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2417A - 다기능 사방댐과 그 구조물의 벽면녹화장치 및 시설물의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다기능 사방댐과 그 구조물의 벽면녹화장치 및 시설물의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2417A
KR20110012417A KR1020090070136A KR20090070136A KR20110012417A KR 20110012417 A KR20110012417 A KR 20110012417A KR 1020090070136 A KR1020090070136 A KR 1020090070136A KR 20090070136 A KR20090070136 A KR 20090070136A KR 20110012417 A KR20110012417 A KR 201100124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
multifunctional
support
fixing
lock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0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준
최영근
Original Assignee
박경준
최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준, 최영근 filed Critical 박경준
Priority to KR1020090070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2417A/ko
Publication of KR20110012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24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02Fixed barrages
    • E02B7/04Dams across valleys
    • E02B7/08Wall da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2Sediment base gates; Sand sluices; Structures for retaining arresting waterborne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14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ement of pressure
    • G01F23/18Indicating, recording or alarm devices actuated electrically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사방댐과 그 구조물의 벽면녹화장치 및 시설물의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집중호우시 계류(溪流)및 시냇가에서 파생되는 유수(流水)의 세력을 저지하고, 하부 지반 침식과 토석유출을 방지하는 사방댐 역할뿐만 아니라, 유수와 함께 떠내려가는 유목, 생활쓰레기, 농업 폐자재류, 낙엽류등의 하류 유입을 원천 저지하므로써, 수질오염 예방 및 호우가 그친 후 산재(散在)된 유목 및 쓰레기 수거에 대한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고, 평상시 동물류, 수서곤충(水棲昆蟲, aquatic insect)류, 어류의 이동이 자유로운 친환경적이고, 생태계 파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다기능 사방댐과 그 구조물의 벽면녹화장치 및 시설물의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콘크리트등의 사용을 최소화하고, 측벽 벽면녹화장치와
시설물의 탈착 및 바닥면의 은폐로, 평상시 주변환경과 흡사한 자연친화적인 다기능 사방댐과 그 구조물의 벽면녹화장치 및 시설물의 관리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동물류, 어패류, 양서류, 수서곤충류등의 이동경로가 차단되지 아니하고, 주변의 먹이사슬을 유지할 수 있는 생태계 비파괴적인 다기능 사방댐과 그 구조물의 벽면녹화장치 및 시설물의 관리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우기의 급류발생시 유수세력 저지 및 토석류 침전, 하상의 완구배, 담수등 기존 사방댐 역할 뿐만 아니라, 시설물의 탈착과 벽면녹화로 사방댐 높이를 최대한 높게 할 수 있으므로써, 유목, 농업폐자재류, 쓰레기, 낙엽등의 하류유입을 원천 저지할 수 있는 친환경적 다기능 사방댐과 그 구조물의 벽면녹화장치 및 시설물의 관리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하류로부터 다기능 사방댐의 접근이 용이하여 토사의 준설 및 시설물의 철거 관리가 용이한 다기능 사방댐과 그 구조물의 벽면녹화장치 및 시설물의 관리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도심지와 인접한 하천의 둔치를 통해 하류로 유입되는 쓰레기류를 저지할 수 있는 다기능 사방댐과 그 구조물의 벽면녹화장치 및 시설물의 관리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집중호우로 고립될 수 있는 동물과 사람이 쉽게 도하 가능한 다기능 사방댐과 그 구조물의 벽면녹화장치 및 시설물의 관리방법이 제공된다.
고정대, 지지대, 어도, 고정수단, 걸림수단, 고정밧줄, 회동수단, 구동수단.

Description

다기능 사방댐과 그 구조물의 벽면녹화장치 및 시설물의 관리방법.{Wall Afforestation System for Multifunctional Debris Barrier Structure and the Management Method}
본 발명은 다기능 사방댐과 그 구조물의 벽면녹화장치 및 시설물의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집중호우시 계류(溪流)및 시냇가에서 파생되는 유수(流水)의 세력을 저지하고, 하부 지반 침식과 토석유출을 방지하는 사방댐 역할뿐만 아니라, 유수와 함께 떠내려가는 유목, 생활쓰레기, 농업 폐자재류, 낙엽류등의 하류 유입을 원천 저지하므로써, 수질오염 예방 및 호우가 그친 후 산재(散在)된 유목 및 쓰레기 수거에 대한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고, 평상시 동물류, 수서곤충(水棲昆蟲, aquatic insect)류, 어류의 이동이 자유로운 친환경적이고, 생태계 파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다기능 사방댐과 그 구조물의 벽면녹화장치 및 시설물의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체적으로, 산림과 협곡이 많은 국가에서는 집중호우시 유수에 의한 급경사지의 붕괴, 하부지반의 침식으로 인한 토석류를 유발하여 부근 인가에 막대한 재산 피해, 인명피해를 초래하는 한편, 자연경관 훼손과 이에 수반된 상당한 복구비용이 발생되었다.
이에 산간계곡 및 시냇가를 가로막아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는 방법으로 사방댐이 있다.
사방댐의 사전적 의미는 “ 산사태나 홍수를 막기 위한 둑 ”으로, 하천의
토사(土沙)가 흘러내리는 것을 막기 위해 상류지역의 계상이 고정되지 않은 황폐계류(荒廢溪流)나 시냇가를 횡단하여 설치하는 공작물로써 특히, 자갈의 이동이 심한 곳에 만들고, 상류쪽에 자갈을 퇴적시켜서 하상을 완만한 구배로 안정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근래에는 저사저수(貯砂貯水)겸용의 다목적 댐으로 활용할 수 있는 불투수
성(不透水性) 둑 형태의 사방댐이외에도 유출토석 또는 유목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슬릿댐, 버트리스댐, 스크린댐, 파형강판댐, 격자형댐등이 설치되고 있다.
구축재료에 따른 사방댐의 종류에는 돌댐(Stone dam), 콘크리트댐(Concrete dam), 철근콘크리트댐(Reinforced concrete dam), 鋼製댐(Steel dam), 돌망태댐(Gabion dam), 통나무댐(Timber dam), 흙댐(Earth dam), 혼합쌓기댐(Mixed masonry dam)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이 사방댐의 종류가 다양함에도, 기존 사방댐 대부분이 콘크리트로 구축되어 왔고, 현재에도 지속적으로 설치되고 있는 실정인 바, 이는 콘크리트를 재료로 한 사방댐이 갖는 내구성과 담수의 용이성, 경제성등을 고려한 선택이기도 하였다.
기존의 콘크리트 사방댐(10)은 도1, 도2에서와 같이 물이 흐르는 방향을 가로질러, 즉, 유로(流路)를 횡단하여 보가 형성되되, 상기 보의 중앙부 일측에 관통 형성된 배수공(26)이 구비되고, 상기 배수공 상단에 방수로(23) 및 방수로 양측에 방수로 높이 보다 더 높게 댐둑어깨(22)가 형성된 상류측의 본댐(20)과, 하류측에 수직벽(부댐)이 형성되되, 양측이 중앙부보다 높게 형성된 수직벽 어깨(32)를 포함하는 부댐(30)과, 상기 본댐과 부댐 사이의 양측 기슭(50)에 마련된 측벽(40)과, 상기 본댐(20)과 부댐(30) 및 양 측벽(40)간 하단저면에 물받이(45)가 포함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여기서, 저수(貯水)목적을 포함하는 사방댐은 상기 본댐에 배수공의 설치가 아니될 수도 있으며, 도 1과 도 2는 찰쌓기식 전석댐과 찰쌓기식 돌댐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댐의 댐둑어깨와 부댐의 수직벽 어깨가 중앙부보다 높은 이유는, 본댐과 부댐의 양측기슭이 급류에 의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더 높게 형성되는 것이며 따라서, 유수가 본댐(20) 및 수직벽(30) 각각의 댐둑어깨(22)와 수직벽어깨(32) 소정 범위내에서 흐를 수 있도록 설계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사방댐은 상류로 부터 흘러 내려오는 물이 본댐에 의해 담수되는데, 물이 본댐 상류 방향인 대수면(24)에 차오르면서 배수공으로 물이 유출되기 직전인 배수공의 하단부와 일치되는 수위까지 진행하게 되며, 이물질에 의해 배수공이 막히거나, 배수공의 반수면(25) 방향으로 유출되는 수량보다 상류에서 댐으로 유입되는 수량이 더 많을 경우 방수로의 수위까지 차오르게 된다.
한편, 양 측벽과 아울러 본댐과 본댐 하류측에 위치한 부댐 사이에는 배수공 또는 방수로로부터 유출된 물이 일정량 담수될 수 있도록 마치 커다란 물그릇 형상의 물받이(45)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물받이는 상기 물받이에 물이 담수된 후 특히, 급류발생시 방수로에서 하부로 낙수되는 물에 의해 본댐 반수면(25) 하단이 세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물쿠션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구조를 갖는 콘크리트 사방댐은 본댐 상류로부터 발생한 유수의 세력을 저지하고 토석류를 침전시켜 하상을 완만한 구배로 안정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상기 콘트리트 사방댐은 인위적인 공작물로써 특히, 계곡, 강을 횡단하여 가로 막는 보등은, 주변 자연 환경과의 부조화 및 상 · 하류간 이동로 차단으로 인해 동물류, 어패류, 양서류등의 생태계 파괴에서 비롯한 시민환경단체등으로 부터 환경문제가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또한, 동절기 공사로 인한 콘크리트의 양생불량, 미세균열이 내부로 진전되면서 철근부식의 녹 발생과, 이에 따른 수질의 중금속 오염 및 콘크리트 중성화 촉진등과 같은 복합적인 내구성 저하문제가 수반되었다.
또한, 대부분 콘크리트로 구축된 담수형 댐은 건기시 상류로부터 유입되는 물의 양이 적을 경우, 상· 하류간 수로가 완전히 차단되고 점차적으로 댐에 물이 고갈되면서 갇혀 있던 상기 어패류, 양서류등의 말라 죽을 우려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로 새로운 방법과 친환경적인 재질, 구조에 대한 사방댐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며, 최근 철강재와 목재등을 이용한 사방댐이 부각되 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여름철 우기(雨期) 집중호우시 토사와 물의 흐름을 저지할
수 있는 토목적인 구조물로 상기와 같은 사방댐이 지속적으로 설치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과거 100년간의 홍수량을 감안하여 최대 시우량을 산정하고, 수생동식물의 이동서식처등의 현황을 면밀히 파악하여 보다 개선된 방향의 사방댐 공사를 시도하고 있다.(2007년도 사방댐 사업 설계용역 공고(2007.1.29), 대한민국 경상북도)
철강재를 이용한 사방댐의 선행기술 역시 우리나라에서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는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4-0027476(2004.4.1)외 다수개가 있다.
철강재에 의한 사방댐은 대체로 육면체인 철 구조물을 조립· 설치하고, 철 구조물 내부에 소정 직경 이하의 골재를 채워 집중호우시 골재 사이의 좁은 틈을 통하여 물이 흐르도록 해 유량과 유속을 조절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철강재를 이용한 사방댐은 콘크리트 등으로 바닥면을 평면으로 만들고, 상기 바닥면 상단에 다수개의 강재틀을 종횡으로 쌓아 댐을 형성하므로써 상기한 어패류, 수서곤충류등의 이동경로를 배려할 수 없는 것이 문제였다.
또한, 상기 철강재를 이용한 사방댐의 철 구조물은 공장에서 일정부분 미리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장 조립시간이 단축되고, 콘크리트 방식에 비해 레미콘 차량을 많이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는 반면, 기중기등 기타장비가 공기 (工期)내내 이용되어야 하고, 철강재의 재료로 아연도금을 한 철재를 주로 사용하므로 항시 물속에 잠겨 있는 부위, 특히, 볼트조립를 위한 천공부위와 현장에서 철 구조물 내측에 석재(石材) 삽입시 철 구조물과 석재의 충돌 및 설치 후 토석과의 충돌로 도금부위가 벋겨짐으로 인한 부식우려가 있었으며, 철 구조물 내측에 자연석을 채운다 하더라도 철 구조물 자체가 주변경관과 부조화적인 것은 마찬가지였다.
목재에 의한 사방댐은 목재가 타 재료에 비해 가볍고 가공이 용이하며, 부드럽고 사람과 환경에 조화로운 면에서는 콘크리트나 철강재에 비해 좋지만, 상기 목재를 화학약품으로 가공(방오가공, 방부가공, 방염가공, 방충가공등)한 후 설치한다 해도 건기(乾期)시 산불에 의한 연소우려, 부후에 의한 내구성, 내용년수등에 약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다수종류의 사방댐중 철강재와 목재를 이용한 사방댐은 콘크리트 사방댐에 비해 다소 친환경적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기존 모든 사방댐의 근본적인 목적은 치산(治山)에만 집중되어 있다.
극언(極言)하건데, 사방댐이 궁극적인 제 역할을 하는 기간은 1년 중 급류가 발생하는 단 몇일에 불과하다 할 수 있는데도 불구하고, 영구시설물이라는 점에 그 심각함이 있다할 수 있다.
즉, 수달등의 포유류와 어패류 및 양서류, 수서 곤충류의 이동경로를 차단하면서 유발되는 생태계 파괴와, 부조화적이고 자연친화적이지 못한 재질선택으로 인 해 자연경관의 훼손은 상당부분 간과되었다는 것이다.
이에, 상기한 문제점 중 어류등의 이동경로 차단에 대한 일부 문제점을 해소시킬 수 있는 방법중 하나로, 사방댐에 계단식 어도(魚道)등이 설치되고 있다.
그러나, 취입보에서 어도가 낮게 설치되는 경향으로 인해 어도 출구의 낙차가 커지고, 이로 말미암아 도약력이 약한 물고기는 물론, 치어(穉魚)류, 양서류의 유생(幼生), 소형 수서 곤충 및 수서곤충의 애벌레류등의 이동경로를 해소시키기에 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한 치어류, 양서류의 유생, 수서곤충 및 수서곤충의 애벌레류등은 주로 피식자들로써, 이들 보다 먹이사슬의 상층에 위치한 포식자(육식동물 또는 조류등)는, 상기 피식자의 개체수가 급격히 줄거나 멸종되게 되어, 포식자의 서식지가 파괴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며, 급기야 사방댐이 설치된 근처에서 상기 포식자를 다시 찾아 볼 수 없게 되었다.
한편, 집중호우시 유수와 함께 떠내려가는 생활쓰레기, 비닐등의 농업 폐자재류, 낙엽등은 널리 산재되어, 하류의 깊은 곳에 가라앉거나, 부유(浮游)하여 수질을 오염시켰고, 수거작업에 상당한 처리시간과 비용을 유발시켰다.
이러한, 쓰레기등의 하류 유입은 강의 오염은 물론, 대형댐이나 운하에 매우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우리나라( 大韓民國 )의 경우, 한반도 대운하의 건설이 추진되는데 있어서 제기 되었던 문제점중 하나가 수질오염으로, 강의 경사가 심한 곳은 하상계수가 커서 충분한 수심을 확보하려면 다수의 인공적인 댐이나 수중보의 건설이 필요한데, 강폭에 비해 수심이 깊어질 수 있고, 물의 흐름이 거의 없어져 쓰레기등의 유입이야말로 치명적이라 할 수 있다.
갑문식 운하는, 대형댐과 유사하게 강(江)이 저수지가 되는 것으로, 여울이 사라지고 수중 생태계에 유입되는 질소, 인등과 같은 영양물질이 많아지면서 부영양화가 진행되며, 흐르는 강보다 자정(自淨)능력이 상당부분 저하되기 때문이다.
또한, 집중호우로 인한 많은 양의 토석유입은 잦은 준설작업을 유발하여, 물속 바닥에 식물류의 활착을 쉽지 않게 하고, 어패류의 서식에 지장을 초래하여 자정작용을 하는 생태계파괴 결과를 낳게 된다.
한편, 대다수 국가의 도심지와 인접한 하천에서는, 강의 언저리(둔치)를 개발하여 시민의 휴식, 운동공간등으로 많이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둔치는 많은 양의 물이 흐를 때 잠기는 부분으로 가로등, 놀이기구, 운동기구, 휀스등 각종 시설물과 조경을 위해 식재된 나무, 관리사무소, 매점등의 가설건축물, 자전거도로, 자동차도로등이 다양하게 존재할 뿐, 댐과 같은 걸림시설은 없는 곳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둔치가 물에 잠겨 흐르게 되면, 상기한 쓰레기류의 하류 유입을 그대로 방치하는 결과를 낳게 되며 이후, 물에 잠겼던 부위는 바닥에 오물류가 산재되고 쓰레기류가 시설물 또는 나뭇가지등에 걸려 수거작업에 상당한 처리시간과 비용을 유발시켰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계류 및 시냇가에 근접한 인근 마을들은 소규모 군락을 이룬 곳이 많기 때문에, 교량시설에 있어서도, 둑과 둑 사이(강폭(江幅))의 거리가 넓지 않아 교량 총연장이 그다지 길지 않고, 교폭(橋幅), 경간((徑間) 지간, span)이 좁으며, 교고(橋高)가 높지 않은 소형 철근 콘크리트 판형교(단순교)가 대다수이다.
때문에, 집중호우시 유수에 휩쓸린 상당량의 유목들이 경간을 가로막고,상기 경간을 가로막은 유목과 유목 사이사이에 쓰레기류의 이물질이 걸려, 교량이 오히려 댐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되면서, 유수가 교량 상판위로 월류하여 교량의 파손·붕괴의 원인이 되었다.
또한, 유수의 교량 월류로 교량 측면 둑의 유실과, 둑을 범람하여 마을과 농경지가 물에 잠겨 농산물의 피해와 가축의 폐사, 건축물의 망손, 인명피해등의 막대한 손실을 초래하였다.
상기한 문제점중 유목과 토석 차단을 동시에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560986(2006. 3. 8)의 “ 다기능 사방댐 및 그 시공방법 ”이 제시된바 있다.
그러나, 토석차단부(100) 상단 좌 우측에 댐어깨(110)및 상기 토석차단부 상단의 댐어깨 사이에 설치되는 유목차단부(200)의 높이가 낮게 설치되는 경우, 유목이 차단되지 아니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과거 최대 시우량을 산정한 높이 보다 댐어깨를 높게 하는 경우, 더 많은 주변경관이 훼손되는 것은 자명한 일 일 것이다.
또한, 토석차단부(100) 하부에 마련되는 하나 이상의 어도는, 하부에 설치 되므로서 집중호우시가 아니더라도 토사등에 의해 쉽게 막혀버릴 우려가 있고, 저수기능이 요구되는 사방댐의 경우 어도로 물이 유출되므로 담수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었다.
상기와 다른 방법, 즉, 강폭을 가로막아 댐을 설치하는 사방공사 이외의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공개 특허공보 공개번호 특2002-0049228(2000. 7. 25)의 “ 사방 또는 호안 공사 방법 및 산허리 붕괴 방지 공사 방법 ”에서는 “ 세로 밧줄( 1 )은 산골짜기의 시냇물내에 설치된 콘크리트에의 거점(2)에 직접 고정되어 있다. 계류물(3a, 3b, 3c)은 계류 밧줄(4)을 사이에 두고 세로 밧줄(1)에 결합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3개의 계류물이 사용되고 있지만, 계류물(3a)에 대하여 계류물(3b) 및 계류물(3c)은 산골짜기의 시냇물의 상류측에서 하류측으로 향하고 있고, 즉 물의 흐름방향으로서, 적당한 간격을 두고 존재하고 있다. 계류물(3b)과 계류물(3c)은 서로 병치(竝置)되어 있다. 또한, 계류물(3a, 3b, 3c)은 물의 흐름방향에 거의 대향하여, 바꾸어 말하면, 그 긴쪽 방향이 하천폭 방향이 되는 방향으로, 계류되어 있다. 그 결과, 계류물(3a)에 대하여 계류물(3b) 및 계류물(3c)은 거의 평행하게 배치되어, 계단 모양을 형성하고 있다. 본 예에서는 계류물(3a, 3b, 3c)은 토낭(土囊)이다. ”, “하나 이상의 세로 밧줄(1)을 거점(2)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고정하는 공정과, 두개 이상의 계류물(3)이 산골짜기의 시냇물 또는 하천 내에서 상류측에서 하류측으로 향하여 적당한 간격으로 존재하도록, 각 계류물(3)을 물의 흐름 방향에 대략 대향시키고, 상기 세로 밧줄(1)에 직접적으로 계류하거나, 또는, 상기 세로 밧줄(1)에 결합된 계류 밧줄(4)에 의하여 계류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방 공사 방법.”라고 제시하고 있으며, 동 공보 공개번호 특2002-0077514(2002. 10. 11)의 “ 사방 또는 호안 공사 방법 및 사방 또는 호안용 구조물 ”에서는 종방향 케이블, 보조 케이블, 측방향 케이블 및 계류물, 거점등을 사용하여“ 측방향 케이블들의 수에 대응하는 수의 둘 이상의 네트들을 제공하고, 이 둘 이상의 네트들을 종방향 케이블 및 측방향 케이블에 의해, 또는, 종방향 케이블들 및 종방향 케이블들에 연결된 계류 케이블들에 의해, 상기 네트가 수류의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배열되고, 이 네트가 수류에 대면하도록 계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방 공사 방법. ”을 제시하고 있는바, 본원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밧줄을 사용한 사방댐과는 현저한 차이가 있다 할 것이다.
즉, 상기 선행기술을 간략하게 요약하여 보면, 전자의 선행기술은 다수개의 토낭이 물의 흐름을 가로막는 구조이고, 후자의 선행기술은 네트가 수류에 대면하여 계류지반이 침식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 상기 선행기술과 본원에서 제시 하고자 하는 사방공사 방법에 단지 밧줄이 공통적으로 사용되었다고 하여 기술구성이 동일하다 하지 못할 것이다.
다시 말해서, 전자의 선행기술은 “ 계류물(3)로서 사용되는 것은 1개의 목재, 묶여진 목재, 발(簾) 모양으로 늘어 놓인 목재, 콘크리트 블럭, 돌, 특히 무거운 돌이 들어가 있는 사롱, 토낭 등이다. ”에서와 같은 다수개의 계류물을 물의 흐름 방향에 대향하여 설치하는 것으로 특히, 사롱, 토낭의 경우 석재(石材)류를 자루등에 담아 설치하는 방법이고, 후자의 선행기술은 네트가 수류에 대면하여 계 류지반을 덮는 사방방법인 것으로써, 구조를 비롯해 본 발명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방식과도 동일하지 아니하다 할 수 있다.
상술하였지만, 사방댐은 저사저수, 토석유출방지, 유목유출방지등의 역할을 하는 구축물로, 상기한 기능을 단독적으로 수행하거나, 두가지 이상의 역할을 동시에 하게 된다.
예컨대, 저사저수용 혹은 토석유출방지용 혹은 유목유출방지용으로 단독역할을 수행하는 사방댐이 있는가 하면, 상기 각각의 단독기능 역할을 하는 사방댐이 두가지 이상의 기능을 함께 할 수 있도록 조합된 다기능 사방댐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저사저수 겸 토석유출방지 사방댐, 또는 저사저수 겸 유목유출방지 사방댐, 또는 토석유출방지 겸 유목유출방지 사방댐, 또는 저사저수 와 유목방지 겸 토석유출방지 사방댐으로서 각각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다기능 사방댐이 존재할 수 있다.
그런데 여기서, 기존방법에 의한 저사저수기능을 포함하는 다기능 사방댐은 소정높이의 저사저수댐이 하단에 위치하고, 상단에 상기한 토석 또는 유목방지댐이 구축되어 댐 높이가 비교적 높아진다는 것에 문제점이 있다.
주지하였듯이, 사방댐의 높이가 낮아지면, 댐둑마루(21)로 유수가 월류하여 산기슭과 맞닿는 부위부터 토사가 유실되면서 댐 구조물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댐높이가 높아지면 높아지는 만큼 유목, 쓰레기류의 하류 유입량을 줄일 수는 있지만, 영구시설물로써 주변경관을 더 많이 훼손시키게 된다는 점은 이미 언급한 바 있다.
때문에, 방수로 크기를 200 ~ 500%로 충분히 여유를 갖고 (사방댐 및 수질정화시설 공사 시공지침서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수 있겠지만, 유수가 댐둑어깨를 월류하지 않더라도, 당해 홍수에 의해 사방댐 용량이 한계에 다다랗거나, 지속적으로 유수의 최고수위가 방수로의 높이 보다 높은 경우에 또 다른 문제점이 있다.
즉, 토석류는 물론, 생목(生木)을 포함한 유목, 쓰레기등의 부유물들이 범람하게 되어 사방댐의 제기능을 상실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는, 콘크리트 사방댐을 포함한 댐둑어깨를 갖는 모든 사방댐의 해결되어야 할 문제이기도 하였다.
이렇듯, 최대시우량과 댐 높이는 최대시유량이 높을수록 댐 높이가 높아져야 하는 비례관계에 있고, 댐 높이와 주변경관과는 댐 높이가 높아질수록 주변경관이 더 많이 훼손되는 상반관계에 있다 할 수 있으며, 하기(下記)할 기상이변과 댐 높이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는 만큼 댐 높이 결정에 신중을 기하지 아니할 수 없었던 점 또한 부정하지 못할 것이다.
또한, 적정한 시기에 준설작업이 이행되지 않은 상태에서 집중호우가 내리는 경우, 댐용량이 작아져 댐이 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했다.
이는, 특히, 산간계곡등 상류로 이동할 수 있는 길이 없는 사방댐의 경우, 장비이동이 수월하지 않아 더 많은 준설비용의 발생으로 인해 준설작업이 적기에 이뤄지지 않는데서 비롯한 문제이기도 하였다.
한편, 게릴라성 집중호우는 대기가 몹시 불안정하거나 북쪽의 한랭전선이 여름에 남하했을 때 소규모로 생긴 비구름대가 갑자기 엄청난 비를 퍼붓는 폭우로, 언제, 어느 때, 어느 곳에 내릴지 예측이 불가능하며, 비가 오는 시간도 굉장히 짧고 그 짧은 시간 내 엄청난 양의 비가 내리기 때문에 특히, 사방댐과 같은 대비 시설물이 없는 계곡이나 강에 내릴 경우 속수무책이었다.
최근, 환경파괴로 인한 지구 온난화등의 기상이변이 계속되고 있다.
지구촌 곳곳에서 발생하는 해일, 대홍수, 국지성 집중호우, 폭염, 가뭄, 숲의 사막화, 극지방 빙하의 신속히 진행되는 해빙등 세계의 기상학자, 환경전문가들이 재해에 긴장하며, 대비책에 고심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폭우, 폭설, 추위 없는 겨울등 기상이변이 속출하고 있으며, 강원도(2007년 1월)에서 발생한 강도 높은 지진 또한 한반도가 더 이상 지진의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것을 여실히 보여주었다.
더불어, 과거의 산출되었던 최대 시우량등과 같은 수치가 미래에 발생할 환경재해에 충분히 대비될 수 없음이 증명되고 있다.
중국 쓰촨성일대에서 발생한 대규모 지진(2008년 5월, 동년 8월)을 비롯하여, 인도네시아 쓰나미(2004년 12월), 일본 고베지진(1995년 1월)등 과거와 비교되지 못할 상상을 초월한 환경재난은 지구가 인간이 행하는 환경파괴에 견딜 수 있는 한계점에 다다랗다고 보아도 과언은 아닐듯하다.
