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1545A - 스프링 장착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스프링 장착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1545A
KR20200011545A KR1020207000216A KR20207000216A KR20200011545A KR 20200011545 A KR20200011545 A KR 20200011545A KR 1020207000216 A KR1020207000216 A KR 1020207000216A KR 20207000216 A KR20207000216 A KR 20207000216A KR 20200011545 A KR20200011545 A KR 202000115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contact
housing
interposer
inn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0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8118B1 (ko
Inventor
로날드 아이. 프랭크
제임스 알. 메스자로스
주니어 조지 엘. 골라트
브래든 제이. 이샤우그
3세 로버트 지. 헨네무쓰
마이클 디. 스미스
마이클 에이. 야신
고든 제이. 우달
다니엘 알. 맥네빈
Original Assignee
암페놀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암페놀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암페놀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00011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1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8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81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35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with opposite contact points, e.g. C be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8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91Coupling devices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or self alig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93Means f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at the end of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zero insertion force or no fri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5Casing or ring with bayonet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86Parallel contacts arranged about a common axi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정합 인터페이스 단부 섹션을 갖는 하우징, 대향하는 케이블 종단 단부 섹션, 및 내부 지지 부재를 갖는 전기 커넥터. 코어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내부 지지 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수용 단부 및 스프링 맞물림 단부를 포함한다. 스프링 부재는 상기 코어의 상기 스프링 맞물림 단부와 접촉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 내부 및 상기 코어 뒤에 수용된다. 인터포저는 상기 코어의 수용 단부에 수용될 수 있고 상기 스프링 부재로부터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코어는 상기 스프링 부재가 상기 코어를 상기 하우징의 상기 케이블 종단 단부 섹션으로부터 외부를 향해 밀어내는 비정합 위치와 상기 코어가 상기 스프링 부재에 대해 내부를 향해 밀어내는 정합 위치 사이에서 상기 하우징의 종축 방향 축을 따라 상기 내부 지지 부재에 대해 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다.

Description

스프링 장착 전기 커넥터
(관련 출원)
본 출원은 2017년 6월 6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5/615,470호에 대해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은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기술 분야)
본 발명은 일관된 신호 무결성을 위해 정합 커넥터(mating connector)와의 최적 정합력을 보장하도록 설계된 스프링 장착 코어를 갖는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고밀도 전기 커넥터는 작은 패키지 크기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좁은 피치 및 밀도로 인해 공차 스택업 관련 연결 실패를 초래하는 정합 인터페이스에서의 접촉 간헐성 및 정합 신뢰성 문제를 종종 갖는다. 또한, 종래의 고밀도 커넥터는 증가된 신호 수로 인해 제조 비용이 많이 들고 부피가 크다.
따라서, 커넥터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고 고밀도의 접촉부를 제공하고 커넥터 시스템의 다른 커넥터와 정합될 때 커넥터 시스템에 안정성 및 일관된 신호 무결성을 제공하는 전기 커넥터에 대한 요구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정합 인터페이스 단부 섹션, 대향 케이블 종단 단부 섹션, 및 내부 지지 부재를 갖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코어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내부 지지 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수용 단부 및 스프링 맞물림 단부를 포함한다. 스프링 부재는 상기 코어의 상기 스프링 맞물림 단부와의 접촉을 위해 상기 하우징 내부 및 상기 코어 뒤에 수용된다. 인터포저는 상기 코어의 상기 수용 단부에 수용될 수 있고 상기 스프링 부재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코어는, 상기 스프링 부재가 상기 코어를 상기 하우징의 상기 케이블 종단 단부로부터 외부를 향해 밀어내는 비정합 위치와 상기 코어가 상기 스프링 부재에 대해 내부를 향해 밀어내는 정합 위치 사이에서 상기 하우징의 종축 방향 축을 따라서 있는 상기 내부 지지 부재에 대해 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상기 전기 커넥터는 상기 코어에 결합된 접촉 부재를 포함하고, 여기서 접촉 부재는 상기 인터포저에 인접한 하나의 단부 및 상기 하우징의 상기 케이블 단부 섹션에 있거나 그 근처에 있는 다른 단부를 갖는다. 상기 접촉 부재는 단부면 및 대향하는 꼬리 단부를 갖는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일 수 있다. 상기 인터포저는 상기 접촉 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접촉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포저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내부 지지 부재에 의해 상기 코어의 상기 수용 단부에서 지지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촉 측면은 상기 코어에 결합된 상기 접촉 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개별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포저는 정합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접촉 측면에 대향하는 제2 접촉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인터포저를 통해 상기 코어로 연장되어 상기 인터포저를 상기 접촉 부재와 정렬시키는 하나 이상의 정렬 핀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정렬 핀은 모든 접촉부가 플렉스 회로의 정합 패드와 정렬되도록 상기 커넥터 사이의 미세한 충분한 정렬을 보장하기 위해 상기 정합 커넥터까지 그를 통해 연장되는 미세한 정렬 피처일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내부 지지 부재는 종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 포스트이고 상기 중심 포스트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정합 인터페이스 단부 섹션을 넘어 상기 인터 포저를 통해 연장되는 원단 자유 단부를 갖는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스프링 부재는 하나 이상의 웨이브 스프링이다.
