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1821B1 - Threshing machine - Google Patents

Thresh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1821B1
KR101131821B1 KR1020100081395A KR20100081395A KR101131821B1 KR 101131821 B1 KR101131821 B1 KR 101131821B1 KR 1020100081395 A KR1020100081395 A KR 1020100081395A KR 20100081395 A KR20100081395 A KR 20100081395A KR 101131821 B1 KR101131821 B1 KR 101131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shing
sorting
chamber
guide member
wi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13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108227A (en
Inventor
히사유키 사토지
준지 도이하라
케이 쿠기미야
히데노리 오카자키
Original Assignee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007117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1200173A/en
Priority claimed from JP2010071180A external-priority patent/JP5056882B2/en
Priority claimed from JP2010093383A external-priority patent/JP5046140B2/en
Priority claimed from JP2010171663A external-priority patent/JP5573463B2/en
Application filed by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08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822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1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182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8Thresh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8Threshing devices
    • A01F12/22Threshing cylinders with teet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30Straw separators, i.e. straw walkers, for separating residual grain from the straw
    • A01F12/32Straw separators, i.e. straw walkers, for separating residual grain from the straw with shaker screens or siev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4Grain cleaners; Grain separators
    • A01F12/444Fan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8Air conduits or blowers for grai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과제] 탈곡 후의 배출 짚에 들어간 곡립을 회수하는 기능을 구비함과 아울러, 선별풍의 송풍량과 송풍 방향을 조절 가능하게 함으로써 선별 정밀도, 탈곡 작업 능률, 곡립 회수율을 높인다.
[해결수단] 탈곡실(11) 내에 있어서의 급동(10)의 후방부 외주에 칸막이판(11K)을 근접해서 배치하고, 칸막이판(11K)의 후방측에 형성된 회수실(11F) 내에 있어서의 급동(10)의 외주면 상에는 탈곡 후의 배출 짚에 들어간 곡립을 이 배출 짚으로부터 분리하는 분리 톱니(10b)를 설치하고, 회수실(11F) 내에 있어서의 급동(10)의 하측 외주를 따르는 부위에 탈곡 후의 배출 짚을 지지해서 분리 톱니(10b)의 작용역으로 안내하는 지지 부재(10c)를 설치한다. 또한, 풍구(16)로부터의 선별풍의 송풍 방향을 상하로 조절 가능하게 한다.
[PROBLEMS] To improve the sorting precision, threshing efficiency, and grain recovery rate by providing the function of recovering the grains in the discharge straw after threshing, and controlling the blowing amount and the blowing direction of the sorting wind.
[Solution] The partition plate 11K is disposed in close proximity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rear part of the barrel 10 in the threshing chamber 11, and in the recovery chamber 11F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partition plate 11K.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rrel 10, a separation tooth 10b for separating the grains into the discharge straw after threshing is provided, and threshing is carried out at a portion along the lower outer periphery of the barrel 10 in the recovery chamber 11F. A supporting member 10c is installed to support the later discharge straw and guide it to the action zone of the separating teeth 10b. Moreover, the blowing direction of the sorting wind from the tuyere 16 can be adjusted up and down.

Description

탈곡 장치{THRESHING MACHINE}Threshing Device {THRESHING MACHINE}

본 발명은 콤바인 등에 구비되는 탈곡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reshing apparatus included in a combine or the like.

콤바인 등에 구비되는 탈곡 장치로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급실의 후방부를 칸막이판으로 전후로 분할하고, 이 칸막이판의 후방측에 회수실을 형성하고, 이 회수실에 있어서의 급동(扱胴)의 하측을 개방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곡간의 밑동부를 곡간 공급 반송 장치로 협지해서 반송하면서 이삭 끝부를 탈곡하고, 회수실 내에서 탈곡 후의 배출 짚의 이삭 끝부에 들어간 곡립을 분리해서 회수하고자 하는 것이다.As a threshing apparatus with a combine etc., as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the rear part of a feeding chamber is divided back and forth by a partition plate, a recovery chamber is formed in the back side of this partition plate, and the barrel in this recovery chamber ( The technique of opening the lower side of i) is known. The tip of the grain is threshed while the bottom part of the grain stem is sandwiched and conveyed by the grain stem feed conveying apparatus, and the grains which have entered the ear tip of the discharge straw after threshing in the recovery chamber are separated and recovered.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풍구의 송풍구에 있어서 그 상벽과 하벽 사이에 풍향 안내 부재를 설치하고, 상벽과 풍향 안내 부재 사이에 상측 풍로를 형성하고, 풍향 안내 부재와 하벽 사이에 하측 풍로를 형성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이 풍향 안내 부재를 상하로 회전시킴으로써 풍구로부터의 선별풍의 송풍 방향이 상하로 조절되는 구성이다.In addition, as described in Patent Literature 2, in the tuyere of the tuyere, a wind direction guide member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wall and the lower wall, an upper air path is formed between the upper wall and the wind direction guide member, and between the wind direction guide member and the lower wall. The technique of forming a lower side air path is known. By rotating this wind direction guide member up and down, the blowing direction of the sorting wind from a wind hole is adjusted up and down.

일본 실용신안 공고 평8-6435호 공보Japanese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8-6435 일본 특허 공개 평7-274696호 공보Japanese Patent Laid-Open No. 7-274696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회수실 내에 있어서의 급동의 하측에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있지 않으므로 곡간 공급 반송 장치에 의해 협지 반송되는 탈곡 후의 배출 짚이 아래로 드리워져 급동의 작용을 받기 어려워진다. 이 때문에, 이 배출 짚에 들어간 곡립이나 이삭가지가 부착된 알맹이가 배출 짚과 함께 탈곡 장치의 외부로 동반 배출되어 버려서 곡립의 회수 효율이 저하되는 결점이 있다.However, in the technique of the said patent document 1, since the support member is not provided in the lower side of the barrel in a collection chamber, the discharge straw after threshing conveyed by the grain stem supply conveying apparatus is hung down, and it becomes difficult to receive the action of a barrel. . For this reason, there exists a fault that the grain which contained this discharge straw and the grain with a sticking branch are discharged together with the discharge straw to the outside of a threshing apparatus, and the collection | recovery efficiency of a grain falls.

또한, 상기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상측 풍로 및 하측 풍로의 풍향을 변화시킬 수는 있어도 상측 풍로 및 하측 풍로의 개구 면적은 변화되지 않으므로 상측 풍로 및 하측 풍로에 있어서의 풍량의 배분 비율은 변화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천변만화되는 탈곡 조건(처리물량이나 작물 상태 등)에 대해서 적절한 송풍을 행할 수 없어 선별 성능을 높게 유지하는 것은 곤란하다.In addition, in the technique described in the patent document 2, although the wind direction of the upper air passage and the lower air passage can be changed, the opening area of the upper air passage and the lower air passage does not change, so the distribution ratio of the air volume in the upper air passage and the lower air passage does not change. Do not. For this reason, it is difficult to perform appropriate blowing on threshing conditions (processing amount, crop conditions, etc.) which are cartoonized only, and it is difficult to maintain high sorting performance.

그래서, 본 발명은 탈곡 후의 배출 짚에 들어간 곡립이나 이삭가지가 부착된 알맹이가 이 배출 짚과 함께 탈곡 장치의 외부로 동반 배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풍구의 송풍구에 있어서의 상측 풍로 및 하측 풍로의 풍향뿐만 아니라 풍량도 조정 가능하게 해서 선별 성능을 높게 유지하고, 이것에 의해서 곡립의 회수 효율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us,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grains and grains attached to the discharge straw after threshing from being discharged together with the discharge straw to the outside of the threshing apparatus, and the upper and lower air passages at the tuyeres of the tuyere. It is an object to make it possible to adjust not only the direction of the wind but also the amount of air, thereby maintaining the high sorting performance, thereby increasing the recovery efficiency of the grai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다음의 기술적 수단을 강구한다.MEANS TO SOLVE THE PROBLEM In order to solve the said subject, this invention takes the following technical means.

즉,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곡간을 탈곡하는 다수개의 급치(扱齒)(10a)를 구비한 급동(10)을 탈곡실(11) 내에 설치하고, 이 탈곡실(11)의 하측에 배치한 선별실(18) 내에는 요동 선별 선반(20)을 설치하고, 이 요동 선별 선반(20)의 하측에 선별풍을 송풍하는 풍량 조절 가능한 풍구(16)와, 1번물을 회수하는 1번물 회수부(19A)와, 2번물을 회수하는 2번물 회수부(19B)를 전방측으로부터 이 순서로 구비한 탈곡 장치에 있어서, 상기 탈곡실(11) 내에 있어서의 급동(10)의 후방부 외주에 칸막이판(11K)을 근접해서 배치하고, 이 칸막이판(11K)의 후방측에 형성된 회수실(11F) 내에 있어서의 급동(10)의 외주면 상에는 탈곡 후의 배출 짚에 들어간 곡립을 이 배출 짚으로부터 분리하는 분리 톱니(10b)를 설치하고, 상기 회수실(11F) 내에 있어서의 급동(10)의 하측 외주를 따르는 부위에 탈곡 후의 배출 짚을 지지해서 분리 톱니(10b)의 작용역으로 안내하는 지지 부재(10c)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 장치로 하였다.That is, in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1, a barrel 10 having a plurality of barrel teeth 10a for threshing the grain stem is provided in the threshing chamber 11 and disposed below the threshing chamber 11. In the sorting room 18, a fluctuation sorting shelf 20 is provided, and the air flow rate adjustable airflow 16 for blowing the sorting wind at the lower side of the swing sorting shelf 20, and the first water collecting part for collecting the first water. In the threshing apparatus provided with 19A and the 2nd collection | recovery part 19B which collect | recovers the 2nd goods in this order from a front side, it partitions in the outer peripheral part of the rear part of the barrel 10 in the said threshing chamber 11. The plate 11K is disposed close to each other, an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rrel 10 in the recovery chamber 11F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partition plate 11K, the grains contained in the discharge straw after threshing are separated from the discharge straw. The site | part which follows the lower outer periphery of the barrel 10 in the said recovery chamber 11F is provided in the separation tooth 10b. It was set as the threshing apparatus characterized by providing the support member 10c which supports the discharge straw after threshing and guides to the action area | region of the separating tooth 10b.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풍구(16)로부터의 선별풍의 송풍 방향을 상하로 조절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탈곡 장치로 하였다.Invention of Claim 2 was made into the threshing apparatus of Claim 1 which set it as the structure which can adjust the blowing direction of the sorting wind from the said tuyere 16 up and down.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풍구(16)로부터의 선별풍의 송풍 방향을 상측으로 조절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풍구(16)로부터 송풍된 선별풍이 요동 선별 선반(20)의 상기 회수실(11F)의 하방에 면하는 부위보다 후방측의 부위로부터 상측으로 뿜어 올려지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2에 기재된 탈곡 장치로 하였다.In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3, the sorting wind blown from the tuyere 16 is lower than the recovery chamber 11F of the swing sorting shelf 20 in a state in which the blowing direction of the sorting wind from the tuyere 16 is adjusted upward. It was set as the threshing apparatus of Claim 2 which set it as the structure spouting upwards from the site | part of the back side rather than the site | part facing.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풍구(16)에는 상벽(67)과 하벽(68) 사이에 형성되는 송풍구(65)를 구비하고, 상기 상벽(67)과 하벽(68) 사이에 풍향 안내 부재(66)를 설치하고, 이 풍향 안내 부재(66)에 의해 송풍구(65)를 상측 풍로(74)와 하측 풍로(75)로 구획하고, 상기 상벽(67)은 그 후방측의 부위가 상하 이동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고, 상기 풍향 안내 부재(66)는 그 전방측의 부위와 후방측의 부위가 상반해서 상하 이동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고, 상기 상벽(67) 및 풍향 안내 부재(66)를 동일한 방향으로 연동해서 회전시키는 연동 기구(S)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2에 기재된 탈곡 장치로 하였다.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4 is provided with the air vents 65 formed between the upper wall 67 and the lower wall 68 in the air vent 16, and the wind direction guide member 66 between the upper wall 67 and the lower wall 68. ), And the air vent 65 is divided into an upper air passage 74 and a lower air passage 75 by the wind direction guide member 66, and the upper wall 67 is rotated so that the rear side portion thereof moves up and down. It is axially supported, and the wind direction guide member 66 is rotatably supported so that the front side portion and the rear side portion are moved up and down in opposition, and the upper wall 67 and the wind direction guide member 66 are moved. It was set as the threshing apparatus of Claim 2 which provided the interlocking mechanism S which rotates by interlocking in the same direction.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요동 선별 선반(20) 상의 처리물의 층의 두께를 검출하는 층 두께 검출 센서(95)를 설치하고, 이 층 두께 검출 센서(95)의 검출 결과에 의거해서 요동 선별 선반(20) 상의 처리물의 층의 두께가 증가했을 때에 상기 풍향 안내 부재(66) 및 상벽(67)의 후방 상향 경사 각도를 감소시키고, 요동 선별 선반(20) 상의 처리물의 층의 두께가 감소했을 때에 상기 풍향 안내 부재(66) 및 상벽(67)의 후방 상향 경사 각도를 증가시키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4에 기재된 탈곡 장치로 하였다.Invention of Claim 5 is equipped with the layer thickness detection sensor 95 which detects the thickness of the layer of the processed object on the said rock | flux sorting shelf 20, and is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is layer thickness detecting sensor 95, When the thickness of the layer of the workpiece on the 20 increases, when the rear upward inclination angle of the wind direction guide member 66 and the upper wall 67 decreases, and the thickness of the layer of the workpiece on the swing sorting shelf 20 decreases. The threshing apparatus of Claim 4 was set as the structure which increases the rear upward inclination-angle of the said wind direction guide member 66 and the upper wall 67.

