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6319B1 - 해변용 모래유실방지기 - Google Patents

해변용 모래유실방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6319B1
KR100786319B1 KR1020070027412A KR20070027412A KR100786319B1 KR 100786319 B1 KR100786319 B1 KR 100786319B1 KR 1020070027412 A KR1020070027412 A KR 1020070027412A KR 20070027412 A KR20070027412 A KR 20070027412A KR 100786319 B1 KR100786319 B1 KR 100786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nd loss
main body
sand
steel frame
l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7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승호
Original Assignee
한승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승호 filed Critical 한승호
Priority to KR1020070027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63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6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6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9Polyhedrons, tetrapods or similar bodies, whether or not threaded on st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변용 모래유실방지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변과 가까운 해저면에 사각틀체형으로 형성되며 다수개의 지지대가 설치되어 바닷물이 통과하는 공간이 축소되고 중량체로 무거운 다수개의 모래유실방지기 본체를 망타입의 연결기로서 연결하여 설치하며, 모래유실방지기 본체의 상부에는 바닷물이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 중량체의 호안블록을 다수 설치함으로서, 바다 측에서 해변 측으로 밀려오는 커다랗고 강력한 파도물살이 모래유실방지기 본체와 호안블록에 부딪치면서 잘게 부서지게 되고, 이렇게 파도물살이 잘게 부서지면서 모래유실방지기 본체와 호안블록의 공간을 통과하여 해변까지 밀려들어가는 동안에 물살의 힘이 약해지게 되며, 이렇게 잘게 부서지고 약해진 물살이 해변으로 밀려왔다 바다 측으로 빠져나갈 때는 상기와 같이 물살이 잘게 부서지고 힘이 약해져서 해변의 모래를 바다 측으로 끌고나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해변과 가까운 해저면에 사각틀체형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를 간격을 두고 자중에 의해 가라앉게 설치하되, 상기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의 상부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걸이구(15)를 간격을 두고 설치하며, 인접한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와의 사이에는 양단에 걸이구(15)에 걸리는 걸고리구(21)를 설치한 플랙시블한 연결기(2)를 연결 설치하여 다수개의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가 연결기(2)에 의해 연결 설치되고, 상기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는 철제빔을 용접으로 결합하여 사각틀체형의 메인철골(11)을 형성한 뒤에, 이 메인철 골(11)의 하부에는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가 해저면에 박히게 하는 앵커(16)를 용접으로 결합 설치하며, 그 메인철골(11)의 내부에는 격자형으로 다수개의 공간부(13)를 형성하도록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철제빔으로 된 다수개의 지지철골(12)를 설치하고, 메인철골(11)과 각각의 지지철골(12)에 형성되는 사각으로 개방된 부분에는 개방된 부분의 간격을 좁히는 다수개의 지지대(14)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기(2)는 양단에 걸이구(15)에 걸어지는 걸고리구(21)를 설치한 수개의 플랙시블밴드(22)를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으로 배치한 뒤에, 수개의 플랙시블밴드(22)에는 수개의 플랙시블밴드(22) 간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하는 막대형의 폭고정대(23)가 간격을 두고 횡방향으로 고정 결합되며, 상기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의 상부에는 바닷물이 통과할 다수의 공간을 구비한 중량물의 호안블럭(3)이 다수 얹혀지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해변, 해저면, 바다, 모래유실, 모래유실방지기, 연결기, 호안블록

Description

해변용 모래유실방지기{Device for preventing sand on the seashore from being swept away}
도 1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가 되는 모래유실방지기 본체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가 되는 모래유실방지기 본체의 사시도.
도 5는 모래유실방지기 본체의 상부에 호안블록을 설치한 상태를 타나내는 측면도.
