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5774A - 개폐기 - Google Patents

개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5774A
KR20200015774A KR1020207001545A KR20207001545A KR20200015774A KR 20200015774 A KR20200015774 A KR 20200015774A KR 1020207001545 A KR1020207001545 A KR 1020207001545A KR 20207001545 A KR20207001545 A KR 20207001545A KR 20200015774 A KR20200015774 A KR 202000157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contact
yoke
movable contact
inner yok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1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0582B1 (ko
Inventor
가츠키 호타
다카시 이나구치
가즈키 다카하시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15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57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0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0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04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33/18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using blow-out magn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50Means f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preventing vibration of contacts, holding contacts together after engagement, or biasing contacts to the open position
    • H01H1/54Means f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preventing vibration of contacts, holding contacts together after engagement, or biasing contacts to the open position by magnetic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01H50/546Contact arrangements for contactors having bridging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30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9/44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using blow-out magnet
    • H01H9/443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using blow-out magnet using permanent magn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50Means f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preventing vibration of contacts, holding contacts together after engagement, or biasing contacts to the open position
    • H01H1/54Means f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preventing vibration of contacts, holding contacts together after engagement, or biasing contacts to the open position by magnetic force
    • H01H2001/545Means f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preventing vibration of contacts, holding contacts together after engagement, or biasing contacts to the open position by magnetic force having permanent magnets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36Stationary parts of magnetic circuit, e.g. yoke
    • H01H50/38Part of main magnetic circuit shaped to suppress arcing between the contacts of the rel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30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9/34Stationary parts for restricting or subdividing the arc, e.g. barrier plate
    • H01H9/36Metal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30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9/44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using blow-out magnet
    • H01H9/446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using blow-out magnet using magnetisable elements associated with the contac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rc-Extinguishing Devices That Are Switches (AREA)

Abstract

개폐기는 제 1 고정 접촉자(7a)와, 제 2 고정 접촉자(7b)와, 가동 접촉자(10)와, 구동축(11)과, 제 1 외측 요크(14a)와, 제 2 외측 요크(14b)와, 제 1 내측 요크(16a)와, 제 2 내측 요크(16b)와, 영구자석(15)을 구비한다. 영구자석(15)은 제 1 외측 요크(14a), 제 2 외측 요크(14b), 제 1 내측 요크(16a) 및 제 2 내측 요크(16b)를 자기적으로 결합하고, 제 1 고정 접점(8a)과 제 1 가동 접점(9a) 사이 및 제 2 고정 접점(8b)과 제 2 가동 접점(9b) 사이의 각각에 있어서, 제 1 고정 접점(8a)과 제 2 고정 접점(8b)이 나열되는 방향의 자계 성분을 발생시킨다.

Description

개폐기
본 발명은 개폐기에 관한 것이다.
개폐기의 구성을 개시한 선행 문헌으로서, 일본 실용신안 공개 제 평1-109155 호 공보(특허문헌 1), 국제 공개 제 2012/128080 호(특허문헌 2), 및 일본 특허 공개 제 2003-197053 호 공보(특허문헌 3)가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직류 개폐기는 고정 접점을 갖는 고정 접촉자와, 가동 접점을 갖는 가동 접촉자와, 크로스바와, 자극판과, 영구자석을 구비한다. 영구자석 및 자극판에 의해서, 고정 접점과 가동 접점 사이에, 가동 접촉자의 연장 방향과 수직인 방향의 자계 성분이 발생된다. 이 자계 성분에 의해서, 고정 접점과 가동 접점 사이에 발생한 아크는 가동 접촉자의 연장 방향의 외방으로 잡아늘려져서 소호(消弧)된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접점 장치는 고정 접점을 갖는 고정 접촉자와, 가동 접점을 갖는 가동 접촉자와, 1쌍의 고정 접점을 사이에 두는 1쌍의 영구자석을 구비한다. 전류가 가동 접촉자를 일방향으로 흐르는 경우, 일방의 접점 사이에 발생하는 아크는, 가동 접촉자의 연장 방향에 수직한 방향 중 일방측으로 잡아늘려지고, 타방의 접점 사이에 발생하는 아크는, 그 역방향으로 잡아늘려진다. 전류가 가동 접촉자를 일방향으로 흐르는 경우, 각각의 아크의 구동 방향은 반전한다.
특허문헌 3에 기재된 개폐기는 고정 접점을 갖는 고정 접촉자와, 가동 접점을 갖는 가동 접촉자와, 가동 접촉자에 연결되고 접점을 개리시키는 조작 부재와, 자계를 접점의 근방에 발생시키는 자계 발생 수단과, 자력선 유도 부재를 구비한다. 자기 발생 수단은 고정 접점과 가동 접점 사이에, 가동 접촉자의 연장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자계를 발생시킨다.
일본 실용신안 공개 제 평1-109155 호 국제 공개 제 2012/128080 호 일본 특허 공개 제 2003-197053 호 공보
특허문헌 3에 기재된 개폐기에 있어서는, 자력선 유도 부재는 제 1 접점 및 제 2 접점을 통과하는 자력선을 따르도록, 소호실 케이스의 외벽을 따라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아크에 구동력을 더욱 효과적으로 작용시킬 수 있는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이며, 아크에 구동력을 효과적으로 작용시켜서, 소호 성능이 높은 개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근거하는 개폐기는 제 1 고정 접촉자와, 제 2 고정 접촉자와, 가동 접촉자와, 구동축과, 제 1 외측 요크와, 제 2 외측 요크와, 제 1 내측 요크와, 제 2 내측 요크와, 영구자석을 구비한다. 제 1 고정 접촉자는 제 1 고정 접점을 갖는다. 제 2 고정 접촉자는 제 1 고정 접촉자에 간극을 두고 1열로 나열되어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 2 고정 접촉자는 제 2 고정 접점을 갖는다. 가동 접촉자는 제 1 고정 접점과 상기 제 2 고정 접점의 측방에 배치되어 있다. 가동 접촉자는 제 1 고정 접점에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된 제 1 가동 접점을 일단부에 갖고, 제 2 고정 접점에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된 제 2 가동 접점을 타단부에 갖는다. 구동축은 절연체로 구성되어 있다. 구동축은 상기 간극을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구동축은 가동 접촉자를 상기 측방으로 이동시킨다. 제 1 외측 요크는 자성체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외측 요크는 제 1 고정 접점과 제 2 고정 접점이 나열되는 방향에 있어서 가동 접촉자의 일단부보다 외측의 위치에 일부가 위치한다. 제 2 외측 요크는 자성체로 구성되어 있다. 제 2 외측 요크는 상기 나열되는 방향에 있어서 가동 접촉자 타단부보다 외측의 위치에 일부가 위치한다. 제 1 내측 요크는 자성체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내측 요크는 제 1 고정 접촉자와 구동축 사이의 위치에 일부가 위치한다. 제 2 내측 요크는 자성체로 구성되어 있다. 제 2 내측 요크는 제 2 고정 접촉자와 구동축 사이의 위치에 일부가 위치한다. 영구자석은 제 1 외측 요크 및 제 2 외측 요크의 각각에 접속되어 있다. 영구자석은 제 1 외측 요크, 제 2 외측 요크, 제 1 내측 요크 및 제 2 내측 요크를 자기적으로 결합하고, 제 1 고정 접점과 제 1 가동 접점 사이, 및 제 2 고정 접점과 제 2 가동 접점 사이 각각에 있어서, 상기 나열되는 방향의 자계 성분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아크에 구동력을 효과적으로 작용시켜서, 개폐기의 소호 성능을 높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개폐기의 외관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개폐기를 Ⅱ-Ⅱ선 화살표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개폐기로부터 아크 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정면측에서 바라본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Ⅳ선 화살표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개폐기의 내측 요크를 구성하는 부재의 외관을 측면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내측 요크를 구성하는 부재를 화살표 Ⅵ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개폐기로부터 아크 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정면측에서 바라볼 때, 발생하는 자계 분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7의 Ⅷ-Ⅷ선 화살표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개폐기로부터 아크 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정면측에서 바라볼 때, 정방향 전류가 흐르고 있는 경우에 발생하는 아크에 작용하는 구동력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개폐기로부터 아크 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정면측에서 바라볼 때, 역방향 전류가 흐르고 있는 경우에 발생하는 아크에 작용하는 구동력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개폐기의 내측 요크를 구성하는 부재의 외관을 측면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내측 요크를 구성하는 부재를 화살표 ⅩⅡ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3은 도 11의 내측 요크를 구성하는 부재를 화살표 ⅩⅢ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개폐기로부터 아크 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정면측에서 바라본 부분 확대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ⅩⅤ-ⅩⅤ선 화살표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개폐기의 내측 요크를 구성하는 부재의 외관을 측면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7은 도 16의 내측 요크를 구성하는 부재를 화살표 ⅩⅦ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개폐기로부터 아크 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정면측에서 바라볼 때, 발생하는 자계 분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ⅩⅨ-ⅩⅨ선 화살표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개폐기로부터 아크 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정면측에서 바라볼 때, 정방향 전류가 흐르고 있는 경우에 발생하는 아크에 작용하는 구동력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개폐기로부터 아크 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정면측에서 바라볼 때, 역방향 전류가 흐르고 있는 경우에 발생하는 아크에 작용하는 구동력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따른 개폐기로부터 아크 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정면측에서 바라본 부분 확대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ⅩⅩⅢ-ⅩⅩⅢ선 화살표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따른 개폐기의 내측 요크를 구성하는 부재의 외관을 측면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5는 도 24의 내측 요크를 구성하는 부재를 화살표 ⅩⅩⅤ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따른 개폐기로부터 아크 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정면측에서 바라본 부분 확대도이다.
도 27은 도 26의 ⅩⅩⅦ-ⅩⅩⅦ선 화살표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6에 따른 개폐기로부터 아크 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정면측에서 바라본 부분 확대도이다.
도 29는 도 28의 ⅩⅩⅨ-ⅩⅩⅨ선 화살표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7에 따른 개폐기로부터 아크 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정면측에서 바라본 부분 확대도이다.
도 31은 도 30의 ⅩⅩⅩⅠ-ⅩⅩⅩⅠ선 화살표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8에 따른 개폐기로부터 아크 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정면측에서 바라본 부분 확대도이다.
도 33은 도 32의 ⅩⅩⅩⅢ-ⅩⅩⅩⅢ선 화살표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9에 따른 개폐기로부터 아크 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정면측에서 바라본 부분 확대도이다.
도 35는 도 34의 ⅩⅩⅩⅤ-ⅩⅩⅩⅤ선 화살표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0에 따른 개폐기로부터 아크 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정면측에서 바라본 부분 확대도이다.
도 37은 도 36의 ⅩⅩⅩⅦ-ⅩⅩⅩⅦ선 화살표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38은 도 37의 ⅩⅩⅩⅦ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에 따른 개폐기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형태의 설명에 있어서는, 도면 중의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개폐기의 외관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개폐기를 Ⅱ-Ⅱ선 화살표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개폐기로부터 아크 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정면측에서 바라본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Ⅳ선 화살표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개폐기(1)는 제 1 상(相)의 소호실(2a) 및 제 2 상의 소호실(2b)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상의 소호실(2a)과 제 2 상의 소호실(2b)은 서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개폐기(1)는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하 대칭의 형상 및 좌우 대칭의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개폐기(1)는 적어도 1개의 소호실을 갖고 있으면 좋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개폐기(1)는 제 1 고정 접촉자(7a)와, 제 2 고정 접촉자(7b)와, 가동 접촉자(10)와, 구동축(11)과, 제 1 외측 요크(14a)와, 제 2 외측 요크(14b)와, 제 1 내측 요크(16a)와, 제 2 내측 요크(16b)와, 영구자석(15)을 구비한다. 개폐기(1)는 그리드(grid)(13), 절연판(17) 및 아크 커버(12c)를 더 구비한다.
제 1 고정 접촉자(7a)는 제 1 고정 접점(8a)을 갖는다. 제 1 고정 접촉자(7a)는 대략 직방체 형상의 외형을 갖고 있다. 제 1 고정 접촉자(7a)는 길이 방향을 갖고, 길이 방향의 일단부에 관통 구멍이 마련되어 있다. 제 1 고정 접점(8a)은 제 1 고정 접촉자(7a)의 일방의 주면 상에 마련되어 있다. 제 1 고정 접점(8a)은 제 1 고정 접촉자(7a)의 길이 방향의 타단부에 위치하고 있다.
제 2 고정 접촉자(7b)는 제 1 고정 접촉자(7a)에 간극을 두고 1열로 나열되어 대칭으로 배치되고, 제 2 고정 접점(8b)을 갖는다. 제 2 고정 접촉자(7b)는 대략 직방체 형상의 외형을 갖고 있다. 제 2 고정 접촉자(7b)는 길이 방향을 갖고, 길이 방향의 타단부에 관통 구멍이 마련되어 있다. 제 2 고정 접점(8b)은 제 2 고정 접촉자(7b)의 일방의 주면 상에 마련되어 있다. 제 2 고정 접점(8b)은 제 2 고정 접촉자(7b)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에 위치하여 있다.
