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2137A - 튼살방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튼살방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2137A
KR20200012137A KR1020180087034A KR20180087034A KR20200012137A KR 20200012137 A KR20200012137 A KR 20200012137A KR 1020180087034 A KR1020180087034 A KR 1020180087034A KR 20180087034 A KR20180087034 A KR 20180087034A KR 20200012137 A KR20200012137 A KR 202000121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cyclopentasiloxane
wat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7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4635B1 (ko
Inventor
곽기성
Original Assignee
(주)허니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허니스트 filed Critical (주)허니스트
Priority to KR1020180087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4635B1/ko
Publication of KR20200012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2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4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46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or phosphorus
    • A61K8/585Organosilicon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Zo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튼살 방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임산부 및 청소년의 성장기에 발생하는 튼살의 방지를 억제하고,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는 튼살방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으로,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튼살방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The composition for preventing a strech mark and the method for it}
본 발명은 튼살방지 조성물 및 튼살방지 화장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튼살은 일반적으로 스트레치 마크(stretch mark)라고 불리며, 의학 용어로는 striae distensae 또는 팽창선조라고 한다. 튼살에 대한 최초의 조직학적 검증은 1889년 Elson에 의해 수행되었다. 그에 따르면 튼살은 피부에 흉 터와 유사한 선이 나타나는 피부 질환의 일종으로서 초기에는 붉은 색을 띄다가 조금씩 표면이 빛나는 흰색으로 변하게 되고 전체적으로 정상 피부 보다 단단해지는 특징을 나타낸다. 튼살에 대한 형태학적 정의는 1936년, Nadelli에 의해 이루어 졌는데, 그에 의해 튼살은 'striae atrophicae'라 명명되었고, 그 이후로도 튼살에 대해 서는 많은 논란들이 현재까지 이어져 오면서 지속적인 연구가 시도 되고 있으나, 그 발생 기전과 치료 방법에 대해서 정확히 알려진 것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Acta Derm Venereol Suppl. 59, 161-169, 1979). 튼살의 외형적 증상은 피부의 표피가 약간 가라앉아 있으며, 미세한 흉터의 형태로 나타난다. 발생 초기에는 약 간의 가려움증이 수반되는 경우가 많은데, 피부가 쭈글쭈글하며 얇아지는 양상을 띠다가 시간이 흐를수록 점차 길이가 길어지고 색은 붉은색을 띠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이다. 이때 튼살 부위를 손으로 만져보면 정상 피부와 는 달리 피부에 탄력이 없어서 마치 묵처럼 흐물흐물한 느낌을 준다고 하는데, 이러한 초기 튼살은 치료하지 않 고 계속 방치할 경우 붉은 색의 튼살은 점차 흰색으로 변하게 되며 반질반질한 상태로 주위 피부색과 선명하게 대비를 이루는 흉터를 남기게 된다. 이와 같이 붉은 빛의 가는 선 형태인 튼살을 striae rubra, 표피가 움푹 들 어간 흰색선의 형태를 striae alba라 부른다. 이러한 튼살은 피부의 지지대 역할을 하는 콜라겐과 탄력을 형성 하는 엘라스틴 및 피브릴린이라는 성분이 여러 가지 요인 때문에 잘려지거나 감소되면서 피부에 미용적인 이상을 초래하게 된 상태를 말한다. 즉, 어떤 원인에 의하여 피부가 팽창, 늘어남으로 인해서 선 모양이나 띠 모양으로 흉이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최근에는 임산부 및 성장기 청소년의 피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튼살의 발생을 완화하거나, 이를 방지할 수 있는 화장품 또는 의약품의 개발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대한 선행기술로서 공개 특허 제10-2009-0022599호는 유효성분으로 디팔미토일 하이드록시 프롤린을 함유하는 튼살 완화용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고, 공개 특허 제 10-2015-0115186호는 올리브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튼살방지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으나, 튼살 완화 효과가 미미한 실정이고, 튼살의 발생을 방지할 수는 없는 것이다.
