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4689A - 모터 - Google Patents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4689A
KR20200014689A KR1020190082518A KR20190082518A KR20200014689A KR 20200014689 A KR20200014689 A KR 20200014689A KR 1020190082518 A KR1020190082518 A KR 1020190082518A KR 20190082518 A KR20190082518 A KR 20190082518A KR 20200014689 A KR20200014689 A KR 202000146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fixed shaft
axial direction
hole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2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야 오우라
Original Assignee
니혼 덴산 테크노 모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덴산 테크노 모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덴산 테크노 모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14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46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3Couplings; Details of shaf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06F58/08Dri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32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 H02K3/3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between conductors or between conductor and core, e.g. slot insul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2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6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 H02K5/173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using 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e.g. ball bearings
    • H02K5/1732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using 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e.g. ball bearings radially supporting the rotary shaft at both ends of the ro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 H02K7/08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radially supporting the rotary shaft at both ends of the ro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004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pulleys

Abstract

이 모터는 스테이터를 포함하는 정지부와, 스테이터와 대향해서 배치되고, 상하로 연장되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로터를 포함하는 회전부를 갖는다. 정지부는 수지제의 케이싱과 커버를 갖는다. 케이싱은 스테이터를 유지한다. 커버는 케이싱의 축방향 일방측에 형성된 케이싱 개구부를 덮는다. 회전부는 회전 샤프트를 갖는다. 회전 샤프트는 중심축을 따라 배치되고, 로터에 고정된다. 또한 회전 샤프트는 케이싱 및 커버 중 적어도 한쪽을 축방향으로 관통해서 모터의 외부로 돌출된다. 정지부는 고정 샤프트와 고정 샤프트 유지부를 더 갖는다. 고정 샤프트는 회전 샤프트와 지름방향으로 간극을 둔 위치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고정 샤프트 유지부는 케이싱의 일부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되고, 고정 샤프트를 유지한다.

Description

모터{MOTOR}
본 발명은 모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의류 등의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건조기에는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을 회전시키는 모터가 탑재된다. 종래의 모터를 구비하는 의류 건조기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2014-54387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공보의 의류 건조기는 회전 드럼과, 구동 모터와, 감속 기구를 갖는다. 감속 기구는 구동 모터의 회전수를 감속시킴과 아울러, 감속 후의 회전수로 회전 드럼을 회전시킨다.
일본 특허공개 2014-54387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14-54387호 공보의 감속 기구에는 감속 풀리가 사용되어지고 있다. 감속 풀리는 직경이 큰 모터측 풀리부와, 모터측 풀리부보다 직경이 작은 드럼측 풀리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모터측 풀리부와 드럼측 풀리부는 서로 동심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모터측 풀리부에는 구동 모터의 모터축에 부착된 풀리에 일단측이 감아 걸어진 감속 벨트의 타단측이 감아 걸어져 있다. 이것에 의해, 구동 모터의 회전 구동력이 모터측 풀리부에 전달된다. 또한 드럼측 풀리부에는 회전 드럼의 외주면에 일단측이 감아 걸어진 드럼 벨트의 타단측이 감아 걸어져 있다. 이것에 의해, 감속 기구에 의해 감속된 회전 구동력이 회전 드럼에 전달된다. 그러나, 일본 특허공개 2014-54387호 공보의 구조에서는 구동 모터와는 별도로 감속 풀리를 지지하기 위한 축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구동 모터의 모터축에 대한 감속 풀리의 축의 위치 및 자세를 정밀도 좋게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모터의 회전을 감속시키기 위해서 사용되는 풀리 등의 부품이 부착되는 고정 샤프트를 모터와는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의 예시적인 제1발명은 모터로서, 스테이터를 포함하는 정지(靜止)부와, 상기 스테이터와 대향해서 배치되고, 상하로 연장되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로터를 포함하는 회전부를 갖고, 상기 정지부는 상기 스테이터를 유지하는 수지제의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축방향 일방측에 형성된 케이싱 개구부를 덮는 커버를 갖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중심축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로터에 고정되는 회전 샤프트를 갖고, 상기 회전 샤프트는 상기 케이싱 및 상기 커버 중 적어도 한쪽을 축방향으로 관통해서 상기 모터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정지부는 상기 회전 샤프트와 지름방향으로 간극을 사이를 둔 위치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 샤프트와, 상기 케이싱의 일부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고정 샤프트가 유지되는 고정 샤프트 유지부를 더 갖는다.
(발명의 효과)
본원의 예시적인 제1발명에 의하면, 모터에 있어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 샤프트와, 상기 고정 샤프트를 유지하기 위한, 케이싱의 일부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되는 고정 샤프트 유지부가 더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모터와는 별도로 고정 샤프트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도 1은 제1실시형태에 따른 모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실시형태에 따른 모터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제1실시형태에 따른 케이싱의 성형시의 모양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4는 제1실시형태에 따른 모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제1실시형태에 따른 케이싱의 하면도이다.
도 6은 제2실시형태에 따른 모터의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변형예에 따른 모터의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변형예에 따른 모터의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변형예에 따른 모터의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변형예에 따른 모터의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변형예에 따른 링부재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 본원에서는 모터의 중심축과 평행한 방향을 「축방향」, 모터의 중심축에 직교하는 방향을 「지름방향」, 모터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를 따르는 방향을 「둘레방향」이라고 각각 칭한다. 또한 본원에서는 축방향을 상하방향으로 하고, 케이싱에 대해서 모터 풀리측을 위로 해서 각 부의 형상이나 위치관계를 설명한다. 단, 이 상하방향의 정의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제조시 및 사용시의 방향을 한정하는 의도는 없다.
<1. 제1실시형태>
<1-1. 모터의 구성>
도 1은 제1실시형태에 따른 모터(1)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실시형태에 따른 모터(1)의 종단면도이다. 이 모터(1)는 수지로 덮여진 후술하는 스테이터(21)의 지름방향 내측에 마그넷(33)을 탑재하는 로터(32)가 배치된 소위 이너 로터형의 몰드 모터이다. 모터(1)는 예를 들면, 의류 등의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건조기에 있어서, 세탁물이 수용된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해서 사용된다. 단, 본 발명의 모터는 건조기 이외의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모터는 자동차나 철도 등의 수송기기, OA기기, 의료기기, 공구, 산업용의 대형설비 등에 탑재되어서 여러가지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모터는 몰드 모터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스테이터가 금속제의 케이싱으로 덮여진 모터이어도 좋다. 또, 도 2에 있어서, 후술하는 나사 시트(62)는 단면 개소에 있어서 원래 표시되지 않지만, 도 2에서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아울러 표시하고 있다.
모터(1)는 정지부(2), 회전부(3), 상측 베어링부(71), 및 하측 베어링부(72)를 갖는다. 정지부(2)는 후술하는 케이싱 부착 지지부(224)를 통해 모터(1)의 구동 대상이 되는 기기(본 실시형태에서는 건조기)의 프레임체에 고정된다. 회전부(3)는 정지부(2)에 대해서 상측 베어링부(71) 및 하측 베어링부(72)를 통해 상하로 연장되는 중심축(9)의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정지부(2)는 스테이터(21), 케이싱(22), 커버(23), 고정 샤프트(61), 및 1개 또는 복수의 나사 시트(62)를 갖는다.