가동 접촉자(10)는 제 1 고정 접점(8a)과 제 2 고정 접점(8b)이 나열되는 방향을 따르는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가동 접촉자(10)는 제 1 고정 접점(8a)과 제 2 고정 접점(8b)의 측방에 배치되어 있다. 가동 접촉자(10)는 대략 직방체 형상의 외형을 갖고 있다. 가동 접촉자(10)는 연장 방향인 길이 방향을 갖는다. 가동 접촉자(10)는 연장 방향의 일단부에 제 1 가동 접점(9a)을 갖고, 연장 방향 타단부에 제 2 가동 접점(9b)을 갖는다. 제 1 가동 접점(9a) 및 제 2 가동 접점(9b)은 가동 접촉자(10)의 일방의 주면 상에 마련되어 있다.
제 1 고정 접점(8a)과 제 1 가동 접점(9a)은 서로 대향하여 있다. 제 1 가동 접점(9a)은 제 1 고정 접점(8a)에 접리(接離)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제 2 고정 접점(8b)과 제 2 가동 접점(9b)은 서로 대향하여 있다. 제 2 가동 접점(9b)은 제 2 고정 접점(8b)에 접리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구동축(11)은 절연체로 구성되어 있다. 구동축(11)은 제 1 고정 접촉자(7a)와 제 2 고정 접촉자(7b) 사이의 간극을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구동축(11)은 제 1 고정 접점(8a)과 제 1 가동 접점(9a)이 서로 대향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또한, 제 2 고정 접점(8b)과 제 2 가동 접점(9b)이 서로 대향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가동 접촉자(10)를 가동 접촉자(10)의 연장 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축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구동축(11)은 가동 접촉자(10)를 상기 측방으로 이동시킨다.
구동축(11)은 선단측에 중공부를 갖고, 중공부 내에 접압 스프링(18)이 수용되어 있다. 구동축(11)에는, 가동 접촉자(10)가 관통 삽입되는 1쌍의 구멍부(11h)가 마련되어 있다. 1쌍의 구멍부(11h)의 각각은, 구동축(11)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구동축(11)은 절연성을 갖는 수지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있다. 접압 스프링(18)은 구동축(11)의 선단측의 내면과 가동 접촉자(10)의 일방의 주면(10a) 사이에 끼워져 있다.
영구자석(15)은 가동 접촉자(10)에 관해서, 구동축(11)의 축방향에 있어서, 제 1 고정 접촉자(7a) 및 제 2 고정 접촉자(7b)와는 반대측의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개폐기(1)는 각 소호실에 있어서, 1개의 영구자석(15)만을 구비한다. 영구자석(15)의 가동 접촉자(10)측의 면에는, 절연판(17)이 장착되어 있다.
절연판(17)은 대략 직방체 형상의 외형을 갖고 있다. 절연판(17)은 가동 접촉자(10)의 연장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길이 방향을 갖는다. 가동 접촉자(10)의 연장 방향 및 구동축(11)의 축방향의 각각에 대해서 수직인 폭방향에 있어서, 절연판(17)의 폭은, 영구자석(15)의 폭보다 크다. 구동축(11)의 축방향에서 바라볼 때, 영구자석(15)의 전체는 절연판(17)과 겹쳐져 있다.
영구자석(15)의 절연판(17)이 장착되어 있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는, 지지체(12d)가 장착되어 있다. 영구자석(15)은 지지체(12d)에 의해서 아크 커버(12c)에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영구자석(15)은 제 1 외측 요크(14a)측이 N극이며, 제 2 외측 요크(14b)측이 S극이다. 또한, 영구자석(15)의 자극의 방향은 반대여도 좋다.
제 1 외측 요크(14a)는 예를 들면, 철 등의 자성체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외측 요크(14a)의 일단은 영구자석(15)에 접속되어 있다. 제 1 외측 요크(14a)의 타단은 제 1 고정 접점(8a) 및 제 1 가동 접점(9a)의 근방에 위치하여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외측 요크(14a)는 가동 접촉자(10)의 연장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과, 구동축(11)의 축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갖는다. 제 1 외측 요크(14a)에 있어서의 가동 접촉자(10)의 연장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은, 가동 접촉자(10)의 일방의 주면(10a)과 간격을 두고 대향하고 있다. 제 1 외측 요크(14a)에 있어서의 구동축(11)의 축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은, 가동 접촉자(10)의 일단면(10b)과 간격을 두고 대향하고 있다.
또한, 제 1 외측 요크(14a)의 형상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후술하는 자계 성분을 발생시킬 수 있는 범위 내에 있어서, 구동축(11)의 축방향에서 바라볼 때, 가동 접촉자(10)의 연장 방향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가동 접촉자(10)의 일단부보다 외측의 위치에 제 1 외측 요크(14a)의 일부가 위치하여 있으면 좋다. 즉, 제 1 고정 접점(8a)과 제 2 고정 접점(8b)이 나열되는 방향에 있어서, 가동 접촉자(10)의 일단부보다 외측의 위치에, 제 1 외측 요크(14a)의 일부가 위치하여 있으면 좋다.
제 2 외측 요크(14b)는 예를 들면, 철 등의 자성체로 구성되어 있다. 제 2 외측 요크(14b)의 일단은 영구자석(15)에 접속되어 있다. 제 2 외측 요크(14b)의 타단은 제 2 고정 접점(8b) 및 제 2 가동 접점(9b)의 근방에 위치하여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2 외측 요크(14b)는 가동 접촉자(10)의 연장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과, 구동축(11)의 축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갖는다. 제 2 외측 요크(14b)에 있어서의 가동 접촉자(10)의 연장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은, 가동 접촉자(10)의 일방의 주면(10a)과 간격을 두고 대향하여 있다. 제 2 외측 요크(14b)에 있어서의 구동축(11)의 축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은, 가동 접촉자(10)의 타단면(10c)과 간격을 두고 대향하여 있다.
또한, 제 2 외측 요크(14b)의 형상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후술하는 자계 성분을 발생시킬 수 있는 범위 내에 있어서, 구동축(11)의 축방향에서 바라볼 때, 가동 접촉자(10)의 연장 방향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가동 접촉자(10)의 타단부보다 외측의 위치에 제 2 외측 요크(14b)의 일부가 위치하여 있으면 좋다. 즉, 제 1 고정 접점(8a)과 제 2 고정 접점(8b)이 나열되는 방향에 있어서, 가동 접촉자(10)의 타단부보다 외측의 위치에, 제 2 외측 요크(14b)의 일부가 위치하여 있으면 좋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개폐기의 내측 요크를 구성하는 부재의 외관을 측면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내측 요크를 구성하는 부재를 화살표(Ⅵ)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내측 요크(16a) 및 제 2 내측 요크(16b)는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내측 요크를 구성하는 부재는 예를 들면, 철 등의 자성체로 구성되어 있다. 내측 요크를 구성하는 부재는 판 형상의 자성체가 절곡되어서 성형되어 있다.
제 1 내측 요크(16a)와 제 2 내측 요크(16b)는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여 있다. 제 1 내측 요크(16a) 및 제 2 내측 요크(16b)의 각각은, 평판 상(狀)의 형상을 갖는다. 제 1 내측 요크(16a) 및 제 2 내측 요크(16b)의 각각은, 서로 대향하는 방향에서 바라볼 때, 직사각형상의 형상을 갖는다.
제 1 내측 요크(16a)의 일단부와 제 2 내측 요크(16b)의 일단부는, 제 1 내측 요크(16a) 및 제 2 내측 요크(16b)의 각각과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속부에 의해서 서로 접속되어 있다. 이 접속부는, 구동축(11)의 축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동축(11)에 장착되어 있다. 그 결과, 제 1 내측 요크(16a) 및 제 2 내측 요크(16b)의 각각이 구동축(11)에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내측 요크를 구성하는 부재와 구동축(11)이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내측 요크(16a)는 구동축(11)의 축방향에서 바라볼 때, 제 1 고정 접촉자(7a)와 구동축(11) 사이의 위치에 위치하여 있다. 제 2 내측 요크(16b)는 구동축(11)의 축방향에서 바라볼 때, 제 2 고정 접촉자(7b)와 구동축(11) 사이의 위치에 위치하여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가동 접촉자(10)의 연장 방향을 따르는 방향에서 바라볼 때, 제 1 고정 접점(8a)과 제 1 가동 접점(9a) 사이에 있어서, 제 1 외측 요크(14a)의 일부와 제 1 내측 요크(16a)의 일부가 서로 대향하여 있다. 상기 폭방향에 있어서, 제 1 내측 요크(16a)의 외폭은 제 1 외측 요크(14a)의 외폭보다 크다.
또한, 제 1 외측 요크(14a)와 제 1 내측 요크(16a)는 반드시 서로 대향하고 있지 않아도 좋지만, 가동 접촉자(10)의 연장 방향을 따르는 방향에서 바라볼 때, 제 1 고정 접점(8a)과 제 1 가동 접점(9a) 사이에, 제 1 외측 요크(14a)의 일부 및 제 1 내측 요크(16a)의 일부가 위치하여 있는 것이, 후술하는 자계 성분을 발생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내측 요크(16a)의 외폭과 제 1 외측 요크(14a)의 외폭이 동등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가동 접촉자(10)의 연장 방향을 따르는 방향에서 바라볼 때, 제 2 고정 접점(8b)과 제 2 가동 접점(9b) 사이에 있어서, 제 2 외측 요크(14b)의 일부와 제 2 내측 요크(16b)의 일부가 서로 대향하여 있다. 상기 폭방향에 있어서, 제 2 내측 요크(16b)의 외폭은 제 2 외측 요크(14b)의 외폭보다 크다.
또한, 제 2 외측 요크(14b)와 제 2 내측 요크(16b)는, 반드시 서로 대향하고 있지 않아도 좋지만, 가동 접촉자(10)의 연장 방향을 따르는 방향에서 바라볼 때, 제 2 고정 접점(8b)과 제 2 가동 접점(9b) 사이에, 제 2 외측 요크(14b)의 일부 및 제 2 내측 요크(16b)의 일부가 위치하여 있는 것이, 후술하는 자계 성분을 발생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내측 요크(16b)의 외폭과 제 2 외측 요크(14b)의 외폭이 동등해도 좋다.
아크 커버(12c)는 절연물로 구성되어 있다. 아크 커버(12c)의 내면에, 그리드(13)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드(13)는 스테인리스 또는 구리 등의 비자성 금속, 또는 비자성 세라믹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드(13)는 제 1 고정 접촉자(7a), 제 2 고정 접촉자(7b), 제 1 고정 접점(8a), 제 2 고정 접점(8b), 제 1 가동 접점(9a), 제 2 가동 접점(9b) 및 가동 접촉자(10)와는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아크 차단 성능을 더욱 높이기 위해서, 그리드(13)가 마련되어 있지만, 그리드(13)는 반드시 마련되지 않아도 좋다.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고정 접촉자(7a), 제 2 고정 접촉자(7b) 및 아크 커버(12c)에 의해서 둘러싸인 영역이, 각 소호실이 된다.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개폐기(1)는 조작 코일(3)과, 고정 철심(4)과, 가동 철심(5)과, 트리핑 스프링(tripping spring)(6)과, 장착대(12a)와, 베이스(12b)를 더 구비한다.
장착대(12a)와 베이스(12b)가 서로 접속되는 것에 의해, 상자체가 구성된다. 상자체의 내부에, 조작 코일(3)과, 가동 철심(5)과, 고정 철심(4)과, 트리핑 스프링(6)이 수용되어 있다. 조작 코일(3)은 가동 철심(5) 및 고정 철심(4)의, 다리의 외주측에 배치되어 있다. 고정 철심(4)은 장착대(12a)에 고정되어 있다. 트리핑 스프링(6)은 조작 코일(3)과 가동 철심(5) 사이에 끼워져 있다. 가동 철심(5)은 구동축(11)에 접속되어 있다.
베이스(12b)에는, 구동축(11)이 관통 삽입되는 개구가 마련되어 있다. 베이스(12b)의 장착대(12a)측과는 반대측에는, 제 1 고정 접촉자(7a) 및 제 2 고정 접촉자(7b)가 장착되어 있다.
장착대(12a) 및 베이스(12b)의 각각은 절연물로 구성되어 있다. 베이스(12b)에는 제 1 고정 접촉자(7a) 및 제 2 고정 접촉자(7b)가 장착되기 때문에, 베이스(12b)는 합성수지, 또는 합성수지에 유리재가 첨가된 재료 등, 내열성 및 절연성이 뛰어난 재료가 이용된다.
가동 철심(5) 및 고정 철심(4)의 각각은 예를 들면, 철 등의 자성체로 구성되어 있다. 가동 철심(5) 및 고정 철심(4)의 각각은, 자성 강판이 적층되어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개폐기(1)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개폐기(1)를 폐극할 때에는, 우선, 조작 코일(3)이 여자된다. 조작 코일(3)이 여자되는 것에 의해, 트리핑 스프링(6)의 부세력에 반하여, 가동 철심(5)이 고정 철심(4)에 흡인된다. 이에 의해, 가동 철심(5)에 고정된 구동축(11)도 고정 철심(4)측으로 이동한다. 구동축(11)의 이동에 수반하여 가동 접촉자(10)도 이동하고, 제 1 가동 접점(9a)은 제 1 고정 접점(8a)에 접촉하고, 제 2 가동 접점(9b)은 제 2 고정 접점(8b)에 접촉한다.