본 발명은 또한 정합 인터페이스 단부 섹션, 대향 케이블 종단 단부 섹션 및 내부 지지 부재를 갖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고, 코어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내부 지지 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수용 단부 및 스프링 맞물림 단부를 포함한다. 스프링 부재는 상기 코어의 상기 스프링 맞물림 단부와 접촉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 내부 및 상기 코어 뒤에 수용된다. 제1 접촉 부재는 상기 코어에 결합된다. 양면(double-sided) 접촉 인터포저는 상기 코어의 상기 수용 단부에 수용될 수 있고 상기 스프링 부재로부터 이격될 수 있고, 대향하는 제1 및 제2 접촉 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접촉 측면은 상기 제1 접촉 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접촉 측면은 정합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코어는 상기 스프링 부재가 상기 코어를 상기 하우징의 상기 케이블 종단 단부로부터 외부를 향해 밀어내는 비정합 위치와 상기 코어가 상기 스프링 부재에 대해 내부를 향해 밀어내는 정합 위치 사이에서 상기 하우징의 종축 방향 축을 따라 상기 내부 지지 부재에 대해 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코어에 결합된 상기 제1 접촉 부재는 상기 양면 접촉 인터포저의 상기 제1 접촉 측면과 접촉하는 단부면 및 상기 하우징의 상기 케이블 종단 단부 섹션에 또는 그 근처에 위치한 꼬리 단부를 갖는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이다.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접촉 부재는 종래의 강성 인쇄 회로 기판일 수 있다. 상기 양면 접촉 인터포저의 상기 제1 및 제2 접촉 측면은 복수의 개별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양면 접촉 인터포저는 상기 복수의 개별 접촉부를 지지하는 웨이퍼 본체를 가지며 각각의 개별 접촉부는 C 클립이다. 상기 하우징의 상기 내부 지지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정합 인터페이스 단부 섹션을 넘어서 상기 양면 접촉 인터포저를 통해 연장되는 원단 자유 단부를 갖는 종축 방향 연장 중심 포스트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상기 코어가 상기 정합 위치에 있을 때 정합 커넥터는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정합 커넥터의 제2 접촉 부재가 상기 코어에 수용되고 상기 양면 접촉 인터포저의 상기 제2 측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접촉 부재는 상기 양면 접촉 인터포저의 상기 제1 측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제2 접촉 부재는 상기 양면 접촉 인터포저의 상기 제2 접촉 측면에 접하는 단부면을 갖는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외부 결합 부재는 상기 정합 커넥터를 상기 하우징에 결합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정합 인터페이스 단부 섹션에 수용된다.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내부 지지 부재는 종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 포스트이고, 여기서 상기 포스트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정합 인터페이스 단부 섹션을 넘어서 상기 양면 접촉 인터포저를 통해 연장되고 상기 정합 커넥터의 대응하는 포스트와 맞물리는 원단 자유 단부를 갖고; 하나 이상의 정렬 핀이 그의 정렬을 위해 상기 제1 접촉 부재, 상기 양면 접촉 인터포저 및 상기 제2 접촉 부재를 통해 연장될 수 있고; 상기 스프링 부재는 하나 이상의 웨이브 스프링이다.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의 적절한 정렬을 위한 총 정렬 피처로서 작용하는 상기 정합 커넥터 상에 키홈이 제공될 수 있다.
