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0717B1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0717B1
KR102350717B1 KR1020210086060A KR20210086060A KR102350717B1 KR 102350717 B1 KR102350717 B1 KR 102350717B1 KR 1020210086060 A KR1020210086060 A KR 1020210086060A KR 20210086060 A KR20210086060 A KR 20210086060A KR 102350717 B1 KR102350717 B1 KR 102350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exhaust
blower
indoor
ai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6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4407A (ko
Inventor
김창훈
이강규
이광표
박현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to KR1020210086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0717B1/ko
Publication of KR20210084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44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0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0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2012/007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 by-pass for bypassing the heat-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56Heat recovery units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시 발생하는 오염된 공기가 배기장치를 통해 실외로 원활하게 배기되도록 하여 실내공간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배기장치에 의해 배기되지 못한 나머지 오염된 공기를 제거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공기조화기는, 급기구를 통하여 실외공기를 실내로 급기하는 급기 송풍기; 배기구를 통하여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기하는 배기 송풍기;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실외로 배기하기 위하여 주방에 배치된 주방후드의 가동에 따른 급기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급기 송풍기만을 가동하여 상기 실외공기를 실내로 급기하는 급기모드가 가동되도록 설정되고 상기 급기모드 가동 후 상기 배기 송풍기를 가동하여 상기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기하도록 설정된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리시 발생한 오염된 공기가 실내공간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주방기기의 하나인 주방후드는 주방에 설치되어 주방에서 음식물의 조리시 발생하는 연소가스 및 음식냄새, 수증기 등을 외부로 배출시켜 주방의 공기 오염을 방지하는데 사용된다.
이와 같은 주방후드는 가스레인지, 전기레인지 등을 포함하는 주방기기의 상측부에 설치되고, 조리기기에서 발생되는 가스와 음식물 조리시 발생되는 가스를 배기팬을 이용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그러나 주방후드를 가동시키더라도 조리시 발생하는 연소가스 및 음식냄새의 일부는 배기팬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거실 등 실내로 확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리시 발생한 오염된 공기가 실내공간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배기팬을 계속 가동시키면 실내에는 음압이 형성되어 배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며, 이러한 상태로 지속적으로 배기팬을 가동시키면 소음과 진동이 점점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주방에서 발생한 냄새를 보다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배기팬의 용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배기팬의 용량이 커지면 배기팬의 크기가 커져 설치공간 및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배기팬의 크기가 커지면 배기팬 동작시 소비전력이 커지게 되어 전기요금이 증가하게 되며, 배기팬 동작시 진동 및 소음이 커져 쾌적한 주거환경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주방후드가 나타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265992호가 공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조리시 발생하는 오염된 공기가 배기장치를 통해 실외로 원활하게 배기되도록 하여 실내공간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배기장치에 의해 배기되지 못한 나머지 오염된 공기를 제거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내로 급기되는 공기와 실외로 배기되는 공기 사이에 전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바이패스되도록 함으로써 적절한 온도의 공기가 실내로 급기되도록 하여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고,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리시 배기장치의 가동과 함께 공기조화기를 환기모드로 가동하는 경우 공기조화기에서의 급기량과 배기량을 각각 제어함으로써 원하는 실내압을 형성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급기구를 통하여 실외공기를 실내로 급기하는 급기 송풍기; 배기구를 통하여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기하는 배기 송풍기;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실외로 배기하기 위하여 주방에 배치된 주방후드의 가동에 따른 급기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급기 송풍기만을 가동하여 상기 실외공기를 실내로 급기하는 급기모드가 가동되도록 설정되고,상기 급기모드 가동 후 상기 배기 송풍기를 가동하여 상기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기하도록 설정된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급기 송풍기에 의해 실내로 급기되는 상기 실외공기가 유동하는 급기덕트; 상기 배기 송풍기에 의해 실외로 배기되는 상기 실내공기가 유동하는 배기덕트; 상기 급기덕트와 배기덕트가 교차하는 지점에 구비되어, 상기 급기덕트와 배기덕트를 통과하는 실외공기와 실내공기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구비된 전열교환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내공기와 실외공기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전열교환기를 거치지 않고 우회하여 유동하도록 바이패스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급기 송풍기에 의한 급기가 시작된 시점부터 경과 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타이머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이머로부터 수신된 경과 시간이 설정 기준을 충족시킨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배기가 이루어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에는 실내환경 감지부에서 감지된 실내 환경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기의 시작 여부를 결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실내환경 감지부로부터 수신된 실내 환경정보는 실내공기의 오염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급기 송풍기로부터 공급된 실외공기를 실내공간으로 급기하기 위한 급기구와 상기 배기장치 사이의 거리는 상기 실내공간의 공기가 상기 배기 송풍기에 의해 흡입되는 배기구와 상기 배기장치 사이의 거리보다 가까운 것일 수 있다.
