어하여 덕트 내에서 바람이 통과하는 면적 즉, 유동 면적의 크기를 변화시킴으로써 풍량을 조절한다.
그런데 날개를 회전시켜 유동 면적의 크기를 변화시키면, 풍량 조절 댐퍼의 후방에서 유동 소음이 발생한다. 특히 날개를 수직 방향에 가깝게 회전시켜 유동 면적의 크기를 감소시킬수록, 이러한 유동 소음의 크기는 더욱더 커진다. 선박은 엄격한 소음 기준이 적용되고 있으므로, 이러한 유동 소음은 선박에서 문제가 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유동 소음을 최소화한 풍량 제어 댐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풍량 제어 댐퍼의 일 면(aspect)은, 덕트(duct)에 구비되어 풍량을 조절하는 것으로서, 내부가 비어 있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1 날개, 상기 제1 날개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날개에 연결되는 제2 날개, 상기 제1 날개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3 날개, 상기 제3 날개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3 날개에 연결되는 제4 날개, 상기 제1 날개와 상기 제3 날개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날개와 상기 제3 날개에 연결되는 제5 날개, 및 상기 제2 날개와 상기 제4 날개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2 날개와 상기 제4 날개에 연결되는 제6 날개를 구비하는 날개부; 및 상기 제5 날개가 고정되는 제1 이동 제어기, 및 상기 제6 날개가 고정되는 제2 이동 제어기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이동 제어기 및 상기 제2 이동 제어기를 상기 몸체부의 상하 방향으로 각각 이동시켜 상기 날개부를 상기 몸체부의 전후 방향으로 팽창시키거나 상기 몸체부의 상하 방향으로 팽창시키는 날개 이동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날개부가 상기 몸체부의 전후 방향으로 팽창되거나 상기 몸체부의 상하 방향으로 팽창될 때, 상기 제5 날개 및 상기 제6 날개는 수평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몸체부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1 날개는 상기 제2 날개와 연동하여 접히거나 펼쳐지며, 상기 제3 날개는 상기 제4 날개와 연동하여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다.
상기 제3 날개 및 상기 제4 날개는 상기 제1 날개 및 상기 제2 날개와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날개 및 상기 제4 날개는 상기 제1 날개 및 상기 제2 날개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상기 내부의 양측면을 연결하는 것으로서, 상기 몸체부의 전방과 후방에서 대향하는 위치에 한 쌍으로 구비되는 수평 부재; 및 상기 수평 부재의 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풍량 제어 댐퍼는 상기 제1 날개와 상기 제2 날개를 연결하며, 상기 몸체부의 전방에 구비되는 상기 수평 부재의 홈에 삽입되는 제1 힌지, 상기 제3 날개와 상기 제4 날개를 연결하며, 상기 몸체부의 후방에 구비되는 상기 수평 부재의 홈에 삽입되는 제2 힌지, 상기 제1 날개와 상기 제5 날개를 연결하는 제3 힌지, 상기 제3 날개와 상기 제5 날개를 연결하는 제4 힌지, 상기 제2 날개와 상기 제6 날개를 연결하는 제5 힌지, 및 상기 제4 날개와 상기 제6 날개를 연결하는 제6 힌지를 구비하는 날개 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힌지와 상기 제2 힌지는 상기 날개부가 상기 몸체부의 전후 방향 또는 상하 방향으로 팽창될 때 홈 내에서 상기 몸체부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동 제어기는 상기 제2 이동 제어기와 동일한 거리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동 제어기 및 상기 제2 이동 제어기 중 어느 하나의 제어기는 상기 몸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풍량 제어 댐퍼는 상기 제1 이동 제어기와 상기 제2 이동 제어기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제1 이동 제어기 및 상기 제2 이동 제어기 중 어느 하나의 제어기에 대한 다른 하나의 제어기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이음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풍량 제어 댐퍼의 다른 면(aspect)은, 덕트(duct)에 구비되어 풍량을 조절하는 것으로서, 내부가 비어 있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3 날개, 상기 제3 날개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3 날개에 연결되는 제4 날개, 상기 제3 날개의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제3 날개에 연결되는 제5 날개, 및 상기 제4 날개의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제4 날개에 연결되는 제6 날개를 구비하는 날개부; 및 상기 제5 날개가 고정되는 제1 이동 제어기, 및 상기 제6 날개가 고정되는 제2 이동 제어기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이동 제어기 및 상기 제2 이동 제어기를 상기 몸체부의 상하 방향으로 각각 이동시켜 상기 날개부를 상기 몸체부의 전후 방향으로 팽창시키거나 상기 몸체부의 상하 방향으로 팽창시키는 날개 이동 제어부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풍량 제어 댐퍼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풍량 제어 댐퍼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풍량 제어 댐퍼의 측면도이다.
도 4는 풍량 제어 댐퍼를 구성하는 날개부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5는 풍량 제어 댐퍼를 구성하는 날개 이동 제어부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제1 참고도이다.
