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9978A - 블로우성형용 금형유닛 및 블로우성형장치 - Google Patents

블로우성형용 금형유닛 및 블로우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9978A
KR20200019978A KR1020207001803A KR20207001803A KR20200019978A KR 20200019978 A KR20200019978 A KR 20200019978A KR 1020207001803 A KR1020207001803 A KR 1020207001803A KR 20207001803 A KR20207001803 A KR 20207001803A KR 20200019978 A KR20200019978 A KR 202000199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
mold
upward
base
blow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1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0528B1 (ko
Inventor
다이자부로 다케하나
Original Assignee
닛세이 에이. 에스. 비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세이 에이. 에스. 비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세이 에이. 에스. 비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19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99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0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0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8Blow-moulding apparatus
    • B29C49/30Blow-moulding apparatus having movable moulds or mould parts
    • B29C49/36Blow-moulding apparatus having movable moulds or mould parts rotatable about one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8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56Opening, closing or 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8Moulds
    • B29C2049/4879Moulds characterised by mould configu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8Moulds
    • B29C2049/4879Moulds characterised by mould configurations
    • B29C2049/4892Mould halves consisting of an independent main and bottom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8Moulds
    • B29C49/48185Moulds with more than one separate mould ca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제2방향의 양단부에 배치되는 각 분할형틀(25, 26)을 각각 홀딩함과 아울러 형틀체결판(45)에 고정되는 제1베이스부재(31)와, 제1베이스부재(31) 사이에 배치되고 제1베이스부재에 고정된 것을 제외한 각 분할형틀이 고정되는 제2베이스부재(32)와, 한 쌍의 분할형틀(25, 26)이 각각 붙고 떨어짐이 가능한 상태로 제1베이스부재(31) 및 제2베이스부재(32)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구비하고, 제1베이스부재(31)의 이동에 따라 복수의 제2베이스부재(32)가 추종하도록 구성한다.

Description

블로우성형용 금형유닛 및 블로우성형장치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용기 등의 수지제품을 복수개 동시에 블로우성형하는 블로우성형용 금형유닛(blow成形用 金型unit) 및 그를 구비하는 블로우성형장치(blow成形裝置)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 예를 들면 용기 등의 수지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는, 사출성형 혹은 압출성형에 의하여 프리폼(preform)(패리슨(parison))을 형성하고, 이 프리폼을 블로우성형함으로써 용기로 만드는 방법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블로우형틀유닛(blow型 unit)이 구비하는 블로우형틀(blow型)에 의하여 형성되는 성형공간(캐비티(cavity)) 내에 프리폼을 배치하고, 이 캐비티 내에서 프리폼을 블로우성형함으로써 팽창시켜서 용기로 만드는 기술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을 참조).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3-107391호 공보
블로우성형법은, 프리폼을 실온(室溫)까지 냉각하지 않고 사출성형 시의 보유열(내부열량)을 활용하여 블로우성형하는 핫패리슨방식(hot parison方式)과, 프리폼을 일단 실온까지 냉각해서 재가열하여 블로우성형하는 콜드패리슨방식(cold parison方式)의 2종류가 존재한다.
핫패리슨방식으로 블로우성형을 하는 소위 1스텝식(1step式)의 블로우성형장치는, 콜드패리슨을 사용하여 블로우성형을 하는 소위 2스텝식(2step式)의 블로우성형장치와 비교하여, 디자인성(design性)이 풍부한 여러가지 형상의 용기를 제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생산성(생산량)의 면에서는, 1스텝식의 블로우성형장치가 2스텝식의 블로우성형장치에 뒤떨어지고, 또한 그에 따라 제조비용도 높게 되어 버리는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1스텝식의 블로우성형장치에 있어서 생산성(생산량)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블로우금형(캐비티)을 2열로 배치한 것이 실용화되어 있지만, 한층 더 생산성(생산량)의 향상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블로우성형용 금형유닛 및 블로우성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의 1개의 태양은, 제1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는 복수의 캐비티를 형성하는 한 쌍의 분할형틀과, 각 캐비티에 대응하는 복수의 바닥형틀과, 이들 복수의 상기 바닥형틀이 고정되는 바닥형틀 고정판을 포함하는 블로우금형을,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으로 복수 구비하는 블로우성형용 금형유닛으로서, 상기 제2방향의 양단부에 배치되는 각 분할형틀을 각각 홀딩함과 아울러 형틀체결판에 고정되는 제1베이스부재와, 상기 제1베이스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당해 제1베이스부재에 고정된 것을 제외한 각 분할형틀이 고정되는 제2베이스부재와, 한 쌍의 상기 분할형틀이 각각 붙고 떨어짐이 가능한 상태로 상기 제1베이스부재 및 상기 제2베이스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베이스부재의 이동에 따라 복수의 상기 제2베이스부재가 추종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우성형용 금형유닛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블로우금형(캐비티)을 3열 이상으로 배치한 블로우성형용 금형유닛을 실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2베이스부재에는, 인접하는 2개의 상기 분할형틀이 배면맞춤의 상태로 홀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각 분할형틀을 보다 적절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나아가서는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블로우성형용 금형유닛은, 각 블로우금형이 구비하는 상기 바닥형틀 고정판으로부터 수하되는 상향로드와, 상승장치에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제2베이스부재의 하방에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복수의 상기 블로우금형이 구비하는 상기 상향로드의 하단에 접촉 가능한 상향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향로드는, 각 바닥형틀 고정판에 상기 제1방향으로 복수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상향부재는, 이들 복수개의 상기 상향로드에 대응하여 복수개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복수의 각 바닥형틀을 한번에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향로드와 상기 상향부재는, 상기 상향로드 및 상기 상향부재를 하강시킨 상태에 있어서 양자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블로우성형용 금형유닛에 대한 상향부재등의 부품의 탈착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블로우성형용 금형유닛은, 상기 바닥형틀 고정판을 하강시키는 하강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경우에, 특히 상기 상승장치는 유압에 의하여 상기 상향부재를 상승시키는 것이고, 상기 하강장치는 공기압에 의하여 상기 바닥형틀 고정판을 하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바닥형틀 고정판을 보다 적절하게 승강시킬 수 있다. 즉 복수의 바닥형틀을 한번에 적절하게 승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베이스부재의 바닥부에는, 상기 상향부재에 대응하는 위치에 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향부재의 상하방향으로의 이동범위를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상기와 같은 블로우성형용 금형유닛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우성형장치에 있다. 이러한 블로우성형장치에 의하면, 수지제품의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비용의 삭감을 도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블로우금형(캐비티)을 3열 이상으로 배치하고 수지제품의 생산성을 향상한 블로우성형용 금형 및 블로우성형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생산성의 향상에 따라 제조비용의 삭감을 도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1스텝식의 블로우성형장치이어도, 본 발명에 관한 블로우성형용 금형을 채용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고 제조비용의 삭감도 도모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블로우성형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블로우성형용 금형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블로우성형용 금형유닛의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블로우성형용 금형유닛의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블로우성형용 금형유닛의 평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블로우성형용 금형유닛의 측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블로우성형용 금형유닛의 측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블로우성형용 금형유닛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블로우성형용 금형유닛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이동지그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이동지그 및 연결지그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이동지그의 조작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블로우성형장치(blow成形裝置)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2는, 블로우성형장치가 구비하는 블로우성형용 금형유닛(blow成形用 金型unit)으로서, 제2블로우베이스에 고정된 블로우 캐비티형틀(blow cavity型)의 파팅면(parting面)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 및 도4는 도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3 및 도4는 블로우 캐비티형틀이 형틀폐쇄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지만, 도3은 바닥형틀(底型)이 하강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4는 바닥형틀이 상승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는 블로우성형용 금형유닛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6 및 도7은 연결부재(連結部材)를 설명하는 블로우성형용 금형유닛의 측면도이며, 도6은 블로우 캐비티형틀이 형틀개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7은 블로우 캐비티형틀이 형틀폐쇄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2 및 도5는 블로우 캐비티형틀이 형틀폐쇄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8 및 도9는 블로우성형용 금형유닛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10∼도12는, 블로우성형용 금형유닛이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하는 이동지그(移動jig) 및 연결지그(連結jig)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우선은, 도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블로우성형장치를 구비하는 블로우성형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블로우성형장치(1)는, 예를 들면 PET병 등의 수지제품(용기)을 제조하기 위한 1스텝식의 장치로서, 기대(2) 상에 사출성형부(3)와, 온도조절부(4)와, 블로우성형부(5)와, 취출부(6)를 구비하고 있다.
