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1811A - 최소 침습 수술용 장치 - Google Patents

최소 침습 수술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1811A
KR20200011811A KR1020180086752A KR20180086752A KR20200011811A KR 20200011811 A KR20200011811 A KR 20200011811A KR 1020180086752 A KR1020180086752 A KR 1020180086752A KR 20180086752 A KR20180086752 A KR 20180086752A KR 20200011811 A KR20200011811 A KR 202000118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inner tube
outer tube
minimally invasive
elastic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6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6112B1 (ko
Inventor
김계리
박철민
권성일
류근웅
전인호
곽재만
송기탁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086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6112B1/ko
Priority to PCT/KR2018/010847 priority patent/WO2020022556A1/ko
Publication of KR20200011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1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6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6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76Powered trocars, e.g. electrosurgical cutting, lasers, powered kn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9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 A61B2017/003Steer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2017/3454Details of ti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Otolaryng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외측 튜브; 상기 외측 튜브에 의해 가이드 되도록 상기 외측 튜브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일 측이 상기 외측 튜브의 일 단으로부터 인출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측 튜브; 및 상기 내측 튜브에 결합되고, 상기 내측 튜브의 인출 시에 상기 내측 튜브의 일 측을 곡면 형태로 변형시키도록 탄성 변형되는 탄성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 침습 수술용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최소 침습 수술용 장치{APPARATU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본 발명은 최소 침습 수술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측 튜브가 외측 튜브로부터 굽힘 형상을 유지하며 인출 가능한 최소 침습 수술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학적으로 수술이란 피부나 점막, 기타 조직을 수술기구를 사용하여 자르거나 째거나 조작을 가하여 병을 고치는 것을 말한다. 특히, 수술 부위의 피부를 절개하여 열고 그 내부에 있는 기관 등을 치료, 성형하거나 제거하는 개복 수술 등은 출혈, 부작용, 환자의 고통, 흉터 등의 문제를 야기한다.
이에 대해, 피부를 절개하는 대신 작은 삽입공을 천공하고, 이를 통해 내시경, 복강경, 수술기구(surgical instrument), 미세수술용 현미경 등의 수술기구를 삽입하여 체내에서 수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최소 침습 수술(MIS : Minimum Invasive Surgery)이 각광받고 있다.
최소 침습 수술은 수술을 위해 필요한 절개 부위를 최소화하기 위해 특별히 고안된 가늘고 긴 수술 도구를 써서 환자의 신체 표면에 최소한의 부위만을 절개하여 시술하는 수술 기법이다.
이러한 최소 침습 수술은 시술을 위해 필요한 절개 부위가 적고 시술 시 출혈량이 개복 수술에 비해 현저히 적으므로, 수술 후 환자의 회복 기간이 빠르고 외부로 드러나는 흉터가 작다는 장점이 있어, 최근 그 시술 건수가 현저히 증가하고 있다.
최소 침습 수술의 일례로, 복강경 고주파 소작술이 있다. 복강경 고주파 소작술의 경우 구부러지지 않는 전극을 사용하여 피부를 통하여 전극을 전진시켜 소작술을 진행하기 때문에 시술이 곤란한 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고자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플렉시블 튜브가 구비된 고주파 전극 수술장치'가 제시되었는바, 전극부의 몸체에 연결된 플렉시블 튜브의 끝단에 액티브 팁이 연결되어 있어, 굴곡진 환경에서 소작술을 수행할 때 체내에서 자유롭게 플렉시블 튜브가 이동하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처음부터 유연하기만 한 튜브를 사용하는 경우 체내에 플렉시블 튜브가 삽입될 때 소작술이 시행되는 병변 위치까지 액티브 팁을 보내는데 다소 어려움이 있다. 즉 소작술이 시행되는 병변 위치 부근에서부터 형성되는 굴곡진 통로를 따라 플렉시블 튜브가 통과해야 하는 경우, 굴곡진 환경이 아닌 삽입시의 위치에서부터 유연한 플렉시블 튜브를 삽입하여 원하는 소작술이 시행되기 위한 병변 위치까지 도달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한국 등록 특허공보 제10-0954285호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인체의 구조상 접근하기 어려운 곳에 위치한 병변에 쉽게 도달이 가능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최소 침습 수술용 장치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외측 튜브; 상기 외측 튜브에 의해 가이드 되도록 상기 외측 튜브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일 측이 상기 외측 튜브의 일 단으로부터 인출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측 튜브; 및 상기 내측 튜브에 결합되고, 상기 내측 튜브의 인출 시에 상기 내측 튜브의 일 측을 곡면 형태로 변형시키도록 탄성 변형되는 탄성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의하면, 상기 내측 튜브는, 상기 외측 튜브 내에서 상기 일방향으로 운동 가능하는 직관부; 및 상기 직관부의 일 단에 연결되어 상기 탄성 가이드부에 의해 가이드되어 곡면 형태로 변형되는 변형관부를 포함한다.