우선적으로, 더 이상의 환경파괴가 진행되는 것을 막는 것이 중요하다 하겠 지만, 충분히 대비할 수 있었던 환경재해는 인재(人災)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며, 더불어, 예방하는 것 또한 더 없이 중요하다 할 것이다.
본원에서와 같은 사방댐은 물론이려니와 교량, 도로, 항만등에 있어서도 과거에 발생하였던 수치에만 연연해 할 것이 아니고,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재해등을 고려하여 기획 설계 시공 관리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최우선적 목적은, 콘크리트등의 사용을 최소화하고, 측벽 벽면녹화장치와 시설물의 탈착 및 바닥면의 은폐로, 평상시 주변환경과 흡사한 자연친화적인 다기능 사방댐과 그 구조물의 벽면녹화장치 및 시설물의 관리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물류, 어패류, 양서류, 수서곤충류등의 이동경로가 차단되지 아니하고, 먹이사슬을 유지할 수 있는 생태계 비파괴적인 다기능 사방댐과 그 구조물의 벽면녹화장치 및 시설물의 관리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우기의 급류발생시 유수세력 저지 및 토석류 침전, 하상의 완구배, 담수등 기존 사방댐 역할 뿐만 아니라, 시설물의 탈착으로 사방댐 높이를 최대한 높게 할 수 있으므로써, 유목, 농업폐자재류, 쓰레기, 낙엽등의 하류유입을 원천 저지할 수 있는 친환경적 다기능 사방댐과 그 구조물의 벽면녹 화장치 및 시설물의 관리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류로부터 다기능 사방댐의 접근이 용이하여 토사의 준설 및 시설물의 철거 관리가 용이한 다기능 사방댐과 그 구조물의 벽면녹화장치 및 시설물의 관리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심지와 인접한 하천의 둔치를 통해 하류로 유입되는 쓰레기류를 저지할 수 있는 다기능 사방댐과 그 구조물의 벽면녹화장치 및 시설물의 관리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집중호우로 고립될 수 있는 동물과 사람이 쉽게 도하 가능한 다기능 사방댐과 그 구조물의 벽면녹화장치 및 시설물의 관리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사방댐 및 그 구조물의 벽면녹화장치와 시설물의 관리방법에 있어서,
제1양태는,
계류 및 시냇가등에 구축되는 다기능 사방댐에 있어서,
물이 흐르는 저면에 형성되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양측 기슭에 바닥면과 일체로 형성되는 측벽과;
상기 양측 바닥면과 측벽에 긴밀하게 착설되면서, 수류의 방향으로 관통형성 된 다수개의 어도를 포함하는 고정대와;
상기 양측 고정대 사이에 착설되는 다수개의 지지대와;
상기 바닥면 및 각각의 고정대와 다수개의 지지대 소정위치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고정수단과;
상기 다수개의 고정수단에 착설되는 걸림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제 2양태는,
계류 및 시냇가등에 구축되는 다기능 사방댐에 있어서,
물이 흐르는 저면에 형성되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양측 기슭에 바닥면과 일체로 형성되는 측벽과;
상기 양측 바닥면과 측벽에 긴밀하게 착설되는 고정대와;
상기 양측 고정대 사이에 착설되는 다수개의 하부지지대와;
상기 고정대와 하부지지대 사이 또는 상기 하부지지대와 측방 하부지지대
사이 또는 상기 하부지지대와 고정대 사이의 중앙부 상류방향에 착설되는 다수개의 상부지지대와;
상기 고정대와 상부지지대 사이 또는 상부지지대와 하부지지대 사이 또는 상부지지대와 고정대 사이에 착설되는 다수개의 중앙지지대와;
상기한 바닥면 및 각각의 고정대와 다수개의 중앙지지대와 다수개의 하부지지대와 다수개의 상부지지대 소정위치에 착설되는 다수개의 고정수단과;
상기 다수개의 고정수단에 착설되는 걸림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여기서,
상기 고정대에는 다수개의 어도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여기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각각의 고정대와 다수개의 중앙지지대와 하부지지대에는 수류의 대면방향에 착설되며, 상기 각각의 상부지지대에는 수류의 하류측에 착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여기서,
상기 서로 인접한 고정대와 하부지지대 사이의 1조 즉, 고정대와 다수개의
중앙지지대와 상부지지대와 다수개의 중앙지지대와 하부지지대 또는 하부지지대와 측방 하부지지대 사이의 1조 즉, 하부지지대와 다수개의 중앙지지대와 상부지지대와 다수개의 중앙지지대와 하부지지대 또는 하부지지대와 고정대 사이의 1조 즉, 하부지지대와 다수개의 중앙지지대와 상부지지대와 다수개의 중앙지지대와 고정대 각각에 설치된 고정수단은, 고정수단을 선(線)으로 연결하였을 경우 1조의 형상이 “∧”형태를 이루게 되고, 적어도 1조 이상이 설치되는 경우 “∧”형태가 연결되어 나사산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여기서,
상부지지대는, 평면 또는 하부로 개구부를 갖고 상부로 뾰족한 나사산 모양 의 삼각(∧)형태 또는 하부로 개구부를 갖는 반원형 또는 하부로 개구부를 갖는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여기서,
상기 걸림수단은, 상기 상부지지대로부터 보호받는 범위내에서 타측보다 눈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제 3양태는,
계류 및 시냇가등에 구축되는 다기능 사방댐에 있어서,
물이 흐르는 저면에 형성되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양측 기슭에 바닥면과 일체로 형성되는 측벽과;
상기 바닥면 상단 양 측벽사이에 형성되는 본댐과;
상기 본댐의 일측에 마련되는 하나 이상의 어도와;
상기 양측 댐둑마루와 측벽에 긴밀하게 착설되면서, 수류의 방향으로 관통형성된 다수개의 어도를 포함하는 고정대와;
상기 본댐 댐둑마루의 상부 양측 고정대 사이에 착설되는 다수개의 지지대
와;
상기 각각의 고정대, 다수개의 지지대 및 본댐 측상부에 착설되는 다수개의 고정수단과;
상기 다수개의 고정대에 착설되는 걸림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다기능 사방댐.
여기서,
상기 본댐에는, 본댐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배수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제 4양태는,
계류 및 시냇가의 물이 흐르는 방향을 가로질러 형성된 기존의 댐에 추가로 구축되는 다기능 사방댐에 있어서,
기존 사방댐 본댐의 댐둑마루및 대수면과 반수면을 긴밀하게 감싸면서 기슭부위가 충분히 포함될 수 있도록 양측기슭에 추가로 형성되는 덧측벽과;
상기 양측 댐둑마루와 덧측벽에 긴밀하게 착설되면서 수류의 방향으로 관통형성된 다수개의 어도를 포함하는 고정대와;
상기 본댐 상단 양측 고정대 사이의 댐둑마루 및 방수로 상부에 착설되는 다수개의 지지대와;
상기 각각의 고정대, 다수개의 지지대 및 본댐 측상부에 착설되는 다수개의 고정수단과;
상기 다수개의 고정대에 착설되는 걸림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제 5양태는,
계류 및 시냇가등에 구축되는 다기능 사방댐에 있어서,
물이 흐르는 저면에 형성되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양측 기슭에 바닥면과 일체로 형성되는 측벽과;
상기 양측 바닥면과 측벽에 긴밀하게 착설되면서, 수류의 방향으로 관통형성된 다수개의 어도를 포함하는 고정대와;
상기 바닥면 및 각각의 고정대의 소정위치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고정수단
과;
상기 다수개의 고정수단에 착설되는 걸림수단과;
일측은 상기 걸림수단의 물을 가로 지르는 방향의 소정간격마다 계류되고, 타단은 상류방향에 존재하는 계류물에 계류되는 다수개의 상부 고정밧줄 및 다수개의 하부 고정밧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여기서,
상기 계류물은 물속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여기서,
상기 계류물은 물 바깥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여기서,
상기 계류물은 천연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여기서,
상기 계류물은 인공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제 6양태는,
계류 및 시냇가등에 구축되는 다기능 사방댐에 있어서,
물이 흐르는 저면에 형성되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양측 기슭에 바닥면과 일체로 형성되는 측벽과;
상기 바닥면 및 양측 측벽의 소정위치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고정수단과;
상기 다수개의 고정수단에 착설되는 걸림수단과;
일측은 상기 걸림수단의 물을 가로 지르는 방향의 소정간격마다 계류되고, 타단은 상류방향에 존재하는 계류물에 계류되는 다수개의 상부 고정밧줄 및 다수개의 하부 고정밧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여기서,
상기 계류물은 물속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여기서,
상기 계류물은 물 바깥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여기서,
상기 계류물은 천연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여기서,
상기 계류물은 인공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제 7양태는,
계류 및 시냇가등에 구축되는 다기능 사방댐에 있어서,
물이 흐르는 저면에 형성되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양측 기슭에 바닥면과 일체로 형성되는 측벽과;
상기 양측 바닥면과 측벽에 긴밀하게 착설되면서, 수류의 방향으로 관통형성된 다수개의 어도를 포함하는 고정대와;
상기 양측 고정대 사이에 착설되는 다수개의 지지대와;
상기 바닥면 및 각각의 고정대와 다수개의 지지대 소정위치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고정수단과;
상기 다수개의 고정수단에 착설되는 걸림수단과;
상기 걸림수단의 일측에 계류되고, 타단은 상류방향에 존재하는 계류물에 계류되는 다수개의 고정밧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여기서,
상기 지지대는, 플레이트 상부로 돌설된 조각편에 흰지 고정할 수 있도록 결합공이 형성되고, 바닥면에 고정할 수 있도록 부착공이 형성된 브라켓과, 일측에 다수개의 고정수단을 포함하고, 하부에 결합구가 형성되어 상기 플레이트의 결합공과 흰지 결합되는 지지봉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여기서,
상기 계류물은 물속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여기서,
상기 계류물은 물 바깥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여기서,
상기 계류물은 천연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여기서,
상기 계류물은 인공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제 8양태는,
계류 및 시냇가등에 구축되는 다기능 사방댐에 있어서,
물이 흐르는 저면에 형성되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소정위치에 유로를 횡단하는 방향의 하부로 바닥면 보다 깊게 형성되고, 다수개의 동력전달수단이 내설된 이송로와;
상기 이송로 상단에 마련되는 다수개의 이송로 덮개와;
상기 이송로가 형성된 바닥면의 하류측보다 상류측이 하부로 더 깊게 함몰되면서 형성되는 단턱과;
상기 단턱 하부 일측에 착설되고, 내측에 조립구가 형성된 다수개의 고정수단과;
상기 바닥면의 양측 기슭에 바닥면과 일체로 형성되는 측벽과;
상기 이송로 양 측단에, 상류측에 하기 지지봉이 격납될 수 있도록 안착홈이 형성되고, 물의 흐름방향으로 관통형성된 다수개의 어도를 구비하며,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안착홈 상부에 상승 정지수단, 스프링을 포함하는 복귀수단이 마련되고, 바닥면과 측벽에 긴밀하게 착설되는 고정대와;
상기 이송로 상단의 양측 고정대 사이에 착설되되, 수류의 대면 방향으로 안착홈이 구비되고, 내측에 다수개의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안착홈 상부에 상승 정지 수단, 스프링을 포함하는 복귀수단이 마련된 다수개의 지지대와;
상기 각각의 고정대와 다수개의 지지대중 2개 이상 마련되는 수위감지수단과;
상기 수위감지수단이 마련되는 고정대 및 지지대 일측에 형성되는 입수공
과;
상기 각각의 고정대와 다수개의 지지대중 적어도 한 곳 이상의 상부에, 수동노브, 로드, 구동수단이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이 마련된 고정대 또는 지지대 내측에, 드럼과 상기 드럼에 착설된 회동수단 및 상기 회동수단과 서로 맞물리는 상기 로드 아래쪽 단부에 착설된 회동수단, 상기 구동수단과 상기 드럼이 긴밀히 연결될 수 있도록 구비된 커플링과;
하측에 조립구가 형성되어 상기 단턱의 고정수단과 흰지 결합하고, 일측에 다수개의 고정수단이 착설되는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상단에 긴밀히 착설되고, 타측은 드럼에 착설되는 이송수단과;
설치물 일측에 착설되는 하강정지수단과;
상기 수위감지수단, 구동수단, 상승정지수단, 하강정지수단등과 연결된 2개 이상의 컨트롤러와;
상기 다수개의 지지봉 고정수단에 착설되는 걸림수단과;
다기능 사방댐과 댐 주변이 모니터에 모니터링 될 수 있는 CCTV 촬영수단 및 모니터링 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여기서,
상기 걸림수단이 분리되는 곳의 지지대에는, 2개의 안착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여기서,
상기 상승정지수단은, 리미트스위치 또는 근접스위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여기서,
상기 하강정지수단은, 구동수단 또는 드럼의 회전을 감지하여 회전횟수로 비례제어하는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여기서,
상기 하강정지수단은, 검출부와 스위치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여기서,
상기 스위치부의 스위치는, 리미트 스위치 또는 근접 스위치 또는 리드 스위치로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제 9양태는,
계류 및 시냇가등에 구축되는 다기능 사방댐에 있어서,
물이 흐르는 저면에 형성되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 소정위치에 수류를 횡단하는 방향으로 서로 같거나 다른 고(高)를 갖는 “ ∧ ”형태가 서로 근접하여 나사산과 흡사한 형태를 이루고, 상기 나사산 형태의 상류측이 하류측 보다 함몰되어 형성되는 단턱과;
상기 단턱 하부 일측에 착설되고, 내측에 조립구가 형성된 다수개의 고정수단과;
상기 나사산 형태의 단턱 하류측에 나사산 형태와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바닥면 보다 깊이 형성된 지선 이송로 및 상기 지선 이송로의 하류측 하부부위와 연결되면서, 수류를 가로질러 바닥면 보다 깊이 형성된 간선 이송로와;
상기 지선 이송로 및 간선 이송로 내측에 내설되는 다수개의 동력전달수단과, 상측에 다수개의 지선 이송로 덮개 및 간선 이송로 덮개와;
상기 바닥면의 양측 기슭에 바닥면과 일체로 형성되는 측벽과;
상기 바닥면의 간선 이송로 및 지선이송로 상단의 양측단에, 하기 지지봉이 격납될 수 있도록 안착홈이 형성되고, 물의 흐름방향으로 관통형성된 다수개의 어도를 구비하며, 다수개의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안착홈 상부에 상승 정지수단을 포함하는 복귀수단이 마련되고, 바닥면과 측벽에 긴밀하게 착설되는 측부 고정대와;
상기 측부 고정대와 측부 고정대 사이의 간선 이송로 및 지선이송로 상단에 착설되되, 하기 지지봉이 격납될 수 있도록 안착홈이 형성되고, 물의 흐름방향으로 관통형성된 다수개의 어도를 구비하며,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안착홈 상부에 상승 정지수단을 포함하는 복귀수단이 마련되고, 바닥면에 착설되는 다수개의 중앙 고정대와;
상기 각각의 측부 고정대와 다수개의 중앙 고정대중 적어도 한 곳 이상의 상부에, 수동노브, 로드, 구동수단이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이 마련된 측부 고정대 또는 중앙 고정대 내측에, 드럼 및 드럼에 착설된 회동수단과, 상기 회동수단과 서로 맞물리는 상기 로드 아래쪽 단부에 착설된 회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과 상기 드럼이 긴밀히 연결될 수 있도록 구비된 커플링과;
상기 측부 고정대와 중앙 고정대 사이 또는 중앙 고정대와 인접한 중앙 고정대 사이 또는 중앙 고정대와 측부 고정대 사이에, 하기 지지봉이 격납될 수 있도록 안착홈이 구비되고, 동력전달수단과 상승정지수단, 스프링을 포함하는 복귀수단 착설되고, 바닥면에 착설되는 다수개의 상부지지대와;
상기 측부 고정대와 상부지지대 또는 상기 상부지지대와 중앙 고정대 사이에, 하기 지지봉이 격납될 수 있도록 안착홈이 구비되고, 동력전달수단과 상승정지수단, 스프링을 포함하는 복귀수단 착설되고, 바닥면에 착설되는 다수개의 중앙 지지대와;
상기 각각의 측부 고정대와 다수개의 중앙 고정대와 다수개의 상부지지대 및 다수개의 중앙지지대중 2개 이상 마련되는 수위감지수단과;
상기 수위감지수단이 마련되는 측부 고정대와 중앙 고정대와 상부지지대 와 중앙지지대 일측에 형성되는 입수공과;
하측에 조립구가 형성되어 상기 단턱의 고정수단과 흰지 결합하고, 일측에 다수개의 고정수단이 착설되는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상단에 긴밀히 착설되고, 타측은 드럼에 착설되는 이송수단과;
설치물 일측에 착설되는 하강정지수단과;
상기 수위감지수단, 구동수단, 상승정지수단, 하강정지수단등과 연결된 2개 이상의 컨트롤러와;
상기 다수개의 지지봉 고정수단에 착설되는 걸림수단과;
다기능 사방댐과 댐 주변이 모니터에 모니터링 될 수 있는 CCTV 촬영수단 및 모니터링 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여기서,
상기 중앙고정대와 상부 지지대에 형성되는 안착홈은 하나이상 형성되고, 걸림수단이 분리되는 곳에서의 중앙지지대는, 2개의 안착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여기서,
상기 상승정지수단은, 리미트스위치 또는 근접스위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여기서,
상기 하강정지수단은, 구동수단 또는 드럼의 회전을 감지하여 회전횟수로 비례제어하는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여기서,
상기 하강정지수단은, 검출부와 스위치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 기능 사방댐.
여기서,
상기 스위치부의 스위치는, 리미트 스위치 또는 근접 스위치 또는 리드 스위치로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제 10양태는,
계류 및 시냇가등에 구축되는 다기능 사방댐에 있어서,
물이 흐르는 저면에 형성되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양측 기슭에 바닥면과 일체로 형성되는 측벽과;
상기 바닥면 상단 양 측벽사이에 형성되는 본댐과;
상기 본댐의 일측에 마련되는 하나이상의 어도와;
상기 본댐의 댐둑마루에 하부로 더 깊게 형성되는 이송로와;
상기 이송로 상부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이송로 덮개와
상기 이송로 양측단 상단에, 상류측에 하기 지지봉이 격납될 수 있도록 안착홈이 형성되고, 물의 흐름방향으로 관통형성된 다수개의 어도를 구비하며,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안착홈 상부에 상승 정지수단, 스프링을 포함하는 복귀수단이 마련되고, 바닥면과 측벽에 긴밀하게 착설되는 고정대와;
상기 이송로 상단의 양측 고정대 사이에 착설되되, 수류의 대면 방향으로 안착홈이 구비되고, 내측에 다수개의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안착홈 상부에 상승 정지수단, 스프링을 포함하는 복귀수단이 마련된 다수개의 지지대와;
상기 각각의 고정대와 다수개의 지지대중 2개 이상 마련되는 수위감지수단과;
상기 수위감지수단이 마련되는 고정대 및 지지대 일측에 형성되는 입수공
과;
상기 각각의 고정대와 다수개의 지지대중 적어도 한 곳 이상의 상부에, 수동노브, 로드, 구동수단이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이 마련된 고정대 또는 지지대 내측에, 드럼 및 드럼에 착설된회동수단, 상기 회동수단과 서로 맞물리는 상기 로드 아래쪽 단부에 착설된 회동수단, 상기 구동수단과 상기 드럼이 긴밀히 연결될 수 있도록 구비된 커플링과;
하측에 조립구가 형성되어 상기 단턱의 고정수단과 흰지 결합하고, 일측에 다수개의 고정수단이 착설되는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상단에 긴밀히 착설되고, 타측은 드럼에 착설되는 이송수단과;
설치물 일측에 착설되는 하강정지수단과;
상기 수위감지수단, 구동수단, 상승정지수단, 하강정지수단등과 연결된 2개 이상의 컨트롤러와;
상기 다수개의 지지봉 고정수단에 착설되는 걸림수단과;
다기능 사방댐과 댐 주변이 모니터에 모니터링 될 수 있는 CCTV 촬영수단 및 모니터링 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여기서,
상기 본댐에는, 본댐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하나이상의 배수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여기서,
상기 걸림수단이 분리되는 곳의 지지대에는, 2개의 안착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여기서,
상기 상승정지수단은, 리미트스위치 또는 근접스위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여기서,
상기 하강정지수단은, 구동수단 또는 드럼의 회전을 감지하여 회전횟수로 비례제어하는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여기서,
상기 하강정지수단은, 검출부와 스위치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여기서,
상기 스위치부의 스위치는, 리미트 스위치 또는 근접 스위치 또는 리드 스위치로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제 11양태는,
계류 및 시냇가의 물이 흐르는 방향을 가로질러 형성된 기존의 댐에 추가로 설치되는 다기능 사방댐에 있어서,
기존 본댐의 댐둑마루 및 대수면과 반수면을 긴밀하게 감싸면서 기슭부위가 충분히 포함될 수 있도록 양측 기슭에 추가로 마련되는 덧측벽과;
상기 본댐의 대수면에 접하고, 덧측벽 사이의 착설되는 이송로와;
상기 이송로 상단에 마련되는 다수개의 이송로 덮개와;
상기 이송로 양측단 상단에, 상류측에 하기 지지봉이 격납될 수 있도록 안착홈이 형성되고, 물의 흐름방향으로 관통형성된 다수개의 어도를 구비하며,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안착홈 상부에 상승 정지수단, 스프링을 포함하는 복귀수단이 마련되고, 이송로 상단과 덧측벽에 긴밀하게 착설되는 고정대와;
상기 이송로 상단의 양측 고정대 사이에 착설되되, 수류의 대면 방향으로 안착홈이 구비되고, 내측에 다수개의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안착홈 상부에 상승 정지수단, 스프링을 포함하는 복귀수단이 마련된 다수개의 지지대와;
상기 각각의 고정대와 다수개의 지지대중 2개 이상 마련되는 수위감지수단과;
상기 수위감지수단이 마련되는 고정대 및 지지대 일측에 형성되는 입수공과;
상기 각각의 고정대와 다수개의 지지대중 적어도 한 곳 이상의 상부에, 수동노브, 로드, 구동수단이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이 마련된 고정대 또는 지지대 내측에, 드럼 및 드럼에 착설된
회동수단, 상기 회동수단과 서로 맞물리는 상기 로드 아래쪽 단부에 착설된 회동수 단, 상기 구동수단과 상기 드럼이 긴밀히 연결될 수 있도록 구비된 커플링과;
하측에 조립구가 형성되어 상기 단턱의 고정수단과 흰지 결합하고, 일측에 다수개의 고정수단이 착설되는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상단에 긴밀히 착설되고, 타측은 드럼에 착설되는 이송수단과;
설치물 일측에 착설되는 하강정지수단과;
상기 수위감지수단, 구동수단, 상승정지수단, 하강정지수단등과 연결된 2개 이상의 컨트롤러와;
상기 다수개의 지지봉 고정수단에 착설되는 걸림수단과;
다기능 사방댐과 댐 주변이 모니터에 모니터링 될 수 있는 CCTV 촬영수단 및 모니터링 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여기서,
상기 걸림수단이 분리되는 곳의 지지대에는, 2개의 안착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여기서,
상기 상승정지수단은, 리미트스위치 또는 근접스위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여기서,
상기 하강정지수단은, 구동수단 또는 드럼의 회전을 감지하여 회전횟수로 비례제어하는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여기서,
상기 하강정지수단은, 검출부와 스위치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여기서,
상기 스위치부의 스위치는, 리미트 스위치 또는 근접 스위치 또는 리드 스위치로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제 12양태는,
계류 및 시냇가등에 구축되는 사방댐에 있어서,
물이 흐르는 저면에 형성되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 소정위치에 유로를 횡단하는 방향의 하부로 바닥면 보다 깊게 형성되고, 다수개의 동력전달수단이 내설되는 이송로와;
상기 이송로 상단에 마련되는 다수개의 이송로 덮개와;
상기 이송로 상류방향에 하부로 바닥면 보다 깊게 형성되고, 일측에 고정수단이 내설되는 수납함과;
상기 수납함 상부에, 일측에 흰지 결합하여 상부 방향으로 개폐 가능토록 구조를 취한 다수개의 수납함 덮개와;
상기 이송로 양측단 상단에, 상류측에 이탈방지홈이 형성되고, 물의 흐름방향으로 관통형성된 다수개의 어도를 구비하며,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안착홈 상부에 상승 정지수단, 스프링을 포함하는 복귀수단이 마련되고, 이송로 상단과 덧측벽 에 긴밀하게 착설되는 고정대와;
상기 이송로 상단의 양측 고정대 사이에 착설되되, 수류의 대면 방향으로 이탈방지홈이 구비되고, 내측에 다수개의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안착홈 상부에 상승 정지수단, 스프링을 포함하는 복귀수단이 마련된 다수개의 지지대와;
상기 각각의 고정대와 다수개의 지지대중 2개 이상 마련되는 수위감지수단과;
상기 수위감지수단이 마련되는 고정대 및 지지대 일측에 형성되는 입수공
과;
상기 각각의 고정대와 다수개의 지지대중 적어도 한 곳 이상의 상부에, 수동노브, 로드, 구동수단이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이 마련된 고정대 또는 지지대 내측에, 드럼 및 드럼에 착설된 회동수단, 상기 회동수단과 서로 맞물리는 상기 로드 아래쪽 단부에 착설된 회동수단, 상기 구동수단과 상기 드럼이 긴밀히 연결될 수 있도록 구비된 커플링과;
상기 드럼에 일측이 착설되고, 타측은 수납함 내측의 걸림수단에 고정되는 이송수단과;
설치물 일측에 착설되는 하강정지수단과;
상기 수위감지수단, 구동수단, 상승정지수단, 하강정지수단등과 연결된 2개 이상의 컨트롤러와;
상기 이송수단에 긴밀히 착설되고, 타측은 상기 수납함 내측의 고정수단에
착설되는 걸림수단과;
다기능 사방댐과 댐 주변이 모니터에 모니터링 될 수 있는 CCTV 촬영수단 및 모니터링 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여기서,
상기 걸림수단이 분리되는 곳의 지지대에는, 2조의 이탈방지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여기서,
상기 상승정지수단은, 리미트스위치 또는 근접스위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제 13양태는,
계류 및 시냇가등에 구축되는 다기능 사방댐에 있어서,
물이 흐르는 저면에 형성되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과 일체로 양측기슭에 접하여 형성되는 측벽과;
상기 바닥면 양측에, 하기할 걸림수단의 안착을 위해 이탈방지홈이 상류방향에 형성되고, 물의 흐름방향으로 관통형성된 다수개의 어도가 구비되며, 바닥면과 측벽에 긴밀하게 착설되는 고정대와;
상기 양측 고정대 사이에, 상류측에 이탈방지홈이 형성된 다수개의 지지대와;
상기한 고정대와 지지대 상단에 착설되면서, 상류측 하부방향으로 개구부가 형성된 하나이상의 수납함체(1330)와;
상기 수납함체 상부 양단에 착설되는 가드레일과;
고정된 로드 하우징에 내설되어 상하 수직운동을 하는 구조를 취하되, 상측 상부에는 래크가 형성되고 하부에 원형편이 구비된 구동로드와, 하측 상부에는 실린더가 형성되되, 상기 원형편이 실린더와 조립된 후 이탈되지 않도록 입구가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고, 하부 하측에 실린더와 긴밀하게 착설된 부레와, 상기 실린더에 내설된 압축스프링으로 구성되며, 수납함체가 분리되는 위치에 따라 고정대 또는 지지대에 내설되는 구동수단과;
상기 수납함체가 분리되는 위치에 따라 설치되는 구동수단이 내설되는 고정대 또는 지지대 하측에 형성되는 입수공과;
상기 수납함체 내측에 마련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 회전축인 축심 일측에 장착된 상기 래크와 맞물리는 피니언 및 회동수단과, 일측에 스프링이 마련되고, 수동노브와 회동로드에 의해 연결된 회동수단과;
일측은 상기 드럼에 착설되고, 타측은 상기 수납함체 개구부에 위치하는 걸림수단과;
다기능 사방댐과 댐 주변이 모니터에 모니터링 될 수 있는 CCTV 촬영수단 및 모니터링 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여기서,
상기 걸림수단이 분리되는 곳의 지지대에는, 2조의 이탈방지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제 14양태는;
도심지와 인접하고 둔치가 마련된 하천에 구축되는 다기능 사방댐에 있어서,
하천에 제 1양태 내지 제 13양태의 다기능 사방댐이 마련되고, 둔치에 제 1양태 내지 제 13양태의 다기능 사방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여기서,
상기 하천 측벽과 둔치가 접하는 둔치상단에 설치되는 고정대 일측에는 추가로 착설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다기능 사방댐,
상기 1양태 내지 제 13양태의 걸림수단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은 망 또는 그물형태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여기서,
상기 망 또는 그물형태의 걸림수단 소재는,
실, 철사, 천연섬유밧줄, 화학섬유밧줄, 강삭중의 어느 한가지 또는 두가지 이상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여기서,
상기 망 또는 그물형태의 걸림수단 소재 형태는,
소정 폭, 소정두께를 갖는 띠형상의 밧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여기서,
상기 걸림수단은,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갈수록 눈이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여기서,
상기 걸림수단에는,
입자가 작은 토석의 차단을 위해 눈이 작은 망 또는 천등의 소재가 상기 걸림수단에 덧대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상기 1양태 내지 제 13양태의 걸림수단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은 각재, 환재, 판재, 파이프, H형강, I형강, C형강중에서 어느 한가지 또는 두가지 이상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여기서,
상기 걸림수단의 소재는,
나무, 철, 철 혼합물,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비철류, 플라스틱, 플라스틱 혼합물중에서 어느 한가지 또는 두가지 이상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상기 1양태 내지 제 13양태의 걸림수단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은,
망 또는 그물형태의 걸림수단과 각재, 환재, 판재, 파이프, H형강, I형강,
C형강중에서 어느 한가지 또는 두가지 이상 사용되는 걸림수단이 병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상기 1양태 내지 제 13양태의 고정수단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아이( i )볼트, 아이( i )너트, 캡너트, U볼트등의 생산품과 비규격품인 오메가( Ω )형 고정구등 다양한 성형품 및 각종볼트, 각종너트중에서 어느 한가지 또는 두가지 이상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상기 제 1양태 내지 제 5양태, 상기 제 7양태 내지 제 13양태의 어도내측에 삽설가능한 어도에 있어서,
파이프 내측벽에 내경의 절반이상을 가로막는 구조를 취한 반달형상의 차단벽이 다수개가 교차하며 소정간격을 두고 지그재그로 다단 착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를 포함하는 다기능 사방댐.
