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5654A - 충진 노즐 - Google Patents

충진 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5654A
KR20200015654A KR1020200010470A KR20200010470A KR20200015654A KR 20200015654 A KR20200015654 A KR 20200015654A KR 1020200010470 A KR1020200010470 A KR 1020200010470A KR 20200010470 A KR20200010470 A KR 20200010470A KR 20200015654 A KR20200015654 A KR 202000156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fluid
main body
container
mov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0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6025B1 (ko
Inventor
김종기
Original Assignee
한영자동포장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영자동포장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영자동포장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10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6025B1/ko
Publication of KR20200015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5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6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6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9/00Nozzles, funnels or guides for introducing articles or material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 B65B39/001Nozzles, funnels or guides for introducing articles or material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with flow cut-off means, e.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Supply Of Fluid Materials To The Packaging Location (AREA)
  • Filling Of Jars Or Cans And Processes For Cleaning And Sealing Jars (AREA)

Abstract

충진 노즐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진 노즐은, 용기에 액체를 충진하기 위한 충진 노즐로서,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며, 액체가 충진된 용기 내부의 거품을 향해 유체가 분사되는 유체 분사구가 형성된 본체; 본체로 액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본체에 결합되는 액체충진부재; 유체 분사구로부터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본체 내부에 결합되며, 액체충진부재로부터 본체로 유입된 액체가 용기로 이동하도록 용기의 적어도 일부에 삽입될 수 있는 액체이동부재; 및 액체이동부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본체에 설치되는 개폐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충진 노즐{FILLING NOZZLE}
본 발명은, 충진 노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 내부에 충진된 액체로부터 생성된 거품이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충진 노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기, 예를 들어, 스파우트가 구비된 파우치 용기는 음료 등의 액체가 수용되는 본체와, 액체를 유출시킬 수 있도록 본체에 결합되는 스파우트와, 스파우트에 결합되어 스파우트를 밀봉하는 캡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음료 등의 액체는 충진 노즐을 통해 파우치 용기의 본체 내부에 충진될 수 있다. 즉, 충진 노즐로부터 본체에 결합된 스파우트를 통해 본체 내부로 액체가 분사된다. 여기서, 액체가 본체로 분사되면 충진시의 압력과 속도에 의해 파우치 용기의 본체 내부에 거품이 생성된다.
종래 충진 노즐의 경우, 파우치 용기 내부에 생성된 거품을 제거할 수 없으므로 파우치 용기의 스파우트로부터 충진 노즐을 제거하면 파우치 용기의 본체 내부에 생성된 거품이 넘쳐서 스파우트에 액체가 잔류하게 되며, 이에 의해 스파우트에 곰팡이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제10-2016-0106936호(공개일자:2016년09월13일)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용기 내부에 생성된 거품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여 곰팡이 등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충진 노즐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용기 내부에 충진된 액체가 산패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는 충진 노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용기에 액체를 충진하기 위한 충진 노즐로서,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며, 액체가 충진된 용기 내부의 거품을 향해 유체가 분사되는 유체 분사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로 액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액체충진부재; 상기 유체 분사구로부터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본체 내부에 결합되며, 상기 액체충진부재로부터 상기 본체로 유입된 액체가 상기 용기로 이동하도록 상기 용기의 적어도 일부에 삽입될 수 있는 액체이동부재; 및 상기 액체이동부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충진 노즐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개폐부재가 배치되는 제1 본체부; 상기 액체충진부재가 결합되는 제2 본체부; 및 상기 액체이동부재가 배치되는 제3 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체 분사구는 상기 용기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3 