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7638A - 방파제 유닛 및 방파제 구조물 - Google Patents

방파제 유닛 및 방파제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7638A
KR20160107638A KR1020150030628A KR20150030628A KR20160107638A KR 20160107638 A KR20160107638 A KR 20160107638A KR 1020150030628 A KR1020150030628 A KR 1020150030628A KR 20150030628 A KR20150030628 A KR 20150030628A KR 20160107638 A KR20160107638 A KR 201601076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akwater
present
unit
sea
uni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0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임
이만경
구두석
송민수
윤진식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30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7638A/ko
Publication of KR20160107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76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방파제 유닛으로서, 상부 구조물을 지지하는 지지체, 일단이 상기 지지체의 하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해수면 또는 해저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둥 형상을 가지는 중심 구조체, 및 일단이 상기 중심 구조체의 옆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해수면 또는 해저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휘어진 기둥 형상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 구조체를 포함하는 방파제 유닛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방파제 유닛 및 방파제 구조물{BREAKWATER UNIT AND BREAKWATER STRUCTURE}
본 발명은 방파제 유닛 및 방파제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방파제는 해저의 밑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까지 쇄석층으로 쌓아 올린 부분을 콘크리트가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 방파제 바깥쪽의 외해로부터 오는 파도를 감쇠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조물로서 소파(消波) 블록이 추가로 설치가 되는데, 이러한 소파 블록으로는 테트라포드(tetrapod)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테트라포드는 정사면체의 꼭지점 방향으로 네 개의 발을 가지는 콘크리트 블록으로서 파도가 방파제를 직접 타격할 때 방파제가 침식되는 것을 방지하고 파도의 파력이 방파제 안쪽의 내해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하지만, 테트라포드와 같은 소파 블록을 이용하는 종래의 방파제 구조물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먼저, 종래기술에 의하면, 외해로부터 밀려들어오는 해수가 방파제 구조물 너머의 내해로 들어오지 못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내해의 해수가 외해로 유통되지 않게 되고 방파제 안쪽의 항만에서 발생하는 오염 물질이 내해에 누적되게 된다. 이뿐만 아니라 외해와 내해 사이에서 해수의 출입이 원활하지 않기 때문에, 바다가 가지는 자정 능력이 떨어지고 위와 같은 환경 문제가 더 심각해질 수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방파제가 일체로 형성이 되고 그 주변에 소파 블록이 무작위로 설치되는데,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해수와 파도에 의한 침식과 파손이 발생하더라도 이를 유지 및 보수하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경제적인 손실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해저의 밑바닥부터 콘크리트를 타설하거나 쇄석층을 올리는 시공의 기간과 방식이 복잡하기 때문에, 시공에 드는 비용이 증가하고 시공 중에 발생하는 자연 현상으로 인한 2차적인 손상도 불가피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소파 블록과 같은 별도의 구조물이 수반되는데 이러한 소파 블록은 항만의 미관을 손상시킨다는 문제점도 유발한다. 특히, 방파제를 오가는 관광객이나 낚시객이 테트라포드 위에서 낙상하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안성성에 대한 문제도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 구조물을 지지하는 지지체, 일단이 지지체의 하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해수면 또는 해저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둥 형상을 가지는 중심 구조체, 및 일단이 중심 구조체의 옆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해수면 또는 해저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휘어진 기둥 형상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 구조체를 포함하는 방파제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방파제 유닛으로서, 상부 구조물을 지지하는 지지체, 일단이 상기 지지체의 하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해수면 또는 해저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둥 형상을 가지는 중심 구조체, 및 일단이 상기 중심 구조체의 옆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해수면 또는 해저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휘어진 