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0687A - 한지를 이용한 연꽃 만드는 방법 및 그 방법으로 만든 한지 연꽃 장식품 - Google Patents

한지를 이용한 연꽃 만드는 방법 및 그 방법으로 만든 한지 연꽃 장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0687A
KR20200010687A KR1020180083270A KR20180083270A KR20200010687A KR 20200010687 A KR20200010687 A KR 20200010687A KR 1020180083270 A KR1020180083270 A KR 1020180083270A KR 20180083270 A KR20180083270 A KR 20180083270A KR 20200010687 A KR20200010687 A KR 202000106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ji
flower
pistil
calyx
pet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3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만
Original Assignee
김영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만 filed Critical 김영만
Priority to KR1020180083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10687A/ko
Publication of KR20200010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06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9/00Designs imitating natural patterns

Landscapes

  • Breeding Of Plants And Reproduction By Means Of Cultu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로, 세로 길이의 비율이 1:2 정도가 되도록 꽃받침, 꽃잎, 꽃수술(암술)이 되는 한지를 색깔별로 직사각형 형태의 적당한 크기로 재단하는 단계; 재단된 직사각형 한지의 모서리를 접어 좌우 대층이 되도록 접는 단계; 상기 대층이 되도록 접은 꽃받침, 꽃잎, 꽃수술(암술) 한지의 양끝을 접어 올리는 단계; 상기 양끝을 접어 올린 꽃받침, 꽃잎, 꽃수술(암술) 한지를 꽃받침 위에 꽃잎, 꽃수술(암술) 한지를 포개 올려 4개의 그룹으로 만드는 그룹핑 단계; 상기 4개의 그룹으로 그룹핑된 한지를 하나로 뭉쳐 결합하여 꽃뭉치를 만들고 중앙에 수술 장식을 하는, 꽃뭉치 결합 수술 형성단계; 결합된 꽃뭉치를 팔방으로 펴서 꽃모양으로 배열하는 꽃모양 배열 단계; 배열된 꽃뭉치를 꽃모양으로 펴서 연꽃 형상을 만드는 한지를 이용한 연꽃 만드는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한지를 이용한 연꽃 만드는 방법 및 그 방법으로 만든 한지 연꽃 장식품{A Method of Artificial Lotus Flower Using Korean Paper And A Artificial Lotus Flower Decoration Thereof}
본 발명은 한지를 이용한 연꽃 만드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지를 이용하여 적당한 크기로 재단하여 접어 연꽃을 만들고 그 연꽃을 이용한 다양한 장식품에 관한 것이다.
한지는 우리나라의 고유한 종이로 전통적인 공법으로 만들어 다양한 공예품 및 서예나 동양화의 기초 재료로 사용되어 왔다.
한지의 부드러운 질감과 다양한 색상을 이용한 장식 공예는 다양한 분야에서 시도되고 있으며, 한지를 이용한 한지꽃은 옛날부터 장례식, 연등행사 등에서 사용된 조화, 연꽃, 연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러나 종례의 한지를 이용한 연꽃이나 연등 등은 한지로 꽃잎 한 장 한 장을 만들어 붙이는 방법으로 제작하는데 많은 수작업이 필요하다. 또한 한지꽃 제작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관계로 대량생산이 어렵고, 꽃 잎 하나하나를 접착제로 붙이는 관계로 일정수준의 기능이 요구되어 누구나 쉽게 만들 수 없었고, 간단하게 응용하여 학습용이나 일반인들의 취미활동에 응용할 수 없었다.