첨부 도면들과 관련하여 고려될 때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더 잘 이해될 때 본 발명에 대한보다 완전한 이해 및 그에 따른 많은 이점들이 쉽게 얻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비정합 위치에 있는 전기 커넥터의 코어를 도시하는, 도 1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정합 커넥터에 정합된 전기 커넥터를 도시하고 정합 위치에 그의 코어를 도시하는 도 1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1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의 인터포저의 일 측면의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인터포저의 개별 접촉부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와 정합하는 정합 커넥터의 분해도이다.
도 1 내지 도 4, 도 5a, 도 5b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정합 커넥터(200)와 양의 전기 접촉을 제공하도록 설계된 스프링 장착 코어(110)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100), 바람직하게는 고밀도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며, 그에 의해 커넥터 시스템 전체에서 일관된 신호 무결성, 즉, 시스템 사용 전이나 사용 중에 간헐성이 없는 것을 보장한다. 스프링 장착 코어(110)는 오버트래블이 정합 커넥터의 공차 스택을 극복하여 각 접촉부가 완전히 맞물리는 것을 보장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스프링 장착 코어(110)는 각각의 정합면이 정합 동안 서로 비평면이더라도 커넥터들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유지한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전기 커넥터(100)의 스프링 장착 코어(110)는 양면 접촉 인터포저(112)와 협력하여 커넥터(100 및 200) 사이에 일관된 전기 연결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커넥터의 다른 이점은 1mm 피치와 같은 증가된 밀도를 가지고 최대 5,000 회까지 정합/정합 해제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커넥터는 저렴한 비용으로 증가된 고밀도 신호 접촉부를 제공하며, 이는 최대 5K 사이클 동안 신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커넥터의 설계는 사용자가 동일한 크기의 커넥터 및 로우 케이블을 유지하면서 신호 카운트를 증가시킬 수 있게 한다.
일반적으로, 전기 커넥터(100)는 코어(11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우징(102), 코어(110) 뒤에 하우징(102)에 수용된 스프링 부재(114), 코어(110)에 수용된 인터포저(112) 및 접촉 부재(116)를 포함한다. 코어(110)가 정합 커넥터(200)와 정합될 준비가 되어있는 외부를 향해 바이어싱된 비정합 위치(도 3)와 코어(110)가 내부를 향해 밀리고 스프링(114)을 가압하는 정합 위치(도 4) 사이에서 하우징(102)의 종축 방향 축을 따라 축 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스프링 부재(114)는 하나 이상의 웨이브 스프링 등과 같은 임의의 바이어싱 부재일 수 있다.
하우징(102)은 일반적으로 정합 커넥터(200)의 정합 단부(202)와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정합 인터페이스 단부 섹션(104), 케이블 C의 준비된 단부를 수용하는 케이블 종단 단부 섹션(106), 코어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내부 지지 부재(108), 및 코어(11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고 하우징(102)의 내부에 스프링 부재(114)를 수용하는 내부 지지 부재(108)를 둘러싸는 내부 수용 영역(109)을 포함한다. 케이블 종단 단부 섹션(106)은 또한 당업자들에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케이블 C의 준비된 단부를 위한 부트(boot)와 같은 포팅 부재(10) 및 스트레인 릴리프 부재(12)를 수용할 수 있다. 내부 지지 부재(108)는 바람직하게는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 포스트 또는 배럴이다. 포스트(108)는 정합 인터페이스 단부 섹션(104)을 넘어 외부를 향해 연장될 수 있어서, 도 4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그것의 원단 자유 단부가 정합 커넥터(200)의 대응하는 컴포넌트(204)와 맞물려 커넥터(100 및 102)가 정합될 때 커넥터 시스템에 안정성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포스트(108)는 정합 커넥터(200)의 대응하는 컴포넌트(204)를 수용하기 위해 자신의 원단 단부에서 중공이고, 이는 포스트(108)의 원단 단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크기조정된 포스트일 수 있다.
