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9259A - 유리 기판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들 - Google Patents

유리 기판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9259A
KR20200019259A KR1020207004061A KR20207004061A KR20200019259A KR 20200019259 A KR20200019259 A KR 20200019259A KR 1020207004061 A KR1020207004061 A KR 1020207004061A KR 20207004061 A KR20207004061 A KR 20207004061A KR 20200019259 A KR20200019259 A KR 202000192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oring
engagement surface
glass
cleaning
exten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4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6322B1 (ko
Inventor
유키오 유하라
Original Assignee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19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92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6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6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15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ribbon being in a substantially vertical pl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7/00Forming molten glass by flowing-out, pushing-out, extruding or drawing downwardly or laterally from forming slits or by overflowing over lips
    • C03B17/06Forming glass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3/00Other 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 C03C23/0075Cleaning of 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7/00Forming molten glass by flowing-out, pushing-out, extruding or drawing downwardly or laterally from forming slits or by overflowing over lips
    • C03B17/06Forming glass sheets
    • C03B17/064Forming glass sheets by the overflow downdraw fusion process; Isopipe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Abstract

유리 제조 장치는 스코어링 위치와 클리닝 위치 사이에서 회전각에 걸쳐 회전 가능한 연장 맞물림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리 제조 장치는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이 스코어링 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유리 기판을 스코어링하기 위한 스코어링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리 제조 장치는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이 클리닝 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을 클리닝하기 위한 클리닝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들에서, 유리 기판의 스코어링 방법은, 연장 맞물림 표면이 스코어링 위치에 위치된 동안 스코어링 라인을 생성한 후에,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을 상기 스코어링 위치로부터 클리닝 위치로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이 상기 클리닝 위치에 위치된 동안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을 클리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리 기판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들
본 개시 내용은 크게 유리 기판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스코어링 위치로부터 클리닝 위치로 회전된 연장 맞물림 표면을 클리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관련 출원들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7년 7월 12일 출원된 미국 임시 출원 번호 제62/531,482호의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이 문헌의 내용이 그 전체로서 인용되며 참조문헌으로 여기 병합된다.
스코어링 라인을 생성하기 위하여 유리 기판을 스코어링함으로써 유리 기판으로부터 엣지들을 제거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통상적으로 상기 엣지들은 이후 상기 스코어링 라인을 따라 상기 유리 기판의 잔여 부분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조작된다.
여기에 설명된 태양들은 앞서 설명된 문제점들의 일부를 해결하고자 한다.
다음은 상세한 설명에 설명된 일부 실시예들의 기초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간략화된 개시 내용의 써머리를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유리 제조 장치는 스코어링 위치와 클리닝 위치 사이에서 회전각에 걸쳐 회전 가능한 연장 맞물림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리 제조 장치는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이 상기 스코어링 위치에 위치될 때 유리 기판을 스코어링하기 위한 스코어링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리 제조 장치는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이 상기 클리닝 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을 클리닝하기 위한 클리닝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코어링 장치는 스코어링 휠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클리닝 장치는 브러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브러시는 상기 클리닝 장치가 상기 클리닝 위치에 위치될 때 선형 왕복 운동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브러시는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의 연장 길이보다 더 크거나 같은 연장 길이를 갖는 연장 브러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클리닝 장치는 진공흡입(vacuum)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유리 제조 장치는 연장 맞물림 표면을 포함하는 연장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연장 부재는 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연장 부재는 제 1 연장 부재 및 상기 제 1 연장 부재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제 2 연장 부재를 포함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각은 90도 내지 270도의 범위 내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제 1 주표면 및 상기 제 1 주표면에 반대쪽의 제 2 주표면을 포함하는 유리 기판의 제조 방법은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이 스코어링 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유리 기판이 스코어링 영역에 위치된 동안, 상기 유리 기판의 상기 제 1 주표면이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과 맞물림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유리 기판의 상기 제 2 주표면에 스코어링 라인을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유리 기판의 상기 제 2 주표면을 스코어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코어링 라인은 상기 유리 기판의 상기 제 1 주표면이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에 맞물리고,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이 상기 스코어링 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유리 기판이 상기 스코어링 영역에 위치된 동안에 생성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을 상기 스코어링 위치로부터 클리닝 위치로 회전각에 걸쳐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이 상기 클리닝 위치에 위치된 동안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을 클리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연장 맞물림 표면을 클리닝하는 단계는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을 브러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연장 맞물림 표면을 클리닝하는 단계는 부스러기를 진공흡입하는(vacuuming)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을 클리닝하는 단계 동안 상기 스코어링 영역으로 제 2 유리 기판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진입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각은 약 90도 내지 약 270도의 범위 내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스코어링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주표면을 가로질러 스코어링 휠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스코어링 라인을 따라 상기 유리 기판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스코어링 라인이 스코어링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상기 스코어링 방향의 성분은 중력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유리 기판은 유리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주표면을 스코어링하는 단계 동안 상기 유리 시트는 상기 유리 시트의 상부 부분으로부터 매달려 있을 수 있다.
이들과 다른 구성들, 실시예들 및 장점들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읽으면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유리 기판의 스코어링 및 분리를 위한 장치의 예시적 실시예를 포함하는 유리 제조 장치의 예시적 실시예의 개략 도면을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2-2 선을 따라 취한 상기 유리 제조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명확성을 위해 유리 핸들링 장치의 도시를 생략한, 도 1의 3-3 선을 따라 취한 상기 유리 제조 장치의 측면을 나타낸다.
도 4는 연장 맞물림 표면이 스코어링 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유리 기판이 스코어링되는 것을 나타낸 도 3의 4-4 선을 따라 취한 유리 제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상기 스코어링 라인을 따라 상기 유리 기판을 분리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6은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이 스코어링 위치로부터 클리닝 위치로 회전된 후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을 클리닝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7은 도 6의 모습 7을 취한 상기 유리 제조 장치의 확대도이다.
