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8030A - 화상형성장치의 토너량 표시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의 토너량 표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8030A
KR20200018030A KR1020180093746A KR20180093746A KR20200018030A KR 20200018030 A KR20200018030 A KR 20200018030A KR 1020180093746 A KR1020180093746 A KR 1020180093746A KR 20180093746 A KR20180093746 A KR 20180093746A KR 20200018030 A KR20200018030 A KR 202000180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r
display
image forming
amount
form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3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진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to KR1020180093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18030A/ko
Priority to PCT/KR2018/015834 priority patent/WO2020032330A1/en
Publication of KR20200018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80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48Arrangements for testing or measuring developer properties or quality, e.g. charge, size, flowability
    • G03G15/0856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leve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94Reconditioning of the developer unit, i.e. reusing or recycling parts of the unit, e.g. resealing of the unit before refilling with ton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16User-machine interface; Display panels; Control consol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5Self-diagnostics; Malfunction or lifetime display
    • G03G15/553Monitoring or warning means for exhaustion or lifetime end of consumables, e.g. indication of insufficient copy sheet quantity for a job
    • G03G15/556Monitoring or warning means for exhaustion or lifetime end of consumables, e.g. indication of insufficient copy sheet quantity for a job for toner consumption, e.g. pixel counting, toner coverage detection or toner density measure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Manufacturing or assembling, recycling, reuse, transportation, packaging or storage

Abstract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된다. 본 화상형성장치는 토너 카트리지에 채워진 토너를 이용하여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 인쇄 엔진, 일렬로 배치되는 복수의 점등 영역 및 복수의 점등 영역 주변에 배치되는 백그라운드 영역을 갖는 디스플레이, 및 토너 카트리지의 토너량을 확인하고, 복수의 점등 영역 중 확인된 토너량에 대응되는 점등 영역이 발광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의 토너량 표시{TONER AMOUNT DISPLAY OF IMAGE FORMING APPARATUS}
화상형성장치는 컴퓨터와 같은 단말장치에서 생성된 인쇄 데이터를 인쇄용지에 인쇄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의 예로는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또는 이들의 기능을 하나의 장치를 통해 복합적으로 구현하는 복합기(Multi Function Peripheral: MFP) 등을 들 수 있다.
레이저 프린팅 방식의 화상형성장치는 화상을 인쇄하기 위하여 토너를 사용한다. 토너는 화상형성작업이 진행될 때마다 사용되어, 소정 시간 이상 사용되면 고갈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화상형성장치의 형태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화상형성장치의 간단한 구성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도 1의 화상형성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도 2의 인쇄 엔진의 구체적인 구성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2의 토너 카트리지의 형태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개시의 토너 리필 장치의 형태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1의 디스플레이의 구체적인 구성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의 색상이 화이트 계열인 경우의 디스플레이의 표시 동작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의 색상이 블랙 계열인 경우의 디스플레이의 표시 동작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토너 리필이 필요한 경우의 디스플레이의 동작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토너 리필 과정에서의 표시 동작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12는 본 개시의 토너량 표시 방법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 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화상 형성 작업(image forming job)”이란 화상의 형성 또는 화상 파일의 생성/저장/전송 등과 같이 화상과 관련된 다양한 작업들(e.g. 인쇄, 스캔 또는 팩스)을 의미할 수 있으며, “작업(job)”이란 화상 형성 작업을 의미할 뿐 아니라, 화상 형성 작업의 수행을 위해서 필요한 일련의 프로세스들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또한, “화상형성장치”란 컴퓨터와 같은 단말장치에서 생성된 인쇄 데이터를 기록 용지에 인쇄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의 예로는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또는 이들의 기능을 하나의 장치를 통해 복합적으로 구현하는 복합기(multi-function printer, MFP)등을 들 수 있다. 프린터(printer), 스캐너(scanner), 팩스기(fax machine), 복합기(multi-function printer, MFP)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등과 같이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장치들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인쇄 데이터”란 프린터에서 인쇄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된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프린터가 다이렉트 프린팅을 지원한다면, 파일 그 자체가 인쇄 데이터가 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란 화상형성장치를 이용하여, 또는 화상형성장치와 유무선으로 연결된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화상 형성 작업과 관련된 조작을 수행하는 사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란 화상형성장치의 모든 기능 및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갖는 사람을 의미할 수 있다. “관리자”와 “사용자”는 동일한 사람일 수도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화상형성장치의 형태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본체(1)와 본체(1)의 전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110)를 포함한다.
