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1707A - 골반 시트 - Google Patents

골반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1707A
KR20200011707A KR1020180086494A KR20180086494A KR20200011707A KR 20200011707 A KR20200011707 A KR 20200011707A KR 1020180086494 A KR1020180086494 A KR 1020180086494A KR 20180086494 A KR20180086494 A KR 20180086494A KR 20200011707 A KR20200011707 A KR 202000117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s
cushion
bone support
pelvis
sea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6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3497B1 (ko
Inventor
김영진
김정수
서병준
문윤석
윤세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불스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불스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불스원
Priority to KR1020180086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3497B1/ko
Priority to CN201980025220.0A priority patent/CN111954477B/zh
Priority to TW108126385A priority patent/TWI715119B/zh
Priority to PCT/KR2019/009222 priority patent/WO2020022792A1/ko
Publication of KR20200011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1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3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3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029Seat parts of non-adjustable shape adapted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24Upholstered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4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4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 A47C7/74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 A47C7/746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without active means, e.g. with openings or heat conductors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반 시트에 관한 것이다. 골반 시트는 시트본체 및 한 쌍의 쿠션부재들을 포함한다. 시트본체는 상면에 사용자 골반의 볼기뼈와 미추를 각각 지지하는 볼기뼈 지지부와 미추 지지부가 형성된다. 한 쌍의 쿠션부재들은 볼기뼈 지지부의 상면에 볼기뼈 지지부의 좌우 방향으로 설정 간격을 두고 볼기뼈 지지부의 끼움홈들에 각각 끼움 결합되고, 점탄성 재질로 다수의 통공들을 갖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골반 시트{Pelvis shee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착석시 엉덩이의 골반을 받쳐주는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석 등과 같은 시트는 사용자의 착석시 엉덩이의 골반을 받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시트는 사용자가 오랜 시간 착석해 있어도 편안함을 느낄 수 있게 적당한 부드러움과 압축성, 진동흡수성, 제습성, 변형 추종성, 내구성 등의 성질을 가져야 한다. 이를 위해, 종래의 시트는 솜, 스펀지, 우레탄 폼, 고무 등을 내부 충전재로 주로 사용하고 있다.
예컨대, 솜방석은 충격을 흡수하여 착석자에게 푹신푹신한 착석감을 제공한다. 그 이유는 솜을 구성하는 섬유들이 그물처럼 형성되어 있고, 솜에 공기가 계속해서 공급되어 복원력을 주기 때문이다. 그러나, 솜방석은 좋은 착석감을 주기 위해 많은 양의 솜이 사용되어야 하고, 솜방석을 계속 이용하다 보면 솜방석의 두께가 얇아져서 착석감 및 통기성이 쉽게 저하될 수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470800호(2014. 12. 09. 공고)
본 발명의 과제는 사용자가 오래 앉아도 바른 자세로 편안함을 느낄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쾌적한 착석을 유도할 수 있는 골반 시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골반 시트는 시트본체 및 한 쌍의 쿠션부재들을 포함한다. 시트본체는 상면에 사용자 골반의 볼기뼈와 미추를 각각 지지하는 볼기뼈 지지부와 미추 지지부가 형성된다. 한 쌍의 쿠션부재들은 볼기뼈 지지부의 상면에 볼기뼈 지지부의 좌우 방향으로 설정 간격을 두고 볼기뼈 지지부의 끼움홈들에 각각 끼움 결합되고, 점탄성 재질로 다수의 통공들을 갖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각각의 쿠션부재는 하측 통공들이 각각 정육각형 횡단면으로 상하 관통되도록 하측 격벽들에 의해 구획되어 형성된 하측 쿠션부와, 상측 통공들이 각각 정육각형 횡단면으로 상하 관통되도록 상측 격벽들에 의해 구획되어 형성되고 상측 통공들의 각 중심이 하측 통공들의 각 중심과 일치하도록 하측 쿠션부 상에 적층된 상측 쿠션부, 및 상측 통공과 하측 통공의 경계 부위마다 형성된 보강 리브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시트본체는 쿠션부재들 사이의 볼기뼈 지지부 영역에 형성된 제1 통기홀을 포함할 수 있다. 끼움홈들은 제1 통기홀의 양쪽 옆과 연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끼움홈들에는 각각 복수의 제2 통기홀들이 형성될 수 있다. 골반 시트는 시트본체와 쿠션부재들을 함께 감싸서 덮는 시트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오래 앉아도 바른 자세로 편안함을 느낄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압력 분산에 따른 피부 자극을 줄여 편안함을 주고 통기성에 따른 온습도를 유지하여 쾌적한 착석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착석 중 엉덩이의 움직임에 따라 마사지 기능을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반 시트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골반 시트의 사용 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어서, 골반 시트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쿠션부재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 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반 시트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골반 시트의 사용 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어서, 골반 시트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쿠션부재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 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반 시트(100)는 시트본체(110), 및 쿠션부재(120)들을 포함한다.
