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8144A - 지그를 이용한 가리비 패각 홀 가공 및 철사 묶음장치 - Google Patents

지그를 이용한 가리비 패각 홀 가공 및 철사 묶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8144A
KR20200018144A KR1020180094012A KR20180094012A KR20200018144A KR 20200018144 A KR20200018144 A KR 20200018144A KR 1020180094012 A KR1020180094012 A KR 1020180094012A KR 20180094012 A KR20180094012 A KR 20180094012A KR 20200018144 A KR20200018144 A KR 202000181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ig
wire
support
screw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4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8762B1 (ko
Inventor
문영애
Original Assignee
문영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영애 filed Critical 문영애
Priority to KR1020180094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8762B1/ko
Publication of KR20200018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81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8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8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7Means for performing other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B26D7/066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by 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2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16Perforating by tool or tools of the drill typ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그를 이용한 가리비 패각 홀 가공 및 철사 묶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200개 이상의 다수개의 가리비 패각을 지그에 일렬로 안치시키고, 일렬로 정렬된 가리비 패각에 일괄적으로 홀을 가공하여 형성하고, 형성된 홀에 철사를 삽입하여 패각을 일괄적으로 묶을 수 있는, 가리비 패각 지그를 이용한 홀 가공 및 철사 묶음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그를 이용한 가리비 패각 홀 가공 및 철사 묶음장치는 드릴용 막대를 회전시키는 홀가공용 모터; 상기 홀가공용 모터가 안치되는 받침판 하부의 스크류잭과 결합되어, 상기 받침판을 전후진시키는 이송용 스크류; 상기 이송용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이송용 모터; 상기 드릴용 막대가 하부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드릴용 막대의 중간에서 지지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대를 전후진시키는 지지대 스크류; 가리비 패각을 일렬로 적층시키는 지그; 상기 몸체에 형성되되, 상기 지그를 삽입시켜 착탈식으로 고정시키는 고정대; 및 상기 드릴용 막대에 의해 가리비 패각에 형성된 홀에 철사를 삽입하기 위해서 철사가 감긴 철사릴;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지그를 이용한 가리비 패각 홀 가공 및 철사 묶음장치{Apparatus for making the hole in the scallop shell and for binding it with the wire}
본 발명은 지그를 이용한 가리비 패각 홀 가공 및 철사 묶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200개 이상의 다수개의 가리비 패각을 지그에 일렬로 정렬시키고, 일렬로 정렬된 가리비 패각에 일괄적으로 홀을 가공하여 형성하고, 형성된 홀에 철사를 삽입하여 패각을 일괄적으로 묶을 수 있는, 지그를 이용한 가리비 패각 홀 가공 및 철사 묶음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리비 패각은 가리비 살을 감싸는 가리비 껍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부채꼴 모양으로 형성되고, 보통 가리비 패각의 길이는 25cm 에서 15cm 이상 된다. 이러한 가리비 패각은 그 성분에 의해 의료용이나, 화장품, 비료 등 그 활용 빈도가 높다. 그리고, 가리비 패각이 다른 조개류의 패각에 비해 넓은 부채꼴 형상을 하고 있어서 굴 채묘용 양식으로도 많이 쓰이고 있다
굴 채묘용 양식으로 쓰기 위해서 가리비 패각의 중앙 부분을 타공하게 된다 종래에는 사람이 정과 망치로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가리비 패각을 타공하거나, 핸드 드릴로 타공하였는데 이러한 방법은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가리비 패각 타공용 드릴링 머신(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65274호)이 공지된 바 있다. 상기 공개특허는 외주면을 따라 내측으로 가리비 패각 수용홈이 복수 개가 형성된 원판형의 회전부; 상기 회전부 하부에 축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회전부 일측에 직선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가리비 패각을 수용홈의 내측으로 밀착시켜 고정하게 하는 피팅부; 상기 피팅부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피팅부에서 고정된 가리비 패각을 타공하는 드릴부; 및 상기 구동부, 상기 드릴부 및 상기 피팅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공개특허는 원판에 가리비를 일일이 올려야 함으로, 작업이 불편하고, 원판을 회전시켜야 함으로 장비의 제작비가 많이 소요되고, 장비도 복잡하고 공간도 많이 차지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현재 업계에서는 세계 최고 수준인 일본산 가리비 홀가공기계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 기계는 반자동으로 작업자가 가리비를 일일이 특정한 곳에 놓고 가리비를 1개씩 뚫어 묶는 장치로서, 가격이 비싸고, 가리비 홀가공 방식이 하나씩 홀을 가공함으로 작업효율이 낮으며, 장소를 많이 차지한다는 단점이 있다.