코어(110)는 지신의 비정합 위치와 정합 위치 사이에서 하우징(102)의 내부 포스트(108) 상에 장착되고, 그를 따라 슬라이딩한다. 코어(110)는 또한 스냅 등에 의해 하우징(10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코어(110)는 일반적으로 코어(110)가 정합 위치에서 내부를 향해 가압될 때 스프링 부재(114)에 맞닿는 스프링 맞물림 단부(120) 및 인터포저(112)를 수용하도록 크기조정 및 형상화된 수용 단부(122)를 포함한다. 접촉 부재(116)는 코어의 스프링 맞물림 단부에 장착되어,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단부가 인터포저(112)에 인접하고, 그의 다른 단부는 하우징(102)의 케이블 종단 단부 섹션(106)에서 또는 그의 근방에 있도록 한다. 접촉 부재(116)는 예를 들어 인터포저(112)에 전기적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된 코어에 수용된 단부면(126) 및 케이블 C에 연결하는 꼬리 단부(128)를 가지는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일 수 있다.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의 꼬리 단부(128)는 자신의 비정합 위치 및 정합 위치 사이의 내부 포스트(108)를 따라 코어(110)의 스프링 하중 이동으로 인한 좌굴(buckling)을 허용하도록 설계된다.
인터포저(112)는 바람직하게는 그 단부면(126)에서 접촉 부재(116)를 전기적으로 접촉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접촉 측면(130)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인터포저(112)는 접촉 측면(130)과 대향하고 정합 커넥터(200)의 접촉 부재(216)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된 제2 접촉 측면(132)을 갖는 양면 접촉 인터포저이다. 정합 커넥터(200)의 접촉 부재(216)는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부재(116)와 유사한 단부면(226) 및 꼬리 단부(228)를 갖는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일 수 있다. 단부면(226)은 인터포저(112)의 제2 접촉 측면(132)과 맞닿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인터포저(112)는 하우징(102)의 포스트(108)를 수용하도록 크기조정된 중심 개구(138)를 포함할 수 있는 웨이퍼 본체(136)를 갖는다. 인터포저(112)의 접촉 측면(130 및 132) 각각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접촉 부재(116 및 216)와의 전기적 접촉을 위한 복수의 개별 접촉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개별 접촉부(140)는 예를 들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성 C 클립 등일 수 있다. 스프링 부재(114)의 편향력은 바람직하게는 스프링 부재(114)와의 일관된 접촉을 위해 C 클립의 완전 정합 압축을 넘어 코어(110)의 오버트래블을 제공하기 위해 인터포저(112) 상에 적재된 각각의 개별 C 클립(140)의 정합력보다 높다. 이는, 그 힘이 스프링 부재(114)에 의해 좌우될 것이기 때문에 정합 커넥터인 커넥터 시스템이 일관된 정합력을 갖도록 개별 접촉부(140) 상의 접촉 부재의 단부면(126)의 완전한 압축을 보장한다. 상이한 스프링 부재의 사용을 위해 커넥터 시스템의 정합력이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포저(112)의 개별 접촉부(140)의 수는 각각 그들의 편향력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도록 증가 또는 감소되고, 여기서 스프링 부재(114)의 편향력은 코어(110)의 오버트래블을 제공하도록 이 접촉부(140)의 편향력을 증가 또는 감소하기 위해 이를 보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넥터 시스템은 주어진 수의 접촉부에 대해 달성될 수 있는 최소 최대 삽입력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단 커넥터(100 및 200)가 정합되면, 커넥터를 함께 래칭하기 위해 커플링 너트와 같은 커플링 부재(150)가 사용될 수 있다. 커플링 너트(150)는 예를 들어 스프링 장착되도록 설계되어 자동 회전하고 제자리에 래칭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커플링 너트(150)가 커넥터(100 및 200)를 래칭하는데 사용되지만, 임의의 공지된 래칭 메커니즘 및/또는 마찰 끼워 맞춤이 커넥터(100 및 200)를 함께 래칭 또는 고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정합 커넥터(200)의 중심 포스트(108) 및 그의 대응하는 컴포넌트(204)는 일반적으로 커넥터 시스템의 전체 정렬을 제공하는 반면, 정렬 핀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정렬 부재(160)는 일반적으로 커넥터 시스템의 미세 정렬을 제공한다. 하나 이상의 정렬 핀(160)은 접촉 단부면(226), 인터포저(112), 접촉 단부면(126)을 통해 코어(110) 내로 연장되어 인터 포저(112), 특히 자신의 개별 접촉부(140)를 커넥터(100 및 200) 각각의 접촉 부재(116 및 216)의 단부면(126 및 226)과 각각 정렬시킬 수 있다. 정렬 핀들(160)은 또한 모든 접촉부들이 플렉스 회로의 정합 패드와 정렬되도록 커넥터들 사이의 미세한 충분한 정렬을 보장하기 위해 정합 커넥터까지 연장될 수 있다.
