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8568A - 한지를 이용한 공예품 - Google Patents

한지를 이용한 공예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8568A
KR20180058568A KR1020160157709A KR20160157709A KR20180058568A KR 20180058568 A KR20180058568 A KR 20180058568A KR 1020160157709 A KR1020160157709 A KR 1020160157709A KR 20160157709 A KR20160157709 A KR 20160157709A KR 20180058568 A KR20180058568 A KR 201800585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shape
korean
glue
fol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7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귀화
Original Assignee
류귀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귀화 filed Critical 류귀화
Priority to KR1020160157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8568A/ko
Publication of KR20180058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85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3/00Designs characterised by out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7/00Designs imitating three-dimensional effect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한지로 만든 민화 도자기(달항아리)를 제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한지, 합지, 풀, 마감재(유광, 무광), 지점토, 아교, 백반, 채색용 물감의 재료를 준비하는 단계; 만들고자 하는 반쪽 도자기의 모양을 지점토로 만든 후 잘 말려 제작하는 단계; 모형에 얇은 비닐을 덮고 뒷면을 고정시킨 뒤, 한지를 덮고 풀칠한 한지를 찢어 붙이고 말리기를 반복하여 일정한 두께로 항아리 모형을 제작하는 단계; 항아리 뒷면의 평면모양을 합지에 그려 오린 다음, 벽에 걸 수 있는 위치에 걸이용 구멍을 뚫는 단계; 항아리 아랫부분을 합지를 오려서 붙이고 테두리를 한지를 붙여서 다듬으며 세울 수 있게 균형을 잡아주는 단계; 휘어지지 않도록 합지로 오린 면에 한지를 앞뒤로 발라주는 단계; 항아리 모형과 합지 모형을 합쳐서 완성된 형태를 만든 후, 다시 풀을 칠한 한지를 찢어서 연결시키며 표면을 매끈하게 정리하는 단계; 원하는 민화를 아교를 칠한 한지에 그려서 채색한 후, 이를 오려서 몸통에 붙이거나, 직접 몸통에 아교와 물을 1:4의 비율로 섞어 만든 아교포수 2번 한 후 건조시켜 먹으로 그림을 그리고 채색하하는 단계; 모든 과정이 끝나면 표면을 깨끗이 한 후, 유광 1번과 무광 3-4번의 마감재를 발라서 민화 도자기 공예품을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지공예의 방법이다.

Description

한지를 이용한 공예품 {HANDICRAFT USING HANJI}
본 발명은 한지를 이용한 공예품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항아리나 말 등의 형상에 민화를 그려 넣어 친근한 이미지를 갖을 수 있도록 한 한지를 이용한 공예품에 관한 것이다.
도 1, 2는 종래 발명에 따른 한지 꽃 공예품으로서, 국내 특허 공개특허 10-2015-0042517호에서는 한지꽃 공예품(1000)은 한지꽃(1100)과 한지화병(120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화병은 한지로 제작된 것을 실시예로 설명할 것이나, 한지화병 이외에도 한지꽃(1100)을 꽂을 수 있는 화병의 형태라면 모두 해당될 수 있다.
여기서, 한지꽃(1100)은 꽃술부(100), 꽃잎부(200), 꽃받침(300), 잎사귀부(400), 및 줄기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한지꽃(1100)은 스위트피(sweet pea)로, 한지꽃(1110) 제작을 위한 준비물로는, 공예용 인두, 갱지, 물수건, 붓, 염료(분홍, 연풀색, 녹색), 접시, 솜, 물통, 철사가위, 종이가위, 핀셋, 스테플러, 접착제(본드 등), 송곳 등이 있다.
한편, 한지꽃(1100) 제작시, 도 2와 같이 한지(50)에 패터닝된 꽃본 아래로, 여러장의 한지를 겹친후 스테플러 등을 이용하여 고정하고, 패터닝에 따라 종이가위를 이용하여 절취함으로써, 꽃술(110), 꽃잎(210), 꽃받침(300), 잎사귀(410), 및 줄기(510) 각각을, 복수 매씩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꽃잎(210)은 다양한 크기의 제1꽃잎 및 제2꽃잎(211 내지 212)을 포함하고, 잎사귀(410)는 다양한 크기의 제1잎사귀 내지 제3잎사귀(411 내지41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절취된 꽃술(110), 꽃잎(210), 꽃받침(300), 잎사귀(410), 및 줄기(510)는 각 특성에 맞게 염색될 수 있다.