도 6은 모래유실방지기 본체와 호안블록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7은 모래유실방지기 본체의 상부에 얹혀지게 설치하는 호안블록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모래유실방지기 본체 2 : 연결기 3 : 호안블록
11 : 메인철골 12 : 지지철골 13 : 공간부
14 : 지지대 15 : 걸이구 16 : 앵커
21 : 걸고리구 22 : 플랙시블밴드 23 : 폭고정대
31 : 철도침목 32 : 롱볼트 33 : 아이볼트
본 발명은 해변용 모래유실방지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변과 가까운 해저면에 사각틀체형으로 형성되며 다수개의 지지대가 설치되어 바닷물이 통과하는 공간이 축소되고 무게가 무거운 다수개의 모래유실방지기 본체를 망타입의 연결기로서 연결하여 설치하며, 모래유실방지기 본체의 상부에는 바닷물이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 중량체의 호안블록을 다수 설치함으로서, 바다측에서 해변 측으로 밀려오는 커다랗고 강력한 파도물살이 모래유실방지기 본체와 호안블록에 부딪치면서 잘게 부서지게 되고, 이렇게 파도물살이 잘게 부서지면서 모래유실방지기 본체와 호안블록의 공간을 통과하여 해변까지 밀려들어가는 동안에 물살의 힘이 약해지게 되고, 이렇게 잘게 부서지고 약해진 물살이 해변으로 밀려왔다 바다 측으로 빠져나갈 때는, 상기와 같이 물살이 잘게 부서지고 힘이 약해져서 해변의 모래를 바다 측으로 끌고나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해변에 모래가 파도에 의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종래의 수단은, 해변과 근접한 바다 속에 다수의 테트라포드를 투입하여 바다속에 바위덩어리가 설치된 형태로 하였다.
이와 같이 테트라포드는 4개의 뿔 모양의 콘크리트 구조물로서 그 무게는 작은 것이 5톤에서부터 큰 것은 100톤 이상이 되는 것도 있으며, 이렇게 바닷속에 테 트라포드를 투입 설치함에 따라 다수의 테트라포드 더미가 강한 조류나 수압을 이겨내어 파도의 힘을 소멸시키거나 감소시키게 된다.
위와 같이 테트라포드 더미가 강한 조류나 수압을 이겨냄에 따라 바다측에서 해변측으로 밀려 들어왔던 파도가 바다측으로 나갈 때는 그 힘이 약화되어 해변의 모래가 바다측으로 휩쓸려 나가는 것을 최소화하는 효과와, 상기 테트라포드에 전복이나 멍게 등의 수생생물이 많이 서식하게 되어 해녀들의 수입이 향상되는 효과를 아울러 지니고 있었다.
그러나, 이는 10미터 내외의 깊은 바다 속에 다량의 테트라포드를 모래의 유실을 막기 위하여 해수욕장의 길이만큼 길게 투입해야 함에 따라 테트라포드의 설치비용이 너무나도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해변과 가까운 해저면에 투입하는 모래유실방지기 본체를 사각틀체형으로 형성하면서 그 모래유실방지기 본체에는 바닷물이 통과하는 공간이 축소되게 다수개의 지지대를 설치하고, 그 내부에도 바닷물이 통과하는 공간이 축소되게 하는 다수의 지지대를 설치하며, 이렇게 구성되는 다수개의 모래유실방지기 본체를 망타입의 연결기로서 연결하여 설치하고, 모래유실방지기 본체의 상부에는 바닷물이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 중량체의 호안블록을 다수 설치함으로서, 바다측에서 해변 측으로 밀려오는 커다랗고 강력한 파도물살이 모래유실방지기 본체와 호안블록에 부딪치면서 잘게 부서지고 그 힘이 약해져서 해변의 모래를 바다 측으로 끌고나가는 것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모래유실방지기의 설치비용을 대폭 낮아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상기 각각의 모래유실방지기 본체 사이에는 망타입의 연결기를 설치함으로서, 망타입의 연결기에서 수초가 자라면서 많은 물고기가 모여들어 어민의 수입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해변과 가까운 해저면에 사각틀체형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모래유실방지기 본체를 간격을 두고 자중에 의해 가라앉게 설치하되, 상기 모래유실방지기 본체의 상부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걸이구를 간격을 두고 설치하며, 인접한 모래유실방지기 본체와의 사이에는 양단에 걸이구에 걸리는 걸고리구를 설치한 플랙시블한 연결기를 연결 설치하여 다수개의 모래유실방지기 본체가 연결기에 의해 연결 설치되고, 상기 모래유실방지기 본체는 철제빔을 용접으로 결합하여 사각틀체형의 메인철골을 형성한 뒤에, 이 메인철골의 하부에는 모래유실방지기 본체가 해저면에 박히게 하는 앵커를 용접으로 결합 설치하며, 그 메인철골의 내부에는 격자형으로 다수개의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철제빔으로 된 다수개의 지지철골를 설치하고, 메인철골과 각각의 지지철골에 형성되는 사각으로 개방된 부분에는 개방된 부분의 간격을 좁히는 다수개의 지지대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기는 양단에 걸이구에 걸어지는 걸고리구를 설치한 수개의 플랙시블밴드를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으로 배치한 뒤에, 수개의 플랙시블밴드에는 수개의 플랙시블밴드 간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하는 막대형의 폭고정대가 간격을 두고 플랙시블밴드와 횡방향으로 고정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해변용 모래유실방지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해변용 모래유실방지기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해변과 가까운 해저면에 사각틀체형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를 간격을 두고 자중에 의해 가라앉게 설치한다.