본체(1)는 화상형성장치(100) 내의 각 구성을 지지하며, 하우징으로 지칭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는 본체(1)의 전면, 즉 인쇄용지를 배출하는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11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상태를 나타낼 수 있으며, 특히 화상형성장치(100)의 토너량에 대한 정보, 토너의 리필 필요 여부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는 일렬로 배치되는 복수의 점등 영역과 복수의 점등 영역 주변에 배치되는 백그라운드 영역을 포함하며, 복수의 점등 영역을 이용하여 토너량을 표시하고, 백그라운드 영역을 이용하여 토너 리필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개시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토너량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10)가 화상형성장치(100)의 전면에 배치되어 있는바 사용자는 화상형성장치(100)의 토너량 및 토너의 리필 여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1을 도시하고 설명함에 있어서, 화상형성장치(100)가 토너를 이용하는 전자 사진 방식(즉, 레이저 프린터)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구현시에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는 잉크를 이용하여 잉크젯 프린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화상형성장치(100)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화상형성장치의 간단한 구성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디스플레이(110), 인쇄 엔진(120) 및 프로세서(130)로 구성된다.
디스플레이(110)는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제공하는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110)는 화상형성장치(100) 내의 토너 카트리지(200)에 채워진 토너의 양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10)는 토너 카트리지(200)의 토너가 기설정된 양 이하가 되면 토너의 리필이 필요함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110)는 일렬로 배치되는 복수의 점등 영역과 복수의 점등 영역 주변에 배치되는 백그라운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점등 영역과 백그라운드 영역의 구체적인 형태 및 표시 형태에 대해서는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인쇄 엔진(120)은 화상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인쇄 엔진(120)은 토너 카트리지(200)에 채워진 토너를 이용하여 인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인쇄 엔진(120)은 화상형성잡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관여하는 다양한 소모품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저 화상형성장치의 경우 대전장치, 노광 장치, 현상 장치, 전사장치, 정착장치, 각종 롤러, 벨트, OPC 드럼 등이 소모품 장치가 될 수 있으며, 그 밖에 화상형성장치의 사용에 있어서 현상기와 같이 교체가 요구되는 다양한 유형의 장치들이 소모품 장치로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소모품 장치 중 하나가 토너 카트리지이고, 토너 카트리지는 상술한 현상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인쇄 엔진(12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토너 카트리지(200)는 현상기에 토너를 제공하는 장치로 토너 리필 장치(400)에 의하여 토너가 리필 될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2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프로세서(130)는 화상형성장치(100) 내의 각 구성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인쇄 제어 단말장치(미도시)로부터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면, 수신된 인쇄 데이터가 인쇄되도록 인쇄 엔진(120)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인쇄 제어 단말장치는 인쇄 데이터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로, PC, 노트북, 태블릿 PC, 스마트폰, 서버 등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130)는 CPU와 같은 단일 장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클럭 발생 회로, CPU, 그래픽 프로세서 등의 복수의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토너 카트리지(200)의 토너량을 확인하고, 확인된 토너량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110)의 복수의 점등 영역 중 확인된 토너량에 대응되는 점등 영역이 발광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30)는 발광하는 점등 영역이 토너 카트리지(200)의 토너 색상에 대응되는 색을 발광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으며, 백그라운드 영역 역시, 점등된 점등 영역의 색상과 동일한 색을 갖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화상형성장치(100)가 칼라 인쇄가 가능한 경우, 인쇄 엔진(120)은 서로 다른 토너 색상의 복수의 토너 카트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yan/Magenta/Yellow/Black 토너 