사출성형부(3)에는 사출장치(7)의 노즐이 연결되고, 사출성형부(3)에서는 프리폼(preform)이 성형된다. 온도조절부(4)에서는 프리폼의 온도가 원하는 온도로 조정되고, 블로우성형부(5)에서는 온도가 조정된 프리폼이, 예를 들면 고압공기에 의하여 블로우성형되어 최종성형품인 용기가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용기는 취출부(6)에 의하여 외부로 꺼내진다.
이들 사출성형부(3), 온도조절부(4), 블로우성형부(5) 및 취출부(6)의 상방에는, 회전반(8)이 설치되어 있다. 회전반(8)은, 기대(2)에 대하여 평면에서 볼 때에, 예를 들면 반시계방향으로 간헐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회전반(8)의 둘레방향의 4곳에는 립형틀(lip型)(9)이 구비되고, 프리폼 및 용기는, 이 립형틀(9)에 홀딩되어서 회전반(8)의 간헐회전에 의하여 순차적으로 소정의 장치로 반송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블로우성형장치(1)의 구성으로서, 립형틀(9)을 회전반(8)으로 90° 간헐회전시키는 4스테이션식(4station式)의 것을 예시하였지만, 블로우성형장치는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블로우성형장치는, 예를 들면 사출성형부, 블로우성형부 및 취출부를 갖고 립형틀을 회전반에서 120° 간헐회전시키는 3스테이션식의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블로우성형장치는, 사출성형부와 블로우성형부를 갖고 립형틀을 회전반에서 180° 간헐회전시키는 2스테이션식의 구성, 혹은 회전반을 사용하지 않는 리니어식(linear式)의 구성이어도 좋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러한 블로우성형장치(1)의 블로우성형부(5)가 구비하는 블로우성형용 금형유닛에 특징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2∼도7를 참조하여 이 블로우성형용 금형유닛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도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블로우성형부(5)는, 베이스반(base盤)(11) 상에 설치되는 블로우성형용 금형유닛(10)을 구비하고 있다. 블로우성형용 금형유닛(10)은 복수조의 블로우금형(blow金型)(20)을 구비하고 있다.
각 블로우금형(20)은, 파팅면(22a)을 따른 제1방향으로 복수의 캐비티(21)를 일렬로 구비하는 블로우 캐비티형틀(22)과, 각 캐비티(21)의 바닥부를 막아 최종성형품인 용기의 바닥면(밑바닥)을 형성하는 바닥형틀(23)과, 바닥형틀(23)이 고정되는 바닥형틀 고정판(底型 固定板)(24)을 구비하고 있다. 도면에 나타내는 것은 생략하지만, 블로우금형(20)은, 캐비티(21) 내에 배치된 프리폼에 삽입되어서 내부로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블로우 코어형틀을 블로우 캐비티형틀(22)의 상방에 구비하고 있다.
바닥형틀 고정판(24)에는, 블로우 캐비티형틀(22)이 구비하는 각 캐비티(21)에 대응하여 일렬로 설치된 복수의 바닥형틀(23)이 고정되어 있다. 즉 복수의 각 바닥형틀(23)은 바닥형틀 고정판(24)에 의하여 일체화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러한 구성의 적어도 3조의 블로우금형(20)이 캐비티(21)의 배열방향인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블로우성형용 금형유닛(10)은 제2방향으로 적어도 3열로 배치된 블로우금형(20)을 구비하고 있다. 즉 블로우성형용 금형유닛(10)에는, 복수의 캐비티(21)(블로우 캐비티형틀(22))가 제2방향에 있어서 적어도 3열로 배치되어 있다.
각 블로우금형(20)의 블로우 캐비티형틀(22)은, 구체적으로는 파팅면(22a) 상호간을 접촉시켜서 형틀이 체결되는 한 쌍의 분할형틀(分割型)인 제1분할형틀(25)(25A∼25C) 및 제2분할형틀(26)(26A∼26C)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제1분할형틀(25) 및 제2분할형틀(26)은 각각 2개의 캐비티(21)를 구비하고 있다. 블로우 캐비티형틀(22)은, 복수(예를 들면, 6조)의 제1분할형틀(25) 및 제2분할형틀(26)이 일렬로 나란하게 설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이들의 제1분할형틀(25) 및 제2분할형틀(26)은 각각 블로우베이스(blow base)(30)에 고정되어 있다. 블로우베이스(30)는, 제1분할형틀(25) 또는 제2분할형틀(26)을 홀딩하여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블로우베이스(제1베이스부재(第1base部材))(31) 및 제2블로우베이스(제2베이스부재(第2base部材))(32)를 포함한다.
제1블로우베이스(31)(31A, 31B)는, 제2방향에 있어서의 블로우성형용 금형유닛(10)의 양쪽 외측(양단)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이들 제1블로우베이스(31)에는, 3조의 블로우금형(20)(20A∼20C)의 각각이 구비하는 제1분할형틀(25) 및 제2분할형틀(26) 중에서, 제2방향에 있어서 양단부에 위치하는 제1분할형틀(25A)과 제2분할형틀(26C)이 각각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블로우베이스(31A)에 복수의 제1분할형틀(25A)이 고정되고, 제1블로우베이스(31B)에 복수의 제2분할형틀(26C)이 고정되어 있다.
제1블로우베이스(31A)는, 제1분할형틀(25A)과는 반대측의 면이 이 형틀체결판(型締結板)(45)에 고정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1블로우베이스(31B)는, 제2분할형틀(26C)과는 반대측의 면이 이 형틀체결판(45)에 고정되어 있다.