제 1양태 내지 제 13양태 바닥면의 상·하류측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의 상류측에, 토석류가 본댐에 이르기 전에 세력을 약화시기기
위해 착설하는 토석방지턱과, 상기 바닥면의 하류측에, 댐 하류로 흐르는 물의 수세를 약화와 댐 하부의 토석 유실방지를 위해 착설하는 수직벽중에서 어느 한가지 또는 두가지를 추가로 착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여기서,
상기 토석방지턱은,
바닥면 상류측에 어패류등의 이동경로 확보를 위해 소정간격으로 이격설치된 다수개의 블록이 양측벽 사이에 “ ――― ”형으로 구비되며, 상하간격을 두고 지그재그로 다단 착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여기서,
상기 수직벽은,
중앙부보다 양측이 더 높게 형성된 수직벽어깨를 포함하는 다기능 사방댐.
제 1양태 내지 제 13양태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착탈형 시설물은,
상기 시설물이 바닥면에 착설되는 경우, 부착공이 구비된 플레이트가 몸체 하부에 긴밀하게 착설되고,
상기 시설물이 측벽과 바닥면에 견착되는 경우, 측벽과 바닥면의 맞닿는 부위에 일체형으로 플레이트가 형성되되,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측벽과 바닥면에 동시 착설될 수 있도록 부착공이 구비되며,
상기 시설물이 측벽과 바닥면에 견착되면서 동일한 시설물이 측부에 일직선으로 이어지는 경우, 측벽과 바닥면의 맞닿는 부위에 일체형으로 부착공이 구비된 플레이트 및 동일시설물의 서로 맞닿는 부위에 측부의 동일시설물과 견착될 수 있도록 부착공이 구비된 플레이트가 몸체 측부에 추가로 형성되고,
상기 시설물이 측벽과 바닥면에 견착되면서 동일한 시설물이 측부에 일직선으로 이어지는 경우, 시설물과 시설물 사이에 견착되는 시설물은, 양 몸체 측부의 동일시설물과 서로 맞닿는 부위에 측부의 동일시설물과 견착될 수 있도록 부착공이 구비된 플레이트가 착설되며,
상기 시설물의 상단과 측벽에 설치되는 경우, 측벽과 시설물 상단에 동시에 착설될 수 있도록 부착공이 구비된 플레이트가 마련되고,
시설물 상단에 설치되는 시설물은, 시설물 상단에 착설될 수 있도록 부착공이 구비된 플레이트가 설치되는 착탈형 시설물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여기서,
시설물이 측벽 또는 바닥면과 맞닿는 부위 및 동일시설물이 서로 맞닿는 부위에 담수된 물의 누수를 막기 위해 긴밀하게 삽설되는 다수개의 패킹(Packing)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제 1양태 내지 제 13양태의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은,
건기와 같은 미 사용시 시설물을 철거하고 토석을 덮어 자연환경과 최대한
가깝게 할 수 있도록 바닥면의 상부면이 상하류의 구배보다 더 하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제 8양태 내지 제 12양태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정·역회전이 가능한 전기, 유류(油類), 유압, 공압등을 이용한 기기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제 8양태 내지 제 12양태에 있어서,
상기 수위감지수단은,
오뚜기식, 전극봉식, 플로트식, 기어식, 전해식, 초음파식등에서 어느 한가지 또는 두가지 이상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제 8양태 내지 제 12양태에 있어서,
상기 수위감지수단의 2개 이상 연결방식은 OR회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제 8양태 내지 제 12양태에 있어서,
CCTV의 촬영수단과 모니터링 수단의 연결방법 및 다기능 사방댐이 설치된 위치에서 근무지등과 같은 목적지와의 컨트롤러 연결방법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연결방식은 인터넷망을 이용한 방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제 8양태 내지 제 13양태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플렉시블(flexible)파이프형태의 케이블하우징인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송수단은,
와이어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다기능 사방댐 구조물의 벽면녹화장치에 있어서,
외측에서 측벽을 향해, 하나에서 측벽 벽면을 향해 다수개로 분기되되, 타단은 집수정에 투입되고, 일측에는 펌핑수단이 마련되는 관로와;
상기 각각의 관로끝단에 형성된 암나사와;
하측에 배수공이 마련되고, 일측에 체결공이 구비되며, 내측에 상기 펌핑수단과 연결된 수분감지수단을 포함하는 식재함과;
식재함 사용시 체결되는 노즐과;
식재함 미사용시 체결되는 막음볼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구조물의 벽면녹화장치.
일정기간 자연상태로 방치되어 있던 다기능 사방댐의 관리방법에 있어서,
구동수단이 없고, 시설물에 직접 계류되는 걸림수단이 장착된 다기능 사방댐의 관리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바닥면 상부의 쓰레기류등을 수거하고 토석을 준설하는 단계;
식재함 철거 및 막음볼트 삽설단계;
고정대, 지지대등의 시설물을 설치한 후 고정수단 및 걸림수단을 착설하는 단계;
집중호우후 본댐 상류측에 적치된 유목, 쓰레기등의 수거 및 토석 준설 단계;
상기 고정대등 시설물과 고정수단, 걸림수단의 철거단계;
상기 바닥면 상부에 토석 포설단계;
상기 막음볼트 제거및 식재함 착설단계;
상기 고정대등 시설물과 고정수단 및 걸림수단의 보수 및 보관을 통해 상기 고정대등 시설물과 고정수단 및 걸림수단의 재사용을 하기 위한 관리단계를 포함하는 다기능 사방댐의 관리방법.
일정기간 자연상태로 방치되어 있던 다기능 사방댐의 관리방법에 있어서,
구동수단으로 동작되는 걸림수단이 장착된 다기능 사방댐의 관리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바닥면 상부의 쓰레기류등을 수거하고 토석을 준설하는 단계;
식재함 철거 및 막음볼트 삽설단계;
고정대, 지지대등의 시설물을 설치한 후 고정수단 및 걸림수단을 착설하는 단계;
일시적 호우로 발생한 쓰레기등의 수거 및 토석준설 단계;
상기 걸림수단의 본래상태로 복귀단계;
집중호우후 본댐 상류측에 적치된 유목, 쓰레기등의 수거 및 토석 준설 단 계;
상기 고정대등 시설물과 고정수단, 걸림수단의 철거단계;
상기 바닥면 상부에 토석 포설단계;
상기 막음볼트 제거및 식재함 착설단계;
상기 고정대등 시설물과 고정수단 및 걸림수단의 보수 및 보관을 통해 상기 고정대등 시설물과 고정수단 및 걸림수단의 재사용을 하기 위한 관리단계를 포함하는 다기능 사방댐의 관리방법.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사방댐 및 그 구조물의
벽면녹화와 시설물의 관리방법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콘크리트등의 사용을 최소화하고, 측벽 벽면녹화시설과 시설물의 탈착 및 바닥면의 은폐로, 평상시 주변환경과 흡사한 자연친화적인 다기능 사방댐과 그 구조물의 벽면녹화장치 및 시설물의 관리방법이 제공된다.
둘째, 동물류, 어패류, 양서류, 수서곤충류등의 이동경로를 차단하고, 먹이사슬을 유지할 수 있는 생태계 비파괴적인 다기능 사방댐과 그 구조물의 벽면녹화장치 및 시설물의 관리방법이 제공된다.
셋째, 우기의 급류발생시 유수세력 저지 및 토석류 침전, 하상의 완구배, 담수등 기존 사방댐 역할 뿐만 아니라, 시설물의 탈착으로 사방댐 높이를 최대한 높게 할 수 있으므로써, 유목, 농업폐자재류, 쓰레기, 낙엽등의 하류유입을 원천 저 지할 수 있는 친환경적 다기능 사방댐과 그 구조물의 벽면녹화장치 및 시설물의 관리방법이 제공된다.
넷째, 하류로부터 다기능 사방댐의 접근이 용이하여 토사의 준설 및 시설물의 철거 관리가 용이한 다기능 사방댐과 그 구조물의 벽면녹화장치 및 시설물의 관리방법이 제공된다.
다섯째, 도심지와 인접한 하천의 둔치를 통해 하류로 유입되는 쓰레기류를 저지할 수 있는 다기능 사방댐과 그 구조물의 벽면녹화장치 및 시설물의 관리방법이 제공된다.
여섯째, 집중호우로 인해 고립될 수 있는 동물과 사람이 쉽게 도하 가능한 다기능 사방댐과 그 구조물의 벽면녹화장치 및 시설물의 관리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사방댐 및 그 구조물의 벽면녹화와 시설물의 관리방법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에서 제시되는 모든 다기능 사방댐이 더욱 더 효과적으로 실현되기 위해서는 도 52d와 같은 단면형태가 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즉, 건기와 같이 사용치 않을 때는 바닥면이 토석으로 은폐되고, 측벽은 벽면녹화로 콘크리트등의 구조물을 가려지게 하므로써 주변환경과 최대한 가깝게 할 수 있으며, 생태계 파괴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는 다기능사방댐이 제공된다 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본원 제 1양태 내지 제 14양태의 다기능 사방댐에서 제시되는 바닥면 및 바닥면과 일체로 형성된 측벽은 상부로 개구부를 갖는 역 등변사다리꼴 형상을 취하고 있다.
여기서, 바닥면과 측벽은 반드시 상기와 같은 역등변사다리꼴 형상이 아닌 수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측벽의 기울기에 따라 또 다른 형상을 취할 수도 있다.
예컨대, 양쪽 측벽 모두가 바닥면과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고, 한쪽 측벽이 수직으로, 타측 측벽이 소정 기울기를 갖는 형상으로 구축될 수 있으며, 바닥면 양측에 존재하는 각각의 측벽 기울기가 서로 다른 사방댐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용어정리를 다음과 같이 하고자 한다.
바닥면 및 상기 바닥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이송로, 수납함, 단턱과 상기 바닥면과 일체로 형성되는 측벽 및 기존 사방댐 및 기존사방댐에 추가로 마련되는 덧측벽등을 구조물이라 칭하고자 하고, 상기 바닥면과 측벽에 착설 또는 탈부착형태의 고정대등을 시설물이라 칭하고자 한다.
다시 말해서, 시설물은 구조물상에 일체형으로 착설되거나 탈부착이 가능한 각종 고정대 및 지지대, 본댐, 수직벽(부댐), 토석 방지턱, 하우징, 수납함체, 어도등을 지칭하는 것이고, 상기 구조물의 부속품인 수납함 덮개, 각종 이송로 덮개를 포함한다.
또한, 시설물은 상기 각종 고정대 및 지지대 일측에 설치되는 드럼, 하우징, 구동수단, 회동수단, 수동노브, 이송수단, 수위감지수단등의 모든 장착물을 포함한 다.
여기서, 고정수단과 걸림수단은 구조물과 시설물에 포함시키지 아니 하고자 한다.
도 1은 기존 콘크리트 사방댐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 A' 단면도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그물형태의 걸림수단 정면도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걸림수단(70)은 망 또는 그물형태이다. 망 또는 그물이 짜여진 소재는 실, 철사등과 천연섬유 밧줄, 화학섬유 밧줄, 강삭(鋼索)등의 밧줄등 중에 하나이상의 소재가 선택되어질 수 있다.
다만, 상기 망 또는 그물형태로 된 걸림수단의 소재와 직경(또는 두께)이 적용되는데 있어서는, 상기 소재를 총망라하여 설치되는 곳의 토석류와 주변상황, 환경문제등이 반듯이 감안되어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 강삭은 작은 직경으로도 큰 인장강도를 기대할 수 있고, 화학섬유로 짜여진 밧줄은 같은 직경에서의 천연섬유밧줄보다 인장강도가 더 크다고 할 수 있지만 천연섬유밧줄보다 친환경적이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한, 망 또는 그물형태의 걸림수단은 위치등에 따라 두가지 이상의 소재를 병치할 수 있다.
즉, 상기 걸림수단의 소재가 하나 이상 선택되는데 있어서, 수류의 흐름, 토석의 발생정도등을 고려하여 상 · 하 또는 지지대를 구분점으로 좌 · 우에 서로 다른 소재를 병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하측에는 강삭, 상측에는 화학섬유 밧줄의 소재로 채택할 수 있고, 좌우측을 강삭, 중앙부를 화학섬유밧줄등으로 재질을 서로 다르게 채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수단의 망 또는 그물을 이루는 소재는 단면이 원형인 것이 보편적이겠으나, 주로 화학섬유로 짜여진 소정 폭, 소정 두께를 갖는 띠 형상의 밧줄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걸림수단의 망 또는 그물은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가면서 눈(70b)이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하였듯이, 토석류가 걸림수단에 걸려 물은 내려가고 토석은 걸러지는데 있어서, 하단부 일수록 입자가 작은 모래류가 차단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경우에 따라서 눈이 작은 망 또는 천등의 소재가 상기 걸림수단에 덧대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눈이란 그물에서의 밧줄 따위가 서로 교차하여 매듭등으로 형성된 코(70a)와 코사이를 서로 연결하여 이룬 4각형상등의 구멍을 말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걸림수단은 도 4에서와 같이 각재형태로 착설되거나, 두가지 이상의 각기 다른 재료의 걸림수단이 병치될 수 있다.
여기서, 망 또는 그물형태의 걸림수단(70)이 아닌 걸림수단(70′)의 재질은 나무, 철, 철 혼합물,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비철류, 플라스틱, 플라스틱 혼합물등인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에 각재인 걸림수단이 견착된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에 그물형태와 각재가 병치된 걸림수단 사시도, 도 4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에 그물형태와 각재가 병치된 걸림수단 사시도이다.
도 4a에서는 고정수단(15)이 볼트(16)인 지지대(60)에 각재(70′)가 원형와셔(17)와 너트(16′)로 견착된 부분 사시도로, 걸림수단이 각재(70′)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원의 권리범위를 각재에 한정시키고자 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걸림수단은 환재, 판재, 파이프, H형강, I형강, C형강등 토석류의 횡압을 견딜 수 있는 장바 형태의 소재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b,도 4c는 그물형태와 각재가 병치된 걸림수단 사시도로, 도 4b는 상단에 그물형태의 걸림수단(70)이, 하단에는 각재의 걸림수단(70′)이 병치되고, 도 4c는 지지대(60)와 지지대 사이에 그물형태의 걸림수단(70)이, 타단에는 각재의 걸림수단(70′)이 병치되어 있다.
주지하였듯이, 그물형태의 걸림수단(70)은 걸림수단에 토석이 충돌하면서 유발하는 충격을 어느 정도 흡수가 가능하므로 상하 또는 좌우에 타 소재와 적절히 혼용하면 더욱 더 효율적인 사방댐이 가능해진다.
예컨대, 비교적 넓은 폭의 판재를 바닥면에 패킹을 삽설후 밀착하여 착설하고, 판재 상부에 그물형태의 걸림수단을 병치하는 경우, 담수가 가능하고 입자가 작은 모래류의 차단효과가 극대화 될 수 있으며, 사방댐의 중앙부와 측부의 유속이 현저한 차이가 있는 경우, 도 4c에서와 같이 각재인 걸림수단(70′)과 그물형태의 걸림수단(70)을 병치하므로써 효율이 높아 질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걸림수단은 장바형태 소재중 한가지 이상의 소재가 서로 병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바형태의 걸림수단과 그물형태의 걸림수단이 겹쳐져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그물형태의 걸림수단이 수류 상류방향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수단(15)은 시설물, 걸림수단을 견고하게 계류시킬 수 있는 것이면 공지된 어느 것 이든지 채택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구조물 또는 시설물에 설치 또는 조립되어 걸림수단을 계류할 수 있는 고정구를 지칭하는 것으로, 상기 구조물에 시설물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구 역시 고정수단의 범위에 포함된다.
즉,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사방댐의 고정수단으로 아이( i )볼트(도 5a), 아이( i )너트(도 5b), 캡너트(도 5c), U볼트(도 5d)등의 생산품과 비규격품인 오메가( Ω )형 고정구(도 5e)등 다양한 성형품 및 도면에는 미 도시되었으나, 각종볼트, 각종너트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이때, 한가지 또는 한가지 이상의 고정수단(15)이 병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각종 볼트란 육각볼트를 포함하여 전산볼트, 나비볼트, 기초앙카볼트, 캐미칼앙카볼트, 셋트앙카볼트등 외측으로 돌설되는 부위가 수나사가 형성된 볼트면 공지된 어떤 것이라도 채택될 수 있음을 의미하고, 각종너트란 육각너트를 포함하여 연결너트, 스트롱앙카등 외면으로 표출되는 부위에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으면 공지된 어떤 것이라도 채택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상기 고정수단이 구조물 및 시설물에 설치되는데 있어서, 볼트가 삽설되는 경우, 너트, 캡너트등을 사용하여 시설물 및 걸림수단을 고정하게 된다. 이때, 도 4a, 도 4b에서와 같이 걸림수단의 견착부위를 넓게하여 견고히 고정할 수 있도록 별도의 원형와셔(17), 사각와셔(18), 조각편(19)등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고정수단인 볼트에 걸림수단등이 계류될 수 있도록 아이너트가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조물 및 시설물에 너트가 삽설되는 경우, 볼트등으로 시설물 및 걸림수단을 고정하거나, 상기 고정수단인 너트에 걸림수단등이 계류될 수 있도록 아이볼트가 채택 · 조립될 수 있다.
아울러, U볼트, 오메가( Ω )형 고정수단은 상기 구조물 및 시설물에 개구부방향이 삽설되어 상기 아이( i )볼트, 아이( i )너트와 함께 걸림수단등을 견고히 계류할 수 있는 고리형상의 고정수단(15)이 된다.
상기 고리형상의 고정수단에 걸림수단등의 고정은 끈, 철사, 밧줄, 강삭, 및 공지된 클립, 비너, 퀵링크, 커넥터, 샤클등 유수 및 토석류의 압력에 충분히 견디면서 고정수단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걸림수단이 좌우 또는 상하로 움직이지 않게 계류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사방댐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정면도로 제 1양태의 다기능 사방댐(100)을 도시한 것이다.
계류 및 시냇가등에 구축되는 다기능 사방댐에 있어서, 물이 흐르는 저면에 바닥면(110)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의 양측 기슭(105)에 바닥면과 일체로 형성되면서 상부기슭과 접하여 측벽(120)이 구비된다.
상기 측벽이 형성된 바닥면의 양측단에는, 사방댐에 상부로 물이 차오르는
수위에 관계없이 어류, 양서류, 수서곤충류등의 이동이 자유롭게 이뤄질 수 있도록 수류의 방향으로 관통형성된 다수개의 어도(152)를 포함하는 고정대(150a, 150b)가 바닥면과 측벽에 긴밀하게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바닥면의 양측 고정대 사이에는 대체로 일직선상에 다수개의 지지대(160a, 160b)가 착설되며, 상기한 바닥면 및 고정대, 지지대의 소정위치에 다수개의 고정수단(115, 155, 165)이 설치된다.
여기서, 고정대와 지지대에 착설되는 고정수단(155, 165)은 사방댐의 상류 방향에 존재하고, 바닥면에 착설되는 고정수단(115)은, 상기 고정대와 지지대에 착설되는 고정수단의 하부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바닥면에 설치되는 지지대의 수량은, 상기 제 1양태의 다기능 사방댐(100)이 설치되는 해당위치의 유속, 유량, 강폭등에 따라서 결정되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바닥면과 고정대 및 지지대에 착설되는 고정수단은 일직선상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고정수단에 소정높이를 갖는 걸림수단(170)이 착설되어 물의 흐름방향으로 대면하는 “ 一 ”자형의 다기능 사방댐(100)이 구축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다기능 사방댐의 개략적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B부분 확대 평면도, 도 10은 도 8의 B부분 정면도로 제 2양태의 다기능 사방댐(200)을 도시한 것이다.
계류 및 시냇가등에 구축되는 다기능 사방댐에 있어서, 물이 흐르는 저면에 설치되는 바닥면(210)과, 상기 바닥면으로 부터 일체로 형성되면서 양측 기슭(205) 에 상부방향으로 측벽(220)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바닥면 양측단의 소정위치에 바닥면과 측벽에 맞닿게 고정대(25 0a, 250b)가 착설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대에는 물의 흐름 방향으로 다수개의 어도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닥면에는 양측 고정대와 대체로 일직선상에 다수개의 하부지지대(26
0a, 260b)가 착설되며, 상기 고정대(250a)와 하부지지대(260a) 사이 또는 하부지지대(260a)와 측방 하부지지대(260b) 사이 또는 상기 하부지지대(260b)와 고정대(250b) 사이의 중앙부 상류방향에는 다수개의 상부지지대(230a, 230b, 230c)가 착설된다.
또한, 상기 고정대와 상부지지대 사이 또는 상부지지대와 하부지지대 사이
또는 상부지지대와 고정대 사이에 다수개의 중앙지지대(240a, 240b, 240c, 240d, 240e, 240f)가 설치된다.
상기 고정대와 상부지지대 사이등에 착설되는, 상기 중앙지지대는 도 8에서 한 개가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 고정대 또는 하부지지대와 상부지지대의 거리, 걸림수단에 적치되는 토석, 쓰레기류등으로부터 받는 압력에 의한 설치수량이 결정되어져야 할 것이다.
상기한 각각의 고정대와 다수개의 중앙지지대와 하부지지대에는 수류의 대면방향에 고정수단(255, 245, 265)이 착설되며, 각각의 상부지지대에는 수류의 하류측에 고정수단(235)이 착설된다.
상기 서로 인접한 고정대(250a)와 하부지지대(260a) 사이의 1조 즉, 고정대(250a)와 다수개의 중앙지지대(240a)와 상부지지대(230a)와 다수개의 중앙지지대(240b)와 하부지지대(260a), 또는 하부지지대(260a)와 측방 하부지지대(260b) 사이의 1조 즉, 하부지지대(260a)와 다수개의 중앙지지대(240c)와 상부지지대(230b)와 다수개의 중앙지지대(240d)와 하부지지대(260b), 또는 하부지지대(260b)와 고정대 (250b)사이의 1조 즉, 하부지지대(260b)와 다수개의 중앙지지대(240e)와 상부지지대(230c)와 다수개의 중앙지지대(240f)와 고정대(250b), 각각에 설치된 고정수단은 고정수단을 선(線)으로 연결하였을 경우 1조의 형상이 “∧”형태를 이루게 되고, 적어도 1조 이상이 설치되는 경우 “∧”형태가 연결되어 나사산 형상을 취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도면에서는 3조가 설치되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만약, 강폭이 비교적 좁아, 1조가 설치되는 경우 고정대, 다수개의 중앙지지대, 상부지지대, 다수개의 중앙지지대, 고정대에 설치되는 고정구를 선(線)으로 연결하면 “∧”형태를 이룬다는 것이고, 여러 조가 설치되는 경우, 상기 고정수단에 차례로 걸림수단을 견착하면 나사산 형태가 된다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바닥면에는 다수개의 고정수단(215)이 설치되는데, 상기 고정대 및 지지대에 설치된 “∧”형태를 이루는 바닥면상에 “∧”형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형태는 직각 또는 예각, 또는 둔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형태가 예각일수록 쓰레기류가 고정대 또는 하부지지대측으로 급 속히 집중되므로써 중앙지지대와 상부지지대에 비해 더 많은 압력이 가해질 수 있지만, 상부지지대측으로 손쉬운 어류등의 이동경로 확보와 수류의 하류 유입이 수월해지고, 상기 “∧”형태가 둔각일수록 쓰레기류가 걸림수단 전반에 거쳐 적체되므로 시설물에 걸리는 압력이 분산되어 안정적일 수는 있으나, 상기 어류등의 이동경로 및 수류의 하류유입이 예각인 경우보다는 쉽지 아니할 수 있다.
