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7849A - 폭조정식 거푸집 지그와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거푸집 및 이의 설치와 해체 방법 - Google Patents

폭조정식 거푸집 지그와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거푸집 및 이의 설치와 해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7849A
KR20200017849A KR1020180093295A KR20180093295A KR20200017849A KR 20200017849 A KR20200017849 A KR 20200017849A KR 1020180093295 A KR1020180093295 A KR 1020180093295A KR 20180093295 A KR20180093295 A KR 20180093295A KR 20200017849 A KR20200017849 A KR 202000178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width
lift
jig
hinge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3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8890B1 (ko
Inventor
이범수
Original Assignee
서보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보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보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3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8890B1/ko
Publication of KR20200017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7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8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88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adjustable in heigh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8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which are collapsible, foldable, or able to be rolled up
    • E04G9/083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which are collapsible, foldable, or able to be rolled up which are fold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E04G2001/242Scaffolds movable on wheels or tracks

Abstract

본 발명은 폭조정식 거푸집 지그 및 거푸집의 설치와 해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협소한 작업공간에서 지장물의 간섭을 받지 않고 거푸집을 운반하고 설치와 해체를 용이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폭조정식 거푸집 지그는, 거푸집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거푸집의 회전을 안내하는 힌지수단(30)과; 상기 거푸집과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리프트(10)와; 상기 리프트를 상승 또는 하강시켜 상기 거푸집이 상기 힌지수단을 통해 양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거푸집을 콘크리트의 타설 위치로 셋팅하거나 타설 위치의 거푸집을 기울여 폭을 줄이는 리프트 구동수단(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폭조정식 거푸집 지그와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거푸집 및 이의 설치와 해체 방법{Width adjust type Concrete mold Jig and System Form include this same and Set up and Removal of Concrete mold}
본 발명은 거푸집의 설치와 해체 및 운반을 위한 거푸집 지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거푸집의 폭을 줄여 지장물의 간섭없이 거푸집을 운반할 수 있는 폭조정식 거푸집 지그와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거푸집 및 이의 설치와 해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은 본 출원 내용과 관련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반드시 선행기술이 되는 것은 아니다.
건축물을 건축할 경우 층과 층을 구획하는 슬래브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사각형상의 거푸집을 다수개 연결하여 보와 플로우가 형성되도록 틀을 형성하고, 틀을 완성한 후에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키며, 콘트리트가 양생된 후에는 다수의 거푸집을 해체하게 되고, 이 해체된 거푸집을 수작업으로 상부층으로 운반하여 다시 전체적인 틀을 형성하여 콘트리트를 타설하게 된다. 즉, 층과 층 사이를 구축하는 방법은 거푸집을 바닥으로부터 일정높이(건축물의 설계에 의해 결정된 높이)로 배치한 후 다수의 서포터들을 상기 거푸집과 바닥 사이에 세워 상기 거푸집을 지지하고, 이와 같은 방법으로 다수의 거푸집을 수평으로 연결하여 상층 바닥의 틀을 구성한 후, 상기 거푸집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거푸집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 기술은 거푸집의 부피가 큰데 반해 작업 공간에 각종 지장물이 방치된 점을 고려할 때 거푸집의 운반이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다시 말하면, 거푸집은 판의 형태이며 타설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운반할 때 횡방향으로 넓은 운반 공간을 필요로 하지만 작업 현장은 여건 상 넓은 공간의 확보가 어려워 거푸집을 운반하는 작업이 매우 번거릅고 이 작업에는 지장물을 다른 곳으로 운반하는 작업도 수반하는 문제점이 있고, 거푸집의 운반 시 작업자가 거푸집과 충돌하여 다치게 되는 안정상의 문제점도 있다.
특허문헌(등록특허 제10-0747645호, 소멸)은 제1거푸집널과 상기 제1거푸집널 테두리를 둘러싸는 제1프레임바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제1거푸집패널; 제2거푸집널과 상기 제2거푸집널 테두리를 둘러싸는 제2프레임바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거푸집널이 제1거푸집패널의 제1거푸집널과 동일면을 이루면서 상기 제2프레임바가 제1거푸집패널의 제1프레임바와 맞닿도록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거푸집패널; 및, 서로 맞닿도록 배치된 제1거푸집패널의 제1프레임바와 제2거푸집패널의 제2프레임바를 상호 연결하면서 장착되는 힌지;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힌지에 의해 제1거푸집패널과 제2거푸집패널이 서로 접히거나 펼쳐지며, 상기 제1거푸집패널과 제2거푸집패널이 서로 접히는 경우 접히어 겹쳐지는 부분의 제1거푸집패널의 제1프레임바와 제2거푸집패널의 제2프레임바에는 결속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결속수단의 결속으로 제1거푸집패널과 제2거푸집패널이 접힌 상태로 유지되는 접이형 거푸집패널이며, 제2거푸집패널을 접어 부피를 줄일 수 있지만 기존 거푸집을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제1,2거푸집패널들의 사이를 통해 콘크리트 타설면이 고르지 못하게 되므로 구조물의 품질도 떨어뜨리는 문제점도 있으며 제1,2거푸집패널을 각각 제작하고 힌지로 연결하는 데 따른 제조상의 불편함도 있다.
