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5734A - 실내 배기장치와 급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실내 배기장치와 급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5734A
KR20190005734A KR1020180073175A KR20180073175A KR20190005734A KR 20190005734 A KR20190005734 A KR 20190005734A KR 1020180073175 A KR1020180073175 A KR 1020180073175A KR 20180073175 A KR20180073175 A KR 20180073175A KR 20190005734 A KR20190005734 A KR 201900057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upply
amount
exhaust
ai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3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5409B1 (ko
Inventor
황인수
권은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to CN201810738203.9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9210728A/zh
Publication of KR20190005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57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5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5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2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6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tim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24F2011/000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for admittance of outsid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24F2011/000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for admittance of outside air
    • F24F2011/0005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for admittance of outside air to create underpressure in a room, keeping contamination in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24F2110/12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0Odou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방이나 화장실의 공기가 오염되어 배기장치에 의한 배기와 급기장치에 의한 급기를 하는 경우 오염도에 따라 급기량이 달라지도록 함으로써 다른 실내공간으로 오염원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배기효율을 높여 오염원이 신속히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실내 배기장치와 급기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내 배기장치의 제어방법은, a)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실외로 배기하는 배기모드로 가동되고, 상기 실내 공기의 오염도에 따라 급기장치에 의해 실내로 급기되는 급기량이 달라지도록 급기정보를 발생시키는 단계; b) 상기 배기를 종료시키기 위한 종료조건이 충족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배기모드의 가동을 정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실내 배기장치와 급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Apparatus for exhaust of indoors, apparatus for air supply,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실내 배기장치와 급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 공기의 오염도에 따라 급기량과 배기량을 조절하는 실내 배기장치와 급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방기기의 하나인 주방후드는 주방에 설치되어 주방에서 음식물의 조리시 발생하는 연소가스 및 음식냄새, 수증기 등을 외부로 배출시켜 주방의 공기 오염을 방지하는데 사용된다.
이와 같은 주방후드는 가스레인지, 전기레인지 등을 포함하는 주방기기의 상측부에 설치되고, 조리기기에서 발생되는 가스와 음식물 조리시 발생되는 가스를 배기팬을 이용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한편, 화장실에는 화장실 사용시 발생하는 냄새 및 수증기(습기)를 보다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배기팬이 구비된다.
그러나 주방후드를 가동시키더라도 조리시 발생하는 연소가스 및 음식냄새의 일부는 배기팬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거실 등 실내로 확산되고, 화장실 사용시 발생하는 냄새와 수증기(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배기팬을 가동시키더라도 냄새 및 수증기(습기) 일부는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실내로 확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배기팬을 계속 가동시키면 실내에는 음압이 형성되어 배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며, 이러한 상태로 지속적으로 배기팬을 가동시키면 소음과 진동이 점점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주방과 화장실에서 발생한 냄새 및 수증기(습기)를 보다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배기팬의 용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배기팬의 용량이 커지면 배기팬의 크기가 커져 설치공간 및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배기팬의 크기가 커지면 배기팬 동작시 소비전력이 커지게 되어 전기요금이 증가하게 되며, 배기팬 동작시 진동 및 소음이 커져 쾌적한 주거환경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주방후드가 나타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265992호가 공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주방이나 화장실의 공기가 오염되어 배기장치에 의한 배기와 급기장치에 의한 급기를 하는 경우 오염도에 따라 급기량이 달라지도록 함으로써 다른 실내공간으로 오염원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배기효율을 높여 오염원이 신속히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실내 배기장치와 급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실내의 오염도에 따라 급기량을 달리하여 배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어 용량이 작은 배기장치로도 종래와 동일한 성능을 발휘하도록 함으로써 배기장치의 설치에 소요되는 공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고, 배기장치의 동작시 소요되는 전기요금을 줄일 수 있으며, 배기장치 동작시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을 줄여 쾌적한 실내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실내 배기장치와 급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내 배기장치의 제어방법은, a)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실외로 배기하는 배기모드로 가동되고, 상기 실내 공기의 오염도에 따라 급기장치에 의해 실내로 급기되는 급기량이 달라지도록 급기정보를 발생시키는 단계; b) 상기 배기를 종료시키기 위한 종료조건이 충족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배기모드의 가동을 정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a)단계의 가동 초기에, 상기 측정된 오염도가 높은 경우에는 상기 급기량이 없거나 급기량이 작도록 상기 급기정보를 발생시키고, 상기 측정된 오염도가 낮은 경우에는 상기 급기량이 많도록 상기 급기정보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a)단계의 가동 초기에, 상기 측정된 오염도가 높은 경우에는 상기 실외로 배기되는 배기량은 상기 급기량에 비해 높은 비율로 설정되고; 상기 측정된 오염도가 낮은 경우에는 상기 실외로 배기되는 배기량은 상기 급기량에 비해 낮은 비율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a)단계와 b)단계 사이에는, 상기 a)단계에서의 급기량보다 더 증가된 급기량으로 급기가 이루어지도록 급기정보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단계와 b)단계 사이에는, 상기 급기량보다 상기 실외로 배기되는 배기량이 더 적게 되도록 하는 정보를 