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9995A - 컴퓨터 절전 방법 및 컴퓨터 활성화 방법 - Google Patents

컴퓨터 절전 방법 및 컴퓨터 활성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9995A
KR20200009995A KR1020180172477A KR20180172477A KR20200009995A KR 20200009995 A KR20200009995 A KR 20200009995A KR 1020180172477 A KR1020180172477 A KR 1020180172477A KR 20180172477 A KR20180172477 A KR 20180172477A KR 20200009995 A KR20200009995 A KR 202000099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uter
power saving
bluetooth signal
strength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2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5049B1 (ko
Inventor
코후이 린
이밍 텡
리테 린
Original Assignee
기가 바이트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가 바이트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기가 바이트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09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99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5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5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31Monitoring the presence, absence or movement of u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09Monitoring remote activity, e.g. over telephone lines or network conne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96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lowering the supply or operating volt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7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43Power saving in microcontroller uni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5Power saving in display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8Power saving in hard disk driv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75Power saving in memory, e.g. RAM, cach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실시예는 블루투스 신호 수신 포트를 가지는 컴퓨터에 적용되는 컴퓨터 활성화 방법에 있어서,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동작을 멈추고 상기 컴퓨터가 절전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컴퓨터가 트리거 명령을 수신하는지 결정하는 단계; 상기 블루투스 신호 수신 포트에 의하여 획득된 등록된 모바일 장치와 관련된 통신 신호의 강도가 동작 강도의 범위 내에 있는지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컴퓨터가 상기 트리거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통신 신호의 강도가 상기 동작 강도 범위 내에 있을 때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컴퓨터를 동작 모드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활성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컴퓨터 절전 방법 및 컴퓨터 활성화 방법{COMPUTER POWER SAVING METHOD AND COMPUTER WAKING METHOD}
본 발명은 에너지 절약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컴퓨터 절전 방법 및 컴퓨터 활성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제품의 전력 소비는 중요한 설계 요소 중 하나이다. 모든 제조업체는 자신이 생산한 전자 제품이 전력 소모를 줄여서 대기 시간을 증가시켜서 고객의 요구를 만족시키기를 원한다.
사용자는 다른 작업을 일시적으로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컴퓨터를 종료하지 않고 종종 컴퓨터를 일시적으로 떠난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이 자주 발생하면, 컴퓨터가 더 많은 전력을 소모한다. 따라서, 컴퓨터는 일반적으로 절전 모드로 설정되어 컴퓨터의 일부 장치들에 전력 공급을 중단하여 전력을 절약한다.
만약 사용자가 컴퓨터를 절전 모드에서 활성화시키고자 하면, 사용자는 키보드, 마우스 또는 전력 스위치를 작동해야만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컴퓨터를 절전 모드에서 동작 모드로 전환하는 것은 편리하지 않다.
상술한 상황들에 비추어, 상술한 단점을 개선할 수 있는 개선된 컴퓨터 절전 방법 및 컴퓨터 활성화 방법을 제공할 필요가 실제로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컴퓨터로부터 떠나 있는지 여부를 보다 정확하게 결정하는 컴퓨터 활성화 방법 및 컴퓨터 절전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사용자가 컴퓨터로부터 일정 거리 떠나면, 컴퓨터는 전력을 절약하기 위하여 동작 모드에서 절전 모드로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변환되는 컴퓨터 활성화 방법 및 컴퓨터 절전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블루투스 신호 수신 포트를 가지는 컴퓨터에 적용되는 컴퓨터 활성화 방법에 있어서,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동작을 멈추고 상기 컴퓨터가 절전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컴퓨터가 트리거 명령을 수신하는지 결정하는 단계; 상기 블루투스 신호 수신 포트에 의하여 획득된 등록된 모바일 장치와 관련된 통신 신호의 강도가 동작 강도의 범위 내에 있는지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컴퓨터가 상기 트리거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통신 신호의 강도가 상기 동작 강도 범위 내에 있을 때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컴퓨터를 동작 모드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활성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블루투스 신호 수신 포트를 가지는 컴퓨터에 적용되는 컴퓨터 절전 방법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신호 수신 포트의 블루투스 프로토콜에 의하여 모바일 장치가 상기 컴퓨터와 통신하고 상기 모바일 장치를 상기 컴퓨터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상기 컴퓨터를 동작 모드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할 경우, 상기 블루투스 신호 수신 포트에 의하여 획득된 등록된 모바일 장치와 관련된 통신 신호의 강도가 동작 강도의 범위 내에 있는지 결정하는 단계; 상기 통신 신호의 강도가 상기 동작 강도의 범위 내에 있지 않을 때,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컴퓨터를 절전 모드에서 작동하도록 있도록 하는 단계; 상기 컴퓨터의 상기 프로세서가 동작을 중단하고 상기 컴퓨터가 상기 절전 모드에서 작동할 때 상기 컴퓨터가 트리거 명령을 수신하는지 결정하는 단계; 상기 블루투스 신호 수신 포트에 의하여 획득된 등록된 모바일 장치와 관련된 통신 신호의 강도가 동작 강도의 범위 내에 있는지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컴퓨터가 트리거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통신 신호가 상기 동작 강도 범위 내에 있지 않을 때 상기 컴퓨터가 상기 동작 모드에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절전 방법을 제공한다.