본 발명은 임산부 및 성장기 청소년의 피부에 발생하기 쉬운 튼살을 방지하고, 개선시킬 수 있는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튼살 방지 조성물은 갈색거저리(Tenebrio molitor)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폴리프로필실세스퀴옥산(Polypropylsilsesquioxane), 시클로펜타실록산(Cyclopentasiloxane), 프로필렌글리콜(PEG-10), 글리세린(Glycerin), 에틸헥실글리세린(Ethylhexylglycerin), 염화나트륨(Sodium Chloride), 향료 및 물(Water)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튼살 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갈색거저리 추출물 0.01~10,000ppm, 폴리프로필실세스퀴옥산(Polypropylsilsesquioxane) 0.01~15중량%, 시클로펜타실록산(Cyclopentasiloxane) 0.1~30중량%, 프로필렌글리콜(PEG-10) 0.1~2중량%, 글리세린(Glycerin) 0.01~0.1중량%, 에틸헥실글리세린(Ethylhexylglycerin) 0.01~0.1중량%, 염화나트륨(Sodium Chloride) 0.1~5중량%, 향료 1~8중량% 및 잔량의 물(Water)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튼살 방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갈색거저리 추출물, 폴리프로필실세스퀴옥산(Polypropylsilsesquioxane), 시클로펜타실록산(Cyclopentasiloxane) 및 프로필렌글리콜(PEG-10)를 혼합하는 A단계; 글리세린(Glycerin), 에틸헥실글리세린(Ethylhexylglycerin), 염화나트륨(Sodium Chloride) 및 잔량의 물(Water)을 혼합하는 B단계; 및 상기 A단계의 혼합물과 B단계의 혼합물 및 향료를 혼합하는 C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임산부 및 성장기 청소년의 피부에 발생하기 쉬운 튼살을 방지하고, 개선시킬 수 있는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튼살 방지 조성물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튼살 방지 조성물은 갈색거저리(Tenebrio molitor)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갈색거저리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를 가지고, 피부 염증성 질환을 개선시킬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갈색거저리(Tenebrio molitor, mealworm)는 딱정벌레목 (Coleoptera) 거저리과로서 한국을 비롯한 전세계에 분포하고 있다. 주로 애완동물의 먹이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갈색거저리가 대량 생산이 용이한 점과 단백질 등의 영양성분이 풍부한 점을 이용하여 미래의 식량자원으로서 가치도 연구되고 있다. 보고된 연구로는 갈색거저리에서 분리한 항진균 단백질을 이용한 항균효과 등이 있으며 동의보감 및 본초강목에는 간경화, 간암, 파상풍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약리적 효능에 대한 연구가 미비하여 다양한 방면에서 탐색이 필요하였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연구(논문: 갈색거저리 물추출물과 애기뿔쇠똥구리에서 유래된 CopA3 펩타이드의 NF-kB, MAPK 경로의 염증, 미백 메커니즘 검증 및 W/O/W 제형 적용에 관한 연구, 김동인, 안봉전, 2016. 2. 대구한의대학교 일반대학원)를 통해 갈색거저리 추출물이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ABTS(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라디칼 또는 슈퍼옥사이드 음이온 라디칼 (superoxide anion radical) 활성을 저해하는 항산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연구 결과 확인 할 수 있었다.
또, 본 발명자들은 발명의 갈색거저리 추출물이 NO(nitric oxide) 생성 저해활성을 나타내 며, iNOS(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TNF-α(tumor necrosis factor-α), IL-6 (interleukin-6), IL- 1(interleukin-1) 및 NF-κB (nuclear factor keppa B)의 발현을 억제하여 항염 효과가 있는 것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갈색거저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항염효과를 이용하여 임산부 및 청소년의 성장기에 주로 발생하는 튼살(팽창 선조) 발생을 억제하는 튼살 방지 효능에 적용하기 위하여 상기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활용하여 본 발명을 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갈색거저리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추출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천연으로부터 추출하여 수득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정의된 추출물은 적절한 용매를 이용하여 갈색거저리로부터 추출한 것이며, 예를 들어, 갈색거저리의 조추출물,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을 모두 포함한 다. 바람직하게는 갈색거저리를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다.
갈색거저리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기 위한 적절한 용매로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유기용매라면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며, 물 또는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예를 들어, 정제수, 메탄 올(methanol), 에탄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부탄올(butanol) 등을 포함 하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헥산(hexane) 및 시클로헥산 (cyclohexane) 등의 각종 용매를 단독으로 혹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아세톤, 에탄올, 메탄 올 또는 물을 사용할 수 있다.
추출 방법으로는 열수추출법, 냉침추출법, 환류냉각추출법, 용매추출법, 수증기증류법, 초음파추출법, 용출법, 압착법 등의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목적하는 추출물은 추가로 통상의 분획 공정 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통상의 정제 방법을 이용하여 정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갈색거저리 추출물의 제조방법에는 제한이 없으며, 공지되어 있는 어떠한 방법도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갈색거저리 추출물은 상기한 용매 추출법으로 추출된 1차 추출물을, 원심분리, 여과, 농축후 동결 건조하여 냉장실에 보관하면서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고, 상기 1차 추출물을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 차 추출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hin layer chromatography),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등과 같은 다양 한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추가로 정제된 분획을 얻을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갈색거저리추출물은 추출, 분획 또는 정제의 각 단계에서 얻어지는 모든 추출액, 분획 및 정제물, 그들의 희석액, 농축액 또는 건조물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본 발명의 갈색거저리 추출물은 튼살 방지를 위한 목적으로 의약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할 수 있으며, 의약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제품으로는, 예를 들어, 수렴화장수,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각종크림, 에센스, 팩 등과 같은 화장품류와 클렌징, 세안제, 비누, 트리트먼트, 미용액 등이 있고 이를 응용하여 의약 용도로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튼살 방지 조성물로서 바람직한 조성은 폴리프로필실세스퀴옥산(Polypropylsilsesquioxane), 시클로펜타실록산(Cyclopentasiloxane), 프로필렌글리콜(PEG-10), 글리세린(Glycerin), 에틸헥실글리세린(Ethylhexylglycerin), 염화나트륨(Sodium Chloride), 향료 및 물(Water)을 더 포함한다.