발생시키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a)단계에서는 상기 급기량보다 상기 실외로 배기되는 배기량이 더 많게 되도록 하는 정보를 발생시키고; 상기 a)단계와 b)단계 사이에는, 상기 급기량과 배기량이 동일하게 되도록 하는 정보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급기량보다 배기량이 더 적게 되도록 하는 정보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기량보다 배기량이 더 적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실내의 오염도가 일정 수준 이하여서 오염도가 낮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급기량보다 배기량이 더 적도록 제어하는 단계가 수행된 후 상기 급기장치에 의한 급기는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배기만 이루어지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단계에서는 상기 실내공기의 오염도가 높다고 판단되어 급기가 없거나 배기량이 급기량보다 큰 조건으로 가동되고; 상기 a)단계와 b)단계 사이에는, 상기 a)단계에서의 급기량보다 증가된 급기량으로 급기를 하되, 배기량이 급기량과 같거나 급기량보다 큰 조건으로 가동되는 a-1)단계; 일정시간 배기만 이루어지는 a-2)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a)단계에서는 상기 실내공기의 오염도가 높지 않다고 판단되어 급기가 없거나 배기량이 급기량보다 같거나 큰 조건으로 가동되고; 상기 a)단계와 b)단계 사이에는, 일정시간 배기만 이루어지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a)단계 이전에, 상기 급기가 필요한 실내공간 이외의 다른 실내공간에 상기 a)단계의 급기가 이루어지는 모드를 제외한 다른 제어모드로 가동중인 경우에는 상기 다른 제어모드의 가동을 중단한 후 상기 a)단계의 급기가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실내로 상기 급기가 직접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a)단계 이후, 상기 실내가 화장실인 경우 사용자가 화장실 사용을 종료한 후에도 상기 배기모드와 실내 급기를 유지시킨 후 상기 배기모드와 실내 급기를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a)단계의 급기가 이루어질 때 상기 급기가 필요한 제1실내공간 이외의 다른 제2실내공간에 이미 급기가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2실내공간의 급기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1실내공간에 급기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급기정보는, 실내 공기의 오염도에 따른 급기량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알람으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급기장치로 송신되는 급기신호로서 실내 공기의 오염도에 따른 급기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급기장치의 제어방법은, a)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실외로 배기하기 위한 배기장치가 배기모드로 가동되는 경우 실내 공기의 오염도에 따라 실내로 급기되는 급기량이 달라지도록 하는 급기정보에 기초하여 급기모드로 가동되는 단계; b) 상기 급기를 종료시키기 위한 종료조건이 충족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급기모드의 가동을 정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a)단계의 가동 초기에, 상기 측정된 오염도가 높은 경우에는 상기 급기량이 없거나 급기량이 작도록 제어하고, 상기 측정된 오염도가 낮은 경우에는 상기 급기량이 많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a)단계의 가동 초기에, 상기 측정된 오염도가 높은 경우에는 상기 급기량은 상기 배기장치에서 실외로 배기되는 배기량에 비해 낮은 비율로 설정되고; 상기 측정된 오염도가 낮은 경우에는 상기 급기량은 상기 배기량에 비해 높은 비율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a)단계와 b)단계 사이에는, 상기 a)단계에서의 급기량보다 더 증가된 급기량으로 급기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단계와 b)단계 사이에는, 상기 실외로 배기되는 배기량보다 상기 급기량이 더 많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단계에서는 상기 실외로 배기되는 배기량보다 급기량이 더 적도록 제어하고; 상기 a)단계와 b)단계 사이에는, 상기 급기량과 배기량이 동일하도록 제어되는 단계와, 상기 배기량보다 급기량이 더 많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기량보다 상기 급기량이 더 많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실내의 오염도가 일정 수준 이하여서 오염도가 낮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배기량보다 상기 급기량이 더 많도록 제어하는 단계가 수행된 후 상기 배기가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급기가 정지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단계 이전에, 상기 급기가 필요한 실내공간 이외의 다른 실내공간에 상기 a)단계의 급기 모드를 제외한 다른 제어모드로 가동중인 경우에는 상기 다른 제어모드의 가동을 중단한 후 상기 급기모드가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실내로 상기 급기가 직접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a)단계 이후, 상기 실내가 화장실인 경우 사용자가 화장실 사용을 종료한 후에도 상기 배기장치의 배기모드와 급기모드를 유지시킨 후 상기 배기모드와 급기모드를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a)단계의 급기가 이루어질 때 상기 급기가 필요한 제1실내공간 이외의 다른 제2실내공간에 이미 급기가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2실내공간의 급기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1실내공간에 급기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급기정보는, 실내 공기의 오염도에 따른 급기량에 대해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신호이거나, 상기 배기장치로부터 수신된 급기신호로서 실내 공기의 오염도에 따른 급기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실내 배기장치는, 배기장치를 가동시키기 위한 배기장치 가동정보가 수신되는 배기장치 가동정보 수신부; 실내 공기의 오염도에 따라 급기장치에 의해 실내로 급기되는 급기량이 달라지도록 급기량을 판단하는 급기량 판단부; 상기 급기장치에서 급기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급기량 정보가 포함된 급기정보를 발생시키는 급기정보 발생부를 포함한다.
상기 배기장치 가동정보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신호이거나; 상기 배기가 이루어지는 실내의 환경정보를 감지하는 실내환경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신호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급기장치는, 실내 공기의 오염도에 따라 실내로 급기되는 급기량이 달라지도록 하는 급기정보가 수신되는 급기정보 수신부; 실외공기를 실내로 급기하기 위한 급기송풍기; 상기 급기정보가 상기 급기정보 수신부에 수신되면, 상기 실외공기를 실내로 급기시키기 위해 상기 급기송풍기를 구동하는 급기구동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실내 공기의 오염도에 따라 실내로 급기되는 급기량이 달라지도록 급기량을 판단하는 급기량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급기량 판단부에서 판단된 급기량 정보를 포함하는 급기정보가 상기 급기정보 수신부에 수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기장치에 의한 배기와 급기장치에 의한 급기를 하는 경우 오염도에 따라 급기량이 달라지도록 함으로써 다른 실내공간으로 오염원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배기효율을 높여 오염원이 신속히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실내의 오염도에 따라 급기량을 달리하여 배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어 용량이 작은 배기장치로도 종래와 동일한 성능을 발휘하도록 함으로써 배기장치의 설치에 소요되는 공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고, 배기장치의 동작시 소요되는 전기요금을 줄일 수 있으며, 배기장치 동작시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을 줄여 쾌적한 실내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배기장치에 의해 배기가 이루어지는 실내공간에 급기가 이루어지는 경우 급기를 하고자 하는 실내 공간을 제외한 다른 실내 공간에서 이미 환기모드로 가동중인 경우에는 상기 환기모드 가동을 종료하고, 급기가 필요한 실내공간에 급기를 하는 급기모드로 전환하게 되면, 충분한 급기량을 확보할 수 있어 배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외부공기를 화장실 내부에 직접 급기하게 되면 사용자가 화장실 문을 닫은 상태에서도 냄새 및 수증기를 외부로 원활하게 배기시킬 수 있다.