따라서, 1조를 이루는 “∧”형태의 각도 및 각 지지대의 설치수량은 상기한 바와 같이 계곡 또는 강폭과 유속, 유량, 상류 인접마을의 쓰레기류 발생정도등을 감안하여 결정되어져야 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형태를 취한 고정대등 시설물과 바닥면 각각에 마련된 다수개의 고정수단에 소정높이를 갖는 걸림수단(270)이 “∧”형상으로 고정되어 나사산형상을 이룬다.
여기서, 상기 상부지지대는 상부지지대에 설치되는 걸림수단(270)의 일부분이 수류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소정폭을 갖고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상기 상부지지대는 급류의 저항을 적게 받도록 도면과 같이 하부로 개구부를 갖고 상부로 뾰족한 나사산 모양의 삼각( ∧ )형태가 아니더라도 수류에 대면하여 평면, 하부로 개구부를 갖는 반원형, 다각형등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걸림수단은 상기 상부지지대로부터 보호받는 범위내에서 타측보다 눈이 큰것이 바람직하다.
도 9의 C는 어류등의 이동경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써, 급류가 발생되더라도 상류로부터 떠내려오는 유목등은 나사산의 골부분 즉, 고정대 또는 하부 지지대 쪽으로 집중되고, 어류등의 상하류간 이동경로는 상류로부터 받는 수압을 부분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나사산의 산부분 즉, 상부지지대 및 눈이 큰 걸림수단에 의해 확보되는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다기능 사방댐 정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후면도이다.
상기 도 11과 도 12는 제 3양태의 다기능 사방댐(300)을 도시한 것으로써, 저사저수기능을 함께 갖는다.
계류 및 시냇가등에 구축되는 다기능 사방댐에 있어서, 물이 흐르는 저면에 설치되는 바닥면(310)과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일체로 형성되면서 양측 기슭에 상부방향으로 측벽(320)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양 측벽사이에 본댐(317)이 형성되고, 상기 본댐의 일측에는 하나이상의 어도(319)가 마련된다.
여기서, 본댐에는 본댐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배수공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어도는 계단식을 포함하는 공지된 어도 중 어떠한 것이라도 선택되어질 수 있다.
주지하였듯이, 기존 사방댐의 있어서 방수로는 전술했던 바와 같은 사유로 댐둑마루보다 낮게 설계되지만, 본원에서는 측벽이 기슭의 유실을 저지하므로, 본댐 상부에 방수로가 굳이 형성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즉, 기존의 사방댐은 댐둑마루 중앙의 소정부위가 함몰되어 방수로가 형성되 지만, 본원에서는 방수로가 필요치 않으므로 본댐 상부면을 정면에서 보았을때 일직선상으로 형성된다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는 배수공(318)이 도시되어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저수를 목적으로 하는 사방댐의 경우 배수공의 설치가 아니될 수도 있다.
상기 본댐의 댐둑마루 양측단에 상기 댐둑마루와 측벽에 맞닿아 고정대(350a
, 350b)가 착설되되, 물의 흐름방향으로 관통형성된 다수개의 어도(352)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본댐 댐둑마루의 상부 양측 고정대(350a, 350b) 사이에는 다수개의 지지대(360a, 360b)가 착설된다.
여기서, 고정대, 지지대 및 본댐 측상부에는 다수개의 고정수단(355, 365, 317-5)이 착설되며, 상기 각각의 고정수단에 소정높이를 갖는 걸림수단(370)이 “ ∧ ”자형으로 고정된다.
상기 고정수단은 수류의 대면방향에 착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제 3양태의 사방댐(300)은 하부에 설치되는 본댐(317)의 저사저수기능과 본댐 상부의 걸림수단(370)으로 유수의 세력을 통제하고, 토석을 침전시켜 하상을 완만한 구배로 안정시키며, 상기 유목, 쓰레기류의 하류유입을 원천 저지시킬 수 있는 다기능 사방댐(300)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다기능 사방댐의 개략적 정면도, 도 14는 도 13의 개략적 후면도, 도 15는 도 13의 시설물과 고정수단 및 걸림수단 장착전 사시도, 도 16은 도 13의 걸림수단 장착전 평면도, 도 17은 도 16의 D - D′ 단면도로 제 4양태의 다기능 사방댐(400)이다.
계류 및 시냇가의 물이 흐르는 방향을 가로질러 형성된 기존의 댐에 추가로 구축되는 다기능 사방댐에 있어서,
기존 사방댐 본댐(20)의 댐둑마루(21) 및 대수면(24)과 반수면(25)을 긴밀하게 감싸면서 기슭(50)부위가 충분히 포함될 수 있도록 양측기슭에 덧측벽(420)이 추가로 마련되고, 상기 양측 댐둑마루에 상기 댐둑마루와 덧측벽이 긴밀하게 맞닿도록 고정대(450a, 450b)가 착설되되, 물의 흐름방향으로 관통형성된 다수개의 어도(45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본댐 상단의 고정대 사이 즉, 댐둑마루(21) 및 방수로(23) 상부에는 다수개의 지지대(460a, 460b)가 착설된다.
또한, 고정대, 지지대 및 본댐 측상부에 다수개의 고정수단(455, 465, 425)이 착설되고, 상기 고정수단에 걸림수단(470)이 고정되는 구조를 취한다.
여기서, 고정수단은 댐의 상류 방향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상기 구조를 갖는 제 4양태의 다기능 사방댐은 기존 댐 상단에 소정높이를 갖는 걸림수단이 “ 一 ”자형으로 착설되므로써, 기존 사방댐의 기능은 물론 특히, 기존 사방댐에서는 기대하지 못했던 부유되는 유목 및 낙엽, 쓰레기류의 하류유입을 저지하는데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제 4양태 다기능 사방댐의 관련 도면중 미 설명 부호 22, 26, 30, 40은 각각 댐둑어깨, 배수공, 부댐, 측벽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다기능 사방댐 정면도, 도 19는 도 18의 E부분 사시도로, 제 5양태의 다기능 사방댐(500)이다.
계류 및 시냇가등에 구축되는 다기능 사방댐에 있어서, 물이 흐르는 저면에 설치되는 바닥면(510)과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일체로 형성되면서 양측 기슭에 상부 방향으로 측벽(520)이 설치된다.
상기 양측벽에는, 상기 바닥면과 측벽에 긴밀히 맞닿아 고정대(550a, 550b)가 착설되되, 물의 흐름방향으로 관통형성된 다수개의 어도(55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고정대 및 바닥면 일측에 다수개의 고정수단이 착설되고, 상기 고정수단에 소정높이의 걸림수단(570)이 “ 一 ”자형으로 고정되는 구조를 취한다.
여기서, 상기 바닥면에 착설되는 고정수단(515)은, 양측 고정대에 착설된 고정수단을 선으로 이었을 경우 일직선상이 되는 바닥면 상에 착설되어야 한다.
상기 걸림수단의 상단과 하단에는 토석, 유목, 쓰레기류등의 적치와 유속으로 인해 걸림수단이 하류측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밧줄이 물의 흐름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소정간격마다 계류되어 있다.
상기 걸림수단의 상단에 계류되는 상부 고정밧줄(580)의 타측과, 상기 상부 고정밧줄의 하단에 계류되는 다수개의 하부 고정밧줄(585a, 585b) 타측은 도면에는 미도시 되었으나, 상류측의 계류물에 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계류물은 물속 또는 물 바깥쪽에 존재하며, 바위등과 같은 천연적인 것 일수도 있고, 콘크리트등의 인공적인 것 일수도 있다.
또한, 상부 고정밧줄 하단에 계류되는 하부 고정밧줄의 수량은 특히, 댐 높 이에 의해 결정되어져야 할 것이고, 상부 고정밧줄과 다수개의 하부 고정밧줄이 설치되는 간격은 강폭 및 유속등에 의해 결정되어져야 할 것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다기능 사방댐 정면도, 도 21은 도 20의 부분 사시도로 제 6양태의 다기능 사방댐(600)이다.
계류 및 시냇가등에 구축되는 다기능 사방댐에 있어서, 물이 흐르는 저면에 설치되는 바닥면(610)과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일체형으로 형성되면서 양측기슭에 상부방향으로 측벽(620)이 설치된다. 상기 바닥면과 측벽 일측에는 다수개의 고정수단(615, 625)이 착설되고, 상기 고정수단에 소정높이의 걸림수단(670)이 “ 一 ”자형으로 고정되는 구조를 취한다.
상기 걸림수단의 상단과 하단에는 토석, 유목, 쓰레기류등의 적치와 유속으로 인해 걸림수단이 하류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밧줄이 물의 흐름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소정간격마다 계류되어 있다.
상기 걸림수단의 상단에 계류되는 상부 고정밧줄(680)의 타측과, 상기 상부 고정밧줄의 하단에 계류되는 다수개의 하부 고정밧줄(685a, 685b) 타측은 도면에는 미도시 되었으나, 상류측의 계류물에 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계류물은 물속 또는 물 바깥쪽에 존재하며, 바위등과 같은 천연적인 것 일수도 있고, 콘크리트등의 인공적인 것 일수도 있다.
또한 상부 고정밧줄 하단에 계류되는 하부 고정밧줄의 수량은 특히, 댐 높이에 의해 결정되어져야 할 것이고, 상부 고정밧줄과 다수개의 하부 고정밧줄이 설치되는 간격은 강폭 및 유속등에 의해 결정되어져야 할 것이다.
상기한, 제 6양태의 다기능 사방댐은 도 20과 도 21에서와 같이 바닥면과 측벽이 설치된 구조물에, 별도의 어도 또는 어도가 구비된 고정대가 없이 상기 걸림수단과 고정수단만이 존재한다.
따라서, 상기 걸림수단의 그물 눈 크기는 다기능 사방댐이 설치되는 해당위치에서 이동 · 서식하는 상기 동물류, 어패류등이 충분히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이상으로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다기능 사방댐 정면도, 도 23은 도 22의 F부분 분리 사시도로 제 7양태의 다기능 사방댐(700)을 도시한 것이다.
계류 및 시냇가등에 구축되는 다기능 사방댐에 있어서, 물이 흐르는 저면에 설치되는 바닥면(710)과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일체로 형성되면서 양측 기슭에 상부 방향으로 측벽(720)이 설치된다.
상기 바닥면과 측벽에 긴밀히 맞닿아 고정대(750a, 750b)가 착설되되, 물의 흐름방향으로 관통형성된 다수개의 어도(75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양측 고정대 사이에는 다수개의 지지대(760a, 760b)가 착설되며, 상기 고정대, 지지대, 바닥면 일측에 다수개의 고정수단이 착설되고, 상기 고정수단에 소정높이의 걸림수단(770)이 “ 一 ”자형으로 고정되는 구조를 취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760a, 760b)는 플레이트(766) 상부로 돌설된 조각편(763)에 흰지(765) 고정할 수 있도록 결합공(764)이 형성되고, 바닥면에 고정할 수 있도록 부착공(767)이 형성된 브라켓(768)과, 일측에 다수개의 고정수단을 포함하고, 하부에 결합구(762)가 형성되어 상기 플레이트의 결합공(764)과 흰지(765) 고정되는 지지봉(761)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흰지보다 결합구의 내경이 다소 크게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으로부터 지지봉이 소정범위내에서 자유롭게 회동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지지봉 상부 일측에는 수류의 상류 방향에 고정밧줄(780)이 계류되어 있다.
이때, 도면에는 미도시 되었으나, 지지대에 계류되는 고정밧줄의 다른쪽은 상류측 물속 또는 물바깥쪽에 있는 계류물에 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계류물은 바위등과 같이 천연적인 것일 수도 있고, 콘크리트등의 인공적인 것일 수도 있다.
제 7양태 다기능 사방댐 관련 도면중 미 설명 부호 715는 바닥면의 고정수단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다기능 사방댐 평면도, 도 25는 도 24의 고정대 및 하우징 내부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6은 도 25의 G부분 분리 확대도, 도 27은 도 24의 동력전달 계통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8은 도 24의 복귀수단 단면도, 도 29는 도 24의 사용상태도로, 도 24 내지 도 29는 제 8양태의 다기능 사방댐(800)에 관련된 도면이다.
계류 및 시냇가등에 구축되는 다기능 사방댐에 있어서, 물이 흐르는 저면에 바닥면(810)이 설치되되, 소정위치에 유로를 횡단하는 방향의 하부로 바닥면 보다 깊게 이송로(811)가 형성되고, 상기 이송로 상단에 다수개의 이송로 덮개(812)가 마련되며, 상기 이송로가 형성된 바닥면의 상류측에 하부로 더 깊게 함몰되어 단 턱(816)이 형성되고, 상기 단턱 하부 일측에 다수개의 고정수단(815)이 착설된다.
상기 바닥면 양 측단에는 바닥면으로부터 기슭 상부방향으로 바닥면과 일체형인 측벽(820)이 설치되며, 상기 이송로 양 측단에는 바닥면과 측벽에 맞닿아 고정대(850a, 850b)가 착설된다.
상기 고정대(850a, 850b)에는 상류측에 하기할 지지봉이 격납될 수 있도록 안착홈(851b)이 형성되고, 물의 흐름방향으로 관통형성된 다수개의 어도(852)를 구비하며, 동력전달수단(859b)과 상승 정지수단(853b-2)을 포함하는 복귀수단(853b)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하기할 걸림수단이 분리되는 곳에서는, 상기 지지대에 2개의 안착홈이 마련된다.
또한, 하기할 수위감지수단(856b)이 내설될 상기 고정대의 하부 일측에는 고정대 내측으로 물이 투과될 수 있도록 입수공(857b)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양 측단의 고정대와 대체로 일직선상의 이송로 상단에는 다수개의 지지대(860a, 860b)가 설치되며, 상기 지지대의 수류의 대면 방향으로 안착홈(861b)이 구비되고, 내측에 다수개의 동력전달수단과 상승 정지수단을 포함하는 복귀수단(863b)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하기할 수위감지수단이 내설될 각각의 지지대 하부 일측에는 도면에는 미 도시 되었으나, 상기 지지대 내측으로 물이 투과될 수 있도록 입수공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양측단 고정대 또는 지지대에 한개 이상의 드럼(858b)이 마련된다.
상기 “ 양측단 고정대 또는 지지대에 한개 이상의 드럼이 마련 ”되는 것에 있어서, 본원의 구동수단이 마련되는 제 8양태 내지 제 13양태의 다기능 사방댐에 적용되는 내용으로 걸림수단이 한 개 이상 설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들어, 드럼이 2개가 마련되면 걸림수단은 2조로 분리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걸림수단이 분리되는 곳에 있어서의 지지대의 안착홈 또는 제 12양태, 제 13양태의 이탈방지홈 역시 1개의 지지대에 2개가 마련되어야 하며, 더욱 더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드럼(858b)등이 내설되는 고정대(850b) 또는 지지대 상단에 하우징(885b)이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에 마련된 구동수단(884b)이 상기 고정대에 설치된 상기 드럼과 커플링(coupling, (854b))에 의해 긴밀히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드럼 일측에 착설된 회동수단(855b)과 상기 하우징 일측에 설치된 수동노브(881b)에서 연장된 로드(rod, 882b) 아래측 단부의 회동수단(883b)이 서로 맞물리는 구조를 취하고 있으므로 비상사태 발생시 수동노브의 회동으로 걸림수단(870)의 수동조작이 가능해 진다.
상기 고정대, 지지대 내측에는 수위감지수단이 적어도 2개 이상 마련된다.
여기서, 수위감지수단은 일정수위에 다달았을때 수위를 감지하여 컨트롤러에 신호를 보내주는 수단으로 자세한 동작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단턱(816) 일측에 착설되는 다수개의 고정수단(815)은 지지봉이 회동될 수 있도록 아이너트 또는 아이볼트등 고정수단(815) 내측에 조립구(815′)가 형성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며, 상기 단턱에 착설된 고정구의 조립구 내측 에 지지봉(850b′) 하측의 결합구(850b′-1)가 흰지 결합되어 지지봉이 자유롭게 상하 회동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상기한 지지봉(850b′)의 일측에는 다수개의 고정수단(850b′-2)이 착설되며, 상기 다수개의 지지봉(850a′, 860a′, 860b′, 850b′) 고정수단에 걸림수단(870)이 견착되어 사용시 소정높이를 갖는 “一”자형의 다기능 사방댐(800)이 되는 것이다.
상기 이송수단(890)은 드럼을 회전시키면, 이송수단의 방향전환 및 동력전달을 위한 동력전달수단과 함께 지지봉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수단으로써, 상기 이송수단의 일측은 지지봉(850a′, 860a′, 860b′, 850b′) 상측에 긴밀히 고정되어 있고, 타측은 고정대의 동력전달수단(859a,859b)과 지지대의 동력전달수단(869a,869b) 및 이송로(811)의 동력전달수단(859a′, 869a′, 869b′, 859b′)를 거쳐 상기한 바와 같이 드럼(858b)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한 지지대의 수량은 본원 사방댐이 설치되는 강폭과 유속, 유량등을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다기능 사방댐과 댐 주변이 모니터에 모니터링 될 수 있는 CCTV 촬영수단과 모니터링 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조를 갖는 제 8양태의 다기능 사방댐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으며, 집중호우를 대비하여 다기능 사방댐의 구조물에 시설물과 고정수단이 장착되고 걸림수단이 견착된 상태에서 설명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구동수단은 전기를 이용한 모터가 장착된 상태를 예시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24, 25 및 도 29의 a 에서는 걸림수단이 견착된 지지봉이 대체적으로 바닥면과 수평되게 위치하고 있다.
우기시 토석류가 발생하여 다기능 사방댐 내에 수위가 올라가면, 수위감지수단이 내설된 고정대와 지지대에 형성된 입수공을 통해 내측으로 물이 입수되고, 상기 수위감지수단의 미리 설정된 일정수위에 다달았을때 수위감지수단이 동작한다.
수위감지수단이 동작을 개시하면, 도면에는 미 도시되었으나 컨트롤러에서 신호값을 받아 모터에 전원이 인가되고, 모터의 구동으로 드럼의 회전이 시작되면서 각각의 지지봉 상단에 견착된 이송수단에 의해 지지봉이 상승하기 시작하며, 도 29에서와 같이 a상태에서 b,c상태를 거쳐 d상태인 안착상태에 이르게 된다.
여기서, 지지봉이 격납되는 상기 각각의 고정대 및 지지대의 안착홈 상단 일측에는, 리미트스위치, 근접스위치등으로 적용될 수 있는 상승정지수단이 구비된 복귀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지지봉이 동작하면 바닥면으로부터 안착홈을 향해 돌진하게 되고, 상기 지지봉이 복귀수단(853b)의 가압돌기(853b-1)에 도달하면 스프링(853b-3)의 압력으로 충격이 점차 완화되면서 상승정지수단(853b-2)을 가압하게 된다. 이때, 컨트롤러에서는 정지신호를 감지하고 모터의 인가전원을 차단시키게 되는 것이며, 지지봉이 상승을 정지하면서 상기 양측 고정대 및 다수개의 지지대 안착홈에 안착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복귀수단은 인가전원의 차단 및 상기 지지봉이 상기 안착홈에 안착 시 충격완화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일시적인 급류 발생 후 다기능 사방댐의 역할이 차기 사용시까지 비교적 장기간 필요치 않는 경우,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함께 수행한다.
즉, 컨트롤러를 통해 모터를 역회전시키게 되면, 드럼이 역회전하면서 이송수단이 풀리기 시작한다. 이때, 압축되었던 스프링의 이완으로 가압돌기가 걸림수단이 견착된 지지봉을 밀고, 상기 지지봉이 수직선(830)을 지나면서 자중에 의해 도 25 및 도29의 a상태와 같이 바닥면 방향으로 하강하게 된다.
또한, 설치물 일측에 상기 컨트롤러와 연결된 하강정지수단(895)이 마련된다.
상기 하강정지수단은 지지봉이 원하는 지점 이하의 하강을 제어하는 수단으로, 하강정지방식은 구동수단 또는 드럼의 회전을 감지하여 회전횟수로 비례제어방식으로 할 수도 있고, 이송수단 일측에 정지신호를 송출받기 위해 검출부(895a)와 스위치부(895b)를 설치하여 제어함으로써 정지신호를 받을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27의 하강정지방식은 스위치제어방식을 도시한 것으로, 각각의 지지봉에 견착된 이송수단은, 고정대 및 지지대의 동력전달수단과 이송로 내측에 설치된 동력전달수단을 거쳐 드럼에 고정된 채 감겨져 있다.
여기서, 이송수단의 일측에는 검출부가 설치되되, 이송수단의 동작시 각 시설물의 구성물 사이에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면에서는 드럼과 동력전달수단 사이에 존재하는 것으로 예시하였다. 즉, 시설물의 망손, 이송수단의 동력전달 수단으로부터 이탈방지를 위해, 지지봉의 안착 또는 하강시 이송수단이 드럼에 감기거나 풀릴 때, 검출부가 드럼에 함께 감기거나 동력전달수단을 넘어서지 않게 하는 것이 좋다 할 수 있다.
상기 하강정지수단의 역할은 검출부가 스위치부를 터치 또는 근접하였을때 컨트롤러에 정지신호를 보내주는 것이다.
상기 드럼이 설치된 고정대 및 지지대 또는 타 고정대의 설치거리에 따라 이송수단의 길이는 다르지만 드럼의 직경이 동일하여, 각 이송수단이 드럼에 감기는 길이는 같으므로 각 지지봉이 동시안착 또는 하강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이때, 지지봉의 하강정지는 드럼이 회전하여 이송수단에 긴밀히 착설된 검출부가 이송로에 내설된 스위치부를 향해 이동하고, 상기 검출부가 스위치에 다다랗을때 OFF신호를 컨트롤러에 보내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위치부의 스위치는 리미트 스위치, 근접 스위치, 리드 스위치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다기능 사방댐 구조물에 설치물과 고정수단 및 걸림수단이 장착된 후 유량이 많지 않아 수위감지수단에 감지되지 않는 경우, 원 상태(도29 a)를 유지하다가, 소정위치 이상의 수위가 높아져 수위감지수단이 동작하는 경우, 걸림수단이 장착된 지지봉이 상승하여 각각의 고정대 및 지지대의 안착홈에 안착상태가 되므로써 다기능 사방댐(800)의 역할을 수행한다.
하지만, 일시적인 급류발생으로 걸림수단이 장착된 지지봉이 동작(도29의 d)하였으나, 유목 또는 쓰레기류의 발생이 거의 없고, 차기 집중호우시까지 다기능 사방댐 역할이 비교적 장시간 불 필요한 경우, 원상태로 복귀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꼭 필요할 때만 설치되는 구조를 갖는 제 8양태의 다기능 사방댐(800)은, 상기한 어패류등의 이동경로를 최대한 차단하지 아니하므로 생태계파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3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다기능 사방댐 평면도, 도 31은 도 30의 설치물 장착전 사시도, 도 32는 도 31의 이송로 덮개 설치후 평면도로, 제 9양태의 다기능 사방댐(900)이다.
계류 및 시냇가등에 구축되는 다기능 사방댐에 있어서, 물이 흐르는 저면에 바닥면(910)이 설치되되, 소정위치에 수류를 횡단하는 방향으로 서로 같거나 다른 고(高)를 갖는 “ ∧ ”형태가 서로 근접하여 나사산과 흡사한 형태를 이루고, 상기 나사산 형태의 상류측이 하류측 보다 함몰되어 단턱(916)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산 형태의 단턱 하류측에 나사산 형태와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바닥면 보다 더 깊게 형성된 지선 이송로(913)와 상기 지선 이송로의 하류측 하부부위와 연결되면서, 수류를 가로질러 바닥면 보다 더 깊게 형성된 간선 이송로(911)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지선 이송로 및 간선 이송로 상단에는 다수개의 지선 이송로 덮개(914) 및 간선 이송로 덮개(912)가 마련된다.
상기한 바닥면 양측단에는 바닥면으로부터 기슭 상부방향으로 바닥면과 일체형인 측벽(920)이 설치된다.
상기 바닥면의 간선 이송로 및 지선이송로 상단의 양측단에는 바닥면과 측벽에 맞닿아 측부 고정대(950a, 950b)가 착설되고, 상기 측부 고정대와 측부 고정대 사이의 간선 이송로 및 지선이송로 상단에는 다수개의 중앙 고정대(960)가 착설된다.
여기서, 상기 측부 고정대와 상기 중앙 고정대에는 상류측 방향에 하기할 지지봉이 격납될 수 있도록 안착홈이 구비되고, 상류로부터 하류로 관통형성된 다수개의 어도(952, 962)가 마련되며, 동력전달수단과 회동수단, 상승정지수단을 포함하는 복귀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측부 고정대 또는 중앙 고정대에 한 개 이상의 드럼이 마련된다.
여기서, 중앙 고정대에 형성되는 안착홈은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하기할 수위감지수단이 내설되는 상기 측부 고정대 및 중앙 고정대의 하부 일측에는 내측으로 물이 투과될 수 있도록 입수공이 구비된다.
여기서 제 9양태의 다기능 사방댐은 제 8양태와 이송로의 모양이 상이하고, 이송로 상단에 장착되는 설치물( 고정대, 지지대, 수동노브, 하우징, 구동수단, 구동로드, 회동수단, 이송수단, 동력전달수단, 수위감지수단등 )의 크기와 모양이 상이할 뿐, 설치물의 구조와 동작, 구동순서등이 동일하다.
다만, 제 8양태에서는 다수개의 지지대를 포함하여 고정대와 고정대사이의 걸림수단이 “ 一 ”자형으로 설치되고, 제 9양태에서는 측부고정대와 상부지지대 또는 상부지지대와 중앙고정대 등에 설치되는 “ 一 ”자형으로 형성된 걸림수단 2개가 결합하여 “ ∧ ”형태를 이룬 후, “ ∧ ”형태의 다수개가 조합되어 나사산 형상을 이룰 뿐이다.
결국, 제 9양태의 나사산 형태를 이룬 걸림수단 역시 “ 一 ”자형이 조합된 것이므로, 지선이송로와 간선이송로간의 방향전환을 위한 동력전달수단의 증가 및 이송수단의 길이가 증가될 뿐, 제 8양태의 사방댐과 동작원리가 동일하므로 도면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내부구조 및 동력전달 계통구조를 미 도시 하였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도 24내지 도 29의 도면내용을 제 9양태의 다기능 사방댐에 적용시키기로 한다.
다만, 부호의 중복사용으로 인한 혼란을 피하기 위해 제 9양태에서는 제 8양태의 부호를 인용하지 않기로 한다.
상기 드럼이 설치되는 측부 고정대 또는 중앙 고정대 상단에는 하우징이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에 마련된 구동수단이 상기 고정대에 설치된 상기 드럼과 커플링(coupling)에 의해 긴밀히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드럼 일측에 착설된 회동수단 및 상기 하우징 일측에 설치된 수동노브에서 연장된 로드(rod) 끝단의 회동수단이 서로 맞물리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상기 측부 고정대와 중앙 고정대 사이 또는 중앙 고정대와 인접한 중앙 고정대 사이 또는 중앙 고정대와 측부 고정대 사이에는 지선 이송로 상단 즉, 단턱의 산부위마다 다수개의 상부지지대(930a, 930b)가 착설된다.