시트본체(110)는 상면에 사용자 골반의 볼기뼈와 미추를 각각 지지하는 볼기뼈 지지부(111)와 미추 지지부(112)가 형성된다.
볼기뼈 지지부(111)와 미추 지지부(112)는 사용자의 착석시 엉덩이 골반의 볼기뼈와 미추를 잡아줌으로써, 사용자가 오래 앉아도 바른 자세로 편안함을 느낄 수 있게 한다. 평균적인 성인남녀는 골반 높이가 110mm±10mm이고, 엉치뼈 넓이가 125mm±10mm인데, 볼기뼈 지지부(111)와 미추 지지부(112)는 평균적인 성인남녀의 골반 데이터를 반영한 형태와 크기를 갖도록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될 수 있다. 시트본체(110)는 최대 좌우폭이 45mm±5mm, 최대 전후 길이가 41mm±5mm, 최대 높이가 12mm±5mm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시트본체(110)는 하면이 편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볼기뼈 지지부(111)는 상면에 쿠션부재(120)들을 상부로부터 각각 끼우는 한 쌍의 끼움홈(111a)들을 구비할 수 있다. 끼움홈(111a)들은 좌우 간격을 두고 좌우 대칭을 이룬다. 끼움홈(111a)들은 볼기뼈 지지부(111)의 상면에 일정 깊이로 각각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볼기뼈 지지부(111)는 좌,우측 끼움홈(111a)의 저면이 볼기뼈 지지부(111)의 중앙으로부터 좌,우측 가장자리로 갈수록 오목져 높아지는 형태를 이루게 형성될 수 있다. 볼기뼈 지지부(111)는 좌,우측 끼움홈(111a)의 앞쪽 저면이 점진적으로 오목져 낮아지는 형태를 이루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볼기뼈 지지부(111)는 쿠션부재(120)들과 함께 골반을 부드럽게 잡아줄 수 있다. 볼기뼈 지지부(111)는 좌,우측 끼움홈(111a)의 좌,우측 벽과 앞쪽 벽이 일정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끼움홈(111a)들의 각 저면은 쿠션부재(120)들의 각 하부를 전반적으로 지지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각의 끼움홈(111a)은 해당 쿠션부재(120)를 끼워 맞춤하도록 끼움홈(111a)의 내벽들이 쿠션부재(120)의 외벽과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쿠션부재(120)는 하부와 외벽들이 각각의 끼움홈(111a)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시트본체(110)는 쿠션부재(120)들 사이의 볼기뼈 지지부(111) 영역에 형성된 제1 통기홀(1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기홀(113)은 사용자의 착석시 주요 부위와 닿는 면적을 없애어 주요 부위의 압력을 줄여주고 통기성을 부여할 수 있다. 제1 통기홀(113)은 상하로 관통되고 좌우 폭이 일정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통기홀(113)은 앞,뒤쪽 내벽이 좌우로 오목하게 곡면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끼움홈(111a)들은 제1 통기홀(113)의 양쪽 옆과 연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끼움홈(111a)들은 제1 통기홀(113)의 양쪽 옆을 향한 부위가 저면까지 절개되어 제1 통기홀(113)과 이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끼움홈(111a)들에는 각각 복수의 제2 통기홀(114)들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통기홀(114)들은 쿠션부재(120)들과 함께 통기성을 높여줄 수 있게 한다. 제2 통기홀(114)들은 일정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2 통기홀(114)은 정육각형 홀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원형 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2 통기홀(114)은 시트본체(110)의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는 범주에서 다양한 크기와 개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미추 지지부(112)는 볼기뼈 지지부(111)의 뒤쪽으로부터 사용자의 엉덩이 뒤쪽을 일부 감싸는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미추 지지부(112)는 상면이 볼기뼈 지지부(111)의 뒤쪽으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오목져 높아지는 형태를 이루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미추 지지부(112)는 뒤쪽 부위가 좌우로부터 중앙으로 갈수록 볼록하게 높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시트본체(110)는 메모리폼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메모리폼은 미국항공우주국에서 우주선 발사시 비행사들이 받는 충격을 완화시킬 목적으로 개발한 소재이다. 메모리폼은 가압되었을 때 서서히 원래의 형태로 되돌아가려는 복원력을 갖기 때문에, 시트본체(110)는 골반이 누르는 압력을 메모리폼의 복원력에 의해 전체적으로 적절하게 분산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시트본체(110)는 라텍스 재질로 이루어져, 골반이 누르는 압력을 라텍스의 복원력에 의해 전체적으로 적절하게 분산할 수 있다.
