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7831A - 여울의 침식방지유닛과 이것을 이용한 어도 - Google Patents

여울의 침식방지유닛과 이것을 이용한 어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7831A
KR20200017831A KR1020180093243A KR20180093243A KR20200017831A KR 20200017831 A KR20200017831 A KR 20200017831A KR 1020180093243 A KR1020180093243 A KR 1020180093243A KR 20180093243 A KR20180093243 A KR 20180093243A KR 20200017831 A KR20200017831 A KR 202000178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river
prevention unit
pillar
cove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3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6254B1 (ko
Inventor
김희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운인더스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운인더스트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운인더스트리
Priority to KR1020180093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6254B1/ko
Publication of KR20200017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7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6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6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2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 E02B3/123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mainly consisting of stone, concrete or similar stony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의 만곡부에서 외안 부근의 유속 분산 효과를 나타내어 하천의 유속을 경감시키며, 세굴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여울의 침식방지유닛과 이것을 이용한 어도 및 어소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해 여울의 침식방지유닛은 하부는 하천의 강바닥에 매립되고, 상부는 하천의 수면에 대응하여 하천의 강바닥으로부터 돌출되는 기둥모듈; 및 일부는 하천의 강바닥에 매립되도록 상기 기둥모듈의 상부를 감싸 지지하는 커버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모듈에는, 상기 커버모듈의 내측에서 상기 기둥모듈이 지지되도록 상기 기둥모듈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지지돌부;가 포함된다.

Description

여울의 침식방지유닛과 이것을 이용한 어도 및 어소{EROSION CONTROL UNIT OF RIFFLE AND FISHWAY USING THIS}
본 발명은 여울의 침식방지유닛과 이것을 활용한 어소 및 어도로써,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둥모듈의 변형 또는 파손을 방지하고, 하천의 만곡부에서 외안 부근의 유속 분산 효과를 나타내어 하천의 유속을 경감시키며, 세굴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여울의 침식방지유닛과 이것을 이용한 어소 및 어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의 만곡부에서는 하천 흐름의 원심력에 의한 2차류와 유수의 집중, 발산 등에 의해 외안 부근의 강바닥이 세굴되고, 내안기슭 부근에서는 토사가 퇴적된다.
하천 만곡부의 외안 부근의 강바닥 세굴은 외안에 흐름의 집중과 유속의 증대에 따른 하안 침식의 원인이 된다. 이를 경감하기 위해 제방이나 하안에 주로 호안이나 밑다짐공법 등이 시공되어 왔으나, 시설물의 설치 전후를 비교하여 하도의 상황이 심하게 변화되고 있어, 기설 호안의 안전성의 저하 및 수제공의 효과 저감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확실한 역학 원리에 근거한 합리적이고 안전하며, 비용대비 효과가 뛰어난 방법에 의한 효율적인 정비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74098호 (발명의 명칭 : 하천의 만곡부의 침식방지대, 2006. 04. 27.