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0031A - Combine - Google Patents

Comb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0031A
KR20200020031A KR1020180095222A KR20180095222A KR20200020031A KR 20200020031 A KR20200020031 A KR 20200020031A KR 1020180095222 A KR1020180095222 A KR 1020180095222A KR 20180095222 A KR20180095222 A KR 20180095222A KR 20200020031 A KR20200020031 A KR 202000200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rops
threshing
amount
b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52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49130B1 (en
Inventor
최학호
김지원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5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9130B1/en
Publication of KR20200020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003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9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91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7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8Air conduits or blowers for grai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58Control devices; Brakes; Bea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60Grain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2Harvest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ombine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bine including: a harvesting unit for performing a harvesting operation for harvesting crops; a threshing unit for performing a threshing operation for threshing the crops; a transport unit for performing a transport operation for transporting the crops harvested by the harvesting unit to the threshing unit; a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the amount of moisture; and a blowing unit for adjusting the amount of an air flow for the crops transported to the threshing unit according to the amount of moisture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Description

콤바인{Combine}Combine {Combine}

본 발명은 농작물을 수확하는 작업에 이용되는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bine used for harvesting crops.

콤바인(Combine)은 벼, 보리, 밀, 콩 등의 농작물을 절단하여 이송하는 예취작업 및 예취한 농작물을 탈곡하는 탈곡작업을 동시에 수행하는 점에서 결합의 의미로 쓰인 명칭으로, 벼, 보리, 밀, 콩 등의 농작물을 수확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수확기계이다.Combine is a name used for combining rice, barley, wheat in that cutting and transporting crops such as rice, barley, wheat and soybeans and threshing work to thresh the harvested crops simultaneously. It is a harvesting machine that harvests crops such as rice and soybeans.

이러한 콤바인은 예취부, 운반부, 및 탈곡부를 포함한다. 상기 예취부는 농작물을 절단하여 이송하는 예취작업을 담당한다. 상기 운반부는 상기 예취부에 의해 이송된 농작물을 상기 탈곡부로 운반하는 운반작업을 담당한다. 상기 탈곡부는 상기 운반부에 의해 운반된 농작물을 탈곡하는 탈곡작업을 담당한다. 상기 콤바인은 주행부의 작동을 통해 주행 이동하면서 상기 예취부, 상기 운반부, 및 상기 탈곡부의 작동을 통해 농작물을 수확하는 작업을 수행한다.Such combines include mowing, conveying, and threshing. The harvesting unit is responsible for harvesting work to cut and transport the crops. The transport unit is responsible for the transport operation for transporting the crops transported by the harvesting unit to the threshing unit. The threshing unit is responsible for threshing to thresh the crops carried by the conveying unit. The combine harvests the crops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harvesting unit, the carrying unit, and the threshing unit while traveling by driving the driving unit.

여기서, 상기 탈곡부에는 풍구(Winnower)가 설치된다. 상기 풍구는 풍구날개를 회전시켜서 바람을 일으킴으로써, 상기 탈곡부로 공급된 농작물에 섞인 쭉정이, 겨,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그러나 상기 탈곡부로 공급된 농작물에 평상시보다 더 많은 양의 수분이 포함된 경우, 농작물에 섞인 이물질의 무게 또한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콤바인은 농작물에 포함된 수분의 양에 따라 농작물에 섞인 이물질에 대한 제거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Here, the threshing unit is provided with a wind hole (Winnower). The tuyere removes foreign matters such as chaff, bran and dust mixed with the crops supplied to the threshing part by causing wind by rotating the tuyere blade. However, when the crops supplied to the threshing unit contain more water than usual, the weight of the foreign matter mixed in the crops also increases. Therefore, the combine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problem that the removal efficiency for the foreign matter mixed in the crops is lower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moisture contained in the crops.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탈곡부로 공급된 농작물에 섞인 이물질에 대한 제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콤바인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provide a combine that can improve the removal efficiency for the foreign matter mixed in the crops supplied to the threshing unit.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following configuration.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은 농작물을 예취하는 예취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예취부; 농작물을 탈곡하는 탈곡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탈곡부; 상기 예취부에 의해 예취된 농작물을 상기 탈곡부로 운반하는 운반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운반부; 상기 운반부에 결합되고, 상기 탈곡부로 운반되는 농작물에 포함된 수분량을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탈곡부에 결합되고, 상기 측정부가 측정한 수분량에 따라 상기 탈곡부로 운반된 농작물에 대한 풍량을 조절하는 송풍부를 포함할 수 있다.Comb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harvesting unit for performing a harvesting operation for harvesting crops; Threshing unit for threshing the threshing crop; A transport unit for carrying out a transport operation for transporting the crops harvested by the harvester to the threshing unit; A measuring unit coupled to the carrying unit and measuring the amount of water contained in the crops transported to the threshing unit; And coupled to the threshing unit, it may include a blower for adjusting the air volume for the crops transported to the threshing unit in accordance with the amount of moisture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은 농작물을 예취하는 예취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예취부; 농작물을 탈곡하는 탈곡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탈곡부; 상기 예취부에 의해 예취된 농작물을 상기 탈곡부로 운반하는 운반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운반부; 상기 탈곡작업이 수행된 곡물을 저장하는 곡립저장부; 상기 곡립저장부에 결합되고, 상기 곡립저장부에 저장된 곡물에 포함된 수분량을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탈곡부에 결합되고, 상기 측정부가 측정한 수분량에 따라 상기 탈곡부로 운반된 농작물에 대한 풍량을 조절하는 송풍부를 포함할 수 있다.Comb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harvesting unit for performing a harvesting operation for harvesting crops; Threshing unit for threshing the threshing crop; A transport unit for carrying out a transport operation for transporting the crops harvested by the harvester to the threshing unit; A grain storage unit for storing grain in which the threshing operation is performed; A measurement unit coupled to the grain storage unit and measuring the amount of water contained in the grain stored in the grain storage unit; And coupled to the threshing unit, it may include a blower for adjusting the air volume for the crops transported to the threshing unit in accordance with the amount of moisture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achieved.

본 발명은 수분 증가로 인해 농작물에 섞인 이물질의 무게가 증가한 경우 풍량 증대를 통해 농작물에 섞인 이물질을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농작물에 섞인 이물질에 대한 제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to smoothly remove the foreign matter mixed with the crop by increasing the air volume when the weight of the foreign matter mixed with the crop increases due to the increase in moisture, thereby improving the removal efficiency of the foreign matter mixed in the crop.

