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9224A - 다수 이미지 배치-인쇄-절단 자동화 방법 - Google Patents

다수 이미지 배치-인쇄-절단 자동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9224A
KR20200009224A KR1020180083307A KR20180083307A KR20200009224A KR 20200009224 A KR20200009224 A KR 20200009224A KR 1020180083307 A KR1020180083307 A KR 1020180083307A KR 20180083307 A KR20180083307 A KR 20180083307A KR 20200009224 A KR20200009224 A KR 202000092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ile
printing
images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3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3985B1 (ko
Inventor
박노성
Original Assignee
박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노성 filed Critical 박노성
Priority to KR1020180083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3985B1/ko
Publication of KR20200009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9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3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3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42Image or content composition onto a p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66Applications of cutting devices
    • B41J11/663Controlling cutting, cutting resulting in special shapes of the cutting line, e.g. controlling cutting positions, e.g. for cutting in the immediate vicinity of a printed im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18Reducing or saving of used resources, e.g. avoiding waste of consumables or improving usage of hardware re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5Page layout or assigning input pages onto output media, e.g. im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53Configuration of print job parameters, e.g. using UI at the cli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이미지가 배치된 대면적 인쇄 작업과 이미지별 절단 작업을 자동으로 진행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 이미지의 효율적 배치 및 이미지가 배치된 상태에서의 절단선 형성 과정이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으로 진행되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복수의 이미지를 조합하여 인쇄하고 절단하는 과정을 자동화한 방법으로서, (a) 스토리지에 업로드된 이미지 파일의 지정 출력범위 및 지정 출력사이즈를 포함한 메타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b) 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메타데이터를 분석하여 이미지 파일을 그룹핑하는 단계; (c) 그룹핑된 이미지 파일에서 추출된 각각의 이미지가 지정 출력범위 및 지정 출력사이즈에 따라 인쇄면에 배치·저장된 조합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인쇄면에 배치된 이미지별로 대응하는 절단선 데이터가 도출·저장된 절단선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및 (e) 상기 조합 이미지 파일은 인쇄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절단선 파일은 절단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수 이미지 배치-인쇄-절단 자동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다수 이미지 배치-인쇄-절단 자동화 방법{Images Auto Placement-Printing-Cutting Method}
본 발명은 다수의 이미지가 배치된 대면적 인쇄 작업과 이미지별 절단 작업을 자동으로 진행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 이미지의 효율적 배치 및 이미지가 배치된 상태에서의 절단선 형성 과정이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으로 진행되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기술의 발전에 따라 사진 현상 방법도 종래의 필름 인화 방식에서 디지털 이미지 파일 인쇄 출력 방식으로 전환되었으며, 이러한 방식은 일반적인 그림 파일을 출력하는 방식과 동일하다.
이미지 파일(사진이나 그림 파일)을 인쇄 출력할 때에는 각 이미지 파일별로 지정된 사이즈의 인쇄지에 출력할 수 있으나, 출력 대상이 되는 사진이나 그림의 용도에 따라 규격화된 사이즈 외의 다양한 사이즈 인쇄, 대면적 인쇄 등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대면적 프린트가 가능한 플로터를 이용하여 대면적 인쇄지에 여러 이미지를 한번에 인쇄하고 절단하는 방식을 적용한다.
인쇄지에 프린트되는 이미지의 사이즈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 어떠한 사이즈의 이미지를 어떻게 배치하여 프린트하느냐에 따라 인쇄지가 낭비될 수도 있고 절감될 수도 있으므로 플로터에 의한 인쇄 작업 진행에 앞서 다수의 이미지를 효율적으로 배치하는 작업이 필요하고, 이러한 작업은 수작업으로 진행해 왔다.
대면적 인쇄지에 여러 이미지가 인쇄된 상태에서 인쇄지를 각 이미지별로 절단하는 공정에는 보편적으로 CNC(computer numerical control) 절단기, 레이저 절단기가 적용되는데, 인쇄지 중의 어느 부분을 절단해야 하는지를 지정하는 작업은 수작업으로 진행되어 왔다.