도 6은 풍량 제어 댐퍼를 구성하는 날개 이동 제어부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제2 참고도이다.
도 7은 풍량 제어 댐퍼를 구성하는 날개부와 날개 이동 제어부의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8은 날개 이동 제어부를 구성하는 제1 이동 제어기와 제2 이동 제어기의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날개 이동 제어부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제1 참고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날개 이동 제어부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제2 참고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날개 이동 제어부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제1 참고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날개 이동 제어부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제2 참고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풍량 제어 댐퍼의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 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VAC 시스템에서 송풍기 등에 의한 소음은 덕트에 설치되는 소음기를 통해 규제 기준 이하로 저감된다. 그런데 풍량 조절 댐퍼가 유동 면적의 크기를 변화시켜 풍량을 조절하기 때문에, 유동이 변화하는 구간 즉, 풍량 조절 댐퍼의 후방에서 유동 소음이 발생한다. 이러한 유동 소음을 재생성 소음(regeneration noise)이라고 하는데, 재생성 소음은 엄격한 소음 기준이 적용되는 선박에서 문제가 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유동 소음, 특히 재생성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풍량 제어 댐퍼에 대하여 제안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풍량 제어 댐퍼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풍량 제어 댐퍼의 배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풍량 제어 댐퍼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풍량 제어 댐퍼(100)는 몸체부(110), 날개부(120), 날개 연결부(130) 및 날개 이동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몸체부(110)는 내부가 비어 있는 틀(frame) 형태의 것이다. 이러한 몸체부(110)는 내부의 양측면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수평 부재(111)를 구비한다. 복수개의 수평 부재(111)는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를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수평 부재(111)는 직육면체 형상의 것으로서, 몸체부(110)의 전방과 후방에 동일 개수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수평 부재(111)는 몸체부(110)의 전방과 후방에서 각각 서로 대응되도록 동일 높이에 구비될 수 있다.
수평 부재(111)는 길이 방향을 따라 측면에 홈(112)이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홈(112)은 날개 연결부(130)가 삽입된 상태로 몸체부(110)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날개부(120)는 몸체부(110)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단부끼리 상호 연결되어 측면에서 볼 때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는 여섯 개의 평판을 통해 수평 방향(즉, 몸체부(110)의 전후 방향)으로 길게 확장되거나 수직 방향(즉, 몸체부(110)의 상하 방향)으로 길게 확장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날개부(120)는 수평 방향으로의 길이 확장 및 수직 방향으로의 길이 확장을 반복함으로써 몸체부(110)의 내부를 개폐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풍량 제어 댐퍼(100)는 날개부(120)의 이러한 역할에 따라 풍량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날개부(120)는 복수개의 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조립체는 평판 형태의 여섯 개의 날개(121, 122, 123, 124, 125, 12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날개부(120)는 한 개의 조립체만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섯 개의 날개(121, 122, 123, 124, 125, 126)는 이웃하는 날개끼리 단부가 상호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여섯 개의 날개(121, 122, 123, 124, 125, 126)는 각각 다음과 같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날개(121)는 몸체부(110) 내부의 전방 상측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일단부를 통해 이웃하는 제2 날개(122)와 결합되며, 타단부를 통해 이웃하는 제5 날개(125)와 결합된다. 제1 날개(121)는 제1 힌지(131)를 통해 제2 날개(122)와 결합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날개(121)는 힌지 외 다른 구성을 통하여 제2 날개(122)와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1 날개(121)는 제3 힌지(133)를 통해 제5 날개(125)와 결합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날개(121)는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다면 힌지 외 다른 구성을 통하여 제5 날개(125)와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날개(122)는 몸체부(110) 내부의 전방 하측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일단부를 통해 이웃하는 제1 날개(121)와 결합되며, 타단부를 통해 이웃하는 제6 날개(126)와 결합된다. 제2 날개(122)는 제1 힌지(131)를 통해 제1 날개(121)와 결합될 수 있으나, 힌지 외 다른 구성을 통하여 제1 날개(121)와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2 날개(122)는 제5 힌지(135)를 통해 제6 날개(126)와 결합될 수 있으나,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다면 힌지 외 다른 구성을 통하여 제6 날개(126)와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3 날개(123)는 몸체부(110) 내부의 후방 상측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일단부를 통해 이웃하는 제5 날개(125)와 결합되며, 타단부를 통해 이웃하는 제4 날개(124)와 결합된다. 