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1877B1 - 해안용 모래 포집 구조물 - Google Patents

해안용 모래 포집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1877B1
KR100761877B1 KR1020070029610A KR20070029610A KR100761877B1 KR 100761877 B1 KR100761877 B1 KR 100761877B1 KR 1020070029610 A KR1020070029610 A KR 1020070029610A KR 20070029610 A KR20070029610 A KR 20070029610A KR 100761877 B1 KR100761877 B1 KR 100761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nd
support
fixed
wave
coa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9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희
이영희
최종철
이재연
김학운
박주호
김원규
Original Assignee
(주)에코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코원 filed Critical (주)에코원
Priority to KR1020070029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18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1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1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안 지역에서 파도가 미치는 해안가나 또는 해안의 연약지반 등에서 모래의 침식작용을 방지하기 위한 모래 포집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파도ㆍ조류ㆍ연안류 등 해안 지역의 특성을 고려하여 파도가 미치는 해안가나 연약지반에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파도감쇠막을 설치하여 해안가에서 파도의 운동에너지를 감쇠시키므로 연안류(沿岸流)나 이안류(裏岸流) 등을 따라 이동하는 표사를 조기에 효과적으로 퇴적시키는 한편 파도로 인하여 해안의 모래가 바다로 점차 침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해안, 모래, 포집, 파도, 침식

Description

해안용 모래 포집 구조물{Sand capture structure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치상태를 나타낸 전반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치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래 포집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고정지지목의 다른 설치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턴버클의 요부 설치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모래 포집 구조물 11: 고정지지목
11a: 지지브라켓 11b: 체결볼트
12: 수평지지목 13: 파도감쇠막
13a: 로프 13b: 천연 섬유사
14: 지지석 15: 앵커볼트
20: 턴버클(turnbuckle)
본 발명은 해안 지역에서 파도가 미치는 해안가나 또는 해안의 연약지반 등에서 모래의 침식작용을 방지하기 위한 모래 포집 구조물에 관한 기술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파도ㆍ조류ㆍ연안류 등 해안 지역의 특성을 고려하여 파도가 미치는 해안가나 연약지반에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파도감쇠막을 설치하여 밀집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해안가에서 파도의 운동에너지를 감쇠시키므로 연안류(沿岸流)나 이안류(裏岸流) 등을 따라 이동하는 표사를 조기에 효과적으로 퇴적시키는 한편 파도로 인하여 해안의 모래가 바다로 점차 침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해안용 모래 포집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도가 미치는 해안 지역에서 발생하는 해안 침식작용과 퇴적작용은 바다로부터 밀려오는 파도와 그 파도가 해안에 부딪혀서 발생하는 이안류(裏岸流) 및 조류ㆍ해류ㆍ하천에 의해 발생하는 연안류(沿岸流) 등으로 인하여 침식과 퇴적작용이 반복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침식과 퇴적작용이 지속적으로 반복되면서 해안선은 그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근래 들어 해안가에 방파제와 도류제(導流堤) 및 해안 도로 등의 인공적인 구조물들이 점차 시공되면서 이러한 구조물들의 영향으로 인하여 파도ㆍ조류ㆍ이안류 및 연안류 등의 크기와 방향이 뒤바뀌면서 예상치 못한 해안 지역에서 모래 침식작용과 퇴적작용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해안 지역에서 모래의 침식작용을 방지하고 해안 사구(砂丘)에 식생대를 조성하기 위한 기술들이 다각도로 제안되고 있으며, 이러한 종래 기술의 예로 특허등록 제10-0635291호(다각형 구조를 이용한 모래포집 구조)가 제안 되었다.
상기의 종래 선행기술은 대나무와 같은 견고성과 탄성이 우수하고 쉽게 썩지 않는 나무를 이용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파도세력감쇠막이 형성된 다각형의 구조를 이루도록 모래 포집 구조를 축조하여 구성함으로써, 파도세력감쇠막이 부딪치는 파도의 세력을 약화시켜 파도로 인하여 이동하는 모래를 멈추게 하는 한편 파도로 인하여 해안의 모래가 침식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궁극적으로 파도에 의해 침식되는 해안의 모래를 효과적으로 포집하여 사구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선행기술을 해안의 사빈(砂濱)과 사구의 중간 지점에 시공할 경우 구조물의 구성과 구조는 간단하나, 실작업의 공정이 길어지는 어려움이 발생하고 체결수단이 단순한 끈으로 이루어져 구조가 견고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기상이변 등 자연재해로 인한 파손이 쉽게 발생하는 한편 파도가 닿는 해안 지역은 이안류와 같은 파도에너지에 의해 쉽게 파손될 우려가 있는 것이었다.