상기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의 상부 외주면에는 인접한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를 연결기(2)로 연결 설치하기 위한 다수개의 걸이구(15)를 간격을 두고 설치하며, 인접한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와의 사이에는 양단에 걸이구(15)에 걸리는 걸고리구(21)를 설치한 플랙시블한 연결기(2)를 연결 설치하여 다수개의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가 연결기(2)에 의해 연결 설치된다.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는 철제빔을 용접으로 결합하여 높이가 낮은 사각틀체형의 메인철골(11)을 형성한 뒤에, 이 메인철골(11)의 하부에는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가 해저면에 박히게 하는 앵커(16)를 용접으로 결합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철골(11)의 내부 상하에는 평면에서 볼 때 격자형으로 다수개의 공간부(13)를 형성하도록 메인철골(11) 내측의 상하부에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철제빔으로 된 다수개의 지지철골(12)를 용접으로 결합설치한다.
상기 상하부측 지지철골(12)이 교차하는 부분에는 상하방향으로 수직지지대(12a)를 설치하며, 각각의 지지철골(12)이 메인철골(11)과 결합되는 부분의 메인 철골(11)에도 상기 수직지지대(12a)와 동일한 길이의 외측지지대(12b)가 수직하게 용접으로 설치된다.
이때, 각각의 수직지지대(12a)와 외측지지대(12b)를 메인철골(11)과 지지철골(12)와 동일하게 철제 H빔을 이용하여 용접으로 결합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지지대(12a)와 외측지지대(12b)를 반드시 철제 H빔을 이용하여 용접으로 결합 설치해야만 하는 것이 아니고, 목재 철도침목이나, 콘크리트 철도침목과 같은 다른 재질로의 제작도 가능한 것임을 밝혀둔다.
그리고, 메인철골(11)과 각각의 지지철골(12)에 사각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공간부분에는 상기와 같이 사각으로 개방된 부분의 간격을 좁히는 다수개의 지지대(14)가 설치된다.
이때, 지지대(14)의 설치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예로서 메인철골(11)의 외부면에 지지대(14)를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설치하여 메인철골(11)의 외부면에는 바닷물이 통과할 공간이 격자형으로 형성되게 되었으며, 메인철골(11)의 내부에 설치된 지지철골(12)에는 지지대(14)를 세로방향으로만 설치하였으나, 지지철골(12)에 지지대(14)를 설치할 경우에도 지지대(14)를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설치하여 바닷물이 통과할 공간이 격자형으로 형성되게 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출원인은 메인철골(11)의 크기를 가로, 세로의 길이를 10미터로 하고 높이를 2미터로 제작하였으며, 메인철골(11)과 지지철골(12)을 제작하는 철제빔을 철제 H빔으로 제작하였음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메인철골(11)과 지지철골(12)에 지지대(14)를 설치할 때, 지지 대(14)의 설치위치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파도에 의해 바닷물이 들이치는 전면측 방향에 지지대(14)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파도에 의해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 측으로 큰 힘으로 바닷물이 밀어 닥칠 때, 전면측에 설치된 지지대(14)가 후방측으로 밀리는 하중을 받게 되는데, 이 지지대(14)가 결합된 단부가 철제빔으로 제작된 메인철골(11)과 지지철골(12)의 전면에 지지되어서 메인철골(11)과 지지철골(12)에 결합된 지지대(14)가 이탈되며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2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연결기(2)는 양단에 걸이구(15)에 걸어지는 걸고리구(21)를 설치한 수개의 플랙시블밴드(22)를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으로 배치한 뒤에, 수개의 플랙시블밴드(22)에는 수개의 플랙시블밴드(22) 간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하는 막대형의 폭고정대(23)가 간격을 두고 플랙시블밴드(22)와 횡방향으로 고정 결합된 것이다.
