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0339B1 - 해양관측과 퇴적물 포집을 겸비한 해저 계류장치 - Google Patents

해양관측과 퇴적물 포집을 겸비한 해저 계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0339B1
KR102080339B1 KR1020190117385A KR20190117385A KR102080339B1 KR 102080339 B1 KR102080339 B1 KR 102080339B1 KR 1020190117385 A KR1020190117385 A KR 1020190117385A KR 20190117385 A KR20190117385 A KR 20190117385A KR 102080339 B1 KR102080339 B1 KR 102080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quipment
mooring
base
marine
insertion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7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종윤
김양오
두선민
Original Assignee
(주)해양정보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해양정보기술 filed Critical (주)해양정보기술
Priority to KR1020190117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03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0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0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3/00Surveying specially adapted to open water, e.g. sea, lake, river or canal
    • G01C13/002Measuring the movement of open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48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2Stream regulation, e.g. breaking up subaqueous rock, cleaning the beds of waterways, directing the water flow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022/006Buoy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or watch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Mechanical Means For Catching 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저에 계류되어서 해양 환경정보를 관측하여 수집함과 동시에 부유사와 소류사 등의 해저 퇴적물을 포집하는 해양관측과 퇴적물 포집을 겸비한 해저 계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해양관측과 퇴적물 포집을 겸비한 해저 계류장치는 해저면에 계류되는 계류장비; 상기 계류장비에 설치되고, 주변의 환경 정보를 관측하여 수집하는 해양관측장비; 상기 계류장비에 설치되고, 주변의 해양 퇴적물을 포집하는 포집장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해양관측과 퇴적물 포집을 겸비한 해저 계류장치{Seebed mooring apparatus for oceanographic observation and deposit collection}
본 발명은 해저에 계류되어서 해양 환경정보를 관측하여 수집함과 동시에 부유사와 소류사 등의 해저 퇴적물을 포집하는 해양관측과 퇴적물 포집을 겸비한 해저 계류장치에 관한 것이다.
해양 활동으로 해양관측과 퇴적물 포집이 행해지고 있다.
해양관측은 조류, 해유, 조석, 수온, 염분, 탁도, 분포 어류, 산호초의 식생 등의 해양 환경정보를 관측하여 수집하는 활동이고, 퇴적물 포집은 연안에서 부유사나 소류사 등이 해저에 퇴적되는 퇴적물을 포집하는 활동으로, 해양 연구와 환경 개선 등을 위해 실시된다.
등록특허 제10-1441054호 "부유사 및 소류사 포집장치"와 등록특허 제10-1663259호 "해양관측장치" 등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해양관측과 퇴적물 포집은 각각 해양관측장비와 퇴적물 포집장비를 각각 계류장비에 장착하고, 계류장비를 해저에 계류시켜서 해양 환경정보를 수집하고, 퇴적물을 포집한다.
일반적으로 해양관측과 퇴적물 포집은 장기간 소요되는 해양활동으로, 종래기술처럼 해양관측과 퇴적물 포집이 별개로 행해지는 것은 인력, 비용, 장비 등에서 상당히 비효율적이다.
본 발명은 이처럼 해양관측과 퇴적물 포집이 서로 별개로 행해짐에 따른 비효율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으로서, 계류장비에 해양관측장비와 퇴적물 포집장비를 모두 장착하여 해양관측과 퇴적물 포집이 동시에 행해지도록 한 해양관측과 퇴적물 포집을 겸비한 해저 계류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운반과 보관 등이 용이하도록 계류장비는 현장에서 간이신속하게 조립결합 및 분리해체되고, 비의도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해양관측과 퇴적물 포집을 겸비한 해저 계류장치를 제공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해양관측과 퇴적물 포집을 겸비한 해저 계류장치는
해저면에 계류되는 계류장비;
상기 계류장비에 설치되고, 주변의 환경 정보를 관측하여 수집하는 해양관측장비;
상기 계류장비에 설치되고, 주변의 해양 퇴적물을 포집하는 포집장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계류장비는
해저에 안착되고, 상기 포집장비가 장착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설치되어서 내부에 상기 포집장비의 장착공간을 형성하고, 외부에 상기 해양관측장비가 장착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에는 상기 포집장비의 입구와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문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 모서리에서 중심부를 향하며 기울어지게 설치되는 수직프레임들과,