과거에는, 컴퓨터의 입력 인터페이스들이 활성화되지 않은 기간에 따라 컴퓨터가 동작 모드에서 절전 모드로 전환되었다. 따라서, 사용자가 실제로 컴퓨터를 떠나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컴퓨터를 떠난 것으로 잘못 판단 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절전 방법 및 컴퓨터 활성화 방법에 따르면, 블루투스 신호 수신 포트에 의하여 획득된 등록된 모바일 장치와 관련된 통신 신호의 강도가 상기 동작 신호 범위에 있는지 여부에 따라 컴퓨터가 동작 모드와 절전 모드 사이에서 전환되며, 예를 들면 절전을 위하여 사용자가 컴퓨터를 떠났는지 여부에 따라 정확하게 결정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 및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 등은 본 발명의 원리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나아가 본 발명의 범위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들로부터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고, 첨부된 도면들은 단지 예시일 뿐 본원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전 기능을 가진 컴퓨터의 하드웨어 구조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절전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절전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절전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전 기능을 가진 컴퓨터의 하드웨어의 구조도이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의 목적으로, 개시된 실시 예들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상세한 설명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상술한 상세한 설명들 없이 실시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다른 예들에서, 도면을 단순화하기 위하여 잘 알려진 구조물 및 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전 기능을 가지는 컴퓨터의 하드웨어 구조도이다. 도 1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컴퓨터(100)는 마더 보드(motherboard, 10), 전원 공급 장치(20), 하드 디스크(30), 블루투스 송수신기(Bluetooth transceiver, 40), 및 모니터(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마더 보드(10)은 Advanced Configuration and Power Interface (ACPI)을 따르고, ACPI를 따르는 마더 보드(10)는 S0 모드, S1 모드(Standby state), S2 모드, 및 S3 모드(Suspend to RAM), S4 모드(최대 절전모드) 및 S5 모드를 가지고, 여기서 S2 모드는 동작 모드이고, S1 모드 내지 S4 모드는 몇가지 절전 모드이고, S5는 셧다운(shutdown) 모드이다. 전원 공급부(20), 하드 디스크(30), 블루투스 신호 송수신기(40), 및 모니터(50)는 각각 마더 보드(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원 공급부(20)는 마더 보드(10)에 전원을 공급하고, 마더 보드(10)는 전원 공급부(20)로부터 제공된 전원을 하드 디스크(30), 블루투스 신호 송수신기(40) 및 모니터(50)에 분배하여 사용한다. 하드 디스크(30)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이어서, 컴퓨터(100)가 꺼지면 하드 디스크(30)에 저장된 데이타는 손실되지 않는다. 블루투스 신호 송수신기(40)는 사용자의 모바일 장치(mobile device, 200)로부터 전달된 통신 신호 CS를 수신하고 통신 신호 CS의 강도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통신 신호 CS는 블루투스 신호이다.