또한, 실외온도가 설정된 온도보다 낮은 경우에는 가열시킨 후 급기함으로써 겨울철에 차가운 실외공기가 화장실로 급기됨으로 인해 사용자가 화장실 사용시 불쾌감을 느끼는 것을 방지하고, 화장실의 수분이 결빙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배기장치와 급기장치의 제어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배기장치와 급기장치의 제어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배기장치와 급기장치의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배기장치와 급기장치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
이하 본 발명 실내 배기장치와 급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배기장치와 급기장치의 제어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배기장치(110,120)는 배기장치를 가동시키기 위한 배기장치 가동정보가 수신되는 배기장치 가동정보 수신부(112,122), 실내 공기의 오염도에 따라 급기장치(200)에 의해 실내로 급기되는 급기량이 달라지도록 급기량을 판단하는 급기량 판단부(113,123), 상기 급기장치(200)에서 급기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급기량 정보가 포함된 급기정보를 발생시키는 급기정보 발생부(114,124)를 포함한다.
상기 배기장치 가동정보 수신부(112,122)와 급기 필요성 판단부(113,123) 및 급기정보 발생부(114,124)는 배기장치(110,120)의 제어부(111,121)를 구성한다.
상기 배기장치(110,120)는, 주방에 구비되어 음식 조리시 가동되는 제1배기장치(110; 주방후드), 화장실에 설치되어 화장실 사용시 가동되는 제2배기장치(1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배기장치(110,120)가 설치되는 실내는 주방, 화장실을 포함하여 가스 또는 냄새 등 오염된 공기가 발생하는 모든 장소를 포함할 수 있고, 배기장치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배기장치(110)와 제2배기장치(120)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수동으로 가동될 수도 있고, 실내환경정보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가동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실내환경정보로는 일례로, 실내 공기의 오염도가 될 수 있다.
상기 배기장치(110,120)가 수동으로 가동되는 경우, 상기 배기장치 가동정보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부(117,127)를 통해 입력된 신호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배기장치 가동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어 배기장치 가동정보 수신부(112,122)에 수신된 경우 상기 배기장치(110,120)가 가동된다.
상기 배기장치(110,120)가 자동으로 가동되는 경우, 상기 배기장치 가동정보는 배기가 이루어지는 실내의 환경정보를 감지하는 실내환경 감지부(310,320)로부터 감지된 신호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러한 배기장치 가동정보가 상기 실내환경 감지부(310,320)로부터 배기장치 가동정보 수신부(112,122)에 수신된 경우 상기 배기장치(110,120)가 가동된다.
상기 실내환경 감지부(310,320)는, 상기 제1배기장치(110)의 가동을 위해 실내환경을 감지하는 제1 실내환경 감지부(310)와, 상기 제2배기장치(120)의 가동을 위해 실내환경을 감지하는 제2 실내환경 감지부(3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배기장치(110,120)를 자동으로 가동시키는 방법의 일례로서, 제1 실내환경 감지부(310) 또는 제2 실내환경 감지부(320)에서 냄새 또는 습도를 감지하고, 그 감지신호에 의해 배기장치(110,120)가 자동으로 동작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급기량 판단부(113,123)는 상기 제1 실내환경 감지부(310)에서 감지된 실내환경정보에 기초하여 급기장치(200)에 의해 실내로 급기되는 급기량을 판단한다.
또한, 배기장치(110,120)에 의해 실외로 배기되는 배기량을 판단하는 배기량 판단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기량 판단부는 상기 급기량에 대한 배기량의 상대적인 비율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급기정보 발생부(114,124)는 상기 급기량 판단부(113,123)에서 판단된 급기량으로 급기장치(200)에서 급기가 이루어지도록 급기정보를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급기정보에는 상기 급기량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급기정보 발생부(114,124)는, 급기량 판단부(113,123)에서 판단한 급기량으로 급기가 필요함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알람을 발생시키거나, 급기량 판단부(113,123)에서 판단한 급기량으로 상기 급기장치(200)에서 급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급기신호를 송신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급기정보 발생부(114,124)에서 발생시키는 알람은, 급기량 판단부(113,123)에서 판단한 급기량으로 급기가 필요함을 알리는 알람 소리로 이루어지거나, 디스플레이부(116,126)에 나타내는 문자 정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급기정보 발생부(114,124)에서 알람이 발생한 경우, 사용자는 급기량 판단부(113,123)에서 판단한 급기량으로 급기장치(200)를 가동시킴으로써 실내에 급기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급기정보 발생부(114,124)에서 급기신호를 급기장치(200)로 송신하는 경우, 상기 제1배기장치(110)와 제2배기장치(120)는 상기 급기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115,125)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기장치(110,120)의 통신부(115,125)와 상기 급기장치(200)의 통신부(230)의 통신이 이루어져 상기 급기정보를 급기장치(200)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기장치(200)의 급기량을 포함한 가동정보를 상기 제1배기장치(110)와 제2배기장치(120)에 송신할 수도 있다.
상기 급기장치(200)는, 공기조화기에 구비된 급기모듈로 구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급기정보에 따라 실외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급기모드로 제어하는 제어부(240), 실외공기를 실내로 급기하기 위한 급기송풍기(21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240)는, 실내에 급기가 필요하다는 급기정보가 수신되는 급기정보 수신부(241), 상기 급기정보가 상기 급기정보 수신부(241)에 수신되면 상기 실외공기를 실내로 급기시키기 위해 상기 급기송풍기(210)를 구동하는 급기구동부(242)를 포함한다.
상기 급기장치(200)가 에어컨, 냉난방기기, 환기장치와 같은 공기조화기로 구성된 경우 급기모드를 포함하여, 환기, 공기청정, 제습, 가습, 냉방 및 난방모드 기능이 구비될 수 있고, 이를 위해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기하기 위한 배기송풍기(22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기장치(200)는 배기장치(110,120)에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주방후드의 일측에는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기하는 배기팬이 구비되고, 주방후드의 타측에는 실외공기를 실내로 공급하기 위한 급기팬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기장치(200)의 급기송풍기(210)에서 흡입된 실외공기는 덕트(201)를 통해 분배기(202)로 유동하고, 상기 분배기(202)에서는 거실, 주방, 방, 화장실 등 각각의 실내공간으로 공기를 분배하여 공급하고, 상기 분배기(202)에서 분배된 공기는 토출구(203,204,205,206,207)를 통해 상기 각각의 실내공간으로 공급된다.
