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8315B1 - 급기장치 및 급기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급기장치 및 급기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8315B1
KR102248315B1 KR1020180082584A KR20180082584A KR102248315B1 KR 102248315 B1 KR102248315 B1 KR 102248315B1 KR 1020180082584 A KR1020180082584 A KR 1020180082584A KR 20180082584 A KR20180082584 A KR 20180082584A KR 102248315 B1 KR102248315 B1 KR 102248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upply
air
supply port
exhaust
exhaus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2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8458A (ko
Inventor
김창훈
김일형
박현배
이강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to KR1020180082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8315B1/ko
Publication of KR20200008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84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8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8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2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71Removing cooking fumes mounting of cooking hoo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시 발생하는 냄새가 실내공간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급기장치 및 급기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급기장치는,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기하는 배기장치의 전방으로서, 상기 배기장치의 측면 외측에 적어도 일부가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급기구; 상기 급기구를 통해 실내로 공기를 급기하기 위한 급기 송풍기; 상기 급기 송풍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급기장치 및 급기장치의 제어방법{Apparatus for air supply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급기장치 및 급기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공간의 오염된 공기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배기장치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급기장치 및 급기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방기기의 하나인 주방후드는 주방에 설치되어 주방에서 음식물의 조리시 발생하는 연소가스 및 음식냄새, 수증기 등을 외부로 배출시켜 주방의 공기 오염을 방지하는데 사용된다.
이와 같은 주방후드는 가스레인지, 전기레인지 등을 포함하는 주방기기의 상측부에 설치되고, 조리기기에서 발생되는 가스와 음식물 조리시 발생되는 가스를 배기팬을 이용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그러나 주방후드를 가동시키더라도 조리시 발생하는 연소가스 및 음식냄새의 일부는 배기팬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거실 등 실내로 확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배기팬을 계속 가동시키면 실내에는 음압이 형성되어 배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며, 이러한 상태로 지속적으로 배기팬을 가동시키면 소음과 진동이 점점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주방에서 발생한 냄새를 보다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배기팬의 용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배기팬의 용량이 커지면 배기팬의 크기가 커져 설치공간 및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배기팬의 크기가 커지면 배기팬 동작시 소비전력이 커지게 되어 전기요금이 증가하게 되며, 배기팬 동작시 진동 및 소음이 커져 쾌적한 주거환경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주방후드가 나타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265992호가 공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조리시 발생하는 냄새가 실내공간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급기장치 및 급기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급기구에서 급기되는 공기로 인해 조리자에게 불쾌감을 야기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급기장치 및 급기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기장치를 낮은 세기로 가동하더라도 실내 오염물질의 농도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고, 배기장치를 가동시키기 위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급기장치 및 급기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기장치의 가까운 제1영역에는 음압을 형성하여 오염된 공기의 실내 확산을 방지하고, 배기장치로부터 떨어진 제2영역에는 제1영역보다 높은 압력을 유지함으로써 배기장치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급기장치 및 급기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급기장치는,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기하는 배기장치의 전방으로서, 상기 배기장치의 측면 외측에 적어도 일부가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급기구; 상기 급기구를 통해 실내로 공기를 급기하기 위한 급기 송풍기; 상기 급기 송풍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급기구에서의 급기방향은 상기 배기장치의 전면의 적어도 일부와 일측면을 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급기구는, 상기 배기장치의 양측면 외측에 각각 구비된 제1 급기구와 제2 급기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급기구와 제2 급기구는 상기 배기장치의 전후방향의 중심선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급기구와 배기장치 사이의 직선거리와, 상기 제2 급기구와 배기장치 사이의 직선거리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 급기구에서 급기되는 공기와 제2 급기구에서 급기되는 공기가 상기 배기장치의 전면 중앙부에서 일정구간 중첩되도록 상기 제1 급기구와 제2 급기구의 급기방향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급기구와 배기장치 사이의 직선거리와, 상기 제2 급기구와 배기장치 사이의 직선거리가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급기구를 통한 급기량을 조절하기 위한 급기량 조절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기 송풍기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복수의 실내공간으로 분배하기 위한 복수의 댐퍼가 구비되고; 상기 급기량 조절부는, 상기 급기구로 공급되는 급기량이 조절되도록 상기 복수의 댐퍼의 개도를 조절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배기장치의 가동에 따른 배기량 정보를 저장하는 배기량 정보 저장부가 구비되고; 상기 배기량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배기량 정보에 대응하는 급기량으로 상기 급기구를 통해 실내로 급기할 수 있다.
상기 배기량은 고정된 값으로 상기 배기량 정보 저장부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배기장치의 가동에 따른 배기량 정보를 수신하는 배기량 정보 수신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배기량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급기량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급기구는, 상기 배기장치의 전면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형성된 제1전후영역에 구비되고; 상기 배기장치의 전면으로부터 상기 제1전후영역보다 먼 거리에 형성된 제2전후영역에 급기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급기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기구에는, 상기 배기장치를 향해 급기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공기의 급기방향을 형성하기 위한 가이드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는 경사 방향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배기장치의 전면과 양 측면 중 하나 이상에서 하 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하여 에어커튼을 형성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급기장치는,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기하는 배기장치의 전방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급기구; 상기 급기구를 통해 실내로 공기를 급기하기 위해 구동되는 급기 송풍기; 상기 급기 송풍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급기장치의 제어방법은, a) 급기 송풍기를 가동하는 단계; b) 배기장치의 전방으로서, 상기 배기장치의 측면 외측에 적어도 일부가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급기구를 통해 상기 급기 송풍기에 의해 공급된 공기를 실내로 급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급기구의 급기량은 상기 배기장치의 배기량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급기구는, 상기 배기장치의 양측면 외측에 각각 구비된 제1 급기구와 제2 급기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급기구와 상기 배기장치 사이의 거리가 상기 제2 급기구와 상기 배기장치 사이의 거리와 동일한 경우에는 상기 제1 급기구에서 급기되는 급기량과 상기 제2 급기구에서 급기되는 급기량이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급기구와 상기 배기장치 사이의 거리가 상기 제2 급기구와 상기 배기장치 사이의 거리와 상이한 경우에는 상기 배기장치로부터의 거리가 먼 급기구의 급기량이 상기 배기장치로부터의 거리가 가까운 급기구의 급기량보다 많은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급기구의 급기량과 상기 제2 급기구의 급기량의 합이 상기 배기장치의 배기량보다 작은 것일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급기구는, 상기 배기장치의 전면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형성된 제1전후영역에 구비되고; 상기 배기장치의 전면으로부터 상기 제1영역보다 먼 거리에 형성된 제2전후영역에 급기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급기구가 구비되고; 상기 제1전후영역에 구비된 급기구의 급기량과 상기 제2전후영역에 구비된 급기구의 급기량의 합은 상기 배기장치의 배기량보다 큰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전후영역에 구비된 급기구의 급기량과 상기 제2전후영역에 구비된 급기구의 급기량은 각각 상기 배기장치의 배기량보다 작은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전후영역에 구비된 급기구의 급기량보다 상기 제2전후영역에 구비된 급기구의 급기량이 더 큰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전후영역에 구비된 급기구를 통해 급기된 공기가 상기 배기장치에 먼저 도달하고, 상기 제2전후영역에 구비된 급기구를 통해 급기된 공기가 상기 배기장치에 나중에 도달할 수 있다.
