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2692A - 폴더블 디바이스 및 장착 방법 - Google Patents

폴더블 디바이스 및 장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2692A
KR20200012692A KR1020187029995A KR20187029995A KR20200012692A KR 20200012692 A KR20200012692 A KR 20200012692A KR 1020187029995 A KR1020187029995 A KR 1020187029995A KR 20187029995 A KR20187029995 A KR 20187029995A KR 20200012692 A KR20200012692 A KR 202000126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oating layer
rotating shaft
foldable device
flexible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9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7637B1 (ko
Inventor
씬웨이 시
Original Assignee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12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26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7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76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6Hin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4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더블 디바이스 및 장착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자 기술 영역에 속한다. 해당 폴더블 디바이스는, 제1 케이스, 제2 케이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회전축 및 플렉서블 피복층을 포함하며,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는 회전축을 통해 연결되고, 플렉서블 피복층은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와 각각 연결되고 회전축의 외측을 감싸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와 각각 연결되고, 제1 케이스, 제2 케이스 및 회전축의 내측에 위치한다. 플렉서블 피복층을 통해 회전축의 외측을 감싸도록 하여 회전축을 회전축이 위치한 외부 환경과 효과적으로 격리시킬 수 있음으로써, 회전 기능을 보장하면서도 회전축이 외부 환경의 수분, 먼지 등 이물질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플렉서블 피복층을 통해 회전축을 보호함으로써 회전축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회전축의 사용 수명을 연장하며 폴더블 디바이스의 정상적인 사용을 보장한다.

Description

폴더블 디바이스 및 장착 방법
본 출원은 출원번호가 CN201810840355.X이고 출원일이 2018년7월27일인 중국 특허 출원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중국 특허 출원의 모든 내용을 본 출원에 원용한다.
본 발명은 전자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폴더블 디바이스 및 장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빠른 발전과 다양화 디바이스의 흥행과 더불어, 폴더블(foldable) 디바이스는 이미 하나의 발전 추세로 자리를 매기고 있다. 폴더블 디바이스에는 폴더블 케이스 뿐만 아니라 폴더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도 배치되며, 폴더블 디바이스가 접혀진 상태에 있을 경우 디바이스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고, 폴더블 디바이스가 전개 상태에 있을 경우 사용자에게 비교적 큰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 사용 면적을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의 시청 효과를 향상시킨다.
관련 기술에 있어서, 폴더블 디바이스에는 두 개 부분의 케이스와 디스플레이가 배치되며, 두 개 부분의 케이스는 회전축을 통해 연결되고 각각의 부분의 케이스는 모두 회전축을 에워싸고 회전할 수 있다. 회전 후 두 개 부분의 케이스가 각각 회전축 양측에 위치할 경우, 디스플레이는 전개 상태로 되어 사용자에게 완전한 디스플레이를 전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폴더블 디바이스를 바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회전 후 두 개 부분의 케이스가 회전축의 동일 측에 접힐 경우, 디스플레이 역시 접혀진 상태로 되어 디바이스의 폴딩(folding) 효과를 구현하게 된다.
해당 기술에 존재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더블 디바이스 및 장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기술 방안은 아래와 같다.
제1 양태에 따르면, 제1 케이스, 제2 케이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회전축 및 플렉서블 피복층을 포함하는 폴더블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는 상기 회전축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플렉서블 피복층은 상기 제1 케이스 및 상기 제2 케이스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의 외측을 감싸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1 케이스 및 상기 제2 케이스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1 케이스, 상기 제2 케이스 및 상기 회전축의 내측에 위치하는 폴더블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제1 부재, 제2 부재 및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연결 부재를 통해 연결되되 상기 연결 부재를 에워싸고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플렉서블 피복층은 상기 연결 부재의 외측을 감싸며;
상기 제1 케이스에는 제1 걸림 홈이 설치되고,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제1 걸림 홈과 걸림 연결되며;
상기 제2 케이스에는 제2 걸림 홈이 설치되고,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2 걸림 홈과 걸림 연결된다.
다른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피복층은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부는 상기 제1 케이스와 연결되고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제2 케이스와 연결되며;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 사이에는 주름층이 설치된다.
다른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 또는 상기 제2 케이스가 상기 회전축을 에워싸고 회전하면서 상기 제1 케이스가 상기 제2 케이스에 접근하면, 상기 주름층은 전개되고;
상기 제1 케이스 또는 상기 제2 케이스가 상기 회전축을 에워싸고 회전하면서 상기 제1 케이스가 상기 제2 케이스로부터 멀어지면, 상기 주름층은 압축된다.
다른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가 상기 제2 케이스와 동일한 평면에 위치할 경우, 상기 주름층의 외면, 상기 제1 케이스의 외면 및 상기 제2 케이스의 외면은 동일한 평면에 위치된다.
다른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피복층은 점성 물질을 통해 상기 제1 케이스 및 상기 제2 케이스와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점성 물질은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이다.
다른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피복층은 플렉서블 재료로 구성되며;
상기 플렉서블 재료는 PI(Polyimid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TPU(Thermoplastic Urethane) 또는 실리콘이다.