한 쌍의 쿠션부재(120)들은 볼기뼈 지지부(111)의 상면에 볼기뼈 지지부(111)의 좌우 방향으로 설정 간격을 두고 볼기뼈 지지부(111)의 끼움홈(111a)들에 각각 끼움 결합된다. 쿠션부재(120)들은 좌우측 볼기뼈에 압력 분산을 통한 쿠션감을 각각 제공할 수 있다. 쿠션부재(120)들은 좌우 대칭을 이룰 수 있다.
쿠션부재(120)들은 점탄성 재질로 다수의 통공들을 갖도록 형성된다. 즉, 쿠션부재(120)는 점성과 탄성을 모두 가지며, 통공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쿠션부재(120)는 착석 중 골반에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하여 낮은 임계압력으로 피부와 미세혈관을 누르지 않게 함으로써, 최적의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쿠션부재(120)는 착석 중 체열과 땀을 통공 구조의 에어펌핑 효과와 우수한 통기성으로 습기, 땀을 효과적으로 발산시켜 온습도를 유지함으로써, 쾌적한 착석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쿠션부재(120)는 시트본체(110)의 볼기뼈 지지부(111)를 보완할 수 있게 한다. 즉, 시트본체(110)가 메모리폼으로 이루어진 경우, 쿠션부재(120)는 점성이 강조된 시트본체(110)의 볼기뼈 지지부(111)를 보완하여 고유의 탄성으로 지지력 및 형상 유지 효과를 높임으로써, 착석자가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시트본체(110)가 라텍스로 이루어진 경우, 쿠션부재(120)는 탄성이 강조된 시트본체(110)의 볼기뼈 지지부(111)를 보완하여 고유의 점성으로 접촉 면적을 줄이고 압력을 낮춤으로써, 엉덩이의 피부 자극을 줄이고 다양한 체형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구조의 쿠션부재(120)는 끼움홈(111a)에 접착되지 않고 물리적으로 끼움 결합되므로, 볼기뼈 지지부(111)와 독립되게 변형되어 사용자의 볼기뼈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쿠션부재(120)들은 주변의 볼기뼈 지지부(111)와 이질감을 부여함으로써, 착석 중 엉덩이의 움직임에 따라 마사지 기능을 줄 수 있다.
쿠션부재(120)의 상부 가장자리는 끼움홈(111a)의 상부 가장자리와 동일한 높이로 설정됨으로써, 쿠션부재(120)는 끼움홈(111a)에 단차 없이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쿠션부재(120)의 상부는 끼움홈(111a)의 개구와 동일한 높이로 설정될 수 있다. 물론, 쿠션부재(120)의 상부 가장자리는 전술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범주에서 끼움홈(111a)의 상부 가장자리보다 높거나 낮게 설정될 수도 있다.
예컨대, 각각의 쿠션부재(120)는 하부 쿠션부(121)와, 상측 쿠션부(122), 및 보강 리브(123)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측 쿠션부(121)는 하측 통공(121a)들이 각각 정육각형 횡단면으로 상하 관통되도록 하측 격벽(121b)들에 의해 구획되어 형성된다. 하측 통공(121a)들은 육각형으로 배열될 수 있다.