상기 수직프레임들을 상부에서 연결하는 수평프레임들과, 상기 수직프레임들을 측면에서 연결하여 덮는 덮개와,
상기 수직프레임을 상기 베이스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탈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탈착수단은
상기 베이스에 형성되는 삽입공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에 승하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봉과,
상기 삽입공의 바닥에서 상기 삽입봉을 탄성지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삽입봉의 표면에 형성되는 톱니와,
상기 톱니에 치합되어 걸림결합되는 걸림톱니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과 연결되는 베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전후진블럭과,
상기 톱니의 상부측으로 상기 삽입봉의 표면에 경사지게 형성되되어서, 상기 삽입봉이 하강시 상기 전후진블럭을 밀어 후진시키는 푸시돌기와,
감긴 상태에서 탄성 에너지를 축적하여 서서히 풀리며, 상기 전후진블럭을 탄성력으로 밀어 전진시키는 태엽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양관측과 퇴적물 포집을 겸비한 해저 계류장치는 계류장비에 해양관측장비와 포집장비를 장착하여 해양 환경정보의 관측과 수집 그리고 퇴적물의 포집이 동시에 행해져서 이들을 각각 별개로 행하는 것과 비교하여 시간, 비용, 인력 등이 절감되어 효율성이 높고,
탈착수단을 통해 계류장비는 현장에서 간이신속하게 조립결합 및 분리해체되어서 운반과 보관 등이 용이하면서도 비의도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분실이나 파손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는 해양관측과 퇴적물 포집을 겸비한 해저 계류장치로서, 산업발전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해양관측과 퇴적물 포집을 겸비한 해저 계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해양관측과 퇴적물 포집을 겸비한 해저 계류장치의 평면도와 정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포집장비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탈착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탈착수단의 작동 매커니즘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해양관측과 퇴적물 포집을 겸비한 해저 계류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양관측과 퇴적물 포집을 겸비한 해저 계류장치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양관측과 퇴적물 포집을 겸비한 해저 계류장치는 계류장비(10), 해양관측장비(20), 포집장비(30)의 구성요소로 대별된다.
상기 계류장비(10)는 해저 바닥에 안착되고, 조류에 밀려 제자리를 이탈하지 않도록 비중이 높은, 즉, 무게가 무거운 물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계류장비(10)는 바닥에 안착되는 베이스(11)와, 상기 베이스(11)의 상부에 설치되는 커버와, 상기 베이스(11)의 하부에 설치되는 받침대(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11)의 상부면에는 상기 포집장비(30)가 장착된다. 상기 해양관측장비(20)도 베이스(11)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베이스(11)의 상부면 모서리에서 중심부를 향하며 기울어지게 설치되는 수직프레임(12)과, 수직프레임(12)들을 상부에서 연결하는 수평프레임(13)과, 수직프레임(12)들을 측면에서 연결하여 덮는 덮개(14)로 구성된다.
상기 커버는 상기 베이스(11)와 함께 내부에 상기 포집장비(30)가 장착될 수 있는 장착공간을 형성하고, 커버의 외부(외면)에는 상기 관측장비가 장착된다.
상기 수직프레임(12)과 수평프레임(13)과 덮개(14)가 베이스(11)에 장착된 계루장비(10)는 부피가 커서 운반이나 보관이 곤란하여, 해양에 투입하기 직전에 현장에서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상기 수직프레임(12)은 상기 베이스(11)에 탈착수단(100)을 통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탈착수단(100)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상기 받침대(15)는 상기 베이스(11)의 하부면 모서리에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서, 해저의 바닥면에 놓인다. 상기 받침대(15)는 높이조절이 가능하여 경사진 해저 바닥에서도 계류장비(10)가 수평하게 놓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커버의 덮개(14)에는 개구부(16)가 형성되고, 개폐문(17)이 구비된다. 상기 개구부(16)는 내부에 장착된 포집장비(30)의 입구(32)와 연통되어서 수중의 부유사나 소류사 등의 퇴적물이 개구부(16)와 입구(32)를 통해 포집장비(30)의 내부로 유입되어 포집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개폐문(17)은 상기 포집장비(30)에 퇴적물이 일정 수준(퇴적 높이나 퇴적 질량) 이상으로 포집되면 상기 덮개(14)의 개구부(16)를 폐쇄시켜서 포집된 퇴적물이 유출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개폐문(17)은 슬라이드식으로 개구부(16)를 개폐할 수 있고, 여닫이식으로 개구부(16)를 개폐할 수도 있다.
상기 개폐문(17)은 퇴적물이 상기 포집장비(30)에 일정 높이 이상으로 포집되거나 일정 무게 이상으로 포집되는 기계적으로 작동하여 개구부(16)를 폐쇄할 수 있고, 포집된 퇴적물의 높이나 무게를 센서가 감지하고 모터 등의 구동장비를 이용해 전자식으로 작동하여 개구부(16)를 폐쇄할 수도 있다.
