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1054B1 - 부유사 및 소류사 포집장치 - Google Patents

부유사 및 소류사 포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1054B1
KR101441054B1 KR1020140057875A KR20140057875A KR101441054B1 KR 101441054 B1 KR101441054 B1 KR 101441054B1 KR 1020140057875 A KR1020140057875 A KR 1020140057875A KR 20140057875 A KR20140057875 A KR 20140057875A KR 101441054 B1 KR101441054 B1 KR 101441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cting
frame
hole
fixing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7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호
곽기수
이강호
Original Assignee
(주)미래해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래해양 filed Critical (주)미래해양
Priority to KR1020140057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10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1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1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2Stream regulation, e.g. breaking up subaqueous rock, cleaning the beds of waterways, directing the water flow
    • E02B3/023Removing sedi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유사 및 소류사를 재집하는 포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해저에서 부유사 및 소류사를 포집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지수단과 고정수단 및 상기 고정수단에 구비되는 포집수단을 구비하여 해저 내에서 소류사를 포집할 수 있도록 하며, 지지수단에 구비되는 프레임을 ㄱ자 프레임으로 설치함으로서 패저에 안착하여 작은 자체중량으로도 파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고, 높이조절수단을 통해 여러층의 소류사 및 부유사의 포집이 가능하게 하는 부유사 및 소류사를 채집하는 포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부유사 및 소류사 포집장치{SUSPENDED SEDIMENT AND BED LOAD COLLECTING DEVICE}
본 발명은 부유사 및 소류사를 재집하는 포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해저에서 부유사 및 소류사를 포집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지수단과 고정수단 및 상기 고정수단에 구비되는 포집수단을 구비하여 해저 내에서 소류사를 포집할 수 있도록 하며, 지지수단에 구비되는 프레임을 ㄱ자 프레임으로 설치함으로서 패저에 안착하여 작은 자체중량으로도 파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고, 높이조절수단을 통해 여러층의 소류사 및 부유사의 포집이 가능하게 하는 부유사 및 소류사를 채집하는 포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저 및 하천바닥에 설치되어 모래 입자 등을 포집하는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0761877호 『해안용 모래 포집 구조물』이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해안 지역에서 파도가 미치는 해안가나 또는 해안의 연약지반 등에서 모래의 침식작용을 방지하기 위한 모래 포집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파도.조류.연안류 등 해안 지역의 특성을 고려하여 파도가 미치는 해안가나 연약지반에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파도감쇠막을 설치하여 해안가에서 파도의 운동에너지를 감쇠시키므로 연안류나 이안류 등을 따라 이동하는 표사를 조기에 효과적으로 퇴적시키는 한편 파도로 인하여 해안의 모래가 바다로 점차 침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해안용 모래 포집 구조물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소류사를 포집하는 장비로서 장비의 자체 중량을 무겁게하여 해저에 안착시키는 방법으로 설치가 어렵고 높이 조절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로 공개특허 제10-2009-0082954호 『연안용 부유사/소류사 포집장치』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스테인리스 포집기 거치대와 거치대 중앙에 있는 아크릴관으로 이루어진 부유사 포집기 및 동서남북 4방향으로 PVC 파이프로 이루어진 소류사 포집기로 구성되어, 포집기 거치대는 얇은 연안에서 빠른 유속과 쇄파로 인한 유실 방지를 위해 긴 다리로 구성되는 연안용 부유사/소류사 포집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나아가 또 다른 종래기술로 등록실용신안 제20-0183444호 『해양 및 하천용 소류사 측정장치』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해저 및 하천바닥에 간편하게 설치되어 해저 또는 하천의 바닥에서 자유롭게 굴러 다니는 모래 입자와 같은 소류사의 유동을 해석할 수 있도록 소류사를 포집하여 그 포집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밀폐되며, 상단외주면에 세굴방지판이 장착되어 