본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본체부는, 상기 액체이동부재가 결합되는 지지부; 및 상기 용기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이 마련된 헤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상기 헤드부에는, 상기 용기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헤드부의 내측으로 단차가 형성된 용기안착부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체 분사구는 상기 헤드부에 형성된 완충공간을 통해 상기 삽입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체 분사구는 상기 액체이동부재가 배치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공간은 상기 액체이동부재와 상기 유체 분사구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체 분사구로부터 분사되는 유체의 이동 방향을 변경시키기 위해, 상기 액체이동부재가 상기 유체 분사구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유체 분사구를 막고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에는, 상기 유체 분사구로부터 상기 용기 내부로 분사된 유체를 흡입하기 위한 유체 흡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체 흡입구는 상기 유체 분사구와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체 흡입구는 상기 액체이동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유체 분사구와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체 분사구로 유체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유체 분사구에 결합되는 유체공급원; 및 상기 유체공급원으로부터 상기 유체 분사구로 공급된 유체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유체 분사구에 결합되는 역류방지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액체이동부재를 개폐하는 이동바; 및 상기 이동바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바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제공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바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액체이동부재에 접촉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이동바는 끝부분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형상의 경사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용기 내부에 생성된 거품을 향해 유체가 분사되어 거품을 하강시키며 이에 의해 거품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여 곰팡이 등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용기 내부로 분사된 유체를 흡입하여 용기 내부에 충진된 액체가 유체와 접촉하여 산패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진 노즐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충진 노즐을 통해 용기에 액체가 충진되는 전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충진 노즐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용기로 분사된 유체와, 용기로부터 흡입된 유체의 이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화살표 A를 따라 제3 본체부를 바라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결합' 또는 '연결'이라는 용어는, 하나의 부재와 다른 부재가 직접 결합되거나,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의 부재가 이음부재를 통해 다른 부재에 간접적으로 결합되거나,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진 노즐은 용기에 액체를 충진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종류의 액체, 예를 들어 오렌지즙, 사과즙, 흑마늘즙 등과 같은 각종 음료를 충진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액체가 음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다 다양할 수 있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액체가 음료인 경우에 한정하여 설명한다. 다만, 이러한 한정 설명이 액체의 종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진 노즐은 다양한 종류의 용기에 액체를 분사하여 충진할 수 있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음료 등의 액체가 수용되는 본체와, 액체를 유출시킬 수 있도록 본체에 결합되는 스파우트와, 스파우트에 결합되어 스파우트를 밀봉하는 캡으로 구성된 스파우트가 구비된 파우치 용기에 한정하여 설명한다. 다만, 이러한 한정 설명이 용기의 종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 캡은 도시되지 않고 생략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진 노즐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충진 노즐을 통해 용기에 액체가 충진되는 전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충진 노즐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용기로 분사된 유체와, 용기로부터 흡입된 유체의 이동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1의 화살표 A를 따라 제3 본체부를 바라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진 노즐(10)은, 본체(100)와, 액체충진부재(200)와, 액체이동부재(300)와, 개폐부재(400)를 포함한다.
본체(100)는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며, 내부 공간에 액체이동부재(300)와, 개폐부재(400)의 이동바(410)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본체(100)의 하측에 액체이동부재(300)가 설치되고, 본체(100)의 상측에 개폐부재(400)의 이동바(410)가 설치될 수 있다.
