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9221A - Nr에서의 통합 rlf 검출, 다중 빔 rlm 및 풀-다이버시티 bfr 메커니즘 - Google Patents

Nr에서의 통합 rlf 검출, 다중 빔 rlm 및 풀-다이버시티 bfr 메커니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9221A
KR20200019221A KR1020207001668A KR20207001668A KR20200019221A KR 20200019221 A KR20200019221 A KR 20200019221A KR 1020207001668 A KR1020207001668 A KR 1020207001668A KR 20207001668 A KR20207001668 A KR 20207001668A KR 20200019221 A KR20200019221 A KR 202000192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ication
bfr
rlm
link
oo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1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1539B1 (ko
Inventor
아이민 저스틴 상
빈 류
수에롱 왕
칭하이 쩡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19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92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1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1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04W36/305Handover due to radio link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using two or more beams, i.e. beam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antenna swit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6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 H04B7/08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54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 H04L41/0668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by dynamic selection of recovery network elements, e.g. replacement by the most appropriate element after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72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resource information of target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79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hand-off failure or rej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37Determination of triggering parameters for hand-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1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transmission quality or channel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1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transmission quality or channel quality
    • H04W40/16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transmission quality or channel quality based on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34Modification of an existing route
    • H04W40/36Modification of an existing route due to hando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3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detecting errors in frequency or pha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8Management of setup rejection or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4Arrangements for maintain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Abstract

네트워크 장치, 예를 들어, 사용자측 UE 장치(또는 TRP 또는 기지국과 같은 네트워크측 장치)에서 새로운 무선(NR) 링크 실패를 검출하고 RLM 및 링크 실패 복구를 실행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시스템 및 방법은 성능 최적화를 위해 다중 빔 RLM 및 풀-다이버시티 또는 다중 경로 링크 장애 복구 표시를 이용하여 검출된 무선 링크에 대해 수신된 표시를 통합한다.

Description

NR에서의 통합 RLF 검출, 다중 빔 RLM 및 풀-다이버시티 BFR 메커니즘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7 년 6 월 23 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 가출원 제62/524,362호(명칭: NR에서의 통합 RLF 검출 및 풀-다이버시티(full-diversity) BFR 메커니즘에 대한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2017 년 9 월 11 일에 제출된 미국 특허 가출원 제62/557,052호(명칭: NR에서의 통합 RLF 탐지 및 풀-다이버시티 BFR 메커니즘을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내용은 참조로서 여기에 통합된다.
본 개시는 통신 네트워크의 분야, 및 무선 링크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에서 빔 실패 및 빔 복구 실패(Beam failure and beam recovery failure, BFR)의 기준은 계속 연구 중인 분야이다. 주요 기술적 문제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물리층(PHY) 계층이 어떻게(셀 특정) OOS, IS 표시 또는 다른 필요한 새로운 표시(indications)를 생성하고 RRC 선언 RLF(RRC declared RFL)에 제공할 것인지, 그리고 어떻게 다중 빔 및 단일 빔 작동 모두를 위한 RLF, RLM 및 BFR 상호작용의 단일 절차를 정의할 것인지를 포함한다.
이 배경 정보는 본 발명과 관련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정보 중 어느 것이라도 본 발명에 대한 종래 기술을 구성하는 것으로 반드시 인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렇게 해석되어서도 안 된다.
본 개시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적어도 하나의 단점을 제거하거나 완화시키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다중 빔으로부터 다운링크(down link, DL) 참조 신호를 수신 및 처리하는 단계, 각각에 대한 신호 품질 메트릭(signal quality metric)을 결정하는 단계, 시그널링, 빔 실패 검출, 새로운 빔 식별, 및 링크 실패 복구 요청 및 응답의 링크 복구 동작들을 실행하기 위한 다중 의 링크 복구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다중 다이버시티의 물리층 전송 경로의 결정된 신호 품질 메트릭을 평가하는 단계, 구성되거나 시간 기반의 제약 하에서, 구성된 링크 복구 동작들에 대해 물리층에서 구성된 다중 경로를 전부 이용하여 링크 복구 동작들을 성취하는 단계, 링크 복구 프로세스 동안, 링크 복구 동작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링크 복구 동작 상태에 따라 링크 복구 표시를 생성하는 단계, 및 링크 복구 표시를 물리층으로부터 상위층(예컨대, RLM 또는 RLF)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에서의 무선 링크 복구 또는 빔 실패 복구(beam failure recovery, BFR) 표시를 결정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다중 빔으로부터 다운링크(down link, DL) 참조 신호를 수신 및 처리하는 단계, 각각에 대한 신호 품질 메트릭(signal quality metric)을 결정하는 단계, 시그널링, 빔 실패 검출, 새로운 빔 식별, 및 링크 실패 복구 요청 및 응답의 링크 복구 동작들을 실행하기 위한 다중 의 링크 복구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다중 다이버시티의 물리층 전송 경로의 결정된 신호 품질 메트릭을 평가하는 단계, 구성되거나 시간 기반의 제약 하에서, 구성된 링크 복구 동작들에 대해 물리층에서 구성된 다중 경로를 전부 이용하여 링크 복구 동작들을 수행하는 단계, 링크 복구 프로세스 동안, 링크 복구 동작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링크 복구 동작 상태에 따라 링크 복구 표시를 생성하는 단계, 및 링크 복구 표시를 물리층으로부터 상위층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UE)에서의 무선 링크 복구 또는 빔 실패 복구(BFR) 표시를 결정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양상들과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되었다. 통상의 기술자는 실시예가 설명된 양태와 관련하여 구현될 수 있지만, 그 양태의 다른 실시예로도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실시예가 상호 배타적이거나 다른 방식으로 서로 호환되지 않는 경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일부 실시예는 일 양태와 관련하여 설명될 수 있지만,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한 다른 양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들 및 방법들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컴퓨팅 및 통신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5G 코어 네트워크의 시스템 아키텍처의 서비스 기반 관점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기준점 연결성(reference point connectivity)의 관점에서 도 2에 도시된 5G 코어 네트워크의 시스템 아키텍처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5G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아키텍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5G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아키텍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풀-다이버시티 빔 실패 복구(BRF) 및 통합 무선 링크 실패(RLF) 메커니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LTE(Long Term Evolution)에서 RLF 상태 머신의 설계를 보여주며, 이것은 기본(undelying) RLM에서 오는 동기상태(In―sync, IS) 표시 또는 비동기상태(Out-of-sync, OOS) 표시에 필요한 타이머 및 카운터를 보여준다.
도 8은 LTE에서의 RLF 위상의 설계를 보여준다.
도 9는 BFR-RLF 상호 작용의 종단 간 및 계층 간 프레임워크를 나타낸다.
도 10은 BFR-RLF의 엔드-투-엔드 및 크로스-계층 프레임워크를 보여준다.
도 11은 기본 BFR 상태 머신으로 트리거된 IS, OOS, 링크 또는 BFR IS, OOS 상태 표시에 기초한 RLF 검출 절차의 상세한 흐름을 도시한다.
도 12는 BFR, RLM 및 RLF 상호 작용 프로세스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3은 BFR, RLM 및 RLF 상호 작용 프로세스의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 14는 BFR, RLM 및 RLF 상호 작용 프로세스의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 15는 RLF와 BFR 간의 상호 작용을 위한 계층 구조의 종래 기술을 도시한다.
도 16은 BFR 절차를 최적화하는 상세한 흐름을 도시한다.
본 출원의 목적 상,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다음의 약어가 제공된다.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다양한 두문자어는 복수의 의미를 가질 수 있으므로, 임의의 약어의 의미는 본 개시의 적절한 맥락을 고려하여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여기에 개시된 장치 및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컴퓨팅 및 통신 환경(50) 내에 도시된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 ED)(52)의 블록도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기지국(예를 들어, NodeB, 진화된 노드 B(eNodeB, 또는 eNB)), 차세대 NodeB(때로는 gNodeB 또는 gNB로 지칭됨), 홈 가입자 서버(home subscriber server, HSS), 이동성 관리 엔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 패킷 게이트웨이(packet gateway, PGW) 또는 서빙 게이트웨이(serving gateway, SGW)와 같은 게이트웨이(gateway, GW) 또는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 CN) 또는 PLMN(Public Land Mobility Network)내의 다양한 다른 노드 또는 기능 등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인프라의 요소일 수 있다.. 명확히 하기 위해, gNB는 하나의 CU(Central Unit) 및 하나 이상의 DU(Distributed Unit)를 포함할 수 있는 차세대 eNB(5G)의 eNB(LTE 기지국)일 수 있다. CU는 L3 RRC, PDCP 프로토콜 계층을 호스팅할 수 있다. DU는 RLC 및/또는 MAC(Medium Access Control) 및/또는 PHY 등을 호스트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휴대 전화, 스마트 폰 또는 사용자 장비(UE)로 분류될 수 있는 다른 장치와 같은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네트워크 인프라에 연결되는 장치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ED(52)는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s) 장치(m2m(machine-to-machine) 장치라고도 함) 또는 사용자에게 직접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더라도 UE로 분류될 수 있는 다른 장치일 수 있다. 일부 참조에서, ED는 또한 장치 자체가 이동성을 위해 설계되었는지 또는 이동성의 능력이 있는지에 관계없이, 모바일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장치를 반영하도록 의도된 용어인 모바일 장치로 지칭될 수 있다. 구체적인 장치는 도시된 모든 구성 요소 또는 구성 요소의 서브 세트만을 이용할 수 있으며, 통합의 정도는 장치마다 다를 수 있다. 또한, 장치는 다수의 프로세서, 메모리, 송신기, 수신기 등과 같은 구성 요소의 다수의 인스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52)는 일반적으로 CPU(Central Processing Unit)와 같은 프로세서(54)를 포함하고, GPU(Graphics Processing Unit) 또는 다른 이러한 프로세서와 같은 특수 프로세서, 메모리(56),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8) 및 ED(52)의 구성 요소를 연결하는 버스 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ED(52)는 또한 대용량 저장 장치(62), 비디오 어댑터(64) 및 I/O 인터페이스(68)(파선으로 도시됨)와 같은 구성 요소들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56)는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RAM),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RAM), 동기식 DRAM(SD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프로세서(54)에 의해 판독 가능한 임의의 유형의 비 일시적 시스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메모리(56)는 부팅시에 사용하기 위한 ROM, 및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동안 사용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 저장용 DRAM과 같은 하나 이상의 유형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버스(60)는 메모리 버스 또는 메모리 제어기, 주변 버스 또는 비디오 버스를 포함하는 임의의 유형의 여러 버스 아키텍처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전자 장치(52)는 또한 유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8)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8)는 네트워크(74)에 연결하기 위한 유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무선 링크를 통해 다른 장치에 연결하기 위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2)를 포함할 수 있다. ED(52)가 네트워크 인프라스터럭처 요소인 경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2)는, 무선 에지(예를 들어, eNB)에 있는 것 이외의 PLMN의 요소로서 작용하는 노드 또는 기능에 대해서는 생략될 수 있다. ED(52)가 네트워크의 무선 에지에 있는 인프라인 경우, 유선 및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ED(52)가 사용자 장비와 같은 무선으로 연결된 장치인 경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2)가 존재할 수 있고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같은 다른 무선 인터페이스에 의해 보충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8)는 전자 장치(52)가, 예컨대 네트워크(74)에 연결된 것과 같은 원격 엔티티와 통신할 수 있게 한다.
대용량 저장 장치(62)는 데이터, 프로그램 및 기타 정보를 저장하고 데이터, 프로그램 및 기타 정보를 버스(60)를 통해 액세스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유형의 비 일시적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대용량 저장 장치(62)는 예를 들어 SSD(solid state drive),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또는 광학 디스크 드라이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대용량 저장 장치(62)는 전자 장치(52)에 대해 원격일 수 있고 인터페이스(58)와 같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사용을 통해 액세스 가능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대용량 저장 장치(62)는 그것이 포함되는 메모리(56)와 구별되며, 일반적으로 더 높은 레이턴시와 호환되는 저장 작업을 수행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휘발성이 더 적거나 없다. 일부 실시예에서, 대용량 저장 장치(62)는 이종 메모리(56)와 통합될 수 있다.
선택적 비디오 어댑터(64) 및 I/O 인터페이스(68)(점선으로 도시됨)는 전자 장치(52)를 외부 입력 및 출력 장치에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입력 및 출력 장치의 예는 비디오 어댑터(64)에 연결된 디스플레이(66) 및 I/O 인터페이스(68)에 연결된 터치 스크린과 같은 I/O 장치(70)를 포함한다. 다른 장치가 전자 장치(52)에 연결될 수 있으며, 더 많거나 또는 더 적은 인터페이스가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SB(Universal Serial Bus)(도시되지 않음)와 같은 직렬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외부 장치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통상의 기술자는 ED(52)가 데이터 센터의 일부인 실시예에서, I/O 인터페이스(68) 및 비디오 어댑터(64)가 가상화될 수 있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8)를 통해 제공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52)는 독립형 장치일 수 있는 반면,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52)는 데이터 센터 내에 상주할 수 있다. 관련 기술 분야에서 이해되는 바와 같이, 데이터 센터는 집합 컴퓨팅 및 저장 자원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컴퓨팅 자원(일반적으로 서버 형태)의 집합이다. 데이터 센터 내에서, 가상화된 엔티티가 인스턴스화될 수 있는 컴퓨팅 자원 풀을 제공하기 위해 복수의 서버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데이터 센터는 서로 연결되어 연결성 자원(connectivity resources)으로 연결된 풀(pools) 컴퓨팅 및 저장 자원으로 구성된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연결성 자원은 이더넷 또는 광 통신 링크와 같은 물리적 연결의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일부 경우에는 무선 통신 채널을 포함할 수도 있다. 2개의 상이한 데이터 센터가 복수의 상이한 통신 채널에 의해 연결되는 경우, 링크 집합 그룹(link aggregation group, LAG)의 형성을 포함하는 다수의 기술 중 임의의 것을 사용하여 링크가 결합될 수 있다. (네트워크 내의 다른 자원과 함께) 컴퓨팅, 저장 및 연결성 자원 중 일부 또는 전부는 다른 경우에는 자원 슬라이스 형태로 서로 다른 서브 네트워크 간에 분할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연결된 여러 데이터 센터 또는 다른 노드 모음에서 자원이 슬라이스되면, 상이한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생성될 수 있다.
도 2는 5G 또는 NGC(Next Generation Core) 네트워크(5GCN/NGCN/NCN)를 위한 서비스 기반 아키텍처(80)를 도시한다. 이 그림은 노드와 기능 간의 논리적 연결을 나타내며 그림의 연결이 직접적인 물리적 연결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ED(50)는 N3 인터페이스와 같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평면(user plane, UP) 게이트웨이와 같은 사용자 평면 기능(User Plane Function, UPF)(86)에 연결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노드((R)AN)(84)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연결을 형성한다. UPF(86)은 N6 인터페이스와 같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 네트워크(DN)(88)에 연결된다. DN(88)은 운영자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사용되는 데이터 네트워크이거나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의 표준화 범위를 벗어난 것일 수 있다.
3GPP는 오거니제이션 파트너(Organizational Partner)라고 알려진 통신 협회 그룹 간의 협력이다. 3GPP의 초기 범위는 국제 통신 연합(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ITU)의 국제 이동 통신-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s-2000, IMT-2000) 프로젝트 범위 내에서 진화된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사양을 기반으로하는 전 세계적으로 적용 가능한 3G 휴대폰 시스템 사양을 만드는 것이었다. 이 범위는 나중에 많은 통신 표준 및 시스템의 개발 및 유지 관리를 포함하도록 확대되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DN(88)은 MEC(Mobile Edge Computing) 네트워크와 같은 에지 컴퓨팅 네트워크 또는 자원을 나타낼 수 있다. ED(52)는 또한 액세스 및 이동성 관리 기능(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AMF)(90)에 연결된다. AMF(90)은 이동성 관리 기능뿐만 아니라 액세스 요청의 인증 및 권한 부여를 담당한다.
UE의 이동성으로 인한 서빙 노드의 스위칭을 말하는 이동성 관리는, 그 스위칭을 위해 노드 간에 그리고 UE와 종종 L2(Layer 2) 또는 L3(Layer 3) 시그널링 및 심지어 데이터 전송/분할을 야기한다.
AMF(90)는 3GPP 기술 사양(TS) 23.501에 의해 정의된 다른 역할 및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서비스 기반 관점에서, AMF(90)는 Namf로 표시된 서비스 기반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른 기능과 통신할 수 있다. 세션 관리 기능(Session Management Function, SMF)(92)은 ED(52)의 특정 세션과 관련된 트래픽에 대한 UPF(86)(또는 특정 UPF(86)의 인스턴스)의 선택뿐만 아니라 UE에 할당된 IP 주소의 할당 및 관리를 담당하는 네트워크 기능이다. SMF(92)는 Nsmf로 표시된 서비스 기반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비스 기반 관점에서 다른 기능과 통신할 수 있다. 인증 서버 기능(Authentication Server Function, AUSF)(94)는 서비스 기반 Nausf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른 네트워크 기능에 인증 서비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노출 기능(Network Exposure Function, NEF)(96)은 네트워크 내에 전개되어, 신뢰할 수 있는 도메인 외부의 서버, 기능 및 기타 엔티티가 네트워크 내의 서비스 및 기능에 노출될 수 있게 한다. 하나의 그러한 예에서, NEF(96)는 도시된 네트워크 외부의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정책 제어 기능(Policy Control Function, PCF)(100), SMF(92) 및 AMF(90)와 같은 네트워크 기능 사이의 프록시와 매우 유사하게 작용하여, 외부 애플리케이션 서버가 데이터 세션과 관련된 파라미터 설정에 사용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NEF(96)은 서비스 기반 Nnef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른 네트워크 기능과 통신할 수 있다. NEF(96)는 또한 비-3GPP 기능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가질 수 있다. NRF(Network Repository Function)(98)은 네트워크 서비스 발굴 기능을 제공한다. NRF(98)은 PLMN(Public Land Mobility Network) 또는 이와 관련된 네트워크 운영자에 따라 그에 맞추어질 수 있다. 서비스 발굴 기능은 네트워크 기능 및 네트워크에 연결된 UE가 기존 네트워크 기능에 액세스하는 위치 및 방법을 결정하게 하고 서비스 기반 인터페이스 Nnrf를 제시할 수 있다. PCF(100)은 서비스 기반 Npcf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른 네트워크 기능과 통신하며 제어 평면 내의 기능을 포함하여 다른 네트워크 기능에 정책 및 규칙을 제공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정책 및 규칙의 시행 및 적용은 반드시 PCF(100)의 책임일 필요는 없으며, 일반적으로 PCF(100)가 정책을 전송하는 전송처의 기능의 책임이다. 이러한 일 예에서, PCF(100)는 세션 관리와 관련된 정책을 SMF(92)에 전송할 수 있다. 이는 네트워크 동작을 관리할 수 있는 통합 정책 프레임워크를 허용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UDM(Unified Data Management Function)(102)은 다른 네트워크 기능과 통신하기 위해 서비스 기반 Nudm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다른 네트워크 기능에 데이터 저장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통합 데이터 저장을 사용하면 단일 자원에서 다양한 네트워크 기능에 가장 관련성이 높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정보를 통합적으로 볼 수 있다. 이는 특정 유형의 데이터가 네트워크에서 저장되는 위치를 결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다른 네트워크 기능의 구현을 더 쉽게 할 수 있다. UDM(102)은 UDM-FE(UDM Front End) 및 UDR(User Data Repository)로서 구현될 수 있다. PCF(100)는, 가입 정책 정보를 요청하고 UDR에 제공하는 것과 관련될 수 있기 때문에, UDM(102)과 연관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PCF(100) 및 UDM(102)은 독립적 인 기능이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PCF는 UDR에 대한 다이렉트 인터페이스를 가질 수 있다. UDM-FE는 UDR에 저장된 콘텐츠 요청 또는 UDR에의 콘텐츠 저장 요청을 수신하며 일반적으로 자격 증명 처리(credential), 위치 관리 및 가입 관리와 같은 기능을 담당한다. UDR-FE는 인증 자격 증명 처리(Authentication Credential Processing), 사용자 식별 처리, 액세스 권한 부여, 등록/이동성 관리, 가입 관리 및 SMS(Short Message Service) 관리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지원할 수도 있다. UDR은 일반적으로 UDM-FE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된 데이터는 전형적으로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 권한을 관리하는 정책 프로파일 정보(PCF(100)에 의해 제공될 수 있음)와 관련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UDR은 정책 데이터뿐만 아니라 가입 식별자, 보안 자격 증명(security credentials), 액세스 및 이동성 관련 가입 데이터 및 세션 관련 데이터 중 어느 하나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는 사용자 가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기능(Application Function, AF)(104)은 네트워크 오퍼레이터 도메인 및 3GPP 호환 네트워크 내에 전개된 애플리케이션의 비 데이터 평면(비 사용자 평면이라고도 함) 기능을 나타낸다. AF(104)는 서비스 기반 Naf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른 핵심 네트워크 기능과 상호 작용하고, 네트워크 성능 노출 정보에 액세스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트래픽 라우팅과 같은 결정에 사용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AF(104)는 또한 PCF(100)와 같은 기능과 상호 작용하여 정책 및 정책 시행 결정에 애플리케이션 특정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많은 상황에서, AF(104)는 다른 NF에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고, 종종 다른 NF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의 소비자 또는 사용자로 간주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3GPP 네트워크 외부의 애플리케이션은 NEF(96)을 사용하여 AF(104)와 동일한 기능을 많이 수행할 수 있다.