제2 양태에 따르면, 제1 양태의 폴더블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폴더블 디바이스의 장착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피복층을 상기 제1 케이스 및 상기 제2 케이스와 각각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회전축을 상기 제1 케이스 및 상기 제2 케이스와 각각 연결하여, 상기 회전축이 상기 플렉서블 피복층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바이스의 장착 방법을 제공한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제1 부재, 제2 부재 및 연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을 상기 제1 케이스 및 상기 제2 케이스와 각각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부재를 상기 제1 케이스에 설치된 제1 걸림 홈과 걸림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부재를 상기 제2 케이스에 설치된 제2 걸림 홈과 걸림 연결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다른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케이스가 상기 회전축을 에워싸고 회전하면서 상기 제2 케이스에 접근하는 과정 중, 상기 플렉서블 피복층의 주름층이 전개되는 단계; 또는,
상기 제2 케이스가 상기 회전축을 에워싸고 회전하면서 상기 제1 케이스에 접근하는 과정 중, 상기 플렉서블 피복층의 주름층이 전개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다른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케이스가 상기 회전축을 에워싸고 회전하면서 상기 제2 케이스로부터 멀어지는 과정 중, 상기 플렉서블 피복층의 주름층이 압축되는 단계; 또는,
상기 제2 케이스가 상기 회전축을 에워싸고 회전하면서 상기 제1 케이스로부터 멀어지는 과정 중, 상기 플렉서블 피복층의 주름층이 압축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술 방안은 적어도 아래와 같은 유익한 효과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폴더블 디바이스는 제1 케이스, 제2 케이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회전축 및 플렉서블 피복층을 포함하며,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는 회전축을 통해 연결되고, 플렉서블 피복층은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와 각각 연결되고 회전축의 외측을 감싸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와 각각 연결되고, 제1 케이스, 제2 케이스 및 회전축의 내측에 위치한다. 플렉서블 피복층을 통해 회전축의 외측을 감싸도록 하여 회전축을 회전축이 위치한 외부 환경과 효과적으로 격리시킬 수 있음으로써, 회전 기능을 보장하면서도 회전축이 외부 환경의 수분, 먼지 등 이물질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플렉서블 피복층을 통해 회전축을 보호함으로써 회전축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회전축의 사용 수명을 연장하며 폴더블 디바이스의 정상적인 사용을 보장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폴더블 디바이스의 회전축은 제1 부재, 제2 부재 및 연결 부재를 포함하며, 제1 케이스 상에는 제1 걸림 홈이 설치되고 제2 케이스 상에는 제2 걸림 홈이 설치되며, 제1 부재를 제1 걸림 홈과 걸림 연결하고 제2 부재를 제2 걸림 홈과 걸림 연결하며, 제1 부재와 제2 부재는 연결 부재를 통해 연결됨으로써, 제1 케이스, 제2 케이스 및 회전축을 안정하게 연결시킬 수 있으며, 플렉서블 피복층을 통해 회전축의 외측을 감싸도록 하여 회전축을 회전축이 위치한 외부 환경과 효과적으로 격리시킬 수 있음으로써, 회전축이 외부 환경의 수분, 먼지 등 이물질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회전축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회전축의 사용 수명을 연장하며 폴더블 디바이스의 정상적인 사용을 보장한다.
또한, 플렉서블 피복층의 하면이 평면이고 측면이 곡면이며 플렉서블 피복층의 형상이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의 형상과 매칭되도록 함으로써, 회전축의 하면과 측면에 모두 플렉서블 피복층이 감싸지도록 보장할 수 있으며,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의 표면과 일치하도록 보장하여 폴더블 디바이스의 외관 상의 일관성을 보장할 수 있다.
이상의 일반적인 서술과 하기의 세부 서술은 단지 예시적이고 해석을 위한 것일 뿐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하기의 도면은 명세서에 병합되어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고 본 발명에 부합하는 실시예를 표시하며 명세서와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해석한다.
도 1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바이스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2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회전축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3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4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피복층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5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바이스가 완전히 접혀진 상태에 있을 경우의 모식도이다.
도 6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바이스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 있을 경우의 모식도이다.
도 7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바이스의 장착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바이스의 장착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 방안에 대해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일 뿐이지 전부의 실시예가 아님은 자명한 것이며, 당업자들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반하여 진보적 노동을 거치지 않고 획득한 모든 기타 실시예들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목적, 기술 방안 및 효과를 더욱 명확히 하기 위하여, 이하 도면과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 방식에 대해 더욱 상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여기서,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그 사례를 도면에 표시한다. 하기의 서술이 도면에 관련될 때, 달리 명시하지 않는 경우, 서로 다른 도면에서의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하기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서술한 실시 방식은 본 발명에 부합되는 모든 실시 방식을 대표하는 것이 아니며, 실시 방식들은 다만 첨부된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본 발명의 일부 측면에 부합되는 장치 및 방법의 예이다.