<발명의 효과>Effect of the Invention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탈곡 후의 배출 짚을 지지 부재(10c)로 지지해서 급동(10)의 분리 톱니(10b)의 작용역으로 안내하고, 이 배출 짚에 들어가 있었던 곡립이나 이삭가지가 부착된 알맹이를 분리 톱니(10b)의 작용에 의해 배출 짚으로부터 분리해서 회수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회수실(11F)의 전방측은 칸막이판(11K)에 의해 분할되어 있으므로 이 칸막이판(11K)보다 전방측의 탈곡실(11) 내에서 탈곡된 짚 부스러기 등의 처리물이 회수실(11F) 내에 침입하기 어려워 이 회수실(11F) 내에서의 곡립의 회수 효율이 높아진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1, the discharge straw after threshing is supported by the support member 10c to guide the action zone of the separating teeth 10b of the barrel 10, and the grains and the grains that have been inserted into the discharge straw are attached. Can be separated and recovered from the discharge straw by the action of the separating teeth 10b. At this time, since the front side of the recovery chamber 11F is divided by the partition plate 11K, processed materials such as straw flakes threshed in the threshing chamber 11 on the front side of the partition plate 11K are recovered. It is hard to invade into the chamber 11F, and the collection | recovery efficiency of the grain in this collection chamber 11F becomes high.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를 발휘함과 아울러, 예컨대, 탈곡실(11)이나 회수실(11F)로부터 낙하된 곡립이나 짚 부스러기에 의해 요동 선별 선반(20) 상의 처리물이 증가했을 경우에는 풍구(16)로부터의 선별풍의 송풍 방향을 하향으로 조절함으로써 이 선별풍이 1번물 회수부(19A)의 상방을 통과해서 후방으로 흐르기 때문에 요동 선별 선반(20)으로부터 누하(漏下)되는 짚 부스러기가 1번물 회수부(19A)에 회수되기 어려워져 선별 정밀도가 향상된다. 또한, 후방으로 흐르는 선별풍에 의해 요동 선별 선반(20) 상의 처리물의 이송이 촉진되고, 요동 선별 선반(20)의 후단부로부터의 짚 부스러기의 배출이 촉진됨으로써 요동 선별 선반(20)에서의 선별 부하가 경감되어 탈곡 작업의 능률이 높아진다. 또한, 요동 선별 선반(20) 상의 처리물이 감소했을 경우에는 풍구(16)로부터의 선별풍의 송풍 방향을 상향으로 조절함으로써 요동 선별 선반(20) 상에 있어서의 처리물의 이송이 촉진되지 않게 되고, 짚 부스러기와 함께 곡립이 요동 선별 선반(20)의 후단으로부터 외부로 비산되기 어려워져 곡립의 회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풍구(16)로부터의 선별풍의 송풍 방향을 상향으로 조절함으로써 이 선별풍의 일부가 회수실(11F)을 향해서 뿜어 올려졌더라도 이 선별풍은 지지 부재(10c)에 의해 차단되므로 회수실(11F)로부터 곡립이 원활하게 낙하되어 곡립의 회수 효율이 더욱 높아진다.According to invention of Claim 2, while exhibiting the effect of the invention of Claim 1, for example, rocking | fever sorting shelf 20 by the grain and the straw which fell from the threshing chamber 11 and the collection chamber 11F. In the case where the processed material of the bed increases, the sorting wind flows backward through the first water collecting unit 19A by adjusting the blowing direction of the sorting wind from the tuyere 16 downward, so that it is lowered from the swing sorting shelf 20. Straw flakes which fall down are hard to be collect | recovered by the 1st water collection | recovery part 19A, and sorting precision improves. Further, the sorting wind flowing backwards facilitates the transport of the processed material on the swing sorting shelf 20, and facilitates the discharge of straw debris from the rear end of the swing sorting shelf 20, thereby sorting out the swing sorting shelf 20. The load is reduced and the threshing work becomes more efficient. In addition, when the processed material on the swing sorting shelf 20 decreases, conveyance of the processed material on the swing sorting shelf 20 is not promoted by adjusting upwardly the blowing direction of the sorting wind from the tuyere 16, The grain is hard to be scattered to the outside from the rear end of the swing sorting shelf 20 together with straw crumbs, thereby improving the recovery efficiency of the grain. Further, by adjusting the blowing direction of the sorting wind from the tuyere 16 upward, even if a part of the sorting wind is blown up toward the recovering chamber 11F, the sorting wind is blocked by the supporting member 10c, and thus, the recovering chamber 11F. ), The grains fall smoothly, and the recovery efficiency of the grains is further increased.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를 발휘함과 아울러, 풍구(16)로부터의 선별풍의 송풍 방향을 상측으로 조절한 상태에 있어서 풍구(16)로부터 송풍된 선별풍이 요동 선별 선반(20)의 회수실(11F)의 하방에 면하는 부위보다 후방측의 부위로부터 상측으로 뿜어 올려지므로 회수실(11F)로부터 낙하되는 곡립이 요동 선별 선반(20)으로부터 뿜어 올려지는 선별풍에 의해 후방으로 날리는 일이 적어지고, 이 곡립이 요동 선별 선반(20)의 후단으로부터 외부로 비산되기 어려워져 곡립의 회수 효율을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invention of Claim 3, while the effect of the invention of Claim 2 is exhibited, the sorting wind blown from the tuyere 16 fluctuates in the state which adjusted the blowing direction of the sorting wind from the tuyere 16 upward. The sorting wind in which the grain falling from the collection chamber 11F is spouted up from the swinging sorting shelf 20 because it is spouted upward from the portion on the rear side than the portion facing below the recovery chamber 11F of the sorting shelf 20. This makes it less likely to fly backward, and this grain is less likely to scatter from the rear end of the swing sorting shelf 20 to the outside, thereby improving the recovery efficiency of the grain.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를 발휘함과 아울러, 예컨대, 탈곡실(11)이나 회수실(11F)로부터 낙하된 곡립이나 짚 부스러기에 의해 요동 선별 선반(20) 상의 처리물이 증가했을 경우에는 풍구(16)의 송풍구(65)에 구비한 상벽(67)과 풍향 안내 부재(66)를 연동 기구(S)에 의해 하향으로 회전시키고, 하측 풍로(75)를 개방함으로써 하측 풍로(75)로부터 송풍되는 선별풍의 풍량을 증가시킴과 아울러, 상측 풍로(74)로부터 송풍되는 선별풍의 송풍 방향을 하향으로 조절함으로써 이 선별풍이 1번물 회수부(19A)의 상방을 통과해서 후방으로 흐르기 때문에 요동 선별 선반(20)으로부터 누하되는 짚 부스러기가 1번물 회수부(19A)에 회수되기 어려워져 선별 정밀도가 향상된다. 또한, 후방으로 흐르는 선별풍에 의해 요동 선별 선반(20) 상의 처리물의 이송이 촉진되고, 요동 선별 선반(20)의 후단부로부터의 짚 부스러기의 배출이 촉진됨으로써 요동 선별 선반(20)에서의 선별 부하가 경감되어 탈곡 작업의 능률이 높아진다. 또한, 요동 선별 선반(20) 상의 처리물이 감소했을 경우에는 상벽(67)과 풍향 안내 부재(66)를 연동 기구(S)에 의해 상향으로 회전시키고, 하측 풍로(75)를 폐쇄함으로써 이 하측 풍로(75)로부터 송풍되는 선별풍을 감소시킴과 아울러, 상측 풍로(74)로부터 송풍되는 선별풍의 송풍 방향을 상향으로 조절함으로써 요동 선별 선반(20) 상에 있어서의 처리물의 이송이 촉진되지 않게 되고, 짚 부스러기와 함께 곡립이 요동 선별 선반(20)의 후단으로부터 외부로 비산되기 어려워져 곡립의 회수 효율을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invention of Claim 4, while exhibiting the effect of the invention of Claim 2, for example, the rocking | fluctuation sorting shelf 20 by the grain and the straw which fell from the threshing chamber 11 and the collection chamber 11F. When the processing material of the upper part increases, the upper wall 67 and the wind direction guide member 66 which were provided in the tuyeres 65 of the tuyere 16 are rotated downward by the interlocking mechanism S, and the lower side air path 75 is rotated. Opening increases the air volume of the sorting wind blown from the lower side air passage 75, and adjusts the blowing direction of the sorting wind blown from the upper side air passage 74 downward, so that the sorting wind passes above the first water collecting unit 19A. As a result, the straw scraping off from the swing sorting shelf 20 is difficult to be recovered to the first water collecting unit 19A, and the sorting accuracy is improved. Further, the sorting wind flowing backwards facilitates the transport of the processed material on the swing sorting shelf 20, and facilitates the discharge of straw debris from the rear end of the swing sorting shelf 20, thereby sorting out the swing sorting shelf 20. The load is reduced and the threshing work becomes more efficient. In addition, when the processing material on the swing sorting shelf 20 decreases, the upper wall 67 and the wind direction guide member 66 are rotated upward by the interlocking mechanism S, and the lower air passage 75 is closed to lower this side. By reducing the sorting wind blown from the air passage 75 and adjusting the blowing direction of the sorting wind blown from the upper wind path 74, the transfer of the processed material on the swing sorting shelf 20 is not promoted. In addition, it is difficult for the grain to be scattered to the outside from the rear end of the swing sorting shelf 20 together with straw crumbs, thereby improving the recovery efficiency of the grain.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를 발휘함과 아울러, 요동 선별 선반(20) 상의 처리물의 층의 두께에 따라 상벽(67)과 풍향 안내 부재(66)의 후방 상향 경사 자세를 제어함으로써 선별 정밀도, 탈곡 작업 능률, 곡립 회수율을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5, the upper wall 67 and the wind direction guide member 66 are upwardly upward depending on the thickness of the layer of the processed material on the swing sorting shelf 20 while exhibiting the effect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4 above. By controlling the inclined posture, the sorting accuracy, threshing efficiency, and grain recovery rate can be improved.

도 1은 콤바인의 좌측면도이다.
도 2는 콤바인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콤바인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콤바인의 배면도이다.
도 5는 탈곡 장치를 종단면해서 나타내는 설명용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7은 탈곡 장치를 수평 단면해서 나타내는 설명용 평면도이다.
도 8은 탈곡 장치를 다른 위치에서 수평 단면해서 나타내는 설명용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일부를 파단해서 나타내는 설명용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A-A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8의 B-B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8의 C-C 단면도이다.
도 13은 상벽과 풍향 안내 부재의 연동 기구부의 확대도이다.
도 14는 상벽과 풍향 안내 부재의 경사각을 최대로 한 상태에서의 탈곡 장치를 종단면해서 나타내는 설명용 측면도이다.
도 15는 상벽과 풍향 안내 부재의 경사각을 최소로 한 상태에서의 탈곡 장치를 종단면해서 나타내는 설명용 측면도이다.
도 16은 조작 패널의 정면도이다.
1 is a left side view of a combine.
2 is a plan view of the combine.
3 is a front view of the combine.
4 is a rear view of the combine.
It is a side view for explanatory drawing showing the threshing apparatus longitudinally.
6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main parts of FIG. 5.
7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threshing apparatus in a horizontal cross section.
8 is an explanatory plan view showing the threshing apparatus in a horizontal cross section at another position.
FIG. 9 is an explanatory plan view illustrating part of FIG. 8 by breakin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8.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8.
1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FIG. 8.
It is an enlarged view of the interlock mechanism part of an upper wall and a wind direction guide member.
FIG. 14: is explanatory side view which shows the threshing apparatus longitudinally in the state which made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upper wall and the wind direction guide member the maximum. FIG.
FIG. 15: is explanatory side view which shows the threshing apparatus longitudinally in the state which made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upper wall and the wind direction guide member the minimum.
16 is a front view of the operation panel.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편의적으로 방향을 나타내서 설명하고 있지만 이들에 의해 구성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tion, in order to make an understanding easy, the direction is demonstrated and demonstrated conveniently, but a structure is not limited by these.

도 1~도 4에 있어서 부호 1은 콤바인의 기체 프레임, 부호 2는 좌우 1쌍의 크롤러를 갖는 주행 장치, 부호 3은 기체 프레임(1)의 상방에 설치한 탈곡 장치, 부호 4는 탈곡 장치(3)의 전방측에 설치한 예취부, 부호 5는 탈곡 장치(3)의 측부에 설치한 곡물 탱크, 부호 6은 곡물 탱크(5)의 전방에 설치한 조종부, 부호 7은 곡물 탱크의 저류 곡립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1 to 4, reference numeral 1 denotes a traveling frame having a combine, reference numeral 2 denotes a traveling device having a pair of left and right crawlers, reference 3 denotes a threshing apparatus provided above the base frame 1, and reference 4 denotes a threshing apparatus ( 3) a harvesting unit provided at the front side of the tank, 5 is a grain tank installed at the side of the threshing apparatus 3, 6 is a control unit installed at the front of the grain tank 5, and 7 is a storage of the grain tank. Each discharge pipe for discharging a grain is shown.

도 5,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탈곡 장치(3)는 상부에 탈곡실(11)을 구비함과 아울러, 탈곡실(11)의 일방측(기체 주행 방향의 예컨대 좌측)에는 곡간 공급 반송 장치(12)를 구비하고 있다. 주행 장치(2)에 의해 기체를 주행시키고, 예취부(4)에 의해 예취된 곡간은 곡간 공급 반송 장치(12)에 인계되고, 곡간 공급 반송 장치(12)의 홀딩 로드(holding rod)(12A) 및 공급 반송 체인(13B) 사이에서 협지된 상태에서 후방으로 반송된 후, 탈곡 완료된 배출 짚을 반송하는 배출 짚 반송 장치(14)에 인계된다.As shown to FIG. 5, FIG. 8, the threshing apparatus 3 is equipped with the threshing chamber 11 in the upper part, and is a grain stem supply conveying apparatus in one side (for example, the left side of a gas running direction) of the threshing chamber 11; (12) is provided. The grain stem carried out by the traveling apparatus 2, and harvested by the harvesting | reaping part 4 is taken over by the grain stem supply conveyance apparatus 12, and is 12A of holding rods of the grain stem supply conveyance apparatus 12. As shown in FIG. ), And after being conveyed backward in the state sandwiched between the supply conveying chain 13B, it is turned over to the discharge straw conveying apparatus 14 which conveys the threshing completed straw.