상기 배기장치의 가동에 따른 배기량이 배기량 정보 수신부에 수신되고; 제어부는 상기 배기량이 가변되는 경우 그에 대응하여 상기 급기량이 가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리시 발생하는 냄새가 실내공간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또한, 급기구에서 급기되는 공기로 인해 조리자에게 불쾌감을 야기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기장치를 낮은 세기로 가동하더라도 실내 오염물질의 농도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고, 배기장치를 낮은 세기로 가동시킴으로 인해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배기장치의 가까운 제1영역에는 음압을 형성하여 오염된 공기의 실내 확산을 방지하고, 배기장치로부터 떨어진 제2영역에는 제1영역보다 높은 압력을 유지함으로써 배기장치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급기장치 및 배기장치의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급기구 및 배기장치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급기구 및 배기장치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급기구와 배기장치 사이의 거리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급기구에서 배기장치를 향하여 공기가 급기되는 영역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급기구의 설치를 위한 제1각도의 최소각도와 최대각도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급기구의 가이드가 작은 각도로 설치된 경우와 큰 각도로 설치된 경우를 각각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급기구의 설치를 위한 제2각도의 최소각도와 최대각도를 나타낸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급기장치의 제어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배기장치에서 에어커튼이 형성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와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급기구와 배기장치에 차단판이 구비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급기장치(100)는,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기하는 배기장치(10)의 전방으로서, 상기 배기장치(10)의 측면 외측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급기구(130,140)를 포함한다.
상기 배기장치(10)는, 주방에 구비되어 레인지(20; 도 2)를 이용하여 음식 조리시 가동되는 주방후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배기장치(10)를 가동시키면 배기 송풍기(11; 도 3)가 가동되어,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배기덕트(15)를 통해 실외로 배기시킨다.
상기 배기장치(10)는, 조리자의 선택에 의해 수동으로 가동될 수도 있고, 실내환경정보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가동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실내환경정보로는 일례로, 실내 공기의 오염도가 될 수 있다.
상기 배기장치(10)가 자동으로 가동되는 경우, 상기 실내의 환경정보를 감지하는 실내환경 감지부(미도시)로부터 감지된 신호가 배기장치(10)의 제어부에 수신된 경우 상기 배기장치(10)가 가동될 수 있다.
상기 실내환경 감지부는, 일례로 냄새 또는 가스를 감지하고, 그 감지신호에 의해 배기장치(10)가 자동으로 동작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내환경 감지부에서 감지된 공기의 오염도에 따라 배기장치(10)의 가동 세기를 결정할 수도 있다.
상기 급기장치(100)는, 에어컨, 냉난방기기, 환기장치와 같은 공기조화기로 구성된 경우 급기모드가 구비된다. 상기 급기모드 이외에도 환기, 공기청정, 제습, 가습, 냉방 및 난방모드 기능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기장치(100)는 배기장치(10)측에 구비되어, 배기장치(10) 가동시 급기 기능만을 수행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주방후드에는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기하는 배기 송풍기가 구비되고, 주방후드에 일체로 결합되거나 주방후드 근처에 별도로 설치된 급기장치에는 실외공기를 실내로 공급하기 위한 급기 송풍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기 송풍기는 급기구(130,140,150)에 연결되어 실외공기를 상기 급기구(130,140,150)를 통해 실내공간으로 급기되도록 한다.
상기 급기장치(100)의 급기 송풍기(120; 도 9)에서 흡입된 실외공기는 덕트(101)를 통해 분배기(102)로 유동하고, 상기 분배기(102)에서는 거실, 주방, 방, 화장실 등 각각의 실내공간으로 공기를 분배하여 공급하고, 상기 분배기(102)에서 분배된 공기는 급기구(130,140,150,160,170,180)를 통해 상기 각각의 실내공간으로 공급된다.
상기 분배기(102) 내부에는 덕트(101)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를 각각의 실내공간으로 공기를 분배하기 위해 복수의 댐퍼(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급기를 하고자 하는 실내공간에 대응하는 댐퍼를 개방시키면 이에 연결된 급기구(130,140,150,160,170,180)를 통해 공기가 급기된다. 또한, 상기 댐퍼의 개도를 조절하면 각각의 실내공간으로 급기되는 급기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분배기(102)가 구비된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분배기(102) 없이 덕트(101)만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급기구(130,140,150,160,170,180)는 천장에 구비될 수도 있고, 바닥에 구비될 수도 있다. 특히 주방의 경우 배기장치(10)에 인접한 위치의 바닥에 급기구가 구비되어 상방향으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천장과 바닥에 한정되지 않고 실외공기를 실내로 급기시킬 수 있는 위치이면 다른 위치에도 설치 가능하다.
또한, 상기에서는 급기장치(100)와 덕트(101)가 연결된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덕트(101)가 연결되지 않고 급기장치(100)가 실내에 구비되어 급기장치(100)에 일체로 구비된 급기구를 통해 급기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급기장치(100)가 공기조화기로 구성되지 않고, 배기장치(10) 측에 구비되어 급기 기능만 수행하는 경우에는, 분배기가 배기장치(10) 측에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급기구(130,140,150)에 공급되는 공기를 분배하게 된다.