본체(100)에는 유체 분사구(140)가 형성된다. 본체(100)에 형성된 유체 분사구(140)를 통해 파우치 용기(700) 내부로 유체가 분사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충진 노즐(10)을 통해 파우치 용기(700)의 파우치 본체(720) 내부에 음료가 충진되면 거품이 생성되어 넘치며 파우치 용기(700)의 파우치 본체(720)에 결합된 스파우트(710)에 거품 내지 음료가 잔류하여 곰팡이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진 노즐(10)은 본체(100)에 유체 분사구(140)가 형성되며, 액체 충진과, 거품을 향한 유체 분사가 하나의 충진 노즐에서 모두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충진 노즐을 통해 음료가 파우치 용기(700) 내부에 충진되면 충진 노즐을 통해 파우치 용기(700) 내부에 형성된 거품을 향해 유체가 분사되어 거품을 하강시킨다. 즉, 유체 분사구(140)를 통해 분사되는 유체가 거품에 부딪혀 거품이 파우치 용기(700) 내부에서 하강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유체 분사구(140)를 통해 분사된 유체가 파우치 용기(700) 내부로 인입되어 파우치 용기(700)를 소정 범위 내에서 팽창시키므로 중력에 의해 거품이 팽창된 파우치 용기(700)를 따라 하강한다. 이에 의해 음료 충진시 파우치 용기(700)에 생성된 거품은 하강하여 파우치 용기(700) 내부로 이동하므로, 거품이 파우치 용기(700) 외부로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스파우트(710)에 거품 내지 음료가 잔존하지 않아 곰팡이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유체 분사구(140)를 통해 분사되는 유체는 다양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깨끗한 공기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체(100)는 제1 본체부(110)와, 제2 본체부(120)와, 제3 본체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본체부(110)와, 제2 본체부(120)와, 제3 본체부(130)는 일체형으로 결합될 수도 있고, 또는 분리형으로 형성되어 나사결합 등으로 상호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1 본체부(110)에는 후술하는 개폐부재(400)가 배치되고, 제2 본체부(120)에는 후술하는 액체충진부재(200)가 결합되며, 제3 본체부(130)에는 후술하는 액체이동부재(300)가 배치된다. 제1 본체부(110)에는 개방구(11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본체부(110)의 개방구(111)를 통해 개폐부재(400)의 작동 여부를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다. 제2 본체부(120)와 제3 본체부(130) 사이에는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밀봉을 위해 오링과 같은 백업링(160)이 개재될 수 있다. 제2 본체부(120)와 제3 본체부(130)가 분리형으로 나사결합된 경우 백업링(160)에 의해 제2 본체부(120)와 제3 본체부(130)의 분해가 용이해질 수 있다. 그리고,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유체 분사구(140)는 파우치 용기(700)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제3 본체부(130)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본체부(130)는 지지부(131)와, 헤드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31)에는 액체이동부재(300)가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즉, 액체이동부재(300)는 제3 본체부(130)의 지지부(131)에 의해 지지되어 고정될 수 있다. 헤드부(132)에는 파우치 용기(700)가 삽입되는 삽입공간(136)이 마련될 수 있다. 즉, 헤드부(132)에 마련된 삽입공간(136)으로 파우치 용기(700)의 스파우트(710)가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본체부(130)에는 유체 분사구(140)와, 삽입공간(136)이 형성되고, 또한 내측에 완충공간(135)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때, 유체 분사구(140)는 헤드부(132)에 형성된 완충공간(135)을 통해 삽입공간(136)과 연통된다. 즉, 유체 분사구(140)를 통해 분사된 유체는 완충공간(135)을 통해 삽입공간(136)으로 이동하며, 삽입공간(136)에 삽입되어 있는 파우치 용기(700)의 스파우트(710)를 통해 파우치 용기(700)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헤드부(132)에는 용기안착부(137)가 마련될 수 있다. 용기안착부(137)는 파우치 용기(700)의 스파우트(710)가 안착될 수 있도록 헤드부(132)의 내측으로 단차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즉, 파우치 용기(700)의 스파우트(710)는 용기안착부(137)에 안착되어 음료 충진 중 움직임이 방지될 수 있다. 유체 분사구(140)는 액체이동부재(300)가 배치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 예를 들어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면, 액체이동부재(300)가 도 3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 유체 분사구(140)는 도 3을 기준으로 죄우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완충공간(135)은 액체이동부재(300)와 유체 분사구(140) 사이에 마련될 수 있으며,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액체이동부재(300)가 유체 분사구(140)로부터 이격되어 유체 분사구(140)를 막고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5에서와 같이, 유체 분사구(140)를 통해 제3 본체부(130) 내부의 액체이동부재(300)가 시각적으로 인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면, 유체 분사구(140)로부터 분사된 유체는 액체이동부재(300)에 부딪혀 파우치 용기(700)측으로 향하도록 이동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체(100)의 유체 분사구(140)에는 유체 분사구(140)로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유체공급원(500)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유체공급원(500)으로부터 유체 분사구(140)로 공급된 유체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유체 분사구(140)에는 역류방지밸브(600)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역류방지밸브(600)는 다양한 종류의 밸브를 포함하며, 예를 들어 체크밸브일 수 있다.