ED(52)는 사용자 평면(UP)(106) 및 제어 평면(CP)(108)에있는 네트워크 기능과 통신한다. UPF 86은 CN UP(106)의 일부이다(DN(88)은 5GCN 외부에 있음). (R)AN(84)는 사용자 평면의 일부로 간주될 수 있지만 CN의 일부는 아니기 때문에 CN UP(106)의 일부로 간주되지 않습니다. AMF(90), SMF(92), AUSF(94), NEF(96), NRF(98), PCF(100) 및 UDM(102)는 CN CP(108) 내에 상주하는 기능이며, 종종 제어 평면 기능이라고 한다. AF(104)는 CN CP(108) 내의 (NEF(96)를 통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다른 기능과 통신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CN CP(108)의 일부로 간주되지는 않는다.
통상의 기술자는 (R)AN(84)과 DN(88)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UPF가 있을 수 있으며, Figure 5GSA2-B와 관련하여 설명하겠지만, 상이한 DN에 대한 복수의 데이터 세션은 여러 개의 UPF를 병렬로 사용하여 수용될 수 있다.
도 3은 5G 코어 네트워크 아키텍처(82)의 기준점 표현을 도시한다. 명확성을 위해, 도 2에 도시된 네트워크 기능 중 일부는 이 도면에서 생략되지만, 생략된 기능(그리고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되지 않은 기능)은 도시된 기능과 상호 작용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ED(52)는 (R)AN(84)(사용자 평면(106)) 및 AMF(90)(제어 평면(108)) 모두에 연결된다. ED-AMF 연결은 N1 연결이다. (R)AN(84)도 AMF(90)에 연결되며 N2 연결을 통해 연결된다. (R)AN(84)는 UPF 기능(86)과 N3 연결을 통해 연결된다. UPF(86)는 PDU 세션과 관련되고 N4 인터페이스를 통해 SMF(92)에 연결되어 세션 제어 정보를 수신한다. ED에 여러 개의 PDU 세션이 활성화되어 있으면 여러 개의 서로 다른 UPF에 의해 지원받을 수 있고, 각각은 N4 인터페이스를 통해 SMF에 연결된다. 기준점 표현의 관점에서, SMF(92) 또는 UPF(86)의 다중 인스턴스는 별개의 엔티티로 간주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UPF(86)는 각각 N6 인터페이스를 통해 5GCN 외부의 DN 88에 연결된다. SMF(92)는 N7 인터페이스를 통해 PCF(100)에 연결되고 PCF(100)는 N5 인터페이스를 통해 AF(104)에 연결된다. AMF(90)는 N8 인터페이스를 통해 UDM(102)에 연결된다. UP(106)의 두 UPF가 서로 연결되는 경우, 그들은 N9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UDM(102)은 N10 인터페이스를 통해 SMF(92)에 연결될 수 있다. AMF(90)과 AMF(92)는 N11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N12 인터페이스는 AUSF(94)를 AMF(90)에 연결된다. AUSF는 N13 인터페이스를 통해 UDM(102)에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AMF가 있는 네트워크에서, 그들은 N14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PCF(100)은 N15 인터페이스를 통해 AMF(90)에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에 복수의 SMF가 있는 경우 N16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5G 코어 네트워크의 아키텍처(80 및 82)와 관련하여 위에서 논의된 기능 및 노드 중 일부 또는 전부는 네트워크 내에서 가상화될 수 있고, 네트워크 자체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것처럼 더 큰 자원 풀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로서 제공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4는 5G RAN이라고도 하는 NG-RAN(Next Generation Radio Access Network)(112)의 구현을 위해 제안된 아키텍처(110)를 도시하며, 여기서 하나의 ED는 각 gNB에 대해(동시에) 여러 gNB 또는 여러 DU와 동일하거나 다른 주파수 캐리어를 통해, 또는 일부 자원 멀티플렉싱 방식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여기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각각의 ED-DU 무선 링크는 다중 빔 또는 빔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NG-RAN(112)은 ED(52)를 코어 네트워크(114)에 연결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이다. 통상의 기술자는 코어 네트워크(114)가(Figure 5GSA2-A 및 Figure 5GSA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5GCN일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코어 네트워크(114)는 4g EPC(Evolved Packet Core) 네트워크일 수 있다. NG-RAN(112)을 갖는 노드는 NG 인터페이스를 통해 5G 코어 네트워크(114)에 연결된다. 이 NG 인터페이스는 Figure 5GSA2-A 및 Figure 5GSA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평면에 대한 N2 인터페이스 및 사용자 평면에 대한 N3 인터페이스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N3 인터페이스는 CN UPF에의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NG-RAN(112)은 차세대 NodeB(gNB)로 지칭될 수 있는 복수의 무선 액세스 노드를 포함한다. NG-RAN(112)에서, gNB(116A) 및 gNB(116B)는 Xn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단일 gNB(116A) 내에서, gNB의 기능은 중앙 유닛(gNB-CU)(118A) 및 분산 유닛 세트(gNB-DU(120A-1) 및 gNB-DU(120A-2), 120A로 총칭됨)로 분해될 수 있다. gNB-CU(118A)는 F1 인터페이스를 통해 gNB-DU(120A)에 연결된다. 유사하게, gNB(116B)는 한 세트의 분산 유닛들(gNB-DU(120B-1) 및 gNB-DU(120B))에 연결되는 gNB-CU(118B)를 갖는다. 각각의 gNB DU는 PLMN 내에서 무선 커버리지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셀을 담당할 수 있다.
gNB-CU와 gNB-DU 간의 책임 분담은 3GPP에 의해 정의되고 있다. 무선 자원 관리 또는 무선 자원 모니터링(RLM) 기능과 같은 다른 기능들은 CU와 DU 중 하나에 주어질 수 있으며, 또한 ED에서도 ED와 DU 사이에서 하나 이상의 무선 링크 또는 링크당 하나 또는 여러 개의 빔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모든 기능적 배치와 마찬가지로 특정 기능을 한 위치 또는 다른 위치에 배치하는 데 장단점이 있을 수 있다. NG-RAN(112)과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기능들 중 일부 또는 전부는 네트워크 내에서 가상화될 수 있고, 네트워크 자체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더 큰 자원 풀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로서 제공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5는, 동일한 ED에 의해, 서로 연동된 NR(New Radio) 및 LTE 무선 인터페이스를 지원할 수 있는 5G 네트워크를 위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아키텍처(122)를 도시한다. 즉, 하나의 인터페이스(LTE ng-eNB를 가진)가 하나의 캐리어상에서의 전방향(omni-directional) 무선 링크일 때, 다른 인터페이스(NR gNB를 가진)는 다른 캐리어상에서의 전방향 링크일 수 있고, 다른 캐리어는 또 다른 캐리어상에서의 다중 빔 무선 링크와 연결된다. UE에 내장된 RLM 기능 및 BFR 기능은, 링크- 또는 셀-레벨 RLF 상태를 도출하고 측정된 단일 또는 다중 빔 링크 품질 메트릭 및 RLF 상태를 네트워크에 보고하기 위해, 장치 내 표시(빔-, 채널- 또는 셀-특정 무선 링크 품질 메트릭, 또는 IS, OOS, 또는 아직 정의되지 않은 RLF 또는 BFR 표시))를 통해 동일한 UE 내에서 RLF와 상호 작용하면서, 다운링크 무선 링크(예를 들어, RSRP, RSRQ 등)를 모니터링한다. NR이 다중 빔 관련 RLM, BFR 및 RLM과의 상호 작용에 대한 이러한 메커니즘을 정의하는 것은 현 시점에서 중요하다. 차세대 RAN(NG-RAN)은 집합적으로 NG-RAN 노드(124)로 지칭되는 NG-RAN 노드(124A), NG-RAN 노드(124B) 및 NG-RAN 노드(124C)와 같은 복수의 NG-RAN 노드를 포함한다. NG-RAN 노드(124)는 전형적으로 ED(52)가 NG-RAN에 연결되는 무선 에지 노드이다. 각각의 NG-RAN 노드(124)는 Figure 5G RAN3-1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CU 및 DU로 분할될 수 있다. ED(52)에 제공되는 연결 유형은 ED(52)의 능력 및 특정 NG-RAN 노드(124)의 능력에 따라 변할 수 있다. NG-RAN 노드(124A)는 DU의 일부로서 ED(52)에 LTE 연결을 제공할 수 있는 차세대 진화 노드 B(ng-eNB)(126A)를 포함한다. NG-RAN 노드(124C)는 그 DU의 일부로서 ED(52)에 차세대 무선 액세스(NR) 연결을 제공할 수 있는 gNB(128B)를 포함한다. NG-RAN 노드(124A)가 gNB의 부족으로 인해 ED(52)에 NR 연결을 제공할 수 없는 것처럼, NG-RAN 노드(124C)는 ng-eNB의 부족으로 인해 ED(52)에 LTE 연결을 제공할 수 없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이 도면을 참조하여 DU의 일부로서 gNB에 대한 설명은 ED에 대한 차세대 RAT 연결을 제공할 수 있는 DU를 포함하고, ng-eNB는 ED에 LTE RAT 연결을 제공할 수 있는 DU를 포함한다.. NG-RAN 노드(124B)는 그 DU 내에 ng-eNB(126B) 및 gNB(128A)를 모두 포함한다. 이것은 NG-RAN 노드(124B)가 LTE 및 NR 연결을 ED(52)에 제공할 수 있게 한다.
NG-RAN 노드(124)는 Xn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른 NG-RAN 노드(124)와 통신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NG-RAN 노드(124A)는 NG-RAN 노드(124C)와 Xn 인터페이스 연결을 가질 수 있다. NG-RAN 노드(124)는 N2 또는 N3 인터페이스와 같은 NG 인터페이스를 통한 연결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114)에 연결될 수 있는 반면, ED(52)는 N1 인터페이스와 같은 NG NAS(Network Access Stratum) 인터페이스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114)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안된 통합 5G NR RLF 검출 메커니즘은 제안된 기본 풀-다이버시티 빔 실패 복구(BFR) 메커니즘과 효과적으로 상호 작용한다. "풀-다이버시티(full-diversity)" BFR은 아래의 임의의 또는 모든 예시적인 순차적인 BFR 단계들에서 다차원의 다양화된(diversified) 인자들(factors) 또는 선택들(예컨대, 실행 가능한 통신 및 시그널링 경로)을 철저하게 또는 선택적으로 그러나 충분하게 적시에 고려하고, 또 그 상태에 대해 임의의 정의되어야 할 BFR 표시를 상위층(RLM 또는 RLF)에 송신하기 전에 BFR 상태(성공 또는 실패)에 대한 결론에 도달하는 BFR 프로세스를 지칭한다.
1) BPL 실패 검출(단계 1): UE-특정 서빙 셀들(예컨대, 주요 셀(Primary Cell, Pcell), 주요 2차 셀(Primary Secondary Cell, Pscell) 또는 2차 셀(Secondary Cell(Scell)) 중 임의의 것 또는 전부에서, 구성된 서빙(예를 들어, 제어) 채널(CH) 및 참조 신호들(예를 들어, xSS, xRS)을 구성하는 서빙 빔 쌍 링크들을 측정하는 단계.
2) 새로운 빔 식별(2 단계): 구성에 기초하여, 소스 또는 타깃 서빙 CH의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빔 쌍의 풀-다이버시티를 탐색하는 단계. CH는 PCell/SCell/PScell의 일부 또는 전부에서의 제어 또는 데이터를 위한, 또는 임의의 또는 모든 참조 신호 등에 기초한 다운링크(DL), 업링크(UL)일 수 있다.
3) 빔 복구 요청(단계 3): 저주파(low frequency, LF) 또는 고주파(high freuencey, HF)의 동일하거나 혼합된 캐리어를 가지고 L1-L3 시그널링(UCI, MAC 제어 요소(Control Element, CE), 스케줄링 요청(Scheduling Request, SR), 사운딩 참조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SRS), 등)을 통해 제어 또는 데이터 채널(RACH, PUCCH, PUSCH 등)과 함께 가능한 UL 경로의 풀-다이버시티를 탐색하는 단계.
4) BFR 복구 응답의 모니터링(4 단계): L1~L3 시그널링(DCI, RRC, MAC, CE, 등)을 통해, 또는 하나 또는 다수의 서빙 셀(PCell/SCell/Pscell)을 가로질러, 또는 각 셀에서 특정 서빙 캐리어 또는 다중 캐리어를 통하는 등으로, 제어 또는 데이터 채널(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 PDSCH, 등), 참조 신호(SS-블록/PSS/SSS, xRS, 등)에 대해 가능한 DL 경로의 풀-다이버시티를 탐색하는 단계.
상기 설계에서, BFR의 각각의 예시적인 단계는 철저하게 또는 선택적으로 그러나 적시에(네트워크 구성 타이머 제약에 기초하여) 그리고 충분히(즉, 네트워크 구성 최대 재시도 제한 하에서 요청-응답의 재시도), 상위 계층에서 RLF 동작을 트리거하지 않으면서, L1/L2 에서의 빔 실패를 해결하려고 시도할 수 있지만, 상기한 단계들 중 어느 하나라도 실패하면, 상위계층 RLF 또는 RLM에 대해, 타이머 기반(예 : LTE에서 주기적으로) 또는 주기적, 비주기적 또는 이벤트 기반(OOS, IS, 링크 또는 BFR 상태) 표시를 충분히 임시로 트리거할 수 있다. 모든 4 단계(상기 도시된 1 내지 4)의 적시 달성은 RLF 또는 RLM에 송신되는 (IS 또는 성공) 표시를 가지고 BFR 성공으로 주장될 수 있다. 반대로, RLF 상태, 타이머 및 상위 계층에 대한 지식은 하위 계층에 BFR 상태 머신을 최적화(예를 들어, RLF 선언 또는 링크 복구의 이벤트에 대해 리셋, 연기, 조기 종료 또는 가속)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또한, 제안된 상호 작용 통합 모듈(interaction unification module, IUM)은 BFR이 상기한 BFR 단계와 RLM으로부터의 표시를 통합하여 상위 계층(L2 또는 L3) RLF 모듈에 고유한 이벤트-구동 또는 타이머-구동 표시(예 : IS, OOS)를 생성하는 것을 돕는다. 반대로 IUM은 하위 계층 BFR 동작을 지원하기 위해 RLF 상태 머신 및 기타 상위 계층 정보를 고려할 수 있다. IUM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프로토콜 계층, 또는 단일 또는 다중 모듈(BFR, Beam Management(BM), RLM 또는 RLF)에 위치할 수 있다.
명확성을 위해, BM은 임의의 빔 특정 동작, 특히 동일한 서빙 노드, 노드 패밀리(TRP) 및 그의 부모 셀/gNB에 대한 빔 정렬, 빔 리파이닝, 빔 트래킹 및 빔 스위칭을 지칭할 수 있다 ) 또는 엄격하게 동기화된 노드(말 그대로 빔 동작의 관점에서 UE에 의해 구별될 수없는 다수의 TRP)
명확히 하기 위해, TRP는 네트워크의 가장자리에서 아직 안쪽에 있는 서빙 노드의 유닛을 지칭하고, 무선으로 UE와 통신하며, 일반적으로 RRH w. 또는 w/o PHY 또는 MAC이라고도 칭한다.
현재 개시된 혁신은 RLF 및 RLF-BFR 상호 작용 방법의 매우 필요한, 모듈식 그리고 단일/다중 빔 통합된 절차를 제공하여, NR에서 저비용의, 확장 가능한, 신뢰할 수 있는 RLF 검출을 가능하게 한다. 하위 계층 BFR과 상위 계층 RLF 상태 머신은 간단한 상호 작용으로 적절하게 분리될 수 있으며, 왜냐하면, BFR이 IUM 모듈을 통한 RLF로부터의 하위 계층 빔 특정 다이내믹(빔 실패)을 마스크하는 한, RLF는 무엇이 OOS, IS를 일으키는지 알 필요도 없고 관심을 가질 필요도 없기 때문이다.
3GPP RAN1의 NR 시스템에서, 빔 실패 및 빔 복구 실패의 기준은 아직 결정되지 않았으며, 특히 단계적 IS/OSS 생성 및 RLF에 표시를 송신하기 전 (셀-레벨) 표시 통합에 대해, BFR의 각 단계에서 아직 고려되는 "풀-다이버시티" 표시는 없으며, 한편, NR 시스템용 3GPP RAN2 RAN2는 특정 합의에 도달했지만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했다.
2) UE가 어떻게 다중 빔 링크에 대해 RRC 선언(셀 특정) RLF에 대한 BFR 및 RLM(OOS, IS) 표시를 생성하고 송신할 수 있는지, 그리고
3) 다중 빔 및 단일 빔 RLM 동작에 관계없이 BFR-RLF 상호 작용의 통일된 절차는 무엇인지.
RLF는 OOS, IS의 PHY 표시, RLC(ARQ 재시도) 실패 또는 RACH(SR 재시도 후) 실패의 3 가지 옵션을 기반으로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연결 모드에 대해, UE는 DL OOS 검출, 랜덤 액세스 절차 실패 검출 및 RLC(ARQ 재전송) 실패 검출로 인한 (T310 또는 T312) 타이머 만료시 RFL를 선언한다. 최대 ARQ 재전송 횟수가 RLC 실패 검출의 유일한 기준인지 여부는 향후 연구가 필요하다.
NR RLM 절차에서 물리 계층은 비동기(OOS)/동기(IS) 표시를 수행하고 RRC는 RLF를 선언하지만 다중 빔 링크에 대한 NR RLM은 여전히 정의되어야 한다.
RLF에 대해, RAN2 선호는, 동기/비동기 표시가 셀당 지시이어야 한다는 것이고, 본 발명은 단일 또는 다수의 서빙 셀에서 다중-빔 또는 단일-빔 무선 링크 동작에 관계없이 RLF/RLM-BFR 상호 작용의 단일 절차를 설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현재 새로운 RLF 검출 메커니즘이 필요한데, 이것은, 예컨대 NR RLF 및 빔 실패 검출에 대해 아직 정의되어야 하는 xSS/xRS에 의해 표시되는 빔포밍된 방향성 참조 신호(LTE에서 전 방향성 셀 특정 RS(CRS)를 대신하는), 각 서빙 채널 또는 링크의 다중 빔 구성으로 인한 UE에 대한 불명료한(링크-레벨, 셀-레벨, 다중-셀) RLF 정의, 제어 및 데이터 간의 공간적으로 상호 연관되지 않거나 또는 QCL(non-quasi-co-located) 채널, 이상적이지 않은 UL 및 DL 빔 대응관계, 동시에 다중 서빙 셀(Pcell/Scell/Pscell), 상이한 캐리어 또는 참조 신호, 그리고 L1(또는 L2 또는 모두) BFR 상태 머신과 상위 계층(L2 또는 L3) RLF 상태 머신 간, 이들 사이의 불명료한 표시 변경도 포함하여, 불명료한 상호작용과 같은, NR에서 새로 도입된 PHY 특징으로 인해 LTE와 상이하다.
현재 LTE의 RLM/RLF(채널 메트릭 임계치 Q_out/Q_in 포함)는 일반적으로 전방향성 CRS 측정치 및 테이블 조회 기반 가상 PDCCH 채널 블록 오류율(hypothetical PDCCH channel Block Error Rate(BLER))으로부터의 SINR을 기반으로 하지만, NR에서 셀 특정 CRS는 더 이상 없고, SS 블록, PBCH DM-RS, CSI-RS 또는 다른 참조 신호가 대신 사용될 수 있으며, 3GPP 표준에는 아직 공식적으로 정의되어 있지 않다. 또한 DC/CA(Carrier Aggregation)가 포함된 LTE RLF는 MeNB의 PCell 또는 SeNB의 PScell만을 기반으로 하지만 실제로 PCell이 실패하더라도 사용 가능한 PUCCH SCell 그룹에서 UL/DL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CA의 각 셀 내에서, 한 캐리어는 실패하지만 다른 캐리어는 여전히 살아있을 수 있다. NR RLF에 대한 기존의 NR 제안은 상위 계층에 표시를 생성하기 전에 BFR의 풀-다이버시티를 탐색하지 못하여 일시적 BFR 상태에 따라 임의의 또는 불가능한 표시를 트리거하거나, 셀 레벨 RLF 및 빔 레벨 BFR 상태를 그들의 엄청난 시간 스케일의 차이에 관계 없이 함께 가공하므로(tangling) 불안정하거나 최적화되지 않은 RLF 동작을 야기한다. NR에서 다중 빔 RLM 및 BFR에 대한 공식적인 정의가 없기 때문에 설계가 매우 어려워진다. 명확성을 위해, CSI-RS/DM-RS/SS Block/PSS/SSS는 참조 신호(RS) 또는 일차/이차 동기화 신호(PSS/SSS)의 약어로, 일반적으로 xSS/xRS라고 한다.
도 6은, UE에서, 풀-다이버시티 빔 실패 복구(BRF) 및 통합된 무선 링크 실패(Radio Link Failure, RLF) 및 이들의 상호 작용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통합 및 단일 모듈(Integration and Unification Module, IUM)의 논리 모듈이 RLM 또는 RLF의 일부로서 단독으로, 또는 상이한 계층을 가로질러서, 또는 RLF, BFR 또는 RLM 모듈의 일부로서, 어디에나 위치할 수 있고, BFR은, 상위 계층에 어떤 트리거를 보내기 전에, 가능한 많이 그리고 가능한 빨리 정해진 임무를 완수하기 위해 옵션의 "풀-다이버시티"를 이용한다.