도 8은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이 클리닝 위치로부터 스코어링 위치로 되돌려 회전된 후 도 6의 연장 맞물림 표면을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도시된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이 설명될 것이다. 가능한 때에는 언제나,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도면들을 통하여 동일한 부재들 또는 유사한 부재들을 참조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그러나, 본 개시는 많은 상이한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여기에 개시된 구체적인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으로 의도되며 따라서 비제한적인 것임이 이해되어야 한다. 요구되는 것은 아니나 본 개시의 목적들을 위하여, 유리 제조 장치는 다량의 용융 재료로부터 유리 시트 및/또는 유리 리본을 성형하는 유리 성형 장치를 선택적으로(optionally)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유리 제조 장치는 슬롯 드로우(slot draw) 장치, 플로트 배쓰(float bath) 장치, 다운-드로우(down-draw) 장치, 업-드로우(up-draw) 장치, 프레스-롤링(press-rolling) 장치 또는 다른 유리 성형 제조 장치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논의되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유리 제조 장치는 퓨전 다운-드로우(fusion down-draw) 장치를 포함하는 유리 성형 장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추가적인 실시예들에서는 다른 유리 성형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나아가, 요구되는 것은 아니나 본 개시의 목적들을 위하여, 상기 유리 제조 장치는 앞서 성형된 유리 리본 및/또는 유리 시트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유리 제조 장치는 저장 스풀에 권취된 소정 길이의 유리 리본을 포함하는 저장 스풀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유리 제조 장치는 유리 리본의 제조 방법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유리 리본의 일부를 상기 저장 스풀로부터 풀어낼(unwind) 수 있다.
나아가, 본 개시의 목적들을 위하여, 상기 유리 제조 장치는 유리 리본 및/또는 유리 시트를 스코어링하도록 구성된 선택적인 스코어링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개시를 통하여 설명되는 스코어링 장치는 유리 시트의 중앙부로부터 엣지 부분들을 분리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들에서, 상기 스코어링 장치는 유리 시트를 유리 리본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리 성형 장치로 성형되거나 저장 스풀로부터 풀려지는 유리 리본은 상기 유리 리본으로부터 유리 시트를 분리하는 분리 경로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유리 리본의 폭을 가로질러 스코어링 될 수 있다.
더 추가적으로, 본 개시의 목적들을 위하여, 상기 유리 제조 장치는 상기 스코어링 장치에 의해 생성된 스코어링 라인을 따라 유리 리본의 일부 및/또는 유리 시트를 분리하도록 설계된 선택적인 분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리 제조 장치는 유리 시트가 스코어링되는 동안 및/또는 상기 유리 시트가 스코어링 라인을 따라 분리되는 동안 상기 유리 시트를 지지하도록 설계된 선택적인 유리 핸들링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단 본 개시의 구성들로 스코어링되면, 유리 시트는 상기 유리 리본의 연장되는 길이를 가로지르는 (예컨대 수직인) 상기 스코어링 라인을 따라 상기 유리 리본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더 추가적으로, 본 개시의 목적들을 위하여, 상기 유리 제조 장치는 스코어링을 하는 동안 및/또는 상기 유리 시트 및/또는 유리 리본의 분리를 하는 동안 생성된 부스러기를 클리닝하도록 설계된 선택적인 클리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들에서, 뒤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상이한 유리 제조 스테이션들에서 유리를 연속적으로 제조하기 위하여 다양한 장치가 라인 내에(in-line)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예시의 목적으로, 도 1은 유리 리본(103)을 성형하도록 설계된 유리 성형 장치(101a), 상기 유리 리본(103)으로부터 유리 시트(104)를 스코어링 및 분리하기 위한 제1 유리 스코어링 및 분리 장치(101b), 유리 핸들링 장치(101c), 및 제2 유리 스코어링 및 분리 장치(101d)와 같은 다양한 장치를 포함하는 유리 제조 장치(101)를 나타내며, 상기 다양한 장치는 라인 내에 제공될 수 있다. 개시의 목적으로, 상기 유리 제조 장치(101)는 예시된 유리 성형 장치(101a), 제1 유리 스코어링 및 분리 장치(101b), 유리 핸들링 장치(101c), 및 제2 유리 스코어링 및 분리 장치(101d)와 같은 하나 이상의 구성부들의 임의의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부들은 라인을 벗어나 별도로 제공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유리 제조 장치(101)는 위에서 인용된 구성부들(예컨대 제1 유리 스코어링 및 분리 장치(101b), 제2 유리 스코어링 및 분리 장치(101d) 등)의 단일 구성부를 포함할 수도 있지만 이러한 구성부들은 유리 리본 및 유리 시트의 연속 제조를 위한 인-라인 배열로서 예시된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뒤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유리 시트의 한 엣지 또는 양쪽 엣지들은 상기 제2 유리 스코어링 및 분리 장치(101d)에 의하여 상기 유리 시트의 고품질의 중앙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유리 시트의 고품질의 중앙부는 액정 디스플레이들(LCDs), 전기영동 디스플레이들(electrophoretic displays, EPD),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들(OLED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들(PDPs) 등을 포함하는 원하는 광범위한 디스플레이 응용들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유리 시트들의 분리된 고품질의 중앙부들은 하나의 장소로부터 다른 장소로 이송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유리 시트들의 고품질의 중앙부들은 유리 시트들의 스택을 제 자리에 고정하도록 설계된 통상의 지지 프레임들을 써서 이송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유리 시트들의 상기 고품질의 중앙부의 접촉을 방지하여 순수한 표면을 보존하는 것을 돕기 위하여 유리의 각 고품질의 중앙부 사이에 간지 물질(interleaf material)이 배치될 수 있다.