제3 날개(123)는 제2 힌지(132)를 통해 제4 날개(124)와 결합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3 날개(123)는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다면 힌지 외 다른 구성을 통하여 제4 날개(124)와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3 날개(123)는 제4 힌지(134)를 통해 제5 날개(125)와 결합될 수 있으나,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다면 힌지 외 다른 구성을 통하여 제5 날개(125)와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4 날개(124)는 몸체부(110) 내부의 후방 하측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일단부를 통해 이웃하는 제6 날개(126)와 결합되며, 타단부를 통해 이웃하는 제3 날개(123)와 결합된다. 제4 날개(124)는 제2 힌지(132)를 통해 제3 날개(123)와 결합될 수 있으나,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다면 힌지 외 다른 구성을 통하여 제3 날개(123)와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4 날개(124)는 제6 힌지(136)를 통해 제6 날개(126)와 결합될 수 있으나,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다면 힌지 외 다른 구성을 통하여 제6 날개(126)와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5 날개(125)는 몸체부(110) 내부의 가운데 상측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제1 날개(121)와 제3 날개(123) 사이에 위치한다. 제5 날개(125)는 제3 힌지(133)와 제4 힌지(134)를 통해 제1 날개(121)와 제3 날개(123)에 결합될 수 있으나, 힌지 외 다른 구성을 통하여 제1 날개(121)와 제3 날개(123)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5 날개(125)는 제1 날개(121) 및 제3 날개(123)와 동일한 크기의 평판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5 날개(125)는 제1 날개(121) 및 제3 날개(123)와 서로 다른 크기의 평판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5 날개(125)는 그 일면을 통해 날개 이동 제어부(14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5 날개(125)는 볼팅(bolting), 용접(welding), 힌지(hinge) 등을 통해 날개 이동 제어부(140)와 결합될 수 있다. 제5 날개(125)는 한 개의 날개 이동 제어부(140)와 결합될 수 있으나, 두 개 이상의 날개 이동 제어부(140)와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제5 날개(125)는 날개 이동 제어부(140)에 의해 날개부(120)가 수평 방향으로 팽창되거나 수직 방향으로 팽창될 때, 제1 날개(121) 및 제3 날개(123)와 달리 수평 상태를 유지하면서 몸체부(110)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6 날개(126)는 몸체부(110) 내부의 가운데 하측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제2 날개(122)와 제4 날개(124) 사이에 위치한다. 제6 날개(126)는 제5 힌지(135)와 제6 힌지(136)를 통해 제2 날개(122)와 제4 날개(124)에 결합될 수 있으나, 힌지 외 다른 구성을 통하여 제2 날개(122)와 제4 날개(124)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6 날개(125)는 제2 날개(122) 및 제4 날개(124)와 동일한 크기의 평판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6 날개(126)는 제2 날개(122) 및 제4 날개(124)와 서로 다른 크기의 평판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6 날개(126)는 그 일면을 통해 날개 이동 제어부(14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6 날개(126)는 볼팅(bolting), 용접(welding), 힌지(hinge) 등을 통해 날개 이동 제어부(140)와 결합될 수 있다. 제6 날개(126)는 한 개의 날개 이동 제어부(140)와 결합될 수 있으나, 두 개 이상의 날개 이동 제어부(140)와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제6 날개(126)는 제5 날개(125)와 마찬가지로 날개 이동 제어부(140)에 의해 날개부(120)가 수평 방향으로 팽창되거나 수직 방향으로 팽창될 때, 제2 날개(122) 및 제4 날개(124)와 달리 수평 상태를 유지하면서 몸체부(110)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풍량 제어 댐퍼를 구성하는 날개부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제1 날개(121) 및 제2 날개(122)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날개(123) 및 제4 날개(124)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제1 날개(121) 및 제2 날개(122)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날개(123) 및 제4 날개(124)와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날개(121) 및 제2 날개(122)가 제3 날개(123) 및 제4 날개(124)와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되는 경우, 제3 날개(123) 및 제4 날개(124)는 제1 날개(121) 및 제2 날개(122)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3 날개(123) 및 제4 날개(124)가 제1 날개(121) 및 제2 날개(122)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경우, 풍량 제어 댐퍼(100)의 후방에서 유동 면적의 크기가 서서히 넓어지기 때문에, 난류 제거에 효과적이며, 이에 따라 유동 소음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날개 연결부(130)는 몸체부(110)의 전방과 후방에서 각각 상하로 배치되는 한 쌍의 날개(121 및 122, 123 및 124)를 힌지 결합시키는 것이다. 또한 날개 연결부(130)는 몸체부(110)의 상측 또는 하측에서 이웃하는 두 날개(121 및 125, 123 및 125, 122 및 126, 124 및 126)를 힌지 결합시키는 것이다.
날개 연결부(130)는 몸체부(110) 내부의 전방과 후방에 서로 대향하는(마주보는) 형태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힌지(131)와 제2 힌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힌지(131)는 몸체부(110) 내부의 전방에서 상하로 배치되는 한 쌍의 날개(121, 122)에 결합되는 것이며, 제2 힌지(132)는 몸체부(110) 내부의 후방에서 상하로 배치되는 한 쌍의 날개(123, 124)에 결합되는 것이다.