하측 격벽(121b)의 두께는 하방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얇아질 수 있다. 하측 격벽(121b)은 상단 두께가 1.65~1.7mm로 설정되며, 하단 두께가 대략 1.55mm~1.6mm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하측 통공(121a)은 하방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확장됨으로써, 하측 쿠션부(121)의 사출 성형시 금형으로부터 성형된 하측 쿠션부(121)의 취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하측 격벽(121b)은 상단 두께와 하단 두께 차이가 너무 크게 되면 강도가 약화될 수 있다.
상측 쿠션부(122)는 상측 통공(122a)들이 각각 정육각형 횡단면으로 상하 관통되도록 상측 격벽(122b)들에 의해 구획되어 형성된다. 상측 통공(122a)들은 육각형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측 격벽(122b)의 두께는 상방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얇아질 수 있다. 상측 격벽(122b)은 하단 두께가 1.65~1.7mm로 설정되며, 상단 두께가 대략 1.5mm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측 통공(122a)은 상방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확장됨으로써, 상측 쿠션부(122)의 사출 성형시 금형으로부터 성형된 상측 쿠션부(122)의 취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측 격벽(122b)은 상단 두께가 하단 두께보다 얇아짐으로 인해, 사용자 골반의 볼기뼈와 접촉되는 면적을 줄여 압력을 낮출 수 있다. 상측 격벽(122b)은 상단 두께와 하단 두께 차이가 너무 크게 되면 강도가 약화될 수 있다.
상측 쿠션부(122)는 상측 통공(122a)들의 각 중심이 하측 통공(121a)들의 각 중심과 일치하도록 하측 쿠션부(121) 상에 적층된다. 상측 쿠션부(122)는 하측 쿠션부(121)와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따라서, 쿠션부재(120)는 상측 통공(122a)들과 하측 통공(121a)들에 의해 2중 허니콤(honeycomb) 구조를 취하여 통기성을 가짐과 아울러, 압력 분산을 더욱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측 통공(122a)들과 하측 통공(121a)의 크기는 사출 성형 가능한 범주에서 최소화됨으로써, 압력 분산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예컨대, 상측 통공(122a)들과 하측 통공(121a)의 각 최단 폭은 10mm~12mm로 설정되며, 상측 통공(122a)들과 하측 통공(121a)의 각 최대 깊이는 12mm~14mm로 설정될 수 있다.
보강 리브(123)들은 상측 통공(122a)과 하측 통공(121a)의 경계 부위마다 형성된다. 보강 리브(123)들은 상측 쿠션부(122)의 사출 성형시 함께 성형됨으로써, 하측 통공(121a)과 연결되는 상측 통공(122a) 내의 경계 주변에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보강 리브(123)들은 하측 쿠션부(121)의 사출 성형시 함께 성형됨으로써, 상측 통공(122a)과 연결되는 하측 통공(121a) 내의 경계 주변에 형성될 수 있다.
보강 리브(123)는 상측 격벽(122b) 및 하측 격벽(121b)을 수평 방향으로 지지하여 쿠션부재(120)를 보강한다. 보강 리브(123)는 3개의 일자형 리브들이 중앙에서 교차해서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강 리브(123)의 6개의 단들은 상측 격벽(122b)과 하측 격벽(121b)의 경계 부위에 있는 6개의 모서리들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즉, 보강 리브(123)는 3개의 일자형 리브들이 상측 격벽(122b)과 하측 격벽(121b)에 각각 수평으로 나란하게 배열된다. 따라서, 보강 리브(123)는 상측 격벽(122b) 및 하측 격벽(121b)을 수평 방향으로 지지하는 효과를 더욱 높여 쿠션부재(120)의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보강 리브(123)의 각 리브 폭은 상측 격벽(122b) 및 하측 격벽(121b)의 각 두께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보강 리브(123)의 두께는 1.5 mm로 설정될 수 있다.