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둥모듈의 변형 또는 파손을 방지하고, 하천의 만곡부에서 외안 부근의 유속 분산 효과를 나타내어 하천의 유속을 경감시키며, 세굴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여울의 침식방지유닛과 이것을 이용한 어도 및 어소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여울의 침식방지유닛은 하부는 하천의 강바닥에 매립되고, 상부는 하천의 수면에 대응하여 하천의 강바닥으로부터 돌출되는 기둥모듈; 및 일부는 하천의 강바닥에 매립되도록 상기 기둥모듈의 상부를 감싸 지지하는 커버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모듈에는, 상기 커버모듈의 내측에서 상기 기둥모듈이 지지되도록 상기 기둥모듈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지지돌부;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커버모듈에는, 상호 이격된 상태로 관통 형성되는 분산공;이 더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돌부는, 상기 커버모듈에서 일부 절개된 부분을 구부려서 형성하고, 상기 커버모듈에서 상기 지지돌부가 구부러짐에 따라 상기 분산공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기둥모듈의 매립깊이가 상기 기둥모듈 전체길이의 50~70%인 것; 및 상기 커버모듈의 매립깊이가 상기 커버모듈 전체길이의 20~40%인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어도 및 어소는 하천의 만곡부에서 외안을 따라 배열되는 다수의 여울의 침식방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여울의 침식방지유닛은, 본 발명에 따른 여울의 침식방지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어소 및 어도는 하천 만곡부의 내안과 마주보는 상기 여울의 침식방지유닛의 일측에 설치되는 세굴방지유닛;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세굴방지유닛은, 하천의 강바닥으로부터 상기 여울의 침식방지유닛의 상단을 향해 상향 경사를 이루도록 상기 여울의 침식방지유닛의 일측에 적층되는 다수의 세굴방지석;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세굴방지유닛은, 하천의 강바닥에서 기설정된 깊이만큼 매립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침식방지유닛을 이용한 어도 및 어소는 하부는 하천의 강바닥에 매립되고, 상부는 하천의 수면에 대응하여 하천의 강바닥으로부터 돌출되는 기둥모듈, 및 일부는 하천의 강바닥에 매립되도록 상기 기둥모듈의 상부를 감싸 지지하는 커버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모듈에는, 상기 커버모듈의 내측에서 상기 기둥모듈이 지지되도록 상기 기둥모듈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지지돌부, 및 상기 커버모듈의 외측에 원주방향으로 복수개가 설치되는 방사형 플레이트가 포함되는 침식방지유닛; 및 상기 침식방지유닛의 상기 방사형 플레이트에 올려져 고정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세굴방지석이 일정 공간의 네트에 고정되어 하나의 구조물을 이루는 스톤 네트;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어도 및 어소는 상기 침식방지유닛에 설치되는 상기 스톤 네트를 다단으로 적층하여 수중 구조물을 이루는 구조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여울의 침식방지유닛과 이것을 이용한 어소 및 어도에 따르면, 하천의 만곡부에서 외안 부근의 유속 분산 효과를 나타내어 하천의 유속을 경감시키며, 세굴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버모듈을 통해 기둥모듈이 물에 의해 갈라지거나 팽창될 때, 기둥부재의 변형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돌부를 통해 기둥모듈에서 커버모듈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커버모듈이 기둥모듈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돌부를 통해 기둥모듈이 물에 의해 갈라지거나 팽창될 때, 기둥모듈과 커버모듈, 지지프레임이 일체화되어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산공을 통해 하천의 유속을 분산시켜 유속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국지성폭우에 의해서 생기는 수압에서 스톤네트의 밀림과 말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돌부의 형성에 따라 분산공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커버모듈의 제작 및 설치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매립깊이의 한정을 통해 기둥모듈에서 커버모듈의 길이를 정량화 표준화시킬 수 있고, 커버모듈이 기둥모듈을 안정되게 감쌀 수 있으며, 세굴에 의한 기둥모듈의 변형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굴방지유닛을 통해 여울의 침식방지유닛이 설치된 구간에서 여울의 침식방지유닛을 보호하고, 유속 분산 효과를 극대화시키며, 여울의 침식방지유닛을 안정되게 지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굴방지유닛을 통해 세굴을 방지함에 있어서 세굴방지석을 적층하여 안정화시키고, 강바닥의 지반을 보호하며 하천 강바닥의 토목 공사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버모듈에 