상기 토출구(203,204,205,206,207)는 천장에 구비될 수도 있고, 바닥에 구비될 수도 있다. 특히 주방의 경우 제1배기장치(110)에 인접한 위치의 바닥에 토출구가 구비되어 상방향으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천장에 토출구가 구비된 경우에도 화장실 또는 주방의 바닥을 향해 급기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오염된 공기가 다른 실내공간으로 확산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천장과 바닥에 한정되지 않고 실외공기를 실내로 급기시킬 수 있는 위치이면 다른 위치에도 설치 가능하다.
또한, 상기에서는 급기장치(200)와 덕트(201)가 연결된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덕트(201)가 연결되지 않고 급기장치(200)가 실내에 구비되어 급기장치(200)에 일체로 구비된 토출구를 통해 급기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급기장치(200)에서 급기되는 공기가 분배기(202)에 의해 각각의 실내공간으로 분배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급기장치(200)에서 급기되는 공기가 분배기(202)를 거치지 않고 직접 화장실이나 드레스룸처럼 급기만 필요한 곳에 공급될 수 있도록 급기덕트(미도시)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급기되는 공기는 화장실과 이에 인접하는 실내공간(거실, 방)과의 사이 공간에 급기가 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화장실 천장에 급기덕트를 연결하여 화장실 내부공간에 직접 급기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화장실 내부공간에 직접 급기하는 경우에는 화장실 사용시 화장실 문이 닫혀 있는 상황에서도 화장실 내부의 배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실내환경감지부(310)는 주방 공기의 오염 여부를 감지하는 제1오염감지부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2실내환경감지부(320)는 화장실 공기의 오염 여부를 감지하는 제2오염감지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실내환경감지부(310)와 제2실내환경감지부(320)는 공기에 포함된 가스와 같은 오염물질을 감지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 경우 감지된 실내환경정보인 오염물질의 정보를 배기장치(110,120)에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배기장치(110,120)에서는 상기 수신된 오염물질의 정보로부터 공기의 오염도를 판단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배기량을 조절하거나, 급기장치(200)에서 급기량이 조절되도록 급기정보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실내환경감지부(320)의 일례로, 사용자가 배변시 발생하는 냄새를 감지할 수 있는 냄새센서(미도시)와 샤워 후 화장실 내부의 습기를 외부로 배기하기 위해 화장실 내부의 습도를 감지할 수 있는 화장실습도센서(미도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냄새센서와 화장실습도센서는 제2배기장치(120) 및 급기장치(200)와는 별도로 이루어진 부품으로서, 사용자가 임의로 화장실의 적절한 위치에 설치 가능하다.
상기 냄새센서를 화장실에 별도로 설치하면, 감지된 냄새가 설정된 값 이상이 될 때마다 제2배기장치(120)를 자동으로 동작시켜 배기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제1실내환경감지부(310)와 제2실내환경감지부(320)에서 감지된 실내공기의 오염정보가 배기장치(110,120)에 수신된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배기장치와 이에 연동하는 급기장치의 제어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의 실시예의 경우 제1실내환경감지부(310)와 제2실내환경감지부(320)에서 감지된 실내공기의 오염정보가 급기장치(200)에 수신된다는 점에서 도 1의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따라서 제1실내환경감지부(310)와 제2실내환경감지부(320)에서 감지된 실내공기의 오염정보는 급기장치(200)의 통신부(230)를 통해 제어부(240)에 수신되고,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수신된 오염정보에 따라 급기량을 조절할 수 있고, 상기 배기장치(110,120)에서 배기량이 조절될 수 있도록 배기정보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배기정보는, 사용자에게 배기량을 알리는 알람으로 이루어지거나, 급기장치(200)에서 배기장치(110,120)로 배기량을 포함한 정보를 송신하는 신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배기장치와 급기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배기장치(110)와 제2배기장치(120)는 동일한 방법에 의해 가동될 수 있다.
단계 S10에서 실내 공기의 오염도를 실내환경감지부(310,320)에서 감지한다. 사용자가 요리를 하거나, 화장실에서 배변을 하는 경우 실내 공기가 오염되고, 실내환경감지부(310,320)는 공기의 오염정도를 나타내는 오염도를 감지하게 된다.
단계 S20에서 상기 실내환경감지부(310,320)에서 감지된 오염도는 배기장치(110,210) 또는 급기장치(200)에 송신되고, 상기 배기장치(110,120)의 제어부(미도시) 또는 급기장치(200)의 제어부(240)에서는 오염도를 판단한다.
이 경우 오염도는 오염도가 심한 경우인 높음, 오염도가 중간인 보통, 오염도가 약한 경우인 낮음의 등급으로 나누거나, 알파벳 숫자로 이루어진 복수의 등급으로 나눌 수 있다. 또는 오염도가 심한 경우와 오염도가 심하지 않은 경우의 2개의 등급으로 나눌 수도 있다.