또, 상기 튼살 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갈색거저리 추출물 0.01~10,000ppm, 폴리프로필실세스퀴옥산(Polypropylsilsesquioxane) 0.01~15중량%, 시클로펜타실록산(Cyclopentasiloxane) 0.1~30중량%, 프로필렌글리콜(PEG-10) 0.1~2중량%, 글리세린(Glycerin) 0.01~0.1중량%, 에틸헥실글리세린(Ethylhexylglycerin) 0.01~0.1중량%, 염화나트륨(Sodium Chloride) 0.1~5중량%, 향료 1~8중량% 및 잔량의 물(Water)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튼살 방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갈색거저리 추출물, 폴리프로필실세스퀴옥산(Polypropylsilsesquioxane), 시클로펜타실록산(Cyclopentasiloxane) 및 프로필렌글리콜(PEG-10)를 혼합하는 A단계; 글리세린(Glycerin), 에틸헥실글리세린(Ethylhexylglycerin), 염화나트륨(Sodium Chloride) 및 잔량의 물(Water)을 혼합하는 B단계; 및 상기 A단계의 혼합물과 B단계의 혼합물 및 향료를 혼합하는 C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 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갈색거저리 추출물의 제조>
갈색거저리(Tenebrio Molitor)는 에스웜(Sworm, Gyeonggi, Korea)에서 구입하여 용매별로 추출후 동결건조하여 사용하였다. 갈색거저리(Tenebrio Molitor) 추출물의 제조는 에탄올, 메탄올, 물을 이용하여 각각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준비된 갈색거저리에 에탄올(각각 50%, 70%, 100%), 메탄올(각각 50%, 70%, 100%) 또는 물을 시료 중량의 10배의 양으로 첨가한 후, 실온에서 stirrer(250 rpm)를 이용하여 24시간 추출하고 상등액을 분리 하였으며, 이를 3회 반복 실시하여 갈색거저리 추출물(50% 에탄올 추출물(TE50), 70% 에탄올 추출물(TE70), 100% 에탄올 추출물(TE100), 50% 메탄올 추출물(TM50), 70% 메탄올 추출물(TM70), 100% 메탄올 추출물(TM100) 및 물 추출물(TDW)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각각의 갈색거저리 추출물은 원심분리 및 여과, 농축후 동결 건조하여 냉장실에 보관하면서 실험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과 함량으로 A성분들과 B성분들을 각각을 먼저 혼합한 후, A성분의 혼합물, B성분의 혼함물 및 C성분을 모두 혼합하는 순서를 통해 튼살 방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ppm or 중량%) 실시예 비교예
1 1 2
A  갈색거저리 추출물(ppm) 0.01 0 0.005 
A 폴리프로필실세스퀴옥산 0.2 0.2 0.2
A 시클로펜타실록산 15  15  15 
A PEG-10 0.5 0.5 0.5
B 글리세린 0.07 0.07 0.07
B 에틸헥실글리세린 0.07 0.07 0.07
B 염화나트륨 1.5 1.5 1.5
B 잔량 잔량 잔량
C 향료 8 8 8
총량(%) 100 100 100 
<팽창선조 개선 효과 측정>
실시예 1 및 비교예 1, 2에서 제조된 조성물의 팽창 선조 개선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실험자(15세~35세의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10명씩 나누어 실시예 1 및 비교예 1, 2를 각각 피부 튼살 부위에 1일 2회씩 연속 4주간 도포하였다.
본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기 전에 튼살의 길이(mm)를 측정하고(0), 1주, 2주, 3주 및 4주에 각각 측정하여 변화되는 양상을 평가하여, 그 길이 변화의 평균값을 표 2에 표시하였다.
실험결과(mm) 1주 2주 3주 4주 개선효과
실시예 1 32.5 32.5 31.0 29.2 10.1%
비교예 1 30.5 30.5 30.4 30.2 0.9%
비교예 2 34.0 34.0 33.6 33.3 2.1%
표 2의 평가 결과와 같이 실시예 1의 개선효과가 비교예 1 및 2에 비교하여 월등히 우수함을 알 수 있다.

