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9425B1 -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빔 추적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빔 추적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9425B1
KR102439425B1 KR1020170177108A KR20170177108A KR102439425B1 KR 102439425 B1 KR102439425 B1 KR 102439425B1 KR 1020170177108 A KR1020170177108 A KR 1020170177108A KR 20170177108 A KR20170177108 A KR 20170177108A KR 102439425 B1 KR102439425 B1 KR 102439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erminal
base station
movement
change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7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5485A (ko
Inventor
여정호
노훈동
박성진
오진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7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9425B1/ko
Priority to US16/955,878 priority patent/US11405090B2/en
Priority to PCT/KR2018/016442 priority patent/WO2019125037A1/ko
Publication of KR20190075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54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9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94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antenna selection
    • H04B7/083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antenna selection based on external parameters, e.g. subscriber speed or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3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pre-detection combining
    • H04B7/0842Weighted combining
    • H04B7/086Weighted combining using weights depending on external parameters, e.g. direction of arrival [DOA], predetermined weights or beam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6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 H04B7/08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in the space domain, e.g. beams

Abstract

본 개시는 4G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 통신 시스템을 IoT 기술과 융합하는 통신 기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5G 통신 기술 및 IoT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지능형 서비스 (예를 들어,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헬스 케어, 디지털 교육, 소매업, 보안 및 안전 관련 서비스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아날로그 빔포밍이 적용되는 통신 환경에서 송신단과 수신단 간의 통신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빔 추적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ANTENNA BEAM TRACKING IN WIRELSS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안테나 빔을 추적하고 변경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단말이 위치 및 속도 등에 대한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달하고, 기지국은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빔을 변경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4G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 (Post LTE)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 (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 (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 (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 (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 (moving network), 협력 통신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 (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 (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 (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 SCMA (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 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데이터(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IoE (Internet of Everything) 기술도 대두되고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과 같은 기술 요소 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information technology)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의료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이에, 5G 통신 시스템을 IoT 망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5G 통신 기술이 빔 포밍, MIMO, 및 어레이 안테나 등의 기법에 의해 구현되고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빅데이터 처리 기술로써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N)가 적용되는 것도 5G 기술과 IoT 기술 융합의 일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최근 통신 시스템의 발전에 따라 송신단과 수신단 간에 아날로그 빔포밍을 이용한 통신 환경이 연구되고 있으며, 특히 고주파 대역을 이용하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 지고 있다.
5G 이동통신 시스템의 한 가지 특징은 송수신단에서 아날로그 빔포밍을 이용하여 특정 방향으로 신호를 전송하거나, 특정 방향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함에 있다. 이는 특히 고주파 대역에서 커버리지를 늘리기 위한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 기지국은 한 순간에 특정 방향으로 신호를 증폭하여 전송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신호를 증폭하여 전송하는 방향을 바꾸어 다른 위치에 있는 단말에게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에게 전송될 수 있는 최적의 빔 방향을 찾기 위하여, 빔 방향으로 기준신호(reference signal)을 전송하고, 단말은 해당 기준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측정값을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기지국은 단말로부터의 측정값 혹은 채널 상태 정보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을 전달 받고, 상기 정보를 바탕으로 단말에게 최적의 빔을 선택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빔 선택을 위해 보고할 정보를 설정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제1 메시지에 기초하여, 단말의 위치 정보 및 이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는 단계, 위치 정보 및 이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2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위치 정보 및 이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선택된 기지국의 빔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3 메시지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은,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기지국으로부터 빔 선택을 위해 보고할 정보를 설정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1 메시지에 기초하여 단말의 위치 정보 및 이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고, 위치 정보 및 이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2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위치 정보 및 이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선택된 기지국의 빔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3 메시지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도록 설정된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방법은, 단말로 빔 선택을 위해 보고할 정보를 설정하는 제1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단말로부터 제1 메시지에 기초하여 생성된 위치 정보 및 이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2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제2 메시지에 포함된 위치 정보 및 이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단말과의 통신을 위한 빔을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빔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3 메시지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은,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단말로 빔 선택을 위해 보고할 정보를 설정하는 제1 메시지를 전송하고, 단말로부터 제1 메시지에 기초하여 생성된 위치 정보 및 이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2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2 메시지에 포함된 위치 정보 및 이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단말과의 통신을 위한 빔을 선택하고, 선택된 빔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3 메시지를 단말로 전송하도록 설정된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말 및 기지국 송수신에 있어 다중안테나를 활용하여 특정한 방향으로 빔을 전송할 때에, 단말의 위치 정보와 이동 정보에 기반하여 선택된 빔을 전송하여 빠른 시간에 빔의 변화를 트래킹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LTE 또는 LTE-A 시스템의 하향링크 시간-주파수영역 전송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LTE 또는 LTE-A 시스템의 상향링크 시간-주파수영역 전송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기지국에서 단말에게 신호를 송신할 때, 단말 방향으로 신호를 집중하여 전송하는 빔포밍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기지국이 단말에게 전송하는 신호의 빔 방향을 바꾸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단말이 이동함에 따라 기지국으로부터 최적의 빔 방향이 변화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위치 등의 정보를 기지국에게 보고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정보를 단말이 기지국으로 보고하는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보고하는 정보에 기반하여 기지국이 다른 송수신 빔을 선택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이 단말로부터 위치 등의 정보를 보고 받고, 상기 정보에 기반하여 최적의 송수신 빔 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빔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따라 송신 빔 및 수신 빔의 방향을 결정함에 있어서, 기지국의 위치, 속도, 가속도 등의 정보를 기반으로 송신 빔 및 수신 빔의 방향을 결정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단말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기지국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부'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초기의 음성 위주의 서비스를 제공하던 것에서 벗어나 예를 들어, 3GPP의 HSPA(High Speed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혹은 E-UTRA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LTE-Advanced (LTE-A), 3GPP2의 HRPD(High Rate Packet Data), UMB(Ultra Mobile Broadband), 및 IEEE의 802.16e 등의 통신 표준과 같이 고속, 고품질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 발전하고 있다. 또한, 5세대 무선통신 시스템으로 5G 혹은 NR (new radio)의 통신표준이 만들어지고 있다.