지지프레임을 설치하고 상단에 자연석 2단을 설치하여 자연석이 자중으로 지지프레임을 누르게 되어 커버모듈이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프레임을 스톤네트와 일체화하여 더욱 강력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버모듈과 나무 말목사이에 식생이 가능한 양질의 토사와 수생씨앗을 넣어 수생식물이 자라게 생육환경을 만들어 주었고 물고기의 서식공간을 만들어 친환경적인 생태환경을 만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생식물의 뿌리와 커버모듈이 서로 엉켜 내구성을 가지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톤네트 설치 시 폭기와 수질정화를 위해 수위는 자연석 상단에 맞추기 때문에 물고기의 유영은 극히 제한적 이었으나, 침식방지유닛으로 만들어진 통로는 물고기가 유영 할 수 있는 공간을 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천의 만곡부에서 외안 부근에 어소 및 어도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종단면도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소 및 어도에서 여울의 침식방지유닛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도에서 커버부재에 구비된 지지돌부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소 및 어도에서 여울의 침식방지유닛을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소 및 어도에서 여울의 침식방지유닛의 기둥부재가 갈라지거나 팽창된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식방지유닛과 스톤 네트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식방지유닛의 커버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울의 침식방지유닛을 이용한 어도 및 어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울의 침식방지유닛을 이용한 어도 및 어소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여울의 침식방지유닛과 이것을 이용한 어소 및 어도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도(FW)는 하천의 만곡부에서 외안(R2)에 구비되어 하천의 만곡부에서 외안(R2) 부근의 유속 분산 효과를 나타내어 하천의 유속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도(FW)는 하천의 만곡부에서 외안(R2)을 따라 배열되는 다수의 여울의 침식방지유닛(1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여울의 침식방지유닛(1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울의 침식방지유닛(100)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울의 침식방지유닛(100)은 하천의 만곡부에서 외안(R2)과 내안(R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울의 침식방지유닛(100)은 기둥모듈(110)과, 커버모듈(120)을 포함한다.
기둥모듈(110)은 하천의 강바닥을 기준으로 일부가 하천의 강바닥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하천의 강바닥에 매립된다. 좀더 자세하게, 기둥모듈(110)의 하부는 하천의 강바닥에 매립되고, 기둥모듈(110)의 상부는 하천의 수면 또는 하천에 연결된 지면에 대응하여 하천의 강바닥으로부터 돌출된다.
기둥모듈(110)은 하나 이상의 기둥부재를 포함한다. 기둥모듈(110)은 둘 이상의 기둥부재가 하나의 묶음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기둥부재는 목재로 이루어지고, 물에 대한 저항력 및 방수 기능을 갖는다.
커버모듈(120)은 기둥모듈(110)의 상부를 감싸 지지한다. 커버모듈(120)은 일부가 하천의 강바닥에 매립되어 세굴 현상에 대해 기둥모듈(110)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모듈(120)은 물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고, 기둥모듈(110)의 갈라짐이나 팽창에 의한 저항력을 갖는다. 커버모듈(120)은 기둥모듈(110)이 삽입되는 통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 그러면, 기둥모듈(110)과 커버모듈(120) 사이에는 고정갭(G)을 형성하면서 상호 이격 배치되어 커버모듈(120)에서 기둥모듈(110)이 안정되게 삽입되도록 한다.
커버모듈(120)에는 커버모듈(120)의 내측에서 기둥모듈(110)이 지지되도록 기둥모듈(110)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지지돌부(121)가 포함될 수 있다.
지지돌부(121)의 단부는 칼날과 같이 뽀족한 첨단부(122)로 이루어져 기둥모듈(110)의 외주면에 선접촉 또는 점접촉 형태로 지지될 수 잇다. 첨단부(122)는 기둥모듈(110)이 물에 의해 갈라지거나 팽창될 때, 목재인 기둥부재가 갈라지면서 방향성을 나타내지 않으므로, 기둥모듈(110)에 안정되게 박힐 수 있다.