위와 같은 종래 방식을 구체적인 예와 함께 다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대면적 인쇄지에 한번에 출력될 이미지 파일을 선정하여 지정폴더에 저장하고, 이미지 작업용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작업대기열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을 하나씩 오픈한다.
다음으로는 이미지 작업용 프로그램에서 불러온 이미지들을 액자 제작 의뢰자가 지정한 크기로 키운 후, 이미지간 겹쳐지는 부분이 없도록 배치한다. 이 과정에서 인쇄지 여백이 많이 남을 경우에는 해당 여백을 채울 수 있는 이미지 파일을 상기 작업대기열에 추가로 저장하고, 상기 이미지 작업용 프로그램에서 불러와 여백 부분에 배치함으로써 인쇄지의 낭비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반대로, 아직 미배치된 이미지의 사이즈가 남은 여백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미배치 이미지를 상기 작업대기열에서 삭제하고, 다른 이미지들과 함께 다른 인쇄지에 프린트되도록 한다.
다수의 이미지 배치가 완료된 후에는 그 상태로 저장된 파일을 형성시키고, 다수의 이미지가 배치된 상태에서 각 이미지별로 절단선을 형성시키고 상기 절단선만을 따로 저장한다.
마지막으로 다수의 이미지를 배치 저장한 파일은 플로터로 출력시켜 인쇄지에 프린트 되도록 하고, 절단선을 따로 저장한 파일은 절단기로 출력시켜, 다수의 이미지가 배치된 상태로 출력된 인쇄지가 상기 절단선을 따라 절단되도록 하고, 절단된 각 이미지를 액자에 삽입하는 등의 후속 작업을 실시한다.
종래에는 위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모두 작업자가 그래픽에디터 프로그램을 통해 수작업으로 진행하였으므로 많은 작업 시간과 작업 인력이 소요되었다.
1. 등록특허 10-1809204 "이미지 콘텐츠를 출판하는 서비스에 있어서 한 페이지에 이미지 콘텐츠를 최대로 배치하는 방법" 2. 등록특허 10-1049813 "이미지를 자동으로 배치하는 방법 및 장치" 3. 공개특허 10-2003-0042618 "컴퓨터를 이용한 커팅 플로터의 문자 및 그래픽 이미지편집 방법"
본 발명은 다수의 이미지를 지정된 크기에 따라 인쇄면에 효율적으로 배치하는 작업, 배치된 이미지를 절단하기 위한 절단선을 형성시키는 작업 등이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으로 진행되는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복수의 이미지를 조합하여 인쇄하고 절단하는 과정을 자동화한 방법으로서, (a) 스토리지에 업로드된 이미지 파일의 지정 출력범위 및 지정 출력사이즈를 포함한 메타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b) 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메타데이터를 분석하여 이미지 파일을 그룹핑하는 단계; (c) 그룹핑된 이미지 파일에서 추출된 각각의 이미지가 지정 출력범위 및 지정 출력사이즈에 따라 인쇄면에 배치·저장된 조합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인쇄면에 배치된 이미지별로 대응하는 절단선 데이터가 도출·저장된 절단선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및 (e) 상기 조합 이미지 파일은 인쇄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절단선 파일은 절단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수 이미지 배치-인쇄-절단 자동화 방법」을 제공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b)단계에서는 출력 면적 대비 이미지 점유율의 하한값 또는 여백율의 상한값을 조건으로 설정하고, 스토리지에 업로드된 순서에 따라 이미지 파일별로 지정 출력범위에 대한 지정 출력사이즈를 반영한 가상 이미지 배치를 반복하여,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배치에 참여된 이미지 파일을 그룹핑하고, 상기 (c)단계에서는 상기 (b)단계에서 확정된 이미지 배치상태에 따라 조합 이미지 파일을 생성토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단계에서는 이미지 파일의 설정 수량 범위 내에서 가상 이미지 배치를 랜덤하게 진행했을 때의 출력 면적 대비 최대 이미지 점유율 또는 최소 여백율을 조건으로 설정하고,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배치에 참여된 이미지 파일을 그룹핑하고, 상기 (c)단계에서는 상기 (b)단계에서 확정된 이미지 배치상태에 따라 조합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토록 할 수 있다.