특허문헌 1: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65274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지그를 이용하여 가리비 패각을 일괄적으로 정렬시켜 한꺼번에 가리비 패각에 홀을 형성함으로, 작업이 편리하고 작업시간이 단축되며, 장치의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비가 적게 소모되고, 공간적으로도 적게 차지하는 지그를 이용한 가리비 패각 홀 가공 및 철사 묶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개의 가리비 패각에 홀을 일괄형성할 뿐만아니라, 철사를 홀에 끼워서 가리비 패각을 일괄적으로 묶을 수 있어, 가리비 패각에 홀 형성 작업과 철사 묶음 작업을 한번에 실시할 수 있는, 지그를 이용한 가리비 패각 홀 가공 및 철사 묶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다수개의 가리비패각에 일괄적으로 홀을 형성하고, 형성된 홀에 철사를 삽입하여 다수개의 가리비를 묶을 수 있는 지그를 이용한 가리비패각 홀 가공 및 철사 묶음장치로서, 몸체; 상기 몸체 위에 형성되며, 끝단에 드릴이 형성된 드릴용 막대를 회전시키는 홀가공용 모터; 상기 홀가공용 모터가 안치되는 받침판 하부의 스크류잭과 결합되어, 상기 받침판을 전후진시키는 이송용 스크류; 상기 이송용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이송용 모터; 상기 드릴용 막대가 하부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드릴용 막대의 중간에서 지지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대를 전후진시키는 지지대 스크류; 가리비 패각을 일렬로 적층시키는 지그; 상기 몸체에 형성되되, 상기 지그를 삽입시켜 착탈식으로 고정시키는 고정대; 및 상기 드릴용 막대에 의해 가리비 패각에 형성된 홀에 철사를 삽입하기 위해서 철사가 감긴 철사릴;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대는 중앙에 상기 드릴용 막대가 삽입되는 통공이 형성되고, 좌우 양측에는 가이드 홀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홀에 가이드 막대가 각각 삽입되어, 상기 지지대는 상기 가이드 막대를 따라 전후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송용 스크류의 끝단에는 이송용 스크류 비례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 스크류의 끝단에는 지지대 스크류 비례기어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이송용 스크류 비례기어와 상기 지지대 스크류 비례기어가 서로 맞물리면서 상기 이송용 스크류의 회전력에 의해서 상기 지지대 스크류가 회전하면서 상기 지지대를 전후진시킨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대는 상기 지그의 일측면을 고정하는 전면 고정대, 상기 지그의 중간부분을 양측으로 고정하는 중간 고정대, 상기 지그의 후측면을 고정하는 후면 고정대를 포함하되, 상기 전면 고정판과 상기 후면 고정판에는 상기 드릴 막대가 전후진하는데 방해를 받지 않도록 절개홈이 각각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드릴용 막대의 끝단에 형성된 드릴에는 상기 철사를 걸수 있도록 철사삽입용 삽입홀이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받침판의 하부에는 가이드 블럭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블럭은 가이드 레일을 따라 전후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패각에 홀 가공시 발생되는 패각 찌꺼기로부터 부품의 오염을 막고, 상기 드릴용 막대, 상기 이송용 스크류, 상기 지지대 스크류의 일측 끝단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해서, 몸체의 중간에 중간 지지판이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대와 상기 철사릴 사이에는 상기 철사릴에 감긴 철사를 헝클어지지 않고 잘 풀리도록 철사가 통과하는 안내공이 형성된 안내판이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홀 가공용 모터 및 상기 이송용 모터를 작동시키는 작동스위치; 상기 이송용 모터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홀가공용 모터가 안치된 받침판을 후진시키는 후진스위치; 및 비상시에 상기 홀 가공용 모터 및 상기 이송용 모터를 정지시키는 비상스위치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그를 이용한 가리비 패각 홀 가공 및 철사 묶음장치는 양쪽으로 2대의 장치를 설치할 수 있어 좁은 공간에서 