상기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의 대표적인 예로, LTE 시스템에서는 하향링크(Downlink; DL)에서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을 채용하고 있고, 상향링크(Uplink; UL)에서는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상향링크는 단말(UE(User Equipment) 혹은 MS(Mobile Station))이 기지국(eNode B, 혹은 base station(BS))으로 데이터 혹은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무선링크를 뜻하고, 하향링크는 기지국이 단말로 데이터 혹은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무선링크를 뜻한다. 상기와 같은 다중 접속 방식은, 통상 각 사용자 별로 데이터 혹은 제어정보를 실어 보낼 시간-주파수 자원을 서로 겹치지 않도록, 즉 직교성 (Orthogonality)이 성립하도록, 할당 및 운용함으로써 각 사용자의 데이터 혹은 제어정보를 구분한다.
LTE 시스템은 초기 전송에서 복호 실패가 발생된 경우, 물리 계층에서 해당 데이터를 재전송하는 HARQ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HARQ 방식이란 수신기가 데이터를 정확하게 복호화(디코딩)하지 못한 경우, 수신기가 송신기에게 디코딩 실패를 알리는 정보(NACK; Negative Acknowledgement)를 전송하여 송신기가 물리 계층에서 해당 데이터를 재전송할 수 있게 한다. 수신기는 송신기가 재전송한 데이터를 이전에 디코딩 실패한 데이터와 결합하여 데이터 수신성능을 높이게 된다. 또한, 수신기가 데이터를 정확하게 복호한 경우 송신기에게 디코딩 성공을 알리는 정보(ACK; Acknowledgement)를 전송하여 송신기가 새로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LTE 시스템에서 하향링크에서 상기 데이터 혹은 제어채널이 전송되는 무선자원영역인 시간-주파수영역의 기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서 가로축은 시간영역을, 세로축은 주파수영역을 나타낸다. 시간영역에서의 최소 전송단위는 OFDM 심벌로서, Nsymb (102)개의 OFDM 심벌이 모여 하나의 슬롯(106)을 구성하고, 2개의 슬롯이 모여 하나의 서브프레임(105)을 구성한다. 상기 슬롯의 길이는 0.5ms 이고, 서브프레임의 길이는 1.0ms 이다. 그리고 라디오 프레임(114)은 10개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시간영역구간이다. 주파수영역에서의 최소 전송단위는 서브캐리어(subcarrier)로서, 전체 시스템 전송 대역 (Transmission bandwidth)의 대역폭은 총 NBW (104)개의 서브캐리어로 구성된다.
시간-주파수영역에서 자원의 기본 단위는 리소스 엘리먼트(112, Resource Element; RE)로서 OFDM 심벌 인덱스 및 서브캐리어 인덱스로 나타낼 수 있다. 리소스 블록(108, Resource Block; RB 혹은 Physical Resource Block; PRB)은 시간영역에서 Nsymb (102)개의 연속된 OFDM 심벌과 주파수 영역에서 NRB (110)개의 연속된 서브캐리어로 정의된다. 따라서, 하나의 RB(108)는 Nsymb x NRB 개의 RE(112)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데이터의 최소 전송단위는 상기 RB 단위이다. LTE 시스템에서 일반적으로 상기 Nsymb = 7, NRB=12 이고, NBW 및 NRB 는 시스템 전송 대역의 대역폭에 비례한다. 단말에게 스케쥴링되는 RB 개수에 비례하여 데이터 레이트가 증가하게된다. LTE 시스템은 6개의 전송 대역폭을 정의하여 운영한다. 하향링크와 상향링크를 주파수로 구분하여 운영하는 FDD 시스템의 경우, 하향링크 전송 대역폭과 상향링크 전송 대역폭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채널 대역폭은 시스템 전송 대역폭에 대응되는 RF 대역폭을 나타낸다. 표 1은 LTE 시스템에 정의된 시스템 전송 대역폭과 채널 대역폭 (Channel bandwidth)의 대응관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10MHz 채널 대역폭을 갖는 LTE 시스템은 전송 대역폭이 50개의 RB로 구성된다.
Channel bandwidth
BW Channel [MHz]
1.4 3 5 10 15 20
Transmission bandwidth configuration NRB 6 15 25 50 75 100
하향링크 제어정보의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 내의 최초 N 개의 OFDM 심벌 이내에 전송된다. 일반적으로 N = {1, 2, 3} 이다. 따라서 현재 서브프레임에 전송해야 할 제어정보의 양에 따라 상기 N 값이 서브프레임마다 가변하게 된다. 상기 제어정보로는 제어정보가 OFDM 심벌 몇 개에 걸쳐 전송되는지를 나타내는 제어채널 전송구간 지시자, 하향링크 데이터 혹은 상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스케쥴링 정보, HARQ ACK/NACK 신호 등을 포함한다.
LTE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데이터 혹은 상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는 하향링크 제어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에게 전달된다. DCI 는 여러 가지 포맷을 정의하여, 상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 (UL grant) 인지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 (DL grant) 인지 여부, 제어정보의 크기가 작은 컴팩트 DCI 인지 여부, 다중안테나를 사용한 공간 다중화 (spatial multiplexing)을 적용하는지 여부, 전력제어 용 DCI 인지 여부 등에 따라 정해진 DCI 포맷을 적용하여 운용한다. 예컨대,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스케줄링 제어정보(DL grant)인 DCI format 1 은 적어도 다음과 같은 제어정보들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 자원 할당 유형 0/1 플래그(Resource allocation type 0/1 flag): 리소스 할당 방식이 유형 0 인지 유형 1 인지 통지한다. 유형 0 은 비트맵 방식을 적용하여 RBG (resource block group) 단위로 리소스를 할당한다. LTE 시스템에서 스케줄링의 기본 단위는 시간 및 주파수 영역 리소스로 표현되는 RB이고, RBG 는 복수개의 RB로 구성되어 유형 0 방식에서의 스케줄링의 기본 단위가 된다. 유형 1 은 RBG 내에서 특정 RB를 할당하도록 한다.
