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8588B1 - 가리비 종패 부착 조립기 - Google Patents

가리비 종패 부착 조립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8588B1
KR101798588B1 KR1020160098617A KR20160098617A KR101798588B1 KR 101798588 B1 KR101798588 B1 KR 101798588B1 KR 1020160098617 A KR1020160098617 A KR 1020160098617A KR 20160098617 A KR20160098617 A KR 20160098617A KR 101798588 B1 KR101798588 B1 KR 101798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ll
scallop
main body
shell
she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8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재
Original Assignee
박영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재 filed Critical 박영재
Priority to KR1020160098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85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8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8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01K61/54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bivalves, e.g. oysters or mu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0Cutting b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16Perforating by tool or tools of the drill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리비 종패 부착 조립기에 관한 것으로 기기본체와, 상기 기기본체 상부에 설치되어 가리비 패각과 관형의 간격유지구가 교대로 안착되게 할 수 있는 클램프부; 상기 기기본체 일측에 구비되는 왕복이동수단과, 상기 왕복이동수단에 연동되게 설치되어 상기 클램프부에 안착된 가리비 패각을 타공하는 드릴로 구성되는 타공부; 상기 기기본체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가리비 패각을 타공한 드릴의 날끝에 연결 가능한 줄이 형성되어 상기 드릴의 복귀에 의해 상기 줄이 상기 가리비 패각과 상기 간격유지구를 연결되게 하는 연결부;가 포함되어 가리비 패각 타공 후 줄로 간격유지구를 연결을 한번에 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리비 종패 부착 조립기{Apparatus for assembling shellfish seed}
본 발명은 가리비 종패 부착 조립기에 관한 것으로, 굴 양식을 위한 가리비 패각을 간격유지되게 하면서 줄로 연결할 수 있는 가리비 종패 부착 조립기에 관한 기술이다.
가리비 패각은 가리비 살을 감싸는 가리비 껍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부채꼴 모양으로 형성되고, 이러한 가리비 패각은 다른 조개류의 패각에 비해 넓은 부채꼴 형상을 하고 있어서 굴 양식으로도 많이 쓰이고 있다.
가리비 패각을 굴 양식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가리비 패각 중앙에 구멍을 뚫고 부착성 수산물의 종자를 심은 후, 줄로 연결한다. 그리고 종자가 잘 자라기 위해서는 가리비 배각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야 하므로 줄 연결시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줄로 연결하는 것이 중요하다.
종래에는 가리비 패각의 중앙 부분을 타공하는 방법은 드릴을 이용한 기계 장치가 계발되었으나, 가리비 패각 사이에 간격유지구를 끼워 줄로 연결하는 작업은 수작업으로 진행할 수밖에 없어 작업 속도가 느리고 인건비에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KR 10-1187106 B1 KR 10-2013-0065274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하나의 기계장치로 가리비 패각을 드릴에 의해 타공하고 간격유지구를 그 사이에 위치하여 줄로 연결할 수 있는 가리비 종패 부착 조립기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기본체와, 상기 기기본체 상부에 설치되어 가리비 패각과 관형의 간격유지구가 교대로 안착되게 할 수 있는 클램프부; 상기 기기본체 일측에 구비되는 왕복이동수단과, 상기 왕복이동수단에 연동되게 설치되어 상기 클램프부에 안착된 가리비 패각을 타공하는 드릴로 구성되는 타공부; 상기 기기본체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가리비 패각을 타공한 드릴의 날끝에 연결 가능한 줄이 형성되어 상기 드릴의 복귀에 의해 상기 줄이 상기 가리비 패각과 상기 간격유지구를 연결되게 하는 연결부;가 포함되되, 상기 클램프부는, 상기 기기본체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리비 패각을 일렬로 배열되게 하는 플레이트와, 상기 기기본체 전면에 상기 플레이트 사이마다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간격유지구가 공급시 상기 플레이트 사이로 위치하게 하는 채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클램프부에는, 상기 기기본체 상부에 상기 클램프부 후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가리비 패각을 지지하여 이동을 방지하는 스토퍼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기기본체 상부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가이드 바와, 상기 가이드 바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하향 이동시 상기 클램프부 후측으로 이동되는 수평플레이트과, 상기 수평플레이트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가리비 패각과 접촉되는 탄성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왕복이동수단은, 상기 기기본체 측면에 구비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드릴이 안착되고 이동을 가이드 하는 레일과, 상기 프레임 하부에 구비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드릴을 이동되게 하는 스크류축과, 상기 프레임의 양단에 설치되어 상기 드릴의 위치를 감지하고 이동거리를 제한되게 할 수 있는 리미트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하나의 기계장치에 의해 가리비 패각을 타공하고 가리비 패각 사이에 간격유지구를 줄로 연결하여 가리비 종패를 완성할 수 있다.