도 6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안된 풀-다이버시티 BRF의 실시예는, 제안된 (다중 셀, 셀당 또는 링크당) 통합된 RLF 메커니즘들, 그 사이의 다중 소스 표시의 제안된 통합 및 UE에서의 그들의 상호 작용을 개시하며, 사이드라인으로 된 계층 특정 시그널링(내포적으로 원격 네트워크 장치)은 무선을 통한 UE 내에서의 동작의 각 계층에 대한 입력을 제공한다. 요컨대, 이 도면은 RLF 상태 머신을 계층 3에서 가능한 온전하게(LTE의 경우와 비교)한 상태로 유지하고, L1(또는 L2)에서 다중 빔 BRF를 가능한 포괄적이고 적시에 처리하는 메커니즘의 실시예를 보여준다. 제안된 RLF는, 풀-다이버시티 BRF 표시 상태, 비주기적 또는 이벤트 구동(event-driven) IS, OOS 및 암시적으로 다른 모든(예 : 다중 빔 RLM 생성 주기) IS, OOS로부터 통합된 네트워크 구성 또는 결정된(network configured or per-determined) IS, OOS 레벨만 고려한다. 결국 단일 또는 다수의 기본 서빙 빔, 참조 신호, 셀, CH 및 캐리어 등에 관계없이 RLF 탐지의 균일한 절차가 작동한다. L2에 위치하거나(설명 목적으로만 표시된 바와 같이) 여러 계층에 걸쳐 또는 RLF, RLM 및/또는 BRF 내부에 분산적으로 있는 IUM 모듈은 RLF와 BRF 사이의 통합된 표시를 유도하고 보고한다.
하위 계층에서 상위 계층으로 상향으로 제안된 IUM은, 단일 또는 다중 서빙 빔(CH 당) 등에 기초하여, 단일 또는 다수의 CH(각 셀의 또는 각 캐리어에 걸쳐 등)에 대해, 단일 또는 다수의 셀 그룹(2차 셀 그룹(secondary cell group(SCG), 마스터 셀 그룹(master cell group(MCG))에서, 단일 또는 다중 참조 신호(xSS/xRS)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다중 서빙 셀 또는 캐리어(PSCell, Scell, Pcell, 등를 가로질러 타깃 무선 링크에 대한 구성된 레벨에서 각각, 시간 순서로 또는 다수의 시간 순서로 병렬로, 통합된 IS, OOS를 유도한다.
상위 계층에서 하위 계층으로 하향으로 제안된 IUM은 또한, BFR 동작의 최적화 또는 지원을 위해, 듀얼 커넥티비티(dual connectivity, DC)/멀티 커넥티비티(multi-connectivity, MC)/CA/핸도오버(HO)/RLF/RLM/무선 자원 관리(Radio Resource Management, RRM)/RRC 등 상태를 포함하여, 상위 계층의 유용한 정보로부터, 시간 순서로 또는 다수의 시간 순서로 병렬로, 통합된 BFR 지원 표시를 도출한다.
도 7은, 기존 LTE 시스템에서, RLM 채널 메트릭(RSRP/RSRQ) 측정치, RLM에서 RLF로 전송된 최초 및 주기적 IN/OOS 표시(들), 타이머 기반 RLF 동작에 대한 연속 표시의 카운팅을 포함하는 RLM 및 RLF 절차를 도시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UE는 (CRS에 기초하여) 다운링크 무선 링크 품질을 모니터링하고, 이를, PCell 또는 PSCell에 대한 CRS SINR(CIR) 측정치에 기초하여,TS 36.133에서와 같이, 비동기 및 동기 임계값, Qout(-8dB) 및 Qin(-6dB)과 비교한다. DRX를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고 동일한 임계치 레벨을 적용할 수 있다. DRX ON에서, 주기적 IS, OOS가 DRX 사이클을 기반으로 생성된다.
LTE에서, 임계치 Qout은 다운링크 무선 링크가 안정적으로 수신될 수 없는 레벨로 정의되며, TS 36.133의 표 7.6.1-1에 명시된 전송 매개 변수와 PCFICH 오류를 고려하면, 서빙 셀로부터의 가상 PDCCH 전송의 10% BLER(Qin은 2% BLER에 대응)에 대응한다. LTE에서, 추정된 PCell 또는 PSCell의 CRS SINR이 Qout보다 나빠질 때, UE의 계층 1은 비동기(OOS) 표시를 (주기적으로) 상위 계층에 보내고 상위 계층은 타이머(T310)를 시작한다. CRS SINR이 Qin보다 높을 때, L1은 동기(IS) 표시를 주기적으로 상위 계층에 보낸다
T310의 타이머가 만료되면, 즉 T310의 마지막(200ms) 기간 동안 IS 표시가 없으면 RLF가 선언되고 RRC 연결 리셋 및 T311이 트리거된다. 연속적인 N310 OOS 표시가 관찰되면, T310이 시작되고 N311 IS 표시가 수신되면 T310이 중지된다.
물리 계층 문제는 LTE CRS(예: RSS/CIR 또는 RSRP/RSRQ)와 같은 셀 특정 및 빔포밍이 아닌(또는 전방향성) 메트릭을 모니터링하는 기존 RLM 모듈에 의해 검출된다.
4) CRS 파일럿 기반 측정치의 L1 필터링/샘플링(RSS/CIR)(200ms 또는 100ms 슬라이딩 윈도우에서 10ms 샘플링)은 필터링된 CIR<Qout(-8dB) 또는 >Qin(-6dB) 임계치와 비교함으로써 PDCCH BLER > 10% 또는 < 20%에 매핑된다.
5) 비동기/동기 표시의 L3 필터링은 연속적인 비동기 또는 동기 표시의 OOS>=N310(T310 트리거) 또는 IS>=N311(T310 리셋을 트리거)의 수를 비교하는 것을 참조한다. 이때, T310은 RLF 검출 주기로 500~1000ms 또는 소형셀을 위해 50ms로 설정할 수 있다.
L3/RRC 계층에는 다음과 같은 RLF 타이머가 있다
6) T310은, Pcell/Pscell에 대한 물리 계층 문제를 검출 할 때, 즉 하위 계층으로부터 N310 연속 OOS를 수신 할 때, 시작된다. UE가, T310이 만료되기 전에, 하위 계층 Pcell/Pscell로부터 N311 연속적 IS를 수신한 때, 핸드오버(HANDOVER) 절차를 트리거한 때, 그리고 연결(CONNECTION) 재구축 절차를 개시한 때, 그것은 멈춘다. T310 만료는 T311 및 RLF를 트리거하고 이후 연결 재구축 절차를 개시한다.
7) T311은 RRC 연결 재구축 절차가 시작될 때 시작되고, 적합한 E-UTRA 셀 또는 다른 RAT를 사용하는 셀이 선택되면 중지된다. T311 만료는 UE가 RRC_IDLE에 들어가도록 트리거한다.
8) T312는, T310이 실행되는 동안, T312가 구성되어 있던 측정 ID에 대한 측정 보고서를 트리거하면 시작된다. 하위 계층으로부터 N311 연속 동기 표시를 수신할 때, 핸드오버 절차를 트리거 할 때, 연결 재구축 절차를 시작할 때, 및 T310의 만료시에 정지한다. 컨텍스트/보안이 준비된 경우 T312 만료는 RLF를 트리거하고 연결 재구축 절차를 시작하고, 그렇지 않으면 RRC_IDLE로 이동한다.
LTE의 경우 RLF의 두 단계가 있다. 첫 번째는 RLF 검출(T310 만료시)이고 두 번째는 RRC 복구(T311 또는 T312 만료시 종료)이다. 도 8은 LTE에서 사용될 수 있는 2개의 RLF 단계를 예시한다.
9) LTE CA 및 DC에서 LTE RLF/RLM은 MeNB의 PCell 또는 SeNB의 PScell에만 기초로 한다.
10) CA에 대해, PCell에 RLF가 발생하면 RRC 연결 재구축이 트리거된다. UE는 eNB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SCell의 RLF를 모니터링하지 않는다.
11) DC의 경우 무선 링크 실패 절차의 제1 단계가 PCell 및 PSCell에 대해 지원된다. PCell에 RLF가 발생하면 재구축이 트리거된다. 그러나, PSCell에서 RLF를 검출한 때, 재구축 절차는 제1 단계가 끝날 때 트리거되지 않는다. 대신에, UE는 PSCell의 무선 링크 실패를 MeNB에 통지한다.
12) DC/CA의 두 단계(RLF 검출 및 RRC 복구):
13) 단일 캐리어 및 CA의 경우 PCell에 RLF가 발생하면 재구축이 트리거된다. UE는 eNB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SCell의 RLF를 모니터링하지 않는다.
14) DC의 경우 무선 링크 실패 절차의 제1 단계가 PCell 및 PSCell에 대해 지원된다. PCell에 RLF가 발생하면 리셋이 트리거된다. 그러나, PSCell에서 RLF를 검출한 때, 재구축 절차는 제1 단계가 끝날 때 트리거되지 않는다. 대신에, UE는 PSCell의 무선 링크 실패를 MeNB에 통지한다.
15) LTE에서, UE는 다음 상황 중 하나가 충족 될 때(PHY 계층 검출에 기초하지 않음) 상위 계층(L3)에서 무선 링크 실패(RLF)를 선언해야 한다 :
16) RLC로부터의 최대 (ARQ) 재전송 횟수에 도달했다는 표시;
17) MAC으로부터의, T300, T301, T304 및 T311이 실행되고 있지 않은 동안 RACH(Random Access) 문제가 발생했다는 표시.
18) T310이 실행 중일 때 즉, T312가 만료한 때, T312 동안 핸드오버 명령 수신 실패.
19) 예컨대, T310 만료 및 T311 시작시, 무선 링크 모니터링(RLM)(즉, N310 번호의 연속 OOS이지만 N310 번호의 연속 IS 없음)에 기반한 물리 계층 문제 검출.
3GPP TR 38.802에 따라, NR에서, 빔 실패 이벤트는 연관된 제어 채널의 빔 페어 링크(들)의 품질이 충분히 낮아질 때(예를 들어, 임계치와의 비교, 연관된 타이머의 타임 아웃) 발생한다.
RAN1은 갑작스러운 빔 품질 저하를 극복하기 위해 UE로 트리거되는 빔 복구 절차를 설계하고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IS, OOS를 도출하기 위한 풀-다이버시티 BFR. 우리의 제안된 풀-다이버시티 BFR에서, BFR의 임의의 단계는(예를 들어 특정 UE 장치를 취함):
20) 다음을 위해, 필요하면 다중 빔 RLM 메커니즘을 사용할 수 있고,
가. NR에서 다중 빔 RRM [2,6]과 유사하거나 확장 가능한 다중 가능한 빔을 선택/통합하기 위해,
나. [2, 6]에서의 구성에 기초하여 다중 빔을 측정하여 CH- 또는 셀-레벨 RLM 메트릭을 유도하기 위해;
21) 다음이 충족되는 한, 실패 또는 타임 아웃시(CH당 또는 셀당), RLF OOS, IS를 트리거할 수 있으며(예: IUM 기능을 가지고 또는 없이): 가. 다음 OOS, IS 생성 조건이 충족되는 한, 및/또는 나. 캐리어당(per carrier) 측정된 셀 또는 CH에 대해 계층 특정 표시 주파수 제어 또는 주기 타이머가 트리거되는 한;
22) CH-특정 OOS, IS 생성 조건을 점검한다: 각각의 특정 빔이 서빙 캐리어/CH/셀의 특정 xSS/xRS를 반송한다고 가정하고, UE의 PHY 계층은 LTE에서와 같이 수정되거나 유사한 RLM 메커니즘을 채택한다(L1 샘플링 및 필터링 및 IN/OOS 생성 간격 포함); 또한, 4개의 BFR 단계들 각각이 이 UE에 대한 서빙 빔들/CH들/셀들의 수에 관계없이 그것의 구체적인(시그널링 또는 결정) 메커니즘들을 가질 수 있다고 가정한다.
다중 빔 CH 특정 OOS 생성 조건은 여러 가지 이유로 충족된다. 예를 들어, 일부 예들에서, 그것의 필터링/샘플링된 RLM 메트릭스<Qout, 또는 UE 또는 채널-특정 xRS(CSI-RS 및/또는 DMRS)에 기초하여 CH의 가상 BLER(예를 들어, PDCCH)>threshold_OOS일 때, 그리고 OOS 생성 주파수를 제어하는 타이머가 트리거되는 경우에 대해서 그렇다. 다른 예에서, 필터링된/샘플링된 RLM 메트릭스<Qout, 또는 UE 또는 채널-특정 xRS(CSI-RS 및/또는 DMRS)에 기초하여 CH의 가상 BLER(예를 들어, PDCCH)<threshold_OOS 일 때 조건이 충족될 수 있다. IS 생성 조건은 OOS가 트리거된 후 여기 모든 시나리오에 대해 Qin 및 threshold_IS를 기반으로 마찬가지로 할 수 있다. 또한 채널당 빔만 있는 경우 CH 특정 표시가 빔 특정으로 감소할 수 있다.
공통 OOS 생성 조건은, 셀 특정 공통 신호, 예를 들어 PSS 또는 SS-블록 또는 PBCH(DMRS 포함)의, 몇몇 개수(예컨대 조합을 포함) 동안 또는 임의의 기간에 걸쳐(타이머에 의해), 예컨대 각 사이클이 하나의 SS-블록-버스트 설정 기간에 상응할 수 있는 빔 스위핑(beam sweeping)의 하나 또는 다중 사이클에서, UE의 수신 및 디코딩 실패시에 있다.
제안된 풀-다이버시티 BFR의 각 단계는 시간 제약을 가지고 BFR 성공 또는 실패를 빠르고 확실하게 결정하기 위한 단계에서 선택 또는 모든 이용 가능한 선택을 이용한다. 예를 들어, 단계 1에서 셀 1의 실패 제어 CH(빔)의 빔 복구 요청은 시간이 허용되는 한(임의의 타이머에 기초하여) 셀 2의 RACH 또는 단계 2 식별된 UL 데이터 CH(빔)에 따라 MAC CE 피기 백(piggy back)에 의지할 수 있다. 초기 단계의 성공 또는 실패 또는 일부 다이버시티의 활용은, RLF에 표시를 제공하기 위해 이후 단계/다른 다이버시티를 건너뛸 수 있다. 각각의 단계는 통합 기능을 통해 RLF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지시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BFR과 통합 RLF 사이의 상호 작용 통합 모듈(IUM) 기능이 개시된다. IUM 모듈은 L1/L2 다차원 OOS, IS, 링크 또는 BFR 상태 표시를 셀당 OOS, IS 표시(또는 새로운 표시를 포함하지만, 바람직하게는 OOS, IS만을 포함하여 전달됨)로 필터링하거나 통합하기 위해, 이하와 같이 구현될 수 있다. 특정 UE를 예로서 사용한다.
링크 복구 표시는 링크 복구 성공에 대응하는 비주기적 표시(예를 들어, RLM에 대해 정의된 것과 동일한 IS), 또는 링크 복구 실패에 대응하는 비주기적 표시(예를 들어, RLM에 대해 정의된 것과 동일한 OOS) 또는 주기적 또는 이벤트 기반 링크 복구 상태를 지칭한다. 링크 복구 상태는, 실패 검출 인스턴스, 식별된 새로운 빔, 측정된 참조 신호 강도 또는 제어 또는 데이터 채널 품질, 구성된 기준에 따른 식별된 빔 경로의 구현 가능성, 및 구성된, 타이머 또는 카운터 기반의 제약 하에서의 단계적 성공 또는 실패 및 전체 링크 복구 프로세스의 최종 성공 또는 실패를 나타낸다. 셀당 RLF OOS 표시는 이 셀에 있는 경우, 아래의 경우 및 이후에는 주기적으로 IUM 기능에 의해 생성된다.
23) 공통 DL 제어 CH(예를 들어, 공통 PDCCH)의 CH 특정 OOS 생성 조건이 충족되거나, 또는
24) UE- 특정 DL 제어 CH(예를 들어, UE- 특정 PDCCH)의 CH- 특정 OOS 생성 조건이 충족되거나, 또는
25) 공통 OOS 생성 조건이 충족되었거나, 또는
26) 상기 단락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최종적인 링크 또는 BFR 실패 또는 단계적(4개의 단계 중에서) 실패, 또는 기준-기반 채널 품질 하락(criteria-based channel quality drop) 중 하나를 나타내는 링크 또는 BFR 상태, 또는
27) 보고 또는 생성 빈도를 위한 제어 타이머, 또는 링크 또는 BFR 또는 BM 이벤트가 트리거된다.
IUM 통일 기능의 다른 실시예에서,
28) 위의 A~E는 논리적 "AND" 대신 다르게 또는 "OR"과 "AND" 등을 혼합하거나 다른 수학으로 결합될 수 있다. 가중화된 합산과 같은 조합(참고 : 가중치가 1/0인 경우 평균 또는 우선 순위 기반과 유사한다. 예를 들어 PSCell/Pcell 또는 특정 xRS 또는 기타 만 고려하고, 이것은 또한 구성 가능하다)
29) 위의 A~E 중 하나 이상을 OR 또는 AND로 다른 직교 조건과 결합하여 IUM 기능을 정의할 수 있다
30) 셀당 RLF IS : 위의 내용은 IS에도 적용된다(BFR 성공 대체 링크 복구 또는 BFR 실패를 포함);
31) 링크 또는 BFR 상태가 채널, 캐리어 또는 신호 특정인 경우 위의 A~E는 채널 별(per-channel) 또는 캐리어 별(per-carrier) 또는 신호 별(per-singal)에도 적용 가능
멀티 셀 OOS, IS도 다음에 의해 마찬가지로 IUM으로 통합 가능하다:
32) 다수의 서빙 셀(PSCell, PCell, Scell) 또는 셀 그룹에 적용되는 IUM의 A~E 단계들을 모두 혼합하는 것에 의해, 또는
33) 셀 레벨 RLF OOS 또는 IS 결과만을 셀당(per-cell) IUM의 출력으로서 결합하는 것에 의해.
IUM 통합 기능은 표시 생성 또는 보고를 위해 시나리오 또는 구성에 기초하여, CH당(per CH), 신호당(per signal), 캐리어당(per-carrier), 셀당(per-cell), 다중 셀, 셀당 그룹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IUM 통합 기능은 임의 또는 모든 특정 계층(L1~L3), 즉 독립 모듈로서 또는 RLF 또는 BRF에 통합되어 중앙 집중되거나 분산될 수 있다.
IUM 통합 기능은 단일 UE 또는 네트워크 장치에서, 하위 BRF에서 상위 계층 RLF(통합 IS, OOS 생성)로 또는 역방향(통합 BFR 지원 생성)으로, 또는 엔드 투 엔드(UE-측 및 네트워크 측 시그널링)로 시작할 수 있다. 통합 기능(unification functions)은 빔당 또는 채널당 IS, OOS 등의 AND 및 OR 조합보다는 예컨대 NR_CH_quality의 다른 숫자 형식을 기반으로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RLF와 BFR 메커니즘(상태 머신) 사이의 제안된 종단 간 상호 작용 모델이 개시된다.
도 9는 900에서 BFR-RLF 상호 작용의 엔드-투-엔드 및 크로스-계층(cross-layer) 프레임워크를 나타내며, 여기서 사용자-측 장치, 예를 들어 UE(또는 태블릿, PC 등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진 임의의 다른 사용자 장치) 및 네트워크 장치(예를 들어, gNB 또는 TRP) 간의 엔드-투-엔드 및 계층-바이-계층(layer-by-layer) 시그널링이 902(계층 3), 904(계층 2), 906(물리적 계층)에서 발생한다. 표시되는 계층은 사실상 예시적인 것이며, 다른 실시예에서 변경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블록(904)의 L2에서의 기능은 제안된 통합 등을 수행하기 위한(다중 프로토콜 계층에 걸쳐있을 수 있는) RLM의 일부로 간주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UE에서의 L2(904)는 간단히 생략될 수 있고, 하위 계층에서의 BFR 동작은 직접적으로, IN/OUT-of SYNC(IS, OOS) 또는 다른 BFR 표시를 트리거하기 위해 원인 근거(causal foundation)를 (충분하게) 상위 계층 RLF 상태 머신에 제공한다. 또한, (L2) BFR 동작(904)의 존재는 단지 예를 위한 것이며, L2 BFR 시그널링(예를 들어, MAC CE)이 표준에 도입되는 경우를 위한 예시적 목적이며, 도 10에서도 마찬가지이다.
PHY 계층(906)에서, UE는 gNB/TRP와의 L1 BFR 시그널링을 가지며, UE는 또한 다중 빔 RLM 및/또는 다른 곳에서 설명한 풀-다이버시티 BFR 프로세스의 일부로서 gNB/TRP로부터의 (DL) 빔포밍된 참조 신호를 모니터링한다. 앞에서 설명한 단계에서 풀-다이버시티 BFR 동작은 적어도 이 계층(906)에서 무선으로, 다차원 빔, 신호, 셀 및 채널 등을 고려하여 BFT(성공 또는 실패) 상태, IS 또는 OOS 표시를 유도한다. 계층 2(904)에서, UE 및/또는 gNB/TRP는 L2 BFR 관련 시그널링(예를 들어, MAC CE)을 통해 BFR 동작이 성공 또는 실패인지를 공동으로 결정할 수 있다. 계층 3 또는 RRC(902)에서, 복수의 타이머 및 카운터를 갖는 RLF 동작은, gNB/TRP에서 RLF 머신을 도출하기 위해, RLF 또는 RACH 또는 RLC 상태 머신으로부터의 다른 직교 입력 및 gNB/TRP의 RLF/HO 상태와 UE측 상태 사이의 무선 RRC 시그널링 교환과 결합하여, 하위 계층으로부터의 IS, OOS(및 가능한 BFR 상태) 표시에 기초하여 설정되고 작동한다.