카트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쇄 엔진(120)이 복수의 토너 카트리지를 갖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토너 카트리지 각각의 토너량을 기설정된 시간 간격 단위로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시간은 0.5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Black 토너 카트리지의 토너량(즉, Black 토너량)을 표시하고, 0.5초 이후에 Cyan 토너 카트리지의 토너량(즉, Cyan 토너량)을 표시하고, 다시 0.5초 이후에 Magenta 토너 카트리지의 토너량(즉, Magenta 토너량), 다시 0.5초 이후에 Yellow 카트리지의 토너량(Yellow 토너량)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 동작은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중에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표시 동작은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는 지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고, 구현시에 웨이크 업 모드 또는 노멀 모드 시에만 수행될 수도 있다. 즉, 절전 모드시에는 표시 동작이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상술한 복수의 토너 카트리지 각각의 토너량을 표시함에 있어서, 점등되는 점등 영역과 백그라운드 영역이 현재 표시하는 토너 카트리지(200)의 토너 색상에 대응되는 색을 갖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디스플레이(110)의 표시되는 색을 보고 어떠한 토너 카트리지의 토너량을 표시하는 것인지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토너 카트리지(200)의 토너량이 기설정된 값 이하이면 토너 리필이 필요함을 백그라운드 영역을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토너 카트리지의 토너량이 기설정된 값 이하이면, 백그라운드 영역이 기설정된 시간 단위로 점멸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시간은 0.5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만약, 화상형성장치(100)가 복수의 토너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복수의 토너 카트리지 중 어느 하나의 토너량이 기설정된 값 이하이면, 제1 시간 단위로 각 토너 카트리지의 토너량을 표시하고, 기설정된 값 이하의 토너량을 갖는 토너 카트리지의 토너량을 표시할 때, 제1 시간 단위보다 짧은 제2 시간 단위로 백그라운드 영역을 점멸할 수 있다.
한편, 구현시에는 정상 토너 카트리지의 표시 시간과 토너가 부족한 토너 카트리지의 표시 시간을 상이하게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Black 카트리지의 토너량이 부족한 경우, Cyan/Magenta/Yellow 토너 카트리지의 토너량은 0.5초 간격으로 표시하고, black 카트리지의 토너량은 1초 이상의 시간으로 표시할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사용자가 토너 리필 장치(400)를 화상형성장치(100)에 연결한 경우, 연결된 토너 리필 장치(400)의 사용 가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30)는 연결된 토너 리필 장치(400)가 정품 장치인지, 사용 이력이 있는 장치인지를 확인하는 것뿐만 아니라, 토너 리필 장치(400)의 토너 색과 현재 토너 리필 장치(400)가 리필하고자 하는 토너 카트리지(200)의 토너 색이 일치하는지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토너 리필 장치(400)가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토너 리필 장치(400)의 토너가 토너 카트리지(200)에 주입되도록 토너 카트리지(20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토너 카트리지(200)는 토너를 주입받을 수 있는 홀 및 해당 홀을 전기적으로 개폐하는 락킹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토너 리필 장치(400)를 이용하여 토너 카트리지(200)의 토너가 리필되는 경우, 복수의 점등 영역 중 토너 카트리지의 토너량 증가 구간에 대응되는 점등 영역이 기설정된 시간 단위로 점멸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에 대해서는 도 11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이상에서는 화상형성장치를 구성하는 간단한 구성에 대해서만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다양한 구성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화상형성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디스플레이(110), 인쇄 엔진(120), 프로세서(130), 통신 장치(140), 메모리(150) 및 입력 장치(160)로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 및 인쇄 엔진(120)에 대해서는 도 2와 관련하여 설명하였는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프로세서(130)에 대해서도 도 2와 관련하여 설명하였는바, 도 2에서 설명한 내용은 중복 기재하지 않고, 도 3에 추가된 구성과 관련된 내용만 이하에서 설명한다.
통신 장치(140)는 인쇄 제어 단말장치(미도시)와 연결되며, 인쇄 제어 단말장치로부터 인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장치(140)는 화상형성장치(100)를 외부 장치와 연결하기 위해 형성되고,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및 인터넷망을 통해 단말장치에 접속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 또는 무선 통신(예를 들어, WiFi 802.11a/b/g/n, NFC, Bluetooth) 포트를 통하여 접속되는 형태도 가능하다. 이러한 통신 장치(140)는 송수신부(transceiver)로 지칭될 수도 있다.