이때, 물을 적신 갱지, 물수건, 붓, 염료, 접시, 솜, 물통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더구나, 조선 백자 항아리에는 이론으로는 설명 안 되는 아름다움이 있고, 풍만하고 둥근 넉넉한 모습이 달덩이처럼 둥그렇고 원만하다고 하여 달항아리라고 불리는 항아리이다. 흔히 맑은 흰 빛과 너그러운 둥근 맛으로 요약되는 조선백자의 미를 대표하는 잘 생긴 항아리로 꼽힌다.
크기가 대형인 탓에 한 번에 물레로 올리지 못하고 상하 부분을 따로 만든 후, 두 부분을 접합하여 완성 한 것으로 성형과 번조가 매우 어렵고 순백의 미와 균형감은 전 세계에서 유례를 찾아 볼 수 없는 우리나라 백자의 독특하고 대표적인 형식이다.
달항아리 라는 명칭은 둥근 형태뿐 아니라 달이 지니고 있는 문학적 예술적 철학적 이미지를 함께 연결시켜 줄뿐 아니라 훨씬 낭만적이고 감동적이며 깊이가 있다.
이런 아름다움 때문에 많은 화가들이 그림으로 표현하기도 해왔으나 정작 가격도 비싸고 귀할 뿐 아니라 쉽게 접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다른 실시예로서의 작품은 말의 이미지와 민화를 접목 시켜 한국적인 것(한지와 민화)을 세계적인 것으로 승화 시키고자 하였다.
말은 신화에 등장하는 신성 스러운 동물이기도 하면서 사람들에게 친근한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대상이다.
민화에서 연꽃이나 연잎, 모란, 매화 등의 꽃문양은 서민들의 바램(건강, 부귀영화, 다복함, 성공, 재물운 등)들을 담아 상징한다.
그런 전통 민화의 꽃문양을 신성한 동물인 말 모양의 조형에 접목하여 작품을 접하는 이들에게 좋은 기운을 전하고 있었으나, 이를 한국문화 특유의 색깔을 담은 민화의 생동감 있는 구도와 화려한 색채감이 감각적 표현의 즐거움을 더하고 그림바탕을 이루는 말에 대한 친밀감을 더 할 수 있는 제품을 창안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해결과제로서, 그 달항아리와 같은 아름다움을 실생활에서 쉽게 접하고 이미지에서 느낄 수 있는 낭만적이고 감동적인 면을 누구나 경제적인 부담 없이 깨어질 염려도 없고, 진열하는 넓은 공간도 필요 없이 간단하게 좁은 공간에 두고 볼 수도 있고, 벽에 액자처럼 걸어두고 볼 수 있게 한지를 재료로 만들어 민화를 그리거나 붙여서 민화속의 연꽃이나 연잎, 연밥, 모란, 매화,등의 꽃이나 새, 곤충, 용 등의 동물을 통해 부귀영화, 다복함, 성공, 재물 등 의 소망을 함께 담은 것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달항아리 모형뿐 아니라 우리나라 정통 도자기의 모형을 만들어 민화와 함께 우리 것을 알리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다른 실시예로서의 작품은 말의 이미지와 민화를 접목 시켜 한국적인 것(한지와 민화)을 세계적인 것으로 승화 시키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한지로 만든 민화 도자기(달항아리)를 제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한지, 합지, 풀, 마감재(유광, 무광), 지점토, 아교, 백반, 채색용 물감의 재료를 준비하는 단계; 만들고자 하는 반쪽 도자기의 모양을 지점토로 만든 후 잘 말려 제작하는 단계; 모형에 얇은 비닐을 덮고 뒷면을 고정시킨 뒤, 한지를 덮고 풀칠한 한지를 찢어 붙이고 말리기를 반복하여 일정한 두께로 항아리 모형을 제작하는 단계; 항아리 뒷면의 평면모양을 합지에 그려 오린 다음, 벽에 걸 수 있는 위치에 걸이용 구멍을 뚫는 단계; 항아리 아랫부분을 합지를 오려서 붙이고 테두리를 한지를 붙여서 다듬으며 세울 수 있게 균형을 잡아주는 단계; 휘어지지 않도록 합지로 오린 면에 한지를 앞뒤로 발라주는 단계; 항아리 모형과 합지 모형을 합쳐서 완성된 형태를 만든 후, 다시 풀을 칠한 한지를 찢어서 연결시키며 표면을 매끈하게 정리하는 단계; 원하는 민화를 아교를 칠한 한지에 그려서 채색한 후, 이를 오려서 몸통에 붙이거나, 직접 몸통에 아교와 물을 1:4의 비율로 섞어 만든 아교포수 2번 한 후 건조시켜 먹으로 그림을 그리고 채색하하는 단계; 모든 과정이 끝나면 표면을 깨끗이 