특정 실시 예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선택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20)

  1. 전기 커넥터로서,
    정합 인터페이스 단부 섹션 및 대향 케이블 종단 단부 섹션, 및 내부 지지 부재를 갖는 하우징;
    수용 단부 및 스프링 맞물림 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내부 지지 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코어;
    상기 코어의 상기 스프링 맞물림 단부와 접촉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 내부 및 상기 코어 뒤에 수용된 스프링 부재; 및
    상기 코어의 수용 단부에 수용되고 상기 스프링 부재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인터포저;
    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는 상기 스프링 부재가 상기 코어를 상기 하우징의 상기 케이블 종단 단부로부터 외부를 향해 미는 비정합 위치, 및 상기 코어가 상기 스프링 부재에 대해 내부를 향해 미는 정합 위치 사이에서 상기 하우징의 종축 방향 축을 따라서 상기 내부 지지 부재에 대해 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에 결합되고, 상기 인터포저에 인접하는 하나의 단부 및 상기 하우징의 케이블 종단 단부 섹션에 있거나 그에 근접한 또 다른 단부를 갖는 접촉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포저는 상기 접촉 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접촉 측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포저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내부 지지 부재에 의해 상기 코어의 수용 단부에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촉 측면은 상기 코어에 결합된 상기 접촉 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개별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포저는 정합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촉 측면에 대향하는 제2 접촉 측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포저를 통해 상기 코어로 연장되어 상기 인터포저를 상기 접촉 부재와 정렬시키는 하나 이상의 정렬 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내부 지지 부재는 종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 포스트이고, 상기 중심 포스트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정합 인터페이스 단부를 넘어 상기 인터포저를 통해 연장되는 원단 자유 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부재는 하나 이상의 웨이브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0. 전기 커넥터로서,
    정합 인터페이스 단부 섹션 및 대향 케이블 종단 단부 섹션, 및 내부 지지 부재를 갖는 하우징;
    수용 단부 및 스프링 맞물림 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내부 지지 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코어;
    상기 코어의 상기 스프링 맞물림 단부와 접촉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 내부 및 상기 코어 뒤에 수용된 스프링 부재;
    상기 코어에 결합된 제1 접촉 부재; 및
    상기 코어의 상기 수용 단부에 수용되고 상기 스프링 부재로부터 이격된 양면 접촉 인터포저로서, 상기 양면 접촉 인터포저는 대향하는 제1 및 제2 접촉 측면을 가지고, 상기 제1 접촉 측면은 상기 제1 접촉 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접촉 측면은 정합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상기 양면 접촉 인터포저;
    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는 상기 스프링 부재가 상기 코어를 상기 하우징의 상기 케이블 종단 단부 섹션으로부터 외부를 향해 미는 비정합 위치, 및 상기 코어가 상기 스프링 부재에 대해 내부를 향해 미는 정합 위치 사이에서 상기 하우징의 종축 방향 축을 따라서 성기 내부 지지 부재에 대해 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에 결합된 상기 제1 접촉 부재는 상기 양면 접촉 인터포저의 상기 제1 접촉 측면과 접촉하는 단부면 및 상기 하우징의 상기 케이블 종단 단부 섹션에 또는 그 근처에 위치한 테일 단부를 갖는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양면 접촉 인터포저의 상기 제1 및 제2 접촉면 각각은 복수의 개별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양면 접촉 인터포저는 상기 복수의 개별 접촉부를 지지하는 웨이퍼 본체를 가지고, 각각의 개별 접촉부는 C 클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4.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내부 지지 부재는 종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 포스트이고, 상기 중심 포스트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정합 인터페이스 단부 섹션을 넘어 연장되고 상기 양면 접촉 인터포저를 통해 연장되는 원단 자유 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5.