상기 배기 송풍기의 가동시 상기 급기 송풍기를 동시에 가동시키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급기 송풍기에 의한 급기량과 상기 배기 송풍기에 의한 배기량을 조절하기 위한 공기량 조절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기량 조절부는 상기 급기 송풍기의 회전수와 상기 배기 송풍기의 회전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실외공기를 실내로 급기하기 위한 제1급기구, 상기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기하기 위한 배기구, 상기 실외공기를 실내로 급기하기 위한 제2급기구가 상기 배기장치에 가까운 위치에서부터 먼 위치까지 순차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리시 발생하는 오염된 공기가 배기장치를 통해 실외로 원활하게 배기되도록 하여 실내공간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배기장치에 의해 배기되지 못한 나머지 오염된 공기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실내로 급기되는 공기와 실외로 배기되는 공기 사이에 전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바이패스되도록 함으로써 적절한 온도의 공기가 실내로 급기되도록 하여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고,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또한, 조리시 배기장치의 가동과 함께 공기조화기를 환기모드로 가동하는 경우 공기조화기에서의 급기량과 배기량을 각각 제어함으로써 원하는 실내압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를 구성하는 환기모듈을 보여주는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에서 전열교환모드시 공기의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에서 바이패스모드시 공기의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를 구성하는 급기구와 배기구가 주방과 거실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제어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100)는,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배기장치(10)를 이용하여 실외로 배기하는 경우 실외공기를 실내로 급기하는 급기 송풍기(117)와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기하는 배기 송풍기(118)가 내부에 구비된 환기모듈(110), 상기 급기 송풍기(117)에 의해 공급된 실외공기를 실내로 급기하기 위한 급기구(101), 상기 배기 송풍기(118)의 가동에 의해 실내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배기구(102), 상기 환기모듈(110)과 급기구(101) 및 배기구(102)를 연결하기 위한 덕트(105,106,107,108)로 이루어진다.
상기 배기장치(10)는, 주방에 구비되어 레인지(20)를 이용하여 음식 조리시 가동되는 주방후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배기장치(10)를 가동시키면 배기 송풍기(11;도5)가 가동되어,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배기덕트(미도시)를 통해 실외로 배기시킨다.
상기 공기조화기(100)는, 에어컨, 냉난방기기, 환기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100)에는 급기모드, 배기모드, 환기모드, 공기청정모드, 제습모드, 가습모드, 냉방모드 및 난방모드 기능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기모드는 급기 송풍기(117)를 가동하여 실외공기를 실내로 급기하는 모드이다. 상기 배기모드는 배기 송풍기(118)를 가동하여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기하는 모드이다. 상기 환기모드는 급기 송풍기(117)와 배기 송풍기(118)를 동시에 가동하여 실외공기를 실내로 급기하는 동시에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기하는 모드이다.
상기 환기모드는, 실내공기와 실외공기가 전열교환기(115)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열교환모드와, 상기 실내공기와 실외공기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전열교환기(115)를 거치지 않고 바이패스 유로(119; 도 3)를 유동하도록 하는 바이패스모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열교환모드와 바이패스모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가동될 수 있다.