한 후, 유광 1번과 무광 3-4번의 마감재를 발라서 민화 도자기 공예품을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지공예의 방법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위의 한지공예의 방법으로 제작된 공예품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한지로 만든 민화 말을 제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한지, 한지를 만드는 중간과정의 섬유의 형태인 닥섬유, 피복전선, 가는 철사, 풀, 목공예본드, 마감재(유광, 무광), 민화(한지, 아교, 백반, 먹, 채색용 물감)의 재료를 준비하는 단계; 피복전선으로 원하는 모양과 크기로 말 형태의 뼈대를 만들고 꼬리위치에 꼬리를 고정시킬 뼈대를 달아내는 단계; 완성된 뼈대 전선 위에 한지를 감는 단계; 몸통과 목, 머리 부분에 한지를 뭉쳐 뼈대 속에 넣고, 그 위를 한지로 감아 고정시키는 단계; 한지를 넓게 펴서 풀칠을 한 후, 풀칠된 한지를 손으로 찢어 붙이기와 말리기를 반복하여 말 형태를 만드는 단계; 말머리윗부분에 철사를 이용하여 귀 모양을 만들고, 한지를 머리통과 연결하여 떨어지지 않게 고정시킨다. 이 때 귀의 전체 모양을 다듬고 머리형태도 같이 다듬는 단계; 몸 형태가 완성되면, 울퉁불퉁한 표면을 한지를 바르거나 두드려서 매끈하게 다듬는 단계; 원하는 색상의 한지를 붙이거나 염색을 하여 몸통을 완성하는 단계; 말 갈퀴와 꼬리를 만들고 닥섬유를 물을 뿌려 섬유 결이 보이게 늘린 후, 한 올 한 올 길게 찢어내어 털 모양으로 만들 준비하는 단계; 찢어낸 닥섬유를 잘 말려 간추린 후, 말의 귀에서 목 끝까지 닥섬유의 한쪽부분에 목공 본드를 발라 붙이면서 원하는 갈퀴모양을 만드는 단계; 꼬리용 피복전선에 한지를 감고, 꼬리는 아랫부분부터 만들어 위쪽으로 닥섬유를 붙여가면서 어느 정도 길이가 되면 한지를 감아둔 부분과 연결시켜 계속 닥섬유를 붙이고, 꼬리모양이 완성되면 엉덩이 끝부분에 본드로 고정시키는 단계; 원하는 민화를 아교를 칠한 한지에 그려서 채색한 후, 이를 오려서 몸통에 붙이거나, 직접 몸통에 아교와 물을 1:4로 혼합하여 만든 아교포수를 2번 바른 후 건조시켜 먹으로 그림을 그리고 채색하여 민화 말 공예품을 완성하는 단계; 모든 과정이 끝나면 표면을 깨끗이 한 후, 유광 1번과 무광 3-4번의 마감재를 발라서 민화 도자기 공예품을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지공예의 방법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위의 한지공예의 방법으로 제작된 공예품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그 달항아리와 같은 아름다움을 실생활에서 쉽게 접하고 이미지에서 느낄 수 있는 낭만적이고 감동적인 면을 누구나 경제적인 부담 없이 깨어질 염려도 없고, 진열하는 넓은 공간도 필요 없이 간단하게 좁은 공간에 두고 볼 수도 있고, 벽에 액자처럼 걸어두고 볼 수 있게 한지를 재료로 만들어 민화를 그리거나 붙여서 민화속의 연꽃이나 연잎, 연밥, 모란, 매화,등의 꽃이나 새, 곤충, 용 등의 동물을 통해 부귀영화, 다복함, 성공, 재물 등 의 소망을 함께 담아 공예품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달항아리 모형뿐 아니라 우리나라 정통 도자기의 모형을 만들어 민화와 함께 우리 것을 알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다른 실시예로서의 작품은 말의 이미지와 민화를 접목 시켜 한국적인 것(한지와 민화)을 세계적인 것으로 승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발명의 한지꽃의 공예품의 사진
도 2는 종래 발명의 한지꽃의 공예품에 사용되는 한지 부분품