또한, 상기 측부 고정대와 상부지지대 또는 상기 상부지지대와 중앙 고정대 또는 상기 상부지지대와 측부고정대 사이에는 다수개의 중앙 지지대(940a, 940b, 940c, 940d)가 착설되며, 상기 상부지지대 및 중앙지지대 일측에는 지지봉이 격납될 수 있도록 안착홈이 구비되고, 하기할 수위감지수단이 내설되는 상부지지대 또 는 중앙지지대의 하측에 입수공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부 지지대에 형성되는 안착홈은 하나이상 형성되고, 하기할 걸림수단이 분리되는 곳에서의 중앙지지대는 2개의 안착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부지지대 및 중앙지지대에는 동력전달수단과 상승정지수단을 포함하는 복귀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단턱 일측에 착설되는 다수개의 고정수단은 지지봉이 회동될 수 있도록 아이너트 또는 아이볼트등 고정수단 내측에 조립구가 형성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며, 상기 단턱에 착설된 고정구의 조립구 내측에 지지봉 하측의 결합구가 흰지 결합되어 지지봉이 자유롭게 상하 회동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상기한 지지봉의 일측에는 다수개의 고정수단이 착설되며, 상기 다수개의 지지봉 고정수단에 걸림수단이 견착되어 사용시 소정높이를 갖는 나사산 모양의 다기능 사방댐이 되는 것이다.
여기서, 수위감지수단은 상기 측부고정대, 중앙고정대 및 상부지지대, 중앙지지대중에서 적어도 2개 이상에 마련된다.
수위감지수단은 일정수위에 다달았을때 수위를 감지하여 컨트롤러에 신호를 보내주는 수단으로 자세한 동작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다수개의 측부고정대와 중앙고정대, 상부지지대 및 중앙지지대는 단턱의 상류 방향으로 넘어서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각 측부 고정대, 중앙 고정대, 상부지지대, 중앙지지대는 지선 이송로, 간선 이송로 상단의 바닥면에 위치 하는 것이 마땅하다.
상기한, 바닥면의 소정위치에 유수를 횡단하는 방향으로 대체로 나사산 모양의 단턱부가 형성되는데 있어서, “ 대체로 나사산 모양 ”이란, 도 32에서와 같이 상기 양 측부 고정대는 상기 중앙 고정대의 대략 중앙을 종으로 가른 형태로 측벽 좌측 또는 우측에 착설되는 것으로, 상기 측부 고정대끼리, 상부 중앙 고정대끼리 또는 상기 측부 고정대와 중앙 고정대끼리 나사산모양이 대체로 같고, 고(高)가 비슷하거나 같다는 것이다.
도 32에서는 상부 지지대와 측부 고정대 또는 중앙 고정대가 위치한 나사산의 고(高)가 서로 다른 형태를 취하고 있으나, 이는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한 도면에 불과한 것으로, 상기 상부 지지대가 설치되는 나사산 부위의 고(c, c′)를 낮추고, 각 중앙 고정대가 설치되는 나사산 부위의 고(b)와 측부 고정대가 설치되는 나사산 부위의 고(a, a′)를 높임으로써 각기 연결된 나사산의 고가 서로 동일하거나 비슷하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 대체로 나사산 모양 ”이라 표기한 것이다.
상기한, 나사산을 이루는 각의 직각 또는 둔각 또는 예각상태와 중앙 고정대 및 각 지지대의 수량, 드럼이 설치되는 수량은 강폭과 유속, 유량, 상류 인접마을의 쓰레기류 발생정도등을 감안하여 설계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다기능 사방댐과 댐 주변이 모니터에 모니터링 될 수 있는 CCTV 촬영수단과 모니터링 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조를 갖는 제 9양태의 다기능 사방댐(900)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으며, 집중호우를 대비하여 다기능 사방댐의 구조물에 시설물과 고정수단이 장착 되고 걸림수단이 견착된 상태에서 설명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구동수단은 전기를 이용한 모터가 장착된 상태를 예시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30에서는 걸림수단이 견착된 지지봉이 대체적으로 바닥면과 수평되게 위치하고 있으며, 각각의 지지봉에 견착된 이송수단의 타측은 해당 고정대 또는 지지대의 동력전달수단과 지선이송로 및 간선이송로의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상기 드럼에 고정되어 있다.
우기시 토석류가 발생하여 다기능 사방댐 내에 수위가 올라가면, 측부고정대, 중앙고정대, 상부지지대, 중앙지지대중에 수위감지수단이 내설된 시설물의 입수공을 통해 내측으로 물이 입수되고, 상기 수위감지수단의 미리 설정된 일정수위에 다다랗을때 수위감지수단이 동작한다.
수위감지수단이 동작을 개시하면, 도면에는 미 도시되었으나 컨트롤러에서 신호값을 받아 모터에 전원이 인가되고, 모터의 구동으로 드럼의 회전이 시작되면서 각각의 지지봉 상단에 견착된 이송수단에 의해 지지봉이 상승하기 시작하며, 도 29에서와 같이 a상태에서 b,c상태를 거쳐 d상태인 안착상태에 이르게 된다.
여기서, 지지봉이 격납되는 상기 각각의 측부고정대, 중앙고정대, 상부지지대, 중앙지지대의 안착홈 상단 일측에는, 리미트스위치, 근접스위치등으로 적용될 수 있는 상승정지수단이 구비된 복귀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지지봉이 동작하면 바닥면으로부터 안착홈을 향해 돌진하게 되고, 상기 지지봉이 복귀수단의 가압돌기에 도달하면 스프링의 압력으로 충격이 점차 완화되면서 상승정지수단을 가압하게 된다. 이때, 컨트롤러에서는 정지신호를 감지하고 모터의 인가전원을 차단시키게 되는 것이며, 지지봉이 상승을 정지하면서 상기 측부고정대, 중앙고정대, 상부지지대, 중앙지지대의 안착홈에 안착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복귀수단은 인가전원의 차단 및 상기 지지봉이 상기 안착홈에 안착시 충격완화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일시적인 급류 발생 후 다기능 사방댐의 역할이 차기 사용시까지 비교적 장기간 필요치 않는 경우,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함께 수행한다.
즉, 컨트롤러를 통해 모터를 역회전시키게 되면, 드럼이 역회전하면서 이송수단이 풀리기 시작한다. 이때, 압축되었던 스프링의 이완으로 가압돌기가 걸림수단이 견착된 지지봉을 밀고, 상기 지지봉이 수직선을 지나면서 자중에 의해 도 25 및 도29의 a상태와 같이 바닥면 방향으로 하강하게 된다.
또한, 설치물 일측에 상기 컨트롤러와 연결된 하강정지수단이 마련된다.
상기 하강정지수단은 지지봉이 원하는 지점 이하의 하강을 제어하는 수단으로, 하강정지방식은 구동수단 또는 드럼의 회전을 감지하여 회전횟수로 비례제어방식으로 할 수도 있고, 이송수단 일측에 정지신호를 송출받기 위해 검출부와 스위치를 설치하여 제어함으로써 정지신호를 받을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27은 하강정지방식은 스위치제어방식을 도시한 것으로, 각각의 지지봉에 견착된 이송수단은, 고정대 및 지지대의 동력전달수단과 이송로 내측에 설치된 동력전달수단을 거쳐 드럼에 고정된 채 감겨져 있다.
여기서, 이송수단의 일측에는 검출부가 설치되되, 이송수단의 동작시 드럼과 동력전달수단 사이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시설물의 망손, 이송수단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봉의 안착 또는 하강시 이송수단이 드럼에 감기거나 풀리게 되면, 검출부가 드럼에 함께 감기거나 동력전달수단을 넘어서지 않게 하는 것이 좋다 할 수 있다.
상기 드럼이 설치된 고정대 및 지지대의 설치거리에 따라 이송수단의 길이는 다르지만 드럼의 직경이 동일하여, 이송수단이 드럼에 감기는 길이는 같으므로 각 지지봉에 동시안착 또는 하강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이때, 지지봉의 하강정지는 드럼이 회전하여 이송수단에 긴밀히 착설된 검출부가 이송로에 내설된 스위치를 향해 이동하고, 상기 검출부가 스위치에 다다랗을때 OFF신호를 컨트롤러에 보내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위치부의 스위치는 리미트스위치 근접스위치, 리드스위치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다기능 사방댐 구조물에 설치물과 고정구 및 걸림수단이 장착된 후 유량이 많지 않아 수위감지수단에 감지되지 않는 경우, 원 상태(도29의 a)를 유지하다가, 소정위치 이상의 수위가 높아져 수위감지수단이 동작하는 경우, 걸림수단이 장착된 지지봉이 상승하여 각각의 측부고정대, 중앙고정대, 상부지지대, 중앙지지대의 안착홈에 안착상태가 되므로써 다기능 사방댐의 역할을 수행한다.
하지만, 일시적인 급류발생으로 걸림수단이 장착된 지지봉이 동작(도26의 d)하였으나, 유목 또는 쓰레기류의 발생이 거의 없고, 차기 집중호우시까지 다기능 사방댐 역할이 비교적 장시간 불필요한 경우, 원상태로 복귀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꼭 필요할 때만 설치되는 구조를 갖는 제 9양태의 다기능 사방댐(900)은, 상기한 어패류등의 이동경로를 최대한 차단하지 아니하므로 생태계파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3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다기능 사방댐 평면도이고, 도 34는 도 30의 H - H′ 단면도이다.
상기 도 33과 도 34는 제 10양태의 다기능 사방댐(1000)을 도시한 것으로써, 저사저수기능을 함께 갖는다.
여기서, 제 10양태의 다기능 사방댐은 댐둑마루에 이송로(1011)가 형성되고, 후술할 제 11양태의 다기능 사방댐은 기존 사방댐의 본댐 대수면 상단 일측에 이송로가 긴밀히 착설되며, 전술한 제 8양태의 사방댐은 바닥면에 이송로가 일체형으로 구축되는 바, 제 8양태 및 제 10양태, 제 11양태의 사방댐에 있어서, 이송로 설치위치만 다를 뿐, 이송로 상단에 장착되는 설치물(수동노브, 하우징, 구동수단, 로드, 회동수단등)은 동일하기 때문에, 도면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미 도시하였음을 미리 밝혀둔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도 24 내지 도 29의 도면 중 설치물의 도시된 내용이 동일하므로, 제 10양태, 제 11양태에 그대로 적용시킬 수 있다.
다만, 부호의 중복사용으로 인한 혼란을 피하기 위해 제 10양태, 제 11양태에서는 제 8양태 부호를 인용하지 않기로 한다.
계류 및 시냇가등에 구축되는 다기능 사방댐에 있어서, 물이 흐르는 저면에 설치되는 바닥면(1010)과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일체로 형성되면서 양측 기슭에 상 부방향으로 측벽(1020)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양 측벽사이에 바닥면 상부로 본댐(1017)이 형성되고, 상기 본댐의 일측에는 하나이상의 어도(1019)가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본댐에는 본댐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하나이상의 배수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도는 계단식을 포함하는 공지된 어도 중 어떠한 것이라도 선택되어질 수 있다.
상기 본댐의 댐둑마루에는 하부로 더 깊이 이송로(1011)가 형성되고, 다수개의 이송로 덮개(101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댐둑마루의 이송로 양측단 상단에 이송로 상단과 상기 측벽이 맞닿게 고정대(1050a, 1050b)가 착설된다.
상기 고정대의 상류측에는 하기할 지지봉이 격납될 수 있도록 안착홈이 구비되고, 물의 흐름방향으로 관통형성된 다수개의 어도(1052)를 구비하며, 동력전달수단과, 상승 정지수단을 포함하는 복귀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양 측단의 고정대와 대체로 일직선상의 이송로 상단에는 다수개의 지지대(1060a, 1060b)가 설치되며, 상기 지지대의 수류 대면방향으로 안착홈이 구비되고, 내측에 동력전달수단과 상부에 상승 정지수단을 포함하는 복귀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걸림수단이 분리되는 곳에서는, 상기 지지대에 2개의 안착홈이 마련된다.
또한, 수위감지수단이 내설되는 상기 각각의 고정대 및 지지대 하부에는 내측으로 물이 투과될 수 있도록 입수공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대와 지지대 내측에는 수위감지수단이 적어도 2개 이상 마련된다.
수위감지수단은 일정수위에 다달았을때 수위를 감지하여 컨트롤러에 신호를 보내주는 수단으로 자세한 동작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대 또는 지지대에 한개 이상의 드럼이 마련된다.
상기 드럼이 설치되는 고정대 또는 지지대 상단에는 하우징이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에 마련된 구동수단이 상기 고정대에 설치된 상기 드럼과 커플링(coupling)에 의해 긴밀히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드럼 일측에 착설된 회동수단 및 상기 하우징 일측에 설치된 수동노브에서 연장된 로드(rod) 끝단의 회동수단이 서로 맞물리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상기 본댐 일측에 착설되는 다수개의 고정수단은 지지봉이 회동될 수 있도록 아이너트 또는 아이볼트등 고정구 내측에 조립구가 형성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며, 상기 본댐 일측에 착설된 고정수단의 조립구 내측에 지지봉의 하측의 결합구가 흰지 결합되어 지지봉(1050a′, 1060a′, 1060b′, 1050b′)이 자유롭게 상하 회동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상기한 지지봉의 일측에는 다수개의 고정구가 착설되며, 상기 다수개의 지지봉 고정수단에 걸림수단이 견착되어 사용시 본댐 상단에 소정높이를 갖는 걸림수단(1070)이 “一”자형으로 추가 장착되는 다기능 사방댐(1000)이 되는 것이다.
상기 이송수단의 일측은 지지봉 상측에 긴밀히 고정되어 있고, 타측은 이송로의 동력전달수단과 연계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드럼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한 지지대의 수량은 기존댐에 본원 사방댐이 설치되는 강폭과 유속등을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다기능 사방댐과 댐 주변이 모니터에 모니터링 될 수 있는 CCTV 촬영수단 및 모니터링 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다기능사방댐 평면도, 도 36은 도 35의 I ― I′ 단면도로 제 11양태의 다기능사방댐(1100)을 도시한 것이다.
계류 및 시냇가의 물이 흐르는 방향을 가로질러 형성된 기존의 댐에 추가로 설치되는 다기능 사방댐에 있어서,
기존 본댐의 댐둑마루(21) 및 대수면(24)과 반수면(25)을 긴밀하게 감싸면서 기슭부위가 충분히 포함될 수 있도록 양측 기슭에 덧측벽(1120)이 추가로 마련된다.
상기 양측 덧측벽 사이의 일측에 이송로(1111)가 마련되되, 상단에 다수개의 이송로 덮개(1112)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이송로는 기존 본댐의 상류방향, 즉, 대수면과 긴밀하게 착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송로 양 측단 상단에 이송로 상단과 덧측벽에 맞닿아 고정대(1150a, 1150b)가 착설된다.
상기 고정대의 상류측에는 하기할 지지봉이 격납될 수 있도록 안착홈이 구비 되고, 물의 흐름방향으로 관통형성된 다수개의 어도(1152)를 구비하며, 동력전달수단과 상승 정지수단을 포함하는 복귀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하기할 수위감지수단이 내설될 고정대의 하류측에는 고정대 내측으로 물이 투과될 수 있도록 입수공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양 측단의 고정대와 대체로 일직선상의 이송로 상단에는 다수개의 지지대(1160a, 1160b)가 설치되며, 상기 지지대의 수류 대면방향으로 안착홈이 구비되고, 내측에 동력전달수단과 상승 정지수단을 포함하는 복귀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걸림수단이 분리되는 지지대에서는 2개의 안착홈이 마련된다.
또한, 하기할 수위감지수단이 내설될 상기 각각의 지지대 하류측에는 지지대 내측으로 물이 투과될 수 있도록 입수공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대 또는 지지대에 한개 이상의 드럼이 마련된다.
상기 드럼이 설치되는 고정대 또는 지지대 상단에는 하우징이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에 마련된 구동수단이 상기 고정대에 설치된 상기 드럼과 커플링(coupling)에 의해 긴밀히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드럼 일측에 착설된 회동수단과 상기 하우징 일측에 설치된 수동노브에서 연장된 로드(rod) 끝단의 회동수단이 서로 맞물리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또한, 상기 고정대와 지지대 내측에는 수위감지수단이 적어도 2개 이상 마련된다.
수위감지수단은 일정수위에 다달았을때 수위를 감지하여 컨트롤러에 신호를 보내주는 수단으로 자세한 동작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이송로 외벽 일측에 착설되는 다수개의 고정수단은 지지봉(1150a′, 1160a′, 1160b′, 1150b′)이 회동될 수 있도록 아이너트 또는 아이볼트등 고정구 내측에 조립구가 형성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며, 상기 이송로 외벽에 착설된 고정수단의 조립구 내측에 지지봉의 하측의 결합구가 흰지 결합되어 지지봉이 자유롭게 상하 회동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상기한 지지봉의 일측에는 다수개의 고정수단이 착설되며, 상기 다수개의 지지봉 고정수단에 걸림수단(1170)이 견착되어 사용시 소정높이를 갖는 “一”자형의 다기능 사방댐(1100)이 되는 것이다.
상기 이송수단의 일측은 지지봉 상측에 긴밀히 고정되어 있고, 타측은 이송로의 동력전달수단과 연계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드럼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다기능 사방댐과 댐 주변이 모니터에 모니터링 될 수 있는 CCTV 촬영수단 및 모니터링 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지지대의 수량은 기존댐에 본원 사방댐이 설치되는 강폭과 유속등을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구조를 갖는 제 11양태의 사방댐(1100)은 하부에 저사저수기능을 갖는 기존댐 상부에 설치물이 장착되므로써, 토석류의 침전 및 저수기능을 포함한, 부유되는 유목, 쓰레기류의 하류유입을 저지하여 사방댐의 기능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제 11양태 다기능 사방댐의 관련 도면중 미 설명 부호 22는 댐둑어깨, 30은 부댐, 32는 수직벽 어깨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다기능 사방댐 평면도, 도 38은 도 37의 동력전 달 계통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39a는 도 37의 지지대 사시도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걸림수단의 소재가 그물형태인 경우 지지대 사시도이고, 도 39b는 도 37의 지지대 사시도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걸림수단의 소재가 각재와 그물형태가 병치된 경우 지지대 사시도이며, 도 40a는 도 37의 고정대 사시도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걸림수단의 소재가 그물형태인 경우 고정대 사시도, 도 40b는 도 37의 고정대 사시도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걸림수단의 소재가 각재와 그물형태가 병치된 경우 고정대 사시도이며, 제 12양태의 다기능 사방댐(1200)에 관련된 도면이다.
계류 및 시냇가등에 구축되는 사방댐에 있어서, 물이 흐르는 저면에 바닥면(1210)이 설치되는데, 소정위치에 유로를 횡단하는 방향의 하부로 바닥면 보다 깊게 이송로(1211)가 형성되고, 상기 이송로 상단에 다수개의 이송로 덮개(1212)가 마련된다.
상기 이송로 상류방향에 하부로 바닥면 보다 깊게 수납함(12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함 상부에는 일측에 흰지 결합하여 상부 방향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구조를 취한 다수개의 수납함 덮개(1214)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한 바닥면 양 측단에는 바닥면으로부터 기슭 상부방향으로 바닥면과 일체형인 측벽(1220)이 설치되며, 상기 바닥면의 이송로 양측 상단 소정위치에 바닥면과 측벽과 맞닿아 고정대(1250a, 1250b)가 착설된다.
상기 고정대(1250b)의 상류측에는 걸림수단(1270)이 안착후 이탈되지 않도록 이탈방지홈(1250b-1)이 형성되고, 물의 흐름방향으로 관통형성된 다수개의 어 도(1252)를 구비하며, 다수개의 동력전달수단(1259b, 1259b′)과 상승 정지수단을 포함하는 복귀수단(1253b)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하기할 수위감지수단(1256b)이 내설될 상기 고정대의 하부 일측에는 고정대 내측으로 물이 투과될 수 있도록 입수공(1257b)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양 측단의 고정대와 대체로 일직선상의 이송로 상단에는 다수개의 지지대(1260a, 1260b)가 설치되며, 상기 지지대의 수류의 대면 방향으로 이탈방지홈(1260b-1)이 구비되고, 내측에 동력전달수단과 상승 정지수단을 포함하는 복귀수단(1263b)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하기할 걸림수단이 분리되는 곳의 지지대에는, 2조의 이탈방지홈이 마련된다.
또한, 하기할 수위감지수단이 내설될 상기 각각의 지지대 하부 일측에는 도면에는 미 도시 되었으나, 상기 지지대 내측으로 물이 투과될 수 있도록 입수공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고정대 또는 지지대에 한개 이상의 드럼(1258b)이 마련된다.
상기 드럼(1258b)이 내설되는 고정대(1250b) 또는 지지대 상단에는 하우징(1285b)이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에 마련된 구동수단(1284b)이 상기 고정대에 설치된 상기 드럼과 커플링(coupling, 1254b)에 의해 긴밀히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드럼 일측에 착설된 회동수단(1255b) 및 상기 하우징 일측에 설치된 수동노브(1281b)에서 연장된 로드(rod, 1282b) 끝단의 회동수단(1283b)이 서로 맞물리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상기 고정대 및 지지대의 이탈방지홈은, 고정대 또는 지지대의 이탈방지홈에 안착된 걸림수단(1270)이 토석류 및 유목등의 적치 및 수압에 의한 이탈방지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도 39a, 도 40a에서는 본원 일실시예에 따른 그물형태의 걸림수단을 예시하여 도시한 것으로, 상기 이탈방지홈은 그물을 이루는 밧줄등의 굵기(또는 두께)와 그물 코의 간격을 감안하여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그물의 상단이 하부 또는 하류방향으로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도 39b, 도 40b에서와 같이 그물형태와 타소재(1260b-2,1250b-2)가 병치되어 사용되는 경우, 또는 걸림수단이 그물형태가 아닌 경우, 소재의 재질 및 소재의 배치된 상태에 따라 변경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수납함(1213)에는 걸림수단(1270)이 겹겹이 포개어져 수납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수단의 일측은 이송수단(1290)에 긴밀히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수납함 내측하부의 고정수단(1215)에 견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대, 지지대 내측에는 수위감지수단이 적어도 2개 이상 마련된다.
수위감지수단은 일정수위에 다달았을때 수위를 감지하여 컨트롤러에 신호를 보내주는 수단으로 자세한 동작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다기능 사방댐과 댐 주변이 모니터에 모니터링 될 수 있는 CCTV 촬영수단 및 모니터링 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지지대의 수량은 본원 사방댐이 설치되는 강폭과 유속등을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구조를 갖는 제 12양태의 다기능 사방댐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으며, 집중호우를 대비하여 다기능 사방댐의 구조물에 시설물이 장착되고, 수납함에 걸림수단의 보관상태에서 설명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구동수단은 전기를 이용한 모터가 장착된 상태를 예시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38는 걸림수단이 동작시 잘 풀리면서 상승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ㄹ” 자형태로 포개어져 수납함에 보관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함 상부에 수납함 덮개가 위치하고 있다.
우기시 토석류가 발생하여 다기능 사방댐 내에 수위가 올라가면, 수위감지수단이 내설된 고정대와 지지대의 입수공을 통해 내측으로 물이 입수되고, 상기 수위감지수단의 미리 설정된 일정수위에 다다랗을때 수위감지수단이 동작한다.
수위감지수단이 동작을 개시하면, 도면에는 미 도시되었으나 컨트롤러에서 신호값을 받아 모터에 전원이 인가되고, 모터의 구동으로 드럼의 회전이 시작되면서 각각의 걸림수단 상단에 견착된 이송수단에 의해 결림수단이 상승하기 시작하며, 이때, 수납함 덮개는 흰지 회동하여 걸림수단이 이탈방지홈에 안착하여 동작을 멈출때까지 열려있게 된다.
여기서, 걸림수단이 안착되는 상기 각각의 고정대 및 지지대의 이탈방지홈 상단 일측에는, 리미트스위치등으로 적용될 수 있는 상승정지수단이 구비된 복귀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복귀수단은 제 8양태의 도 28과 동일하다.
상기 수위감지수단이 동작하여 걸림수단이 동작을 개시하면 수납함에서 걸림수단이 상승되고, 상기 걸림수단이 복귀수단의 가압돌기에 도달하여 스프링의 압력으로 충격이 점차 완화되면서 상승정지수단을 가압하게 된다. 이때, 컨트롤러에서는 정지신호를 감지하고 모터의 인가전원을 차단시키게 되는 것이며, 걸림수단이 상승을 정지하면서 상기 고정대 및 지지대의 이탈방지홈에 안착하여, 고정대와 고정대사이에 “一”자형으로 걸림수단이 착설되는 제 12양태의 다기능 사방댐(1200)이 되는 것이다.
제 12양태 다기능 사방댐의 관련 도면중 미 설명 부호 1250b-3, 1260b-3은 이송구이다.
도 4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다기능 사방댐 정면도, 도 42는 도 41의 동력전달 계통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43a는 도 41 구동수단의 평상시 상태도, 도 43b는 도 41 구동수단의 사용시 상태도. 도 44는 도 41의 수납함체 내부구조를 보인 상태도,도 45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41의 고정대 이탈방지홈을 보인 사시도, 도 4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41의 지지대 이탈방지홈을 보인 사시도, 도 4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41의 고정대 이탈방지홈을 보인 사시도, 도 4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41의 지지대 이탈방지홈을 보인 사시도로 제 13양태의 다기능 사방댐(1300)이다.
계류 및 시냇가등에 구축되는 다기능 사방댐에 있어서, 물이 흐르는 저면에 바닥면(1310)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과 일체로 형성되면서 양측기슭에 접하여 상부방향으로 측벽(1320)이 구비된다.
상기 바닥면 양측에 바닥면과 측벽에 맞닿아 고정대(1350a, 1350b)가 착설된다.
상기 고정대의 상류측에는 하기할 걸림수단의 안착을 위해 이탈방지홈(1350b-1)이 형성되어 있으며, 물의 흐름방향으로 관통형성된 다수개의 어도(1352)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양측 고정대 사이에는 대체로 일직선상에 다수개의 지지대(1360a, 1360b)가 존재하되, 상류측에 이탈방지홈(1360b-1)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하기할 걸림수단이 분리되는 곳의 지지대에는, 2조의 이탈방지홈이 마련된다.
상기한 고정대와 지지대 상단에는 1개 이상의 수납함체(1330)가 일직선상으로 긴밀하게 착설되어 있다.
여기서, 수납함체는 상류측 하부방향으로 걸림수단이 상승 · 하강이 가능토록 개구부(1339)가 형성된다.
상기 수납함체는 제 13양태의 다기능 사방댐(1300)이 설치되는 해당지역의 최대 시우량을 감안한 유량의 최고수위보다 상위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부 양단에는 가드레일(1330′)이 착설되어 급류발생시 동물과 사람이 쉽게 도하할 수 있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구동수단(1349)은 고정된 로드 하우징(1351, 1351′)에 내설되어 상하 수직운동을 하는 구조를 취하되, 상측 상부에는 래크(1341)가 형성되고 하부에 원형편(1343)이 구비된 구동로드(1344)가 위치하며, 하측 상부에는 실린더가 형성되되, 상기 원형편이 실린더와 조립된 후 이탈되지 않도록 상부입구가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고, 하부 하측에는 부레(1347)가 상기 실린더와 긴밀하게 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1346) 내측에는 압축스프링(1345)이 내설되어 구동로드의 원형편(1343)을 떠받치고 있다.