이때, 상기 각각의 플랙시블밴드(22)는 직물지를 밴드형으로 직조한 것이나, 로프, 또는 금속체인과 같이 너울거리는 바닷물에 의해 인접한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 사이를 연결한 연결기(2)의 연결부위가 쉽게 손상되지 않게 하는 유연성이 있는 것을 사용해야 한다.
그리고, 플랙시블밴드(22)의 양단부에 설치되는 걸고리구(21)는 "U"자형으로 형성된 샤클몸체와, 샤클몸체의 개구된 단부에 끼워지는 잠금볼트로 이루어지는 공지의 샤클이나, 또는 후크형 걸고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플랙시블한 수개의 플랙시블밴드(22)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결합되 는 폭고정대(23)는 철도침목과 같이 단단하며 물에 뜨지 않는 목재나, 철제빔을 플랙시블밴드(22)와 횡으로 수개를 간격을 두고 결합 설치하여 수개의 플랙시블밴드(22)가 바닷물 살에 의해 유동하며 뭉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플랙시블밴드(22)와 폭고정대(23)의 결합은 볼트를 이용하여 체결 결합하거나, 로프로 결속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다수개의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와 그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의 인접한 사이에 연결기(2)를 설치하여 다수의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와 연결기(2)로 이루어지는 모래유실방지기를 해저면에 설치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도 5와 같이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의 상부에 중량물의 호안블록(3)을 올려놓아 고정 설치할 수 도 있는 것이다.
상기 호안블록(3)은 바닷물살이 통과할 수 있게 공간부가 구비된 것이면 그 설치가 가능하며, 그 일예로 도 7에 도시된 호안블록(3)를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의 상부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 7에 도시된 호안블록(3)은 공지된 콘크리트 철도침목(31)을 사각형으로 적층하여 철도침목(31)의 양측에 관통된 볼트구멍으로 롱볼트(32)를 체결하여 다수개의 철도침목(31)을 정(井)자형으로 고정 결합시킨 것이며, 적층되는 철도침목(31)의 볼트구멍을 관통한 롱볼트(32)에는 너트를 체결하여 다수개의 철도침목(31)이 정(井)자형으로 고정 결합시키어 구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정(井)자형으로 고정 결합되는 호안블록(3)은, 먼저 2개의 철도침목(31)을 볼트구멍만큼 간격을 둔 상태에서 그 상부에 또 다른 롱볼트(32)의 볼 트구멍에 대응되게 90도 방향으로 적층하는 것을 반복하여 각각의 볼트구멍으로 롱볼트(32)를 관통시키고, 각각의 결합부(볼트구멍)를 통과하고 외측으로 노출된 부분에 너트를 체결 설치하는 것이다.
위와 같이 구성된 호안블록(3)을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의 상부에 마름모꼴로 얹혀지게 올려놓는데,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의 상부에 수평 설치된 메인철골(11)의 상부와 그 일측의 지지철골(12)의 상부와, 서로 수평하게 인접한 지지철골(12)의 상부에 호안블록(3)을 마름모꼴로 얹혀지게 올려놓다.
위와 같이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의 상부에 호안블록(3)을 마름모꼴로 올려놓은 뒤에 각각의 호안블록(3)을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의 상부와 로프나 체인으로 묶거나, 또는 메인철골(11)의 수평한 상부와 지지철골(12)의 수평한 상부에 구멍을 뚫어 아이볼트(32)를 설치한 뒤에 그 아이볼트(32)의 고리부와 철도침목(31) 사이를 관통하여 노출된 롱볼트(32)에 고리, 또는 철사, 로프 등의 결속수단을 이용하여 호안블록(3)을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에 고정 설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 관계를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출원인은 해변용 모래유실방지기를 제작하는데 있어서,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의 크기와 중량을 가로 10미터, 세로 10미터, 높이 2미터, 중량 20톤의 무게로 제작하고, 호안블록(3)은 가로, 세로, 높이가 2미터 정도의 크기에 중량이 6.5톤으로 제작하였으며, 인접한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를 연결하는 연결기(2)의 길이는 12미터 내외의 길이로 제작하였으나, 위의 모래유실방지기 본 체(1)와 호안블록(3)의 크기와 무게, 그리고 연결기(2)의 길이는 위의 크기와 무게로 한정하는 것이 아님을 밝힌다.