그리고 통신 장치(140)는 도 6의 토너 리필 장치(400)와 통신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통신 장치(140)는 토너 리필 장치(400)가 토너 카트리지(200), 토너 용기(미도시), 토너 컨테이너(미도시) 또는 현상기(미도시)에 연결되는 경우, 토너 리필 장치(4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통신 장치(140)는 토너 카트리지(200)에 장착된 복수의 단자를 통하여 토너 리필 장치(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RFID 방식으로 토너 리필 장치(4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장치(140)는 토너 카트리지(200)의 토너량이 일정량 이하가 되어 토너 카트리지(200)의 교체 또는 토너 리필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이에 대한 정보를 관리 서버(미도시) 또는 관리자(구체적으로, 관리자의 단말장치)에게 통지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통신 장치(140)를 이용하여 토너 리필 장치(4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30)는 토너 리필 장치(400)와 전달되는 데이터에 대해서 암호화를 수행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암호화 알고리즘은 RSA, ECC 비대칭 키 알고리즘, ARIA, TDES, SEED, AES 대칭 키 알고리즘 등과 같은 다양한 암호화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토너 리필 장치(400)에서 제공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토너 리필 장치(400)가 적법한 장치인지를 판단하는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토너 리필 장치(400)가 사용할 수 없는 것으로 확인되면, 프로세서(130)는 토너 리필 장치(400)를 사용할 수 없음을 알리는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토너 리필 장치(400)를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프로세서(130)는 토너 리필 과정에서 증가되는 토너량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토너 리필 과정 중에 디스플레이(110)는 현재 리필 진행 중엔 토너 카트리지의 토너량만을 표시할 수 있다. 즉, 토너 리필이 수행되지 않은 다른 토너 카트리지의 토너량에 대한 표시 동작은 일시적으로 중단될 수 있다.
메모리(150)는 통신 장치(140)를 통하여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150)는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수행된 인쇄 잡의 히스토리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150)는 토너 카트리지(200)에 대한 토너 리필 이력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150)는 화상형성장치(100) 내의 저장매체 및 외부 저장 매체, 예를 들어, USB 메모리를 포함한 Removable Disk, 네트워크를 통한 웹서버(Web serv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구현시에 메모리(150)는 복수의 메모리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수행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 메모리와 CRUM 장치(미도시) 또는 토너 리필 장치(400)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제2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메모리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입력 장치(160)는 사용자로부터 기능 선택 및 해당 기능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기능은 인쇄 기능, 복사 기능, 스캔 기능, 팩스 전송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토너 카트리지(200)의 교체 없이도 토너를 리필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화상형성장치(100)는 토너 카트리지(200)의 토너량을 디스플레이(110)를 통하여 표시하는바,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토너량을 확인할 수 있으며, 토너의 리필이 필요한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을 설명함에 있어서, 화상형성장치(100)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만을 갖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 화상형성장치(100)는 도 1의 도시된 디스플레이 이외에 추가적인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4는 도 2의 인쇄 엔진의 구체적인 구성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인쇄 엔진(120)은 감광 드럼(121), 대전기(122), 노광기(123), 현상기(200), 전사기(125) 및 정착기(128)를 구비할 수 있다.
감광 드럼(121)에는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감광 드럼(121)은 그 형태에 따라서 감광 드럼, 감광벨트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대전기(122)는 감광 드럼(121)의 표면을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킨다. 대전기(122)는 코로나 대전기, 대전 롤러, 대전 브러쉬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노광기(123)는 인쇄할 화상 정보에 따라 감광 드럼(121)의 표면 전위를 변화시킴으로써 감광 드럼(121)의 표면에 정전 잠상을 형성시킨다.
현상기(200)는 그 내부에 현상제를 수용하며,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정전 잠상을 가시적인 화상으로 현상시킨다. 현상기(200)는 현상제를 정전 잠상으로 공급하는 현상 롤러(127)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기(200)를 교체 가능하게 구현한 것을 토너 카트리지라고 지칭한다. 토너 카트리지(200)의 구체적인 형태 및 구성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감광 드럼(121)에 형성된 가시적인 화상은 전사기(125) 또는 중간 전사 벨트(미도시)에 의하여 기록매체(P)로 전사된다.
정착기(128)는 기록 매체(P) 상의 가시적인 화상에 열 및/또는 압력을 가하여 가시적인 화상을 기록매체(P)에 정착시킨다.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에 의하여 인쇄작업이 완료된다.