제1 힌지(131)는 몸체부(110) 내부의 전방에 구비되는 수평 부재(111)의 홈(112)에 삽입되어 몸체부(110)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힌지(132)는 몸체부(110) 내부의 후방에 구비되는 수평 부재(111)의 홈(112)에 삽입되어 몸체부(110)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날개 연결부(130)는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제1 날개(121), 제2 날개(122), 제3 날개(123) 및 제4 날개(124)가 수평 방향(즉, 몸체부(110)의 전후 방향)으로 길게 확장되거나 수직 방향(즉, 몸체부(110)의 상하 방향)으로 길게 확장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1 힌지(131)와 제2 힌지(132) 중 어느 하나의 힌지는 홈(112)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힌지는 수평 부재(111)에 고정되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1 힌지(131)와 제2 힌지(132) 모두 수평 부재(111)에 고정되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힌지(131) 및 제2 힌지(132)는 가로 방향(즉, 몸체부(110)의 양측 방향)으로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힌지(131) 및 제2 힌지(132)는 상하로 배치되는 한 쌍의 날개(121 및 122, 123 및 124)를 연결시키기 위해 인접하는 두 단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1 힌지(131) 및 제2 힌지(132)는 인접하는 두 단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단일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힌지(131) 및 제2 힌지(132)는 인접하는 두 단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단일개 구비되는 경우, 인접하는 두 단부 전체에 걸쳐 긴 길이를 가지는 것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1 힌지(131) 및 제2 힌지(132)는 인접하는 두 단부 일부에 짧은 길이를 가지는 것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힌지(131) 및 제2 힌지(132)는 이와 같이 형성되는 경우, 인접하는 두 단부의 중앙 부분을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힌지(131) 및 제2 힌지(132)는 인접하는 두 단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 구비되는 경우, 인접하는 두 단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그 양측에 동일 개수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힌지(131) 및 제2 힌지(132)는 그 양측에 서로 다른 개수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제1 힌지(131) 및 제2 힌지(132)는 세로 방향(즉, 몸체부(110)의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힌지(131) 및 제2 힌지(132)는 몸체부(110)의 내부에서 소정의 거리를 두고 상하에 위치하는 각 쌍의 날개를 결합시키기 위해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힌지(131) 및 제2 힌지(132)는 단일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날개 연결부(130)는 몸체부(110) 내부의 상측에서 이웃하는 두 날개(121 및 125, 123 및 125)를 결합시키는 제3 힌지(133) 및 제4 힌지(1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힌지(133)는 제1 날개(121)와 제5 날개(125)를 결합시키는 것이며, 제4 힌지(134)는 제3 날개(123)와 제5 날개(125)를 결합시키는 것이다.
한편 날개 연결부(130)는 몸체부(110) 내부의 하측에서 이웃하는 두 날개(122 및 126, 124 및 126)를 결합시키는 제5 힌지(135)와 제6 힌지(1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5 힌지(135)는 제2 날개(122)와 제6 날개(126)를 결합시키는 것이며, 제6 힌지(136)는 제4 날개(124)와 제6 날개(126)를 결합시키는 것이다.
날개 이동 제어부(140)는 길이가 긴 막대기 또는 봉 형상의 것으로서, 몸체부(110) 내부의 상측과 하측에서 일렬로 배치되는 세 개의 날개 중 가운데에 위치하는 날개(125, 126)의 일면에 결합된다. 이러한 날개 이동 제어부(140)는 가운데에 위치하는 두 날개(125, 126)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이 두 날개(125, 126)의 양측에 힌지 결합되어 있는 두 쌍의 날개(121 및 122, 123 및 124)가 접혀지거나 펼쳐지도록 할 수 있다.
날개 이동 제어부(140)는 몸체부(110)의 측면 외측으로 노출되는 날개부(120)의 끝 부분에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날개 이동 제어부(140)가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경우, 풍량 제어 댐퍼(100)를 정면이나 후면에서 바라볼 때 날개 이동 제어부(140)가 보이지 않게 되므로, 미관상 유려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날개 이동 제어부(140)에 의해 날개부(120)의 양쪽 끝에 전달되는 힘이 균일해지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날개 이동 제어부(140)가 날개부(120)의 끝 부분에 형성되는 경우, 날개 이동 제어부(140)를 날개부(120)의 양쪽 끝 부분에 두 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날개 이동 제어부(140)는 날개부(120)의 중앙 부분에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날개 이동 제어부(140)가 노출될 수 있으나, 날개 이동 제어부(140)를 날개부(120)에 한 개만 형성하더라도 날개부(120)의 양쪽 끝에 전달되는 힘이 균일해질 수 있다.