- 자원 블록 할당(Resource block assignment): 데이터 전송에 할당된 RB를 통지한다. 시스템 대역폭 및 리소스 할당 방식에 따라 표현하는 리소스가 결정된다.
- 변조 및 코딩 방식(Modulation and coding scheme; MCS): 데이터 전송에 사용된 변조방식과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인 transport block 의 크기를 통지한다.
- HARQ 프로세스 번호(HARQ process number): HARQ 의 프로세스 번호를 통지한다.
- 새로운 데이터 지시자(New data indicator): HARQ 초기전송인지 재전송인지를 통지한다.
- 중복 버전(Redundancy version): HARQ 의 중복 버전(redundancy version) 을 통지한다.
- PUCCH를 위한 전송 전력 제어 명령(TPC(Transmit Power Control) command for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상향링크 제어 채널인 PUCCH 에 대한 전송 전력 제어 명령을 통지한다.
상기 DCI는 채널코딩 및 변조과정을 거쳐 하향링크 물리제어채널인 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또는, 제어 정보, 이하 혼용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혹은 EPDCCH (Enhanced PDCCH)(또는, 향상된 제어 정보, 이하 혼용하여 사용하도록 한다)를 통해 전송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DCI는 각 단말에 대해 독립적으로 특정 RNTI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또는, 단말 식별자)로 스크램블 되어 CRC(cyclic redundancy check)가 추가되고 채널코딩된 후, 각각 독립적인 PDCCH로 구성되어 전송된다. 시간영역에서 PDCCH는 상기 제어채널 전송구간 동안 매핑되어 전송된다. PDCCH 의 주파수영역 매핑 위치는 각 단말의 식별자(ID) 에 의해 결정되고, 전체 시스템 전송 대역에 퍼뜨려진다.
하향링크 데이터는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용 물리채널인 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를 통해 전송된다. PDSCH는 상기 제어채널 전송구간 이후부터 전송되는데, 주파수 영역에서의 구체적인 매핑 위치, 변조 방식 등의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PDCCH 를 통해 전송되는 DCI가 알려준다.
상기 DCI 를 구성하는 제어정보 중에서 5 비트로 구성되는 MCS 를 통해서, 기지국은 단말에게 전송하고자 하는 PDSCH에 적용된 변조방식과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크기 (transport block size; TBS)를 통지한다. 상기 TBS 는 기지국이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 (transport block, TB)에 오류정정을 위한 채널코딩이 적용되기 이전의 크기에 해당한다.
LTE 시스템에서 지원하는 변조방식은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16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64QAM 으로서, 각각의 변조오더(Modulation order)는 2, 4, 6 에 해당한다. 즉, QPSK 변조의 경우 심벌 당 2 비트, 16QAM 변조의 경우 심볼 당 4 비트, 64QAM 변조의 경우 심벌 당 6 비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LTE-A 시스템에서 상향링크에서 데이터 혹은 제어채널이 전송되는 무선자원영역인 시간-주파수영역의 기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가로축은 시간영역을, 세로축은 주파수영역을 나타낸다. 시간영역에서의 최소 전송단위는 SC-FDMA 심벌(202)로서, Nsymb UL 개의 SC-FDMA 심벌이 모여 하나의 슬롯(206)을 구성한다. 그리고 2개의 슬롯이 모여 하나의 서브프레임(205)을 구성한다. 주파수영역에서의 최소 전송단위는 서브캐리어로서, 전체 시스템 전송 대역(transmission bandwidth; 204)은 총 NBW개의 서브캐리어로 구성된다. NBW는 시스템 전송 대역에 비례하여 값을 갖는다.
시간-주파수영역에서 자원의 기본 단위는 리소스 엘리먼트(Resource Element; RE, 212)로서 SC-FDMA 심벌 인덱스 및 서브캐리어 인덱스로 정의할 수 있다. 리소스 블록 페어(208, Resource Block pair; RB pair)은 시간영역에서 Nsymb UL 개의 연속된 SC-FDMA 심벌과 주파수 영역에서 Nsc RB 개의 연속된 서브캐리어로 정의된다. 따라서, 하나의 RB는 Nsymb UL x Nsc RB 개의 RE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데이터 혹은 제어정보의 최소 전송단위는 RB 단위이다. PUCCH 의 경우 1 RB에 해당하는 주파수 영역에 매핑되어 1 서브프레임 동안 전송된다.
LTE 시스템에서는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용 물리채널인 PDSCH 혹은 반영구적 스케줄링 해제(semi-persistent scheduling release; SPS release)를 포함하는 PDCCH/EPDDCH에 대응하는 HARQ ACK/NACK이 전송되는 상향링크 물리채널인 PUCCH 혹은 PUSCH의 타이밍 관계가 정의되어 있다. 일례로 FDD(frequency division duplex)로 동작하는 LTE 시스템에서는 n-4번째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된 PDSCH 혹은 SPS release를 포함하는 PDCCH/EPDCCH에 대응하는 HARQ ACK/NACK가 n번째 서브프레임에서 PUCCH 혹은 PUSCH로 전송된다.
LTE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HARQ는 데이터 재전송시점이 고정되지 않은 비동기(asynchronous) HARQ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즉, 기지국이 전송한 초기전송 데이터에 대해 단말로부터 HARQ NACK을 피드백 받은 경우, 기지국은 재전송 데이터의 전송시점을 스케줄링 동작에 의해 자유롭게 결정한다. 단말은 HARQ 동작을 위해 수신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결과, 오류로 판단된 데이터에 대해 버퍼링을 한 후, 다음 재전송 데이터와 컴바이닝을 수행한다.