해양 및 하천의 바닥에 설치되는 원통저장조와, 상기 원통저장조 내부에 수직하게 삽입되고, 채취구가 형성된 상단일부가 노출되는 복수개의 포사기와, 상기 채취구에 탈착가능하게 조립되는 사각틀에 상기 채취구를 통해 유입되는 소류사를 포집하는 포집망 및 상기 원통저장조 내에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포사기를 고정하는 고정판을 포함하는 해양 및 하천용 소류사 측정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해저 및 하천바닥에 구비되어 부유사 또는 소류사를 포집하는 것으로서, 높이를 조절할 수 없어 고정된 해저 층의 소류사 또는 부유사의 포집이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부유사 및 소류사 포집장치에 있어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이 구비되는 지지부재를 구비한 지지수단을 통하여 해저에 설치되어 부유사와 소류사를 포집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수단에 고정수단을 구비하되 고정수단에는 부유사와 소류사를 포집하는 포집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포집수단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수단을 더 구비함으로써, 해저의 여러층의 부유사와 소류사를 포집 할 수 있는 부유사 및 소류사 포집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수단의 프레임을 ㄱ자 프레임으로 구비하여 해저에 안착하여 작은 자체중량으로도 파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는 부유사 및 소류사 포집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높이조절수단을 고정수단의 결합공과 포집수단의 조절공 및 이 둘을 연결하는 연결볼트로 구성하여 포집수단의 높이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여러층의 부유사 및 소류사를 포집 할 수 있으며,
상기 포집수단에는 서랍식으로 내삽되는 포집부재를 더 구비함으로서 포집부재에 포집된 부유사 또는 소류사를 채집 및 빼는 등 상기 포집수단을 제거하지 않고 포집부재만 따로 제거함으로서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부유사 및 소류사 포집장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지지부재를 구비하는 지지수단;
상기 지지수단에 구비되는 고정수단;
상기 고정수단의 외면에 결합하는 결합부와 부유사 또는 소류사 또는 이들 모두를 포집하는 포집부가 각각 구비되는 복수개의 포집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포집수단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이 더 구비되고,
상기 지지수단의 프레임은 ㄱ자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유사 및 소류사 포집장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프레임을 구비하는 지지수단과, 상기 지지수단에 구비되는 고정수단 및 상기 고정수단의 외면에 구비되는 포집수단을 통하여 해저의 부유사 및 소류사를 포집할 수 있고,
이 때 상기 프레임을 ㄱ자 프레임을 이용함으로서 포집장치의 자체중량을 줄여 해저에 안착하여 자체 중량으로도 파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포집수단이 상기 고정수단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높이조절수단을 더 구비하여 여러층의 소류사의 포집이 가능하며, 저층의 부유사의 포집이 가능하도록 한다.
나아가 상기 높이조절수단을 고정수단에 구비되는 결합공과 포집수단에 구비되는 조절공 및 결합공과 조절공을 연결하는 연결볼트로 구비하여 간편하게 볼트의 조임과 풀림 동작으로 포집수단의 높낮이를 조절함에 따라 높이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포집수단에는 포집부에 서랍식으로 내삽되는 포집부재가 더 구비되어, 포집된 부유사 및 소류사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포집수단을 제거할 필요 없이 포집부재를 꺼내 확인 및 측정 할 수 있도록 하여 측정 과정을 간편하게 하고, 유지보수가 필요한 경우에 쉽게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여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집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집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집장치의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포집부재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포집부재의 변형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유사 및 소류사 포집장치(P)는 해저에 구비되는 지지수단(10)과, 상기 지지수단(10)에 구비되는 고정수단(20) 및 상기 고정수단(20)에 구비되어 부유사 또는 소류사 또는 이들 모두를 포집 및 측정하는 포집수단(30)이 구비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부유사(Suspended Solids, SS)란 물 속에 현탁되어 탁도를 유발하는 불용성 물질로서 0.1㎛의 여과지(유리섬유 여지, GF/C)에 여과되지 않고 걸리는 물질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부유사는 물을 여과시킨 후 여과지 위에 남는 물질을 105~110℃에서 약 2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질량을 측정하여 mg/L로 표시한다. 이는 하구역 사주지형의 퇴적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인자로서, 포집을 통해 정략적인 측정이 행해져야만 한다.