단계 S30에서 급기장치(200)에 의해 실내로 급기되는 급기량과 배기장치(110,120)에 의해 실외로 배기되는 배기량을 결정한다. 이 경우 급기량은 급기량 판단부(113,123)에서 수행하고, 배기량은 배기량 판단부에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급기량과 배기량은 오염원이 실내 공간으로 확산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함과 동시에 배기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결정한다. 즉, 급기량이 많게 되면 실내 공간의 오염된 공기가 제1배기장치(110)를 통해 실외로 모두 배출되지 않고 일부가 실내의 다른 공간으로 확산될 수 있다. 또한, 배기량이 많게 되면 실내 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는 공기량이 많아져 실내공간은 음압 상태가 되고, 배기가 계속 이루어져 실내공간에 음압이 심하게 형성되면 오염된 공기의 배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상기 급기장치(200)와 배기장치(110,120)의 가동 초기에, 상기 측정된 오염도가 높은 경우에 급기량이 많으면 오염된 공기가 확산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오염도가 낮은 경우에는 급기량이 많더라도 오염된 공기의 확산 가능성이 낮아진다. 따라서 상기 측정된 오염도가 높을수록 상기 급기량이 적고, 상기 측정된 오염도가 낮을수록 상기 급기량이 많아지도록 상기 급기량을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오염도가 낮은 경우 급기량이 많아지도록 하면 배기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급기량은 급기장치(200)에서 결정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배기장치(110,210)에서 결정하여 급기장치(200)로 급기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측정된 오염도가 높은 경우에 배기량이 많으면 오염된 공기를 신속히 배출시킬 수 있어 오염된 공기가 확산될 가능성이 낮아지고, 상기 측정된 오염도가 낮은 경우에 배기량이 상대적으로 적더라도 오염된 공기가 확산될 가능성이 낮아진다. 따라서 상기 배기량은 상기 측정된 오염도가 높을수록 급기량에 비해 비율이 높아지도록 하고, 상기 측정된 오염도가 낮을수록 급기량에 비해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아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오염도가 낮은 경우 급기량에 비해 배기량의 비율이 낮아지도록 하면 배기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배기량은 배기장치(110,210)에서 결정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급기장치(200)에서 결정하여 배기장치(110,210)로 배기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급기량과 배기량을 오염도에 따라 달라지도록 구성하게 되면 오염된 공기의 확산을 방지함과 동시에 배기로 인해 음압이 형성되어 배기효율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결정된 급기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급기정보를 급기정보 발생부(114,124)에서 발생시킨다. 상기 급기정보 발생부(114,124)는 급기가 필요하다는 알람을 발생시키거나, 급기신호를 통신부(115,125)를 통해 급기장치(200)에 송신한다.
단계 S40에서 상기 결정된 급기량과 배기량에 따라 배기장치(110,120)와 급기장치(200)를 일정시간 동안 가동한다.
상기 급기정보 발생부(114,124)에서 알람을 발생시킨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기에서 결정된 급기량에 대한 정보를 알람으로부터 사용자가 조작하여 급기장치(200)를 가동시킨다. 상기 급기정보 발생부(114,124)가 급기신호를 통신부(115,125)를 통해 급기장치(200)에 송신한 경우에는 상기 급기신호에 포함된 급기량 정보에 따라 급기가 이루어지도록 급기장치(200)가 가동된다.
이 경우 오염도에 따라 급기와 배기가 함께 이루어질 수도 있고, 급기는 이루어지지 않고 배기만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단계 S50에서 배기장치(110,120)에 의한 배기량과 급기장치(200)에 의한 급기량을 변동시킨다. 즉, 단계 S40에서의 급기량에 비해 단계 S50에서의 급기량이 더 증가하도록 급기량을 변동시킨다.
이 경우 급기량은 배기량과 동일하게 구성할 수도 있고, 급기량이 배기량보다 많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배기량은 일정한 값으로 유지할 수도 있고, 배기량을 줄이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실내환경감지부(310,320)에서 실내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된 오염도가 일정 수준 이하여서 오염도가 낮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급기량이 배기량보다 많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급기량을 증가시켜 급기를 수행한 후 오염원의 배출도 상당히 이루어졌고, 실내공간의 음압 상태도 해소된 경우에는 급기를 정지시키고 배기만 수행함으로써 실내공간에 잔존하는 오염물질 및 수분까지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가 일정시간 이루어지고 나면, 급기와 배기를 종료시키기 위한 종료조건이 충족되었다고 판단하여 급기모드와 배기모드의 가동을 종료시킨다.
이 경우 급기모드와 배기모드가 가동되는 일정시간은 미리 설정된 시간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오염원이 설정된 정도까지 제거되었다고 판단될 때까지의 경과시간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냄새센서에서 감지된 냄새가 일정수준 이하가 되거나 화장실습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습도가 일정수준 이하가 되었을 때 배기와 급기가 종료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특히 화장실의 경우 사용자가 화장실 사용을 종료한 후에도 일정시간 동안 배기와 급기가 지속된 후 배기와 급기가 종료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화장실 사용을 종료하였는지 여부는 화장실출입감지센서(미도시)로부터 사용자가 화장실을 나갔는지 여부를 통해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화장실출입감지센서는 사용자의 인체 열을 감지하는 적외선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급기량과 배기량이 결정된 후에 배기장치(110,120)와 급기장치(200)가 가동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측정된 오염도가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 배기장치(110,120)가 먼저 가동되거나, 배기장치(110,120) 및 급기장치(200)가 먼저 가동된 후, 단계 S30 이후의 과정이 수행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단계 S10에서 사용자의 배변시 냄새센서에서 냄새를 감지하고, 단계 S20에서 그 감지된 냄새의 정도를 제2배기장치(120)와 급기장치(200)에 송신한다. 그 후 배기장치(110,120)의 제어부와 급기장치(200)의 제어부(240)에서는 감지된 냄새의 정도가 일정 수준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배기장치(110,120)와 급기장치(200)를 가동시키고, 그 후 단계 S30의 과정이 수행되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가 샤워를 하고 난 이후에는 화장실 내부의 습도가 높은 상태이므로, 습기를 실외로 배출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단계 S10에서 샤워 후 화장실습도센서에서 습도를 감지하고, 단계 S20에서 그 감지된 습도의 정도를 제2배기장치(120)와 급기장치(200)에 송신한다. 그 후 배기장치(110,120)의 제어부와 급기장치(200)의 제어부(240)에서는 감지된 습도의 정도가 일정 수준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배기장치(110,120)와 급기장치(200)를 가동시키고, 그 후 단계 S30의 과정이 수행되도록 한다.