상기 (d)단계에서는 상기 인쇄면에 배치된 이미지의 사각 테두리에서 지정된 간격만큼 후퇴한 절단선 데이터가 도출·저장된 절단선 파일을 생성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a)단계에서 수집하는 메타데이터는 이미지 내의 오브젝트 지정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d)단계에서는 상기 인쇄면에 배치된 이미지 내의 지정된 오브젝트를 따라 형성된 절단선 데이터가 도출·저장된 절단선 파일을 생성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c)단계는 그룹핑된 이미지 파일에서 소용량 압축 이미지를 추출하여 지정 출력범위 및 지정 출력사이즈에 따라 인쇄면에 배치한 후, 배치된 각 이미지의 원본 데이터를 로딩하여 저장된 조합 이미지 파일을 생성토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단계 또는 (d)단계에서는 인쇄면에 배치된 이미지별로 식별정보, 주문자 정보, 작업지시 정보 및 썸네일 이미지를 포함한 인덱스 파일을 함께 생성토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다수 이미지 배치-인쇄-절단 자동화 방법에 따르면 아래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1. 종래 작업자가 다수의 이미지를 일일이 요청된 사이즈에 맞추어 키워 쇄면에 배치하는 방식에서 탈피하여, 컴퓨터 프로그램이 이미지 파일의 메타데이터를 분석하여 다수의 이미지의 사이즈를 반영하여 한정된 인쇄면에 효율적으로 배치하므로 작업 시간 및 작업 인력을 절감하고, 작업량을 증진시킬 수 있다.
2. 종래 작업자가 인쇄면에 배치된 다수의 이미지에 맞게 일일이 절단선을 만들어 넣는 방식에서 탈피하여, 컴퓨터 프로그램이 이미지별로 대응하는 절단선 데이터를 도출·저장하므로 작업 시간 및 작업 인력을 절감하고, 작업량을 증진시킬 수 있다.
3. 이미지 파일의 메타데이터 분석을 통해 동일 인쇄면에 배치되는 이미지 데이터가 저장된 이미지 파일들을 그룹핑하되, 작업의 편의성과 인쇄지 절감을 고려하여 그룹핑 방식을 선택 적용할 수 있다.
4. 비정형적인 오브젝트에 대한 절단선 파일 생성을 통해 오브젝트 인쇄-절단 작업을 자동화시킬 수 있다.
5. 본 발명 실행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이미지 파일에서 소용량 압축 이미지를 추출하여 인쇄면에 다수의 이미지를 배치하는 과정을 수행하고, 조합 이미지 파일 생성 과정에서 배치된 각 이미지의 원본 데이터를 로딩함으로써 작업 과정에서의 컴퓨터 과부하를 방지하고 작업 속도를 빠르게 진행시킬 수 있다.