도 10은 1000에서 BFR-RLF 상호 작용의 엔드-투-엔드 및 크로스-계층 프레임워크를 도시하지만, (도 9의 보텀업(bottom-up) 또는 상향(upward) 표시가 아닌) 톱다운(top-down) 및 하향(downward) 표시의 반대 방향을 가진다. 도 10에서, 사용자측 장치, 예를 들어 UE(또는 태블릿, PC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다른 사용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예를 들어, gNB 또는 TRP) 사이에서의 엔드-투-엔드 및 계층-바이-계층 시그널링은 1002(계층 3), 1004(계층 2), 1006(물리적 계층)에서 발생한다. 여기서의 계층화는 예시를 위한 것이며, 다른 실시예에서 변경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도 10은, 하위 계층(예컨대, BFR을 위한 물리 계층(906) 또는 계층 2(904)) 동작을 최적화하기 위해 상위 계층(예컨대, RLF 등) 또는 계층 3(1002)가 지원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하며, 여기서는, 도 9와 달리, 하위 계층(예컨대, BFR을 위한 물리 계층(906) 또는 계층 2(904))가 상위 계층(예컨대, 계층 3(902) RLF) 동작을 지원한다. 예를 들어, 블록(1004)에서 L2의 기능은 제안된 통합 등을 수행하기 위한(다중 프로토콜 계층에 걸쳐있을 수 있는) RLM의 일부로 간주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UE에서의 L2(1004)는 간단히 스킵될 수 있고, 하위 계층에서의 BFR 동작들은 BFR 표시들을 최적화하기 위한 원인 또는 충분한 근거로서 L3(1002) 입력들(BFR 지원 정보 또는 표시들)을 직접 취한다. 또한, (L2) BFR 동작(1004)의 존재는 L2 BFR 시그널링(예를 들어, MAC CE)이 표준에 도입되는 경우를 위한 예시이다.
도 10의 1002에서, 상위 계층 RLF 상태 머신은 관련 BFR 지원 정보와 함께 BFR 성공/복구 또는 실패/리셋의 조기 종료 또는 속도 향상을 이네이블시킬 수 있으며, 여기서 1002에서의 그러한 지원 정보는 RLF 또는 RRC 무선 시그널링(예컨대, HO 명령, RRC 연결 재구축, 캐리어 또는 셀 추가 또는 제거와 관련된 DC/MC/CA 신호) 또는 포지셔닝 기반 빔 발견 또는 복구 정보 또는 다른 캐리어를 통한 다른 대체의 통신 경로, 또는 DC/CA/MC 이네이블 시스템에서 PCell, PScell 또는 SCell의 셀에 기초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예에서, PHY 계층(1006)에서 UE는 L1 BFR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gNB/TRP와 통신한다. 계층 2(1004)에서, UE는 L2 BFR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gNB/TRP와 통신한다. RRC 계층(1002)에서, UE는 도 9의 902 등에서와 같이 RLF 또는 RRC 시그널링 또는 데이터 경로를 사용하여 gNB/TRP와 통신한다.
계층 2(1004)에서, UE 및/또는 gNB/TRP는 L2 BFR 관련 시그널링(예를 들어, MAC CE)을 통해 BFR 동작이 최적화될 수 있는지를 공동으로 결정할 수 있다. PHY 계층(1006)에서, UE는 gNB/TRP와 L1 BFR 시그널링을 가지며, UE는 또한 다중 빔 RLM 및/또는 다른 곳에서 설명한 풀-다이버시티 BFR 프로세스의 일부로서 gNB/TRP로부터의(DL) 빔포밍된 참조 신호를 모니터링한다. 앞선 설명한 단계에서의 풀-다이버시티 BFR 동작은 이 계층(1006)에서 무선으로 다차원 빔, 신호, 셀 및 채널 등을 고려하여 BFT(성공 또는 실패) 상태, IS 또는 OOS 표시를 도출하지만, 상위 계층은 또한 BFT 리셋 또는 속도 향상 표시 또는 BFT 지원 정보를 제공했다. 물리 계층(1006)에서, 복수의 타이머 및 카운터 및 OTA(over-the-air) 시그널링(BFR 요청 및 응답)을 가진 BFR 동작은, 상위 계층으로부터의 다른 직교 입력과 결합하여, 빔포밍된 참조 신호, 새로운 빔 식별에 기초하여, 속도를 올리고 효율성을 올리는 것에 의해 그 동작을 최적화하기 위해, 설정되고 작동한다.
도 10 및 도 9에 대한 상이한 실시예에서, UE측 BFR 및 RLF는 UL 기반 RLM을 위해 gNB/TRP 측의 것들에 미러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gNB/TRP는, Pcell, PScell 또는 Scell으로부터 왔으며, 모니터링되는 캐리어만을 넘어서 다른 캐리어를 동시에 통하여 UE와 통신한다. 유사하게, 모니터링된 링크 또는 CH는 타깃 링크(BFR 또는 RLF) 상태를 결정할 때 제어, 데이터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IS, OOS 또는 BFT 리셋/속도상승 표시의 통합을 위한 IUM 기능은 UE의 RLF와 BFR 사이의 L1(PHY)~L3(RRC) 상호 작용 사이에 어딘가 있거나, 또는 네트워크 장치(gNB/TRP)가 L2(도시된 바와 같이)에서 새로 도입된 IUM 기능에 관련되거나, 또는 L1 또는 L3에 통합되거나 또는 다른 계층에 분산되며; RLF 및 IS, OOS, 링크 및/또는 BFR 상태는 다중 셀, 셀당, CH당, 신호당 또는 캐리어당, 링크당, 또는 그에 따른 조합일 수 있다.
도 10은, 관련 BFR 지원 정보(예를 들어, DC/CA/MC의 PCell, PScell 또는 SCell에서의 위치 기반 빔 발견 또는 복구 정보)와 함께, 상위 계층 RLF 상태 머신이 BFR 성공/복구 또는 실패/리셋의 조기 종료 또는 속도 상승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 10에 도시된 예에서, PHY 계층(1006)에서 UE는 L1 BFR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gNB/TRP와 통신한다. 계층 2(1004)에서, UE는 L2 BFR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gNB/TRP와 통신한다. RRC 계층(1002)에서 UE는 RFL 또는 RRC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gNB/TRP와 통신한다.
상이한 실시예들에서 : UE측 BFR 및 RLF는 UL 기반 RLM 등을 위해 gNB/TRP 측의 것들에 미러링될 수 있고; gNB/TRP는 Pcell, Pscell 또는 Scell, 다른 캐리어에서 나올 수 있으며, 서빙 CH는 제어, 데이터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IS, OOS 또는 BFT 리셋/속도상승 표시의 통합을 위한 IUM 기능은 UE의 RLF와 BFR 사이의 L1(PHY)~L3(RRC) 상호 작용 사이에 어딘가 있거나, 또는 네트워크 장치(gNB/TRP)가 L2(도시된 바와 같이)에서 새로 도입된 IUM 기능에 관련되거나, 또는 L1 또는 L3에 통합되거나 또는 다른 계층에 분산되며; RLF 및 IS, OOS, 링크 및/또는 BFR 상태는 다중 셀, 셀당, CH당, 신호당 또는 캐리어당, 링크당, 또는 그에 따른 조합일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제3 실시예에서, RLF 검출의 통합된 흐름 절차가 개시되며, 여기서 제안된 NR에 대한 다중 빔 RLM은 IUM의 일부로서(또는 다른 방법으로 IUM이 RLM의 일부인) 암시적으로 내장된다. 서빙 CH의 품질인 NR_CH_quality는 다중 빔 RRM에 대해 유사한 빔 통합(consilidation)/선택 기준을 사용하여 흐름도 110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적으로 네트워크 구성 채널 임계치 Qin/Qout과 비교 하였다 [2, 3, 4, 6,?] . 제안된 다중 빔 IUM/RLM 모듈에서의 IS/OSS 표시는 테이블 조회(lookup)에 기초하여, NR_CH_quality(예를 들어, RSRQ 단위 dB)로부터 매핑된 가상 PDCCH에 기초하여 LTE와 유사하게, 즉 아래 단계 v와 같이 도출될 수 있고, 또는 특정 임계치(예를 들어, Qin 및 Qout)와 NR_CH_quality(예를 들어, RSRQ(dB), RSRP(dBm) 또는 단위 전력(W))를 직접 비교하는 것에 기초할 수 있다. RLM 파생 타이머 또는 이벤트 중심 IS, OOS는, L3 RLF에 대한 IS, OOS 표시의 통합 스트림에 대해 IS, OOS, 링크 또는 BFR 실패/성공 표시(아래 단계 vi 및 IUM 통합 기능에 의한 도 11에서)와 통합될 수 있다.
34) NR_CH_quality = average_of_(가능한 빔의 품질, 즉 beam_quality_above_a_threshold) + 오프셋(N),
i. 여기서 N은 임계치를 초과하는 실행 가능한 빔의 수이다. 그들 중 어느 것도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으면, 최상의 빔이 고려될 수 있다; 오프셋(N)은 N의 임의의 비 감소(non-decreasing) 이산적 또는 연속 함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더 실현 가능한(N) 빔이 다중 빔 채널 품질보다 우수하다는 것을 반영하기 위해 N에 따라 오프셋이 증가한다. 여기서 다중 빔 RLM에 대해 제안된 N, 평균 함수 및 임계치 비교 방법은 종래 기술의 다중 빔 RRM과 매우 유사하지만, 구체적인 파라미터는 RRM보다 네트워크에 의해 다르게 결정되거나 구성될 수 있다(예를 들어, RRC 구성).
ii. 빔당 품질 메트릭은 Watt, dBm 또는 dB로 측정된다.
iii. 흐름의 초기화(리셋)는 빔 성공 상태와 같을 수 있다.
iv. 평균은 빔당 품질의 선형 합을 포함하고 N에 의해 평균화되는 선형 또는 비선형 함수일 수 있는 임의의 가중치 합일 수 있으며; N은 CH당, 캐리어당, 셀당 또는 이들 중 다수에 걸친 것일 수 있다.
v. NR BFR에서 PDCCH의 가상 BLER은 LTE와 유사할 수 있다.
vi. IUM 기능에 대한 IS, OOS 표시 입력은 다중 셀, 셀당, 다중 빔 CH 또는 빔당, 빔당 하나 또는 여러 xSS/xRS에 대해 일관되게 될 수 있지만 반드시 혼합에 사용될 필요는 없다.
vii. 빔당 품질 메트릭의 측정은 여러 신호(예 : RLM/RLF xSS/xRS(결합 또는 별도))를 기반으로 한다.
viii. 도 11은 IS, OOS, 링크 또는 BFR 상태 표시를 트리거한 하위 계층 또는 기본 BFR 상태 머신(1102, 1104, 1106, 1108)에 기초하여, 도 9에 대응하는, UE측에서의 RLF 검출 절차의 상세한 흐름도(1100)를 도시한다. 중간에, 독립적으로 또는 제안된 다중 빔 RLM 또는 RLF의 일부로서 작동할 수 있는 IUM(1110, 1112, 1114, 1116, 1118)은 (아페로이드식(aperiodic) 또는 이벤트 구동(event-driven)) BFR 표시를 (첫 번째 및 주기적) 다중 빔 RLM NR_CH_quality 기반 표시와 함께 통합하는 논리 함수이다. 그 목적은, 예를 들어 IS, OOS 카운터 또는 타이머 및 RLF 선언 등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상위 계층 RLF 상태 머신(1120)의 속도를 높이거나 최적화하는 것이다.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안된 풀-다이버시티 BFR의 예시적인(4) 단계는 방법(1100)의 블록 1102, 1104, 1106 및 1109에서 순차적으로 실행된다. 타깃 CH 또는 링크에 대한 서빙 빔의 모니터링에 기초하여 블록 1102에서 빔 실패 검출이 있는 경우가 개시되며, 이는 블록 1104로 이어진다. (서빙) 빔 실패가 검출되었지만 1104에서 "풀 다이버시티" 새로운 빔이 식별되면, 흐름도는 블록 1106으로 이동하고, 그렇지 않으면 방법은 블록 1114로 이동한다. 블록 1106에서, 풀-다이버시티 BFR 요청(TX)이 성공적이면, 방법은 블록 1108로 이동하고, 그렇지 않으면 방법은 블록 1114로 이동한다. 블록 1108에서 풀-다이버시티 BFR 응답(RX)이 복구와 함께 수신되면, 방법은 블록 1110으로 이동하고, 그렇지 않으면 방법은 블록 1114로 이동한다. 블록 1110에서 BFR이 최종적으로 성공한 경우(즉, 모든 단계가 성공한 경우) 또한 제안된 다중 빔 RLM에 따라 주기적 점검시 다중 빔 NR_CH_quality>Qin(또는 BLER<임계치)이 있는 경우, 방법은 블록 1112로, 그렇지 않으면 방법은 블록 1114로 이동한다. 블록 112에서, 상위 계층으로 전송되는 표시자(주기적 또는 타이머 기반, 또는 비주기적, 또는 이벤트 기반인지에 관계없이)가 존재하고, 방법은 블록 1118으로 이동한다. 블록 1114에서, BFR이 실패한 경우, 또는 제안된 다중 빔 RLM에 따라 주기적 검사시 다중 빔 NR_CH_quality>Qout(또는 BLER>임계치)를 가지면, 방법은 블록 1116으로 이동하고, 그렇지 않으면 방법은 블록 1102로 복귀한다 . 블록 1112의 IS와 유사하게, 블록 1116에는 상위 계층에 대한 타이머(타이머 또는 이벤트 구동 OOS) 표시자가 있으며, 방법은 블록 1118로 이동한다. 블록 1118에서, IUM 통합 기능은, 표시 빈도 검사(예를 들어, 주기성 검사)로 단일 또는 다중 빔/CH/캐리어/셀의 IS, OOS를 가로 질러 논리적으로 AND|OR(또는 다른) 통합 연산을 수행하고, 블록 1120에서, RLF 상태 머신은 그에 따라(예를 들어, 그것의 타이머 및 카운터, 및 LTD에서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도 있는 IS, OOS에 의해 영향을 받는 상태) 업데이트된다. IS, OOS(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의 단일 스트림을 RLF로 유지하면 RLF 상태 시스템을 간단히 수행하거나 LTE에서와 같이 NR로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셀 레벨 IS, OOS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와 마찬가지로 수정될 수 있으며, 이는 다중 또는 단일 빔인 제어 CH(예를 들어, LTE에서와 같은 가상의 PDCCH BLER)에 기초할 수 있고;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다중 빔 다중(제어, 데이터, UL, DL, 동일하거나 다른 셀 또는 결합된) 다중 빔을 선택/통합하여 도출된 "셀" 품질 메트릭에 기초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기는 서빙 또는 후보 빔들/CH들/셀들 상에 있을 수 있고, IUM은 상이한 계층들에서 분산되거나 집중될 수 있고;
다른 실시예에서, 흐름도의 구체적인 단계는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련된 BFR 단계는 다를 수 있고, 각 BFR 단계의 성공(Y) 또는 상태는 일부 IS 또는 다른 BFR 상태 표시를 IUM에 직접 트리거할 수 있다.
RSRP를 NR_CH_quality로서 바로 사용하여 BLER에 매핑하거나 매핑하지 않고 이전 또는 새로 정의된 임계치(Q_in 또는 Q_out)와 비교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RLF의 통합 흐름 절차는 BFR에 그것의 또는 다른 상위 계층 지원을 가지고 도 11에 의해 개시되고 예시된다.
이 실시예에서, BFR 프로세스를 돕기 위한 지원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고 가정하면:
사용 가능한 모든 빔 링크을 걸쳐서 및/또는
하나 또는 여러 xSS/xRS를 기준으로 또는 걸쳐서
셀 내 CA에서와 같이, 상이한 주파수 캐리어를 걸쳐서 및/또는
DC/CA 또는 LF 지원 HF에서와 같이 다중 셀(Pcell, Pscell, Scell) 및/또는
UL 또는 DL 또는 둘 다, 및/또는
상위 계층 시간 초과 이벤트(RLF T310/T321 만료), 및/또는
BFR을 종료하거나 매개 변수를 리셋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장치 내 또는 무선(RLF) HO 트리거 등.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기는 Pcell 또는 Pscell의 제어 CH에만 기초할 수 있거나(예를 들어, LTE에서와 같은 가상 PDCCH BLER), 임의의 이용 가능한 데이터 CH(PUSCH/PDSCH, PUCCH에서 SPS에 의해 부여된 자원, 또는 RACH/SR 또는 MAC CE 피기 백 등) 또는 검출 가능 신호(DL SS 블록, CSI-RS, DMRS, UL SRS/DMRS 등을 포함한 xSS/xRS)를 이용하여, BFR을 일반적으로 지원하거나 유도(derive), 속도 증가(speedup), 리셋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는 서빙 또는 후보 빔/캐리어/CH/셀에 적용될 수 있으며; IUM은 다른 계층에 분산되거나 집중될 수 있다. 순서도의 구체적인 단계는 다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흐름도의 구체적인 단계는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련된 BFR 단계는 다를 수 있다. 상위 계층의 표시는 BFR 동작을 최적화하는 것을 지원하도록 BFR의 특정 단계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에 의해 다수의 상이한 실시예들이 고려된다는 것이 명백히 이해된다. UE측의 UIM 및 RLF/RLM/BFR 메커니즘은 다음 세부 정보를 사용하여 다른 시나리오에 구현되고 적용될 수 있다.
LTE의 RLM과 유사하게, 여기서 사용되는 메트릭은, 빔 특정 xSS/xRS로부터, 예컨대 빔당 RSRP(RSSSI) 또는 RSRQ(CINR)를 빔당 dBm/watts 또는 dB로, 측정할 수 있다.
메트릭은 각 CH, 셀 또는 캐리어에 대한 단일 또는 다중 빔 메트릭으로 확장될 수 있다.
단일 RLM 메트릭을 도출하기 위해 다수의 측정된 빔 메트릭의 조합을 갖는 다중 빔 RLM/RLF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다.
빔 또는 CH 특정 RLM 메트릭은, 기본 IS, OOS 생성 조건 및 IUM 기능을 사용하여, 빔, CH 또는 셀 특정 IS, OOS 표시자를 도출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IUM 등의 UE측 설계는, DL 신호/빔/CH 기반 RLF 및 RLM 등에 대응하여, UL 신호/빔/CH 기반 RLF 및 RLM 등을 가진 네트워크 장치(TRP, gNB, CU 또는 DU 등)측에 미러링될 수 있다(UL 이동성 및 BM vs. 레거시 DL 이동성 및 BM을 가진 [5]와 유사).
다른 실시예에서, 실시예 플롯(도 2-6)의 세부 사항은 서빙 또는 후보 빔/캐리어/CH/셀에 적용될 수 있고; IUM 기능은 다른 계층에 분산되거나 집중될 수 있다. 프레임워크 설계의 구체적인 세부 사항, NR_CH_quality 또는 흐름도의 단계는 다를 수 있다.
본 개시의 구현의 일례는 도 12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는 BFR, RLM 및 RLF 상호 작용 프로세스를 도시하며, 여기서 RLM의 일부로서의 IUM 모듈은, RLM 생성 IS, OOS 및 BFR 생성 상태(성공 또는 실패) 표시를, L3 RLF에 송신하기 전에 단일 스트림의 IS, OOS로 통합 또는 변환한다. UE측의 RLM 및 BFR이 흐름도 1200에 표시된 것과 동일한 xRS 또는 SS를 고려한다고 가정한다.
블록 1202에서 빔 실패가 검출된 경우, 다음 프로세스에서, BFR 모듈은 최종 BFR 성공/실패가 선언될 때까지 상위 계층에 아무것도 표시하지 않는다.
블록 1204에서 BFR 성공이면, UE는 블록 120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긍정적 표시(예를 들어, 비주기적 BFR 성공 또는 비주기적 IS)를 RLM에 전송한다.
블록 1204에서 BFR 실패인 경우, UE는 블록 120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정적 표시(예를 들어, 비주기적 BFR 실패 또는 비주기적 OOS)를 RLM에 전송한다.
RLM 모듈(1210에서 IUM의 실시예로서)은 BFR 성공/실패 표시로부터 IS, OOS를 도출할 수 있으며, 이는 RLM의 정상 프로세스와 분리될 수 있으며, 다중 빔 모니터링된(서빙) 채널 품질(multi-beam monitored(serving) channel quality)에만 기반하여 병합된 IS, OOS 스트림을 도출할 수 있다. 이것은 블록 1206 및 1208로부터의 입력을 사용하고 IS, OOS를 전송한다. 1206 또는 1208의 비주기적 BFR 표시는 앞서 정의된 통합 기준에 따라 1210에서 연속적 또는 주기적(IS, OOS) 표시를 트리거하거나 변환하거나 영향을 줄 수 있다.
1210에서의 RLM 모듈은 블록 1212에서 IS, OOS의 통합 스트림을 L3 RLF로 전송한다.
이 실시예에 기초하는 또 다른 실시예에서, 1210은 BFR의 일부로서, 즉 BFR 또는 1206 및 1208에 통합되어, 주기적 IS, OOS, 비주기적 IS, OOS의 유무와 관계 없이, 링크 또는 BFR IS, OOS 표시를 L3에 직접 생성하거나 영향을 준다.
다른 실시예에서, BFR, RLM 및 RLF 상호 작용 프로세스 또는 흐름도(1300)에 대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RLM 표시(첫 번째 및 주기적 IS, OOS) 및 BFR 표시(비주기적 IS, OOS)는 추가적인 처리를 위해 L3 RLF에 병렬로 전송된다. 즉 통합 기능은 말 그대로 RLF 상태 머신의 일부이다. 흐름도(1300)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IUM 모듈"은 문자 그대로 BFR 모듈(1306/1308/1310/1312)로부터 수신된 모든 것을 L3 RLF 모듈(1302)로 직접 전달하고 있다. UE측의 RLM(1304) 및 BFR이 동일하거나 상이한 xRS 또는 SS를 고려한다고 가정하자.
블록 1312에서 빔 실패가 검출된 후, BFR 모듈은 BFR 성공/실패가 선언될 때까지 상위 계층에 아무것도 표시하지 않는다.
블록 1310에서 BFR이 성공적이면, UE는 블록 1306에서 비주기적 IS를 RLF에 직접 전송한다.
BFR 실패이면, UE는 블록 1308에서 비주기적 OOS 표시를 RLF에 직접 전송한다.