스테이터(21)는 외부전원으로부터 모터(1) 내에 설치된 회로기판(도시생략)을 통해 공급되는 구동 전류에 따라 자속을 발생시키는 전기자이다. 스테이터(21)는 중심축(9)의 둘레를 환상으로 둘러싼다. 스테이터(21)는 스테이터 코어(211), 인슐레이터(212), 및 복수의 코일(213)을 갖는다. 스테이터 코어(211)는 원환상의 코어백(41)과, 코어백(41)으로부터 지름방향 내측을 향해서 돌출되는 복수의 티스(42)를 갖는 자성체이다. 코어백(41)은 중심축(9)과 대략 동축에 배치된다. 복수의 티스(42)는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열된다. 스테이터 코어(211)에는 예를 들면, 적층강판이 사용된다.
인슐레이터(212)는 스테이터 코어(211)에 부착된다. 인슐레이터(212)의 재료에는 절연체인 수지가 사용된다. 인슐레이터(212)는 스테이터 코어(211)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다. 구체적으로는 인슐레이터(212)는 복수의 티스(42)의 축방향 상측의 끝면, 축방향 하측의 끝면, 및 둘레방향의 양면을 덮는다. 코일(213)은 복수의 티스(42)의 주위에 인슐레이터(212)를 통해 감긴 도선으로 이루어진다.
케이싱(22)은 스테이터(21)를 유지하는 수지제의 부재이다. 케이싱(22)은 축방향 하측에 형성된 케이싱 개구부(220)에 있어서 개구되고, 상기 케이싱 개구부(220)로부터 축방향 상측으로 움푹 패인 오목형 형상을 갖는다. 후술하는 회전부(3) 중 회전 샤프트(31)의 일부와 로터(32)는 상기 오목형 형상의 내측에 위치한다. 케이싱(22)은 저부(221), 측벽부(222), 고정 샤프트 유지부(223), 및 케이싱 부착 지지부(224)를 갖는다.
저부(221)는 지름방향으로 판상으로 넓어진다. 여기에서, 「지름방향으로 넓어진다」란 지름방향으로 평판상으로 넓어지는 경우 뿐만 아니라, 경사져 있는 경우 및 단차를 갖는 경우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저부(221)는 스테이터(21) 및 후술하는 로터(32)보다 축방향 상측에 위치한다. 또한 저부(221)는 케이싱 돌출부(225)를 갖는다. 케이싱 돌출부(225)는 중심축(9)의 주위에 있어서, 저부(221)로부터 축방향 상측을 향해서 원통상으로 돌출된다. 또한, 케이싱 돌출부(225)의 지름방향 내측에는 저부 관통구멍(80)이 형성되어 있다. 저부 관통구멍(80)은 케이싱 돌출부(225)의 중앙을 축방향으로 관통한다. 또한 케이싱 돌출부(225)의 내주면에는 금속제의 상측 베어링 수용부재(81)가 부착되어 있다. 상측 베어링 수용부재(81)는 상측 베어링부(71)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다.
측벽부(222)는 저부(221)의 하면으로부터 축방향 하측을 향해서 중심축(9)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상으로 연장된다. 또한 측벽부(222)의 지름방향 내측에는 후술하는 로터(32)가 배치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테이터(21)의 적어도 외주면, 및 스테이터(21)의 복수의 코일(213)은 측벽부(222)를 형성하고 있는 수지에 의해 메워 넣어지고, 덮여져 있다. 이것에 의해, 스테이터(21)에 물방울이 떨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스테이터(21)의 스테이터 코어(211) 및 복수의 코일(213)을 외부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할 수 있다. 단, 티스(42)의 지름방향 내측의 끝면을 포함하는 스테이터(21)의 일부는 측벽부(222)로부터 노출되어 있어도 좋다.
고정 샤프트 유지부(223)는 케이싱(22)의 일부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된다. 본 실시형태의 고정 샤프트 유지부(223)는 저부(221)의 일부로부터 축방향 상측을 향해서 돌출된다. 고정 샤프트 유지부(223)에는 고정 샤프트(61)가 유지된다. 고정 샤프트 유지부(223)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케이싱 부착 지지부(224)는 케이싱(22)의 외주부에 있어서의 둘레방향의 일부로부터 지름방향 외측으로 돌출된다. 본 실시형태의 케이싱 부착 지지부(224)는 고정 샤프트 유지부(223)의 지름방향 외측에 있어서 지름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케이싱 부착 지지부(224)는 관통구멍(82)(제3관통구멍)을 갖는다. 관통구멍(82)은 케이싱 부착 지지부(224)를 축방향으로 관통한다. 케이싱(22)은 관통구멍(82)에 있어서 볼트 등으로 고정됨으로써 모터(1)의 구동 대상이 되는 기기의 프레임체에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상기 기기측에 별도부품을 설치하지 않고, 기기에 대해서 모터(1)를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또, 관통구멍(82)의 수는 1개이어도 좋고, 복수이어도 좋다. 또한, 관통구멍(82)에 있어서, 케이싱 부착 지지부(224) 중 관통구멍(82)을 구성하는 면을 따라 수지제의 부착시트(820)가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케이싱 부착 지지부(224)를 통해 기기에 모터(1)를 부착할 때에, 부착에 사용하는 볼트 등과의 마찰에 의해 케이싱 부착 지지부(224)에 상처가 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커버(23)는 케이싱 개구부(220)를 덮는 부재이다. 커버(23)의 상단부는 케이싱(22)의 하단부에, 예를 들면, 압입, 접착, 및/또는 나사 고정에 의해 고정된다. 단, 커버(23)의 상단부는 케이싱(22)의 하단부에 압입만, 접착만, 나사 고정만, 또는 수축 끼워맞춤 등의 다른 방법에 의해 고정되어도 좋다. 또한 커버(23)는 중심축(9)을 중심으로 해서 축방향으로 원뿔대상으로 연장된다. 커버(23)의 외주면은 축방향 하측을 향함에 따라서 축경되도록 경사진다.
커버(23)의 지름방향 내측에는 커버 관통구멍(230)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 관통구멍(230)은 커버(23)의 중앙을 축방향으로 관통한다. 또한 커버(23)의 내주면에는 금속제의 하측 베어링 수용부재(83)가 부착되어 있다. 하측 베어링 수용부재(83)는 하측 베어링부(72)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다.
또, 본 실시형태의 커버(23)는 수지제이다. 수지제의 커버(23)는 수지 성형 금형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다. 단, 커버(23)는 금속제이어도 좋다.
고정 샤프트(61)는 후술하는 회전 샤프트(31)와 지름방향으로 간극을 둔 위치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재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 샤프트(61)는 고정 샤프트 유지부(223)에 유지된다. 고정 샤프트(61)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싱 돌출부(225)의 상부에 나사 시트(62)가 배치되어 있다. 나사 시트(62)는 모터(1)보다 상측의 공간에 노출되어 있다. 나사 시트(62)에 볼트 고정함으로써 모터(1)와는 다른 부재를 케이싱(22)에 고정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케이싱 돌출부(225)에 3개의 나사 시트(62)가 배치되어 있다. 단, 배치되는 나사 시트(62)의 수는 2개 이하이어도 좋고, 4개 이상이어도 좋다. 또, 케이싱 돌출부(225)에 나사 시트(62)를 배치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상세를 후술한다.