각 형틀체결판(45)에는, 도면에 나타내는 것은 생략하지만, 예를 들면 유압실린더나 전동모터(액추에이터) 등으로 구성되는 구동장치가 제1블로우베이스(31)와는 반대측의 면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각 형틀체결판(45)은, 이 구동장치에 의하여 제1블로우베이스(31)와 함께 제2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구동장치를 작동시킴으로써, 제1블로우베이스(31)에 고정되어 있는 제1분할형틀(25A) 및 제2분할형틀(26C)이 형틀체결판(45)과 함께 슬라이드 이동(전진 및 후퇴)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제2블로우베이스(32)는 제1블로우베이스(31A ,31B) 사이에 복수개 배치되어 있고, 각 제2블로우베이스(32)에는, 제1블로우베이스(31)에 고정된 제1분할형틀(25A) 및 제2분할형틀(26C)을 제외한 각 분할형틀이 각각 고정되어 있다. 즉 각 제2블로우베이스(32)에는 제1분할형틀(25B, 25C) 및 제2분할형틀(26A, 26B)이 각각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분할형틀(25B, 25C) 및 제2분할형틀(26A, 26B)이 4개의 제2블로우베이스(32)(32A∼32D)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제2방향으로 인접하는 2개의 분할형틀은, 제2블로우베이스(32)에 배면(背面)맞춤의 상태로 홀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블로우베이스(32A)와 제2블로우베이스(32B)가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볼트 등의 체결부재로 고정되어 일체화되어, 인접하는 제2분할형틀(26A)과 제1분할형틀(25B)이 배면맞춤의 상태로 홀딩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블로우베이스(32C)와 제2블로우베이스(32D)가 볼트 등의 체결부재로 고정되어 일체화되어, 인접하는 제2분할형틀(26B)과 제1분할형틀(25C)이 배면맞춤의 상태로 홀딩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제2블로우베이스(32)를 볼트 등의 체결부재로 고정함으로써 인접하는 분할형틀이 배면맞춤의 상태로 홀딩되도록 하였지만, 물론 1개의 제2블로우베이스(32)의 양면에, 인접하는 분할형틀을 고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러한 각 블로우베이스(30)(제1블로우베이스(31) 및 제2블로우베이스(32))는, 각각 제1분할형틀(25), 제2분할형틀(26)의 캐비티(21)와는 반대측의 면이 고정되는 대략 평판모양의 고정부재(33)와, 이 고정부재(33)의 양측부에 설치되는 대략 평판모양의 제1압력수용부재(34)로 구성되어 있다. 제1압력수용부재(34)는, 블로우금형(20)의 배열방향(제1방향)에 있어서 블로우금형(20)의 양쪽 외측에 설치되어 있다. 블로우금형(20)을 형틀체결할 때에는, 대향하는 제1압력수용부재(34) 상호간이 접촉하여 형틀체결력(mold clamping force)을 수용한다.
또한 한쌍의 제1분할형틀(25) 및 제2분할형틀(26)이 고정된 블로우베이스(30)의 일방에는, 제1압력수용부재(34)와 함께 형틀체결력을 수용하는 제2압력수용부재(35)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블로우베이스(31A), 제2블로우베이스(32B) 및 제2블로우베이스(32D)의 각각에 제2압력수용부재(35)가 설치되어 있다(도2를 참조).
제2압력수용부재(35)는, 블로우금형(20)의 하측에서 블로우베이스(30)를 구성하는 고정부재(33)에 고정되어 있다. 제2압력수용부재(35)의 배치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본 실시형태에서 제2압력수용부재(35)는, 제2방향에 있어서의 블로우베이스(30)의 대략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블로우금형(20)을 형틀체결(형틀폐쇄)할 때에 제2압력수용부재(35)는, 그 선단면이, 대향하는 블로우베이스(제2압력수용부재(35)가 고정되어 있지 않은 블로우베이스)(30)의 고정부재(33)에 접촉함으로써 제1압력수용부재(34)와 함께 형틀체결력을 수용한다.
또한 블로우베이스(30)(제1블로우베이스(31) 및 제2블로우베이스(32))의 구조는, 상기한 바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고정부재(33) 및 제1압력수용부재(34)가 일체로 형성된 것이어도 좋다. 즉 블로우베이스(30)는, 일렬로 나란하게 설치된 제1분할형틀(25) 및 제2분할형틀(26)(블로우캐비티형틀(22))의 3방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된 것이어도 좋다.
마찬가지로, 제2압력수용부재(35)의 구조도 도2와 같은 사각형 블록모양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압력수용부재(35)의 외관형상은 4각형상 외에 원통모양이어도 좋다. 또한 제2압력수용부재(35)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일방의 블로우베이스(30)에만 고정되는 구조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압력수용부재(35)는, 예를 들면 후술하는 가이드블록(guide block)(40)과 동일하게, 대향하는 두개의 블로우베이스(30)의 각각에 2개로 분할되어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블로우베이스(30)에 고정되는 제2압력수용부재(35)의 수는, 1개일 필요는 없고 복수개이어도 좋다.
여기에서 블로우성형용 금형유닛(10)의 베이스반(11) 상에는, 복수의 스페이서(50)가 설치되어 있다. 각 스페이서(50)는, 제2방향에 있어서의 제2블로우베이스(32)의 이동범위에 걸쳐서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스페이서(50)는, 제1방향에 있어서의 블로우금형(20)의 중앙부 및 양단부의 3곳에 설치되어 있다. 또 스페이서(50)의 수나 배치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각 블로우베이스(30)의 이동범위나 블로우 캐비티형틀(22)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결정되면 좋다.
각 블로우베이스(30)(제1블로우베이스(31) 및 제2블로우베이스(32))는, 이들의 스페이서(50) 상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블로우베이스(30)의 하면에, 예를 들면 함유금속(含油金屬) 등으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메탈(55)이 각각 고정되어 있다. 슬라이드 메탈(55)이 설치됨으로써, 블로우베이스(30)를 스페이서(50) 상에 슬라이드시킬 때의 마찰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제1블로우베이스(31A)와 제2블로우베이스(32A, 32B)와 제2블로우베이스(32C, 32D)와 제1블로우베이스(31B)는, 각각 연결부재(60)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즉 연결부재(60)는, 각 블로우 캐비티형틀(22)을 구성하는 제1분할형틀(25)과 제2분할형틀(26)이 각각 붙고 떨어짐이 가능한 상태로, 제1블로우베이스(31A)와 제2블로우베이스(32A, 32B)와 제2블로우베이스(32C, 32D)와 제1블로우베이스(31B)를 각각 연결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연결부재(60)는, 블로우성형용 금형유닛(10)의 양측면에 설치되어 합계 2개가 존재하지만, 블로우성형용 금형유닛(10)의 일방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 이 연결부재(60)는, 도6 및 도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링크아암(61)(61A, 61B), 제2링크아암(62)(62A, 62B) 및 제3링크아암(63)(63A, 63B)과, 제1축부재(64)(64A, 64B) 및 제2축부재(65)(65A, 65B)와, 회전부재(66)(66A∼66D)로 구성되어 있다.
제1링크아암(61A)은, 일단이 제1축부재(64A)에 의하여 제1블로우베이스(31A)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제2링크아암(62A)은, 중앙부가 제2축부재(65A)에 의하여 제2블로우베이스(32A, 32B)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그 일단이 회전부재(66A)에 의하여 제1링크아암(61A)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1링크아암(61B)은, 일단이 제1축부재(64B)에 의하여 제1블로우베이스(31B)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제2링크아암(62B)은, 중앙부가 제2축부재(65B)에 의하여 제2블로우베이스(32C, 32D)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그 일단이 회전부재(66B)에 의하여 제1링크아암(61B)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2링크아암(62A)과 제2링크아암(62B)이, 제3링크아암(63)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즉 제3링크아암(63A)은, 그 일단이 제2축부재(65A)에 의하여 제2링크아암(62A)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회전부재(66C)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제2링크아암(62B)의 타단에 연결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3링크아암(63B)은, 그 일단이 제2축부재(65B)에 의하여 제2링크아암(62B)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회전부재(66D)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제2링크아암(62A)의 타단에 연결되어 있다. 즉 연결부재(60)는 대략 평행사변형모양의 평행링크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블로우 캐비티형틀(22)이 형틀개방한 상태로부터(도6을 참조),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구동장치에 의하여 형틀체결판(45)이 가압되면, 형틀체결판(45)과 함께 제1블로우베이스(31)가 이동한다. 즉 형틀체결판(45)과 함께 제1분할형틀(25A) 및 제2분할형틀(26C)이 이동한다.