제 1 가동 접점(9a)이 제 1 고정 접점(8a)에 접촉하고, 또한, 제 2 가동 접점(9b)이 제 2 고정 접점(8b)에 접촉한 후도, 구동축(11)은 고정 철심(4)측으로의 이동을 계속한다. 이 때, 가동 접촉자(10)는 접압 스프링(18)을 휘어지게 하면서 구동축(11)의 1쌍의 구멍부(11h) 내를 구동축(11)의 선단 근처로 이동한다.
접압 스프링(18)의 부세력은 제 1 가동 접점(9a)을 제 1 고정 접점(8a)에 가압하는 동시에, 제 2 가동 접점(9b)을 제 2 고정 접점(8b)에 가압한다. 이에 의해, 제 1 가동 접점(9a)과 제 1 고정 접점(8a) 사이의 접촉 저항을 충분히 낮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2 가동 접점(9b)과 제 2 고정 접점(8b) 사이의 접촉 저항을 충분히 낮게 할 수 있다.
상기의 동작에 의해, 제 1 고정 접촉자(7a), 제 1 고정 접점(8a), 제 1 가동 접점(9a), 가동 접촉자(10), 제 2 가동 접점(9b), 제 2 고정 접점(8b) 및 제 2 고정 접촉자(7b)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개폐기(1)가 폐극한 상태가 된다. 개폐기(1)가 폐극한 상태로, 개폐기(1)에 후술하는 정방향 전류 또는 역방향 전류가 흐른다.
개폐기(1)를 개극할 때에는, 조작 코일(3)의 여자가 중지된다. 가동 철심(5)은 트리핑 스프링(6)의 부세력에 의해, 고정 철심(4)으로부터 떨어진다. 이에 의해, 가동 철심(5)에 고정된 구동축(11)도 고정 철심(4)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접압 스프링(18)은 구동축(11)의 이동에 수반하여 신장되고, 접압 스프링(18)의 부세력이 저하한다.
가동 접촉자(10)가 구동축(11)의 1쌍의 구멍부(11h)의 말단에 접촉하여 구동축(11)과 함께 이동하기 시작하면, 제 1 가동 접점(9a)은 제 1 고정 접점(8a)으로부터 이격되고, 제 2 가동 접점(9b)은 제 2 고정 접점(8b)으로부터 이격된다.
상기의 동작에 의해, 개폐기(1)가 개극한 상태가 된다. 제 1 가동 접점(9a)이 제 1 고정 접점(8a)으로부터 이격된 순간, 제 1 가동 접점(9a)과 제 1 고정 접점(8a) 사이에, 고온의 아크가 발생한다. 마찬가지로, 제 2 가동 접점(9b)이 제 2 고정 접점(8b)으로부터 이격된 순간, 제 2 가동 접점(9b)과 제 2 고정 접점(8b) 사이에, 고온의 아크가 발생한다. 아크는 도전성을 갖기 때문에, 개극 후도 아크가 소멸할 때까지는, 원래의 통전 경로에 전류가 흐른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개폐기(1)에 있어서, 영구자석(15)에 의해서 발생되는 자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개폐기로부터 아크 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정면측에서 바라볼 때, 발생하는 자계 분포를 모식적으로 도시되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7의 Ⅷ-Ⅷ선 화살표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에 있어서는, 절연판(17)을 도시하지 않는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자속(20)은 영구자석(15)의 N극으로부터 방출되어서, 영구자석(15)의 S극을 향하는 폐루프 상태로 분포한다. 자속(20)은, 공기에 대해서 자속을 통하게 하기 쉬운 성질을 갖는 자성체로 구성된, 제 1 외측 요크(14a), 제 1 내측 요크(16a), 제 2 내측 요크(16b) 및 제 2 외측 요크(14b)에 집중하여 통과한다. 즉, 영구자석(15)은 제 1 외측 요크(14a), 제 2 외측 요크(14b), 제 1 내측 요크(16a) 및 제 2 내측 요크(16b)를 자기적으로 결합한다.
그 결과, 영구자석(15)은 제 1 고정 접점(8a)과 제 1 가동 접점(9a) 사이, 및 제 2 고정 접점(8b)과 제 2 가동 접점(9b) 사이의 각각에 있어서, 가동 접촉자(10)의 연장 방향을 따르는 방향의 자계 성분을 발생시킨다. 즉, 영구자석(15)은 제 1 고정 접점(8a)과 제 1 가동 접점(9a) 사이, 및 제 2 고정 접점(8b)과 제 2 가동 접점(9b) 사이의 각각에 있어서, 제 1 고정 접점(8a)과 제 2 고정 접점(8b)이 나열되는 방향의 자계 성분을 발생시킨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내측 요크(16a)의 외폭이, 제 1 외측 요크(14a)의 외폭보다 크기 때문에, 자속(20)은 제 1 내측 요크(16a)의 근방에서는 상기 폭방향으로 확장되고, 제 1 외측 요크(14a)의 근방에서는 수속(收束)하도록 분포한다. 마찬가지로, 제 2 내측 요크(16b)의 외폭이, 제 2 외측 요크(14b)의 외폭보다 크기 때문에, 자속(20)은 제 2 내측 요크(16b)의 근방에서는 상기 폭방향으로 확장하고, 제 2 외측 요크(14b)의 근방에서는 수속하도록 분포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개폐기로부터 아크 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정면측에서 바라볼 때, 정방향 전류가 흐르고 있는 경우에 발생하는 아크에 작용하는 구동력을 모식적으로 도시되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9에 있어서는, 절연판(17)을 도시하지 않는다.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고정 접촉자(7a), 제 1 고정 접점(8a), 제 1 가동 접점(9a), 가동 접촉자(10), 제 2 가동 접점(9b), 제 2 고정 접점(8b) 및 제 2 고정 접촉자(7b)를, 이 순서로 흐르는 전류(I)를 정방향 전류로 한다.
정방향 전류가 흐르고 있는 경우는 프레밍의 왼손의 법칙에 의해, 제 1 고정 접점(8a)과 제 1 가동 접점(9a) 사이에 발생한 아크에 구동력(a1)이 작용하고, 제 2 고정 접점(8b)과 제 2 가동 접점(9b) 사이에 발생한 아크에 구동력(a2)이 작용한다.
가동 접촉자(10)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 제 1 외측 요크(14a)와 제 1 내측 요크(16a)에 끼워져 있는 영역에 있어서는, 자속(20)은 가동 접촉자(10)의 연장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진전하고, 이 영역으로부터 상기 폭방향으로 멀어짐에 따라 자속(20)의 진전 방향이 상기 폭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경향이 있다. 이 경향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내측 요크(16a)의 외폭이 제 1 외측 요크(14a)의 외폭보다 크기 때문에 현저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제 1 고정 접점(8a)과 제 1 가동 접점(9a) 사이에 발생한 아크에 대해서, 구동력(a1)은 상기 폭방향의 일방으로 주로 작용한 후, 가동 접촉자(10)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 가동 접촉자(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주로 작용한다. 그 결과, 제 1 고정 접점(8a)과 제 1 가동 접점(9a) 사이에 발생한 아크는, 구동력(a1)의 작용을 받아서 길게 잡아늘려진다.
마찬가지로, 제 2 고정 접점(8b)과 제 2 가동 접점(9b) 사이에 발생한 아크에 대해서, 구동력(a2)은 상기 폭방향 타방으로 주로 작용한 후, 가동 접촉자(10)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 가동 접촉자(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주로 작용한다. 그 결과, 제 2 고정 접점(8b)과 제 2 가동 접점(9b) 사이에 발생한 아크는, 구동력(a2)의 작용을 받아서 길게 잡아늘려진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개폐기로부터 아크 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정면측에서 바라볼 때, 역방향 전류가 흐르고 있는 경우에 발생하는 아크에 작용하는 구동력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10에 있어서는, 절연판(17)을 도시하지 않는다.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2 고정 접촉자(7b), 제 2 고정 접점(8b), 제 2 가동 접점(9b), 가동 접촉자(10), 제 1 가동 접점(9a), 제 1 고정 접점(8a) 및 제 1 고정 접촉자(7a)를, 이 순서로 흐르는 전류(I)를 역방향 전류로 한다.
역방향 전류가 흐르고 있는 경우는, 프레밍의 왼손의 법칙에 의해, 제 1 고정 접점(8a)과 제 1 가동 접점(9a) 사이에 발생한 아크에 구동력(a3)이 작용하고, 제 2 고정 접점(8b)과 제 2 가동 접점(9b) 사이에 발생한 아크에 구동력(a4)이 작용한다.
제 1 고정 접점(8a)과 제 1 가동 접점(9a) 사이에 발생한 아크에 대해서, 구동력(a3)은 상기 폭방향 타방으로 주로 작용한 후, 가동 접촉자(10)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 가동 접촉자(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주로 작용한다. 그 결과, 제 1 고정 접점(8a)과 제 1 가동 접점(9a) 사이에 발생한 아크는, 구동력(a3)의 작용을 받아서 길게 잡아늘려진다.
마찬가지로, 제 2 고정 접점(8b)과 제 2 가동 접점(9b) 사이에 발생한 아크에 대해서, 구동력(a4)은 상기 폭방향의 일방으로 주로 작용한 후, 가동 접촉자(10)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 가동 접촉자(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주로 작용한다. 그 결과, 제 2 고정 접점(8b)과 제 2 가동 접점(9b) 사이에 발생한 아크는, 구동력(a4)의 작용을 받아서 길게 잡아늘려진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개폐기(1)에 있어서는, 정방향 전류가 흐르고 있는 경우 및 역방향 전류가 흐르고 있는 경우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도, 아크에 대해서 구동력을, 상기 폭방향의 어느 일방으로 작용시킨 후, 가동 접촉자(10)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 가동 접촉자(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작용시킬 수 있다.
구동력의 작용을 받아서 잡아늘려진 아크는, 충분히 긴 아크 길이까지 잡아늘려지고, 또는 그리드(13)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냉각되고, 소호된다. 이에 의해, 전류(I)가 차단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개폐기(1)에 있어서는, 영구자석(15)이 제 1 외측 요크(14a), 제 2 외측 요크(14b), 제 1 내측 요크(16a) 및 제 2 내측 요크(16b)를 자기적으로 결합하고, 제 1 고정 접점(8a)과 제 1 가동 접점(9a) 사이, 및 제 2 고정 접점(8b)과 제 2 가동 접점(9b) 사이의 각각에 있어서, 가동 접촉자(10)의 연장 방향을 따르는 방향의 자계 성분을 발생시킨다. 그 결과, 아크에 구동력을 효과적으로 작용시키고, 개폐기(1)의 소호 성능을 높게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폭방향에 있어서, 제 1 내측 요크(16a)의 외폭은 제 1 외측 요크(14a)의 외폭보다 크고, 제 2 내측 요크(16b)의 외폭은 제 2 외측 요크(14b)의 외폭보다 큰 것에 의해, 아크에 대해서 구동력을, 상기 폭방향의 어느 일방으로 작용시킨 후, 가동 접촉자(10)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 가동 접촉자(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효과적으로 작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아크를 보다 길게 잡아늘릴 수 있다. 이에 의해, 개폐기(1)의 소호 성능을 더욱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정방향 전류가 흐르고 있는 경우 및 역방향 전류가 흐르고 있는 경우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도, 상기의 효과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어느 전류 방향에 있어서도 동등한 차단 성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가동 접촉자(10)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의 가동 접촉자(10)의 중심을 통과하고 상기 폭방향에 평행한 면에 관해서, 자계 분포가 면대칭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1개의 소호실 내에 1개의 영구자석(15)만 배치하고 있다. 영구자석(15)의 필요 수를 삭감하는 것에 의해, 개폐기(1)의 제조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 1 내측 요크(16a) 및 제 2 내측 요크(16b)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서, 부품 점수를 삭감하여, 개폐기(1)의 제조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영구자석(15)이 아크가 발생하는, 제 1 고정 접점(8a)과 제 1 가동 접점(9a) 사이, 및 제 2 고정 접점(8b)과 제 2 가동 접점(9b) 사이의 각각으로부터 멀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아크의 열에 의해서 영구자석(15)이 열감자(熱減磁)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구동축(11)의 축방향에서 바라볼 때, 영구자석(15)의 전체가 절연판(17)과 겹쳐져 있는 것에 의해서, 아크의 열이 영구자석(15)에 미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개폐기(1)의 소호 성능을 길게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내측 요크(16a) 및 제 2 내측 요크(16b)의 각각이 구동축(11)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내측 요크(16a) 및 제 2 내측 요크(16b)의 각각에, 가동 접촉자(10)와의 간섭을 막기 위한 절결을 마련하지 않아도 좋다.
