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9938A - 급기장치 및 급기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급기장치 및 급기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09938A KR20200009938A KR1020180085036A KR20180085036A KR20200009938A KR 20200009938 A KR20200009938 A KR 20200009938A KR 1020180085036 A KR1020180085036 A KR 1020180085036A KR 20180085036 A KR20180085036 A KR 20180085036A KR 20200009938 A KR20200009938 A KR 2020000993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supply
- air
- exhaust device
- exhaust
- amou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2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system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28—Removing cooking fumes using an air curtai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9—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supplied ai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24F2011/000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for admittance of outside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시 발생하는 냄새가 싱크대 외측으로 퍼져나가 실내공간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급기장치는,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기하는 배기장치의 전방에 공기를 급기하도록 급기방향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급기구; 상기 급기구를 통해 실내로 공기를 급기하기 위해 구동되는 급기 송풍기; 상기 급기 송풍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급기장치 및 급기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공간의 오염된 공기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배기장치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급기장치 및 급기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방기기의 하나인 주방후드는 주방에 설치되어 주방에서 음식물의 조리시 발생하는 연소가스 및 음식냄새, 수증기 등을 외부로 배출시켜 주방의 공기 오염을 방지하는데 사용된다.
이와 같은 주방후드는 가스레인지, 전기레인지 등을 포함하는 주방기기의 상측부에 설치되고, 조리기기에서 발생되는 가스와 음식물 조리시 발생되는 가스를 배기팬을 이용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그러나 주방후드를 가동시키더라도 조리시 발생하는 연소가스 및 음식냄새의 일부는 배기팬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거실 등 실내로 확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배기팬을 계속 가동시키면 실내에는 음압이 형성되어 배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며, 이러한 상태로 지속적으로 배기팬을 가동시키면 소음과 진동이 점점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주방에서 발생한 냄새를 보다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배기팬의 용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배기팬의 용량이 커지면 배기팬의 크기가 커져 설치공간 및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배기팬의 크기가 커지면 배기팬 동작시 소비전력이 커지게 되어 전기요금이 증가하게 되며, 배기팬 동작시 진동 및 소음이 커져 쾌적한 주거환경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주방후드가 나타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265992호가 공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조리시 발생하는 냄새가 싱크대 외측으로 퍼져나가 실내공간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급기장치 및 급기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급기구에서 급기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내의 오염 상황에 따라 최적화된 급기각도를 구현할 수 있는 급기장치 및 급기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급기구에서 급기되는 급기량을 가변시킴으로써 불필요한 에너지 사용을 방지하여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급기장치 및 급기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급기장치는,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기하는 배기장치의 전방에 공기를 급기하도록 급기방향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급기구; 상기 급기구를 통해 실내로 공기를 급기하기 위해 구동되는 급기 송풍기; 상기 급기 송풍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급기구는 천장에 설치되어 상기 급기방향이 바닥을 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기구는 바닥에 설치되어 상기 급기방향이 천장을 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기방향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기방향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급기방향은 상기 배기장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상기 급기방향은 상기 배기장치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상기 급기방향을 상기 배기장치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변시킬 수 있는 급기방향 조절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기방향 조절부는 상기 급기방향이 수직방향으로부터 상기 배기장치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변시킴으로써 상기 배기장치의 전방에 공기를 경사지게 급기할 수 있다.
상기 급기방향 조절부는, 상기 공기의 급기방향을 형성하기 위한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가이드 구동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내 오염도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는 실내 오염도 정보 수신부가 구비되고; 상기 급기방향 조절부는, 상기 실내 오염도 정보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따라 상기 급기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급기구는 복수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급기구의 급기방향이 경사질 수 있다.