상기 해양관측장비(20)는 상기 커버의 외부에 장착되어서, 각종 해양 환경정보를 관측하여 수집한다.
상기 해양관측장비(20)로는 해류, 조석, 수온, 염분, 탁도, 수심, 유속 등을 감지하는 각종 센서와, 주변을 촬영하는 수중카메라, 주변을 조명하는 조명기구, 관측되는 데이터와 촬영영상 등을 저장하는 스토리지, 관측선박이나 관측센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송수신기,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해양관측장비(20)는 보통 커버의 수평프레임(13)에 장착되지만, 수직프레임(12)이나 덮개(14)에도 장착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베이스(11)의 상부면에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포집장비(30)는 해양에 부유하는 부유사나 소사류 등의 퇴적물을 포집한다.
일반적으로 부유사(Suspended Solids, SS)란 물 속에 현탁되어 탁도를 유발하는 불용성 물질로서 01㎛의 여과지(유리섬유 여지, GF/C)에 여과되지 않고 걸리는 물질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부유사는 물을 여과시킨 후 여과지 위에 남는 물질을 105~110℃에서 약 2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질량을 측정하여 mg/L로 표시한다. 이는 하구역 사주지형의 퇴적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인자로서, 포집을 통해 정략적인 측정이 행해져야만 한다.
또한 소류사는 해저 또는 해안에서 자유롭게 굴러다니는 미세한 모래 입자를 말하는 것으로 부유사와 마찬가지로 사주지형의 퇴적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인자로서, 정략적인 측정이 행해져야만 한다.
상기 포집장비(30)는 퇴적물이 포집되는 포집통(31)과, 포집통(31)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볼트를 이용해 상기 베이스(11)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고정판(35)과, 상기 포집통(31)의 내부에 구비되어서 퇴적물이 아닌 부피가 큰 이물질이나 어류와 같은 생물이 포집통(31)으로 침투되는 것을 차단하는 그물망(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포집통(31)의 상부에는 부유사나 소류사 등의 퇴적물이 유입되는 입구(32)가 경사지게 구비되고, 입구(32)에는 퇴적물이 통과하는 포집공(33)들이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도4와 도5를 참조하여, 상기 수직프레임(12)을 베이스(1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탈착수단(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탈착수단은 삽입공(110), 삽입봉(120), 스프링(130), 전후진블럭(140), 푸시돌기(126), 태엽부재(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삽입공(110)은 상기 베이스(11)의 모서리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봉(120)은 상기 수직프레임(12)의 하부에 돌출형성되어서, 상기 삽입공(110)에 승하강 가능하게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수직프레임(12)이 기울어지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삽입봉은 결합판(121)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판(121)의 상부에는 상기 수직프레임(12)이 힌지결합된다.
상기 스프링(130)은 상기 삽입공(110)의 바닥에 배치되어서 상기 삽입봉(120)이 승강되도록 탄성지지한다. 상기 스프링(130)의 상부에는 지지판(131)이 결합되어서 상기 삽입봉(120)의 하단을 지지한다. 상기 지지판(131)은 삽입공(110)에 형성된 걸림턱(111)에 걸려서 승강범위가 제한된다.
상기 전후진블럭(140)은 상기 삽입공(110)과 연결되는 베이스(11)의 내부로서 상기 삽입봉(120)의 외주연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전면의 중앙부에 걸림톱니(143)가 형성되고, 후면의 중앙부에 전후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41)가 돌출형성된다.
상기 삽입봉(120)의 표면에는 상기 걸림톱니(143)와 치합되어 걸림결합되는 톱니(123)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톱니(143)와 톱니(123)는 하단이 수평구조이고 그 위로는 경사진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삽입봉(120)이 삽입공(110)으로 삽입되어 하강하는 경우 톱니(123)가 걸림톱니(143)를 밀면서 삽입봉(120)이 삽입되고, 삽입된 이후에는 톱니(123)가 걸림톱니(143)에 치합되어 걸림결합됨으로써 삽입봉(120)이 승강되지 못하게 한다.
상기 푸시돌기(126)는 상기 톱니(123)의 상부측으로 상기 삽입봉(120)의 표면에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푸시돌기(126)는 삽입봉(120)이 하강하는 경우 상기 전후진블럭(140)에 접촉되어서 전후진블럭(140)을 밀어 후진시킨다.
상기 푸시돌기(126)의 상부는 상기 결합판(121)까지 연장되고, 상기 삽입공(110)에는 상기 푸시돌기(126)의 상부가 삽입되는 안내홈(116)이 형성되어서, 톱니(123)와 대응톱니(123)가 정렬되는 방향으로 삽입봉(120)이 삽입공(110)에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태엽부재(150)는 하우징(151)과, 상기 하우징(151)의 내부에 감긴 상태로 내장되고 단부는 하우징(151)의 외부로 노출되는 판스프링(153)으로 구성된다.