블록들(1306 및 1308)은 IS, OOS 표시들을 L3 RLF 블록(1302)으로 직접 전달한다.
동시에, 독립 또는 분리된 모듈로서, 블록 1304에서, 제안된 다중 빔 RLM 모듈은 다중 빔 모니터링된(서빙) 채널 품질에 기초하여 첫 번째 및 주기적 IS, OOS 표시를 도출한다(앞서 설명됨).
블록 1302의 RLF 모듈(내재적으로 내장된 통합 기능을 갖는)은 상이한 소스(블록 1304, 1306 및 1308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음)로부터의 IS, OOS 표시를 결합할 수 있지만 LTE에서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처리할 수 있다(연속 카운터 N310, N311, T310, T311, T312 등의 측면에서).
예를 들어, 주기적 IS의 중간에 도착하는 비주기적 OOS는 N311의 카운트를 리셋할 수 있다(따라서 T310의 정지 지연)
예를 들어, 주기적 OOS 중간에 도착하는 비주기적 IS는 N310의 카운트를 리셋할 수 있다(따라서 T310의 시작을 지연시킴)
도 13에 도시된 임의의 요소의 처리는 상이한 실시예에서 상이한 논리 또는 수학 연산을 따를 수 있음에 유의한다.
도 14에 의해 예시된 다른 실시예에서, UE 실시예 BFR, RLM 및 RLF 상호 작용 프로세스의 다른 예가 흐름도(1400)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RLM 표시들(첫 번째 및 주기적 IS, OOS) 및 BFR 표시들(비주기적 IS, OOS 또는 성공/실패 표시)은 블록 1404에서 IUM 통합 후에만 L3 RLF 1402로 전송되며, 여기서 IUM은 RLF(1402) 또는 RLM(1406)의 일부이거나 독립적인 기능이지만, 표시의 유형, 표시의 소스 또는 표시의 기반이 되는 참조 신호에 기초하여 가중화 방식으로 표시를 통합한다. UE측의 RLM(1406) 및 BFR(1408, 1410, 1412, 1414)이 동일하거나 다른 xRS 또는 SS를 고려하고, IUM(1404)가 RLM(1405) 및 BFR 서브 모듈(1408 및 1410)로부터의 표시를 RLF(1402)의 일부로서 또는 RLF(1402)의 입력으로서, 필터링하고 통합한다.
1 블록 1414에서 빔 실패가 검출된 후, BFR 모듈은 구성된 xRS/SS에 기초하여 BFR 성공/실패가 선언될 때까지 상위 계층에 아무것도 표시하지 않는다.
블록 1412에서 BFR 성공이면, UE는 블록 1408에서 비주기적 IS를 RLF로 직접 전송한다.
블록 1412에서 BFR 실패이면, UE는 블록 1410에서 비주기적 OOS 표시를 RLF로 직접 전송한다.
BFR로부터 독립 또는 분리된 모듈로서의 RLM 모듈(1406)은 블록 1406에서 구성된 xRS/SS에 기초하여 다중 빔 RLM에서 정의된 것과 같이 다중 빔 모니터링된(서빙) 채널 품질에 기초하여 주기적 IS, OOS를 도출한다.
블록 1402의 RLF 모듈은 상이한 소스들로부터의 IS, OOS 표시들(블록들 1406, 1408 및 1410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음)을 결합하지만, LTE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것으로 취급한다(연속 카운터 N310, N311, T310, T311, T312 등의 관점에서):
예를 들어, 다른 xRS/SS에 대해, IUM(1404) 또는 RLF(1402)는 가중치(또는 우선 순위)에 의해 상이하게 표시를 취급할 수 있고, 1406으로부터의 RLM-생성 주기적 표시보다 BFR로부터 1408 및 1410로부터의 비주기 표시에 보다 높은 가중치 또는 절대 우선 순위가 주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출처(RLM(1406) 대 BFR(1408 또는 1410))의 표시에 대해 IUM(1404) 또는 RLF(1402)는 표시를 가중치(또는 우선 순위)에 따라 다르게 처리한다.
참고 : 동일한 가중치는 동일하게 취급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RLF의 일부로 N311, N310(그림 참조) 또는 관련 타이머에서 직접 작동할 수 있는 경우 IUM.
위의 처리는 통합 방법에서 다른 곳에서 정의된 구체적인 가중치 방법을 따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RLM(1402) 및 RLF(1406)(및 IUM(1404))는 단일 모듈로서 간주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도 15는 X 축에 시간이 있고 다양한 신호가 Y 축에 대해 그려진 차트를 보여준다. RRC, MAC 및 PHY 계층은 각각 Y 축에서 분리되어 있다. 이것은 RLF가 발생할 때 흐름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다. 도 15는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빔 복구뿐만 아니라 본 명세서에 개시된 타이머 중 일부를 도시한다.
도 16은, 도 10에 대응하는 UE측에서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1600)로서, 상위 계층(RLF, RLC, HO 상태 또는 RRC 시그널링) 제공의 지원 정보에 기초한, BFR 최적화 절차(1006 및 (1610, 1612, 1614, 16161, 1618, 1620))의 상세한 흐름을 도시하고, 여기서 BFR 상태 머신(1006, 1004 및(1610 ~ 1620))는 상위 계층 정보(1602, 1604, 1606, 1608 등에 대응하는, 1002 또는 1002 및 1004)에 기초하여 속도를 증가시키거나 조기에 종료될 수 있다.
도 16은 상위 계층 지원이, 다중의 또는 실현 가능한 또는 서빙 캐리어, 사용 가능하거나 대체의 통신 경로, RLC ARQ 재전송 상태, RACH 상태, RRC 또는 L2 시그널링 정보, 또는 상위 계층 RLF 타임아웃 이벤트(T310/T312) 또는 HO(명령) 트리거의 다중 셀(Pcell, Pscell, Scell)에 걸처 획득될 수 있는 상황에 관련된 흐름도(1600)이다. 상위 계층 RLF 타임 아웃 이벤트(T310/T312) 또는 HO(명령) 트리거는 하위 계층 BFR을, 그것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으므로, 조기에 종료하는 데 사용할 수 있고, 다른 이벤트는 BFR 처리 속도를 높일 수 있다. 이 흐름도에서, L3(또는 L2)의 UE는 블록 1602에서 RFR/RLC/RACH 상태, 또는 BFR 지원 정보에 대한 RRC 또는 L2 신호를 학습한다. 상위 계층과 하위 계층 BFR 사이의 논리 IUM은 블록 1604, 1606 및 1608에 도시된 기능을 포함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기능은 RLF, RLM 또는 BFR의 일부로 논리적으로 간주될 수 있다.
블록 1604에서, 예를 들어, 동일한 UE에 대한 대체적인 빔/CH/캐리어/셀에 의해 정의된 이용 가능한 다이버시티 경로 정보가 조회되고, BFR을 가속하는 데 이용된다. 블록 1606에서, T310/T312(T310 및 T312는 LTE에 정의된 타이머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타이머임) 만료, 또는 새로 수신된 HO 명령 또는 연결 리셋과 같은 상위 계층 이벤트 또는 유휴 모드는 새로운 빔, 채널, 캐리어 또는 셀로 시작하고, 블록 1606에 도시되어 있다. 블록 1608에서, 타이머 T310 및 T312가 리셋되거나 정지하는 이벤트가 발생한다. 1606 및 1608 둘 다는 진행중인 BFR을 조기에 종료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블록 1612에서 진행 중인지 여부를 판단함). 1604, 1606 및 1608에 의해 고려되는 IUM 기능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이벤트는 본질적으로 동시적이거나 동시적이지 않을 수 있음이 명백히 고려된다. 블록 1610에서 이용 가능한 것으로 결정된 다이버시티 UL 경로가 존재하면, 하위 계층에서 기존의 것들에서 차단되거나 지연되지 않고, 블록 1614에서, 상위 계층 통지된 대체 통신 경로(예컨대, 다른 셀, 채널, 캐리어, 빔 또는 다른 신호)를 통해, RACH 또는 SR/PUSCH를 개시하기 위해 풀 다이버시티 BFR 요청(TX)의 가속이 수행된다. 블록 1610에서 다이버시티 UL 경로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 블록 1618에서, UL이 이미 상위 계층에 의해 문제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새로운 DL 빔, 캐리어, 채널, 셀 또는 기타 신호로 빔 스위칭/식별을 시작하여 풀-다이버시티 BFR DL 모니터링 또는 응답(RX)의 속도를 높일 수 있다. 블록 1612에서 결정된 되대로 BFR이 여전히 진행 중이면, 블록 1616에서 BFR 파라미터, 타이머, 상태(예를 들어, BFT 상태 머신의 조기 종료 및 재개시)를 야기하는 BFR 리셋이 있다. 블록 1612, 1616, 1618 및 1614 이후의 UE는 블록 1620에서 새로운 빔 실패 검출을 계속 수행하여, 가능하면 상위 계층 지원 정보 또는 상위 계층 최적화된 BFT 상태를 이용할 수 있다.
명확성을 위해, T310 타이머는 PHY 관련 문제가 얼마나 오랫동안 발생했는지를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예제 작업이 아래에 설명되어 있다.
UE가 PHY 계층 관련 문제를 탐지할 때 시작한다(하위 계층으로부터 N310 연속적인 비동기 동기 표시를 수신 할 때)
다음과 같은 경우 중지한다.
UE가 하위 계층으로부터 N311 개의 연속적인 동기 IND를 수신하는 경우,
HANDOVER 절차를 트리거할 때,
연결 재구축(CONNECTION RE-ESTABLISHMENT) 절차를 시작할 때
만료되면, 보안이 활성화되지 않으면 RRC IDLE로 이동하고 그렇지 않으면 CONNECTION RE-ESTABLISHMENT 절차를 시작한다.
명확성을 위해, T312는 연결 상태에서 전용 채널을 설정할 때 UE가 계층 1로부터 N312 "동기화" 표시를 얼마나 오랫동안 대기 하는지를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6은 BFR 프로세스를 돕기 위한 지원 정보가 획득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사용 가능한 모든 빔 링크를 걸쳐, 및/또는
하나 또는 여러 xSS/xRS에 기반하거나 이들을 걸쳐, 및/또는
셀 내 CA에서와 같이 상이한 주파수 캐리어를 걸쳐, 및/또는
DC/CA 또는 LF 지원 HF(LF assisted HF)에서와 같이 다중 셀(Pcell, Pscell, Scell) 및/또는
UL 또는 DL 또는 둘 다를 걸쳐, 및/또는
상위 계층 타임아웃 이벤트(RLF T310/T321 만료), 및/또는
BFR을 종료하거나 매개 변수를 리셋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장치 내 또는 무선(RLF) HO 트리거 등.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기는 Pcell 또는 Pscell의 제어 CH에만 기초할 수 있거나(예를 들어, LTE에서와 같은 가상 PDCCH BLER), 임의의 이용 가능한 데이터 CH(PUSCH/PDSCH, PUCCH에서 SPS에 의해 부여된 자원, 또는 RACH/SR 또는 MAC CE 피기 백 등) 또는 검출 가능 신호(DL SS 블록, CSI-RS, DMRS, UL SRS/DMRS 등을 포함한 xSS/xRS)를 이용하여 일반적으로 BFR을 돕거나 또는 도출(derive), 속도 증가, 리셋을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는 서빙 또는 후보 빔/캐리어/CH/셀에 적용될 수 있으며; IUM은 다른 계층에 분산되거나 집중될 수 있다. 순서도의 구체적인 단계는 다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흐름도의 구체적인 단계는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련된 BFR 단계는 다를 수 있다. 상위 계층의 표시는 BFR 동작을 최적화하는 것을 돕기 위해, BFR의 특정 단계에 표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UE측에서 개시된 UIM 및 RLF/RLM/BFR 메커니즘은 다음 세부 사항으로 다른 시나리오에 구현되고 적용될 수 있다:
LTE의 RLM과 유사하게, 여기 사용되는 메트릭, 예컨대 빔당 RSRP(RSSI) 또는 RSRQ(CINR)를 빔당 dBm/watts 또는 dB로, 빔 특정 xSS/xRS로부터 측정될 수 있다.
메트릭은 각 CH, 셀 또는 캐리어에 대한 단일 또는 다중 빔 메트릭으로 확장될 수 있다.
단일 RLM 메트릭을 도출하기 위해 여러 개의 측정된 빔 메트릭을 조합 한 다중 빔 RLM/RLF는 상기 20)을 포함하는 페이지에 설명되어 있다.
빔 또는 CH- 특정 RLM 메트릭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본 IS, OOS 생성 조건 및 IUM 기능을 사용하여 빔, CH 또는 셀-특정 IS, OOS 지시자를 도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DL 신호/ 빔/CH 기반 RLF 및 RLM 등(UL 이동성 및 BM 대 본원에 개시된 레거시 DL 이동성 및 BM과 유사)에 대응하는, UL 신호/빔/CH 기반 RLF 및 RLM 등을 가진 네트워크 장치(TRP, gNB, CU 또는 DU 등) 측에, IUM 등의 UE측 설계가 미러링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도면의 세부 사항은 서빙 또는 후보 빔/캐리어/CH/셀에 적용될 수 있으며; IUM 기능은 다른 계층에 분산되거나 집중될 수 있다. 프레임워크 설계의 구체적인 세부 사항, NR_CH_quality 또는 여기에 개시된 순서도의 단계.
일부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장비(UE) 수단에서 빔 실패 복구(BFR) 표시들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은, 물리 계층에서 다중 빔들로부터 다운링크(DL) 참조 신호들을 수신하고 처리하는 단계, 각각의 빔 품질 메트릭을 결정하는 단계, 시그널링의 BFR 동작, 빔 식별 및 빔 실패 복구를 실행하기 위해, (별도 빔, 참조 또는 동기화 신호, 방향, 캐리어, 데이터 또는 제어 채널, 셀의 측면에서) 물리 계층 전송 경로의 다중 다이버시티의 결정된 빔 품질 메트릭를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BFR 프로세스 동안, 물리 계층에서, 예를 들어 네트워크 구성 및 타이머 기반 제약 하에서, 다이버시티를 완전히 활용하고, 최종 BFR 동작 상태(finalized BFR operation status)(성공, 실패)를 결정하며, BFR 동작 상태가 최종인 때에만 명시적인 BFR 지시(BFR 성공에 대응하는 비주기적 IS 또는 BFR 실패에 대응하는 비주기적 OOS, 또는 명시적 BFR 성공 또는 실패 상태)를 생성하며, 그 BFR 지시를 다른 모듈(예: RLM 또는 RLF)에 송신함으로써, BFR 동작을 완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비(UE)에서 NR(Network Radio) 무선 링크 실패(, Radio Link Failure, RLF)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그 표시가 BFR 생성(비주기적) IS, OOS 또는 명시적 BFR 성공/실패 상태 표시, RLM 생성(주기적) IS, OOS 표시를 수신, 두 지시를 병렬로 수신하는 것일 수 있음), 및 특정 참조 신호 또는 빔 또는 캐리어 또는 셀 또는 이들 중 다수에 걸친 것에 대해 검출된 무선 링크에 대해 수신된 표시 중 하나 또는 다수를 통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법은 또한 통합된 표시(들)를 RLF로 전송하고 통합된 표시(들)를 이용하여 빠르고 안정적인 RLF 선언을 위해 RLF 상태 머신(N310, T310, N311, T311, T312, 등)에 영향을 준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비(UE)에서 NR RLF를 검출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이 방법은,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여기서 표시는 BFR 생성된 IS, OOS, 명시적 BFR 성공/실패 상태 표시 또는 RLM 생성(주기적) IS, OOS 표시 중 적어도 하나임), 검출된 무선 링크에 대해 수신된 표시를 통합하는 단계, 통합된 표시를 RLF에 송신하는 단계, 및 통합된 표시를 활용하여 RLF 상태 머신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법은 RLF, RLM 또는 BFR 모듈 중 하나, 또는 이들 또는 다른 프로토콜 계층에 위치할 수 있으며, BFR 및 RLM 표시는 RLM 기반 절차적 통합 후 RLM을 통해서만 또는 병렬로 본 방법에 입력될 수 있다. .
또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비(UE)에서 BFR(Beam Failure Recovery) 표시를 결정하는 방법이 개시되고, 이 방법은, 물리 계층에서 다중 빔으로부터 다운링크(DL) 참조 신호를 수신 및 처리하는 단계, 다중 빔의 각각에 대해 빔 품질 메트릭을 결정하는 단계, 시그널링, 빔 식별 및 빔 실패 복구의 BFR 동작을 실행하기 위해, 물리-계층 전송 경로의 다수의 다이버시티의 상기 결정된 빔 품질 메트릭(별도 빔, 참조 신호, 동기화 신호, 방향, 캐리어, 데이터 또는 제어 채널, 셀,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의 관점에서)을 평가하는 단계, 물리 계층에서, 예를 들어 네트워크 구성 및 타이머 기반 제약 하에서, 다이버시티를 완전히 활용하고, BFR 프로세스 동안, 최종 BFR 동작 상태(finalized BFR operation status)(성공, 실패)를 결정하며, BFR 동작 상태가 최종인 때에만 명시적인 BFR 지시(BFR 성공에 대응하는 비주기적 IS 또는 BFR 실패에 대응하는 비주기적 OOS, 또는 명시적 BFR 성공 또는 실패 상태)를 생성하며, 그 BFR 지시를 다른 모듈(예: RLM 또는 RLF)에 송신함으로써, BFR 동작을 완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표시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 수단(여기서 표시는 BFR 생성 IS, OOS, 명시적 BFR 성공/실패 상태 표시; RLM 생성 IS 또는 OOS 표시를 포함함); 및 검출된 무선 링크에 대해 수신된 표시를 통합하고 통합된 표시를 RLF에 전송하고, 표시에 기초하여 RLF 상태 머신을 변경하는 프로세서 수단을 포함한다.
네트워크 장치, 예를 들어, 사용자측 UE 장치(또는 TRP 또는 기지국과 같은 네트워크측 장치)에서 새로운 무선(NR) 링크 실패를 검출하고 RLM 및 링크 실패 복구를 실행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이들 시스템 및 방법은, 무선 신호를 측정하고 무선 시그널링 및 구성 메시지를 고려하여, 링크 실패 복구(예컨대, BFR) 생성 주기적, 이벤트 구동의 또는 비주기적 상태 또는 표시; 또는 다중빔 RLM 생성(첫 번째 및 주기적) IS, OOS 표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는 장치-내 표시를 생성 및 수신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시스템 및 방법은 성능 최적화를 위해 다중 빔 RLM 및 풀-다이버시티 또는 다중 경로 링크 실패 복구 표시(들)를 이용하여 검출된 무선 링크에 대해 수신된 표시를 통합한다.
네트워크 장치, 예를 들어, 네트워크 장치, 예컨대 사용자측 UE 장치(또는 TRP와 같은 네트워크측 장치)에서의 네트워크 무선(NR) 무선 링크 실패(RLF) 및 RLM과의 상호 작용 및 링크 실패 복구를 검출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이들 시스템 및 방법은, 무선 신호를 측정하고 무선 시그널링 및 구성 메시지를 고려하여, 하위-계층 링크 복구 관련 동작을 최적화하기 위해, 링크 실패 복구(예컨대, BFR) 생성(주기적, 이벤트-구동의, 또는 비주기적) 표시(예컨대, IS, OOS) 또는 링크 복구 상태(예컨대, 성공, 실패, 새롭게 식별된 빔, 검출된 품질 메트릭) 표시; 또는 다중 빔 RLM 생성(첫 번째 및 주기적) IS, OOS 표시, 또는 채널 품질 메트릭; 또는 BFR의 RLM-정의의 표시로 변환된 표시; 또는 상위-계층 RLF, RRC, RLC 또는 RACH 생성 하향 표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는 장치-내 표시를 생성하고 수신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시스템 및 방법은,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RLF 상태 머신을 변경하기 위해 통합된 상향 표시(들)를 사용하여, 검출된 무선 링크에 대해 수신된 표시를 통합하거나, 성능 최적화를 위해 BFR 상태 머신을 변경하기 위해 통합된 하향 표시(들)를 통합한다.
본 발명은 특정 특징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수정 및 조합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명백하다. 따라서, 명세서 및 도면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발명의 단지 예시로서 간주되며,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하는 임의의 및 모든 수정, 변형, 조합 또는 균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고려된다.

Claims (106)

  1.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에서 네트워크 무선(network radio, NR) 무선 링크 실패(radio link failure, RLF)를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BFR 생성(비주기적) IS, OOS, 또는 명시적 BFR 성공/실패 상태 표시, RLM 생성(주기적) IS, OOS 표시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두 개의 표시를 병렬로 수신하는 단계;
    특정 참조 신호 또는 빔 또는 채널 또는 캐리어 또는 셀에 대해 또는 이들 중 다수에 걸쳐 검출된 무선 링크에 대해, 상기 수신된 표시 중 하나 또는 다수를 통합하는 단계;
    상기 통합된 표시를 RLF로 전송하는 단계; 및
    빠르고 안정적인 RLF 선언을 위해, 상기 통합된 표시를 사용하여 RLF 상태 머신(N310, T310, N311, T311, T312 등)에 영향을 주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RLF, RLM, 또는 BFR 모듈 중 하나에 위치하거나, 또는 그들에 걸쳐 또는 서로 다른 프로토콜 계층에 분산되어 있으며,
    상기 BFR 및 RLM 표시는 상기 방법에 병렬로 또는 RLM-기반 절차적 통합 후 RLM을 통해서만 입력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RLF로 전송된 통합 표시는 BFR 동작이 성공 또는 실패였는지의 표시, 또는 BFR 생성 비주기적 IS 또는 OOS 표시, 또는 RLM 생성 주기적 IS 또는 OOS 표시, 또는 이들 모두에만 기초하는, 방법.