상기 급기구가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급기구 중 상기 배기장치에 가까운 위치의 제1급기구는 상기 급기방향이 상기 배기장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이 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급기구 중 상기 제1급기구보다 상기 배기장치로부터 먼 위치의 제2급기구는 상기 급기방향이 수직 방향 또는 상기 배기장치에 가까워지는 방향이 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기구를 통한 급기량을 조절하기 위한 급기량 조절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기량 조절부는, 상기 급기량을 제1급기량으로 설정하여 급기되도록 하고, 상기 제1급기량보다 급기량이 많은 제2급기량으로 상기 급기량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급기구에 일체로 구비된 실내기에 상기 급기 송풍기가 구비되고; 상기 급기량 조절부가 상기 급기 송풍기의 회전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급기방향에 따른 급기가 이루어지는 급기범위 내에서 싱크대가 벗어나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급기장치의 제어방법은, a) 급기 송풍기를 가동하는 단계; b)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기하는 배기장치의 전방에 공기를 급기하도록 급기방향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급기구를 통해 상기 급기 송풍기에 의해 공급된 공기를 실내로 급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c) 상기 b)단계의 실내 급기가 이루어진 후, 급기방향 조절부에 의해 상기 급기방향이 상기 배기장치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변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내 오염도에 대한 정보가 실내 오염도 정보 수신부에 수신되고; 급기방향 조절부에 의해 상기 실내 오염도 정보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따라 상기 급기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급기방향은, 상기 실내 오염도가 높을수록 상기 배기장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설정되고, 상기 실내 오염도가 낮은수록 상기 배기장치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급기구에서 급기되는 급기량을 제1급기량으로 설정하여 급기하고, 상기 제1급기량으로 설정된 조건으로 급기가 이루어진 후 상기 제1급기량보다 급기량이 많은 제2급기량으로 급기량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급기량이 배기장치에 의한 배기량보다 작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급기구가 복수인 경우 상기 배기장치에 가장 가까운 급기구에서의 급기량은 상기 배기장치에 의한 배기량보다 작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b)단계에서의 상기 급기방향은 상기 배기장치의 전방에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기장치의 전방에 공기를 경사지게 급기함으로써 조리시 발생하는 냄새가 싱크대 외측으로 퍼져나가 실내공간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또한, 급기구에서 급기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내의 오염 상황에 따라 최적화된 급기각도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급기구에서 급기되는 급기량을 가변시킴으로써 불필요한 에너지 사용을 방지하여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급기구 및 배기장치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2는 급기구에서 공기가 급기되는 급기범위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급기구 및 배기장치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급기구 및 배기장치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급기구 및 배기장치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급기구 및 배기장치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급기장치의 제어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천장에 구비된 급기구의 급기방향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경우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2는 급기구에서 공기가 급기되는 급기범위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급기구 및 배기장치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급기구 및 배기장치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급기구 및 배기장치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급기구 및 배기장치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급기장치의 제어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천장에 구비된 급기구의 급기방향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경우를 보여주는 측면도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급기장치(100)는,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기하는 배기장치(10)의 전방에 공기를 경사지게 급기하도록 급기방향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급기구(130), 상기 급기구(130)를 통해 실내로 공기를 급기하기 위해 구동되는 급기 송풍기(120; 도7), 상기 급기 송풍기(12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10; 도7)를 포함한다.
상기 배기장치(10)의 전면(H1)에서 우측 방향을 전방이라 하고, 그 반대방향인 좌측을 후방이라 한다.
상기 배기장치(10)는, 주방에 구비되어 레인지(20)를 이용하여 음식 조리시 가동되는 주방후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배기장치(10)를 가동시키면 배기 송풍기(11)가 가동되어,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배기덕트(15)를 통해 실외로 배기시킨다.
상기 급기장치(100)는, 에어컨, 냉난방기기, 환기장치와 같은 공기조화기로 구성된 경우 급기모드가 구비된다. 상기 급기모드 이외에도 환기, 공기청정, 제습, 가습, 냉방 및 난방모드 기능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기장치(100)는 배기장치(10)측에 구비되어, 배기장치(10) 가동시 급기 기능만을 수행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주방후드에는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기하는 배기 송풍기가 구비되고, 주방후드에 일체로 결합되거나 주방후드 근처에 별도로 설치된 급기장치에는 실외공기를 실내로 공급하기 위한 급기 송풍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기 송풍기는 급기구(130)에 연결되어 실외공기를 상기 급기구(130)를 통해 실내공간으로 급기되도록 한다.
상기 급기장치(100)의 급기 송풍기(120)에서 흡입된 실외공기는 덕트(101) 내부를 유동한 후 급기구(130)를 통해 실내공간으로 공급된다.
상기 급기구(130)는 배기장치(10)에 가까운 위치의 천장에 구비되어, 상기 급기구(130)에서 급기된 공기는 하향 흐름이 된다.
상기 급기구(130)에는 급기되는 공기의 급기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가이드(13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131)는 복수의 날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복수의 날개 사이로 공기가 급기된다. 상기 가이드(131)는 상단이 상기 배기장치(10) 측에 가깝고, 하단이 상기 배기장치(10)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진 상태로 상기 급기구(130)에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가이드(131) 구조로 인해 상기 급기구(130)에서 급기되는 공기의 급기방향은 상기 가이드(131)의 경사방향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131)는 일측단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어, 경사 방향을 조절하게 되면 상기 공기의 급기방향을 가변시킬 수 있다.
상기 급기구(130)에서 급기방향을 형성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가이드(131) 이외에도 다양한 구조로 변형 가능하다.