본체(100)에는 유체 흡입구(150)가 형성될 수 있다. 유체 흡입구(150)는 유체 분사구(140)로부터 용기 내부로 분사된 유체를 흡입하기 위해 본체(100)에 형성된다. 유체 분사구(140)로부터 분사된 유체, 예를 들어 깨끗한 공기가 파우치 용기(700) 내부로 유입되면 거품을 아래로 이동시킬 수 있지만, 많은 양의 공기가 파우치 용기(700) 내부에 존재하면 음료와 접촉하여 음료가 산패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유체 분사구(140)를 통해 파우치 용기(700) 내부로 분사된 유체가 유체 흡입구(15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유체 흡입구(150)는 유체 분사구(140)와 마주보는 위치에서 액체이동부재(300)를 기준으로 유체 분사구(140)와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체 흡입구(150)와 유체 분사구(140)를 대칭되게 형성하면 가공이 용이하고 조립하기 편리한 장점이 있다. 다만, 유체 흡입구(150)와 유체 분사구(140)가 반드시 마주보는 위치에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또한, 유체 흡입구(150)와 유체 분사구(140)가 반드시 액체이동부재(300)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유체 흡입구(150)에는 유체를 흡입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석션 장치(800)가 결합될 수 있다.
액체충진부재(200)는 본체(100)로 액체, 예를 들어 음료가 유입될 수 있도록 본체(100)에 결합된다. 액체충진부재(200)에는 액체가 이동할 수 있도록 내부에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액체충진부재(200)는 본체(100)의 제2 본체부(120)에 결합될 수 있다. 액체충진부재(200)는 액체를 가압하는 가압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이동부재(300)는 유체 분사구(140)로부터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본체(100) 내부에 결합된다. 즉, 액체이동부재(300)가 유체 분사구(140)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액체이동부재(300)와 유체 분사구(140) 사이에 완충공간(135)이 형성될 수 있다. 액체이동부재(300)는 파우치 용기(700)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제3 본체부(130)의 헤드부(132)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액체이동부재(300)의 단부는 파우치 용기(700)의 스파우트(710)에 삽입되고, 유체 분사구(140)로부터 분사된 유체는 액체이동부재(300)의 단부와 스파우트(710) 사이의 틈새를 통해 이동하여 거품을 향해 분사된다. 즉, 액체이동부재(300)의 적어도 일부가 파우치 용기(700)의 스파우트(710)에 삽입되면 액체충진부재(200)로부터 본체(100)로 유입되어 액체이동부재(300)를 따라 이동하는 음료가 파우치 용기(700)로 이동할 수 있다.
개폐부재(400)는 본체(100)에 설치되어 액체이동부재(30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개폐부재(400)는 이동바(410)와, 동력제공부재(4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바(410)는 적어도 일부가 액체이동부재(300)에 접촉하도록 마련되어 액체이동부재(300)를 개폐시킬 수 있다. 여기서, 이동바(410)는 액체이동부재(300)를 완전히 폐쇄하기 위해 끝부분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형상의 경사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이동바(410)에 형성된 경사는 직선 형상일 수도 있고 또는 곡선 형상일 수도 있다. 동력제공부재(420)는 이동바(410)에 결합되어 이동바(410)에 동력을 제공한다. 동력제공부재(420)는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실린더를 포함하여 실린더가 이동바(410)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면, 이동바(410)에 동력제공부재(420)가 결합되며, 이동바(410)는 동력제공부재(420)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서 도 3을 기준으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이동바(410)가 도 3을 기준으로 하강하면 액체이동부재(300)에 접촉하여 액체이동부재(300)를 폐쇄하며, 이동바(410)가 도 3을 기준으로 상승하면 액체이동부재(300)로부터 접촉 해제되어 액체이동부재(300)를 개방시킨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진 노즐(10)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개폐부재(400)는 본체(100)에 설치되어 액체이동부재(300)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고, 액체충진부재(200)는 본체(100)에 결합되어 본체(100)로 액체를 공급하며, 액체이동부재(300)는 액체충진부재(200)로부터 본체(100)로 유입된 음료가 파우치 용기(700)로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개폐부재(400)에 의해 액체이동부재(300)가 개방되면 액체충진부재(200)를 통해 음료가 본체(100) 내부로 인입된다. 그리고, 액체충진부재(200)로부터 본체(100) 내부로 인입된 음료는 액체이동부재(300)를 따라 이동하여 파우치 용기(700)에 충진된다(도 4의 화살표 a 참조). 이때, 음료의 충진 압력과 충진 속도에 의해 파우치 용기(700) 내부에 음료에 의한 거품이 생성되는데, 유체 분사구(140)를 통해 분사되는 유체가 완충공간(135)을 통해 삽입공간(136)을 거쳐 파우치 용기(700) 내부로 유입되며(도 4의 화살표 b 참조), 유체는 거품에 부딪혀 거품이 파우치 용기(700) 외부로 넘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의해 파우치 용기(700)에 곰팡이 등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유체 분사구(140)로부터 분사되어 파우치 용기(70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유체 흡입구(1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도 4의 화살표 c 참조), 이에 의해 파우치 용기(700) 내부의 음료가 산패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충진 노즐 100 : 본체
110 : 제1 본체부 120 : 제2 본체부
130 : 제3 본체부 131 : 지지부