도 1은 다량의 용융 물질(121)로부터 유리 리본(103)을 드로잉하기 위하여 유리 성형 장치(101a)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유리 제조 장치(101)를 개념적으로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리 제조 장치(101)는 저장 통(109)으로부터 배치(batch) 물질(107)을 수용하도록 배향된 용융 용기(10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치 물질(107)은 모터(113)에 의해 구동되는 배치 운반 장치(111)에 의해 투입될 수 있다. 화살표(117)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융 용기(105) 내로 원하는 양의 배치 물질(107)을 투입하도록 상기 모터(113)를 활성화시키도록 제어기(115)가 선택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스탠드파이프(123) 내의 용융 물질(121)의 레벨을 측정하고 통신 라인(125)을 통해 상기 측정된 정보를 상기 제어기(115)에 통신하기 위해 유리 용융 프로브(119)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리 제조 장치(101)는 상기 용융 용기(105)로부터 하류에 위치되며 제1 연결 도관(129)에 의해 상기 용융 용기(105)에 결합되는 청징 용기(127)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용융 물질(121)은 상기 제1 연결 도관(129)을 통해 상기 용융 용기(105)로부터 상기 청징 용기(127)로 중력-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중력은 상기 용융 물질(121)이 상기 용융 용기(105)로부터 상기 청징 용기(127)로 상기 제1 연결 도관(129)의 내부 경로를 통과하도록 드라이브할 수 있다. 상기 청징 용기(127) 내에서, 기포들이 다양한 기술들에 의해 상기 용융 물질(121)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유리 제조 장치(101)는 상기 청징 용기(127)로부터 하류에 위치될 수 있는 혼합 챔버(1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혼합 챔버(131)은 용융 물질(121)의 균일한 조성을 제공하도록 사용될 수 있으며, 이로써 상기 청징 용기(127)를 빠져나오는 상기 용융 물질(121) 내에 존재할 수 있는 불균일성의 코드들(cords)을 감소 또는 제거시킬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청징 용기(127)는 제2 연결 도관(135)을 통해 상기 혼합 챔버(131)에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용융 물질(121)은 상기 제2 연결 도관(135)을 통해 상기 청징 용기(127)로부터 상기 혼합 챔버(131)로 중력-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력은 상기 청징 용기(127)로부터 상기 혼합 챔버(131)로 상기 제2 연결 도관(135)의 내부 경로를 통해 상기 용융 물질을 드라이브할 수 있다.
상기 유리 제조 장치(101)는 상기 혼합 챔버(131)로부터 하류에 위치될 수 있는 운반 용기(1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반 용기(133)는 입구 도관(141) 내로 공급될 상기 용융 물질(121)을 컨디셔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운반 용기(133)는 상기 입구 도관(141)으로의 용융 물질(121)의 일관된 유동을 조절 및 제공하기 위한 축적기 및/또는 유동 제어기로서 기능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혼합 챔버(131)는 제3 연결 도관(137)을 통해 상기 운반 용기(133)에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용융 물질(121)은 상기 혼합 용기(131)로부터 상기 운반 용기(133)로 상기 제3 연결 도관(137)을 통해 중력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력은 상기 용융 물질(121)을 상기 제3 연결 도관(137)의 내부 경로를 통해 상기 혼합 챔버(131)로부터 상기 운반 용기(133)로 드라이브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용융 물질(121)을 상기 입구 도관(141)으로 운반하도록 운반 파이프(139)가 위치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용융 물질(121)은 상기 입구 도관(141)로부터 운반되어 성형 용기(140)의 홈통(147)에 의하여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성형 용기(140)는 상기 용융 물질(121)을 유리 리본(103)으로 드로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융 물질(121)은 성형 용기(140)의 루트(142)에서 드로잉될 수 있다. 상기 유리 리본(103)의 폭 "W"는 상기 유리 리본(103)의 제1 수직 엣지(153)과 상기 유리 리본(103)의 제2 수직 엣지(155)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2-2 선을 따른 상기 유리 제조 장치(101)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성형 용기(140)는 상기 입구 도관(141)으로부터 용융 물질(121)을 수용하도록 배향된 홈통(14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형 용기(140)는 성형 웨지(209)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성형 웨지(209)는 상기 성형 웨지(209)의 대향하는 단부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한 쌍의 하방으로 기울어진 수렴 표면부들(207a, 207b)을 포함한다. 상기 성형 웨지(209)의 상기 한 쌍의 하방으로 기울어진 수렴 표면부들(207a, 207b)은 드로잉 방향(211)을 따라 수렴하여 상기 루트(142)를 정의하도록 하부 엣지를 따라 교차한다. 드로잉 평면(213)은 상기 루트(142)를 통과하여 연장되고 상기 유리 리본(103)은 상기 드로잉 평면(213)을 따라 상기 드로잉 방향(211)으로 드로잉될 수 있다. 비록 상기 드로잉 평면(213)이 상기 루트(142)에 대하여 다른 방향들로 연장될 수도 있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로잉 평면(213)은 상기 루트(142)를 이등분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용융 물질(121)은 측방향(159)으로 유동하여 상기 성형 용기(140)의 홈통(147) 내부로 들어갈 수 있다. 이후 상기 용융 물질(121)은 대응되는 둑들(203a, 203b) 상으로 동시에 흐름에 의해 홈통(147)으로부터 범람할 수 있고, 상기 대응되는 둑들(203a, 203b)의 외측 표면들(205a, 205b) 상으로 하향한다. 용융 물질(121)의 개별적인 스트림들은 이후 상기 성형 용기(140)의 루트(142)로부터 드로잉되도록 성형 웨지(209)의 하방으로 기울어진 수렴 표면부들(207a, 207b)을 따라 흐르고, 여기에서 상기 흐름들이 유리 리본(103)으로 수렴하고 융합한다. 이후 상기 유리 리본(103)은 드로잉 방향(211)을 따라 드로잉 평면(213) 내에서 상기 루트(142)로부터 퓨전 드로잉될 수 있고, 상기 유리 시트(도 1 참조)는 이후 후속하여 상기 유리 리본(103)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리 리본(103)은 상기 루트(142)로부터 드로잉될 수 있으며, 상기 유리 리본(103)의 제1 주표면(215a) 및 상기 유리 리본(103)의 제2 주표면(215b)이 서로 반대 방향을 바라보며 상기 유리 리본(103)의 두께 "T"를 정의할 수 있다. 