커버모듈(120)에는 상호 이격된 상태로 관통 형성되는 분산공(123)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분산공(123)은 하천의 물이 통과하면서 유속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커버모듈에는 분산공(123)의 형성에 따라 지지돌부(121)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돌부(121)는 커버모듈(120)에서 일부 절개된 부분을 구부려서 형성하고, 커버모듈(120)에서 지지돌부(121)가 구부러짐에 따라 일부 절개된 부분에는 분산공(123)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지지돌부(121)는 커버모듈(120)의 길이 방향으로 구부러질 수있다. 그러면, 지지돌부(121)는 하천의 물에 의해 갈라지거나 팽창되는 기둥부재를 상대적으로 가압하거나 기둥부재의 벌어진 틈에 박혀 기둥모듈(110)과 커버모듈(120)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돌부(121)는 기둥부재에 박힘에 따라 기둥부재가 지지돌부(121) 부근에서 안정된 갈라짐이나 팽창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지지돌부(121)는 커버모듈(120)의 둘레 방향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그러면, 지지돌부(121)의 접힌 부분은 기둥부재의 섬유질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형태를 나타내므로, 지지돌부(121)는 하천의 물에 의해 기둥부재가 갈라지거나 팽창될 때, 기둥부재의 섬유질 사이에 박히므로, 기둥부재의 섬유질이 지지돌부(121)에 의해 끊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기둥모듈(110)은 횡단면이 원형인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여기에 한정하는 것을 아니고, 비원형 또는 다각형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커버모듈(120)은 기둥모듈(110)이 삽입되도록 횡단면이 원형인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기둥모듈(110)이 삽입되는 비원형 또는 다각형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커버모듈(120)의 횡단면 형태는 기둥모듈(110)의 횡단면 형태와 매칭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여기서, 횡단면이 원형인 것을 기준으로 기둥모듈(110)의 외경(d1, 기둥모듈(110)의 둘레면에 내접 또는 외접하는 가상의 원에 대한 직경)은 커버모듈(120)의 내경(d2, 커버모듈(120)의 내주면에 내접 또는 외접하는 가상의 원에 대한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커버모듈(120)에서 기둥모듈(110)이 안정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기둥모듈(110)이 커버모듈(120)에 삽입된 상태에서 기둥모듈(110)과 커버모듈(120) 사이에는 고정갭(G)이 형성되어 기둥모듈(110)이 유동될 수 있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커버모듈(120)에서 내측으로 지지돌부(121)가 돌출되거나 커버모듈(120)에서 지지돌부(121)가 구부러짐으로서, 지지돌부(121)는 커버모듈(120)을 기준으로 기둥모듈(110)을 지지하게 되고, 고정갭(G)에서 기둥모듈(11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울의 침식방지유닛(100)에서는 하천의 만곡부에서 강바닥을 기준으로 기둥모듈(110)의 매립깊이를 기둥모듈(110) 전체길이의 50~70%가 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강바닥에서 기둥모듈(110)이 안정되게 지지되고, 기둥모듈(110)의 최적 길이를 간편하게 산출하여 기둥모듈(110)의 원가를 저감시킬 수 있다.
하지만, 기둥모듈(110)의 매립깊이가 기둥모듈(110) 전체길이의 50% 미만인 경우, 강바닥의 약한 지반을 기둥모듈(110)이 통과하지 못할 수 있고, 기둥모듈(110)이 유속에 의해 넘어질 수 있으며, 강바닥으로부터 기둥모듈(110)이 이탈될 수 있다.