상기 환기모듈(110) 내부에는, 상기 급기 송풍기(117)와 배기 송풍기(118)가 구비되고, 상기 급기 송풍기(117)와 배기 송풍기(118)의 가동에 의해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환기모듈(110)에는 실외공기가 유입되는 제1덕트(105;OA), 상기 제1덕트(105)로 유입된 실외공기가 환기모듈(110) 내부를 거쳐 실내로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제2덕트(106;SA), 실내공기를 배기하기 위해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제3덕트(107;RA), 상기 제3덕트(107)를 통해 흡입된 실내공기가 환기모듈(110) 내부를 거쳐 실외로 배기되도록 하는 제4덕트(108;EA)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덕트(105)와 제2덕트(106)은 급기덕트를 구성하고, 상기 제3덕트(107)와 제4덕트(108)은 배기덕트를 구성한다.
상기 제2덕트(106)의 단부에는 실외공기를 실내로 급기하기 위한 급기구(101)가 구비되고, 상기 제3덕트(107)의 단부에는 실내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배기구(10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100)의 급기 송풍기(117)에서 흡입된 실외공기는 덕트(106) 내부를 유동한 후 급기구(101)를 통해 실내공간으로 공급된다.
상기 급기구(101)는 배기장치(10)에 가까운 위치의 천장에 구비되어, 상기 급기구(101)에서 급기된 공기는 하향 흐름이 된다.
상기 배기구(102)는 배기장치(10)로부터 먼 위치의 천장에 구비되어, 상기 배기구(102)에서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실외로 배기하게 된다.
조리시 상기 배기장치(10)가 가동되면, 상기 급기모드로 가동하여 실외공기를 급기구(101)를 통해 실내로 급기하여 조리시 발생된 오염된 공기가 배기장치(10)를 통해 원활하게 실외로 배기되도록 함과 동시에 오염된 공기가 실내공간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급기구(101)를 통해 급기를 하여 오염된 공기의 확산을 방지하더라도 오염된 공기의 일부는 거실 등 실내공간으로 확산될 수 있다. 이렇게 확산된 오염된 공기를 제거하기 위해 배기모드 또는 환기모드로 가동하여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기시킨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환기모듈(110)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상기 환기모듈(110)은,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제1배기실(111), 상기 제1배기실(111)을 경유한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제2배기실(112), 실외공기가 유입되는 제1급기실(113), 상기 제1급기실(113)을 경유한 실외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제2급기실(114), 및 상기 제1배기실(111)에서 제2배기실(112)로 유동하는 실내공기와 상기 제1급기실(113)에서 제2급기실(114)로 유동하는 실외공기 간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전열교환기(115)를 포함한다.
격판(116)을 기준으로, 격판(116)의 상측에는 상기 제1배기실(111), 제2배기실(112), 제1급기실(113), 제2급기실(114) 및 전열교환기(115)가 구비되고, 격판(116)의 하측에는 바이패스 유로(11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바이패스 유로(119)는 환기모듈(1)의 바이패스 모드시에 실내공기가 통과하는 유로를 제공한다.
상기 제1배기실(111)에는 바이패스 유로(119)로 연통되는 연결통로(116a)와 전열교환기(50) 측으로 연통되는 연결통로(116b)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댐퍼(116)가 구비된다. 상기 댐퍼(116)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116c)를 중심으로 플레이트가 회동되는 전동댐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배기실(112)의 바닥에는 바이패스 유로(119)와 연통되는 연통구(112a)가 형성되고, 제2배기실(112)의 내부에는 실내공기를 실외측으로 강제흡인하는 배기 송풍기(118)가 구비된다.
상기 제1급기실(113)은 실외공기가 유입되는 유로를 제공한다.
상기 제2급기실(114)에는 실외공기를 실내측으로 강제흡인하는 급기 송풍기(117)가 구비된다.