종래에 가리비 패각과 간격유지구를 연결하는 작업이 본 발명에 의해 자동으로 진행되므로 수작업으로 하는 것보다 비용이 적게들고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작업효율이 높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리비 종패 부착 조립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가리비 패각 타공 예시도이다.
도 3은 가리비 패각과 간격유지구가 줄로 연결된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리비 종패 부착 조립기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인 가리비 종패 부착 조립기는 기기본체(100)와, 클램프부(200), 타공부(300), 연결부(40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기기본체(100)는 기기의 작업대 외형으로 프레임이 연결된 사각틀 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클램프부(200)와, 타공부(300) 및 연결부(400)가 설치되게 된다.
상기 클램프부(200)는 가리비 패각(A)과 간격유지구(B)를 안착시킬 수 있는 구성이다.
상기 클램프부(200)는 상기 기기본체(100) 상부에 설치되어 가리비 패각(A)과 관형의 간격유지구(B)가 교대로 안착되게 할 수 있다.
상기 클램프부(200)는, 상기 기기본체(100)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리비 패각(A)을 일렬로 배열되게 하는 플레이트(220)와, 상기 기기본체(100) 전면에 상기 플레이트(220) 사이마다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간격유지구(B)가 공급시 상기 플레이트(220) 사이로 위치하게 하는 채널(2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레이트(220)는 복수 개가 일정간격으로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그 사이에 상기 채널(240)이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플레이트(220)는 중앙 부분에 드릴날이 통과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가이드홀은 상부로 연결되어 일부가 절개된 형상이 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홀은 상기 플레이트 홀의 상부까지 연결되어 추후에 줄이 연결되어 빠질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채널(240)은 상기 플레이트(220)의 사이마다 위치하고 상기 플레이트(220)는 경사지게 형성되며 단면이 '└┘'자 형으로 형성되어 간격유지구(B)가 복수 개 유입되어 경사방향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220) 측으로 이동되게 구성하였다.
상기 타공부(300)는 가리비 패각의 중앙 부분을 타공할 수 있는 구성이다.
상기 타공부(300)는 상기 기기본체(100) 일측에 구비되는 왕복이동수단(320)과, 상기 왕복이동수단(320)에 연동되게 설치되어 상기 클램프부(200)에 안착된 가리비 패각(A)을 타공하는 드릴(340)로 구성된다.
상기 왕복이동수단(320)은, 상기 드릴(340)을 이동시킬 수 있는 것으로, LM 가이드 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세하게 상기 기기본체(100) 측면에 구비되는 프레임(322)과, 상기 프레임(322)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드릴(340)이 안착되고 이동을 가이드 하는 레일(324)과, 상기 프레임(322) 하부에 구비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드릴(340)을 이동되게 하는 스크류축(326)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스크류축(326)은 모터의 회전에 의해 연동된다.