날개 이동 제어부(140)는 제1 이동 제어기(141) 및 제2 이동 제어기(1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동 제어기(141)는 하나의 세트에서 상측에 위치하는 세 개의 날개(121, 123, 125) 중 가운데에 위치하는 제5 날개(125)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제5 날개(125)를 위쪽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하나의 세트에서 하측에 위치하는 세 개의 날개(122, 124, 126) 중 가운데에 위치하는 제6 날개(126)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제6 날개(126)를 아래쪽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몸체부(110)의 내부에 복수개의 세트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 이동 제어기(141)는 각 세트에서 상측에 위치하는 세 개의 날개(121, 123, 125)에 결합되어, 각 세트의 이 세 날개(121, 123, 125)를 동시에 위쪽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1 이동 제어기(141)는 어느 한 세트의 세 날개(121, 123, 125)만 위쪽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1 이동 제어기(141)는 각 세트의 세 날개(121, 123, 125)를 위쪽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세트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풍량 제어 댐퍼(100)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몸체부(110)의 내부에 복수개의 세트가 구비되는 경우, 제2 이동 제어기(142)는 각 세트에서 하측에 위치하는 세 개의 날개(122, 124, 126)에 결합되어, 각 세트의 이 세 날개(122, 124, 126)를 동시에 아래쪽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2 이동 제어기(142)는 어느 한 세트의 세 날개(122, 124, 126)만 아래쪽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2 이동 제어기(142)는 제1 이동 제어기(141)와 마찬가지로 각 세트의 세 날개(122, 124, 126)를 아래쪽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세트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풍량 제어 댐퍼(100)에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풍량 제어 댐퍼를 구성하는 날개 이동 제어부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제1 참고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풍량 제어 댐퍼를 구성하는 날개 이동 제어부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제2 참고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1 이동 제어기(141)는 제5 날개(125)를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5 날개(125)에 연동되는 제1 날개(121)와 제3 날개(123)가 함께 상측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2 이동 제어기(142)는 제6 날개(126)를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6 날개(126)에 연동되는 제2 날개(122)와 제4 날개(124)가 함께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이동 제어기(141)와 제2 이동 제어기(142)는 날개부(120)의 각 날개(121, 122, 123, 124, 125, 126)를 상기와 같이 이동시켜 몸체부(110)의 내부가 서서히 폐쇄되도록 할 수 있다.
제5 날개(125)가 제1 이동 제어기(141)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6 날개(126)가 제2 이동 제어기(142)에 의해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1 날개(121)와 제2 날개(122)를 연결시키는 제1 힌지(131)는 수평 부재(111)의 홈(112) 내에서 몸체부(110)의 후방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제2 날개(122)와 제4 날개(124)를 연결시키는 제2 힌지(132)는 수평 부재(111)의 홈(112) 내에서 몸체부(110)의 전방으로 이동한다. 제1 이동 제어기(141), 제2 이동 제어기(142), 제1 힌지(131) 및 제2 힌지(132)의 이러한 이동은 제1 날개(121)와 제3 날개(123)를 몸체부(110)의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제2 날개(122)와 제4 날개(124)를 몸체부(110)의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날개부(120)가 수직 방향으로 팽창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제1 이동 제어기(141)가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1 이동 제어기(141)에 결합되어 있는 제5 날개(125)와 이에 연동되는 제1 날개(121)와 제3 날개(123)도 하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마찬가지로 제2 이동 제어기(142)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2 이동 제어기(142)에 결합되어 있는 제6 날개(126)와 이에 연동되는 제2 날개(122)와 제4 날개(124)도 상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제1 힌지(131)는 수평 부재(111)의 홈(112) 내에서 몸체부(110)의 전방으로 점진적으로 이동하고, 제2 힌지(132)는 수평 부재(111)의 홈(112) 내에서 몸체부(110)의 후방으로 점진적으로 이동한다. 제1 이동 제어기(141), 제2 이동 제어기(142), 제1 힌지(131) 및 제2 힌지(132)의 이러한 이동은 날개부(120)가 수평 방향으로 팽창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이에 따라 몸체부(110)의 내부가 서서히 개방되도록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제1 이동 제어기(141)와 제2 이동 제어기(142)는 동일한 거리만큼 몸체부(110)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제1 이동 제어기(141)가 몸체부(110)의 상측 방향으로 2cm 이동하면, 제2 이동 제어기(142)는 제1 이동 제어기(142)와 동일선상에서 몸체부(110)의 하측 방향으로 2cm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제1 이동 제어기(141)는 제2 이동 제어기(142)와 서로 다른 거리를 이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제1 이동 제어기(141)와 제2 이동 제어기(142) 중 어느 하나의 제어기는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제어기는 몸체부(110)에 고정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이동 제어기(141)는 몸체부(110)의 상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제2 이동 제어기(142)는 몸체부(110)에 고정되어 몸체부(110)의 하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지 않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이동 제어기(141)는 제5 날개(125)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지 않고, 제5 날개(125)에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거나, 제5 날개(125)와 분리되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제2 이동 제어기(142)도 제1 이동 제어기(141)와 마찬가지로 제6 날개(126)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지 않고, 제6 날개(126)에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거나, 제6 날개(126)와 분리되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제2 이동 제어기(142)가 제6 날개(126)와 분리되어 형성되는 경우, 제2 이동 제어기(142)는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에 고리 형태의 부재를 구비하고, 제6 날개(126)는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에 홀(hole)이 형성된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이동 제어기(142)는 고리 형태의 부재를 홀에 삽입시켜 제2 날개(122), 제4 날개(124) 및 제6 날개(126)의 상하 이동을 조정할 수 있다. 