마더보드(10)는 전원 포트(11), 전원 관리 제어부(12), 프로세서(13), RAM (random access memory, 14), 하드 디스크 포트(15), 블루투스 신호 수신 포트 (16), 및 모니터 포트(17)을 포함한다. 전원 포트(11)는 전원 공급부(20) 및 전원 관리 제어부(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원 포트(11)는 전원 공급부(20)에서 생성된 전원을 전원 관리 제어부(12)로 전달한다. 전원 관리 제어부(12)는 프로세서(13), RAM(14), 하드 디스크 포트(15), 블루투스 신호 수신 포트(16) 및 모니터 포트(17)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원 관리 컨트롤러(12)는 프로세서(13), RAM(14), 하드 디스크 포트(15), 블루투스 신호 수신 포트(16), 및 모니터 포트 (17)의 작동을 위한 전력을 관리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13)가 전원 관리 제어부(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 외에, 프로세서(12)는 RAM(14), 하드 디스크 포트(15), 블루투스 신호 수신 포트(16) 및 모니터 포트(17)와 전기적으로 더 연결되고, 프로세서(13)는 RAM(14)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RAM(14)은 프로그램 명령 및 상기 프로그램 명령을 일시적으로 실행하는데 필요한 데이타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RAM(14)는 휘발성 메모리이므로, RAM(14)에 전원을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RAM(14)에 데이타 및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는 것이 필요하다. 하드 디스크 포트(15)는 전원 관리 제어부(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 외에, 하드 디스크 포트(15)는 하드 디스크 (30)와 전기적으로 더 연결된다. 본 실시 예에서, 블루투스 신호 수신 포트(16)는 USB 포트이다. 다른 실시 예에서, 블루투스 신호 수신 포트(16)는, PCI 익스프레스 포트(PCI Express port) 또는 소형 PCI 익스프레스 포트(Mini PCI Express port)와 같은 다른 종류의 접속 인터페이스들일 수 있고, 블루투스 신호 수신 포트(16)는 프로세서(13) 및 블루투스 신호 송수신기(40)과 전기적으로 더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블루투스 신호 송수신기(40)는 컴퓨터(100)의 외부 장치이며 마더 보드(10)에 내장되어 있지 않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절전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절전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컴퓨터(100)로 수행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a와 관련하여, 단계 201에서, 모바일 장치(200)는 블루투스 신호 수신 포트(16)의 블루투스 프로토콜(Bluetooth protocol)에 의하여 컴퓨터(100)와 통신하고, 모바일 장치(200)는 컴퓨터(100)에 등록된다. 다음에 단계 202에서, 블루투스 신호 송수신기 (40)는 동작 강도 범위를 미리 설정하고, 블루투스 신호 송수신기(40)는 모바일 장치(200)로부터 전달된 통신 신호(CS)를 수신하고 상기 통신 신호(CS)를 블루투스 신호 수신 포트(16)에 전달하고, 컴퓨터(100)의 프로세서(13)가 활성화되고 컴퓨터(100)가 동작 모드에서 작동할 때 블루투스 신호 수신 포트(16)에 의하여 획득된 모바일 장치(200)와 관련된 통신 신호(CS)의 강도가 동작 강도 범위 내인지 결정한다.
만약 통신 신호(CS)의 강도가 상기 동작 강도 범위 내에 들지 않으면, 단계 203으로 진행한다. 만약, 통신 신호(CS)의 강도가 동작 강도 범위 내에 있으면, 다음에 단계 204로 진행한다. 또한, 블루투스 신호 수신 포트(16)는 통신 신호(CS)를 전력 관리 제어부(12)로 더 전송한다.
단계 203에서, 블루투스 신호 수신 포트(16)에 의하여 획득된 통신 신호 (CS)의 강도가 동작 강도 범위 내에 들지 못하는 경우, 주된 이유는 일반적으로 모바일 장치(200)가 컴퓨터(100)로부터 너무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일 수 있다. 이 때, 전원 관리 제어부(12)는 프로세서(13)로의 전원 공급을 중단하여 프로세서(13)를 비활성화시켜서 컴퓨터(100)를 S3 절전 모드 (Suspend to RAM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한다. S3 절전 모드에서, 컴퓨터(100)에 의해 작동되는 프로그램 명령들 및 데이타는 RAM(14)에 저장되고, 전력 관리 제어부(12)는 RAM(14)에 전력 공급을 계속한다. 그렇지 않으면, 단계 204에서, 컴퓨터 (100)는 동작 모드를 계속 유지한다.
203 단계 후에 205 단계가 따른다. 205 단계에서, 전원 관리 제어부 (12)는 모니터 포트(17)로의 전원 공급을 중단하여 컴퓨터(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모니터(50)를 끈다. 206 단계에서, 전원 관리 제어부(12)는 하드 디스크로의 전원 공급을 중단하여 컴퓨터(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하드 디스크(30)를 끈다. 다른 실시 예들에서, 단계 205와 단계 206은 동시에 수행 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의 절전 방법은 단계 207 내지 단계 212를 더 포함한다. 하기의 설명의 편의상, 단계 207 내지 단계 212는 컴퓨터 활성화 방법으로 더 정의된다. 컴퓨터(100)의 프로세서(13)가 비활성화되어 컴퓨터(100)가 S3 절전 모드에서 작동하면, 컴퓨터(100)를 활성화시키는 트리거(trigger) 명령은 모바일 장치(200)로부터 전달된 통신 신호 CS이다. 단계 207은 블루투스 신호 수신 포트(16)에 의하여 획득되고 모바일 장치(200)에 의하여 전달된 통신 신호(CS)가 상기의 동작 강도 범위 내에 있는지 결정한다. 만약 통신 신호(CS)의 강도가 동작 강도 범위 내에 있으면 단계 208로 진행하고, 만약 통신 신호(CS)의 강도가 동작 강도 범위 내에 있지 않으면 단계 209로 진행한다. 단계 208에서, 블루투스 신호 수신 포트(16)에 의해 획득된 통신 신호(CS)의 강도가 동작 강도 범위 내에 있는 이유는 모바일 장치(200)와 컴퓨터(100) 사이의 거리가 매우 가깝기 때문일 수 있다. 이때, 전력 관리 제어부(12)는 프로세서(13)에 전력 공급을 재개하여 프로세서(13)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한편, 단계 209에서, 통신 신호(CS)의 강도가 동작 강도 범위 내에 있지 않을 때, 컴퓨터(100)는 S3 절전 모드로 계속 유지된다.