상기 급기장치(100)와 배기장치(10)는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연동하지 않고 개별적으로 동작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급기장치(100)와 배기장치(10)가 연동하여 동작하는 경우, 상기 급기장치(100)와 배기장치(10)는 유무선 통신에 의해 제어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급기장치(100)에서 배기장치(10)를 가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배기장치(10)에서 상기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배기 송풍기(11)가 동작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배기장치(10)에서 급기장치(100)를 가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급기장치(100)에서 상기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급기 송풍기가 동작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급기구(130,140,150,160,170,180) 중 조리시 배기장치(10)의 가동과 함께 공기를 급기하기 위한 제1 내지 제3 급기구(130,140,15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1 급기구(130)와 제2 급기구(140)는, 배기장치(10)의 전방으로서, 상기 배기장치(10)의 측면 외측에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3 급기구(150)는 배기장치(10)로부터 상기 제1, 제2 급기구(130,140)보다 더 먼 위치에 구비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20은 화장실에 구비된 배기장치(20)를 나타낸다.
도 2는 배기장치(10)와 급기구(130,140)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다.
배기장치(10)의 하부에 가스 또는 전기 레인지(2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배기장치(10)의 전면(H1), 양 측면(H2,H3)에서 각각 연장되는 가상의 직선을 그리면, 빗금으로 표시된 2개의 영역(A1,A2)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배기장치(10)의 전면(H1)에서 후술하는 제3 급기구(150)가 위치한 방향을 전방이라 하고, 그 반대방향을 후방이라 한다.
상기 2개의 영역(A1,A2) 중 전면(H1)으로부터 왼쪽으로 연장된 직선과 제1측면(H2)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된 직선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을 제1좌우영역(A1)이라 하고, 전면(H1)으로부터 오른쪽으로 연장된 직선과 제2측면(H3)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된 직선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을 제2좌우영역(A2)이라 한다.
상기 제1좌우영역(A1)과 제2좌우영역(A2)은 배기장치(10)의 전면(H1)의 전방으로서, 배기장치(10)의 양 측면(H2,H3)의 외측에 각각 형성된 영역이다.
상기 제1좌우영역(A1)에는 제1 급기구(130)가 구비되고, 제2좌우영역(A2)에는 제2 급기구(14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위치에 상기 제1 급기구(130)와 제2 급기구(140)가 구비되어 조리시 공기를 급기하게 되면, 조리시 발생된 오염된 공기를 배기장치(10)를 통해 효율적으로 외부로 배기할 수 있고, 오염된 공기가 실내공간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급기구(130)는, 공기가 급기되는 방향이 배기장치(10)의 전면(H1)과 제1측면(H2)을 동시에 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급기구(140)는, 공기가 급기되는 방향이 배기장치(10)의 전면(H1)과 상기 제1측면(H2)의 반대측인 제2측면(H3)을 동시에 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레인지(20)에서 음식물을 조리하게 되면 오염된 공기가 상방향으로 유동하고, 이렇게 유동하는 오염된 공기의 일부는 배기장치(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만, 나머지 일부는 배기장치(10)의 전면(H1)과 양 측면(H2,H3)을 통해 주방의 천장 방향으로 유동하여 실내공간으로 확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급기구(130)와 제2 급기구(140)를 통해 급기되는 공기가 배기장치(10)의 전면(H1)과 측면(H2,H3)을 향하도록 하면, 레인지(20) 위에서 상방향으로 유동하는 오염된 공기가 배기장치(10)의 외부인 전면(H1)과 양 측면(H2,H3)을 타고 천장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오염된 공기가 실내 공간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리자는 레인지(20)의 전면(H1)의 전방에 서서 조리를 하게 되는데, 제1 급기구(130) 또는/및 제2 급기구(140)가 레인지(20)의 양 측면(H2,H3)에서 각각 전방으로 연장되는 평면 사이에 형성된 제3영역(A3)에 위치하게 되면, 제1 급기구(130) 또는 제2 급기구(140)에서 급기되는 공기가 조리자에게 영향을 미쳐 조리자의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급기구(130)와 제2 급기구(140)를 제3영역(A3)을 벗어난 제1좌우영역(A1) 또는 제2좌우영역(A2)에 구비함으로써 급기되는 공기가 조리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급기구(130)가 제1좌우영역(A1)에 위치한다는 것은 제1 급기구(130) 내부에서 공기가 유동하는 통로(130a)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좌우영역(A1)에 위치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2 급기구(140)가 제2좌우영역(A2)에 위치한다는 것도 동일한 의미로 정의할 수 있다. 즉, 제1 급기구(130) 또는/및 제2 급기구(140)의 중심은 제3영역(A3) 내에 위치하더라도, 상기 급기구(130,140)의 길이가 수평방향으로 충분히 길면, 급기된 공기가 배기장치(10)의 양 측면(H2,H3) 중 하나의 측면과 정면(H1)에 동시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1 급기구(130)에서 급기되는 공기 중 전면(H1)을 향하는 공기와 상기제2 급기구(140)에서 급기되는 공기 중 전면(H1)을 향하는 공기는 레인지(20)의 전면(H1)의 중앙부에서 일정 구간 중첩되어 중첩구간(O)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 급기구(130)와 제2 급기구(140)의 급기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중첩구간(O)이 형성되면, 오염된 공기가 배기장치(10)의 전면(H1)을 타고 천장방향으로 누설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급기구(130)와 배기장치(10) 사이의 직선거리와, 상기 제2 급기구(140)와 배기장치(10) 사이의 직선거리가 동일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직선거리가 동일하다는 것은, 상기 제1 급기구(130)와 제2 급기구(140)가 상기 배기장치(10)의 전후방향의 중심선(C)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경우와, 중심선(C)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대칭되는 위치가 아닌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이와 같이 직선거리가 동일한 경우, 상기 제1 급기구(130)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의 급기량과 상기 제2 급기구(140)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의 급기량이 동일하게 되도록 설정함으로써, 오염된 공기가 배기장치(10)의 어느 일측으로 쏠림이 없이 외부로 원활하게 배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직선거리가 동일한 경우는, 상기 제1 급기구(130)와 제2 급기구(140)는 상기 배기장치(10)의 전면으로부터 상기 배기장치(10)의 전후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구비되는 경우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1 급기구(130)의 중심과 상기 배기장치(10)의 전면 사이의 제1거리(D1)와, 상기 제2 급기구(140)의 중심과 상기 배기장치(10)의 전면 사이의 제2거리(D2)가 동일한 경우이다.
이 경우 제1 급기구(130)와 제2 급기구(140)가 중심선(C)으로부터의 거리가 상이한 경우에는 상기 직선거리는 상이하게 된다. 또한, 중심선(C)에 대하여 비대칭이 된다.