또한, 기둥모듈(110)의 매립깊이가 기둥모듈(110) 전체길이의 70% 초과인 경우, 기둥모듈(110)의 전체길이가 증가되고, 기둥모듈(110)의 매립을 위한 공정이 길어지며, 기둥모듈(110)의 원가 상승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울의 침식방지유닛(100)에서는 하천의 만곡부 강바닥을 기준으로 커버모듈(120)의 매립깊이(h1)를 커버모듈(120) 전체길이(h2)의 20~40%가 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하천의 물에 의해 기둥모듈(110)이 갈라지거나 팽창되는 시간을 충분히 지연시키고, 기둥모듈(110)이 갈라지거나 팽창되더라도 커버모듈(120)이 기둥모듈(110)을 안정되게 감싸 기둥모듈(110)의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커버모듈(120)의 매립깊이(h1)가 커버모듈(120) 전체길이(h2)의 20% 미만인 경우, 하천의 깊이에 대응하여 세굴 현상에 대해 기둥모듈(110)이 하천의 물에 쉽게 노출될 수 있고, 기둥모듈(110)의 갈라짐이나나 팽창이 빨라질 수 있으며, 기둥모듈(110)의 변형이나 파손이 쉽게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커버모듈(120)의 매립깊이(h1)가 커버모듈(120) 전체길이(h2)의 40% 초과인 경우, 커버모듈(120)이 강바닥의 연약 지반을 통과함에 따라 강바닥의 고정 지반을 가압하여 커버모듈(120)의 변형이나 파손이 발생될 수 있고, 기둥모듈(110)의 상단으로 커버모듈(120)이 돌출되어 커버모듈(120)에서 불필요한 부분이 발생될 수 있으며, 커버모듈(120)의 원가 상승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울의 침식방지유닛(100)에서는 상술한 수치한정을 통해 기둥모듈(110)과 커버모듈(120)의 전체길이를 간편하게 산정할 수 있고, 설치하고자 하는 하천의 만곡부에 대응하여 안정된 여울의 침식방지유닛(100)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도(FW)는 내안(R1)과 마주보는 여울의 침식방지유닛(100)의 일측에 설치되는 세굴방지유닛(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세굴방지유닛(130)은 하천의 강바닥으로부터 여울의 침식방지유닛(100)의 상단을 향해 상향 경사를 이루도록 여울의 침식방지유닛(100)의 일측에 적층되는 다수의 세굴방지석을 포함할 수 있다. 세굴방지석은 하천의 만곡부에서 발생되는 유속에 대응하여 유속을 견딜 수 있고, 유속에 의해 분리되어 떠내려가지 않도록 한다.
세굴방지유닛(130)은 하천의 강바닥의 하측으로 기설정된 깊이만큼 매립될 수 있다. 세굴방지유닛(130)의 매립깊이는 커버모듈(120)의 매립깊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세굴방지유닛(130)의 매립깊이는 커버모듈(120)의 매립깊이(h1)보다 10~15% 더 깊게 매립함으로서, 하천의 만곡부 유속을 분산시키고, 하천의 만곡부 유속을 저감시키며, 하천의 만곡부 유속에 의한 세굴 현상을 방지하고, 세굴 현상에 대해 기둥모듈(110)을 포함하는 여울의 침식방지유닛(100)을 보호할 수 있으며, 여울의 침식방지유닛(100)의 안정되게 지탱할 수 있다.
특히, 세굴방지유닛(130)에서 매립되는 부분은 하천의 강바닥으로부터 여울의 침식방지유닛(100)의 하단을 향해 하향 경사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세굴을 방지함에 있어서, 세굴방지석의 양을 최소화하고, 하천 강바닥의 지반을 보호하며, 하천 강바닥의 토목 공사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여울의 침식방지유닛(100)과 이것을 이용한 어도(FW)에 따르면, 하천의 만곡부에서 외안(R2) 부근의 유속 분산 효과를 나타내어 하천의 유속을 경감시키며, 세굴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버모듈(120)을 통해 기둥모듈(110)이 물에 의해 갈라지거나 팽창될 때, 기둥부재의 변형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돌부(121)를 통해 기둥모듈(110)에서 커버모듈(120)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커버모듈(120)이 기둥모듈(11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돌부(121)를 통해 기둥모듈(110)이 물에 의해 갈라지거나 팽창될 때, 기둥모듈(110)과 커버모듈(120)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분산공(123)을 통해 하천의 유속을 분산시켜 유속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분산공(123)의 형성에 따라 지지돌부(121)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커버모듈(120)의 제작 및 설치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매립깊이의 한정을 통해 기둥모듈(110)에서 커버모듈(120)의 길이를 정량화 표준화시킬 수 있고, 커버모듈(120)이 기둥모듈(110)을 안정되게 감쌀 수 있으며, 세굴에 의한 기둥모듈(110)의 변형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세굴방지유닛(130)을 통해 여울의 침식방지유닛(100)이 설치된 구간에서 여울의 침식방지유닛(100)을 보호하고, 유속 분산 효과를 극대화시키며, 여울의 침식방지유닛(100)을 안정되게 지탱할 수 있다.