(탈곡실과 회수실)(Threshing Room and Recovery Room)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탈곡실(11)에는 급동(10)이 대략 수평으로 피벗 장착되어 있고, 이 급동(10)의 주로서 하방측은 급망(15)에 의해 포위되어 있고, 급망(15)의 하방에는 풍구(16)의 풍구 케이싱(17)이 설치되어 있다. 급동(10)의 외주면 상에는 다수개의 급치(10a)가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5, the barrel 10 is pivotally mount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in the threshing chamber 11, As the main part of this barrel 10, the lower side is surrounded by the rapid network 15, and the rapid grid 15 is shown. Below, the tuyere casing 17 of the tuyere 16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rrel 10, a plurality of jet teeth 10a are provided.

도 5, 도 8, 도 9, 도 10~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탈곡실(11)의 하류측의 부위(후방부)에는 급동(10)의 후방부 외주에 근접해서 배치한 중간 격벽(칸막이판)(11K)을 설치하고, 이 중간 격벽(11K)의 전방측에 이 중간 격벽(11K)에 의해 분할된 배진 처리실 도입부(11E)를 형성한다. 이 배진 처리실 도입부(11E)의 저면은 격자 형상으로 형성하고, 하방의 요동 선별 선반(20)에 낙하시키는 배진구(11H)를 형성한다. 급동(10)의 하류측 단부(후단부)는 중간 격벽(11K)을 관통해서 이 중간 격벽(11K)의 후방측에 형성된 회수실(11F) 내까지 연장된다. 이 중간 격벽(11K)은 탈곡실(11)의 기기 프레임에 대해서 고정되어 있다. 이 회수실(11F) 내에 있어서의 급동(10)의 외주면 상에는 탈곡 후의 곡간(배출 짚)에 달라붙은 곡립을 긁어 떨어뜨려서(또는 털어내서) 분리하는 판형상의 다수개의 분리 톱니(10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급동(10)의 후단의 후방측에 배치한 후 측벽(11L)에 의해 급동(10)의 회전축(10S)의 후단부가 축받이되어 있다.As shown to FIG. 5, FIG. 8, FIG. 9, and 10-12, the intermediate | middle partition wall arrange | positioned near the outer periphery of the rear part of the barrel 10 in the downstream part (rear part) of the threshing chamber 11 ( A partition plate 11K is provided, and a dust treatment chamber introduction portion 11E divided by the intermediate partition 11K is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intermediate partition 11K. The bottom face of this dust processing chamber introduction part 11E is formed in grid | lattice form, and the dust outlet 11H which falls to the downward swing sorting shelf 20 is formed. The downstream end (rear end) of the barrel 10 extends through the intermediate partition 11K and into the recovery chamber 11F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intermediate partition 11K. This intermediate partition 11K is being fixed to the apparatus frame of the threshing chamber 11.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rrel 10 in the recovery chamber 11F, a plurality of plate-shaped separating teeth 10b for scraping off (or shaking off) the grains stuck to the grain stem (drain straw) after threshing are formed. have. Moreover, after arrange | positioning at the rear side of the rear end of the barrel 10, the rear end part of the rotating shaft 10S of the barrel 10 is bearing by 11L of side walls.

또한,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회수실(11F)에 있어서의 급동(10)의 하측 외주를 따라 원호상으로 형성한 수용판(지지 부재)(10c)을 배치한다. 이 수용판(10c)에 의해 탈곡 후의 곡간을 지지하고, 이 곡간을 분리 톱니(10b)의 회전 궤적(작용역) 내로 안내하는 것이다. 이 수용판(10c)은 곡간의 밑동측의 부위를 지지하는 범위에만 설치하고, 곡간의 이삭끝측에는 설치하지 않는다. 즉, 이 수용판(10c)은 곡간 공급 반송 장치(12)측으로부터 급동(10)의 회전축(10S)의 축심(10P)의 대략 바로밑의 위치까지의 범위에 설치하고, 이 축심(10P)보다 탈곡실(11)의 안쪽측이 되는 부위에는 수용판(10c)을 설치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수용판(10c)의 안쪽측 단부와 배진 처리실(30) 사이의 부위는 개방 폭(T)에 걸쳐 하방으로 개방된다.Moreover, as shown in FIG. 12, the accommodating plate (support member) 10c formed in circular arc shape along the lower outer periphery of the barrel 10 in this collection chamber 11F is arrange | positioned. This accommodation plate 10c supports the grain stem after threshing, and guides this grain stem into the rotation locus (working region) of the separating tooth 10b. This receiving plate 10c is provided only in the range which supports the site | part on the base side of a grain stem, and is not provided in the ear tip side of a grain stem. That is, this accommodating plate 10c is provided in the range from the grain stem supply conveying apparatus 12 side to the position just below the axis center 10P of the rotating shaft 10S of the barrel 10, and this shaft center 10P The accommodating plate 10c is not provided in the part used as the inner side of the threshing chamber 11 more. Thereby, the site | part between the inner side edge part of the accommodating plate 10c, and the dust discharge processing chamber 30 is opened downward over the opening width T. As shown in FIG.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수용판(10c)에는 평면으로 바라봐서 급동(10)의 축심(10P) 방향에 대해서 각도(θ)만큼 경사진 다수개의 긴 구멍(10d)을 형성한다. 그리고, 이 수용판(10c)은 탈곡 후의 곡간을 지지할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풍구(16)로부터 송풍되는 선별풍을 차단함으로써 긴 구멍(10d)으로부터의 곡립의 누하를 촉진한다.As shown in FIG. 9, the receiving plate 10c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elongated holes 10d inclined by the angle θ with respect to the axis center 10P direction of the barrel 10 in plan view. The housing plate 10c not only supports the grain stem after threshing but also blocks the sorting wind blown from the tuyere 16 described later to promote the leakage of the grain from the long hole 10d.

그리고, 예취부(4)에서 예취된 곡간은 급심(扱深)이 조절되어 곡간 공급 반송 장치(12)로 협지 반송되면서 그 이삭끝측이 탈곡실(11)에 삽입된다. 탈곡실(11)에 공급된 곡간은 회전하는 급동(10)의 급치(10a)의 작용에 의해 탈곡되고, 탈곡된 곡립은 급망(15)으로부터 낙하되어 선별실(18)에 공급되고, 요동 선별 장치(21)에 의해 선별된다. 탈곡실(11)에서 탈곡된 처리물 중 급망(15)으로부터 누하되지 않은 처리물은 탈곡실(11) 후방부의 배진 처리실 도입부(11E)에 이른 후, 연통구(35)로부터 배진 처리실(30)로 공급되고, 이 배진 처리실(30)에 내장된 배진 처리 몸통(31)에서 처리된다. And while the grain stem harvested by the harvesting | reaping part 4 is sharply adjusted and it is pinched and conveyed by the grain stem supply conveying apparatus 12, the ear tip side is inserted in the threshing chamber 11. The grain stem supplied to the threshing chamber 11 is threshed by the action of the plunger 10a of the rotating barrel 10, and the threshed grains fall from the rapid grid 15 and are supplied to the sorting chamber 18, and the shaken sorting is performed. Selected by the device 21. Among the processed materials threshed in the threshing chamber 11, the processed materials not leaked from the supply grid 15 reach the dust exhaust treatment chamber introduction portion 11E at the rear side of the threshing chamber 11, and then the dust exhaust treatment chamber 30 from the communication port 35. It is supplied to and processed by the dust-treatment body 31 integrated in this dust-treatment chamber 30.

또한, 탈곡실(11) 내에 있어서의 회수실(11F)보다 전방측의 부위에서 탈곡 처리된 곡간 중에는 탈곡실(11) 내에서 탈립(脫粒)된 곡립이나 이삭가지가 부착된 알맹이가 들어가 있고, 이 곡립이나 이삭가지가 부착된 알맹이는 탈곡 후의 곡간과 함께 중간 격벽(11K)의 하측에 형성된 공간부를 통과한다. 그리고, 회수실(11F) 내에 이른 탈곡 후의 곡간은 수용판(10c) 상에 지지된 상태에서 급동(10)의 외주면 상에 설치한 다수개의 분리 톱니(10b)의 작용을 받고, 이 곡간 중에 들어가 있었던 곡립이나 이삭가지가 부착된 알맹이가 탈락되어 분리된다. 또한, 이 때, 회수실(11F)의 전방측은 칸막이판(11K)에 의해 분할되어 있으므로 이 칸막이판(11K)보다 전방측의 탈곡실(11)에서 탈곡된 처리물이 배진 처리실 도입부(11E) 내로부터 회수실(11F) 내로 침입하기 어려워 이 회수실(11F) 내에서의 곡립의 회수 효율이 높아진다.In addition, grains with a grain or a grain with which the grains which were threshed in the threshing chamber 11 are contained in the grain stem which threshed in the site | part on the front side rather than the recovery chamber 11F in the threshing chamber 11, The grains with the grains and the ear branches pass through the space portion formed below the intermediate partition 11K together with the grain stem after threshing. And the grain stem after threshing which reached in 11F of collection | recovery chambers receives the action of the several separating teeth 10b install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arrel 10 in the state supported on the receiving plate 10c, and it enters in this grain stem. The grains or grains attached to the grains were removed and separated. At this time, since the front side of the recovery chamber 11F is divided by the partition plate 11K, the processed material threshed in the threshing chamber 11 on the front side of the partition plate 11K is exhausted. It is hard to intrude into 11F of collection chambers from inside, and the collection | recovery efficiency of the grain in this collection chamber 11F becomes high.

이 탈락된 곡립이나 이삭가지가 부착된 알맹이는 상기 개방 폭(T)의 부위, 수용판(10c)의 후단부, 및 긴 구멍(10d)으로부터 하방의 요동 선별 선반(20) 상으로 낙하되고, 선별된 후에, 곡립은 1번물 회수부(19A)에 받아들여져 곡물 탱크(5)에 저류된다.The dropped grains and the grains to which the branches are attached fall from the site of the opening width T, the rear end of the receiving plate 10c, and the long hole 10d onto the lower swing sorting shelf 20, After being sorted, the grains are taken in by the first recovery section 19A and stored in the grain tank 5.

(선별실)(Selection room)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탈곡실(11)의 하방에는 풍구(16)의 송풍에 의해 곡립과 이물을 선별하기 위한 선별실(18)이 형성되어 있고, 선별실(18) 내의 상부에는 풍구(16)의 송풍 방향(전후 방향)으로 왕복 요동하는 요동 선별 선반(20)에 의해 구성한 요동 선별 장치(21)가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5, below the threshing chamber 11, a sorting chamber 18 for sorting grains and foreign matters by blowing air from the tuyere 16 is formed, and at the upper part of the sorting chamber 18, a tuyere ( A swing sorting device 21 constituted by a swing sorting shelf 20 reciprocating in the blowing direction (front and rear direction) of 16 is provided.

(요동 선별 선반, 풍구, 선반판 등)(Swivel sorting shelf, air balloon, shelf board, etc.)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동 선별 선반(20)의 시단부(전단부)는 풍구 케이싱(17)의 상방에 위치하는 이송 선반부(22)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송 선반부(22)의 구성은 임의이고, 이송 방향 하류측을 낮게 경사지게 하거나 또는 이송 선반부(22)의 상면에 돌기나 요철을 형성하거나 해서 요동 선별 장치(21)의 이송 방향 하류측의 그레인 시브(grain sieve)(23)를 향해서 급망(15)으로부터의 누하물을 이송할 수 있으면 좋다.As shown in FIG. 6, the start end part (front end part) of the rocking | fluctuation sorting shelf 20 is formed as the conveyance shelf part 22 located above the tuyere casing 17. As shown in FIG. The structure of the conveyance shelf part 22 is arbitrary, The grain in the conveyance direction downstream of the oscillation | separation sorting apparatus 21 is made to incline the conveyance direction downstream side low, or to form a processus | protrusion or an unevenness | corruga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ance shelf part 22. It is only necessary to be able to transfer the leakage from the grid 15 toward the grain sieve 23.

그레인 시브(23)는 급망(15)으로부터 누하된 곡립과 짚 부스러기 등의 이물을 선별하는 체이며, 도시예에서는 이송 방향 하류측(후방측)이 높게 되도록 경사진 얇은 판형상체를 요동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 병설한 것이다. 그레인 시브(23)의 이송 방향 하류측(후방측)에는 곡립과 채프(chaff)(짚 부스러기)를 선별하는 채프 시브(chaff sieve)(24)가 설치되어 있다. 도시예의 채프 시브(24)는 경사각 조절 가능한 얇은 판형상체를 요동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 병설한 것이다. 또한, 채프 시브(24)의 하류측에는 탈곡실을 통과한 배출 짚에 달라붙은 곡립(부착 알맹이) 등을 선별하기 위한 조 선별 수단으로서 스트로 랙(straw rack)(25)이 설치되어 있다.The grain sheave 23 is a sieve for sorting foreign matter such as grains and straw debris from the rapid grid 15. In the illustrated example, a thin plate-like body inclined so that the downstream side (rear side) of the conveying direction becomes high in the swinging direction is predetermined. Plurally spaced apart. On the downstream side (rear side) of the conveyance direction of the grain sheave 23, the chaff sieve 24 which sorts a grain and chaff (straw shavings) is provided. The chaff sheave 24 of an example of example is provided with the plurality of thin plate-shaped objects which can adjust the inclination angl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swinging direction.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chaff sieve 24, a straw rack 25 is provided as a tank sorting means for sorting grains (attached kernels) and the like stuck to the discharge straw passing through the threshing chamber.