상기 배기장치(10)를 가동하게 되면, 상기 배기장치(10)에서 배기장치(10)와 레인지(20) 사이 흡입공간(S1)의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배기덕트(15)를 통해 실외로 배기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흡입공간(S1)의 오염된 공기가 배기장치(10)에 의해 흡입되면, 상기 흡입공간(S1)은 음압이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급기구(130)에서 급기된 공기는 배기장치(10)의 전방 바닥을 향해 배기장치(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급기되어 제1공기흐름(AF1)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급기구(130)에서 급기된 공기가 제1공기흐름(AF1)을 형성한 후 계속 하향 유동하여 상기 흡입공간(S1)의 전방에 다다르면, 상기 흡입공간(S1)의 음압으로 인해 상기 급기된 공기는 상기 배기장치(10) 또는 흡입공간(S1)를 향하는 방향으로 유동 방향이 바뀌어 제2공기흐름(AF2)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2공기흐름(AF2)은 흡입공간(S1)으로 유입되므로, 조리시 발생된 오염된 공기를 배기장치(10)를 통해 효율적으로 외부로 배기할 수 있고, 상기 오염된 공기가 싱크대(30) 외측으로 퍼져나가 실내공간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도 8에 나타난 구조와 대비하면 보다 명확해진다.
도 8을 참조하면, 급기구(130)는 배기장치(10)에 가까운 위치의 상부에 구비되고, 급기구(130)의 가이드(131)는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있다. 따라서 급기구(130)를 통해 분사된 공기는 수직방향으로 하향 유동한다.
상기 배기장치(10)와 레인지(20) 사이의 흡입공간(S1)에서 배기장치(10)의 전방측에는 난류공간(S2)이 형성된다. 상기 난류공간(S2)에는 조리시 발생한 오염된 공기가 난류를 형성하여 주변 공간으로 퍼지게 된다. 상기 급기구(130)에서 하향 유동한 공기는 상기 난류공간(S2)의 오염된 공기와 충돌하게 된다. 따라서 오염된 공기의 일부는 배기장치(10)를 통해 흡입되지 못하고, 실내공간으로 확산될 수 있다.
따라서 급기구(130)에서의 급기방향을 도 1과 같이 배기장치(10)의 전방에 경사지게 형성하게 되면, 급기구(130)에서 급기된 공기와 조리시 발생한 오염된 공기가 충돌하지 않으므로, 배기장치(10)의 전방에서 상기 배기장치(10) 또는 흡입공간(S1)을 향하는 제2공기흐름(AF2)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는 급기구(130)에서 공기가 급기될 때 분사되는 영역을 나타내는 급기범위(AR)가 평면도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급기범위(AR)의 좌우 방향의 폭은 급기구(130)에서 공기가 분사되는 부분의 형상, 분사각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급기범위(AR)의 좌우 방향의 폭이 큰 경우에는 급기구(130)의 분사각도가 큰 경우이고, 상기 급기범위(AR)의 좌우 방향의 폭이 작은 경우에는 급기구(130)의 분사각도가 작은 경우이다.
도 1에서와 같이 급기구(130)에서의 급기방향을 배기장치(10)의 전방에 경사지게 형성하더라도 급기구(130)에서의 급기범위(AR)에 따라 급기구(130)에서 분사된 공기의 일부가 난류공간(S2)에서 조리시 발생된 오염된 공기와 충돌할 수 있다. 따라서 급기구(130)에서의 분사각도를 고려하여 급기된 공기가 형성하는 급기범위(AR)가 레인지(20) 또는 싱크대(30)와 중첩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급기범위(AR)로부터 레인지(20) 또는 싱크대(30)가 벗어나 있도록 구성되어 급기된 공기와 오염된 공기가 충돌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기구(130)가 배기장치(10)의 전방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경우에는 상기 급기구(130)에서의 급기방향이 배기장치(1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우에도 급기범위(AR)에 따라 상기 급기구(130)에서 급기된 공기가 난류공간(S2)의 오염된 공기와 충돌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급기구(130)에서 급기된 급기량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상기 제2공기흐름(AF2)이 배기장치(10)의 전방에서 상기 배기장치(10) 또는 흡입공간(S1)을 향하지 않고 배기장치(10)의 전방에서 제1공기흐름(AF1)의 방향을 그대로 유지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상기 급기구(130)에서의 급기량을 적절하게 설정하면 배기장치(10)의 전방에서 상기 배기장치(10) 또는 흡입공간(S1)을 향하는 제2공기흐름(AF2)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급기구(130)에서 급기되는 급기량은 배기장치(10)의 전방에 약한 음압을 형성하기 위해 배기장치(10)에서 배기되는 배기량보다 작게 설정할 수 있다.