쿠션부재(120)의 제조에 사용되는 점탄성 재질의 조성물은 폴리스티렌계 폴리머 및 폴리프로필렌을 공중합한 공중합체와 오일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폴리스티렌계 폴리머는 삼블럭(triblock) 구조이다. 폴리스틸렌계 폴리머는 SEBS(styrene-(ethylene/buthylene)-styrene Block Copolymer) 또는 SEEPS(Polystyrene-block-poly(ethylene-ethylene/propylene)-block polystyrene)일 수 있다. 따라서, 폴리스티렌계 폴리머 및 폴리프로필렌을 공중합한 공중합체는 PP-SEBS일 수 있다.
혼합물은 폴리스티렌계 폴리머 및 폴리프로필렌을 공중합한 공중합체 30 ~ 40중량%와 오일 60 ~ 7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오일의 함량이 60중량% 미만이면 경도(Shore A)가 상승함으로써 제압분산의 효과가 떨어지고 수축률이 매우 커져 사출시 이젝팅(ejecting)이 매우 어렵고, 70중량%를 초과하면 오일과 공중합체의 혼합이 용이하지 않아 사출이 불가능하며, 혹시 사출이 된다 하더라도 사용시 오일 블루밍이 발생하기 때문에 오일의 함량을 위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성물은 공중합체와 오일로 이루어진 혼합물 100 중량 대비 5 ~ 8 중량부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첨가제의 함량이 5중량 미만으로 사용되면 오일과 공중합체가 혼합되지 않아 물성이 저하될 수 있고, 8중량을 초과하면 경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위 함량 범위로 첨가제를 넣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가제는 오일 블루밍을 제거하고 내열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건식 실리카 또는 습식 실리카를 사용할 수 있다. 건식 실리카로는 흄드실리카(Fumed Silica)가 사용될 수 있다.
조성물은 성형시 가열에 의한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열 안정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조성물은 공중합체와 오일로 이루어진 혼합물 100 중량 대비 0.3 ~ 0.7중량부의 열안정제를 포함할 수 있다.
열안정제는 트리페닐 포스파이트, 트리스-(2,6-디메틸페닐)포스파이트, 트리스-(모노- 및 디-노닐페닐의 혼합)포스파이트와 같은 유기포스파이트로 이루어지거나, 디메틸벤젠 포스포네이트와 같은 포스포네이트류로 이루어지거나, 트리메틸포스페이트와 같은 포스페이트류로 이루어지거나,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조성물은 공중합체와 오일로 이루어진 혼합물 100 중량 대비 0.5~5.0 중량부의 방향유 및 0.05~10.0 중량부의 항균제를 포함하여, 아로마테라피 및 항균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방향유의 함량이 0.5 중량부 미만일 경우, 아로마테라피 효과를 얻기가 힘들고, 5.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조성물의 물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방향유는 라벤더, 그레이프 프루트, 유칼립투스, 로즈메리, 페퍼민트 및 일랑일랑(Ylang-Ylang)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추출된 것일 수 있다.
항균제의 함량이 0.05 중량부 미만이면, 항균 활성치 값이 2에 미치지 못하여 항균 효과를 발휘하기 힘들고, 10.0 중량부 초과할 경우 제조공정에서 기포 발생, 물성 저하, 미성형 또는 계량 불가 등의 트러블이 발생할 수 있다. 항균제는 유기 항균제 또는 무기 항균제일 수 있다. 유기 항균제는 징크 비스(Zinc bis: 2-pyridinethiol-1-oxide)일 수 있다.
한편, 골반 시트(100)는 시트본체(110)와 쿠션부재(120)들을 함께 감싸서 덮는 시트커버(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시트커버(130)는 시트본체(110)와 쿠션부재(120)들을 덮어서 보호할 수 있다. 시트커버(130)의 크기와 형태는 쿠션부재(120)들이 볼기뼈 지지부(111)의 끼움홈(111a)들에 끼워진 상태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설정될 수 있다. 시트커버(130)는 시트본체(110)에 대해 손쉽게 씌워지거나 벗겨질 수 있도록 지퍼(131)를 구비할 수 있다.