또한 소류사는 해저 또는 해안에서 자유롭게 굴러다니는 미세한 모래 입자를 말하는 것으로 부유사와 마찬가지로 사주지형의 퇴적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인자로서, 정략적인 측정이 행해져야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해저 또는 연안 등에 구비되어 고정되는 지지수단(10)이 구비되어 있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고정수단(20)이 구비될 수 있는 지지부재(13)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재(13)의 하면에는 복수개의 프레임(11)이 구비되게 된다. 상기 지지부재(13)는 일반적으로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지는 평탄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상기 지지부재(13)는 해저에 구비됨에 따라 물과의 접촉에 의해 부식되어 내구성이 떨어져 파손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13)는 도면에는 정사각형 형상으로 도시하였지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지지부재(13)의 형상은 직사각형, 원형 등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지지부재(13)의 크기는 설치 장소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상기 지지부재(13)의 하면에는 복수개의 프레임(11)이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프레임(11)은 해저에 고정되어 상기 지지부재(13)를 지지하는 다리역할을 하며, 이에 따라 상기 프레임(11)은 지지부재(13)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복수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프레임(11)은 ㄱ자 프레임(11)으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에 따라 자체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11)이 해저에 안착하여 작은 자체중량으로도 파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지지부재(13)의 상부에는 고정수단(20)이 구비되어 있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고정수단(20)은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형상으로 상기 지지수단(10)을 이루는 지지부재(13)의 중심에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고정수단(20)의 형상은 사각기둥 등 다른 다각형의 기둥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나 해저에 구비되는 포집장치(P)로서 해류 등으로 인한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원형 기둥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다시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20)의 외면에는 포집수단(30)이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포집수단(30)은 복수개의 포집프레임(31)과, 상기 포집프레임(31)에 각각 구비되는 포집부재(33)로 이루어
상기 고정수단(20)에 결합되는 결합부(311)와, 상기 결합부(311)에 연장되는 포집부(313)로 이루어지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포집프레임(31)은 상기 고정수단(20)의 외면에 결합하는 결합부(311)와, 상기 결합부(311)에 구비되는 포집프레임(31)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상기 결합부(311)는 상기 고정수단(20)이 원기둥의 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고정수단(20)의 외면의 형상과 상응하게 곡선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고정프레임(11)은 각 면에 개구부(313A)가 형성되어 있는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측은 후술하는 포집부재(33)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부(313B)가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고정프레임(11)은 상기 고정수단(20)의 외면에 복수개로 구비되어 있는데, 일반적으로 4개의 포집프레임(31)이 상기 고정수단(20)에 구비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포집프레임(31)에는 포집부재(33)가 더 구비되어 있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포집부재(33)는 상기 포집프레임(31)의 삽입부(313B)를 통하여 상기 포집부(313)에 내삽될 수 있도록 상기 포집프레임(31)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포집부재(33)의 각 면에는 해저에 부유하는 부유사 또는 소류사가 포집될 수 있도록 포집공(331)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포집부재(33)의 하면에는 상기 포집공(331)이 형성되지 않고 밀폐된 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포집부재(33) 내에 부유사 또는 소류사가 모아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포집부재(33)에는 상기 포집부재(33)의 외면을 감싸 포집공(331)을 모두 덮는 포집망(333)이 구비되어 있는데, 이는 개방되어 있는 포집공(331)을 통하여 외부 이물질, 생물 등이 상기 포집공(331)을 통하여 포집부재(33)내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다시 도 1 및 도 2,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집부재(33)의 전방(포집부재(33)의 결합시 고정수단(20)이 구비되는 반대방향)에는 상기 포집부재(33) 내부에 쌓이는 부유사 또는 소류사가 밖으로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턱(335)이 더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이탈방지턱(335)은 상기 포집부재(33)의 전방 하부로부터 상부측으로 돌출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포집부재(33)는 상기 포집프레임(31)에 견고하게 결합되기 위하여 결합부재(336)를 통하여 결합되어 있는데, 상기 결합부재(336)는 상기 포집프레임(31)의 삽입부(313B)를 형성하는 전방에 구비되는 고정공(336A)과, 상기 포집부재(33)의 전방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공(336A)과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대응공(336B) 및 상기 고정공(336A)과 대응공(336B)을 연결하는 고정볼트(336C)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포집부재(33)를 포집프레임(31)에 삽입하는 경우, 상기 고정볼트(336C)를 통하여 상기 고정공(336A)과 대응공(336B)을 견고하게 고정시켜 포집부재(33)가 상기 포집프레임(3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간단한 고정볼트(336C)를 통한 결합으로 포집부재(33)내에 모아진 부유사 또는 소류사의 양을 측정하는 경우에는 포집프레임(31)으로부터 포집부재(33)를 손쉽게 이탈 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유사 및 소류사 포집장치(P)에는 상기 포집수단(3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수단(40)이 더 구비되어 있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높이조절수단(40)은 상기 고정수단(20)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결합공(41)과, 상기 포집수단(30)에 구비되어 상기 결합공(41)에 대응되는 조절공(43) 및 상기 결합공(41)과 조절공(43)을 연결하는 연결볼트(45)로 이루어져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높이조절수단(40)은 상기 고정수단(20)의 외면에 복수개로 구비되는 결합공(41)과 상기 결합공(41)에 대응하여 상기 포집수단(30)의 포집프레임(31) 결합부(311)에 구비되는 조절공(43) 및 상기 조절공(43)과 결합공(41)을 연결하는 연결볼트(45)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수단(20)에 상기 포집프레임(31)을 결합하는 경우, 상기 결합공(41) 및 조절공(43)을 연결하되 상기 결합공(41)이 상기 고정수단(20)에 복수개로 구비됨에 따라 해저에서 부유사 및 소류사를 수집하고자 하는 층으로 상기 포집프레임(31)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결합할 수 있음에 따라 해저 모든 층의 부유사 및 소류사를 수집 및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결합공(41)의 개수 및 위치는 설치되는 장소 및 측정하고자 하는 해저의 높낮이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도록 하며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된다.