상기 내측 튜브는, 상기 직관부 및 상기 변형관부 내부에서 연통되는 수용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수용 영역에는 수술 도구가 배치되어 상기 수술 도구의 단부는 상기 변형관부의 외부로 돌출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의하면, 상기 탄성 가이드부는, 상기 외측 튜브에 상기 내측 튜브가 인입되는 경우에, 상기 외측 튜브에 나란하도록 상기 내측 튜브와 함께 상기 외측 튜브의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변형관부는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 가이드부는 판스프링으로 이루져서, 상기 변형관부 및 상기 탄성 가이드부는 이중 스프링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탄성 가이드부는 상기 변형관부 보다 큰 강성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변형관부는, 상기 변형관부의 피치 간격에 따라 굽힘 가능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변형관부가 탄성 가이드부에 의해 탄성력을 제공받음으로, 외측 튜브에 인입 시에는 직선 형태를 유지하고, 외측 튜브로부터의 인출 시에는 굽힘 형상을 가지도록 이루어져서, 인체의 구조상 접근하기 어려운 곳에 위치한 병변에 쉽게 도달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내측 튜브가 수술 도구를 배치시키는 수용 영역을 구비함으로써, 수술 도구용 채널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탄성 가이드부가 변형관부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외측 튜브로부터의 인출 시에 변형관부의 굽힘을 용이하게 하고 이중 스프링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매우 큰 강성을 가지게 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최소 침습 수술용 장치의 일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1b는 본 발명의 최소 침습 수술용 장치의 다른 일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내측 튜브 및 탄성 가이드부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a는 최소 침습 수술용 장치가 설치되는 소작기구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바디의 상부 및 누름부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3c는 도 3a의 분해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 1a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침습 수술용 장치(100)의 구조에 대하여 서술한다.
본 발명의 침습 수술용 장치(100)는, 외측 튜브(10), 내측 튜브(20) 및 탄성 가이드부(30)를 포함한다.
외측 튜브(1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도 1a 및 1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외측 튜브(10)는 도면 상에서 좌우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관 형상일 수 있는데, 외측 튜브(10)의 내부에는 내측 튜브(20)가 설치되는 수용 공간(13)이 구비된다.
내측 튜브(20)는 외측 튜브(10)에 의해 가이드 되도록 외측 튜브(10)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내측 튜브(20)는 일 측이 외측 튜브(10)의 일 단으로부터 인출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도 1a 및 1b에는 외측 튜브(10)의 수용 공간(13)에 내측 튜브(20)가 설치되는 예가 도시된다.
한편, 내측 튜브(20)는 수술 도구를 수용 가능한 수용 영역(27)을 내부에 구비하여 수술 도구의 단부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한다.
내측 튜브(20)는 직관부(23) 및 변형관부(2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직관부(23)는 외측 튜브(10)의 내부에서 외측 튜브(10)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직관부(23)는 변형되지 않으며, 외측 튜브(10)의 외부로 인출되지 않고, 외측 튜브(10)의 내에서 직선 운동만 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변형관부(25)는 직관부(23)의 일 단에 연결되어 외측 튜브(10)의 일 단으로부터 인출 시에 후술하는 탄성 가이드부(30)에 의해 가이드되어 곡면 형태로 변형된다. 변형관부(25)는 일례로,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변형관부(25)가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후술하는 탄성 가이드부(30)와 함께, 이중 스프링의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변형관부(25)는 외측 튜브(10)에 인입된 상태에서도 곡면 형상을 이루거나 곡면으로 변형 가능한 탄성력을 가지는 프리 커브(pre-curved)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곡면 형상이라 함은, 벤딩된 또는 굴곡진 형상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변형관부(25)가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후술하는 탄성 가이드부(30)가 변형관부(25)와 맞닿는 부분에서 피치의 변화가 거의 없으며, 변형관부(25)에서 탄성 가이드부(30)의 반대편에 위치한 피치 간격에 따라 굽힘 가능여부가 결정되게 된다. 특히, 피치 간격이 0이 되는 시점부터 굴곡의 변화가 없게 된다.