여기서, 상기 드릴(340)의 날끝은 줄이 통과되는 구멍이 형성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왕복이동수단(320)에서 상기 프레임(322)의 양단에 설치되어 상기 드릴(340)의 위치를 감지하고 이동거리(즉 왕복거리)를 제한되게 할 수 있는 리미트센서(328)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400)는 가리비 패각(A)과 간격유지구(B)를 연결할 수 있는 구성이다.
상기 연결부(400)는 상기 기기본체(100)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가리비 패각(A)을 타공한 드릴(340)의 날끝에 연결 가능한 줄(420)이 형성되어 상기 드릴(340)의 복귀에 의해 상기 줄(420)이 상기 가리비 패각(A)과 상기 간격유지구(B)를 연결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400)에는 상기 줄(420)이 거치되게 하는 거치대(440)를 추가로 설치하였다.
그리고, 상기 클램프부(200)에는, 상기 기기본체(100) 상부에 상기 클램프부(200) 후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가리비 패각(A)을 지지하여 이동을 방지하는 스토퍼부(26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토퍼부(260)는, 상기 기기본체(100) 상부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가이드 바(262)와, 상기 가이드 바(262)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하향 이동시 상기 클램프부(200) 후측으로 이동되는 수평플레이트(264)과, 상기 수평플레이트(264)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가리비 패각(A)과 접촉되는 탄성부재(26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수평플레이트(264)는 공압에 의해 작동하며, 상기 가이드 바(262)의 경사방향에 의해 하강시에는 상기 클램프부(200)측으로 근접하고 상승시에는 상기 클램프부(200)와 이격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수평플레이트(264)를 상승시켜 상기 가리비 패각(A)을 상기 클램프부(200)에 안착시키고, 상기 수평플레이트(264)를 하강시켜 상기 가리비 패각(A)을 지지한 상태에서 드릴(340)에 의해 가리비 패각(A)의 중앙부분을 타공하며, 수평플레이트(264)를 상승시켜 가리비 패각(A)을 탈거할 수 있다.
도 2는 가리비 패각 타공 예시도이고, 도 3은 가리비 패각과 간격유지구가 줄로 연결된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작동 과정을 보면, 도 2를 참조하면, 클램프부에 가리비 패각(A)과 간격유지구(B)를 위치시킨 후 왕복이동수단에 의해 전진하여 드릴(340)을 작동시켜 타공하게 된다.
그리고, 가리비 패각(A) 타공 후 도 3을 참조하면 드릴(340) 끝에 줄(420)을 연결하여 왕복이동수단에 의해 드릴(340)을 원위치로 복귀하여 가리비 패각(A)과 간격유지구(B)를 줄(420)로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나의 기기에 의해 가리비 패각을 타공하고, 가리비 패각 사이에 간격유지구를 줄로 연결할 수 있는 작업이 한번에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가리비 종패 부착 조립기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인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사상의 범주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A: 가리비 패각 B: 간격유지구
100: 기기본체 200: 클램프부
220: 플레이트 240: 채널
300: 타공부 320: 왕복이동수단
340: 드릴 400: 연결부
420: 줄 440: 거치대

Claims (5)

  1. 기기본체와,
    상기 기기본체 상부에 설치되어 가리비 패각과 관형의 간격유지구가 교대로 안착되게 할 수 있는 클램프부;
    상기 기기본체 일측에 구비되는 왕복이동수단과, 상기 왕복이동수단에 연동되게 설치되어 상기 클램프부에 안착된 가리비 패각을 타공하는 드릴로 구성되는 타공부;
    상기 기기본체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가리비 패각을 타공한 드릴의 날끝에 연결 가능한 줄이 형성되어 상기 드릴의 복귀에 의해 상기 줄이 상기 가리비 패각과 상기 간격유지구를 연결되게 하는 연결부;가 포함되고,
    상기 클램프부는,
    상기 기기본체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리비 패각을 일렬로 배열되게 하는 플레이트와, 상기 기기본체 전면에 상기 플레이트 사이마다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간격유지구가 공급시 상기 플레이트 사이로 위치하게 하는 채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리비 종패 부착 조립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부에는,
    상기 기기본체 상부에 상기 클램프부 후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가리비 패각을 지지하여 이동을 방지하는 스토퍼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리비 종패 부착 조립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기기본체 상부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가이드 바와, 상기 가이드 바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하향 이동시 상기 클램프부 후측으로 이동되는 수평플레이트과, 상기 수평플레이트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가리비 패각과 접촉되는 탄성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리비 종패 부착 조립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이동수단은,
    상기 기기본체 측면에 구비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드릴이 안착되고 이동을 가이드 하는 레일과, 상기 프레임 하부에 구비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드릴을 이동되게 하는 스크류축과, 상기 프레임의 양단에 설치되어 상기 드릴의 위치를 감지하고 이동거리를 제한되게 할 수 있는 리미트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리비 종패 부착 조립기.