도 3에는 급기구(140)가 바닥에 설치된 구조가 나타나 있다.
상기 급기구(140)는 배기장치(10)에 가까운 위치의 바닥에 구비되어, 상기 급기구(140)에서 급기된 공기는 상향 흐름이 된다. 상기 급기구(140)에는 급기되는 공기의 급기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가이드(141)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141)는 배기장치(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상태로 급기구(140)에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상기 급기구(140)에서 급기된 공기는 배기장치(10)의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급기되어 제1공기흐름(AF1)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배기장치(10)의 가동에 의해 흡입공간(S1)의 오염된 공기가 배기장치(10)에 의해 흡입되면, 상기 흡입공간(S1)은 음압이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급기구(140)에서 급기된 공기가 제1공기흐름(AF1)을 형성한 후 계속 상향 유동하여 상기 흡입공간(S1)의 전방에 다다르면, 상기 흡입공간(S1)의 음압으로 인해 상기 급기된 공기는 상기 배기장치(10) 또는 흡입공간(S1)을 향하는 방향으로 유동 방향이 바뀌어 제2공기흐름(AF2)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2공기흐름(AF2)은 흡입공간(S1)으로 유입되므로, 조리시 발생된 오염된 공기를 배기장치(10)를 통해 효율적으로 외부로 배기할 수 있고, 오염된 공기가 실내공간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배기장치(10)의 전방 양측에 한 쌍의 급기구(150-1,150-2)가 구비되어 있다.
도 4는 평면도 상태를 나타낸 것이므로, 일측의 제1급기구(150-1)와 타측의 제2급기구(150-2)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급기방향이 설정되어 있다.
상기 제1급기구(150-1)에서 급기된 공기는 배기장치(10)의 전방으로 유동하여 제1공기흐름(AF1)을 형성하고, 배기장치(10)의 전방에서 배기장치(10)를 향하는 방향으로 유동 방향이 바뀌어 제2공기흐름(AF2)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급기구(150-2)에서 급기된 공기는 상기 제1급기구(150-1)에서 급기된 공기와 대향하는 방향의 제1공기흐름(AF1)을 형성하고, 배기장치(10)의 전방에서 배기장치(10)를 향하는 방향으로 유동 방향이 바뀌어 제2공기흐름(AF2)을 형성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1급기구(150-1)에서 급기된 공기에 의해 형성된 제2공기흐름(AF2)과 상기 제2급기구(150-2)에서 급기된 공기에 의해 형성된 제2공기흐름(AF2)은 일부가 중첩되도록 각각의 급기량을 설정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배기장치(10)로부터 가까운 위치와 먼 위치의 천장에 복수의 급기구(160-1,160-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배기장치(10)로부터 가까운 위치의 제3급기구(160-1)는 도 1에서 설명한 급기구(130)와 동일하다. 상기 배기장치(10)로부터 먼 위치의 제4급기구(160-2)는 급기방향이 수직방향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4급기구(160-2)에서 분사된 공기는 수직 방향으로 하향 유동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4급기구(160-2)는 그 급기방향이 제3급기구(160-1)와 동일하게 배기장치(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반대로, 상기 제4급기구(160-2)의 급기방향은 배기장치(1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제3급기구(160-1)에서의 급기량은 배기장치(10)의 배기량보다 작게 설정하고, 제4급기구(160-2)에서의 급기량은 배기장치(10)의 배기량보다 작거나 크게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3급기구(160-1)에서의 급기량은 제4급기구(160-2)에서의 급기량보다 작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3급기구(160-1)의 급기량과 제4급기구(160-2)의 급기량의 합은 배기장치(10)의 배기량보다 크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3급기구(160-1)에서 급기된 공기는 배기장치(10)의 전방에서 제2공기흐름(AF2)을 형성하여 흡입공간(S1)으로 유입되어 약한 음압이 형성됨으로 인해 오염된 공기가 실내공간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4급기구(160-2)에서 급기된 공기로 인해 조리시 발생된 오염된 공기를 배기장치(10)를 통해 효율적으로 외부로 배기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5에서 복수의 급기구(160-1,160-2)가 구비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제4급기구(160-2)만 구비된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4급기구(160-2)에서 급기된 공기의 급기범위 내에 배기장치(10)와 레인지(20) 및 싱크대(30)가 벗어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배기장치(10)의 전방 바닥을 향해 급기가 이루어지도록 하면, 제4급기구(160-2)에서 급기된 공기는 바닥에 충돌한 후 배기장치(10) 방향으로 유동이 발생하여 오염된 공기가 실내의 다른 공간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급기구(160-2)는 바닥에 설치되어 천장을 향해 급기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급기구(170)가 배기장치(10)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떨어진 위치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급기구(170)는 