기둥 형상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 구조체를 포함하는 방파제 유닛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상기 방파제 유닛을 둘 이상 포함하고, 상기 둘 이상의 방파제 유닛은 횡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방파제 구조물이 제공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파제 유닛 및 방파제 구조물이 더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해로부터의 파력이 방파제 안쪽의 내해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면서 외해와 내해 사이의 해수의 이동은 제한하지 않는 친환경적 방파제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방파제를 만드는 데에 사용될 수 있는 방파제 구조물을 유닛화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방파제 구조물을 유닛화할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파력에 의해 침식 또는 쇄굴된 부분에 해당하는 유닛만을 선택적이고도 독립적으로 개보수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방파제 건설 현장에서 콘크리트가 동시에 타설되거나 양생되는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방파제 시공 및 유지 보수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방파제 구조물을 구성하는 복수의 방파제 유닛의 지지체 위에 사람이나 차량이 통행할 수 있는 도로와 같은 상부 구조물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방파제 주변에서 안전 사고가 발생할 위험을 낮추고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파제 유닛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파제 구조물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파제 구조물이 설치되는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파제 유닛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중심 구조체와 주변 구조체가 결합되는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방파제 유닛의 구성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하여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방파제 유닛의 내부 구성 및 각 구성요소의 기능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파제 유닛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파제 유닛(100)는, 지지체(110), 중심 구조체(120) 및 적어도 하나의 주변 구조체(130A 내지 130C)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제(110)는 방파제 유닛(100)의 상부에 존재할 수 있는 상부 구조물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체(110)는 밑면의 직경이 높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복수의 방파제 유닛(100)이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도록 지지체(110)의 밑면은 소정의 규칙성을 가지는 도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110)의 밑면은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심 구조체(120)는 일단이 지지체(110)의 하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해수면 또는 해저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중심 구조체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심 구조체(120)는 그 내구성이나 지지력을 높이기 위하여 내부에 철근 콘크리트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주변 구조체(130A 내지 130C)는 일단이 중심 구조체(120)의 옆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해수면 또는 해저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휘어진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심 구조체(120)의 옆면 중 제1 주변 구조체(130A)가 연결되는 부분의 높이와 제2 주변 구조체(130B)가 연결되는 부분의 높이가 서로 다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중심 구조체(120)와 주변 구조체(130A 내지 130C)는, 전체적으로 볼 때, 마치 그물과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주변 구조체(130A 내지 130C)는 그 인장 강도나 휨 정도를 높이기 위하여 발포 콘크리트 및 폴리머 콘크리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방파제 구조물의 구성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하여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방파제 구조물의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파제 구조물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파제 구조물은 도 1에 도시된 방파제 유닛(100A 내지 100F)을 둘 이상 포함할 수 있고, 방파제 구조물에 포함되는 둘 이상의 방파제 유닛(100A 내지 100F)은 횡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계속하여, 도 2를 참조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파제 구조물은 이를 구성하는 둘 이상의 방파제 유닛(100A 내지 100F)에 의하여 유닛화되어 있으므로, 방파제 구조물에 포함되는 둘 이상의 방파제 유닛(100A 내지 100F) 중 적어도 하나의 방파제 유닛은 나머지 방파제 유닛과 관계 없이 독립적으로 교체 또는 수리될 수 있다.