Claims (4)

  1. 갈색거저리(Tenebrio molitor)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튼살 방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폴리프로필실세스퀴옥산(Polypropylsilsesquioxane), 시클로펜타실록산(Cyclopentasiloxane), 프로필렌글리콜(PEG-10), 글리세린(Glycerin), 에틸헥실글리세린(Ethylhexylglycerin), 염화나트륨(Sodium Chloride), 향료 및 물(Water)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튼살 방지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튼살 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갈색거저리 추출물 0.01~10,000ppm, 폴리프로필실세스퀴옥산(Polypropylsilsesquioxane) 0.01~15중량%, 시클로펜타실록산(Cyclopentasiloxane) 0.1~30중량%, 프로필렌글리콜(PEG-10) 0.1~2중량%, 글리세린(Glycerin) 0.01~0.1중량%, 에틸헥실글리세린(Ethylhexylglycerin) 0.01~0.1중량%, 염화나트륨(Sodium Chloride) 0.1~5중량%, 향료 1~8중량% 및 잔량의 물(Water)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튼살 방지 조성물.
  4. 갈색거저리 추출물, 폴리프로필실세스퀴옥산(Polypropylsilsesquioxane), 시클로펜타실록산(Cyclopentasiloxane) 및 프로필렌글리콜(PEG-10)를 혼합하는 A단계;
    글리세린(Glycerin), 에틸헥실글리세린(Ethylhexylglycerin), 염화나트륨(Sodium Chloride) 및 잔량의 물(Water)을 혼합하는 B단계; 및
    상기 A단계의 혼합물과 B단계의 혼합물 및 향료를 혼합하는 C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튼살 방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80087034A 2018-07-26 2018-07-26 튼살방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846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034A KR102084635B1 (ko) 2018-07-26 2018-07-26 튼살방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034A KR102084635B1 (ko) 2018-07-26 2018-07-26 튼살방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2137A true KR20200012137A (ko) 2020-02-05
KR102084635B1 KR102084635B1 (ko) 2020-03-04

Family

ID=69514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7034A KR102084635B1 (ko) 2018-07-26 2018-07-26 튼살방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46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4784B1 (ko) 2020-08-26 2023-06-15 서정현 튼살방지 기능을 갖는 미용 패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7362A (ko) * 2015-03-31 2016-10-10 (주)아모레퍼시픽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707107B1 (ko) * 2015-05-20 2017-02-16 주식회사 콧데 리퀴리티제닌을 활성 성분으로 포함하여 약학적, 화장품적으로 우수하며 다양한 기능성을 보이는 조성물
KR101780934B1 (ko) * 2016-07-18 2017-09-25 대한민국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20180006699A (ko) * 2016-07-11 2018-01-19 휴먼코스메틱 주식회사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피부 미백 또는 피부 염증성 질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30303B1 (ko) * 2010-12-27 2018-02-20 다우 코닝 도레이 캄파니 리미티드 액체 유기폴리실록산을 함유하는 화장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0303B1 (ko) * 2010-12-27 2018-02-20 다우 코닝 도레이 캄파니 리미티드 액체 유기폴리실록산을 함유하는 화장품
KR20160117362A (ko) * 2015-03-31 2016-10-10 (주)아모레퍼시픽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707107B1 (ko) * 2015-05-20 2017-02-16 주식회사 콧데 리퀴리티제닌을 활성 성분으로 포함하여 약학적, 화장품적으로 우수하며 다양한 기능성을 보이는 조성물
KR20180006699A (ko) * 2016-07-11 2018-01-19 휴먼코스메틱 주식회사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피부 미백 또는 피부 염증성 질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80934B1 (ko) * 2016-07-18 2017-09-25 대한민국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4635B1 (ko) 2020-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mit et al. Herbal cosmetics: used for skin and hair
KR101059471B1 (ko)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JP6054700B2 (ja) 脱糖化剤及び皮膚外用剤
Juhász et al. The use of natural ingredients in innovative Korean cosmeceuticals
KR102020667B1 (ko) 두피염증 예방 및 완화, 및 탈모방지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101124A (ko) 마유 및 새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99516B1 (ko) 아토피 피부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20170137552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686008B1 (ko)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양모효능이 있는 조성물
JP6138317B2 (ja) 皮膚外用剤
KR102084635B1 (ko) 튼살방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14985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210018388A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70025367A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JP2020502172A (ja) 漢方薬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化粧料組成物
KR20170136911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US20110135772A1 (en) Skin care agent and compositions thereof
KR101690012B1 (ko) 일엽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
JP2006131558A (ja) コラーゲン生成促進剤
KR102124065B1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180017974A (ko) 복합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6933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6912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560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546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