또한 종래의 선행기술은 대나무나 또는 소나무 등으로 이루어져 파도세력감쇠막을 구성하는 다수의 지지대가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져 끈으로 결속되어 설치됨에 따라 구조물의 일부분이 파손될 경우 수리가 용이하지 못하고 장시간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모래 포집 구조물의 선행기술에 따른 문제점들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파도가 미치는 해안가에서 파도의 운동에너지를 감쇠시켜 연안류나 이안류 등을 따라 이동하는 표사를 조기에 퇴적시키는 한편 파도로 인하여 해안의 모래가 바다로 침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파도ㆍ조류ㆍ연안류 등 해안 지역의 특성을 고려하여 파도가 미치는 해안가나 연약지반에 파도감쇠막을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밀집되게 설치함으로써, 해안 침식으로 인한 해안선의 유실을 방지함은 물론 사라져가는 갯벌 생태계를 복원할 수 있는 모래 포집 구조물을 제공하는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징은;
수직상으로 놓여 하부가 해안의 토사(지반)에 파묻혀 고정되는 다수의 고정지지목과; 상기 고정지지목의 상부와 중간 부분에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장방형의 형태로 고정 설치되는 상하 다수의 수평지지목과; 상기 고정지지목과 수평지지목에 설치되어 파도의 세력을 감쇠시키는 파도감쇠막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면에 도시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주된 요지는 해안 지역의 특성(파도ㆍ조류ㆍ연안 류ㆍ이안류 등)을 고려하여 파도가 미치는 해안가나 연약지반에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파도감쇠막을 밀집되게 시공함으로써, 해안가에서 파도의 세력을 일차적으로 감쇠시킴에 따라 연안류나 이안류 등을 따라 이동하는 표사를 해안가에 효과적으로 퇴적시키는 한편 파도로 인하여 해안의 모래가 바다로 침식되는 것을 방지하여 갯벌의 생태계를 복원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형태로 설치가 가능한 규격화된 독립형 구조물로서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파손이 발생할 경우 파손된 일부분만 교체 및 수리가 가능하고, 파도의 세력에 대한 저항력이 크지 않도록 구성되어 바닷물 속에 설치할 경우 파손의 우려가 없으며, 파도로 인하여 이동하는 표사를 퇴적시키므로 모래 포집효과를 높이는 한편 모래가 포집된 후에는 사구속에서 묻혀 자연 소멸되므로 사후 철거작업이 필요 없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요 구성을 살펴보면, 수직상으로 놓여 하부가 해안의 토사(지반)에 파묻혀 고정 설치되는 다수의 고정지지목(11)과; 상기 고정지지목(11)의 상부와 중간 부분에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육면체의 형태로 고정 설치되는 상하 다수의 수평지지목(12)과; 상기에서 고정지지목(11)과 수평지지목(12)에 고정 설치되어 파도의 세력을 감쇠시키는 파도감쇠막(13)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래 포집 구조물(10)은 도면에서 도 1과 같이 다수가 상호 인접하여 밀집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해안 지역의 특성(파도ㆍ조류 ㆍ연안류ㆍ이안류 등)을 고려하여 파도가 미치는 해안가(1)에서 어느 정도 떨어져 바닷물 속에 잠기도록 종방향이나 또는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파도(연안류,이안류)를 따라 이동하는 모래를 퇴적시키고 해안가(1)에서 바다로 침식되는 모래를 포집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모래 포집 구조물(10)을 구성하는 고정지지목(11)과, 수평지지목(12)은 습도와 염도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하고 모래 포집 기간 동안 쉽게 썩지 않도록 방부처리된 나무를 적용할 수 있으며, 일정한 규격으로 길이와 직경(10~25㎝)을 갖도록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고정지지목(11)은 