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정합 커넥터의 제2 접촉 부재가 상기 코어에 수용되고 상기 양면 접촉 인터포저의 상기 제2 측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및 상기 제1 접촉 부재는 상기 양면 접촉 인터포저의 상기 제1 측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코어가 상기 정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정합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촉 부재는 상기 양면 접촉 인터포저의 상기 제2 접촉 측면에 접하는 단부면을 갖는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정합 커넥터를 상기 하우징에 결합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정합 인터페이스 단부 섹션에 수용되는 외부 커플 링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8.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내부 지지 부재는 종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 포스트이고, 상기 중심 포스트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정합 인터페이스 단부 섹션을 넘어서, 상기 양면 접촉 인터포저를 통해 연장되고, 상기 정합 커넥터의 대응하는 포스트와 맞물리는 원단 자유 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9. 제15 항에 있어서,
    정렬을 위해 상기 제1 접촉 부재, 상기 양면 접촉 인터포저 및 상기 제2 접촉 부재를 통해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정렬 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0.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부재는 하나 이상의 웨이브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KR1020207000216A 2017-06-06 2018-06-05 스프링 장착 전기 커넥터 KR1025881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615,470 US10050367B1 (en) 2017-06-06 2017-06-06 Spring loaded electrical connector
US15/615,470 2017-06-06
PCT/US2018/036069 WO2018226702A1 (en) 2017-06-06 2018-06-05 Spring loaded electrical conn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1545A true KR20200011545A (ko) 2020-02-03
KR102588118B1 KR102588118B1 (ko) 2023-10-13

Family

ID=63078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0216A KR102588118B1 (ko) 2017-06-06 2018-06-05 스프링 장착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0050367B1 (ko)
EP (1) EP3635820A4 (ko)
JP (2) JP7082627B2 (ko)
KR (1) KR102588118B1 (ko)
CN (1) CN110720161B (ko)
WO (1) WO20182267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83631B (zh) * 2016-11-17 2021-05-28 伊顿智能动力有限公司 封装罩和包括封装罩的直插式电连接器组件
US10050367B1 (en) * 2017-06-06 2018-08-14 Amphenol Corporation Spring loaded electrical connector
US10615530B2 (en) 2017-06-06 2020-04-07 Amphenol Corporation Spring loaded electrical connector
CA3125243A1 (en) * 2019-01-30 2020-08-06 Amphenol Corporation Spring loaded electrical connect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10352A (en) * 1992-12-24 1994-05-10 The Whitaker Corporation Substrate interfacing electrical connector system
US6719578B1 (en) * 2002-02-06 2004-04-13 Schilling Robotics Submersible electrical cable connector
US20060009055A1 (en) * 2004-07-09 2006-01-12 Che-Yu Li Interconnection device and system
US20120028489A1 (en) * 2009-03-13 2012-02-02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Sealing of spring-loaded contact pin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69860A (en) * 1942-05-21 1945-02-20 Yale & Towne Mfg Co Electric connector
FR2062051A5 (ko) * 1969-10-08 1971-06-25 Inst Francais Du Petrole
US3701965A (en) * 1971-07-28 1972-10-31 Essex International Inc Connector for electrical terminals
JPS5053694U (ko) * 1973-09-12 1975-05-22
JPS6071084U (ja) * 1983-10-24 1985-05-20 星電器製造株式会社 ロツク機構付コネクタ
DE3722196A1 (de) * 1987-07-04 1989-01-12 Friedrich Maier Elektrische kupplung zum mehrpoligen verbinden zweier leitungsnetze
US5214826A (en) 1991-02-14 1993-06-01 Fortune Roy L Fastener for use with shoes
US5230632A (en) 1991-12-19 1993-07-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ual element electrical contact and connector assembly utilizing same