도 1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바이스의 구조 모식도이다. 해당 폴더블 디바이스는 핸드폰, 태블릿 PC 등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폴더블 디바이스는 제1 케이스(101), 제2 케이스(10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3), 회전축(104) 및 플렉서블 피복층(105)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케이스(101)와 제2 케이스(102)는 회전축(104)을 통해 연결되고, 제1 케이스(101)와 제2 케이스(102)는 회전축(104)을 에워싸고 회전할 수 있어, 제1 케이스(101), 제2 케이스(102) 및 회전축(104) 내측에 위치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전개되거나 접혀질 수 있으며, 제1 케이스(101) 또는 제2 케이스(102)를 회전하는 것을 통해 폴더블 디바이스의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3)는 제1 케이스(101), 제2 케이스(102) 및 회전축(104)의 내측에 위치하며, 그 일 면은 제1 케이스(101) 및 제2 케이스(102)와 부착 연결되고 다른 일 면은 화면을 표시한다. 제1 케이스(101) 또는 제2 케이스(102)가 회전축(104)을 에워싸고 회전하는 과정 중,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3)는 제1 케이스(101) 또는 제2 케이스(102)의 위치 변화에 따라 형상이 변경된다. 여기서, 해당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3)는 유연한 재료로 제조되는 것으로서, 일 종의 굽힘 가능하고 변형 가능한 표시 부재이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폴더블 디바이스가 전개 상태에 있을 경우, 제1 케이스(101) 또는 제2 케이스(102)가 회전축(104)을 에워싸고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3)의 두 부분이 긴밀히 접촉할 때까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3)가 절곡되도록 한다. 이 때, 폴더블 디바이스는 완전히 접혀진 상태로 된다.
예를 들면, 제2 케이스(102)는 제1 케이스(101)를 기준으로 회전축(104)을 에워싸고 회전하며, 폴더블 디바이스가 완전히 접혀질 때까지 제1 케이스(101)에 점차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 또는, 제1 케이스(101)는 제2 케이스(102)를 기준으로 회전축(104)을 에워싸고 회전하며, 폴더블 디바이스가 완전히 접혀질 때까지 제2 케이스(102)에 점차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
두 번째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폴더블 디바이스가 접혀진 상태에 있을 경우, 제1 케이스(101) 또는 제2 케이스(102)가 회전축(104)을 에워싸고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3)가 한 개의 평면으로 완전히 전개되어 제1 케이스(101), 제2 케이스(102) 및 회전축(104)이 동일한 평면에 위치할 때까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3)가 점차적으로 전개되게 한다.
예를 들면, 제2 케이스(102)는 제1 케이스(101)를 기준으로 회전축(104)을 에워싸고 회전하며, 폴더블 디바이스가 완전히 전개될 때까지 제1 케이스(101)로부터 점차적으로 멀어진다. 또는, 제1 케이스(101)는 제2 케이스(102)를 기준으로 회전축(104)을 에워싸고 회전하며, 폴더블 디바이스가 완전히 전개될 때까지 제2 케이스(102)로부터 점차적으로 멀어진다.
한편, 플렉서블 피복층(105)은 제1 케이스(101) 및 제2 케이스(102)와 각각 연결되며, 회전축(104)의 외측을 감싼다.
예를 들면, 플렉서블 피복층(105)은 점성 물질을 통해 제1 케이스(101) 및 제2 케이스(102)와 각각 연결되며, 여기서, 해당 점성 물질은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일 수 있다. 또는, 핫 프레스(hot pressing) 공정을 통해 플렉서블 피복층(105)을 제1 케이스(101) 및 제2 케이스(102)와 각각 연결할 수 있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플렉서블 피복층(105)은 플렉서블 재료를 적용하여 구성되며, 해당 플렉서블 재료는 PI, PET, TPU 또는 실리콘 등 재료이다. 플렉서블 피복층의 두께는 제1 케이스(101)와 제2 케이스(102)의 두께 및 회전축(104)의 두께에 따라 확정되며, 예를 들면 0.5mm 또는 기타 사이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폴더블 디바이스에 있어서, 제1 케이스(101)와 제2 케이스(102) 사이의 연결 영역에는 회전축(104)과 플렉서블 피복층(105)이 구비되며, 회전축(104) 내측에 위치하고 플렉서블 피복층(105)이 회전축(104)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회전 기능을 보장하면서도 플렉서블 피복층(105)을 통해 회전축(104)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관련 기술에서의 폴더블 디바이스는 두 개 부분의 케이스 사이에 회전축이 설치되며, 회전축을 이용하여 두 개 부분의 케이스를 연결하고 회전축을 외부 환경에 직접 노출시킴으로 인해, 회전축은 외부 환경 중의 수분, 먼지 등 이물질의 영향을 쉽게 받게 된다. 회전축에는 복잡한 기계 구조가 적용되므로, 외부의 이물질은 회전축의 오동작을 쉽게 유발하게 되어 폴더블 디바이스의 정상적인 사용에 영향을 끼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폴더블 디바이스는 제1 케이스, 제2 케이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회전축 및 플렉서블 피복층을 포함하며,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는 회전축을 통해 연결되고, 플렉서블 피복층은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와 각각 연결되고 회전축의 외측을 감싸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와 각각 연결되고, 제1 케이스, 제2 케이스 및 회전축의 내측에 위치한다. 플렉서블 피복층을 통해 회전축의 외측을 감싸도록 하여 회전축을 회전축이 위치한 외부 환경과 효과적으로 격리시킬 수 있음으로써, 회전 기능을 보장하면서도 회전축이 외부 환경의 수분, 먼지 등 이물질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플렉서블 피복층을 통해 회전축을 보호함으로써 회전축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회전축의 사용 수명을 연장하며 폴더블 디바이스의 정상적인 사용을 보장한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회전축(104)은 제1 부재(1041), 제2 부재(1042) 및 연결 부재(1043)를 포함하고, 제1 부재(1041)와 제2 부재(1042)는 연결 부재(1043)를 통해 연결되되 연결 부재(1043)를 에워싸고 회전할 수 있으며, 플렉서블 피복층(105)은 연결 부재(1043)의 외측을 감싼다.