단계 208 뒤에 단계 210이 따르고, 단계 210에서, 프로세서(13)를 활성화한 후, 전원 관리 제어부(12)가 하드 디스크 포트(15)에 전원을 공급을 재시작하여 컴퓨터(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하드 디스크(30)를 켜고 컴퓨터(100)를 다시 동작 모드에서 작동되도록 한다. 단계 211에서, 전력 관리 제어부(12)는 모니터 포트(17)에 전원 공급을 재시작하여 컴퓨터(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모니터(50)를 켠다. 다른 실시 예에서, 단계 210과 단계 211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단계 212는 컴퓨터(100)에 미리 저장된 로그인 계정 및 로그인 패스워드에 따라 자동 로그인 절차를 수행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절전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하고,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절전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컴퓨터(100)로 수행될 수 있다. 단계 301에서, 모바일 장치(200)는 블루투스 신호 수신 포트(16)의 블루투스 프로토콜에 의하여 컴퓨터(100)와 통신하고, 모바일 장치(200)는 컴퓨터 (100)에 등록된다. 다음 단계 302는 컴퓨터(100)의 프로세서(13)가 활성화되고 컴퓨터(100)가 동작 모드로 작동될 때, 모바일 장치(200)에 의하여 전달되고 블루투스 신호 수신 포트(16)에 의하여 획득된 통신 신호(CS)의 강도가 상기 동작 강도 범위 내에 있는지 결정한다. 통신 신호(CS)의 강도가 상기 동작 강도 범위 내에 들지 않으면, 단계 303으로 진행한다. 통신 신호(CS)의 강도가 상기 동작 강도 범위 내에 있으면, 단계 304로 진행한다.
단계 303에서, 블루투스 신호 수신 포트(16)에 의하여 획득된 통신 신호(CS)의 강도가 상기 동작 강도 범위 내에 들지 못하면, RAM(14)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 및 데이타는 프로세서(13)에 의하여 하드 디스크(30)로 이동할 수 있다. 단계 304에서, 컴퓨터(100)는 동작 모드에서 계속 유지된다.
단계 303 뒤에 단계 305가 따른다. 단계 305에서, 전력 관리 제어부(12)는 프로세서(13)에 전원 공급을 중단하여 프로세서(13)를 비활성화시킨다. 단계 306에서, 전원 관리 제어부(12)는 RAM(14)에 전원 공급을 중단하여 RAM(14)을 비활성화시킨다. 단계 307에서 전원 관리 제어부(12)는 하드 디스크 포트(15)에 전원 공급을 중단하여 하드 디스크(30)를 꺼서 컴퓨터(100)가 S4 절전 모드(최대 절전 모드)에서 작동하게 한다. 단계 308에서, 전원 관리 제어부(12)는 모니터 포트(17)에 전원 공급을 중단하여 컴퓨터(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모니터(50)를 끈다.
도 1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절전 방법은 309 단계 내지 318 단계를 더 포함하며, 309 단계 내지 318 단계는 컴퓨터 활성화 방법으로 더 정의된다. 컴퓨터(100)의 프로세서(13), RAM(14), 및 하드 디스크(30)를 비활성화시켜서 컴퓨터(100)가 S4 절전 모드에서 작동할 때, 컴퓨터(100)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트리거 명령들은 상기 모바일 장치(200)으로부터 전달되는 통신 신호(CS)가 아닐 수도 있다.
단계 309는 컴퓨터(100)가 트리거 명령들을 수신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여기서 트리거 명령들은 컴퓨터(100)의 전원 스위치를 누름으로써 생성된다. 컴퓨터(100)가 상기 트리거 명령을 수신할 때, 상기 컴퓨터(100)는 S4 절전 모드로부터 활성화되고, 그 다음에 단계 310을 진행한다. 컴퓨터(100)가 상기 트리거 명령을 수신하지 않으면, 그 다음에 단계 311을 진행한다. 단계 310은 컴퓨터(100)가 상기 트리거 명령을 수신한 후에, 모바일 장치(200)과 관련되고 블루투스 신호 수신 포트(16)에 의하여 획득된 통신 신호 CS의 강도가 동작 강도 범위 내인지를 결정한다. 만약 통신 신호 CS의 강도가 동작 강도 범위 내에 있으면, 그 다음에 단계 312로 진행한다. 만약 통신 신호 CS의 강도가 동작 강도 범위 내에 있지 않으면, 단계 313으로 진행한다. 단계 311에서, 컴퓨터(100)은 S4 절전 모드로 유지된다.