본 발명은 수분 감소로 인해 농작물에 섞인 이물질의 무게가 감소한 경우 풍량 감소를 통해 농작물에 섞인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함께 제거되는 농작물의 손실량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탈곡작업이 완료된 곡물의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to reduce the loss of the crops removed together in the process of removing the foreign matter mixed with the crops by reducing the air volume when the weight of the foreign matter mixed with the crops is reduced due to moisture reduction, the amount of grain production is complete Can be increas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의 일례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에 있어서 운반부 및 측정부를 도 3의 I-I 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에 있어서 제1실시예에 따른 송풍부를 나타낸 개념적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에 있어서 제2실시예에 따른 송풍부를 나타낸 개념적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에 있어서 제3실시예에 따른 송풍부를 나타낸 개략적인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콤바인의 개략적인 블록도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mb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comb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chematic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 carrying unit and a measuring unit based on line II of FIG. 3 in the comb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ceptual side view showing a blow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in a comb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ceptual plan view showing a blow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in a comb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showing a blow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in a comb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combine according to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comb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1)은 벼, 보리, 밀, 콩 등의 농작물을 수확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1)은 농작물을 예취하는 예취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예취부(2), 농작물을 탈곡하는 탈곡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탈곡부(3), 상기 예취부(2)에 의해 예취된 농작물을 상기 탈곡부(3)로 운반하는 운반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운반부(4), 농작물에 포함된 수분량을 측정하는 측정부(5), 및 상기 탈곡부(3)에 결합된 송풍부(6)를 포함한다.1 and 2, the combin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harvesting crops such as rice, barley, wheat, soybeans. Combin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harvesting unit (2) for performing a harvesting operation for harvesting crops, a threshing unit (3) for performing a threshing operation for threshing crops, harvesting by the harvesting unit (2) Transport unit 4 for carrying out the transport operation to transport the harvested crops to the threshing unit 3, a measuring unit 5 for measuring the amount of water contained in the crop, and a blower coupled to the threshing unit 3 It includes (6).

상기 송풍부(6)는 상기 탈곡부(3)로 운반된 농작물을 향해 바람을 일으킴으로써, 상기 탈곡부(3)로 공급된 농작물에 섞인 쭉정이, 겨,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거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송풍부(6)는 상기 측정부(5)가 측정한 수분량에 따라 상기 탈곡부(3)로 운반된 농작물에 대한 풍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1)은 농작물에 포함된 수분량에 따라 농작물을 향하는 바람의 풍량을 조절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1)은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The blower 6 blows wind toward the crops transported to the threshing unit 3, thereby removing the foreign matters such as chaff, bran and dust mixed with the crops supplied to the threshing unit 3. Can be done. The blower 6 may adjust the air volume of the crops transported to the threshing unit 3 according to the amount of water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5. Accordingly, the combin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to adjust the air volume of the wind toward the crop in accordance with the amount of moisture contained in the crop. Accordingly, the combin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chieve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1)은 농작물에 포함된 수분량이 많은 경우, 상기 송풍부(6)가 농작물을 향해 일으키는 바람의 풍량을 증가시키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1)은 수분 증가로 인해 농작물에 섞인 이물질의 무게가 증가한 경우, 풍량 증대를 통해 농작물에 섞인 이물질을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1)은 농작물에 섞인 이물질에 대한 제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First, the combin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to increase the amount of wind caused by the blower 6 toward the crop when the amount of moisture contained in the crop is large. Accordingly, the combin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moothly remove the foreign matter mixed in the crops by increasing the air volume when the weight of the foreign matter mixed in the crops is increased due to increased moisture. Therefore, combin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removal efficiency for the foreign matter mixed in the crop.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1)은 농작물에 포함된 수분량이 적은 경우, 상기 송풍부(6)가 농작물을 향해 일으키는 바람의 풍량을 감소시키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1)은 수분 감소로 인해 농작물에 섞인 이물질의 무게가 감소한 경우, 풍량 감소를 통해 농작물에 섞인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함께 제거되는 농작물의 손실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1)은 상기 탈곡작업이 완료된 곡물의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Second, the combin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to reduce the amount of wind blown by the blower 6 toward the crops when the amount of moisture contained in the crops is small. Accordingly, the combin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amount of loss of crops that are removed together in the process of removing foreign matters mixed with the crops by reducing the air volume when the weight of the foreign matters mixed with the crops is reduced due to the moisture decrease. . Therefore, the combin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production amount of the grain, the threshing operation is completed.

이하에서는 예취부(2), 탈곡부(3), 운반부(4), 측정부(5), 및 송풍부(6)에 관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harvesting unit 2, the threshing unit 3, the conveying unit 4, the measuring unit 5, and the blowing unit 6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예취부(2)는 농작물을 절단하여 이송하는 예취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예취부(2)가 예취한 농작물은 상기 운반부(4)를 통해 상기 탈곡부(3)로 운반된 후에, 상기 탈곡부(3)에 의해 탈곡될 수 있다. 상기 예취부(2)는 콤바인본체(1a)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예취부(2)는 상기 콤바인본체(1a)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예취부(2)는 상기 운반부(4)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운반부(4)를 통해 상기 콤바인본체(1a)에 결합될 수도 있다. 1 and 2, the harvesting unit 2 is to perform a harvesting operation for cutting and transporting the crop. The crop harvested by the harvesting unit 2 may be threshed by the threshing unit 3 after being transported to the threshing unit 3 through the carrying unit 4. The harvesting unit 2 may be coupled to the combine body (1a). The harvesting unit 2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combine body (1a). The harvesting unit 2 may be coupled to the combine body 1a through the carrying unit 4 by being coupled to the carrying unit 4.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탈곡부(3)는 농작물을 탈곡하는 탈곡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탈곡부(3)는 상기 운반부(4)로부터 운반되는 농작물에 대해 상기 탈곡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탈곡부(3)는 상기 콤바인본체(1a)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탈곡부(3)는 상기 콤바인본체(1a)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콤바인본체(1a)에 결합될 수 있다.1 and 2, the threshing unit 3 is to thresh the crops. The threshing unit 3 may perform the threshing operation on the crops conveyed from the carrying unit 4. The threshing part 3 may be coupled to the combine body 1a. The threshing part 3 may be coupled to the combine body 1a to be located inside the combine body 1a.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운반부(4)는 상기 예취부(2)에 의해 예취된 농작물을 상기 탈곡부(3)로 운잔하는 운반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운반부(4)는 상기 예취부(2) 및 상기 탈곡부(3) 각각에 연결되도록 상기 콤바인본체(1a)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운반부(4)는 전부 또는 일부가 상기 콤바인본체(1a)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콤바인본체(1a)에 결합될 수 있다.1 to 3, the transport unit 4 performs a transport operation for transporting the crops harvested by the harvester 2 to the threshing unit 3. The carrying unit 4 may be coupled to the combine body 1a to be connected to each of the harvesting unit 2 and the threshing unit 3. The carrying unit 4 may be coupled to the combine body (1a) so that all or part of the conveying body 4 protrudes forward of the combine body (1a).

상기 운반부(4)는 운반본체(41, 도 3에 도시됨), 및 운반기구(42, 도 2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rrying part 4 may include a carrying body 41 (shown in FIG. 3), and a carrying mechanism 42 (shown in FIG. 2).

상기 운반본체(41)는 농작물이 운반되기 위한 통로(411)가 형성된 것이다. 상기 운반본체(41)는 일측이 상기 예취부(2)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탈곡부(3)에 연결될 수 있다. 농작물은 상기 예취부(2)에서 상기 운반본체(41)의 내부를 따라 운반된 후에 상기 탈곡부(3)로 공급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운반본체(41)는 하면(下面)(412), 상기 하면(412)의 일단에 결합된 제1측면(413), 상기 하면(412)의 타단에 결합된 제2측면(414), 및 상기 하면(412)에 대향되도록 상기 제1측면(413)과 상기 제2측면(414) 각각에 결합된 상면(41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면(412), 상기 제1측면(413), 상기 제2측면(414), 및 상기 상면(415)은 상기 통로(411)를 둘러싸도록 서로 결합될 수 있다.The transport body 41 is formed with a passage 411 for transporting the crops. The carrying body 41 may have one side connected to the harvesting unit 2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threshing unit 3. The crops may be supplied to the threshing part 3 after being transported along the inside of the conveying body 41 in the harvesting part 2. As shown in FIG. 3, the carrying body 41 is coupled to a lower surface 412, a first side surface 413 coupled to one end of the lower surface 412, and an other end of the lower surface 412. The second side surface 414 may include a top surface 415 coupled to each of the first side surface 413 and the second side surface 414 to face the bottom surface 412. The lower surface 412, the first side surface 413, the second side surface 414, and the upper surface 415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to surround the passage 411.