상기 제1 급기구(130)와 제2 급기구(140)에서 배기장치(10) 사이의 직선거리가 멀수록 상기 급기구(130,140)에서 토출되어 배기장치(10)에 도달할 때까지 공기저항을 많이 받게 되고, 직선거리가 가까울수록 공기저항을 덜 받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 급기구(130)와 배기장치(10) 사이의 직선거리와, 상기 제2 급기구(140)와 배기장치(10) 사이의 직선거리가 상이한 경우, 상기 배기장치(10)로부터의 직선거리가 먼 급기구의 급기량이 상기 배기장치(10)로부터의 직선거리가 가까운 급기구의 급기량보다 많게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1 급기구(130)와 제2 급기구(140)에서 급기된 공기가 배기장치(10)에 균일하게 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급기구(130,140)에서 배기장치(10)를 향해 급기하게 되면, 배기장치(10)를 낮은 세기로 가동하더라도 오염 물질이 배기장치(10)를 통해 실외로 원활하게 배기되어 실내 오염물질의 농도 저감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배기장치(10)를 낮은 세기로 가동하게 되면 배기장치(10)의 가동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급기구(130)와 제2 급기구(140)는 상기 배기장치(10)의 전면(H1)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형성된 제1전후영역(Z1)에 구비되고, 상기 배기장치(10)의 전면(H1)으로부터 상기 제1전후영역(Z1)보다 먼 거리에 형성된 제2전후영역(Z2)에 급기를 위한 제3 급기구(1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전후영역(Z1)에 구비된 제1 급기구(130)와 제2 급기구(140)는, 급기된 공기가 배기장치(10)를 향하도록 함으로써 배기장치(10) 주변으로 오염된 공기가 퍼져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전후영역(Z2)에 구비된 제3 급기구(150)는, 배기장치(10)의 전면(H1)과 대향하도록 구비되어, 제3 급기구(150)에서 급기된 공기가 배기장치(10)를 향하여 급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급기구(150)는 배기장치(10)의 중심선(C) 상에 하나가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제3 급기구(150) 이외에 다른 급기구를 더 추가로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제3 급기구(150)에서 급기된 공기는 배기장치(10)를 향하지 않고 바닥 또는 벽 등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제3 급기구(150) 전체 둘레를 따라 사방을 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제1전후영역(Z1)과 제2전후영역(Z2)으로만 구분하였으나, 제3 급기구(150)의 전방에 제4 급기구(미도시) 및 제5 급기구(미도시)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4 급기구는 제2전후영역(Z2)의 전방에 형성된 제3전후영역(미도시)에 구비되고, 상기 제5 급기구는 제3전후영역의 전방에 형성된 제4전후영역(미도시)에 구비되는 등, 상기 제1,제2전후영역(Z1,Z2) 이외에도 복수개의 전후영역과 복수개의 급기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급기구(130) 및/또는 제2 급기구(140)는 양 측면(H2,H3)에서 각각 연장되는 가상의 직선 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제1 급기구(130) 또는 제2 급기구(140)에서 급기된 공기가 제1측면(H2) 또는 제2측면(H3)을 향해 직접 급기되는 것이 아니라, 제1측면(H2)의 좌측 공간 또는 제2측면(H3)의 우측 공간을 향해 급기된다.
도 3은 배기장치(10)와 급기구(130)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고, 도 4는 급기구(130)와 배기장치(10) 사이의 거리(L)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상기 배기장치(10)에는 배기 송풍기(11)가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배기 송풍기(11)에 의해 오염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부(12)가 배기장치(10)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기장치(10)의 저면에서 상기 흡입부(12)만 개방되어 있고, 흡입부(12)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막혀 있다.
상기 흡입부(12)의 하부에는 유속 경계면(1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부(12)와 유속 경계면(13)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은 배기 송풍기(11)의 설정된 풍량에 의해 오염물이 원활하게 배기될 수 있는 영역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배기 송풍기(11)의 풍량이 결정되면, 상기 유속 경계면(13)으로부터 급기구(130,140)까지의 거리(L)를 결정할 수 있다.
만약 급기구(130,140)와 배기장치(10) 사이의 거리가 지나치게 가까우면, 상기 급기된 공기의 유속이 상기 유속 경계면(13) 내부의 유속보다 크게 되므로, 상기 유속 경계면(13) 내부의 유동장이 파괴되어 오염된 물질을 흡입부(12)에서 원활하게 흡입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급기구(130,140)에서 급기된 공기가 상기 유속 경계면(13)에 도달했을 때의 유속과 상기 배기 송풍기(11)에 의해 흡입됨으로 인한 유속 경계면(13) 내부에서의 유속과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급기구(130,140)까지의 거리(L)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제1 급기구(130)와 배기장치(10) 사이의 거리(L)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제2 급기구(140)와 배기장치(10) 사이의 거리도 동일한 방법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제1 급기구(130)와 배기장치(10) 사이의 거리(L)를, 제1 급기구(130)의 후단(배기장치(10)와 대향하는 단부) 중앙에서부터 유속 경계면(13)까지로 정의하였다. 이 경우 유속 경계면(13)의 위치는 흡입부(12)의 전방 단부(12a) 위치와 동일하다.
또한, 상기 제1 급기구(130)와 배기장치(10) 사이의 거리(L)는, 제1 급기구(130)의 후단 중앙에서부터 흡입부(12)의 중심 또는 흡입부(12)의 전방 단부(12a)까지로 정의할 수도 있다.
상기 배기장치(10)의 전체 크기는 흡입부(12)보다 클 뿐만 아니라 다양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흡입부(12)의 중심 또는 전방 단부(12a)를 기준으로 거리(L)를 정의하게 되면, 다양한 형상 및 크기의 배기장치(10)에 상기 제1 급기구(130)와 배기장치(10) 사이의 거리(L)를 적용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 급기구(130)와 배기장치(10) 사이의 거리(L)는, 제1 급기구(130)의 후단 중앙에서부터 배기장치(10)의 전면(H1) 중앙까지로 정의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급기구(130,140)에는 급기되는 공기의 급기방향을 상기 배기장치(10)를 향하도록 하기 위한 가이드(131,14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131,141)는 복수의 날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날개 사이로 공기가 급기된다. 상기 가이드(131,141)는 하단이 상기 배기장치(10)를 향하도록 경사진 상태로 상기 급기구(130,140)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131,141)는 일측단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어, 경사 방향을 조절하게 되면 상기 공기의 급기방향을 가변시킬 수 있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평면도를 기준으로 급기구(130,140)의 설치 각도에 대해 설명한다.