단계 312에서, 컴퓨터(100)가 트리거 명령을 수신하고 통신 신호 CS의 세기가 동작 강도 범위 내에 있으면, 전력 관리 제어부(12)는 프로세서(13)에 전원 공급을 재시작하여 프로세서(13)을 활성화시킨다. 단계 313에서, 컴퓨터(100)는 S4 절전 모드로 복귀한다.
단계 314가 단계 312를 뒤따른다. 단계 314 에서, 전력 관리 제어부(12)가 RAM(14)에 전력을 공급하기 재개하여 RAM(14)를 활성화시킨다. 단계 315에서, 전력 관리 제어부(12)는 하드 디스크 포트(15)에 전원 공급을 재개하여 하드 디스크(30)를 켜서 컴퓨터(100)가 동작 모드에서 작동하도록 한다. 단계 316 단계에서, 하드 디스크(30)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들 및 데이타들이 프로세서(13)에 의하여 RAM(14)으로 이동한다. 단계 317에서 전원 관리 제어부(12)는 모니터 포트(17)에 전원 공급을 재개하여 컴퓨터(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모니터(50)를 켠다. 단계 318에서 컴퓨터(100)에 미리 저장된 로그인 계정 및 로그인 패스워드에 따라서 자동 로그인 절차를 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절전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하고, 도 4에 도시된 절전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컴퓨터(100)로 수행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절전 방법의 단계 401 내지 406은 상기 제1 실시예의 컴퓨터 절전 방법의 단계 201, 202, 205, 204, 207 및 211와 각각 동일하다. 제3 실시예와 제1 실시예의 차이점들은 전원 관리 제어부(12)가 프로세서(13) 및 하드 디스크(30)에 전원을 계속하여 공급하고, 단지 모니터 포트(17)에 전원 공급을 중단하여 컴퓨터(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모니터(50)를 끄는 것이다. 따라서, 전원 관리 제어부(12)는 단지 모니터 포트(17)에 전원 공급을 재개하여 컴퓨터(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모니터(50)를 켜서 컴퓨터(100)를 활성화시킨다.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의 절전 방법은 상이한 하드웨어 구조를 가지는 다른 컴퓨터로 수행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전 기능을 갖는 컴퓨터의 하드웨어 구조도이다. 컴퓨터(300)의 하드웨어 구조와 컴퓨터(100)의 하드웨어 구조의 차이점은 블루투스 신호 송수신기(40)가 마더 보드(10)에 내장되고 블루투스 신호 수신 포트(16)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절전 방법들은 컴퓨터(300)로 수행 될 수 있고, 그 작동 및 원리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과거에는, 컴퓨터의 입력 인터페이스들이 활성화되지 않은 기간에 따라 컴퓨터가 동작 모드에서 절전 모드로 전환되었다. 따라서, 사용자가 실제로 컴퓨터를 떠나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컴퓨터를 떠난 것으로 잘못 판단 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절전 방법 및 컴퓨터 활성화 방법에 따르면, 블루투스 신호 수신 포트에 의하여 획득된 등록된 모바일 장치와 관련된 통신 신호의 강도가 상기 동작 신호 범위에 있는지 여부에 따라 컴퓨터가 동작 모드와 절전 모드 사이에서 전환되며, 예를 들면 절전을 위하여 사용자가 컴퓨터를 떠났는지 여부에 따라 정확하게 결정된다.