또한 이 제1블로우베이스(31)의 이동에 따라 링크기구인 연결부재(60)가 변형(신축)되고, 이 연결부재(60)의 변형에 따라 제2블로우베이스(32)가 각각 추종한다. 즉 제1분할형틀(25A) 및 제2분할형틀(26C)의 이동에 따라, 제1분할형틀(25B, 25C) 및 제2분할형틀(26A, 26B)의 각각이 추종한다. 이에 따라, 블로우 캐비티형틀(22)이 형틀폐쇄상태가 된다(도7을 참조).
또한 블로우 캐비티형틀(22)이 형틀폐쇄상태로부터, 구동장치에 의하여 형틀체결판(45)이 외측으로 잡아당겨진 경우에도, 형틀체결판(45)과 함께 제1블로우베이스(31)가 이동하고, 이 이동에 따라 제2블로우베이스(32)가 추종한다. 즉 형틀체결판(45)과 함께 제1분할형틀(25A) 및 제2분할형틀(26C)이 이동하고, 이 이동에 따라, 제1분할형틀(25B, 25C) 및 제2분할형틀(26A, 26B)의 각각이 추종한다. 이에 따라, 블로우 캐비티형틀(22)이 형틀개방상태가 된다(도6을 참조).
이와 같이 상기의 연결부재(60)에 의하면, 캐비티형틀(22)의 형틀개폐동작 시에, 블로우금형(20)(제1분할형틀(25) 및 제2분할형틀(26))이 고정된 모든 블로우베이스(베이스부재)(30)를 동기하여 이동(전진 및 후퇴)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캐비티형틀(22)의 형틀개폐동작 중의 어느 하나의 타이밍에 있어서도 모든 블로우금형(20)의 형틀개방 스트로크를 일치시킬 수 있고, 또한 모든 블로우금형(20)의 최대형틀개방 스트로크를 일치시킬 수 있다.
그런데 제2블로우베이스(32)는, 제1블로우베이스(31)에 고정된 가이드로드(36)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블로우베이스(32)에는, 제2방향으로 관통하는 가이드로드구멍(37)(37a∼37d)이 가이드부시(guide bush) 등을 사이에 두고 형성되고, 가이드로드(36)(36a∼36d)는 이들의 가이드로드구멍(37)(37a∼37d)에 삽입되어 있다(도6 등을 참조).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제2블로우베이스(32)에 4개의 가이드로드구멍(37)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4개의 가이드로드구멍(37)에 각각 가이드로드(36)가 삽입되어 있다(도2 등을 참조).
더 상세하게는, 제1방향에 있어서의 제2블로우베이스(32)의 블로우금형(20)의 양쪽 외측에 2개의 가이드로드구멍(37a, 37b)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가이드로드구멍(37a, 37b)은, 제2블로우베이스(32)를 구성하는 고정부재(33) 및 제1압력수용부재(34)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블로우베이스(32)에 있어서 제1방향으로의 블로우금형(20)의 하방측에는, 2개의 가이드로드구멍(37c, 37d)이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로드구멍(37c, 37d)의 간격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최대한으로 넓게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블로우베이스(32)에 있어서 블로우금형(20)보다 하측에, 제1압력수용부재(34)는 설치되어 있지 않지만, 각 가이드로드구멍(37c, 37d)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가이드블록(40)이 설치되어 있다. 즉 가이드로드구멍(37c, 37d)은, 제2블로우베이스(32)를 구성하는 고정부재(33)에 고정된 가이드블록(40)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이들의 가이드블록(40)은, 제1압력수용부재(34)와 같은 정도의 두께로 형성되어 있고, 블로우금형(20)을 형틀체결(형틀폐쇄)할 때에, 가이드블록(40) 상호간이 접촉되어 제1압력수용부재(34) 및 제2압력수용부재(35)와 함께 형틀체결력을 수용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가이드블록(40)은, 형틀체결력을 수용하는 기능을 갖고 있지 않아도 좋다. 즉 블로우금형(20)을 형틀체결(형틀폐쇄)할 때에, 근접하는 가이드블록(40) 사이에는 약간의 간극(間隙)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들의 가이드로드구멍(37)에 삽입되는 가이드로드(36)는, 그 일단측이 제1블로우베이스(31A) 또는 제1블로우베이스(31B)의 일방에 고정되고, 타단측은 자유단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이드로드구멍(37a, 37c)에 삽입되는 가이드로드(36a, 36c)가 제1블로우베이스(31A)에 고정되고, 가이드로드구멍(37b, 37d)에 삽입되는 가이드로드(36b, 36d)가 제1블로우베이스(31B)에 고정되어 있다(도2∼도5를 참조).
또한 도3에는, 복수의 가이드로드(36) 중에서, 제1블로우베이스(31A)에 고정되는 가이드로드(36a, 36c)만을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4에는, 복수의 가이드로드(36) 중에서, 제1블로우베이스(31B)에 고정되는 가이드로드(36b, 36d)만을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더 상세하게는, 도2∼도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블로우베이스(31A)에는, 1조의 대각(對角)(311)(도2를 참조)의 단부 근방에, 블로우금형(20)을 형틀체결하였을 때에 가이드로드구멍(37a, 37c)의 각각에 연통하는 가이드로드 고정구멍(가이드로드 고정부)(38a, 38c)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가이드로드 고정구멍(38)은 적어도, 제1블로우베이스(31A)를 구성하는 제1압력수용부재(34)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로드(36)는, 이 가이드로드 고정구멍(38) 내에서 제1블로우베이스(31A)를 구성하는 고정부재(33)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제1블로우베이스(31A)에는, 1조의 대각(311)의 단부 근방에 가이드로드(36a, 36c)가 1개씩 합계 2개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제1블로우베이스(31A)에는, 또 한 조의 대각(312)(도2를 참조)의 단부 근방에, 블로우금형(20)을 형틀체결하였을 때에 가이드로드구멍(37b, 37d)의 각각에 연통하는 가이드로드 홀딩구멍(가이드로드 홀딩부)(39)(39b, 39d)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가이드로드 홀딩구멍(39b, 39d)은, 가이드로드 고정구멍(38)과 동일하게, 적어도 제1압력수용부재(34)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제1블로우베이스(31A)에는, 또 한 조의 대각(312)의 단부 근방에 가이드로드 홀딩구멍(39b, 39d)이 1개씩 합계 2개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제1블로우베이스(31A)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제1블로우베이스(31B)도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제1블로우베이스(31B)에는, 가이드로드 고정구멍(38)(38b, 38d) 및 가이드로드 홀딩구멍(39)(39a, 39c)이 형성되고, 1조의 대각(312)의 단부 근방에 가이드로드(36)(36b, 36d)가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블로우금형(20)을 형틀체결할 때에는, 제1블로우베이스(31A)에 고정된 가이드로드(36a, 36c)의 선단부가 제1블로우베이스(31B)에 형성된 가이드로드 홀딩구멍(39a, 39c)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고, 제1블로우베이스(31B)에 고정된 가이드로드(36b, 36d)의 선단부가 제1블로우베이스(31A)에 형성된 가이드로드 홀딩구멍(39b, 39d)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러한 가이드로드(36)가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연결부재(60)에 의하여 연결된 각 블로우베이스(30)를 슬라이드 이동시킬 때에 각 블로우베이스(30)(특히 제2블로우베이스(32))가 가이드로드(36)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여 적절하게 위치결정된다. 따라서 각 블로우금형(20)을 양호하게 개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연결부재(60)는, 블로우베이스(30)를 구성하는 제1압력수용부재(34)에 고정되어 있지만, 반드시 제1압력수용부재(34)에 고정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연결부재(60)는, 예를 들면 도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압력수용부재(34A)와는 독립된 블로우베이스(30)의 고정부(42)에 고정되어 있어도 좋다.