상기 운반기구(42)는 농작물을 상기 예취부(2)에서 상기 탈곡부(3)로 운번하는 것이다. 상기 운반기구(42)는 상기 운반본체(4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운반기구(42)는 상기 통로(411)에 배치되어서 농작물을 상기 통로(411)를 따라 운반할 수 있다. 상기 운반기구(42)는 체인 컨베이어(Chain Conveyor)로 구현될 수 있다.The transport mechanism 42 carries the crops from the harvesting section 2 to the threshing section 3. The conveying mechanism 42 may be coupled to the conveying body 41. The transport mechanism 42 may be disposed in the passage 411 to transport the crops along the passage 411. The conveying mechanism 42 may be implemented as a chain conveyor.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측정부(5)는 농작물에 포함된 수분량을 측정하는 것이다. 상기 측정부(5)는 상기 운반부(4)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측정부(5)는 상기 운반부(4)에 의해 상기 탈곡부(3)로 운반되는 농작물에 포함된 수분량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측정부(5)는 수분센서(Moisture Sensor)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측정부(5)는 측정한 수분량을 상기 송풍부(6)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측정부(5)는 유선통신 및 무선통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측정한 수분량을 상기 송풍부(6)에 제공할 수 있다.1 to 3, the measuring unit 5 measures the amount of water contained in the crop. The measuring unit 5 may be coupled to the carrying unit 4. Accordingly, the measuring unit 5 may measure the amount of water contained in the crops conveyed to the threshing unit 3 by the carrying unit 4. The measuring unit 5 may be implemented as a moisture sensor. The measuring unit 5 may provide the measured amount of moisture to the blower unit 6. The measurement unit 5 may provide the blower unit 6 with the amount of moisture measured using at least one of wired communic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상기 측정부(5)는 상기 운반기구(42)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운반본체(41)의 하면(412)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측정부(5)는 상기 운반기구(42)에 의해 운반되는 농작물의 하측에서 농작물에 포함된 수분량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측정부(5)는 상기 제1측면(413)으로부터 이격된 거리(5a, 도 3에 도시됨) 및 상기 제2측면(414)으로부터 이격된 거리(5b, 도 3에 도시됨)가 동일한 지점에 위치하도록 상기 운반본체(41)의 하면(412)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측정부(5)는 상기 제1측면(413)과 상기 제2측면(414) 사이의 중앙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1)은 상기 제1측면(413)과 상기 제2측면(414) 사이에서 상대적으로 농작물의 운반량이 많은 중앙지점에서 상기 측정부(5)가 농작물에 포함된 수분량을 측정하도록 구현됨으로써, 수분량 측정 결과의 정확성 및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The measuring unit 5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412 of the carrying body 41 to be located below the carrying mechanism 42. Accordingly, the measuring unit 5 may measure the amount of water contained in the crops at the lower side of the crops carried by the transport mechanism 42. The measuring unit 5 has the same distance 5a (shown in FIG. 3) from the first side 413 and a distance 5b (shown in FIG. 3) from the second side 414 is the same. It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412 of the carrying body 41 to be located at a point. That is, the measuring unit 5 may be disposed at a central point between the first side surface 413 and the second side surface 414. Therefore, the combin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amount of water contained in the crops by the measuring unit 5 at the central point where the transport amount of the crop is relatively large between the first side 413 and the second side 414. By implementing to measure th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the moisture content measurement results.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송풍부(6)는 상기 탈곡부(3)로 운반된 농작물을 향해 바람을 일으킴으로써, 상기 탈곡부(3)로 운반된 농작물에 섞인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거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송풍부(6)는 상기 탈곡부(3)에 결합될 수 있다.1 to 3, the blowing unit 6 blows wind toward the crops conveyed to the threshing unit 3, thereby removing foreign substances mixed in the crops conveyed to the threshing unit 3. To do the job. The blower 6 may be coupled to the threshing unit 3.

상기 송풍부(6)는 상기 측정부(5)가 측정한 수분량에 따라 상기 탈곡부(3)로 운반된 농작물에 대한 풍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송풍부(6)는 수분 증가로 인해 농작물에 섞인 이물질의 무게가 증가한 경우, 풍량 증대를 통해 농작물에 섞인 이물질을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풍부(6)는 수분 감소로 인해 농작물에 섞인 이물질의 무게가 감소한 경우, 풍량 감소를 통해 농작물에 섞인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함께 제거되는 농작물의 손실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The blower 6 may adjust the air volume of the crops transported to the threshing unit 3 according to the amount of water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5. Accordingly, the blower 6 may smoothly remove the foreign matter mixed with the crop by increasing the air volume when the weight of the foreign matter mixed with the crop increases due to the increase in moisture. In addition, when the weight of the foreign matter mixed with the crop is reduced due to the moisture decrease, the blower 6 may reduce the amount of loss of the crop that is removed together in the process of removing the foreign matter mixed with the crop by reducing the air volume.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1)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6)는 풍량을 조절하는 방법에 따라 여러 가지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송풍부(6)의 실시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 in the combin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wer 6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method for adjusting the air volume.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blower 6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제1실시예에 따른 송풍부(6)는 제1풍구(Winnower)(61, 도 4에 도시됨), 및 변속기구(62, 도 4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1 to 4, the air blowing unit 6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a first wind hole 61 (shown in FIG. 4), and a transmission mechanism 62 (shown in FIG. 4). It may include.

상기 제1풍구(61)는 바람을 일으키는 것이다. 상기 제1풍구(61)는 제1풍구날개(611, 도 4에 도시됨)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탈곡부(3)로 운반된 농작물을 향해 바람을 일으킬 수 있다. 상기 제1풍구(61)는 상기 탈곡부(3)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풍구(61)는 상기 탈곡부(3)의 선별기구(31, 도 4에 도시됨)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선별기구(31)는 반복적인 왕복 이동을 통해 농작물에 섞인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다. 상기 제1풍구(61)는 상기 선별기구(31)의 하측을 향해 바람을 일으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풍구(61)는 상기 선별기구(31)를 통과한 농작물에 섞인 이물질을 바람을 이용하여 제거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선별기구(31)를 통과한 곡물에 비해 더 가벼운 이물질이 상기 제1풍구(61)가 일으킨 바람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선별기구(31)를 통과한 곡물은 상기 제1풍구(61)가 일으킨 바람에 의해 제거되지 않고 낙하한 후에, 별도의 반송기구를 통해 반송될 수 있다.The first air vent 61 causes wind. The first tuyere 61 may rotate the first tuyere wings 611 (shown in FIG. 4) to cause wind toward the crops transported to the threshing part 3. The first tuyere 61 may be disposed in the threshing part 3. The first tuyere 61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sorting mechanism 31 (shown in FIG. 4) of the threshing part 3. The sorting mechanism 31 is to remove the foreign matter mixed in the crops by repeated reciprocating movement. The first air vent 61 may cause wind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sorting mechanism 31. Accordingly, the first tuyere 61 can remove the foreign matter mixed in the crops passing through the sorting mechanism 31 by using the wind. In this case, foreign matter that is lighter than the grains passing through the sorting mechanism 31 may be removed by the wind caused by the first tuyere 61. The grain passing through the sorting mechanism 31 may be conveyed through a separate conveying mechanism after falling without being removed by the wind caused by the first tuyere 61.