상기 래크(1341)는 하기할 피니언(1335)과 조합되는 구동장치로, 래크는 직선기어로 4각형태등의 막대 한쪽면에 이가 형성되어 있으며, 피니언은 평기어와 같은 모양을 취하고 고정된 축을 중심으로 피니언이 회전하면 래크가 병진운동(竝進運動)을 하는것이 보편적이다.
그러나, 본원에서는 래크의 동작으로 피니언이 회전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상기 수납함체는 1개 이상으로 분리되며, 분리 위치에 따라 내측에 구동수단(1349)이 구비되는 상기 고정대 또는 지지대 하측 소정위치에 입수공(1348)이 구비된다.
상기 수납함체(1330) 내측에는 걸림수단(1370)이 감긴 드럼(1336)이 장착되고, 상기 드럼 회전축인 축심(1333) 일측에 피니언(1335)과 회동수단(1331)이 장착되어 있으며, 일측에 수동노브(1381)가 마련되되, 수동노브의 회동으로 회동하는 회동수단(1383)이 회동로드(1382)에 의해 긴밀히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하나 이상의 수납함체가 일직선상으로 설치되는데 있어서는, 상기 수납함체에 내설되는 드럼및 축심, 피니언, 회동수단, 수동노브, 회동수단, 회동로드 또한 하나이상 설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수납함체가 강폭등에 의해 2개로 나눠지는 경우, 상기 드럼을 비롯한 수납함체에 내설되는 시설물의 수량역시 2개가 된다는 것이다.
상기 수동노브(1381), 회동수단(1383)과 일체형인 회동로드(1382)에는 인장스프링(1384)이 설치되어 평상시에는 상부방향으로 상승되어 있다가, 필요시 수동노브를 하부로 누르면 수동노브 하부의 회동수단과 상기 축심 일측의 회동수단이 서로 맞물리는 구조를 취하게 된다.
또한, 다기능 사방댐과 댐 주변이 모니터에 모니터링 될 수 있는 CCTV 촬영수단 및 모니터링 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3양태의 다기능 사방댐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2는 도 41의 동력전달 계통구조를 보인 단면도로, 평상시 축심에 연결된 드럼 외측으로 걸림수단이 감겨져 있다. 이때, 걸림수단의 일측은 드럼에, 타단은 상기 수납함체의 개구부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한 구동수단의 래크는 평상시 피니언의 회전을 저지하고 있으며, 회전저지를 위한 소정 범위내에서 자중(自重)이 있어야 한다.
우기시 구동수단이 내설된 시설물의 입수공을 통해 입수되어 수위가 상승하게 되면, 부레에 의해 구동수단이 상승하면서 상기 래크가 피니언을 회전시키고, 일정 수위이상으로 더 올라가게 되면 구동수단이 상승하여 구동로드에 형성된 래크부분이 끝나 이가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수단이 감겨진 드럼은 자유롭게 회동 가능한 상태가 되며 이때, 기 풀려진 걸림수단의 자중에 의해 걸림수단이 스스로 하강하여 걸림수단이 이탈방지홈에 안착하므로써 제 13양태의 다기능 사방 댐(1300)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도 46a 및 도4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고정대 및 지지대 이탈방지홈을 보인 사시도로, 걸림수단이 상부는 그물형태로 하부는 각재로 병치되어 있다.
여기서, 걸림수단 하부에 각재가 병치되는 이유는, 걸림수단이 상기한 자중에 의해 하강하면서 보다 수월한 안착을 유도하고, 걸림수단이 이탈방지홈(1350b-2, 1360b-2)에 안착한후, 걸림수단 하측이 수류에 의해 하류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우기가 끝나거나 사방댐이 장기간 필요치 않은 경우, 수동노브를 누르면서 회동시키면 수동노브 하부의 회동수단과 축심의 회동수단이 맞물려서 회동을 개시하고, 걸림수단이 상승하면서 드럼에 감겨지게 되는데 이때, 도 43b에서와 같이 수동노브를 회동시키는 동안 래크에 의해 구동로드가 하부로 압축되었다가 수동노브의 회동을 멈추면, 수동노브는 하부의 인장스프링에 의해 원위치하면서 구동로드가 상승하여 피니언의 회전을 래크가 저지하는 도 43a상태가 되므로 걸림수단을 손쉽게 관리할 수 있는 다기능 사방댐이 제공되는 것이다.
제 13양태에 있어서, 미설명 부호 1332는 키 고정나사, 1334는 축심베어링이다.
도 47a, 도 47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다기능 사방댐 정면도로, 우기시 시설물에 걸림수단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7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다기능 사방댐 정면도로, 하천에 제 6양태의 다기능 사방댐이 설치되고, 둔치에 제 12 양태의 다기능 사방댐이 설치된 정면도, 도 47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다기능 사방댐 정면도로, 하천에 제 1양태의 다기능 사방댐이 설치되고, 둔치에 제 13양태의 다기능 사방댐이 설치된 정면도이며, 제 14양태의 다기능 사방댐이다.
상기 제 47a, 47b도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 하천과 둔치 모두 제 1양태 내지 제 13양태의 다기능 사방댐이 설치될 수 있다. 즉, 하천에 제 1양태의 사방댐이 설치되고 둔치에 제 1양태의 사방댐이 설치될 수 있고, 하천에 제 13양태의 사방댐이 설치되고 둔치에 제 13양태의 사방댐이 설치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 제시된 예 이외에도 서로 다른 다기능 사방댐이 병치될 수 있다.
도심지와 인접하고 둔치가 마련된 하천에 구축되는 다기능 사방댐에 있어서, 하천에 제 1양태 내지 제 13양태의 다기능 사방댐이 마련되고, 둔치에 제 1양태 내지 제 13양태의 다기능 사방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천에 설치되는 다기능 사방댐과, 상기 둔치에 설치되는 다기능 사방댐의 높이는 같거나, 대략 비슷한 것이 좋다
이를 위하여, 상기 하천 측벽과 둔치가 접하는 둔치상부에 설치되는 고정대 일측에는 걸림수단이 상기 하천 측벽보다 더 상부로 설치되기 위하여 다수개의 고정수단이 착설되고, 상기 고정수단에 걸림수단이 견착되는 것이다.
주지하였듯이 둔치는 많은 양의 물이 흐를 때 잠기는 부분이지만, 우기라 하더라도 둔치가 물에 잠기지 않은 한 보행자, 차량, 자전거등의 이동이 빈번하여 걸림수단을 우기 내내 상시 설치한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또한, 수위감지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수위감지수단의 신호값에 의해 걸림수 단이 동작하는 다기능 사방댐이라 하더라도 평상시 걸림수단이 노출되는 다기능 사방댐이라면 통행에 지장을 주기 때문에 채택되기 어렵다.
다만, 당해 제 14양태의 다기능 사방댐 설치장소가 많은 양의 물이 흐를 때를 전후하여 보행자등의 통제가 가능하다면 상기한 바와 같이, 둔치에 제 1양태 내지 제 13양태의 다기능 사방댐이 설치될 수 있다.
그렇지 않다면 즉, 많은 양의 물이 흐를 때를 전후하여 둔치의 통제가 어렵다면, 둔치에 제 12, 또는 제 13양태의 다기능 사방댐이 설치되어야 할 것이다. 제 12양태의 다기능 사방댐은 수납함 내측에 걸림수단이 수납되어 있고, 상기 수납함 상부에 수납함 덮개가 마련되며, 상기 13양태는 걸림수단이 고정대 및 지지대 상부의 수납함체에 내설되어 있으므로, 고정대와 지지대 사이 또는 지지대와 지지대 사이 또는 지지대와 고정대 사이로 원활한 통행이 가능하다. 다만, 제 13양태의 다기능 사방댐이 채택되는데 있어서는, 상기 둔치가 잠기는 수위와 통행차량 또는 보행자가 충분히 이동할 수 있는 최고 높이를 비교하여 더 높은 수치를 기준으로 수납함체가 설치되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둔치에 제 1양태 내지 제 13양태의 다기능 사방댐이 설치되고, 둔치 하부의 하천에 제 1양태 내지 제 13양태의 다기능 사방댐이 설치되므로써, 제 14양태의 다기능 사방댐(1400)이 완성된다.
도 4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도 내측의 차단벽 구조를 보인 사시도로, 상기 제 1양태 내지 제 5양태, 상기 제 7양태 내지 제 13양태의 어도 내 측에 삽설가능한 구조를 취하고 있다.
상기 어도(11)는 파이프(12) 내측에 유수의 세력을 감속 · 저지하여 상기 어류, 양서류, 수서곤충류등의 이동이 수월할 수 있도록 어도내부의 내경 절반이상을 가로막는 구조를 취한 반달형상의 차단벽(13)이 다수개가 교차하며 소정간격을 두고 지그재그로 다단 착설되어 있다.
상기 차단벽(13)은 특히, 하부의 경우 미세토석의 하류유입을 저지하는 역할을 함께 수행하게 된다.
첨언하면, 토석류는 물에 진흙, 모래, 자갈등이 혼재되어 있는 것으로, 기존의 사방댐은 집중호우시 보와 같은 걸림수단에 의해 물은 하류로 보내지고 토석은 자중에 의해 댐 내에 적치된다.
그러나, 본원 일실시예에서는 사방댐의 어도를 통해 입자가 작은 모래등이 사방댐의 하류로 흘러 내려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파이프형상의 내측벽에 차단벽이 내설된 어도를 본원 일실시예에서 제시된 어도 내에 착설하므로써 상기문제를 해소하고, 급류가 발생하더라도 어류, 양서류, 수서곤충류등이 더욱 더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해 지는 것이다.
물론, 본원 그물형태의 걸림수단에 의하면, 상기 어류등이 그물형태의 눈 사이로의 이동 또한 가능하다.
도 49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댐이 마련된 다기능 사방댐의 개략단면도, 도 4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석방지턱이 마련된 다기능 사방댐의 개략단면도, 도 49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댐과 토석방지턱 이 마련된 다기능 사방댐의 개략단면도, 도 5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댐과 토석방지턱이 마련된 다기능 사방댐의 개략 평면도로, 수류의 하류 즉, 댐 바닥면 하류 일측에 바닥면 및 측벽과 일체형으로 수직벽(35′)이 추가로 마련될 수 있고, 상류측에 바닥면 및 측벽과 일체형으로 토석방지턱(40′)이 추가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하류측 동시에 수직벽(35′)과 토석방지턱(40′)이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수직벽(35′)은 고정대, 지지대, 걸림수단으로 형성된 본댐의 하부에서 부댐 역할을 하는 것으로, 댐 하류로 흐르는 물의 수세를 약화시키고 특히, 댐 하부의 토석 유실방지를 목적으로 하며, 중앙부보다 양측이 더 높게 형성된 수직벽어깨를 구비하는 구조를 갖는다.
본원에서의 토석방지턱(40′)은 토석류가 본댐에 이르기 전에 세력을 약화시기기 위한 설치물로, 급류가 아닌 유수에 의해 토석이 토석방지턱을 월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므로써, 특히, 본원의 구동수단에 의해 동작되는 다기능 사방댐의 경우, 일시적인 유수발생으로 수위감지수단이 동작하여 걸림수단이 견착된 지지봉이 상승되어 각종 고정대와 지지대에 안착되었다 하더라도, 상기 각종 고정대, 지지대 와 토석방지턱 사이에 토석 및 유목, 쓰레기류가 많이 잔재하지 않는 한, 걸림수단을 원상태로 복귀시켜 이후, 재차 발생할 수 있는 집중호우에 대비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토석방지턱은, 다기능 사방댐의 바닥면 상류측에 어패류등의 이동경로 확보를 위해 소정간격으로 이격설치된 다수개의 블록이 양측벽 사이에 “ ――― ”형으로 구비되며, 상하간격을 두고 지그재그로 다단 착설되어 있다.
상기 제 1양태 내지 제13양태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구조물에 설치되는 시설물은 일체형으로 바닥면, 측벽등에 착설되어 있다. 본 발명이 추구하는 바에 따르면, 착탈방식인 상기 걸림수단과 아울러 각종 지지대 및 고정대등이 필요치 않은 건기시 바닥면 또는 바닥면과 측벽에서 분리하여 별도로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대(측부, 중앙고정대를 포함한다.)와 지지대(상부, 중앙, 하부지지대를 포함한다.), 하우징, 본댐, 수납함체, 부댐, 토석방지턱은 도 51a 내지 도 51e 에서와 같이 착탈방법으로도 가능하다.
도 51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고정대의 사시도, 도 51b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대에 착설되는 착탈형 하우징의 사시도, 도 51b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에 착설되는 착탈형 하우징의 사시도, 도 51c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이 볼트인 착탈형 지지대의 사시도, 도 51c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이 너트인 착탈형 지지대의 사시도, 도 51d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본댐의 분리 사시도, 도 51d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부댐의 분리 사시도, 도 51d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토석방지턱의 사시도, 도 51e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수납함체의 사시도이다.
상기 도 51a 내지 도 51e 에서 예시된 시설물이 바닥면에 착설되는 경우, 부착공이 구비된 플레이트가 몸체 하부에 긴밀하게 착설되며, 상기 시설물이 측벽과 바닥면에 견착되는 경우, 측벽과 바닥면의 맞닿는 부위에 일체형으로 플레이트가 형성되되,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측벽과 바닥면에 동시 착설될 수 있도록 부착공이 구비된다.
더불어, 상기 시설물이 측벽과 바닥면에 견착되면서 동일한 시설물이 측부에 일직선으로 이어지는 경우, 동일시설물의 서로 맞닿는 부위에 측부의 동일시설물과 견착될 수 있도록 부착공이 구비된 플레이트가 몸체 측부에 추가로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도 51a 내지 도 51e 에서 예시된 상기 시설물이 착설되는 바닥면 또는 상기 시설물이 착설되는 측벽과 바닥면에는 상기 시설물 부착공과 맞닿는 위치에 상기와 같은 고정수단의 설치가 병행되어야 마땅하다. 또한 측부 시설물과의 견착은 서로 마주하는 시설물간 부착공의 위치가 같아야 한다.
상기 도 51a 내지 도 51e 에서 예시된 상기 측벽과 시설물의 상단에 설치되는 시설물은 측벽과 시설물 상단에 동시에 착설될 수 있도록 부착공이 구비된 플레이트가 마련되고, 시설물 상단에 설치되는 시설물은, 시설물 상단에 착설될 수 있도록 부착공이 구비된 플레이트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측벽과 시설물 상단에 설치되는 시설물은 설치될 측벽에 부착공의 위치와 맞춰 고정수단이 설치되어야 하고, 설치될 시설물의 상단에 몸체 부위보다 더 큰 플레이트가 형성되되, 상기 시설물의 부착공과 일치하는 위치에 부착공이 형성되어야 한다.
여기서, 시설물 상단에 설치되는 시설물은 상기 시설물 하부의 플레이트 부 착공에 맞춰 피시설물 상단에 고정수단의 착설로 해결될 수 있다.
도 51a 내지 도 51e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도 51a는 고정수단으로 볼트가 구비되고 일측에 어도가 마련된 착탈형 고정대의 사시도로, 측벽과 바닥면에 동시에 착설될 수 있도록 부착공(53)이 구비되고 몸체 크기보다 더 큰 플레이트(54)가 몸체에 길밀하게 착설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착탈형 고정대(50)는 착탈형 고정대가 설치될 바닥면과 측벽에 고정수단의 설치가 병행되어야 한다.
도 51ba는 고정대에 착설되는 하우징으로, 측벽과 고정대상단에 동시에 착설될 수 있도록 부착공(57)이 구비되고 몸체 크기보다 더 큰 플레이트(58)가 몸체에 긴밀하게 착설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착탈형 하우징(55)이 설치되기 위해서는, 상기 착탈형 하우징이 설치될 고정대 상부에 플레이트가 마련되되, 상기 착탈형 하우징의 부착공 위치와 일치하는 부착공이 구비되어야 하고, 측벽에 상기 하우징의 부착공 위치에 고정수단 설치가 병행되어야 한다.
도 51bb는 지지대에 착설되는 하우징으로, 지지대 상부에 착설될 수 있도록 부착공(57′)이 구비되고 몸체 크기 보다 더 큰 플레이트(58′)가 하우징 하부에 긴밀하게 착설되어 있다. 이때, 상기 착탈형 하우징(55′)이 설치되는 지지대 상부에는 착탈형 하우징의 부착공과 일치되는 부착공을 구비한 플레이트가 설치되어야 한다.
상기 도 51ba 또는 도 51bb에 있어서, 고정대 또는 지지대의 상부 면적이 하우징 하부의 플레이트 면적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고정대 또는 지지대 상부에 하 우징 하부의 플레이트 부착공과 맞춰 고정수단을 착설하므로써, 상기 고정대 또는 지지대 상부의 플레이트 착설을 하지 않을 수 있다.
도 51ca, 도 51cb는 착탈형 지지대의 사시도로, 바닥면에 착설될 수 있도록 부착공(67,67′)이 구비되고 몸체 크기보다 더 큰 플레이트(68,68′)가 몸체 하부에 긴밀하게 착설되어 있다. 상기 착탈형 지지대(65,65′)가 설치될 바닥면에는 고정수단의 설치가 병행되어야 한다.
도 51d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본댐의 분리 사시도, 도 51d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부댐의 분리 사시도, 도 51d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토석방지턱의 사시도로, 다수개의 블록(block)이 조립되어 본댐(31), 부댐(35), 토석방지턱(40)이 형성되되, 바닥면과 측벽에 고정되는 블록 및 측부 블록과 측부 블록사이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블록이 다수개가 연결되어 측벽사이에 “ 一 ”자형의 본댐(31) 또는 부댐(35)이 형성되고, 다수개의 블록이 이격 설치되어 측벽사이에 “ ――― ”형의 토석방지턱(40)이 형성되며, 상기 “ ――― ”형의 토석방지턱은 상하 소정간격을 두고 지그재그로 다단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댐은 측벽부위의 블록이 더 높게 형성되어 수직벽 어깨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 一 ”자형의 본댐(31) 또는 부댐(35)과 같이 상기 블록들을 측벽 부분부터 차례대로 착설하는 경우, 우선 설치되는 첫 번째 블록은 바닥면과 측벽 및 측부의 블록과 긴밀하게 착설될 수 있도록 상기 바닥면, 측벽 및 측부 블록과 맞닿는 몸체부위에 부착공(32,37)이 구비되고 몸체 크기 보다 더 크게 형성된 플레이트(33,38)가 긴밀하게 착설되어 있다.
상기 측벽과 바닥면에 위치하는 블록 다음으로 설치되는 두 번째 블록은, 바닥면과 양 측부에 타 블록과 긴밀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부착공이 구비된 몸체 크기보다 더 큰 플레이트가 몸체에 긴밀하게 착설되어 있다.
이때, 도 db에서와 같이 블록의 높이가 높지 않은 경우 측부 블록과 서로 맞닿는 부위의 플레이트는 생략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설치되는 설치되는 블록은 첫 번째 블록과 같은 형상으로 설치되고, 첫 번째와 마지막 블록사이에는 두 번째와 같은 블록이 다수개가 존재하므로써 본댐 또는 부댐이 되는 것이다. 여기서 담수된 물의 누수를 막기 위해 블록이 측벽 또는 바닥면과 맞닿는 부위 및 블록과 블록이 서로 닿는 부위에는 긴밀하게 삽설되는 다수개의 패킹(Packing 34,39)이 구비된다.
상기 토석방지턱의 설치방법은 다수개의 블록이 서로 이격 설치될 뿐, 상기 본댐 또는 부댐의 설치방법과 동일하다.
미 설명부호 47은 토석방지턱의 부착공, 48은 토석방지턱의 플레이트이다.
도 51e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수납함체의 사시도로, 고정대와 측벽이 맞닿는 부위에 부착공(62)이 구비되고 몸체 크기 보다 더 큰 플레이트(63)가 몸체에 긴밀히 착설되어 있고, 지지대와 맞닿는 부위에 부착공(62′)이 구비되고 몸체 크기 보다 더 큰 플레이트(63′)가 몸체에 긴밀히 착설되어 있다.
상기 착탈형 수납함체(61)가 상기 고정대(50) 및 지지대(65) 상단에 설치되 기 위해서는, 상기 고정대 및 지지대 상단에, 부착공(53a,67a)이 구비되고 몸체 크기보다 더 큰 플레이트(54a,68a)가 몸체에 착설되어야 하며, 이때, 착탈형 수납함체에 착설된 플레이트의 부착공과 상기 고정대 및 지지대 상단의 플레이트 부착공(62, 53a), (62′, 67a) 위치는 서로 일치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착탈형 수납함체가 측벽과 맞닿는 플레이트의 부착공 위치에 고정수단의 설치가 병행되어야 한다.
또한, 고정대 또는 지지대의 상부 면적이 하우징 하부의 플레이트 면적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고정대 또는 지지대 상부에 하우징 하부의 플레이트 부착공과 맞춰 고정수단을 착설하므로써, 상기 고정대 또는 지지대 상부의 플레이트 착설을 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한 사방댐은 강이나 계곡등에 설치하는 구축물로, 본 발명이 추구하는 바에 의하면, 평상시 상기 다기능 사방댐의 바닥면이 보이지 않게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상기 다기능 사방댐이 설치되는 장소의 상 · 하류간 구배보다 더 하부에 바닥면이 설치되는 것으로, 건기와 같은 사방댐이 필요로 하지 않는 시기에는 바닥면의 상부가 사방댐이 설치된 주변과 비슷하도록 토사로 채워지는 것이 좋다할 수 있다.
아울러, 측벽은 후술할 벽면녹화로 평상시 다기능 사방댐의 주변환경과 흡사해지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한 내용을 더욱 상세히 하기 위해 도 52a 내지 도 52d, 도 53, 도 54a 내지 도 54b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사방댐 바닥면과 측벽의 설치양상을 보인 개략 단면도로, 사방댐 바닥면 상부면이 주변 구배에 맞게 설치된 단면도, 도 5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사방댐 바닥면과 측벽의 설치양상을 보인 개략 단면도로, 사방댐 바닥면 측부의 중앙부가 주변 구배에 맞게 설치된 단면도, 도 5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사방댐 바닥면과 측벽의 설치양상을 보인 개략 단면도로, 사방댐 바닥면 하부면이 주변 구배에 맞게 설치된 단면도, 도 52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사방댐 바닥면과 측벽의 설치양상을 보인 개략 단면도로, 사방댐 바닥면이 주변 구배보다 더 하부에 설치된 단면도이다.
또한, 도 5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사방댐의 미사용시 바닥면 상부에 토석이 덮인 상태를 보인 개략단면도, 도 5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사방댐에 착탈형 시설물의 착설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5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사방댐에 착탈형 시설물이 착설된 상태를 보인 개략 단면도로, 상기한 본 발명이 추구하는 바에 의한, 평상시 다기능 사방댐의 바닥면이 보이지 않게 하기 위해 다기능 사방댐의 구조물에 착탈식 시설물의 탈 · 착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기존의 사방댐은 도 52a에서와 같이 사방댐의 바닥면 상부면이 사방댐의 상하류의 구배에 일치하는 정도로 설치되거나, 도 52b와 같이 설치되는 것이 보편적이겠으나, 본원에서는 사방댐 바닥면이 상기 상하류의 구배보다 더 하 부에 설치되므로써 건기와 같은 미 사용시 시설물을 철거하고 토석을 덮어 자연환경과 최대한 가깝게 할 수 있다.
즉, 도 53에서와 같이 평상시 상기 상하류의 구배보다 더 하부에 설치된 사방댐의 바닥면이 토석에 덮여 자연스런 구배를 이루고, 도 54a 내지 도54b 에서와 같이 사용시 토석을 준설한 후 본댐 및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류측 부댐, 상류측 토석 방지턱등의 착탈시 시설물을 구비한 사방댐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급류의 발생등 필요싯점에 시설물과 고정수단 및 걸림수단을 미리 설치하여 사용하는 구조로 된 사방댐은, 평상시 수류(水流)를 가로 지르는 보와 같은 시설물이 없어, 포유류와 어패류 및 양서류, 수서 곤충류의 이동경로를 차단하지 아니 하므로 생태계 파괴를 최소화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보등의 미설치로 콘크리트등 사용의 최소화 및 평상시 바닥면이 토석에 의해 차폐되고, 보여지는 벽면도 벽면녹화 하므로써 미 사용시 주변환경과 흡사해져 친환경적이고, 생태계 비파괴적인 사방댐이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본원에서의 8양태 내지 12양태에서 사용되는 구동수단은 정·역회전이 가능한 것이라면 공지된 전기, 유류(油類), 유압, 공압등을 이용한 기기중 어떠한 기기라도 무방하다.
본원에서 예시된 모터는 전기를 이용한 대표적인 기기로, 전원을 인가하면 회전하는 기기로, 극성 또는 모터에 입력되는 단자를 서로 바꾸어 줌으로써 손쉽게 정·역회전이 가능하다.
상술한 “ 비상사태 발생시 ”란 구동수단의 고장, 연료의 소진, 정전등의 구동수단이 동작불가한 상태를 말한다.
본원 수위감지수단에 있어서, 수위감지수단의 공지된 수위감지 방식은 오뚜기식, 전극봉식, 플로트식, 기어식, 전해식, 초음파식등 다수개가 있으며, 소정위치에 설치된 센서보다 유체수위가 상승하면 원하는 신호값이 발생되는 기기로, 보편적으로는 센서내의 접점이 연결되어 ON 신호를 컨트롤러 또는 해당기기로 보내게 된다.
또한, 상술한 수위감지수단이 2개 이상 설치되는데 있어서는, 상기 한 개의 고정대 내측에 모두 설치되거나, 상기 한 개의 지지대 내측에 모두가 설치되어도 무방하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당해 시설물이 설치된 후, 최초의 급류발생시 순간적으로 어느 한쪽으로 물이 치우쳐 흐르더라도 신속한 감지가 이뤄질 수 있도록 서로 다른 고정대와 지지대 내측에 각각 분리시켜 설치되는 것이 유리하며, 오작동 방지를 위해 다수개의 수위감지수단이 OR회로로 연결되는 것이 좋다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다수개의 수위감지수단이 OR회로로 연결되는 것은 다수개의 수위감지수단중 최초에 감지된 수위감지수단의 신호에 의해 해당기기의 원하는 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써, 다수개의 수위감지수단중 일부 수위감지수단이 작동불능상태더라도, 정상동작을 하는 수위감지수단에 의해 기기의 제어가 가능해진다는 것을 의미하며, 다기능 사방댐내의 수위 상승에 따른 걸림수단이 정확하게 동작 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원 양측단의 고정대(측부고정대, 중앙고정대를 포함한다.)또는 지지대(하부지지대등을 포함한다.)에 한 개 이상의 드럼이 설치되는 이유는 특히, 강폭이 넓 은 경우 한 개이상의 드럼을 설치하여 구동수단등에 가해지는 힘을 분산 시키므로써, 걸림수단의 안전하고 신속한 동작을 꾀하기 위함으로, 드럼은 물론, 드럼을 비롯해 하우징, 수동노브, 구동수단과 회동수단등 드럼을 회동시켜 걸림수단이 장착된 지지봉 또는 걸림수단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에 필요한 모든 시설물이 함께 설치되어야 한다.