실내기(180)에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내기(180)에는 공기를 실내로 급기하기 위한 급기 송풍기(미도시), 상기 급기 송풍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터, 실내 환경을 감지하기 위한 실내환경 감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기구(170)에는 급기방향을 형성하기 위한 가이드(171)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171)의 각도를 가변시키기 위한 가이드 구동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급기구(170)의 급기방향은 수직 방향이 되도록 구성되어 급기구(170)에서 급기된 공기는 수직 하향 흐름의 유동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급기구(170)의 급기방향은 배기장치(10)에 가까워지는 방향이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급기구(170)의 급기방향은 수직 방향에서 배기장치(1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급기방향 조절부(113)에 의해 가변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급기장치(100)의 제어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급기 송풍기(120)는 실외공기를 흡입하여 실내로 공급한다. 이 경우 상기 급기 송풍기(120)는 실외공기 대신 다른 실내공간의 공기를 흡입하여 주방으로 공급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급기장치(100)는, 급기장치(100)를 가동시키기 위한 급기신호를 발생시키는 급기신호 발생부(1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급기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급기신호 수신부(111), 상기 급기구(130,140,150-1,150-2,160-1,160-2,170)를 통해 급기되는 급기량을 조절하기 위한 급기량 조절부(112), 상기 급기되는 공기의 급기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급기방향 조절부(113), 실내 오염도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는 실내 오염도 정보 수신부(114), 상기 배기장치(10)의 가동에 따른 배기량 정보를 저장하는 배기량 정보 저장부(115), 상기 배기장치(10)의 가동에 따른 배기량 정보를 수신하는 배기량 정보 수신부(1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기량 조절부(112)는, 급기 송풍기(120)의 회전수를 가변시켜 급기량을 조절할 수도 있고, 덕트(101)를 개폐하는 댐퍼의 개도를 조절함으로써 덕트(101)를 통과하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급기장치(100)를 처음 설치할 때 상기 덕트(101)의 댐퍼의 개도를 설정하고, 급기 송풍기(120)의 회전수를 가변시키면서, 급기구(130,140,150-1,150-2,160-1,160-2,170) 각각에서 원하는 급기량이 공급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급기구(130,140,150-1,150-2,160-1,160-2,170)에서의 급기량은 덕트의 길이, 덕트가 굽어진 정도 등 덕트의 설치상태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이렇게 급기량이 확인되면, 상기 원하는 급기량이 공급되는 시점에서의 급기 송풍기(120)의 회전수를 설정한다. 이렇게 급기 송풍기(120)의 회전수가 고정된 값으로 설정되면, 급기시 상기 설정된 회전수로 급기 송풍기(120)가 가동된다.
상기 급기방향 조절부(113)는 급기방향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 구동부에 구동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실내 오염도 정보 수신부(114)에는 실내 오염도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고, 상기 급기방향 조절부(113)는 상기 실내 오염도 정보 수신부(114)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따라 상기 급기구(130,140,150-1,150-2,160-1,160-2,170)의 급기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배기량 정보 저장부(115)는 배기장치(10)의 배기량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배기량에 대한 정보는 배기량 정보 저장부(115)에 미리 입력되어 저장될 수도 있고, 배기장치(10)로부터 배기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배기장치(10)와 급기장치(100)는 통신부(미도시)에 의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상기 배기장치(10)의 배기량은 조리자가 배기장치(10)에서 가동세기를 조절함으로써 가변될 수 있다. 이러한 배기량에 대한 정보는 배기량 정보 수신부(116)에 수신되어, 배기량 정보 저장부(115)에 저장되고, 상기 급기장치(100)는 상기 저장된 배기량 정보에 따라 급기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배기장치(10)는, 조리자의 선택에 의해 수동으로 가동될 수도 있고, 실내환경정보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가동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실내환경정보로는 일례로, 실내 공기의 오염도가 될 수 있다.
상기 배기장치(10)가 자동으로 가동되는 경우, 상기 실내의 환경정보를 감지하는 실내환경 감지부(미도시)로부터 감지된 신호가 배기장치(10)의 제어부에 수신된 경우 상기 배기장치(10)가 가동될 수 있다.
상기 실내환경 감지부는, 일례로 냄새 또는 가스를 감지하고, 그 감지신호에 의해 배기장치(10)가 자동으로 동작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내환경 감지부에서 감지된 공기의 오염도에 따라 배기장치(10)의 가동 세기를 결정할 수도 있다.