6. 조합 이미지 파일 또는 절단선 파일과 함께 인덱스 파일을 생성시킴으로써 상기 인덱스 파일이 라벨지에 인쇄되도록 하고, 상기 인덱스 파일이 인쇄된 라벨지를 절단된 이미지 뒷면에 부착시킴으로서 후속 작업의 혼선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다수 이미지 배치-인쇄-절단 자동화 방법의 플로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스토리지에 업로드된 이미지 파일의 메타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메타데이터를 분석하여 이미지 파일을 그룹핑한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이미지 파일에서 추출된 각각의 이미지가 지정 출력범위 및 지정 출력사이즈에 따라 인쇄면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이미지 파일의 원본 데이터를 로딩한 후의 배치 작업과 이미지 파일에서 추출한 소용량 압축 이미지의 배치 작업의 컴퓨터 부하 차이를 시각적으로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인쇄면에 배치된 이미지별로 대응하는 절단선을 도출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이미지에서 지정된 오브젝트에 대한 절단선이 도출되는 과정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복수의 이미지를 조합하여 인쇄하고 절단하는 과정을 자동화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스토리지에 업로드된 이미지 파일의 지정 출력범위 및 지정 출력사이즈를 포함한 메타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S1); (b) 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메타데이터를 분석하여 이미지 파일을 그룹핑하는 단계(S2); (c) 그룹핑된 이미지 파일에서 추출된 각각의 이미지가 지정 출력범위 및 지정 출력사이즈에 따라 인쇄면에 배치·저장된 조합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S3); (d) 상기 인쇄면에 배치된 이미지별로 대응하는 절단선 데이터가 도출·저장된 절단선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S4) 및 (e) 상기 조합 이미지 파일은 인쇄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절단선 파일은 절단기로 전송하는 단계(S5) 를 포함하는 다수 이미지 배치-인쇄-절단 자동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을 각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1. (a)단계
본 (a)단계는 스토리지에 업로드된 이미지 파일의 지정 출력범위 및 지정 출력사이즈를 포함한 메타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은 스토리지에 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이미지 파일을 그룹핑하여 대면적 인쇄지에 출력되도록 하는 과정이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웹사이트나 앱(App)을 통해 불특정 다수인이 이미지 파일을 상기 스토리지에 업로드하여 출력을 의뢰하거나, 출력 후 액자 등의 상품 제작까지 의뢰하는 등의 서비스 시스템으로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웹사이트나 앱을 통해 상기 스토리지에 이미지 파일을 업로드할 때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정 출력범위 및 지정 출력사이즈를 입력함으로써 업로드한 이미지 파일의 메타데이터에 상기 지정 출력범위 및 지정 출력사이즈가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웹사이트나 앱에서는 지정 출력사이즈별로 권장 해상도 기준을 제시하고, 지정 출력사이즈에 따른 권장 해상도 기준 미만의 이미지 파일에 대해서는 경고 메세지가 송출되도록 할 수 있다.
본 (a)단계에서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스토리지에 업로드된 이미지 파일의 지정 출력범위 및 지정 출력사이즈를 포함한 메타데이터를 수집한다.
이미지 파일의 원본 이미지 전체 또는 일부가 지정 출력범위로 특정될 수 있으며, 상기 지정 출력범위에 대한 지정 출력사이즈는 입력자가 임의의 필요한 사이즈를 입력하거나 제시된 사이즈 목록에서 선택하는 방식을 통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지정 출력사이즈로서 임의의 필요 사이즈가 입력된 경우에는 지정 출력범위의 가로 사이즈 또는 세로 사이즈만을 특정토록 하고 나머지 사이즈는 비례식에 의해 자동으로 설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지정 출력사이즈를 제시된 사이즈 목록에서 선택하는 방식으로 설정하는 경우에는 지정 출력범위의 가로 사이즈 또는 세로 사이즈를 선택된 사이즈로 맞추고 나머지 사이즈는 비례식에 의해 자동으로 설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2. (b)단계
본 (b)단계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메타데이터를 분석하여 이미지 파일을 그룹핑하는 단계이다. 이미지 파일을 그룹핑한다는 것은 1장의 대면적 인쇄지에 함께 출력될 이미지 파일을 따로 모아 저장하는 것으로서, 이미지 파일 그룹별로 폴더가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미지 파일의 업로드 시간, 지정 출력사이즈 등을 기준으로 그룹핑할 수 있는데, 후속 작업의 편의성과 인쇄지 절감을 함께 고려하되 우선 순위에 따라 그룹핑 방법을 달리 적용할 수 있다.