이는, 걸림수단이 두 개 이상으로 분리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위하여, 걸림수단이 분리되는 부위의 지지대에는 두 개의 지지봉이 안착될 수 있도록 두 개의 안착홈이 형성되어야 바람직할 것이다.
더불어, 양측단의 고정대에 한 개 이상의 드럼이 설치되는데 있어서는, 한 개의 고정대에 한 개이상의 드럼이 설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컨대, 고정대에 3개의 드럼이 설치되어, 걸림수단이 3개로 나누어지는 경우 한 개의 고정대에 드럼 3개 모두가 설치될 수도 있고, 일측 고정대에 2개, 타측 고정대에 1개가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자동적으로 운행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경우에 따라서 수동기능이 선택될 수 있으며, 2개 이상의 컨트롤러가 설치된다. 즉, 1개의 컨트롤러가 다기능 사방댐의 일측에, 다른 1개 이상의 컨트롤러가 담당자등이 근무지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곳에 존재하여 상기 걸림수단이 장착된 지지봉을 원상태로 복귀시키거나, 지지봉을 임의적으로 상승시키는 행위가 원활하여야 한다.
이때, CCTV의 촬영수단과 모니터링 수단의 연결방법으로 포함하여, 다기능 사방댐이 설치된 위치에서 근무지등과 같은 목적지와의 컨트롤러 연결방법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연결방식은 인터넷망을 이용한 방법을 포함한다.
도 5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수단 및 이송수단의 개략단면도이며, 플렉시블(flexible)파이프형태의 케이블하우징(45) 내측에 와이어(46)가 내설되어 있는 구조로, 케이블하우징 양단의 하우징 캡에 브라켓류를 밀착시키고, 와이어의 일측을 인출하면 타측에 연결된 피동작물이 원하는 동작을 하게 된다.
상기 구조를 갖는 플렉시블 파이프형태의 케이블하우징 및 케이블하우징 내측에 내설된 와이어는, 동력전달 경로가 일직선상이 아니거나, 복잡할 때 많이 사용되며 자동차, 오토바이, 자전거등의 브레이크, 기어변속계통 따위의 동력전달수단으로 많이 이용된다.
본원에서 예시된 와이어 풀리를 이용한 동력전달수단은 곡각지점 각각에 동력전달수단( 와이어 풀리 )이 필요하다. 즉, 동력전달 경로 중 일직선상이 아닌 지점마다 동력전달수단이 필요한데, 상기 플렉시블파이프형태의 케이블하우징(45)을 본원의 동력전달수단으로, 상기 와이어를 본원 이송수단(46)으로 대신할 수 있다.
도 56은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사방댐의 벽면녹화를 위해 측벽에 식재함의 거치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7a는 도 56의 관로 내설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7b는 관로의 외설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8a는 관로의 내설상태에서의 식재함 체결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58b는 관로의 외설상태에서의 식재함 체결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59는 도 56의 미 사용시 상태를 보인 부분 단면도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사방댐 구조물의 벽면녹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술하였듯이, 사방댐은 집중호우가 발생하는 시기를 전후하여 비교적 짧은 기간동안 제 역할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번 설치하면 영구적 시설물로써 전술한 여러 가지 피해를 야기시켜 왔다.
본원에서 제시한 상기 모든 사방댐에 있어서, 상기한 시설물의 착탈방법과 바닥면의 은폐, 더불어 하기할, 벽면녹화로 자연친화적이고, 생태계 비파괴적인 사방댐이 제공되는 것이다.
도 56은 측벽(80)에 다수개의 식재함(90)이 부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57a는 관로(85)가 내설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56b는 관로(85′)가 내설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외측에서 측벽으로 한가닥의 관로에서 측벽 벽면을 향해 다수개로 분기되어 있으며, 다수개의 관로 각각 끝단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관로(85,85′)는 식재함(90)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설치물로 도면에는 미 도시 되었으나, 관로의 식재함측 타단은 집수정에 투입되고, 관로 일측에는 펌핑수단이 마련되며, 상기 펌핑수단은 식재함 내측의 수분감지수단과 연결되어 수분의 상황에 따라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수분이 없으면 펌핑수단이 동작하여 수분을 공급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 수분감지수단은 습도센서등이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식재함은 다기능 사방댐의 벽면녹화를 위해 식물류의 씨앗 또는 모종을 파종(식재)하기 위한 것으로 하부에 배수공(92)이 마련되고, 일측에 체결 공(91)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다기능 사방댐의 구조물에 식재함이 부착되는데 있어서는, 먼저 식재함의 체결공에 노즐(88)을 삽입한 채, 노즐의 수나사 부위를 관로 끝단에 형성된 암나사(87)에 체결함으로써 상기 구조물에 식재함이 부착된다.
여기서, 노즐의 헤드부분은 상기 노즐의 수나사의 직경과, 상기 식재함의 체결공 보다 당연히 커야 할 것이다.
도 59는 관로 내측에 이물질 삽입을 차단하기 위해 관로 끝단의 암나사(87)에 패킹(89)이 구비된 막음볼트(88)를 체결하는 식재함 미 사용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벽면녹화장치는 다기능 사방댐이 사용되지 않는 시기에 식재함을 착설하고, 펌핑수단을 가동하므로써 벽면녹화가 가능해지며, 우기시 다기능 사방댐의 구조물에 시설물등을 착설한 후부터 철거하는 동안 상기 식재함을 별도로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다기능 사방댐이 제 역할을 하는 시기인 집중호우시 다기능 사방댐에 시설물 및 고정수단, 걸림수단을 장착하면서 식재함을 철거하였다가, 집중호우가 끝난 후, 상기 시설물등을 철거하면서 식재함을 착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사방댐의 관리방법은 다음과 같다.
상기 사방댐의 관리방법은 각 양태에 있어서, 구동수단의 유무에 따라 달라진다.
즉, 상기 각 양태중 구동수단으로 동작되는 걸림수단이 장착된 다기능 사방댐에 있어서, 집중호우 시기에 일시적 호우발생등 구동수단의 동작으로 걸림수단이 설치되었으나, 특히, 걸림수단과 토석방지턱 사이에 적치된 토석 및 쓰레기류의 양이 많지 않은 경우, 토석 준설 및 쓰레기류를 제거하고 걸림수단을 본래상태로 복귀시켜 재차 발생할 수 있는 집중호우에 대비시킬 수 있는 단계가 포함된다.
본원에서는 제 8양태 내지 제 13양태와 구동수단에 의해 걸림수단이 동작된다. 물론, 제 14양태 역시 하천 또는 둔치에, 걸림수단이 구동수단에 의해 동작되는 제 8양태 내지 제 13양태의 다기능 사방댐이 장착된다면 상기, 토석 준설 및 쓰레기류를 제거하고 걸림수단을 본래상태로 복귀시켜 재차 발생할 수 있는 집중호우에 대비시킬 수 있는 단계가 포함된다.
따라서, 제 1양태 내지 제 7양태의 다기능 사방댐에 있어서는, 시설물을 설치한 후, 상기 재차 발생할 수 있는 집중호우에 대비단계인 토석준설 및 쓰레기류 제거 단계 및 걸림수단의 복귀단계가 포함되지 아니한다.
상하류간 구배보다 더 하부에 설치된 사방댐의 바닥면 상부에 자연적 혹은 인위적인 토석의 포설로 사방댐의 상하류와 자연스런 구배를 이룬 상태 즉, 도 53과 같은 상태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측벽에 벽면녹화장치 및 식재함이 착설된 상태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3은 다기능 사방댐의 설치 후 또는 이전사용 후, 자연적 혹은 인위적으로 바닥면 상단에 토석이 포설된 상태이다.
상기 다기능 사방댐 바닥면의 토석포설은, 주변과 비슷한 환경이 신속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인위적인 포설이 바람직하다.
우선, 일정기간 자연상태로 방치되어 있던 사방댐을 사용하기 위해 사방댐의 바닥면 상부의 쓰레기류등을 수거하고 토석을 준설하는 단계와 식재함 철거 및 막음볼트 삽설단계를 거쳐 고정대, 지지대등의 시설물을 설치한 후 고정수단 및 걸림수단을 착설하는 단계를 통해, 집중호우시 다기능 사방댐의 사용준비를 하게 된다.
구동수단으로 동작되는 걸림수단이 장착된 다기능 사방댐인 경우, 일시적인 호우 발생으로 다기능 사방댐 내에 수위가 상승하여 구동수단의 작동으로 걸림수단이 동작하였으나 특히, 걸림수단과 토석방지턱 사이에 토석 및 쓰레기류의 양이 많지 않은 경우, 쓰레기등의 수거 및 토석준설 단계와 걸림수단의 본래상태로 복귀단계를 거쳐 재차 발생할 수 있는 집중호우에 대비시킬 수 있는 단계가 포함된다.
일정기간, 즉 장마등의 집중호우가 지난 후 사용단계를 거친 사방댐 상류측에 적치된 유목, 쓰레기등의 수거 및 토석 준설 단계 및 고정대등 시설물과 고정수단, 걸림수단의 철거단계, 사방댐의 바닥면 상부에 토석 포설단계, 막음볼트 제거및 식재함 착설단계를 통해 어패류 및 양서류, 수서 곤충류등의 이동경로를 확보하고, 자연상태로 복원하는 단계와 걸림수단등의 댐 시설물 재사용 준비단계를 거치게 된다.
고정대, 지지대, 고정수단 및 걸림수단의 보수단계를 거쳐 보관단계를 통해 상기 다기능 사방댐에 사용되는 시설물의 재사용을 하기 위한 관리단계를 포함하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는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기존 콘크리트 사방댐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 ― A'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그물형태의 걸림수단 정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에 각재인 걸림수단이 견착된 사시 도.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에 그물형태와 각재가 병치된 걸림 수단 사시도.
도 4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에 그물형태와 각재가 병치된 걸림 수단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사방댐의 고정수단인 아이( i )볼트의 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사방댐의 고정수단인 아이( i )너트의 사시도.
도 5c는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사방댐의 고정수단인 캡너트의 단면도.
도 5d는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사방댐의 고정수단인 U볼트의 정면도.
도 5e는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사방댐의 고정수단인 오메가( Ω )형 고정구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사방댐 평면도.
도 7은 도 6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다기능 사방댐의 개략적 평면도.
도 9는 도 8의 B부분 확대 평면도.
도 10은 도 8의 B부분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다기능 사방댐 정면도.
도 12는 도 11의 후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다기능 사방댐의 개략적 정면도.
도 14는 도 13의 개략적 후면도.
도 15는 도 13의 시설물과 고정수단 및 걸림수단 장착전 사시도.
도 16은 도 13의 걸림수단 장착전 평면도.
도 17은 도 16의 D ― D′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다기능 사방댐 정면도.
도 19는 도 18의 E부분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다기능 사방댐 정면도.
도 21은 도 20의 부분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다기능 사방댐 정면도.
도 23은 도 22의 F부분 분리 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다기능 사방댐 평면도.
도 25는 도 24의 고정대 및 하우징 내부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6은 도 25의 G부분 분리 확대도.
도 27은 도 24의 동력전달 계통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8은 도 24의 복귀수단 단면도.
도 29는 도 24의 사용상태도.
도 3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다기능 사방댐 평면도.
도 31은 도 30의 설치물 장착 전 사시도.
도 32는 도 31의 이송로 덮개 설치 후 평면도.
도 3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다기능 사방댐 평면도.
도 34는 도 30의 H ― H′ 단면도.
도 3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다기능 사방댐 평면도.
도 36은 도 35의 I ― I′ 단면도.
도 3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다기능 사방댐 평면도.
도 38은 도 37의 동력전달 계통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39a는 도 37의 지지대 사시도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걸림수단의 소재
가 그물형태인 경우 지지대 사시도.
도 39b는 도 37의 지지대 사시도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걸림수단의 소
재가 각재와 그물형태가 병치된 경우 지지대 사시도.
도 40a는 도 37의 고정대 사시도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걸림수단의 소재
가 그물형태인 경우 고정대 사시도.
도 40b는 도 37의 고정대 사시도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걸림수단의 소
재가 각재와 그물형태가 병치된 경우 고정대 사시도.
도 4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다기능 사방댐 정면도.
도 42는 도 41의 동력전달 계통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43a는 도 41 구동수단의 평상시 상태도.
도 43b는 도 41 구동수단의 사용시 상태도.
도 44는 도 41의 수납함체 내부구조를 보인 상태도.
도 45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41의 고정대 이탈방지홈을 보인 사시도.
도 4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41의 지지대 이탈방지홈을 보인 사시도.
도 4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41의 고정대 이탈방지홈을 보인 사시
도.
도 4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41의 지지대 이탈방지홈을 보인 사시
도.
도 47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다기능 사방댐 정면도로, 하천에 제 6양태의 다기능
사방댐이 설치되고, 둔치에 제 12양태의 다기능 사방댐이 설치된 정면도.
도 47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다기능 사방댐 정면도로, 하천에 제 1양태의 다기능
사방댐이 설치되고, 둔치에 제 13양태의 다기능 사방댐이 설치된 정면도.
도 4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도 내측의 차단벽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49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댐이 마련된 다기능 사방댐의 개략단면
도.
도 4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석방지턱이 마련된 다기능 사방댐의 개
략단면도.
도 49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댐과 토석방지턱이 마련된 다기능 사방
댐의 개략단면도.
도 5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댐과 토석방지턱이 마련된 다기능 사방
댐의 개략 평면도.
도 51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고정대의 사시도.
도 51b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대에 착설되는 착탈형 하우징의 사시
도.
도 51b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에 착설되는 착탈형 하우징의 사시
도.
도 51c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이 볼트인 착탈형 지지대의 사시
도.
도 51c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이 너트인 착탈형 지지대의 사시
도.
도 51d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본댐의 분리 사시도.
도 51d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부댐의 분리 사시도.
도 51d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토석방지턱의 사시도.
도 51e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수납함체의 사시도.
도 5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사방댐 바닥면과 측벽의 설치양상을 보
인 개략 단면도로, 사방댐 바닥면 상부면이 주변 구배에 맞게 설치된 단
면도.
도 5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사방댐 바닥면과 측벽의 설치양상을 보
인 개략 단면도로, 사방댐 바닥면 측부의 중앙부가 주변 구배에 맞게 설
치된 단면도.
도 5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사방댐 바닥면과 측벽의 설치양상을 보
보인 개략 단면도로, 사방댐 바닥면 하부면이 주변 구배에 맞게 설치된
단면도.
도 52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사방댐 바닥면과 측벽의 설치양상을 보
인 개략 단면도로, 사방댐 바닥면이 주변 구배보다 더 하부에 설치된 단
면도.
도 5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사방댐의 미사용시 바닥면 상부에
토석이 덮인 상태를 보인 개략단면도.
도 5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사방댐에 착탈형 시설물의 착설상
태를 보인 평면도.
도 5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사방댐에 착탈형 시설물이 착설된
상태를 보인 개략 단면도.
도 5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수단 및 이송수단의 개략단면도.
도 56은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사방댐의 벽면녹화를 위해 측벽에 식재함의 거치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7a는 도 56의 관로 내설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7b는 관로의 외설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8a는 관로의 내설상태에서의 식재함 체결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58b는 관로의 외설상태에서의 식재함 체결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59는 도 56의 미 사용시 상태를 보인 부분 단면도.

Claims (58)

  1. 계류 및 시냇가등에 구축되는 다기능 사방댐에 있어서,
    물이 흐르는 저면에 형성되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양측 기슭에 바닥면과 일체로 형성되는 측벽과;
    상기 양측 바닥면과 측벽에 긴밀하게 착설되면서, 수류의 방향으로 관통형성된 다수개의 어도를 포함하는 고정대와;
    상기 양측 고정대 사이에 착설되는 다수개의 지지대와;
    상기 바닥면 및 각각의 고정대와 다수개의 지지대 소정위치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고정수단과;
    상기 다수개의 고정수단에 착설되는 걸림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2. 계류 및 시냇가등에 구축되는 다기능 사방댐에 있어서,
    물이 흐르는 저면에 형성되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양측 기슭에 바닥면과 일체로 형성되는 측벽과;
    상기 양측 바닥면과 측벽에 긴밀하게 착설되는 고정대와;
    상기 양측 고정대 사이에 착설되는 다수개의 하부지지대와;
    상기 고정대와 하부지지대 사이 또는 상기 하부지지대와 측방 하부지지대 사이 또는 상기 하부지지대와 고정대 사이의 중앙부 상류방향에 착설되는 다수개의 상부지지대와;
    상기 고정대와 상부지지대 사이 또는 상부지지대와 하부지지대 사이 또는 상부지지대와 고정대 사이에 착설되는 다수개의 중앙지지대와;
    상기한 바닥면 및 각각의 고정대와 다수개의 중앙지지대와 다수개의 하부지지대와 다수개의 상부지지대 소정위치에 착설되는 다수개의 고정수단과;
    상기 다수개의 고정수단에 착설되는 걸림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에는 다수개의 어도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각각의 고정대와 다수개의 중앙지지대와 하부지지대에는 수류의 대면방향에 착설되며, 상기 각각의 상부지지대에는 수류의 하류측에 착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서로 인접한 고정대와 하부지지대 사이의 1조 즉, 고정대와 다수개의 중앙지지대와 상부지지대와 다수개의 중앙지지대와 하부지지대 또는 하부지지대와 측방 하부지지대 사이의 1조 즉, 하부지지대와 다수개의 중앙지지대와 상부지지대와 다수개의 중앙지지대와 하부지지대 또는 하부지지대와 고정대 사이의 1조 즉, 하부지지대와 다수개의 중앙지지대와 상부지지대와 다수개의 중앙지지대와 고정대 각각에 설치된 고정수단은, 고정수단을 선(線)으로 연결하였을 경우 1조의 형상이 “∧”형태를 이루게 되고, 적어도 1조 이상이 설치되는 경우 “∧”형태가 연결되어 나사산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부지지대는, 평면 또는 하부로 개구부를 갖고 상부로 뾰족한 나사산 모양의 삼각( ∧ )형태 또는 하부로 개구부를 갖는 반원형 또는 하부로 개구부를 갖는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은, 상기 상부지지대로부터 보호받는 범위내에서 타측보다
    눈이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8. 계류 및 시냇가등에 구축되는 다기능 사방댐에 있어서,
    물이 흐르는 저면에 형성되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양측 기슭에 바닥면과 일체로 형성되는 측벽과;
    상기 바닥면 상단 양 측벽사이에 형성되는 본댐과;
    상기 본댐의 일측에 마련되는 하나이상의 어도와;
    상기 양측 댐둑마루와 측벽에 긴밀하게 착설되면서, 수류의 방향으로 관통형성된 다수개의 어도를 포함하는 고정대와;
    상기 본댐 댐둑마루의 상부 양측 고정대 사이에 착설되는 다수개의 지지대와;
    상기 각각의 고정대, 다수개의 지지대 및 본댐 측상부에 착설되는 다수개의 고정수단과;
    상기 다수개의 고정대에 착설되는 걸림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본댐에는, 본댐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하나이상의 배수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10. 계류 및 시냇가의 물이 흐르는 방향을 가로질러 형성된 기존의 댐에 추가로 구축되는 다기능 사방댐에 있어서,
    기존 사방댐 본댐의 댐둑마루및 대수면과 반수면을 긴밀하게 감싸면서 기슭부위가 충분히 포함될 수 있도록 양측기슭에 추가로 형성되는 덧측벽과;
    상기 양측 댐둑마루와 덧측벽에 긴밀하게 착설되면서 수류의 방향으로 관통형성된 다수개의 어도를 포함하는 고정대와;
    상기 본댐 상단 양측 고정대 사이의 댐둑마루 및 방수로 상부에 착설되는 다수개의 지지대와;
    상기 각각의 고정대, 다수개의 지지대 및 본댐 측상부에 착설되는 다수개의 고정수단과;
    상기 다수개의 고정대에 착설되는 걸림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11. 계류 및 시냇가등에 구축되는 다기능 사방댐에 있어서,
    물이 흐르는 저면에 형성되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양측 기슭에 바닥면과 일체로 형성되는 측벽과;
    상기 양측 바닥면과 측벽에 긴밀하게 착설되면서, 수류의 방향으로 관통형성된 다수개의 어도를 포함하는 고정대와;
    상기 바닥면 및 각각의 고정대의 소정위치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고정수단과;
    상기 다수개의 고정수단에 착설되는 걸림수단과;
    일측은 상기 걸림수단의 물을 가로 지르는 방향의 소정간격마다 계류되고, 타단은 상류방향에 존재하는 계류물에 계류되는 다수개의 상부 고정밧줄 및 다수개의 하부 고정밧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12. 계류 및 시냇가등에 구축되는 다기능 사방댐에 있어서,
    물이 흐르는 저면에 형성되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양측 기슭에 바닥면과 일체로 형성되는 측벽과;
    상기 바닥면 및 양측 측벽의 소정위치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고정수단과;
    상기 다수개의 고정수단에 착설되는 걸림수단과;
    일측은 상기 걸림수단의 물을 가로 지르는 방향의 소정간격마다 계류되고
    , 타단은 상류방향에 존재하는 계류물에 계류되는 다수개의 상부 고정밧줄 및 다수개의 하부 고정밧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13. 계류 및 시냇가등에 구축되는 다기능 사방댐에 있어서,
    물이 흐르는 저면에 형성되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양측 기슭에 바닥면과 일체로 형성되는 측벽과;
    상기 양측 바닥면과 측벽에 긴밀하게 착설되면서, 수류의 방향으로 관통형성된 다수개의 어도를 포함하는 고정대와;
    상기 양측 고정대 사이에 착설되는 다수개의 지지대와;
    상기 바닥면 및 각각의 고정대와 다수개의 지지대 소정위치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고정수단과;
    상기 다수개의 고정수단에 착설되는 걸림수단과;
    상기 걸림수단의 일측에 계류되고, 타단은 상류방향에 존재하는 계류물에 계류되는 다수개의 고정밧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플레이트 상부로 돌설된 조각편에 흰지 고정할 수 있도록 결합공이 형성되고, 바닥면에 고정할 수 있도록 부착공이 형성된 브라켓과, 일측에 다수개의 고정수단을 포함하고, 하부에 결합구가 형성되어 상기 플레이트의 결합공과 흰지 결합되는 지지봉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15. 청구항 11 내지 13에 있어서,
    상기 계류물은, 물속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16. 청구항 11 내지 13에 있어서,
    상기 계류물은, 물 바깥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17. 청구항 11 내지 13에 있어서,
    상기 계류물은, 천연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18. 청구항 11 내지 13에 있어서,
    상기 계류물은, 인공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19. 계류 및 시냇가등에 구축되는 다기능 사방댐에 있어서,
    물이 흐르는 저면에 형성되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소정위치에 유로를 횡단하는 방향의 하부로 바닥면 보다 깊게 형성되고, 다수개의 동력전달수단이 내설된 이송로와;
    상기 이송로 상단에 마련되는 다수개의 이송로 덮개와;
    상기 이송로가 형성된 바닥면의 하류측보다 상류측이 하부로 더 깊게 함몰되면서 형성되는 단턱과;
    상기 단턱 하부 일측에 착설되고, 내측에 조립구가 형성된 다수개의 고정수단과;
    상기 바닥면의 양측 기슭에 바닥면과 일체로 형성되는 측벽과;
    상기 이송로 양 측단에, 상류측에 하기 지지봉이 격납될 수 있도록 안착홈이 형성되고, 물의 흐름방향으로 관통형성된 다수개의 어도를 구비하며,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안착홈 상부에 상승 정지수단, 스프링을 포함하는 복귀수단이 마련되고, 바닥면과 측벽에 긴밀하게 착설되는 고정대와;
    상기 이송로 상단의 양측 고정대 사이에 착설되되, 수류의 대면 방향으로 안착홈이 구비되고, 내측에 다수개의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안착홈 상부에 상승 정지수단, 스프링을 포함하는 복귀수단이 마련된 다수개의 지지대와;
    상기 각각의 고정대와 다수개의 지지대중 2개 이상 마련되는 수위감지수단과;
    상기 수위감지수단이 마련되는 고정대 및 지지대 일측에 형성되는 입수공과;
    상기 각각의 고정대와 다수개의 지지대중 적어도 한 곳 이상의 상부에, 수 동노브, 로드, 구동수단이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이 마련된 고정대 또는 지지대 내측에, 드럼과 상기 드럼에 착설된 회동수단 및 상기 회동수단과 서로 맞물리는 상기 로드 하측 단부에 착설된 회동수단, 상기 구동수단과 상기 드럼이 긴밀히 연결될 수 있도록 구비된 커플링과;
    하측에 조립구가 형성되어 상기 단턱의 고정수단과 흰지 결합하고, 일측에 다수개의 고정수단이 착설되는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상단에 긴밀히 착설되고, 타측은 드럼에 착설되는 이송수단과;
    설치물 일측에 착설되는 하강정지수단과;
    상기 수위감지수단, 구동수단, 상승정지수단, 하강정지수단등과 연결된 2개 이상의 컨트롤러와;
    상기 다수개의 지지봉 고정수단에 착설되는 걸림수단과;
    다기능 사방댐과 댐 주변이 모니터에 모니터링 될 수 있는 CCTV 촬영수단 및 모니터링 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20. 계류 및 시냇가등에 구축되는 다기능 사방댐에 있어서,
    물이 흐르는 저면에 형성되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 소정위치에 수류를 횡단하는 방향으로 서로 같거나 다른 고(高)를 갖는 “ ∧ ”형태가 서로 근접하여 나사산과 흡사한 형태를 이루고, 상기 나사산 형태의 상류측이 하류측 보다 함몰되어 형성되는 단턱과;
    상기 단턱 하부 일측에 착설되고, 내측에 조립구가 형성된 다수개의 고정수단과;