또한, 세굴방지유닛(130)을 통해 세굴을 방지함에 있어서 세굴방지석을 적층을 안정화시키고, 강바닥의 지반을 보호하며 하천 강바닥의 토목 공사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기둥모듈(110)과 커버모듈(120)사이의 빈공간에 토사를 채워넣고 채워진 토사에서 수생식물을 식재한다. 식재된 수생식물이 자라면서 그 뿌리가 상기 기둥모듈(110)과 얽히면서 상기 커버모듈(120)이 고정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여울의 침식방지유닛을 이용한 어도(FW) 및 어소는 상기 침식방지유닛(100) 및 스톤 네트(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침식방지유닛(100)은 하부는 하천의 강바닥에 매립되고, 상부는 하천의 수면에 대응하여 하천의 강바닥으로부터 돌출되는 기둥모듈(110), 및 일부는 하천의 강바닥에 매립되도록 상기 기둥모듈(110)의 상부를 감싸 지지하는 커버모듈(1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모듈(120)은 커버모듈(120)의 내측에서 상기 기둥모듈(110)이 지지되도록 상기 기둥모듈(110)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지지돌부(121), 및 상기 커버모듈(120)의 외측에 원주방향으로 복수개가 설치되는 지지프레임(14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침식방지유닛(100)을 이용한 어도(FW) 및 어소는 침식방지유닛(100)의 상기 지지프레임(140)에 올려져 고정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세굴방지석(131)이 일정 공간의 네트에 고정되어 하나의 구조물을 이루는 스톤 네트(20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모듈(120)에 설치되는 상기 지지프레임(140)의 상부에 세굴방지석(131)과 네트로 이루어진 스톤 네트(200)를 올려 고정함으로써 어도(FW) 및 어소를 이루는 구조물을 견고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140)은 커버모듈(120)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방사형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140)이 방사형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지지프레임(140)의 상부에 올려지는 상기 스톤 네트(200)를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도 및 어소는 상기 침식방지유닛(100)에 설치되는 상기 스톤 네트(200)를 다단으로 적층하여 수중 구조물(300)을 이루는 구조이다. 상기 스톤 네트(200)와 스톤 네트(200)를 상기 지지프레임(140)에 올려진 상태에서 서로 고정하여 어도(FW) 및 어소를 적층 구조로 제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침식방지유닛(100)의 커버모듈(120)에 설치된 지지프레임(140)에 스톤 네트(200)를 2단으로 설치하여 세굴방지석(131)의 자중으로 지지프레임(140)을 눌러 커버모듈(120)이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모듈(120) 및 지지프레임(140)과 상기 스톤 네트(200)를 일체화하여 수중 구조물(300)의 더욱 강력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고, 상기 커버모듈(120)과 나무 말목사이에 식생이 가능한 양질의 토사와 수생씨앗을 넣어 수생식물이 자라게 생육환경을 만들어 물고기의 서식공간을 만들어 줌으로써 친환경적인 생태환경을 만들 수 있다.