후속 작업의 편의성에 우선 순위를 둔 그룹핑 방법으로는 출력 면적 대비 이미지 점유율의 하한값 또는 여백율의 상한값을 조건으로 설정하고, 스토리지에 업로드된 순서에 따라 이미지 파일별로 지정 출력범위에 대한 지정 출력사이즈를 반영한 가상 이미지 배치를 반복하여,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배치에 참여된 이미지 파일을 그룹핑하는 방법을 예시할 수 있다.
스토리지에 업로드된 순서에 따라 이미지를 배치한다는 것은 동일 의뢰인의 이미지를 인쇄-절단 작업을 가급적 한 그룹 또는 전·후 그룹으로 묶어 진행한다는 것으로서, 인쇄-절단 작업 마무리 후 배송이나 상품 제작시의 혼선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스토리지에 업로드된 순서에 따라 가상 이미지 배치를 반복하다가, 출력 면적 대비 이미지 점유율이 설정된 하한값을 상회하거나, 여백율이 설정된 상한값 미만으로 떨어지는 경우에는 곧바로 다음의 (c)단계가 진행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c)단계에서는 본 (b)단계에서 확정된 이미지 배치상태에 따라 조합 이미지 파일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이미지 점유율의 하한값을 80%(여백율의 상한값을 20%)로 설정한 경우, 이미지 파일이 상기 스토리지에 업로드 될 때마다 지정 출력범위에 대한 지정 출력사이즈를 반영한 가상의 이미지 배치가 이루어져 이미지의 면적이 인쇄면의 80% 이상(여백의 면적이 인쇄면의 20% 미만)이 되면 다음의 (c)단계가 진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인쇄지 절감에 우선 순위를 둔 그룹핑 방법으로는, 이미지 파일의 설정 수량 범위 내에서 가상 이미지 배치를 랜덤하게 진행했을 때의 출력 면적 대비 최대 이미지 점유율 또는 최소 여백율을 조건으로 설정하고,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배치에 참여된 이미지 파일을 그룹핑하는 방법을 예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설정 수량이 30일 때, 이미지 파일 30개를 지정 출력사이즈에 따라 랜덤하게 배치하여 최대 이미지 점유율 90%(최소 여백율 10%)가 도출되는 15개 이미지를 그룹핑하고, 나머지 15개 이미지는 다음 순번의 15개 이미지와 함께 랜덤 배치하여 최대 이미지 점유율 95%(최소 여백율 5%)가 도출되는 20개 이미지를 그룹핑하는 등의 작업이 반복되도록 하는 것이다.
설정 수량 내의 이미지를 랜덤하게 배치하여 최대 이미지 점유율(또는 최소 여백율)이 도출되면 곧바로 다음의 (c)단계가 진행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c)단계에서는 본 (b)단계에서 확정된 이미지 배치상태에 따라 조합 이미지 파일을 생성한다.
위의 어느 경우이든 스토리지에 업로드된 순서에 따라 이미지 파일에 일련번호를 부여하여, 이미지 파일 그룹핑 폴더별로 상기 일련번호 데이터가 자동으로 생성되도록 하여 이미지 파일이 업로드 순위와 달리 섞이는 경우에도 후속 작업의 혼선은 최소화 시킬 수 있다.
3. (c)단계
본 (c)단계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그룹핑된 이미지 파일에서 추출된 각각의 이미지가 지정 출력범위 및 지정 출력사이즈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면에 배치·저장된 조합 이미지 파일을 생성시키는 단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b)단계에서 가상의 이미지 배치를 통해 그룹핑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상기 (b)단계에서 도출된 이미지 배치상태에 따른 조합 이미지 파일을 생성시킬 수 있다.