  4. 제1항에있어서,
    BFR 동작에 영향을 주기 위해 물리 계층에 BFR 동작 명령 또는 RLF 상태 표시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빔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참조 신호의 네트워크 장치를 갖는 다중 빔, 동일하거나 상이한 주파수 캐리어상의 다중 빔, 동일하거나 상이한 방향의 다중 빔, 동일하거나 상이한 참조 신호의 다중 빔, 동일하거나 상이한 채널상의 다중 빔, 동일하거나 상이한 셀 내의 상이한 네트워크 장치로부터의 다중 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FR 표시는, 빔-형성 무선 링크, 단일 또는 다중 빔의 서빙 채널의 표시, 빔의 참조 신호, 컴포넌트 캐리어의 표시 및 관련 셀의 식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BFR 동작에 영향을 주기 위해 물리 계층에 BFR 동작 명령 또는 RLF 상태 표시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빔에 대해 그리고 특정 참조 신호의 빔 품질 메트릭에 기초하여 캐리어 레벨, 채널 레벨 또는 셀 레벨 채널 품질을 도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다중 빔 채널 품질 메트릭(필터링된 RSRP 또는 SINR)을 도출하기 위한 수학적 기준(criteria), 구성가능한 임계치를 초과하는 품질의 빔을 선택하기 위한 다수의 최상의 빔 선택 정책, 빔 특정 필터링 정책, 및 메트릭 임계치 또는 가상(hypothetical) BLER, 또는 RLM 동기(In-Sync, IS) 표시 또는 비동기(Out-Of-Sync, OOS) 표시를 도출하고 생성하기 위한 그들의 조합을 더 포함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개별 BFR 표시는 동기(IS) 표시 또는 비동기(OOS) 표시 또는 BFR 상태 표시이다.
  11. 제10항에 있어서,
    물리 계층으로부터 다중 빔 신호 각각에 대한 별도 빔 실패 복구(BFR) 표시를 수신하기 전에, 물리 계층이 BFR 성공/실패 상태를 결정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물리 계층에 의해, 물리 계층이 특정 빔 신호에 대한 BFR이 성공 상태인 것을 결정한 후에, 특정 빔 신호에 대한 비주기적 개별 표시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주기적 개별 표시는 IS 또는 BFR 성공 표시인,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물리 계층에 의해, 물리 계층이 특정 빔 신호에 대한 BFR이 성공 상태임을 결정한 후 특정 빔 신호에 대한 비주기적 개별 표시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비주기적 개별 표시는 OSS 표시 또는 BFR 실패 표시인,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RLM 표시 및 통합 BFR 표시에 기초하여, 특정 참조 신호 또는 다중 참조 신호의 조합에 대해, 무선 링크(빔 레벨, 캐리어 레벨, UL 또는 DL 방향, 제어 또는 데이터 채널 레벨 또는 셀 레벨) 표시를 도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 링크는 빔 레벨, 캐리어 레벨, UL 방향 또는 DL 방향, 제어 채널 레벨 또는 데이터 채널 레벨, 또는 셀 레벨 중 적어도 하나 인,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단일 또는 다중 빔, 참조 신호, 캐리어, 방향, 제어 또는 데이터 채널, 셀에 대응하는 무선 링크에 대해, OR, AND, 가중 합, 또는 임의의 조합에 의해 IS 표시 또는 OOS 표시 또는 BFR 표시를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가중치는 참조 신호당, 빔당, 채널당, 방향당, 캐리어당, 셀당 정의되고, 상기 가중치는 디지털 숫자 또는 선형 스칼라이며, 가중 합은 선형 또는 비선형 함수인,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BFR 표시를 통합하는 단계는:
    OOS 표시 생성 조건을 만족시키는 공통 또는 셀 특정 DL 제어 채널을 나타내는 공통 비동기(OOS)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OOS 표시 생성 조건을 만족하는 UE 특정 DL 제어 채널을 나타내는 UE 특정 OOS 표시를 결정하는 단계;
    최종적 BFR 실패 또는 단계적 실패를 나타내는 BFR 실패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단계적 실패는 BFR 프로세스를 벗어남 -;
    구성된 주기성 또는 비주기적 이벤트 트리거 조건에 따라 타이머 또는 이벤트 트리거된 OOS 표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를 결합하고, 공통 링크 상태를 나타내는 통합 OOS 표시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BFR 표시를 통합하는 단계는:
    IS 생성 조건을 만족하는 공통 또는 셀 특정 DL 제어 채널을 나타내는 공통 동기(IS) 표시를 결정하는 단계; 및
    IS 생성 조건을 만족하는 UE 특정 DL 제어 채널을 나타내는 UE 특정 IS 표시를 결정하는 단계; 및
    BFR 성공을 나타내는 BFR 성공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및
    구성된 주기성 또는 비주기적 이벤트 트리거 조건에 따라 타이머 또는 이벤트 트리거된 IS 표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표시를 결합하고, 공통 링크 상태를 나타내는 통합 IS 표시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된 BFR 표시는:
    통합된(주기적인 또는 비주기적인) IS 또는 OOS만; 또는
    (비주기적) BFR 상태 표시만; 또는
    최종적 BFR 성공 상태 표시만; 또는
    최종적 그리고 단계적(BFR 프로세스 밖) BFR 성공 표시; 또는
    최종적 BFR 실패 상태 표시만; 또는
    최종적 및 단계적(BFR 프로세스 밖(out of the BFR process)) BFR 실패 표시; 또는
    통합 IS 및 OOS 및 최종 BFR 성공 또는 실패 상태 표시 양쪽 모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20. 제10항에 있어서,
    무선 자원 제어(RRC)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RRC 신호에 의해 무선 링크 구성에 따라 BFR 또는 RLM의 표시를 결정하는 단계; 및
    구성된(빔, 참조 신호, 채널, 캐리어, 방향 또는 셀) 레벨에서의 표시에 기초하여 RLF 상태 머신(카운터, 타이머)에 영향을 미치는 단계; 및
    단일 또는 다중 빔의 구성된 셀 또는 링크 레벨에서 RLF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21. 제1항에 있어서,
    무선 자원 제어(RRC)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RLF 또는 RRC 계층에서 가용(UL 또는 DL) 경로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경로의 이용 가능성을 BFR에 표시하는 단계; 및
    대안으로서 경로를 통해 요청하는 BFR을 재지정(redirecting) 또는 가속화(speeding up)함으로써 최적화로 BFR 상태 머신에 영향을 미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22. 제1항에 있어서,
    상위 계층에서 RLC 또는 RACH 또는 HO 명령 상태를 학습하는 단계;
    상태를 BFR에 표시하는 단계; 및
    가속 또는 조기 종료로 BFR 프로세스를 최적화하여 BFR 상태 시스템에 영향을 주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23. 제1항에 있어서,
    개별 BFR 표시를 물리 계층으로부터 수신하고 통합하며 통합된 BFR 표시를 송신하는 단계들은, 물리 계층의 기능적 모듈, 또는 제2 계층의 모듈 또는 제3 계층의 모듈에 의해 또는 공동으로 수행되는, 방법.
  24. 사용자 장비(UE)에서 빔 실패 복구(Beam Failure Recovery, BFR) 표시를 결정하는 방법으로서,
    다중 빔으로부터 다운링크(DL) 참조 신호를 수신하고 처리하는 단계;
    물리 계층에서, 다중 빔 각각에 대한 빔 품질 메트릭을 결정하는 단계;
    시그널링, 빔 식별 및 빔 실패 복구의 BFR 동작을 실행하기 위해, 별도 빔, 참조 또는 동기화 신호, 방향, 캐리어, 데이터 또는 제어 채널, 셀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의 관점에서, 다수의 다이버시티의 물리 계층 전송 경로의 결정된 빔 품질 메트릭을 평가하는 단계; 및
    네트워크 구성 및 타이머 기반 제약 조건 하에서 물리 계층의 다이버시티를 완전히 활용함으로써 BFR 동작을 달성하는 단계;
    BFR 프로세스 동안, 최종 BFR 동작 상태(성공, 실패)를 결정하는 단계;
    BFR 동작 상태가 최종인 경우에만 명시적인 BFR 표시(BFR 성공에 대응하는 비주기적 IS 또는 BFR 실패에 대응하는 비주기적 OOS, 또는 명시적인 BFR 성공 또는 실패 상태)를 생성하는 단계;
    BFR 표시를 다른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5. 사용자 장비(UE)에서 무선 링크 모니터링(Radio Link Monitoring, RLM) 표시들을 결정하는 방법으로서,
    다중 빔으로부터 다운링크(DL) 참조 신호를 수신하고 처리하는 단계;
    물리 계층에서, 다중 빔 각각에 대한 빔 품질 메트릭을 결정하는 단계;
    빔 특정 메트릭 필터링, 필터링된 메트릭 대 구성된 임계치에 기초한 X 최상의 빔 선택을 포함하는, 다중 빔 RLM 기준에 기초하여 결정된 빔 품질 메트릭을 평가하고, 구성된 방법 및 특정 참조 신호, 캐리어, 채널 또는 셀에 따라 다수의 선택된 빔으로부터 유일한 서빙 링크 메트릭(unique serving link metrics)를 도출하는 단계;
    주기적(IS, OOS) 표시를 생성하기 위해 구성된 RLM 기준(RSRP 또는 RSRQ 또는 제어 채널 BLER 대 임계치)에 따라 도출된 서빙 무선 링크 메트릭을 평가하는 단계;
    RLM 표시를 다른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은 BFR 성공 상태 표시를 RLF에 제공하기 전에 하나 또는 다수의 IS(들)로 그리고 실패 상태를 OOS(들)로 변환하는, 방법.
  27. 제25항에 있어서,
    RLF 상태 머신의 영향은 그것들의 논리 또는 수학적 요약(summarization)에 의해 다른 소스에 걸친 표시를 이용하는 것에 기초하는, 방법.
  28. 사용자 장비(UE)에서 네트워크 무선(NR) 무선 링크 실패(Radio Link Failure, RLF)를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BFR 생성 IS, OOS, 명시적 BFR 성공/실패 상태 표시; 또는 RLM 생성(주기적) IS, OOS 표시 중 적어도 하나인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
    검출된 무선 링크에 대한 수신된 표시를 통합하는 단계;
    통합된 표시(들)를 RLF로 전송하는 단계; 및
    RLF 상태 머신을 변경하기 위해 통합된 지시(들)를 이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RLF, RLM 또는 BFR 모듈 중 하나에 또는 이들에 걸쳐 또는 상이한 프로토콜 계층에 걸쳐 위치할 수 있고, BFR 및 RLM 표시는 상기 방법에 병렬로 또는 RLM 기반 절차적 통일 후 RLM을 통해서만 입력되는, 방법.
  30. 제28항에 있어서,
    RLF로 전송된 통합 표시는 BFR 연산이 성공 또는 실패인지, 또는 BFR 생성된 비주기적 IS 또는 OOS 표시, 또는 RLM 생성된 주기적 IS 또는 OOS에 대한 표시, 또는 그들 모두만을 기초로 하는, 방법.
  31. 제28항에있어서,
    BFR 동작에 영향을 주기 위해 물리 계층에 BFR 동작 명령 또는 RLF 상태 표시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2. 네트워크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표시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 수단 - 상기 표시는 BFR 생성 IS, OOS, 명시적 BFR 성공/실패 상태 표시; RLM 생성 IS 또는 OOS 표시 중 적어도 하나임 -; 및
    검출된 무선 링크에 대해 수신된 표시를 통합하고, 통합된 표시를 RLF로 전송하고, 표시에 기초하여 RLF 상태 머신을 변경하는 프로세서 수단
    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RLF, RLM 또는 BFR 모듈 중 하나에 또는 이들에 걸쳐 또는 상이한 프로토콜 계층에 걸쳐 위치할 수 있고, BFR 및 RLM 표시는 상기 방법에 병렬로, 또는 RLM 기반 절차적 통일후 RLM을 통해서만 입력되는, 네트워크 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RLF로 전송된 통합 표시는 BFR 연산이 성공 또는 실패인지, 또는 BFR 생성 비주기적 IS 또는 OOS 표시, 또는 RLM 생성된 주기적 IS 또는 OOS에 대한 표시 또는 그들 모두에만을 기초로 하는, 방법.
  35. 제32항에 있어서,
    BFR 동작에 영향을 주기 위해 물리 계층에 BFR 동작 명령 또는 RLF 상태 표시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6. 사용자 장비(UE)에서 빔 실패 복구(Beam Failure Recovery, BFR) 표시를 결정하는 방법으로서,
    다중 빔으로부터 다운링크(DL) 참조 신호를 수신하고 처리하는 단계;
    다중 빔 각각에 대한 빔 품질 메트릭을 결정하는 단계;
    시그널링, 빔 식별 및 빔 실패 복구의 BFR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별도 빔, 방향, 캐리어, 데이터 또는 제어 채널, 셀의 관점에서) 다중 다이버시티의 물리 계층 전송 경로의 결정된 빔 품질 메트릭을 평가하는 단계;
    네트워크 구성 및 타이머 기반 제약 조건 하에서 물리 계층의 다이버시티를 완전히 활용함으로써 BFR 동작을 달성하는 단계;
    BFR 프로세스 동안, 최종 BFR 동작 상태(성공, 실패)를 결정하는 단계;
    BFR 동작 상태가 최종인 경우에만 명시적인 BFR 표시(BFR 성공에 대응하는 비주기적 IS 또는 BFR 실패에 대응하는 비주기적 OOS, 또는 명시적인 BFR 성공 또는 실패 상태)를 생성하는 단계; 및
    BFR 표시를 다른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37. 제36항에 있어서,
    BFR은 프로세스의 중간에 아무것도 보내지 않지만, 결정된 후에 최종 표시를 보내는, 방법.
  38. 사용자 장비(UE)에서 무선 링크 모니터링(Radio Link Monitoring, RLM) 표시를 결정하는 방법으로서,
    다중 빔으로부터 다운링크(DL) 참조 신호를 수신하고 처리하는 단계; 및
    다중 빔 각각에 대한 빔 품질 메트릭을 결정하는 단계; 및
    빔 특정 메트릭 필터링, 필터링된 메트릭 대 구성된 임계치에 기초한 X 최상의 빔 선택을 포함하여 네트워크 구성된 다중 빔 RLM 기준에 기초하여 결정된 빔 품질 메트릭을 평가하고, 구성된 방법 및 특정 참조 신호, 캐리어, 채널 또는 셀에 따라 다수의 선택된 빔으로부터 유일한 서빙 링크 메트릭을 도출하는 단계; 및
    첫 번째 또는 주기적(IS, OOS) 표시(들)를 생성하기 위해, 구성된 RLM 기준(RSRP 또는 RSRQ 또는 제어 채널 BLER 대 임계치)에 따라 도출된 서빙 무선 링크 메트릭을 평가하는 단계; 및
    RLM 표시를 다른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39. 사용자 장비(UE)에서 네트워크 무선(NR) 무선 링크 실패(Radion Link Failure, RLF)를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BFR 생성(비주기적) IS, OOS, 또는 명시적 BFR 성공/실패 상태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 또는
    RLM 생성(주기적인) IS, OOS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 또는
    두 표시를 동시에 수신하는 단계; 또는
    BFR에 의해 생성될 수 있지만 RLM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 RLM 표시만을 수신하는 단계; 및
    특정 참조 신호 또는 빔 또는 채널 또는 캐리어 또는 셀에 대해 또는 이들 중 다수에 걸쳐, 검출된 무선 링크에 대해 수신된 표시(들) 중 하나 또는 다수를 통합하는 단계; 및
    통합된 표시(들)를 RLF로 전송하는 단계; 및
    빠르고 신뢰할 수 있는 RLF 선언을 위해 (통합된) 표시를 활용하여 RLF 상태 머신에 영향을 주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40. 제39항에 있어서,
    다중 빔 RLM 동작 및 RLM 표시 생성은 RLF의 일부이거나 그 반대인, 방법.
  41.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RLF, RLM, 또는 BFR 모듈 중 하나에 위치하거나, 또는 그들에 걸쳐 또는 서로 다른 프로토콜 계층에 분산되어 있으며, 상기 BFR 및 RLM 표시는 상기 방법에 병렬로 또는 RLM-기반 절차적 통합 후 RLM을 통해서만 입력되는, 방법.
  42. 제39항에 있어서,
    RLF로 전송된 통합 표시는 BFR 동작이 성공 또는 실패인지, 또는 BFR 생성 비주기적 IS 또는 OOS 표시, 또는 RLM 생성 주기적 IS 또는 OOS에 대한 표시, 또는 그 중 다수에만을 기초로 하는, 방법.
  43. 제39항에 있어서,
    BFR 동작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BFR 동작 명령 또는 RLF 또는 RLC 또는 RRC 또는 RLM 상태 표시를 상위 계층으로부터 물리 계층으로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4.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빔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참조 신호의 네트워크 장치를 갖는 다중 빔, 동일하거나 상이한 주파수 캐리어상의 다중 빔, 동일하거나 상이한 방향의 다중 빔, 동일하거나 상이한 참조 신호의 다중 빔, 동일하거나 상이한 채널상의 다중 빔, 동일하거나 상이한 셀 내의 상이한 네트워크 장치로부터의 다중 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45.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BFR 표시는, 빔-형성 무선 링크, 단일 또는 다중 빔의 서빙 채널의 표시, 빔의 참조 신호, 컴포넌트 캐리어의 표시 및 관련 셀의 식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46. 제39항에 있어서,
    단일 또는 다중 빔(들)의 및 특정 참조 신호의 빔 품질 메트릭에 기초하여 캐리어 레벨, 채널 레벨 또는 셀 레벨 링크 품질 메트릭을 유도함으로써 링크 품질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7. 제46항에 있어서,
    다중 빔 RLM(IS, OOS) 표시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48. 제39항에 있어서,
    개별 BFR 표시는 동기(IS) 표시 또는 비동기(OOS) 표시 또는 BFR 성공 또는 실패 상태 표시를 가리키는, 방법.
  49. 제48항에 있어서,
    다중 빔포밍된 신호 각각에 대한 개별 BFR 표시는 물리 계층이 최종 BFR 성공/실패 상태를 결정한 후에만 생성되는, 방법.
  50. 제39항에 있어서,
    BFR 표시는 BFR 또는 빔 관리 이벤트에 기초하여 비주기적이거나 이벤트-구동 적인, 방법.
  51. 제40항에 있어서,
    BFR 성공 상태 표시를 하나 또는 다수(RLM) IS(들)로 변환하는 단계, 실패 상태를 하나 또는 다수(RLM) OOS(들)로 변환하는 단계, 또는 BFR IS, OOS를 사용하여 교체하거나 또는 하나 또는 다수의 RLM의 IS 또는 OOS로서 카운트되거나 또는 RLM 표시로서 그러나 특별한 가중치(비주기적 IS/OOS는 RLM 생성 주기적 IS, OOS보다 더 높은 가중치를 받음)를 가진 BFR 비주기적 IS 또는 OOS 표시로 취급하거나, BFR 비주기적 표시(IS, OOS 또는 성공 및 실패)를 사용하여 주기적 RLM IS, OOS 표시에 영향을 n거나, 또는 BFR 성공 또는 실패 상태를 이용하여 RLM 상태 머신(IS, OOS 생성)에 영향을 주어 RLM의 IS 또는 OOS 주기성 및 그들의 시작점 등에 영향을 주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52. 제39항에 있어서,
    동일한 참조 신호 및 무선 링크에 대응하는, 동일한 소스(RLM 또는 BFR)로부터의 (변환되거나 변환되지 않은) IS 표시를 논리(OR, AND) 연산 또는 하나 이상의 빔에 걸친 가중 합(카운트)과 같은 수학적 요약에 의해, 결합하고는 것을 더 포함하고, (변환되거나 변환되지 않은) OOS 표시의 결합에도 동일하게 하는, 방법.
  53.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방법은, 가중 방식이지만 동일한 RLF 타이머 및 카운터 등을 따르지 않고 BFR로부터 RLM 더하기 비주기적 IS로부터 가중화된 요약 카운팅 주기적 IS와 같이 논리(AND/OR) 연산 또는 수학적 연산에 의해 상이한 소스로부터의 (변환되거나 변환되지 않은) 표시를 결합하며, OOS에도 유사한, 방법.
  54. 제52항 또는 제53항에 있어서,
    가중치는 참조 신호당, 빔당, 채널당, 방향당, 캐리어당, 또는 셀당에 대해 정의되며, 가중치는 디지털 숫자 또는 선형 스칼라이고, 그 가중 합은 선형 또는 비선형 함수인, 방법.