작업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며, 홀가공용 모터와, 이송용 모터 2개의 모터의 사용만으로 홀을 가공함과 동시에, 드릴에 형성된 삽입홀에 철사를 끼우는 방식으로 가리비 패각에 형성된 홀에 철사를 손쉽게 삽입할 수 있어 철사 묶음 작업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종래의 기술방식인 탁상 드릴로 가리비 10개 단위로 홀을 가공하여 210개씩 묶는 작업에 비하여, 지그를 이용하여 210개 가리비 패각에 대한 홀가공과 철사묶음 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짐으로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지그에 가리비 패각을 담는 작업자와 지그에 담긴 가리비패각에 홀가공 및 철사 묶는 작업자가 서로 다른 공간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음으로, 작업인력을 늘려서 생산성을 배가 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리비 패각 지그를 이용한 홀 가공 및 철사 묶음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그를 이용한 가리비 패각 홀 가공 및 철사 묶음장치의 모터 부분에 대한 부분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그를 이용한 가리비 패각 홀 가공 및 철사 묶음장치의 모터 및 스크류 부분에 대한 부분 확대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그를 이용한 가리비 패각 홀 가공 및 철사 묶음장치의 중간 지지판 부분에 대한 부분 확대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그를 이용한 가리비 패각 홀 가공 및 철사 묶음장치의 지그 및 철사릴 부분에 대한 부분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그를 이용한 가리비 패각 홀 가공 및 철사 묶음장치의 드릴용 막대 부분에 대한 부분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드릴용 막대의 드릴에 대한 확대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는 공간의 효율적 활용을 위하여, 본 발명의 가리비 패각 지그를 이용한 홀 가공 및 철사 묶음 장치가 하나의 몸체에 2대가 나란히 형성된 모습을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몸체에 1대의 장치가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서는 도면에서와 같이, 하나의 몸체에 2개의 장치를 나란히 배열할 수 있음으로 공간을 활용도를 높이고, 작업공간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그를 이용한 가리비 패각 홀 가공 및 철사 묶음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그를 이용한 가리비 패각 홀 가공 및 철사 묶음장치의 모터 부분에 대한 부분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그를 이용한 가리비 패각 홀 가공 및 철사 묶음장치의 모터 및 스크류 부분에 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가리비 패각 지그를 이용한 홀 가공 및 철사 묶음 장치는 다수개의 가리비패각을 지그(70)에 일렬로 정렬하고, 지그에 정렬된 가리비 패각에 드릴을 이용하여 일괄적으로 홀을 형성하고, 드릴에 형성된 삽입홀에 철사를 끼운 후 드릴을 후진시키면, 가리비 패각에 형성된 홀에 철사가 끼워져서 가리비 패각을 일괄적으로 묶을 수 있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가리비 패각 지그를 이용한 홀 가공 및 철사 묶음 장치(100)는 몸체(10), 홀가공용 모터(20), 이송용 스크류(32), 이송용 모터(30), 지지대(40), 지지대 스크류(42), 가리비 패각 지그(70), 고정대(60), 철사릴(80)을 포함한다.
몸체(20)는 본 발명의 지그를 이용한 가리비 패각 홀 가공 및 철사 묶음장치를 안치시키는 외형 구조물이다.
지그(70)는 가리비 패각을 일렬로 적층시키는 부분이다. 지그에는 약 210개의 가리비 패각을 일렬로 적층시킬 수 있으며, 이렇게 적층된 가리비 패각에 일괄적으로 홀을 형성하게 된다.
가리비 패각에 홀의 형성은 드릴(24)이 끝단에 형성된 드릴용 막대(22)의 회전력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드릴용 막대(22)의 회전은 홀가공용 모터(20)의 회전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즉, 홀가공용 모터(20)이 회전하면서 전진하면, 드릴용 막대(22) 또한 회전하면서 전진하게 되고, 드릴용 막대의 끝단에 형성된 드릴이 회전하면서 전진하여 지그에 적층된 가리비 패각에 차례로 홀을 가공하게 되는 것이다.