회전부(3)는 회전 샤프트(31) 및 로터(32)를 갖는다.
회전 샤프트(31)는 중심축(9)을 따라 배치되는 기둥상의 부재이다. 회전 샤프트(31)는 로터(32)의 후술하는 로터 관통구멍(320)에 삽입되고, 로터(32)의 내주면에 압입에 의해 고정된다. 단, 회전 샤프트(31)의 외주면은 로터(32)의 내주면에 접착 또는 수축 끼워맞춤 등의 다른 방법으로 고정되어도 좋다. 또한 회전 샤프트(31)의 외주면에는 상측 베어링부(71)의 내륜 및 하측 베어링부(72)의 내륜이, 예를 들면, 압입 등에 의해 각각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회전 샤프트(31) 및 로터(32)는 상측 베어링부(71) 및 하측 베어링부(72)에 지지되면서, 케이싱(22)을 포함하는 정지부(2)에 대해서 중심축(9)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회전 샤프트(31)의 상부는 저부(221)의 저부 관통구멍(80)을 축방향으로 관통해서 모터(1)의 외부로 돌출된다. 회전 샤프트(31)의 상단부에는 예를 들면, 회전 샤프트(31)와 함께 회전하는 모터 풀리(311)가 부착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회전 샤프트(31)의 하부는 커버(23)의 커버 관통구멍(230)을 축방향으로 관통해서 모터(1)의 외부로 돌출된다. 회전 샤프트(31)의 하단부에는 예를 들면, 의류 등의 세탁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온풍을 보내주는 팬(도시생략)이 부착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회전 샤프트(31) 중 모터(1)보다 하측의 공간으로 돌출되는 부위에 임펠러 컵이 고정되고, 또한 임펠러 컵으로부터 지름방향 외측으로 넓어지는 복수의 날개가 고정된다.
로터(32)는 회전 샤프트(31)의 외주면에 고정되고, 회전 샤프트(31)의 주위에 있어서 중심축(9)을 중심으로 해서 환상으로 넓어지는 부재이다. 로터(32)의 지름방향 내측에는 로터 관통구멍(320)이 형성되어 있다. 로터 관통구멍(320)은 중심축(9)을 따라 로터(32)를 축방향으로 관통한다. 상술의 회전 샤프트(31)는 로터 관통구멍(320)에 삽입되고, 로터(32)의 내주면에 압입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로터(32)는 스테이터(21)의 지름방향 내측에 배치된다. 또한, 로터(32) 중 지름방향 외측의 부위에는 마그넷(33)이 탑재된다. 마그넷(33)의 외주면은 스테이터(21)의 티스(42)의 지름방향 내측의 끝면과, 약간의 간극을 통해 지름방향으로 대향한다.
본 실시형태의 상측 베어링부(71) 및 하측 베어링부(72)에는 전동체를 통해 외륜과 내륜을 회전시키는 볼베어링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상측 베어링부(71)의 외륜은 상측 베어링 수용부재(81)를 통해 케이싱 돌출부(225)에 유지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측 베어링부(71)의 내륜은 회전 샤프트(31)에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상측 베어링부(71)는 로터(32)보다 상방에 있어서, 회전 샤프트(31)를 케이싱(22)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또한 하측 베어링부(72)의 외륜은 하측 베어링 수용부재(83)를 통해 커버(23)에 유지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하측 베어링부(72)의 내륜은 회전 샤프트(31)에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하측 베어링부(72)는 로터(32)보다 하방에 있어서, 회전 샤프트(31)를 케이싱(22)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단, 상측 베어링부(71) 및 하측 베어링부(72)에, 볼베어링 대신에, 미끄럼 베어링이나 유체 베어링 등의 타방식의 베어링이 사용되어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모터(1)의 구동시에는 외부전원으로부터 도선을 통해 코일(213)에 구동 전류가 공급된다. 이것에 의해, 스테이터 코어(211)의 복수의 티스(42)에 자속이 생긴다. 그리고, 티스(42)와 로터(32)에 탑재되어 있는 마그넷(33) 사이의 자속이 미치는 작용에 의해, 둘레방향의 토크가 발생한다. 그 결과, 중심축(9)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부(3)가 회전한다. 또한 회전 샤프트(31)의 상단부에 부착되어 있는 모터 풀리(311) 및 회전 샤프트(31)의 하단부에 부착되어 있는 팬(도시생략)이 회전부(3)와 함께 회전한다.
또, 고정 샤프트(61)의 상단부에는 예를 들면, 모터(1)의 회전수를 감속시킴과 아울러 감속 후의 회전수로 세탁물이 수용된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감속 기구로서 풀리(도시생략)가 부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케이싱(22)의 고정 샤프트 유지부(223)에 유지되어 있는 고정 샤프트(61)를 사용함으로써, 모터(1)의 구동 대상이 되는 기기(본 실시형태에서는 건조기)의 프레임체에 별도 고정 샤프트(61)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또한 모터 풀리(311)에 대해서 상기 풀리를 고정밀도로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풀리로부터 벨트를 통해 회전이 전달되는 드럼의 회전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여기에서, 예를 들면, 고정 샤프트(61)의 상단부에 부착된 상술의 풀리와 회전 샤프트(31)의 상단부에 부착된 모터 풀리(311)가 벨트로 걸어진 경우, 상기 벨트에 가해지는 장력(부하)에 의해, 고정 샤프트(61)와 회전 샤프트(31)가 서로 지름방향으로 잡아 당겨진다. 이 경우, 만약 고정 샤프트(61)가 유지된 고정 샤프트 유지부(223)의 강도 및 회전 샤프트(31)가 지지된 케이싱 돌출부(225)의 강도가 약하면, 케이싱(22)이 응력에 의해 변형될 우려가 있다. 또한 회전 샤프트(31)가 경사져서 축심이 어긋남으로써 회전 샤프트(31)의 주위에 고정된 로터(32)가 스테이터(21)에 접촉할 우려도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의 고정 샤프트 유지부(223)는 케이싱(22) 중 커버(23)측의 부위보다 강도가 높은 저부(221)측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된다. 또한 회전 샤프트(31)는 마찬가지로 강도가 높은 저부(221)측의 케이싱 돌출부(225)에 형성된 저부 관통구멍(80)을 통해 모터(1)의 외부으로 돌출된다. 또한, 고정 샤프트 유지부(223)와 케이싱 돌출부(225)는 서로 인접해서 연결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케이싱(22)의 강도가 높아지고, 고정 샤프트(61) 및 회전 샤프트(31)를 보다 강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 결과, 고정 샤프트(61)와 회전 샤프트(31)가 지름방향으로 잡아 당겨진 경우라도 케이싱(22)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회전 샤프트(31)가 경사져서 축심이 어긋나는 것을 억제하고, 회전 샤프트(31)의 주위에 고정된 로터(32)가 스테이터(21)에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1-2. 케이싱 및 고정 샤프트의 상세한 구성>
계속해서, 케이싱(22) 및 고정 샤프트(61)의 구성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케이싱(22)은 고정 샤프트(61)의 하단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일부와, 스테이터(21)와, 1개 또는 복수의 나사 시트(62)와, 1개 또는 복수의 부착시트(820)를 인서트 부품으로 하는 수지의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된다. 도 3은 케이싱(22)의 사출 성형시의 모양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싱(22)을 사출 성형할 때에는 우선, 사출 성형용의 상측 금형(91), 하측 금형(92), 중앙 금형(93), 및 고정 샤프트 유지 금형(94)을 준비한다. 상측 금형(91)은 관통구멍(910)을 갖는다. 하측 금형(92)은 내측 관통구멍(920) 및 외측 관통구멍(921)을 갖는다. 중앙 금형(93)은 외주부에 제1상측 단차부(930)와 제1하측 단차부(931)를 포함하는 복수의 단차를 갖는다. 고정 샤프트 유지 금형(94)은 상측의 단부 부근에 제2단차부(941)를 갖는다. 또한 고정 샤프트 유지 금형(94)은 상기 상측의 단부 부근에 고정 샤프트(61)의 하측의 단부 부근과 감합하는 척형상을 갖는다.