상기 변속기구(62)는 상기 측정부(5)가 측정한 수분량에 따라 상기 제1풍구날개(611)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것이다. 상기 변속기구(62)는 상기 제1풍구날개(611)를 회전시키는 구동에 대해 변속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제1풍구날개(611)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풍구날개(611)를 회전시키는 구동은, 엔진(Engine)으로부터 전달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변속기구(62)는 복수개의 기어(Gear) 등을 이용하여 변속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변속기구(62)는 상기 탈곡부(3)의 내부 또는 상기 탈곡부(3)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transmission mechanism 62 adjust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first tuyere 611 according to the amount of moisture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5. The transmission mechanism 62 may adjust the rotational speed of the first tuft blade 611 by shifting the driving to rotate the first tuft blade 611. The driving to rotate the first tuyere 611 may be transmitted from an engine. The transmission mechanism 62 may perform a shift using a plurality of gears and the like. The transmission mechanism 62 may be disposed inside the threshing portion 3 or outside the threshing portion 3.

상기 변속기구(62)는 상기 측정부(5)가 측정한 수분량이 많을수록 상기 제1풍구날개(611)의 회전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수분 증가로 인해 농작물에 섞인 이물질과 곡물 각각의 무게가 증가한 경우, 상기 변속기구(62)는 상기 제1풍구날개(611)의 회전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농작물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풍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실시예에 따른 송풍부(6)는 상기 변속기구(62)를 이용하여 풍량을 증대시킴으로써, 수분 증가로 인해 무게가 증가한 이물질을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다.The transmission mechanism 62 may increas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first tuyere 611 as the amount of moisture measured by the measurement unit 5 increases. Accordingly, when the weight of each of the foreign matter and grain mixed in the crop due to the increase in moisture increases, the transmission mechanism 62 increases the amount of air for removing the foreign matter from the crop by increas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first tuft blade 611. Can be increased. Therefore, the blower 6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may smoothly remove the foreign matter having increased weight due to the increase of moisture by increasing the air flow rate using the transmission mechanism 62.

상기 변속기구(62)는 상기 측정부(5)가 측정한 수분량이 적을수록 상기 제1풍구날개(611)의 회전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수분 감소로 인해 농작물에 섞인 이물질과 곡물 각각의 무게가 감소한 경우, 상기 변속기구(62)는 상기 제1풍구날개(611)의 회전속도를 감소시킴으로써 농작물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풍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실시예에 따른 송풍부(6)는 상기 변속기구(62)를 이용하여 풍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수분 감소로 인해 무게가 감소한 곡물의 손실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The shift mechanism 62 may decreas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first tuyere 611 as the amount of moisture measured by the measurement unit 5 decreases. Accordingly, when the weight of each of the foreign matter and grain mixed in the crop is reduced due to the decrease in moisture, the transmission mechanism 62 reduces the amount of air for removing the foreign matter from the crop by reduc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first tuft blade 611. Can be reduced. Therefore, the blower 6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reduces the amount of air by using the transmission mechanism 62, thereby reducing the amount of loss of grain reduced in weight due to moisture reduction.

상기 변속기구(62)에는 상기 측정부(5)가 측정한 수분량에 따라 농작물에서 곡물을 제외한 이물질을 제거하기에 적합한 상기 제1풍구날개(611)의 회전속도가 룩업테이블 형태로 저장되어 있다. 상기 변속기구(62)는 상기 측정부(5)가 측정한 수분량을 확인하면, 해당 수분량에 대응되는 회전속도를 독출한 후에 독출한 회전속도로 상기 제1풍구날개(611)가 회전하도록 변속을 수행할 수 있다.In the transmission mechanism 62, the rotation speed of the first tuft blades 611 suitable for removing foreign matters except grains from the crops is stored in the form of a lookup table according to the moisture content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5. When the transmission mechanism 62 checks the amount of water measured by the measurement unit 5, the transmission mechanism reads the rotation speed corresponding to the amount of water, and then shifts the first blower blade 611 to rotate at the read speed. Can be done.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제2실시예에 따른 송풍부(6)는 상기 제1풍구(61), 및 풍량조절기구(63, 도 5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1 to 5, the air blowing unit 6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may include the first air vent 61 and the air volume regulating mechanism 63 (shown in FIG. 5).

상기 제1풍구(61)는 바람을 일으키는 것이다. 상기 제1풍구(61)는 상기 제1풍구날개(611, 도 5에 도시됨)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탈곡부(3)로 운반된 농작물을 향해 바람을 일으킬 수 있다. 상기 제1풍구(61)는 상기 탈곡부(3)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풍구(61)는 상기 선별기구(31, 도 4에 도시됨)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풍구(61)는 상기 선별기구(31)의 하측을 향해 바람을 일으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풍구(61)는 상기 선별기구(31)를 통과한 농작물에 섞인 이물질을 바람을 이용하여 제거할 수 있다.The first air vent 61 causes wind. The first tuyere 61 may rotate the first tuyere wings 611 (shown in FIG. 5) to cause wind toward the crops transported to the threshing part 3. The first tuyere 61 may be disposed in the threshing part 3. The first tuyere 61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sorting mechanism 31 (shown in FIG. 4). The first air vent 61 may cause wind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sorting mechanism 31. Accordingly, the first tuyere 61 can remove the foreign matter mixed in the crops passing through the sorting mechanism 31 by using the wind.

상기 제1풍구(61)는 하우징(612, 도 5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풍구날개(611)는 상기 하우징(61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612)은 상기 제1풍구날개(611)의 후방 쪽을 가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612)은 상기 제1풍구날개(611)가 일으킨 바람이 농작물을 향하는 전방 쪽으로 유동하는 유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하우징(612)에는 흡입구(613, 도 5에 도시됨) 및 배출구(614, 도 5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air vent 61 may include a housing 612 (shown in FIG. 5). The first ventilator wings 611 may be disposed in the housing 612. The housing 612 may be disposed to cover the rear side of the first tuyere 611. Accordingly, the housing 612 may increase the flow rate in which the wind generated by the first tuyere 611 flows toward the front of the crop. The housing 612 may include an inlet 613 (shown in FIG. 5) and an outlet 614 (shown in FIG. 5).

상기 흡입구(613)는 상기 제1풍구날개(611)가 바람을 일으키기 위해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통로이다. 상기 흡입구(613)는 상기 하우징(612)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612)이 상기 제1풍구날개(611)의 후방 쪽을 가리도록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1풍구날개(611)의 전방 쪽으로 바람이 유동할 때, 상기 흡입구(613)는 상기 하우징(612)의 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intake port 613 i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first blower vane 611 sucks air to generate wind. The suction port 613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e housing 612. When the housing 612 is disposed to cover the rear side of the first tuyere 611 and the wind flows toward the front of the first tuyere 611, the inlet 613 is the housing 612 It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e side of the).