10: 마더보드 11: 전원 포트
12: 전원 관리 제어부 13: 프로세서
14: RAM 15: 하드 디스크 포트
16: 블루투스 신호 수신 포트 17: 모니터 포트
20: 전원 공급부 30: 하드 디스크
40: 블루투스 송수신기 50: 모니터
100, 300: 컴퓨터 200: 모바일 장치

Claims (15)

  1. 블루투스 신호 수신 포트를 가지는 컴퓨터에 적용되는 컴퓨터 활성화 방법에 있어서,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동작을 멈추고 상기 컴퓨터가 절전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컴퓨터가 트리거 명령을 수신하는지 결정하는 단계;
    상기 블루투스 신호 수신 포트에 의하여 획득된 등록된 모바일 장치와 관련된 통신 신호의 강도가 동작 강도의 범위 내에 있는지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컴퓨터가 상기 트리거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통신 신호의 강도가 상기 동작 강도 범위 내에 있을 때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컴퓨터를 동작 모드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활성화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의 상기 절전 모드는 상기 컴퓨터가 상기 절전 모드에서 작동할 때의 최대 절전모드이고, 상기 블루투스 신호 수신 포트에 의하여 획득된 등록된 모바일 장치와 관련된 통신 신호의 강도가 동작 강도의 범위 내에 있는지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트리거 명령을 수신한 후에 수행되는 컴퓨터 활성화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의 상기 절전 모드는 상기 컴퓨터가 상기 절전 모드에서 작동할 때의 휴면 모드이고, 상기 모바일 장치의 상기 통신 신호는 상기 트리거 명령인 컴퓨터 활성화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가 상기 동작 모드에서 작동한 이후에 상기 컴퓨터에 미리 저장된 로그인 계정 및 로그인 패스워드에 따라 자동 로그인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활성화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신호 수신 포트는 USB 포트이고, 상기 USB 포트는 블루투스 신호 송수신기와 접속하는 컴퓨터 활성화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신호 수신 포트는 PCI 익스프레스 포트이고, 상기 PCI 익스프레스 포트는 블루투스 신호 송수신기와 접속하는 컴퓨터 활성화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신호 수신 포트는 소형 PCI 익스프레스 포트이고, 상기 소형 PCI 익스프레스 포트는 블루투스 신호 송수신기와 접속하는 컴퓨터 활성화 방법.
  8. 블루투스 신호 수신 포트를 가지는 컴퓨터에 적용되는 컴퓨터 절전 방법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신호 수신 포트의 블루투스 프로토콜에 의하여 모바일 장치가 상기 컴퓨터와 통신하고 상기 모바일 장치를 상기 컴퓨터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상기 컴퓨터를 동작 모드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할 경우, 상기 블루투스 신호 수신 포트에 의하여 획득된 등록된 모바일 장치와 관련된 통신 신호의 강도가 동작 강도의 범위 내에 있는지 결정하는 단계;
    상기 통신 신호의 강도가 상기 동작 강도의 범위 내에 있지 않을 때,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컴퓨터를 절전 모드에서 작동하도록 있도록 하는 단계;
    상기 컴퓨터의 상기 프로세서가 동작을 중단하고 상기 컴퓨터가 상기 절전 모드에서 작동할 때 상기 컴퓨터가 트리거 명령을 수신하는지 결정하는 단계;
    상기 블루투스 신호 수신 포트에 의하여 획득된 상기 등록된 모바일 장치와 관련된 상기 통신 신호의 강도가 상기 동작 강도의 범위 내에 있는지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컴퓨터가 트리거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통신 신호가 상기 동작 강도 범위 내에 있지 않을 때 상기 컴퓨터가 상기 동작 모드에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절전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의 절전 모드는 상기 컴퓨터가 상기 절전 모드에서 작동할 때의 최대 절전모드이고, 상기 블루투스 신호 수신 포트에 의하여 획득된 상기 등록된 모바일 장치와 관련된 상기 통신 신호의 강도가 상기 동작 강도의 범위 내에 있는지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트리거 명령을 수신한 후에 수행되는 컴퓨터 절전 방법.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의 상기 절전 모드는 상기 컴퓨터가 상기 절전 모드에서 작동할 때의 휴면 모드이고, 상기 모바일 장치의 상기 통신 신호는 상기 트리거 명령인 컴퓨터 절전 방법.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가 상기 동작 모드에서 작동한 이후에 상기 컴퓨터에 미리 저장된 로그인 계정 및 로그인 패스워드에 따라 자동 로그인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절전 방법.
  12.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신호 수신 포트는 USB 포트이고, 상기 USB 포트는 블루투스 신호 송수신기와 접속하는 컴퓨터 절전 방법.
  13.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신호 수신 포트는 PCI 익스프레스 포트이고, 상기 PCI 익스프레스 포트는 블루투스 신호 송수신기와 접속하는 컴퓨터 절전 방법.
  14.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신호 수신 포트는 소형 PCI 익스프레스 포트이고, 상기 소형 PCI 익스프레스 포트는 블루투스 신호 송수신기와 접속하는 컴퓨터 절전 방법.
  15.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가 상기 절전 모드에서 작동하도록 상기 프로세서를 비활성화시킨 후에 상기 컴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모니터를 끄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가 컴퓨터를 상기 동작 모드에서 작동하도록 한 후에 상기 컴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모니터를 켜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절전 방법.