기지국과 단말이 송수신시에 특정 방향으로 신호를 송신하는 빔포밍 (beamforming) 기술을 적용하여 신호의 세기를 증폭할 수 있다. 상기의 빔포밍은 디지털단에서 프리코딩을 적용하여 수행하는 디지털 빔포밍(digital beamforming)과, 안테나의 송신 방향을 조절하여 수행하는 아날로그 빔포밍(analogue beamforming)으로 구분할 수 있다. 안테나의 특성을 이용하는 아날로그 빔포밍은 물리적으로 특정 방향으로 신호를 집중하여 전송하는 방식이다. 도3은 기지국에서 단말에게 신호를 송신할 때, 단말 방향으로 신호를 집중하여 전송하는 빔포밍을 도시한 도면이다. 기지국(301)은 디지털 빔포밍 혹은 아날로그 빔포밍을 이용하여 단말방향(305)으로 신호를 집중해서 단말(303)에게 제어 및 데이터 신호를 전송한다. 빔포밍을 이용하지 않았을 때보다 단말(303)에서 수신 신호대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 SNR)이 증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다른 단말로의 간섭신호를 줄일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 방향을 알기 위하여, 여러 방향으로의 빔을 형성하여 단말에게 전송하고, 단말은 여러 방향으로 송신된 빔 중 가장 신호가 센 빔을 판단하고 기지국에게 해당 빔 정보를 송신한다. 상기 빔 정보에는 빔 index 번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받은 빔 정보를 이용하여 이후의 송신부터 해당 빔으로 제어 및 데이터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도 4는 기지국이 단말에게 전송하는 신호의 빔 방향을 바꾸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기지국이 단말에게 빔1 (401)로 신호를 전송하고 있었을 때, 단말의 움직임 혹은 채널의 급격한 변화로 인하여 상기 빔1으로의 전송이 성공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407). 이를 빔 실패(beam failure, 407)라고 할 수 있으며, 상기 빔 실패의 경우에는 빔 실패 회복 (beam failure recovery, 403) 동작이 필요하게 된다. 상기 빔 실패 회복은, 기지국으로부터 단말로의 신호를 성공적으로 송신할 수 있는 빔 또는 새로운 최적의 빔을 찾는 과정이 될 수 있다(403). 상기 빔 실패 회복 단계에서는 기지국이 단말에게 여러 방향으로의 빔들을 전송하고, 상기 여러 방향으로의 빔들을 이용하여 측정된 채널 상태를 단말로부터 보고 받거나 혹은 단말로부터 가장 세기가 큰 방향으로의 빔 정보를 보고 받을 수 있다. 상기 빔 실패 회복 단계의 수행을 위해 일정 시간의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411). 상기 빔 실패 회복(403) 과정을 거쳐 선택된 새로운 빔2(405)를 이용하여 기지국이 단말에게 신호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과정 이후에도 빔 실패가 나타날 수 있다(409).
도 5는 단말이 이동함에 따라 기지국으로부터 최적의 빔 방향이 변화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단말(505) 및 단말(507)은 각각 이동하면서 기지국(501, 503)으로부터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례로, 단말(505)이 이동함에 따라 처음에는 빔(511)이 선택되어 신호 송수신에 사용되었다가, 단말(505)이 이동함에 따라 다른 빔(512)가 최적의 빔으로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단말의 이동경로에 따라서 빔 (511, 512, 513, 514, 515, 516)이 순차적으로 선택되어 신호 송수신에 이용될 수 있는데, 이러한 빔의 잦은 변화에는 도 4에서 설명한 빔 실패 및 빔 실패 회복 단계들이 연속적으로 필요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했듯이 빔 실패와 빔 실패 회복 과정에서는 일정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잦은 빔 변화는 통신이 단절되는 시간이 길어지는 결과로 이어진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에서는 단말로부터의 피드백뿐만 아니라, 단말의 위치와 이동에 기반하여 빔방향을 선택하여 제어 및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의 도면에서는 자동차와 드론을 단말의 예시로써 들어 설명하나 이는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에 불과하며, 후술하는 실시 예들은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 모두에 해당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 실시예>
제1실시예는 단말이 기지국에게 자신의 위치, 속도, 가속도, 측정 시간 등의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에서, 위치 정보라 함은 특정 시점 또는 시간 구간 동안의 단말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며, 이동 정보라 함은 특정 시점 또는 시간 구간 동안 측정된 단말의 이동 속도, 가속도, 각가속도 등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정보에는 위치 정보를 생성한 시점 또는 시간 구간에 대한 정보가 대응되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동 정보 또한 마찬가지로 이동 정보를 생성한 시점 또는 시간 구간에 대한 정보가 대응되어 포함될 수 있다.
도 6은 단말이 이동함에 따라 위치 정보와 이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지국에게 보고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단말(603)은 기지국(601)로부터 신호를 송수신하고 있을 때, 위치, 속도, 가속도, 각가속도 혹은 위치의 변화량, 속도의 변화량, 가속도의 변화량, 각가속도의 변화량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607)를 기지국에게 보고한다. 상기 단말은 자신의 이동경로(605)에 따라 상기 정보들을 주기적 혹은 비주기적으로 기지국에게 보고함으로써, 기지국이 해당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할 때 최적의 빔 방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단말(603)의 위치 정보(예를 들어, 위치 또는 위치 변화량)는 2차원 좌표 또는 3차원 좌표로 표현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603)이 이동하며 공간 상에서 높이가 변할 수 있는 경우에는 위치 정보가 3차원 좌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단말(603)의 이동에 따라 공간 상에서 높낮이가 변화하지 않더라도 2차원 좌표 대신 3차원 좌표가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은 상술한 위치 정보 및 이동 정보를 단말이 기지국으로 보고하는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에 명시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으나, 단말이 기지국에 위치 정보와 이동 정보를 보고하기 위한 캐퍼빌리티(capability)에 대한 교환 과정이 먼저 수행될 숫도 있다. 즉, 단말이 위치 정보와 이동 정보에 대한 보고가 가능하다는 캐퍼빌리티를 기지국에 알리고 기지국이 이를 확인한 뒤 응답하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으며, 또는 기지국이 단말에 위치 정보와 이동 정보에 대한 보고가 가능한지를 문의하고 단말이 이에 응답하여 캐퍼빌리티를 보고하는 과정이 수행될 수도 있다. 단말이 위치 정보 및/또는 이동 정보를 지원한다는 정보를 기지국에 전송한 경우(즉, 단말이 캐퍼빌리티를 가지는 단말인 경우), 기지국은 후술할 피드백 정보를 단말에 설정할 수 있다.