한국공개특허 10-2018-0058568. 한국공개특허 10-2015-004251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한지꽃 제작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개선하여 누구나 쉽게 한지를 이용한 연꽃을 제작할 수 있는 방법으로, 한지를 재단하여 꽃받침, 꽃잎, 꽃수술(암술)로 나누어 접고, 결합하여 연꽃을 만드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연꽃 장식품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가로, 세로 길이의 비율이 1:2 정도가 되도록 꽃받침, 꽃잎, 꽃수술(암술)이 되는 한지를 색깔별로 직사각형 형태의 적당한 크기로 재단하는 단계;
재단된 직사각형 한지의 모서리를 접어 좌우 대층이 되도록 접는 단계;
상기 대층이 되도록 접은 꽃받침, 꽃잎, 꽃수술(암술) 한지의 양끝을 접어 올리는 단계;
상기 양끝을 접어 올린 꽃받침, 꽃잎, 꽃수술(암술) 한지를 꽃받침 위에 꽃잎, 꽃수술(암술) 한지를 포개 올려 4개의 그룹으로 만드는 그룹핑 단계;
상기 4개의 그룹핑된 한지를 하나로 뭉쳐 결합하여 꽃뭉치를 만들고 중앙에 수술 장식을 하는, 꽃뭉치 결합 및 수술 형성단계;
결합된 꽃뭉치를 팔방으로 펴서 꽃 모양으로 배열하는 꽃 모양 배열 단계;
배열된 꽃뭉치를 펴서 꽃 모양으로 펴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꽃받침, 꽃잎, 꽃수술(암술)은 꽃받침 1장, 꽃잎3장 꽃수술(암술) 1장으로 구성되어 그룹을 이루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대층이 되도록 접은 꽃받침, 꽃잎, 꽃수술(암술) 한지의 양끝을 접어 올리는 단계는 꽃잎의 크기를 조절하여 올리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수술 장식은 실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1 색을 갖고 팔방으로 대칭 형상을 갖으면서 꽃잎, 꽃수술(암술)을 지지하는 다수의 꽃받침;
제2 색을 갖고 상기 꽃받침 상에 3층으로 형성되어 끝이 뾰족하게 형성된 꽃잎 형상을 하는 다수의 꽃잎;
제 3색을 갖고 상기 3층으로 형성된 꽃잎 상에 꽃잎 형태와 같은 다수의 꽃수술(암술);
제 4색을 갖고 상기 꽃받침, 꽃잎, 꽃수술(암술) 중심에서 결합하면서 수술 형태를 갖도록 가느다란 실로 형성된 수술을 갖는 한지 연꽃을 포함한다.
상기 꽃받침과 꽃잎은 접은 방향이 반대인 것을 포함한다.
상기 꽃받침 면에 접착용 접착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한지 연꽃은 장식용 액자를 포함한다.
상기 연꽃을 철사로 묶어 장식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한지를 이용해서 보다 간단하게 한지 연꽃을 만들 수 있고 그를 이용한 한지 연꽃을 쉽게 만들어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보다 쉬운 한지를 이용한 한지 연꽃 제조 방법을 널리 보급하여 한지의 수요 증대 및 한지를 이용한 장식품 개발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으로 만들어진 한지 연꽃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지 연꽃을 만드는 단계를 보여주는 공정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꽃받침, 꽃잎, 꽃수술(암술)로 사용될 재단 한지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꽃잎에 사용될 한지 접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꽃받침으로 사용될 재단 한지를 대층이 되도록 접은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꽃잎으로 사용될 재단 한지를 대층이 되도록 접은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7은 본발명의 꽃수술(암술)로 사용될 재단 한지를 대층이 되도록 접은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대층이 되도록 접은 꽃받침, 꽃잎, 꽃수술(암술) 한지의 양끝을 접어 올린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꽃받침 위에 꽃잎, 꽃수술(암술) 한지를 포개 올려 4개의 그룹으로 그룹핑 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4개의 그룹핑 된 한지를 하나로 뭉쳐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4개의 그룹핑 된 한지를 하나로 뭉쳐 결합하여 꽃뭉치를 만들고 중앙에 수술 장식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결합된 꽃뭉치를 팔방으로 펴서 꽃모양으로 배열하는 꽃모양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배열된 꽃뭉치를 펴서 만든 한지 연꽃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4는 본 발명으로 만든 한지 연꽃을 액자에 접착 장식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5는 본 발명으로 만든 한지 연꽃을 여러 개로 결합하여 장식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6은 본 발명으로 만든 한지 연꽃으로 다양하게 장식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7은 본 발명으로 만든 한지 연꽃을 철사를 이용하여 장식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본문에 게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 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說示)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으로 만들어진 한지 연꽃 사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으로 만든 연꽃(100)은, 꽃받침(110c), 꽃잎(120c), 꽃수술(암술, 130c), 수술(160)을 갖는, 한지를 재단하여 접어 만든 연꽃으로, 연꽃 중에서 수련(睡蓮)을 형상화한 것이다.
연꽃은 진흙탕에서 자라지만 주변의 부조리한 환경에 물들지 않고, 꽃 잎 위에는 한 방울의 오물도 머무르지 않으며, 시궁창 냄새가 나는 연못을 정화하는, 고고하게 자라면서 꽃을 피우는 부처님 같은 꽃으로, 불교에서는 연등행사나 사찰행사 시 언제나 한지로 만든 연꽃을 많이 사용하였다.