상기 급기장치(100)와 배기장치(10)는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연동하지 않고 개별적으로 동작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급기장치(100)와 배기장치(10)가 연동하여 동작하는 경우, 상기 급기장치(100)와 배기장치(10)는 유무선 통신에 의해 제어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급기장치(100)에서 배기장치(10)를 가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배기장치(10)에서 상기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배기 송풍기(11)가 동작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배기장치(10)에서 급기장치(100)를 가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급기장치(100)에서 상기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급기 송풍기(120)가 동작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급기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조리자가 주방에서 조리하면, 오염된 공기를 실외로 배기하기 위해 배기장치(10)가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가동된다.
상기 배기장치(10)의 가동에 따라 급기장치(100)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가동된다. 즉, 급기신호 발생부(101)에서 급기신호가 수동 또는 자동으로 발생하고, 상기 급기신호 수신부(111)에 상기 급기신호가 수신되면, 급기 송풍기(120)를 가동시킨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급기구(130,140,150-1,150-2,160-1,160-2,170)를 통해 급기가 이루어짐으로써, 오염된 공기를 신속히 배기장치(10)를 통해 실외로 배기할 수 있어 오염된 공기가 실내공간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급기구(130,140,150-1,150-2,160-1)는 공기를 배기장치(10)의 전방에 경사지게 급기하도록 급기방향이 형성되어 있고, 도 6의 급기구(170)는 일정 시간 가동 후 급기방향이 배기장치(10)의 전방에 경사지게 급기하도록 급기방향이 설정된다.
상기 급기구(130,140,150-1,150-2,160-1,170)에서의 급기량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급기구(130,140,150-1,150-2,160-1,170)에서 급기되는 공기의 급기량은 급기장치(100)의 가동 초기에 제1급기량으로 설정되고, 급기장치(100)의 가동이 일정 시간 이루어진 후에는 후술하는 급기량 조절부(112)에서 제1급기량보다 급기량이 많은 제2급기량으로 급기량이 변경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급기장치(100)의 가동 초기에는 배기장치(10)의 전방 공간이 약한 음압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제1급기량으로 급기한다. 그 후 배기가 일정시간 이루어진 후에는 배기장치(10)에 의한 배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제1급기량보다 많은 제2급기량으로 급기한다.
상기와 같이 배기장치(10)의 전방 공간이 약한 음압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배기장치(10)에서 배기되는 배기량보다 상기 급기구(130,140,150-1,150-2,160-1,170)에서 이루어지는 급기량이 더 작아야 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급기구(170)의 경우 급기방향이 급기방향 조절부(113)에 의해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급기장치(100)의 가동 초기에는 상기 급기방향을 수직 방향이 되도록 하여 급기된 공기가 수직 하향 흐름이 되도록 한다. 즉, 급기방향이 오염원인 레인지(20)로부터 먼 위치가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급기방향을 설정하게 되면 오염된 공기가 실내공간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급기구(170)에서 급기되는 공기의 급기량은 급기구(170)와 배기장치(10) 사이의 공간이 약한 음압 상태가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급기구(170)와 배기장치(10) 사이의 공간이 약한 음압 상태가 되면 배기장치(10)에서 배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급기장치(100)의 가동 후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면, 상기 가이드 구동부를 구동시켜 가이드(171)의 방향을 배기장치(10)에 가까워지도록 가변시킨다. 즉, 급기방향이 오염원인 레인지(20)에 가까워지도록 가변된다.
이와 같이 급기방향을 레인지(20)에 가까워지도록 가변시키면, 배기장치(10)를 통한 배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져, 배기장치(10)를 낮은 세기로 가동하더라도 실내 오염물질의 농도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으며, 배기장치(10)를 낮은 세기로 가동시킴으로 인해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상기 급기방향을 가변시키기 위한 상기 설정된 조건은, 급기장치(100)의 가동 후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할 수도 있고, 실내의 오염도가 설정된 기준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 실내 오염도를 기준으로 급기방향을 가변하는 경우에는, 실내의 오염도를 실내 오염도 정보 수신부(114)에서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상기 실내 오염도 정보 수신부(114)에 수신된 정보에 따라 급기방향 조절부(113)에서 급기방향이 조절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실내 오염도가 높을수록 배기장치(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급기방향이 설정되고, 실내 오염도가 낮을수록 배기장치(1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급기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실내 오염도가 높은 경우 오염된 공기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배기장치(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급기를 하고, 실내 오염도가 낮은 경우 배기장치(10)에서의 원활한 배기를 위해 배기장치(1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급기를 한다.