만약, 배기장치(110,120)이 가동되기 시작할 때 급기장치(200; 공기조화기)가 이미 환기모드로 가동중인 경우에는 환기모드의 가동을 중단하고, 급기가 필요한 실내공간인 주방 또는 화장실로 급기를 하기 위한 급기모드로 전환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를 수행하면 충분한 급기량을 확보할 수 있어 배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배기장치(110)이 가동되어 제1실내공간인 주방에 급기를 하고 있는 도중에 제2배기장치(120)이 가동되면 주방에 급기를 유지한 상태에서 제2실내공간인 화장실에 급기를 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반대로 화장실에 급기를 하고 있는 도중에 제1배기장치(110)이 가동되면 화장실에 급기를 유지한 상태에서 주방에 급기를 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만약 토출구(207)가 화장실 외부의 실내공간인 거실에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화장실 문을 닫은 상태에서 화장실 사용시에는 거실에 급기를 하더라도 화장실 내부공간에는 급기된 공기가 유입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화장실 천장에 연결된 토출구(207)를 통해 화장실 내부 공간에 직접 급기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화장실 문이 닫힌 경우에도 제2배기장치(120)의 가동시 배기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화장실 문이 닫히거나 열린 경우에 따라 화장실 내부에의 급기와 화장실 외부의 실내공간에의 급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거나 동시에 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급기장치(200)에서 급기되는 공기가 분배기(202)를 거치지 않고 직접 화장실이나 드레스룸처럼 급기만 필요한 곳에 공급될 수 있도록 급기덕트가 구비된 경우에는 실내의 다른공간에서는 환기모드 또는 다른 가동모드의 가동상태를 유지하고, 급기가 필요한 화장실이나 드레스룸에 독립적으로 급기를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겨울철에는 급기모드시 가열부(미도시)를 동작시켜 실내로 급기되는 공기를 가열하게 되면 차가운 공기의 실내 급기로 인한 실내 온도 하락을 방지하여 따뜻한 실내 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실외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실외온도센서가 더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실외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설정된 온도 이하가 되면 급기모드시 가열부를 동작시키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특히 겨울철에 차가운 실외공기가 그대로 화장실로 급기되면 화장실 사용시 불쾌감을 느끼거나 화장실의 수분이 결빙되는 문제점이 생길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가열부에서 가열된 공기를 급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급기공기의 가열은 급기장치(200) 내부에 구비된 가열부를 이용할 수도 있고, 급기장치(200) 외부에 구비된 급기덕트에 히터를 구비하여 급기공기를 가열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급기량과 배기량을 오염도에 따라 결정하는 경우를 예를 들면 아래와 같다.
[1] 오염도가 심한 경우
제어방법 1)
초기에는 오염된 공기의 확산 방지를 위해 급기는 이루어지지 않고, 배기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일정 시간 배기를 함으로써 오염원의 일부가 감소하면, 배기효율 증대를 위해 배기와 함께 급기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 경우 배기량과 급기량을 설정하는 경우에는 급기와 배기의 시간, 단위시간 당 급기량과 배기량을 모두 고려하여 오염원의 확산방지와 배기효율 증대가 가능하도록 실내공간에 적절한 음압이 형성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제어방법 2)
초기에는 배기와 급기를 함께 하되, 급기량 보다 배기량이 더 많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배기와 함께 급기를 함으로써 배기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일정 시간 배기와 급기를 함으로써 오염원의 일부가 감소하면, 급기량을 증가시켜 급기량과 배기량이 동일하게 되도록 제어한다.
그 후 적정수준 이하의 오염도가 감지되면 오염된 공기의 확산의 염려가 없으므로 배기량보다 급기량이 더 많도록 제어함으로써 배기효율을 증대시켜 잔여 오염된 공기를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 경우 배기량보다 급기량이 더 많도록 제어하더라도 오염원의 확산방지와 배기효율 증대가 가능하도록 실내공간에 적절한 음압이 형성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가동 초기부터 수행되었던 급기와 배기의 시간, 단위시간 당 급기량과 배기량을 모두 고려하면 전체 급기량과 배기량의 연산이 가능하고, 이와 같이 연산된 전체 급기량보다 전체 배기량이 일정량 많게 되도록 제어를 수행하면, 실내공간은 확산방지와 배기효율 증대가 모두 가능한 적절한 음압의 형성이 가능하다.
제어방법 3)
오염원 제거 과정의 초기에는 배기효율을 증대시키는 것보다 오염된 공기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오염원 제거 초기에는 급기를 하지 않거나, 급기를 하더라도 매우 작은 급기량으로 급기를 하여 배기량이 급기량보다 매우 큰 조건으로 가동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일정시간 가동이 이루어지면, 오염원이 어느 정도 제거되어 오염도가 낮아지면, 오염원 제거 과정의 초기에 비해 증가된 급기량으로 급기를 한다. 이 경우 배기량과 급기량이 같은 조건으로 가동하거나, 배기량이 급기량보다 약간 큰 조건으로 가동할 수 있다. 배기량이 급기량보다 약간 큰 경우에도 초기에 비해서 급기량은 증가한 상태이다. 이 경우 오염원이 어느 정도 제거되어 오염된 공기의 확산 가능성이 초기에 비해 떨어진 상태이므로 급기량을 증가시켜 배기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물론, 급기량을 증가시키더라도 실내공간에 적절한 음압이 형성되어 배기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정도로 음압이 형성되어야 하므로 이러한 상태를 형성하기 위해 급기량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배기량과 급기량의 차이가 초기에 비해 줄어든 상태로 일정시간 가동이 이루어져 오염원이 일정량 제거되면, 실내공간은 배기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적절한 음압으로 형성된 상태이므로, 급기는 하지 않고 배기만 수행함으로써 잔존하는 오염원을 신속히 제거할 수 있다.
[2] 오염도가 심하지 않은 경우
제어방법 1)
이 경우에는 초기에 급기와 배기를 함께 함으로써 오염된 공기의 확산 방지와 함께 배기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그 후 일정시간 동안 급기와 배기가 이루어져 오염원의 일부가 감소하면, 배기량보다 급기량이 더 많도록 제어함으로써 배기효율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배기량보다 급기량이 더 많도록 제어하더라도 오염원의 확산방지와 배기효율 증대가 가능하도록 실내공간에 적절한 음압이 형성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가동 초기부터 수행되었던 급기와 배기의 시간, 단위시간 당 급기량과 배기량을 모두 고려하면 전체 급기량과 배기량의 연산이 가능하고, 이와 같이 연산된 전체 급기량보다 전체 배기량이 일정량 많게 되도록 제어를 수행하면, 실내공간은 확산방지와 배기효율 증대가 모두 가능한 적절한 음압의 형성이 가능하다.