본 (c)단계에서는 그룹핑된 이미지 파일에서 소용량 압축 이미지를 추출하여 지정 출력범위 및 지정 출력사이즈에 따라 인쇄면에 배치한 후, 배치된 각 이미지의 원본 데이터를 로딩하여 저장된 조합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일반적인 이미지 작업용 프로그램에서는 이미지 파일의 원본 데이터를 로딩한 상태로 후속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이러한 방식으로는 데이터량이 상이한 다수의 이미지 파일을 하나의 인쇄면에 배치하는 작업이 지연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이미지를 오픈하고 배치하는 작업은 이미지 파일에서 추출된 소용량 압축 이미지를 통해 이루어지고, 다수 이미지 배치 작업이 완료된 상태에서 조합 이미지 파일을 생성할 때에 비로소 각 이미지의 원본 데이터를 로딩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조합 이미지 파일 생성에 따른 컴퓨터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다.
[도 5]는 이미지 파일의 원본 데이터를 로딩한 후의 배치 작업과 이미지 파일에서 추출한 소용량 압축 이미지의 배치 작업의 컴퓨터 부하 차이를 시각적으로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이미지를 이동시키는 작업의 경우를 보면 원본 데이터를 로딩한 경우는 [도 5]의 좌측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미지 이동 경로에 따라 전체 데이터가 따라 이동하며 컴퓨터 작업 속도가 지연된다. 반면 이미지 파일에서 추출된 소용량 압축 이미지는 [도 5]의 우측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가볍게 이동할 수 있다.
본 (c)단계에서는 상기 소용량 압축 이미지 추출 및 배치 과정과, 배치된 각 이미지의 원본 데이터 로딩 및 저장 과정을 구분 실시하여, 작업자가 수동으로 각 이미지의 배치 변경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4. (d)단계
본 (d)단계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인쇄면에 배치된 이미지별로 대응하는 절단선 데이터가 도출·저장된 절단선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이다.
본 (d)단계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면에 배치된 이미지의 사각 테두리에서 지정된 간격만큼 후퇴한 절단선 데이터가 도출·저장된 절단선 파일이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웹사이트나 앱(App)을 통해 이미지 파일을 상기 스토리지에 업로드할 때, 이미지 내의 오브젝트 지정 정보가 입력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a)단계에서 수집하는 메타데이터에는 상기 오브젝트 지정 정보가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d)단계에서는 상기 인쇄면에 배치된 이미지 내의 지정된 오브젝트를 따라 형성된 절단선 데이터가 도출·저장된 절단선 파일이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이미지에서 지정된 이미지에 대한 절단선이 도출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에는 이미지 파일의 메타데이터를 분석하여 지정 출력범위 및 지정 출력사이즈를 분석하여 타 이미지 파일과 그룹핑하고, 조합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과정까지는 일반적인 이미지 파일의 출력 과정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절단선 파일 생성 단계에서는 오브젝트 지정 정보를 반영하여 지정된 오브젝트를 따라 절단선 데이터를 도출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5. (e)단계
본 (e)단계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조합 이미지 파일은 인쇄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절단선 파일은 절단기로 전송하는 단계이다. 이에 따라 상기 조합 이미지 파일과 절단선 파일의 출력이 이루어지되, 상기 조합 이미지 파일의 출력은 인쇄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절단선 파일의 출력은 절단기가 입력된 데이터에 따라 작동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절단기로는 CNC 절단기, 레이저 절단기 등, 상기 절단선 파일의 절단선 데이터에 따라 절단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기기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인쇄장치와 절단기는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어도 무방하나 양자가 일체로 이루어진 플로터를 적용하는 것이 간편하다.
한편, 상기 (c)단계 또는 (d)단계에서는 인쇄면에 배치된 이미지별로 식별정보, 주문자 정보, 작업지시 정보 및 썸네일 이미지를 포함한 인덱스 파일을 함께 생성토록 할 수 있다.