그 동안 사용되어온 한지 연꽃은, 꽃잎 하나하나를 접착하는 관계로 제작이 용이하지 않았다.
본 발명은 그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재단된 한지로 대층이 되는 꽃받침, 꽃잎, 꽃수술(암술)을 만들어 결함하는 보다 제작이 용이한 한지로 만든 연꽃에 관한 발명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지 연꽃을 만드는 단계를 보여주는 공정도이다.
꽃받침, 꽃잎, 꽃수술(암술)로 사용될 한지를 재단한다.(S100)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각 공정단계를 보여주는 도면을 이용 함께 설명하면서 서술하고자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꽃받침, 꽃잎, 꽃수술(암술)로 사용될 재단 한지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사용되는 한지는 염색된 한지로 꽃받침(110a)은 제 1색, 꽃잎(120a)은 제 2색, 꽃수술(암술 130a)은 제 3색을 갖으며, 재단비율은 가로, 세로 비율이 1:2 갖는 직사각형 형태로 재단한다.
비율이 1:2가 되면 중앙을 기준으로 접어보면 1:1 정사각형 형태가 나와, 다수를 접어서 대칭으로 배열하면 전체적인 꽃모양이 둥근 형태를 얻을 수 있다.
재단된 한지의 크기는 만들고자하는 꽃의 끄기를 계산하여 꽃받침(110a), 꽃잎(120a), 꽃수술(암술 130a)을 같은 크기로 재단한다.
재단된 한지를 접는다. (S110)
도 4는 본 발명의 꽃잎에 사용될 한지 접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꽃받침으로 사용될 재단 한지를 대층이 되도록 접은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꽃잎으로 사용될 재단 한지를 대층이 되도록 접은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꽃수술(암술)로 사용될 재단 한지를 대층이 되도록 접은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대층이 되도록 접은 꽃받침, 꽃잎, 꽃수술(암술) 한지의 양끝을 접어 올린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4, 5, 6, 7,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재단된 꽃잎 한지(120a) 4개의 모서리를 서로 대층이 되도록 접은 다음 모서리 접은 부분을 2등분하도록 다시 접어 가로 폭이 처음의 1/2 이 되도록 형성한다.(110b, 120b, 130b)
본 발명을 완성하기 위해서는 연꽃 한 송이를 만들기 위해서는 꽃받침(110b) 4장, 꽃잎(120b) 12장, 꽃수술(암술 130b) 4장을 접어 만들어야 한다.
꽃봉오리처럼 되기 위해서는 모서리 접은 부분이 45˚에서 90˚ 사이의 각을 갖도록 모서리 끝부분을 세워주어야 한다. (110c, 120c, 130c)
접어 올리는 부위는 꽃받침(110c)은 가장 아래에 있어야 함으로 꽃봉오리를 완성 후 마지막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제일 마지막에 할 수 있다.
꽃잎이 되는 꽃잎(120c)은 층을 이루어야 함으로 상, 중, 하의 위치에 따라 접어 올리는 부위를 달리하여 입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게 부위를 달리 한다.
꽃수술(130c)은 제일 높은 곳에 위치함으로 상부에 놓을 꽃잎보다 폭을 작게 하여 접어 올린다.
접은 꽃받침, 꽃잎, 꽃수술(암술) 한지를 그룹핑 시킨다.(S120)
도 9는 본 발명의 꽃받침 위에 꽃잎, 꽃수술(암술) 한지를 포개 올려 4개의 그룹으로 그룹핑 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꽃잎이 팔방으로 3층으로 형성되게 꽃봉오리를 만들려면 꽃받침(110C) 1장에 꽃잎(120C) 3장과 꽃수술(130C) 1장이 조합이 되는 뭉치가 4개(140-1, 140-2, 140-3, 140-4)가 필요하다
앞에서 만든 꽃받침(110c) 4장, 꽃잎(120c) 12장, 꽃수술(암술 130c) 4장을 가지고, 꽃받침(110c) 1장에 꽃잎(120c) 3장과 꽃수술(130c) 1장을 순서적으로 포개서 4개의 뭉치로 만든다. 작업의 편리상 찍개를 사용하면 좋다. 상기 꽃받침과 꽃잎의 포개는 방향은 접은 면이 서로 반대가 되면 모양이 좋게 나온다.