다음에 하측 금형(92)의 내측 관통구멍(920)에 중앙 금형(93)을 삽입하고, 중심축(9)을 따라 배치한다. 그리고, 중앙 금형(93)의 제1하측 단차부(931)의 상측에 지지 금형(932)을 배치하고, 지지 금형(932)의 상측 또한 중앙 금형(93)의 주위에 스테이터(21)를 배치한다. 또한 하측 금형(92)의 외측 관통구멍(921)에 고정 샤프트 유지 금형(94)을 삽입하고, 중심축(9)과 평행하게 배치한다. 또한, 중앙 금형(93)의 제1상측 단차부(930)를 덮도록 상측 베어링 수용부재(81)를 배치한다. 또한 고정 샤프트 유지 금형(94)의 제2단차부(941)의 상측에 고정 샤프트(61)를 배치한다. 이 때, 상술의 고정 샤프트 유지 금형(94)의 척형상으로 고정 샤프트(61)를 감합시킨다. 이것에 의해, 고정 샤프트(61)가 보다 강고하게 지지된다. 또한, 하측 금형(92), 중앙 금형(93), 및 고정 샤프트 유지 금형(94)의 상측으로부터 상측 금형(91)을 조합한다. 또한 이 때, 고정 샤프트(61)에 상측 금형(91)의 관통구멍(910)을 관통시킨다. 이 결과, 이들의 금형 내부에 공동(95)이 형성된다.
또, 본 실시형태의 하측 금형(92), 중앙 금형(93), 고정 샤프트 유지 금형(94), 및 지지 금형(932)은 서로 별도의 금형으로서 구성되어 있지만, 이들 금형 중 2개 이상, 또는 모든 금형이 하나로 조합된 금형으로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계속해서, 공동(95) 내에 유동상태의 수지를 흘려 넣는다. 스테이터(21)는 지지 금형(932)에 지지됨으로써, 금형 내부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유동상태의 수지로 덮여진다. 또한 고정 샤프트(61)는 고정 샤프트 유지 금형(94)에 지지됨으로써, 금형 내부의 소정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유동상태의 수지로 덮여진다. 그리고, 유동상태의 수지를 공동(95) 내에 퍼지게 한 후, 가열 또는 냉각에 의해 수지를 경화시킨다. 이것에 의해, 금형의 형상을 따라 형성된 저부(221), 측벽부(222), 고정 샤프트 유지부(223), 케이싱 부착 지지부(224), 및 케이싱 돌출부(225)를 포함하는 케이싱(22)이 얻어진다. 그 후, 상측 금형(91), 하측 금형(92), 중앙 금형(93), 및 고정 샤프트 유지 금형(94)을 분리함으로써, 고정 샤프트(61), 스테이터(21), 나사 시트(62), 및 부착 시트(820)가 인서트된 케이싱(22)을 인출한다. 또한, 케이싱(22)의 하부에 형성된 케이싱 개구부(220)로부터 회전 샤프트(31), 상측 베어링부(71), 및 로터(32) 등을 삽입한 후, 케이싱 개구부(220)를, 커버(23)를 사용해서 폐색하고, 모터(1)를 조립한다.
케이싱(22)의 성형 후, 고정 샤프트(61)의 하단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일부는 고정 샤프트 유지부(223)로 덮여짐으로써 고정되어 있다. 이렇게, 고정 샤프트(61)를 고정 샤프트 유지부(223)에 인서트 성형에 의해 고정함으로써, 압입에 의해 고정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보다 용이하고 또한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수지의 사출 성형에 의해, 고정 샤프트(61)의 크기 또는 형상에 대응한 케이싱(22)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고정 샤프트(61)의 크기 또는 형상을 변경하는 경우에 드는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또, 고정 샤프트(61)의 일부는 고정 샤프트 유지부(223)의 상측으로 돌출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싱(22)의 성형 후, 고정 샤프트 유지부(223)를 포함하는 케이싱(22)의 일부에는 제1관통구멍(60)이 형성되어 있다. 제1관통구멍(60)은 케이싱(22)을 축방향으로 관통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제1관통구멍(60)은 케이싱 부착 지지부(224)의 지름방향 내측에 위치한다. 제1관통구멍(60)은 상측 관통구멍(601)과 하측 관통구멍(602)을 포함한다. 상측 관통구멍(601)의 적어도 일부에는 고정 샤프트(61)의 하부가 위치한다. 상측 관통구멍(601)은 케이싱(22)의 성형시에 금형 내부에 고정 샤프트(61)와 고정 샤프트 유지 금형(94)의 상부(제2단차부(941)보다 상측의 부위)가 위치한 상태에서 유동상태의 수지가 흘러들어감으로써 형성된다. 하측 관통구멍(602)은 케이싱(22)의 성형시에 금형 내부에 고정 샤프트 유지 금형(94)의 하부(제2단차부(941)보다 하측의 부위)가 위치한 상태에서 유동상태의 수지가 흘러들어감으로써 형성된다. 하측 관통구멍(602)은 상측 관통구멍(601)의 축방향 하측에 위치하고, 또한, 상측 관통구멍(601)과 연속된다.
또한, 하측 관통구멍(602)의 축방향 상측의 단부의 지름방향 위치는 상측 관통구멍(601)의 축방향 하측의 단부의 지름방향 위치보다 외측에 위치한다. 여기에서, 가령, 상측 관통구멍(601)과 하측 관통구멍(602)을 포함하는 제1관통구멍(60)이 축방향으로 똑바르게 단차가 없는 형상인 경우, 상측 관통구멍(601)에 위치하는 고정 샤프트(61)가, 또한 하측 관통구멍(602)을 통해 빠져 나갈 우려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축방향으로 연속하는 상측 관통구멍(601)의 지름방향 위치와 하측 관통구멍(602)의 지름방향 위치가 서로 어긋남으로써, 고정 샤프트(61)의 빠짐 및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싱(22)의 성형시에 고정 샤프트 유지 금형(94)은 스테이터(21)의 외주면으로부터 간극을 두고 지름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고정 샤프트 유지 금형(94)이 스테이터(21)에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싱(22)의 성형 후, 하측 관통구멍(602)은 스테이터(21)보다 지름방향 외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하측 관통구멍(602)의 지름방향 내측의 끝면과 스테이터(21)의 외주면의 지름방향 사이에는 케이싱(22)을 형성하는 수지가 위치한다. 이것에 의해, 스테이터(21)의 절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비스듬히 하측으로부터 본 모터(1)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케이싱(22)의 성형시에, 고정 샤프트 유지 금형(94)이 금형 내부의 공동(95) 중 측벽부(222)이 형성되는 영역에 일부 겹친 상태에서, 유동상태의 수지가 흘러 들어간다. 이 때문에, 케이싱(22)의 성형 후, 케이싱(22)의 외주면의 일부에 고정 샤프트 유지 금형(94)의 자국으로서, 지름방향 내측으로 움푹 패인 케이싱 홈부(603)가 형성된다. 케이싱 홈부(603)는 하측 관통구멍(602)의 축방향 하측에 위치하고, 또한, 하측 관통구멍(602)과 연속한다.