홀가공용 모터(20)는 받침판(26)에 안치되며, 받침판(26)의 하부에는 스크류잭(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상기 스크류잭과 맞물리는 이송용 스크류(32)의 회전에 의해서 받침판이 전후진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홀가공용 모터(20)는 0.5마력 AC 모터(RPM 1850)가 사용된다. 이때, 기어 비율을 2:1로 하여 RPM 925로 낮추게 되는 데, 이는 모터 회전시 약 1m정도의 드릴용 막대(지름 약 6mm)가 회오리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이송용 모터(30)는 이송용 스크류(32)를 회전시키는 부분이다. 즉, 이송용 모터가 회전하면 이송용 스크류(32)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홀가공용 모터(20)가 안치된 받침판(26)이 전후진하게 되며, 드릴용 막대(22)가 전후진하게 되는 것이다.
드릴용 막대(22)는 기다란 막대 형상을 지니며, 그 끝단에는 가리비 패각에 홀을 형성하기 위해서 드릴이 형성되는 데, 기다란 드릴용 막대가 하부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중간에 지지대(40)가 형성된다. 즉, 지지대(40)는 드릴용 막대를 하부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드릴용 막대의 중간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대(40)는 중앙에 상기 드릴용 막대가 삽입되는 통공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통공에는 이구스 베어링이 형성된다. 이는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서 드릴용 막대가 중간부위에서 회오리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잡아주게 된다.
지지대 좌우 양측에는 가이드 홀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홀에 가이드 막대(43)가 각각 삽입되어, 지지대는 가이드 막대를 따라 전후진하게 되는 것이다. 가이드 막대(43)는 지지대(40)가 안정적으로 전후진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대(40)의 전후진은 하부에 형성된 스크류잭과 결합되는 지지대 스크류(42)의 회전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지지대 스크류의 회전은 끝단에 형성된 지지대 스크류 비례기어와 맞물리는 이송용 스크류의 끝단에 형성된 이송용 스크류 비례기어의 회전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지지대 스크류의 비례기어의 기어수와 이송용 스크류 비례기어의 기어수가 약 2:1로 형성되어, 지지대 스크류(42)가 이송용 스크류(32)에 비하여 약 50% 느리게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지지대 스크류의 회전속도는 이송용 스크류의 회전속도보다 약 50% 느리며, 따라서 지지대(40)의 전후진 속도도 홀가공용 모터(20)가 안치된 받침판(26)의 전후진 속도보다 약 50% 느리게 된다. 이에 따라, 드릴용 막대를 지지하는 지지대(40)는 언제나 홀가공용 모터와 중간 지지판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즉, 평기어 2:1 비율과 TM 너트볼트를 사용하는 데, 이송용 모터의 회전시 받침판(26)이 100cm 움직일때 지지대(40)는 50cm 움직이도록 하여, 기계의 내구성 및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송용 스크류의 끝단에 형성된 이송용 스크류 비례기어와, 지지대 스크류의 끝단에 형성된 지지대 스크류 비례기어가 서로 맞물리면서, 이송용 스크류의 회전력에 의해서 지지대 스크류가 회전하면서 지지대를 전후진시키게 되는 것이다.
몸체의 중간에는 중간 지지판(50)이 형성된다. 중간지지판(50)은 가리비 패각에 홀의 형성시에 발생되는 패각 찌꺼기가 장치의 부품들을 손상시키거나 더럽혀지는 것을 막기 위해서 지그가 위치하는 부분과 분리함과 동시에, 드릴용 막대(22), 이송용 스크류(32), 가이드 레일(28), 지지대 스크류(42), 가이드 막대(43)의 일측 끝단을 고정하여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가리비 패각을 일렬로 적층시키는 지그(70)는 몸체(10)에 형성된 고정대에 착탈식으로 고정된다. 고정대에서 지그를 빼내어 외부에서 지그에 가리비 패각을 적층시킨 후, 지그를 고정대에 안정적으로 고정시켜서, 가리비 패각에 홀을 형성하는 것이다.