파도가 미치는 해안의 토사(지반)에 파묻혀 고정되는 기능으로서 상하 소정길이로 제작되고, 도면에서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토사에 파묻히는 하단부에 소정크기의 지지석(14)을 결합하여 고정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여기서 지지석(14)은 해안의 연약지반에 모래 포집 구조물(10)을 시공할 경우 파랑과 부력작용에 대하여 구조물의 붕괴를 막기 위한 목적으로서 앵커볼트(15)를 이용하여 고정지지목(11)의 하단부에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고정지지목(11)은 다수개(4~6)가 일정한 간격이 주어져 수직상으로 놓이고, 상기 고정지지목(11)의 상부와 중간 부분에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장방형의 형태를 이루도록 다수개의 수평지지목(12)이 고정 설치되며, 상기에서 고정지지목(11)과 수평지지목(12)은 상호 규격화된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결합하거나 또는 와이어 및 로프를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고정지지목(11)의 상측부에 상하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수평지지 목(12)이 고정 설치됨에 따라 육면이 빈공간으로 구성된 장방형의 틀이 형성되며, 상기 장방형의 틀에서 사방면에 파도의 세력을 감쇠시키는 파도감쇠막(13)이 설치되며, 여기서 파도감쇠막(13)은 파도의 세력을 일차적으로 감쇠시켜 파도(연안류,이안류)를 따라 이동하는 모래를 퇴적시키는 한편 해안가에서 침식되는 모래를 포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에서 파도감쇠막(13)은 바다로부터 밀려오는 파도가 부딪쳐 세력이 감쇠하는 기능으로서, 다수의 고정지지목(11)과 상하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된 다수의 수평지지목(12) 사이에 로프(13a)를 이용하여 가로와 세로로 망체형태를 이루게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에서 로프(13a)는 파도의 세력을 고려할 때 지름이 1㎝ 이상의 고강력 섬유사를 사용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파도감쇠막(13)은 육면이 빈공간으로 구성된 장방형의 틀에서 사방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다수의 고정지지목(11)과 상하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된 수평지지목(12)에 적당한 간격(3~15㎝)으로 상하 및 수평으로 다수의 구멍을 천공하고, 여기에 로프(13a)를 연결되게 끼워서 결속하여 망체형태를 이루도록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파도감쇠막(13)은 도면에서 도 5와 같이 내구성이 우수한 천연 섬유사(13b)를 이용하여 다수의 고정지지목(11)과 상하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된 다수의 수평지지목(12) 사이에 가로와 세로로 망체형태를 이루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해안 지역에서 조수간만의 차이로 인하여 작업시간이 극히 제한적이므로 우선 만조시 구조물을 주변 지역에서 제작 조립한 다음, 간조시 해안 토사(지반)를 터파기 하여 고정지지목(11)과 지지석(14)를 매립하여 고정 설치할 수 있다.
상기에서 모래 포집 구조물(10)의 시공작업은 해안 지역의 특성(파도ㆍ조류ㆍ연안류ㆍ이안류 등)을 고려하여 상호 인접되게 밀집되도록 종방향이나 또는 횡방향으로 시공되고, 지지석(14)은 고정지지목(11)의 지지력을 높임으로써 파랑과 부력작용에 대하여 구조물의 붕괴를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파도감쇠막(13)의 기능은 도면에서 도 4와 같이 바다로부터 밀려오는 파도가 구조물(10)의 전면부(바다쪽)에서 파도감쇠막(13)에 부딪쳐 세력이 감쇠되면서 통과하고, 상기에서 전면부의 파도감쇠막(13)을 통과하는 파도를 따라 이동한 모래는 파도의 세력이 급격히 약화됨에 따라 구조물(10)의 주변에 퇴적되며, 전면부의 파도감쇠막(13)에 부딪쳐 세력이 약화된 파도는 다시 후면부(해안쪽)의 파도감쇠막(13)에 부딪치면서 세력이 더욱 약화된다.