선별실(18)의 하부에는 풍구(16), 홈 형상의 1번 선반판(19A)(1번물 회수부), 및 홈 형상의 2번 선반판(19B)(2번물 회수부)이 요동 선별 선반(20)의 이송 방향으로(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이 순서로 설치되어 있다. 풍구(16)는 요동 선별 선반(20)과 1번물 선반판(19A) 사이에 면하는 송풍구를 구비하고 있다. 1번 선반판(19A)의 홈부에는 곡물 탱크(5)로 연통하는 1번 컨베이어(26)가 연통되고, 2번 선반판(19B)의 홈부에는 2번 처리실(30)로 연통하는 2번 컨베이어(27)가 연통되어 있다. 또한, 요동 선별 선반(20)과 1번 선반판(19A) 사이에는 그레인 시브(23)와 채프 시브(24)의 경계 근방으로부터 1번 선반판(19A)의 선반끝(19C) 근방까지의 범위에 걸치도록 선별 망(28)이 설치되어 있다.In the lower part of the sorting chamber 18, the flue 16, the groove-shaped shelf plate 19A (the 1st water collection | recovery part), and the groove-shaped shelf board 19B (the 2nd water collection | recovery part) are shaken and sorted. In the conveyance direction of the shelf 20 (from front to back), it is provided in this order. The tuyere 16 is provided with a tuyere facing between the swinging sorting shelf 20 and the first shelf plate 19A. Conveyor No. 1 communicating with the grain tank 5 communicates with the groove of the No. 1 shelf plate 19A, and Conveyor No. 2 communicating with the Process No. 2 processing chamber 30 in the groove of the No. 2 shelf plate 19B. (27) is in communication. In addition, a range from the vicinity of the boundary between the grain sheave 23 and the chaff sheave 24 to the vicinity of the shelf end 19C of the first shelf plate 19A is provided between the swinging sorting shelf 20 and the first shelf plate 19A. The sorting net 28 is installed so that it may extend.

요동 선별 선반(20)은 도시하지 않은 구동 기구에 의해 상하 전후 방향으로 요동하므로 처리물은 후방측으로 이동하면서 풍구(16)로부터의 송풍을 받아 풍력 선별되고, 비중이 무거운 곡립은 그레인 시브(23) 및 채프 시브(24)를 누하해서 선별 망(28) 상에 공급되고, 선별 망(28) 상의 처리물은 또한 풍구(16)로부터의 선별풍을 하측으로부터 받아서 가느다란 짚 부스러기가 불어 날려지면서 후방으로 이송되고, 이 이송 중에 선별 망(28)으로부터 누하된 것이 1번 선반판(19A)에 의해 회수되고, 1번 컨베이어(26)를 타서 곡물 탱크(5)로 투입된다. 곡물 탱크(5)에 저류된 곡립은 배출관(7)을 통해서 콤바인의 외부로 반출된다. 이와 같이, 선별 망(28)으로부터 누하되어 1번 선반판(19A)에 의해 회수되는 처리물은 이삭가지 부착이 적은 곡립[청립(淸粒)]이 주이다.Since the swing sorting shelf 20 swings up and down in a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by a driving mechanism (not shown), the workpiece moves to the rear side and receives wind blowing from the tuyere 16, and the wind is sorted by the grain. And the chaff sieve 24 is laid down and supplied to the sorting net 28, and the processing material on the sorting net 28 is also received by the sorting wind from the tuyere 16 from the lower side, and the thin straw flakes are blown back. Is discharged from the sorting net 28 during the transfer, and is collected by the number 1 shelf plate 19A, and is fed to the grain tank 5 by burning the number 1 conveyor 26. The grains stored in the grain tank 5 are carried out of the combine through the discharge pipe 7. In this way, the processed material which is laid down from the sorting net 28 and collect | recovered by the 1st shelf board 19A is a grain (green particle) with few sticking branches.

한편, 선별 망(28)으로부터 누하되지 않은 것은 이 선별 망(28) 상을 후방으로 이송되어서 선별 망(28)의 후단부로부터 2번 선반판(19B)에 이르고, 회수된다. 선별 망(28)으로부터 누하되지 않고 2번 선반판(19B)에 공급되는 처리물은 이삭가지가 부착된 알맹이나 작은 짚 부스러기 등이 주이다.On the other hand, the thing which has not leaked from the sorting net 28 is conveyed back on this sorting net 28, reaches the 2nd shelf board 19B from the rear end of the sorting net 28, and is collect | recovered. The processed material which is supplied to the shelf board 19B without dropping from the sorting net 28 is mainly a grain of fine grain or a small straw crumb to which the branch is attached.

요동 선별 선반(20) 상의 처리물 중 경량의 것은 시브(23,24)를 누하하지 않고, 요동 선별 선반(20)의 요동 작용과 풍구(16)에 의한 송풍에 의해 불어 날려져서 시브(23,24) 상을 후방으로 이동하고, 스트로 랙(25) 상에서 크기가 작은 2번물은 누하되어 2번 선반판(19B)에 의해 회수된다. 시브(23,24)의 후방부나 스트로 랙(25)으로부터 누하되어 2번 컨베이어(27)에 의해 2번 처리실(40)로 공급된다. 2번 컨베이어(27)에 받아들여지는 것은 정상의 곡립, 이삭가지가 부착된 알맹이, 짚 부스러기 및 짚 부스러기 중에 정상인 곡립이 달라붙어 있는 부착 알맹이 등의 혼합물이다. 이들 이삭가지가 부착된 알맹이나 짚 부스러기를 2번 환원물로서 재처리한다. 또한, 시브(23,24) 및 스트로 랙(25)으로부터 누하되지 않은 처리물은 더욱 후방으로 이송되어 요동 선별 선반(20)의 후단부 상에 형성된 3번 배진구(56)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이 중에는 약간의 곡립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 있고, 이 양(비율)에 따라 탈곡 장치의 선별 정밀도가 평가된다.Among the processed materials on the swing sorting shelf 20, the lightweight one is blown away by the rocking action of the swing sorting shelf 20 and blowing by the tuyere 16 without lowering the sheaves 23, 24. 24) The bed is moved backwards, and the small item 2 on the straw rack 25 is laid down and collected by the shelf plate 19B. It is laid down from the rear part of the sheaves 23 and 24 or the straw rack 25, and is supplied to the 2nd process chamber 40 by the 2nd conveyor 27. As shown in FIG. Accepted by the second conveyor 27 is a mixture of normal grains, grains with spiked branches, straw flakes, and attached kernels with normal grains stuck in straw crumbs. The grains or straw flakes with these spiked branches are retreated as a reducing agent twice. In addition, the workpieces not leaked from the sieves 23 and 24 and the straw rack 25 are further transported to the rear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from the third dust outlet 56 formed on the rear end of the swing sorting shelf 20. . Some of these grains are contained, and the sorting precision of a threshing apparatus is evaluated according to this quantity (ratio).

(배진 처리실)(Dust treatment room)

도 8, 도 9, 도 11,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통구(35)를 통해서 탈곡실(11)과 연통된 배진 처리실(30)의 내부에는 급동(10)의 축심과 대략 평행한 배진 처리 몸통(31)이 피벗 장착되어 있다. 배진 처리 몸통(31)의 요동 선별 선반(20)과 반대측(정면을 향해서 좌측)은 측판(32)에 의해 포위되고, 배진 처리 몸통(31)의 요동 선별 선반(20)측(정면을 향해서 우측)은 처리물 배출구(33)가 설치되어 있다. 배진 처리 몸통(31)의 외주면 중 처리물의 이송 방향의 종단부(후단부)에는 날개체(34)가 설치되고, 이보다 시단측에는 배진 처리 톱니(36)가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8, FIG. 9, FIG. 11, FIG. 12, the inside of the dustproof processing chamber 30 which communicated with the threshing chamber 11 through the communication opening 35 is exhausted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xial center of the barrel 10. FIG. The processing body 31 is pivotally mounted. The opposite side (left side toward the front) and the oscillation screening shelf 20 of the dust collection body 31 are surrounded by the side plate 32, and the oscillation screening shelf 20 side (right side toward the front) of the dust exhaust treatment body 31 is surrounded. ) Is provided with a treatment outlet 33. The wing | blade 34 is provided in the terminal part (rear end part)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ust-removing body 31 in the conveyance direction of a processed object, and the dust-treatment tooth 36 is provided in the start-end side rather than this.

배진 처리실(30)에 공급된 처리물은 회전하는 배진 처리 몸통(31)에 의해 해쇄(解碎) 처리되면서 종단측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처리물 배출구(33)로부터 요동 선별 선반(20) 상에 배출되고, 또한, 배진 처리실(30)의 종단은 폐색되어 있고, 여기에 이른 처리물은 날개체(34)에 의해 요동 선별 선반(20)의 스트로 랙(25) 상에 배출되고, 이들 배출 처리물은 요동 선별 선반(20)에 의해 선별되어 곡립은 회수되고, 짚 부스러기 등은 기기 밖으로 배출된다. 배진 처리실(30)에 공급되는 처리물 중에는 소량이면서 이삭가지가 부착된 곡립이 포함되어 있고, 이 이삭가지가 부착된 알맹이 및 작은 짚 부스러기는 처리물 배출구(33)로부터 요동 선별 선반(20)에 낙하된다.The processed material supplied to the dust treatment chamber 30 is discharged from the treatment discharge port 33 onto the swing sorting shelf 20 in the process of being pulverized by the rotating dust treatment body 31 and moving to the end side. In addition, the terminal of the exhaust treatment chamber 30 is closed, and the processing material which has reached this is discharged on the straw rack 25 of the swing sorting shelf 20 by the wing body 34, and these discharge processing materials The silver is sorted by the rocking sorting shelf 20 so that the grains are recovered, and straw crumbs and the like are discharged out of the device. The processed material supplied to the dust-treatment chamber 30 includes grains with a small amount and grains attached thereto, and the grains and the small straw flakes with the spiked branches are attached to the swing sorting shelf 20 from the processing outlet 33. Falls.

(2번 처리실)(Process 2)

도 8, 도 9,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진 처리실(30)의 전방측에는 2번 컨베이어(27)에 의해 회수된 2번물을 처리하는 2번 처리실(40)이 설치되어 있다. 2번 처리실(40) 내에는 외주면에 간헐 나선 날개를 갖는 2번 처리 몸통(41)이 배진 처리 몸통(31)과 동심적으로 또한 직렬적으로 피벗 장착되어 있다. 2번 처리 몸통(41)의 하방은 그 종단부를 제외하고 홈 형상의 수용판(42)에 의해 포위되어 있고, 2번 처리 몸통(41)의 종단부(전단부)의 하방은 2번 처리물 환원구(43a)로서 요동 선별 선반(20)의 상류측에 있어서의 2번 처리실(40)측의 측부의 상방에 개구되어 있다. 또한, 2번 처리 몸통(41)의 시단측(후단측) 상방에는 2번 컨베이어(27)로부터 공급되는 2번물의 공급구(44a)가 개구되어 있다.As shown in FIG. 8, FIG. 9, and FIG. 10, the 2nd process chamber 40 which processes the 2nd material collect | recovered by the 2nd conveyor 27 is provided in the front side of the dust collection chamber 30. As shown in FIG. In the 2nd processing chamber 40, the 2nd processing body 41 which has an intermittent spiral blade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s pivotally mounted concentrically and serially with the dust exhaustation processing body 31. As shown in FIG. The lower part of the 2nd process body 41 is surrounded by the groove-shaped receiving plate 42 except the terminal part, and the lower part of the terminal part (front end) of the 2nd process body 41 is the 2nd process material. As the reduction port 43a, it opens in the upper part of the side of the process chamber 40 side in the upstream of the oscillation sorting shelf 20. As shown in FIG. Moreover, the supply port 44a of the 2nd thing supplied from the 2nd conveyor 27 is opened above the start end side (rear end side) of the 2nd process body 41. As shown in FIG.

2번 처리실(40)에서는 2번물이 2번 처리 몸통(41)에 의해 반송되는 동안에 곡립의 분리와 이삭가지가 부착된 알맹이로부터의 이삭가지의 제거가 행해진 후, 2번 처리물 환원구(43a)로부터 요동 선별 선반(20)으로 낙하되고, 급실(40)로부터의 처리물과 합류해서 재선별된다.In the No. 2 processing chamber 40, while No. 2 is conveyed by the No. 2 processing body 41, separation of grains and removal of the ear branch from the kernels to which the ear branch is attached are performed. ), Falls to the swing sorting shelf 20, joins the processed material from the feeding chamber 40 and is reselected.

(흡인 배진 팬)(Suction back fan)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동 선별 선반(20)의 종단부(후단부)의 상방에는 흡인 배진 팬(43)의 흡진구(44)가 개구되어 있다. 흡인 배진 팬(43)은 배풍구(46)를 갖는 케이싱(45)에 의해 덮여져 있다. 도시예에서는 요동 선별 선반(20)의 상방 공간의 양 측벽 중 배진 처리실(30)과 반대측의 측벽에 배진 처리실(30)과 대치하도록 흡인 배진 팬(43)이 부착되고, 그 설치 부위에 흡진구(44)가 개구되어 있지만 이들의 설치 위치는 도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s shown in FIG. 6, the suction port 44 of the suction dust collecting fan 43 is opened above the end portion (rear end portion) of the swing sorting shelf 20. The suction exhaust fan 43 is covered by a casing 45 having a vent hole 46. In the example of illustration, the suction exhaust fan 43 is attached to the side wall on the opposite side to the dust exhaust processing chamber 30 among the side walls of the upper space of the swing sorting shelf 20 so that the dust exhaust fan 43 may be attached, Although 44 is open, these installation positions are not limited to the example of illustration.

(배출 짚 처리 장치)(Discharge straw processing unit)

도 8,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탈곡 장치(3)의 후방측에서는 탈곡실을 통해 탈곡이 끝난 곡간, 즉 배출 짚은 배출 짚 반송 장치(14)에 인계되고, 배출 짚 반송 장치(14)의 종단부로부터 배출 짚 처리 장치로서의 커터 장치(48)에 배출된다. 이 배출 짚 반송 장치(14)에 구비하는 밑동측 반송 장치(14K)의 중간부에는 급동(10)의 회전축(10S)의 후단부에 부착된 풀리(10T)로부터 전동 벨트(10U), 입력 풀리(10V), 베벨 기어 케이스(10W) 내의 전동 기구, 및 상기 밑동측 반송 장치(14K)와 평행한 이삭끝측 반송 장치(14H)를 관통해서 설치한 출력축(10X)을 통해서 동력이 전달된다. 그리고, 이 밑동측 반송 장치(14K)의 후단부로부터 전동축(10Y)을 통해서 이삭끝측 반송 장치(14H)의 후단부에 동력이 전동된다. As shown to FIG. 8, FIG. 9, in the back side of the threshing apparatus 3, the threshing grain finished after threshing through the threshing chamber, ie, the discharge straw, is turned over to the discharge straw conveying apparatus 14, and the terminal of the discharge straw conveying apparatus 14 is terminated. To the cutter device 48 as the discharge straw processing device. In the middle of the driven side conveying device 14K included in the discharge straw conveying device 14, the electric belt 10U and the input pulley are formed from the pulley 10T attached to the rear end of the rotating shaft 10S of the barrel 10. Power is transmitted through 10V, the transmission mechanism in the bevel gear case 10W, and the output shaft 10X provided through the tip end side conveying apparatus 14H parallel to the said driven side conveying apparatus 14K. And power is transmitted from the rear end of this driven-side conveying apparatus 14K to the rear end of the ear tip-side conveying apparatus 14H via the transmission shaft 10Y.