이어서, 기지국은 단말이 전송해야할 피드백 정보를 설정하여 단말에 전달한다(702). 상기 설정은 상위 시그널링으로 전달될 수 있으며, 단말의 위치 정보와 이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단말에 알리는 과정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단말의 위치, 속도, 가속도, 각가속도 혹은 위치 변화량, 속도 변화량, 가속도 변화량, 각가속도 변화량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해줄 수 있다. 이후 기지국은 단말에게 설정했던 정보의 보고를 알리는 triggering을 단말에게 전달할 수 있다(704). 이는 L1 시그널링 혹은 MAC CE로 전달될 수 있으며, 주기적 보고를 위해서 RRC 시그널링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기지국으로부터 전달 받은 트리거링 조건이 만족되면, 단말은 702에서 설정했던 위치 정보 및 이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의 변화량에 대한 정보를 기지국에게 전달할 수 있다(706). 단말은 위치 정보, 위치 변화량 정보, 이동 정보, 이동 변화량 정보는 해당 정보에 대응하는 시점 또는 시간 구간에 대한 정보를 기지국에 함께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단계(706)에서 단말은 상기 이동 정보와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L1 시그널링, MAC CE, RRC 시그널링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이용하여 기지국에게 전달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제2실시예는 기지국(801)이 단말(803)로부터 위치 정보와 이동 정보(즉, 위치, 속도, 가속도, 측정 시간 등의 정보)를 보고 받고, 단말로의 최적의 송수신 빔 방향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도 8은 단말이 보고하는 정보에 따라 기지국이 다른 송수신 빔을 선택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단말(803)은 자신의 현재 위치 혹은 앞으로의 예상되는 위치에 기반하여 위치, 속도, 가속도 혹은 그 변화량 등의 정보(821, 823, 825)를 기지국에게 전달한다. 기지국은 단말의 보고 정보에 따라 송수신 빔을 선택할 수 있다. 일례로, 단말이 보고하는 정보가 821일 경우, 단말의 예상되는 위치와 이동 경로는 821 방향이 될 것이고 기지국은 해당 방향으로 최적의 빔인 빔1(811)를 선택하여 송수신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이 보고하는 정보가 823일 경우, 단말의 예상되는 위치와 이동 경로는 823 방향이 될 것이고 기지국은 해당 방향으로 최적의 빔인 빔2(813)를 선택하여 송수신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이 보고하는 정보가 825일 경우, 단말의 예상되는 위치와 이동 경로는 825 방향이 될 것이고 기지국은 해당 방향으로 최적의 빔인 빔3(815)을 선택하여 송수신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이동 경로와 특정 송수신 빔 간의 관계는 미리 기지국 내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기지국은 동적으로 수신되는 단말로부터의 위치 정보와 이동 정보에 기반하여 단말에 최적의 송수신 빔을 선택할 수 있다.
도 9는 기지국이 단말로부터 위치 정보와 이동 정보를 보고 받고,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최적의 송수신 빔 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빔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기지국은 단말에게, 단말이 보고해야하는 정보의 종류를 상위 시그널링으로 설정한다(902). 이러한 정보의 종류는 위치 정보와 이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단말은 도 7에서 설명한 과정에 따라 기지국에 이동 정보와 위치 정보를 보고하며,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상기 설정된 정보를 수신한다 (904). 기지국은 상기 보고 받은 정보에 기반하여 해당 단말로의 최적의 빔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906). 이때, 기지국은 단말이 보고한 위치 정보와 이동 정보에 기반하여 현재 시점에서 단말에 대한 최적의 빔을 선택할 수도 있으며, 단말이 보고한 위치 정보와 이동 정보를 고려하여 단말의 이동 경로에 따라 예상되는 최적의 빔을 선택할 수도 있다.
<제3 실시예>
제3실시예는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기지국의 위치 정보와 이동 정보를 수신하고 단말이 자신의 송수신 빔을 결정하는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3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은 자신의 위치, 속도, 가속도 등 자신의 위치 정보와 이동 정보를 측정한 뒤,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기지국의 위치 정보와 이동 정보와 함께 자신의 위치 정보와 이동 정보를 고려하여 단말의 송수신 빔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에서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기지국의 위치 정보와 이동 정보에는 기지국의 위치, 기지국의 속도, 기지국의 가속도, 위치 정보와 이동 정보의 측정 시점 또는 시간구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는 기지국이 이동하는 경우일 수 있다. 즉, 고정된 기지국이 아닌 이동하는 기지국의 경우에는,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의 내용에 더하여 상술한 실시 예가 함께 적용될 수 있다.