도 3은 본 발명의 한지 공예품의 제조 과정을 나타낸 제작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민화 도자기(달항아리) 한지 공예품의 사시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민화 도자기(달항아리) 한지 공예품의 정면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민화 도자기(달항아리) 한지 공예품의 배면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민화 도자기(달항아리) 한지 공예품의 사용상태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한지 공예품의 제조 과정을 나타낸 제작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민화 말 한지 공예품의 사시사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민화 말 한지 공예품의 배면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지 공예품의 제조 과정을 나타낸 제작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민화 도자기(달항아리) 한지 공예품의 사시사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민화 도자기(달항아리) 한지 공예품의 정면사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민화 도자기(달항아리) 한지 공예품의 배면사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민화 도자기(달항아리) 한지 공예품의 사용상태사진이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해 과장되거나 생략될 수 있으며, 도면에 병기된 도면부호에 따라 부여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한지공예의 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작된 공예품의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한지와 풀, 마감재(유광, 무광), 아교, 백반, 채색용 물감으로 구성된 재료를 기초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들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한지로 만든 민화 도자기(달항아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한지로 만든 민화 도자기(달항아리)(2000)는 한지, 민화(2100), 풀, 마감재(유광, 무광), 지점토, 아교, 백반, 채색용 물감의 재료, 합지(2200)로 구성된다.
만드는 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지점토에 의한 도자기형상 제조/건조 단계이다(S110).
즉, 만들고자 하는 반쪽 도자기의 모양을 지점토로 만든 후 잘 말린다. 지점토 대신 석고나 그릇과 같은 다른 재료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은 지점토 도자기 위에 비닐을 덮고 고정단계이다(S120).
즉, 모형에 얇은 비닐을 덮고 뒷면을 고정시킨 뒤, 한지를 덮고 풀칠한 한지를 찢어 붙이고 말리기를 반복하여 일정한 두께로 항아리 모형을 만든다.
다음은 포장된 비닐위에 풀칠한 한지를 찢어 붙이기단계이다(원하는 항아리 형상이 될 때까지) (S130).
즉, 항아리 뒷면의 평면모양을 합지에 그려 오린 다음, 벽에 걸 수 있는 위치에 걸이용 구멍을 뚫는다.
다음은 도자기(항아리) 뒷면에 평면으로 함지 부착단계이다(뒷면에는 걸이용 구멍형성)(S140).
즉, 항아리 아랫부분을 합지를 오려서 붙이고 테두리를 한지를 붙여서 다듬는다. 세울 수 있게 균형을 잘 잡아 준다.
이 때 합지를 뒷면과 바닥에 사용하는 것은 세웠을 때 무게감을 주어 균형을 잡기 위한 것이다. 합지 대신 한지와 잘 어울리는 다른 재료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은 도자기(항아리) 아랫 부분의 함지 부착 및 테두리에 한지를 붙여 다듬기단계이다(S150).
즉, 합지로 오린 면에 한지를 앞뒤로 발라 휘어지지 않게 한다.
다음은 도자기(항아리) 모양과 합지 모양을 합하여 완성시킨 후 다시 풀을 칠한 한지 조각으로 연결시키면서 표면정리단계이다(S160).