상기 판스프링(153)은 감기면 탄성 에너지를 축적하고, 축적된 에너지를 이용해 서서히 풀린다. 즉, 하우징(151)의 외부로 일부가 노출된 판스프링(153)의 단부를 밀면, 노출된 판스프링(153)은 하우징(151)으로 들어가 감기게 되고, 감기면서 탄성 에너지를 축적하고, 밀던 판스프링(153)의 단부를 놓으면 판스프링(153)은 하우징(151)에서 나와 원상복귀된다. 이때, 판스프링(153)은 순간적으로 하우징(151)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고 서서히 나온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탈착수단을 통해 수직프레임(12)이 베이스(11)에 결합되고 분리되는 과정을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수직프레임(12)를 베이스(11)에 결합시킬 때에는 수직프레임(12)의 하부에 구비되는 삽입봉(120)을 베이스(11)에 형성된 삽입공(110)으로 밀어넣어 삽입시킨다. 이때 푸시돌기(126)의 상부와 안내홈(116)을 일치시킨다.
도5의 [A]를 참조하면, 삽입봉(120)이 삽입공(110)으로 삽입되면 삽입봉(120)의 톱니(123)가 전후진블럭(140)의 걸림톱니(143)에 걸림결합되어서 삽입봉(120)은 후진할 수 없도록 결합되고, 스프링(130)이 삽입봉(120)을 탄성지지하여 톱니(123)와 걸림톱니(143)의 결합상태가 유지된다.
수직프레임(12)를 베이스(11)에서 분리시킬 때에는 수직프레임(12)을 아래로 눌러 삽입봉(120)이 삽입공(110)으로 하강하도록 한다.
도5의 [B]를 참조하면, 삽입봉(120)이 하강하면 푸시돌기(126)가 전후진블럭(140)을 밀어 후진시킨다. 그러면 톱니(123)와 걸림톱니(143)의 결합이 해제된다. 그리고 이때 전후진블럭(140)이 후진하면서 태엽부재(150)의 판스프링(153)이 하우징(151)으로 감겨 들어간다.
도5의 [C]를 참조하면, 수직프레임(12)을 누르던 힘이 소멸하면 스프링(130)이 복원력으로 삽입봉(120)은 원위치로 승강되는데, 태엽부재(150)의 판스프링(153)은 하우징(151)에서 서서히 나오게 되어서 전후진블럭(140)은 아직 전지하여 원위치로 복귀되지 못함으로써 톱니(123)와 걸림톱니(143)는 결합되기 전이다.
그래서 작업자가 수직프레임(12)를 베이스(11)에서 분리시킬 때에는 수직프레임을 아래로 눌렀다가 들어올리면서 삽입봉(120)이 삽입공(110)에서 쉽게 빠져나와 분리된다.
그러나 해저에 설치되어 조류나 거대 어류의 충격 등에 따른 외력이 가해져서 삽입봉(120)이 삽입공(110)으로 일시적으로 하강하여 도5의 [C]와 같은 상태가 되더라도, 일정 시간(수 초 이내)이 경과하면 도5의 [A]와 같은 상태가 되어서 수직프레임(12)이 베이스(11)에서 비의도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해양관측과 퇴적물 포집을 겸비한 해저 계류장치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계류장비 11 : 베이스
12 : 수직프레임 13 : 수평프레임
14 : 덮개 15 : 받침대
16 : 개구부 17 : 개폐문
20 : 해양관측장비 30 : 포집장비
31 : 포집통 35 : 고정판
100 : 탈착수단 110 : 삽입공
111 : 걸림턱 116 : 안내홈
120 : 삽입봉 123 : 톱니
130 : 스프링 131 : 지지판
140 : 전후진블럭 143 : 걸림톱니
150 : 태엽부재 151 : 하우징
153 : 판스프링

Claims (4)

  1. 해저면에 계류되는 계류장비;
    상기 계류장비에 설치되고, 주변의 환경 정보를 관측하여 수집하는 해양관측장비;
    상기 계류장비에 설치되고, 주변의 해양 퇴적물을 포집하는 포집장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해양관측과 퇴적물 포집을 겸비한 해저 계류장치에 있어서,

    상기 계류장비는
    해저에 안착되고, 상기 포집장비가 장착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설치되어서 내부에 상기 포집장비의 장착공간을 형성하고, 외부에 상기 해양관측장비가 장착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에는 상기 포집장비의 입구와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문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 모서리에서 중심부를 향하며 기울어지게 설치되는 수직프레임들과,
    상기 수직프레임들을 상부에서 연결하는 수평프레임들과, 상기 수직프레임들을 측면에서 연결하여 덮는 덮개와,
    상기 수직프레임을 상기 베이스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탈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탈착수단은
    상기 베이스에 형성되는 삽입공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에 승하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봉과,
    상기 삽입공의 바닥에서 상기 삽입봉을 탄성지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삽입봉의 표면에 형성되는 톱니와,
    상기 톱니에 치합되어 걸림결합되는 걸림톱니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과 연결되는 베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전후진블럭과,
    상기 톱니의 상부측으로 상기 삽입봉의 표면에 경사지게 형성되되어서, 상기 삽입봉이 하강시 상기 전후진블럭을 밀어 후진시키는 푸시돌기와,