제1 케이스(101)에는 제1 걸림 홈(1011)이 설치되고, 제2 케이스(102)에는 제2 걸림 홈(1021)이 설치된다. 상기 제1 케이스(101)와 제2 케이스(102)가 회전축(104)을 통해 연결되는 것은, 제1 부재(1041)가 제1 걸림 홈(1011)과 걸림 연결되고, 제2 부재(1042)가 제2 걸림 홈(1021)과 걸림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며, 걸림 연결 후의 제1 부재(1041)와 제2 부재(1042)는 연결 부재(1043)를 통해 연결되고, 플렉서블 피복층(105)은 연결 부재(1043)의 외측을 감싼다.
제1 부재(1041)와 제1 케이스(101)는 제1 걸림 홈(1011)을 통해 걸림 연결되어 일체식 구조를 구성하며, 제2 부재(1042)와 제2 케이스(102) 역시 제2 걸림 홈(1021)을 통해 걸림 연결되어 일체식 구조를 구성한다. 제1 케이스(101)가 회전축(104)을 에워싸고 회전할 경우, 실제상 제1 케이스(101)가 이동하면서 제1 케이스(101)와 걸림 연결된 제1 부재(1041)를 연동시켜 연결 부재(1043)를 에워싸고 회전하도록 하는 것이고; 제2 케이스(102)가 회전축(104)을 에워싸고 회전할 경우, 실제상 제2 케이스(102)가 이동하면서 제2 케이스(102)와 걸림 연결된 제2 부재(1042)를 연동시켜 연결 부재(1043)를 에워싸고 회전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폴더블 디바이스의 회전축은 제1 부재, 제2 부재 및 연결 부재를 포함하며, 제1 케이스 상에는 제1 걸림 홈이 설치되고 제2 케이스 상에는 제2 걸림 홈이 설치되며, 제1 부재를 제1 걸림 홈과 걸림 연결하고 제2 부재를 제2 걸림 홈과 걸림 연결하며, 제1 부재와 제2 부재는 연결 부재를 통해 연결됨으로써, 제1 케이스, 제2 케이스 및 회전축을 안정하게 연결시킬 수 있으며, 플렉서블 피복층을 통해 회전축의 외측을 감싸도록 하여 회전축을 회전축이 위치한 외부 환경과 효과적으로 격리시킬 수 있음으로써, 회전 기능을 보장하면서도 회전축이 외부 환경의 수분, 먼지 등 이물질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플렉서블 피복층을 통해 회전축을 보호함으로써 회전축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회전축의 사용 수명을 연장하며 폴더블 디바이스의 정상적인 사용을 보장한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도 4를 참조하면, 플렉서블 피복층(105)은 제1 단부(1051)와 제2 단부(1052)를 포함하며, 해당 제1 단부(1051)와 제2 단부(1052) 사이에 주름층(1053)이 설치된다.
상기 플렉서블 피복층(105)이 제1 케이스(101) 및 제2 케이스(102)와 각각 연결되고 회전축(104)의 외측을 감싸는 것은, 플렉서블 피복층(105)의 제1 단부(1051)가 제1 케이스(101)와 연결되고 제2 단부(1052)가 제2 케이스(102)와 연결되며 주름층(1053)이 회전축(104)의 외측을 감싸는 것을 포함한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플렉서블 피복층(105)의 제1 단부(1051)는 점성물질을 통해 제1 케이스(101)와 연결되고, 플렉서블 피복층(105)의 제2 단부(1052)는 점성 물질을 통해 제2 케이스(102)와 연결되며, 여기서, 해당 점성 물질은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일 수 있다.
다른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핫 프레스 공정을 적용하여 플렉서블 피복층(105)의 제1 단부(1051)를 제1 케이스(101)와 연결하고 플렉서블 피복층(105)의 제2 단부(1052)를 제2 케이스(102)와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케이스(101)와 제2 케이스(102) 중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3)와 연결된 면을 내면이라 하고 해당 내면과 상대측의 평면을 외면이라 하며 내면과 외면 사이의 측부 가장자리 부분을 측면이라 한다. 여기서, 내면과 외면은 모두 평면이며 측면은 곡면이다. 또한, 플렉서블 피복층(105)의 형상은 제1 케이스(101) 및 제2 케이스(102)의 형상과 매칭되며, 즉 플렉서블 피복층의 하면은 평면이고 측면은 곡면으로 형성되어, 회전축(104)의 하면과 측면에 모두 플렉서블 피복층(105)이 감싸지도록 보장할 수 있고 제1 케이스(101) 및 제2 케이스(102)의 표면과의 일관성을 보장할 수 있으며, 폴더블 디바이스의 외관 상의 일관성을 보장한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케이스의 형상과 매칭되고 양단이 평면이며 중간이 톱니 형상의 금형을 설치할 수 있으며, 금형에 플렉서블 재료를 충진하고 핫 프레스 성형을 통해 금형의 형상과 일치한 플렉서블 피복층(105)을 구성함으로써, 플렉서블 피복층(105)이 '병풍' 형상과 유사한 폴더블 구조를 구비하도록 한다. 해당 폴더블 구조는 전개될 경우 인장할 수 있어, 제1 케이스(101)와 제2 케이스(102)의 내측이 점차적으로 접근 시 외측이 점차적으로 멀어짐으로 인해 증가된 거리를 보상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케이스(101) 또는 제2 케이스(102)가 회전축(104)을 에워싸고 회전하면서 제1 케이스(101)가 제2 케이스(102)에 접근할 경우, 제1 케이스(101) 내측의 부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제2 케이스(102) 내측의 부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와 완전히 함께 부착될 때까지 주름층(1053)은 점차적으로 전개된다.