몸체 타측에는 철사(84)가 감긴 철사릴(80)이 형성된다. 철사(84)는 지름 약 0.9mm의 철사가 사용될 수 있다. 드릴이 가리비 패각에 홀을 형성한 상태에서(즉, 드릴용 막대가 일렬로 적층된 가리비패각에 깨워진 상태에서), 드릴에 형성된 삽입홀(지름 약 1.5mm)에 철사의 끝단을 끼운 후, 드릴용 막대를 후진시키면 드릴용 막대를 따라 철사가 가리비패각에 차례로 끼워지게 된다. 이를 통해, 가리비 패각을 일괄적으로 철사로 묶을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받침판(26)은 가이드 레일(28)을 따라 전후진하게 된다. 가이드 레일(28)은 받침판(26)이 전후진하도록 가이드하는 부분이다. 받침판 하부에는 가이드 블럭이 형성되어 있으며, 가이드 블럭이 가이드 레일을 따라 전후진하면서 받침판이 전후진하게 된다.
한편,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장치에는 제1 근접센서 및 제2 근접센서가 설치된다. 제1 근접센서(15)는 중간 지지판에 형성되는 데, 드릴 및 지지대의 전진시에, 지지대가 접근하면 이를 감지하여 이송용 모터의 동작을 멈추게 한다. 따라서 더이상 이송용 모터의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아, 지지대와, 드릴, 받침판의 전진을 막게 된다.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2 근접센서(16)는 받침판의 후진시에 받침판의 접근을 감지하는 데, 받침판이 접근하면 이를 감지하여 역시 이송용 모터의 동작을 멈추게 된다. 이에 따라, 더이상 이송용 모터의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아, 지지대와 드릴, 받침판의 후진을 막게 된다. 즉, 제1 근접센서는 드릴, 받침판, 지지대의 더이상의 전진을 막기 위한 것이며, 제2 근접센서는 드릴, 받침판, 지지대의 더이상의 후진을 막기 위한 것이다.
제1 근접센서 및 제2 근접센서의 감지신호는 제어부로 전달되고,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이송용모터의 회전이 멈추게 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그를 이용한 가리비 패각 홀 가공 및 철사 묶음장치의 중간 지지판 부분에 대한 부분 확대도이며,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그를 이용한 가리비 패각 홀 가공 및 철사 묶음장치의 지그 및 철사릴 부분에 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지지대 스크류(42)의 끝단에는 지지대 스크류 비례기어(44)가 형성되고, 이송용 스크류(32) 끝단에는 이송용 스크류 비례기어(34)가 각각 형성된다. 지지대 스크류의 회전은 끝단에 형성된 지지대 스크류 비례기어와 맞물리는 이송용 스크류의 끝단에 형성된 이송용 스크류 비례기어의 회전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평기어 2:1 비율과 TM 너트볼트를 사용하는 데, 이송용 모터의 회전시 받침판이 100cm 움직일때 지지대는 50cm 움직이도록 구성된다. 지지대는 언제나 드릴용 막대를 중간 부분에서 지지하게 되는 데, 이에 따라 기계의 내구성과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몸체의 상부 일측에는 홀 가공용 모터와 이송용 모터를 작동시키는 작동스위치(90)가 설치되고, 상기 작동스위치는 속도제어기와 연결되어 있다. 몸체의 일측에는 속도제어기(91)를 설치하여 작업자가 가리비 패각의 특성에 맞게 가리비 홀 가공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가리비 패각이 단단할 경우에는 전후진 속도를 천천히 하고, 가리비 패각이 부드러울 경우에는 전후진 속도를 보다 높여 홀 가공을 실시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몸체의 일측에는 후진 스위치(96) 및 비상스위치(94)가 각각 형성된다.
후진 스위치(94)는 이송용 모터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드릴용 막대가 안치된 받침판을 후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드릴용 막대의 끝단에 형성된 드릴을 이용하여 가리비 패각에 홀을 형성한 후에, 드릴에 형성된 삽입홀(25)에 철사를 끼운 후, 후진 스위치를 작동시켜 홀가공용 모터가 안치된 받침판을 후진시키면 드릴용막대도 함께 후진하게 된다.
비상스위치는 비상시에 상기 홀 가공용 모터 및 상기 이송용 모터를 정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몸체의 일측에는 비상스위치를 설치하여, 비상상황에서 작업자가 장비의 동작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다. 장치의 운전중에 작업자가 다치는 등의 비상상황이나 급하게 장치를 중지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 비상스위치를 눌러서 장치의 동작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다.
한편, 철사릴의 전단, 즉, 고정대와 철사릴 사이에는 안내판(82)이 형성된다. 안내판(82)은 철사릴(80)에 감긴 철사(84)가 헝클어지지 않고 잘 풀리도록 철사가 통과하는 안내공(83)이 형성된다.