상기 배출구(614)는 상기 제1풍구날개(611)가 일으킨 바람이 농작물 쪽으로 배출되기 위한 통로이다. 상기 배출구(614)는 상기 하우징(614)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612)이 상기 제1풍구날개(611)의 후방 쪽을 가리도록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1풍구날개(611)의 전방 쪽으로 바람이 유동할 때, 상기 배출구(614)는 상기 하우징(612)의 전면(前面)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outlet 614 i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wind generated by the first tuyere 611 is discharged toward the crop. The outlet 614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e housing 614. When the housing 612 is disposed to cover the rear side of the first tuyere 611 and the wind flows toward the front of the first tuyere 611, the outlet 614 is the housing 612 It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e front (front side) of the).

상기 풍량조절기구(63)는 상기 흡입구(613) 쪽에 배치된 것이다. 상기 풍량조절기구(63)는 상기 측정부(5)가 측정한 수분량에 따라 상기 흡입구(613)를 가리는 면적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제1풍구(61)가 농작물 쪽으로 일으키는 바람의 풍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풍량조절기구(63)는 상기 흡입구(613)를 가리는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제1풍구(61)로 흡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풍량조절기구(63)는 상기 제1풍구(61)가 농작물 쪽으로 일으키는 바람의 풍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풍량조절기구(63)는 상기 흡입구(613)를 가리는 면적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제1풍구(61)로 흡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풍량조절기구(63)는 상기 제1풍구(61)가 농작물 쪽으로 일으키는 바람의 풍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The air volume adjusting mechanism 63 is disposed at the suction port 613. The air volume adjusting mechanism 63 may adjust the air volume of the wind caused by the first air vent 61 toward the crop by adjusting the area covering the suction port 613 according to the amount of water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5. . The airflow control mechanism 63 may reduce the flow rate of the air sucked into the first air vent 61 by increasing the area covering the inlet 613. Therefore, the air volume adjusting mechanism 63 may reduce the air volume of the wind caused by the first air vent 61 toward the crop. The air volume adjusting mechanism 63 may increase the flow rate of the air sucked into the first air vent 61 by reducing the area covering the inlet 613. Therefore, the air volume adjusting mechanism 63 may increase the air volume of the wind caused by the first air vent 61 toward the crop.

상기 풍량조절기구(63)는 가림부재(631, 도 5에 도시됨), 및 이동기구(632, 도 5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The airflow control mechanism 63 may include a cover member 631 (shown in FIG. 5), and a moving mechanism 632 (shown in FIG. 5).

상기 가림부재(631)는 상기 흡입구(613)를 가리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가림부재(631)는 상기 흡입구(613) 쪽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흡입구(613)를 가릴 수 있다. 상기 하우징(612)의 양측에 상기 흡입구(613)가 구비된 경우, 상기 풍량조절기구(63)는 상기 가림부재(631)를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가림부재(631)들은 상기 하우징(612)의 양측에 위치한 흡입구(613)들 각각을 가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blocking member 631 is to cover the suction port 613. The blocking member 631 may be disposed on the suction port 613 to cover the suction port 613. When the suction ports 613 are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housing 612, the air volume adjusting mechanism 63 may include a plurality of the shielding members 631. In this case, the blocking members 631 may be disposed to cover each of the inlets 613 located at both sides of the housing 612.

상기 이동기구(632)는 상기 가림부재(631)를 이동시키는 것이다. 상기 이동기구(632)는 상기 가림부재(631)가 상기 흡입구(613)를 가리는 면적이 조절되도록 상기 가림부재(631)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하우징(612)이 상기 제1풍구날개(611)의 후방 쪽을 가리도록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1풍구날개(611)의 전방 쪽으로 바람이 유동할 때, 상기 이동기구(632)는 상기 가림부재(631)를 후방과 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가림부재(631)가 상기 흡입구(613)를 가리는 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이동기구(632)는 엔진으로부터 전달된 구동을 이용하여 상기 가림부재(631)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이동기구(632)는 유압실린더 또는 공압실린더를 이용한 실린더방식, 랙기어(Rack Gear)와 피니언기어(Pinion Gear)를 이용한 랙피니언방식, 모터와 볼스크류(Ball Screw)와 볼너트(Ball Nut)를 이용한 볼스크류방식, 모터와 풀리(Pulley)와 벨트(Belt)를 이용한 벨트방식 등을 통해 상기 가림부재(631)를 이동시킬 수 있다.The movement mechanism 632 moves the obstruction member 631. The moving mechanism 632 may move the covering member 631 so that the covering member 631 covers the suction opening 613. When the housing 612 is disposed to cover the rear side of the first tuyere 611 and the wind flows toward the front of the first tuyere 611, the moving mechanism 632 is the blocking member. By moving the 631 to the rear and the front,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area that the screen member 631 covers the suction port 613. The moving mechanism 632 may move the shielding member 631 using a drive transmitted from an engine. The moving mechanism 632 is a cylinder method using a hydraulic cylinder or a pneumatic cylinder, a rack pinion method using a rack gear and a pinion gear, a motor, a ball screw and a ball nut. The shielding member 631 can be moved by a ball screw method using a belt, a belt method using a motor, a pulley, and a belt.

상기 풍량조절기구(63)가 상기 가림부재(631)를 복수개 포함하는 경우, 상기 풍량조절기구(63)는 상기 이동기구(632)를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이동기구(632)들은 상기 가림부재(631)들을 개별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풍량조절기구(63)가 상기 가림부재(631)를 복수개 포함하는 경우, 상기 풍량조절기구(63)는 상기 가림부재(631)들을 연결하는 연동기구(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이동기구(632)는 상기 연동기구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가림부재(631)들을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다.When the air volume control mechanism 63 includes a plurality of the cover members 631, the air volume control mechanism 63 may include a plurality of the moving mechanisms 632. In this case, the moving mechanisms 632 may move the shielding members 631 individually. When the air volume control mechanism 63 includes a plurality of the cover members 631, the air volume control mechanism 63 may include an interlock mechanism (not shown) for connecting the cover members 631. The moving mechanism 632 may move the shielding members 631 at the same time by moving the interlock mechanism.

상기 이동기구(632)는 상기 측정부(5)가 측정한 수분량이 많을수록 상기 가림부재(631)가 상기 흡입구(613)를 가리는 면적이 감소하도록 상기 가림부재(631)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가림부재(631)가 상기 흡입구(613)를 가리는 면적이 감소함에 따라, 상기 제1풍구(61)로 흡입되는 공기의 유량은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풍량조절기구(63)는 상기 제1풍구(61)가 농작물 쪽으로 일으키는 바람의 풍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2실시예에 따른 송풍부(6)는 상기 풍량조절기구(63)를 이용하여 풍량을 증대시킴으로써, 수분 증가로 인해 무게가 증가한 이물질을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다.The moving mechanism 632 may move the shielding member 631 so that the area covering the suction port 613 is reduced by the screening member 631 as the amount of moisture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5 increases. As the area covering the suction member 613 covers the suction port 613 decreases, the flow rate of the air sucked into the first air vent 61 may increase. Accordingly, the air volume adjusting mechanism 63 may increase the air volume of the wind caused by the first air vent 61 toward the crop. Therefore, the blower part 6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creases the air flow rate by using the air flow control mechanism 63, so that foreign matters having increased weight due to increased moisture can be smoothly removed.