이 때, 플렉서블 피복층(105)은 주름층(1053)에서 전개되어 회전축(104)의 외측을 감싸게 됨으로써, 회전축(104)이 플렉서블 피복층(105) 중에 완전히 감싸지어 외부 환경에 직접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케이스(101) 또는 제2 케이스(102)가 회전축(104)을 에워싸고 회전하면서 제1 케이스(101)가 제2 케이스(102)로부터 멀어질 경우, 제1 케이스(101), 제2 케이스(102) 및 회전축(104) 내측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전개되어 완전히 동일한 평면에 위치하되 주름층(1053)의 외면, 제1 케이스(101)의 외면 및 제2 케이스(102)의 외면이 동일한 평면에 위치할 때까지 주름층(1053)은 점차적으로 압축된다.
이 때, 플렉서블 피복층(105)은 주름층(1053) 위치에서 접혀져서 제1 케이스(101)와 제2 케이스(102) 사이, 회전축(104)의 외측에 위치됨으로써, 제1 케이스(101), 제2 케이스(102) 및 주름층(1053)의 외면이 동일한 평면에 위치하도록 하여 폴더블 디바이스의 외관 상의 일관성을 보장한다.
도 7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바이스의 장착 방법의 흐름도이다. 해당 방법은 상기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바이스에 적용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와 같은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701에 있어서, 플렉서블 피복층을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와 각각 연결한다.
단계 702에 있어서, 회전축을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와 각각 연결하여, 회전축이 플렉서블 피복층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방법에 따르면, 플렉서블 피복층을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와 각각 연결한 후, 회전축을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와 각각 연결하여 회전축이 플렉서블 피복층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플렉서블 피복층을 통해 회전축을 회전축이 위치한 외부 환경과 효과적으로 격리시켜 회전축이 외부 환경의 수분, 먼지 등 이물질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함으로써, 회전축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회전축의 사용 수명을 연장하며 폴더블 디바이스의 정상적인 사용을 보장한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회전축은 제1 부재, 제2 부재 및 연결 부재를 포함하며, 회전축을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와 각각 연결하는 단계는,
제1 부재를 제1 케이스에 설치된 제1 걸림 홈과 걸림 연결하는 단계;
제2 부재를 제2 케이스에 설치된 제2 걸림 홈과 걸림 연결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다른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방법은,
제1 케이스가 회전축을 에워싸고 회전하면서 제2 케이스에 접근하는 과정 중, 플렉서블 피복층의 주름층이 전개되는 단계; 또는,
제2 케이스가 회전축을 에워싸고 회전하면서 제1 케이스에 접근하는 과정 중, 플렉서블 피복층의 주름층이 전개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다른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방법은,
제1 케이스가 회전축을 에워싸고 회전하면서 제2 케이스로부터 멀어지는 과정 중, 플렉서블 피복층의 주름층이 압축되는 단계; 또는,
제2 케이스가 회전축을 에워싸고 회전하면서 제1 케이스로부터 멀어지는 과정 중, 플렉서블 피복층의 주름층이 압축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도 8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바이스의 장착 방법의 흐름도이다. 해당 방법은 상기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바이스에 적용되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와 같은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801에 있어서, 플렉서블 피복층을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와 각각 연결한다.
여기서, 플렉서블 피복층은 제1 단부, 제2 단부 및 주름층을 포함하며, 여기서, 제1 단부는 제1 케이스와 연결되고 제2 단부는 제2 케이스와 연결된다.
단계 802에 있어서, 제1 부재를 제1 케이스에 설치된 제1 걸림 홈과 걸림 연결하고, 제2 부재를 제2 케이스에 설치된 제2 걸림 홈과 걸림 연결한다.
폴더블 디바이스의 제1 케이스 상에는 제1 걸림 홈이 설치될 수 있고, 제2 케이스 상에는 제2 걸림 홈이 설치될 수 있다. 폴더블 디바이스의 회전축은 제1 부재, 제2 부재 및 연결 부재를 포함하며, 제1 부재와 제2 부재는 연결 부재를 통해 연결되되 해당 연결 부재를 에워싸고 회전할 수 있다.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가 회전축을 통해 연결되는 것은, 회전축의 제1 부재가 제1 케이스 상에 설치된 제1 걸림 홈과 걸림 연결되고 회전축의 제2 부재가 제2 케이스 상에 설치된 제2 걸림 홈과 걸림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단계 803에 있어서, 제2 케이스가 제1 케이스를 기준으로 회전축을 에워싸고 회전하면서 제1 케이스에 접근하는 과정 중, 플렉서블 피복층의 주름층은 전개된다.