    상기 나사산 형태의 단턱 하류측에 나사산 형태와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바닥면 보다 깊이 형성된 지선 이송로 및 상기 지선 이송로의 하류측 하부부위와 연결되면서, 수류를 가로질러 바닥면 보다 깊이 형성된 간선 이송로와;
    상기 지선 이송로 및 간선 이송로 내측에 내설되는 다수개의 동력전달수단과, 상측에 다수개의 지선 이송로 덮개 및 간선 이송로 덮개와;
    상기 바닥면의 양측 기슭에 바닥면과 일체로 형성되는 측벽과;
    상기 바닥면의 간선 이송로 및 지선이송로 상단의 양측단에, 하기 지지봉이 격납될 수 있도록 안착홈이 형성되고, 물의 흐름방향으로 관통형성된 다수개의 어도를 구비하며, 다수개의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안착홈 상부에 상승 정지수단을 포함하는 복귀수단이 마련되고, 바닥면과 측벽에 긴밀하게 착설되는 측부 고정대와;
    상기 측부 고정대와 측부 고정대 사이의 간선 이송로 및 지선이송로 상단에 착설되되, 하기 지지봉이 격납될 수 있도록 안착홈이 형성되고, 물의 흐름방향으로 관통형성된 다수개의 어도를 구비하며,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안착홈 상부에 상승 정지수단을 포함하는 복귀수단이 마련되고, 바닥면에 착설되는 다수개의 중앙 고정대와;
    상기 각각의 측부 고정대와 다수개의 중앙 고정대중 적어도 한 곳 이상의 상부에, 수동노브, 로드, 구동수단이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이 마련된 측부 고정대 또는 중앙 고정대 내측에, 드럼 및 드럼에 착설된 회동수단과, 상기 회동수단과 서로 맞물리는 상기 로드 아래쪽 단부에 착설된 회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과 상기 드럼이 긴밀히 연결될 수 있도록 구비된 커플링과;
    상기 측부 고정대와 중앙 고정대 사이 또는 중앙 고정대와 인접한 중앙 고정대 사이 또는 중앙 고정대와 측부 고정대 사이에, 하기 지지봉이 격납될 수 있도록 안착홈이 구비되고, 동력전달수단과 상승정지수단, 스프링을 포함하는 복귀수단 착설되고, 바닥면에 착설되는 다수개의 상부지지대와;
    상기 측부 고정대와 상부지지대 또는 상기 상부지지대와 중앙 고정대 사이에, 하기 지지봉이 격납될 수 있도록 안착홈이 구비되고, 동력전달수단과 상승정지수단, 스프링을 포함하는 복귀수단 착설되고, 바닥면에 착설되는 다수개의 중앙 지지대와;
    상기 각각의 측부 고정대와 다수개의 중앙 고정대와 다수개의 상부지지대 및 다수개의 중앙지지대중 2개 이상 마련되는 수위감지수단과;
    상기 수위감지수단이 마련되는 측부 고정대와 중앙 고정대와 상부지지대
    와 중앙지지대 일측에 형성되는 입수공과;
    하측에 조립구가 형성되어 상기 단턱의 고정수단과 흰지 결합하고, 일측에 다수개의 고정수단이 착설되는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상단에 긴밀히 착설되고, 타측은 드럼에 착설되는 이송수단 과;
    설치물 일측에 착설되는 하강정지수단과;
    상기 수위감지수단, 구동수단, 상승정지수단, 하강정지수단등과 연결된 2개 이상의 컨트롤러와;
    상기 다수개의 지지봉 고정수단에 착설되는 걸림수단과;
    다기능 사방댐과 댐 주변이 모니터에 모니터링 될 수 있는 CCTV 촬영수단 및 모니터링 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중앙고정대와 상부 지지대에 형성되는 안착홈은 하나이상 형성되고, 걸림수단이 분리되는 곳에서의 중앙지지대는, 2개의 안착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22. 계류 및 시냇가등에 구축되는 다기능 사방댐에 있어서,
    물이 흐르는 저면에 형성되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양측 기슭에 바닥면과 일체로 형성되는 측벽과;
    상기 바닥면 상단 양 측벽사이에 형성되는 본댐과;
    상기 본댐의 일측에 마련되는 하나이상의 어도와;
    상기 본댐의 댐둑마루에 하부로 더 깊게 형성되는 이송로와;
    상기 이송로 상부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이송로 덮개와
    상기 이송로 양측단 상단에, 상류측에 하기 지지봉이 격납될 수 있도록 안착홈이 형성되고, 물의 흐름방향으로 관통형성된 다수개의 어도를 구비하며,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안착홈 상부에 상승 정지수단, 스프링을 포함하는 복귀수단이 마련되고, 바닥면과 측벽에 긴밀하게 착설되는 고정대와;
    상기 이송로 상단의 양측 고정대 사이에 착설되되, 수류의 대면 방향으로 안착홈이 구비되고, 내측에 다수개의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안착홈 상부에 상승 정지수단, 스프링을 포함하는 복귀수단이 마련된 다수개의 지지대와;
    상기 각각의 고정대와 다수개의 지지대중 2개 이상 마련되는 수위감지수단과;
    상기 수위감지수단이 마련되는 고정대 및 지지대 일측에 형성되는 입수공과;
    상기 각각의 고정대와 다수개의 지지대중 적어도 한 곳 이상의 상부에, 수동노브, 로드, 구동수단이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이 마련된 고정대 또는 지지대 내측에, 드럼 및 드럼에 착설된회동수단, 상기 회동수단과 서로 맞물리는 상기 로드 아래쪽 단부에 착설된 회동수단, 상기 구동수단과 상기 드럼이 긴밀히 연결될 수 있도록 구비된 커플링과;
    하측에 조립구가 형성되어 상기 단턱의 고정수단과 흰지 결합하고, 일측에 다수개의 고정수단이 착설되는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상단에 긴밀히 착설되고, 타측은 드럼에 착설되는 이송수단과;
    설치물 일측에 착설되는 하강정지수단과;
    상기 수위감지수단, 구동수단, 상승정지수단, 하강정지수단등과 연결된 2개 이상의 컨트롤러와;
    상기 다수개의 지지봉 고정수단에 착설되는 걸림수단과;
    다기능 사방댐과 댐 주변이 모니터에 모니터링 될 수 있는 CCTV 촬영수단 및 모니터링 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본댐에는, 본댐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하나이상의 배수공을 포함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24. 계류 및 시냇가의 물이 흐르는 방향을 가로질러 형성된 기존의 댐에 추가로 설치되는 다기능 사방댐에 있어서,
    기존 본댐의 댐둑마루 및 대수면과 반수면을 긴밀하게 감싸면서 기슭부위가 충분히 포함될 수 있도록 양측 기슭에 추가로 마련되는 덧측벽과;
    상기 본댐의 대수면에 접하고, 덧측벽 사이의 착설되는 이송로와;
    상기 이송로 상단에 마련되는 다수개의 이송로 덮개와;
    상기 이송로 양측단 상단에, 상류측에 하기 지지봉이 격납될 수 있도록 안착홈이 형성되고, 물의 흐름방향으로 관통형성된 다수개의 어도를 구비하며,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안착홈 상부에 상승 정지수단, 스프링을 포함하는 복귀수단이 마 련되고, 이송로 상단과 덧측벽에 긴밀하게 착설되는 고정대와;
    상기 이송로 상단의 양측 고정대 사이에 착설되되, 수류의 대면 방향으로 안착홈이 구비되고, 내측에 다수개의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안착홈 상부에 상승 정지수단, 스프링을 포함하는 복귀수단이 마련된 다수개의 지지대와;
    상기 각각의 고정대와 다수개의 지지대중 2개 이상 마련되는 수위감지수단과;
    상기 수위감지수단이 마련되는 고정대 및 지지대 일측에 형성되는 입수공과;
    상기 각각의 고정대와 다수개의 지지대중 적어도 한 곳 이상의 상부에, 수동노브, 로드, 구동수단이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이 마련된 고정대 또는 지지대 내측에, 드럼 및 드럼에 착설된회동수단, 상기 회동수단과 서로 맞물리는 상기 로드 아래쪽 단부에 착설된 회동수단, 상기 구동수단과 상기 드럼이 긴밀히 연결될 수 있도록 구비된 커플링과;
    하측에 조립구가 형성되어 상기 단턱의 고정수단과 흰지 결합하고, 일측에 다수개의 고정수단이 착설되는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상단에 긴밀히 착설되고, 타측은 드럼에 착설되는 이송수단과;
    설치물 일측에 착설되는 하강정지수단과;
    상기 수위감지수단, 구동수단, 상승정지수단, 하강정지수단등과 연결된 2개 이상의 컨트롤러와;
    상기 다수개의 지지봉 고정수단에 착설되는 걸림수단과;
    다기능 사방댐과 댐 주변이 모니터에 모니터링 될 수 있는 CCTV 촬영수단 및 모니터링 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25. 청구항 19 또는 22 또는 24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이 분리되는 곳의 지지대에는, 2개의 안착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26. 청구항 19 또는 20 또는 22 또는 24에 있어서,
    상기 하강정지수단은, 구동수단 또는 드럼의 회전을 감지하여 회전횟수로 비례제어하는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27. 청구항 19 또는 20 또는 22 또는 24에 있어서,
    상기 하강정지수단은, 검출부와 스위치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28. 청구항 19 또는 20 또는 22 또는 24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의 스위치는, 리미트 스위치 또는 근접 스위치 또는 리드 스위치로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29. 계류 및 시냇가등에 구축되는 사방댐에 있어서,
    물이 흐르는 저면에 형성되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 소정위치에 유로를 횡단하는 방향의 하부로 바닥면 보다 깊게 형성되고, 다수개의 동력전달수단이 내설되는 이송로와;
    상기 이송로 상단에 마련되는 다수개의 이송로 덮개와;
    상기 이송로 상류방향에 하부로 바닥면 보다 깊게 형성되고, 일측에 고정수단이 내설되는 수납함과;
    상기 수납함 상부에, 일측에 흰지 결합하여 상부 방향으로 개폐 가능토록 구조를 취한 다수개의 수납함 덮개와;
    상기 이송로 양측단 상단에, 상류측에 이탈방지홈이 형성되고, 물의 흐름방향으로 관통형성된 다수개의 어도를 구비하며,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안착홈 상부에 상승 정지수단, 스프링을 포함하는 복귀수단이 마련되고, 이송로 상단과 덧측벽에 긴밀하게 착설되는 고정대와;
    상기 이송로 상단의 양측 고정대 사이에 착설되되, 수류의 대면 방향으로 이탈방지홈이 구비되고, 내측에 다수개의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안착홈 상부에 상승 정지수단, 스프링을 포함하는 복귀수단이 마련된 다수개의 지지대와;
    상기 각각의 고정대와 다수개의 지지대중 2개 이상 마련되는 수위감지수단과;
    상기 수위감지수단이 마련되는 고정대 및 지지대 일측에 형성되는 입수공과;
    상기 각각의 고정대와 다수개의 지지대중 적어도 한 곳 이상의 상부에, 수동노브, 로드, 구동수단이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이 마련된 고정대 또는 지지대 내측에, 드럼 및 드럼에 착설된회동수단, 상기 회동수단과 서로 맞물리는 상기 로드 아래쪽 단부에 착설된 회동수단, 상기 구동수단과 상기 드럼이 긴밀히 연결될 수 있도록 구비된 커플링과;
    상기 드럼에 일측이 착설되고, 타측은 수납함 내측의 걸림수단에 고정되는 이송수단과;
    설치물 일측에 착설되는 하강정지수단과;
    상기 수위감지수단, 구동수단, 상승정지수단, 하강정지수단등과 연결된 2개 이상의 컨트롤러와;
    상기 이송수단에 긴밀히 착설되고, 타측은 상기 수납함 내측의 고정수단에 착설되는 걸림수단과;
    다기능 사방댐과 댐 주변이 모니터에 모니터링 될 수 있는 CCTV 촬영수단 및 모니터링 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30. 청구항 19 또는 20 또는 22 또는 24 또는 29에 있어서,
    상기 상승정지수단은, 리미트스위치 또는 근접스위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31. 계류 및 시냇가등에 구축되는 다기능 사방댐에 있어서,
    물이 흐르는 저면에 형성되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과 일체로 양측기슭에 접하여 형성되는 측벽과;
    상기 바닥면 양측에, 하기할 걸림수단의 안착을 위해 이탈방지홈이 상류방향에 형성되고, 물의 흐름방향으로 관통형성된 다수개의 어도가 구비되며, 바닥면과 측벽에 긴밀하게 착설되는 고정대와;
    상기 양측 고정대 사이에, 상류측에 이탈방지홈이 형성된 다수개의 지지대와;
    상기한 고정대와 지지대 상단에 착설되면서, 상류측 하부방향으로 개구부가 형성된 하나이상의 수납함체와;
    상기 수납함체 상부 양단에 착설되는 가드레일과;
    고정된 로드 하우징에 내설되어 상하 수직운동을 하는 구조를 취하되, 상측 상부에는 래크가 형성되고 하부에 원형편이 구비된 구동로드와, 하측 상부에는 실린더가 형성되되, 상기 원형편이 실린더와 조립된 후 이탈되지 않도록 입구가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고, 하부 하측에 실린더와 긴밀하게 착설된 부레와, 상기 실린더에 내설된 압축스프링으로 구성되며, 수납함체가 분리되는 위치에 따라 고정대 또는 지지대에 내설되는 구동수단과;
    상기 수납함체가 분리되는 위치에 따라 설치되는 구동수단이 내설되는 고정대 또는 지지대 하측에 형성되는 입수공과;
    상기 수납함체 내측에 마련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 회전축인 축심 일측에 장착된 상기 래크와 맞물리는 피니언 및 회동수단과, 일측에 스프링이 마련되고, 수동노브와 회동로드에 의해 연결된 회동수단과;
    일측은 상기 드럼에 착설되고, 타측은 상기 수납함체 개구부에 위치하는
    걸림수단과;
    다기능 사방댐과 댐 주변이 모니터에 모니터링 될 수 있는 CCTV 촬영수단 및 모니터링 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32. 청구항 29 또는 31에 있어서,
    여기서,
    상기 걸림수단이 분리되는 곳의 지지대에는, 2조의 이탈방지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33. 도심지와 인접하고 둔치가 마련된 하천에 구축되는 다기능 사방댐에 있어서,
    하천에 제 1양태 내지 제 13양태의 다기능 사방댐이 마련되고, 둔치에 제 1양태 내지 제 13양태의 다기능 사방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34. 청구항 33에 있어서,
    상기 하천 측벽과 둔치가 접하는 둔치상단에 설치되는 고정대 일측에 추가로 착설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다기능 사방댐.
  35. 청구항 1, 2, 7, 8, 10, 11, 12, 13, 19, 20, 21, 22, 24, 25, 29, 31, 32의 걸림수단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은 망 또는 그물형태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36. 청구항 1, 2, 7, 8, 10, 11, 12, 13, 19, 20, 21, 22, 24, 25, 29, 31, 32의 걸림수단에 있어서,
    상기 망 또는 그물형태의 걸림수단 소재는,
    실, 철사, 천연섬유밧줄, 화학섬유밧줄, 강삭중의 어느 한가지 또는 두가지 이상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37. 청구항 1, 2, 7, 8, 10, 11, 12, 13, 19, 20, 21, 22, 24, 25, 29, 31, 32의 걸림수단에 있어서,
    상기 망 또는 그물형태의 걸림수단 소재 형태는,
    소정 폭, 소정두께를 갖는 띠형상의 밧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38. 여기서,
    청구항 1, 2, 7, 8, 10, 11, 12, 13, 19, 20, 21, 22, 24, 25, 29, 31, 32의 걸림수단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은,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갈수록 눈이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
    댐.
  39. 청구항 1, 2, 7, 8, 10, 11, 12, 13, 19, 20, 21, 22, 24, 25, 29, 31, 32의 걸림수단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에는,
    입자가 작은 토석의 차단을 위해 눈이 작은 망 또는 천등의 소재가 상기
    걸림수단에 덧대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40. 청구항 1, 2, 7, 8, 10, 11, 12, 13, 19, 20, 21, 22, 24, 25, 29, 31, 32의 걸림수단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은 각재, 환재, 판재, 파이프, H형강, I형강, C형강중에서
    어느 한가지 또는 두가지 이상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41. 청구항 1, 2, 7, 8, 10, 11, 12, 13, 19, 20, 21, 22, 24, 25, 29, 31, 32의 걸림수단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의 소재는,
    나무, 철, 철 혼합물,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비철류, 플라스틱, 플라스틱
    혼합물중에서 어느 한가지 또는 두가지 이상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42. 청구항 1, 2, 7, 8, 10, 11, 12, 13, 19, 20, 21, 22, 24, 25, 29, 31, 32의 걸림수단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은,
    망 또는 그물형태의 걸림수단과 각재, 환재, 판재, 파이프, H형강, I형
    강, C형강중에서 어느 한가지 또는 두가지 이상 사용되는 걸림수단이 병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43. 청구항 1, 2, 4, 5, 8, 10, 11, 12, 13, 14, 19, 20, 22, 24, 29, 34의 고정수단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아이( i )볼트, 아이( i )너트, 캡너트, U볼트등의 생산품과 비규격품인 오메가( Ω )형 고정구등 다양한 성형품 및 각종볼트, 각종너트중에서 어느 한가지 또는 두가지 이상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44. 청구항 1, 3, 8, 10, 11, 13, 19, 20, 22, 24, 29, 31의 어도내측에 삽설가능한 어도에 있어서,
    파이프 내측벽에 내경의 절반이상을 가로막는 구조를 취한 반달형상의 차단벽이 다수개가 교차하며, 소정간격을 두고 지그재그로 다단 착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를 포함하는 다기능 사방댐.
  45. 청구항 1, 2, 8, 11, 12, 13, 14, 19, 20, 22, 29, 31 바닥면의 상·하류측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의 상류측에, 토석류가 본댐에 이르기 전에 세력을 약화시기기 위해 착설하는 토석방지턱과, 상기 바닥면의 하류측에, 댐 하류로 흐르는 물의 수세를 약화와 댐 하부의 토석 유실방지를 위해 착설하는 수직벽중에서 어느 한가지 또는 두가지를 추가로 착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46. 청구항 45에 있어서,
    상기 토석방지턱은,
    바닥면 상류측에 어패류등의 이동경로 확보를 위해 소정간격으로 이격설치된 다수개의 블록이 양측벽 사이에 “ ――― ”형으로 구비되며, 상하간격을 두고 지그재그로 다단 착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47. 청구항 45에 있어서,
    상기 수직벽은,
    중앙부보다 양측이 더 높게 형성된 수직벽어깨를 포함하는 다기능 사방
    댐.
  48. 청구항 1 내지 14, 19 내지 32의 구조물상에 착설되는 시설물에 있어서,
    상기 착탈형 시설물은,
    상기 시설물이 바닥면에 착설되는 경우, 부착공이 구비된 플레이트가 몸체 하부에 긴밀하게 착설되고,
    상기 시설물이 측벽과 바닥면에 견착되는 경우, 측벽과 바닥면의 맞닿는
    부위에 일체형으로 플레이트가 형성되되,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측벽과 바닥면에 동시 착설될 수 있도록 부착공이 구비되며,
    상기 시설물이 측벽과 바닥면에 견착되면서 동일한 시설물이 측부에 일직선으로 이어지는 경우, 측벽과 바닥면의 맞닿는 부위에 일체형으로 부착공이 구비된 플레이트 및 동일시설물의 서로 맞닿는 부위에 측부의 동일시설물과 견착될 수 있도록 부착공이 구비된 플레이트가 몸체 측부에 추가로 형성되고,
    상기 시설물이 측벽과 바닥면에 견착되면서 동일한 시설물이 측부에 일직선으로 이어지는 경우, 시설물과 시설물 사이에 견착되는 시설물은, 양 몸체 측부의 동일시설물과 서로 맞닿는 부위에 측부의 동일시설물과 견착될 수 있도록 부착공이 구비된 플레이트가 착설되며,
    상기 시설물의 상단과 측벽에 설치되는 경우, 측벽과 시설물 상단에 동시에 착설될 수 있도록 부착공이 구비된 플레이트가 마련되고,
    시설물 상단에 설치되는 시설물은, 시설물 상단에 착설될 수 있도록 부착공이 구비된 플레이트가 설치되는 착탈형 시설물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49. 청구항 48에 있어서,
    시설물이 측벽 또는 바닥면과 맞닿는 부위 및 동일시설물이 서로 맞닿는
    부위에 담수된 물의 누수를 막기 위해 긴밀하게 삽설되는 다수개의 패킹(Packing)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50. 청구항 1, 2, 8, 11, 12, 13, 14, 19, 20, 22, 29, 31의 구조물에 있어
    서,
    상기 바닥면은,
    건기와 같은 미 사용시 시설물을 철거하고 토석을 덮어 자연환경과 최대한 가깝게 할 수 있도록 바닥면의 상부면이 상하류의 구배보다 더 하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51. 청구항 19, 20, 22, 24, 26, 29, 31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정·역회전이 가능한 전기, 유류(油類), 유압, 공압등을 이용한 기기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52. 청구항 19, 20, 22, 24, 29에 있어서,
    상기 수위감지수단은,
    오뚜기식, 전극봉식, 플로트식, 기어식, 전해식, 초음파식등에서 어느 한 가지 또는 두가지 이상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53. 청구항 19, 20, 22, 24, 29에 있어서,
    상기 수위감지수단의 2개 이상 연결방식은 OR회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54. 청구항 19, 20, 22, 24, 29, 31에 있어서,
    CCTV의 촬영수단과 모니터링 수단의 연결방법 및 다기능 사방댐이 설치된 위치에서 근무지등과 같은 목적지와의 컨트롤러 연결방법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연결방식은 인터넷망을 이용한 방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55. 청구항 19, 20, 22, 24, 29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플렉시블(flexible)파이프형태의 케이블하우징인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송수단은,
    와이어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56. 다기능 사방댐 구조물의 벽면녹화장치에 있어서,
    외측에서 측벽을 향해, 하나에서 측벽 벽면을 향해 다수개로 분기되되, 타 단은 집수정에 투입되고, 일측에는 펌핑수단이 마련되는 관로와;
    상기 각각의 관로끝단에 형성된 암나사와;
    하측에 배수공이 마련되고, 일측에 체결공이 구비되며, 내측에 상기 펌핑수단과 연결된 수분감지수단을 포함하는 식재함과;
    식재함 사용시 체결되는 노즐과;
    식재함 미사용시 체결되는 막음볼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사방댐 구조물의 벽면녹화장치.
  57. 바닥면과 측벽만이 존재하고, 측벽에 관로를 포함하는 벽면녹화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바닥면과 측벽에 착탈식 시설물을 착설하는 일정기간 자연상태로 방치되어 있던 다기능 사방댐의 관리방법에 있어서,
    구동수단이 없고, 시설물에 직접 계류되는 걸림수단이 장착된 다기능 사방댐의 관리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바닥면 상부의 쓰레기류등을 수거하고 토석을 준설하는 단계;
    식재함 철거 및 막음볼트 삽설단계;
    고정대, 지지대등의 시설물을 설치한 후 고정수단 및 걸림수단을 착설하는 단계;
    집중호우후 본댐 상류측에 적치된 유목, 쓰레기등의 수거 및 토석 준설 단계;
    상기 고정대등 시설물과 고정수단, 걸림수단의 철거단계;
    상기 바닥면 상부에 토석 포설단계;
    상기 막음볼트 제거 및 식재함 착설단계;
    상기 고정대등 시설물과 고정수단 및 걸림수단의 보수 및 보관을 통해 상기 고정대등 시설물과 고정수단 및 걸림수단의 재사용을 하기 위한 관리단계를 포함하는 다기능 사방댐의 관리방법.
  58. 바닥면과 측벽만이 존재하고, 측벽에 관로를 포함하는 벽면녹화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바닥면과 측벽에 착탈식 시설물을 착설하는 일정기간 자연상태로 방치되어 있던 다기능 사방댐의 관리방법에 있어서,
    구동수단으로 동작되는 걸림수단이 장착된 다기능 사방댐의 관리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바닥면 상부의 쓰레기류등을 수거하고 토석을 준설하는 단계;
    식재함 철거 및 막음볼트 삽설단계;
    고정대, 지지대등의 시설물을 설치한 후 고정수단 및 걸림수단을 착설하는 단계;
    일시적 호우로 발생한 쓰레기등의 수거 및 토석준설 단계;
    상기 걸림수단의 본래상태로 복귀단계;
    집중호우후 본댐 상류측에 적치된 유목, 쓰레기등의 수거 및 토석 준설 단
    계;
    상기 고정대등 시설물과 고정수단, 걸림수단의 철거단계;
    상기 바닥면 상부에 토석 포설단계;
    상기 막음볼트 제거 및 식재함 착설단계;
    상기 고정대등 시설물과 고정수단 및 걸림수단의 보수 및 보관을 통해 상기 고정대등 시설물과 고정수단 및 걸림수단의 재사용을 하기 위한 관리단계를 포함하는 다기능 사방댐의 관리방법.
KR1020090070136A 2009-07-30 2009-07-30 다기능 사방댐과 그 구조물의 벽면녹화장치 및 시설물의 관리방법. KR201100124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0136A KR20110012417A (ko) 2009-07-30 2009-07-30 다기능 사방댐과 그 구조물의 벽면녹화장치 및 시설물의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0136A KR20110012417A (ko) 2009-07-30 2009-07-30 다기능 사방댐과 그 구조물의 벽면녹화장치 및 시설물의 관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2417A true KR20110012417A (ko) 2011-02-09

Family

ID=43772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0136A KR20110012417A (ko) 2009-07-30 2009-07-30 다기능 사방댐과 그 구조물의 벽면녹화장치 및 시설물의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241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2691A (ko) * 2015-03-20 2016-09-28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생태 및 경관 기능을 갖는 흙댐 리모델링 공법
CN117285166A (zh) * 2023-10-11 2023-12-26 河北省张家口水文勘测研究中心 一种水质生态墙及生态坝及水体净化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2691A (ko) * 2015-03-20 2016-09-28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생태 및 경관 기능을 갖는 흙댐 리모델링 공법
CN117285166A (zh) * 2023-10-11 2023-12-26 河北省张家口水文勘测研究中心 一种水质生态墙及生态坝及水体净化装置
CN117285166B (zh) * 2023-10-11 2024-03-22 河北省张家口水文勘测研究中心 一种水质生态墙及生态坝及水体净化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26317B2 (en) Wave suppressor and sediment collection system for use in shallow and deeper water environments
US6893193B2 (en) Self-anchoring fiber block system
US5697736A (en) Seawalls and shoreline reinforcement systems
US8448279B2 (en) Ecologically-sound waterway culvert restoration
KR101009811B1 (ko) 석재고정매트 및 시공방법
JP3608773B2 (ja) 流下物捕捉構造
KR100554867B1 (ko) 사방 또는 호안 공사 방법 및 사방 또는 호안용 구조물
JP3755806B2 (ja) 護岸用ブロック、およびそれを使用する法面工法
KR20110012417A (ko) 다기능 사방댐과 그 구조물의 벽면녹화장치 및 시설물의 관리방법.
KR20200109478A (ko) 물탱크를 활용한 하천재방시스템 및 녹조제거시스템을 통한 수자원관리 시스템
TW201311971A (zh) 地層構造維護與地下水補注儲存裝置
CN212956382U (zh) 一种生态石笼挡墙
Gu Beneficial reuses of scrap tires in hydraulic engineering
KR101684340B1 (ko) 연안의 세굴방지구조 및 그것의 설치방법
KR100743550B1 (ko) 세굴방지블럭
JP3796690B2 (ja) 人工漁礁、並びに該人工漁礁を使用した堰堤・ダム工法、河川の河床工法、取水口工法、及び河川側壁工法
KR100479439B1 (ko) 하천 호안용 삼각 방틀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0327410Y1 (ko) 호안블록의 체결장치
KR100777597B1 (ko) 하천 바닥 세굴방지용 블록
KR102264637B1 (ko) 바이오 폴리머 피복 다공성 골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존치형 수변사면 침식방지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US8486273B2 (en) Water deflection silt collection system
KR20130113058A (ko) 다용도 식생구조체 및 이것을 이용한 수변지역의 친환경 시공방법
RU2569828C1 (ru)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прибрежного крепления из фашин биопозитивной конструкции
KR100475104B1 (ko) 사면 및 호안옹벽용 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
Heibaum Geosynthetics in agricultural and aquacultural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