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2142A - 연속식 하역기용 체인 이탈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연속식 하역기용 체인 이탈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2142A
KR20200012142A KR1020180087044A KR20180087044A KR20200012142A KR 20200012142 A KR20200012142 A KR 20200012142A KR 1020180087044 A KR1020180087044 A KR 1020180087044A KR 20180087044 A KR20180087044 A KR 20180087044A KR 20200012142 A KR20200012142 A KR 202000121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hain
frame
rotation guide
spr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7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7928B1 (ko
Inventor
김영식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87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7928B1/ko
Publication of KR20200012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2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7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7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65G67/606Loading or unloading ships us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bulk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0Safety features of loads, equipment or per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97Loading or unloading means for s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연속식 하역기용 체인 이탈 방지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연속식 하역기용 체인 이탈 방지장치는: 굴삭부의 프레임부에 힌지 연결되며 굴삭부에 설치된 체인부재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회전안내부와, 프레임부에 고정되며 회전안내부를 통과하여 회전안내부의 이동경로를 따라 연장되는 지지부 및 지지부에 설치되며 체인부재를 향한 방향으로 회전안내부를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속식 하역기용 체인 이탈 방지장치{CHAIN RELEASE PREVENTION DEVICE FOR CONTINUOUS SHIP UNLOADER}
본 발명은 연속식 하역기용 체인 이탈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굴삭부의 스프라켓에 걸려 있는 체인이 스프라켓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연속식 하역기용 체인 이탈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속식 하역장치의 굴삭부에는 체인을 따라 회전하는 버킷(Bucket)이 구비되며, 버킷의 회전에 의해 선박의 적재부에 있는 연원료가 버킷 내측에 담겨져서 상측으로 이동된 후, 붐(Boom)에 구비된 벨트컨베이어를 따라 지상으로 이송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번호 20-0474273호(2014.08.27 등록, 고안의 명칭: 연속식 하역기의 체인 고정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굴삭부의 스프라켓에 걸려 있는 체인이 스프라켓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연속식 하역기용 체인 이탈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체인 이탈 방지장치는: 굴삭부의 프레임부에 힌지 연결되며 굴삭부에 설치된 체인부재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회전안내부와, 프레임부에 고정되며 회전안내부를 통과하여 회전안내부의 이동경로를 따라 연장되는 지지부 및 지지부에 설치되며 체인부재를 향한 방향으로 회전안내부를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회전안내부는, 프레임부에 힌지 연결되는 제1블럭과, 제1블럭과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며 지지부가 통과하기 위한 중공을 구비하는 제2블럭 및 제1블럭과 제2블럭에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지지부는, 제2블럭을 관통하며 원호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바 및 프레임부와 가이드바에 양측이 연결되며 가이드바의 이동을 구속하는 고정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탄성부재는, 가이드바의 외측에 권선되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스프링이며, 제2블럭을 고정프레임이 설치된 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체인부재는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프라켓의 외측에 맞물리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회전안내부는 스프라켓과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체인 이탈 방지장치는, 스프라켓의 외측으로 이탈되려 하는 체인부재의 이동을 회전안내부가 구속하므로, 스프라켓에 걸려 있는 체인이 스프라켓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체인 이탈 방지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체인 이탈 방지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체인 이탈 방지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안내부가 체인부재에 의해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체인 이탈 방지장치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체인 이탈 방지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체인 이탈 방지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체인 이탈 방지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안내부가 체인부재에 의해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체인 이탈 방지장치(1)는, 굴삭부(12)의 프레임부(13)에 힌지 연결되며 굴삭부(12)에 설치된 체인부재(15)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회전안내부(20)와, 프레임부(13)에 고정되며 회전안내부(20)를 통과하여 회전안내부(20)의 이동경로를 따라 연장되는 지지부(40) 및 지지부(40)에 설치되며 체인부재(15)를 향한 방향으로 회전안내부(20)를 가압하는 탄성부재(50)를 포함한다.
연속식 하역기(10)는 선박이 정박되는 부두에 설치되며, 제철소에서 사용되는 광석 등의 원료와, 고로 작업시 광석을 용융시키기 위한 연료로 사용되는 석탄 등의 연원료를 선박에서 지상으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10)는, 연원료를 퍼올리는 굴삭부(12)와, 굴삭부(12)에 연결되어 버킷(16)을 상측으로 이송시키는 버킷엘리베이터(18)를 포함한다.
버킷엘리베이터(18)의 하측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굴삭부(12)의 프레임부(13)에는 복수 개의 스프라켓(14)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러한 스프라켓(14)에 체인부재(15)가 걸려서 이동된다. 스프라켓(14)의 외측에 걸려서 회전하는 체인부재(15)에 버킷(16)이 고정되므로, 체인부재(15)와 함께 버킷(16)이 프레임부(13)의 외측을 돌며 연원료를 이송시킨다.