KR1020180172477A 2018-07-20 2018-12-28 컴퓨터 절전 방법 및 컴퓨터 활성화 방법 KR1022450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7125114 2018-07-20
TW107125114A TWI667569B (zh) 2018-07-20 2018-07-20 電腦喚醒方法及電腦節電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995A true KR20200009995A (ko) 2020-01-30
KR102245049B1 KR102245049B1 (ko) 2021-04-29

Family

ID=68316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2477A KR102245049B1 (ko) 2018-07-20 2018-12-28 컴퓨터 절전 방법 및 컴퓨터 활성화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645650B2 (ko)
EP (1) EP3598269B1 (ko)
JP (1) JP6985243B2 (ko)
KR (1) KR102245049B1 (ko)
ES (1) ES2933101T3 (ko)
TW (1) TWI66756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5149B1 (ko) * 2021-04-05 2021-10-20 (주)이노소프트 블루투스 신호 세기를 이용한 컴퓨터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94374B2 (en) * 2019-07-30 2021-12-07 Dell Products L.P. Systems and methods for waking an information handling system from a wireless peripheral device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5463A (ko) * 2006-01-13 2007-07-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시스템 인증 장치 및 그 방법
KR20090045955A (ko) * 2007-08-20 2009-05-11 이상범 컴퓨터 절전 및 잠금 시스템.
KR20090127676A (ko) * 2008-06-09 2009-12-14 (주)엠투랩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개인용컴퓨터의 보안 시스템 및 그시스템에 의한 보안방법
KR20150068721A (ko) * 2013-12-12 2015-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50124027A (ko) * 2014-04-25 2015-11-05 전자부품연구원 무선 수신 신호 강도를 이용한 전원 공급 자동 제어 방법 및 시스템
JP2016164764A (ja) * 2015-03-06 2016-09-08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遠隔制御方法および遠隔制御プログラム
KR101657087B1 (ko) * 2015-07-20 2016-09-13 (주)지란지교소프트 비콘을 이용한 개인 인증 방법 및 시스템
KR20160125221A (ko) * 2015-04-21 2016-10-31 황태호 휴대 장치를 이용한 컴퓨터 보안과 에너지 절감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685062B1 (ko) * 2016-01-28 2016-12-09 주식회사 웰바스 대기전력의 자동차단과 자동복구 기능을 갖는 인공지능형 매입형 콘센트
KR20180048227A (ko) * 2016-10-31 2018-05-10 주식회사 테그웨이 피드백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하는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4149A (ja) * 1999-12-27 2001-07-06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動作状態制御方法
JP3512735B2 (ja) * 2000-11-30 2004-03-31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装置
JPWO2004107143A1 (ja) * 2003-05-29 2006-07-20 富士通株式会社 ワイヤレスディスプレイを有した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の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JP2005079765A (ja) * 2003-08-29 2005-03-24 Casio Comput Co Ltd 通信端末装置および通信情報処理のプログラム
JP2007133812A (ja) 2005-11-14 2007-05-31 Toppan Printing Co Ltd データ安全確保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携帯端末
JP4357500B2 (ja) 2006-05-29 2009-11-04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装置
CN101822107A (zh) * 2007-10-10 2010-09-01 诺基亚公司 在无线网络中提供改进的功率管理的装置、方法和计算机程序产品
US7915987B2 (en) * 2007-10-19 2011-03-29 Apple Inc. Acoustic noise reduction in power supply inductors
US8346234B2 (en) * 2008-11-08 2013-01-01 Absolute Software Corporation Secure platform management with power savings capacity
US8904212B2 (en) * 2009-11-20 2014-12-02 Plantronics, Inc. Power management utilizing proximity or link status determination
US20110185009A1 (en) * 2010-01-22 2011-07-28 Ours Technology Inc. Resource sharing devices
US8542833B2 (en) * 2010-06-12 2013-09-24 Bao Tran Systems and methods to secure laptops or portable computing devices
TW201205254A (en) * 2010-07-22 2012-02-01 Asustek Comp Inc Computer system with blue-tooth remote power management and related control method
CN102375527A (zh) * 2010-08-12 2012-03-14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触发电子装置执行对应功能的方法与系统
JP5865096B2 (ja) 2011-06-16 2016-02-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9672714B2 (en) * 2011-09-08 2017-06-06 Jordan Rivard Golomb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instructions remotely
MY179361A (en) * 2011-10-03 2020-11-05 Intel Corp Hiding boot latency from system users
TW201330569A (zh) * 2011-10-07 2013-07-16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整合使用載波聚集不同無線電存取技術方法及裝置
JP5994313B2 (ja) * 2012-03-21 2016-09-21 株式会社リコー 情報提供装置、伝送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4151925A1 (en) * 2013-03-15 2014-09-25 Proteus Digital Health, Inc. Re-wearable wireless device
US9357492B2 (en) * 2013-08-05 2016-05-31 Qualcomm Incorporated WLAN-capable remote control device
JP2016019125A (ja) 2014-07-08 2016-02-01 株式会社東芝 方法、電子機器、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6134726A (ja) 2015-01-19 2016-07-25 キヤノン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装置の制御方法、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240627B2 (ja) 2015-02-27 2017-11-29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情報処理装置および画面生成方法
EP3076645A1 (en) * 2015-04-03 2016-10-05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security mechanism on a mobile device
JP6740586B2 (ja) 2015-09-25 2020-08-1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US10318462B2 (en) * 2016-03-24 2019-06-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cure crypto module including optical glass security layer
US10067723B2 (en) * 2016-10-20 2018-09-04 Kabushiki Kaisha Toshiba System and method for beacon based device login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5463A (ko) * 2006-01-13 2007-07-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시스템 인증 장치 및 그 방법
KR20090045955A (ko) * 2007-08-20 2009-05-11 이상범 컴퓨터 절전 및 잠금 시스템.