도 7을 참조하면, 고정대(60)은 지그(70)를 착탈식으로 고정시키는 부분이다. 고정대(70)는 상기 지그의 일측면을 고정하는 전면 고정대(61), 상기 지그의 중간부분을 양쪽으로 고정하는 중간 고정대(63), 지그의 후측면을 고정하는 후면 고정대(64)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면 고정판과 후면 고정판에는 드릴용 막대가 전후진하는데 방해를 받지 않도록 절개홈(62, 65)이 각각 형성된다. 고정대는 나사나 너트를 이용하는 방식이 아니라, 홀의 가공과 철사 묶음 작업시에 지그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부분임으로 지그를 착탈식으로 고정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그를 이용한 가리비 패각 홀 가공 및 철사 묶음장치의 드릴용 막대 부분에 대한 부분 확대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드릴용 막대의 드릴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드릴용 막대의 끝단에 형성된 드릴(24)에는 철사릴(80)에 감긴 철사(84)의 끝단을 걸수 있도록 철사삽입용 삽입홀(25)이 형성된다. 가리비패각 홀 가공 완료후에, 작업자가 철사(지름 약 0.9mm)의 끝단을 잡아서 드릴(지름 약 6mm)의 중간에 형성된 삽입홀(지름 약 1.5mm)에 삽입하여 고정시킨 후, 후진스위치를 눌러 드릴이 후진시에 철사를 끌고서 후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철사를 가리비 패각에 묶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가리비 패각 지그를 이용한 홀 가공 및 철사 묶음 장치의 동작 순서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외부에서 지그에 가리비 패각을 적층시킨다. 약 210여개의 가리비 패각이 하나의 지그에 적층될 수 있다. 지그의 크기에 따라 적층되는 가리비패각의 개수는 달라질 것이다. 가리비 패각이 적층된 지그를 고정대에 안치 고정시킨다.
그런 후, 작동스위치를 누른다. 그러면, 받침대 상의 홀가공용 모터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드릴이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이송용 모터가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이송용 스크류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받침대가 전진하게 된다. 이때, 기어로 맞물려 있는 지지대 스크류가 회전하면서 지지대도 전진하게 된다. 기어비가 2:1임으로 받침대의 전진속도는 지지대의 전진속도의 2배가 된다.
홀가공용 모터에 결합되어 있는 드릴용 막대는 가리비 패각 쪽으로 전진하면서, 드릴용 막대의 끝단에 형성된 드릴이 가리비 패각에 차례차례 홀을 형성하게 된다. 드릴이 가리비 패각을 모두 지나가면, 제1 근접센서는 지지대의 접근을 감지하게 된다.
중간 지지대에 형성된 제1 근접센서가 지지대의 접근을 감지하면, 감지신호를 제어부에 보내 홀가공용 모터 및 이송용 모터의 동작을 멈추게 된다.
그러면, 작업자는 철사릴에서 철사를 풀어서 철사를 드릴의 삽입홀에 끼운후 철사가 풀어지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그리고, 후진 스위치를 작동시킨다. 후진스위치의 작동에 의해서 이송용 모터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이송용스크류와 지지대 스크류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홀가공용 모터가 안치된 받침대와 지지대가 후진하게 된다. 받침대의 후진속도 또한 지지대의 후진속도의 2배가 된다. 드릴이 철사를 끌어 후진하면서, 가리비 패각에 차례로 철사를 끼우게 되는 것이다. 가리비 패각에 철사를 모두 끼우면(드릴이 가리비 패각을 모두 빠져나오면), 제2 근접센서가 받침판의 접근을 감지하게 된다.
몸체의 일측에 형성된 제2 근접센서가 받침판의 접근을 감지하면, 그 감지신호를 제어부에 보내 이송용 모터의 역방향 회전을 멈추게 되는 것이다.