그 다음 급기는 중단하고, 배기만 함으로써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까지 제거하게 된다. 이와 같은 마지막 단계에서는 적절한 음압이 형성된 상태이므로 배기만 하더라도 심한 음압 형성에 따른 배기효율 저하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제어방법 2)
오염원 제거 과정의 초기에는 오염된 공기의 확산 방지를 위해 급기를 하지 않거나, 급기를 하더라도 배기량이 급기량과 같거나 배기량이 급기량보다 약간 큰 조건으로 가동된다.
이 경우에는 오염도가 심하지 않아 오염된 공기의 확산 가능성이 낮은 상태이므로 배기량보다 작거나 같은 정도로 급기를 하게 되면 배기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이 경우 실내공간에 적절한 음압이 형성되어 배기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정도로 음압을 형성하기 위해 급기량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배기량이 급기량보다 약간 큰 조건으로 일정시간 가동이 이루어져 오염원이 일정량 제거되면, 실내공간은 배기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적절한 음압으로 형성된 상태이므로, 급기는 하지 않고 배기만 수행함으로써 잔존하는 오염원을 신속히 제거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모든 실시예에서 급기가 이루어지고, 일정시점에서 급기량이 배기량보다 많도록 제어가 되더라도 실내공간에는 확산방지와 배기효율 증대가 모두 가능하도록 적절한 음압이 형성되도록 급기량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하면, 배기장치(110,120)에 의한 배기와 급기장치(200)에 의한 급기를 하는 경우 오염도에 따라 급기량이 달라지도록 함으로써 다른 실내공간으로 오염원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배기효율을 높여 오염원이 신속히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10 : 제1배기장치 111,121 : 제어부
112,122 : 배기장치 가동정보 수신부
113,123 : 급기량 판단부 114,124 : 급기정보 발생부
115,125 : 통신부 116,126 : 디스플레이부
117,127 : 입력부 120 : 제2배기장치
200 : 급기장치 201 : 덕트
202 : 분배기 203,204,205,206,207 : 토출구
210 : 급기송풍기 220 : 배기송풍기
230 : 통신부 240 : 제어부
241 : 급기정보 수신부 242 : 급기구동부
310 : 제1실내환경감지부 320 : 제2실내환경감지부

Claims (24)

  1. a)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실외로 배기하는 배기모드로 가동되고, 상기 실내 공기의 오염도에 따라 급기장치에 의해 실내로 급기되는 급기량이 달라지도록 급기정보를 발생시키는 단계;
    b) 상기 배기를 종료시키기 위한 종료조건이 충족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배기모드의 가동을 정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실내 배기장치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의 가동 초기에,
    상기 측정된 오염도가 높은 경우에는 상기 급기량이 없거나 급기량이 작도록 상기 급기정보를 발생시키고, 상기 측정된 오염도가 낮은 경우에는 상기 급기량이 많도록 상기 급기정보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배기장치의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의 가동 초기에,
    상기 측정된 오염도가 높은 경우에는 상기 실외로 배기되는 배기량은 상기 급기량에 비해 높은 비율로 설정되고;
    상기 측정된 오염도가 낮은 경우에는 상기 실외로 배기되는 배기량은 상기 급기량에 비해 낮은 비율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배기장치의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와 b)단계 사이에는, 상기 a)단계에서의 급기량보다 더 증가된 급기량으로 급기가 이루어지도록 급기정보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배기장치의 제어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와 b)단계 사이에는, 상기 급기량보다 상기 실외로 배기되는 배기량이 더 적게 되도록 하는 정보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배기장치의 제어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는 상기 급기량보다 상기 실외로 배기되는 배기량이 더 많게 되도록 하는 정보를 발생시키고;
    상기 a)단계와 b)단계 사이에는, 상기 급기량과 배기량이 동일하게 되도록 하는 정보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급기량보다 배기량이 더 적게 되도록 하는 정보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배기장치의 제어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로 상기 급기가 직접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배기장치의 제어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 이후, 상기 실내가 화장실인 경우 사용자가 화장실 사용을 종료한 후에도 상기 배기모드와 실내 급기를 유지시킨 후 상기 배기모드와 실내 급기를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배기장치의 제어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정보는, 실내 공기의 오염도에 따른 급기량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알람으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급기장치로 송신되는 급기신호로서 실내 공기의 오염도에 따른 급기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배기장치의 제어방법
  10. a)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실외로 배기하기 위한 배기장치가 배기모드로 가동되는 경우 실내 공기의 오염도에 따라 실내로 급기되는 급기량이 달라지도록 하는 급기정보에 기초하여 급기모드로 가동되는 단계;
    b) 상기 급기를 종료시키기 위한 종료조건이 충족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급기모드의 가동을 정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급기장치의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의 가동 초기에,
    상기 측정된 오염도가 높은 경우에는 상기 급기량이 없거나 급기량이 작도록 제어하고, 상기 측정된 오염도가 낮은 경우에는 상기 급기량이 많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장치의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의 가동 초기에,
    상기 측정된 오염도가 높은 경우에는 상기 급기량은 상기 배기장치에서 실외로 배기되는 배기량에 비해 낮은 비율로 설정되고;
    상기 측정된 오염도가 낮은 경우에는 상기 급기량은 상기 배기량에 비해 높은 비율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와 b)단계 사이에는, 상기 a)단계에서의 급기량보다 더 증가된 급기량으로 급기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와 b)단계 사이에는, 상기 실외로 배기되는 배기량보다 상기 급기량이 더 많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장치의 제어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는 상기 실외로 배기되는 배기량보다 급기량이 더 적도록 제어하고;
    상기 a)단계와 b)단계 사이에는, 상기 급기량과 배기량이 동일하도록 제어되는 단계와, 상기 배기량보다 급기량이 더 많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장치의 제어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 이전에, 상기 급기가 필요한 실내공간 이외의 다른 실내공간에 상기 a)단계의 급기 모드를 제외한 다른 제어모드로 가동중인 경우에는 상기 다른 제어모드의 가동을 중단한 후 상기 급기모드가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장치의 제어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로 상기 급기가 직접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장치의 제어방법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 이후, 상기 실내가 화장실인 경우 사용자가 화장실 사용을 종료한 후에도 상기 배기장치의 배기모드와 급기모드를 유지시킨 후 상기 배기모드와 급기모드를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장치의 제어방법