상술한 현상제는 화상형성작업이 진행될 때마다 사용되어, 일정 횟수 이상 사용되면 고갈된다. 그러나 토너 카트리지에는 다양한 부품을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토너 카트리지의 교체 없이 토너를 리필하는 방법에 요구되었다. 이에 따른 토너 리필이 가능한 토너 카트리지 및 토너 카트리지에 토너를 리필하는 장치에 대해서 도 5 및 도 6을 참고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5는 도 2의 토너 카트리지의 형태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토너 카트리지(200)는 토너를 포함한다. 토너 카트리지(200)는 화상형성장치(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제1 단자들(210), 토너 리필 장치(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제2 단자들(220), 토너를 리필 받기 위한 구멍(2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자들(210)은 토너 카트리지(200)가 화상형성장치(100)에 장착되었을 때, 화상형성장치(100)의 내부의 단자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단자들(210)은 화상형성장치(100)와 토너 카트리지(200)의 통신을 위한 신호뿐만 아니라, 토너 카트리지(200)에 부착된 CRUM 장치(미도시) 또는 토너 리필 장치(400)와 통신하기 위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2 단자들(220)은 토너 리필 장치(400)가 리필을 위하여 구멍에 연결되었을 때, 토너 리필 장치(400)의 단자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단자들은 화상형성장치(100)와 토너 리필 장치(400) 간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구멍(230)은 토너 리필 장치(400)로부터 토너를 제공받기 위한 구멍이다. 이러한 구멍(230)의 상부 또는 홀의 중간 위치에는 구멍을 전기적으로 개폐하는 락킹 부재(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락킹 부재(미도시)는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구멍을 개폐하는 장치로, 솔레노이드 등과 같은 장치로 구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토너 카트리지(200)는 토너 리필 장치(400)의 사용이 확인된 경우에만 토너 리필 장치(400)의 토너를 선택적으로 주입받을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토너 리필 장치의 형태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토너 리필 장치(400)는 토너를 담을 수 있는 병 형태를 가지며, 토너 카트리지(200)의 구멍에 토너를 주입할 수 있는 배출구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토너 리필 장치(400)의 일 측면에는 투명창(410)을 가지며, 투명창(410)을 통하여 사용자는 토너 리필 장치(400)에 채워진 토너량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투명창(410)은 디스플레이(110)의 형태와 비슷하게 3개의 투명창(411 413, 415)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투명창(411, 413, 415)은 일렬로 배치되고 동일한 폭과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6에서는 토너 리필 장치(400)의 일 측면에만 투명창(410)이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구현시에 토너 리필 장치(400)에는 복수의 측면 각각에 투명창이 배치될 수도 있다.
도 7은 도 1의 디스플레이의 구체적인 구성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110)는 복수의 점등 영역(117)과 백그라운드 영역(119)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점등 영역(117)은 일렬로 배치되며, 토너 카트리지(200)의 토너량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점등 영역(117)은 제1 점등 영역(111), 제2 점등 영역(113), 제3 점등 영역(11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점등 영역(111)은 토너 카트리지(200)의 토너량이 0~20% 범위인 경우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제1 점등 영역(111)은 토너 카트리지의 토너량이 20~50% 범위인 경우에도 제2 점등 영역(113)과 함께 점등될 수 있으며, 토너 카트리지의 토너량이 50~100% 범위인 경우에도 제2 점등 영역(113)과 제3 점등 영역(115)과 함께 점등될 수 있다.
제2 점등 영역(113)은 토너 카트리지(200)의 토너량이 20%~50% 범위인 경우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제2 점등 영역(113)은 토너 카트리지의 토너량이 50~100% 범위인 경우에도 제3 점등 영역(115)과 함께 점등될 수 있다.