실시형태 2.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개폐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개폐기는 제 1 내측 요크 및 제 2 내측 요크의 각각의 형상만이 실시형태 1의 개폐기(1)와는 상이하기 때문에, 실시형태 1의 개폐기(1)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개폐기의 내측 요크를 구성하는 부재의 외관을 측면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내측 요크를 구성하는 부재를 화살표(XⅡ)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3은 도 11의 내측 요크를 구성하는 부재를 화살표(XⅢ)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개폐기에 있어서는, 제 1 내측 요크(26a)는 상기 폭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상기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절결부(26as)가 마련되어 있다. 제 2 내측 요크(26b)는 상기 폭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상기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절결부(26bs)가 마련되어 있다. 절결부(26as)와 절결부(26bs)는 대략 동일한 형상이며, 가동 접촉자(10)측으로 개방하여 있다.
제 1 내측 요크(26a)에 절결부(26as)가 마련되어 있는 것에 의해, 제 1 외측 요크(14a)와 제 1 내측 요크(26a) 사이에 발생하는 자속이, 상기 폭방향에 있어서의 제 1 내측 요크(26a)의 중앙부 근처에 수속하는 것을 저감하고, 자속 분포를 상기 폭방향으로 넓힐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내측 요크(26b)에 절결부(26bs)가 마련되어 있는 것에 의해, 제 2 외측 요크(14b)와 제 2 내측 요크(26b) 사이에 발생하는 자속이, 상기 폭방향에 있어서의 제 2 내측 요크(26b)의 중앙부 근처에 수속하는 것을 저감하고, 자속 분포를 상기 폭방향으로 넓힐 수 있다.
이에 의해, 아크에 대해서 구동력을, 가동 접촉자(10)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 가동 접촉자(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보다 효과적으로 작용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아크에 구동력을 효과적으로 작용시키고, 개폐기의 소호 성능을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절결부(26as) 및 절결부(26bs)의 각각의 폭이, 가동 접촉자(10)의 폭보다 큰 경우에는, 제 1 내측 요크(26a) 및 제 2 내측 요크(26b)는 구동축(11)에 접속되지 않고, 베이스(12b)의 개구의 둘레면에 접속되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제 1 내측 요크(26a)와 제 2 내측 요크(26b)를 접속하는 접속부에, 구동축(11)이 통과하기 위한 개구가 마련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영구자석(15)이 제 1 외측 요크(14a), 제 2 외측 요크(14b), 제 1 내측 요크(26a) 및 제 2 내측 요크(26b)를 자기적으로 결합하고, 제 1 고정 접점(8a)과 제 1 가동 접점(9a) 사이, 및 제 2 고정 접점(8b)과 제 2 가동 접점(9b) 사이의 각각에 있어서, 가동 접촉자(10)의 연장 방향을 따르는 방향의 자계 성분을 발생시킨다. 그 결과, 아크에 구동력을 효과적으로 작용시키고, 개폐기의 소호 성능을 높게 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개폐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개폐기는 영구자석, 제 1 외측 요크, 제 2 외측 요크, 제 1 내측 요크 및 제 2 내측 요크의 구성이 주로 실시형태 1의 개폐기(1)와는 상이하기 때문에, 실시형태 1의 개폐기(1)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개폐기로부터 아크 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정면측에서 바라본 부분 확대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ⅩⅤ-ⅩⅤ선 화살표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개폐기(30)는 제 1 고정 접촉자(7a)와, 제 2 고정 접촉자(7b)와, 가동 접촉자(10)와, 구동축(11)과, 제 1 외측 요크(34a)와, 제 2 외측 요크(34b)와, 제 1 내측 요크(36a)와, 제 2 내측 요크(36b)와, 제 1 영구자석(35a)과, 제 2 영구자석(35b)을 구비한다.
제 1 영구자석(35a) 및 제 2 영구자석(35b)은 제 1 고정 접촉자(7a) 및 제 2 고정 접촉자(7b)에 관해서, 구동축(11)의 축방향에 있어서, 가동 접촉자(10)와는 반대측의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개폐기(30)는 각 소호실에 있어서, 2개의 영구자석을 구비한다.
제 1 외측 요크(34a)는 예를 들면, 철 등의 자성체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외측 요크(34a)는 절연 피복되어 있다. 제 1 외측 요크(34a)의 일단은 제 1 영구자석(35a)의 N극에 접속되어 있다. 제 1 외측 요크(34a)의 타단은 제 1 고정 접점(8a) 및 제 1 가동 접점(9a)의 근방에 위치하여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외측 요크(34a)는 가동 접촉자(10)의 연장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과, 구동축(11)의 축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갖는다. 제 1 외측 요크(34a)에 있어서의 가동 접촉자(10)의 연장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은, 가동 접촉자(10)의 일방의 주면과 간격을 두고 대향하여 있다. 제 1 외측 요크(34a)에 있어서의 구동축(11)의 축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은, 상기 폭방향에 있어서의 제 1 고정 접촉자(7a)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있다.
또한, 제 1 외측 요크(34a)의 형상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후술하는 자계 성분을 발생시킬 수 있는 범위 내에 있어서, 구동축(11)의 축방향에서 바라볼 때, 가동 접촉자(10)의 연장 방향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가동 접촉자(10)의 일단부보다 외측의 위치에 제 1 외측 요크(34a)의 일부가 위치하여 있으면 좋다.
제 2 외측 요크(34b)는 예를 들면, 철 등의 자성체로 구성되어 있다. 제 2 외측 요크(34b)는 절연 피복되어 있다. 제 2 외측 요크(34b)의 일단은 제 2 영구자석(35b)의 S극에 접속되어 있다. 제 2 외측 요크(34b)의 타단은 제 2 고정 접점(8b) 및 제 2 가동 접점(9b)의 근방에 위치하여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2 외측 요크(34b)는 가동 접촉자(10)의 연장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과, 구동축(11)의 축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갖는다. 제 2 외측 요크(34b)에 있어서의 가동 접촉자(10)의 연장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은 가동 접촉자(10)의 일방의 주면과 간격을 두고 대향하여 있다. 제 2 외측 요크(34b)에 있어서의 구동축(11)의 축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은, 상기 폭방향에 있어서의 제 2 고정 접촉자(7b)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있다.
또한, 제 2 외측 요크(34b)의 형상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후술하는 자계 성분을 발생시킬 수 있는 범위 내에 있어서, 구동축(11)의 축방향에서 바라볼 때, 가동 접촉자(10)의 연장 방향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가동 접촉자(10)의 타단부보다 외측의 위치에 제 2 외측 요크(34b)의 일부가 위치하여 있으면 좋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개폐기의 내측 요크를 구성하는 부재의 외관을 측면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7은 도 16의 내측 요크를 구성하는 부재를 화살표(ⅩⅦ)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내측 요크(36a) 및 제 2 내측 요크(36b)는 별체(別體)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내측 요크(36a) 및 제 2 내측 요크(36b)의 각각은 철 등의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1매의 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내측 요크(36a) 및 제 2 내측 요크(36b)의 각각은 직사각형상의 외형을 갖는다. 제 1 내측 요크(36a) 및 제 2 내측 요크(36b)의 각각은 절연 피복되어 있다.
제 1 내측 요크(36a)는 상기 폭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상기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절결부(36as)가 마련되어 있다. 제 2 내측 요크(36b)는 상기 폭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상기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절결부(36bs)가 마련되어 있다. 절결부(36as)와 절결부(36bs)는 대략 동일한 형상이며, 가동 접촉자(10)측으로 개방하여 있다. 절결부(36as) 및 절결부(36bs)의 각각의 폭은 가동 접촉자(10)의 폭보다 크다. 이에 의해, 제 1 내측 요크(36a) 및 제 2 내측 요크(36b)의 각각이 가동 접촉자(10)와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 내측 요크(36a)의 일단부는 제 1 영구자석(35a)의 S극에 접속되어 있다. 제 2 내측 요크(36b)의 일단부는 제 2 영구자석(35b)의 N극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 1 영구자석(35a) 및 제 2 영구자석(35b)의 각각의 자극의 방향은 반대여도 좋다. 예를 들어, 제 1 내측 요크(36a)의 일단부가 제 1 영구자석(35a)의 N극에 접속되고, 제 2 내측 요크(36b)의 일단부가 제 2 영구자석(35b)의 S극에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자극의 방향이 바뀌면, 뒤에 설명하는 아크 구동 방향이 바뀌지만, 아크 구동 능력 및 그에 따른 차단 성능은 동등하게 된다.
제 1 내측 요크(36a)는 구동축(11)의 축방향에서 바라볼 때, 제 1 고정 접촉자(7a)와 구동축(11) 사이의 위치에 위치하여 있다. 제 2 내측 요크(36b)는 구동축(11)의 축방향에서 바라볼 때, 제 2 고정 접촉자(7b)와 구동축(11) 사이의 위치에 위치하여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가동 접촉자(10)의 연장 방향을 따르는 방향에서 바라볼 때, 제 1 고정 접점(8a)과 제 1 가동 접점(9a) 사이에 있어서, 제 1 외측 요크(34a)의 일부와 제 1 내측 요크(36a)의 일부가 서로 대향하여 있다. 상기 폭방향에 있어서, 제 1 내측 요크(36a)의 외폭은 제 1 외측 요크(34a)의 외폭보다 크다.
또한, 제 1 외측 요크(34a)와 제 1 내측 요크(36a)는 반드시 서로 대향하여 있지 않아도 좋지만, 가동 접촉자(10)의 연장 방향을 따르는 방향에서 바라볼 때, 제 1 고정 접점(8a)과 제 1 가동 접점(9a) 사이에, 제 1 외측 요크(34a)의 일부 및 제 1 내측 요크(36a)의 일부가 위치하여 있는 것이, 후술하는 자계 성분을 발생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내측 요크(36a)의 외폭과 제 1 외측 요크(34a)의 외폭이 동등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가동 접촉자(10)의 연장 방향을 따르는 방향에서 바라볼 때, 제 2 고정 접점(8b)과 제 2 가동 접점(9b) 사이에 있어서, 제 2 외측 요크(34b)의 일부와 제 2 내측 요크(36b)의 일부가 서로 대향하여 있다. 상기 폭방향에 있어서, 제 2 내측 요크(36b)의 외폭은 제 2 외측 요크(34b)의 외폭보다 크다.
또한, 제 2 외측 요크(34b)와 제 2 내측 요크(36b)는 반드시 서로 대향하여 있지 않아도 좋지만, 가동 접촉자(10)의 연장 방향을 따르는 방향에서 바라볼 때, 제 2 고정 접점(8b)과 제 2 가동 접점(9b) 사이에, 제 2 외측 요크(34b)의 일부 및 제 2 내측 요크(36b)의 일부가 위치하여 있는 것이, 후술하는 자계 성분을 발생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내측 요크(36b)의 외폭과 제 2 외측 요크(34b)의 외폭이 동등해도 좋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개폐기(30)에 있어서, 제 1 영구자석(35a) 및 제 2 영구자석(35b)에 의해서 발생되는 자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개폐기로부터 아크 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정면측에서 바라볼 때, 발생하는 자계 분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ⅩⅨ-ⅩⅨ선 화살표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자속(20)은 제 1 영구자석(35a)의 N극으로부터 방출되어서, 제 2 영구자석(35b)의 S극을 향하는 폐루프 형상으로 분포한다. 자속(20)은 공기에 대해서 자속을 통하게 하기 쉬운 성질을 갖는 자성체로 구성된, 제 1 외측 요크(34a), 제 1 내측 요크(36a), 제 2 내측 요크(36b) 및 제 2 외측 요크(34b)에 집중하여 통과한다. 즉, 제 1 영구자석(35a) 및 제 2 영구자석(35b)은 제 1 외측 요크(14a), 제 2 외측 요크(14b), 제 1 내측 요크(16a) 및 제 2 내측 요크(16b)를 자기적으로 결합한다.
그 결과, 제 1 영구자석(35a) 및 제 2 영구자석(35b)은 제 1 고정 접점(8a)과 제 1 가동 접점(9a) 사이, 및 제 2 고정 접점(8b)과 제 2 가동 접점(9b) 사이의 각각에 있어서, 가동 접촉자(10)의 연장 방향을 따르는 방향의 자계 성분을 발생시킨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내측 요크(36a)의 외폭이 제 1 외측 요크(34a)의 외폭보다 크기 때문에, 자속(20)은 제 1 내측 요크(36a)의 근방에서는 상기 폭방향으로 확장되고, 제 1 외측 요크(34a)의 근방에서는 수속하도록 분포한다. 마찬가지로, 제 2 내측 요크(36b)의 외폭이 제 2 외측 요크(34b)의 외폭보다 크기 때문에, 자속(20)은 제 2 내측 요크(36b)의 근방에서는 상기 폭방향으로 확장되고, 제 2 외측 요크(34b)의 근방에서는 수속하도록 분포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개폐기로부터 아크 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정면측에서 바라볼 때, 정방향 전류가 흐르고 있는 경우에 발생하는 아크에 작용하는 구동력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2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정방향 전류가 흐르고 있는 경우는, 프레밍의 왼손의 법칙에 의해, 제 1 고정 접점(8a)과 제 1 가동 접점(9a) 사이에 발생한 아크에 구동력(a1)이 작용하고, 제 2 고정 접점(8b)과 제 2 가동 접점(9b) 사이에 발생한 아크에 구동력(a2)이 작용한다.