도 7은 풍량 제어 댐퍼를 구성하는 날개부와 날개 이동 제어부의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한편 날개 이동 제어부(14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동 제어기(141)와 제2 이동 제어기(142)를 상호 연결하는 이음 부재(1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날개 이동 제어부를 구성하는 제1 이동 제어기와 제2 이동 제어기의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이음 부재(143)는 제1 이동 제어기(141)의 제1 측(144)와 제2 이동 제어기(142)의 제2 측(145)를 상호 연결시켜 형성될 수 있다. 이음 부재(143)는 이러한 연결 구조를 통해 제1 이동 제어기(141)와 제2 이동 제어기(142)가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하 이동되도록 할 수 있으며, 제2 이동 제어기(142)에 대한 제1 이동 제어기(141)의 상대적 이동 범위(또는 제1 이동 제어기(141)에 대한 제2 이동 제어기(142)의 상대적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한편 도 5 및 도 6의 예시는 제1 힌지(131)와 제2 힌지(132) 모두 홈(112)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경우의 예시이다. 그러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힌지(131)와 제2 힌지(132) 중 어느 하나의 힌지는 수평 부재(111)에 고정되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거나, 제1 힌지(131)와 제2 힌지(132) 모두 수평 부재(111)에 고정되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먼저 전자의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풍량 제어 댐퍼를 구성하는 날개 이동 제어부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제1 참고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풍량 제어 댐퍼를 구성하는 날개 이동 제어부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제2 참고도이다.
도 9 및 도 10에서는 제1 힌지(131)가 홈(112)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제2 힌지(132)가 수평 부재(111)에 고정되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할 것이나, 본 실시예에서는 제2 힌지(132)가 홈(112)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제1 힌지(131)가 수평 부재(111)에 고정되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1 이동 제어기(141)는 제5 날개(125)를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이에 연동되는 제1 날개(121)와 제3 날개(123)가 함께 상측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고, 제2 이동 제어기(142)는 제6 날개(126)를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이에 연동되는 제2 날개(122)와 제4 날개(124)가 함께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몸체부(110)의 내부가 서서히 폐쇄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날개(121), 제3 날개(123) 및 제5 날개(125)가 제1 이동 제어기(141)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2 날개(122), 제4 날개(124) 및 제6 날개(126)가 제2 이동 제어기(142)에 의해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1 날개(121)와 제2 날개(122)를 연결시키는 제1 힌지(131)는 수평 부재(111)의 홈(112) 내에서 몸체부(110)의 후방으로 점진적으로 이동한다. 반면 제2 날개(122)와 제4 날개(124)를 연결시키는 제2 힌지(132)는 수평 부재(111)의 끝 부분에 고정된 채 제2 날개(122)와 제4 날개(124)가 펼쳐질 수 있도록 회전한다. 제1 이동 제어기(141), 제2 이동 제어기(142), 제1 힌지(131) 및 제2 힌지(132)의 이러한 움직임은 제1 날개(121), 제3 날개(123) 및 제5 날개(125)를 몸체부(110)의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제2 날개(122), 제4 날개(124) 및 제6 날개(126)를 몸체부(110)의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날개부(120)가 수직 방향으로 팽창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제1 이동 제어기(141)가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1 이동 제어기(141)에 결합되어 있는 제5 날개(125)와 이에 연동되는 제1 날개(121) 및 제3 날개(123)도 하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마찬가지로 제2 이동 제어기(142)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2 이동 제어기(142)에 결합되어 있는 제6 날개(126)와 이에 연동되는 제2 날개(122) 및 제4 날개(124)도 상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제1 힌지(131)는 수평 부재(111)의 홈(112) 내에서 몸체부(110)의 전방으로 점진적으로 이동하고, 제2 힌지(132)는 수평 부재(111)의 끝 부분에 고정된 채 제2 날개(122)와 제4 날개(124)가 접혀질 수 있도록 회전한다. 제1 이동 제어기(141), 제2 이동 제어기(142), 제1 힌지(131) 및 제2 힌지(132)의 이러한 이동은 날개부(120)가 수평 방향으로 팽창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이에 따라 몸체부(110)의 내부가 서서히 개방되도록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다음으로 후자의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풍량 제어 댐퍼를 구성하는 날개 이동 제어부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제1 참고도이다. 그리고 도 12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풍량 제어 댐퍼를 구성하는 날개 이동 제어부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제2 참고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제1 날개(121), 제3 날개(123) 및 제5 날개(125)가 제1 이동 제어기(141)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2 날개(122), 제4 날개(124) 및 제6 날개(126)가 제2 이동 제어기(142)에 의해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1 힌지(131)는 수평 부재(111)의 끝 부분에 고정된 채 제1 날개(121)와 제3 날개(123)가 펼쳐질 수 있도록 회전한다. 마찬가지로 제2 힌지(132)는 수평 부재(111)의 끝 부분에 고정된 채 제2 날개(122)와 제4 날개(124)가 펼쳐질 수 있도록 회전한다.