도 10에서 단말(1003)이 이동함에 따라 자신의 송신 빔 및 수신 빔의 방향을 결정함에 있어서, 단말(1003)은 기지국(1001)으로부터 기지국(1001)의 위치, 속도, 가속도 등의 위치 정보와 이동 정보(1005)를 수신하고, 상기 정보를 기반으로 자신의 송신 빔 및 수신 빔의 방향(1007)을 결정할 수 있다. 단말은 (1009)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지속적으로 기지국과의 송수신 빔 방향(1007)을 변경할 수 있으며, 단말은 자신의 송수신 빔 방향 변경 결정에 기지국의 위치, 속도, 가속도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기지국 방향으로 최적의 송수신 빔을 결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단말이 송수신 빔의 방향을 결정함에 있어서, 단말은 상기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기지국의 정보뿐만이 아니라, 앞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에 따라 단말이 측정한 자신의 이동 정보와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송수신 빔의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서는 시그널링 방법에 대해 일례를 이용하여 설명하였지만, 기지국과 단말간의 설정 및 정보 송수신 과정에는 L1 시그널링, MAC CE, 그리고 RRC 시그널링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이용하는 다양한 방법에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아날로그 빔포밍이 적용되는 통신 환경에서 빔 집적 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 즉, 빔 선택이 동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단말의 위치 변화와 이동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빔 실패 회복의 지연 발생이 줄어들게 되며, 이로 인해 불필요한 통신 단절의 발생을 줄이고 원활한 연속적으로 이루어져 사용자 체감 성능 또한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들을 수행하기 위해 단말과 기지국의 송신부, 수신부, 처리부가 각각 도 11과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실시예부터 제3실시예까지 단말 및 기지국의 아날로그 빔포밍을 위한 송수신 빔 방향 결정 방법이 나타나 있으며, 이를 수행하기 위해 기지국과 단말의 수신부, 처리부, 송신부가 각각 실시 예에 따라 동작하여야 한다.
구체적으로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말은 단말기 수신부(1100), 단말기 송신부(1104), 단말기 처리부(1102)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 수신부(1100)와 단말이 송신부(1104)를 통칭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송수신부라 칭할 수 있다. 송수신부는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신호는 제어 정보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송수신부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는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여 단말기 처리부(1102)로 출력하고, 단말기 처리부(1102)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단말기 처리부(1102)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동작할 수 있도록 일련의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수신부(1100)에서 기지국으로부터 기지국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단말 처리부(1102)는 상기 신호로부터 최적의 송수신 빔 방향을 결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단말 송신부(1104)에서 상기 전달된 정보를 이용하여 결정된 송신 빔 방향을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지국은 기지국 수신부(1201), 기지국 송신부(1205), 기지국 처리부(1203)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 수신부(1201)와 기지국 송신부(1205)를 통칭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송수신부라 칭할 수 있다. 송수신부는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신호는 제어 정보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송수신부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는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여 기지국 처리부(1203)로 출력하고, 단말기 처리부(1203)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 처리부(1203)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이 동작할 수 있도록 일련의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 처리부(1203)는 기지국의 위치, 속도, 가속도 등의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단말에게 전송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한다. 이후, 기지국 송신부(1205)에서 상기 정보를 송신하고, 기지국 수신부(1201)는 상기 설정에 따라 단말이 전송하는 신호의 수신을 수행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상기 실시 예의 하나 이상이 필요에 따라 서로 조합되어 운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제3실시예가 서로 조합되어 기지국과 단말이 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들은 NR 시스템을 기준으로 제시되었지만, 5G 혹은 LTE 시스템 등 다른 시스템에도 상기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할 것이다.

Claims (20)

  1.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기지국 빔의 선택을 위해 보고할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제1 정보 및 상기 보고를 위한 트리거링 조건을 설정하는 제2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 및 이동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이동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메시지를 상기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이동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상기 기지국 빔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3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정보는 제1 시간 구간 동안 측정된 상기 단말의 위치 변화량 및 상기 제1 시간 구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정보는 제2 시간 구간 동안 측정된 상기 단말의 이동 변화량 및 상기 제2 시간 구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기지국 빔은 상기 위치 변화량 및 상기 이동 변화량에 기초하여 예상된 소정의 경로에 대응하는 것인,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단말의 위치 변화량에 대한 3차원 좌표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정보는 상기 제2 시간 구간 동안의 상기 단말의 방향 변화량, 속도 변화량, 가속도 변화량 및 각가속도 변화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메시지를 수신하기에 앞서서, 상기 단말이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이동 정보의 보고를 지원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메시지는, 상기 제2 정보에 기초한 상기 트리거링 조건에 따라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전송되는 것인, 방법.
  5.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 있어서,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설정된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와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기지국 빔의 선택을 위해 보고할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제1 정보 및 상기 보고를 위한 트리거링 조건을 설정하는 제2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메시지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 및 이동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이동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메시지를 상기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이동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상기 기지국 빔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3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위치 정보는 제1 시간 구간 동안 측정된 상기 단말의 위치 변화량 및 상기 제1 시간 구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정보는 제2 시간 구간 동안 측정된 상기 단말의 이동 변화량 및 상기 제2 시간 구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기지국 빔은 상기 위치 변화량 및 상기 이동 변화량에 기초하여 예상된 소정의 경로에 대응하는 것인, 단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단말의 위치 변화량에 대한 3차원 좌표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정보는 상기 제2 시간 구간 동안의 상기 단말의 방향 변화량, 속도 변화량, 가속도 변화량 및 각가속도 변화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단말.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메시지를 수신하기에 앞서서, 상기 단말이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이동 정보의 보고를 지원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도록 더 설정된 것인, 단말.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메시지는, 상기 제2 정보에 기초한 상기 트리거링 조건에 따라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전송되는 것인, 단말.
  9.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로, 기지국 빔의 선택을 위해 보고할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제1 정보 및 상기 보고를 위한 트리거링 조건을 설정하는 제2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 및 이동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메시지를 상기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하는 단계;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이동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과의 통신을 위한 상기 기지국 빔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로, 상기 선택된 상기 기지국 빔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3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정보는 제1 시간 구간 동안 측정된 상기 단말의 위치 변화량 및 상기 제1 시간 구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정보는 제2 시간 구간 동안 측정된 상기 단말의 이동 변화량 및 상기 제2 시간 구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기지국 빔은 상기 위치 변화량 및 상기 이동 변화량에 기초하여 예상된 소정의 경로에 대응하는 것인,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단말의 위치 변화량에 대한 3차원 좌표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정보는 상기 제2 시간 구간 동안의 상기 단말의 방향 변화량, 속도 변화량, 가속도 변화량 및 각가속도 변화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메시지를 전송하기에 앞서서, 상기 단말이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이동 정보의 보고를 지원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메시지는, 상기 제2 정보에 기초한 상기 트리거링 조건에 따라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수신되는 것인, 방법.