즉, 항아리 모형과 합지 모형을 합쳐서 완성된 형태를 만든 후, 다시 풀을 칠한 한지를 찢어서 연결시키면서 표면을 매끈하게 정리한다.
다음은 원하는 민화에 아교를 칠한 한지에 그려서 착색한 후 몸통에 부착/아교포수를 2번 하고 그림을 그린 후 채색단계이다(S170).
즉, 원하는 민화를 아교를 칠한 한지에 그려서 채색한 후, 이를 오려서 몸통에 붙이거나, 직접 몸통에 아교와 물을 1:4의 비율로 혼합하여 만든 아교포수 2번 바른 후 건조시켜 먹으로 그림을 그리고 채색한다.
다음은 표면에 마감재로서 유광 1번, 무광 3~4회 도포단계이다(S180).
즉, 모든 과정이 끝나면 표면을 깨끗이 한 후, 유광 1번과 무광 3-4번의 마감재를 바른다. 이 때 마감재는 한지의 질감을 살리면서 방수, 오염방지, 탈색방지의 역할을 한다.
이렇게 제작된 달항아리는 그 자체로서 달항아리와 같은 아름다움을 실생활에서 쉽게 접하고 이미지에서 느낄 수 있는 낭만적이고 감동적인 면을 누구나 경제적인 부담 없이 깨어질 염려도 없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진열하는 넓은 공간도 필요 없이 간단하게 좁은 공간에 두고 볼 수도 있고, 벽에 액자처럼 걸어두고 볼 수 있게 한지를 재료로 만들어 민화를 그리거나 붙여서 민화속의 연꽃이나 연잎, 연밥, 모란, 매화,등의 꽃이나 새, 곤충, 용 등의 동물을 통해 부귀영화, 다복함, 성공, 재물 등 의 소망을 함께 담아 공예품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달항아리 모형뿐 아니라 우리나라 정통 도자기의 모형을 만들어 민화와 함께 우리 것을 알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다른 실시예로서의 작품은 말의 이미지와 민화를 접목 시켜 한국적인 것(한지와 민화)을 세계적인 것으로 승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은 한지로 만든 민화 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한지 공예품의 제조 과정을 나타낸 제작 순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민화 말 한지 공예품의 사시사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민화 말 한지 공예품의 배면사진이다.
한지로 만든 민화 말(3000)은 한지, 민화(한지, 아교, 백반, 먹, 채색용 물감)(3100), 닥섬유(한지를 만드는 중간과정의 섬유의 형태)(3200)(3300), 피복전선, 가는 철사, 풀, 목공예본드, 마감재(유광, 무광)의 재료로 구성된다.
만드는 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피복전선으로 말형태 제작단계이다(S210)
즉, 피복전선으로 원하는 모양과 크기로 말 형태의 뼈대를 만들고, 꼬리위치에 꼬리를 고정시킬 뼈대를 달아낸다.
다음은 전선위에 한지 감기단계이다(S220).
즉, 완성된 뼈대 전선 위에 한지를 감는다.
다음은 몸통에 한지 뭉치를 넣은 후 한지로 감아 고정하는 단계이다(S230).
즉, 몸통과 목, 머리 부분에 한지를 뭉쳐 뼈대 속에 넣고, 그 위를 한지로 감아 고정시킨다.
다음은 한지를 넓게 펴서 풀을 칠한 후 손으로 찢어서 붙이고 말림단계이다(S240).
즉, 한지를 넓게 펴서 풀칠을 한 후, 풀칠된 한지를 손으로 찢어 붙이기와 말리기를 반복하여 말 형태를 만든다.
다음은 울퉁불퉁한 표면을 매끈하게 정리단계이다(S250).
즉, 말머리윗부분에 철사를 이용하여 귀 모양을 만들고, 한지를 머리통과 연결하여 떨어지지 않게 고정시킨다. 이 때 귀의 전체 모양을 다듬고 머리형태도 같이 다듬는다. 사용하는 철사와 전선은 압축강도나 휨 강성을 보강한 강도 보강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몸 형태가 완성되면, 울퉁불퉁한 표면을 한지를 바르거나 두드려서 매끈하게 다듬는다.