상기 두께 "T"는, 예를 들면, 약 300 마이크로미터 이하와 같이, 약 200 마이크로미터 이하와 같이, 또는 약 100 마이크로미터 이하와 같이 약 2 밀리미터(mm) 이하, 약 1 밀리미터 이하, 약 0.5 밀리미터 이하, 약 500 마이크로미터 이하일 수 있으나,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다른 두께들이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유리 리본(103)은 소다-라임 유리, 보로실리케이트 유리, 알루미노-보로실리케이트 유리, 알칼리-함유 유리, 또는 무알칼리 유리를 포함하는 다양한 조성들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리 제조 장치(101)의 제2 유리 스코어링 및 분리 장치(101d)의 구성들이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며, 유사한 구성들이 제1 유리 스코어링 및 분리 장치(101b)에도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실제로,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비록 요구되는 것은 아니나, 달리 설명되지 않는다면 상기 제2 유리 스코어링 및 분리 장치(101d)에 대하여 설명된 구성들은 상기 제1 유리 스코어링 및 분리 장치(101b)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유리 스코어링 및 분리 장치(101d)는 상기 유리 시트(104)의 제 1 수직 엣지(153) 및 제 2 수직 엣지(155) 중 하나 또는 이들 모두와 관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리 스코어링 및 분리 장치(101d)는 상기 유리 시트(104)의 제 1 수직 엣지(153)와 관련된 제1 유리 스코어링 및 분리 장치(400a)와 상기 유리 시트(104)의 제2 수직 엣지(155)와 관련된 제2 유리 스코어링 및 분리 장치(400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유리 스코어링 및 분리 장치(400a)는 상기 유리 시트(104)의 고품질의 중앙부(503)로부터 제1 수직 엣지 부분(501a)을 분리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나아가, 만일 제공된다면, 상기 제2 유리 스코어링 및 분리 장치(400b)는 상기 유리 시트(104)의 고품질의 중앙부(503)로부터 제2 수직 엣지 부분(501b)을 분리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오직 단일의 유리 스코어링 및 분리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은 오직 하나의 수직 엣지 부분만이 분리되는 경우에, 또는 수직 엣지 부분들이 동일한 유리 스코어링 및 분리 장치에 의해 순차적으로 제거될 수 있는 경우에 잇점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수직 엣지(153, 155)에 그에 대응되는 전용의 유리 스코어링 및 분리 장치(400a, 400b)를 제공하는 것은, 양 쪽의 수직 엣지 부분들(501a, 501b)의 동시 분리를 위해 각각의 유리 스코어링 및 분리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양 쪽의 수직 엣지 부분들을 제거하는 처리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유리 스코어링 및 분리 장치는 제2 유리 스코어링 및 분리 장치와 유사 또는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유리 스코어링 및 분리 장치(400a)는 상기 제2 유리 스코어링 및 분리 장치(400b)와 상기 유리 시트(104)의 수직 축을 따르는 거울 이미지일 수 있다. 따라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다면, 이하의 설명은 상기 제1 유리 스코어링 및 분리 장치(400a)는 상기 제2 유리 스코어링 및 분리 장치(400b)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는 이해와 함께, 다음의 설명은 유리 스코어링 및 분리 장치(101d), 제1 유리 스코어링 및 분리 장치(400a), 및/또는 제2 유리 스코어링 및 분리 장치(400b)에 해당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리 제조 장치(101)의 유리 스코어링 및 분리 장치(101d)는 스코어링 장치(305)가 상기 유리 시트(104)의 상기 제1 주표면(215a)에 스코어링 라인(401)을 생성하는 동안 상기 유리 시트(104)의 상기 제2 주표면(215b)과 맞물릴 수 있는 연장 맞물림 표면(303)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303)은 실질적으로 평탄한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비록 일부 실시예들은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303)을 곡면화된 표면으로서 제공하지만, 도시된 실질적으로 평탄한 표면이 상기 스코어링 장치(305)가 연장 맞물림 표면(303)과 스코어링 부재(307) 사이에 스코어링 라인(401)을 생성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 선정은 상기 스코어링 부재(307)가 상기 유리 시트(104)의 상기 제1 주표면(215a)에 스코어링 라인(401)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제1 주표면(215a)을 누르는 동안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303)이 상기 스코어링 부재(307)와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 사이의 상기 유리 시트(104)의 분리 경로를 적절히 지지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도 3에 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리 제조 장치(101)는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303)을 포함하는 연장 부재(30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 부재(301)는 광범위한 물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연장 부재(301)는 탄성 폴리머 물질, 탄성 엘라스토머 물질, 또는 다른 물질 유형들과 같은 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 부재(301)를 탄성 물질로 제공하는 것은 상기 유리 시트(104)의 제1 주표면(215a)에 대한 스코어링 요소(307)의 충격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것을 돕고, 그에 의하여 응력 파괴(stress fracture), 스코어링 요소가 랜딩하는 동안 상기 스코어링 요소의 점핑, 또는 스코어링 공정과 관련된 다른 결함들이나 원하지 않는 특성들을 피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 부재(301)는 중력 "g"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는 연장된 길이 "L1"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또는 선택적으로, 상기 연장된 길이 "L1"은 상기 제1 수직 엣지(153) 및/또는 상기 제2 수직 엣지(155) 중 적어도 하나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연장 부재(301)가 중력 "g"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제공하는 것은 상기 유리 시트(104)가 상부 부분에 매달려 있으면서, 상기 유리 시트(104)의 고품질의 중앙부(503)로부터 수직 엣지부들(501a, 501b)을 제거하는 것(도 5 참조)을 허용할 수 있다. 