이 예에서는, 각 블로우베이스(30)의 상단부 및 하단부 부근에 제1압력수용부재(34A)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블로우베이스(30)의 상하방향 중앙부에 제1압력수용부재(34A)와는 독립한 고정부(42)가 설치되고, 이 고정부(42)에 연결부재(60)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형틀체결할 때에는, 대향하는 제1압력수용부재(34A) 상호간이 접촉하여 형틀체결력을 수용하지만, 도8에 나타내는 구조로 할 경우에, 제1압력수용부재(34A)의 접촉면(선단면)이 비교적 좁아진다. 이 때문에, 제1압력수용부재(34A)의 접촉면에는 위치결정기구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일방의 제1압력수용부재(34A)의 접촉면에 볼록부(341)를 형성함과 아울러, 타방의 제1압력수용부재(34A)의 접촉면에 볼록부(341)가 결합하는 오목부(342)를 형성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볼록부(341)는 선단측을 향하여 그 지름이 서서히 작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오목부(342)는 그 개구측을 향하여 내경이 서서히 크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형틀폐쇄될 때에, 대향하는 제1압력수용부재(34A) 상호간을 더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부(42)는, 형틀체결시에 형틀체결력을 수용하지 않아도 좋지만, 대향하는 고정부(42)에 접촉하여 제1압력수용부재(34)와 함께 압력을 수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볼록부(341)와 오목부(342)는, 상기한 가이드로드(36)와 가이드로드구멍(37)과 동일한 구조로 하여도 좋다. 즉 블로우금형(20)이 형틀개방상태이어도 볼록부(341)를 오목부(342)에 도달하는 길이로 하고, 오목부(342)를 제1압력수용부재(34)를 관통하는 정도의 깊이로 하여, 블로우금형(20)의 개폐동작에 따라 볼록부(341)가 오목부(342) 내로 슬라이딩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블로우베이스(30)를 연결부재(60)에 의하여 연결한 구성을 예시하였지만, 각 블로우베이스(30)는 독립하는 복수의 연결부재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도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블로우베이스(31A)와 제2블로우베이스(32A, 32B)를 제1연결부재(60A)에 의하여 연결하고, 제2블로우베이스(32C, 32D)와 제1블로우베이스(31B)를 제2연결부재(60B)에 의하여 연결하여도 좋다. 또한 제1연결부재(60A)와 제2연결부재(60B)는 동일한 구조이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제1연결부재(60A)에 대하여 설명하고 제2연결부재(60B)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1연결부재(60A)는, 각각 고정링크(67)와, 위치결정부재(68)로 구성되어 있다. 고정링크(67)는, 제2방향(파팅면(22a)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그 일단측이 제1블로우베이스(31A)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링크(67)의 타단측에는, 소정의 길이의 장공(67a)이 제2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장공(67a)의 길이는, 형틀개방하였을 때의 제1블로우베이스(31A)와 제2블로우베이스(32A, 32B)의 간격에 맞추어 설정되어 있다.
위치결정부재(68)는 제1방향에 있어서 제2블로우베이스(32A, 32B)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원기둥모양의 결합부(68a)를 갖고, 이 결합부(68a)는 고정링크(67)의 장공(67a)에 삽입되어 있다. 결합부(68a)는, 장공(67a)의 내경(단경)보다 약간 작은 지름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1블로우베이스(31A)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장공(67a) 내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블로우금형(20)이 형틀폐쇄된 상태에서 결합부(68a)는, 장공(67a)의 일방의 단부 부근에 위치하고 있다(도9(a)를 참조).
그리고 블로우금형(20)의 형틀개방을 시작하면, 우선 제1블로우베이스(31A)가 슬라이드 이동하여 제2블로우베이스(32A, 32B)로부터 떼어진다. 그 때에, 제1블로우베이스(31A)와 함께 고정링크(67)도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위치결정부재(68)의 결합부(68a)는, 장공(67a)의 타방의 단부 근방까지 상대적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그 후에 제1블로우베이스(31A)의 슬라이드 이동을 계속함으로써 위치결정부재(68)의 결합부(68a)가 고정링크(67)에 접촉하고, 고정링크(67) 및 위치결정부재(68)를 통하여 제2블로우베이스(32A, 32B)가 제1블로우베이스(31A)와 함께 잡아당겨져, 제2블로우베이스(32C, 32D)로부터 떼어진다(도9(b)를 참조). 또한 제1블로우베이스(31A)의 슬라이드 이동은, 제2블로우베이스(32A, 32B)와 제2블로우베이스(32C, 32D)가 소정의 간격이 된 시점에서 정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각 블로우금형(20)은, 제1분할형틀(25) 및 제2분할형틀(26)의 각각이 형틀폐쇄될 때에 각 바닥형틀(23)이 상승하여 캐비티(21)의 바닥부가 막히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각 블로우금형(20)(20A∼20C)은, 상단측이 바닥형틀 고정판(24)(24A∼24C)에 고정되는 상향로드(上向rod)(27A∼27C)를 구비하고 있다(도2를 참조). 본 실시형태에서 바닥형틀 고정판(24A)에는, 제1방향(캐비티(21)의 배열방향)으로 4개의 상향로드(27A)가 수하(垂下)되어 설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바닥형틀 고정판(24B, 24C)에는, 4개의 상향로드(27B, 27C)가 수하되어 설치되어 있다. 그 결과로 제2방향에 있어서는, 각 바닥형틀 고정판(24)으로부터 수하되는 3개의 상향로드(27A, 27B, 27C)가 4열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하나의 바닥형틀 고정판(24)으로부터 수하되는 상향로드(27)의 개수는 4개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향로드(27)는 적어도 2개가 있으면 좋고, 성형조건에  맞추어 적절하게 증감시켜도 상관없다.
이 상향로드(27)의 하단은, 각 블로우베이스(30)(제1블로우베이스(31) 및 제2블로우베이스(32))보다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각 블로우베이스(30)는 스페이서(50) 상에 설치되어 있고, 베이스반(11)과 블로우베이스(30) 사이에는 공간부(7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향로드(27)의 하단은 이 공간부(70)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이 공간부(70) 내에는, 상향로드(27)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향부재(上向部材)(80)가 설치되어 있다. 상향부재(80)는, 제2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장판모양의 부재로서, 각 바닥형틀 고정판(24)으로부터 수하되는 4개의 상향로드(27)에 대응하여 복수개(4개)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 상향부재(80)는, 각 바닥형틀 고정판(24)으로부터 수하된 3개의 상향로드(27A, 27B, 27C)에 접촉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블로우 캐비티형틀(22)이 형틀폐쇄된 상태에서 상향부재(80)는, 제2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된 3개의 상향로드(27A, 27B, 27C)에 대응하는 영역으로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있다(도3을 참조).
각 상향부재(80)에는, 예를 들면 유압실린더나 전동모터(액추에이터) 등으로 구성되고 상향부재(80)를 상승시키는 상승장치(上昇裝置)(200)의 승강로드(201)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이 상승장치(200)를 작동시킴으로써 승강로드(201)를 통하여 각 상향부재(80)가 상승한다. 이들의 상향부재(80)에 의하여 각 상향로드(27)(27A, 27B, 27C)가 밀어 올려지고, 그에 따라 각 바닥형틀 고정판(24)(24A, 24B, 24C)도 상승한다. 이에 따라 각 바닥형틀 고정판(24)에 고정되어 있는 복수의 바닥형틀(23)이 한번에 상승하여 각 캐비티(21)의 바닥부가 형틀폐쇄된다.