나아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유사 및 소류사 포집장치(P)의 포집부재(33)에는 연장부재(50)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포집부재(33)는 복수개의 포집분체(337)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포집분체(337)들 사이에 인접하는 포집분체(337)를 서로 연결하는 연장부재(50)가 더 구비되며, 상기 연장부재(50)는 인접하는 포집분체(337)와 각각 도브테일 형상으로 결합되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부유사 및 소류사 포집장치(P)는 설치되는 장소 및 수집하고자 하는 부유사 및 소류사의 양에 따라 포집분체(337)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포집분체(337)들을 서로 이격시켜 크기를 조정 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상기 인접하는 포집분체(337)의 내측에는 이동공(337A)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연장부재(50)의 일부가 하나의 포집분체(337) 이동공(337A)에 위치하고 나머지가 인접하는 포집분체(337)의 이동공(337A)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이동공(337A)의 상부에는 도브테일 형상의 도브테일홈(337B)이 구비되며, 상기 연장부재(50)의 상부에는 상기 도브테일홈(337B)에 대응하는 도브테일 돌기(51)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각 포집분체(337)가 서로 멀어지는 경우 포집분체(337)들 사이의 이격공간(337C)에 상기 연장부재(50)가 슬라이딩 이동하여 위치함으로서 그 이격공간(337C)을 막아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 인접하는 포집분체(337)들 사이의 거리가 멀어져도 각각의 포집분체(337)에 구성되는 연장부재(50)가 그 이격공간(337C)을 채워줌에 따라 상기 포집부재(33)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상기 연장부재(50)와 포집분체(337)들이 도브테일 결합을 함에 따라 상기 이동공(337A)으로부터 상기 연장부재(5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외부 충격 등에 의한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상기 포집분체(337)에는 포집망(333)이 구비되게 되는데, 상기 포집분체(337)의 측부 또는 상부 또는 이들 모두에는 상기 포집망(333)과의 견고한 결합을 위한 결속수단(60)이 구비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결속수단(60)은 상기 포집분체(337)의 측면에 구비되는 제1 결속공(61)과 상기 포집분체(337) 상부에 구비되는 제2 결속공(63) 및 상기 제1 및 제2 결속공(63)에 결합되는 결속볼트(65)로 이루어져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 및 제2 결속공(63)은 도브테일 형상의 도브테일라인으로 구성되고, 상기 결속볼트(65)는 상기 도브테일라인에 대응되는 도브테일바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포집망(333)이 제1 결속공(61)에 위치하고, 상기 결속볼트(65)가 제1 결속공(61)에 결합함으로서 포집망(333)을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더 나아가 상기 제1 결속공(61)을 지난 포집망(333)의 나머지가 상기 포집분체(337)에 구비되는 제2 결속공(63)에 위치하고, 이에 따라 상기 결속볼트(65)가 상기 제2 결속공(63)에 결합됨으로서 이중으로 견고하게 포집망(333)을 결합 할 수 있도록 하여 수중 생물에 의한 파손 등을 방지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연장부재(50)는 결합수단(70)이 더 구비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각 포집분체(337)가 이격되는 경우 이격공간(337C)에 연장부재(50)가 위치하고, 상기 연장부재(50)가 상기 이격공간(337C)에 고정 유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결합수단(70)이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결합수단(70)은 상기 포집분체(337)를 관통하여 상기 연장부재(50)의 일측과 맞닿는 고정홀(71)과 상기 고정홀(71)을 관통하여 상기 연장부재(50)의 일측에 결합되는 고정체(73)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포집분체(337)가 상호 이격되고, 이격된 공간에 상기 연장부재(50)가 위치하는 경우 상기 고정체(73)를 통해 상기 포집분체(337) 일측에서 연장부재(50)의 움직을 방지하여 설치시 상기 포집프레임(31)이 해류 또는 생물에 의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상기 고정홀(71)은 상기 포집분체(337)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인접하는 포집분체(337)가 이격됨에 따라 상기 고정체(73)가 고정공(336A)을 이동하여 상기 연장부재(50)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이처런 상기 연장부재(50)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상기 