상기 이동기구(632)는 상기 측정부(5)가 측정한 수분량이 적을수록 상기 가림부재(631)가 상기 흡입구(613)를 가리는 면적이 증가하도록 상기 가림부재(631)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가림부재(631)가 상기 흡입구(613)를 가리는 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제1풍구(61)로 흡입되는 공기의 유량은 감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풍량조절기구(63)는 상기 제1풍구(61)가 농작물 쪽으로 일으키는 바람의 풍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2실시예에 따른 송풍부(6)는 상기 풍량조절기구(63)를 이용하여 풍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수분 감소로 인해 무게가 감소한 곡물의 손실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The moving mechanism 632 may move the covering member 631 so that the area covering the suction port 613 by the covering member 631 increases as the amount of moisture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5 decreases. As the area where the screen member 631 covers the suction port 613 increases, the flow rate of the air sucked into the first air vent 61 may decrease. Accordingly, the air volume control mechanism 63 may reduce the air volume of the wind caused by the first air vent 61 toward the crop. Therefore, the blower 6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reduces the amount of air by using the air volume control mechanism 63, thereby reducing the amount of loss of grain reduced in weight due to moisture reduction.

상기 풍량조절기구(63)에는 상기 측정부(5)가 측정한 수분량에 따라 농작물에서 곡물을 제외한 이물질을 제거하기에 적합한 상기 가림부재(631)의 위치좌표가 룩업테이블 형태로 저장되어 있다. 상기 풍량조절기구(63)는 상기 측정부(5)가 측정한 수분량을 확인하면, 해당 수분량에 대응되는 위치좌표를 독출한 후에 독출한 위치좌표로 상기 가림부재(631)를 이동시킬 수 있다.The air volume control mechanism 63 stores positional coordinates of the screening member 631 in the form of a look-up table suitable for removing foreign matter except crops from the crops according to the moisture content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5. When the airflow control mechanism 63 checks the amount of water measured by the measurement unit 5, the airflow control mechanism 63 may move the screening member 631 to the positional coordinates read after reading the positional coordinates corresponding to the amount of moisture.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제3실시예에 따른 송풍부(6)는 상기 제1풍구(61), 및 제2풍구(64, 도 6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1 to 6, the air blowing unit 6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may include the first air vent 61 and the second air vent 64 (shown in FIG. 6).

상기 제1풍구(61)는 바람을 일으키는 것이다. 상기 제1풍구(61)는 상기 제1풍구날개(611, 도 5에 도시됨)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탈곡부(3)로 운반된 농작물을 향해 바람을 일으킬 수 있다. 상기 제1풍구(61)는 상기 탈곡부(3)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풍구(61)는 상기 선별기구(31, 도 4에 도시됨)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풍구(61)는 상기 선별기구(31)의 하측을 향해 바람을 일으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풍구(61)는 상기 선별기구(31)를 통과한 농작물에 섞인 이물질을 바람을 이용하여 제거할 수 있다.The first air vent 61 causes wind. The first tuyere 61 may rotate the first tuyere wings 611 (shown in FIG. 5) to cause wind toward the crops transported to the threshing part 3. The first tuyere 61 may be disposed in the threshing part 3. The first air vent 61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sorting mechanism 31 (shown in FIG. 4). The first air vent 61 may cause wind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sorting mechanism 31. Accordingly, the first tuyere 61 can remove the foreign matter mixed in the crops passing through the sorting mechanism 31 by using the wind.

상기 제2풍구(64)는 바람을 일으키는 것이다. 상기 제2풍구(64)는 제2풍구날개(미도시)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탈곡부(3)로 운반된 농작물을 향해 바람을 일으킬 수 있다. 상기 제2풍구(64)는 상기 탈곡부(3)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풍구(64)는 상기 선별기구(3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풍구(64)는 상기 선별기구(31)의 하측을 향해 바람을 일으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풍구(64)는 상기 선별기구(31)를 통과한 농작물에 섞인 이물질을 바람을 이용하여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제2풍구(64)는 상기 제1풍구(6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air vent 64 causes wind. The second tuyere 64 may cause the wind toward the crops conveyed to the threshing part 3 by rotating the second tuyere (not shown). The second air vent 64 may be disposed inside the threshing unit 3. The second air vent 64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sorting mechanism 31. The second air vent 64 may cause wind toward the bottom of the sorting mechanism 31. Accordingly, the second tuyere 64 may remove foreign substances mixed with the crops passing through the sorting mechanism 31 by using wind. The second tuyere 64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tuyere 61.

상기 제2풍구(64)는 상기 측정부(5)가 측정한 수분량에 따라 선택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풍구(61)는 상기 측정부(5)가 측정한 수분량에 관계 없이 항상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측정부(5)는 측정한 수분량을 상기 제2풍구(64))에 제공할 수 있다.The second air vent 64 may be selectively operat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moisture measured by the measurement unit 5. In this case, the first air vent 61 may always operate regardless of the amount of moisture measured by the measurement unit 5. The measuring unit 5 may provide the measured amount of moisture to the second air vent 64).

상기 제2풍구(64)는 상기 측정부(5)가 측정한 수분량이 기설정된 기준값보다 크면, 농작물 쪽을 향해 바람을 일으키도록 작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분 증가로 인해 농작물에 섞인 이물질과 곡물 각각의 무게가 증가한 경우, 상기 제2풍구(64) 및 상기 제1풍구(61)가 모두 작동함으로써 농작물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풍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3실시예에 따른 송풍부(6)는 상기 제2풍구(64)의 작동을 통해 풍량을 증대시킴으로써, 수분 증가로 인해 무게가 증가한 이물질을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다.When the amount of moisture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5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he second air vent 64 may operate to cause wind toward the crop. Accordingly, when the weight of each of the foreign matter and grains mixed in the crop due to the increase in moisture increases, the second air vent 64 and the first air vent 61 are operated to increase the amount of air for removing foreign matter from the crop. Can be. Therefore, the blower 6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ncreases the amount of air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second air vent 64, thereby smoothly removing foreign matters having increased weight due to increased moisture.

상기 제2풍구(64)는 상기 측정부(5)가 측정한 수분량이 상기 기준값 이하이면, 작동이 정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분 감소로 인해 농작물에 섞인 이물질과 곡물 각각의 무게가 감소한 경우, 상기 제1풍구(61)만이 작동함으로써 농작물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풍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3실시예에 따른 송풍부(6)는 상기 제2풍구(64)의 작동 정지를 통해 풍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수분 감소로 인해 무게가 감소한 곡물의 손실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If the amount of moisture measured by the measurement unit 5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the second air vent 64 may be stopped. Accordingly, when the weight of each of the foreign matter and grains mixed with the crop is reduced due to the decrease in moisture, only the first air vent 61 may be operated to reduce the air volume for removing the foreign matter from the crop. Therefore, the blower 6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may reduce the amount of air through the operation stop of the second air vent 64, thereby reducing the amount of loss of grains whose weight is reduced due to moisture reduction.

상기 제2풍구(64)에는 상기 기준값이 저장되어 있다. 상기 기준값은 상기 제1풍구(61)가 일으킨 바람의 풍량만으로 농작물에서 곡물을 제외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수분량에 대한 값이다.The reference value is stored in the second air vent 64. The reference value is a value for the amount of moisture capable of removing foreign matters excluding grains from the crops only by the air volume of the wind generated by the first tuyere 61.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1)은 제어부(7, 도 6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1 to 6, the combin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ntroller 7 (shown in FIG. 6).