도 5는 케이싱(22)의 하면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 샤프트 유지 금형(94)은 축방향 상측의 단부 부근에 고정 샤프트(61)의 축방향 하측의 단부 부근의 부위와 감합하는 척형상을 갖는다. 이것에 의해, 케이싱(22)의 성형 후, 케이싱(22) 중 상측 관통구멍(601)을 구성하는 면에는 상기 척형상의 자국인 복수의 구멍내 돌출부(226)가 형성된다. 각 구멍내 돌출부(226)는 각각 상측 관통구멍(601)을 구성하는 면의 일부로부터 상측 관통구멍(601)의 내측을 향해서 돌출된다.
또한 케이싱(22)의 성형 후, 스테이터(21)는 적어도 외주면이 케이싱(22)을 형성하는 수지로 덮여짐으로써 고정되어 있다. 이렇게, 스테이터(21)를 케이싱(22)에 인서트 성형에 의해 고정함으로써, 압입에 의해 고정하는 경우 등과 비교해서 보다 용이하고 또한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케이싱(22)의 성형시에, 유동상태의 수지의 유입에 의해 스테이터(21)가 떠 버리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 핀 등을 이용하여 스테이터(21)를 상측으로부터 압박한 상태에서, 유동상태의 수지를 흘려 넣는다. 그리고, 그 후에 수지를 경화시킬 때에, 상기 핀 등을 상측으로 끌어 올린다. 이 결과,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지의 경화 후, 케이싱(22)의 저부(221)의 축방향 상측의 끝면에는 스테이터(21)와 축방향으로 겹치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핀 등의 자국으로서, 축방향 하측으로 움푹 패인 복수의 구멍부(227)가 형성된다. 또, 구멍부(227)는 케이싱(22)의 저부(221)를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케이싱(22)의 성형시에, 상기 핀 등이 금형 내부의 공동(95) 중 고정 샤프트 유지부(223)가 형성되는 위치에 겹쳤을 경우에는 수지의 경화 후, 고정 샤프트 유지부(223)의 측면에, 상기 핀 등의 자국으로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부 홈부(84)가 형성된다. 또, 고정부 홈부(84)는 복수의 구멍부(227) 중 적어도 1개와 연속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케이싱(22)의 성형시에, 중앙 금형(93) 중 지름방향 외측의 부위의 상면에 위치하는 나사 시트 지지면(933)(도 3 참조)에, 나사 시트(62)를 지지하는 지지부재(621)를 통해 3개의 나사 시트(62)를 배치한 상태에서, 유동상태의 수지를 흘려 넣는다. 이 결과, 케이싱(22)의 성형 후, 케이싱 돌출부(225)의 3개의 나사 시트(62)가 각각 위치하는 개소에 있어서, 축방향 상측의 끝면으로부터 축방향 하측으로 움푹 패인 나사 시트용 오목부(228)가 형성된다. 또한 각 나사 시트(62)의 측면을 포함하는 적어도 일부는 케이싱 돌출부(225) 내에 있어서, 케이싱(22)을 형성하는 수지에 의해 덮여짐으로써 고정되어 있다. 이렇게, 나사 시트(62)를 케이싱 돌출부(225)에 인서트 성형에 의해 고정함으로써, 접착에 의해 고정할 경우 등과 비교해서 보다 용이하고 또한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 지지부재(621)는 중앙 금형(93)과 단일부재로서 형성되어도 좋고, 중앙 금형(93)과는 별도의 부재로서 형성되어도 좋다.
또한 케이싱(22)의 성형시에 나사 시트(62)가 지지부재(621)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수지로 경화되므로, 수지의 경화 후, 각 나사 시트(62)의 하측에는 상기 지지부재(621)의 자국이 형성된다. 그리고, 3개의 나사 시트용 오목부(228)는 각각 케이싱 돌출부(225)을 축방향으로 관통한다. 또한, 3개의 나사 시트(62)의 축방향 하측의 단부는 각각 저부(221)의 축방향 하측의 면으로부터 상술의 케이싱(22)의 오목형 형상의 내측의 공간에 노출된다. 또한 3개의 나사 시트(62)의 축방향 상측의 단부는 각각 저부(221)의 축방향 상측의 면으로부터 모터(1)의 외부의 공간에 노출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케이싱(22)의 성형시에, 금형 내부의 공동(95) 중 케이싱 부착 지지부(224)가 형성되는 위치에, 둘레가장자리부가 부착시트(820)로 덮여진 원기둥상의 부재(도시생략)를 배치한 상태에서, 유동상태의 수지를 흘려 넣는다. 그리고, 상기 원기둥상의 부재만을, 수지를 경화시킬 때에 뽑아낸다. 이 결과, 케이싱 부착 지지부(224)에 관통구멍(82)(제3관통구멍)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케이싱(22)의 성형 후, 부착시트(820)는 적어도 일부가 케이싱 부착 지지부(224)를 형성하는 수지로 덮여짐으로써 고정되어 있다. 이렇게, 부착시트(820)를 케이싱 부착 지지부(224)에 인서트 성형에 의해 고정함으로써, 접착에 의해 고정하는 경우 등과 비교해서 보다 용이하고 또한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2.제2실시형태>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모터(1B)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제2실시형태에 따른 모터(1B)의 종단면도이다. 또, 제2실시형태의 모터(1B)에 있어서의 케이싱(22B), 고정 샤프트(61B), 및 인슐레이터(212B) 이외의 부위에 대해서는 제1실시형태의 모터(1)에 있어서의 케이싱(22), 고정 샤프트(61), 및 인슐레이터(212) 이외의 부위와 동등의 구조를 가지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케이싱(22B)은 저부(221B), 측벽부(222B), 및 케이싱 부착 지지부(224B)를 갖는다.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고정 샤프트 유지부(223)에 해당되는 부위에 대해서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저부(221B)에 포함됨과 아울러, 저부(221B)와 단일부재로서 형성된다. 측벽부(222B) 및 케이싱 부착 지지부(224B)에 대해서는 제1실시형태의 측벽부(222) 및 케이싱 부착 지지부(224)와 동등한 구조를 갖는다.
고정 샤프트(61B)는 회전 샤프트(31B)와 지름방향으로 간극을 둔 위치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재이다. 본 실시형태의 고정 샤프트(61B)의 축방향의 길이는 제1실시형태의 고정 샤프트(61)의 축방향의 길이보다 길다.
본 실시형태의 인슐레이터(212B)는 축방향 상측의 끝면에 위치 결정부(85B)를 갖는다. 위치 결정부(85B)는 예를 들면, 요철구조에 의해, 고정 샤프트(61B)를 위치 결정한다. 케이싱(22B)의 성형시에는 고정 샤프트(61B)의 하단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일부가 인슐레이터(212B)의 위치 결정부(85B)에 유지된 상태에서,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금형 내부의 공동에 유동상태의 수지가 흘러 들어간다.