등록특허 제10-1073513호 등록특허 제10-0747645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거푸집의 구조 변경없이 거푸집의 좌우 부피를 줄여 지장물의 간섭을 받지 않고 거푸집을 용이하게 운반하고 거푸집의 설치와 해체 작업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폭조정식 거푸집 지그 및 거푸집의 설치와 해체 방법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폭조정식 거푸집 지그는, 거푸집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거푸집의 회전을 안내하는 힌지수단과; 상기 거푸집과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리프트와; 상기 리프트를 상승 또는 하강시켜 상기 거푸집이 상기 힌지수단을 통해 양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거푸집을 콘크리트의 타설 위치로 셋팅하거나 타설 위치의 거푸집을 기울여 폭을 줄이는 리프트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폭조정식 거푸집 지그는, 거푸집과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리프트와; 상기 리프트를 통해 상기 거푸집을 콘크리트의 타설 위치로 셋팅하거나 타설 위치의 거푸집을 기울여 폭을 줄이는 리프트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폭조정식 거푸집 지그는, 거푸집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거푸집의 회전을 안내하는 힌지수단과; 상기 힌지수단으로부터 떨어진 곳에서 상기 거푸집을 저부에서 받쳐 지지하는 높이조정형 서포트를 상승 또는 하강시켜 상기 거푸집을 상기 힌지수단의 안내를 받아 회전시킴으로써 콘크리트의 타설 위치로 셋팅하거나 타설 위치의 거푸집을 기울여 폭을 줄이는 리프트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폭조정식 거푸집 지그는, 거푸집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거푸집의 회전을 안내하는 힌지수단과; 상기 힌지수단으로부터 떨어진 곳에서 상기 거푸집을 저부에서 받쳐 지지하며 높이 조정을 통해 상기 거푸집이 상기 힌지수단의 안내를 받아 양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상기 거푸집을 콘크리트의 타설 위치로 셋팅하거나 타설 위치의 거푸집을 기울여 폭을 줄이는 높이조정형 서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폭조정식 거푸집 지그와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거푸집 및 이의 설치와 해체 방법에 의하면, 거푸집의 일측을 기울이는 것을 통해 거푸집의 부피를 줄여 지장물의 간섭을 받지 않고 거푸집을 운반할 수 있으며, 거푸집의 구조 변경이 없어 깨끗한 콘크리트 타설면으로 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고 지그의 설치와 리프팅 작업만으로 적용이 가능하여 시공성이 매우 우수한 효과와 함께 거푸집의 운반 시 작업자가 거푸집에 충돌하여 다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정성도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거푸집의 힌지 연결 구조와 리프트 구성을 통해 거푸집의 각도를 자유롭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여 다양한 각도의 슬래브와 보를 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폭조정식 거푸집 지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폭조정식 거푸집 지그가 서포트에 조립된 예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폭조정식 거푸집 지그에 의해 거푸집을 타설 위치에 셋팅한 것을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폭조정식 거푸집 지그에 의해 거푸집이 접힌 예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폭조정식 거푸집 지그에 적용된 리프트의 다른 설치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폭조정식 거푸집 지그에 이동 캐스터가 적용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거푸집의 설치와 해체 방법을 보인 공정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폭조정식 거푸집 지그의 다른 예로서, 서포트를 리프트로 이용하는 예를 보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폭조정식 거푸집 지그에 안전장치가 적용된 예를 보인 도면.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폭조정식 거푸집 지그(100)는, 거푸집(1)(바람직하게, 천정의 위치에 설치되는 거푸집이며, 엘리베이터 코어, 슬래브, 보 등의 거푸집이 있다)과 연결되는 리프트(10), 리프트(20)를 구동시켜 리프트(20)에 의해 거푸집(1)을 타설 위치에 셋팅하거나 타설 위치보다 좁은 폭으로 줄이는 리프트 구동수단(20)으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 거푸집(1)의 일측을 제1열의 서포트(2)로 지지하는 상태에서 타측을 올려 타설 위치에 셋팅하고 이 상태에서 타측을 아래로 내려 기울어지게 함으로써 폭을 줄이는 것이며 거푸집(1)의 안정적인 동작을 위하여 힌지수단(30)이 적용된다.