상기 전열교환기(115)는 그 내부에 실내공기가 유동하는 유로와 실외공기가 유동하는 유로가 교대로 형성되어 실내공기와 실외공기 간에 열교환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급기실(113)과 대면하는 전열교환기(115)의 일측면에는 급기되는 실외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필터(115a)가 구비된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1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공기조화기(100)에는 실외공기를 실내로 급기하기 위한 제1급기구(101),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기하기 위한 배기구(102), 실외공기를 실내로 급기하기 위한 제2급기구(103)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급기구(101)와 배기구(102) 및 제2급기구(103)는 상기 배기장치(10)에 가까운 위치에서부터 먼 위치까지 순차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급기구(101)와 배기구(102)는 주방에 설치되고, 상기 제2급기구(103)는 거실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급기구(101)와 배기구(102)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급기모드 가동에 의해 제1급기구(101)에서 급기하고, 급기모드가 이루어진 후 배기모드 가동에 의해 배기구(102)를 통해 실내공기가 배기되도록 한다. 물론, 배기모드 대신 환기모드로 가동하는 경우에는 배기구(102)를 통해 배기가 이루어짐과 동시에 제1급기구(101)를 통해 급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공기조화기(100)가 급기모드로 가동되는 중에 상기 제2급기구(103)를 통해 거실에 급기를 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100)가 환기모드로 가동되는 경우 상기 제2급기구(103)를 통해 급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급기구(103)를 통해 급기하게 되면, 배기장치(10)의 계속적인 가동으로 인해 주방 측에 음압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배기장치(10)의 배기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100)의 제어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공기조화기(100)는, 공기조화기(100)를 가동시키기 위한 급기신호를 발생시키는 급기신호 발생부(120), 공기조화기(100)의 하나 이상의 가동모드의 가동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타이머(1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급기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급기신호 수신부(131), 상기 급기구(101)를 통해 급기되는 급기량과 상기 배기구(102)를 통해 배기되는 배기량을 조절하기 위한 공기량 조절부(132), 실내 오염도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는 실내 오염도 정보 수신부(133), 상기 배기장치(10)의 가동에 따른 배기량 정보를 저장하는 배기량 정보 저장부(134), 상기 배기장치(10)의 가동에 따른 배기량 정보를 수신하는 배기량 정보 수신부(1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량 조절부(132)는, 급기 송풍기(117)의 회전수를 가변시켜 급기량을 조절할 수도 있고, 덕트(105,106)에 연결된 유로를 개폐하는 댐퍼의 개도를 조절함으로써 덕트(106)를 통해 급기되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공기량 조절부(132)는, 배기 송풍기(118)의 회전수를 가변시켜 배기량을 조절할 수도 있고, 덕트(107,108)에 연결된 유로를 개폐하는 댐퍼의 개도를 조절함으로써 덕트(108)를 통해 배기되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도 있다.
상기 실내 오염도 정보 수신부(133)에는 실내 오염도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고, 상기 실내 오염도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급기모드에서 배기모드 또는 환기모드로의 전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배기량 정보 저장부(134)는 배기장치(10)의 배기량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배기량에 대한 정보는 배기량 정보 저장부(134)에 미리 입력되어 저장될 수도 있고, 배기장치(10)로부터 배기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배기장치(10)와 공기조화기(100)는 통신부(미도시)에 의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상기 배기장치(10)의 배기량은 조리자가 배기장치(10)에서 가동세기를 조절함으로써 가변될 수 있다. 이러한 배기량에 대한 정보는 배기량 정보 수신부(135)에 수신되어, 배기량 정보 저장부(134)에 저장되고, 상기 공기조화기(100)는 상기 저장된 배기량 정보에 따라 급기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배기장치(10)는, 조리자의 선택에 의해 수동으로 가동될 수도 있고, 실내환경정보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가동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실내환경정보로는 일례로, 실내 공기의 오염도가 될 수 있다.
상기 배기장치(10)가 자동으로 가동되는 경우, 상기 실내의 환경정보를 감지하는 실내환경 감지부(미도시)로부터 감지된 신호가 배기장치(10)의 제어부에 수신된 경우 상기 배기장치(10)가 가동될 수 있다.
상기 실내환경 감지부는, 일례로 냄새 또는 가스를 감지하고, 그 감지신호에 의해 배기장치(10)가 자동으로 동작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내환경 감지부에서 감지된 공기의 오염도에 따라 배기장치(10)의 가동 세기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일실시예로, 상기 공기조화기(100)와 배기장치(10)는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구성할 수다.