케이싱(22B)의 성형 후, 고정 샤프트(61B)의 하단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일부는 케이싱(22B)의 저부(221B) 및 측벽부(222B)를 형성하는 수지로 덮여짐으로써 고정되어 있다. 이렇게 고정 샤프트(61B)를 케이싱(22B)에 인서트 성형에 의해 고정함으로써, 압입하는 경우 등과 비교해서 보다 용이하고 또한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고정 샤프트(61B)의 일부는 케이싱(22B)의 저부(221B)의 상측으로 돌출된다.
또, 도 7의 변형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치 결정부(85B)는 인슐레이터(212B)의 일부로부터 축방향 상측을 향해서 돌출되는 인슐레이터 돌출부이어도 좋다. 또한 고정 샤프트(61B)는 축방향 하측의 끝면에 있어서, 축방향 상측으로 움푹 패인 고정 샤프트 오목부(63B)를 가져도 좋다. 그리고, 고정 샤프트 오목부(63B)에 상기 인슐레이터 돌출부가 감합함으로써, 고정 샤프트(61B)가 위치 결정되어도 좋다.
또한 도 8의 변형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치 결정부(85B)는 인슐레이터(212B)의 축방향 상측의 끝면에 있어서 축방향 하측으로 움푹 패인 인슐레이터 오목부이어도 좋다. 또한 고정 샤프트(61B)는 축방향 하측의 끝면의 일부로부터 또한 축방향 하측을 향해서 돌출되는 돌출부(64B)(제2고정 샤프트 돌출부)를 가져도 좋다. 그리고, 상기 인슐레이터 오목부에 돌출부(64B)가 감합함으로써, 고정 샤프트(61B)가 위치 결정되어도 좋다.
<3. 변형예>
이상,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의 실시형태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도 9는 일변형예에 따른 모터(1C)의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9의 예에서는 고정 샤프트(61C)는 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움푹 패인 고정 샤프트 홈부(610C)를 갖는다. 케이싱(22C)의 성형시에는 고정 샤프트(61C)의 하단부를 포함하는 일부가 금형 내부의 소정 위치에 유지된 상태에서, 금형 내부의 공동에 유동상태의 수지가 흘러 들어간다. 이 때, 고정 샤프트 홈부(610C)에도 수지가 흘러 들어간다. 이 결과, 수지의 경화 후, 고정 샤프트(61C)의 하단부를 포함하는 일부가 케이싱(22C)의 고정 샤프트 유지부(223C)를 형성하는 수지로 덮여짐으로써 고정됨과 아울러, 또한, 고정 샤프트 홈부(610C) 내에 고정 샤프트 유지부(223C)를 형성하는 수지의 일부가 위치한다. 이것에 의해, 고정 샤프트 유지부(223C)로부터 고정 샤프트(61C)가 축방향으로 빠지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본 변형예의 고정 샤프트 홈부(610C)는 고정 샤프트(61C)의 측면에 나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케이싱(22C)의 성형 후, 고정 샤프트 유지부(223C)로부터 고정 샤프트(61C)가 축방향으로 빠지는 것, 및 고정 샤프트 유지부(223C)에 대해서 고정 샤프트(61C)가 도는 것(미끄러지는 것)이 더 억제된다.
도 10은 다른 변형예에 따른 모터(1D)의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10의 예에서는 고정 샤프트(61D)는 측면으로부터 축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65D)(제1고정 샤프트 돌출부)를 갖는다. 케이싱(22D)의 성형시에는 고정 샤프트(61D)의 하단부를 포함하는 일부가 금형 내부의 소정 위치에 유지된 상태에서, 금형 내부의 공동에 유동상태의 수지가 흘러 들어간다. 이 때, 돌출부(65D)의 주위에도 수지가 흘러 들어간다. 이 결과, 수지의 경화 후, 돌출부(65D)를 포함하는 고정 샤프트(61D)의 일부가 케이싱(22C)의 고정 샤프트 유지부(223C)를 형성하는 수지로 덮여짐으로써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고정 샤프트(61D)와, 케이싱(22D)을 형성하는 수지의 접촉 면적이 증대된다. 따라서, 고정 샤프트 유지부(223D)를 포함하는 케이싱(22D)으로부터 고정 샤프트(61D)가 축방향으로 빠지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도 10의 예에서는 고정 샤프트(61D)는 축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2관통구멍(66D)을 더 갖는다. 케이싱(22D)의 성형시에는 또한 제2관통구멍(66D)내에도 수지가 흘러 들어간다. 이 때문에, 수지의 경화 후, 고정 샤프트(61D)의 하단부를 포함하는 일부가 케이싱(22D)의 고정 샤프트 유지부(223D)를 형성하는 수지로 덮여짐으로써 고정됨과 아울러, 또한, 제2관통구멍(66D) 내에 고정 샤프트 유지부(223D)를 형성하는 수지의 일부가 위치한다. 이것에 의해, 고정 샤프트(61D)와 케이싱(22D)을 형성하는 수지의 접촉 면적이 증대한다. 이 결과, 고정 샤프트 유지부(223D)를 포함하는 케이싱(22D)으로부터 고정 샤프트(61D)가 축방향으로 빠지는 것, 및 고정 샤프트 유지부(223C)에 대해서 고정 샤프트(61D)가 도는 것(미끄러지는 것)이 더 억제된다. 또, 고정 샤프트(61D)는 상술의 돌출부(65D)(제1고정 샤프트 돌출부) 및 제2관통구멍(66D) 중 한쪽만을 갖고 있어도 좋다.
상술의 실시형태에서는 3개의 나사 시트(62)를 케이싱 돌출부(225)에 인서트 성형에 의해 고정할 때, 상기 3개의 나사 시트(62)를 각각 금형 내부의 소정 위치에 유지한 상태에서, 금형 내부의 공동에 유동상태의 수지를 흘려 넣고 있었다. 그러나, 복수의 나사 시트(62E)를 서로 연결한 상태에서, 케이싱 돌출부(225)에 인서트 성형에 의해 고정해도 좋다. 도 11은 다른 변형예에 따른 복수의 나사 시트(62E)를 갖는 링부재(67E)의 사시도이다. 링부재(67E)는 중심축(9E)을 중심으로 해서 원환상으로 넓어지는 부재이다. 또한 링부재(67E)는 복수의 나사 시트(62E)와, 상기 복수의 나사 시트(62E)를 서로 연결하는 접속 부재(68E)를 갖는다.
그리고, 케이싱(22)의 성형시에는 상술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사용된 중앙 금형(93)과 같은 금형의 나사 시트 지지면(933)(도 3 참조)에 링부재(67E)를 배치한 상태에서, 유동상태의 수지를 흘려 넣는다. 이 결과, 케이싱(22)의 성형 후, 복수의 나사 시트(62E)가 위치하는 개소에 있어서, 케이싱 돌출부(225)의 축방향 상측의 끝면으로부터 축방향 하측으로 움푹 패인 복수의 나사 시트용 오목부(228)가 형성된다. 또한 복수의 나사 시트(62E)를 포함하는 링부재(67E)가 케이싱(22)을 형성하는 수지로 덮여짐으로써 고정된다. 이렇게, 링부재(67E)를 사용함으로써, 케이싱(22)의 성형시에, 금형 내부의 소정 위치에 복수의 나사 시트(62E)를 배치하는 것이 용이해지고, 작업성이 향상된다.