또한, 수생식물의 뿌리와 상기 커버모듈(120)이 서로 엉켜 내구성을 가지게 하고, 상기 스톤 네트(200) 설치 시 폭기와 수질정화를 위해 수위는 자연석 상단에 맞추기 때문에 물고기의 유영은 극히 제한적 이었으나, 상기 침식방지유닛(100)으로 만들어진 통로는 물고기가 유영 할 수 있는 공간을 구성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FW: 어도 R1: 내안 R2: 외안
100: 침식방지유닛 110: 기둥모듈
120: 커버모듈 121: 지지돌부 122: 첨단부
123: 분산공 130: 세굴방지유닛 131: 세굴방지석
140: 지지프레임 200: 스톤 네트 300: 수중 구조물
G: 고정갭
h1: 커버모듈의 매립깊이 h2: 커버모듈의 길이
d1: 기둥모듈의 직경 d2: 커버모듈의 내경

Claims (10)

  1. 하부는 하천의 강바닥에 매립되고, 상부는 하천의 수면에 대응하여 하천의 강바닥으로부터 돌출되는 기둥모듈; 및
    일부는 하천의 강바닥에 매립되도록 상기 기둥모듈의 상부를 감싸 지지하는 커버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모듈에는,
    상기 커버모듈의 내측에서 상기 기둥모듈이 지지되도록 상기 기둥모듈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지지돌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울의 침식방지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모듈에는,
    상호 이격된 상태로 관통 형성되는 분산공;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울의 침식방지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부는,
    상기 커버모듈에서 일부 절개된 부분을 구부려서 형성하고,
    상기 커버모듈에서 상기 지지돌부가 구부러짐에 따라 상기 분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울의 침식방지유닛.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모듈의 매립깊이가 상기 기둥모듈 전체길이의 50~70%인 것; 및
    상기 커버모듈의 매립깊이가 상기 커버모듈 전체길이의 20~40%인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울의 침식방지유닛.
  5. 하천의 만곡부에서 외안을 따라 배열되는 다수의 여울의 침식방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여울의 침식방지유닛은,
    청구항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 및 어소.
  6. 제5항에 있어서,
    하천 만곡부의 내안과 마주보는 상기 여울의 침식방지유닛의 일측에 설치되는 세굴방지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 및 어소.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세굴방지유닛은,
    하천의 강바닥으로부터 상기 여울의 침식방지유닛의 상단을 향해 상향 경사를 이루도록 상기 여울의 침식방지유닛의 일측에 적층되는 다수의 세굴방지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 및 어소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세굴방지유닛은,
    하천의 강바닥에서 기설정된 깊이만큼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 및 어소.
  9. 하부는 하천의 강바닥에 매립되고, 상부는 하천의 수면에 대응하여 하천의 강바닥으로부터 돌출되는 기둥모듈, 및 일부는 하천의 강바닥에 매립되도록 상기 기둥모듈의 상부를 감싸 지지하는 커버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모듈에는, 상기 커버모듈의 내측에서 상기 기둥모듈이 지지되도록 상기 기둥모듈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지지돌부, 및 상기 커버모듈의 외측에 원주방향으로 복수개가 설치되는 지지프레임이 포함되는 침식방지유닛; 및
    상기 침식방지유닛의 상기 지지프레임에 올려져 고정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세굴방지석이 일정 공간의 네트에 고정되어 하나의 구조물을 이루는 스톤 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울의 침식방지유닛을 이용한 어도 및 어소.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침식방지유닛에 설치되는 상기 스톤 네트를 다단으로 적층하여 수중 구조물을 이루는 구조의 여울의 침식방지유닛을 이용한 어도 및 어소.