여기에서 상향로드(27)의 하단은, 상향부재(80)와 연결되어 있지 않고 자유단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바닥형틀 고정판(24) 및 상향부재(80)가 제1위치(초기위치)까지 하강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상향로드(27)의 하단과 상향부재(80)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도3을 참조).
캐비티(21)의 바닥부를 형틀폐쇄할 때에는, 이 상태로부터 상향부재(80)를 상승시킨다. 상향부재(80)는, 약간 상승된 후에 각 바닥형틀 고정판(24)으로부터 수하되어 있는 상향로드(27A, 27B, 27C)에 접촉하여, 이들의 상향로드(27A, 27B, 27C)를 상승시킨다. 이에 따라 상향부재(80)와 함께 바닥형틀 고정판(24A, 24B, 24C)이 제2위치까지 상승한다. 그리고 각 바닥형틀 고정판(24)에 고정되어 있는 복수의 바닥형틀(23)이 한번에 상승하여 각 캐비티(21)의 바닥부가 형틀폐쇄된다(도4를 참조).
또한 각 바닥형틀 고정판(24)의 하측에는 바닥형틀 가이드부재(28)가 설치되어 있다. 바닥형틀 고정판(24)은, 제1위치(초기위치)까지 하강할 때에 바닥형틀 가이드부재(28) 상에 재치되어서 홀딩된다. 즉 바닥형틀 고정판(24)의 제1위치(초기위치)는, 이 바닥형틀 가이드부재(28)에 의하여 규정되어 있다.
바닥형틀 가이드부재(28)는 제1블로우베이스(31B), 제2블로우베이스(32A, 32C)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블로우베이스(31B), 제2블로우베이스(32A, 32C)에 각각 2개의 바닥형틀 가이드부재(28)가 고정되어 있다. 각 바닥형틀 가이드부재(28)는 상향로드(27)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각 바닥형틀 가이드부재(28)에는, 상향로드(27)가 삽입되는 로드삽입구멍(28a)이 형성되어 있다(도2 등을 참조).
또한 바닥형틀 가이드부재(28)는, 반드시 제1블로우베이스(31B), 제2블로우베이스(32A, 32C)에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바닥형틀 가이드부재(28)는, 예를 들면 제1블로우베이스(31A), 제2블로우베이스(32B, 32D)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고, 제1블로우베이스(31A, 31B), 제2블로우베이스(32A∼32D)의 각각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각 바닥형틀 고정판(24)에는, 예를 들면 공기압 실린더(액추에이터)나 스프링(가압부재) 등으로 구성되고, 바닥형틀 고정판(24)을 하강시키기 위한 하강장치(下降裝置)(90)가 연결되어 있다(도2를 참조). 본 실시형태에서 하강장치(90)는, 상기한 제2압력수용부재(35) 상에 고정되어 있고, 그 일단부(선단부)가 바닥형틀 고정판(24)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하강장치(90)는, 반드시 제2압력수용부재(35) 상에 고정되어 있지 않아도 좋고, 예를 들면 제1블로우베이스(31) 또는 제2블로우베이스(32)를 구성하는 고정부재(33)에 고정되어 있어도 좋다.
이 하강장치(90)는, 블로우성형부(5)가 구비하는 상승장치(200)보다 약한 압력을 바닥형틀 고정판(24)에 부여함으로써 상승장치(200)에 의하여 상승시킨 바닥형틀 고정판(24)을 하강시킨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강장치(90)를 항상 작동시킨 상태로 하고 있다. 따라서 바닥형틀 고정판(24)은, 상승장치(200)를 작동시킴으로써 제1위치(초기위치)부터 제2위치까지 상승하고, 상승장치(200)의 작동을 정지시킴으로써 하강장치(90)에 의하여 부여되고 있는 압력이나 자중에 의하여 제1위치까지 하강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구성에서는, 상향부재(80)에 의하여 상향로드(27)를 밀어 올림으로써 각 캐비티(21)에 대응하는 복수의 바닥형틀(23)을 상승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3열의 캐비티(21)에 대응하는 복수의 바닥형틀(23)을 한번에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상향부재(80)의 수와 하나의 바닥형틀 고정판(24)으로부터 수하되는 상향로드(27)의 수는 반드시 일치하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면 상향부재(80)는, 제1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복수개(예를 들면 2개)의 상향로드(27)를 동시에 밀어 올리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각 제2블로우베이스(32)의 하단면에는, 상향부재(80)에 대향하는 위치에 홈부(100)가 설치되어 있다(도2를 참조). 즉 제2블로우베이스(32)의 하단면의 상향부재(80)에 대향하는 부분은, 스페이서(50)에 접촉하는 부분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베이스반(11)과 제2블로우베이스(32)의 간극인 공간부(70)를 충분한 높이로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상승장치(200)에 의하여 바닥형틀 고정판(24)(상향로드(27))을 원하는 높이까지 상승시키기 쉽게 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상향로드(27)와 상향부재(80)는 연결되어 있지 않아, 바닥형틀 고정판(24)을 제1위치까지 하강시킬 때에 상향로드(27)는, 상향부재(80)와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될 때까지 하강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블로우금형(20)을 비교적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바닥형틀(23)이나 바닥형틀 고정판(24), 상향부재(80) 등의 교환 시의 작업효율이 향상되고, 또한 작업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에 관한 블로우성형용 금형유닛(10)은, 예를 들면 베이스반(11) 상으로의 재치(이동)할 때에 이용되는 이동지그(반송지그)(500) 및 연결지그(600)를 착탈 가능하게 구비하고 있다.
이동지그(500)는, 예를 들면 도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L자모양을 갖는 본체부재(501)와, 이 본체부재(501)를 스윙(swing)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502)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부재(501)는, 지지부재(502)와의 소정의 간격을 둔 상태로, 그 상하방향 중앙부 부근이 지지핀(503)에 의해 지지부재(502)에 대하여 부착된다.
본체부재(501)는, 본체부재(501)의 하단부에 이동(반송)용의 롤러(전동부재)(504)를 구비하고, 본체부재(501)의 상단부에 제1방향으로 관통하는 암나사구멍(505)이 형성되어 있다. 이 암나사구멍(505)에는, 예를 들면 볼트 등으로 이루어지고 본체부재(501)와 지지부재(502) 간극을 조정하는 조정부재(506)가 장착되어 있다.
지지부재(502)는, 블로우베이스(30)에 부착되는 판모양의 부착판부(507)와, 부착판부(507)로부터 돌출하는 한 쌍의 돌출부(508)를 구비하고 있고, 각 블로우베이스(30)(31,32)에 대하여 볼트 등의 체결부재(509)에 의하여 부착된다. 본체부재(501)는, 지지부재(502)의 돌출부(508)에 지지핀(503)에 의하여 스윙 가능하게 부착된다.
블로우성형용 금형유닛(10)을 이동할 때에는, 이러한 이동지그(500)가 블로우성형용 금형유닛(10)의 양측면의 각각 2곳, 합계 4곳에 부착된다.