제3 점등 영역(115)은 토너 카트리지(200)의 토너량이 50~100% 범위인 경우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백그라운드 영역(119)은 복수의 점등 영역(117)과 동일한 색으로 발광되는 영역으고, 토너 카트리지(200)의 토너량이 기설정된 값 이하(예를 들어, 10%)인 경우에는 기설정된 시간 단위로 점멸되어 토너 리필이 필요함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1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본체(1)의 색에 따라 다른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100)의 본체(1)의 색이 화이트 계열인 경우, 디스플레이(110)는 반사형 LCD로 구현될 수 있다. 반사형 LCD로 디스플레이(110)가 구현되는 경우의 디스플레이(110)의 표시 동작에 대해서는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리고 화상형성장치(100)의 본체(1)의 색이 블랙 계열인 경우, 디스플레이(110)는 OLED로 구현될 수 있다. OLED로 디스플레이(110)가 구현되는 경우의 디스플레이(110)의 표시 동작에 대해서는 도 9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110)는 4개의 영역으로 구분되는바, 프로세서(130)는 2비트의 제어 신호, 즉 4개의 상태 정보만을 이용하여 3개의 점등 영역(111, 113, 115)와 백그라운드 영역(119)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7을 도시하고 설명함에 있어서, 복수의 점등 영역이 3개로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 복수의 점등 영역은 4개 이상(예를 들어, 7개)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도 8은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의 색상이 화이트 계열인 경우의 디스플레이의 표시 동작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체(1)의 색상이 화이트 계열인 경우, 디스플레이(110)는 반사형 LCD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반사형 LCD는 대략 40%의 반사율을 가지며, 전원 오프 시에 밝은 회색의 배경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110)의 복수의 점등 영역 및 백그라운드 영역은 모두 밝은 회색(810)을 갖게 된다.
그리고 화상형성장치(100)가 턴-온된 상태에서, 그리고, Black 카트리지의 토너량을 표시하는 경우, Black 카트리지의 토너량에 대응되는 점등 영역과 백그라운드 영역은 Black 색(820)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Cyan 카트리지의 토너량을 표시하는 경우, Cyan 카트리지의 토너량에 대응되는 점등 영역과 백그라운드 영역은 Cyan 색(830)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Magenta 카트리지의 토너량을 표시하는 경우, Magenta 카트리지의 토너량에 대응되는 점등 영역과 백그라운드 영역은 Magenta 색(840)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Yellow 카트리지의 토너량을 표시하는 경우, Yellow 카트리지의 토너량에 대응되는 점등 영역과 백그라운드 영역은 Yellow 색(850)을 가질 수 있다.
도 9는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의 색상이 블랙 계열인 경우의 디스플레이의 표시 동작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체(1)의 색상이 블랙 계열인 경우, 디스플레이(110)는 OLED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OLED는 전원 오프 시에 검은색을 갖는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110)의 복수의 점등 영역 및 백그라운드 영역은 모두 검은색(910)을 갖게 된다.
그리고 화상형성장치(100)가 턴-온된 상태에서, 그리고, Black 카트리지의 토너량을 표시하는 경우, Black 카트리지의 토너량에 대응되는 점등 영역과 백그라운드 영역은 Black 색(920)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점등되지 않는 점등 영역에 대해서만 흰색 발광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Cyan 카트리지의 토너량을 표시하는 경우, Cyan 카트리지의 토너량에 대응되는 점등 영역과 백그라운드 영역은 Cyan 색(930)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Magenta 카트리지의 토너량을 표시하는 경우, Magenta 카트리지의 토너량에 대응되는 점등 영역과 백그라운드 영역은 Magenta 색(940)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Yellow 카트리지의 토너량을 표시하는 경우, Yellow 카트리지의 토너량에 대응되는 점등 영역과 백그라운드 영역은 Yellow 색(950)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110)가 OLED로 구현되기 때문에 화상형성장치(100)가 턴-오프된 상태에서도 디스플레이(110)는 검은색을 가질 수 있으며, 검은색 계열의 본체와 일체감을 가질 수 있다.
도 10은 토너 리필이 필요한 경우의 디스플레이의 동작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Black 색의 토너 카트리지의 토너량이 10% 정도여서 토너 리필이 필요한 경우이고, 도 8과 같이 반사형 LCD로 디스플레이(110)를 구현한 경우를 가정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Black 토너 카트리지의 토너량이 10%인바, 복수의 점멸 영역 중 제1 영역만 점등이 된다. 그리고 백그라운드 영역 역시 블랙을 가질 수 있으며, 기설정된 시간 간격(예를 들어, 0.5초)으로 검은색(1010)과 흰색(1020)이 교번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백그라운드 영역이 기설정된 시간 간격 단위로 검은색으로 점멸되는바, 사용자는 Black 토너 카트리지에 이상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함께 표시되는 점등 영역의 정보를 통하여 Black 토너 카트리지의 토너량이 적어 리필이 필요한 상태임을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토너 리필이 필요한 경우에 백그라운드 영역만을 점멸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토너량을 표시하는 점등 영역을 점멸하거나, 해당 점등 영역과 백그라운드 영역을 동시에 또는 상호 반대로 점멸하는 형태로 리필이 필요한 상태임을 표시할 수도 있다.