  55. 제52항 또는 제53항에 있어서,
    개별 BFR 표시를 통합하는 단계는, 구성된 또는 타깃 대상인 (다중 빔) 무선 링크에 대해:
    상기 OOS 표시 생성 조건을 만족시키는 공통 또는 셀 특정 DL 제어 채널을 나타내는 공통 비동기(OOS)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OOS 표시 생성 조건을 만족하는 UE 특정 DL 제어 채널을 나타내는 UE 특정 OOS 표시를 결정하는 단계;
    최종 BFR 실패 또는 단계적 실패를 나타내는 BFR 실패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 단계적 실패는 BFR 프로세스 밖임 -;
    구성된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 이벤트 트리거 조건에 따라 타이머 또는 이벤트 트리거된 OOS 표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를 결합하고, 무선 링크에 대한 공통 링크 상태를 나타내는 통합 OOS 표시를 생성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56. 제52항 또는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BFR 표시를 통합하는 단계는 구성된 또는 타깃 대상인 (다중 빔) 무선 링크에 대해:
    IS 생성 조건을 만족하는 공통 또는 셀 특정 DL 제어 채널을 나타내는 공통 인-싱크(IS) 표시를 결정하는 단계;
    IS 생성 조건을 만족하는 UE 특정 DL 제어 채널을 나타내는 UE 특정 IS 표시를 결정하는 단계;
    BFR 성공을 나타내는 BFR 성공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구성된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 이벤트 트리거 조건에 따라 타이머 또는 이벤트 트리거된 IS 표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를 결합하고, 무선 링크에 대한 공통 링크 상태를 나타내는 통합 IS 표시를 생성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57. 제1항 내지 제5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된 BFR 표시는: 통합된(주기적인 또는 비주기적인) IS 또는 OOS만; 또는 (비주기적) BFR 상태 표시만; 또는 최종적 BFR 성공 상태 표시만; 또는 최종적 그리고 단계적(BFR 프로세스 밖) BFR 성공 표시; 또는 최종적 BFR 실패 상태 표시만; 또는 최종적 및 단계적(BFR 프로세스 밖(out of the BFR process)) BFR 실패 표시; 또는 통합 IS 및 OOS 및 최종 BFR 성공 또는 실패 상태 표시 양쪽 모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58. 제1항 내지 제5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기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 방법:
    무선 자원 제어(RRC) 구성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RRC 신호에 의해 무선 링크 구성에 따라 BFR 또는 RLM의 어떤 또는 어떻게 표시가 생성, 사용, 또는 통합되는지 결정하는 단계;
    구성에 따라 통합 방법 및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구성에 따라 상기 필터링 기준 및 파라미터 및 상기 다중 빔 RLM에 대한(IS, OOS) 표시 생성 접근법을 결정하는 단계;
    구성에 따라 RLF와 BFR 사이의 상향 및 하향 상호 표시 및 RLM과의 (병렬 또는 계단식 처리)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
    구성된 상위 레벨(RRC, RLC, RLF, RLM, RACH 등)에 기초한 표시에 기초하여 BFR 상태 머신(카운터, 타이머)에 영향을 미치는 단계;
    구성된(빔, 참조 신호, 채널, 캐리어, 방향 또는 셀) 레벨에서의 표시에 기초하여 RLF 상태 머신(카운터, 타이머)에 영향을 미치는 단계; 및
    구성된 (셀 또는 링크) 레벨의 구성된 (단일 또는 Y 개의 다수의) 빔에서 RLF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59. 제43항에 있어서,
    무선 자원 제어(RRC)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RLF 또는 RRC 계층에서 가용(UL 또는 DL) 경로를 결정하는 단계;
    경로의 이용 가능성을 BFR에 표시하는 단계; 및
    대안으로서 경로를 통해 요청하는 BFR을 재지정 또는 가속화함으로써 최적화로 BFR 상태 머신에 영향을 미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60. 제39항에 있어서,
    상위 계층에서 RLC 또는 RACH 또는 HO 상태를 학습하는 단계;
    상태를 하위 계층으로 표시하는 단계; 및
    상태, 단계, 타이머 또는 카운터의 가속 또는 조기 종료로 BFR 프로세스를 최적화하여 BFR 상태 시스템에 영향을 주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61. 제39항에 있어서,
    물리 또는 MAC 계층으로부터 표시를 수신하고(즉, L1 또는 L2), 개별 BFR 표시를 RLM 표시와 함께 또는 그것 없이 통합하고, 통합(BFR, RLM) 표시를 전송하거나 수신된 표시를 그대로 전송하는 단계는 물리 계층의 기능 모듈 또는 제2 계층의 모듈 또는 제3 계층의 모듈 또는 이들의 합동으로 실행되는, 방법.
  62.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된) 표시의 이용은, RLF 선언 또는 상태 전이 또는 특정 상태의 조기 종료, 어떤 타이머의 리셋 또는 중지, 및/또는 어떤 카운터의 리셋 또는 중지를 최적화 또는 가속화함으로써, 특정 타이머의 리셋 또는 정지 및/또는 RLF 상태 머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방법.
  63. 제1항 내지 제6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UE와 관련된 방법들은 상기 네트워크 장치들과 유사하게 그리고 이에 따라 미러링되도록 설계될 수 있는 방법.
  64. 사용자 장비(UE)에서 무선 링크 복구 또는 빔 실패 복구(BFR) 표시를 결정하는 방법으로서,
    다중 빔으로부터 다운링크(DL) 참조 신호를 수신하고 처리하는 단계;
    다중 빔 각각에 대한 신호 품질 메트릭을 결정하는 단계;
    시그널링의 링크 복구 동작, 링크 실패 검출, 새로운 빔 식별, 및 링크 실패 복구 요청 및 응답을 실행하기 위해 다수 다이버시티의 물리 계층 전송 경로의 결정된 신호 품질 메트릭을 평가하는 단계;
    구성된 또는 타이머 기반 제약 조건 하에서 구성된 링크 복구 동작을 위해 물리 계층에서 구성된 다중 경로를 완전히 활용함으로써 링크 복구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링크 복구 프로세스 동안 링크 복구 동작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링크 복구 동작 상태에 따라 링크 복구 지시를 생성하는 단계; 및
    링크 복구 지시(들)를 물리 계층에서 상위 계층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65. 제64항에 있어서,
    링크 복구 동작 상태는 링크 복구 동작 프로세스 동안 임의의 단계에서 단계적으로 생성될 수 있는, 방법.
  66. 제64항에 있어서,
    링크 복구는 프로세스의 중간에 아무 것도 나타내지 않고, 구성된 또는 타이머 구동 링크 복구 동작 상태의 모든 단계의 결과 후 최종 표시만이 물리 계층에 의해 결정되는 방법.
  67. 제65항 내지 제6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링크 복구의 성공은 링크 복구 프로세스의 모든 단계가 타이머 제약 조건 하에서 성공한 경우에만 최종적이고, 타이머 제약 조건 하에서 프로세스의 어느 단계의 실패가 있는 경우 링크 복구의 실패가 최종인, 방법.
  68. 제1항에 있어서,
    링크 복구 동작을 실행하기 위해 평가된 신호 품질은 서빙 제어 채널의 특정 참조 신호에만 기초하여 링크 품질 메트릭을 도출할 수 있는 것인, 방법.
  69. 제65항 내지 제6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품질 메트릭은 다수의 구성된 경로로부터의 메트릭의 합-평균, 가중 합 또는 임계치 비교에 의해 평가될 수 있는, 방법.
  70. 제65항 내지 제6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성된 다중 경로 다이버시티 이용에 의해, 상기 링크 실패 검출은 상기 서빙 제어 채널의 모든 SSB 및 CSI-RS 신호 메트릭이 구성된 시간 동안 임계치 아래로 떨어질 때 달성될 수 있고; 상기 링크 실패 복구는 서빙 제어 채널의 SSB 또는 CSI-RS 신호 메트릭 중 임의의 것이 구성된 시간 동안 임계치를 초과 할 때 달성될 수 있는, 방법.
  71. 사용자 장비(UE)에서 다중 빔 무선 링크 모니터링(RLM)을 위한 방법으로서,
    서빙 링크의 다중 빔으로부터 다운링크(DL) 참조 신호를 수신하고 처리하는 단계; 및
    다중 빔 각각에 대한 신호 품질 메트릭을 결정하는 단계;
    빔 특정 메트릭 필터링, 필터링된 메트릭 대 구성된 임계치에 기초한 X 최상의 빔 선택을 포함하는, 다중 빔 RLM 기준에 기초하여 결정된 빔 품질 메트릭을 평가하고, 구성된 방법 및 특정 참조 신호, 캐리어, 채널 또는 셀에 따라 다수의 선택된 빔으로부터 유일한 서빙 링크 메트릭(unique serving link metrics)를 도출하는 단계; 주기적(IS, OOS) 표시를 생성하기 위해 구성된 RLM 기준(RSRP 또는 RSRQ 또는 제어 채널 BLER 대 임계치)에 따라 도출된 서빙 무선 링크 메트릭을 평가하는 단계; RLM 표시를 다른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72. 제71항에 있어서,
    링크 메트릭의 구성된 도출 방법은 다중 빔 특정 신호 메트릭의 필터링 또는 가중 합, 이동 평균 또는 SINR-BLER 테이블 룩업을 포함하는, 방법.
  73. 제71항 또는 제72항에 있어서,
    무선 링크 메트릭을 도출하기 위해 구성된 RLM 기준은, RSRP, RSRQ, 또는 제어 채널 BLER 대(versus)를 포함할 수 있는, 방법.
  74. 제71항 내지 제7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LM 표시(들)는 빔 특정 신호 메트릭, 다중 빔 유도 링크 메트릭, 생성된 동기(IS) 또는 비동기(OOS)를 포함하는, 방법.
  75. 제71항 내지 제7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LM 표시(예를 들어, 신호 메트릭 또는 링크 메트릭)는 빔 실패 검출, 또는 새로운 빔 식별과 같은 동작에서 링크 복구에 의해 이용될 수 있는, 방법.
  76. 제64항 또는 제71항에 있어서,
    RLM 및 링크 복구 동작은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방법.
  77. 제64항 또는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빔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참조 신호의 네트워크 장치를 갖는 다중 빔, 동일하거나 상이한 주파수 캐리어상의 다중 빔, 동일 또는 상이한(DL/UL) 방향, 동일하거나 상이한 참조 신호의 다중 빔, 동일하거나 상이한 채널상의 다중 빔, 동일하거나 상이한 셀 내의 동일하거나 상이한 네트워크 장치로부터의 다중 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78.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실패 복구 표시는 적어도 하나의 빔-형성 무선 링크, 단일 또는 다중 빔의 서빙 링크 또는 채널, 빔의 참조 신호, 컴포넌트 캐리어, 및 연관된 기지국 또는 셀의 식별을 지칭하는, 방법.
  79. 제64항에 있어서,
    단일 또는 다중 빔(들) 및 특정 참조 신호의 빔 품질 메트릭에 기초하여 캐리어 레벨, 채널 레벨 또는 셀 레벨 링크 품질 메트릭을 유도함으로써 링크 품질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80. 제65항 내지 제7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는 참조 신호당, 빔당, 채널당, 방향 당, 캐리어 당, 또는 셀당에 대해 정의되고, 가중치는 디지털 숫자 또는 선형 스칼라이고 가중 합은 선형 또는 비선형 함수인, 방법.
  81. 제65항 내지 제7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기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 방법:
    무선 자원 제어(RRC) 구성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링크 복구 또는 RLM의 표시가 무엇 또는 어떻게 생성, 사용되는지 또는 RRC 신호에 의해 무선 링크 구성에 따라 활용되는 다중 경로 다이버시티를 결정하는 단계;
    구성에 따라 다중 경로 이용 방법 및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
    구성에 따라 필터링 기준 및 파라미터 및 다중 빔 RLM 및 다중 경로 링크 복구를위한 IS, OOS 표시 생성 방법을 결정하는 단계;
    구성에 따라 RLM과 링크 복구(병렬 또는 계단식 처리) 관계 사이에서 상하 상호 표시를 결정하는 단계;
    구성된 상위 레벨 상태 또는 이벤트들에 기초한 표시들에 기초하여 링크 복구 상태 머신에 영향을 미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82. 제71항 내지 제8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UE와 관련된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유사하게 그리고 그에 따라 설계되도록 미러링될 수 있는, 방법.
  83. 사용자 장비(UE)에서 네트워크 무선(NR) 무선 링크 실패(RLF)를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상위 계층 구성, 단일 또는 다중 경로 채널 상태에 따라 물리 계층 링크 복구 동작 생성된 상태 표시를 수신하고, 여기서, 상기 표시는 주기적, 비주기적 또는 이벤트-구동일 수 있으며, 경로는 특정 참조 신호, 빔, 데이터 또는 제어 채널 등의 통신 경로를 지칭함, RLM 생성 첫 번째 및 주기적 IS 또는 OOS 표시, RLM은 단일 또는 다중 빔 서빙 채널 상태, 양 표시를 병렬로 고려하고, 링크 복구에 의해 생성된 그러나 RLM에 의해 처리된 RLM 표시로부터만 수신하는 단계;
    특정 참조 신호 또는 빔 또는 채널 또는 캐리어 또는 셀의 구성에 따라 또는 이들 중 다수에 걸쳐 무선 링크를 검출하는 단계;
    구성에 따라 수신된 표시(들) 또는 검출된 무선 링크 품질 중 하나 또는 다수를 통합하는 단계;
    통합된 표시(들)를 RLF로 전송하는 단계;
    지시를 이용하여 RLF 선언을 위한 제어 파라미터로 RLF 상태 머신에 영향을 주는 단계 - 상기 영향 함수는 RLF 상태 머신의 속도, 지연 또는 최적화, 상태 전이, 파라미터 또는 특정 상태의 조기 종료, 어떤 타이머의 리셋 또는 정지, 어떤 카운터의 리셋 또는 정지 등을 포함하며, 파라미터는 N310, T310, N311, T311, T312 등과 같은 RLF 카운터 및 타이머를 포함함 -
    을 포함하는 방법.
  84. 제83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복구 표시는 링크 복구 성공에 대응하는 비주기적 표시, 또는 링크 복구 실패에 대응하는 비주기적 표시, 또는 주기적 또는 이벤트 기반 링크 복구 상태를 지칭하고, 링크 복구 상태는 실패 검출 인스턴스, 식별된 새로운 빔, 측정된 참조 신호 강도 또는 제어 또는 데이터 채널 품질, 구성된 기준에 따른 식별된 빔 경로의 실현 가능성 및 타이머 제약 조건에서의 단계별 성공 또는 실패, 최종 성공 또는 전체 링크 복구 프로세스의 실패를 지칭하는, 방법.
  85. 제83항에 있어서,
    상기 RLM 동작 및 RLM 표시 생성은 RLF의 일부이고, 상기 RLM 동작은 링크 복구 동작의 일부인, 방법.
  86. 제83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RLF, RLM 또는 링크 복구 모듈 중 하나에 위치하거나 그것들을 걸쳐 또는 서로 다른 프로토콜 계층 또는 다중 경로에 걸쳐 분산되어 있을 수 있으며, 링크 복구 및 RLM 표시는 RLM 기반 처리 후 병렬로 또는 RLM을 통해서만 상기 방법에 입력되는, 방법.
  87. 제83항에 있어서,
    RLF로 전송된 통합 표시는 링크 복구 동작이 성공 또는 실패인지의 표시, 또는 링크 복구 생성 상태 표시, 또는 RLM 생성 주기적 IS 또는 OOS 표시에 대한 표시 또는 이들 중 복수만을 기초로 하는 방법.
  88. 제83항에 있어서,
    링크 복구 동작에 영향을 주기 위해 상위 계층에서 물리 계층으로의 링크 복구 동작 구성 명령 또는 RLF 또는 RLC 또는 RRC 또는 RLM 상태 표시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성 명령은 상위 계층으로부터 물리 계층으로의 링크 복구의 파라미터 구성 또는 다중 경로 구성 또는 보고 요청을 지칭하며, 상기 요청은 링크 복구에서의 빔 보고이며, 상기 파라미터는 특정 링크 복구 참조 신호 또는 전송 경로, 타이머 또는 카운터, 또는 새로이 식별된 빔의 수 및 그 메트릭 임계치인,
    방법.
  89. 제83항에 있어서,
    다중 경로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참조 신호의 네트워크 장치를 갖는 다중 빔, 동일하거나 상이한 주파수 캐리어상의 다중 빔, 동일하거나 상이한 다운링크 및 상향 링크 방향의 다중 빔, 동일하거나 상이한 참조 신호의 다중 빔, 동일하거나 상이한 채널상의 다중 빔, 동일하거나 상이한 셀 내의 동일하거나 상이한 네트워크 장치로부터의 다중 빔, 동일하거나 상이한 RAT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방법.
  90. 제83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단일 참조 신호, 빔, 채널, 캐리어 또는 셀,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단일 경로만을 고려하는 경우, 상기 링크 복구 및 RLM 표시는 하나의 빔포밍된 무선 링크, 단일 또는 다중 빔의 서빙 링크 또는 데이터 또는 제어(PDCCH) 채널, 빔의 참조 신호(CSI-RS 또는 SSB 또는 DM-RS), 컴포넌트 캐리어, 및 연관된 기지국 또는 셀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경로를 지칭하는, 방법.
  91. 제83항에 있어서,
    단일 또는 다중 빔(들) 및 특정 또는 다중 참조 신호(들)의 무선 품질 메트릭에 기초하여 캐리어 레벨, 채널 레벨 또는 셀 레벨 링크 품질 메트릭을 유도함으로써 링크 품질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92. 제91항에 있어서,
    RLM 채널 측정, 링크 복구 동작에서의 빔 실패 검출 또는 새로운 빔 식별, 또는 이들의 독립적 또는 공유 또는 조합된 동작에 의한 검출 동작을 참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93. 제83항 내지 제9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성에 의해, 링크 복구 표시는: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 IS 또는 OOS만; 또는
    비주기적 링크 복구 상태 표시만; 또는
    최종 링크 복구 성공 상태 표시만; 또는
    최종적 및 단계적 BFR 성공 표시 모두 - 여기서 각 단계는 링크 복구 프로세스를 벗어남 -; 또는
    최종 BFR 실패 상태 표시만; 또는
    최종적 및 단계적 링크 복구 실패 표시; 또는
    IS 및 OOS 및 최종 링크 복구 성공 또는 실패 상태 표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94. 제83항에 있어서,
    구성에 의해, 상기 통합 방법은, 수신된 표시를 직접 입력으로서 단순히 고려하거나, 링크 복구 성공 상태 표시를 하나 또는 다수의 IS(들)로 변환하거나 실패 상태를 하나 또는 여러 OOS로 변환하거나, 또는 링크 복구 IS 또는 OOS를 사용하여 단일 또는 여러 RLM의 IS 또는 OOS로서 교체하거나 카운트되거나, 또는 링크 복구 비주기적 IS 또는 OOS 표시를 특수한 가중치를 가지고 RLM 표시로서 취급하거나, 또는 링크 복구 표시(IS 또는 OOS 또는 성공 및 실패)를 사용하여 주기적 RLM IS 또는 OOS 표시에 영향을 주거나, 또는 링크 복수 성공 또는 실패 상태를 이용하여 RLM 상태 머신에 영향을 주는, 방법.
  95. 제94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복구 표시(IS 또는 OOS)는 상위 계층 통합 또는 RLF 카운팅 프로세스에서 RLM 생성 주기적 표시(IS 또는 OOS)와 동일하거나 다른 가중치를 부여 받을 수 있으며, 상기 링크 복구 표시는 RLM 표시 생성, 보고 주기성, 보고 시작점 등과 같은 상태 머신 매개 변수를 트리거, 중지 또는 리셋하여 RLM 표시 또는 RLM 상태 시스템에 영향을 주는, 방법.
  96. 제83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방법은, RLM 또는 링크 복구의 동일하거나 상이한 소스, 및 동일하거나 상이한 참조 신호 또는 빔 또는 다른 경로에 대응하는 검출된 무선 링크 품질로부터의 IS 표시를 결합하거나 선택하거나 필터링하도록 구성되고,
    그것은 단일 또는 다중 빔, 신호, 캐리어, 방향, 제어 또는 데이터 채널, 셀에 걸친 가중 합과 같은 수학적 요약에 의해 검출된 무선 링크 품질 메트릭을 필터링 또는 결합 또는 선택할 수 있고, OOS 표시의 결합에도 동일한, 방법.
  97. 제83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방법은 동일한 RLF 타이머 및 카운터에 대해 가중치 방식으로 RLM으로부터 IS를 더하고 링크 복구로부터 IS를 카운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98. 제96항 또는 제99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는 참조 신호, 빔, 채널, 방향, 캐리어 또는 셀 단위로 구성되며, 가중치는 디지털 숫자 또는 선형이다. 스칼라이며 가중치 합계는 선형 또는 비선형 함수인, 방법.
  99. 제83항 내지 제9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성에 의해, 상기 개별 링크 복구 표시들을 통합하는 단계는, 구성된 또는 타깃의 다중 경로 무선 링크에 대해, 다음 중:
    상기 OOS 표시 생성 조건을 만족시키는 공통 또는 셀 특정 DL 제어 채널을 나타내는 공통 비동기 동기(OOS)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OOS 표시 생성 조건을 만족하는 UE 특정 DL 제어 채널을 나타내는 UE 특정 또는 전용 OOS 표시를 결정하는 단계;
    최종 링크 복구 실패 또는 단계적 실패를 나타내는 링크 복구 실패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단계적 실패는 링크 복구 프로세스를 벗어남 -;
    구성된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 이벤트 트리거 조건에 따라 타이머 또는 이벤트 트리거된 OOS 표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를 결합하고, 무선 링크에 대한 공통 링크 상태를 나타내는 통합 OOS 표시를 생성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IS에도 동일한 통합이 적용되는, 방법.
  100. 사용자 장비(UE)에서 네트워크 무선(NR) 무선 링크 실패(RLF)를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구성에 의해:
    상위 계층에서의 RLC 또는 RLF 또는 RACH 또는 핸드오버 상태를 학습하는 단계;
    링크 복구 또는 RLM 또는 BM 상태를 하위 계층으로 표시하는 단계; 및
    상태, 단계, 타이머 또는 카운터의 가속 또는 조기 종료로 링크 복구 프로세스를 최적화하여 링크 복구 상태 시스템에 영향을 주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01. 제83항 내지 제9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무선 자원 제어(RRC) 또는 MAC CE 또는 물리 계층 구성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RRC 신호에 의해 무선 링크 구성에 따라, 링크 복구 또는 RLM의 표시가 무엇을 또는 어떻게 생성, 사용 또는 통합되는지 결정하는 단계;
    구성에 따라 통합 방법 및 다중 경로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
    구성에 따라 필터링 기준 및 파라미터 및 다중 빔 RLM에 대한(IS 또는 OOS) 표시 생성 접근법을 결정하는 단계;
    RLF와 링크 복구 사이의 상향 및 하향 상호 표시를 결정하고, 링크 복구 지시를 그들 사이에 있는 것처럼 포워딩하기 전에 통합 또는 처리하기 위해 RLM과의 병렬 또는 캐스케이드 처리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
    구성된 상위 레벨(RRC, RLC, RLF, RLM, RACH 등)에 기초한 표시에 기초하여 링크 복구 상태 머신(카운터, 타이머)에 영향을 미치는 단계;
    구성된(빔, 참조 신호, 채널, 캐리어, 방향 또는 셀) 레벨에서의 표시에 기초하여 RLF 상태 머신(카운터, 타이머)에 영향을 미치는 단계;
    구성된 단일 또는 Y 수의 다중 빔에 대해 구성된(셀 또는 링크) 레벨에서 RLF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및
    RLF 또는 RRC 계층에서, 다른 캐리어 또는 채널 또는 셀에서,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경로, 예약 또는 경합 기반 RACH 자원을 포함하여, 링크 실패 후 이용 가능한 대안 경로를 결정하는 단계; 및
    대체 경로의 이용 가능성을 복구로 링크하도록 표시하는 단계; 및
    대안으로 경로를 통해 요청하는 BFR의 방향을 재 지정하거나 가속화하는 것을 포함하여 최적화로 BFR 상태 머신에 영향을 미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 방법을 포함하는, 방법.