계속하여,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파제 구조물의 상부에는 둘 이상의 방파제 유닛(100A 내지 100F)에 의하여 지지되는 상부 구조물(200)이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부 구조물(200)은 보행자 또는 차량의 통행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파제 구조물의 형상은, 마치 아열대 지역의 강 하구의 습지에 형성되는 맹그로브 나무(또는 맹그로브 나무의 개체군을 일컫는 홍수림)의 뿌리 형상과 유사하다. 홍수림은 해저면이 상대적으로 무른 곳에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러한 홍수림을 구성하는 맹그로브 나무의 뿌리는 마치 잔가지처럼 뻗은 복수의 굵은 뿌리들이 그물과 같이 얽히면서 해수면 또는 해저면 쪽으로 뻗어나가고 이들 뿌리의 일부분은 해수면 위쪽으로 드러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맹그로브 나무의 뿌리는 전체적으로 직선 형태를 이루어지지 않고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아치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외해로부터의 파도에 의해 전달되는 에너지를 여러 방향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맹그로브 나무는 잔가지처럼 뻗은 복수의 뿌리를 통해 해저면의 토양을 단단히 움켜쥐고 있기 때문에, 무른 지형에서도 안정적으로 직립할 수 있다. 따라서, 맹그로브 나무의 뿌리는 나무 자체의 무게를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으면서도 외해로부터 전달되는 파력을 감쇠시킬 수 있게 된다. 실제로, 맹그로브 나무가 숲을 이루고 있는 홍수림에서는 유속이 느려지고 상류에서 떠내려오는 토양이 퇴적되면서 상당히 안정적인 해양 생태계가 형성된다는 것이 보고된 바 있다. 실제로, 100제곱미터당 30그루의 맹그로브 나무가 심어질 경우에 쓰나미의 위력이 90%까지 감소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소개된 바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파제 구조물에서는, 맹그로브 나무의 뿌리에서와 같이, 복수의 중심 구조체 또는 복수의 주변 구조체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빈 공간은 외해로부터 전달되는 파력을 감쇠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빈 공간을 가지는 구조물의 단위 면적당의 공극률과 이에 따른 파도의 투과계수의 상관성을 살펴본 실험 결과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방파제 구조물에 포함되는 복수의 중심 구조체 또는 복수의 주변 구조체가 만들어내는 빈 공간이 적절한 파력 감소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파제 구조물에 포함되는 방파제 유닛의 중심 구조물 또는 주변 구조물은, 맹그로브 나무의 뿌리와 같이, 원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험 결과, 단위 부피당 마찰 면적은 원기둥의 형태가 가장 높았고, 최대치오름/입사파의 파고를 비교 측정했을 때에도 가장 낮은 값을 가지는 것은 원기둥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침식에 대한 피해 정도를 가늠할 수 있는 형상에 따른 반사율 비교에서도 다른 형상의 구조물에 비하여 원기둥 형상의 구조물의 반사율이 크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파제 구조물이 설치되는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파제 구조물은 제방과 같은 기존의 구조물(300)과 횡 방향으로 나란하게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부 구조물로부터 전달되는 수직 방향의 힘(하중)은 기존의 구조물에 의해 지탱되도록 하고, 본 발명에 따른 방파제 구조물은 외해로부터 가해지는 파력을 감쇠시키는 역할을 주로 담당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파제 구조물은 제방과 같은 기존의 구조물과는 별개로(즉, 기존의 구조물과는 소정의 거리를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방파제 구조물은 외해로부터 전달되는 파력을 감쇠시키면서도 외해와 내해 사이의 해수의 흐름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파제 유닛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파제 유닛은 육면체의 형상의 가지는 공간에 의해 구획될 수 있고, 위의 구획된 공간 내에는 불규칙하게 얽혀있는 기둥 형상의 복수의 구조체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파제 유닛은 철근 콘크리트로 만들어지거나 3D 프린터에 의하여 인쇄될 수 있으나, 그 제조 방법이 반드시 상기 열거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 둔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중심 구조체와 주변 구조체가 결합되는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파제 유닛(100)에 포함되는 복수의 주변 구조체 중 적어도 하나의 주변 구조체(130)는 중심 구조체(120)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착탈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심 구조체(120)의 옆면에 홈이 형성될 수 있고, 주변 구조체(130) 내의 콘크리트 중심으로부터 뻗어 나오는 철근 지지대가 중심구조체의 옆면에 형성된 홈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심 구조체(120)와 주변 구조체(130)가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중심 구조체(120)와 주변 구조체(130)가 맞닿는 부분에 대하여 용접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파제 유닛(100)에 따르면, 중심 구조체(120)에 연결되는 복수의 주변 구조체(130) 각각이 부품화될 수 있으므로, 파도에 의해 많이 손상된 주변 구조체(예를 들면, 외해에 인접하여 바깥쪽에 배치되는 주변 구조체 등)만을 선택적으로 교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방파제 유닛(100)에 대한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달성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방파제 유닛
110: 지지체
120: 중심 구조체
130A 내지 130C: 주변 구조체
200: 상부 구조물
300: 기존 구조물(제방 등)

Claims (8)

  1. 방파제 유닛으로서,
    상부 구조물을 지지하는 지지체,
    일단이 상기 지지체의 하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해수면 또는 해저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둥 형상을 가지는 중심 구조체, 및
    일단이 상기 중심 구조체의 옆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해수면 또는 해저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휘어진 기둥 형상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 구조체
    를 포함하는 방파제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구조체는 원기둥 형상을 가지는 방파제 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구조체는 그 내부에 철근 콘크리트를 포함하는 방파제 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구조체의 옆면 중 제1 주변 구조체가 연결되는 부분의 높이와 제2 주변 구조체가 연결되는 부분의 높이가 서로 다른 방파제 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구조체는 발포 콘크리트 및 폴리머 콘크리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파제 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구조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구조체는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방파제 유닛.