  13.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 있어서,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설정된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와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기지국 빔의 선택을 위해 보고할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제1 정보 및 상기 보고를 위한 트리거링 조건을 설정하는 제2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메시지를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 및 이동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메시지를 상기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이동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과의 통신을 위한 상기 기지국 빔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상기 기지국 빔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3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위치 정보는 제1 시간 구간 동안 측정된 상기 단말의 위치 변화량 및 상기 제1 시간 구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정보는 제2 시간 구간 동안 측정된 상기 단말의 이동 변화량 및 상기 제2 시간 구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기지국 빔은 상기 위치 변화량 및 상기 이동 변화량에 기초하여 예상된 소정의 경로에 대응하는 것인, 기지국.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단말의 위치 변화량에 대한 3차원 좌표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정보는 상기 제2 시간 구간 동안의 상기 단말의 방향 변화량, 속도 변화량, 가속도 변화량 및 각가속도 변화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기지국.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메시지를 전송하기에 앞서서, 상기 단말이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이동 정보의 보고를 지원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도록 더 설정되는 것인, 기지국.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메시지는, 상기 제2 정보에 기초한 상기 트리거링 조건에 따라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수신되는 것인, 기지국.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70177108A 2017-12-21 2017-12-21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빔 추적 방법 및 장치 KR102439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7108A KR102439425B1 (ko) 2017-12-21 2017-12-21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빔 추적 방법 및 장치
US16/955,878 US11405090B2 (en) 2017-12-21 2018-12-21 Method and apparatus for antenna beam tracking in wireless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PCT/KR2018/016442 WO2019125037A1 (ko) 2017-12-21 2018-12-21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빔 추적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7108A KR102439425B1 (ko) 2017-12-21 2017-12-21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빔 추적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5485A KR20190075485A (ko) 2019-07-01
KR102439425B1 true KR102439425B1 (ko) 2022-09-05

Family

ID=66993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7108A KR102439425B1 (ko) 2017-12-21 2017-12-21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빔 추적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405090B2 (ko)
KR (1) KR102439425B1 (ko)
WO (1) WO20191250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9425B1 (ko) * 2017-12-21 2022-09-05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빔 추적 방법 및 장치
CN111757338B (zh) * 2019-03-27 2023-04-2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测量参考信号的方法及设备
US11522661B2 (en) * 2019-04-12 2022-12-06 Qualcomm Incorporated Reference signal patterns based on relative speed between a transmitter and receiver
CN111867063B (zh) * 2019-04-29 2023-01-13 华为技术有限公司 上行传输方法和通信装置
WO2022266868A1 (zh) * 2021-06-22 2022-12-29 深圳大学 波束追踪方法和相关设备
US11805169B2 (en) * 2021-09-16 2023-10-31 Apple Inc. Content delivery network data sharing between mobile devices
WO2023224132A1 (ko) * 2022-05-16 2023-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노드의 빔 트랙킹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장치
CN115190586B (zh) * 2022-09-08 2022-12-09 东南大学 一种移动终端辅助的智能家居设备位置感知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28850B2 (ja) 1997-03-11 2003-07-22 三菱電機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
US20150230263A1 (en) * 2012-08-28 2015-08-13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for millimeter wave beam tracking

Family Cites Families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9316B2 (ja) * 1991-09-13 2001-07-16 ソニー株式会社 移動体通信システム
JP3965582B2 (ja) 2003-08-29 2007-08-2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自動給紙装置、該自動給紙装置を備えた記録装置
KR100804651B1 (ko) * 2004-02-13 2008-02-20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멀티 캐리어 통신 시스템에서의 적응적 전송 및 피드백방법 및 장치
US8477754B2 (en) * 2005-01-19 2013-07-02 Nec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antenna directivity/radio resource assigning method
JPWO2007037414A1 (ja) * 2005-09-30 2009-04-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移動局装置およびrachデータ送信方法
US9344259B2 (en) * 2007-06-20 2016-05-17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Control channel provisioning and signaling
KR100945880B1 (ko) * 2007-09-28 2010-03-05 한국과학기술원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빔분할다중접속시스템 및 방법
US10931348B2 (en) * 2008-04-05 2021-02-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sensor-based beam management by user equipment
US8331265B2 (en) * 2009-04-20 2012-12-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adaptive beamforming training using fixed time window for heterogeneous antenna systems
US8743838B2 (en) * 2009-09-15 2014-06-03 Intel Corporation Millimeter-wave communication station and method for scheduling association beamforming training with collision avoidance
KR101981060B1 (ko) * 2011-12-16 2019-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신장치 및 방법
US9478857B2 (en) * 2012-03-02 2016-10-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daptive beamforming gai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009743B1 (ko) * 2012-06-29 2019-10-21 삼성전자주식회사 빔포밍 기반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EP2928099B1 (en) * 2012-11-28 2020-02-26 Sony Corporation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terminal device
CN105379140B (zh) * 2013-07-08 2019-05-31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在使用波束成形的通信系统中发送和接收数据的方法和装置
EP3132546B1 (en) * 2014-05-15 2020-04-22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equipment for establishing millimetre connection
US10327156B2 (en) * 2014-07-15 2019-06-18 Lg Electronics Inc. Resource allocation method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of terminal
WO2016069142A2 (en) * 2014-09-24 2016-05-06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Contractile function measuring devices, system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9578644B2 (en) * 2014-09-26 2017-02-21 Mediatek Inc. Beam misalignment detec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th beamforming
GB2533966B (en) * 2015-01-09 2017-08-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a beamforming configuration
MX367990B (es) * 2015-05-13 2019-09-13 Ericsson Telefon Ab L M Formacion de haces.