도 11은 토너 리필 과정에서의 표시 동작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Black 색의 토너 카트리지의 토너량이 10%인바, 디스플레이(110)는 제1 영역과 백그라운드 영역만 검은색으로 점등될 수 있다(1110). 이후에 Black 토너 카트리지에 토너가 리필되어 Black 토너 카트리지의 토너량이 20%를 넘는 경우, 복수의 점등 영역 중 제2 점등 영역이 점멸될 수 있다(1120, 1130, 1140).
이후에 Black 토너 카트리지의 토너량이 50%를 넘는 경우, 제2 점등 영역은 점등 상태를 유지하고, 제3 점등 영역이 추가적으로 점멸될 수 있다(1150, 1160, 1170).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토너 리필 과정에서 사용자는 토너 카트리지에 토너가 어느정도 리필되고 있는 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토너량 표시 방법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토너 카트리지의 토너량을 확인한다(S1210).
그리고 확인된 토너량을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표시한다(S1220). 구체적으로, 일렬로 배치되는 복수의 점등 영역 및 복수의 점등 영역 주변에 배치되는 백그라운드 영역을 갖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복수의 점등 영역 중 확인된 토너량에 대응되는 점등 영역을 발광하여 확인된 토너량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화상형성장치(100)에 복수의 카트리지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상술한 순차적으로 복수의 카트리지 각각의 토너량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는 현재 표시하는 카트리지의 색에 대응되는 색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현재 표시하는 토너량이 어떠한 토너 카트리지의 정보인지를 알 수 있게 할 수 있다.
한편, 확인된 토너량이 기설정된 값 이하이면, 백그라운드 영역을 기설정된 시간 단위로 점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토너량 표시 방법은 토너 카트리지(200)의 교체 없이도 토너를 리필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토너량 표시 방법은 토너 카트리지(200)의 토너량을 디스플레이(110)를 통하여 표시하는바,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토너량을 확인할 수 있으며, 토너의 리필이 필요한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화상형성장치 110: 디스플레이
120: 인쇄 엔진 130: 프로세서
140: 통신 장치 150: 메모리
160: 입력 장치 200: 토너 카트리지
400: 토너 리필 장치

Claims (15)

  1.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토너 카트리지에 채워진 토너를 이용하여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 인쇄 엔진;
    일렬로 배치되는 복수의 점등 영역 및 상기 복수의 점등 영역 주변에 배치되는 백그라운드 영역을 갖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토너 카트리지의 토너량을 확인하고, 복수의 점등 영역 중 상기 확인된 토너량에 대응되는 점등 영역이 발광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확인된 토너 카트리지의 토너량이 기설정된 값 이하이면 상기 백그라운드 영역이 기설정된 시간 단위로 점멸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토너 카트리지의 토너 리필 중에 상기 복수의 점등 영역 중 상기 토너 카트리지의 토너량 증가 구간에 대응되는 점등 영역이 기설정된 시간 단위로 점멸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발광되는 점등 영역이 상기 토너 카트리지의 토너 색상에 대응되는 색을 발광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백그라운드 영역이 상기 발광되는 점등 영역과 동일한 색으로 발광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점등 영역은, 3개의 점등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2비트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3개의 점등 영역 및 상기 백그라운드 영역을 제어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엔진은,
    서로 다른 토너 색상의 복수의 토너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토너 카트리지의 토너량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복수의 점등 영역 중 하나의 토너 카트리지의 토너량에 대응되는 점등 영역과 상기 백그라운드 영역이 상기 하나의 토너 카트리지의 토너 색상에 대응되는 색을 발광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반사형 LCD 또는 OLED인 화상형성장치.