도 5(a)를 참조하면, 제1 급기구(130)는 제1 급기구(130)의 후단 중앙을 통과하는 제1 급기구(130)의 중심선과 배기장치(10)의 전면(H1)과 나란한 직선 사이의 각도(θ)로서 비교적 큰 각도로 설치된 상태가 나타나 있다. 상기 제1 급기구(130)에서 급기된 공기는 배기장치(10)의 전면(H1)의 대략 절반 영역과 제1측면(H2)으로 유동하고, 상기 제2 급기구(140)에서 공급된 공기는 전면(H1)의 나머지 절반 영역과 제2측면(H3)으로 유동한다.
도 5(b)를 참조하면, 제1 급기구(130)는 제1 급기구(130)의 후단 중앙을 통과하는 제1 급기구(130)의 중심선과 배기장치(10)의 전면(H1)과 나란한 직선 사이의 각도(θ)로서 비교적 작은 각도로 설치된 상태가 나타나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제1 급기구(130)에서 급기된 공기는 배기장치(10)의 전면(H1)의 대략 절반 영역과 제1측면(H2)으로 유동하고, 상기 제2 급기구(140)에서 공급된 공기는 전면(H1)의 나머지 절반 영역과 제2측면(H3)으로 유동한다.
도 6을 참조하여, 평면도를 기준으로 급기구(130,140)의 설치를 위한 제1각도의 최소각도와 최대각도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제1 급기구(130)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제2 급기구(140)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제1각도란 배기장치(10)의 전면과 나란한 직선(HL)에 대하여 제1 급기구(130)의 급기방향이 이루는 각도를 의미한다.
상기 배기장치(10)의 가로길이를 W로 하고, 배기장치(10)의 세로길이를 D로 정의하였다. 상기 배기장치(10)와 제1 급기구(130) 사이의 거리를 L로 정의하였다.
상기 제1 급기구(130)가 최소각도로 설치된 경우를 계산하기 위해, 상기 배기장치(10)의 가로길이(W)를 4등분하고, 상기 4등분된 영역에서 일측 가장자리 영역의 모서리를 연결하는 대각선(DL1)을 그린다. 상기 제1 급기구(130)에서 시작되어 상기 대각선(DL1)에 직교하는 직선(PL1)을 그린다.
또한, 상기 제1 급기구(130)가 최대각도로 설치된 경우를 계산하기 위해, 배기장치(10)의 대각방향의 모서리 사이를 연결하는 대각선(DL2)을 그린다. 상기 제1 급기구(130)에서 시작되어 상기 대각선(DL2)에 직교하는 직선(PL2)을 그린다.
상기 제1각도에서 최소각도(θ1)는 아래의 수학식 1로 정의할 수 있다.
Figure 112018070146157-pat00001
상기 최소각도(θ1)는 제1 급기구(130)에서 급기된 공기가 배기장치(10)의 제1측면(H2) 전부에 공급되고, 전면(H1)의 적어도 일부 영역까지 공급될 수 있는 최소한의 각도 조건을 의미한다.
상기 제1각도에서 최대각도(θ2)는 아래의 수학식 2로 정의할 수 있다.
Figure 112018070146157-pat00002
상기 최대각도(θ2)는 제1 급기구(130)에서 급기된 공기가 배기장치(10)의 전면(H1)의 적어도 절반 이상의 영역까지 공급되고, 제1측면(H2)의 전부에 공급될 수 있는 최대한의 각도 조건을 의미한다.
상기와 같이 평면도를 기준으로 한 급기구(130,140)의 설치각도를 배기장치(10)의 세로길이(D)와 가로길이(W)를 기준으로 최소각도와 최대각도 사이로 함으로써 다양한 크기 및 종류의 배기장치(10)에 적용이 가능하고, 다양한 형태의 급기구(130,140)에 적용 가능하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여, 측면도를 기준으로 급기구(130,140)의 설치를 위한 제2각도의 최소각도와 최대각도에 대해 설명한다.
도 7(a)를 참조하면, 상기 제1 급기구(130)는 천장과 나란한 직선(LL; 천장면)과 제1 급기구(130)의 가이드(131) 사이의 각도(θ)로서 비교적 작은 각도로 설치된 상태가 나타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급기구(130)는 천장과 나란한 직선(LL)과 제1 급기구(130)의 가이드(131) 사이의 각도(θ)로서 비교적 큰 각도로 설치된 상태가 나타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측면도를 기준으로 급기구(130,140)의 설치를 위한 제2각도의 최소각도와 최대각도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제1 급기구(130)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제2 급기구(140)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제2각도란 제1 급기구(130)가 설치된 천장과 나란한 직선(LL)에 대하여 제1 급기구(130)의 급기방향인 가이드(131) 사이의 각도를 의미한다.
상기 제1 급기구(130)와 배기장치(10) 사이의 거리를 L로 정의하고, 천장과 배기장치(10)의 하단 사이를 x1으로 정의하며, 천장과 싱크대(30) 상단 사이를 x2로 정의한다.
상기 제2각도에서 최소각도(θ3)는 아래의 수학식 3으로 정의할 수 있다.
Figure 112018070146157-pat00003
상기 제2각도에서 최대각도(θ4)는 아래의 수학식 4로 정의할 수 있다.
Figure 112018070146157-pat00004
상기와 같이 측면도를 기준으로 한 수직 방향의 급기구(130,140)의 설치각도(즉, 가이드(131)의 각도)는 상기 최소각도(θ3)와 최대각도(θ4) 사이로 함으로써 천장을 기준으로 한 배기장치(10)의 다양한 설치높이에 적용 가능하고, 싱크대(30)까지 급기된 공기가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오염된 공기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급기장치(100)의 제어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급기장치(100)는, 상기 급기구(130,140,150,160,170,180)를 통해 실내로 공기를 급기하기 위한 급기 송풍기(120), 상기 급기 송풍기(12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10)를 포함한다.