제 1 고정 접점(8a)과 제 1 가동 접점(9a) 사이에 발생한 아크에 대해서, 구동력(a1)은 상기 폭방향의 일방으로 주로 작용한 후, 가동 접촉자(10)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 가동 접촉자(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주로 작용한다. 그 결과, 제 1 고정 접점(8a)과 제 1 가동 접점(9a) 사이에 발생한 아크는, 구동력(a1)의 작용을 받아서 길게 잡아늘려진다.
마찬가지로, 제 2 고정 접점(8b)과 제 2 가동 접점(9b) 사이에 발생한 아크에 대해서, 구동력(a2)은 상기 폭방향의 타방으로 주로 작용한 후, 가동 접촉자(10)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 가동 접촉자(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주로 작용한다. 그 결과, 제 2 고정 접점(8b)과 제 2 가동 접점(9b) 사이에 발생한 아크는, 구동력(a2)의 작용을 받아서 길게 잡아늘려진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개폐기로부터 아크 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정면측에서 바라볼 때, 역방향 전류가 흐르고 있는 경우에 발생하는 아크에 작용하는 구동력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2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역방향 전류가 흐르고 있는 경우는, 프레밍의 왼손의 법칙에 의해, 제 1 고정 접점(8a)과 제 1 가동 접점(9a) 사이에 발생한 아크에 구동력(a3)이 작용하고, 제 2 고정 접점(8b)과 제 2 가동 접점(9b) 사이에 발생한 아크에 구동력(a4)이 작용한다.
제 1 고정 접점(8a)과 제 1 가동 접점(9a) 사이에 발생한 아크에 대해서, 구동력(a3)은 상기 폭방향의 타방으로 주로 작용한 후, 가동 접촉자(10)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 가동 접촉자(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주로 작용한다. 그 결과, 제 1 고정 접점(8a)과 제 1 가동 접점(9a) 사이에 발생한 아크는, 구동력(a3)의 작용을 받아서 길게 잡아늘려진다.
마찬가지로, 제 2 고정 접점(8b)과 제 2 가동 접점(9b) 사이에 발생한 아크에 대해서, 구동력(a4)은 상기 폭방향의 일방으로 주로 작용한 후, 가동 접촉자(10)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 가동 접촉자(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주로 작용한다. 그 결과, 제 2 고정 접점(8b)과 제 2 가동 접점(9b) 사이에 발생한 아크는, 구동력(a4)의 작용을 받아서 길게 잡아늘려진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개폐기(30)에 있어서는, 정방향 전류가 흐르고 있는 경우 및 역방향 전류가 흐르고 있는 경우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도, 아크에 대해서 구동력을, 상기 폭방향의 어느 일방으로 작용시킨 후, 가동 접촉자(10)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 가동 접촉자(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작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개폐기(30)에 있어서도, 제 1 영구자석(35a) 및 제 2 영구자석(35b)이 제 1 외측 요크(34a), 제 2 외측 요크(34b), 제 1 내측 요크(36a) 및 제 2 내측 요크(36b)를 자기적으로 결합하고, 제 1 고정 접점(8a)과 제 1 가동 접점(9a) 사이, 및 제 2 고정 접점(8b)과 제 2 가동 접점(9b) 사이의 각각에 있어서, 가동 접촉자(10)의 연장 방향을 따르는 방향의 자계 성분을 발생시킨다. 그 결과, 아크에 구동력을 효과적으로 작용시켜서, 개폐기(30)의 소호 성능을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정방향 전류가 흐르고 있는 경우 및 역방향 전류가 흐르고 있는 경우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도, 아크에 대해서 구동력을, 상기 폭방향의 어느 일방으로 작용시킨 후, 가동 접촉자(10)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 가동 접촉자(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작용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전류의 흐름 방향에 관계없이, 개폐기(30)의 소호 성능을 보다 높게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폭방향에 있어서, 제 1 내측 요크(36a)의 외폭은 제 1 외측 요크(34a)의 외폭보다 크고, 제 2 내측 요크(36b)의 외폭은 제 2 외측 요크(34b)의 외폭보다 큰 것에 의해, 아크에 대해서 구동력을, 상기 폭방향의 어느 일방으로 작용시킨 후, 가동 접촉자(10)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 가동 접촉자(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효과적으로 작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아크를 보다 길게 잡아늘릴 수 있다. 이에 의해, 개폐기(30)의 소호 성능을 더욱 높게 할 수 있다.
제 1 내측 요크(36a)에 절결부(36as)가 마련되어 있는 것에 의해, 제 1 외측 요크(34a)와 제 1 내측 요크(36a) 사이에 발생하는 자속이, 상기 폭방향에 있어서의 제 1 내측 요크(36a)의 중앙부 근처에 수속하는 것을 저감하고, 자속 분포를 상기 폭방향으로 넓힐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내측 요크(36b)에 절결부(36bs)가 마련되어 있는 것에 의해, 제 2 외측 요크(34b)와 제 2 내측 요크(36b) 사이에 발생하는 자속이, 상기 폭방향에 있어서의 제 2 내측 요크(36b)의 중앙부 근처에 수속하는 것을 저감하고, 자속 분포를 상기 폭방향으로 넓힐 수 있다.
이에 의해, 아크에 대해서 구동력을, 가동 접촉자(10)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 가동 접촉자(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보다 효과적으로 작용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아크에 구동력을 효과적으로 작용시키고, 개폐기의 소호 성능을 높게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내측 요크(36a)는 제 1 영구자석(35a)에 접속되어 있고, 제 2 내측 요크(36b)는 제 2 영구자석(35b)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내측 요크와 영구자석의 자기 간극이 작아지기 때문에, 보다 강력한 구동력을 아크에 작용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개폐기(30)의 소호 성능을 높게 할 수 있다. 구동력의 강도를 유지하는 경우에는, 영구자석을 소형으로 할 수 있어서, 1개당 영구자석의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제 1 외측 요크(34a) 및 제 1 내측 요크(36a)의 각각이 절연 피복되어 있는 것에 의해, 제 1 고정 접촉자(7a)와 가동 접촉자(10)가 단락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 2 외측 요크(34b) 및 제 2 내측 요크(36b)의 각각이 절연 피복되어 있는 것에 의해, 제 2 고정 접촉자(7b)와 가동 접촉자(10)가 단락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형태 4.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따른 개폐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따른 개폐기는 영구자석, 제 1 외측 요크, 제 2 외측 요크, 제 1 내측 요크 및 제 2 내측 요크의 구성이 주로 실시형태 1의 개폐기(1)와는 상이하기 때문에, 실시형태 1의 개폐기(1)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따른 개폐기로부터 아크 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정면측에서 바라본 부분 확대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ⅩⅩⅢ-ⅩⅩⅢ선 화살표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22 및 도 2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따른 개폐기(40)는 제 1 고정 접촉자(7a)와, 제 2 고정 접촉자(7b)와, 가동 접촉자(10)와, 구동축(11)과, 제 1 외측 요크(44a)와, 제 2 외측 요크(44b)와, 제 1 내측 요크(46a)와, 제 2 내측 요크(46b)와, 제 1 영구자석(45a)과, 제 2 영구자석(45b)을 구비한다.
제 1 영구자석(45a) 및 제 2 영구자석(45b)은 가동 접촉자(10)에 관해서, 구동축(11)의 축방향에 있어서, 제 1 고정 접촉자(7a) 및 제 2 고정 접촉자(7b)와는 반대측의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개폐기(40)는 각 소호실에 있어서, 2개의 영구자석을 구비한다.
제 1 영구자석(45a) 및 제 2 영구자석(45b)의 각각에는, 지지체(12d)가 장착되어 있다. 제 1 영구자석(45a) 및 제 2 영구자석(45b)의 각각은, 지지체(12d)에 의해서 아크 커버에 고정되어 있다.
제 1 외측 요크(44a)는 예를 들면, 철 등의 자성체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외측 요크(44a)의 일단은 제 1 영구자석(45a)의 N극에 접속되어 있다. 제 1 외측 요크(44a)의 타단은 제 1 고정 접점(8a) 및 제 1 가동 접점(9a)의 근방에 위치하여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외측 요크(44a)는 가동 접촉자(10)의 연장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과, 구동축(11)의 축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갖는다. 제 1 외측 요크(44a)에 있어서의 가동 접촉자(10)의 연장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은, 가동 접촉자(10)의 일방의 주면과 간격을 두고 대향하여 있다. 제 1 외측 요크(44a)에 있어서의 구동축(11)의 축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은, 가동 접촉자(10)의 일단면과 간격을 두고 대향하여 있다.
또한, 제 1 외측 요크(44a)의 형상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후술하는 자계 성분을 발생시킬 수 있는 범위 내에 있어서, 구동축(11)의 축방향에서 바라볼 때, 가동 접촉자(10)의 연장 방향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가동 접촉자(10)의 일단부보다 외측의 위치에 제 1 외측 요크(44a)의 일부가 위치하여 있으면 좋다.
제 2 외측 요크(44b)는 예를 들면, 철 등의 자성체로 구성되어 있다. 제 2 외측 요크(44b)의 일단은 제 2 영구자석(45b)의 S극에 접속되어 있다. 제 2 외측 요크(44b)의 타단은 제 2 고정 접점(8b) 및 제 2 가동 접점(9b)의 근방에 위치하여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2 외측 요크(44b)는 가동 접촉자(10)의 연장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과, 구동축(11)의 축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갖는다. 제 2 외측 요크(34b)에 있어서의 가동 접촉자(10)의 연장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은, 가동 접촉자(10)의 일방의 주면과 간격을 두고 대향하여 있다. 제 2 외측 요크(44b)에 있어서의 구동축(11)의 축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은, 가동 접촉자(10)의 타단면과 간격을 두고 대향하여 있다.
또한, 제 2 외측 요크(44b)의 형상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후술하는 자계 성분을 발생시킬 수 있는 범위 내에 있어서, 구동축(11)의 축방향에서 바라볼 때, 가동 접촉자(10)의 연장 방향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가동 접촉자(10)의 타단부보다 외측의 위치에 제 2 외측 요크(44b)의 일부가 위치하여 있으면 좋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따른 개폐기의 내측 요크를 구성하는 부재의 외관을 측면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5는 도 24의 내측 요크를 구성하는 부재를 화살표(ⅩⅩⅤ)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4 및 도 2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내측 요크(46a) 및 제 2 내측 요크(46b)는 별체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내측 요크(46a) 및 제 2 내측 요크(46b)의 각각은, 철 등의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1매의 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내측 요크(46a) 및 제 2 내측 요크(46b)의 각각은, 직사각형상의 외형을 갖는다.
제 1 내측 요크(46a)는 상기 폭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상기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절결부(46as)가 마련되어 있다. 제 2 내측 요크(46b)는 상기 폭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상기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절결부(46bs)가 마련되어 있다. 절결부(46as)와 절결부(46bs)는 대략 동일한 형상이며, 가동 접촉자(10)측으로 개방하여 있다. 절결부(46as) 및 절결부(46bs)의 각각의 폭은, 가동 접촉자(10)의 폭보다 크다. 이에 의해, 제 1 내측 요크(46a) 및 제 2 내측 요크(46b)의 각각이, 가동 접촉자(10)와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 내측 요크(46a)의 일단부는 제 1 영구자석(45a)의 S극에 접속되어 있다. 제 2 내측 요크(46b)의 일단부는 제 2 영구자석(45b)의 N극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 1 영구자석(45a) 및 제 2 영구자석(45b)의 각각의 자극의 방향은 반대여도 좋다. 예를 들어, 제 1 내측 요크(46a)의 일단부가 제 1 영구자석(45a)의 N극에 접속되고, 제 2 내측 요크(46b)의 일단부가 제 2 영구자석(45b)의 S극에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자극의 방향이 바뀌면, 뒤에 설명하는 아크 구동 방향이 바뀌지만, 아크 구동 능력 및 그에 따른 차단 성능은 동등하게 된다.
제 1 내측 요크(46a)는 구동축(11)의 축방향에서 바라볼 때, 제 1 고정 접촉자(7a)와 구동축(11) 사이의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제 2 내측 요크(46b)는 구동축(11)의 축방향에서 바라볼 때, 제 2 고정 접촉자(7b)와 구동축(11) 사이의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가동 접촉자(10)의 연장 방향을 따르는 방향에서 바라볼 때, 제 1 고정 접점(8a)과 제 1 가동 접점(9a) 사이에 있어서, 제 1 외측 요크(44a)의 일부와 제 1 내측 요크(46a)의 일부가 서로 대향하여 있다. 상기 폭방향에 있어서, 제 1 내측 요크(46a)의 외폭은 제 1 외측 요크(44a)의 외폭보다 크다.