다음은 원하는 색상의 한지 부착이나 염색처리단계이다(S260).
즉, 원하는 색상의 한지를 붙이거나 염색을 하여 몸통을 완성한다.
다음은 닥 섬유을 말의 귀와 목, 꼬리의 형태에 따라 부착단계이다(S270).
즉, 말 갈퀴와 꼬리를 만들고 닥섬유를 물을 뿌려 섬유 결이 보이게 늘린 후, 한 올 한 올 길게 찢어내어 털 모양으로 만들 준비를 한다.
그리고, 찢어낸 닥섬유를 잘 말려 간추린 후, 말의 귀에서 목 끝까지 닥섬유의 한쪽부분에 목공 본드를 발라 붙이면서 원하는 갈퀴모양을 만든다.
또한, 꼬리용 피복전선에 한지를 감고, 꼬리는 아랫부분부터 만들어 위쪽으로 닥섬유를 붙여가면서 어느 정도 길이가 되면 한지를 감아둔 부분과 연결시켜 계속 닥섬유를 붙이고, 꼬리모양이 완성되면 엉덩이 끝부분에 본드로 고정시킨다.
다음은 원하는 민화를 채색한 후 몸통에 부착/아교포수를 2번 한 후 건조시켜 그림을 그림단계이다(S280).
즉, 원하는 민화를 아교를 칠한 한지에 그려서 채색한 후 이를 오려서 몸통에 붙이거나, 직접 몸통에 아교와 물을 1:4로 혼합하여 만든 아교포수를 2번 바른 후 건조시켜 먹으로 그림을 그리고 채색한다.
다음은 표면에 마감재로서 유광 1번, 무광 3~4회 도포단계이다(S290).
즉, 모든 과정이 끝나면 표면을 깨끗이 한 후, 유광 1번과 무광 3-4번의 마감재를 바른다. 이 때 마감재는 한지의 질감을 살리면서 방수, 오염방지, 탈색방지의 역할을 한다.
이렇게 제작된 민화 말은 그 자체로서 우리나라의 12개 띠를 상징하는 동물의 하나로서, 언제나 동물과 친근함을 실생활에서 쉽게 접하고 이미지에서 느낄 수 있고, 누구나 경제적인 부담 없이 깨어질 염려도 없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진열하는 넓은 공간도 필요 없이 간단하게 좁은 공간에 두고 볼 수도 있고, 진열장에 장식이 가능하개 한지를 재료로 만들어 민화를 그리거나 붙여서 민화속의 연꽃이나 연잎, 연밥, 모란, 매화,등의 꽃이나 새, 곤충, 용 등의 동물을 통해 부귀영화, 다복함, 성공, 재물 등의 소망을 함께 담아 공예품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말의 형상뿐 아니라 우리나라 12개 띠를 중심으로 동물의 모형을 만들어 민화와 함께 우리 것을 알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한지로 만든 민화 도자기와 민화 말을 제작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나, 도 3에 따른 한지 공예품 제작방법을 이용하여, 여러 종류의 공예품으로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특허등록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2000 : 도자기
2100 : 민화
2200 : 합지
3000 : 말
3100 : 민화
3200 : 닥섬유
3300 : 닥섬유

Claims (4)

  1. 한지로 만든 민화 도자기(달항아리)를 제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한지, 합지, 풀, 마감재(유광, 무광), 지점토, 아교, 백반, 채색용 물감의 재료를 준비하는 단계;
    만들고자 하는 반쪽 도자기의 모양을 지점토로 만든 후 잘 말려 제작하는 단계;
    모형에 얇은 비닐을 덮고 뒷면을 고정시킨 뒤, 한지를 덮고 풀칠한 한지를 찢어 붙이고 말리기를 반복하여 일정한 두께로 항아리 모형을 제작하는 단계;
    항아리 뒷면의 평면모양을 합지에 그려 오린 다음, 벽에 걸 수 있는 위치에 걸이용 구멍을 뚫는 단계;
    항아리 아랫부분을 합지를 오려서 붙이고 테두리를 한지를 붙여서 다듬으며 세울 수 있게 균형을 잡아주는 단계;
    휘어지지 않도록 합지로 오린 면에 한지를 앞뒤로 발라주는 단계;
    항아리 모형과 합지 모형을 합쳐서 완성된 형태를 만든 후, 다시 풀을 칠한 한지를 찢어서 연결시키며 표면을 매끈하게 정리하는 단계;
    원하는 민화를 아교를 칠한 한지에 그려서 채색한 후, 이를 오려서 몸통에 붙이거나, 직접 몸통에 아교와 물을 1:4의 비율로 섞어 만든 아교포수 2번 한 후 건조시켜 먹으로 그림을 그리고 채색하하는 단계;
    모든 과정이 끝나면 표면을 깨끗이 한 후, 유광 1번과 무광 3-4번의 마감재를 발라서 민화 도자기 공예품을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지공예의 방법