회전축을 에워싸고 회전함에 따라, 제1 케이스, 제2 케이스 및 회전축 내측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전개되어 완전히 동일한 평면에 위치되고 주름층의 외면, 제1 케이스의 외면 및 제2 케이스의 외면이 동일한 평면에 위치할 때까지, 제2 케이스는 제1 케이스에 점차적으로 접근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케이스가 제2 케이스를 기준으로 회전축을 에워싸고 회전하면서 제2 케이스에 접근하는 과정 중, 플렉서블 피복층의 주름층은 전개된다.
회전축을 에워싸고 회전함에 따라, 제1 케이스, 제2 케이스 및 회전축 내측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전개되어 완전히 동일한 평면에 위치되고 주름층의 외면, 제1 케이스의 외면 및 제2 케이스의 외면이 동일한 평면에 위치할 때까지, 제1 케이스는 제2 케이스에 점차적으로 접근한다.
단계 804에 있어서, 제2 케이스가 제1 케이스를 기준으로 회전축을 에워싸고 제1 케이스로부터 멀어지는 과정 중, 플렉서블 피복층의 주름층은 압축된다.
회전축을 에워싸고 회전함에 따라, 제1 케이스, 제2 케이스 및 회전축이 동일한 평면 위치에 위치할 때까지, 제2 케이스는 제1 케이스로부터 점차적으로 멀어진다. 이 때, 제1 케이스, 제2 케이스 및 회전축 내측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전개되어 완전히 동일한 평면에 위치되며, 주름층의 외면, 제1 케이스의 외면 및 제2 케이스의 외면 역시 동일한 평면에 위치된다.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케이스가 제2 케이스를 기준으로 회전축을 에워싸고 회전하면서 제2 케이스로부터 멀어지는 과정 중, 플렉서블 피복층의 주름층은 압축된다.
회전축을 에워싸고 회전함에 따라, 제1 케이스, 제2 케이스 및 회전축이 동일한 평면 위치에 위치할 때까지, 제1 케이스는 제2 케이스로부터 점차적으로 멀어진다. 이 때, 제1 케이스, 제2 케이스 및 회전축 내측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전개되어 완전히 동일한 평면에 위치되며, 주름층의 외면, 제1 케이스의 외면 및 제2 케이스의 외면 역시 동일한 평면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플렉서블 피복층을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와 각각 연결한 후, 회전축을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와 각각 연결하여 회전축이 플렉서블 피복층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플렉서블 피복층을 통해 회전축을 회전축이 위치한 외부 환경과 효과적으로 격리시켜 회전축이 외부 환경의 수분, 먼지 등 이물질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함으로써, 회전축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회전축의 사용 수명을 연장하며 폴더블 디바이스의 정상적인 사용을 보장한다.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명세서에 대한 이해 및 명세서에 기재된 발명에 대한 실시를 통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안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본 출원의 취지는 본 발명에 대한 임의의 변형, 용도 또는 적응적인 변화를 포함하고, 이러한 변형, 용도 또는 적응적 변화는 본 발명의 일반적인 원리에 따르고, 본 출원이 공개하지 않은 본 기술 분야의 공지기술 또는 통상의 기술수단을 포함한다. 명세서 및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와 취지는 다음의 특허청구 범위에 의해 결정된다.
본 발명은 상기에 서술되고 도면에 도시된 특정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그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상황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을 실시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단지 첨부된 특허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Claims (11)

  1. 제1 케이스, 제2 케이스,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 회전축 및 플렉서블 피복층을 포함하는 폴더블(foldable)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는 상기 회전축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플렉서블 피복층은 상기 제1 케이스 및 상기 제2 케이스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의 외측을 감싸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1 케이스 및 상기 제2 케이스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1 케이스, 상기 제2 케이스 및 상기 회전축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디바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제1 부재, 제2 부재 및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연결 부재를 통해 연결되되 상기 연결 부재를 에워싸고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플렉서블 피복층은 상기 연결 부재의 외측을 감싸며;
    상기 제1 케이스에는 제1 걸림 홈이 설치되고,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제1 걸림 홈과 걸림 연결되며;
    상기 제2 케이스에는 제2 걸림 홈이 설치되고,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2 걸림 홈과 걸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디바이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피복층은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부는 상기 제1 케이스와 연결되고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제2 케이스와 연결되며;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 사이에는 주름층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디바이스.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 또는 상기 제2 케이스가 상기 회전축을 에워싸고 회전하면서 상기 제1 케이스가 상기 제2 케이스에 접근하면, 상기 주름층은 전개되고;
    상기 제1 케이스 또는 상기 제2 케이스가 상기 회전축을 에워싸고 회전하면서 상기 제1 케이스가 상기 제2 케이스로부터 멀어지면, 상기 주름층은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디바이스.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가 상기 제2 케이스와 동일한 평면에 위치할 경우, 상기 주름층의 외면, 상기 제1 케이스의 외면 및 상기 제2 케이스의 외면은 동일한 평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디바이스.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피복층은 점성 물질을 통해 상기 제1 케이스 및 상기 제2 케이스와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점성 물질은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디바이스.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피복층은 플렉서블 재료로 구성되며;
    상기 플렉서블 재료는 PI(Polyimid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TPU(Thermoplastic Urethane) 또는 실리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디바이스.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의 폴더블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폴더블 디바이스의 장착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피복층을 상기 제1 케이스 및 상기 제2 케이스와 각각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회전축을 상기 제1 케이스 및 상기 제2 케이스와 각각 연결하여, 상기 회전축이 상기 플렉서블 피복층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디바이스의 장착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제1 부재, 제2 부재 및 연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을 상기 제1 케이스 및 상기 제2 케이스와 각각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부재를 상기 제1 케이스에 설치된 제1 걸림 홈과 걸림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부재를 상기 제2 케이스에 설치된 제2 걸림 홈과 걸림 연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디바이스의 장착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케이스가 상기 회전축을 에워싸고 회전하면서 상기 제2 케이스에 접근하는 과정 중, 상기 플렉서블 피복층의 주름층이 전개되는 단계; 또는,
    상기 제2 케이스가 상기 회전축을 에워싸고 회전하면서 상기 제1 케이스에 접근하는 과정 중, 상기 플렉서블 피복층의 주름층이 전개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디바이스의 장착 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케이스가 상기 회전축을 에워싸고 회전하면서 상기 제2 케이스로부터 멀어지는 과정 중, 상기 플렉서블 피복층의 주름층이 압축되는 단계; 또는,
    상기 제2 케이스가 상기 회전축을 에워싸고 회전하면서 상기 제1 케이스로부터 멀어지는 과정 중, 상기 플렉서블 피복층의 주름층이 압축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디바이스의 장착 방법.