  102. 제83항 내지 제10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UE와 관련된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유사하게 그리고 그에 따라 설계되도록 미러링될 수 있는, 방법
  103.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복구 표시는 주기적, 비주기적, 및 이벤트 구동형인, 방법.
  104.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복구 표시는 주기적, 비주기적, 또는 이벤트 구동형인, 방법.
  105. 제104항에 있어서,
    상기 비주기적 표시는 링크 복구 성공에 대응하거나, 상기 비주기적 표시는 링크 복구 실패에 대응하는, 방법.
  106. 제104항 에있어서,
    상기 주기적은 식별된 빔, 측정된 신호 강도 또는 채널 품질, 구성된 기준에 따른 식별된 빔 경로의 실현 가능성, 및 타이머 제약 하에서 단계적 성공 또는 실패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207001668A 2017-06-23 2018-06-25 Nr에서의 통합 rlf 검출, 다중 빔 rlm 및 풀-다이버시티 bfr 메커니즘 KR1022715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24362P 2017-06-23 2017-06-23
US62/524,362 2017-06-23
US201762557052P 2017-09-11 2017-09-11
US62/557,052 2017-09-11
PCT/US2018/039368 WO2018237400A1 (en) 2017-06-23 2018-06-25 UNIFIED RLF DETECTION, MULTI-BEAM RLM AND BFR MECHANISMS WITH FULL DIVERSIT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9221A true KR20200019221A (ko) 2020-02-21
KR102271539B1 KR102271539B1 (ko) 2021-06-30

Family

ID=62976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1668A KR102271539B1 (ko) 2017-06-23 2018-06-25 Nr에서의 통합 rlf 검출, 다중 빔 rlm 및 풀-다이버시티 bfr 메커니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3) US20190174385A1 (ko)
EP (1) EP3632178A1 (ko)
JP (1) JP2020526086A (ko)
KR (1) KR102271539B1 (ko)
CN (1) CN111034338A (ko)
AU (1) AU2018289632A1 (ko)
RU (1) RU2740044C1 (ko)
WO (1) WO20182374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60129B2 (en) * 2016-08-12 2021-10-26 Mediatek Singapore Pte.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handling of radio link failure detection in HF-NR system
CN107889130B (zh) * 2016-09-29 2023-04-18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资源选择方法及装置
EP3566487A4 (en) * 2017-01-06 2020-08-19 LG Electronics Inc. -1- PROCESS FOR PERFORMING A RADIO LINK MONITORING AND A MULTI-BEAM OPERATING FAILURE PROCEDUR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SSOCIATED DEVICE
US10820271B2 (en) * 2017-07-25 2020-10-27 FG Innovation Compan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of power saving for discontinuous reception
CN109391953B (zh) 2017-08-07 2020-06-3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无线链路监测的方法及终端
US11337265B2 (en) 2017-08-10 2022-05-17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 failure recovery request transmission
US11950287B2 (en) 2017-08-10 2024-04-02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Resource configuration of beam failure recovery request transmission
US10952273B2 (en) * 2017-08-10 2021-03-1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Detecting and correcting radio link failures based on different usage scenarios
US10887939B2 (en) 2017-08-10 2021-01-05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Transmission power control for beam failure recovery requests
US10855359B2 (en) 2017-08-10 2020-12-01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Priority of beam failure recovery request and uplink channels
WO2019029708A1 (en) * 2017-08-10 2019-02-14 Mediatek Inc. BEAM RECOVERY REQUEST IN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WO2019031899A1 (en) * 2017-08-10 2019-0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RADIO LINK FAILURE IN A SYSTEM USING MULTIPLE REFERENCE SIGNALS
US11190261B2 (en) * 2017-08-11 2021-11-3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nnection re-configuration upon beam recovery response
EP3666033B1 (en) * 2017-08-11 2022-03-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periodic and periodic indications for blf and rlf
US11088769B2 (en) * 2017-08-18 2021-08-10 Qualcomm Incorporated Radio link monitoring based on multiple reference signals
US11277301B2 (en) 2017-09-07 2022-03-15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Unified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for beam management
RU2742603C1 (ru) 2017-09-11 2021-02-09 Телефонактиеболагет Лм Эрикссон (Пабл) Улучшенные конфигурации фильтрации измерений для администрирования линии радиосвязи и администрирования радиоресурсов
EP3682561A2 (en) * 2017-09-11 2020-07-22 Lenovo (Singapore) Pte. Ltd. Methods and devices for transmitting device capability information
KR20200052295A (ko) * 2017-09-12 2020-05-14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정보 처리 방법, 상위 계층 기능 엔티티 및 컴퓨터 저장 매체
US10873866B2 (en) * 2017-09-27 2020-12-2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managing radio resources in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the same
US11611468B2 (en) 2017-09-28 2023-03-21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 management with DRX configuration
US10932168B2 (en) * 2017-09-29 2021-02-23 Apple Inc. Next generation node-B (gNB) and methods for mobility management with separate user plane and control plane in new radio (NR) systems
WO2019061354A1 (zh) * 2017-09-29 2019-04-0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无线通信方法和设备
CN109699034B (zh) * 2017-10-20 2022-03-2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波束失败恢复的处理方法及终端
CN116828627A (zh) 2017-10-27 2023-09-2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随机接入的方法和装置
CN109787730B (zh) * 2017-11-14 2020-07-03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资源配置方法及装置、计算机存储介质
CA3024596A1 (en) 2017-11-16 2019-05-16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 paging assistance
CN113543179A (zh) 2017-11-16 2021-10-2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非连接态测量方法、终端及基站
ES2853487T3 (es) * 2017-11-17 2021-09-16 Asustek Comp Inc Método y aparato para el comportamiento de monitoreo del equipo de usuario (UE) para la recuperación del haz en un sistema de comunicación inalámbrico
CN113301596B (zh) * 2017-11-24 2023-06-06 北京禾怡管理咨询有限公司 一种无线通信方法及装置
KR102439425B1 (ko) * 2017-12-21 2022-09-05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빔 추적 방법 및 장치
EP3735019A4 (en) * 2017-12-27 2021-08-04 NTT DoCoMo, Inc. USER TERMINAL DEVICE AND RADIO COMMUNICATION PROCEDURES
KR20230005431A (ko) * 2018-01-04 2023-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반영구적 채널 상태 정보 리포트
EP3718334A4 (en) * 2018-01-05 2021-08-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CONDARY CELL BEAM RECOVERY APPARATUS AND METHOD
US10863570B2 (en) 2018-01-09 2020-12-08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 selection in beam failure recovery request retransmission
US11570818B2 (en) * 2018-01-19 2023-01-31 Nokia Technologies Oy Beam failure recovery
US10798622B2 (en) 2018-02-09 2020-10-06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 failure recovery in carrier aggregation
CA3034014A1 (en) 2018-02-15 2019-08-15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 failure report
US11032760B2 (en) * 2018-03-02 2021-06-08 FG Innovation Company Limited SCell selection for beam failure recovery
EP3766188A4 (en) * 2018-03-16 2022-01-19 Lenovo (Beijing) Limited BEAM FAILURE RECOVERY
CN110324914B (zh) * 2018-03-28 2021-03-2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波束失败的处理方法和终端
EP4239905A3 (en) 2018-03-30 2023-10-18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Configuration for beam failure recovery
EP3557778B1 (en) 2018-04-02 2022-11-16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 failure recovery
US10979919B2 (en) * 2018-05-10 2021-04-1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beam failure recover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EP3791491A1 (en) * 2018-05-10 2021-03-17 Convida Wireless, Llc Beam failure recovery in new radio unlicensed spectrum
EP3930237A1 (en) 2018-05-10 2021-12-29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Prioritization in beam failure recovery procedures
CN110475279B (zh) * 2018-05-11 2021-04-09 成都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的方法和通信装置
CN110519815B (zh) * 2018-05-22 2021-09-17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及装置
EP3804453B1 (en) * 2018-05-28 2023-10-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Handling of beam pair links
US11469835B2 (en) * 2018-06-22 2022-10-1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porting an ID of specific BWP among the multiple BWP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20020496A1 (en) * 2018-07-27 2020-01-30 Huawei Technologies Co., Ltd. Link failure recovery in c-drx mode
US11924025B2 (en) * 2018-08-09 2024-03-0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erforming beam failure detec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US11012137B2 (en) 2018-08-09 2021-05-18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Resource management for beam failure recovery procedures
US10833905B2 (en) * 2018-08-10 2020-11-10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s for UE-specific RS multiplexing
US11228931B2 (en) * 2018-08-10 2022-01-18 Qualcomm Incorporated On-demand physical layer reporting by a UE
US20210185694A1 (en) * 2018-08-20 2021-06-17 Apple Inc. Control resource set selection for 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based radio link monitoring
CA3056500A1 (en) 2018-09-24 2020-03-24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 failure recovery procedures
US11343735B2 (en) 2018-09-25 2022-05-24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 configuration for secondary cells
US11863372B2 (en) * 2018-09-27 2024-01-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dual connectivit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2840574A (zh) * 2018-09-28 2021-05-25 苹果公司 第五代(5g)新无线电(nr)中的波束故障恢复和无线电链路故障关联
TWI735043B (zh) * 2018-09-28 2021-08-01 聯發科技股份有限公司 用於波束故障恢復之方法和電子設備
WO2020085808A1 (ko) * 2018-10-25 2020-04-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 캐리어 환경에서 무선 링크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1706081B2 (en) * 2018-10-29 2023-07-18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beam failure recovery procedure,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10519794B (zh) * 2018-10-31 2021-10-22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上行传输方法、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终端
US11785541B2 (en) * 2018-11-01 2023-10-10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Method for executing BFR process, device, terminal, base station, and storage medium
KR20200060965A (ko) * 2018-11-23 2020-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네트워크에서 라디오 링크 페일을 결정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US20220053385A1 (en) * 2018-12-21 2022-02-17 Apple Inc. A method for enabling fast mobility with beamforming information
US11018750B2 (en) * 2019-01-03 2021-05-25 Qualcomm Incorporated Recovery mechanism for secondary cell
US11121758B2 (en) * 2019-01-10 2021-09-14 Qualcomm Incorporated Link recovery procedure enhancements
CN111447636B (zh) * 2019-01-16 2021-10-26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波束失败恢复方法、终端及基站
CN111447635B (zh) * 2019-01-16 2021-10-26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波束失败上报方法、基站及终端
CN111479289B (zh) * 2019-01-24 2023-01-13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一种小区切换方法、装置和可读介质
CN111479284B (zh) * 2019-01-24 2022-02-08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波束失败恢复响应的发送方法、监测方法、基站及终端
CN111479326B (zh) * 2019-01-24 2022-09-16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信息发送、检测方法及装置
CN111278122B (zh) * 2019-01-25 2023-03-2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波束失败恢复方法、处理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US20220131583A1 (en) * 2019-02-01 2022-04-28 Lg Electronics Inc. Method by which terminal reports state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and base station for supporting same
WO2020155094A1 (en) * 2019-02-01 2020-08-06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communicating mobility information
US11343748B2 (en) * 2019-02-08 2022-05-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ordinated beam selection in cellular mesh network
US20220104300A1 (en) * 2019-02-14 2022-03-3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eporting From User Equipment to the Network for Radio Link Monitoring, Beam Failure Detection, and Beam Failure Recovery
US20220210681A1 (en) * 2019-02-15 2022-06-3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adio Link Monitoring
CN113678382B (zh) * 2019-02-22 2023-12-26 Lg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由ue执行波束管理的方法以及支持其的ue和基站
WO2020180071A1 (en) * 2019-03-01 2020-09-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Irat rrc re-establishment procedure and irat resume procedure
US11363516B2 (en) * 2019-03-27 2022-06-14 Mediatek Singapore Pte.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beam failure recovery
US11425624B2 (en) * 2019-04-08 2022-08-23 Qualcomm Incorporated Beam failure recovery in millimeter wave systems with network assisted user equipment cooperation
WO2020223659A1 (en) * 2019-05-01 2020-11-05 Apple, Inc. Radio link monitoring beam management in nr for urllc
EP3964025A1 (en) * 2019-05-02 2022-03-09 Nokia Technologies Oy Robust beam failure recovery using a non-serving cell
US11405809B2 (en) * 2019-05-08 2022-08-02 Qualcomm Incorporated Radio link monitoring reference signals for UEs that do not support CSI-RS based radio link monitoring
US11026235B2 (en) * 2019-05-16 2021-06-01 Qualcomm Incorporated Beam grouping for inter-band carrier aggregation
EP3906750B1 (en) 2019-05-31 2024-04-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a secondary cell group (scg) in a dual connectivity (dc) mode
CN112104395B (zh) * 2019-06-18 2022-03-2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波束检测的方法以及波束检测装置
TWI732233B (zh) * 2019-06-24 2021-07-01 竹北動力股份有限公司 控制系統和控制方法
US11252017B2 (en) * 2019-07-22 2022-02-1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Facilitating management of secondary cell group failures in fifth generation (5G) or other advanced networks
US11477705B2 (en) * 2019-08-21 2022-10-18 Lenovo (Singapore) Pte. Ltd. Radio link failure recovery
US11337266B2 (en) * 2019-08-23 2022-05-17 Qualcomm Incorporated Multi-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TRP) link failure procedures
CN112584443A (zh) 2019-09-27 2021-03-30 苹果公司 辅助小区链路恢复请求传输
CN112584513B (zh) * 2019-09-30 2024-01-16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波束失败恢复请求的发送、接收方法、终端及基站
US11979904B2 (en) * 2019-10-04 2024-05-07 Intel Corporation Detection of listen before talk failure during radio link monitoring
US11616557B2 (en) * 2019-10-24 2023-03-28 Qualcomm Incorporated Indicating beam failure for multiple cells
US10856191B1 (en) * 2019-11-08 2020-12-01 Nokia Technologies Oy User equipment configuration
US11831383B2 (en) * 2020-01-27 2023-11-28 Qualcomm Incorporated Beam failure recovery assistance in upper band millimeter wave wireless communications
US11856570B2 (en) 2020-01-27 2023-12-26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mixed mode beam correspondence in upper millimeter wave bands
US20210234597A1 (en) * 2020-01-27 2021-07-29 Qualcomm Incorporated Asymmetric uplink-downlink beam training in frequency bands
US11924895B2 (en) * 2020-02-14 2024-03-05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new radio layer two relay
US11950112B2 (en) * 2020-08-05 2024-04-02 Acer Incorporated User equipment for beam failure detection and beam failure detection method
US11979756B2 (en) * 2020-08-05 2024-05-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beam failure recover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6195294A (zh) * 2020-09-14 2023-05-30 深圳传音控股股份有限公司 波束跟踪方法、设备及存储介质
US11825321B2 (en) * 2020-09-23 2023-11-21 Qualcomm Incorporated Beam failure detection using mixed downlink reference signal
US20220124724A1 (en) * 2020-10-15 2022-04-2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wireless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20132517A1 (en) * 2020-10-23 2022-04-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artial beam failure recovery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20220240207A1 (en) * 2021-01-25 2022-07-28 Qualcomm Incorporated Synchronization signal selection across multiple transceiver nodes
WO2022232972A1 (en) * 2021-05-05 2022-11-10 Qualcomm Incorporated Resetting a beam based at least in part on a subcarrier spacing
WO2023133739A1 (zh) * 2022-01-12 2023-07-2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无线通信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WO2023212905A1 (en) * 2022-05-06 2023-11-09 Qualcomm Incorporated Power control parameters after bfr in unified tci framework
WO2024010297A1 (en) * 2022-07-04 2024-01-1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adio link recovery based on predicting radio link problem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24010292A1 (en) * 2022-07-04 2024-01-1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edictive radio link problem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9690A (ko) * 2009-06-01 2010-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반송파 시스템에서 요소 반송파의 실패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10081832A (ko) * 2008-11-03 2011-07-14 프리스케일 세미컨덕터, 인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링크 문제 및 복구 검출을 위한 기술
KR20160063020A (ko) * 2014-11-26 2016-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빔포밍을 이용한 통신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44828B2 (en) * 2007-12-05 2017-01-10 Qualcomm Incorporated Handover failure procedures in communication systems
US8848641B2 (en) * 2009-09-25 2014-09-30 Blackberry Limited Methods for radio link failure recovery, and user equipment
US20110194630A1 (en) * 2010-02-10 2011-08-11 Yang Hua-Lung Systems and methods for reporting radio link failure
CN102196590B (zh) * 2010-03-18 2014-10-29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判决无线链路失败的方法和设备
US9042315B2 (en) * 2011-05-03 2015-05-26 Mediatek Inc. SCELL radio link monitoring and radio link failure handling
US9055560B2 (en) * 2012-01-18 2015-06-09 Mediatek Inc. Method of enhanced connection recovery and loss-less data recovery
ES2942142T3 (es) * 2012-11-13 2023-05-30 Ericsson Telefon Ab L M Método de operación de un dispositivo inalámbrico en una red de comunicaciones celular y dispositivo inalámbrico correspondiente
EP2982161A4 (en) * 2013-04-04 2016-12-14 Intel Ip Corp FAST RADIO CONNECTION RECOVERY FOR LTE NETWORKS
US9397807B2 (en) * 2013-04-05 2016-07-1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UE, network node and methods of assisting measurements in mixed signal configuration
GB2519975A (en) * 2013-11-01 2015-05-13 Nec Corp Communication system
EP3252971A4 (en) * 2015-01-30 2018-10-10 LG Electronics Inc. Radio link monitoring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US11223403B2 (en) * 2016-05-05 2022-01-11 Nokia Technologies Oy Mobility measurements
US10542445B2 (en) * 2017-02-06 2020-01-2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radio link monitoring by user equip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339471B1 (ko) * 2017-05-04 2021-12-15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리포트 송신 방법, 리포트 수신 방법, 장치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1832A (ko) * 2008-11-03 2011-07-14 프리스케일 세미컨덕터, 인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링크 문제 및 복구 검출을 위한 기술
KR20100129690A (ko) * 2009-06-01 2010-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반송파 시스템에서 요소 반송파의 실패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60063020A (ko) * 2014-11-26 2016-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빔포밍을 이용한 통신 방법 및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711071*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089447A1 (en) 2019-03-21
KR102271539B1 (ko) 2021-06-30
EP3632178A1 (en) 2020-04-08
CN111034338A (zh) 2020-04-17
AU2018289632A1 (en) 2020-01-30
JP2020526086A (ja) 2020-08-27
US20190089579A1 (en) 2019-03-21
US20190174385A1 (en) 2019-06-06
RU2740044C1 (ru) 2020-12-31
WO2018237400A1 (en) 2018-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1539B1 (ko) Nr에서의 통합 rlf 검출, 다중 빔 rlm 및 풀-다이버시티 bfr 메커니즘
US11259306B2 (en) Utilizing interference measurements in beam recovery procedure
US20220141725A1 (en) Reporting of Successful Handover to a Target Cell
KR102658512B1 (ko) 비주기적 빔 실패 복원 (bfr) 트리거들에 의해 향상된 무선 링크 실패 (rlf) 절차에 대한 파라미터 조정
JP7431229B2 (ja) 障害のないセルでのビーム障害回復
JP7079326B2 (ja) 帯域幅部分切替え時の無線リンク監視/無線リンク失敗再設定
JP7101328B2 (ja) 無線デバイスのための分散型モビリティ
CN109891832B (zh) 网络切片发现和选择
US20210243839A1 (en) Data analysis and configuration of a distributed radio access network
JP6808035B2 (ja) 無線リンク監視のための方法およびデバイス
JP7315681B2 (ja) 無線リンクモニタリング、ビーム障害検出、及びビーム障害回復のためのユーザ装置からネットワークへの報告
US10980065B2 (en) Multi-connectivity of terminal device
US20210345211A1 (en) Timing advance for rach-less backhaul handover
JP2021505070A (ja) ビーム/セルレベル測定の分類を助けるための測定報告設定
US20210160710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support rach optimization and delay measurements for 5g networks
JP2022527170A (ja) ダウンリンククリアチャネル評価障害の指示
JP2023076771A (ja) 設定情報の送受信方法、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US20230319606A1 (en) User Equipment (UE) Reporting of Non-Cellular Receiver Status
JP6968189B2 (ja) リンク再確立方法及びデバイス
WO2018202310A1 (en) Radio link monitoring for multi-beam communications
US20240031868A1 (en) User Equipment, Radio Network Node and Methods for Handling Delay in Dual Connected Mode
WO2023171198A1 (ja) Ranノード及び方法
WO2017081360A1 (en) Multi-connectivity of terminal device in cellular system
WO2020041997A1 (en) Methods, device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recovering connections in communication systems
KR20230019018A (ko)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성능 향상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