상기 급기 송풍기(120)는 실외공기를 흡입하여 실내로 공급한다. 이 경우 상기 급기 송풍기(120)는 실외공기 대신 다른 실내공간의 공기를 흡입하여 주방으로 공급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급기장치(100)는, 급기장치(100)를 가동시키기 위한 급기신호를 발생시키는 급기신호 발생부(1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급기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급기신호 수신부(111), 상기 급기구(130,140,150,160,170,180)를 통해 급기되는 급기량을 조절하기 위한 급기량 조절부(112), 상기 배기장치(10)의 가동에 따른 배기량 정보를 저장하는 배기량 정보 저장부(113), 상기 배기장치(10)의 가동에 따른 배기량 정보를 수신하는 배기량 정보 수신부(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기량 조절부(112)는, 앞서 설명한 분배기(102)에 구비된 댐퍼의 개도를 조절함으로써 제1 내지 제3 급기구(130,140,150)에 급기되는 급기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댐퍼의 개도는 급기장치(100)를 처음 설치할 때 일정 개도로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이렇게 댐퍼의 개도가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급기량 조절부(112)는 설정된 회전수로 급기 송풍기(120)를 구동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제1 내지 제3 급기구(130,140,150)에 급기되는 급기량을 설정된 급기량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급기장치(100)를 처음 설치할 때 댐퍼의 개도를 설정하고, 급기 송풍기(120)의 회전수를 가변시키면서, 제1 내지 제3 급기구(130,140,150) 각각에서 원하는 급기량이 공급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내지 제3 급기구(130,140,150)에서의 급기량은 덕트의 길이, 덕트가 굽어진 정도 등 덕트의 설치상태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이렇게 급기량이 확인되면, 상기 원하는 급기량이 공급되는 시점에서의 급기 송풍기(120)의 회전수를 설정한다. 이렇게 급기 송풍기(120)의 회전수가 고정된 값으로 설정되면, 급기시 상기 설정된 회전수로 급기 송풍기(120)가 가동된다.
상기 배기량 정보 저장부(113)는 배기장치(10)의 배기량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배기량에 대한 정보는 배기량 정보 저장부(113)에 미리 입력되어 저장될 수도 있고, 배기장치(10)로부터 배기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배기장치(10)와 급기장치(100)는 통신부(미도시)에 의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상기 배기장치(10)의 배기량은 조리자가 배기장치(10)에서 가동세기를 조절함으로써 가변될 수 있다. 이러한 배기량에 대한 정보는 배기량 정보 수신부(114)에 수신되어, 배기량 정보 저장부(113)에 저장되고, 상기 급기장치(100)는 상기 저장된 배기량 정보에 따라 급기량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여 배기장치(10)에서 에어커튼(AC1,AC2,AC3)이 형성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배기장치(10)의 전면(H1)과 제1측면(H2) 및 제2측면(H3)에는 레인지(20)가 위치한 하방향을 향해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에어커튼(AC1,AC2,AC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커튼(AC1,AC2,AC3)을 형성하기 위해 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공기분사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에어커튼(AC1,AC2,AC3)을 형성하기 위한 공기분사부는 배기장치(10)에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급기장치(100)에 구비된 급기 송풍기(120)에서 공급된 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에어커튼(AC1,AC2,AC3)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급기 송풍기(120)가 공기분사부로 기능한다.
상기 에어커튼(AC1,AC2,AC3)은, 배기장치(10)의 전면(H1)과 제1측면(H2) 및 제2측면(H3)을 둘러싸도록 3방향에 모두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하방향으로 형성된 전면(H1)의 에어커튼(AC1)을 제외한 양 측면(H2,H3)에만 에어커튼(AC2,AC3)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배기장치(10)의 전면(H1)과 제1측면(H2) 및 제2측면(H3) 중 한군데만 에어커튼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측면(H2)과 제2측면(H3) 중 제1,제2급기구(130,140)가 형성된 위치와 대향되는 측에 에어커튼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어커튼(AC1,AC2,AC3)을 형성하기 위한 제어는 배기장치(10)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고, 급기장치(100)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배기장치(10)에서 제어하는 경우에는, 배기장치(10)의 가동과 함께 배기장치(10)의 제어부(미도시)에서 공기분사부를 가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에어커튼(AC1,AC2,AC3)을 형성시킨다.
또한, 상기 급기장치(100)가 배기장치(10)에 일체로 구비된 경우에는, 배기장치(10)에서 급기구(130,140,150)에 공기를 급기함과 동시에 에어커튼(AC1,AC2,AC3)을 형성시키기 위해 급기 송풍기를 가동할 수도 있다.
상기 급기장치(100)에서 제어하는 경우에는, 급기장치(100)에서 급기 송풍기(120)를 가동시켜 급기구(130,140,150)를 통해 급기를 하고, 상기 급기 송풍기(120)에서 공급된 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에어커튼(AC1,AC2,AC3)을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급기장치(100)에서 통신부의 유무선 통신에 의해 배기장치(10)에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공기분사부를 가동시켜 에어커튼(AC1,AC2,AC3)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에어커튼(AC1,AC2,AC3)을 형성하게 되면, 오염된 공기가 배기장치(10) 외측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배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여 배기장치(10)에 차단판(16)이 구비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차단판(16)은 배기장치(10)의 적어도 일측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단판(16)이 하강하여 배기장치(10)의 하부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하게 되면, 오염된 공기가 배기장치(10) 외부로 누설되어 실내공간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차단판(16)이 배기장치(10)의 양 측면(H2,H3)에 구비된 경우에는 조리자에게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배기장치(10)의 일측에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급기구(130,140)가 상기 배기장치(10)의 양 측면(H2,H3) 외측인 제1좌우영역(A1) 또는 제2좌우영역(A2) 중 일측에만 구비된 경우, 상기 배기장치(10)의 양 측면(H2,H3) 중 상기 급기구(130,140)가 구비된 위치의 반대측면에 상기 차단판(16)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급기구(130,140)에서 급기된 공기에 의해 오염된 공기가 배기장치(10)의 하부공간에서 급기구(130,140)가 위치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밀려나가는 것을 차단판(16)이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급기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조리자가 주방에서 조리하면, 오염된 공기를 실외로 배기하기 위해 배기장치(10)가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가동된다.
상기 배기장치(10)의 가동에 따라 급기장치(100)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가동된다. 즉, 급기신호 수신부(111)에 수동 또는 자동 가동을 위한 급기신호가 수신되면, 급기 송풍기(120)를 가동시킨다.