시트커버(130)는 통기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하부를 제외한 상부 및 측부가 메쉬 원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시트커버(130)는 착석 중 발생할 수 있는 땀과 체액이 시트본체(110)와 쿠션부재(120)들에 직접 닿는 것을 예방하며, 공기가 통하게 하여 쾌적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시트커버(130)는 쿠션부재(120)들을 도와 최적의 압력분산을 제공할 수 있도록 탄력성과 부드러움을 갖는 원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시트커버(130)는 엘라스틴(elastin) 메쉬 원단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시트본체 111..볼기뼈 지지부
111a..끼움홈 112..미추 지지부
113..제1 통기홀 114..제2 통기홀
120..쿠션부재 130..시트커버

Claims (6)

  1. 상면에 사용자 골반의 볼기뼈와 미추를 각각 지지하는 볼기뼈 지지부와 미추 지지부가 형성된 시트본체; 및
    상기 볼기뼈 지지부의 상면에 상기 볼기뼈 지지부의 좌우 방향으로 설정 간격을 두고 상기 볼기뼈 지지부의 끼움홈들에 각각 끼움 결합되고, 점탄성 재질로 다수의 통공들을 갖도록 형성된 한 쌍의 쿠션부재들;
    을 포함하는 골반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쿠션부재는,
    하측 통공들이 각각 정육각형 횡단면으로 상하 관통되도록 하측 격벽들에 의해 구획되어 형성된 하측 쿠션부;
    상측 통공들이 각각 정육각형 횡단면으로 상하 관통되도록 상측 격벽들에 의해 구획되어 형성되고, 상기 상측 통공들의 각 중심이 상기 하측 통공들의 각 중심과 일치하도록 상기 하측 쿠션부 상에 적층된 상측 쿠션부; 및
    상기 상측 통공과 하측 통공의 경계 부위마다 형성된 보강 리브들;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반 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본체는 상기 쿠션부재들 사이의 볼기뼈 지지부 영역에 형성된 제1 통기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반 시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홈들은 상기 제1 통기홀의 양쪽 옆과 연통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반 시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홈들에는 각각 복수의 제2 통기홀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반 시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본체와 쿠션부재들을 함께 감싸서 덮는 시트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반 시트.
KR1020180086494A 2018-07-25 2018-07-25 골반 시트 KR102173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494A KR102173497B1 (ko) 2018-07-25 2018-07-25 골반 시트
CN201980025220.0A CN111954477B (zh) 2018-07-25 2019-07-25 骨盆垫
TW108126385A TWI715119B (zh) 2018-07-25 2019-07-25 骨盆墊
PCT/KR2019/009222 WO2020022792A1 (ko) 2018-07-25 2019-07-25 골반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494A KR102173497B1 (ko) 2018-07-25 2018-07-25 골반 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1707A true KR20200011707A (ko) 2020-02-04
KR102173497B1 KR102173497B1 (ko) 2020-11-03

Family

ID=69182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6494A KR102173497B1 (ko) 2018-07-25 2018-07-25 골반 시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2173497B1 (ko)
CN (1) CN111954477B (ko)
TW (1) TWI715119B (ko)
WO (1) WO202002279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0087B1 (ko) * 2021-02-02 2021-06-03 (주)칼리즈 체중분산과 냉각 및 통기성 기능을 갖는 메모리폼 방석
KR20230120332A (ko) * 2022-02-09 2023-08-17 윤석균 젤 쿠션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용 쿠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1987B1 (ko) * 2021-04-16 2024-01-10 주식회사 불스원 젤 쿠션을 이용한 침구류 충전물
US11980297B2 (en) * 2023-09-20 2024-05-14 Yi Zhang Memory foam cushion body and memory foam seat cushio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3285A (ko) * 1994-10-22 1996-05-22 임종근 통풍수단을 갖는 방석과 그것을 좌판구조로 하여 일체화한 의자