US5248261A (en) * 1992-07-31 1993-09-28 Hughes Aircraft Company Double ended hermaphroditic signal node module
JP3265313B2 (ja) * 1993-12-22 2002-03-11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US6305963B1 (en) * 1996-08-16 2001-10-23 Agilent Technologies, Inc. Push-lock BNC connector
JP3799510B2 (ja) * 1997-03-05 2006-07-19 三菱電線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6315576B1 (en) 1997-10-30 2001-11-13 Intercon Systems, Inc. Interposer assembly
TW467949B (en) 1998-08-26 2001-12-11 Toshiba Corp Electroluminescent phosphor and electroluminescent element using the same
DE10230379A1 (de) * 2002-07-05 2004-01-15 Era-Contact Gmbh Elektrokontaktkupplung
JP4266319B2 (ja) 2002-09-06 2009-05-20 株式会社精工技研 光コネクタプラグ及び光コネクタ
US7311526B2 (en) 2005-09-26 2007-12-25 Apple Inc. Magnetic connector for electronic device
ITGE20060051A1 (it) 2006-05-05 2007-11-06 Hypertac S P A Dispositivo di connessione per collegamenti elettrici od elettronici.
JP5402424B2 (ja) 2009-09-07 2014-01-29 富士通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該コネクタを使用したインターポーザ
DE102011101767A1 (de) * 2011-05-17 2012-11-22 Hi-Kabelkonfektionierungs Gmbh Verbinder zur Herstellung einer elektrischen Kontaktverbindung
WO2013048396A1 (en) * 2011-09-28 2013-04-04 Advanced Bionics Ag Modular biomedical implants
CN102565963B (zh) 2012-02-27 2017-04-26 深圳日海通讯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高密度光纤连接器及其装配方法
US9690052B2 (en) 2013-03-15 2017-06-27 Deeplinc, Inc. Composite connection system
DE102014115595B3 (de) 2014-10-27 2016-03-17 Lisa Dräxlmaier GmbH Stecker und Gegenstecker
US10050367B1 (en) 2017-06-06 2018-08-14 Amphenol Corporation Spring loaded electrical connec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10352A (en) * 1992-12-24 1994-05-10 The Whitaker Corporation Substrate interfacing electrical connector system
US6719578B1 (en) * 2002-02-06 2004-04-13 Schilling Robotics Submersible electrical cable connector
US20060009055A1 (en) * 2004-07-09 2006-01-12 Che-Yu Li Interconnection device and system
US20120028489A1 (en) * 2009-03-13 2012-02-02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Sealing of spring-loaded contact p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249973B2 (en) 2019-04-02
CN110720161A (zh) 2020-01-21
JP7393473B2 (ja) 2023-12-06
EP3635820A1 (en) 2020-04-15
US20180351278A1 (en) 2018-12-06
JP2022118019A (ja) 2022-08-12
US10050367B1 (en) 2018-08-14
JP2020522858A (ja) 2020-07-30
JP7082627B2 (ja) 2022-06-08
WO2018226702A1 (en) 2018-12-13
CN110720161B (zh) 2021-02-26
EP3635820A4 (en) 2021-03-03
KR102588118B1 (ko) 2023-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8118B1 (ko) 스프링 장착 전기 커넥터
US8550838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poke-in wire contact
US11128080B2 (en) Spring loaded electrical connector
US11411347B2 (en) Coaxial connector and board-to-board connector assembly
US9831576B2 (en) Terminal,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11355880B2 (en) Coaxial connector with axially-floating inner contact
CN112787121A (zh) 同轴连接器及板对板连接器组件
CN108886224A (zh) 具有印刷电路板的一次性电连接器
US8558568B2 (en) Connector and semiconductor testing device using the same
US10164372B1 (en) Electrical connecting assembly
US7837512B1 (en) Audio jack connector
CN113366708B (zh) 弹簧加载电连接器
US20190288435A1 (en) Connector having solderless contacts
CN109755802B (zh) 电路板组件及包括该电路板组件的电连接器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