이 경우 제1 내지 제3급기구(130,140,150)에서 필요로 하는 급기량을 공급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고정된 회전수로 급기 송풍기(120)를 가동시킬 수도 있고, 상기 제1 내지 제3급기구(130,140,150)에서 급기량을 조절하기 위해 급기량 조절부(112)에서 급기 송풍기(120)의 회전수를 가변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3급기구(130,140,150)에서의 급기량을 상이하게 하기 위해 분배기(102)에 구비된 댐퍼의 개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급기구(130,140,150)를 통해 급기가 이루어짐으로써, 오염된 공기를 신속히 배기장치(10)를 통해 실외로 배기할 수 있어 오염된 공기가 실내공간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급기장치(100)를 통해 급기가 이루어지는 경우 급기구(130,140,150)를 통한 급기량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제1 급기구(130)와 제2 급기구(140)에서의 급기량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1 급기구(130)와 제2 급기구(140)를 통해 급기되는 급기량이 필요 이상으로 많으면 오염된 공기가 배기장치(10) 주변으로 확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급기구(130)의 급기량과 제2 급기구(140)의 급기량을 합한 급기량이 배기량보다 작게 되도록 하여 배기장치(10) 주변을 음압 상태로 형성함으로써 오염된 공기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급기구(130)의 급기량과 제2 급기구(140)의 급기량을 합한 급기량이 배기량의 약 50% 정도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만약, 제1 급기구(130)와 제2 급기구(140) 중 어느 하나에서만 급기가 이루어지는 경우, 그 하나의 급기구의 급기량은 배기량보다 작게 되도록 한다.
상기 제1 급기구(130)의 급기량과 제2 급기구(140)의 급기량은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먼저, 상기 제1 급기구(130)와 상기 배기장치(10) 사이의 거리가 상기 제2 급기구(140)와 상기 배기장치(10) 사이의 거리와 동일한 경우에는 상기 제1 급기구(130)에서 급기되는 급기량과 상기 제2 급기구(140)에서 급기되는 급기량이 동일하게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급기가 이루어지면, 배기장치(10)의 중심선(C)을 기준으로 좌우 측에 균일하게 급기가 이루어져, 오염된 공기가 배기장치(10) 외측으로 누설되어 실내공간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급기구(130)와 상기 배기장치(10) 사이의 거리가 상기 제2 급기구(140)와 상기 배기장치(10) 사이의 거리와 상이한 경우에는 상기 배기장치(10)로부터의 거리가 먼 급기구의 급기량이 상기 배기장치(10)로부터의 거리가 가까운 급기구의 급기량보다 많게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급기가 이루어지면, 배기장치(10)의 중심선(C)을 기준으로 좌우 측에 균일하게 급기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전후영역(Z1)의 급기량보다 제2전후영역(Z2)의 급기량이 더 크게 할 수 있다. 즉, 제1, 제2 급기구(130,140)의 급기량의 합보다 제3 급기구(150)의 급기량이 더 크게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3 급기구(150)의 급기량은 배기량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3 급기구(150)의 급기량은 배기량의 약 70% 정도가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급기구(150)의 급기량은 배기량과 같거나 배기량보다 더 크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급기량을 설정하게 되면, 배기장치(10) 주변을 상기 제1전후영역(Z1)에 비하여 높은 압력 상태로 형성하여 배기장치(10)를 통한 배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져 배기장치(10)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전후영역(Z1)과 제2전후영역(Z2)에 구비된 제1 내지 제3 급기구(130,140,150)의 급기량의 합은 상기 배기장치(10)의 배기량보다 크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급기량과 배기량을 설정하게 되면 배기장치(10)를 통한 배기가 원활하게 되어 배기장치(10)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전후영역(Z1)에 구비된 제1,제2 급기구(130,140) 각각의 급기량과 상기 제2전후영역(Z2)에 구비된 제3 급기구(150)의 급기량은 각각 상기 배기장치(10)의 배기량보다 작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전후영역(Z1)에 구비된 급기구(130,140)를 통해 급기된 공기가 상기 배기장치(10)에 먼저 도달하고, 상기 제2전후영역에 구비된 급기구를 통해 급기된 공기가 상기 배기장치(10)에 나중에 도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위한 일례로, 상기 제1전후영역(Z1)에 구비된 급기구(130,140)를 통해 먼저 급기가 이루이지고, 상기 제2전후영역(Z2)에 구비된 급기구(150)를 통해 나중에 급기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배기장치(10)의 가동 초기에는 제1,제2급기구(130,140)를 통해서만 급기함으로써 배기장치(10) 외측으로 오염된 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고, 배기장치(10) 주변에 음압을 형성시켜 오염된 공기가 실내공간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상태로 배기장치(10)가 일정시간 가동되면, 배기장치(10) 주변의 음압으로 인해 배기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배기장치(10) 가동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제3급기구(150)를 통해 급기함으로써 배기장치(10)에서 배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제1전후영역(Z1)에 구비된 급기구(130,140)와 상기 제2전후영역(Z2)에 구비된 급기구(150)에서 동시에 급기할 수도 있다.
한편, 조리자가 배기장치(10)의 가동세기를 1단에서 2단 또는 3단으로 변경하는 등 가동세기를 높이거나, 2단 또는 3단에서 1단으로 변경하는 등 가동세기를 낮추는 경우에는 급기구(130,140,150)의 급기량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상기 배기장치(10)에서 배기 송풍기(11)의 가동세기에 대한 정보가 송신되어 상기 급기장치(100)의 배기량 정보 수신부(114)에 수신되면, 급기량 조절부(112)는 상기 배기 송풍기(11)의 가동세기에 대응하는 급기량으로 급기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급기 송풍기(120)에서의 급기량을 조절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10 : 배기장치 11 : 배기 송풍기
12 : 흡입부 13 : 유속 경계면
15 : 배기덕트 16 : 차단판
20 : 레인지 30 : 싱크대
100 : 급기장치 101 : 덕트
102 : 분배기 105 : 급기신호 발생부
110 : 제어부 111 : 급기신호 수신부
112 : 급기량 조절부 113 : 배기량 정보 저장부
114 : 배기량 정보 수신부 120 : 급기 송풍기
130 : 제1 급기구 140 : 제2 급기구
131,141 : 가이드 150 : 제3 급기구
160, 170, 180 : 급기구

Claims (3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기하는 배기장치의 전방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급기구;
    상기 급기구를 통해 실내로 공기를 급기하기 위해 구동되는 급기 송풍기;
    상기 급기 송풍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를 포함하고,
    평면도를 기준으로, 상기 배기장치의 전면과 나란한 직선에 대하여 상기 급기구의 급기방향이 이루는 제1각도는 아래의 식에 의해 결정되는 최소각도와 최대각도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장치
    Figure 112020097747594-pat00009

    Figure 112020097747594-pat00010
  21.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기하는 배기장치의 전방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급기구;
    상기 급기구를 통해 실내로 공기를 급기하기 위해 구동되는 급기 송풍기;
    상기 급기 송풍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를 포함하고,
    측면도를 기준으로, 상기 급기구가 설치된 천장과 나란한 직선에 대하여 상기 급기구의 급기방향이 이루는 제2각도는 아래의 식에 의해 결정되는 최소각도와 최대각도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장치
    Figure 112020097747594-pat00011

    Figure 112020097747594-pat00012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기재된 급기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a) 급기 송풍기를 가동하는 단계;