  10. 토너 카트리지를 갖는 화상형성장치에서의 토너량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토너 카트리지의 토너량을 확인하는 단계; 및
    일렬로 배치되는 복수의 점등 영역 및 상기 복수의 점등 영역 주변에 배치되는 백그라운드 영역을 갖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점등 영역 중 상기 확인된 토너량에 대응되는 점등 영역을 발광하여 상기 확인된 토너량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토너량 표시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된 토너 카트리지의 토너량이 기설정된 값 이하이면 상기 백그라운드 영역을 기설정된 시간 단위로 점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토너량 표시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량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토너 카트리지의 토너 리필 중에 상기 복수의 점등 영역 중 상기 토너 카트리지의 토너량 증가 구간에 대응되는 점등 영역을 기설정된 시간 단위로 점멸하는 토너량 표시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량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확인된 토너량에 대응되는 점등 영역을 상기 토너 카트리지의 토너 색상에 대응되는 색으로 발광하는 토너량 표시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서로 다른 토너 색상의 복수의 토너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토너량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토너 카트리지의 토너량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토너량 표시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량을 표시하는 단계는,
    복수의 점등 영역 중 하나의 토너 카트리지의 토너량에 대응되는 점등 영역과 상기 백그라운드 영역을 상기 하나의 토너 카트리지의 토너 색상에 대응되는 색으로 발광하는 토너량 표시 방법.
KR1020180093746A 2018-08-10 2018-08-10 화상형성장치의 토너량 표시 KR2020001803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746A KR20200018030A (ko) 2018-08-10 2018-08-10 화상형성장치의 토너량 표시
PCT/KR2018/015834 WO2020032330A1 (en) 2018-08-10 2018-12-13 Toner amount display of image form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746A KR20200018030A (ko) 2018-08-10 2018-08-10 화상형성장치의 토너량 표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8030A true KR20200018030A (ko) 2020-02-19

Family

ID=69414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3746A KR20200018030A (ko) 2018-08-10 2018-08-10 화상형성장치의 토너량 표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00018030A (ko)
WO (1) WO2020032330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5786A (ja) * 2000-01-07 2001-09-21 Canon Inc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5338386A (ja) * 2004-05-26 2005-12-08 Canon Inc カラー画像形成装置、補給指示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595515B2 (ja) * 2004-12-10 2010-12-0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
JP2007271884A (ja) * 2006-03-31 2007-10-18 Sharp Corp トナー補給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US7826760B2 (en) * 2008-01-18 2010-11-02 Xerox Corporation Document processing system with configurable graphic display of print consumable lev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32330A1 (en) 2020-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180699B (zh) 耗材芯片、图像形成装置、图像形成控制方法及耗材
US8548342B2 (en) Customer replaceable unit monitor (CRUM) unit, replaceable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omprising the CRUM unit, and unit driving method thereof
US20230273545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CN115298619A (zh) 图像形成装置、控制方法以及盒
CN103135391A (zh) 电子装置和图像形成装置
US1187506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performing printing permission process to permit printing
US1193471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onfigured to transmit print information to external device when consumable attached thereto is special consumable and when printing is performed
KR102404582B1 (ko) 토너 리필 과정에서의 에러 처리 방법
KR20200018030A (ko) 화상형성장치의 토너량 표시
KR20200004613A (ko) 화상형성장치의 토너 리필 제어
KR101172400B1 (ko) 화상형성장치의 소모품 정보 초기화방법 및 그화상형성장치와, 호스트 장치
KR20200004630A (ko) 재사용 가능한 리필 장치를 이용한 토너 리필 제어
JP2017058436A (ja) 画像形成装置、消耗品の管理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168125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rewriting usage status information to information indicating that cartridge is old cartridge
JP2011232498A (ja) 画像形成装置
US11301871B2 (en) CRUM apparatus to extract power from clock signal having first and second periods
US8995852B2 (en) Image forming device determining whether or not replacement of cartridge is needed
EP3077900B1 (en) Network printer system
US1018552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that controls power supply based on result detected by human sensor
EP4286955A1 (en) Image forming device, initialization method, and control method
JP2022117334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5678465B2 (ja) 画像形成装置
CN116745704A (zh) 图像形成装置、初始化方法以及控制方法
JP2024031575A (ja) ユーザが消耗品交換で装置のカバーを開ける際の音制御方法
JP2006113461A (ja) 電子機器、消耗品残量表示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