  2. 청구항 1의 한지공예의 방법으로 제작된 공예품
  3. 한지로 만든 민화 말을 제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한지, 한지를 만드는 중간과정의 섬유의 형태인 닥섬유, 피복전선, 가는 철사, 풀, 목공예본드, 마감재(유광, 무광), 민화(한지, 아교, 백반, 먹, 채색용 물감)의 재료를 준비하는 단계;
    피복전선으로 원하는 모양과 크기로 말 형태의 뼈대를 만들고 꼬리위치에 꼬리를 고정시킬 뼈대를 달아내는 단계;
    완성된 뼈대 전선 위에 한지를 감는 단계;
    몸통과 목, 머리 부분에 한지를 뭉쳐 뼈대 속에 넣고, 그 위를 한지로 감아 고정시키는 단계;
    한지를 넓게 펴서 풀칠을 한 후, 풀칠된 한지를 손으로 찢어 붙이기와 말리기를 반복하여 말 형태를 만드는 단계;
    말머리윗부분에 철사를 이용하여 귀 모양을 만들고, 한지를 머리통과 연결하여 떨어지지 않게 고정시킨다. 이 때 귀의 전체 모양을 다듬고 머리형태도 같이 다듬는 단계;
    몸 형태가 완성되면, 울퉁불퉁한 표면을 한지를 바르거나 두드려서 매끈하게 다듬는 단계;
    원하는 색상의 한지를 붙이거나 염색을 하여 몸통을 완성하는 단계;
    말 갈퀴와 꼬리를 만들고 닥섬유를 물을 뿌려 섬유 결이 보이게 늘린 후, 한 올 한 올 길게 찢어내어 털 모양으로 만들 준비하는 단계;
    찢어낸 닥섬유를 잘 말려 간추린 후, 말의 귀에서 목 끝까지 닥섬유의 한쪽부분에 목공 본드를 발라 붙이면서 원하는 갈퀴모양을 만드는 단계;
    꼬리용 피복전선에 한지를 감고, 꼬리는 아랫부분부터 만들어 위쪽으로 닥섬유를 붙여가면서 어느 정도 길이가 되면 한지를 감아둔 부분과 연결시켜 계속 닥섬유를 붙이고, 꼬리모양이 완성되면 엉덩이 끝부분에 본드로 고정시키는 단계;
    원하는 민화를 아교를 칠한 한지에 그려서 채색한 후, 이를 오려서 몸통에 붙이거나, 직접 몸통에 아교와 물을 1:4로 혼합하여 만든 아교포수를 2번 바른 후 건조시켜 먹으로 그림을 그리고 채색하여 민화 말 공예품을 완성하는 단계;
    모든 과정이 끝나면 표면을 깨끗이 한 후, 유광 1번과 무광 3-4번의 마감재를 발라서 민화 도자기 공예품을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지공예의 방법
  4. 청구항 3의 한지공예의 방법으로 제작된 공예품
KR1020160157709A 2016-11-24 2016-11-24 한지를 이용한 공예품 KR201800585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7709A KR20180058568A (ko) 2016-11-24 2016-11-24 한지를 이용한 공예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7709A KR20180058568A (ko) 2016-11-24 2016-11-24 한지를 이용한 공예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8568A true KR20180058568A (ko) 2018-06-01

Family

ID=62635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7709A KR20180058568A (ko) 2016-11-24 2016-11-24 한지를 이용한 공예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8568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91718A (zh) * 2018-11-29 2019-02-01 怀化市嘉星陶艺文化科技有限公司 一种山水画绞胎瓷的制作方法
CN109808418A (zh) * 2019-03-12 2019-05-28 山西亨力晨不锈钢制品创意设计有限公司 一种金属薄板剪纸方法
CN110001266A (zh) * 2019-04-22 2019-07-12 武汉纺织大学 一种缠花纸型设计专用模板尺及其制作方法、应用方法
CN110154620A (zh) * 2019-04-12 2019-08-23 王鲜红 一种香烫纸画及制作方法
KR20200010687A (ko) 2018-07-18 2020-01-31 김영만 한지를 이용한 연꽃 만드는 방법 및 그 방법으로 만든 한지 연꽃 장식품
KR20200128532A (ko) 2018-06-11 2020-11-13 몰 테크노트레이드 가부시키가이샤 선박용 키 및 선박