상술의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서는 회전 샤프트는 케이싱 및 커버를 각각 축방향으로 관통하고, 모터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었다. 그러나, 회전 샤프트는 케이싱 및 커버 중 적어도 한쪽을 축방향으로 관통해서 모터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면 좋다.
상술의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서는 스테이터의 지름방향 내측에 마그넷이 배치되는, 소위 이너 로터형의 모터가 사용되어지고 있었다. 그러나, 스테이터의 지름방향 외측에 마그넷이 배치되는, 소위 아우터 로터형의 모터가 사용되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구성은 상술의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 있어서 기재된 상하방향의 정의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의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서 사용된 「(축방향)상측」은 「(축방향)일방측」으로 대체하는 것으로 하고, 「(축방향)하측」은 「(축방향)타방측」으로 대체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상술의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서 사용된 「(축방향)상측」은 「(축방향)타방측」으로 대체되어도 좋고, 「(축방향)하측」은 「(축방향)일방측」으로 대체되어도 좋다.
또한 각 부재의 세부의 형상에 대해서는 본원의 각 도면에 나타내어진 형상과, 상위해도 좋다. 또한 상술의 실시형태나 변형예에 등장한 각 요소를 모순이 생기지 않는 범위에서 적당하게 조합해도 좋다.
본 발명은 모터에 이용할 수 있다.
1, 1B, 1C, 1D 모터
2 정지부
3 회전부
9, 9E 중심축
21 스테이터
22, 22B, 22C, 22D 케이싱
23 커버
31, 31B 회전 샤프트
32 로터
33 마그넷
41 코어백
42 티스
60 제1관통구멍
61, 61B, 61C, 61D 고정 샤프트
62, 62E 나사 시트
63B 고정 샤프트 오목부
64B 돌출부(제2고정 샤프트 돌출부)
65D 돌출부(제1고정 샤프트 돌출부)
66D 제2관통구멍
67E 링부재
68E 접속부재
71 상측 베어링부
72 하측 베어링부
80 저부 관통구멍
81 상측 베어링 수용부재
82 관통구멍(제3관통구멍)
83 하측 베어링 수용부재
84 고정부 홈부
85B 위치 결정부
91 상측 금형
92 하측 금형
93 중앙 금형
94 고정 샤프트 유지 금형
95 공동
211 스테이터 코어
212, 212B 인슐레이터
213 코일
220 케이싱 개구부
221, 221B 저부
222, 222B 측벽부
223, 223C, 223D 고정 샤프트 유지부
224, 224B 케이싱 부착 지지부
225 케이싱 돌출부
226 구멍내 돌출부
227 구멍부
228 나사 시트용 오목부
230 커버 관통구멍
311 모터 풀리
320 로터 관통구멍
601 상측 관통구멍
602 하측 관통구멍
603 케이싱 홈부
610C 고정 샤프트 홈부
820 부착시트
910 관통구멍
920 내측 관통구멍
921 외측 관통구멍
930 제1상측 단차부
931 제1하측 단차부
932 지지 금형
933 나사 시트 지지면
941 제2단차부

Claims (23)

  1. 모터로서,
    스테이터를 포함하는 정지부와,
    상기 스테이터와 대향해서 배치되고, 상하로 연장되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로터를 포함하는 회전부를 갖고,
    상기 정지부는,
    상기 스테이터를 유지하는 수지제의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축방향 일방측에 형성된 케이싱 개구부를 덮는 커버를 갖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중심축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로터에 고정되는 회전 샤프트를 갖고,
    상기 회전 샤프트는 상기 케이싱 및 상기 커버 중 적어도 한쪽을 축방향으로 관통해서 상기 모터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정지부는,
    상기 회전 샤프트와 지름방향으로 간극을 둔 위치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 샤프트와,
    상기 케이싱의 일부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고정 샤프트가 유지되는 고정 샤프트 유지부를 갖는 모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지름방향으로 넓어지는 저부와,
    상기 저부로부터 축방향 일방측을 향해서 원통상으로 연장되는 측벽부를 갖고,
    상기 회전 샤프트는 상기 저부를 관통하고,
    상기 고정 샤프트 유지부는 상기 케이싱의 일부로부터 축방향 타방측을 향해서 돌출되는 모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샤프트 유지부는 상기 저부로부터 축방향 타방측을 향해서 돌출되는 모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에 대해서 상기 회전 샤프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부를 더 갖고,
    상기 저부는,
    축방향 타방측을 향해서 원통상으로 돌출됨과 아울러, 상기 베어링부를 유지하는 케이싱 돌출부를 더 갖고,
    상기 케이싱 돌출부와 상기 고정 샤프트 유지부가 인접해서 연결되어 있는 모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샤프트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고정 샤프트 유지부로 덮여짐으로써 고정되는 모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샤프트의 일부는 상기 고정 샤프트 유지부의 축방향 타방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케이싱은,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관통구멍을 갖는 모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통구멍은,
    적어도 일부에 상기 고정 샤프트가 위치하는 타방측 관통구멍과,
    상기 타방측 관통구멍의 축방향 일방측에 있어서 상기 타방측 관통구멍과 연속되는 일방측 관통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일방측 관통구멍의 축방향 타방측의 단부의 지름방향 위치는 상기 타방측 관통구멍의 축방향 일방측의 단부의 지름방향 위치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모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의 적어도 외주면은 상기 케이싱에 의해 덮여지며,
    상기 일방측 관통구멍은 상기 스테이터보다 지름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모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외주면의 일부로부터 지름방향 내측으로 움푹 패인 케이싱 홈부를 갖고,
    상기 케이싱 홈부는 상기 일방측 관통구멍의 축방향 일방측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일방측 관통구멍과 연속되는 모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타방측 관통구멍을 구성하는 면의 일부로부터 상기 타방측 관통구멍의 내측을 향해서 돌출되는 복수의 구멍내 돌출부를 더 갖는 모터.
  11. 제 5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샤프트는,
    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움푹 패인 고정 샤프트 홈부를 갖고,
    상기 고정 샤프트 홈부 내에 상기 고정 샤프트 유지부를 형성하는 수지의 일부가 위치하는 모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샤프트 홈부는 상기 고정 샤프트의 측면에 나선상으로 형성되는 모터.
  13. 제 5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샤프트는,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고정 샤프트 돌출부를 갖고,
    상기 제1고정 샤프트 돌출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고정 샤프트 유지부를 형성하는 수지에 의해 덮여지는 모터.
  14. 제 5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샤프트는,
    축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2관통구멍을 갖고,
    상기 제2관통구멍 내에 상기 고정 샤프트 유지부를 형성하는 수지가 위치하는 모터.
  1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저부는,
    축방향 타방측의 끝면의, 상기 스테이터와 축방향으로 겹쳐지는 부위에 있어서, 축방향 일방측으로 움푹 패인 복수의 구멍부를 갖고,
    상기 고정 샤프트 유지부는,
    측면에 있어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부 홈부를 더 갖고,
    상기 고정부 홈부는 상기 복수의 구멍부 중 적어도 1개와 연속되는 모터.