본 발명을 해변과 근접한 해저에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는 수면으로부터 해저면까지의 깊이가 10미터 내외의 깊이인 지점을 선택하여 본 발명을 설치해야 하는데, 이는 본 발명을 설치한 수면위로 소형 선박이 지날 때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 파도에 의해 밀려들어오는 바닷물의 힘을 효과적으로 약화시킬 수 있기 위함이다.
본 발명을 해변과 근접한 해저면에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일측에 연결기(2)의 일측이 연결된 상태의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를 바지선에 실린 크레인을 이용하여 해저면에 투입하면서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와 연결되지 아니하여 자유상태인 연결기(2)의 타측단을 바닷물속으로 투입되지 않도록 바지선 상측에서 잡고 있는다.
이렇게 1개의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가 수심이 10미터 정도가 되는 바다속에 투입이 되면, 2미터 높이의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 상부 외주면에 연결된 연결기(2)는 그 길이가 12미터 내외의 길이로 제작되었으므로 연결기(2)의 타측 자유단부에 설치된 걸고리구(21)는 수면위의 바지선 위에 위치시킨 뒤에, 다음에 투입하는 다른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의 상부에 설치된 걸이구(15)에 걸어서 연결한다.
상기와 같이 연결기(2)의 타단을 연결한 그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의 타측 걸이구(15)에 또 다른 연결기(2)의 일측을 걸은 뒤에, 그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를 다시 크레인을 이용하여 해저면으로 투입하며, 이 경우에도 두 번째로 투입하는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의 타측에 연결된 연결기(2)의 타단은 수면위로 노출되게 하면서 위의 방법과 동일한 작업방법으로 다수개의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를 연속하여 해저면에 투입한다.
위에서 1개의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에 1개의 연결기(2)를 연결한 상태에서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를 해저면에 투입하고, 뒤이어 첫 번째로 투입한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에 연결되며 수면 위로 노출된 연결기(2)의 타단을 두 번째로 투입할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의 일측에 연결하는 방법으로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를 해저면에 투입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예로서 2개의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 사이에 1개의 연결기(2)를 연결하고, 두 번째로 투입되는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의 타측에 세 번째의 연결기(2) 일측으로 연결하면서 해저면에 투입할 수 도 있는 것으로서, 작업여건에 따라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와 연결기(2)를 연결하면서 해저면에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와 연결기(2)를 연결할 때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의 상부 외주면에 설치된 걸이구(15)에 연결기(2)의 플랙시블밴드(22) 단부에 설치된 걸고리구(21)를 걸어서 설치하는 것으로 그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를 해저면에 투입할 때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의 무게가 20톤 정도로 매우 무겁기 때문에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가 자중에 의해 물속으로 가라않게 되고, 이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의 하부에는 끝이 뾰족한 수개의 앵커(16)가 설치되어 있어서 이 렇게 가라앉는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가 해저면에 든든하게 안착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해저면에 가라앉혀 설치하는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는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 끼리 연결하고 있는 연결기(2)의 길이만큼의 간격을 두고 해저면에 설치하며, 인접한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의 사이에는 연결기(2)가 빨래줄을 연결한 것과 같이 설치되게 된다.
이와 같이 설치하는 본 발명은 도 2와 같이 이열 내지 삼열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전후방에 설치되는 해변용 모래유실방지기의 전후방측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가 지그재그식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전방측의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가 파도의 강력한 힘을 약화시키나, 연결기(2)가 연결된 부분으로는 강력한 물살이 통과하게 된다. 그런데 그 후방에는 또 다른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가 위치하고 있으므로 강력한 물살의 힘을 지그재그식으로 배치된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가 전후방에서 모두 커버하여 약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위와 거대한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을 다수 연결 설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태풍이나 해일과 같이 거대한 파도가 밀어 닥치는 경우에는 다수의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가 거대한 파도에 휩쓸릴 수 있으므로, 도 5 내지 도 7과 같이 1개의 무게가 6.5톤이나 되는 다수개의 호안블록(3)을 각각의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에 적층 설치하여 큰 파도에 대응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호안블록(3)을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의 상부에 적층 설치할 때는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와 그 상측에 적층된 호안블록(3)을 로프나 체인 등의 결속수 단을 이용하여 큰 파도에도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에서 호안블록(3)이 이탈되지 않게 한다.