본 발명에서 제1열의 서포트(2)는 거푸집(1)이 기울어진 상태를 기준으로 할 때 상대적으로 높은 곳을 지지하는 것이고, 제2열의 서포트(3)는 상대적으로 낮은 곳을 지지하는 것이다.
리프트(10)는 제1열의 서포트(2)(또는 지면도 가능)에 고정되어 제1열의 서포트(2)를 지지기반으로 하며 제2열의 서포트(3)를 거푸집(1)으로부터 이격시켜 서포트(3)가 아래로 회전할 수 있는 여유 공간을 확보한 상태에서 거푸집(1)이 기울어지도록 하며, 바람직하게, 자신의 신장을 통해 거푸집(1)을 타설 위치로 올리고 수축을 통해 거푸집(1)을 기울어지게 한다.
리프트(10)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고정부(11)와 신축부(12)로 구성된다.
고정부(11)는 제1열의 서포트(2)에 고정되며, 영구 고정도 가능하지만 취급과 재사용 등을 위하여 분리형이 바람직하다.
분리형의 고정부(11)는 예를 들어 클램프(13)를 포함한다.
클램프(13)는 제1열의 서포트(2)에 결합 및 분리되는 모든 방식이 가능하며, 도면에는 원형의 클램프로 도시되었다.
신축부(12)는 고정부(11)에 신축 가능하게 연결되며 고정부(11)로부터 먼 쪽으로 이동하여 길이가 길어지고(신장) 반대로 고정부(11)쪽으로 이동하여 길이가 짧아진다(수축). 즉, 신축부(12)는 신장을 통해 거푸집(1)을 타설 위치로 셋팅하고 수축을 통해 해체(운반) 위치로 셋팅한다.
신축부(12)는 상단부가 힌지수단(30)의 반대쪽에서 거푸집(1)의 저부를 받쳐 지지하며, 이 상단부는 거푸집(1)의 저면에 닿는 것만으로도 가능하고 또는 거푸집(1)에 축핀을 통해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축핀의 연결을 위하여 거푸집(1)에는 1단 이상의 구멍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고정부(11)와 신축부(12)는 신축부(12)의 안정적인 신축이 가능한 다양한 구조(관형, 판형 등)가 가능하지만, 모든 방향에 대해 지지가 가능한 관형이 바람직하고, 고정부(11)가 신축부(12)보다 큰 내경으로 이루어져 신축부(12)가 고정부(11) 안에 인출(신장) 및 삽입(수축)된다.
거푸집(1)의 저면을 넓은 면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신축부(12)에는 신축부(12)보다 큰 면적의 지지부재(40)가 결합될 수 있다.
지지부(40)는 바람직하게 거푸집(1)과 마찰을 줄이기 위한 원형의 외주면으로 이루어진다. 1개의 거푸집(1)에 2개의 폭조정식 거푸집 지그(100)가 적용되는 경우 지지부재(40)는 서로 떨어져 있는 신축부(12)들에 함께 결합되어 거푸집(1)을 비틀림없이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지지부재(40)는 신축부(12)에 형성되는 원형 클램프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폭조정식 거푸집 지그(100)는 1개의 거푸집(1)에 1개만 설치{거푸집(1)의 무게 중심)될 수 있고, 도 2에서 보이는 것처럼, 2개가 거푸집(1)의 양쪽에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1개의 거푸집(1)에 2개 이상의 폭조정식 거푸집 지그(100)가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리프트(10){리프트 구동수단(20) 포함)와 힌지수단(30)은 서로 동일한 수량으로 설치될 수 있고, 또는 1개의 힌지수단(30)을 사용하면서 힌지수단(30)으로부터 서로 동일한 거리에 2개의 리프트(10)를 설치하는 방법으로 힌지수단(30)과 리프트(10)의 수량을 다르게 사용할 수도 있다.