KR1020160098617A 2016-08-02 2016-08-02 가리비 종패 부착 조립기 KR101798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8617A KR101798588B1 (ko) 2016-08-02 2016-08-02 가리비 종패 부착 조립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8617A KR101798588B1 (ko) 2016-08-02 2016-08-02 가리비 종패 부착 조립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8588B1 true KR101798588B1 (ko) 2017-12-12

Family

ID=60943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8617A KR101798588B1 (ko) 2016-08-02 2016-08-02 가리비 종패 부착 조립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85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8144A (ko) * 2018-08-10 2020-02-19 문영애 지그를 이용한 가리비 패각 홀 가공 및 철사 묶음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9673B2 (ja) * 1997-12-11 2001-04-23 義久 早川 シールドガスアーク溶接におけるヒューム、ガス処理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9673B2 (ja) * 1997-12-11 2001-04-23 義久 早川 シールドガスアーク溶接におけるヒューム、ガス処理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8144A (ko) * 2018-08-10 2020-02-19 문영애 지그를 이용한 가리비 패각 홀 가공 및 철사 묶음장치
KR102138762B1 (ko) * 2018-08-10 2020-07-28 문영애 지그를 이용한 가리비 패각 홀 가공 및 철사 묶음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4553B1 (ko) 표고버섯 재배용 원목의 접종공 천공장치
CN101828484B (zh) 斜插式蔬菜嫁接装置
EP1815954B1 (en) A machine for processing wooden components or the like
JP6992973B2 (ja) 丸太材の穿孔機
BR102016017683A2 (pt) sistema e método de amostragem de semente
KR101798588B1 (ko) 가리비 종패 부착 조립기
US4187751A (en) Lead cropping apparatus
CN109570346B (zh) 自动冲压折弯设备
CN108703017B (zh) 一种培养料装瓶、压实及打孔装置
TW201600279A (zh) 切片器(一)
KR100940100B1 (ko) 판재 자동 천공 장치
CN210210140U (zh) 一种磁材内圆切片机装夹工装
CN211489221U (zh) 脑电传感器芯片裁剪模
CN116352148A (zh) 一种牙掌铣焊缝工艺及其加工设备
CN202528327U (zh) 一种切钻机
CN211518083U (zh) 一种简易型加气块切割装置
CN210547694U (zh) 一种端子切脚及检测设备
CN210537582U (zh) 穴盘苗嫁接多株接穗同步楔形切削装置
CN210705133U (zh) 可有效避免小间距孔开裂的钻孔装置
CN103609344A (zh) 针式嫁接机用穴盘蔬菜苗定位与斜切装置
CN211362631U (zh) 一种新型打孔机
JP2005059525A (ja) 竹切断装置およびその方法
CN210939625U (zh) 一种组织芯片空白蜡块钻孔仪
CN220882503U (zh) 一种管材切割机
CN101983792B (zh) 单工程连续冲孔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