상기에서 파도감쇠막(13)에 의해 파도의 세력이 급격히 약화됨에 따라 해안가에 파도의 세력이 미치지 못하므로 해안 모래의 침식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해안가에서 바다쪽으로 빠져나가는 파도는 세력이 약화된 상태로서 다시 한번 파도감쇠막(13)에 부딪치면서 세력이 더욱 약화되므로 바다쪽으로 모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모래 포집 구조물(10)의 주변에 점차 모래가 퇴적되면서 구조물(10)을 덮어 사구를 형성하고, 사구 속에 묻힌 대부분의 구조물(10)은 모래가 충분히 퇴적된 이후 오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연적으로 썩어 소멸되므로 사후 철거작업이 수월하며, 사구에 식생대를 조성하고 사구식물을 식재하여 자연재해로 인한 침식작용을 방지하는 한편 자연 생태계를 복원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면에서 도 6은 고정지지목(11)의 지지력을 더욱 높이기 위한 실시예로서, 고정지지목(11)의 하단부에 지지브라켓(11a)을 가로와 세로로 배치하여 체결볼트(11b)로 고정하고, 그 위에 지지석(14)을 양쪽으로 배치한 다음 각각 고리(14a)(14b)가 형성된 볼트를 고정지지목(11)과 지지석(14)에 박고 로프나 와이어를 결속함으로써, 고정지지목(11)의 하단부에 지지석(14)을 고정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 도 7은 파도감쇠막(13)을 구성하는 로프(13a)를 팽팽하게 설치하기 위한 실시예로서, 고정지지목(11)과 수평지지목(12)에 고정되는 로프(13a)의 한쪽 단부에 턴버클(turnbuckle)(20)을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 턴버클(20)의 한쪽은 고정지지목(11)과 수평지지목(12)에 볼트로 체결하고, 다른 한쪽은 고리(21)가 형성된 볼트를 사용하여 로프(13a)의 끝단을 결속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에서 파도감쇠막(13)에 턴버클(20)을 적용함에 따라 고정지지목(11)과 상하 수평지지목(12) 사이에 결속되는 로프(13a)를 인장시켜 팽팽하게 설치할 수 있는 한편 로프(13a)를 팽팽한 상태로 유지 관리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 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파도가 미치는 해안가에서 파도의 세력을 감쇠시켜 연안류나 이안류 등을 따라 이동하는 표사를 조기에 퇴적시키는 한편 파도로 인하여 해안의 모래가 바다로 침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해안 지역의 특성을 고려하여 파도가 미치는 해안가나 연약지반에 파도감쇠막을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밀집되게 설치함으로써, 해안 침식으로 인한 해안선의 유실을 방지함은 물론 사라져가는 갯벌 생태계를 복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6)

  1. 수직상으로 놓여 하부가 해안의 토사에 파묻혀 고정되는 다수의 고정지지목(11)과;
    상기 고정지지목(11)의 상부와 중간 부분에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육면체의 형태로 고정 설치되는 상하 두 개 이상의 수평지지목(12)과;
    상기 고정지지목(11)과 수평지지목(12)에 설치되어 파도의 세력을 감쇠시키는 파도감쇠막(13);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정지지목(11)과 수평지지목(12)은 상호 교차하여 한 개 이상의 육면체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용 모래 포집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고정지지목(11)의 하단부에 소정크기의 지지석(14)이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용 모래 포집 구조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고정지지목(11)의 하단부에 지지브라켓(11a)을 가로와 세로로 배치하여 체결볼트(11b)로 고정하고, 그 위에 양쪽으로 지지석(14)이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해안용 모래 포집 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파도감쇠막(13)은 망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용 모래 포집 구조물.
  5. 제1항에 있어서;
    파도감쇠막(13)은 다수의 고정지지목(11)과 상하 소정간격으로 설치된 다수의 수평지지목(12) 사이에 로프(13a)가 망체형태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용 모래 포집 구조물.
  6. 제5항에 있어서;
    파도감쇠막(13)은 고정지지목(11)과 수평지지목(12)에 고정되는 로프(13a)의 한쪽 단부에 턴버클(2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용 모래 포집 구조물.
KR1020070029610A 2007-03-27 2007-03-27 해안용 모래 포집 구조물 KR100761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9610A KR100761877B1 (ko) 2007-03-27 2007-03-27 해안용 모래 포집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9610A KR100761877B1 (ko) 2007-03-27 2007-03-27 해안용 모래 포집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1877B1 true KR100761877B1 (ko) 2007-09-28

Family

ID=38738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9610A KR100761877B1 (ko) 2007-03-27 2007-03-27 해안용 모래 포집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1877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319B1 (ko) 2007-03-21 2007-12-14 한승호 해변용 모래유실방지기
KR100970500B1 (ko) * 2010-01-15 2010-07-16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하천 만곡부 국소세굴 및 하안침식방지 수제블록과 이를 이용한 날개형 수제공법