132 : 헤드부 135 : 완충공간
136 : 삽입공간 137 : 용기안착부
140 : 유체 분사구 150 : 유체 흡입구
200 : 액체충진부재 300 : 액체이동부재
400 : 개폐부재 410 : 이동바
420 : 동력제공부재 500 : 유체공급원
600 : 역류방지밸브 700 : 파우치 용기
710 : 스파우트 720 : 파우치 본체
800 : 석션 장치

Claims (15)

  1. 스파우트가 구비된 파우치 용기에 액체를 충진하기 위한 충진 노즐로서,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며, 액체가 충진된 상기 파우치 용기 내부의 거품을 향해 유체가 분사되는 유체 분사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로 액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액체충진부재;
    상기 유체 분사구로부터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본체 내부에 결합되며, 상기 액체충진부재로부터 상기 본체로 유입된 액체가 상기 파우치 용기로 이동하도록 상기 파우치 용기의 적어도 일부에 삽입되는 액체이동부재; 및
    상기 액체이동부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며,
    액체 충진과, 거품을 향한 유체 분사가 하나의 충진 노즐에서 모두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충진 노즐을 통해 액체가 상기 파우치 용기 내부에 충진되면 상기 충진 노즐을 통해 상기 파우치 용기 내부에 형성된 거품을 향해 유체가 분사되어 거품이 하강하도록 마련되되,
    상기 액체이동부재의 단부는 상기 스파우트에 삽입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유체 분사구로부터 분사된 유체는 상기 액체이동부재의 단부와 상기 스파우트 사이의 틈새를 통해 이동하여 거품을 향해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진 노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개폐부재가 배치되는 제1 본체부;
    상기 액체충진부재가 결합되는 제2 본체부; 및
    상기 액체이동부재가 배치되는 제3 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진 노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분사구는 상기 용기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3 본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진 노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본체부는,
    상기 액체이동부재가 결합되는 지지부; 및
    상기 용기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이 마련된 헤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진 노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에는, 상기 용기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헤드부의 내측으로 단차가 형성된 용기안착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진 노즐.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분사구는 상기 헤드부에 형성된 완충공간을 통해 상기 삽입공간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진 노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분사구는 상기 액체이동부재가 배치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진 노즐.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공간은 상기 액체이동부재와 상기 유체 분사구 사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진 노즐.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분사구로부터 분사되는 유체의 이동 방향을 변경시키기 위해, 상기 액체이동부재가 상기 유체 분사구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유체 분사구를 막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진 노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유체 분사구로부터 상기 용기 내부로 분사된 유체를 흡입하기 위한 유체 흡입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진 노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흡입구는 상기 유체 분사구와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진 노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흡입구는 상기 액체이동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유체 분사구와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진 노즐.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분사구로 유체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유체 분사구에 결합되는 유체공급원; 및
    상기 유체공급원으로부터 상기 유체 분사구로 공급된 유체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유체 분사구에 결합되는 역류방지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진 노즐.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액체이동부재를 개폐하는 이동바; 및
    상기 이동바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바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제공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진 노즐.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바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액체이동부재에 접촉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이동바는 끝부분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형상의 경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진 노즐.