KR1020180093243A 2018-08-09 2018-08-09 여울의 침식방지유닛과 이것을 이용한 어도 KR102156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243A KR102156254B1 (ko) 2018-08-09 2018-08-09 여울의 침식방지유닛과 이것을 이용한 어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243A KR102156254B1 (ko) 2018-08-09 2018-08-09 여울의 침식방지유닛과 이것을 이용한 어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7831A true KR20200017831A (ko) 2020-02-19
KR102156254B1 KR102156254B1 (ko) 2020-09-21

Family

ID=69670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3243A KR102156254B1 (ko) 2018-08-09 2018-08-09 여울의 침식방지유닛과 이것을 이용한 어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62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36137A (zh) * 2020-03-13 2020-06-05 浙江省水利河口研究院 一种河工模型动床区移动式反坡涨水装置及方法
KR102482944B1 (ko) * 2022-06-03 2023-01-02 대한민국 여울용 구조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2298A (ko) * 1997-05-07 2001-02-15 아모그 테크놀로지스 피티와이. 리미티드 구조형 부재의 수리 방법 및 장치
KR100574098B1 (ko) 2006-01-11 2006-04-27 동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하천의 만곡부의 침식방지대
KR200423810Y1 (ko) * 2006-06-02 2006-08-10 삼양기전(주) 철근연결구
KR200432566Y1 (ko) * 2006-03-03 2006-12-05 변우일 생태적수질정화미디어
KR20090089107A (ko) * 2008-02-18 2009-08-21 주식회사 제일에코텍 통나무를 이용한 토사(土砂) 쓸림방지구조물(防止構造物)과 그 시공방법(施工方法)
KR20150118726A (ko) * 2014-04-15 2015-10-23 윤현섭 산지 계곡 유속 저감 구조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2298A (ko) * 1997-05-07 2001-02-15 아모그 테크놀로지스 피티와이. 리미티드 구조형 부재의 수리 방법 및 장치
KR100574098B1 (ko) 2006-01-11 2006-04-27 동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하천의 만곡부의 침식방지대
KR200432566Y1 (ko) * 2006-03-03 2006-12-05 변우일 생태적수질정화미디어
KR200423810Y1 (ko) * 2006-06-02 2006-08-10 삼양기전(주) 철근연결구
KR20090089107A (ko) * 2008-02-18 2009-08-21 주식회사 제일에코텍 통나무를 이용한 토사(土砂) 쓸림방지구조물(防止構造物)과 그 시공방법(施工方法)
KR20150118726A (ko) * 2014-04-15 2015-10-23 윤현섭 산지 계곡 유속 저감 구조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36137A (zh) * 2020-03-13 2020-06-05 浙江省水利河口研究院 一种河工模型动床区移动式反坡涨水装置及方法
CN111236137B (zh) * 2020-03-13 2024-03-26 浙江省水利河口研究院 一种河工模型动床区移动式反坡涨水装置及方法
KR102482944B1 (ko) * 2022-06-03 2023-01-02 대한민국 여울용 구조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6254B1 (ko) 2020-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5493B1 (ko) 바다숲 조성을 위한 수중 저연승 시설 및 이를 이용한 바다숲 조성방법
KR100761877B1 (ko) 해안용 모래 포집 구조물
CN102220745A (zh) 中小顺直河流纵向蜿蜒形态构建方法
KR20200017831A (ko) 여울의 침식방지유닛과 이것을 이용한 어도
KR20090128736A (ko) 부유 침수식 생물서식장치
KR101326437B1 (ko) 인공 해삼양식장용 유니트
KR100618560B1 (ko) 생태계 보호를 위한 친환경 하천 바닥 블록설치구조
KR101034076B1 (ko) 부상식 인공어초의 설치구조
KR101128365B1 (ko) 토사퇴적을 유도할 수 있는 자연형 하중도 형성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0433035Y1 (ko) 하천 제방의 생태복원용 방틀 구조
KR100627039B1 (ko) 화분형태 식생축조호안블록
JP4392784B2 (ja) 埋設構造体、埋設接合構造体及び土留柵工構造体
JP4603431B2 (ja) 水質改善用構造体
CN105900713B (zh) 一种水下种草装置
KR100980799B1 (ko) 인공어초용 복합부재
KR101229009B1 (ko) 자연상태의 하상파 이동과 생물이동 보장이 가능한 하상유지구조물
CN214299503U (zh) 一种基于喷锚结构的消落带生态礁石装置
KR20080096923A (ko) 인공어초
KR200461390Y1 (ko) 식생호안부재
KR200422708Y1 (ko) 인공 어초
KR20000020515A (ko) 자연형 하천의 수제조성공법
KR101580142B1 (ko) 인공 식물섬의 식물식재방법
KR20170065263A (ko) 계단식 피라미드형 해중림초
JP2997183B2 (ja) 植生浮島
KR100989662B1 (ko) 호안 보호용 석재 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