  19.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의 급기가 이루어질 때 상기 급기가 필요한 제1실내공간 이외의 다른 제2실내공간에 이미 급기가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2실내공간의 급기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1실내공간에 급기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장치의 제어방법
  20.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정보는, 실내 공기의 오염도에 따른 급기량에 대해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신호이거나, 상기 배기장치로부터 수신된 급기신호로서 실내 공기의 오염도에 따른 급기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장치의 제어방법
  21. 배기장치를 가동시키기 위한 배기장치 가동정보가 수신되는 배기장치 가동정보 수신부;
    실내 공기의 오염도에 따라 급기장치에 의해 실내로 급기되는 급기량이 달라지도록 급기량을 판단하는 급기량 판단부;
    상기 급기장치에서 급기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급기량 정보가 포함된 급기정보를 발생시키는 급기정보 발생부;
    를 포함하는 실내 배기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장치 가동정보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신호이거나;
    상기 배기가 이루어지는 실내의 환경정보를 감지하는 실내환경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배기장치
  23. 실내 공기의 오염도에 따라 실내로 급기되는 급기량이 달라지도록 하는 급기정보가 수신되는 급기정보 수신부;
    실외공기를 실내로 급기하기 위한 급기송풍기;
    상기 급기정보가 상기 급기정보 수신부에 수신되면, 상기 실외공기를 실내로 급기시키기 위해 상기 급기송풍기를 구동하는 급기구동부;
    를 포함하는 급기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실내 공기의 오염도에 따라 실내로 급기되는 급기량이 달라지도록 급기량을 판단하는 급기량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급기량 판단부에서 판단된 급기량 정보를 포함하는 급기정보가 상기 급기정보 수신부에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기장치
KR1020180073175A 2017-07-06 2018-06-26 급기장치의 제어방법 KR1023354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738203.9A CN109210728A (zh) 2017-07-06 2018-07-06 室内排气装置和供气装置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86164 2017-07-06
KR1020170086164 2017-07-06
KR1020170134462 2017-10-17
KR1020170134462A KR20190005695A (ko) 2017-07-06 2017-10-17 실내 배기장치 및 이에 연동된 급기장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5734A true KR20190005734A (ko) 2019-01-16
KR102335409B1 KR102335409B1 (ko) 2021-12-06

Family

ID=6528086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4462A KR20190005695A (ko) 2017-07-06 2017-10-17 실내 배기장치 및 이에 연동된 급기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80073175A KR102335409B1 (ko) 2017-07-06 2018-06-26 급기장치의 제어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4462A KR20190005695A (ko) 2017-07-06 2017-10-17 실내 배기장치 및 이에 연동된 급기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9000569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43140A (zh) * 2022-02-25 2022-05-27 杭州老板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厨卫排风系统的风量控制方法及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7345A (ja) * 1993-09-06 1995-03-20 Matsushita Seiko Co Ltd 換気装置の制御装置
KR20090102048A (ko) * 2008-03-25 2009-09-30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지하철 역사의 내외기 비교기반 환기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01025A (ko) * 2011-06-24 2013-01-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욕실 통합형 환기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3092325A (ja) * 2011-10-27 2013-05-16 Dai-Dan Co Ltd 空調運転開始時の室圧制御方法
KR20140105120A (ko) * 2013-02-22 2014-09-01 주식회사 한라 전열교환기 연동형 주방 환기장치 및 그 환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7345A (ja) * 1993-09-06 1995-03-20 Matsushita Seiko Co Ltd 換気装置の制御装置
KR20090102048A (ko) * 2008-03-25 2009-09-30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지하철 역사의 내외기 비교기반 환기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01025A (ko) * 2011-06-24 2013-01-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욕실 통합형 환기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3092325A (ja) * 2011-10-27 2013-05-16 Dai-Dan Co Ltd 空調運転開始時の室圧制御方法
KR20140105120A (ko) * 2013-02-22 2014-09-01 주식회사 한라 전열교환기 연동형 주방 환기장치 및 그 환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43140A (zh) * 2022-02-25 2022-05-27 杭州老板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厨卫排风系统的风量控制方法及装置
CN114543140B (zh) * 2022-02-25 2024-04-26 杭州老板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厨卫排风系统的风量控制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5409B1 (ko) 2021-12-06
KR20190005695A (ko) 2019-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04795B2 (en) Bathroom management system
JP5108569B2 (ja) 建物の空調システム
JP4330335B2 (ja) 浴室空調装置
JP2016095126A (ja) 室内空気質制御システム
KR20180123382A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JP6361667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
CN109140714B (zh) 空调的控制方法及空调
KR102301358B1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및 공기조화기
CN209763398U (zh) 供气系统
KR102320358B1 (ko) 실내 배기장치의 제어방법
JP2017062089A (ja) 換気システム
KR102335409B1 (ko) 급기장치의 제어방법
KR200432444Y1 (ko) 욕실용 환기와 난방기능을 갖는 건조장치
JP2002039599A (ja) 換気システム及び換気用制御装置及び換気方法
KR102350717B1 (ko) 공기조화기
JP4837547B2 (ja) 浴室換気乾燥装置
JP4946199B2 (ja) 湯水噴出システム
KR101596360B1 (ko) 스마트 환풍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2260499B1 (ko) 급기장치 및 이에 연동된 실내 배기장치의 제어방법
KR102216720B1 (ko) 급기 시스템 및 급기 방법
KR20180123745A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CN109210728A (zh) 室内排气装置和供气装置及其控制方法
JP2000304314A (ja) 屋内環境制御システム
KR102311159B1 (ko) 급기장치 및 급기장치의 제어방법
JP3473127B2 (ja) 空調換気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