KR20220093517A (ko) 2020-12-28 2022-07-05 김영만 한지를 이용한 방수가공 연꽃 만드는 방법 및 그 방법으로 만든 한지 방수가공 연꽃 장식품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8532A (ko) 2018-06-11 2020-11-13 몰 테크노트레이드 가부시키가이샤 선박용 키 및 선박
KR20200010687A (ko) 2018-07-18 2020-01-31 김영만 한지를 이용한 연꽃 만드는 방법 및 그 방법으로 만든 한지 연꽃 장식품
CN109291718A (zh) * 2018-11-29 2019-02-01 怀化市嘉星陶艺文化科技有限公司 一种山水画绞胎瓷的制作方法
CN109808418A (zh) * 2019-03-12 2019-05-28 山西亨力晨不锈钢制品创意设计有限公司 一种金属薄板剪纸方法
CN110154620A (zh) * 2019-04-12 2019-08-23 王鲜红 一种香烫纸画及制作方法
CN110001266A (zh) * 2019-04-22 2019-07-12 武汉纺织大学 一种缠花纸型设计专用模板尺及其制作方法、应用方法
KR20220093517A (ko) 2020-12-28 2022-07-05 김영만 한지를 이용한 방수가공 연꽃 만드는 방법 및 그 방법으로 만든 한지 방수가공 연꽃 장식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58568A (ko) 한지를 이용한 공예품
Fling Marionettes: how to make and work them
US20170120156A1 (en) Do it yourself (DIY) Tape-in decorative hair accessory kit for attaching colored streaks of synthetic and human hair to the hair and scalp of dolls and toy styling heads
JP2015124312A (ja) 装飾用生革チップの作製方法及びその方法により作製された装飾用生革チップ
Le Thomas From one collage to another: the roots of cubism’s pasted papers
KR100371519B1 (ko) 한지와 종이를 이용한 수공예 방법
Jones et al. Ladies' Fancy Work: Hints and Helps to Home Taste and Recreations
Wellford The Art of Rock Painting: Techniques, Projects, and Ideas for Everyone
JP3076498U (ja) カラースラリー粘土布
Kohl et al. Global art: Activities, projects, and inventions from around the world
D'Amato et al. Italian Crafts: Inspirations from Folk Art
Crafts Crafts
Jackson Polymer clay jewelry
Brinley Artificial Flower Making
JP3061628U (ja) 超軽量粘土芳香性造形物
Montano The Big-ass Book of Crafts
Grummer et al. Arnold Grummer's Complete Guide to Paper Casting
Russo Needle Felted Tapestries: Make Your Own Woolen Masterpieces
Richardson Ways to create traditional masks
Sykes Creative Arts and Crafts for Children with Visual Handicaps.
Uhl Wonderful Ways with Washi: Seventeen Delightful Projects to Make with Handmade Japanese Washi Paper
Thuss et al. Paper to Petal: 75 Whimsical Paper Flowers to Craft by Hand
Tracy The art of decorating show windows and interiors: A complete manual of window trimming
CN111483267A (zh) 一种立体粘贴蟾皮画的制作方法
Brubaker Theorem Painting: Tips, Tools, and Techniques for Learning the Craf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