커터 장치(48)는 상방으로부터 낙하 공급되는 배출 짚을 1쌍의 로터리 커터 칼날(49) 사이에 통과시켜 절단하는 구조의 것이다. 로터리 커터 칼날(49)의 외부측은 후드에 의해 덮여져 있고, 또한 로터리 커터 칼날(49)의 전방측에는 절단된 배출 짚의 절단 짚 부스러기가 후방으로 낙하되도록 안내하기 위한 절단 짚 안내판(50)이 설치되어 있다. 절단 짚 안내판(50)은 상부가 상측 커터 칼날(49)의 하부와 거의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있고, 하방에 이름에 따라 후방측에 위치하도록 후방 하향으로 경사지고, 절단 짚 안내판(50)의 하부는 하측 커터 칼날(49)의 하부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커터 장치(48) 대신에 다른 배출 짚 처리 장치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cutter apparatus 48 is a structure which cuts the discharge straw supplied by falling from upper direction through a pair of rotary cutter blade 49, and cut | disconnects. The outer side of the rotary cutter blade 49 is covered by a hood, and the front side of the rotary cutter blade 49 is provided with a cutting straw guide plate 50 for guiding the cutting straw debris of the cut straw to fall backward. It is. The cutting straw guide plate 50 is located at the same height as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cutter blade 49, the inclined downward downward so as to be located on the rear side under the name, the lower portion of the cutting straw guide plate 50 It is located below the lower part of the lower cutter blade 49. It is also possible to use other discharge straw processing apparatuses instead of the cutter apparatus 48.

(3번 배진구)(No.3 Baejin-gu)

도 5~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탈곡 장치(3)의 후방측벽(55)에는 3번 배진구(56)가 개구되어 있고, 요동 선별 선반(20)의 후방부가 이 3번 배진구(56)에 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3번 배진구(56)를 개폐하는 3번 배진구 셔터(57)가 설치되어 있고, 배진 처리실(30)의 처리물 배출구(33)로부터 배출되는 배진 처리물에 포함되는 곡립을 3번 배진구(56)로부터 배출시키지 않고 요동 선별 선반(20)의 채프 시브(24) 또는 스트로 랙(25)에 공급하여 체에 의한 선별에 의해 회수할 수 있다. 따라서, 3번 손실의 발생을 방지해서 탈곡 효율을 향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배진 처리실(30)과 흡인 배진 팬(43)의 흡진구(44)는 요동 선별 선반(20)을 사이에 두고 대치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3번 배진구 셔터(57)를 폐쇄하면 배진 처리실(30)로부터 배출되는 배진 처리물이 흡인 배진 팬(43)의 흡진구(44)측을 향해서 광범하게 확산되기 때문에 곡립의 회수 효율이 한층 향상한다.5 to 7, the third exhaust port 56 is opened in the rear side wall 55 of the threshing apparatus 3, and the rear part of the swing sorting shelf 20 is the third exhaust port 56. It is configured to face). Further, a third dust outlet shutter 57 for opening and closing the third dust outlet 56 is provided, and the grain included in the dust treatment product discharged from the treatment product discharge port 33 of the dust treatment chamber 30 is three times. It can be supplied to the chaff sieve 24 or the straw rack 25 of the rocking | flux sorting shelf 20, and is collect | recovered by the sieve, without discharging from the dust discharge port 56. As shown in FIG. Therefore, the thresh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by preventing occurrence of the third loss. In addition, the dust exhaust processing chamber 30 and the suction port 44 of the suction dust exhaust fan 43 are arrange | positioned so that the oscillation sorting shelf 20 may be interposed, and the dust exhaust processing chamber will be closed when the dust outlet shutter 57 is closed # 3. Since the dust-treated product discharged | emitted from 30 spreads widely toward the suction port 44 side of the suction dust collecting fan 43, the collection | recovery efficiency of a grain improves further.

(상벽ㆍ풍향 안내 부재)(Upper wall, wind direction guide member)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풍구 케이싱(17)의 송풍구(65)는 상방에 위치하는 상벽(67)과 하방에 위치하는 하벽(68) 사이에 개구되어 있고, 이들 상벽(67)과 하벽(68)의 상하 중간에 풍향 안내 부재(66)가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송풍구(65)는 풍향 안내 부재(66)와 상벽(67) 사이의 상측 풍로(74)와, 풍향 안내 부재(66)와 하벽(68) 사이의 하측 풍로(75)로 구획되어 있다. 상벽(67) 및 하벽(68)은 도시예에서는 판형상을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s shown in FIG. 6, the tuyere 65 of the tuyere casing 17 is opened between the upper wall 67 located above and the lower wall 68 located below, and these upper wall 67 and the lower wall 68 are shown. The wind direction guide member 66 is provided in the upper and lower middle of the. As a result, the tuyeres 65 are partitioned into an upper air path 74 between the wind direction guide member 66 and the upper wall 67, and a lower air path 75 between the wind direction guide member 66 and the lower wall 68. have. Although the upper wall 67 and the lower wall 68 are plate-shaped in the example of illustration, it is not limited to this.

도 6,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풍향 안내 부재(66)는 하방에 정점(70)을 갖는 역삼각형상의 종단면을 갖는 형상을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서, 도시예의 풍향 안내 부재(66)에 있어서의 상면(69)은 풍구 케이싱(17)의 상벽(67)과 거의 동일한 경사의 평탄면으로 형성되고, 풍향 안내 부재(66)의 하면은 하측 전방부 경사면(71)과 하측 후방부 경사면(72)을 갖는 굴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풍향 안내 부재(66)가 이러한 형상을 갖고 있으면 상측 풍로(74)로부터 송출되는 바람은 풍향 안내 부재(66)의 상면을 따라 하방으로는 그다지 확산되지 않고 요동 선별 선반(20)을 향해서 흐르고, 하측 풍로(75)로부터 송출되는 바람은 풍향 안내 부재(66)의 하측 후방부 경사면(72)을 따라 상방으로도 확산되면서 요동 선별 선반(20)의 더욱 하류측의 범위까지 향해서 흐르게 된다.As shown to FIG. 6, FIG. 13, the wind direction guide member 66 has the shape which has the inverted triangular longitudinal section which has the vertex 70 below. Thereby, the upper surface 69 in the wind direction guide member 66 of the example of illustration is formed in the flat surface of the inclination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upper wall 67 of the tuyere casing 17,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wind direction guide member 66 is It is formed by the curved surface which has the lower front side inclined surface 71 and the lower rear side inclined surface 72. As shown in FIG. When the wind direction guide member 66 has such a shape, the wind from the upper wind path 74 flows toward the swing sorting shelf 20 without spreading much downward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wind direction guide member 66, The wind emitted from the air path 75 also flows upward along the lower rear inclined surface 72 of the wind direction guide member 66 and flows to a range further downstream of the swing sorting shelf 20.

풍향 안내 부재(66)는 송풍 방향과 직교하는 수평의 회전축(66x)을 회전 중심으로 하고, 또한 상면(69) 및 하면(71,72)이 송풍 방향 하류측을 향해서 비스듬히 상향이 되는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또한, 풍향 안내 부재(66)의 회전축(66x)은 풍향 안내 부재의 송풍 방향 중간에 위치하고 있고, 회전축(66x)의 상류측 및 하류측이 상하 이동하도록 회전하게 되어 있다. 풍향 안내 부재(66)의 회전축(66x)은 그 양단부가 선별실(18)의 양 측벽(18S)에 축지지되어 있다. 또한, 풍향 안내 부재(66)의 회전에 의해 풍향 안내 부재(66)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각(이하 단지 경사각, 또는 경사 자세라고도 함)을 최대까지 증가시켰을 때, 풍향 안내 부재(66)에 있어서의 풍구(16)측의 단부가 송풍구(65)의 하벽(68)과 근접 또는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wind direction guide member 66 has the horizontal rotation axis 66x orthogonal to the blowing direction as the rotation center, and the upper surface 69 and the lower surface 71, 72 are in an angle range inclined upwardly toward the downstream side in the blowing direction. The rotating shaft 66x of the wind direction guide member 66 is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blowing direction of the wind direction guide member, and is rotated so that the upstream and downstream of the rotating shaft 66x can move up and down. have. Both ends of the rotating shaft 66x of the wind direction guide member 66 are axially supported by both side walls 18S of the sorting chamber 18. In addition, when the inclination angle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simply as inclination angle or inclination posture)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of the wind direction guide member 66 is increased to the maximum by the rotation of the wind direction guide member 66, The end part on the side of the tuyere 16 is comprised so that the lower wall 68 of the tuyeres 65 may approach or contact.

또한, 상벽(67)도 송풍 방향과 직교하는 수평의 회전축(67x)을 회전 중심으로 하고, 또한 하면이 송풍 방향 하류측을 향해서 비스듬히 상향이 되는 각도 범위 내에서 풍향 안내 부재(66)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벽(67)의 후방부 하면과 풍향 안내 부재(66)의 후방부 상면 사이를 연동 로드(88)로 접속하고, 상벽(67)과 풍향 안내 부재(66)가 대략 일정한 상대 자세를 유지한 채 상하로 각도 변경할 수 있는 연동 기구(S)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상벽(67)의 회전축(67x)은 도시예에서는 상벽(67)의 풍구(16)측 단부에 위치하고 있지만 송풍 방향 중간이나 송풍 방향 하류측 단부에 위치시킬 수도 있고, 어떻든 상벽(67)의 하류측이 상하 이동하도록 회전되면 된다. 상벽(67)의 회전축(67x)도 그 양단부가 선별실(18)의 양 측벽(18S)에 축지지되어 있다.In addition, the upper wall 67 also has the same direction as the wind direction guide member 66 within the angle range in which the horizontal rotation axis 67x orthogonal to the blowing direction is the center of rotation, and the lower surface is obliquely upwardly directed toward the downstream side in the blowing direction. It is configured to rotate. That is,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rear part of the upper wall 67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part of the wind direction guide member 66 is connected with the linkage rod 88, and the upper wall 67 and the wind direction guide member 66 maintain a substantially constant relative posture. The interlock mechanism S which can change an angle up and down is comprised. In addition, although the rotating shaft 67x of the upper wall 67 is located in the end of the air port 16 side of the upper wall 67 in the example of illustration, it may be located in the middle of a blowing direction, or the downstream end of a blowing direction,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rotate so that a downstream side may move up and down. Both ends of the upper shaft 67 are also supported by both side walls 18S of the sorting chamber 18.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는 풍구(16)로부터 공급되는 바람의 상측 풍로(74) 및 하측 풍로(75)에 대한 배분 비율은 상측 풍로(74) 및 하측 풍로(75)의 개구도의 비율에 의해 정해진다. 따라서, 하측 풍로(75)의 개구도가 감소되는 방향으로 상벽(67) 및 풍향 안내 부재(66)가 동일 방향으로 연동해서 회전하면, 하측 풍로(75)의 풍량은 감소되고, 반대로 상측 풍로(74)의 풍량은 증가함과 아울러, 하측 풍로(75)의 풍향은 풍향 안내 부재(66)의 하면의 각도 변화에 따라 변화되고, 상측 풍로(74)의 풍향은 풍향 안내 부재(66)의 하면의 각도 변화에 따라 변화된다. 한편, 하측 풍로(75)의 개구도가 증가되는 방향으로 상벽(67) 및 풍향 안내 부재(66)가 동일 방향으로 연동해서 회전하면, 하측 풍로(75)의 풍량은 증가되고, 반대로 상측 풍로(74)의 풍량은 감소된다. 하측 풍로(75)의 풍향은 풍향 안내 부재(66)의 하면의 각도 변화에 따라 변화되고, 상측 풍로(74)의 풍향은 풍향 안내 부재(66)의 하면의 각도 변화에 따라 변화된다. 즉, 상측 풍로(74) 및 하측 풍로(75)의 풍향 및 풍량을 동시에 조정할 수 있게 된다.In such a structure, the distribution ratio with respect to the upper air path 74 and the lower air path 75 of the wind supplied from the tuyere 16 is determined by the ratio of the opening degree of the upper air path 74 and the lower air path 75. Therefore, when the upper wall 67 and the wind direction guide member 66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in a direction in which the opening degree of the lower air passage 75 decreases, the air volume of the lower air passage 75 decreases, and conversely, the upper air passage ( While the air volume of the 74 is increased, the wind direction of the lower air path 75 is chang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angl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wind direction guide member 66, and the wind direction of the upper air path 74 is the lower surface of the wind direction guide member 66. It changes according to the angle change. On the other hand, if the upper wall 67 and the wind direction guide member 66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opening degree of the lower air passage 75 increases, the air volume of the lower air passage 75 increases, and conversely, the upper air passage ( The air volume of 74) is reduced. The wind direction of the lower wind path 75 is changed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angl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wind direction guide member 66, and the wind direction of the upper wind path 74 is chang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angl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wind direction guide member 66. That is, the wind direction and the air volume of the upper air path 74 and the lower air path 75 can be adjusted at the same time.