이와 같이 상기 공기조화기(100)와 배기장치(10)가 연동하여 동작하는 경우, 상기 공기조화기(100)와 배기장치(10)는 유무선 통신에 의해 제어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100)에서 배기장치(10)를 가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배기장치(10)에서 상기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배기장치(10)의 배기 송풍기(11)가 동작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배기장치(10)에서 공기조화기(100)를 가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공기조화기(100)에서 상기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급기 송풍기(117)가 동작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공기조화기(100)와 배기장치(10)는 연동하지 않고 개별적으로 동작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배기장치(10)가 가동되면, 사용자가 공기조화기(100)에 구비된 가동 버튼 또는 리모컨의 조작에 의해 급기신호를 수동으로 발생시키고, 공기조화기(100)는 상기 급기신호를 입력받아 수동으로 가동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급기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조리자가 주방에서 조리하면, 오염된 공기를 실외로 배기하기 위해 배기장치(10)가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가동된다.
상기 배기장치(10)의 가동에 따라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실외로 배기하기 위한 배기장치(10)의 가동에 따른 급기신호가 공기조화기(100)에 입력되면, 상기 공기조화기(100)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가동된다. 즉, 급기신호 발생부(120)에서 급기신호가 수동 또는 자동으로 발생하고, 상기 급기신호 발생부(120)에서 발생한 급기신호는 급기신호 수신부(131)에 수동 또는 자동으로 입력된다.
상기 급기신호 수신부(131)에 상기 급기신호가 수신되면, 급기 송풍기(117)를 가동시킨다.
이 경우 상기 급기신호 수신부(131)에 급기신호가 수동으로 입력되어 공기조화기(100)가 수동으로 가동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공기조화기(100)의 버튼 또는 리모컨을 누르면 상기 급기신호가 발생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기신호 수신부(131)에 급기신호가 자동으로 입력되어 공기조화기(100)가 자동으로 가동되는 경우에는 상기 배기장치(10)의 가동정보를 통신에 의해 배기장치(10)로부터 받고, 상기 공기조화기(100)에서 상기 수신된 가동정보를 기초로 상기 공기조화기(100)를 급기모드로 가동시킨다.
상기 공기조화기(100)가 급기모드로 가동되면 실외공기가 급기구(101)를 통해 주방측 실내로 급기된다. 이 경우 상기 급기구(101)에서는 상기 배기장치(10)를 향하여 급기방향이 경사지도록 급기할 수도 있고, 배기장치(10) 전방의 바닥을 향해 수직방향으로 급기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급기구(101)를 통해 급기가 이루어짐으로써, 오염된 공기를 신속히 배기장치(10)를 통해 실외로 배기할 수 있어 오염된 공기가 실내공간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급기모드의 가동이 이루어진 후 배기모드 또는 환기모드로의 모드 전환은 설정시간의 경과를 기준으로 하거나 실내 환경정보를 기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설정시간의 경과를 기준으로 하는 경우에는 급기모드의 가동이 시작되면 타이머(121)에서 경과시간을 측정하고, 상기 경과시간이 상기 설정시간이 되면 상기 배기모드 또는 환기모드로 가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내 환경정보를 기준으로 하는 경우에는 실내환경 감지부에서 실내 환경정보(일례로, 공기 오염도)를 감지하고, 상기 실내 환경정보의 감지된 값이 설정기준을 충족하면 상기 급기모드를 종료하고, 상기 배기모드가 가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급기모드의 가동이 설정된 조건동안 이루어진 후, 배기 송풍기(118)를 가동하여 실내공기를 배기구(102)로 흡입하여 실외로 배기하는 배기모드로 제어한다.
이 경우 급기 송풍기(117)의 가동을 정지시키고 배기 송풍기(118)만 가동되는 배기모드로 가동될 수도 있고, 급기 송풍기(117)의 가동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에서 배기 송풍기(118)를 가동시키는 환기모드로 가동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환기모드로 가동할 경우에는 전열교환모드와 바이패스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가동할 수 있다.