리프트 구동수단(20)은 신축부(12)을 신축시키는 것이며, 도면에는 와이어 윈치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와이어 윈치형의 리프트 구동수단(20)은 고정부(11)에 고정(영구 고정, 탈착 모두 가능)되며, 와이어(21)가 고정부(11) 안으로 삽입 배선된 후 신축부(12)의 바람직하게 하단부에 고정되어 신축부(12)를 감김에 의해 신장시키는 한편 풀림에 의해 수축시키며, 물론, 신축 시 감김과 풀림은 반대일 수도 있다.
리프트 구동수단(20)에 의해 거푸집(1)이 타설 위치(도 3)에 셋팅되고, 해체 위치(도 4)에 셋팅되며, 이 작용은 하기의 방법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리프트 구동수단(20)이 와이어 윈치인 경우 고정부(11)에 와이어(21)의 배선을 위한 가이드(14)가 구성된다.
지금까지 리프트(10)가 제1,2열 서포트(2,3)의 사이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리프트(10)의 고정부(11)는 제1열 서포트(2)에 고정되고 신축부(12)는 제2열 서포트(3)에 근접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도 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힌지수단(30)은 제1열 서포트(2)측에 설치되며 폭조정식 거푸집 지그(100)는 제2열 서포트(3)에 제2열 서포트(3)와 동일한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리프트 구동수단(20)은 신축부(12)를 신축시킬 수 있는 유체(작동유, 공기)의 실린더식, 모터와 래크 피니언의 전동식 등 다양한 방식이 가능하고, 또는, 작업자가 신축부(11)를 수작업으로 올린 후 핀 등으로 고정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리프트(10)가 거푸집(1)을 타설 위치에 셋팅하는 기능만 하고 콘크리트 타설 압력에 대한 버팀 기능을 하지 않는다면 리프트 구동수단(20)은 신축부(12)만 일시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고정 기능만 갖는다.
힌지수단(30)은 거푸집(1)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본 발명은 힌지수단(30)과 신축부(12)가 서로 이격되어 신축부(12)의 수축 시 반대쪽의 힌지수단(30)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거푸집(1)이 회전하여 폭을 줄이는 것이므로 힌지수단(30)은 신축부(12)의 단부와 적정한 거리를 두고 설치된다.
예를 들어, 힌지수단(30)은 제1열 서포트(2)에 고정되는 고정브래킷(31), 고정브래킷(31)에 형성되며 거푸집(1)에 힌지 연결되는 힌지부로 구성된다.
고정브래킷(31)은 판형, 관형 등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고 제1열 서포트(2)에 연결(핀, 볼트와 너트, 용접 등)된다.
상기 힌지부는 고정브래킷(31) 위에 세워지는 바람직하게 2개의 힌지브래킷(32), 힌지브래킷(32)에 각각 형성되는 힌지홀(33), 힌지홀(33)과 거푸집(1)의 저부에 결합되는 보강재로서 멍에에 체결되는 힌지체결구(34)(힌지볼트와 너트 등)로 구성된다.
힌지브래킷(32)은 도 3에서 보이는 것처럼, 멍에의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힌지수단은 상기의 구성으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힌지브래킷(32)에 형성되며 상기 멍에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힌지축으로도 가능하다.
힌지수단(30)은 위치에 따라 거푸집(1)의 회전궤적이 달라지며,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4처럼 거푸집(1)의 단부로부터 안쪽으로 이격된 곳에 위치하면 도 4 기준으로 힌지수단(30)을 기준으로 하여 거푸집(1)의 우측 부분이 상부의 콘크리트 구조물(4)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거푸집(1)의 좌측 부분이 하부로 회전하고, 거푸집(1)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면 거푸집(1) 전체가 하부를 향해 회전하게 된다.
도 4의 경우 거푸집(1)의 회전을 위해서 거푸집(1)을 콘크리트 구조물(4)의 하부로 이격시켜 거푸집(1)의 우측 부분이 회전할 수 있는 여유 공간을 확보하여야 한다.
폭조정식 거푸집 지그(100)는 거푸집(1)의 설치 완료 후 서포트(2,3)에서 분리되어 다른 거푸집(1)의 설치를 위하여 사용되고, 콘크리트의 양생 후 다시 서포트(2,3)에 설치되어 거푸집(1)을 해체할 수 있고(분리 사용), 또는 거푸집(1)에서 분리되지 않고 거푸집(1)의 설치에서부터 해체까지 거푸집(1)에 고정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거푸집(1)의 운반을 위하여 리프트(10)의 고정부(11)에 이동 캐스터(50)(도 6)가 적용될 수 있다. 즉, 이동 캐스터(50)를 통해 거푸집(1)의 운반도 가능한 운반 장치의 기능도 하는 것이다. 이동 캐스터(50)는 거푸집(1)의 운반 시 조립되고 운반 후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폭조정식 거푸집 지그(100)의 단독 권리, 거푸집(1)과 제1,2열 서포트(2,3) 및 폭조정식 거푸집 지그(100)로 구성되는 시스템 거푸집의 권리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거푸집의 설치와 해체 방법은 다음과 같다(도 7 참고).