한편, 내측 튜브(20)의 직관부(23) 및 변형관부(25) 각각의 내부에는 서로 연통되는 수용 영역(27)이 구비될 수 있다. 내측 튜브(20)가 수용 영역(27)을 구비함으로써, 수용 영역(27)에는 수술 도구가 배치될 수 있고, 내측 튜브(20)는 수술 도구용 채널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내측 튜브(20)는, 소작 팁과 같은 구성들을 수용할 수 있으며, 소작 팁이 수용되는 경우, 소작 팁의 단부는 변형관부(25)의 외부로 돌출되게 된다.
탄성 가이드부(30)는 내측 튜브(20)에 고정 설치되어, 내측 튜브(20)와 함께 이동한다. 외측 튜브(10)로부터 내측 튜브(20)의 인출 시에 탄성 가이드부(30)는 상기 내측 튜브(20)의 일 측을 곡면 형태로 변형되게 하도록 내측 튜브(20)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또한, 외측 튜브(10)에 내측 튜브(20)가 인입되어 있는 경우, 탄성 가이드부(30)는 내측 튜브(20)와 함께 외측 튜브(10)에 나란하도록 외측 튜브(10)의 수용 공간(13)에 배치된다.
도 1a를 참조하면, 외측 튜브(10)에 내측 튜브(20)가 인입되어 있는 예가 도시되는데, 이 때, 도 1a에서 명백히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탄성 가이드부(30)는 내측 튜브(20)와 함께 외측 튜브(10) 내에 인입되게 된다.
또한, 도 1b를 참조하면, 외측 튜브(10)로부터 내측 튜브(20)의 변형관부(25)가 인출되어 있는 예가 도시되는데, 이 때, 도 1a에서 명백히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탄성 가이드부(30)는 내측 튜브(20)의 변형관부(25)와 함께 외측 튜브(10)로부터 인출되게 된다.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탄성 가이드부(30)는 양 단이 각각 직관부(23)의 일 단부 및 변형관부(25)의 일 단부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런 구성에 의해, 탄성 가이드부(30)는 변형관부(25)의 외주에서 변형관부(25)와 나란하도록 배치된다.
탄성 가이드부(30)의 위치에 따라서, 굽힘을 위해 제공되는 힘의 방향이 달라지고, 이로 인해 굽힘 가능 여부가 결정된다.
도 2에는 탄성 가이드부(30)가 변형관부(25)의 상측에 위치된 예가 도시되는데, 이는 하방향으로 변형관부(25)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하방향으로의 굽힘을 용이하게 하고, 상방향으로는 굽힘을 어렵게 한다. 이렇게 하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받아서, 상방향으로 작용되는 힘에 대한 강성이 매우 크게 된다.
필요에 따라서, 탄성 가이드부(30)는 변형관부(25)의 하측에 위치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상방향으로 변형관부(25)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방향으로의 굽힘을 용이하게 하는 등 탄성 가이드부(30)가 변형관부(25)의 상측에 위치되는 것과는 반대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된다.
일례로, 탄성 가이드부(30)는 기 결정된 두께를 가지는 판스프링일 수 있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내측 튜브(20)의 인출 시에 내측 튜브(20)의 일 측을 곡면 형태로 변형되게 하며, 이러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다른 구성일 수도 있다.
탄성 가이드부(30)가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내측 튜브(20)의 변형관부(25)와 함께, 이중 탄성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변형관부(25)가 코일 스프링인 경우에는, 판스프링과 함께, 이중 스프링 구조를 형성하여 판스프링이 없는 경우에 비해 보다 큰 강성을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침습 수술용 장치(100)는 일례로, 전기 소작 등과 같은 비교적 큰 강성을 요구하는 수술 작업(task)에 사용될 수 있다.