    감긴 상태에서 탄성 에너지를 축적하여 서서히 풀리며, 상기 전후진블럭을 탄성력으로 밀어 전진시키는 태엽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관측과 퇴적물 포집을 겸비한 해저 계류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90117385A 2019-09-24 2019-09-24 해양관측과 퇴적물 포집을 겸비한 해저 계류장치 KR102080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7385A KR102080339B1 (ko) 2019-09-24 2019-09-24 해양관측과 퇴적물 포집을 겸비한 해저 계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7385A KR102080339B1 (ko) 2019-09-24 2019-09-24 해양관측과 퇴적물 포집을 겸비한 해저 계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0339B1 true KR102080339B1 (ko) 2020-02-21

Family

ID=69671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7385A KR102080339B1 (ko) 2019-09-24 2019-09-24 해양관측과 퇴적물 포집을 겸비한 해저 계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03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25596A (zh) * 2020-11-23 2021-03-19 苏州热工研究院有限公司 用于海洋监测的浮标式采样装置及采样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054B1 (ko) * 2014-05-14 2014-09-17 (주)미래해양 부유사 및 소류사 포집장치
KR101462097B1 (ko) * 2014-07-03 2014-11-19 (주)지오시스템리서치 소류사 포집장치
KR101663259B1 (ko) * 2015-03-27 2016-10-06 조영준 해양관측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054B1 (ko) * 2014-05-14 2014-09-17 (주)미래해양 부유사 및 소류사 포집장치
KR101462097B1 (ko) * 2014-07-03 2014-11-19 (주)지오시스템리서치 소류사 포집장치
KR101663259B1 (ko) * 2015-03-27 2016-10-06 조영준 해양관측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25596A (zh) * 2020-11-23 2021-03-19 苏州热工研究院有限公司 用于海洋监测的浮标式采样装置及采样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5939B2 (en) Retrieval system for underwater objects
KR101048528B1 (ko) 해저 탐사장치 및 탐사방법
KR102080339B1 (ko) 해양관측과 퇴적물 포집을 겸비한 해저 계류장치
Hooker et al. Monitoring the prey‐field of marine predators: Combining digital imaging with datalogging tags
CN103713325B (zh) 水下电缆部署系统和方法
KR101061400B1 (ko) 피스톤식 자유낙하 주상시료 채취기
CN107453822A (zh) 高带宽水下数据通信系统
EP1593987A3 (en) Deployment of seismic sensor
NO20131195A1 (no) Apparat for utplassering og opphenting av seismiske noder
CN103245766A (zh) 用于防污水偷排的ph值监测wsn节点装置及监测方法
US20210140258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ng samples from a bed of a waterbody
US8717564B2 (en) Optical sedimentation recorder
KR101192740B1 (ko) 실시간 영상 제어 채니기 시스템
KR20140089932A (ko) 저인망으로부터 자체 방어 기능을 갖는 부양식 해저 모니터링 시스템
Sternberg et al. A video system for in situ measurement of size and settling velocity of suspended particulates
CN110501180B (zh) 一种海底沉积物取样用防干扰装置
KR100566541B1 (ko) 자동채수기
WO2023210897A1 (ko) 어장의 수심층별 수산자원 관리용 측정장치
Marouchos et al. A profiling acoustic and optical system (pAOS) for pelagic studies; Prototype development and testing
CN114636637A (zh) 一种悬浮物浓度的原位测定装置及工作方法
Sherlock et al. A combined acoustic and optical instrument for fisheries studies
KR100672966B1 (ko) 자동채수기
Chen et al. Scientific investigation application of hadal landers in the Mariana Trench
CN209911040U (zh) 一种水体颗粒物采样器
Underwood et al. A portable shallow-water optic fiber towed camera system for coastal benthic assess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