(S10) 거푸집 준비.
거푸집(1)을 콘크리트의 타설에 맞춰 준비하는 것은 거푸집(1)을 접은 상태(폭을 좁게 한 상태)와 펼친 상태(콘크리트의 타설 상태) 모두가 가능하며, 작업 공간이 여유로운 경우에는 거푸집(1)을 펼친 상태로 준비하여 운반하는 것이 가능하고, 작업 공간이 협소한 경우 거푸집(1)을 접은 상태로 준비하여 운반하며, 하기에서는 거푸집(1)을 접은 상태로 준비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거푸집(1)과 제1,2열 서포트(2,3) 및 폭조정식 거푸집 지그(100)를 조립하여 준비한다.
이 때, 도면에서 보이는 것처럼, 거푸집(1)은 폭을 줄이기 위하여 접힌 상태가 바람직하다. 거푸집(1)의 접힘은 리프트(10)의 신축부(12)를 고정부(11) 안에 삽입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거푸집(1)의 운반이 필요한 경우 리프트(10)에 이동 캐스터(50)를 설치하고 이동 캐스터(50)를 이용하여 쉽게 운반한다.
(S20) 거푸집 설치.
리프트 구동수단(20)을 조작하여 리프트(10)를 구동하고 리프트(10)의 구동에 의해 거푸집(1)을 타설 위치에 설치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와이어 윈치식 리프트 구동수단(20)의 핸들을 돌리면 와이어(21)가 드럼에 감기게 되고 와이어(21)의 감김에 의해 신축부(12)가 고정부(11)로부터 인출되며, 결과적으로 신축부(12)가 상승하여 거푸집(1)이 힌지수단(30)에 의해 도면 기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거푸집(1)은 콘크리트 타설면에 맞춰 예를 들어 지면과 평행한 타설 위치에 셋팅된다.
거푸집(1)을 회전시킨 후 거푸집(1)의 저부와 떨어진 제2열 서포트(3)를 상승시켜 거푸집(1)의 저부를 지지하도록 한다.
거푸집(1)의 높이 조정이 필요한 경우 제1,2열 서포트(2,3)의 높이 조정을 통해 거푸집(1)의 높이를 콘크리트 타설 높이로 조정한다.
도면은 보의 시공을 예로 도시한 것이며, 거푸집(1)은 수직부와 수평부로 이루어지고 여기에 수직부와 대향되는 곳에 측판을 조립하는 것을 통해 보의 거푸집으로 사용된다. 상기 측판은 별도의 작업을 통해 거푸집(1)과 조립된다.
(S30) 콘크리트 타설.
거푸집(1)은 제1,2열 서포트(2,3)의 지지를 받은 상태이며, 콘크리트를 거푸집(1) 안에 타설한다.
(S40) 거푸집 하강.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 상기 측판을 제거하고, 제1,2열 서포트(2,3)의 높이 조정을 통해 거푸집(1)을 하강시켜 콘크리트 구조물(4)와 떨어뜨린다. 이 작업은 거푸집(1)의 회전을 위한 여유 공간을 확보하는 작업이다.
여유 공간이 필요없는 경우 본 공정을 수행하지 않는다.
(S50) 거푸집 회전.
거푸집(1)이 회전할 수 있도록 제2열 서포트(3)를 거푸집(1)으로부터 떨어뜨리며, 이 때 거푸집(1)은 제1열 서포트(2)와 리프트(10)에 의해 지지된 상태이다.
리프트 구동수단(20)을 조작하여 리프트(10)의 신축부(12)를 수축시키며, 신축부(12)가 낮아지면서 거푸집(1)이 자중에 의해 힌지수단(30)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접히게 되고, 이 때, 와이어(21)는 풀리면서 신축부(12)가 수축되는 것을 간섭하지 않는다.
거푸집(1)을 제2열 서포트(3)에 지지될 때까지 회전(하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작업을 통해 접힌 상태의 거푸집(1)은 펼쳐질 때보다 폭이 좁은 상태이다.
따라서, 거푸집(1)의 폭이 좁아졌기 때문에 작업 공간에 지장물이 있어도 거푸집(1)을 운반한다.