KR1020187029995A 2018-07-27 2018-09-21 폴더블 디바이스 및 장착 방법 KR1022076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840355.XA CN108712538B (zh) 2018-07-27 2018-07-27 可折叠设备及安装方法
CN201810840355.X 2018-07-27
PCT/CN2018/106865 WO2020019462A1 (zh) 2018-07-27 2018-09-21 可折叠设备及安装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2692A true KR20200012692A (ko) 2020-02-05
KR102207637B1 KR102207637B1 (ko) 2021-01-26

Family

ID=63875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9995A KR102207637B1 (ko) 2018-07-27 2018-09-21 폴더블 디바이스 및 장착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667416B2 (ko)
EP (1) EP3599531A1 (ko)
JP (1) JP6889737B2 (ko)
KR (1) KR102207637B1 (ko)
CN (1) CN108712538B (ko)
RU (1) RU2734766C1 (ko)
WO (1) WO20200194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54622A4 (en) * 2017-07-12 2021-04-14 Hangzhou Amphenol Phoenix Telecom Parts Co., Ltd. MOBILE TERMINAL HINGE WITH SOFT DISPLAY, AND MOBILE TERMINAL WITH SOFT DISPLAY
CN111263541A (zh) * 2018-11-30 2020-06-0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可折叠设备及安装方法
CN111828460A (zh) * 2019-04-18 2020-10-27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折叠装置及电子设备
WO2021007750A1 (zh) 2019-07-15 2021-01-21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折叠装置及电子设备
CN113366405A (zh) * 2019-04-18 2021-09-07 深圳市柔宇科技股份有限公司 覆盖机构、折叠装置及电子设备
CN111821686A (zh) * 2019-04-22 2020-10-2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电子设备及控制方法
CN110580854B (zh) * 2019-09-12 2021-11-09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一种柔性屏支撑结构和折叠屏
KR20210038770A (ko) 2019-09-30 2021-04-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및 폴더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CN111882996A (zh) * 2020-09-09 2020-11-0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可折叠显示装置和电子设备
CN113364902B (zh) * 2021-05-31 2023-03-28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防尘组件及折叠式电子装置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46103A1 (en) * 2007-04-25 2010-09-30 Polymer Vision Limited hybrid hinge and a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the hybrid hinge
KR20140050504A (ko) * 2012-10-19 2014-04-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표시 장치
US20150370287A1 (en) * 2014-06-24 2015-12-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evice and folding unit thereof
KR101682491B1 (ko) * 2015-04-16 2016-12-06 주식회사 세네카 케이스 장치
US20170142847A1 (en) * 2015-11-16 2017-05-18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apparatus
KR20170103268A (ko) * 2016-03-03 2017-09-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9798359B2 (en) * 2014-02-21 2017-10-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device
KR101820470B1 (ko) * 2016-06-28 2018-0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JP2018060202A (ja) * 2016-10-04 2018-04-12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電子機器
US20180267574A1 (en) * 2015-01-19 2018-09-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hape of display of flexibl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2215B1 (ko) * 2006-08-22 2012-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US9348362B2 (en) * 2013-02-08 2016-05-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portable terminal
US9927840B2 (en) * 2013-06-21 2018-03-2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Information processor for processing and displaying image data on a bendable display unit
KR101663728B1 (ko) * 2013-08-26 2016-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비한 접철식 전자 기기
GB2517782B (en) * 2013-09-02 2020-08-19 Nokia Technologies Oy An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an apparatus comprising a bendable portion
GB2521152A (en) * 2013-12-10 2015-06-17 Nokia Technologies Oy An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an apparatus comprising a bendable portion
KR101875855B1 (ko) * 2014-02-17 2018-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CN106233362B (zh) * 2014-04-24 2019-04-05 夏普株式会社 显示装置
US9851759B2 (en) * 2014-12-31 2017-12-2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pivot hinge cover
KR102344282B1 (ko) * 2015-03-17 2021-12-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US10365691B2 (en) * 2015-04-09 2019-07-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device
CN104916231B (zh) * 2015-06-25 2018-01-0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可折叠显示装置
WO2017003415A1 (en) * 2015-06-27 2017-01-05 Intel Corporation Flexible display structure