이러한 급기방향 조절 기능은 다른 도면에 나타난 급기구(130,140,150-1,150-2,160-1,160-2)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조리자가 배기장치(10)의 가동세기를 1단에서 2단 또는 3단으로 변경하는 등 가동세기를 높이거나, 2단 또는 3단에서 1단으로 변경하는 등 가동세기를 낮추는 경우에는 급기구(130,140,150-1,150-2,160-1,160-2,170)의 급기량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상기 배기장치(10)에서 배기 송풍기(11)의 가동세기에 대한 정보가 송신되어 상기 급기장치(100)의 배기량 정보 수신부(116)에 수신되면, 급기량 조절부(112)는 상기 배기 송풍기(11)의 가동세기에 대응하는 급기량으로 급기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급기 송풍기(120)에서의 급기량을 조절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10 : 배기장치
11 : 배기 송풍기
15 : 배기덕트 20 : 레인지
30 : 싱크대 100 : 급기장치
101 : 덕트 101 : 급기신호 발생부
110 : 제어부 111 : 급기신호 수신부
112 : 급기량 조절부 113 : 급기방향 조절부
114 : 실내 오염도 정보 수신부 115 : 배기량 정보 저장부
116 : 배기량 정보 수신부 120 : 급기 송풍기
130,140,150-1,150-2,160-1,160-2,170 : 급기구
131,141,171 : 가이드
15 : 배기덕트 20 : 레인지
30 : 싱크대 100 : 급기장치
101 : 덕트 101 : 급기신호 발생부
110 : 제어부 111 : 급기신호 수신부
112 : 급기량 조절부 113 : 급기방향 조절부
114 : 실내 오염도 정보 수신부 115 : 배기량 정보 저장부
116 : 배기량 정보 수신부 120 : 급기 송풍기
130,140,150-1,150-2,160-1,160-2,170 : 급기구
131,141,171 : 가이드
Claims (25)
-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기하는 배기장치의 전방에 공기를 급기하도록 급기방향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급기구;
상기 급기구를 통해 실내로 공기를 급기하기 위해 구동되는 급기 송풍기;
상기 급기 송풍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를 포함하는 급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구는 천장에 설치되어 상기 급기방향이 바닥을 향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구는 바닥에 설치되어 상기 급기방향이 천장을 향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방향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방향은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방향은 상기 배기장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방향은 상기 배기장치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방향을 상기 배기장치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변시킬 수 있는 급기방향 조절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방향 조절부는 상기 급기방향이 수직방향으로부터 상기 배기장치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변시킴으로써 상기 배기장치의 전방에 공기를 경사지게 급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방향 조절부는, 상기 공기의 급기방향을 형성하기 위한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가이드 구동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실내 오염도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는 실내 오염도 정보 수신부가 구비되고;
상기 급기방향 조절부는, 상기 실내 오염도 정보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따라 상기 급기방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급기구는 복수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급기구의 급기방향이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구가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급기구 중 상기 배기장치에 가까운 위치의 제1급기구는 상기 급기방향이 상기 배기장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이 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급기구 중 상기 제1급기구보다 상기 배기장치로부터 먼 위치의 제2급기구는 상기 급기방향이 수직 방향 또는 상기 배기장치에 가까워지는 방향이 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구를 통한 급기량을 조절하기 위한 급기량 조절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량 조절부는, 상기 급기량을 제1급기량으로 설정하여 급기되도록 하고, 상기 제1급기량보다 급기량이 많은 제2급기량으로 상기 급기량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구에 일체로 구비된 실내기에 상기 급기 송풍기가 구비되고;
상기 급기량 조절부가 상기 급기 송풍기의 회전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방향에 따른 급기가 이루어지는 급기범위 내에서 싱크대가 벗어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장치 - a) 급기 송풍기를 가동하는 단계;
b)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기하는 배기장치의 전방에 공기를 급기하도록 급기방향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급기구를 통해 상기 급기 송풍기에 의해 공급된 공기를 실내로 급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급기장치의 제어방법 - 제18항에 있어서,
c) 상기 b)단계의 실내 급기가 이루어진 후, 급기방향 조절부에 의해 상기 급기방향이 상기 배기장치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변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장치의 제어방법 - 제18항에 있어서,
실내 오염도에 대한 정보가 실내 오염도 정보 수신부에 수신되고;