지금까지는 제2열 서포트(3)와 별개의 리프트(10)를 사용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며, 도 7은 본 발명에 의해 변형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힌지수단(30)은 제1열 서포트(2)에 설치되고 따라서 힌지수단(30)으로부터 먼 곳 즉 도면 기준 거푸집(1)의 좌측을 회전시키는 것은 전술한 예와 동일하다.
전술한 실시예와 다르게, 제2열 서포트(3)의 고정관(3a)에 리프트 구동수단(20)을 설치하고 제2열 서포트(3)의 높이조정관(3b)을 리프트 구동수단(20)과 연결{예를 들어 와이어 윈치형 리프트 구동수단(20)의 경우 와이어(21)}하여 제2열 서포트(3)의 높이 조정을 통해 거푸집(1)을 양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제2열 서포트(3)는 통상의 높이조정형 서포트로서, 높이조정관(3b)에 다단의 높이조정 구멍이 형성되며 고정관(3a) 안에 삽입 및 인출되도록 연결 및 록킹핀의 끼움을 통해 높이를 조정하는 것이며, 여기에 리프트 구동수단(20)에 의한 리프팅 기능이 부가되는 것이다. 따라서, 작업자에 의한 높이조정관(3b)의 높이 조정 및 리프트 구동수단(20)에 의한 거푸집(1)의 리프팅은 서로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구성됨은 물론이다.
이상의 실시예를 볼 때 본 발명은 리프트(10)와 리프트 구동수단(30)없이 힌지수단(30)만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한 것이며, 물론, 제2열 서포트(3)의 높이 조정이 가능하여야 한다. 즉, 본 발명은 거푸집(1)의 일측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수단(30), 거푸집(2)의 타측을 저부에서 받쳐 지지하며 높이가 조정되는 높이조정형의 제2열 서포트(3)로 구성되는 실시예도 포함된다.
본 발명을 정리하면, 힌지수단(30)과 리프트(10) 및 리프트 구동수단(20)으로 구성되는 제1실시예, 힌지수단(30)과 리프트 구동수단(20) 및 자체 구조를 통해 높이 조정됨과 아울러 리프트 구동수단(20)에 의해 높이 조정되는 제2열 서포트(3)로 구성되는 제2실시예(리프트 없음), 힌지수단(30) 및 자체 구조를 통해 높이 조정되는 제2열 서포트(3)로 구성되는 제3실시예(리프트와 리프트 구동수단 없음), 리프트(10)와 리프트 구동수단(20)으로 구성되는 제4실시예(힌지수단 없음)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천정부에 설치되는 거푸집(슬래브, 보)에만 적용되지 아니하고 벽체나 기둥의 거푸집에도 적용 가능하고 이 때 벽체와 기둥의 거푸집을 상부 또는 하부를 종방향으로 기울여 높이를 축소하거나 좌측 또는 우측을 횡방향으로 기울여 좌우 폭을 축소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신축부(12)의 고정을 통해 임의로 하강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작업자를 보호하는 안전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도 9에서 보이는 것처럼, 리프트(10)의 고정부(11)에는 안전장치(60)가 적용된다.
바람직하게 안전장치(60)는 고정부(11)에 고정되며 신축부(12)에 형성된 홀(12a){신축부(12)에 다단의 홀(12a)이 형성됨}에 끼워져 신축부(12)를 고정하는 안전핀(61) 및 안전핀(61)을 일방향{홀(12a)에 끼워지는 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62)으로 구성된다.
안전핀(61)은 홀(12a)을 향하는 단부에 일방향의 경사부가 반대쪽에 더 넓은 면적의 스프링 지지부가 구비되어 신축부(12)의 상승을 간섭하지 않으면서 신축부(12)의 하강을 구속한다. 즉, 안전핀(61)은 스프링(62)의 탄성력에 의해 단부가 홀(12a)에 끼워지며 신축부(12)의 하강을 구속하며 인위적인 하강 시 안전핀(61)을 홀(12a)의 반대쪽으로 당겨 홀(12a)에서 빼낸 후 신축부(12)를 하강시킨다.