실제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리 시트(104)의 고품질의 중앙부(503)로부터 상기 수직 엣지부들(501a, 501b)이 제거되는 동안 상기 유리 시트는 상기 유리 핸들링 장치(101c)의 클램프들(161)에 의하여 상부 부분에 매달려 있을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 부재(301)는 상기 제1 수직 엣지(153) 및/또는 상기 제2 수직 엣지(155) 중 적어도 하나에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어서, 평행 엣지들(505a, 505b)을 갖는 상기 고품질의 중앙부(503)가 남겨지도록 상기 유리 시트(104)로부터 소정 폭 "W1"의 엣지 부분들이 제거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상기 평행 엣지들(505a, 505b)은 이들 사이에 상기 유리 시트(104)의 길이 "L2"를 따라 일정한 소정의 폭 "W2"를 정의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연장 부재(301)의 연장된 길이 "L1"은 상기 유리 시트(104)의 길이 "L2"보다 더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실제로, 도 3에 도시된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연장 부재(301)의 연장된 길이 "L1"은 상기 유리 시트(104)의 길이 "L2"보다 더 클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연장 부재(30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코어링 장치(305)가 상기 유리 시트(104)의 전체 길이 "L2"를 따라 상기 스코어링 라인(401)을 생성하도록,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303)이 상기 전체 길이 "L2"를 따라 전체 분리 경로와 맞물리고 이를 지지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연장된 길이 "L1"은 상기 유리 시트(104)의 길이 "L2"의 약 100% 내지 약 140%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연장된 길이 "L1"은 상기 유리 시트(104)의 길이 "L2"의 약 100% 내지 약 120%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연장된 길이 "L1"은 상기 유리 시트(104)의 길이 "L2"의 약 100% 내지 약 110%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도 3을 더 참조하면, 상기 연장 부재(301)는 연장된 베이스(403)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연장된 베이스(403)는 상기 연장 부재(301)의 연장된 길이 "L1"보다 더 크거나 같을 수 있는 연장된 길이 "L3"를 포함할 수 있다. 실제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된 베이스(403)의 연장된 길이 "L3"는 상기 연장 부재(301)의 연장된 길이 "L1"보다 더 클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연장된 베이스(403)는 상기 연장 부재(301)의 전체 연장된 길이 "L1"을 따라 상기 연장 부재(301)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장 부재(301)가 상기 유리 시트(104)의 전체 길이 "L2"를 따라 전체 분리 경로와 맞물려 지지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상기 연장된 베이스(403)는 상기 연장 부재(301)의 전체 길이를 지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연장된 길이 "L3"는 상기 연장된 길이 "L1"의 약 100% 내지 약 140%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연장된 길이 "L3"는 상기 연장된 길이 "L1"의 약 100% 내지 약 120%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연장된 길이 "L3"는 상기 연장된 길이 "L1"의 약 100% 내지 약 110%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연장 부재(301)는 단일의 연장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추가적인 실시예들에서, 상기 연장 부재는 복수의 연장 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연장 부재(301)는 도 4에 도시된 내측 연장 부재(301a) 및 외측 연장 부재(301b)와 같은 제1 및 제2 연장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연장 부재(301b)(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외측 연장 부재)는 상기 제1 연장 부재(301a)(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내측 연장 부재)와 거리 "d"만큼 이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연장 부재(301b)(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외측 연장 부재)는 상기 스코어링 장치(305)와 분리 경로를 따라 스코어링 라인(401)을 생성하기 위한 모루(anvil) 부재로서 작용할 수 있다. 별도의 제1 연장 부재(301a)(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내측 연장 부재)는, 만일 제공된다면, 스코어링하는 동안 또는 분리하는 동안 생성된 유리 파티클들 또는 다른 부스러기가 상기 유리 시트의 제 2 주표면(215b)과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장벽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오히려, 예를 들면, 스코어링하는 동안 또는 분리하는 동안 생성된 유리 부스러기들은 내측 연장 부재(301a)에 의하여 차단될 수 있으며, 아마도 상기 내측 및 외측 연장 부재(301a, 301b) 사이의 공간 내에 포획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리 시트(104)의 고품질의 중앙부(503)의 순수한 표면을 유지하는 것을 돕기 위하여, 스코어링하는 동안 및/또는 분리하는 동안 생성된 유리 부스러기들이 상기 유리 시트(104)의 제2 주표면(215b) 상에 퇴적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외측 연장 부재(301b)에 더하여 상기 내측 연장 부재(301a)가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 맞물림 표면(303)은 스코어링 위치(도 4 참조)와 클리닝 위치(도 6 및 도 7 참조) 사이에서 회전각 "A"에 걸쳐(도 6 참조) 회전 가능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303)은, 상기 연장된 베이스(403)의 대칭축을 따르는 것과 같이, 연장된 베이스(403)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축(701)에 대하여 피버팅(pivoting)됨으로써 회전할 수 있다. 선택적인 실시예들에서, 상기 축(701)은 상기 연장된 베이스(403)에서 일정 거리 벗어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들에서,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303)은 고정된 회전축에 대하여 피버팅되지 않으면서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303)이 회전각 "A"에 걸쳐 회전될 때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303)은 움직이는 축에 대하여 피버팅될 수 있다.