탄성 가이드부(30)는 용접에 의해 내측 튜브(2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는데, 일례로, 탄성 가이드부(30)는 양 단이 각각 용접에 의해 직관부(23)의 일 단부 및 변형관부(25)의 일 단부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용접에 의해 탄성 가이드부(30)는 기 결정된 길이를 가지며, 내측 튜브(20)에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만일, 본 발명의 침습 수술용 장치(100)가 후술하는 내측 튜브(20)를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하는 구성과 연결된다면, 간단한 조작으로 내측 튜브(20)의 변형관부(25)를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침습 수술용 장치(100)는 굴곡진 뼈 형상과 같은 인체의 구조상 접근하기 어려운 곳에 위치된 병변으로 쉽게 도달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도 3a 내지 3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최소 침습 수술용 장치(100)가 설치되어 있는 일례의 신축적 소작기구(1000)에 대하여 서술한다. 신축적 소작기구(1000)는 전술한 최소 침습 수술용 장치(100) 및 바디(3)를 포함한다.
바디(3)는 도 3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바디 상부(3a) 및 바디 하부(3b)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3)에는 인출입 부재(5)가 설치되는데, 도 3a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입 부재(5)는 바디(3)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인출입 장공(6) 및 인출입 장공(6)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설치되는 누름부(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누름부(7)는 바디(3) 내로 삽입된 내측 튜브(20)와 연결되어 있다. 최소 침습 수술용 장치(100)에 대해 상세히 전술한 바와 같이, 내측 튜브(20)가 삽입되는 외측 튜브(10)는 바디(3)의 내부에 설치된 커넥터(9)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커넥터(9)의 측면에 형성된 홀 형상의 외측튜브 고정부(4a)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바디(3)의 내부에는 커넥터(9)의 길이방향으로 일 측에 외측 튜브(10)의 고정을 위한 외측튜브 고정부(4b)가 설치된다. 외측튜브 고정부(4b)는 외측 튜브(10)를 관통하여 고정시킨다.
한편, 커넥터(9)의 길이방향의 다른 일 측에는 누름부 설치부재(11)가 배치된다. 누름부 설치부재(11)에는 누름부(7)가 설치되는데, 누름부 설치부재(11)에는 연결홀(10)이 형성되고, 연결홀(10)에 연결부(미도시)가 결합됨으로써, 커넥터(9)에 연결된다. 도 3a 내지 3c에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연결부는 볼트나 핀일 수 있는데, 연결부에 의해 누름부 설치부재(11) 및 커넥터(9)는 서로 연결된다.
인출입 부재(5)의 누름부(7)를 누르면서 인출입 장공(6)을 따라 밀어올리면 내측 튜브(20)의 변형관부(25)가 외측 튜브(10)의 일 단을 통해 굴곡진 형태로 인출되고, 반대로 누름부(7)를 누르면서 인출입 장공(6)을 따라 밀어 내리면 내측 튜브(20)의 변형관부(25)가 외측 튜브(10)의 굽어진 끝단 내로 인입된다.
한편, 누름부(7)의 일측면에는 탄성 돌기(7a)가 설치되고, 인출입 장공(6)의 장변의 어느 한쪽에 상기 탄성 돌기(7a)와 대응하여 형성되는 파형 면으로 된 누름부 가이드(11a)가 형성된다. 탄성 돌기(7a) 및 누름부 가이드(11a)에 의해 누름부(7)이 이동 거리가 조절되고, 누름부 설치부재(11)에 연결된 커넥터(9)가 이동됨에 의해 내측 튜브(20)의 인출 길이가 조절되게 된다.
이와 같은 탄성 돌기(7a) 및 누름부 가이드(11a)에 의해 내측 튜브(20)가 일정 길이만큼 인출될 때에는 상기 탄성 돌기(7a)가 파형의 누름부 가이드(11a)를 타고 넘으면서 누름부(7)가 전진하게 되지만, 단계적으로 원하는 길이만큼 내측 튜브(20)가 인출된 후에 누름부(7)의 전진을 멈추면, 상기 탄성 돌기(7a)가 누름부 가이드(11a)의 파형 부분에 걸려 더 이상 전진하지 않음으로써 스토퍼의 역할을 하게 된다.
바디(3)에는 탄성 돌기(7a)와 파형의 누름부 가이드(11a) 외에 누름부(7)의 뒤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정지 버튼이 설치될 수 있는데, 누름부(7)의 밀어 올림에 의해 내측 튜브(20)를 원하는 길이만큼 단계적으로 인출시킨 후, 그 위치에서 정지 버튼을 눌러 내림으로써 누름부(7)가 파형 면의 슬라이더 가이드를 타고 넘어 전진 및 후진하지 못하도록 하는 스토퍼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최소 침습 수술용 장치(100)가 활용되는 신축적 소작기구(1000)의 사용상의 유리한 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보통 체내 병변을 고주파로 소작하여 치료할 때, 소작기구를 체외에서부터 삽입하여 고주파를 발산하는 팁이 병변 위치까지 도달하도록 하는데, 본 발명의 최소 침습 수술용 장치(100)가 활용되는 신축적 소작기구(1000)를 사용하는 경우 체외에서 바디(3)를 잡고 일단 병변 위치를 향해 외측 튜브(10)를 체내로 삽입한다.