KR20090127676A (ko) * 2008-06-09 2009-12-14 (주)엠투랩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개인용컴퓨터의 보안 시스템 및 그시스템에 의한 보안방법
KR20150068721A (ko) * 2013-12-12 2015-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50124027A (ko) * 2014-04-25 2015-11-05 전자부품연구원 무선 수신 신호 강도를 이용한 전원 공급 자동 제어 방법 및 시스템
JP2016164764A (ja) * 2015-03-06 2016-09-08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遠隔制御方法および遠隔制御プログラム
KR20160125221A (ko) * 2015-04-21 2016-10-31 황태호 휴대 장치를 이용한 컴퓨터 보안과 에너지 절감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657087B1 (ko) * 2015-07-20 2016-09-13 (주)지란지교소프트 비콘을 이용한 개인 인증 방법 및 시스템
KR101685062B1 (ko) * 2016-01-28 2016-12-09 주식회사 웰바스 대기전력의 자동차단과 자동복구 기능을 갖는 인공지능형 매입형 콘센트
KR20180048227A (ko) * 2016-10-31 2018-05-10 주식회사 테그웨이 피드백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하는 열적 피드백 제공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5149B1 (ko) * 2021-04-05 2021-10-20 (주)이노소프트 블루투스 신호 세기를 이용한 컴퓨터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933101T3 (es) 2023-02-01
TW202008109A (zh) 2020-02-16
EP3598269B1 (en) 2022-11-02
KR102245049B1 (ko) 2021-04-29
US20200029277A1 (en) 2020-01-23
EP3598269A1 (en) 2020-01-22
US10645650B2 (en) 2020-05-05
JP2020013533A (ja) 2020-01-23
TWI667569B (zh) 2019-08-01
JP6985243B2 (ja) 2021-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0993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aking up a processor
US9152199B2 (en) Power state dependent wake-up alarm
KR100316647B1 (ko) 웨이크 온 랜신호를 이용한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파워 제어방법및 그 장치
US6760850B1 (en) Method and apparatus executing power on self test code to enable a wakeup device for a computer system responsive to detecting an AC power source
KR102301639B1 (ko) SoC(System-on Chip), 그의 전력 관리 방법 및 전자 장치
US20120017101A1 (en) Bios Controlled Peripheral Device Port Power
US9411402B2 (en) Power control system and power control method
JP2010086068A5 (ko)
KR102245049B1 (ko) 컴퓨터 절전 방법 및 컴퓨터 활성화 방법
EP284350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CN112506576A (zh) 运行状态切换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2020107129A (ja) 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GB2466492A (en) A power saving device for instructing a computer to enter a standby state when a user leaves the vicinity of the device
US6851065B2 (en) System and method for executing resume tasks during a suspend routine
US20160085563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waking up operating system thereof
KR101978323B1 (ko) Gpio 포트를 활용한 효율적인 전력관리 장치 및 방법
US9207742B2 (en) Power saving operating method for an electronic device by disabling a connection port to a touch device before the touch device enters power-saving mode
JP6758365B2 (ja) 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1281416A (zh) 确保系统关机完成的方法
US20230244292A1 (en) Out-of-band transmissions of control signals
KR20210012114A (ko) 전원공급장치 내장형 컴퓨터 시스템의 절전장치 및 방법
TWI612428B (zh) 積體電路、電子裝置與其運作方法
CN110750151A (zh) 电脑唤醒方法及电脑节电方法
US11928478B2 (en) Tracking device state transitions
WO2022231602A1 (en) Electronic device power state contro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