한편 제1 날개(121), 제3 날개(123) 및 제5 날개(125)가 제1 이동 제어기(141)에 의해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2 날개(122), 제4 날개(124) 및 제6 날개(126)가 제2 이동 제어기(142)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1 힌지(131), 제2 힌지(132) 등은 각각의 수평 부재(111)의 끝 부분에 고정된 채 제1 날개(121)와 제3 날개(123), 제2 날개(122)와 제4 날개(124) 등이 각각 접혀질 수 있도록 회전한다.
이상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풍량 제어 댐퍼(100)에 따르면, 바람이 풍량 제어 댐퍼(100)를 통과할 때 나타나는 유동 공간의 크기가 축소, 일정, 확대, 일정 등의 순서로 변화하기 때문에, 유동 면적의 급격한 크기 변화 없이 풍량을 조절할 수 있다. 즉, 풍량 제어 댐퍼(100)를 통과하는 유동이 가속, 안정화, 감속, 안정화 등의 순서로 완만한 속도 변화를 경험하기 때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풍량 제어 댐퍼(100)는 종래의 풍량 조절 댐퍼에서 발생되는 유동 소음을 상당히 줄일 수 있으며, 소성 변형의 위험 없이 한정된 크기로 풍량 조절 댐퍼를 제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풍량 제어 댐퍼(10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부(120)가 제3 날개(123), 제4 날개(124), 제5 날개(125) 및 제6 날개(126)로 구성되고, 날개 연결부(130)가 제2 힌지(132) 만으로 구성되어, 제1 이동 제어기(141)와 제2 이동 제어기(142)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팽창되거나 수직 방향으로 팽창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풍량 제어 댐퍼의 측면도이다.
이때 날개 이동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른 제2 힌지(132)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수평 부재(111)의 홈(112)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수평 부재(111)의 끝 부분에 고정된 채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풍량 제어 댐퍼 110: 몸체부
111: 수평 부재 112: 홈
120: 날개부 121: 제1 날개
122: 제2 날개 123: 제3 날개
124: 제4 날개 125: 제5 날개
126: 제6 날개 130: 날개 연결부
131: 제1 힌지 132: 제2 힌지
133: 제3 힌지 134: 제4 힌지
135: 제5 힌지 136: 제6 힌지
140: 날개 이동 제어부 141: 제1 이동 제어기
142: 제2 이동 제어기 143: 이음 부재

Claims (10)

  1. 덕트(duct)에 구비되어 풍량을 조절하는 것으로서,
    내부가 비어 있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1 날개, 상기 제1 날개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날개에 연결되는 제2 날개, 상기 제1 날개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3 날개, 상기 제3 날개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3 날개에 연결되는 제4 날개, 상기 제1 날개와 상기 제3 날개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날개와 상기 제3 날개에 연결되는 제5 날개, 및 상기 제2 날개와 상기 제4 날개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2 날개와 상기 제4 날개에 연결되는 제6 날개를 구비하는 날개부; 및
    상기 제5 날개가 고정되는 제1 이동 제어기, 및 상기 제6 날개가 고정되는 제2 이동 제어기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이동 제어기 및 상기 제2 이동 제어기를 상기 몸체부의 상하 방향으로 각각 이동시켜 상기 날개부를 상기 몸체부의 전후 방향으로 팽창시키거나 상기 몸체부의 상하 방향으로 팽창시키는 날개 이동 제어부를 포함하는 풍량 제어 댐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가 상기 몸체부의 전후 방향으로 팽창되거나 상기 몸체부의 상하 방향으로 팽창될 때, 상기 제5 날개 및 상기 제6 날개는 수평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몸체부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1 날개는 상기 제2 날개와 연동하여 접히거나 펼쳐지며, 상기 제3 날개는 상기 제4 날개와 연동하여 접히거나 펼쳐지는 풍량 제어 댐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날개 및 상기 제4 날개는 상기 제1 날개 및 상기 제2 날개와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되는 풍량 제어 댐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날개 및 상기 제4 날개는 상기 제1 날개 및 상기 제2 날개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풍량 제어 댐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내부의 양측면을 연결하는 것으로서, 상기 몸체부의 전방과 후방에서 대향하는 위치에 한 쌍으로 구비되는 수평 부재; 및
    상기 수평 부재의 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홈을 포함하는 풍량 제어 댐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날개와 상기 제2 날개를 연결하며, 상기 몸체부의 전방에 구비되는 상기 수평 부재의 홈에 삽입되는 제1 힌지, 상기 제3 날개와 상기 제4 날개를 연결하며, 상기 몸체부의 후방에 구비되는 상기 수평 부재의 홈에 삽입되는 제2 힌지, 상기 제1 날개와 상기 제5 날개를 연결하는 제3 힌지, 상기 제3 날개와 상기 제5 날개를 연결하는 제4 힌지, 상기 제2 날개와 상기 제6 날개를 연결하는 제5 힌지, 및 상기 제4 날개와 상기 제6 날개를 연결하는 제6 힌지를 구비하는 날개 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힌지와 상기 제2 힌지는 상기 날개부가 상기 몸체부의 전후 방향 또는 상하 방향으로 팽창될 때 홈 내에서 상기 몸체부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풍량 제어 댐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 제어기는 상기 제2 이동 제어기와 동일한 거리 이동하는 풍량 제어 댐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 제어기 및 상기 제2 이동 제어기 중 어느 하나의 제어기는 상기 몸체부에 고정되는 풍량 제어 댐퍼.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 제어기와 상기 제2 이동 제어기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제1 이동 제어기 및 상기 제2 이동 제어기 중 어느 하나의 제어기에 대한 다른 하나의 제어기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이음 부재를 더 포함하는 풍량 제어 댐퍼.