포집분체(337)의 하면은 포집공(331)이 구비되되 상기 포집분체(337)를 감싸는 포집망(333)의 하면이 밀폐되어 있도록 구성하여 내부의 부유사 또는 소류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포집망(333) 중 상기 포집분체(337)의 전방에 위치하는 테두리는 망 형상이 아닌 밀폐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 및 제2 결속공(63)에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 상기 포집프레임(31) 또한 상기 연장부재(50)를 구비하도록 구성하여 포집부재(33)의 연장에 비례하여 포집프레임(31)을 연장 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많은 양의 부유사 및 소류사를 포집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부유사 및 소류사 포집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 부유사, 소류사 P : 포집장치
10 : 지지수단 11 : 프레임
13 : 지지부재 20 : 고정수단
30 : 포집수단 31 : 포집프레임
311 : 결합부 313 : 포집부
313A : 개구부 313B : 삽입부
33 : 포집부재 331 : 포집공
333 : 포집망 335 : 이탈방지턱
336 : 결합부재 336A : 고정공
336B : 대응공 336C : 고정볼트
337 : 포집분체 337A ; 이동공
337B : 도브테일홈 337C : 이격공간
40 : 높이조절수단 41 : 결합공
43 : 조절공 45 : 연결볼트
50 : 연장부재 51 : 도브테일 돌기
60 : 결속수단 61 : 제1 결속공
63 : 제2 결속공 65 : 결속볼트
70 : 결합수단 71 : 고정홀

Claims (4)

  1. 프레임(11)과 상기 프레임(11)에 구비되는 지지부재(13)를 구비하는 지지수단(10);
    상기 지지수단(10)에 구비되는 고정수단(20);
    상기 고정수단(20)의 외면에 결합하는 결합부(311)와, 상기 결합부(311)에 연결되는 포집부(313)가 각각 구비되는 복수개의 포집프레임(31)과, 상기 포집프레임(31)에 내삽되는 포집부재(33)로 이루어지는 포집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포집수단(3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40);이 더 구비되되,

    상기 높이조절수단(40)은
    상기 고정수단(20)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결합공(41)과, 상기 포집수단(30)에 구비되어 상기 결합공(41)에 대응되는 조절공(43) 및 상기 결합공(41)과 조절공(43)을 연결하는 연결볼트(45)로 이루어져 해저에서 부유사 및 소류사를 수집하고자 하는 층으로 상기 포집프레임(31)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결합하여 높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포집부재(33)는
    복수개의 포집분체(337)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포집분체(337)들 사이에는 인접하는 포집분체(337)를 연결하는 연장부재(50)가 구비되며, 인접하는 포집분체(337)의 내측에는 이동공(337A)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연장부재(50)의 일부가 하나의 포집분체(337)의 이동공(337A)에 위치하며, 나머지가 인접하는 포집분체(337)의 이동공(337A)에 위치하여 결합하되,
    상기 이동공(337A)의 상부에는 도브테일 형상의 도브테일홈(337B)이 구비되며, 상기 연장부재(50)의 상부에는 상기 도브테일홈(337B)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도브테일 돌기(5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사 및 소류사 포집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10)의 프레임(11)은 ㄱ자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사 및 소류사 포집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분체(337)에는 포집망(333)이 구비되고,
    상기 포집분체(337)의 측부 또는 상부 또는 이들 모두에는 상기 포집망(333)을 결합하는 결속수단(60)이 구비되되,
    상기 결속수단(60)은
    상기 포집분체(337)에 구비되는 제1 및 제2 결속공(61)(63)과, 상기 제1 및 제2 결속공(61)(63)에 결합되는 결속볼트(6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사 및 소류사 포집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결속공(61)(63)은 도브테일 형상의 도브테일라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속볼트(65)는 상기 도브테일라인에 대응되는 도브테일바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장부재(50)에는 결합수단(70)이 더 구비되며,
    상기 결합수단(70)은
    상기 포집분체(337)를 관통하여 상기 연장부재(50)의 일측과 맞닿는 고정홀(71)과, 상기 고정홀(71)을 관통하여 상기 연장부재(50)의 일측에 결합되는 고정체(73)로 이루어져 포집분체(337)의 일측에서 연장부재(50)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사 및 소류사 포집장치.