KR1020200010470A 2020-01-29 2020-01-29 충진 노즐 KR102126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0470A KR102126025B1 (ko) 2020-01-29 2020-01-29 충진 노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0470A KR102126025B1 (ko) 2020-01-29 2020-01-29 충진 노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8381A Division KR102078690B1 (ko) 2018-04-26 2018-04-26 충진 노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5654A true KR20200015654A (ko) 2020-02-12
KR102126025B1 KR102126025B1 (ko) 2020-06-23

Family

ID=69569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0470A KR102126025B1 (ko) 2020-01-29 2020-01-29 충진 노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602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17246A (ja) * 2003-01-14 2004-08-05 Mitsubishi Heavy Ind Ltd 液体充填装置、無菌充填装置、ノズル装置、液体充填方法
JP2005145462A (ja) * 2003-11-11 2005-06-09 Toyo Seikan Kaisha Ltd 容器ヘッドスペースの泡除去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3160255U (ja) * 2010-04-08 2010-06-17 秋元産機株式会社 液体充填装置
WO2013084530A1 (ja) * 2011-12-05 2013-06-13 東洋製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充填密封方法及び装置
KR20160106936A (ko) 2015-03-03 2016-09-13 김명환 액상의 내용물 충진용 주입기 노즐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0255B2 (ja) 1994-10-27 2001-04-25 東京応化工業株式会社 ポリヒドロキシスチレン誘導体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17246A (ja) * 2003-01-14 2004-08-05 Mitsubishi Heavy Ind Ltd 液体充填装置、無菌充填装置、ノズル装置、液体充填方法
JP2005145462A (ja) * 2003-11-11 2005-06-09 Toyo Seikan Kaisha Ltd 容器ヘッドスペースの泡除去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3160255U (ja) * 2010-04-08 2010-06-17 秋元産機株式会社 液体充填装置
WO2013084530A1 (ja) * 2011-12-05 2013-06-13 東洋製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充填密封方法及び装置
KR20160106936A (ko) 2015-03-03 2016-09-13 김명환 액상의 내용물 충진용 주입기 노즐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6025B1 (ko) 2020-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29507B2 (en) Liquid filling nozzle and liquid filling apparatus
JP5068751B2 (ja) 三位置バルブロッドを有する充填バルブ
BRPI0621433B1 (pt) Torneira para dispensa de líquido, em particular para líquidos com alta e média densidades
PT1683755E (pt) Conjunto de válvula para ser utilizado num administrador de bebida
CN105612075A (zh) 用于机动车工作流体容器的填充装置
KR20070069161A (ko) 분사 시스템용 분사 라인
CN101417779A (zh) 灌装阀
US20140305541A1 (en) Container Filling Valve
CN206827252U (zh) 一种液体按压喷头装置
NZ336630A (en) Laminar flow nozzle capable of transfoming turbulent fluid flow into laminar fluid flow
CN102807184B (zh) 一种灌装阀
KR20200015654A (ko) 충진 노즐
US5918779A (en) Value assembly for supplying pressurized liquid from a container
KR20190124433A (ko) 충진 노즐
JP2013189240A (ja) 液体注入装置
JP4699747B2 (ja) 液体充填装置
JP2011235200A (ja) 気液溶解タンク
JP4008316B2 (ja) 液体充填方法
CN110589745A (zh) 一种灌装阀及其灌装方法
JP4687275B2 (ja) 充填バルブ
JP2011173092A (ja)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KR102206534B1 (ko) 스파우트 파우치용 액체 충진 장치
JP4268306B2 (ja) 給液遮断弁
JP2020522445A (ja) 閉止装置、バルブユニットおよび容器
JP4962477B2 (ja) 充填バル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