이후 상기 외측 튜브(10)를 체내에 삽입한 상태에서 병변 위치까지 구부러진 통로를 형성하여 소작을 어렵게 하는 경우, 인출입 부재(5)의 누름부(7)를 누르면서 밀어올려 상기 외측 튜브(10)의 끝단을 통해 내측 튜브(20)가 굴곡지면서 인출되도록 하면, 굴곡지면서 인출되는 내측 튜브(20)가 구부러진 통로를 따라 무리 없이 이동하여 병변 위치까지 도달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내측 튜브(20)와 연결된 전선에 의해 바디(3)에서 외측 튜브(10)를 통해 내측 튜브(20)의 끝단에 공급되는 고주파에 의해 병변을 소작하여 치료하게 된다.
소작 치료가 종료되면 인출입 부재(5)의 누름부(7)을 누르면서 밀어내려 구부러진 통로를 따라 내측 튜브(20)가 굴곡지면서 이동시켜 외측 튜브(10)의 굽어진 끝단 내로 인입시킨 후, 체내에 삽입된 상기 외측 튜브(10)를 체외로 빼내어 신축적 소작기구(1000)의 사용을 완료하게 된다.
이와 같은 소작술에 사용중 내측 튜브(20)가 병변 위치까지 도달하도록 원하는 길이로 인출되면, 바디(3)에 설치한 인출입 부재(5)에 설치한 스토퍼를 사용하여 상기 내측 튜브(20)가 더 이상 전진하거나 후퇴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의 최소 침습 수술용 장치(100)가 활용되는 신축적 소작기구(1000)는 특히 복강경뿐만 아니라 좁은 관절 내시경에서의 조직의 소작이나 절단을 함에 있어 기존의 직선형 도구가 불편하고 닿지 않는 경우가 많아서, 이러한 곳에서 유용하게 사용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최소 침습 수술용 장치(100) 및 신축적 소작기구(1000)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최소 침습 수술용 장치
10:외측 튜브 13:수용 공간
20:내측 튜브 23:직관부 25:변형관부 27:수용 영역
30:탄성 가이드부
1000:신축적 소작기구
3: 바디 5:인출입 부재
6: 인출입 장공 7:누름부
7a:탄성 돌기 11a:누름부 가이드
9:커넥터 10:연결홀
11:누름부 설치부재

Claims (8)

  1. 일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외측 튜브;
    상기 외측 튜브에 의해 가이드 되도록 상기 외측 튜브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일 측이 상기 외측 튜브의 일 단으로부터 인출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측 튜브; 및
    상기 내측 튜브에 결합되고, 상기 내측 튜브의 인출 시에 상기 내측 튜브의 일 측을 곡면 형태로 변형시키도록 탄성 변형되는 탄성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 침습 수술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튜브는,
    상기 외측 튜브 내에서 상기 일방향으로 운동 가능하는 직관부; 및
    상기 직관부의 일 단에 연결되어 상기 탄성 가이드부에 의해 가이드되어 곡면 형태로 변형되는 변형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 침습 수술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튜브는,
    상기 직관부 및 상기 변형관부 내부에서 연통되는 수용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수용 영역에는 수술 도구가 배치되어 상기 수술 도구의 단부는 상기 변형관부의 외부로 돌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 침습 수술용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가이드부는,
    상기 외측 튜브에 상기 내측 튜브가 인입되는 경우에, 상기 외측 튜브에 나란하도록 상기 내측 튜브와 함께 상기 외측 튜브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 침습 수술용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관부는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 침습 수술용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가이드부는 판스프링으로 이루져서, 상기 변형관부 및 상기 탄성 가이드부는 이중 스프링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 침습 수술용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가이드부는 상기 변형관부 보다 큰 강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 침습 수술용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관부는, 상기 변형관부의 피치 간격에 따라 굽힘 가능여부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 침습 수술용 장치.