    b) 배기장치의 전방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급기구를 통해 상기 급기 송풍기에 의해 공급된 공기를 실내로 급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급기장치의 제어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구의 급기량은 상기 배기장치의 배기량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장치의 제어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급기구는, 상기 배기장치의 전방으로서 양측면 외측에 각각 구비된 제1 급기구와 제2 급기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급기구와 상기 배기장치 사이의 거리가 상기 제2 급기구와 상기 배기장치 사이의 거리와 동일한 경우에는 상기 제1 급기구에서 급기되는 급기량과 상기 제2 급기구에서 급기되는 급기량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장치의 제어방법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급기구는, 상기 배기장치의 전방으로서 양측면 외측에 각각 구비된 제1 급기구와 제2 급기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급기구와 상기 배기장치 사이의 거리가 상기 제2 급기구와 상기 배기장치 사이의 거리와 상이한 경우에는 상기 배기장치로부터의 거리가 먼 급기구의 급기량이 상기 배기장치로부터의 거리가 가까운 급기구의 급기량보다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장치의 제어방법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급기구는, 상기 배기장치의 전방으로서 양측면 외측에 각각 구비된 제1 급기구와 제2 급기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급기구의 급기량과 상기 제2 급기구의 급기량의 합이 상기 배기장치의 배기량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장치의 제어방법
  27.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급기구는, 상기 배기장치의 전면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형성된 제1전후영역에 구비되고;
    상기 배기장치의 전면으로부터 상기 제1전후영역보다 먼 거리에 형성된 제2전후영역에 급기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급기구가 구비되고;
    상기 제1전후영역에 구비된 급기구의 급기량과 상기 제2전후영역에 구비된 급기구의 급기량의 합은 상기 배기장치의 배기량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장치의 제어방법
  28.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급기구는, 상기 배기장치의 전면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형성된 제1전후영역에 구비되고;
    상기 배기장치의 전면으로부터 상기 제1전후영역보다 먼 거리에 형성된 제2전후영역에 급기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급기구가 구비되고;
    상기 제1전후영역에 구비된 급기구의 급기량은 상기 배기장치의 배기량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장치의 제어방법
  29.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급기구는, 상기 배기장치의 전면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형성된 제1전후영역에 구비되고;
    상기 배기장치의 전면으로부터 상기 제1전후영역보다 먼 거리에 형성된 제2전후영역에 급기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급기구가 구비되고;
    상기 제1전후영역에 구비된 급기구의 급기량보다 상기 제2전후영역에 구비된 급기구의 급기량이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장치의 제어방법
  30.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급기구는, 상기 배기장치의 전면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형성된 제1전후영역에 구비되고;
    상기 배기장치의 전면으로부터 상기 제1전후영역보다 먼 거리에 형성된 제2전후영역에 급기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급기구가 구비되고;
    상기 제1전후영역에 구비된 급기구를 통해 급기된 공기가 상기 배기장치에 먼저 도달하고, 상기 제2전후영역에 구비된 급기구를 통해 급기된 공기가 상기 배기장치에 나중에 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장치의 제어방법
  31.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장치의 가동에 따른 배기량이 배기량 정보 수신부에 수신되고;
    제어부는 상기 배기량이 가변되는 경우 그에 대응하여 상기 급기송풍기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의 급기량이 가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80082584A 2018-07-16 2018-07-16 급기장치 및 급기장치의 제어방법 KR1022483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584A KR102248315B1 (ko) 2018-07-16 2018-07-16 급기장치 및 급기장치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584A KR102248315B1 (ko) 2018-07-16 2018-07-16 급기장치 및 급기장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8458A KR20200008458A (ko) 2020-01-28
KR102248315B1 true KR102248315B1 (ko) 2021-05-04

Family

ID=69370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2584A KR102248315B1 (ko) 2018-07-16 2018-07-16 급기장치 및 급기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83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59249B (zh) * 2022-03-28 2023-11-17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器与抽油烟机的互联控制方法与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6309A (ja) * 1999-10-12 2001-04-27 Daikin Ind Ltd 換気空調システム
JP2002039599A (ja) * 2000-07-25 2002-02-06 Osaka Gas Co Ltd 換気システム及び換気用制御装置及び換気方法
JP2003120980A (ja) * 2001-10-11 2003-04-23 Yoshinori Sano 局所排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4044U (ja) * 1993-02-15 1994-09-09 東京瓦斯株式会社 厨房における給気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6309A (ja) * 1999-10-12 2001-04-27 Daikin Ind Ltd 換気空調システム
JP2002039599A (ja) * 2000-07-25 2002-02-06 Osaka Gas Co Ltd 換気システム及び換気用制御装置及び換気方法
JP2003120980A (ja) * 2001-10-11 2003-04-23 Yoshinori Sano 局所排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8458A (ko) 2020-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425189U (zh) 空调器室内机
CN105674360A (zh) 油烟机
KR102227556B1 (ko) 급기장치 및 급기장치의 제어방법
CN204648474U (zh) 空调器室内机
CN104807098A (zh) 空调器及其控制方法
KR102248315B1 (ko) 급기장치 및 급기장치의 제어방법
KR20200114830A (ko) 배기장치와 그 제어방법, 급기장치와 그 제어방법
KR20200115182A (ko) 배기장치
CN107192011A (zh) 空调室内壁挂机及其控制方法
KR102345137B1 (ko) 급기장치 및 급기장치의 제어방법
CN210979966U (zh) 一种侧顶式油烟机
KR102311159B1 (ko) 급기장치 및 급기장치의 제어방법
KR102350717B1 (ko) 공기조화기
CN110207233A (zh) 一种侧顶式油烟机
US20200191408A1 (en) Cooktop ventilation system having a complex curve interior flow surface
KR20200111061A (ko) 모듈공조기, 및 공조시스템
CN206656428U (zh) 空调室内机
WO2000064602A1 (en) Arrangement for air evacuation
JP2002243232A (ja) 台所用換気システム
KR20110040454A (ko) 주방 배기시스템
KR102058286B1 (ko) 건물의 실내 환기장치
KR101167864B1 (ko) 실내공기 순환용 급배기 장치
CN219389846U (zh) 一种排烟装置及集成灶
KR102260499B1 (ko) 급기장치 및 이에 연동된 실내 배기장치의 제어방법
KR102120275B1 (ko) 공동주택 주방급기용 환기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