상기 회전각 "A"는, 잠재적인 오염 부스러기들을 상기 유리 시트(104)의 고품질의 중앙부(503)의 순수한 주표면들로부터 멀리 위치시키는 동안,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303)의 클리닝을 허용하는 광범위한 각도들일 수 있다. 나아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각 "A"는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303)이 클리닝되는 동안 제 2 유리 기판(601)(예를 들면 도시된 제 2 유리 시트)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스코어링 영역에 진입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회전각 "A"는 90° 내지 270°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들에서, 상기 회전각 "A"는 90° 내지 180°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들에서, 상기 회전각 "A"는 90° 내지 135°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코어링 장치(305)는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303)이 스코어링 위치에 위치되었을 때 상기 유리 기판(104)을 스코어링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맞추어 광범위한 스코어링 장치들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코어링 장치(305)는 도시된 스코어링 휠의 형태를 갖는 스코어링 부재(307)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들에서, 상기 스코어링 부재(307)는 날카로운 스크라이브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코어링 장치(305)는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303)에 평행할 수 있는 방향(309)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방향(309)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힘 "F"가 인가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303)이 힘 "F"에 대항하여 상기 유리 시트(104)의 제2 주표면(215b)을 누를 때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303)이 모루로서 작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도 3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리 시트(104)의 전체 길이 "L2"를 따라 연장되는 스코어링 라인(401)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스코어링 장치(305)는 상기 유리 시트(104)의 상기 전체 길이 "L2"를 이동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코어링 라인(401)을 형성한 후, 앞서 형성된 스코어링 라인(401)을 따라 상기 유리 시트(104)의 고품질의 중앙부(503)로부터 수직 엣지 부분(들)(501a, 501b)을 분리하기 위해 상기 수직 엣지 부분(들)(501a, 501b)에 힘을 인가하기 위해 분리 장치(507)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303)과 상기 유리 시트(104)의 상호 작용이 상기 스코어링 라인(401)에서의 응력 집중을 야기하도록 상기 수직 엣지 부분들(501a, 501b)에 힘이 인가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스코어링 라인(401)에서 상기 유리 시트(104)의 제1 및 제2 주표면들 사이에서 전체 몸체 크랙이 전파될 수 있고, 상기 수직 엣지 부분들(501a, 501b)이 상기 스코어링 라인(401)을 따라 상기 고품질의 중앙부(503)로부터 분리된다. 힘은 광범위한 장치들을 이용하여 상기 수직 엣지 부분들(501a, 501b)에 인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 엣지 부분들(501a, 501b)을 분리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흡입 컵들 및/또는 하나 이상의 맞물림 장치들이 단독으로 또는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 엣지 부분을 당기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흡입 컵들(509)이 상기 수직 엣지 부분들(501a, 501b)의 표면과 맞물릴 수 있고, 상기 수직 엣지 부분을 밀기 위하여 압축 핑거(511)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압축 핑거(511)로 밀고 상기 흡입 컵(들)(509)로 당긴 결과, 상기 유리 시트(104)의 상기 고품질의 중앙부(503)로부터 상기 수직 엣지 부분들(501a, 501b)이 분리되는 것을 초래하기에 충분한 힘이 인가될 수 있다.
스코어링 및/또는 분리의 공정은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303) 위에 부스러기들(예를 들면, 유리 파티클, 유리 파편들, 스코어링 휠 파티클 등)을 남길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는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303)이 후속 스코어링 및 분리 절차를 위해 후속 유리 기판과 맞물림되기에 앞서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303)으로부터 부스러기를 제거하도록 설계된 클리닝 장치(513)를 갖는 유리 스코어링 및 분리 장치(101d)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상기 클리닝 장치(513)는 하나의 유리 스코어링 및 분리 절차에서 발생한 잔여 부스러기들이 후속 유리 기판의 순수한 표면들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클리닝 장치(513)는, 후속 스코어링 및 분리 절차들 동안 상기 유리 기판의 순수한 표면들을 손상시킬 수 있는 부스러기들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리닝 장치(513)는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303)이 클리닝 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303)을 클리닝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리닝 장치(513)는 연장된 베이스(707)에 고정된 복수의 강모들(bristles)(705)을 갖는 연장된 브러시(70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모들은 반복된 순환 및 왕복 후에도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303)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303)과 맞물리도록 설계된, 폴리머 재료와 같은, 광범위한 재료들로 제조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선으로 도시된) 상기 연장된 브러시(703)는 이중 화살표(311)의 방향을 따라 선형 왕복 운동을 하도록 선택적으로(optionally)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연장된 브러시는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303)의 연장된 길이 "L1"보다 더 크거나 같을 수 있는 연장된 길이 "L4"를 포함하고, 그에 의하여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303)의 전체 연장된 길이 "L1"에 걸쳐 강모들(705)이 최소 스트로크 길이로 동시에 휘젓는(agitation) 것을 허용함으로써 클리닝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들에서, 상기 연장된 길이 "L4"는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303)의 전체 연장된 길이 "L1"보다 약간 더 작을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최소 스트로크 길이는 상기 연장된 길이 "L4"가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303)의 연장된 길이 "L1"보다 약간 더 작더라도 상기 강모들(705)이 상기 전체 연장 맞물림 표면(303)과 맞물리는 것을 여전히 허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연장된 브러시(703)의 상기 연장된 길이 "L4"는 상기 연장된 길이 "L1"의 90% 내지 150%의 범위 내일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들에서, 상기 연장된 브러시(703)의 상기 연장된 길이 "L4"는 상기 연장된 길이 "L1"의 95% 내지 120%의 범위 내일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들에서, 상기 연장된 브러시(703)의 상기 연장된 길이 "L4"는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303)의 연장된 길이 "L1"의 100% 내지 110%의 범위 내일 수 있다.
상기 연장된 브러시(703)에 더하여, 또는 상기 연장된 브러시(703)를 대신하여, 상기 클리닝 장치(513)는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303)이 클리닝 위치에 있을 때 부스러기들을 진공흡입(vacuum)하도록 구성된 진공흡입 장치(70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공흡입 장치(709)는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의 브러싱을 하는 동안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303)으로부터 부스러기들을 제거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진공흡입 장치(709)는 상기 스코어링 및/또는 분리 공정 동안 상기 내측 연장 부재(301a)와 상기 외측 연장 부재(301b)의 사이의 영역 내에 포획된 부스러기들을 제거할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303)을 클리닝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구성들이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브러시보다는,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으로부터 부스러기들을 제거하기 위하여 공기 나이프(air knife)가 사용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들에서, 연장 맞물림 표면(303)을 클리닝하기 위하여 액체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공기 나이프에 비하여, 브러시는 공기 흐름 내에 주변 클리닝 영역을 오염시킬 수 있는 부스러기들을 끌고가 그로 인해 처리되고 있는 유리 시트들의 고품질의 중앙부의 순수한 표면들을 오염시키는 것을 피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또, 액체를 사용하는 것에 비하여, 브러시는 후속 건조 단계들이 생략됨으로써 클리닝 시간이 감소될 수 있다.