도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지그(600)는, 한 쌍의 제1분할형틀(25) 및 제2분할형틀(26)이 고정된 2개의 블로우베이스(30)에 걸쳐서 부착되며, 각 블로우금형(20)의 형틀개방을 방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블로우성형용 금형유닛(10)의 양측면의 상단부 근방 및 하단부 근방의 각각 3곳에, 연결지그(600)를 부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블로우성형용 금형유닛(10)은, 일방의 측면에 6개, 합계 12개의 연결지그(600)가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이들의 연결지그(600)는, 예를 들면 판모양의 부재로서, 각 블로우베이스(30)(31,32)에 대하여 볼트 등의 체결부재(601)에 의하여 부착된다. 다만 그 중의 4개의 연결지그(600)는, 이동지그(500)를 구성하는 지지부재(502)의 부착판부(507)로서도 기능을 한다. 즉 지지부재(502)의 부착판부(507)는, 한 쌍의 제1분할형틀(25) 및 제2분할형틀(26)이 고정된 2개의 블로우베이스(30)에 부착되어 있고, 연결지그(600)를 겸하고 있다.
이러한 이동지그(500) 및 연결지그(600)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순서로 블로우성형용 금형유닛(10)을 이동시킨다.
우선은, 상기한 바와 같이 블로우성형용 금형유닛(10)에 연결지그(600)를 부착하여 형틀개방을 방지한다. 그 후에, 블로우성형용 금형유닛(10)에 대하여 4개 이동지그(500)를 부착한다. 즉 연결지그(600)를 겸하는 각 지지부재(502)에 대하여 이동용의 롤러(504)를 구비하는 본체부재(501)를 지지핀(503)에 의하여 부착한다.
이 때에, 도1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본체부재(501)는, 하단부의 롤러(504)가 바닥면에 접촉함과 아울러 지지부재(502)와의 간격이 상하방향에 걸쳐서 거의 일정한 상태로 지지부재(502)에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본체부재(501)가 지지부재(502)에 부착되면, 본체부재(501)의 상단부와 지지부재(502)의 간극이 넓어지도록 조정부재(506)를 조작한다. 즉 조정부재(506)를 지지부재(502)측으로 전진시켜 본체부재(501)의 상단부와 지지부재(502)의 간극을 넓힌다.
지지핀(503)과 롤러(504)의 거리는, 바닥면으로부터 지지핀(503)까지의 높이보다 길다. 이 때문에 조정부재(506)의 조작에 따라 본체부재(501)가 지지핀(503)을 지점(支點)으로 하여 회전함으로써, 도1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블로우성형용 금형유닛(10)은 상방으로 들어 올려진다. 4개의 각 이동지그(500)에 대하여 동일한 조작을 함으로써, 블로우성형용 금형유닛(10)은 바닥면에 대하여 이들 4개의 이동지그(500)에 의하여 지지된다.
이 상태이면, 크레인 등으로 블로우형틀 이동대(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 상으로 운반된 블로우성형용 금형유닛(10)을, 예를 들면 블로우형틀 이동대나 베이스반(11) 위를 움직이게 하여, 설치위치가 되는 2개의 형틀체결판(45)의 사이까지 비교적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블로우성형용 금형유닛(10)을 설치위치까지 이동시킨 후에는, 각 이동지그(500)의 조정부재(506)를 다시 조작하여 본체부재(501)의 상단부와 지지부재(502)의 간극을 좁힘으로써, 블로우성형용 금형유닛(10)을 용이하게 베이스반(11) 상에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블로우성형용 금형유닛(10)을 형틀체결판(45)에 고정한 후에는, 체결부재(509, 601)를 떼어내어 연결지그(600)와 함께 이동지그(500)를 블로우베이스(30)로부터 제거한다. 이에 따라 복수열의 블로우형틀과 바닥형틀을 일체로, 블로우성형장치의 소정의 설치위치로 비교적 용이하게 반입할 수 있고 또한 설치위치로부터 비교적 용이하게 반출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블로우성형용 금형유닛으로서 3열의 캐비티를 구비하는 구성을 예시했지만, 물론 블로우성형용 금형유닛은 4열 이상의 캐비티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모든 블로우베이스를 움직이는 필요성이 발생하는 홀수열의 캐비티를 구비하는 구성에서는 특히 유효하다.
또한 본 발명은, 소위 1스텝식의 블로우성형장치에 적용함으로써 특히 효과적이지만, 물론 2스텝식의 블로우성형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1 블로우성형장치
2 기대
3 사출성형부
4 온도조절부
5 블로우성형부
6 취출부
7 사출장치
8 회전반
9 립형틀
10 블로우성형용 금형유닛
11 베이스반
20 블로우금형
21 캐비티
22 블로우 캐비티형틀
22a 파팅면
23 바닥형틀
24 바닥형틀 고정판
25 제1분할형틀
26 제2분할형틀
27 상향로드
28 바닥형틀 가이드부재
28a 로드삽입구멍
30 블로우베이스
31 제1블로우베이스
32 제2블로우베이스
33 고정부재
34 제1압력수용부재
35 제2압력수용부재
36 가이드로드
37 가이드로드 구멍
38 가이드로드 고정구멍
39 가이드로드 홀딩구멍
40 가이드블록
42 고정부
45 형틀체결판
50 스페이서
55 슬라이드 메탈
60 연결부재
60A 제1연결부재
60B 제2연결부재
61 제1링크아암
62 제2링크아암
63 제3링크아암
64 제1축부재
65 제2축부재
66 회전부재
67 고정링크
67a 장공
68 위치결정부재
68a 결합부
70 공간부
80 상향부재
90 하강장치
100 홈부
200 상승장치
201 승강로드
341 볼록부
342 오목부
500 이동지그
501 본체부재
502 지지부재
503 지지핀
504 롤러
505 암나사구멍
506 조정부재
507 부착판부
508 돌출부
509 체결부재
600 연결지그
601 체결부재

Claims (9)

  1. 제1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는 복수의 캐비티(cavity)를 형성하는 한 쌍의 분할형틀(分割型)과, 각 캐비티에 대응하는 복수의 바닥형틀(底型)과, 이들 복수의 상기 바닥형틀이 고정되는 바닥형틀 고정판(底型 固定板)을 포함하는 블로우금형(blow金型)을,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으로 복수 구비하는 블로우성형용 금형유닛(blow成形用 金型unit)으로서,
    상기 제2방향의 양단부에 배치되는 각 분할형틀을 각각 홀딩(holding)함과 아울러 형틀체결판(型締結板)에 고정되는 제1베이스부재(第1base部材)와,
    상기 제1베이스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베이스부재에 고정된 것을 제외한 각 분할형틀이 고정되는 제2베이스부재(第2base部材)와,
    한 쌍의 상기 분할형틀이 각각 붙고 떨어짐이 가능한 상태로, 상기 제1베이스부재 및 상기 제2베이스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連結部材)를
    구비하고,
    상기 제1베이스부재의 이동에 따라 복수의 상기 제2베이스부재가 추종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우성형용 금형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베이스부재에는, 인접하는 2개의 상기 분할형틀이 배면(背面)맞춤의 상태로 홀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우성형용 금형유닛.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각 블로우금형이 구비하는 상기 바닥형틀 고정판으로부터 수하(垂下)되는 상향로드(上向rod)와,
    상승장치(上昇裝置)에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제2베이스부재의 하방에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복수의 상기 블로우금형이 구비하는 상기 상향로드의 하단에 접촉 가능한 상향부재(上向部材)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우성형용 금형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로드는, 각 바닥형틀 고정판에 상기 제1방향으로 복수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상향부재는, 이들 복수개의 상기 상향로드에 대응하여 복수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우성형용 금형유닛.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로드와 상기 상향부재는, 상기 상향로드 및 상기 상향부재를 하강시킨 상태에 있어서 양자 사이에 간극(間隙)이 형성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우성형용 금형유닛.