또한, 제 1 외측 요크(44a)와 제 1 내측 요크(46a)는 반드시 서로 대향하고 있지 않아도 좋지만, 가동 접촉자(10)의 연장 방향을 따르는 방향에서 바라볼 때, 제 1 고정 접점(8a)과 제 1 가동 접점(9a) 사이에, 제 1 외측 요크(44a)의 일부 및 제 1 내측 요크(46a)의 일부가 위치하여 있는 것이, 후술하는 자계 성분을 발생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내측 요크(46a)의 외폭과 제 1 외측 요크(44a)의 외폭이 동등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가동 접촉자(10)의 연장 방향을 따르는 방향에서 바라볼 때, 제 2 고정 접점(8b)과 제 2 가동 접점(9b) 사이에 있어서, 제 2 외측 요크(44b)의 일부와 제 2 내측 요크(46b)의 일부가 서로 대향하여 있다. 상기 폭방향에 있어서, 제 2 내측 요크(46b)의 외폭은 제 2 외측 요크(44b)의 외폭보다 크다.
또한, 제 2 외측 요크(44b)와 제 2 내측 요크(46b)는 반드시 서로 대향하고 있지 않아도 좋지만, 가동 접촉자(10)의 연장 방향을 따르는 방향에서 바라볼 때, 제 2 고정 접점(8b)과 제 2 가동 접점(9b) 사이에, 제 2 외측 요크(44b)의 일부 및 제 2 내측 요크(46b)의 일부가 위치하여 있는 것이, 후술하는 자계 성분을 발생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내측 요크(46b)의 외폭과 제 2 외측 요크(44b)의 외폭이 동등해도 좋다.
제 1 영구자석(45a) 및 제 2 영구자석(45b)은 제 1 외측 요크(44a), 제 2 외측 요크(44b), 제 1 내측 요크(46a) 및 제 2 내측 요크(46b)를 자기적으로 결합한다. 그 결과, 제 1 영구자석(45a) 및 제 2 영구자석(45b)은 제 1 고정 접점(8a)과 제 1 가동 접점(9a) 사이, 및 제 2 고정 접점(8b)과 제 2 가동 접점(9b) 사이의 각각에 있어서, 가동 접촉자(10)의 연장 방향을 따르는 방향의 자계 성분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따른 개폐기(40)에 있어서도, 제 1 영구자석(45a) 및 제 2 영구자석(45b)이 제 1 외측 요크(44a), 제 2 외측 요크(44b), 제 1 내측 요크(46a) 및 제 2 내측 요크(46b)를 자기적으로 결합하고, 제 1 고정 접점(8a)과 제 1 가동 접점(9a) 사이, 및 제 2 고정 접점(8b)과 제 2 가동 접점(9b) 사이의 각각에 있어서, 가동 접촉자(10)의 연장 방향을 따르는 방향의 자계 성분을 발생시킨다. 그 결과, 아크에 구동력을 효과적으로 작용시켜서, 개폐기(40)의 소호 성능을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정방향 전류가 흐르고 있는 경우 및 역방향 전류가 흐르고 있는 경우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도, 아크에 대해서 구동력을, 상기 폭방향의 어느 일방에 작용시킨 후, 가동 접촉자(10)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 가동 접촉자(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작용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전류의 흐름 방향에 관계없이, 개폐기(30)의 소호 성능을 보다 높게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폭방향에 있어서, 제 1 내측 요크(46a)의 외폭은 제 1 외측 요크(44a)의 외폭보다 크고, 제 2 내측 요크(46b)의 외폭은 제 2 외측 요크(44b)의 외폭보다 큰 것에 의해, 아크에 대해서 구동력을, 상기 폭방향의 어느 일방으로 작용시킨 후, 가동 접촉자(10)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 가동 접촉자(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효과적으로 작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아크를 보다 길게 잡아늘릴 수 있다. 이에 의해, 개폐기(40)의 소호 성능을 더욱 높게 할 수 있다.
제 1 내측 요크(46a)에 절결부(46as)가 마련되어 있는 것에 의해, 제 1 외측 요크(44a)와 제 1 내측 요크(46a) 사이에 발생하는 자속이, 상기 폭방향에 있어서의 제 1 내측 요크(46a)의 중앙부 근처에 수속하는 것을 저감하고, 자속 분포를 상기 폭방향으로 넓힐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내측 요크(46b)에 절결부(46bs)가 마련되어 있는 것에 의해, 제 2 외측 요크(44b)와 제 2 내측 요크(46b) 사이에 발생하는 자속이, 상기 폭방향에 있어서의 제 2 내측 요크(46b)의 중앙부 근처에 수속하는 것을 저감하고, 자속 분포를 상기 폭방향으로 넓힐 수 있다.
이에 의해, 아크에 대해서 구동력을, 가동 접촉자(10)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 가동 접촉자(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보다 효과적으로 작용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아크에 구동력을 효과적으로 작용시켜서, 개폐기의 소호 성능을 높게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내측 요크(46a)는 제 1 영구자석(45a)에 접속되어 있고, 제 2 내측 요크(46b)는 제 2 영구자석(45b)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내측 요크와 영구자석의 자기 간극이 작아지기 때문에, 보다 강력한 구동력을 아크에 작용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개폐기(40)의 소호 성능을 높게 할 수 있다. 구동력의 강도를 유지하는 경우에는, 영구자석을 소형으로 할 수 있어서, 1개당 영구자석의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실시형태 5.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따른 개폐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따른 개폐기는 제 1 외측 요크 및 제 2 외측 요크의 각각의 형상이, 실시형태 4의 개폐기(40)와는 상이하기 때문에, 실시형태 4의 개폐기(40)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따른 개폐기로부터 아크 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정면측에서 바라본 부분 확대도이다. 도 27은 도 26의 ⅩⅩⅦ-ⅩⅩⅦ선 화살표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26 및 도 2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따른 개폐기(50)는 제 1 고정 접촉자(7a)와, 제 2 고정 접촉자(7b)와, 가동 접촉자(10)와, 구동축(11)과, 제 1 외측 요크(54a)와, 제 2 외측 요크(54b)와, 제 1 내측 요크(46a)와, 제 2 내측 요크(46b)와, 제 1 영구자석(45a)과, 제 2 영구자석(45b)을 구비한다.
제 1 외측 요크(54a)는 예를 들면, 철 등의 자성체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외측 요크(54a)는 가동 접촉자(10)의 연장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1 외측 요크(54a)는 가동 접촉자(10)의 일방의 주면과 간격을 두고 대향하여 있다. 제 1 외측 요크(54a)의 일단은 제 1 영구자석(45a)의 N극에 접속되어 있다. 다만, 자극의 방향은 반대여도 좋다. 제 1 외측 요크(54a)의 타단은 구동축(11)의 축방향에서 바라볼 때, 가동 접촉자(10)의 연장 방향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가동 접촉자(10)의 일단부보다 외측의 위치에 위치하여 있다.
제 2 외측 요크(54b)는 예를 들면, 철 등의 자성체로 구성되어 있다. 제 2 외측 요크(54b)는 가동 접촉자(10)의 연장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2 외측 요크(54b)는 가동 접촉자(10)의 일방의 주면과 간격을 두고 대향하여 있다. 제 2 외측 요크(54b)의 일단은 제 2 영구자석(45b)의 S극에 접속되어 있다. 다만, 자극의 방향은 반대여도 좋다. 제 2 외측 요크(54b)의 타단은 구동축(11)의 축방향에서 바라볼 때, 가동 접촉자(10)의 연장 방향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가동 접촉자(10)의 타단부보다 외측의 위치에 위치하여 있다.
제 1 영구자석(45a) 및 제 2 영구자석(45b)은 제 1 외측 요크(54a), 제 2 외측 요크(54b), 제 1 내측 요크(46a) 및 제 2 내측 요크(46b)를 자기적으로 결합한다. 그 결과, 제 1 영구자석(45a) 및 제 2 영구자석(45b)은, 제 1 고정 접점(8a)과 제 1 가동 접점(9a) 사이, 및 제 2 고정 접점(8b)과 제 2 가동 접점(9b) 사이의 각각에 있어서, 가동 접촉자(10)의 연장 방향을 따르는 방향의 자계 성분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따른 개폐기(50)에 있어서도, 제 1 영구자석(45a) 및 제 2 영구자석(45b)이 제 1 외측 요크(54a), 제 2 외측 요크(54b), 제 1 내측 요크(46a) 및 제 2 내측 요크(46b)를 자기적으로 결합하고, 제 1 고정 접점(8a)과 제 1 가동 접점(9a) 사이, 및 제 2 고정 접점(8b)과 제 2 가동 접점(9b) 사이의 각각에 있어서, 가동 접촉자(10)의 연장 방향을 따르는 방향의 자계 성분을 발생시킨다. 그 결과, 아크에 구동력을 효과적으로 작용시켜서, 개폐기(50)의 소호 성능을 높게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외측 요크(54a) 및 제 2 외측 요크(54b)의 각각을 간단하고 쉬운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 1 외측 요크(54a) 및 제 2 외측 요크(54b)의 각각이 아크에 접촉하여 손상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형태 6.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 6에 따른 개폐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 6에 따른 개폐기는 제 1 고정 접촉자 및 제 2 고정 접촉자의 각각의 형상이, 실시형태 3의 개폐기(30)와는 상이하기 때문에, 실시형태 3의 개폐기(30)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6에 따른 개폐기로부터 아크 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정면측에서 바라본 부분 확대도이다. 도 29는 도 28의 ⅩⅩⅨ-ⅩⅩⅨ선 화살표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28 및 도 2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 6에 따른 개폐기(60)는 제 1 고정 접촉자(67a)와, 제 2 고정 접촉자(67b)와, 가동 접촉자(10)와, 구동축(11)과, 제 1 외측 요크(34a)와, 제 2 외측 요크(34b)와, 제 1 내측 요크(36a)와, 제 2 내측 요크(36b)와, 제 1 영구자석(35a)과, 제 2 영구자석(35b)을 구비한다.
제 1 고정 접촉자(67a)는 길이 방향을 갖고, 구동축(11)에 가까워지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과, 이 부분으로부터 굴곡하여 가동 접촉자(10)에 가까워지도록 구동축(11)을 따라 연장되는 부분과, 이 부분으로부터 굴곡하여 구동축(11)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한다. 구동축(11)에 가까워지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 및 가동 접촉자(10)에 가까워지도록 구동축(11)을 따라 연장되는 부분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폭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제 1 외측 요크(34a)가 관통하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 형상의 관통 구멍(67ah)이 마련되어 있다.
제 2 고정 접촉자(67b)는 제 1 고정 접촉자(67a)에 간극을 두고 1열로 나열되어 배치되어 있다. 제 2 고정 접촉자(67b)는 길이 방향을 갖고, 구동축(11)에 가까워지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과, 이 부분으로부터 굴곡하여 가동 접촉자(10)에 가까워지도록 구동축(11)을 따라 연장되는 부분과, 이 부분으로부터 굴곡하여 구동축(11)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한다. 구동축(11)에 가까워지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 및 가동 접촉자(10)에 가까워지도록 구동축(11)을 따라 연장되는 부분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폭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제 2 외측 요크(34b)가 관통하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 형상의 관통 구멍(67bh)이 마련되어 있다.
제 1 고정 접점(8a)은 제 1 고정 접촉자(67a)의 구동축(11)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의 길이 방향의 타단부의 주면 상에 마련되어 있다. 제 2 고정 접점(8b)은 제 2 고정 접촉자(67b)의 구동축(11)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의 주면 상에 마련되어 있다. 제 1 고정 접점(8a) 및 제 2 고정 접점(8b)은, 제 1 고정 접촉자(67a) 및 제 2 고정 접촉자(67b)의 각각의 길이 방향으로 나열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고정 접촉자(67a) 및 제 2 고정 접촉자(67b)의 각각이 되접힌 형상을 갖기 때문에, 제 1 고정 접촉자(67a) 및 제 2 고정 접촉자(67b)의 각각을 흐르는 전류에 의한 자기 자장을 강화하여, 아크에 작용하는 구동력을 높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고정 접촉자(67a)에 관통 구멍(67ah)이 마련되어 있고, 제 2 고정 접촉자(67b)에 관통 구멍(67bh)이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 1 고정 접촉자(67a) 및 제 2 고정 접촉자(67b)의 각각을 흐르는 전류의 밀도가 커진다. 이에 의해, 제 1 고정 접촉자(67a) 상 또는 제 2 고정 접촉자(67b) 상을 주행하는 아크에 작용하는 전자력을 강화하여, 아크 차단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제 1 고정 접촉자(67a)에 관통 구멍(67ah)이 마련되어 있고, 제 2 고정 접촉자(67b)에 관통 구멍(67bh)이 마련되어 있는 것에 의해, 제 1 외측 요크(34a) 및 제 2 외측 요크(34b)의 각각이 아크에 접촉하여 손상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형태 7.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 7에 따른 개폐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 7에 따른 개폐기는, 가동 접촉자에 오목부가 마련되어 있는 점이, 실시형태 6의 개폐기(60)와는 상이하기 때문에, 실시형태 6의 개폐기(60)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7에 따른 개폐기로부터 아크 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정면측에서 바라본 부분 확대도이다. 도 31은 도 30의 XXXⅠ-XXXⅠ선 화살표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30 및 도 3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 7에 따른 개폐기(70)는 제 1 고정 접촉자(67a)와, 제 2 고정 접촉자(67b)와, 가동 접촉자(10x)와, 구동축(11)과, 제 1 외측 요크(34a)와, 제 2 외측 요크(34b)와, 제 1 내측 요크(36a)와, 제 2 내측 요크(36b)와, 제 1 영구자석(35a)과, 제 2 영구자석(35b)을 구비한다.