  7. 제1항의 방파제 유닛을 둘 이상 포함하고,
    상기 둘 이상의 방파제 유닛은 횡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방파제 구조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방파제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방파제 유닛은 나머지 방파제 유닛과 관계 없이 독립적으로 교체될 수 있는 방파제 구조물.
KR1020150030628A 2015-03-04 2015-03-04 방파제 유닛 및 방파제 구조물 KR201601076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0628A KR20160107638A (ko) 2015-03-04 2015-03-04 방파제 유닛 및 방파제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0628A KR20160107638A (ko) 2015-03-04 2015-03-04 방파제 유닛 및 방파제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7638A true KR20160107638A (ko) 2016-09-19

Family

ID=57103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0628A KR20160107638A (ko) 2015-03-04 2015-03-04 방파제 유닛 및 방파제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0763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87232A1 (en) * 2020-09-21 2022-03-24 Th Products, Llc Fish attracting systems and methods
US20220225596A1 (en) * 2021-01-21 2022-07-21 NJB Limited, LLC Artificial mangrov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87232A1 (en) * 2020-09-21 2022-03-24 Th Products, Llc Fish attracting systems and methods
US20220225596A1 (en) * 2021-01-21 2022-07-21 NJB Limited, LLC Artificial mangrov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34404B (zh) 一种可拼装的柔性浮式防波堤单元体
KR101612770B1 (ko) 다기능 테트라포드
CN100445470C (zh) 一种用于岸边防护并有利于多种生物繁育的潜水丁坝系统
KR101006982B1 (ko) 진자형 가두리 양식 시설물
CN109706884A (zh) 一种防波堤
KR101169689B1 (ko) 방파제
KR20160107638A (ko) 방파제 유닛 및 방파제 구조물
US20110286798A1 (en) Modular floating structures with anti pollution barrier
CN105129597B (zh) 一种浮式集装箱防波堤专用吊具
CN103758080B (zh) 架空式消浪观景平台结构
CN207608879U (zh) 一种新型沉箱框架梁板式结构
GB2583105A (en) Breakwater
WO1996025561A1 (fr) Structure souple de pose sur fond sous-marin et procede de mise en place
CN109371902A (zh) 带有消能室的桩基结构防波堤
CN105926531B (zh) 一种基于frp材料的箱网型浮式防波堤
US8142105B2 (en) Wave-motion reducing structure
KR100677056B1 (ko) 친환경 타원형 돌망태 및 그 설치구조
CN1963028A (zh) 四面体透水框架群防护桥墩方法
CN103352419A (zh) 跨海大桥桥墩护栏网
CN106672170A (zh) 装配式a型浮动岛
KR100488920B1 (ko) 친자연형 통나무 수중보 구조물
KR101082410B1 (ko) 인공어초 형성 또는 침식과 모래 유실의 원인인 파랑 에너지 저감을 위한 해양 구조물 단위 모듈
CN204579517U (zh) 一种围海养殖网箱
TWI558885B (zh) Flexible energy dissipation system
KR101522923B1 (ko) 다목적 해양 인공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