회전안내부(20)는 굴삭부(12)의 프레임부(13)에 힌지 연결되며, 굴삭부(12)에 설치된 체인부재(15)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안내부(20)는 제1블럭(22)과 제2블럭(24)과 회전롤러(26)를 포함한다.
제1블럭(22)은 프레임부(13)에 힌지 연결된다. 프레임부(13)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제1블럭(22)은 힌지연결부(30)를 구비하므로 프레임부(1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힌지연결부(30)는 경첩 모양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은 프레임부(13)에 고정되고 타측은 제1블럭(22)에 고정된다.
제2블럭(24)은 제1블럭(22)과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며 지지부(40)가 통과하기 위한 중공(25)을 구비한다. 제2블럭(24)은 제1블럭(22)의 힌지연결부(30)를 중심으로 회전되며, 중공(25)은 장공의 홀을 형성하므로 지지부(40)가 제2블럭(24)에 간섭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회전롤러(26)는 롤러 모양으로 이루어지며, 제1블럭(22)과 제2블럭(24)에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체인부재(15)는 프레임부(1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프라켓(14)의 외측에 맞물리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회전안내부(20)의 회전롤러(26)는 스프라켓(14)과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회전롤러(26)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며, 제1블럭(22)과 제2블럭(24)에 양측이 지지되어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체인부재(15)가 회전롤러(26)에 접하는 경우 회전롤러(26)가 회전되므로 체인부재(15)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회전롤러(26)는 스프라켓(14) 및 스프라켓(14)에 맞물려 있는 체인부재(15)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설정된 간격을 두고 체인부재(15)와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다.
지지부(40)는 프레임부(13)에 고정되며, 회전안내부(20)를 통과하여 회전안내부(20)의 이동경로를 따라 연장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40)는 가이드바(42)와 고정프레임(44)을 포함한다.
가이드바(42)는 제2블럭(24)을 관통하며 원호 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 형상이다. 원호 형상을 따라 굽어진 가이드바(42)는 제2블럭(24)의 중공(25)을 관통하며 수평방향으로 설치된다.
고정프레임(44)은 프레임부(13)와 가이드바(42)에 양측이 연결되며, 가이드바(42)의 이동을 구속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프레임(44)은 프레임부(13)에 고정되는 본체고정부(46)와, 가이드바(42)에 고정되는 지지고정부(48) 및 본체고정부(46)와 지지고정부(48)를 연결하는 연결부재(47)를 포함한다.
고정프레임(44)과 이에 연결된 가이드바(42)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며, 회전안내부(20)의 이동을 안내한다. 또한 회전안내부(20)와 지지부(40)와 탄성부재(50)와 스토퍼부(60)는 프레임부(13)의 폭방향(W)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체인부재(15)가 스프라켓(14)에서 탈선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탄성부재(50)는 지지부(40)에 설치되며, 체인부재(15)를 향한 방향으로 회전안내부(20)를 가압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50)는, 가이드바(42)의 외측에 권선되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스프링이며, 제2블럭(24)을 고정프레임(44)이 설치된 방향으로 가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체인 이탈 방지장치(1)는 회전롤러(26)의 이동을 구속하는 스토퍼부(60)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부(60)는, 가이드바(42)의 단부에 설치되며 탄성부재(50)의 일측을 지지하는 외측스토퍼(62) 및 가이드바(42)의 타측에 설치되며 가이드바(42)를 따라 이동되는 제2블럭(24)이 지지부(40)에 충격됨을 방지하기 위해 제2블럭(24)의 이동을 구속하는 내측스토퍼(64)를 포함한다.
외측스토퍼(62)는 탄성부재(50)의 외경보다 큰 직경을 구비하며 가이드바(42)의 단부에 고정되므로, 탄성부재(50)가 가이드바(42)에서 분리됨을 방지한다. 또한 내측스토퍼(64)는 탄성을 구비하는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제2블럭(24)이 내측스토퍼(64)에 접했을 때 발생되는 충격과 소음을 저감시킨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체인 이탈 방지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버킷(16)이 연결된 체인부재(15)가 굴삭부(12)에 설치된 스프라켓(14)의 외측에 맞물려 돌아가며 이동된다. 만약 체인부재(15)가 스프라켓(14)의 외측으로 이동되려 할 경우에는 스프라켓(14)의 외측에 설치된 회전롤러(26)에 접한 후 다시 스프라켓(14)을 향한 방향으로 이동된다.
회전안내부(20)는 탄성부재(50)에 의해 스프라켓(14)을 향하여 가압된 상태이므로, 체인부재(15)에 접하는 회전롤러(26)는 원주방향으로 회전되며 체인부재(15)의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력과 충격을 감소시킨다.
또한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스프라켓(14)의 외측으로 체인부재(15)가 돌출되어 회전롤러(26)를 밀어내는 경우, 회전롤러(26)는 제1블럭(22)의 힌지연결부(30)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이때 제2블럭(24)은 가이드바(42)를 따라 외측스토퍼(62)를 향한 방향으로 이동된다.