상기 각각의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는 도 3 및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메인철골(11)과 지지철골(12)의 사이에 공간부(13)가 형성되므로, 그 공간부(13)로 호안블록(3)의 모서리부분이 삽입되며 양측 경사부분이 수평 설치된 메인철골(11)과 지지철골(12)의 상부 및 인접한 지지철골(12)의 상부에 걸쳐지면서 적층되게 된다.
이때, 상기 호안블록(3)이 얹혀지는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의 메인철골(11)과 지지철골(12)의 간격과, 인접한 지지철골(12)간의 간격은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의 상측으로 얹혀지는 호안블록(3)이 도 5와 같이 삼각부분이 걸쳐질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되어야 함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 호안블록(3)에서 경사부분이라고 칭한 것은 정(井)자형으로 설치된 호안블록(3)을 마름모꼴이 되도록 45도만큼 기울여서 적층시킴에 따라 각기 90도 방향으로 설치된 철도침목(31)의 외측 부분이 경사지게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설치하는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에 공간부(13)를 일실시예인 도 4와 같이 15개로 마련하고 그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에 호안블록(3)을 3단 3열로 적층 설치하면, 1개의 무게가 20톤인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 1개와, 1개당 무게가 6.5톤인 호안블록(3) 18개의 무게의 합은 137톤이 된다.
이와 같은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 1개와, 그 1개의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 상부에 18개의 호안블록(3)이 적층되어 137톤이 되는 하나의 더미는 커다란 바위덩 어리 같아서 커다란 태풍이나 해일에도 쓰러지지 않고 그 설치위치에 있게 된다.
이렇게 다수개의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를 연결기(2)로 연결하면서 필요로 하는 해변의 길이만큼 해변과 근접한 해저면에 투입 설치하고, 그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의 상부에 다수개의 호안블록(3)을 수심에 따라 3단정도로 적층 설치하여 본 발명의 설치를 완료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을 해저면에 설치한 상태에서 파도가 들이 닥치게 되면, 도 3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거세게 밀려들어오는 거센 물살은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의 외측면에 격자형으로 설치된 다수개의 지지대(14)와, 호안블록(3)의 다수개의 철도침목(31)에 의해 구멍이 숭숭 뚫린 형태의 구조물에 부딪치면서 거센 물살이 부서지게 된다.
상기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는 메인철골(11)과 지지철골(12)에 의해 격자형 창틀을 다수개 간격을 두고 설치한 형태이고, 그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의 위에 구멍이 숭숭 뚫린 형상의 다수개의 호안블록(3)이 다수개가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음에 따라 다수의 구조물[지지대(14) 및 수직지지대(12a)와 외측지지대(12b), 철도침목(31)]을 통과하면서 그 때 마다 파도물살이 잘게 부서지면서 들이치는 물살의 힘이 약화되게 된다.
이렇게 약화되어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와 그 상측의 호안블록(3)을 통과하여 해변으로 들어온 물살의 힘은 매우 약해진 상태이며, 이렇게 약해진 물살은 상기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와 그 상측의 호안블록(3)에 숭숭 뚫린 구멍을 통하여 다시 바다측으로 빠져나가게 되는데, 이때는 힘이 빠져나가는 물살의 힘이 더욱 약 해진 상태로 빠져나가기 때문에 해변의 모래를 휩쓸려 나가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와 그 상측의 호안블록(3)을 통과하여 들어오는 물살의 힘이 약해지고, 나갈 때에는 그 힘이 더욱더 약해진 상태로 빠져 나감에 따라 해변의 모래가 유실되지 않게 되는 큰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인접한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를 연결하는 연결기(2)는 만약에 거센 파도에 의해 각각의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가 흐트러지거나 넘어지는 것을 예방하는 효과 외에도, 이 연결기(2)가 직물지로서 밴드형으로 직조한 밴드나, 로프, 또는 체인과 같은 다수 줄의 플랙시블밴드(22)와, 그 플랙시블밴드(22)를 가로질러 다수의 플랙시블밴드(22)가 엉키지 않도록 바형태의 폭고정대(23)가 설치되어 전체적으로 커다란 격자형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격자형, 또는 다른 표현으로 망형태로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그 연결기(2)에는 수초가 자랄 수 있게 되고, 그 연결기(2)에 수초가 무성하게 자라고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와 호안블록(3)의 내부 공간에 물살이 약해짐에 따라 물고기가 모여들어 어초의 기능을 충실하게 수행하여 어민의 소득증대에도 큰 도움이 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와 