가동 접촉자(10x)는 상기 폭방향에 수직한 양측면에 있어서, 제 1 내측 요크(36a)의 절결부(36as)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동축(11)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부(10an)가 마련되어 있고, 제 2 내측 요크(36b)의 절결부(36bs)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동축(11)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부(10bn)가 마련되어 있다.
개폐기에 있어서는, 진동 등에 의해, 가동 접촉자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가동 접촉자(10x)에 오목부(10an) 및 오목부(10bn)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내측 요크(36a) 및 제 2 내측 요크(36b)의 각각의 형상을 유지하면서, 제 1 내측 요크(36a) 및 제 2 내측 요크(36b)의 각각과 가동 접촉자(10x)의 이격 거리를 크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아크에 작용하는 구동력을 유지하면서, 가동 접촉자(10x)에 위치 어긋남이 생겼을 경우에도, 제 1 내측 요크(36a) 및 제 2 내측 요크(36b)의 각각과 가동 접촉자(10x)가 간섭 또는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형태 8.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 8에 따른 개폐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 8에 따른 개폐기는 가동 접점 및 고정 접점의 근방에 소호재가 마련되어 있는 점이, 실시형태 6의 개폐기(60)와는 상이하기 때문에, 실시형태 6의 개폐기(60)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8에 따른 개폐기로부터 아크 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정면측에서 바라본 부분 확대도이다. 도 33은 도 32의 ⅩⅩⅩⅢ-ⅩⅩⅩⅢ선 화살표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32 및 도 3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 8에 따른 개폐기(80)는 제 1 고정 접촉자(67a)와, 제 2 고정 접촉자(67b)와, 가동 접촉자(10)와, 구동축(11)과, 제 1 외측 요크(34a)와, 제 2 외측 요크(34b)와, 제 1 내측 요크(36a)와, 제 2 내측 요크(36b)와, 제 1 영구자석(35a)과, 제 2 영구자석(35b)과, 제 1 소호재(83a)와, 제 2 소호재(83b)를 구비한다.
제 1 소호재(83a)는 평판 형상의 외형을 갖고, 상기 폭방향에 있어서 서로 간격을 두고 대향하도록 1쌍으로 배치되어 있다. 1쌍의 제 1 소호재(83a)끼리 사이에 제 1 고정 접점(8a) 및 제 1 가동 접점(9a)이 위치하여 있다. 제 1 소호재(83a)는 유기물 또는 무기물로 이루어지는 절연 재료, 또는 금속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제 2 소호재(83b)는 평판 형상의 외형을 갖고, 상기 폭방향에 있어서 서로 간격을 두고 대향하도록 1쌍으로 배치되어 있다. 1쌍의 제 2 소호재(83b)끼리 사이에 제 2 고정 접점(8b) 및 제 2 가동 접점(9b)이 위치하여 있다. 제 2 소호재(83b)는 유기물 또는 무기물로 이루어지는 절연 재료, 또는 금속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도 20 및 도 2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고정 접점(8a)과 제 1 가동 접점(9a) 사이에 발생한 아크, 및 제 2 고정 접점(8b)과 제 2 가동 접점(9b) 사이에 발생한 아크의 각각은, 상기 폭방향으로 구동된 후, 가동 접촉자(10)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 가동 접촉자(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동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소호재(83a) 및 제 2 소호재(83b)가 마련되어 있는 것에 의해, 아크가 상기 폭방향으로 구동되었을 때에 제 1 소호재(83a) 또는 제 2 소호재(83b)와 접촉하기 때문에, 개폐기(80)의 개극 초기 단계로부터 아크를 감쇠시키고, 아크 전류를 한류(限流)할 수 있어서 개폐기(80)의 차단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실시형태 9.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 9에 따른 개폐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 9에 따른 개폐기는 가동 접점 및 고정 접점의 근방에 그리드가 마련되어 있는 점이, 실시형태 6의 개폐기(60)와는 상이하기 때문에, 실시형태 6의 개폐기(60)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9에 따른 개폐기로부터 아크 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정면측에서 바라본 부분 확대도이다. 도 35는 도 34의 ⅩⅩⅩⅤ-ⅩⅩⅩⅤ선 화살표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34 및 도 3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 9에 따른 개폐기(90)는 제 1 고정 접촉자(67a)와, 제 2 고정 접촉자(67b)와, 가동 접촉자(10)와, 구동축(11)과, 제 1 외측 요크(34a)와, 제 2 외측 요크(34b)와, 제 1 내측 요크(36a)와, 제 2 내측 요크(36b)와, 제 1 영구자석(35a)과, 제 2 영구자석(35b)과, 제 1 그리드(93a)와, 제 2 그리드(93b)를 구비한다.
제 1 그리드(93a)는 구동축(11)의 축방향에서 바라볼 때, U자 형상의 외형을 갖고 있다. 제 1 그리드(93a)는 제 1 고정 접점(8a) 및 제 1 가동 접점(9a)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그리드(93a)는 구동축(11)의 축방향에서 바라볼 때, 제 1 그리드(93a)의 내측에, 제 1 고정 접점(8a) 및 제 1 가동 접점(9a)이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복수의 제 1 그리드(93a)가 구동축(11)의 축방향에 있어서 서로 간격을 두고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단, 제 1 그리드(93a)의 수는 복수에 한정되지 않고, 1개여도 좋다. 제 1 그리드(93a)는 스테인리스 또는 구리 등의 비자성 금속, 또는 비자성 세라믹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2 그리드(93b)는 구동축(11)의 축방향에서 바라볼 때, U자 형상의 외형을 갖고 있다. 제 2 그리드(93b)는 제 2 고정 접점(8b) 및 제 2 가동 접점(9b)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그리드(93b)는 구동축(11)의 축방향에서 바라볼 때, 제 2 그리드(93b)의 내측에, 제 2 고정 접점(8b) 및 제 2 가동 접점(9b)이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복수의 제 2 그리드(93b)가 구동축(11)의 축방향에 있어서 서로 간격을 두고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다만, 제 2 그리드(93b)의 수는 복수에 한정되지 않고, 1개여도 좋다. 제 2 그리드(93b)는 스테인리스 또는 구리 등의 비자성 금속, 또는 비자성 세라믹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그리드(93a)의 내측에 제 1 외측 요크(34a)가 위치하고, 제 2 그리드(93b)의 내측에 제 2 외측 요크(34b)가 위치하여 있지만, 제 1 그리드(93a)의 외측에 제 1 외측 요크(34a)가 위치하고, 제 2 그리드(93b)의 외측에 제 2 외측 요크(34b)가 위치하고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그리드(93a) 및 제 2 그리드(93b)가 마련되어 있는 것에 의해, 제 1 고정 접점(8a)과 제 1 가동 접점(9a) 사이, 및 제 2 고정 접점(8b)과 제 2 가동 접점(9b) 사이의 각각에 있어서, 아크가 구동된 후, 제 1 그리드(93a) 및 제 2 그리드(93b)에 의해서 아크가 분단되기 때문에, 아크 전압을 높여서, 개폐기(90)의 차단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 1 그리드(93a) 및 제 2 그리드(93b)의 각각을 복수 마련하는 것에 의해, 개폐기(90)의 대응 전압을 높일 수 있다.
실시형태 10.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 10에 따른 개폐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 10에 따른 개폐기는 영구자석, 제 1 외측 요크, 제 2 외측 요크, 제 1 내측 요크 및 제 2 내측 요크의 구성이 주로 실시형태 4의 개폐기와는 상이하기 때문에, 실시형태 4의 개폐기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도 3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0에 따른 개폐기로부터 아크 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정면측에서 바라본 부분 확대도이다. 도 37은 도 36의 ⅩⅩⅩⅦ-ⅩⅩⅩⅦ선 화살표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38은 도 37의 ⅩⅩⅩⅧ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6 내지 도 3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 10에 따른 개폐기(100)는 제 1 고정 접촉자(7a)와, 제 2 고정 접촉자(7b)와, 가동 접촉자(10)와, 구동축(11)과, 제 1 외측 요크(104a)와, 제 2 외측 요크(104b)와, 제 1 내측 요크(106a)와, 제 2 내측 요크(106b)와, 제 1 영구자석(105a)과, 제 2 영구자석(105b)을 구비한다.
제 1 내측 요크(106a) 및 제 2 내측 요크(106b)의 각각은 1매의 판 형상의 자성체가 굽힘 가공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 1 내측 요크(106a) 및 제 2 내측 요크(106b)의 각각은 가동 접촉자(10)의 일부를 상방으로부터 덮도록, 역 U자 형상의 외형을 갖고 있다. 또한, 제 1 내측 요크(106a)와 제 2 내측 요크(106b)를 일체로 성형하는 구조를 취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1 내측 요크(106a)는 제 1 가동 접점(9a)과 구동축(11)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제 1 내측 요크(106a)의 일부가 제 1 가동 접점(9a)을 덮는 구조여도 좋다. 제 2 내측 요크(106b)는 제 2 가동 접점(9b)과 구동축(11)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제 2 내측 요크(106b)의 일부가 제 2 가동 접점(9b)을 덮는 구조여도 좋다.
제 1 내측 요크(106a)의 상부는 제 1 영구자석(105a)의 N극에 접속되어 있다. 제 2 내측 요크(106b)의 상부는 제 2 영구자석(105b)의 N극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 1 영구자석(105a) 및 제 2 영구자석(105b)의 각각의 자극의 방향은 반대여도 좋다. 예를 들어, 제 1 내측 요크(106a)의 상부가 제 1 영구자석(105a)의 S극에 접속되고, 제 2 내측 요크(106b)의 상부가 제 2 영구자석(105b)의 S극에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제 1 외측 요크(104a)는 제 1 영구자석(105a)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고, 제 1 외측 요크(104a)의 일단이 제 1 영구자석(105a)의 S극에 접속되어 있다. 제 1 외측 요크(104a)의 타단은 제 1 고정 접점(8a) 및 제 1 가동 접점(9a)의 근방에 위치하여 있다.
제 2 외측 요크(104b)는 제 2 영구자석(105b)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고, 제 2 외측 요크(104b)의 일단이 제 2 영구자석(105b)의 S극에 접속되어 있다. 제 2 외측 요크(104b)의 타단은 제 2 고정 접점(8b) 및 제 2 가동 접점(9b)의 근방에 위치하여 있다.
또한, 제 1 외측 요크(104a)의 상부에 제 1 영구자석(105a)이 접속되고, 제 1 영구자석(105a)의 상부에 제 1 내측 요크(106a)가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마찬가지로, 제 2 외측 요크(104b)의 상부에 제 2 영구자석(105b)이 접속되고, 제 2 영구자석(105b)의 상부에 제 2 내측 요크(106b)가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도 3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가동 접촉자(10)의 연장 방향을 따르는 방향에서 바라볼 때, 제 1 내측 요크(106a) 및 제 2 내측 요크(106b)의 각각의 폭은, 제 1 외측 요크(104a) 및 제 2 외측 요크(104b)의 각각의 폭보다 크다. 이에 의해, 실시형태 4에 따른 개폐기(40)와 마찬가지로, 아크에 대해서 구동력을, 상기 폭방향의 어느 일방으로 작용시킨 후, 가동 접촉자(10)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 가동 접촉자(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효과적으로 작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아크를 보다 길게 잡아늘릴 수 있다. 이에 의해, 개폐기(100)의 소호 성능을 더욱 높게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내측 요크(106a) 및 제 2 내측 요크(106b)의 각각의 성형이 용이하기 때문에, 제 1 내측 요크(106a) 및 제 2 내측 요크(106b)의 각각을 보다 소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나아가서는, 제 1 상의 소호실(2a) 및 제 2 상의 소호실(2b)의 각각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서로 조합 가능한 구성을 적절하게 조합해도 좋다.
또한, 금회 개시된 상기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한정적인 해석의 근거가 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한 실시형태에 의해서만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청구범위와 균등의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된다.