제1 주표면(215a) 및 상기 제1 주표면(215a)의 반대면인 제2 주표면(215b)을 포함하는 유리 기판(예를 들면, 도시된 유리 시트(104))의 제조 방법이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상기 방법은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이 스코어링 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유리 기판이 스코어링 위치에 위치된 동안 상기 유리 기판의 제2 주표면이 연장 맞물림 표면과 맞물리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 맞물림 표면(303)이 스코어링 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유리 시트(104)가 상기 스코어링 영역 내에 위치된 동안 상기 유리 시트(104)의 제2 주표면(215b)은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303)과 맞물릴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이후 상기 유리 기판의 제2 주표면이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과 맞물린 동안 상기 유리 기판의 제1 주표면에 스코어링 라인을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유리 기판의 제1 주표면을 스코어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은 스코어링 위치에 위치되며, 상기 유리 기판은 스코어링 영역에 위치된다. 예를 들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코어링 장치(305)는 상기 스코어링 라인(401)을 생성하도록 상기 제1 주표면(215a)을 가로질러 스코어링 부재(307)(예를 들면 스코어링 휠)를 이동시키기 위해 (304)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3에서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스코어링 라인(401)은 (309)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스코어링 방향의 성분은 중력 "g"의 방향을 포함한다. 실제로, 도시된 바와 같이, (309) 방향은 완전히 중력 "g"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합성 방향(resultant direc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은 수직 분리 경로를 따라 절단되기 위한 수직 스코어링 라인을 제공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 시트(104)의 상부 부분이 (예를 들면 클램프(161)로) 매달리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스코어링 라인(401)을 생성한 후, 상기 방법은 상기 스코어링 라인을 따라 상기 유리 기판을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코어링 라인(401)을 따라 상기 제1 수직 엣지부(501a) 및/또는 상기 제2 수직 엣지부(501b)를 상기 고품질의 중앙부(503)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압축 핑거 및/또는 흡입 컵(들)(509)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스코어링 및/또는 분리 공정으로부터 잔여 부스러기가 제2 유리 기판(601)(도 6 참조) 쪽으로 교차 오염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303)은 클리닝될 수 있다. 클리닝에 앞서,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303)은 (예를 들면, 약 90° 내지 약 270°의 범위 내에서) 회전각 "A"에 걸쳐 도 4에 도시된 스코어링 위치로부터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클리닝 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을 회전시키는 것은 회전하는 동안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303)을 클리닝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실제로,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303)이 회전할 때,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303) 위로 상기 연장된 브러시(703)의 강모들(705)의 팁들이 지나가면서 상기 팁들과의 간섭이 약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303)을 회전시키는 공정은 (예를 들면, 축(70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동안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303)을 브러싱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303)의 회전은 상기 고품질의 중앙부(503)의 순수한 표면들로부터 멀어지도록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그리고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에 의하여 수반되는 임의의 부스러기들)을 위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클리닝되고 있는 오염 표면들이 클리닝하는 동안 상기 순수한 표면들로부터 더 멀리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순수한 표면들이 클리닝에서의 부스러기들로 교차 오염되는 것이 감소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303)의 회전은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303)을 클리닝하는 동안 상기 스코어링 영역으로 제2 유리 기판(601)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진입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실제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303)의 클리닝이 수행되는 동안, 상기 제1 기판의 상기 고품질의 중앙부(503)는 스코어링 영역을 빠져 나오는 한편 제2 유리 기판(601)은 스코어링 영역으로 (603)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제2 유리 기판(601)의 제1 및/또는 제2 수직 엣지부(들)을 제거하기 위한 후속 스코어링 및 분리 절차를 위한 위치로 상기 제2 유리 기판(601)이 이동되는 동안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303)의 클리닝이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처리 시간이 감소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303)이 클리닝 위치에 위치된 동안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303)을 클리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303)은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303)을 클리닝하기 위하여 브러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303)을 클리닝하기 위하여 상기 연장된 베이스(707)는 상기 연장된 브러시(703)의 대응되는 왕복을 가져오기 위하여 이중 화살표 (311)을 따라 왕복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흡입 장치(709)는 연장 부재(301)의 근처와 상기 브러시로부터의 부스러기를 수집하도록 화살표 (711)의 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유리 기판(601)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될 때까지 상기 스코어링 영역에 계속 진입한다. 결국,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은 다음의 스코어링 및 분리 절차를 시작하기 위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코어링 위치로 다시 피버팅된다.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303)이 클리닝되었으므로, 부스러기들이 제2 유리 기판(601)의 표면들로 이동하는 것은 저해될 수, 예컨대 예방될 수 있고, 그에 의하여,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303)을 클리닝하지 않았다면 일어날 수 있었을 손상을 회피할 수 있다. 나아가, 유리 기판들은 클리닝을 하는 동안 (603) 방향을 따라 계속하여 이송되기 때문에,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303)의 클리닝을 수행하는 단계는 심각한 또는 임의의 추가적인 시간을 요구하지 않으면서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이 특정 예시적이고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관해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첨부 청구항들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도 개시된 구성들의 수많은 변형과 조합들이 가능하기 때문에 본 개시 내용은 거기에 한정되는 것으로 생각되어서는 아니됨이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스코어링 위치와 클리닝 위치 사이에서 회전각에 걸쳐 회전 가능한 연장 맞물림 표면;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이 상기 스코어링 위치에 위치될 때 유리 기판을 스코어링하기 위한 스코어링 장치; 및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이 상기 클리닝 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을 클리닝하기 위한 클리닝 장치;
    를 포함하는 유리 제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코어링 장치가 스코어링 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제조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장치가 브러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제조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는 상기 클리닝 장치가 상기 클리닝 위치에 위치될 때 선형 왕복 운동을 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제조 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는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의 연장 길이 이상의 연장 길이를 갖는 연장 브러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제조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장치가 진공흡입(vacuum)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제조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을 포함하는 연장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제조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부재는 탄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제조 장치.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부재가 제 1 연장 부재 및 상기 제 1 연장 부재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제 2 연장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제조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각은 90도 내지 270도의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제조 장치.