KR1020140057875A 2014-05-14 2014-05-14 부유사 및 소류사 포집장치 KR101441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875A KR101441054B1 (ko) 2014-05-14 2014-05-14 부유사 및 소류사 포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875A KR101441054B1 (ko) 2014-05-14 2014-05-14 부유사 및 소류사 포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1054B1 true KR101441054B1 (ko) 2014-09-17

Family

ID=51760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7875A KR101441054B1 (ko) 2014-05-14 2014-05-14 부유사 및 소류사 포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105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1343B1 (ko) 2016-03-30 2017-07-26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부유사 측정장치의 검보정시스템
KR101772984B1 (ko) * 2016-03-10 2017-08-30 주식회사두산지에스피산업 부유물 제거장치
KR20180083147A (ko) * 2017-01-12 2018-07-20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휴대용 소류사 채취기
KR102080339B1 (ko) * 2019-09-24 2020-02-21 (주)해양정보기술 해양관측과 퇴적물 포집을 겸비한 해저 계류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444Y1 (ko) * 1999-12-21 2000-05-15 재단법인포항산업과학연구원 해양 및 하천용 소류사 측정장치
KR100761877B1 (ko) 2007-03-27 2007-09-28 (주)에코원 해안용 모래 포집 구조물
KR20090082954A (ko) * 2008-01-29 2009-08-03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연안용 부유사/소류사 포집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444Y1 (ko) * 1999-12-21 2000-05-15 재단법인포항산업과학연구원 해양 및 하천용 소류사 측정장치
KR100761877B1 (ko) 2007-03-27 2007-09-28 (주)에코원 해안용 모래 포집 구조물
KR20090082954A (ko) * 2008-01-29 2009-08-03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연안용 부유사/소류사 포집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2984B1 (ko) * 2016-03-10 2017-08-30 주식회사두산지에스피산업 부유물 제거장치
KR101761343B1 (ko) 2016-03-30 2017-07-26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부유사 측정장치의 검보정시스템
KR20180083147A (ko) * 2017-01-12 2018-07-20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휴대용 소류사 채취기
KR102080339B1 (ko) * 2019-09-24 2020-02-21 (주)해양정보기술 해양관측과 퇴적물 포집을 겸비한 해저 계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1054B1 (ko) 부유사 및 소류사 포집장치
Mora-Páez et al. Crustal deformation in the northern Andes–A new GPS velocity field
Kraus et al. SUPERTANK laboratory data collection project
Victor et al. Fine sediment trapping in two mangrove-fringed estuaries exposed to contrasting land-use intensity, Palau, Micronesia
Nemeth et al. Monitoring the effects of land development on the near-shore reef environment of St. Thomas, USVI
Adams et al. Nearshore wave‐induced cyclical flexing of sea cliffs
CN105910574A (zh) 一种海底底基观测平台
Bhamjee et al. Ephemeral stream sensor design using state loggers
US657614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llecting floating debris
CN109798868B (zh) 三角洲沉积体固结沉降原位分层观测装置及方法
Takahashi et al. Hydraulic experiment on sediment transport due to tsunamis with various sand grain size
CN110501180B (zh) 一种海底沉积物取样用防干扰装置
Neumeier et al. Turbulence reduction by the canopy of coastal Spartina salt-marshes
Plassen et al. Fluid flow features in fjord-fill deposits, Ullsfjorden, North Norway
Loper et al. Coastal carbonate aquifer sensitivity to tides
Dolphin et al. Seasonal rotation of a mixed sand-gravel beach
Russell et al. A comparison of berm accretion in the swash zone on sand and gravel beaches at the timescale of individual waves
PULLEN et al. Violent wave overtopping at Samphire Hoe: field and laboratory measurements
Stark Pore pressure response to irregular waves at a sandy beach
KR20160091479A (ko) 침전물 채집 장치
Bel et al. Debris flow monitoring in the French Alps
Perillo et al. A preliminary analysis of flat-gravel transport over a sandy beach, Pehuén Co, Argentina
FLORENCE et al. Analysis of vertical pore pressure gradients in the lower intertidal zone
CN220207894U (zh) 一种预测雨水降水量的装置
RU217766U1 (ru) Волногасител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