  10. 덕트(duct)에 구비되어 풍량을 조절하는 것으로서,
    내부가 비어 있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3 날개, 상기 제3 날개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3 날개에 연결되는 제4 날개, 상기 제3 날개의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제3 날개에 연결되는 제5 날개, 및 상기 제4 날개의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제4 날개에 연결되는 제6 날개를 구비하는 날개부; 및
    상기 제5 날개가 고정되는 제1 이동 제어기, 및 상기 제6 날개가 고정되는 제2 이동 제어기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이동 제어기 및 상기 제2 이동 제어기를 상기 몸체부의 상하 방향으로 각각 이동시켜 상기 날개부를 상기 몸체부의 전후 방향으로 팽창시키거나 상기 몸체부의 상하 방향으로 팽창시키는 날개 이동 제어부를 포함하는 풍량 제어 댐퍼.
KR1020180095262A 2018-08-16 2018-08-16 풍량 제어 댐퍼 KR1025281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262A KR102528184B1 (ko) 2018-08-16 2018-08-16 풍량 제어 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262A KR102528184B1 (ko) 2018-08-16 2018-08-16 풍량 제어 댐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0045A true KR20200020045A (ko) 2020-02-26
KR102528184B1 KR102528184B1 (ko) 2023-05-02

Family

ID=69638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5262A KR102528184B1 (ko) 2018-08-16 2018-08-16 풍량 제어 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818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58605A (en) * 1974-04-23 1976-05-25 Sinko Kogyo Co., Ltd. Automatic controlling device for maintaining a constant rate of air flow in air-conditioning equipment
JPH0446652U (ko) * 1990-08-21 1992-04-21
JP3038897U (ja) * 1996-12-20 1997-06-30 東洋熱工業株式会社 風量調整ダンパ
KR101290696B1 (ko) 2012-05-07 2013-07-29 최부순 시건장치가 구비된 건물 환기덕트의 방화 및 풍량조절용 댐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8897B2 (ja) * 1990-11-14 2000-05-08 日本電気株式会社 フラットディスプレイパネ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58605A (en) * 1974-04-23 1976-05-25 Sinko Kogyo Co., Ltd. Automatic controlling device for maintaining a constant rate of air flow in air-conditioning equipment
JPH0446652U (ko) * 1990-08-21 1992-04-21
JP3038897U (ja) * 1996-12-20 1997-06-30 東洋熱工業株式会社 風量調整ダンパ
KR101290696B1 (ko) 2012-05-07 2013-07-29 최부순 시건장치가 구비된 건물 환기덕트의 방화 및 풍량조절용 댐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8184B1 (ko) 2023-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76038B2 (en) Ducted fan for VTOL vehicles with system and method to reduce roll moments
JP6320701B2 (ja) 空気調和機
JP2008543664A (ja) 空気吹出ノズル
JPH0317461A (ja) 自動車の空調風吹出装置
WO2004070212A1 (en) Air duct outlet with single vane air stream direction control
CN104456893A (zh) 空调出风结构
US20210076849A1 (en) Air blower
JP2016164463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20200020045A (ko) 풍량 제어 댐퍼
CN107328072B (zh) 室内机出风组件、室内机及其控制方法
US4815362A (en) Diffuser unit for air conditioning system
KR102106513B1 (ko) 풍량 제어 댐퍼
JP4942619B2 (ja) 吹出口装置
JP2006138575A (ja) 空気調和装置
JP5277737B2 (ja) 空気調和機
JP7097244B2 (ja) 吹出し機構および送風装置
JPS6018415A (ja) 空調装置
JP4398217B2 (ja) 吹出口装置
WO2018189932A1 (ja) 空気調和機
JP3118360U (ja) 吹出口の風量調整装置
JP2878542B2 (ja) 空気調和機
KR20230158279A (ko) 선박용 풍량 제어 댐퍼
JP2021020659A (ja) 吹出装置
KR20170013551A (ko) 댐퍼
JP6440252B2 (ja) 吹出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