안전장치(60)는 안전핀(61)이 설치되며 고정부(11)에 고정되는 각관 형태의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안전장치(60)는 전술한 제1 내지 제4실시예 모두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1 : 거푸집, 2,3 : 서포트
4 : 콘크리트 구조물, 10 : 리프트
11 : 고정부, 12 : 신축부
13 : 클램프, 14 : 가이드
20 : 리프트 구동수단, 21 : 와이어
30 : 힌지수단, 40 : 지지부재
50 : 이동 캐스터, 60 : 안전장치
61 : 안전핀,

Claims (12)

  1. 거푸집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거푸집의 회전을 안내하는 힌지수단과;
    상기 거푸집과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리프트와;
    상기 리프트를 상승 또는 하강시켜 상기 거푸집이 상기 힌지수단을 통해 양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거푸집을 콘크리트의 타설 위치로 셋팅하거나 타설 위치의 거푸집을 기울여 폭을 줄이는 리프트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조정식 거푸집 지그.
  2. 거푸집과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리프트와;
    상기 리프트를 통해 상기 거푸집을 콘크리트의 타설 위치로 셋팅하거나 타설 위치의 거푸집을 기울여 폭을 줄이는 리프트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조정식 거푸집 지그.
  3. 거푸집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거푸집의 회전을 안내하는 힌지수단과;
    상기 힌지수단으로부터 떨어진 곳에서 상기 거푸집을 저부에서 받쳐 지지하는 높이조정형 서포트를 상승 또는 하강시켜 상기 거푸집을 상기 힌지수단의 안내를 받아 회전시킴으로써 콘크리트의 타설 위치로 셋팅하거나 타설 위치의 거푸집을 기울여 폭을 줄이는 리프트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조정식 거푸집 지그.
  4. 거푸집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거푸집의 회전을 안내하는 힌지수단과;
    상기 힌지수단으로부터 떨어진 곳에서 상기 거푸집을 저부에서 받쳐 지지하며 높이 조정을 통해 상기 거푸집이 상기 힌지수단의 안내를 받아 양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상기 거푸집을 콘크리트의 타설 위치로 셋팅하거나 타설 위치의 거푸집을 기울여 폭을 줄이는 높이조정형 서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조정식 거푸집 지그.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을 상기 서포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거푸집이 상기 힌지수단을 통해 기울어지면서 폭이 좁아지거나 콘크리트의 타설 위치로 셋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조정식 거푸집 지그.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는 상기 거푸집을 지지하는 서포트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신축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거푸집을 지지하는 신축부로 구성되는 신축형 리프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조정식 거푸집 지그.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구동수단은 상기 신축부를 신장 또는 수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조정식 거푸집 지그.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의 하강을 구속하는 안전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조정식 거푸집 지그.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의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거푸집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조정식 거푸집 지그.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에 형성되며 지면을 따라 구르는 이동 캐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조정식 거푸집 지그를 포함하는 시스템 거푸집.
  11. 거푸집과;
    상기 거푸집을 지지하는 2열 이상의 서포트와;
    상기 거푸집을 콘크리트의 타설 위치에 셋팅하거나 탈형 시 상기 거푸집의 기울임을 통해 폭을 줄이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의한 폭조정식 거푸집 지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조정식 거푸집 지그를 포함하는 시스템 거푸집.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폭조정식 거푸집 지그를 이용한 거푸집의 설치와 해체 방법으로서,
    거푸집을 기울여 폭을 줄인 상태로 준비하는 제1단계와;
    상기 거푸집을 회전시켜 콘크리트의 타설 위치에 설치하는 제2단계와;
    상기 거푸집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양생 후 상기 거푸집을 탈형 및 기울이는 것으로 폭을 줄여 해체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의 설치와 해체 방법.