그러면, 작업자는 철사릴에서 철사를 잘라내고, 철사가 묶인 가리비 패각이 적층된 지그를 고정대에서 빼내어, 가리비 패각 홀 가공 및 철사 묶음 작업을 마무리하게 된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가리비 패각 홀 가공 및 철사 묶음장치
10: 몸체
12: 공기흡입구
14: 환풍구
15: 제1 근접센서
16: 제2 근접센서
20: 홀가공용 모터
22: 드릴용 막대
24: 드릴
25: 삽입홀
26: 받침판
28: 가이드 레일
30: 이송용 모터
32: 이송용 스크류
34: 이송용 스크류 비례기어
40: 지지대
42: 지지대 스크류
43: 가이드막대
44: 지지대 스크류 비례기어
50: 중간 지지판
60: 고정대
61: 전면 고정대
62: 절개홈
63: 중간 고정대
64: 후면 고정대
65: 절개홈
66: 고정가이드대
70: 지그
72: 절개홈
80: 철사릴
82: 안내판
83: 안내공
84: 철사
90: 작동스위치
91: 속도 조절기
94: 비상스위치
96: 후진스위치
A: 가리비 패각

Claims (10)

  1. 다수개의 가리비패각에 일괄적으로 홀을 형성하고, 형성된 홀에 철사를 삽입하여 다수개의 가리비를 묶을 수 있는 지그를 이용한 가리비 패각 홀 가공 및 철사 묶음장치에 있어서,
    몸체;
    상기 몸체 위에 형성되며, 끝단에 드릴이 형성된 드릴용 막대를 회전시키는 홀가공용 모터;
    상기 홀가공용 모터가 안치되는 받침판 하부의 스크류잭과 결합되어, 상기 받침판을 전후진시키는 이송용 스크류;
    상기 이송용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이송용 모터;
    상기 드릴용 막대가 하부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드릴용 막대의 중간에서 지지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대를 전후진시키는 지지대 스크류;
    가리비 패각을 일렬로 적층시키는 지그;
    상기 몸체에 형성되되, 상기 지그를 삽입시켜 착탈식으로 고정시키는 고정대; 및
    상기 드릴용 막대에 의해 가리비 패각에 형성된 홀에 철사를 삽입하기 위해서 철사가 감긴 철사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를 이용한 가리비 패각 홀 가공 및 철사 묶음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중앙에 상기 드릴용 막대가 삽입되는 통공이 형성되고,
    좌우 양측에는 가이드 홀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홀에 가이드 막대가 각각 삽입되어, 상기 지지대는 상기 가이드 막대를 따라 전후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를 이용한 가리비 패각 홀 가공 및 철사 묶음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용 스크류의 끝단에는 이송용 스크류 비례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 스크류의 끝단에는 지지대 스크류 비례기어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이송용 스크류 비례기어와 상기 지지대 스크류 비례기어가 서로 맞물리면서 상기 이송용 스크류의 회전력에 의해서 상기 지지대 스크류가 회전하면서 상기 지지대를 전후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를 이용한 가리비 패각 홀 가공 및 철사 묶음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는
    상기 지그의 일측면을 고정하는 전면 고정대,
    상기 지그의 중간부분을 양측으로 고정하는 중간 고정대,
    상기 지그의 후측면을 고정하는 후면 고정대를 포함하되,
    상기 전면 고정판과 상기 후면 고정판에는 상기 드릴 막대가 전후진하는데 방해를 받지 않도록 절개홈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를 이용한 가리비 패각 홀 가공 및 철사 묶음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드릴용 막대의 끝단에 형성된 드릴에는 상기 철사를 걸수 있도록 철사삽입용 삽입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를 이용한 가리비 패각 홀 가공 및 철사 묶음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의 하부에는 가이드 블럭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블럭은 가이드 레일을 따라 전후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를 이용한 가리비 패각 홀 가공 및 철사 묶음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패각에 홀 가공시 발생되는 패각 찌꺼기로부터 부품의 오염을 막고, 상기 드릴용 막대, 상기 이송용 스크류, 상기 지지대 스크류의 일측 끝단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해서, 몸체의 중간에 중간 지지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를 이용한 가리비 패각 홀 가공 및 철사 묶음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지지판에는 상기 지지대의 접근을 감지하는 제1근접센서가 형성되어, 상기 제1근접센서에 의해 감지된 감지신호는 제어부로 전달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이송용모터의 동작을 멈추며,
    상기 몸체의 일체에는 상기 받침판의 접근을 감지하는 제2근접센서가 형성되어, 상기 제2 근접센서에 의해 감지된 감지신호는 제어부로 전달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이송용모터의 동작을 멈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를 이용한 가리비 패각 홀 가공 및 철사 묶음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와 상기 철사릴 사이에는 상기 철사릴에 감긴 철사를 헝클어지지 않고 잘 풀리도록 철사가 통과하는 안내공이 형성된 안내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를 이용한 가리비 패각 홀 가공 및 철사 묶음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홀 가공용 모터 및 상기 이송용 모터를 작동시키는 작동스위치;
    상기 이송용 모터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홀가공용 모터가 안치된 받침판을 후진시키는 후진스위치; 및
    비상시에 상기 홀 가공용 모터 및 상기 이송용 모터를 정지시키는 비상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를 이용한 가리비 패각 홀 가공 및 철사 묶음장치.