그룹핑 된 뭉치를 결합하고 수술을 형성한다. (S130)
도 10은 본 발명의 4개의 그룹핑된 한지 뭉치를 하나로 뭉쳐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4개의 그룹핑된 한지를 하나로 뭉쳐 결합하여 꽃뭉치를 만들고 중앙에 수술 장식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10,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꽃받침(110c) 1장에 꽃잎(120c) 3장과 꽃수술(130c) 1장이 조합이 되어 만들어진 뭉치 4개(140-1, 140-2, 140-3, 140-4)를 결합사(150)를 이용하여 묶는다. 한지의 특성을 살리기 위해서 결합사(150)는 색깔이 있는 실을 사용할 수 있지만, 가는 철사를 사용 할 수 있다.
결합된 꽃뭉치 중앙에 수술(160)을 형성한다. 수술(160)은 제4 색이 있는 실을 손가락에 감거나 일정한 두께를 갖는 막대에 감아 둥그럽게 만들어 결합사로 묶어주고 나서 가위로 윗부분을 잘라주면 된다.
결합된 꽃뭉치를 꽃모양이 되도록 팔방으로 펼쳐 배열한다.(S140)
도 12는 본 발명의 결합된 꽃뭉치를 팔방으로 펴서 꽃모양으로 배열하는 꽃모양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결합된 뭉치 4개(140-1, 140-2, 140-3, 140-4)를 팔방으로 펼친다. 재료가 한지이기 때문에 가볍게 손으로 펼 수 있다.
배열된 꽃뭉치를 꽃 모양을 내기 위해서 펼친다.(S150)
도 13은 본 발명의 배열된 꽃뭉치를 펴서 만든 한지 연꽃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꽃받침(110c) 1장에 꽃잎(120c) 3장과 꽃수술(130c) 1장이 조합이 되어 만들어진 뭉치 4개(140-1, 140-2, 140-3, 140-4)를 결합하여 팔방으로 펼쳐 꽃 모양으로 펴면 연꽃(100)이 완성된다.
재료가 한지이기 때문에 적절하게 손질하면 살아있는 듯한 생화 같은 생동감을 줄 수 있다.
이렇게 만든 연꽃을 뒷면에 접착제를 칠하여 액자에 붙이거나, 철사를 이용하여 묶어 장식하거나, 불상 앞, 또는 수행공간을 장식 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으로 만든 한지 연꽃을 액자에 접착 장식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5는 본 발명으로 만든 한지 연꽃을 여러 개로 결합하여 장식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6은 본 발명으로 만든 한지 연꽃으로 다양하게 장식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7은 본 발명으로 만든 한지 연꽃을 철사를 이용 장식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은 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하여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한지를 이용해서 연꽃을 만들었지만 확대하여 다양한 한지 꽃을 만들 수 있고 한지 꽃을 이용한 다른 장식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한지 연꽃 만드는 방법을 이용하여 학습교재, 취미활동, 연등행사 봉사할동 등에 활용하여 한지를 이용한 우리 문화의 우수성을 자각하고 널리 알리며 한지를 이용한 다양한 사업을 할 수 있다.
100: 한지 연꽃
110a,110b,110c: 한지 꽃받침 120a, 120b, 120c: 한지 꽃잎
130a, 130b, 130c: 한지 꽃수술(암술)
140-1, 140-2, 140-3, 140-4: 한지 뭉치 그룹
150: 결합사 160: 수술

Claims (6)

  1. 가로, 세로 길이의 비율이 1:2 정도가 되도록 꽃받침, 꽃잎, 꽃수술(암술)이 되는 한지를 색깔별로 직사각형 형태의 적당한 크기로 재단하는 단계;
    재단된 직사각형 한지의 모서리를 접어 좌우 대층이 되도록 접는 단계;
    상기 대층이 되도록 접은 꽃받침, 꽃잎, 꽃수술(암술) 한지의 양끝을 접어 올리는 단계;
    상기 양끝을 접어 올린 꽃받침, 꽃잎, 꽃수술(암술) 한지를 꽃받침 위에 꽃잎, 꽃수술(암술) 한지를 포개 올려 4개의 그룹으로 만드는 그룹핑 단계;
    상기 4개의 그룹으로 그룹핑된 한지를 하나로 뭉쳐 결합하여 꽃뭉치를 만들고 중앙에 수술 장식을 하는, 꽃뭉치 결합 수술 형성단계;
    결합된 꽃뭉치를 팔방으로 펴서 꽃모양으로 배열하는 꽃모양 배열 단계;
    배열된 꽃뭉치를 꽃모양으로 펴서 연꽃 형상을 만드는 것이 특징인 한지를 이용한 연꽃 만드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대층이 되도록 접은 꽃잎의 양끝을 접어 올리는 것은 길이를 달리하는 것이 특징인 한지를 이용한 연꽃 만드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그룹은 꽃받침 1장, 꽃잎 3장, 꽃수술(암술) 1장으로 구성된 것이 특징인 한지를 이용한 연꽃 만드는 방법.