  16.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는,
    지름방향 내측을 향해서 돌출되는 복수의 티스를 갖는 자성체인 스테이터 코어와,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표면의 일부를 덮는 인슐레이터와,
    상기 인슐레이터를 통해 상기 복수의 티스에 감겨진 도선을 갖는 복수의 코일을 갖고,
    상기 인슐레이터는,
    상기 고정 샤프트를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를 갖는 모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인슐레이터의 일부로부터 축방향 타방측으로 돌출되는 인슐레이터 돌출부이며,
    상기 고정 샤프트는 축방향 일방측의 끝면에,
    축방향 타방측으로 움푹 패인 고정 샤프트 오목부를 갖고,
    상기 고정 샤프트 오목부에 상기 인슐레이터 돌출부가 감합되는 모터.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인슐레이터의 축방향 타방측의 끝면에 있어서 축방향 일방측으로 움푹 패인 인슐레이터 오목부이며,
    상기 고정 샤프트는 축방향 일방측의 끝면의 일부로부터 또한 축방향 일방측으로 돌출되는 제2고정 샤프트 돌출부를 갖고,
    상기 인슐레이터 오목부에 상기 제2고정 샤프트 돌출부가 감합되는 모터.
  1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부는,
    1개 또는 복수의 나사 시트를 갖고,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나사 시트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케이싱 돌출부 내에 있어서 각각 상기 케이싱을 형성하는 수지에 의해 덮여지고,
    상기 케이싱 돌출부는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나사 시트가 위치하는 개소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 타방측의 끝면으로부터 축방향 일방측으로 움푹 패인 1개 또는 복수의 나사 시트용 오목부를 갖는 모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나사 시트용 오목부는 각각 상기 케이싱 돌출부를 축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나사 시트의 축방향 일방측의 단부는 상기 저부의 축방향 일방측의 면으로부터 노출되는 모터.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돌출부는,
    복수의 상기 나사 시트용 오목부를 갖고,
    상기 정지부는,
    복수의 상기 나사 시트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해서 원환상으로 넓어지는 링부재를 갖고,
    상기 링부재는 상기 케이싱을 형성하는 수지에 적어도 일부가 덮여짐으로써 고정되는 모터.
  2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외주부의 둘레방향의 일부로부터 지름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케이싱 부착 지지부를 더 갖고,
    상기 제1관통구멍은 상기 케이싱 부착 지지부의 지름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모터.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부착 지지부는,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1개 또는 복수의 제3관통구멍을 갖고,
    상기 정지부는,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제3관통구멍에 있어서, 각각 상기 케이싱 부착 지지부 중 상기 제3관통구멍을 구성하는 면을 따라 배치되는 1개 또는 복수의 부착시트를 더 갖고,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부착시트는 상기 케이싱 부착 지지부를 형성하는 수지에 적어도 일부가 덮여짐으로써 고정되는 모터.
KR1020190082518A 2018-08-01 2019-07-09 모터 KR202000146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44660A JP2020022277A (ja) 2018-08-01 2018-08-01 モータ
JPJP-P-2018-144660 2018-08-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4689A true KR20200014689A (ko) 2020-02-11

Family

ID=69426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2518A KR20200014689A (ko) 2018-08-01 2019-07-09 모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0022277A (ko)
KR (1) KR20200014689A (ko)
CN (1) CN11079800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701A (ko) * 2020-06-30 2022-01-06 뉴모텍(주) Bldc 건조기 모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4338A1 (ja) * 2019-08-05 2021-02-11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動機およびそ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54387A (ja) 2012-09-12 2014-03-27 Samsung R&D Institute Japan Co Ltd 衣類乾燥機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62871B1 (fr) * 1990-05-30 1992-08-07 Valeo Equip Electr Moteur Alternateur, notamment pour vehicules automobiles, et son dispositif de reglage de la tension de la courroie.
DE19911139A1 (de) * 1999-03-12 2000-09-14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Antriebsvorrichtung für eine von vorn beschickbare Waschmaschine
JP2001017782A (ja) * 2000-01-01 2001-01-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洗濯機
CN202276791U (zh) * 2011-09-23 2012-06-20 安徽省金寨县绿茗有机茶科技开发有限公司 茶叶烘干机的传动机构
CN202971773U (zh) * 2012-11-02 2013-06-05 东莞市高创电机科技有限公司 一种应用于高压直流马达的皮带传动机构
JP6175708B2 (ja) * 2013-02-18 2017-08-09 日本電産テクノモータ株式会社 モータ
WO2015159322A1 (ja) * 2014-04-17 2015-10-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ブラシレスモータ及びこれを搭載した洗濯機
CN204205828U (zh) * 2014-11-25 2015-03-11 日本电产三协株式会社 马达
JP6429115B2 (ja) * 2014-12-25 2018-11-28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
FR3032746B1 (fr) * 2015-02-16 2018-08-03 Valeo Equipements Electriques Moteur Machine electrique tournante dotee d'une poulie de reception d'une courroie et d'un dispositif de reglage de la tension de la courroie
DE102015215009A1 (de) * 2015-08-06 2017-02-09 Continental Automotive Gmbh Luftgekühlter Elektromotor mit einer Parallelschaltung zweier Lüfterräder
CN205423223U (zh) * 2016-03-14 2016-08-03 临沂市普惠农牧机械有限公司 耐腐蚀大风量畜牧风机
CN107819383A (zh) * 2017-11-08 2018-03-20 魏靖靖 一种节能型散热电机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54387A (ja) 2012-09-12 2014-03-27 Samsung R&D Institute Japan Co Ltd 衣類乾燥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701A (ko) * 2020-06-30 2022-01-06 뉴모텍(주) Bldc 건조기 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022277A (ja) 2020-02-06
CN110798008A (zh) 2020-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69119B2 (en) Electric machine having slot insulation with flange arrangement
US20130009494A1 (en) Mo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motor
US20130119808A1 (en) Motor
US8109742B2 (en) Rotor yoke with cup portion having a deviated center of gravity and a flange portion having a deviated rotational axis
JP6651545B2 (ja) モータ
US8568110B2 (en) Blower fa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7939985B2 (en) Mo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rotor unit of the motor
US11283309B2 (en) Brushless motor and winding method for stator
US9385567B2 (en) Rotating electric machine
US10971965B2 (en) Motor and blower apparatus
EP3168963B1 (en) Rotor of electric motor, electric motor, and air conditioner
US10666103B2 (en) Rotor of rotating electric machine
KR20200014689A (ko) 모터
JP6745674B2 (ja) ロータおよび回転電機
EP3361610A1 (en) Stator for a linear stepper motor and a method for its manufacture
US7271514B2 (en) Rotor structure
US10348151B2 (en) Motor
JP2022057439A (ja) 電動アクチュエータ
JP6659169B2 (ja) ロータおよび回転電機
CN109906539B (zh) 旋转电机的电枢、旋转电机、电梯用曳引机及电枢的制造方法
CN112583162A (zh) 保持架、转子、马达以及转子的制造方法
US11569699B2 (en) Holder, rotor, mo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rotor
JP7131818B2 (ja) センサホルダ
US11201513B2 (en) Rotor and motor
JP2012151947A (ja) アウターロータ型のモ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