KR1020180086752A 2018-07-25 2018-07-25 최소 침습 수술용 장치 KR102156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752A KR102156112B1 (ko) 2018-07-25 2018-07-25 최소 침습 수술용 장치
PCT/KR2018/010847 WO2020022556A1 (ko) 2018-07-25 2018-09-14 최소 침습 수술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752A KR102156112B1 (ko) 2018-07-25 2018-07-25 최소 침습 수술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1811A true KR20200011811A (ko) 2020-02-04
KR102156112B1 KR102156112B1 (ko) 2020-09-15

Family

ID=69181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6752A KR102156112B1 (ko) 2018-07-25 2018-07-25 최소 침습 수술용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56112B1 (ko)
WO (1) WO202002255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38991A1 (ko) * 2021-06-10 2023-12-14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내시경 수술 통로 확보 기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6182A (ja) * 1997-09-12 1999-03-23 Excel Medei Kk 電極カテーテル
KR100954285B1 (ko) 2007-12-04 2010-04-2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렉시블튜브가 구비된 고주파전극수술장치
KR20130143312A (ko) * 2012-06-21 2013-12-31 주식회사 두배시스템 혈관 내의 만성완전협착 병변 제거용 수술장치
US20140371740A1 (en) * 2008-10-13 2014-12-18 Dfine, Inc. Systems for treating a vertebral body
US20170367746A1 (en) * 2005-11-18 2017-12-28 Stryker Corporation Shape Memory Device With Temperature-Dependent Deflectable Segment And Methods Of Positioning A Shape Memory Device Within A Bone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1989A (en) * 1991-02-15 1993-08-03 Raychem Corporation Steerable cannula
US7959634B2 (en) * 2004-03-29 2011-06-14 Soteira Inc. Orthopedic surgery access devices
ES2845626T3 (es) * 2015-01-08 2021-07-27 Sinusafe Medical Ltd Dispositivo médico para el seno paranasal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6182A (ja) * 1997-09-12 1999-03-23 Excel Medei Kk 電極カテーテル
US20170367746A1 (en) * 2005-11-18 2017-12-28 Stryker Corporation Shape Memory Device With Temperature-Dependent Deflectable Segment And Methods Of Positioning A Shape Memory Device Within A Bone Structure
KR100954285B1 (ko) 2007-12-04 2010-04-2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렉시블튜브가 구비된 고주파전극수술장치
US20140371740A1 (en) * 2008-10-13 2014-12-18 Dfine, Inc. Systems for treating a vertebral body
KR20130143312A (ko) * 2012-06-21 2013-12-31 주식회사 두배시스템 혈관 내의 만성완전협착 병변 제거용 수술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38991A1 (ko) * 2021-06-10 2023-12-14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내시경 수술 통로 확보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6112B1 (ko) 2020-09-15
WO2020022556A1 (ko) 2020-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45638A (en) Bipolar coagulation and cutting forceps
JP3730757B2 (ja) 内視鏡用処置具
JP5340722B2 (ja) 内視鏡用処置具
US7077803B2 (en) Living tissue harvesting apparatus
JP6211541B2 (ja) 循環ワイヤを備える切断具
JP4767761B2 (ja) 高周波処置具
EP3222240A1 (en) High frequency treatment tool and high frequency treatment system
US9993233B2 (en) Large capacity biopsy forceps
US11304747B2 (en) Rotatable snares and related methods
JP2018535738A (ja) 内視鏡治療用の偏向チャネルを有する内視鏡キャップ
JP7186595B2 (ja) プローブアプリケータ
US20210015349A1 (en) Medical device
KR102336100B1 (ko) 복수의 처치구 병용이 가능한 의료용 토출 기구
US6736812B2 (en) Dual short throw advancer/retractor
WO2005110187A1 (ja) 内視鏡用処置具
KR20200011811A (ko) 최소 침습 수술용 장치
AU2018267581A1 (en) Laparoscopic tissue manipulation device
US10363087B2 (en) Tissue resection device
JP2018534017A (ja) 格納式の組織切断デバイス
JP2013192949A (ja) 内視鏡手術器具
EP1847231B1 (en) Soft bipolar forceps
US20050038424A1 (en) High-frequency incision device
US20080294160A1 (en) RF endoscopic electrosurgical instrument
JP2002095677A (ja) レゼクトスコープシステム
KR20140104198A (ko) 신경차단용 카테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