상기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온도정보를 각각 수신받고, 이 두 가지 온도를 비교하여 전열교환을 할 것인지 바이패스할 것인지 결정할 수 있다. 실내공기와 실외공기 사이에 열교환이 필요하면 전열교환모드를 선택하고, 실내공기와 실외공기 사이에 열교환이 필요하지 않으면 바이패스모드를 선택한다.
상기 전열교환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내공기와 실외공기는 전열교환기(115)를 통과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높은 온도의 실내공기를 이용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실외공기를 가열하거나, 낮은 온도의 실내공기를 이용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실외공기를 냉각시킬 수 있어,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내에 급기되는 실외공기는 배기되는 실내공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져 실내온도와의 차이가 크지 않게 된다. 따라서 온도차가 크지 않은 실외공기가 유입되므로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상기 바이패스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외공기는 전열교환기(115)를 거쳐 실내로 유입되고, 실내공기는 전열교환기(115)를 거치지 않고 바이패스 유로(119)를 통해 실외로 배기된다. 따라서 실외공기의 온도를 이용하여 실내 냉방 또는 난방이 가능해진다.
한편, 상기 환기모드로 제어하는 경우 상기 급기 송풍기(117)에 의해 실내로 급기되는 실외공기의 급기량과 상기 배기 송풍기(118)에 의해 상기 실외로 배기되는 실내공기의 배기량이 상이하게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급기량과 배기량은 덕트(105,106,107,108)에 구비된 댐퍼의 개도를 조절하여 급기량과 배기량을 조절할 수도 있고, 상기 급기 송풍기(117)의 회전수와 상기 배기 송풍기(118)의 회전수를 서로 상이하게 하여 조절할 수도 있다.
배기장치(10)에 의해 배기가 이루어지는 경우 배기장치(10) 부근의 주방에는 배기장치(10)를 통한 원활한 배기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약한 음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거실에는 주방의 약한 음압보다 높은 압력으로 유지함으로써 오염된 공기의 실내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100)에서는 급기량과 배기량을 조절함으로써 실내 압력을 원하는 압력으로 형성할 수 있어, 원활한 배기와 오염된 공기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10 : 배기장치 15 : 배기덕트
20 : 레인지 30 : 싱크대
100 : 공기조화기 101,103 : 급기구
102 : 배기구 105,106,107,108 : 덕트
110 : 환기모듈 115 : 전열교환기
117 : 급기 송풍기 118 : 배기 송풍기
119 : 바이패스 유로 120 : 급기신호 발생부
121 : 타이머 130 : 제어부
131 : 급기신호 수신부 132 : 공기량 조절부
133 : 실내 오염도 정보 수신부 134 : 배기량 정보 저장부
135 : 배기량 정보 수신부

Claims (11)

  1. 급기구를 통하여 실외공기를 실내로 급기하는 급기 송풍기;
    배기구를 통하여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기하는 배기 송풍기; 및
    상기 급기 송풍기 및 배기 송풍기와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급기구는 주방 천장에 배치되는 제 1 급기구와 상기 주방에 연결된 거실 천장에 배치되는 제 2 급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배기구는 상기 주방 천장에 배치되는 제 1 배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급기구는 상기 제 1 배기구보다 주방에 배치된 주방후드에 가까운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실외로 배기하기 위하여 상기 주방후드의 가동에 따른 급기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급기 송풍기만을 가동하여 상기 실외공기를 실내로 급기하여 상기 급기구로부터 상기 주방후드로의 공기흐름을 형성하는 급기모드가 가동되도록 설정되고, 상기 급기모드 가동 후 상기 주방후드에 의해 배기되지 못한 나머지 오염된 공기가 주방에서 빠져나가지 않고 상기 제 1 배기구를 통하여 실외로 배기되도록 상기 배기 송풍기를 가동하도록 설정되는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 송풍기에 의해 실내로 급기되는 상기 실외공기가 유동하며 상기 급기구에 연결되는 급기덕트;
    상기 배기 송풍기에 의해 실외로 배기되는 상기 실내공기가 유동하며 상기 배기구에 연결되는 배기덕트;
    상기 급기덕트와 배기덕트가 교차하는 지점에 구비되어, 상기 급기덕트와 배기덕트를 통과하는 실외공기와 실내공기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구비된 전열교환기;
    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공기와 실외공기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전열교환기를 거치지 않고 우회하여 유동하도록 바이패스유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 송풍기에 의한 급기가 시작된 시점부터 경과 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타이머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이머로부터 수신된 경과 시간이 설정 기준을 충족시킨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배기가 이루어지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실내환경 감지부에서 감지된 실내 환경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기의 시작 여부를 결정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환경 감지부로부터 