KR102385232B1 (ko) * 2015-06-30 2022-04-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66299B1 (ko) * 2015-08-31 2022-02-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지지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CN205454263U (zh) * 2015-12-29 2016-08-10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可折叠的移动终端
KR102396167B1 (ko) * 2016-04-12 2022-05-11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전자 장치
CN205751382U (zh) * 2016-06-08 2016-11-30 联想(北京)有限公司 连接机构、电子设备
CN105825775B (zh) * 2016-06-08 2018-12-14 联想(北京)有限公司 连接机构、电子设备及柔性屏幕的连接方法
US10234907B2 (en) * 2016-08-29 2019-03-19 Dell Products L.P. Link hinge with dynamic length adjustment for stress management
WO2018061119A1 (ja) * 2016-09-28 2018-04-05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KR102595230B1 (ko) * 2016-10-13 2023-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JP6782432B2 (ja) * 2016-11-01 2020-11-11 日本発條株式会社 ヒンジ構造
JP6429909B2 (ja) * 2017-01-10 2018-11-28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携帯用情報機器
US10481634B2 (en) * 2017-01-10 2019-11-19 Lenovo (Singapore) Pte. Ltd. Portable information device
JP6535353B2 (ja) * 2017-01-10 2019-06-26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携帯用情報機器
US10416710B2 (en) * 2017-01-10 2019-09-17 Lenovo (Singapore) Pte. Ltd. Portable information device
JP6507183B2 (ja) * 2017-01-10 2019-04-24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携帯用情報機器
JP6513732B2 (ja) * 2017-04-27 2019-05-15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携帯用情報機器
US9964995B1 (en) * 2017-06-21 2018-05-08 Dell Products L.P. Dynamic antenna orientation with a flexible information handling system display
US10120421B1 (en) * 2017-06-21 2018-11-06 Dell Products L.P. Flexible information handling system display
US10082839B1 (en) * 2017-06-21 2018-09-25 Dell Products L.P. Flexible information handling system display hinge and ramp support structure
US10082838B1 (en) * 2017-06-21 2018-09-25 Dell Products L.P. Flexible information handling system display external hinge structure
US10015897B1 (en) * 2017-06-21 2018-07-03 Dell Products L.P. Flexible information handling system display sliding frame
JP6453413B1 (ja) * 2017-10-04 2019-01-16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携帯用情報機器
KR102509046B1 (ko) * 2018-02-02 2023-03-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583233B1 (ko) * 2018-02-12 2023-09-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46103A1 (en) * 2007-04-25 2010-09-30 Polymer Vision Limited hybrid hinge and a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the hybrid hinge
KR20140050504A (ko) * 2012-10-19 2014-04-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표시 장치
US9798359B2 (en) * 2014-02-21 2017-10-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device
US20150370287A1 (en) * 2014-06-24 2015-12-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evice and folding unit thereof
US20180267574A1 (en) * 2015-01-19 2018-09-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hape of display of flexible device
KR101682491B1 (ko) * 2015-04-16 2016-12-06 주식회사 세네카 케이스 장치
US20170142847A1 (en) * 2015-11-16 2017-05-18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apparatus
KR20170103268A (ko) * 2016-03-03 2017-09-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1820470B1 (ko) * 2016-06-28 2018-0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JP2018060202A (ja) * 2016-10-04 2018-04-12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712538B (zh) 2021-06-04
US20200037458A1 (en) 2020-01-30
JP6889737B2 (ja) 2021-06-18
KR102207637B1 (ko) 2021-01-26
US10667416B2 (en) 2020-05-26
RU2734766C1 (ru) 2020-10-23
CN108712538A (zh) 2018-10-26
WO2020019462A1 (zh) 2020-01-30
EP3599531A1 (en) 2020-01-29
JP2020530575A (ja) 2020-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12692A (ko) 폴더블 디바이스 및 장착 방법
CN109658826B (zh) 柔性屏和电子设备
CN208421695U (zh) 电子设备
CN108028029B (zh) 柔性器件
CN206596050U (zh) 壳体组件及移动终端
CN107799010A (zh) 可卷曲的显示装置
JP6403884B2 (ja) フレキシブルスクリーンを備える電子装置
CN104916231B (zh) 一种可折叠显示装置
JP7390093B2 (ja) 折り畳み表示装置
KR20180114565A (ko) 폴더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9223551A1 (zh) 铰链和移动终端
CN112019663A (zh) 便携式通信设备
CN115242902A (zh) 用于电子设备的滚动显示装置
KR20150099677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비한 접철식 전자 기기
JP2004507779A (ja) 携帯用情報表示装置用折り畳み式ケース
WO2020168969A1 (zh) 移动终端
CN108345357A (zh) 显示装置和电子设备
CN106371513A (zh) 智能终端
CN111399590B (zh) 可折叠设备及安装方法
KR20050028882A (ko) 전기적 연결을 제공하는 전자 기기용 단순 힌지 장치
CN210864466U (zh) 移动终端保护装置
CN111263541A (zh) 可折叠设备及安装方法
CN208849802U (zh) 可折叠设备
CN111261038B (zh) 可折叠设备及安装方法
CN112750365A (zh) 一种柔性显示屏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