풍향 안내 부재(66) 및 상벽(67)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수단은 양 풍향 안내 부재(66,67)를 연동해서 회전시키는 것이면 적절하게 선택해서 설계할 수 있고, 수동이여도 모터 등의 동력원을 이용해도 좋다. 도 13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풍향 안내 부재(66)의 회전축(66x)의 일단부가 선별실(18)의 측벽(18S)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이 돌출 부분에 주 요동 레버(81)의 선단부가 부착되고, 이 주 요동 레버(81) 및 풍향 안내 부재(66)가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선별실(18)의 측벽(18S) 외면에 스테이(82)가 부착되고, 이 스테이(82)에 탑재된 모터(83)의 구동축(83x)에 피니언 기어(83g)가 부착되며, 이 피니언 기어(83g)와 맞물리는 부채꼴 기어(84)가 스테이(82)에 축지지되고, 이 부채꼴 기어(84)의 일방측의 원주 단부(제 1 편심 위치)와 주 요동 레버(81)의 기단부가 연동 로드(85)를 통해서 연결되어 있고, 각 연결 부분은 핀(85p)에 의해 회전 가능한 연결로 되어 있다. 또한, 스테이(82)에는 포텐셔미터(potentiometer) 등의 회전량 검출 장치(86)가 탑재되고, 이 회전량 검출 장치(86)의 검출 축(86x)에 부 요동 레버(87)의 선단부가 부착되고, 부 요동 레버(87)의 회전량이 검출되도록 구성됨과 아울러, 부채꼴 기어(84)의 반대측의 원주 단부(제 2 편심 위치)에는 핀(87p)이 돌출되고, 이 핀(87p)이 부 요동 레버(87)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홈(87d) 내를 미끄러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풍향 안내 부재(66)에 있어서의 회전축(66x)보다 송풍 방향 하류측의 부위와, 상벽(67)에 있어서의 회전축(67x)보다 송풍 방향 하류측의 부위가 선별실(18) 내의 양측부에 있어서 연동 로드(88)를 통해서 각각 연결되어 있고, 각 연결 부분은 핀(88p)에 의해 회전 가능한 연결로 되어 있다.The drive means for rotating the wind direction guide member 66 and the upper wall 67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and designed as long as the wind direction guide members 66 and 67 are rotated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You may use it.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3, one end of the rotation shaft 66x of the wind direction guide member 66 protrudes from the side wall 18S of the sorting chamber 18, and the tip of the main swing lever 81 is attached to the protruding portion. This main swing lever 81 and the wind direction guide member 66 are configured to rotate integrally. Moreover, the stay 82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18S of the sorting chamber 18, and the pinion gear 83g is attached to the drive shaft 83x of the motor 83 mounted in this stay 82, A fan gear 84 meshing with the pinion gear 83g is axially supported by the stay 82, and the circumferential end (first eccentric position) on one side of the fan gear 84 and the proximal end of the main swing lever 81 are axially supported. Is connected via the interlocking rod 85, and each connection part becomes the connection which can be rotated by the pin 85p. In addition, the stay 82 is equipped with a rotation amount detecting device 86 such as a potentiometer, and the tip end portion of the auxiliary swing lever 87 is attached to the detection shaft 86x of the rotation amount detecting device 86. And the rotation amount of the secondary swing lever 87, the pin 87p protrudes from the circumferential end (second eccentric position)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an gear 84, and the pin 87p is the secondary swing lever. It is comprised so that the inside of the groove 87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87 may slide. In addition, the site | part on the blowing direction downstream from the rotating shaft 66x in the wind direction guide member 66, and the site | part of the blowing direction downstream from the rotating shaft 67x in the upper wall 67 are both sides in the sorting chamber 18. As shown in FIG. Each part is connected via the interlocking rod 88, and each connection part becomes the connection which can be rotated by the pin 88p.

따라서, 모터(83)의 정역 구동에 의해 부채꼴 기어(84), 연동 로드(85), 주 요동 레버(81)를 통해서 풍향 안내 부재(66)가 정역 회전됨과 아울러, 그 회전량이 부채꼴 기어(84) 및 부 요동 레버(87)를 통해서 회전량 검출 장치(86)에 의해 검출된다. 또한, 풍향 안내 부재(66)의 회전에 따라 이것과 연동 로드(88)를 통해 연결된 상벽(67)도 연동해서 회전된다. 따라서, 풍향 안내 부재(66)와 상벽(67)을 동시에 또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켜 각각 소정의 각도로 조정할 수 있어 조정 조작이 용이하게 된다.Accordingly, the wind direction guide member 66 rotates forward and backward through the fan gear 84, the interlock rod 85, and the main swing lever 81 by the forward and reverse driving of the motor 83, and the rotation amount thereof is the fan gear 84. And the rotation amount detecting device 86 through the auxiliary swing lever 87. In addition, as the wind direction guide member 66 rotates, the upper wall 67 connected to the wind direction guide member 66 through the linkage rod 88 also rotates in association with the wind direction guide member 66. Therefore, the wind direction guide member 66 and the upper wall 67 can be rotated simultaneously and in the same direction, and can be adjusted at predetermined angles, respectively, so that the adjustment operation becomes easy.

풍향 안내 부재(66) 및 상벽(67)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각(단지 경사각, 또는 경사 자세라고도 함)은 각각 상술한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변화시킬 수 있지만, 상측 풍로(74)의 선별풍의 과반은 요동 선별 선반(20) 중 시브[도시예에서는 채프 시브(24). 선별 망(28)이여도 좋음] 하류측(후방측) 끝보다 상류측으로 향하고, 또한 하측 풍로(75)로부터의 선별풍의 과반은 시브[채프 시브(24)] 하류측(후방측) 끝보다 하류측을 향하도록 풍향 안내 부재(66) 및 상벽(67)의 경사각 범위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 내에서 풍향 안내 부재(66) 및 상벽(67)의 경사각을 변화시킴으로써 처리물의 유량이 저유량인 상태(저유량시)이여도 고유량인 상태(고유량시)이여도 보다 적절한 선별을 행할 수 있어 곡립 손실의 저감과 선별의 양호화를 도모할 수 있다.The inclination angles (also referred to only as inclination angles or inclination postures)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of the wind direction guide member 66 and the upper wall 67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within the above-mentioned ranges, but the majority of the sorting winds of the upper air path 74 are A sheave (chaff sheave 24 in the example of illustration) of the rocking | fever sorting shelf 20. As shown in FIG. The sorting net 28 may be used] Upstream from the downstream (rear) end, and more than half of the sorting wind from the lower air passage 75 is downstream from the sieve (chap sheave 24) downstream (rear) end. It is preferable to set the inclination angle ranges of the wind direction guide member 66 and the upper wall 67 to face the side. By changing the inclination angles of the wind direction guide member 66 and the upper wall 67 within this range, a more appropriate sorting can be performed even if the flow rate of the processed material is a low flow rate (low flow rate) or a high flow rate (high flow rate). This can reduce grain loss and improve screening.

특히,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 풍로(74), 하측 풍로(75)의 선별풍은 풍향 안내 부재(66)의 경사각을 크게 할수록 양 풍로(74,75)의 선별풍 모두 요동 선별 선반(20)의 상류측(전방측)으로의 풍량이 증가되고, 또한 하류측(후방측)으로의 풍량은 저감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풍향 안내 부재(66)의 경사각을 최대로 했을 때, 하측 풍로(75)의 풍량보다 상측 풍로(74)의 풍량이 많아지도록 구성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풍향 안내 부재(66)의 경사각을 최대로 했을 때, 측면으로 바라봐서 풍향 안내 부재(66)의 상면의 송풍 방향 연장선(66L)은 1번 선반판(19A)의 선반끝(19C)보다 상방에 위치시켜 1번 선반판(19A)의 선반끝(19C)보다 요동 선별 선반(20)의 상류측(전방)을 향하는 선별풍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것에 의해, 풍구(16)로부터 송풍된 선별풍이 회수실(11F)의 하방에 면하는 요동 선별 선반(20) 상의 부위보다 후방측의 부위로부터 상측으로 뿜어 올려진다.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13, the sorting winds of the upper air path 74 and the lower air path 75 are both oscillating sorting shelves as the inclination angles of the wind direction guide members 66 incre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air volume to the upstream side (front side) of 20) is increased so that the air volume to the downstream side (rear side) is reduced. And as shown in FIG. 14, whe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wind direction guide member 66 is maximized, it is more preferable to comprise so that the air volume of the upper air path 74 may become larger than the air volume of the lower air path 75. As shown in FIG. Moreover, whe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wind direction guide member 66 is maximized, the blowing direction extension line 66L of the upper surface of the wind direction guide member 66 is larger than the shelf end 19C of the 1st shelf board 19A. It is preferable to increase the sorting wind toward the upstream side (front) of the rock-separation sorting shelf 20 rather than the shelf end 19C of the 1st shelf board 19A. In addition, by this, the sorting wind blown from the tuyere 16 blows up from the site | part on the back side rather than the site | part on the swinging sorting shelf 20 which faces below 11F of collection | recovery chambers.

이것에 의해, 예컨대 저유량시나 저속 작업시에는 요동 선별 선반(20)의 하류측의 선별풍을 저감함으로써 기기 밖으로의 비산이 저감되고, 요동 선별 선반(20)의 상류측으로의 선별풍을 증가시킴으로써 짚 조각이나 이삭가지가 부착된 알맹이 등의 누하를 제한하여 선별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회수실(11F)로부터 낙하되는 곡립이 요동 선별 선반(20) 상으로부터 뿜어 올려지는 선별풍에 의해 후방으로 날려지는 일이 적어지고, 이 곡립이 요동 선별 선반(20)의 후단으로부터 외부로 비산되기 어려워져 곡립의 회수 효율을 높일 수 있다.Thus, for example, during low flow rate or low speed operation, by reducing the sorting win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swing sorting shelf 20, the scattering outside the apparatus is reduced, and the sorting wind toward the upstream side of the swing sorting shelf 20 is increased.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good screening condition by limiting the leakage of straw or kernels with sticks attached. Further, the grain falling from the recovery chamber 11F is less likely to be blown backward by the sorting wind blown up from the swing sorting shelf 20, and the grain falls out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swing sorting shelf 20. It is difficult to scatter, and the recovery efficiency of a grain can be improved.

특히, 풍향 안내 부재(66)의 경사각을 어느 정도 이상 크게 했을 때, 예컨대 최대로 했을 때에 측면으로 바라봐서 풍향 안내 부재(66)의 상면의 송풍 방향 연장선(66L) 상에 배진 팬(43)의 흡진구(45)가 개구되면[환언하면 연장선(66L)이 흡진구(45)와 교차하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전방에서 뿜어 올려진 진개(塵芥)를 효율 좋게 배진 팬(43)에 의해 흡진할 수 있고, 선별풍이 기체 후방으로 빠지기 어려운 구조[특히 도시예와 같은 3번 배진구 셔터(57)를 가지는 경우]이여도 선별 능력을 손상시키지 않고 효과적으로 진개를 기기 밖으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whe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wind direction guide member 66 is increased to a certain degree or more, for example, when it is maximized, the exhaust fan 43 is placed on the blowing direction extension line 66L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ind direction guide member 66. It is preferable if the suction port 45 is opened (in other words, if the extension line 66L intersects with the suction port 45). As a result, the exhausted air spouted from the front can be efficiently sucked by the exhaust fan 43, and the sorting wind is hard to escape to the rear of the body (particularly, the third exhaust port shutter 57 as shown in the example). Can be effectively discharged out of the device without impairing the sorting ability.

또한,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 풍로(74), 하측 풍로(75)의 선별풍은 풍향 안내 부재(66)의 경사각을 작게 할수록 양 풍로(74,75)의 선별풍 모두 요동 선별 선반(20)의 하류측으로 풍향을 변경하여 상측 풍로(74)의 풍량을 저감하고, 또한 하측 풍로(75)의 풍량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그리고, 경사각을 최소로 했을 때에는 상측 풍로(74)의 풍량보다 하측 풍로(75)의 풍량이 많아지도록 구성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경사각을 최소로 했을 때에는 풍향 안내 부재(66)의 상면의 송풍 방향 연장선(66L)은 1번 선반판(19A)의 선반끝(19C) 및 그 근방에 위치시키고, 1번 선반판(19A)의 선반끝(19C)을 향하는 선별풍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고속 작업시나 고유량시에 있어서 선별실로부터 기기 밖으로의 선별풍의 빠짐을 촉진하고 환원량을 억제하여 고속 작업에의 적응성을 높일 수 있다.As shown in FIG. 15, the sorting winds of the upper air path 74 and the lower air path 75 are both fluctuating sorting lathes as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wind direction guide member 66 decreases. It is preferable that it is comprised so that the air volume may be changed to the downstream of 20), the air volume of the upper air path 74 may be reduced, and the air volume of the lower air path 75 may be increased. When the inclination angle is minimized, the air volume of the lower air passage 75 is more preferable than the air volume of the upper air passage 74. In addition, when the inclination angle is minimized, the blowing direction extension line 66L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ind direction guide member 66 is positioned at the shelf end 19C of the first shelf plate 19A and its vicinity, and the first shelf plate 19A. It is preferable to increase the sorting wind toward the shelf end 19C.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omote the removal of the sorting wind out of the apparatus from the sorting chamber at the time of high speed work or high flow rate, to reduce the amount of reduction, and to improve the adaptability to the high speed work.

풍향 안내 부재(66) 및 상벽(67)의 경사각의 변화량은 동일해도 좋지만 다르게 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14,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풍향 안내 부재(66)의 경사각이 최대인 상태로부터 최소인 상태까지 회전했을 때, 상벽(67)의 전단[풍구(16)측]의 회전량에 대해서 풍향 안내 부재(66)의 전단의 회전량이 커지도록 구성하면, 상벽(67)의 전단[풍구(16)측]의 회전량이 상대적으로 작아짐으로써 상측 풍로(74)의 풍량을 손상시키지 않고 풍향의 변경이 가능할뿐만 아니라 풍향 안내 부재(66)의 전단의 회전량이 상대적으로 커짐으로써 상측 풍로(74) 및 하측 풍로(75)에 대한 선별풍의 분배 비를 크게 변경할 수 있고, 또한 양 풍로의 풍향도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The amount of change of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wind direction guide member 66 and the upper wall 67 may be the same, but may differ.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4, FIG. 15, whe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wind direction guide member 66 is rotated from the maximum state to the minimum state, the rotation amount of the front end (the air vent 16 side) of the upper wall 67 is changed. When the amount of rotation of the front end of the wind direction guide member 66 is increased, the rotational amount of the front end (the air vent 16 side) of the upper wall 67 is relatively small, so that the amount of the wind direction of the upper air path 74 is not damaged. Not only can it be changed, but also the rotational amount of the front end of the wind direction guide member 66 becomes relatively large, so that the distribution ratio of the sorting winds to the upper air passage 74 and the lower air passage 75 can be largely changed, and also the wind direction of both wind passages is also changed. It is preferable because it can be made.