그 상측에 적층 설치되는 호안블록(3)은 바다 속에서 견고하게 바위덩이처럼 커다란 물체가 고정되어 있음에 따라 전복과 같은 조개류 및 해조류 등이 달라붙어 해녀들의 수입에도 큰 도움이 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을 장기간의 사용으로 연결기(2)가 손상이 되는 경우에는 연결기(2) 가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와 걸고리구(21) 및 걸이구(15)에 의해 착탈식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걸고리구(21)와 걸이구(15)을 분리하여 새로운 연결기(2)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해변용 모래유실방지기는, 해변과 가까운 해저면에 투입하는 모래유실방지기 본체를 사각틀체형으로 형성하면서 그 모래유실방지기 본체에는 바닷물이 통과하는 공간이 축소되게 다수개의 지지대를 설치하고, 그 내부에도 바닷물이 통과하는 공간이 축소되게 하는 다수의 지지대를 설치하며, 이렇게 구성되는 다수개의 모래유실방지기 본체를 망타입으로 엉성하게 공간을 형성한 연결기로서 연결하여 설치하고, 모래유실방지기 본체의 상부에는 바닷물이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 중량체의 호안블록을 다수 설치함으로서, 바다측에서 해변 측으로 밀려오는 커다랗고 강력한 파도물살이 모래유실방지기 본체와 호안블록에 부딪치면서 잘게 부서지고 그 힘이 약해져서 해변의 모래를 바다 측으로 끌고나가는 것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모래유실방지기 본체 및 호안블록이 속이 꽉 차지 않고 엉성하게 많은 공간을 형성하여 설치시 부피는 커짐에 따라 해저에 설치 시 설치면적을 많이 차지하여 설치비용이 그 만큼 낮아지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모래유실방지기 본체 사이에는 망타입으로 엉성하게 공간을 형성한 연결기를 설치하고, 상기 모래유실방지기 본체 및 호안블록이 속이 꽉 차지 않고 엉성하게 많은 공간을 형성함으로서, 모래유실방지기 본체 및 호안블록, 그리고 연결기에서 수초가 자라면서 많은 물고기가 모여들어 어민의 수입이 증대되게 하는 효과를 함께 지니고 있는 것이다.

Claims (4)

  1. 해변과 가까운 해저면에 사각틀체형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를 간격을 두고 자중에 의해 가라앉게 설치하되, 상기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의 상부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걸이구(15)를 간격을 두고 설치하며, 인접한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의 사이에는 양단에 걸이구(15)에 걸리는 걸고리구(21)를 설치한 플랙시블한 연결기(2)를 연결 설치하여 다수개의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가 연결기(2)에 의해 연결 설치되고,
    상기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는 철제빔을 용접으로 결합하여 사각틀체형의 메인철골(11)을 형성한 뒤에, 이 메인철골(11)의 하부에는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가 해저면에 박히게 하는 앵커(16)를 용접으로 결합 설치하며, 그 메인철골(11)의 내부에는 격자형으로 다수개의 공간부(13)를 형성하도록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철제빔으로 된 다수개의 지지철골(12)를 설치하고, 메인철골(11)와 각각의 지지철골(12)에 형성되는 사각으로 개방된 부분에는 개방된 부분의 간격을 좁히는 다수개의 지지대(14)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기(2)는 양단에 걸이구(15)에 걸어지는 걸고리구(21)를 설치한 수개의 플랙시블밴드(22)를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으로 배치한 뒤에, 수개의 플랙시블밴드(22)에는 수개의 플랙시블밴드(22) 간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하는 막대형의 폭고정대(23)가 간격을 두고 플랙시블밴드(22)와 횡방향으로 고정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변용 모래유실방지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의 상부에는 바닷물이 통과할 다수의 공간을 구비한 중량물의 호안블록(3)이 다수 얹혀지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변용 모래유실방지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호안블록(3)은 양측에 볼트구멍이 관통되어 있는 다수개의 콘크리트 철도침목(31)를 정(井)자형으로 적층시키되, 각각의 서로 적층되는 철도침목(31)의 볼트구멍이 통하게 적층된 상태에서 서로 통하는 볼트구멍에 롱볼트(32)를 관통시켜 각각의 볼트구멍을 통과하고 외측으로 노출된 나사부분에 너트를 체결 설치하고,
    상기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의 상부에 수평 설치된 메인철골(11)의 상부와 그 일측의 지지철골(12)의 상부 사이와, 서로 수평하게 인접한 지지철골(12)의 상부 사이에 호안블록(3)을 마름모꼴로 얹혀지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변용 모래유실방지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의 상부에 얹혀지게 설치한 호안블록(3)을 로프나 체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모래유실방지기 본체(1)에 묶어 고정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변용 모래유실방지기.