  11. 유리 기판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유리 기판은 제 1 주표면 및 상기 제 1 주표면에 반대쪽의 제 2 주표면을 포함하고,
    연장 맞물림 표면이 스코어링 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유리 기판이 스코어링 영역에 위치된 동안, 상기 유리 기판의 상기 제 1 주표면이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과 맞물림되는 단계;
    상기 유리 기판의 상기 제 1 주표면이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에 맞물리고,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이 상기 스코어링 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유리 기판이 상기 스코어링 영역에 위치된 동안, 상기 유리 기판의 상기 제 2 주표면에 스코어링 라인을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유리 기판의 상기 제 2 주표면을 스코어링하는 단계;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을 상기 스코어링 위치로부터 클리닝 위치로 회전각에 걸쳐 회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이 상기 클리닝 위치에 위치된 동안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을 클리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유리 기판의 제조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을 클리닝하는 단계는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을 브러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기판의 제조 방법.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을 클리닝하는 단계는 부스러기를 진공흡입하는(vacuuming)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기판의 제조 방법.
  14. 제 11 항 내지 제 1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맞물림 표면을 클리닝하는 단계 동안 상기 스코어링 영역으로 제 2 유리 기판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기판의 제조 방법.
  15. 제 11 항 내지 제 1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각이 약 90도 내지 약 270도의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기판의 제조 방법.
  16. 제 11 항 내지 제 1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코어링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주표면을 가로질러 스코어링 휠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기판의 제조 방법.
  17. 제 11 항 내지 제 1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코어링 라인을 따라 상기 유리 기판을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기판의 제조 방법.
  18. 제 11 항 내지 제 17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코어링 라인이 스코어링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스코어링 방향의 성분은 중력 방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기판의 제조 방법.
  19. 제 11 항 내지 제 18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기판은 유리 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기판의 제조 방법.
  20. 제 11 항 내지 제 19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주표면을 스코어링하는 단계 동안 상기 유리 시트는 상기 유리 시트의 상부 부분으로부터 매달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기판의 제조 방법.
KR1020207004061A 2017-07-12 2018-07-05 유리 기판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들 KR1025363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31482P 2017-07-12 2017-07-12
US62/531,482 2017-07-12
PCT/US2018/040853 WO2019014039A1 (en) 2017-07-12 2018-07-05 APPARATU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GLASS SUBSTRA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9259A true KR20200019259A (ko) 2020-02-21
KR102536322B1 KR102536322B1 (ko) 2023-05-24

Family

ID=65001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4061A KR102536322B1 (ko) 2017-07-12 2018-07-05 유리 기판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139364A1 (ko)
JP (1) JP7200214B6 (ko)
KR (1) KR102536322B1 (ko)
CN (1) CN111032585B (ko)
TW (1) TWI753183B (ko)
WO (1) WO201901403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00549B2 (en) 2019-08-22 2023-07-11 Ofinno, Llc Policy control for multiple access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53582B2 (ja) * 2016-08-24 2022-04-12 コーニ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ガラス製造装置および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6910A (ko) * 2011-02-23 2012-08-31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얇은 유리를 스코링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17075133A2 (en) * 2015-10-30 2017-05-04 Corning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for separating a glass ribbon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391858B (de) * 1988-04-25 1990-12-10 Lisec Peter Vorrichtung zum brechen von einseitig geritzten glastafeln
JP2005247599A (ja) 2004-03-01 2005-09-15 Nec Machinery Corp 板ガラス切断方法および板ガラス切断装置
US20110094267A1 (en) * 2009-10-28 2011-04-28 Kenneth William Aniolek Methods of producing glass sheets
WO2012108391A1 (ja) * 2011-02-09 2012-08-16 旭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の切断方法及びガラス板の切断装置
TWI548598B (zh) * 2011-02-28 2016-09-11 康寧公司 熔融抽拉裝置及方法
CN102503107A (zh) * 2011-10-28 2012-06-20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切割机构的碎屑收集装置、lcd面板切割碎屑吸除装置
TWI492909B (zh) * 2013-03-31 2015-07-21 平田機工股份有限公司 玻璃板切斷裝置及玻璃板切斷方法
CN104276748B (zh) * 2013-07-02 2017-03-29 郑州旭飞光电科技有限公司 消除tft‑lcd玻璃基板切割裂片粉尘的方法及装置
US20180148365A1 (en) * 2015-04-22 2018-05-31 Corning Incorporated Glass manufacturing apparatus facilitating separation of a glass ribbon
CN107922239A (zh) 2015-08-28 2018-04-17 康宁股份有限公司 包含刻划装置的刻划设备和刻划玻璃带的方法
JP2017065947A (ja) 2015-09-29 2017-04-06 AvanStrate株式会社 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及び、ガラス基板の製造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6910A (ko) * 2011-02-23 2012-08-31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얇은 유리를 스코링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17075133A2 (en) * 2015-10-30 2017-05-04 Corning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for separating a glass ribb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00549B2 (en) 2019-08-22 2023-07-11 Ofinno, Llc Policy control for multiple access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6322B1 (ko) 2023-05-24
TW201908254A (zh) 2019-03-01
TWI753183B (zh) 2022-01-21
JP7200214B2 (ja) 2023-01-06
JP7200214B6 (ja) 2023-08-18
US20210139364A1 (en) 2021-05-13
WO2019014039A1 (en) 2019-01-17
CN111032585B (zh) 2022-08-02
CN111032585A (zh) 2020-04-17
JP2020528038A (ja) 2020-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8792B1 (ko) 판유리 할단장치, 판유리 할단방법, 판유리 제작방법 및 판유리 할단시스템
KR20150087277A (ko) 유리 리본으로부터 유리 시트를 분리하는 분리 장치 및 방법
US11472728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glass plate and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for
KR102536322B1 (ko) 유리 기판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들
TW201722866A (zh) 用於分離玻璃帶的設備及方法
US20200055098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web
JP6858710B2 (ja) ガラスリボンの分離を促進するガラス製造装置
KR102640254B1 (ko) 유리 시트의 처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US11760683B2 (en) Glass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s for separating a glass ribbon
JP2022512338A (ja) ガラスシートの周縁領域を扱い取り除く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4960405B2 (ja) 板材の分断ユニット
TWI812712B (zh) 用於製作及處理玻璃片的裝置及方法
JP4343804B2 (ja) 板材の分断ユニット
TW201936529A (zh) 玻璃分離系統及包含該系統的玻璃製造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