상기 제어부(7)는 상기 측정부(5)가 측정한 수분량에 따라 상기 송풍부(6)를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7)는 무선통신 및 유선통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측정부(5)가 측정한 수분량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는 무선통신 및 유선통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송풍부(6)에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7 controls the blower unit 6 in accordance with the amount of moisture measured by the measurement unit 5. The controller 7 may receive the moisture amount measured by the measurement unit 5 using at least one of wireless communication and wired communication. The control unit 7 may transmit a control signal to the blower unit 6 using at least one of wireless communication and wired communication.

상기 제어부(7)는 상기 측정부(5)가 측정한 수분량이 많을수록 상기 탈곡부(3)로 운반된 농작물에 대한 풍량이 증가하도록 상기 송풍부(6)를 제어할 수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른 송풍부(6)를 제어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7)는 상기 제1풍구날개(611)의 회전속도가 증가하도록 상기 변속기구(62)를 제어할 수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른 송풍부(6)를 제어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7)는 상기 가림부재(631)가 상기 흡입구(613)를 가리는 면적이 감소하도록 상기 풍량조절기구(63)를 제어할 수 있다. 제3실시예에 따른 송풍부(6)를 제어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7)는 상기 제2풍구(64)가 작동하도록 상기 제2풍구(64)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7 may control the blower unit 6 to increase the amount of air for the crops conveyed to the threshing unit 3 as the amount of moisture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5 increases. When controlling the blower unit 6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controller 7 may control the transmission mechanism 62 to increas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first blower blade 611. In the case of controlling the air blower 6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controller 7 may control the air volume adjusting mechanism 63 so that the area covering the suction port 613 is reduced by the screen member 631. Can be. When controlling the blower 6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the controller 7 may control the second blower 64 to operate the second blower 64.

상기 제어부(7)는 상기 측정부(5)가 측정한 수분량이 적을수록 상기 탈곡부(3)로 운반된 농작물에 대한 풍량이 감소하도록 상기 송풍부(6)를 제어할 수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른 송풍부(6)를 제어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7)는 상기 제1풍구날개(611)의 회전속도가 감소하도록 상기 변속기구(62)를 제어할 수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른 송풍부(6)를 제어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7)는 상기 가림부재(631)가 상기 흡입구(613)를 가리는 면적이 증가하도록 상기 풍량조절기구(63)를 제어할 수 있다. 제3실시예에 따른 송풍부(6)를 제어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7)는 상기 제2풍구(64)가 작동을 정지하도록 상기 제2풍구(64)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7 may control the blower 6 so that the amount of air for the crops transported to the threshing unit 3 decreases as the amount of moisture measured by the measurement unit 5 decreases. When controlling the blower 6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control unit 7 may control the transmission mechanism 62 so that the rotational speed of the first blower blade 611 is reduced. When controlling the blower unit 6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control unit 7 controls the air flow control mechanism 63 so that the area covering the suction port 613 is increased by the screen member 631. Can be. When controlling the blower 6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the controller 7 may control the second blower 64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second blower 64.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콤바인(1)은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1)과 대비할 때, 상기 측정부(5)가 곡립저장부(8)에 저장된 곡물에 포함된 수분량을 측정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Referring to FIG. 7, when the combine 1 according to the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ared with the combin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asuring unit 5 stores grain stored in the grain storage unit 8. There is a difference in measuring the amount of water contained in.

상기 곡립저장부(8)는 상기 탈곡작업이 수행된 곡물을 저장하는 것이다. 상기 곡립저장부(8)는 상기 탈곡부(3)에 연결되도록 상기 콤바인본체(1a, 도 1에 도시됨)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곡립저장부(8)는 상기 탈곡부(3)의 옆에 배치될 수 있다.The grain storage unit 8 stores the grains on which the threshing operation is performed. The grain storage unit 8 may be coupled to the combine body 1a (shown in FIG. 1)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threshing unit 3. The grain storage unit 8 may be arranged next to the threshing unit 3.

상기 측정부(5)는 상기 곡립저장부(8)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측정부(5)는 상기 곡립저장부(8)에 저장된 곡물에 포함된 수분량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측정부(5)는 측정한 수분량을 상기 송풍부(6)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송풍부(6)는 상기 측정부(5)가 측정한 수분량에 따라 상기 탈곡부(3)로 운반된 농작물에 대한 풍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1)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콤바인(1)은 상기 제어부(7, 도 6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7, 도 6에 도시됨)는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1)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The measuring unit 5 may be coupled to the grain storage unit 8. The measuring unit 5 may measure the amount of moisture contained in the grain stored in the grain storage unit (8). The measuring unit 5 may provide the measured amount of moisture to the blower unit 6. The blower 6 may adjust the air volume of the crops transported to the threshing unit 3 according to the amount of water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5. This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in the combin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Meanwhile, the combine 1 according to the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controller 7 (shown in FIG. 6). Since the controller 7 (shown in FIG. 6) is the same as the combin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t is common in the art that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who have the knowledge of.

1 : 콤바인 1a : 콤바인본체
2 : 예취부 3 : 탈곡부
4 : 운반부 5 : 측정부
6 : 송풍부 7 : 제어부
8 : 곡립저장부 31 : 선별기구
41 : 운반본체 42 : 운반기구
61 : 제1풍구 62 : 변속기구
63 : 풍량조절기구 64 : 제2풍구
1: Combine 1a: Combine body
2: harvesting unit 3: threshing unit
4: carrying part 5: measuring part
6: blowing unit 7: control unit
8: grain storage unit 31: sorting mechanism
41: carrier body 42: carrier
61: first blowhole 62: transmission mechanism
63: air volume control mechanism 64: the second air vent

Claims (10)