KR1020180093295A 2018-08-09 2018-08-09 폭조정식 거푸집 지그와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거푸집 및 이의 설치와 해체 방법 KR1021988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295A KR102198890B1 (ko) 2018-08-09 2018-08-09 폭조정식 거푸집 지그와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거푸집 및 이의 설치와 해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295A KR102198890B1 (ko) 2018-08-09 2018-08-09 폭조정식 거푸집 지그와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거푸집 및 이의 설치와 해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7849A true KR20200017849A (ko) 2020-02-19
KR102198890B1 KR102198890B1 (ko) 2021-01-15

Family

ID=69669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3295A KR102198890B1 (ko) 2018-08-09 2018-08-09 폭조정식 거푸집 지그와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거푸집 및 이의 설치와 해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889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60186A (zh) * 2020-10-13 2021-02-12 广州华立科技职业学院 一种用于建筑的钢结构支撑固定桁架装置
CN113152869A (zh) * 2021-02-26 2021-07-23 舒朝辉 一种用于室外建筑和室内装饰的建筑平台
CN113152884A (zh) * 2021-03-06 2021-07-23 厦门泰睿坤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顶部斜渐变高支模结构及其施工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3838A (ko) * 1994-10-26 1996-05-22 문정환 자동차용 음향기기의 음량조절장치
KR100219039B1 (ko) * 1996-12-26 1999-09-01 정순착 벽체 슬라브 구축용 거푸집 및 그 시공방법
KR200238564Y1 (ko) * 2001-04-30 2001-10-12 (주)평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캔틸레버 구조용 거푸집
KR100747645B1 (ko) 2006-01-09 2007-08-08 주식회사 퍼스폼 접이형 거푸집패널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거푸집
KR20100059888A (ko) * 2007-08-22 2010-06-04 와실 로사티 콘크리트 표면으로부터의 콘크리트 거푸집 해체 수단
KR101073513B1 (ko) 2009-09-22 2011-10-17 금강공업 주식회사 슬라브 패널 및 그의 설치 시스템, 슬라브 패널의 조립 및 해체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3838A (ko) * 1994-10-26 1996-05-22 문정환 자동차용 음향기기의 음량조절장치
KR100219039B1 (ko) * 1996-12-26 1999-09-01 정순착 벽체 슬라브 구축용 거푸집 및 그 시공방법
KR200238564Y1 (ko) * 2001-04-30 2001-10-12 (주)평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캔틸레버 구조용 거푸집
KR100747645B1 (ko) 2006-01-09 2007-08-08 주식회사 퍼스폼 접이형 거푸집패널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거푸집
KR20100059888A (ko) * 2007-08-22 2010-06-04 와실 로사티 콘크리트 표면으로부터의 콘크리트 거푸집 해체 수단
KR101073513B1 (ko) 2009-09-22 2011-10-17 금강공업 주식회사 슬라브 패널 및 그의 설치 시스템, 슬라브 패널의 조립 및 해체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60186A (zh) * 2020-10-13 2021-02-12 广州华立科技职业学院 一种用于建筑的钢结构支撑固定桁架装置
CN113152869A (zh) * 2021-02-26 2021-07-23 舒朝辉 一种用于室外建筑和室内装饰的建筑平台
CN113152884A (zh) * 2021-03-06 2021-07-23 厦门泰睿坤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顶部斜渐变高支模结构及其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8890B1 (ko) 202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9177B1 (ko) 콘크리트 표면으로부터의 콘크리트 거푸집을 해체하기 위한 프레임체
KR102198890B1 (ko) 폭조정식 거푸집 지그와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거푸집 및 이의 설치와 해체 방법
KR101562665B1 (ko) 슬래브 거푸집의 시공과 탈형이 용이한 자가 승강식 서포트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 방법
JP2012511110A (ja) コンクリート表面からコンクリート型枠を取り外す手段
KR101559988B1 (ko) 조기 탈형이 가능한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 방법
KR102059552B1 (ko) 장대교량 주탑용 철근 선시공 작업대 및 이를 이용하는 시공방법
KR101723947B1 (ko) 자재 인양이 가능한 코아용 안전 케이지
JP6712501B2 (ja) 高層建物の解体システム及び解体方法
KR20190063320A (ko) 서포트 리프팅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서포트 설치와 해체 방법
JP3218314B2 (ja) 梁型枠装置
KR102197154B1 (ko) 유로폼 리프팅 장치
JP2829363B2 (ja) 柱構築用型枠装置
JP6059176B2 (ja) 仮設高架桟橋組立て用の移動昇降足場
KR102102440B1 (ko) 서포트를 이용한 잭서포트의 인양과 해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잭서포트의 설치와 해체 방법
KR100293687B1 (ko) 콘크리트 배송 장치 및 그 설치 방법
KR101557340B1 (ko) 아치형 터널 구조물 시공용 리프트카
JP2992882B2 (ja) 梁型枠装置
KR102577469B1 (ko) 잭 서포트 설치 장치
KR101413725B1 (ko) 보 거푸집용 지지장치
JPH07158255A (ja) 昇降式作業足場装置
KR102502713B1 (ko) 모듈형 외장재 설치용 거푸집 및 이를 갖는 차륜형 거푸집 작업장치 및 이를 사용한 모듈형 외장재 설치 공정
KR200378317Y1 (ko) 슬라브테이블거푸집
JP2004232214A (ja) 橋梁床版支持用型枠及びこれを使用した橋梁床版の施工方法
KR20010107166A (ko) 박스구조물 성형용 시스템폼
JPH09169495A (ja) 揚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