KR1020070027412A 2007-03-21 2007-03-21 해변용 모래유실방지기 KR100786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7412A KR100786319B1 (ko) 2007-03-21 2007-03-21 해변용 모래유실방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7412A KR100786319B1 (ko) 2007-03-21 2007-03-21 해변용 모래유실방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6319B1 true KR100786319B1 (ko) 2007-12-14

Family

ID=39141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7412A KR100786319B1 (ko) 2007-03-21 2007-03-21 해변용 모래유실방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63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2270A (ko) * 2021-08-24 2021-09-14 한승호 분수기가 구비된 모래유실방지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7255A (ja) 1997-10-13 1999-04-27 Nippon Kokan Light Steel Kk 鋼製籠枠
KR200413124Y1 (ko) 2006-01-27 2006-04-05 주식회사 케이투기술단 수중 구조물 세굴(洗掘) 방지용 헥사포드
KR200417792Y1 (ko) 2006-03-23 2006-06-02 김분선 방파제 구축용 블록
KR100761877B1 (ko) 2007-03-27 2007-09-28 (주)에코원 해안용 모래 포집 구조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7255A (ja) 1997-10-13 1999-04-27 Nippon Kokan Light Steel Kk 鋼製籠枠
KR200413124Y1 (ko) 2006-01-27 2006-04-05 주식회사 케이투기술단 수중 구조물 세굴(洗掘) 방지용 헥사포드
KR200417792Y1 (ko) 2006-03-23 2006-06-02 김분선 방파제 구축용 블록
KR100761877B1 (ko) 2007-03-27 2007-09-28 (주)에코원 해안용 모래 포집 구조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2270A (ko) * 2021-08-24 2021-09-14 한승호 분수기가 구비된 모래유실방지장치
KR102527767B1 (ko) * 2021-08-24 2023-04-28 한승호 분수기가 구비된 모래유실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83675B2 (ja) 永久・半永久防波堤構造体および海岸部および陸地部再生方法
KR100844925B1 (ko) 자연석 고정용 장치
US6481926B2 (en) Adjustable porous structures and method for shoreline and land mass reclamation
US6722817B2 (en) Adjustable porous structures and method for shoreline and land mass reclamation
CN108086267A (zh) 一种轻便型防污屏其布设施工方法
AU2002256111A1 (en) Adjustable porous structures and method for shoreline and land mass reclamation
KR100554867B1 (ko) 사방 또는 호안 공사 방법 및 사방 또는 호안용 구조물
US6932539B2 (en) Permanent and semi-permanent groyne structures and method for shoreline and land mass reclamation
CN214219597U (zh) 河道疏浚水中单侧支撑-拉锚拦污屏
KR100786319B1 (ko) 해변용 모래유실방지기
US11661716B1 (en) Erosion control system for preventing shoreline erosion
JP5882438B1 (ja) 防潮堤
CN213740870U (zh) 一种水利工程护坡防护加固装置
KR20100138728A (ko) 호안 보호 블록 지지용 기초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114521B1 (ko) 호안 보호 블록 지지용 기초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319698Y1 (ko) 오탁방지막 설치용 나무말뚝 앵커 및 이를 이용한오탁방지막 구조물
KR200413124Y1 (ko) 수중 구조물 세굴(洗掘) 방지용 헥사포드
RU2823326C1 (ru) Способ защиты водной акватории при проведении строительных работ на гидротехнических сооружениях
KR101684340B1 (ko) 연안의 세굴방지구조 및 그것의 설치방법
CN217657707U (zh) 一种贝苗海滩培育装置
CN215165207U (zh) 一种土石堤坝防浪险情的应急装置
KR100788950B1 (ko) 수중 구조물 세굴(洗掘) 방지용 헥사포드
KR20110012417A (ko) 다기능 사방댐과 그 구조물의 벽면녹화장치 및 시설물의 관리방법.
KR100283400B1 (ko) 식생호안 축조방법 및 그 제방구조물
KR20000061864A (ko) 식생호안 시공재와 이를 이용한 식생호안의 축조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