1, 30, 40, 50, 60, 70, 80, 90, 100 : 개폐기
2a, 2b : 소호실 3 : 조작 코일
4 : 고정 철심 5 : 가동 철심
7a, 67a : 제 1 고정 접촉자 7b, 67b : 제 2 고정 접촉자
8a : 제 1 고정 접점 8b : 제 2 고정 접점
9a : 제 1 가동 접점 9b : 제 2 가동 접점
10, 10x : 가동 접촉자 10a : 주면
10an, 10bn : 오목부 10b : 일단면
10c : 타단면 11 : 구동축
11h : 구멍부 12a : 장착대
12b : 베이스 12c : 아크 커버
12d : 지지체 13 : 그리드
14a, 34a, 44a, 54a, 104a : 제 1 외측 요크
14b, 34b, 44b, 54b, 104b : 제 2 외측 요크
15 : 영구자석
16a, 26a, 36a, 46a, 106a : 제 1 내측 요크
16b, 26b, 36b, 46b, 106b : 제 2 내측 요크
17 : 절연판 18 : 접압 스프링
20 : 자속
26as, 26bs, 36as, 36bs, 46as, 46bs : 절결부
35a, 45a, 105a : 제 1 영구자석
35b, 45b, 105b : 제 2 영구자석 67ah, 67bh : 관통 구멍
83a : 제 1 소호재 83b : 제 2 소호재
93a : 제 1 그리드 93b : 제 2 그리드
I : 전류 a1, a2, a3, a4 : 구동력

Claims (14)

  1. 제 1 고정 접점을 갖는 제 1 고정 접촉자와,
    상기 제 1 고정 접촉자에 간극을 두고 1열로 나열되어 배치되고, 제 2 고정 접점을 갖는 제 2 고정 접촉자와,
    상기 제 1 고정 접점과 상기 제 2 고정 접점의 측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고정 접점에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된 제 1 가동 접점을 일단부에 갖고, 상기 제 2 고정 접점에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된 제 2 가동 접점을 타단부에 갖는 가동 접촉자와,
    절연체로 구성되고, 상기 간극을 통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가동 접촉자를 상기 측방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축과,
    자성체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고정 접점과 상기 제 2 고정 접점이 나열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가동 접촉자의 상기 일단부보다 외측의 위치에 일부가 위치하는 제 1 외측 요크와,
    자성체로 구성되고, 상기 나열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가동 접촉자의 상기 타단부보다 외측의 위치에 일부가 위치하는 제 2 외측 요크와,
    자성체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고정 접촉자와 상기 구동축 사이의 위치에 일부가 위치하는 제 1 내측 요크와,
    자성체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고정 접촉자와 상기 구동축 사이의 위치에 일부가 위치하는 제 2 내측 요크와,
    상기 제 1 외측 요크 및 상기 제 2 외측 요크의 각각에 접속된 영구자석을 구비하고,
    상기 영구자석은 상기 제 1 외측 요크, 상기 제 2 외측 요크, 상기 제 1 내측 요크 및 상기 제 2 내측 요크를 자기적으로 결합하고, 상기 제 1 고정 접점과 상기 제 1 가동 접점 사이, 및 상기 제 2 고정 접점과 상기 제 2 가동 접점 사이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나열되는 방향의 자계 성분을 발생시키는
    개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접촉자는 상기 나열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1 가동 접점은 상기 제 1 고정 접점에 접리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 2 가동 접점은 상기 제 2 고정 접점에 접리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고,
    상기 구동축은 상기 제 1 고정 접점과 상기 제 1 가동 접점이 서로 대향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또한, 상기 제 2 고정 접점과 상기 제 2 가동 접점이 서로 대향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가동 접촉자를 상기 나열되는 방향에 대해서 수직한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영구자석은 상기 가동 접촉자에 관해서, 상기 축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 접촉자 및 상기 제 2 고정 접촉자와는 반대측의 위치, 또는 상기 제 1 고정 접촉자 및 상기 제 2 고정 접촉자에 관해서, 상기 축방향에 있어서, 상기 가동 접촉자와는 반대측의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개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나열되는 방향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 1 고정 접점과 상기 제 1 가동 접점 사이에, 상기 제 1 외측 요크의 일부 및 상기 제 1 내측 요크의 일부가 위치하고,
    상기 나열되는 방향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 2 고정 접점과 상기 제 2 가동 접점 사이에, 상기 제 2 외측 요크의 일부 및 상기 제 2 내측 요크의 일부가 위치하여 있는
    개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나열되는 방향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 1 고정 접점과 상기 제 1 가동 접점 사이에 있어서, 상기 제 1 외측 요크의 일부와 상기 제 1 내측 요크의 일부가 서로 대향하고,
    상기 나열되는 방향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 2 고정 접점과 상기 제 2 가동 접점 사이에 있어서, 상기 제 2 외측 요크의 일부와 상기 제 2 내측 요크의 일부가 서로 대향하여 있는
    개폐기.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열되는 방향 및 상기 축방향의 각각에 대해서 수직한 폭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측 요크의 외폭은 상기 제 1 외측 요크의 외폭보다 크고,
    상기 폭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2 내측 요크의 외폭은 상기 제 2 외측 요크의 외폭보다 큰
    개폐기.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측 요크는 상기 나열되는 방향 및 상기 축방향의 각각에 대해서 수직한 폭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상기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절결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 2 내측 요크는 상기 폭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상기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절결부가 마련되어 있는
    개폐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자석으로서, 1개의 영구자석만을 구비하는
    개폐기.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측 요크 및 상기 제 2 내측 요크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는
    개폐기.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측 요크 및 상기 제 2 내측 요크의 각각은 상기 구동축에 접속되어 있는
    개폐기.
  10.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측 요크 및 상기 제 2 내측 요크의 각각은 상기 영구자석에 접속되어 있는
    개폐기.
  11. 제 2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외측 요크가 상기 나열되는 방향 및 상기 축방향의 각각에 대해서 수직한 폭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고정 접촉자의 중앙부를 관통하고,
    상기 제 2 외측 요크가 상기 폭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고정 접촉자의 중앙부를 관통하고 있는
    개폐기.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외측 요크, 상기 제 2 외측 요크, 상기 제 1 내측 요크 및 상기 제 2 내측 요크 중 적어도 하나는 절연 피복되어 있는
    개폐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 접촉자의 상기 중앙부에, 상기 제 1 외측 요크가 관통하는, 상기 나열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 형상의 관통 구멍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 2 고정 접촉자의 상기 중앙부에, 상기 제 2 외측 요크가 관통하는, 상기 나열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 형상의 관통 구멍이 마련되어 있는
    개폐기.
  14.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접촉자는 상기 나열되는 방향 및 상기 축방향의 각각에 대해서 수직한 폭방향에 수직한 양측면의 상기 제 1 내측 요크 및 상기 제 2 내측 요크의 각각의 상기 절결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부가 마련되어 있는
    개폐기.
KR1020207001545A 2017-07-26 2018-06-15 개폐기 KR1022905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44406 2017-07-26
JPJP-P-2017-144406 2017-07-26
PCT/JP2018/022884 WO2019021673A1 (ja) 2017-07-26 2018-06-15 開閉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5774A true KR20200015774A (ko) 2020-02-12
KR102290582B1 KR102290582B1 (ko) 2021-08-17

Family

ID=65040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1545A KR102290582B1 (ko) 2017-07-26 2018-06-15 개폐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205546B2 (ko)
JP (1) JP6599030B2 (ko)
KR (1) KR102290582B1 (ko)
CN (1) CN110945615B (ko)
WO (1) WO20190216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15839B (zh) * 2020-03-17 2022-05-20 中国航天时代电子有限公司 一种高压直流接触器
CN111564339B (zh) * 2020-06-19 2022-06-10 哈尔滨工业大学 小型密封电磁继电器底板下置式灭弧结构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09155A (ja) 1987-10-23 1989-04-26 Iseki & Co Ltd トラクターの油圧配管装置
JP2003197053A (ja) 2001-12-25 2003-07-11 Mitsubishi Electric Corp 消弧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車載用開閉器
WO2012128080A1 (ja) 2011-03-22 2012-09-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接点装置
JP2012243584A (ja) * 2011-05-19 2012-12-10 Fuji Electric Fa Components & Systems Co Ltd 電磁接触器
JP2013222559A (ja) * 2012-04-13 2013-10-28 Fuji Electric Co Ltd 接点装置及びこれを使用した電磁開閉器
JP2016024864A (ja) * 2014-07-16 2016-02-08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接点機構及びこれを使用した電磁接触器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12800C2 (de) * 1979-03-30 1985-04-25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Elektromagnetisches Relais für hohe Schaltleistungen
EP0173353B1 (en) * 1984-08-31 1991-09-18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Electromagnetic relay with linearly moving armature assembly
JPH01109155U (ko) 1988-01-19 1989-07-24
EP1308976A1 (de) * 2001-11-06 2003-05-07 ELESTA relays GmbH Relais
JP5197480B2 (ja) * 2009-05-14 2013-05-15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電磁継電器
JP2012043541A (ja) * 2010-08-12 2012-03-01 Fuji Electric Fa Components & Systems Co Ltd 回路遮断器
JP5307779B2 (ja) * 2010-08-31 2013-10-02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電磁開閉器
JP2012199119A (ja) * 2011-03-22 2012-10-18 Panasonic Corp 接点装置及び電磁開閉器
JP5809443B2 (ja) * 2011-05-19 2015-11-10 富士電機株式会社 接点機構及びこれを使用した電磁接触器
JP2013187053A (ja) 2012-03-08 2013-09-19 Toshiba Toko Meter Systems Co Ltd 開閉装置
JP5986421B2 (ja) * 2012-04-27 2016-09-06 富士電機株式会社 電磁開閉器及びその接点位置調整方法
CN203134623U (zh) * 2013-02-06 2013-08-14 西安沙尔特宝电气有限公司 接触器主触头永磁灭弧装置
CN103236376B (zh) * 2013-03-29 2015-06-17 厦门宏发电力电器有限公司 一种非对称螺线管式结构的磁保持继电器
DE102013214642A1 (de) * 2013-07-26 2015-01-29 Siemens Aktiengesellschaft Schaltgerät
JP6300157B2 (ja) * 2013-08-02 2018-03-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磁継電器
WO2015029400A1 (ja) * 2013-08-29 2015-03-0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接点装置
DE102014004455B4 (de) * 2014-03-27 2021-10-07 Schaltbau Gmbh Elektrische Schaltvorrichtung mit verbesserter Lichtbogenlöschein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artiger Schaltvorrichtung
GB201407705D0 (en) * 2014-05-01 2014-06-18 Johnson Electric Sa Improvements in electrical contact sets
US20170025232A1 (en) * 2014-05-20 2017-01-2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Contact device
DE102014007459A1 (de) * 2014-05-21 2015-11-26 Ellenberger & Poensgen Gmbh Leistungsrelais für ein Fahrzeug
JP6336848B2 (ja) * 2014-07-31 2018-06-06 河村電器産業株式会社 直流遮断器
KR101869719B1 (ko) * 2014-09-15 2018-06-2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자접촉기
DE102015000796B4 (de) * 2015-01-22 2017-03-02 Schaltbau Gmbh Schaltgerät mit permanentmagnetischer Lichtbogenlöschung
HUE035440T2 (en) * 2015-04-22 2018-05-02 Ellenberger & Poensgen Power relay for vehicle
DE102015114083A1 (de) * 2015-08-25 2017-03-02 Epcos Ag Kontaktvorrichtung für einen elektrischen Schalter und elektrischer Schalter
ES2708858T3 (es) * 2016-06-10 2019-04-11 Gorlan Team Slu Procedimiento y dispositivo de corte de una corriente eléctrica con soplado magnético dinámico
KR20200000311A (ko) * 2018-08-31 2020-01-0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직류 릴레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09155A (ja) 1987-10-23 1989-04-26 Iseki & Co Ltd トラクターの油圧配管装置
JP2003197053A (ja) 2001-12-25 2003-07-11 Mitsubishi Electric Corp 消弧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車載用開閉器
WO2012128080A1 (ja) 2011-03-22 2012-09-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接点装置
JP2012243584A (ja) * 2011-05-19 2012-12-10 Fuji Electric Fa Components & Systems Co Ltd 電磁接触器
JP2013222559A (ja) * 2012-04-13 2013-10-28 Fuji Electric Co Ltd 接点装置及びこれを使用した電磁開閉器
JP2016024864A (ja) * 2014-07-16 2016-02-08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接点機構及びこれを使用した電磁接触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599030B2 (ja) 2019-10-30
KR102290582B1 (ko) 2021-08-17
JPWO2019021673A1 (ja) 2019-11-07
WO2019021673A1 (ja) 2019-01-31
CN110945615A (zh) 2020-03-31
CN110945615B (zh) 2021-11-05
US11205546B2 (en) 2021-12-21
US20200203094A1 (en) 2020-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85550B2 (ja) 継電器
EP2472539B1 (en) Electromagnetic relay
KR100442068B1 (ko) 접점 장치
EP2197009B1 (en) Contact bridge with blow magnets
EP2765586B1 (en) Contact device and magnetic contactor using same
KR101750137B1 (ko) 접점 기구 및 이것을 사용한 전자 접촉기
EP2688084B1 (en) Electromagnetic relay
KR101631000B1 (ko) 전자기 릴레이
JP7179206B2 (ja) 開閉器
US8823474B2 (en) Contact switching mechanism and electromagnetic relay
KR20140003390A (ko) 전자 개폐기
JP2016072021A (ja) 接点装置
JP2016072020A (ja) 接点装置
US20150170857A1 (en) Electromagnetic actuator for a medium voltage vacuum circuit breaker
JP2012199126A (ja) 接点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電磁開閉装置
KR20200015774A (ko) 개폐기
WO2012157057A1 (ja) 開閉器
WO2022004378A1 (ja) 電磁継電器
KR102606007B1 (ko) 직류 릴레이
JP2012028253A (ja) 接点機構及びこれを使用した電磁接触器
CN110911234B (zh) 触点机构及使用该触点机构的电磁接触器
WO2014073026A1 (ja) 開閉器
JP7107169B2 (ja) リレー
CN220753326U (zh) 一种有效灭弧的磁保持继电器
KR20210095091A (ko) 스위치기어 개폐용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