농작물을 예취하는 예취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예취부(2);
농작물을 탈곡하는 탈곡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탈곡부(3);
상기 예취부(2)에 의해 예취된 농작물을 상기 탈곡부(3)로 운반하는 운반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운반부(4);
상기 운반부(4)에 결합되고, 상기 탈곡부(3)로 운반되는 농작물에 포함된 수분량을 측정하는 측정부(5); 및
상기 탈곡부(3)에 결합되고, 상기 측정부(5)가 측정한 수분량에 따라 상기 탈곡부(3)로 운반된 농작물에 대한 풍량을 조절하는 송풍부(6)를 포함하는 콤바인.
A harvesting unit 2 for performing harvesting operations for harvesting crops;
Threshing unit (3) for performing threshing operations to thresh crops;
A transport unit 4 for carrying out a transport operation for transporting the crops harvested by the harvester 2 to the threshing unit 3;
A measuring unit 5 coupled to the carrying unit 4 and measuring the amount of water contained in the crops transported to the threshing unit 3; And
Combined with the threshing unit (3), combines including a blower (6) for controlling the air volume for the crops conveyed to the threshing unit (3) according to the amount of water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6)는 바람을 일으키는 제1풍구(Winnower)(61), 및 상기 측정부(5)가 측정한 수분량에 따라 상기 제1풍구(61)가 갖는 제1풍구날개(611)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변속기구(62)를 포함하고,
상기 변속기구(62)는 상기 측정부(5)가 측정한 수분량이 많을수록 상기 제1풍구날개(611)의 회전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The method of claim 1,
The blower 6 may include a first blower 61 that generates wind, and a first blower blade 611 of the first blower 61 according to the amount of moisture measured by the measurement unit 5. Includes a transmission mechanism 62 for adjusting the rotational speed,
The shift mechanism 62 is a combine, characterized in that to increas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first tuyere wing (611) as the amount of moisture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6)는 농작물 쪽으로 바람을 일으키는 제1풍구(61), 및 상기 제1풍구(61)가 바람을 일으키기 위해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613) 쪽에 배치된 풍량조절기구(63)를 포함하고,
상기 풍량조절기구(63)는 상기 측정부(5)가 측정한 수분량에 따라 상기 흡입구(613)를 가리는 면적을 조절하여 상기 제1풍구(61)가 농작물 쪽으로 일으키는 바람의 풍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The method of claim 1,
The blower 6 has a first air outlet 61 for generating wind toward the crop, and the air volume control mechanism 63 disposed on the intake port 613 in which the first air outlet 61 inhales air to generate wind. Including,
The air volume adjusting mechanism 63 controls the air volume of the wind caused by the first air opening 61 toward the crops by adjusting the area covering the suction port 613 according to the amount of water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5. Combin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풍량조절기구(63)는 상기 흡입구(613)를 가리기 위한 가림부재(631), 및 상기 가림부재(631)가 상기 흡입구(613)를 가리는 면적이 조절되도록 상기 가림부재(631)를 이동시키는 이동기구(6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The method of claim 3,
The air volume adjusting mechanism 63 moves the screening member 631 to cover the suction port 613 and the screening member 631 so that the screening member 631 covers the suction port 613. Combines comprising a moving mechanism (63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기구(632)는 상기 측정부(5)가 측정한 수분량이 많을수록 상기 가림부재(631)가 상기 흡입구(613)를 가리는 면적이 감소하도록 상기 가림부재(631)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moving mechanism 632 moves the screening member 631 so that the area covering the suction port 613 is reduced by the screening member 631 as the amount of moisture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5 increases. comb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6)는 바람을 일으키는 제1풍구(61), 및 상기 제1풍구날개(61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제2풍구(64)를 포함하고,
상기 제2풍구(64)는 상기 측정부(5)가 측정한 수분량에 따라 선택적으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The method of claim 1,
The blower 6 includes a first blower 61 for generating wind, and a second blower 64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blower blade 611.
The second air vent 64 is selectively operat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moisture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5)가 측정한 수분량이 많을수록 상기 탈곡부(3)로 운반된 농작물에 대한 풍량이 증가하도록 상기 송풍부(6)를 제어하는 제어부(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The method of claim 1,
And a control unit (7) for controlling the blower (6) so that the amount of air for the crops conveyed to the threshing unit (3) increases as the amount of moisture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5) increa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부(4)는 농작물이 운반되기 위한 통로(411)가 형성된 운반본체(41), 및 농작물을 상기 예취부(2)에서 상기 탈곡부(3)로 운반하도록 상기 운반본체(41)에 결합된 운반기구(42)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부(5)는 상기 운반기구(42)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운반본체(41)의 하면(下面)(412)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veying unit 4 has a conveying body 41 having a passage 411 for conveying the crops, and the conveying body 41 to convey the crops from the harvesting section 2 to the threshing section 3. A combined conveyance device 42,
Combin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easuring unit (5)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412) of the transport body (41) to be located below the transport mechanism (4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본체(41)는 상기 하면(412)의 일단에 결합된 제1측면(413), 및 상기 하면(412)의 타단에 결합된 제2측면(414)을 포함하고,
상기 측정부(5)는 상기 제1측면(413)과 상기 제2측면(414) 각각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동일한 지점에 위치하도록 상기 운반본체(41)의 하면(412)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The method of claim 8,
The carrying body 41 includes a first side surface 413 coupled to one end of the bottom surface 412, and a second side surface 414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bottom surface 412.
The measuring unit 5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412 of the transport body 41 so that the distance from each of the first side 413 and the second side 414 is located at the same point. Combine.
농작물을 예취하는 예취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예취부(2);
농작물을 탈곡하는 탈곡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탈곡부(3);
상기 예취부(2)에 의해 예취된 농작물을 상기 탈곡부(3)로 운반하는 운반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운반부(4);
상기 탈곡작업이 수행된 곡물을 저장하는 곡립저장부(8);
상기 곡립저장부(8)에 결합되고, 상기 곡립저장부(8)에 저장된 곡물에 포함된 수분량을 측정하는 측정부(5); 및
상기 탈곡부(3)에 결합되고, 상기 측정부(5)가 측정한 수분량에 따라 상기 탈곡부(3)로 운반된 농작물에 대한 풍량을 조절하는 송풍부(6)를 포함하는 콤바인.
A harvesting unit 2 for performing harvesting operations for harvesting crops;
Threshing unit (3) for performing threshing operations to thresh crops;
A transport unit 4 for carrying out a transport operation for transporting the crops harvested by the harvester 2 to the threshing unit 3;
A grain storage unit 8 for storing grain in which the threshing operation is performed;
A measuring unit 5 coupled to the grain storage unit 8 and measuring the amount of water contained in the grain stored in the grain storage unit 8; And
Combined with the threshing unit (3), combines including a blower (6) for controlling the air volume for the crops conveyed to the threshing unit (3) according to the amount of water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5).
KR1020180095222A 2018-08-16 2018-08-16 Combine KR1026491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222A KR102649130B1 (en) 2018-08-16 2018-08-16 Comb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222A KR102649130B1 (en) 2018-08-16 2018-08-16 Comb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0031A true KR20200020031A (en) 2020-02-26
KR102649130B1 KR102649130B1 (en) 2024-03-20

Family

ID=69637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5222A KR102649130B1 (en) 2018-08-16 2018-08-16 Comb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9130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02460U (en) * 1979-12-29 1981-08-11
JPH09257535A (en) 1996-03-19 1997-10-03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Device for measuring flow of granular material to be worked such as grain
JPH11271251A (en) 1998-03-25 1999-10-05 Kubota Corp Moisture detecting device and combine having it
JP2002262649A (en) 2001-03-13 2002-09-17 Iseki & Co Ltd Combine harvest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02460U (en) * 1979-12-29 1981-08-11
JPH09257535A (en) 1996-03-19 1997-10-03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Device for measuring flow of granular material to be worked such as grain
JPH11271251A (en) 1998-03-25 1999-10-05 Kubota Corp Moisture detecting device and combine having it
JP2002262649A (en) 2001-03-13 2002-09-17 Iseki & Co Ltd Combine harves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9130B1 (en) 2024-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66856B2 (en) Grain quantity measuring device
KR101131821B1 (en) Threshing machine
KR20200020031A (en) Combine
JP6011675B2 (en) Combine
CN110446427B (en) Combine harvester
JP2009005640A (en) Combine harvester
JP7399037B2 (en) combine
JP7399038B2 (en) combine
JP2008283919A (en) Combine
JP5046140B2 (en) Combine threshing equipment
JP4051959B2 (en) Threshing device
JP3797942B2 (en) Combine threshing equipment
JP4297801B2 (en) Normal combine
JP3797943B2 (en) Threshing device
JP5240252B2 (en) Threshing device
JPH07194236A (en) Thresher
KR20200093806A (en) Combine
JP6338514B2 (en) Combine
JP3663656B2 (en) Combine control device
JPS599584Y2 (en) Threshing machine second reduction device
JP4096498B2 (en) Combine
JP2013070670A (en) Combined harvester
JP2002191215A (en) Working vehicle
KR20180103252A (en) Grain Transfer Control Unit of Combine
JP5569684B2 (en) Comb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