KR1020180094012A 2018-08-10 2018-08-10 지그를 이용한 가리비 패각 홀 가공 및 철사 묶음장치 KR102138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4012A KR102138762B1 (ko) 2018-08-10 2018-08-10 지그를 이용한 가리비 패각 홀 가공 및 철사 묶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4012A KR102138762B1 (ko) 2018-08-10 2018-08-10 지그를 이용한 가리비 패각 홀 가공 및 철사 묶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8144A true KR20200018144A (ko) 2020-02-19
KR102138762B1 KR102138762B1 (ko) 2020-07-28

Family

ID=69669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4012A KR102138762B1 (ko) 2018-08-10 2018-08-10 지그를 이용한 가리비 패각 홀 가공 및 철사 묶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87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01666A (zh) * 2020-12-28 2021-06-22 谷原 一种集成电路制造用钻孔设备及集成电路制造工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762B1 (ko) * 2009-07-31 2012-01-18 명 옥 이 목재의 내경 가공장치
KR101237219B1 (ko) * 2010-07-12 2013-02-2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반용 심압대 자동구동장치
KR20130065274A (ko) 2011-12-09 2013-06-19 (주) 미르 가리비 패각 타공용 드릴링 머신
KR101798588B1 (ko) * 2016-08-02 2017-12-12 박영재 가리비 종패 부착 조립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762B1 (ko) * 2009-07-31 2012-01-18 명 옥 이 목재의 내경 가공장치
KR101237219B1 (ko) * 2010-07-12 2013-02-2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반용 심압대 자동구동장치
KR20130065274A (ko) 2011-12-09 2013-06-19 (주) 미르 가리비 패각 타공용 드릴링 머신
KR101798588B1 (ko) * 2016-08-02 2017-12-12 박영재 가리비 종패 부착 조립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01666A (zh) * 2020-12-28 2021-06-22 谷原 一种集成电路制造用钻孔设备及集成电路制造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8762B1 (ko) 2020-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0078B1 (ko) Cnc 선반
CN207900739U (zh) 一种cnc加工中心夹臂式换刀装置
CN110576993B (zh) 全自动文件绑绳设备
CN105568450B (zh) 孔筒管与纱线自动分离机
CN107900469A (zh) 一种高效法兰螺母攻丝装置
KR20200018144A (ko) 지그를 이용한 가리비 패각 홀 가공 및 철사 묶음장치
CN211162100U (zh) 一种具有防护功能的立式铣床
CN212633866U (zh) 一种缩径机
EP2412500A1 (en) A woodworking drilling machine with an improved panel feeding device
CN210589486U (zh) 海绵覆膜切割装置
CN210594489U (zh) 双卷料快速切换供应机
US619610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ving workpieces
CN203109328U (zh) 用于数控车床的片铣刀刀架
US3623823A (en) Portable apparatus for producing circular openings in workpieces
CN205166052U (zh) 一种自动倒角机
US2055435A (en) Metalworking machine
CN214162241U (zh) 一种棒料加工自动进料装置
KR101604955B1 (ko) 생산성을 향상시킨 서까래 가공장치
CN210231030U (zh) 一种拉丝机用放线装置
CN208359805U (zh) 一种精雕机
CN110076362B (zh) 一种车床
CN209259314U (zh) 一种快换式胶带自动分切机
CN106002273A (zh) 一种车钻一体机床
JP3134196U (ja) 旋盤加工機、および、ローディング装置
CN218342362U (zh) 一种条状木材刨片喂料供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