풍향 안내 부재(66) 및 상벽(67)의 경사각의 상한(상한각) 및 하한(하한각)은 고정해도 좋지만 풍향 안내 부재(66)의 적절한 경사각 범위는 작물 조건이나 작물종에 따라 다르므로 연속적으로 또는 단계적으로 변경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한각 및 하한각을 변경 가능하게 할 경우, 그 상한각 및 하한각은 임의의 각도로 수동 조정 가능하게 하는 것 외에 작물종 등에 따라 미리 정해진 각도로 자동 변경 가능하게 하는 것도 바람직하고, 양자를 전환 가능하게 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수동 조정의 경우, 콤바인의 사용에 있어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상한각 및 하한각이 작물 조건(예컨대 작물의 수분량의 많고 적음, 작물의 도복의 정도, 처리물량의 증감)에 합치하지 않을 경우, 임의로 보정할 수 있다. 한편, 자동 변경의 경우, 상한각 및 하한각을 벼, 보리 등 미리 작물종에 따라 전환 가능하게 구성해 둠으로써 작물종에 따라 상한각 및 하한각을 간단하게 전환해서 적절한 선별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보리는 벼보다 처리물량 중의 곡립 비율이 작고, 동일 유량이여도 기기 밖으로의 배출 효율을 높이도록 풍향 안내 부재(66)의 경사각의 상한을 낮게 해서 처리 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lthough the upper limit (upper limit) and lower limit (lower limit angle) of the inclination angles of the wind direction guide member 66 and the upper wall 67 may be fixed, the proper inclination angle range of the wind direction guide member 66 varies depending on the crop condition or crop type, and thus is continuous.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change in or stepwise. In addition, when the upper limit angle and the lower limit angle can be changed, the upper limit angle and the lower limit angle can be manually adjusted to an arbitrary angle, and in addition, the upper limit angle and the lower limit angle can be automatically changed to a predetermined angle according to the crop species. It is more preferable to make it switchable. In the case of manual adjustment, when the upper and lower angles set in advance in the use of the combine do not match the crop conditions (e.g., high and low amount of water in the crop, degree of crop slanting, increase or decrease in the amount of treated water), they are arbitrarily corrected. can do.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utomatic change, the upper and lower limit angles are configured to be switched in advance according to the crop species such as rice and barley, so that the upper and lower limit angles can be easily switched according to the crop type so that appropriate selection can be performed. . 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hat barley has a smaller grain ratio in the amount of water to be processed than rice and lowers the upper limit of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wind direction guide member 66 so as to increase the discharge efficiency to the outside of the apparatus even at the same flow rate.

도 16은 풍향 안내 부재(66) 및 상벽(67)의 상한각 및 하한각의 변경을 행하기 위한 조작 패널의 예를 나타내고 있고, 시브의 개구도 조절의 근방에 전환 로터리 스위치(91)와 개구도 조정 로터리 스위치(92)가 병설되어 있고, 전환 로터리 스위치(91)를 「벼」또는 「보리」에 맞춤으로써 각각의 작물종에 따라 풍향 안내 부재(66) 및 상벽(67)의 상한각 및 하한각이 자동 변경되고, 전환 로터리 스위치(91)를 「수동」에 맞추면 풍향 안내 부재(66) 및 상벽(67)의 상한각 및 하한각이 개구도 조정 로터리 스위치(92)의 회전 위치에 따라 정해지는 임의의 각도로 변경된다.Fig. 16 shows an example of the operation panel for changing the upper and lower angles of the wind direction guide member 66 and the upper wall 67, and the switching rotary switch 91 and the opening near the opening degree adjustment of the sheave. A degree adjustment rotary switch 92 is provided, and the upper limit angle of the wind direction guide member 66 and the upper wall 67 according to each crop type by fitting the switching rotary switch 91 to "rice" or "barley", and When the lower limit angle is automatically changed and the switching rotary switch 91 is set to "manual", the upper and lower limit angles of the wind direction guide member 66 and the upper wall 67 depend on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opening degree adjustment rotary switch 92. It is changed to an arbitrary angle determined.

풍향 안내 부재(66) 및 상벽(67)의 상한각 및 하한각의 설정은 기계적으로 행해도 좋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풍향 안내 부재(66) 및 상벽(67)의 회전을 모터 등의 구동원에 의해 행할 경우에는 그 구동 제어에 의해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lthough the upper and lower angles of the wind direction guide member 66 and the upper wall 67 may be set mechanically, as described above, the rotation of the wind direction guide member 66 and the upper wall 67 may be performed to a drive source such as a motor. In the case where the control is to be carried out, the drive control is preferably performed.

(층 두께 검출 센서)(Layer thickness detection sensor)

풍향 안내 부재(66) 및 상벽(67)의 경사각은 요동 선별 선반(20) 상의 처리물량에 관계없이 고정으로 해도 좋다. 그러나, 풍력 선별에 있어서의 적절한 풍향 및 풍량은 처리물량에 따라 다르다. 예컨대 저유량시나 저속 작업시에는 요동 선별 선반(20)의 하류측의 선별풍을 저감함으로써 기기 밖으로의 비산을 저감하고, 요동 선별 선반(20)의 상류측으로의 선별풍을 증가시킴으로써 짚 조각이나 이삭가지가 부착된 알맹이 등의 누하를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고속 작업시나 고유량시에 있어서 선별실로부터 기기 밖으로의 선별풍의 빠짐을 촉진하고 환원량을 억제하여 고속 작업에의 적응성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풍향 안내 부재(66) 및 상벽(67)의 경사각은 처리물량에 관계없이 고정으로 했을 경우, 처리물량의 증감에 의해 선별 능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The inclination angles of the wind direction guide member 66 and the upper wall 67 may be fixed regardless of the amount of processing water on the swing sorting shelf 20. However, the proper wind direction and the amount of wind in wind sorting depend on the amount of treated water. For example, during low flow rate or low speed operation, by reducing the sorting win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swing sorting shelf 20, the scattering outside the apparatus is reduced, and by increasing the sorting win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swing sorting shelf 20, straw or ear is cut. It is desirable to limit the leakage of the kernels with branches and the like, and to promote the removal of the sorting wind from the sorting room from the sorting room and to reduce the amount of reduction during high speed work or high flow rate, thereby improving the adaptability to the high speed work. . Therefore, whe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wind direction guide member 66 and the upper wall 67 is fixed irrespective of the amount of water to be processe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screening ability may be reduced due to the increase or decrease of the amount of water to be processed.

그래서, 도 7, 도 10,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동 선별 선반(20) 상의 처리물의 층의 두께를 검출하는 층 두께 검출 센서(95)를 설치하고, 이 층 두께 검출 센서(95)의 검출 결과에 의거해서 처리물의 층의 두께가 증가했을 때에 풍향 안내 부재(66) 및 상벽(67)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각을 증가시키고, 처리물의 층의 두께가 감소했을 때에 풍향 안내 부재(66) 및 상벽(67)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각을 감소시키는 제어 장치(도시 생략)를 설치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처리물의 층의 두께에 증감이 있어도 요동 선별 선반(20) 상의 처리물의 층 두께의 검출 결과에 따라 풍향 안내 부재(66) 및 상벽(67)의 경사각이 적절하게 자동 조정되어 최적의 곡립 손실과 선별 상태를 얻을 수 있다.Therefore, as shown in FIG. 7, FIG. 10, and FIG. 14, the layer thickness detection sensor 95 which detects the thickness of the layer of the process object on the rocking | flux sorting shelf 20 is provided, and this layer thickness detection sensor 95 On the basis of the detection result, when the thickness of the layer of the workpiece increases, the inclina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of the wind direction guide member 66 and the upper wall 67 is increased, and when the thickness of the layer of the workpiece decreases, the wind direction guide member 66 and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control device (not shown) that reduces the inclina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of the upper wall 67. Thereby, even if there is a change in the thickness of the layer of the processed object, the inclination angles of the wind direction guide member 66 and the upper wall 67 are automatically adjusted appropriately in accordance with the detection result of the layer thickness of the processed object on the swing sorting shelf 20, so that the optimum Grain loss and screening can be obtained.

층 두께 검출 센서(95)는 공지의 접촉 또는 비접촉 센서를 이용함으로써 구성할 수 있다. 도시예에서는 2번 처리실(40)의 수용판(42)에 있어서의 종단측(2번 처리물 환원구측 또는 전단측) 부분과, 배진 처리실 도입부(11E)의 중간 격벽(11K)의 하단부가 센서 스테이(95S)에 의해 연결되고, 이 센서 스테이(95S)에 포텐셔미터 등의 회전량 검출 장치(96)가 부착됨과 아울러, 이 회전량 검출 센서(96)의 검출 축(96x)에 플로트(97)가 매달린 상태로 부착되고, 이 플로트(97)가 요동 선별 선반(20)의 이송 선반부(22) 상을 이동하는 처리물에 접촉해서 처리물의 이동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올려지고, 그 회전량이 이송 선반부(22) 상을 이동하는 처리물의 층 두께로서 회전량 검출 장치(96)에 의해 검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layer thickness detection sensor 95 can be configured by using a known contact or noncontact sensor. In the example of illustration, the terminal side (the 2nd material return port side or the front end side) part in the receiving plate 42 of the process chamber 40, and the lower end part of the intermediate partition 11K of the dust exhaust process chamber introduction part 11E are sensors It is connected by the stay 95S, the rotation amount detection apparatus 96, such as a potentiometer, is attached to this sensor stay 95S, and the float 97 is attached to the detection axis 96x of this rotation amount detection sensor 96. Is attached in a suspended state, and the float 97 is raised while rotating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workpiece in contact with the workpiece moving on the transfer shelf 22 of the swing sorting shelf 20, and the amount of rotation thereof is increased. It is comprised so that it may be detected by the rotation amount detection apparatus 96 as a layer thickness of the process object which moves on the part 22. As shown in FIG.

이와 같이, 센서 스테이(95S)에 의해 2번 처리실(40)의 수용판(42)에 있어서의 종단측(2번 처리물 환원구측 또는 전단측) 부분과, 배진 처리실 도입부(11E)의 중간 격벽(11K)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구조를 채용하면, 2번 처리물 환원구(43a)로부터의 2번 처리물의 배출 및 그 이송의 방해가 되는 위치를 피해서 플로트(97)를 공중에 매달은 상태로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2번 처리실(40)의 수용판(42), 중간 격벽(11K) 및 센서 스테이(95S)가 삼각형상으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 기기 프레임(1)의 강화로도 이어진다는 이점이 있다.Thus, the intermediate | middle partition of the terminal side (No. 2 processing-reduction | reduction port side or front end side) part in the accommodating plate 42 of the process chamber 40 by the sensor stay 95S, and the dust exhaust process chamber introduction part 11E. By adopting the structure connecting the lower end of 11K, the float 97 is suspended in the air, avoiding the position which obstructs the discharge of the second treatment from the second treatment outlet 43a and its transfer. Not only can it be installed, but also the receiving plate 42, the middle partition 11K and the sensor stay 95S of the process chamber 40 can be connected in a triangular shape, which leads to the reinforcement of the device frame 1. have.

또한, 도시예와 같이 플로트(97)가 회전하는 타입인 경우, 플로트(97)의 회전 중심[즉 도시예에서는 검출 축(96x)]이 2번 환원물의 흐름 또는 처리물 전체의 흐름에 대해서 대략 직각이 되고, 평면으로 봐서 요동 선별 선반(20)의 요동 방향에 대해서 경사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처리물의 흐름 방향과 이것에 접촉하는 플로트(97)의 회전 방향이 일치하거나 또는 근접하게 되므로 플로트(97)가 원활하게 동작되고, 처리물량의 변화에 대해서 정확하고 또한 민감하게 반응하도록 된다.In the case where the float 97 is rotated as shown in the example of illustration,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float 97 (that is, the detection axis 96x in the example of illustration) is approximately equal to the flow of the reductant No. 2 or the flow of the entire processed product. It is preferable to comprise so that it may become a right angle and inclines with respect to the oscillation direction of the oscillation sorting shelf 20 by planar view. As a result, the flow direction of the processing material and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float 97 in contact with or close to the same, so that the float 97 operates smoothly, and reacts accurately and sensitively to changes in the processing amount. do.

이 경우, 플로트(97)의 작동을 보다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플로트(97)에 있어서의 회전 중심 방향 일방측, 특히 도시예와 같이 이동 선반부(22)의 이송 방향 하류측에 플로트(97)의 회전 중심에 대해서 대략 직교하는 방향[센서 플로트(97)의 회전 방향과 대략 평행]으로 연장되는 끌어모음 판(98)을 세워 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한 형태이다. 이것에 의해, 이동 선반부(22)에 의한 요동 작용에 의해 처리물의 이동 방향이 어긋나더라도 그 플로트(97) 근방에서는 끌어모음 판(98)에 의해 이동 방향이 규제되기 때문에 처리물의 흐름 방향과 이것에 접촉하는 플로트(97)의 회전 방향이 대략 일치되어 플로트(97)가 보다 한층 원활하게 동작하게 된다.In this case, in order to make the operation of the float 97 smoother, the float 97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rotation center in the float 97, in particular, on the downstream side in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moving shelf 22 as shown in the example. It is also a preferable form to erect the pull-up plate 98 which extends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center (approximately parallel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sensor float 97). As a result, even if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workpiece is shifted by the swinging action of the moving shelf 22,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workpiece is regulated by the dragging plate 98 in the vicinity of the float 97.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float 97 in contact with is substantially coincident so that the float 97 can operate more smoothly.