US9491764B1 (en) * 2015-06-03 2016-11-08 Vivint, Inc. Mesh network adjustment
US10122426B2 (en) * 2015-07-20 2018-11-06 Centre Of Excellence In Wireless Technology Method for beam steering in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system
EP3998822A1 (en) * 2015-08-11 2022-05-1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ecovery from beam failure
EP3366059A4 (en) * 2015-10-20 2019-08-2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BEAM FORMATION
KR101879030B1 (ko) * 2016-02-24 2018-07-17 한국과학기술원 안테나 그룹핑을 이용한 채널 정보 피드백 및 자원 할당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들
US10630410B2 (en) * 2016-05-13 2020-04-2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etwork architecture, methods, and devices for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US11006304B2 (en) * 2016-05-13 2021-05-11 Intel IP Corporation Beam measure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for identifying candidate beams for a handover
KR101881166B1 (ko) * 2016-05-17 2018-07-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무선백홀 네트워크의 빔 포밍 통신 장치 및 방법
WO2018076362A1 (en) * 2016-10-31 2018-05-03 Southeast University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per-beam signal synchronization
KR20180047891A (ko) * 2016-11-01 2018-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빔포밍 기반의 향상된 채널 상태 정보 보고 방법 및 장치
WO2018116817A1 (ja) * 2016-12-20 2018-06-28 シャープ株式会社 基地局装置、端末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EP4075886A1 (en) * 2017-01-05 2022-10-19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uplink power control of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s therefor
CN110402548B (zh) * 2017-03-20 2021-05-04 华为技术有限公司 基于用户设备定位精度配置参考信号波束的设备
EP4057562A1 (en) * 2017-03-23 2022-09-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ement configuration of different reference signals and cell measurement report mechanism
EP3606168B1 (en) * 2017-03-23 2021-10-20 Sharp Kabushiki Kaisha Terminal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WO2018174641A2 (en) * 2017-03-23 2018-09-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931514B2 (en) * 2017-03-31 2021-02-23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ons beam recovery
KR102440020B1 (ko) * 2017-05-04 2022-09-06 삼성전자주식회사 래치 전력 오프셋
ES2934480T3 (es) * 2017-05-19 2023-02-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ocedimiento y aparato para la reducción de la sobrecarga de transmisión CSI-RS en un sistema de comunicación inalámbrica
WO2018237400A1 (en) * 2017-06-23 2018-12-27 Huawei Technologies Co., Ltd. UNIFIED RLF DETECTION, MULTI-BEAM RLM AND BFR MECHANISMS WITH FULL DIVERSITY
WO2019031899A1 (en) * 2017-08-10 2019-0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RADIO LINK FAILURE IN A SYSTEM USING MULTIPLE REFERENCE SIGNALS
KR102439591B1 (ko) * 2017-08-23 2022-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운용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10374683B2 (en) * 2017-09-07 2019-08-06 Futurewei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beam failure recovery
WO2019049347A1 (ja) * 2017-09-08 2019-03-14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US10951290B2 (en) * 2017-10-26 2021-03-16 Apple Inc. Channel state information report for phase tracking reference signal port selection
CN111492684B (zh) * 2017-11-02 2023-10-24 株式会社Ntt都科摩 用户终端以及无线通信方法
KR102439425B1 (ko) * 2017-12-21 2022-09-05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빔 추적 방법 및 장치
US10892814B2 (en) * 2018-12-07 2021-01-12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Performing receive beamforming in a fifth generation millimeter wave system
US11563510B2 (en) * 2018-12-21 2023-01-24 Qualcomm Incorporated Adaptation of predetermined beam switching
US11101862B2 (en) * 2019-03-22 2021-08-24 Qualcomm Incorporated Beam update techniques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11357010B2 (en) * 2019-06-24 2022-06-07 Qualcomm Incorporated Sensor assisted beam management
KR20220018824A (ko) * 2020-08-07 2022-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줄링 타이밍 결정 방법 및 장치
US11172542B1 (en) * 2021-06-14 2021-11-09 Peltbeam Inc. Communication system, RSU device, and method for high-speed low-latency wireless connectivity in mobility applic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28850B2 (ja) 1997-03-11 2003-07-22 三菱電機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
US20150230263A1 (en) * 2012-08-28 2015-08-13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for millimeter wave beam track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405090B2 (en) 2022-08-02
KR20190075485A (ko) 2019-07-01
US20210099224A1 (en) 2021-04-01
WO2019125037A1 (ko) 2019-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23383B2 (en) Method and device for setting plurality of DMRS structures in wireless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KR102439425B1 (ko)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빔 추적 방법 및 장치
KR102331127B1 (ko) 상향링크 이동통신 시스템을 위한 자원할당 및 프리코딩 방법 및 장치
US2018010935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reduced transmission time interval in wireless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KR10243196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2402201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시간 식별 방법 및 장치
KR20180007584A (ko)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이종 서비스간 공존 방법 및 장치
KR102359788B1 (ko) 광대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쥴링 방법 및 장치
KR102339902B1 (ko)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2399616B1 (ko)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다수의 dmrs 구조에 대한 설정 방법 및 장치
KR10240803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전송시간구간 운용 방법 및 장치
KR102629352B1 (ko)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데이터 및 제어신호 전송 타이밍 결정 방법 및 장치
KR102318564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및 데이터 채널 전송 시간 설정 방법 및 장치
KR102368198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피드백 방법 및 장치
US1187058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rant free based data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80049748A (ko)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신호 검출 방법 및 장치
KR20200017710A (ko)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참조 신호 설정 방법 및 장치
KR102439542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1139934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uplink transmission power by terminal for dual connectivit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279483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신호 검출 방법 및 장치
KR2022005179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비승인 기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180119882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신호 전송 타이밍 설정 방법 및 장치
KR102288064B1 (ko)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및 데이터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US1153373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control and data signals based on a short TTI in a wireless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KR20180064853A (ko)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신호 복호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