탄성부재(50)는 제2블럭(24)에 의해 압축되며 복원력이 증가하므로, 제2블럭(24)을 원상태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제2블럭(24)과 함께 이동하는 회전롤러(26)가 스프라켓(14)을 향한 방향으로 이동되며 스프라켓(14)의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돌출되려 하는 체인부재(15)를 다시 스프라켓(14)의 외측에 맞물리도록 이동시키므로 체인부재(15)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스프라켓(14)의 외측으로 이탈되려 하는 체인부재(15)의 이동을 회전안내부(20)가 구속하므로, 스프라켓(14)에 걸려 있는 체인이 스프라켓(14)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연속식 하역기용 체인 이탈 방지장치
10: 연속식 하역기 12: 굴삭부
13: 프레임부 14: 스프라켓
15: 체인부재 16: 버킷
18: 버킷엘리베이터 20: 회전안내부
22: 제1블럭 24: 제2블럭
25: 중공 26: 회전롤러
30: 힌지연결부 40: 지지부
42: 가이드바 44: 고정프레임
46: 본체고정부 47: 연결부재
48: 지지고정부 50: 탄성부재
60: 스토퍼부 62: 외측스토퍼
64: 내측스토퍼 W: 폭방향

Claims (5)

  1. 굴삭부의 프레임부에 힌지 연결되며, 상기 굴삭부에 설치된 체인부재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회전안내부;
    상기 프레임부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안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회전안내부의 이동경로를 따라 연장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며, 상기 체인부재를 향한 방향으로 상기 회전안내부를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하역기용 체인 이탈 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안내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힌지 연결되는 제1블럭;
    상기 제1블럭과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가 통과하기 위한 중공을 구비하는 제2블럭; 및
    상기 제1블럭과 상기 제2블럭에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하역기용 체인 이탈 방지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2블럭을 관통하며 원호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바; 및
    상기 프레임부와 상기 가이드바에 양측이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바의 이동을 구속하는 고정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하역기용 체인 이탈 방지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가이드바의 외측에 권선되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스프링이며, 상기 제2블럭을 상기 고정프레임이 설치된 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하역기용 체인 이탈 방지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부재는 상기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프라켓의 외측에 맞물리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상기 회전안내부는 상기 스프라켓과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하역기용 체인 이탈 방지장치.
KR1020180087044A 2018-07-26 2018-07-26 연속식 하역기용 체인 이탈 방지장치 KR102077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044A KR102077928B1 (ko) 2018-07-26 2018-07-26 연속식 하역기용 체인 이탈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044A KR102077928B1 (ko) 2018-07-26 2018-07-26 연속식 하역기용 체인 이탈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2142A true KR20200012142A (ko) 2020-02-05
KR102077928B1 KR102077928B1 (ko) 2020-02-14

Family

ID=69514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7044A KR102077928B1 (ko) 2018-07-26 2018-07-26 연속식 하역기용 체인 이탈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792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8195B1 (ko) * 2012-10-08 2014-08-07 주식회사 포스코 체인이탈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8195B1 (ko) * 2012-10-08 2014-08-07 주식회사 포스코 체인이탈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7928B1 (ko) 2020-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7928B1 (ko) 연속식 하역기용 체인 이탈 방지장치
KR101237085B1 (ko) 연속식 하역기용 이물질 감지장치
KR20150101272A (ko) 벨트 이동 방지장치
KR20180136333A (ko) 연속식 하역장치
KR101950576B1 (ko) 연속식 하역장치
KR101159592B1 (ko) 연속식 하역장치
KR102177873B1 (ko) 연속식 하역장치
KR102032634B1 (ko) 연속식 하역장치
KR20160036428A (ko)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방지장치
KR102224863B1 (ko) 연속식 하역기의 케이블 손상 감지장치
KR20180021475A (ko) 연속식 하역장치
KR102299559B1 (ko) 연속식 하역기
KR102065260B1 (ko) 연속하역장비용 고착광 제거장치
KR101498901B1 (ko) 연속식 하역장치
KR20200125070A (ko) 벨트컨베이어의 역회전 방지장치
KR102224878B1 (ko) 연속하역장비용 주행휠 장치
KR102133117B1 (ko) 벨트 컨베이어 슈트의 스커트 장치
KR102250329B1 (ko) 연속하역장비용 주행휠 장치
KR20200092085A (ko) 연속식 하역기용 체인 이탈 방지장치
KR102166610B1 (ko) 트리퍼카용 낙광 방지장치
KR20230093760A (ko) 연속식 하역기
KR102021193B1 (ko)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
KR102588140B1 (ko) 연속식 하역장치
KR102166611B1 (ko) 슈트 마모 방지 장치
KR101989231B1 (ko) 스커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