또한, 플로트(97)의 형상은 적절하게 설계하면 좋지만, 도시예와 같이, 적어도 처리물과 접촉하는 부분(도시예에서는 처리물이 없는 비접촉 상태에서 처리물의 이동 방향 상류측의 면)이 처리물의 슬라이딩 방향의 중간부 정도 돌출되는 호형상 곡면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lthough the shape of the float 97 may be designed suitably, at least the part which contacts with a to-be-processed object (the surface of the movement direction upstream of a to-be-processed state in a non-contact state without a to-be-processed object in the example of illustration) is shown in the example of illustration of a to-be-processed thing. It is preferable that it is arc-shaped curved surface which protrudes about the middle part of a sliding direction.

한편, 일반적으로 이동 선반(22) 상에 있어서는 처리물량이 편재되고, 특히 2번 처리물 환원구(43)의 하방 근방에 있어서의 처리물량이 가장 많아진다. 따라서, 층 두께 검출 센서(95)는 2번 처리물 환원구(43)의 근방에 있어서의 요동 선별 선반(20)의 처리물의 층의 두께를 검출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도시예에서는 플로트(97)를 2번 처리물 환원구(43a)의 근방에 배치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generally, on the moving shelf 22, the amount of processed water is ubiquitous, and especially the amount of processed water in the lower vicinity of the 2nd processing material reducing port 43 becomes the largest.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layer thickness detection sensor 95 is configured to detect the thickness of the layer of the processed object of the swing sorting shelf 20 in the vicinity of the second processed product reducing port 43. For this reason, in the example of illustration, the float 97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vicinity of the 2nd processed material reduction port 43a.

10 : 급동 10a : 급치
10b : 분리 톱니 10c : 수용판(지지 부재)
11 : 탈곡실 11F : 회수실
11K : 중간 격벽(칸막이판) 16 : 풍구
18 : 선별실 19A : 1번물 회수부
19B : 2번물 회수부 20 : 요동 선별 선반
65 : 송풍구 66 : 풍향 안내 부재
67 : 상벽 68 : 하벽
74 : 상측 풍로 75 : 하측 풍로
95 : 층 두께 검출 센서 S : 연동 기구
10: rapid 10a: rapid
10b: separation tooth 10c: receiving plate (support member)
11: threshing chamber 11F: recovery chamber
11K: Intermediate bulkhead (partition plate) 16: Fenggu
18: sorting room 19A: the number 1 collection section
19B: No. 2 collection unit 20: rocking sorting shelf
65: tuyere 66: wind direction guide member
67: upper wall 68: lower wall
74: upper air path 75: lower air path
95: layer thickness detection sensor S: interlock mechanism

Claims (5)

곡간을 탈곡하는 다수개의 급치(10a)를 구비한 급동(10)을 탈곡실(11) 내에 설치하고, 상기 탈곡실(11)의 하측에 배치한 선별실(18) 내에는 요동 선별 선반(20)을 설치하고, 이 요동 선별 선반(20)의 하측에 선별풍을 송풍하는 풍량 조절 가능한 풍구(16)와, 1번물을 회수하는 1번물 회수부(19A)와, 2번물을 회수하는 2번물 회수부(19B)를 전방측으로부터 이 순서로 구비한 탈곡 장치에 있어서:
상기 탈곡실(11) 내에 있어서의 상기 급동(10)의 후방부 외주에 칸막이판(11K)을 근접해서 배치하고, 이 칸막이판(11K)의 후방측에 형성된 회수실(11F) 내에 있어서의 상기 급동(10)의 외주면 상에는 탈곡 후의 배출 짚에 들어간 곡립을 이 배출 짚으로부터 분리하는 분리 톱니(10b)를 설치하고, 상기 회수실(11F) 내에 있어서의 상기 급동(10)의 하측 외주를 따르는 부위에 탈곡 후의 배출 짚을 지지해서 상기 분리 톱니(10b)의 작용역으로 안내하는 지지 부재(10c)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 장치.
In the threshing chamber 11, a barrel 10 having a plurality of barrels 10a for threshing the grain stem is installed in the threshing chamber 11, and in the sorting chamber 18 disposed below the threshing chamber 11, the oscillating sorting shelf 20 ), And the air volume controllable air vent 16 which blows the sorting wind in the lower side of this rocking | spread sorting shelf 20, the 1st collection | recovery part 19A which collect | recovers 1st article, and the 2nd article which collect | recovers 2nd article In the thresh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collection part 19B in this order from the front side:
The partition plate 11K is arrange | positioned close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rear part of the said barrel 10 in the said threshing chamber 11, The said in recovery chamber 11F formed in the back side of this partition plate 11K.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rrel 10, a separation tooth 10b is provided for separating grains contained in the discharge straw after threshing from the discharge straw, and a portion along the lower outer circumference of the barrel 10 in the recovery chamber 11F. The threshing apparatu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The threshing apparatus characterized by supporting the discharge straw after threshing and providing the guide member (10c) which guides to the action area | region of the said separation tooth (10b).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풍구(16)로부터의 선별풍의 송풍 방향을 상하로 조절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threshing apparatu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e which can adjust the blowing direction of the sorting wind from the said tuyere 16 up and dow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풍구(16)로부터의 선별풍의 송풍 방향을 상측으로 조절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풍구(16)로부터 송풍된 선별풍은 상기 요동 선별 선반(20)의 상기 회수실(11F)의 하방에 면하는 부위보다 후방측의 부위로부터 상측으로 뿜어 올려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In the state in which the blowing direction of the sorting wind from the tuyere 16 is adjusted upward, a portion of the sorting wind blown from the tuyere 16 faces downward of the recovery chamber 11F of the swing sorting shelf 20. The threshing apparatu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structure being spouted upward from the site | part of a rear sid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풍구(16)에는 상벽(67)과 하벽(68) 사이에 형성되는 송풍구(65)를 구비하고, 상기 상벽(67)과 상기 하벽(68) 사이에 풍향 안내 부재(66)를 설치하고, 이 풍향 안내 부재(66)에 의해 상기 송풍구(65)를 상측 풍로(74)와 하측 풍로(75)로 구획하고, 상기 상벽(67)은 그 후방측의 부위가 상하 이동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고, 상기 풍향 안내 부재(66)는 그 전방측의 부위와 후방측의 부위가 상반해서 상하 이동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고, 상기 상벽(67) 및 상기 풍향 안내 부재(66)를 동일한 방향으로 연동해서 회전시키는 연동 기구(S)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tuyere 16 is provided with a tuyere 65 formed between the upper wall 67 and the lower wall 68, a wind direction guide member 66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wall 67 and the lower wall 68, The air vent 65 is partitioned into an upper air passage 74 and a lower air passage 75 by the wind direction guide member 66, and the upper wall 67 is axially rotatably supported so that its rear portion is moved up and down. The wind direction guide member 66 is axially rotatably supported so that the front side portion and the rear side portion move up and down in opposition, and the upper wall 67 and the wind direction guide member 66 in the same direction. Thresh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rlocking mechanism (S) for interlocking and rotating.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 선별 선반(20) 상의 처리물의 층의 두께를 검출하는 층 두께 검출 센서(95)를 설치하고, 이 층 두께 검출 센서(95)의 검출 결과에 의거해서 상기 요동 선별 선반(20) 상의 처리물의 층의 두께가 증가했을 때에 상기 풍향 안내 부재(66) 및 상기 상벽(67)의 후방 상향 경사 각도를 감소시키고, 상기 요동 선별 선반(20) 상의 처리물의 층의 두께가 감소했을 때에 상기 풍향 안내 부재(66) 및 상기 상벽(67)의 후방 상향 경사 각도를 증가시키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layer thickness detection sensor 95 which detects the thickness of the layer of the processed object on the said shaking separation shelf 20 is provided, and the process on the said shaking separation shelf 20 is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is layer thickness detection sensor 95. FIG. When the thickness of the water layer is increased, the rear upward inclination angle of the wind direction guide member 66 and the upper wall 67 is decreased, and the wind direction guide is performed when the thickness of the layer of the processing material on the swing sorting shelf 20 is reduced. The threshing apparatu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e which increases the rear upward inclination-angle of the member (66) and the said upper wall (67).
KR1020100081395A 2010-03-26 2010-08-23 Threshing machine KR10113182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71179A JP2011200173A (en) 2010-03-26 2010-03-26 Thresher
JP2010071180A JP5056882B2 (en) 2010-03-26 2010-03-26 Threshing device sorting control device
JPJP-P-2010-071179 2010-03-26
JPJP-P-2010-071180 2010-03-26
JPJP-P-2010-093383 2010-04-14
JP2010093383A JP5046140B2 (en) 2010-04-14 2010-04-14 Combine threshing equipment
JP2010171663A JP5573463B2 (en) 2010-07-30 2010-07-30 Threshing device
JPJP-P-2010-171663 2010-07-30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9628A Division KR101269537B1 (en) 2010-03-26 2010-12-17 Threshing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8227A KR20110108227A (en) 2011-10-05
KR101131821B1 true KR101131821B1 (en) 2012-04-12

Family

ID=4465894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1395A KR101131821B1 (en) 2010-03-26 2010-08-23 Threshing machine
KR1020100129628A KR101269537B1 (en) 2010-03-26 2010-12-17 Threshing machine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9628A KR101269537B1 (en) 2010-03-26 2010-12-17 Threshing machin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2) KR101131821B1 (en)
CN (2) CN102197748B (en)
TW (2) TWI396501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03629B (en) * 2012-06-18 2017-09-15 井关农机株式会社 United reaper
KR101780662B1 (en) * 2014-07-29 2017-09-21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Grain discharge device
CN104737721B (en) * 2015-03-04 2016-08-31 江苏大学 A kind of combined harvester self adaptation cleans control device and self adaptation cleans method
DE102017120674A1 (en) * 2017-09-07 2019-03-07 Claas Selbstfahrende Erntemaschinen Gmbh Harvester
US11944040B2 (en) * 2021-02-02 2024-04-02 Cnh Industrial America Llc Closed loop combine cleaning fan control
DE102022104770A1 (en) * 2022-03-01 2023-09-07 Claas Selbstfahrende Erntemaschinen Gmbh Self-propelled combine harvester and method of its oper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1818A (en) * 1997-04-30 1998-11-25 야마오까다다오 Threshing sorting device of combine
JP2001275470A (en) 2000-03-30 2001-10-09 Kubota Corp Threshing machine
JP2005253316A (en) 2004-03-09 2005-09-22 Iseki & Co Ltd Swinging and separating shelf of threshing part
JP2005333892A (en) 2004-05-27 2005-12-08 Iseki & Co Ltd Shaking table sorter of threshing part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13707B2 (en) * 1993-02-24 1998-10-22 株式会社クボタ Oscillating sorting equipment in threshing equipment
JP2949022B2 (en) * 1994-04-06 1999-09-13 株式会社クボタ Oscillating sorting equipment in threshing equipment
KR0127876B1 (en) * 1994-07-28 1998-04-04 미츠이 고헤이 Treshing & sorting equipment of grain in combine
JP2001078537A (en) * 1999-09-08 2001-03-27 Iseki & Co Ltd Grain moisture-measuring apparatus of combine harvester
JP2002065040A (en) * 2000-08-24 2002-03-05 Kubota Corp Separatory apparatus
JP2002186343A (en) * 2000-12-20 2002-07-02 Iseki & Co Ltd Screening device for thresher
JP2003111513A (en) * 2001-10-02 2003-04-15 Iseki & Co Ltd Tailings-separating device of thresher
JP3777335B2 (en) * 2002-03-07 2006-05-24 株式会社クボタ Threshing device
CN2537917Y (en) * 2002-03-29 2003-02-26 春兰(集团)公司 Compactly closing structure for indoor unit air outlet frame of air conditioner
CN2553612Y (en) * 2002-07-12 2003-06-04 吴文珍 Axial-flow thresher
JP4316296B2 (en) * 2003-05-30 2009-08-19 三菱農機株式会社 Selection wind guide in threshing equipment
JP4815793B2 (en) * 2004-11-30 2011-11-16 井関農機株式会社 Threshing device
JP2008237107A (en) * 2007-03-27 2008-10-09 Iseki & Co Ltd Threshing apparatus
JP2010057430A (en) * 2008-09-04 2010-03-18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Threshing machi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1818A (en) * 1997-04-30 1998-11-25 야마오까다다오 Threshing sorting device of combine
JP2001275470A (en) 2000-03-30 2001-10-09 Kubota Corp Threshing machine
JP2005253316A (en) 2004-03-09 2005-09-22 Iseki & Co Ltd Swinging and separating shelf of threshing part
JP2005333892A (en) 2004-05-27 2005-12-08 Iseki & Co Ltd Shaking table sorter of threshing pa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96501B (en) 2013-05-21
CN102197748B (en) 2014-01-08
CN102197749B (en) 2014-01-29
TWI396500B (en) 2013-05-21
TW201132280A (en) 2011-10-01
CN102197749A (en) 2011-09-28
TW201132279A (en) 2011-10-01
KR101269537B1 (en) 2013-06-04
KR20110108237A (en) 2011-10-05
KR20110108227A (en) 2011-10-05
CN102197748A (en) 2011-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1821B1 (en) Threshing machine
JP2015012877A (en) Threshing apparatus
JP5621628B2 (en) Threshing device
JP5573463B2 (en) Threshing device
JP2016140282A (en) Harvesting system of combine
JP5046140B2 (en) Combine threshing equipment
JP4548454B2 (en) Combine
JP5668335B2 (en) Threshing device
JP4883301B2 (en) Threshing device
JP5712795B2 (en) Threshing device
JP5240252B2 (en) Threshing device
JP2011217707A5 (en)
JP2008283919A (en) Combine
JP2016140281A (en) combine
JP2013074858A (en) Combine harvester
JP2012115189A (en) Combine harvester
JP2008289455A (en) Combine harvester
JP2013070670A (en) Combined harvester
JP4009768B2 (en) Combine
JP2012249548A5 (en)
JP2016158537A (en) Threshing device of combine
JP5617527B2 (en) Threshing device
JP2005218309A (en) Threshing apparatus
JP5472826B2 (en) Threshing device
JP2009000038A (en) Dispersion apparatus for threshing pa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