  6. 제3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형틀 고정판을 하강시키는 하강장치(下降裝置)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우성형용 금형유닛.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장치는, 유압에 의하여 상기 상향부재를 상승시키는 것이고,
    상기 하강장치는, 공기압에 의하여 상기 바닥형틀 고정판을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우성형용 금형유닛.
  8. 제3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베이스부재의 바닥부에는, 상기 상향부재에 대응하는 위치에 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우성형용 금형유닛.
  9. 제1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의 블로우성형용 금형유닛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우성형장치(blow成形裝置).
KR1020207001803A 2017-07-21 2018-07-20 블로우성형용 금형유닛 및 블로우성형장치 KR1023605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42241 2017-07-21
JP2017142241 2017-07-21
PCT/JP2018/027406 WO2019017494A1 (ja) 2017-07-21 2018-07-20 ブロー成形用金型ユニット及びブロー成形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9978A true KR20200019978A (ko) 2020-02-25
KR102360528B1 KR102360528B1 (ko) 2022-02-09

Family

ID=65015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1803A KR102360528B1 (ko) 2017-07-21 2018-07-20 블로우성형용 금형유닛 및 블로우성형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1148343B2 (ko)
EP (1) EP3656532B1 (ko)
JP (2) JP7134965B2 (ko)
KR (1) KR102360528B1 (ko)
CN (1) CN111032311B (ko)
TW (1) TWI746870B (ko)
WO (1) WO20190174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34965B2 (ja) * 2017-07-21 2022-09-12 日精エー・エス・ビー機械株式会社 ブロー成形用金型ユニット及びブロー成形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84884A (en) * 1981-04-24 1984-11-27 Cincinnati Milacron Inc. Apparatus for high rate production of biaxially oriented thermoplastic articles
JP2011156728A (ja) * 2010-01-29 2011-08-18 Nissei Asb Mach Co Ltd ブロー型ユニ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ブロー成形機
JP2013086355A (ja) * 2011-10-18 2013-05-13 Nissei Asb Mach Co Ltd ブロー型ユニ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ブロー成形機
KR20130107391A (ko) 2012-03-22 2013-10-02 남재한 자동 클린칭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724699Y1 (ko) 1970-04-15 1972-08-03
JPS4724699U (ko) 1971-04-01 1972-11-20
US4382760A (en) * 1981-04-24 1983-05-10 Cincinnati Milacron Inc. Apparatus for high rate production of biaxially oriented thermoplastic articles
JPS5967020A (ja) * 1982-10-12 1984-04-16 Sumitomo Heavy Ind Ltd 射出吹込又は射出延伸吹込成形用吹込割金型の型締装置
JPH0813501B2 (ja) 1991-07-30 1996-02-14 日精エー・エス・ビー機械株式会社 吹込成形装置
JP3135178B2 (ja) * 1992-10-28 2001-02-13 日精エー・エス・ビー機械株式会社 ブロー型の型締装置
JP3457773B2 (ja) 1995-07-12 2003-10-20 日精エー・エス・ビー機械株式会社 ブロー成形装置およびブロー成形方法
US5910327A (en) 1997-09-24 1999-06-08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Sprue bar assembly for a stack mold
US5968562A (en) 1997-09-24 1999-10-19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Sprue bar assembly for use in a stack mold
JP2000271954A (ja) * 1999-03-29 2000-10-03 Nissei Asb Mach Co Ltd 回転式プラスチック成形機の金型保持機構
US20090057953A1 (en) * 2007-08-28 2009-03-05 James Vassar Extrusion blow molding machine
JP5512161B2 (ja) 2009-04-17 2014-06-04 株式会社青木固研究所 二組の型締機構を備えた型締装置
EP2626189B1 (en) 2010-10-08 2017-02-22 Nissei Asb Machine Co., Ltd. Blow molding device and method
CN102211396B (zh) 2011-05-19 2013-09-25 东莞佳鸿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吹塑机的合模机构
DE102011106652A1 (de) * 2011-07-05 2013-01-10 Krones Aktiengesellschaft Blasmaschine mit Druckzylinder mit Kraftausgleich für Kolbenkompressor
DE102011079077A1 (de) * 2011-07-13 2013-01-17 Krones Aktiengesellschaft Blasmaschine für Kunststoffbehälter
JP6204013B2 (ja) 2011-10-24 2017-09-27 日精エー・エス・ビー機械株式会社 ブロー成形機
EP2886296B1 (en) * 2012-08-17 2018-07-18 Nissei Asb Machine Co., Ltd. Blow mold unit, blow molding machine, and method for fixing blow mold unit
TW201441010A (zh) * 2013-04-24 2014-11-01 Jih Huang Machinery Ind Co Ltd 全電式中空成型機
CN110667083A (zh) 2015-03-17 2020-01-10 日精Asb机械株式会社 吹塑模具单元以及使用该吹塑模具单元的吹塑成型装置
CN205238543U (zh) * 2015-12-01 2016-05-18 台州市黄岩远大机械制造有限公司 Pet吹瓶机单伺服电机开合模同步机构
CN106079380B (zh) * 2016-08-26 2019-01-04 台州迈格机械模具有限公司 一种吹瓶机的开合模装置
JP7134965B2 (ja) * 2017-07-21 2022-09-12 日精エー・エス・ビー機械株式会社 ブロー成形用金型ユニット及びブロー成形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84884A (en) * 1981-04-24 1984-11-27 Cincinnati Milacron Inc. Apparatus for high rate production of biaxially oriented thermoplastic articles
JP2011156728A (ja) * 2010-01-29 2011-08-18 Nissei Asb Mach Co Ltd ブロー型ユニ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ブロー成形機
JP2013086355A (ja) * 2011-10-18 2013-05-13 Nissei Asb Mach Co Ltd ブロー型ユニ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ブロー成形機
KR20130107391A (ko) 2012-03-22 2013-10-02 남재한 자동 클린칭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56532A4 (en) 2021-04-14
US20200171735A1 (en) 2020-06-04
TW201908105A (zh) 2019-03-01
WO2019017494A1 (ja) 2019-01-24
KR102360528B1 (ko) 2022-02-09
JP7134965B2 (ja) 2022-09-12
US11618201B2 (en) 2023-04-04
CN111032311A (zh) 2020-04-17
CN111032311B (zh) 2022-03-18
TWI746870B (zh) 2021-11-21
EP3656532B1 (en) 2023-06-28
US11148343B2 (en) 2021-10-19
EP3656532A1 (en) 2020-05-27
US20220063169A1 (en) 2022-03-03
JP2022169769A (ja) 2022-11-09
JP7438296B2 (ja) 2024-02-26
JPWO2019017494A1 (ja) 2020-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86028B2 (en) Blow mold unit, blow molding machine and method for replacing blow mold unit
EP2529914B1 (en) Blow mold unit and blow molding machine using same
US9393731B2 (en) Blow mold unit and blow molding machine using same
JP6391196B2 (ja) ブロー型ユニ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ブロー成形装置
CN104149320B (zh) 吹塑成形机
JP7438296B2 (ja) ブロー成形用金型ユニット
JP3560531B2 (ja) ブロー成形機の型締め機構
CN214294404U (zh) 一种吹塑模结构
CN214294416U (zh) 一种便于合模的预吹模
CN112721107A (zh) 一种吹塑模结构
JP2003048725A (ja) ガラス素子成形用金型およびガラス素子成形装置
KR20000006796U (ko) 유리제품 제조용 프레스의 상부금형 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