수신된 실내 환경정보는 실내공기의 오염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송풍기의 가동시 상기 급기 송풍기를 동시에 가동시키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 송풍기에 의한 급기량과 상기 배기 송풍기에 의한 배기량을 조절하기 위한 공기량 조절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량 조절부는 상기 급기 송풍기의 회전수와 상기 배기 송풍기의 회전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급기구, 상기 제 1 배기구 및 상기 제 2 급기구가 상기 주방후드에 가까운 위치에서부터 먼 위치까지 순차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20210086060A 2018-07-23 2021-06-30 공기조화기 KR102350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060A KR102350717B1 (ko) 2018-07-23 2021-06-30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5609A KR20200010939A (ko) 2018-07-23 2018-07-23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20210086060A KR102350717B1 (ko) 2018-07-23 2021-06-30 공기조화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5609A Division KR20200010939A (ko) 2018-07-23 2018-07-23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4407A KR20210084407A (ko) 2021-07-07
KR102350717B1 true KR102350717B1 (ko) 2022-01-14

Family

ID=6936948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5609A KR20200010939A (ko) 2018-07-23 2018-07-23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20210086060A KR102350717B1 (ko) 2018-07-23 2021-06-30 공기조화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5609A KR20200010939A (ko) 2018-07-23 2018-07-23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0001093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84800B (zh) * 2022-01-14 2024-02-20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器控制方法、装置和空调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3831B1 (ko) * 2009-09-22 2012-01-06 삼성물산 주식회사 주방 후드 연동 환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6069789B2 (ja) * 2013-03-12 2017-02-01 株式会社大気社 給排気設備
KR101824148B1 (ko) * 2016-03-03 2018-01-31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환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722B1 (ko) * 2008-12-30 2010-09-10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폐열회수형 환기장치용 공기 청정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3831B1 (ko) * 2009-09-22 2012-01-06 삼성물산 주식회사 주방 후드 연동 환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6069789B2 (ja) * 2013-03-12 2017-02-01 株式会社大気社 給排気設備
KR101824148B1 (ko) * 2016-03-03 2018-01-31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환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0939A (ko) 2020-01-31
KR20210084407A (ko) 202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0412B1 (ko) 에너지 절약형 주방환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98489B1 (ko) 하이브리드 레인지후드
JP6245243B2 (ja) 換気システム
KR102350717B1 (ko) 공기조화기
CN209763398U (zh) 供气系统
CN109140714A (zh) 空调的控制方法及空调
KR102320358B1 (ko) 실내 배기장치의 제어방법
KR102227556B1 (ko) 급기장치 및 급기장치의 제어방법
KR102311159B1 (ko) 급기장치 및 급기장치의 제어방법
KR102266306B1 (ko) 팬 분리형 렌지후드를 이용한 세대환기시스템
KR102058287B1 (ko) 건물의 환기시스템
KR20180123745A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2216720B1 (ko) 급기 시스템 및 급기 방법
KR102049659B1 (ko) 환기용 열교환기
KR102058286B1 (ko) 건물의 실내 환기장치
KR102260499B1 (ko) 급기장치 및 이에 연동된 실내 배기장치의 제어방법
KR102248315B1 (ko) 급기장치 및 급기장치의 제어방법
KR102368815B1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및 공기조화기
KR101094855B1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온풍기
KR102345137B1 (ko) 급기장치 및 급기장치의 제어방법
KR102592513B1 (ko) 세대용 통합 환기 시스템
CN219389846U (zh) 一种排烟装置及集成灶
JP2002243232A (ja) 台所用換気システム
KR102335409B1 (ko) 급기장치의 제어방법
KR102491181B1 (ko) 환기 시스템 및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