KR200293293Y1 (ko) * 2002-07-19 2002-10-30 윤희권 메모리폼과젤을 결합한 방석
KR100665931B1 (ko) * 2006-07-26 2007-01-09 김용진 의자 방석
KR101470800B1 (ko) 2014-10-02 2014-12-09 박종욱 기능성 지압방석과 이의 제작방법
KR20160068473A (ko) * 2014-12-05 2016-06-15 주식회사 불스원 허니컴 구조의 쿠션방석
KR20180032050A (ko) * 2016-09-21 2018-03-29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욕창방지 및 자세교정 방석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3285B1 (ko) * 1994-05-28 1996-10-02 윤호진 손목시계용 블럭밴드 엘레멘트의 버(burr) 제거장치
KR960013285U (ko) * 1994-10-27 1996-05-17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뚜껑구조
JP2006255327A (ja) * 2005-03-18 2006-09-28 Kaji:Kk 人体支持機構
JP2008073276A (ja) * 2006-09-22 2008-04-03 Kaito Tei 骨盤クッション
TWM367654U (en) * 2009-06-02 2009-11-01 Zong-Yong Xu Structure of seat cushion
WO2011019165A2 (ko) * 2009-08-10 2011-02-17 선문대학교산학협력단 골반 교정용 좌판
US20140223666A1 (en) * 2013-02-04 2014-08-14 David R. Pavlin Skin irritant reduction cushioning construction
TWM467393U (zh) * 2013-06-25 2013-12-11 Zong-Yong Xu 坐墊構造之改良
CN105828751A (zh) * 2013-12-17 2016-08-03 微设计股份有限公司 椅子
WO2016157983A1 (ja) * 2015-03-31 2016-10-06 茨城県 座位型股義足用ソケット及び座位型股義足
CN205457549U (zh) * 2016-01-05 2016-08-17 杨清凉 坐垫结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3285A (ko) * 1994-10-22 1996-05-22 임종근 통풍수단을 갖는 방석과 그것을 좌판구조로 하여 일체화한 의자
KR200293293Y1 (ko) * 2002-07-19 2002-10-30 윤희권 메모리폼과젤을 결합한 방석
KR100665931B1 (ko) * 2006-07-26 2007-01-09 김용진 의자 방석
KR101470800B1 (ko) 2014-10-02 2014-12-09 박종욱 기능성 지압방석과 이의 제작방법
KR20160068473A (ko) * 2014-12-05 2016-06-15 주식회사 불스원 허니컴 구조의 쿠션방석
KR20180032050A (ko) * 2016-09-21 2018-03-29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욕창방지 및 자세교정 방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0087B1 (ko) * 2021-02-02 2021-06-03 (주)칼리즈 체중분산과 냉각 및 통기성 기능을 갖는 메모리폼 방석
KR20230120332A (ko) * 2022-02-09 2023-08-17 윤석균 젤 쿠션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용 쿠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3497B1 (ko) 2020-11-03
CN111954477B (zh) 2023-08-04
TW202007319A (zh) 2020-02-16
TWI715119B (zh) 2021-01-01
WO2020022792A1 (ko) 2020-01-30
CN111954477A (zh) 2020-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11707A (ko) 골반 시트
CA2651065C (en) Cushioning structures for body parts
KR102048081B1 (ko) 기능성 베개
US4989284A (en) Cushion
JP2020079089A (ja) 車両用シートクッション材及び車両用シート
AU2016331027B2 (en) Contouring system and components
JP2017121334A (ja) 姿勢保持用クッション並びにそれに用いる姿勢保持用ベース材
KR200421358Y1 (ko) 에어 셀과 에어 박스로 구성된 욕창 치질 방지용 방석
CN211154943U (zh) 功能性枕头
KR200469668Y1 (ko) 기능성 방석
KR102020361B1 (ko) 기능성 베개
CN209898816U (zh) 腰垫
CN110558794A (zh) 功能性枕头
US20190313800A1 (en) Orthopedic seating wedge with ventilation channels
CN111954478B (zh) 腰垫
KR102260087B1 (ko) 체중분산과 냉각 및 통기성 기능을 갖는 메모리폼 방석
CN109965592B (zh) 骨盆坐垫
CN209629212U (zh) 骨盆坐垫
KR200421474Y1 (ko) 에어 셀과 에어 박스로 구성된 욕창 치질 방지용 입체 방석
KR101703326B1 (ko) 등받이 쿠션
WO2016051832A1 (ja) クッション
KR101082517B1 (ko) 에어분출 의자 시트
JP7101420B2 (ja)
WO2021015346A1 (ko) 기능성 베개
JPH11266996A (ja) 熱可塑性樹脂発泡マ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