급기방향 조절부에 의해 상기 실내 오염도 정보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따라 상기 급기방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장치의 제어방법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방향은, 상기 실내 오염도가 높을수록 상기 배기장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설정되고, 상기 실내 오염도가 낮은수록 상기 배기장치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장치의 제어방법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구에서 급기되는 급기량을 제1급기량으로 설정하여 급기하고, 상기 제1급기량으로 설정된 조건으로 급기가 이루어진 후 상기 제1급기량보다 급기량이 많은 제2급기량으로 급기량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장치의 제어방법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량이 배기장치에 의한 배기량보다 작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장치의 제어방법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구가 복수인 경우 상기 배기장치에 가장 가까운 급기구에서의 급기량은 상기 배기장치에 의한 배기량보다 작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장치의 제어방법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의 상기 급기방향은 상기 배기장치의 전방에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장치의 제어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85036A KR102311159B1 (ko) | 2018-07-20 | 2018-07-20 | 급기장치 및 급기장치의 제어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85036A KR102311159B1 (ko) | 2018-07-20 | 2018-07-20 | 급기장치 및 급기장치의 제어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09938A true KR20200009938A (ko) | 2020-01-30 |
KR102311159B1 KR102311159B1 (ko) | 2021-10-13 |
Family
ID=69321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85036A KR102311159B1 (ko) | 2018-07-20 | 2018-07-20 | 급기장치 및 급기장치의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11159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183900A (zh) * | 2021-12-09 | 2022-03-15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空气调节系统控制方法、装置及空气调节系统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039599A (ja) * | 2000-07-25 | 2002-02-06 | Osaka Gas Co Ltd | 換気システム及び換気用制御装置及び換気方法 |
JP2003120980A (ja) * | 2001-10-11 | 2003-04-23 | Yoshinori Sano | 局所排気装置 |
JP2008070049A (ja) * | 2006-09-14 | 2008-03-27 | Toto Ltd | レンジフード |
JP2010139223A (ja) * | 2008-12-15 | 2010-06-24 | Toto Ltd | 排気送風システム及び排気送風システムの運転方法 |
-
2018
- 2018-07-20 KR KR1020180085036A patent/KR10231115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039599A (ja) * | 2000-07-25 | 2002-02-06 | Osaka Gas Co Ltd | 換気システム及び換気用制御装置及び換気方法 |
JP2003120980A (ja) * | 2001-10-11 | 2003-04-23 | Yoshinori Sano | 局所排気装置 |
JP2008070049A (ja) * | 2006-09-14 | 2008-03-27 | Toto Ltd | レンジフード |
JP2010139223A (ja) * | 2008-12-15 | 2010-06-24 | Toto Ltd | 排気送風システム及び排気送風システムの運転方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183900A (zh) * | 2021-12-09 | 2022-03-15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空气调节系统控制方法、装置及空气调节系统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11159B1 (ko) | 2021-10-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245243B2 (ja) | 換気システム | |
KR101261322B1 (ko) | 독립된 공간의 개별환기를 위한 환기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환기방법 | |
KR20200114830A (ko) | 배기장치와 그 제어방법, 급기장치와 그 제어방법 | |
CN209763398U (zh) | 供气系统 | |
KR101241529B1 (ko) | 이중관 구조를 이용한 다기능 공기순환장치 | |
KR20200009938A (ko) | 급기장치 및 급기장치의 제어방법 | |
KR20210006608A (ko) | 팬 분리형 렌지후드를 이용한 세대환기시스템 | |
KR102227556B1 (ko) | 급기장치 및 급기장치의 제어방법 | |
JP6387515B2 (ja) | 空調システム | |
KR20160036467A (ko) | 환기겸용 욕실 천장형 전기온풍기 | |
KR102216720B1 (ko) | 급기 시스템 및 급기 방법 | |
KR102350717B1 (ko) | 공기조화기 | |
KR102248315B1 (ko) | 급기장치 및 급기장치의 제어방법 | |
JP2006230228A (ja) | 排気機能を備えたラック式オーブン | |
KR20190005733A (ko) | 실내 배기장치와 급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KR102345137B1 (ko) | 급기장치 및 급기장치의 제어방법 | |
JP2013057473A (ja) | 浴室暖房乾燥機 | |
KR102491975B1 (ko) |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 |
KR102058287B1 (ko) | 건물의 환기시스템 | |
JP2002243232A (ja) | 台所用換気システム | |
KR102260499B1 (ko) | 급기장치 및 이에 연동된 실내 배기장치의 제어방법 | |
KR102395958B1 (ko) | 급속 주방공기 청정 시스템 | |
KR20190005734A (ko) | 실내 배기장치와 급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JP4369801B2 (ja) | 換気装置 | |
KR20090116300A (ko) | 공기조화기의 제습운전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