  4. 제 1항의 한지를 이용한 연꽃 만드는 방법으로 만든
    제1 색을 갖고 팔방으로 대칭 형상을 갖으면서 꽃잎, 꽃수술(암술)을 지지하는 다수의 꽃받침;
    제2 색을 갖고 상기 꽃받침 상에 3층으로 형성되어 끝이 뾰족하게 형성된 꽃잎 형상을 하는 다수의 꽃잎;
    제 3색을 갖고 상기 3층으로 형성된 꽃잎 상에 꽃잎 형태와 같은 다수의 꽃수술(암술);
    제 4색을 갖고 상기 꽃받침, 꽃잎, 꽃수술(암술) 중심에서 결합하면서 수술 형태를 갖도록 가느다란 실로 형성된 수술을 갖는 것이 특징인 한지 연꽃.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한지 연꽃은 장식용 액자에 장식된 것이 특징인 한지 연꽃.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꽃은 철사로 묶어 장식된 것이 특징인 한지 연꽃.
KR1020180083270A 2018-07-18 2018-07-18 한지를 이용한 연꽃 만드는 방법 및 그 방법으로 만든 한지 연꽃 장식품 KR202000106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270A KR20200010687A (ko) 2018-07-18 2018-07-18 한지를 이용한 연꽃 만드는 방법 및 그 방법으로 만든 한지 연꽃 장식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270A KR20200010687A (ko) 2018-07-18 2018-07-18 한지를 이용한 연꽃 만드는 방법 및 그 방법으로 만든 한지 연꽃 장식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0687A true KR20200010687A (ko) 2020-01-31

Family

ID=69369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3270A KR20200010687A (ko) 2018-07-18 2018-07-18 한지를 이용한 연꽃 만드는 방법 및 그 방법으로 만든 한지 연꽃 장식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1068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8568A (ko) 2016-11-24 2018-06-01 류귀화 한지를 이용한 공예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8568A (ko) 2016-11-24 2018-06-01 류귀화 한지를 이용한 공예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527308A (zh) 一种绒布贴画的制备方法
KR20200010687A (ko) 한지를 이용한 연꽃 만드는 방법 및 그 방법으로 만든 한지 연꽃 장식품
JP7018535B1 (ja) 壁掛け・アクセサリー又は置物に適した造花の制作方法
CN102248849B (zh) 彩色剪纸创意工艺画的制作方法
US20130273269A1 (en) Personalized Keepsake
KR20220093517A (ko) 한지를 이용한 방수가공 연꽃 만드는 방법 및 그 방법으로 만든 한지 방수가공 연꽃 장식품
Peck American quilts & coverlets in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Khatun The Jamdani Sari: An exquisite female costume of Bangladesh
JP3164208U (ja) 装飾体
JP4147542B1 (ja) 髪飾りの製造方法
KR20210050819A (ko) 압화를 이용한 조화 및 이를 이용한 코사지 제조 방법
Yamazaki Japanese Paper Flowers: Elegant Kirigami Blossoms, Bouquets, Wreaths and More
JP3120567U (ja) 装飾用花束
JP5379319B1 (ja) 造花及びその造花が含まれている造花装飾体
JPH086003Y2 (ja) 造花制作用布片
JP2021055220A (ja) プリザーブドフラワアレンジメン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163551U (ja) アーティフィシャルフラワー
KR101834009B1 (ko) 장식용 꽃 제작 방법
US1818578A (en) Fanciful ornament and method of manufacture
KR100384218B1 (ko) 리본테이프
KR200287153Y1 (ko) 개량된 조화연등꽃잎
US1657184A (en) Artificial flower
Blake The Delicate Art of Quilling
US20130183461A1 (en) Craft flower and method of making a craft flower
Pulido Excavating Roots: Establishing Ident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