KR101182562B1 (ko) 2009-12-10 2012-09-12 이성대 항로 매몰 및 침식 방지용 인공 식생 모형체
KR101193582B1 (ko) * 2012-04-12 2012-10-25 이상영 해빈의 침식방지 구조물
KR101193580B1 (ko) * 2012-04-12 2012-10-25 이상영 해빈의 침식방지 구조물
KR101272060B1 (ko) * 2012-01-30 2013-06-07 이성대 항로 매몰 및 침식 방지용 인공 식생 모형체
KR101307814B1 (ko) * 2013-04-08 2013-09-13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부유물 유실 및 침식 측정 장치
KR101441054B1 (ko) 2014-05-14 2014-09-17 (주)미래해양 부유사 및 소류사 포집장치
KR101664259B1 (ko) * 2015-12-18 2016-10-10 (주)에코원 해안사구 보호구조물
JP2019510907A (ja) * 2016-04-01 2019-04-18 株式会社ハンオーシャンHan Ocean Co.,Ltd 海岸浸食防止のための流失した砂の捕集装置
CN111519598A (zh) * 2020-04-22 2020-08-11 蒋贤东 一种用于土地荒漠化的治理装置及其使用方法
CN114045782A (zh) * 2021-11-11 2022-02-15 鲁东大学 可调节拦沙量的开孔拦沙堤形态布设方法、布设系统及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3123Y1 (ko) 2006-01-27 2006-04-05 (주)에코원 절곡형 방부목을 이용한 모래 포집 구조
KR20060059329A (ko) * 2004-11-27 2006-06-01 유석원 다각형 구조를 이용한 모래포집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9329A (ko) * 2004-11-27 2006-06-01 유석원 다각형 구조를 이용한 모래포집 구조
KR200413123Y1 (ko) 2006-01-27 2006-04-05 (주)에코원 절곡형 방부목을 이용한 모래 포집 구조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319B1 (ko) 2007-03-21 2007-12-14 한승호 해변용 모래유실방지기
KR101182562B1 (ko) 2009-12-10 2012-09-12 이성대 항로 매몰 및 침식 방지용 인공 식생 모형체
KR100970500B1 (ko) * 2010-01-15 2010-07-16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하천 만곡부 국소세굴 및 하안침식방지 수제블록과 이를 이용한 날개형 수제공법
KR101272060B1 (ko) * 2012-01-30 2013-06-07 이성대 항로 매몰 및 침식 방지용 인공 식생 모형체
KR101193582B1 (ko) * 2012-04-12 2012-10-25 이상영 해빈의 침식방지 구조물
KR101193580B1 (ko) * 2012-04-12 2012-10-25 이상영 해빈의 침식방지 구조물
KR101307814B1 (ko) * 2013-04-08 2013-09-13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부유물 유실 및 침식 측정 장치
KR101441054B1 (ko) 2014-05-14 2014-09-17 (주)미래해양 부유사 및 소류사 포집장치
KR101664259B1 (ko) * 2015-12-18 2016-10-10 (주)에코원 해안사구 보호구조물
JP2019510907A (ja) * 2016-04-01 2019-04-18 株式会社ハンオーシャンHan Ocean Co.,Ltd 海岸浸食防止のための流失した砂の捕集装置
CN111519598A (zh) * 2020-04-22 2020-08-11 蒋贤东 一种用于土地荒漠化的治理装置及其使用方法
CN111519598B (zh) * 2020-04-22 2020-11-24 蒋贤东 一种用于土地荒漠化的治理装置及其使用方法
CN114045782A (zh) * 2021-11-11 2022-02-15 鲁东大学 可调节拦沙量的开孔拦沙堤形态布设方法、布设系统及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1877B1 (ko) 해안용 모래 포집 구조물
US4954013A (en) Means and method for stabilizing shorelines
KR101009811B1 (ko) 석재고정매트 및 시공방법
KR100913772B1 (ko) 자연형 하천의 생태 어도보
CN1211538C (zh) 用于水土流失控制和岸防工事的方法以及用于水土流失控制和岸防的结构
KR200433035Y1 (ko) 하천 제방의 생태복원용 방틀 구조
KR100876579B1 (ko) 하천 호안용 삼각방틀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746852B1 (ko) 강한 조류속에 대처할 수 있도록 된 오탁방지막
Greenway et al. Engineered approaches for limiting erosion along sheltered shorelines: a review of existing methods
KR100451982B1 (ko) 자연식생형 유수천변구조
RU2351708C1 (ru)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откосного крепления биопозитивной конструкции
KR101035132B1 (ko) 호안 보호 블록 지지용 기초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
RU2406800C2 (ru)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габионного тюфяка биопозитивной конструкции
CN107938592A (zh) 一种直线型城市河道的生态改造结构
CN207812392U (zh) 一种直线型城市河道的生态改造结构
KR101193578B1 (ko) 생태복원형 망태 및 그 제작방법
KR101114521B1 (ko) 호안 보호 블록 지지용 기초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
GB2594985A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erosion prevention
KR100696066B1 (ko) 해안방호시설용 옹벽구조물
KR100451981B1 (ko) 자연식생형 유수천변구조
KR20160107638A (ko) 방파제 유닛 및 방파제 구조물
KR102264637B1 (ko) 바이오 폴리머 피복 다공성 골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존치형 수변사면 침식방지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0451983B1 (ko) 자연식생형 유수천변구조
KR200429763Y1 (ko) 세굴방지블럭
US20230051607A1 (en) Securable device and method for secur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