상기 식별정보로는 이미지 파일을 스토리지에 업로드 할 때 부여된 일련번호 또는 인덱스 파일 생성시에 함께 생성되는 바코드, QR코드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인쇄된 바코드 또는 QR코드를 리더기에 인식시킬 때 인덱스 정보(주문자 정보, 작업지시 정보 등)가 관리자, 작업자 등의 열람에 제공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주문자 정보 및 작업지시 정보는 이미지 파일을 스토리지에 업로드 하는 과정에서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주문자 정보 및 작업지시 정보는 이미지 파일 업로드 과정에서 메타데이터로 삽입시켰다가 상기 인덱스 파일 생성 시 이미지 파일에 대한 메타데이터 분석으로 수집되도록 하거나, 별도의 관리서버에 저장해 두었다가 상기 인덱스 파일 생성 시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수집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썸네일 이미지는 이미지 파일에서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인덱스 파일은 라벨지에 인쇄되도록 하여, 본 발명을 거쳐 절단된 이미지의 뒷면에 라벨지를 부착시켜 둠으로써, 후속 작업의 혼선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관하여 구체적인 실시예와 함께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위의 실시 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에서 수정 또는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와 같은 수정 또는 변형을 포함한다.
해당없음

Claims (7)

  1.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복수의 이미지를 조합하여 인쇄하고 절단하는 과정을 자동화한 방법으로서,
    (a) 스토리지에 업로드된 이미지 파일의 지정 출력범위 및 지정 출력사이즈를 포함한 메타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b) 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메타데이터를 분석하여 이미지 파일을 그룹핑하는 단계;
    (c) 그룹핑된 이미지 파일에서 추출된 각각의 이미지가 지정 출력범위 및 지정 출력사이즈에 따라 인쇄면에 배치·저장된 조합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인쇄면에 배치된 이미지별로 대응하는 절단선 데이터가 도출·저장된 절단선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및
    (e) 상기 조합 이미지 파일은 인쇄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절단선 파일은 절단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수 이미지 배치-인쇄-절단 자동화 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b)단계는 출력 면적 대비 이미지 점유율의 하한값 또는 여백율의 상한값을 조건으로 설정하고, 스토리지에 업로드된 순서에 따라 이미지 파일별로 지정 출력범위에 대한 지정 출력사이즈를 반영한 가상 이미지 배치를 반복하여,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배치에 참여된 이미지 파일을 그룹핑하고,
    상기 (c)단계는 상기 (b)단계에서 확정된 이미지 배치상태에 따라 조합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 이미지 배치-인쇄-절단 자동화 방법.
  3. 제1항에서,
    상기 (b)단계는 이미지 파일의 설정 수량 범위 내에서 가상 이미지 배치를 랜덤하게 진행했을 때의 출력 면적 대비 최대 이미지 점유율 또는 최소 여백율을 조건으로 설정하고,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배치에 참여된 이미지 파일을 그룹핑하고,
    상기 (c)단계는 상기 (b)단계에서 확정된 이미지 배치상태에 따라 조합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 이미지 배치-인쇄-절단 자동화 방법.
  4. 제1항에서,
    상기 (d)단계는 상기 인쇄면에 배치된 이미지의 사각 테두리에서 지정된 간격만큼 후퇴한 절단선 데이터가 도출·저장된 절단선 파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 이미지 배치-인쇄-절단 자동화 방법.
  5. 제1항에서,
    상기 (a)단계에서 수집하는 메타데이터는 이미지 내의 오브젝트 지정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d)단계는 상기 인쇄면에 배치된 이미지 내의 지정된 오브젝트를 따라 형성된 절단선 데이터가 도출·저장된 절단선 파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 이미지 배치-인쇄-절단 자동화 방법.
  6. 제1항에서,
    상기 (c)단계는 그룹핑된 이미지 파일에서 소용량 압축 이미지를 추출하여 지정 출력범위 및 지정 출력사이즈에 따라 인쇄면에 배치한 후, 배치된 각 이미지의 원본 데이터를 로딩하여 저장된 조합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 이미지 배치-인쇄-절단 자동화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c)단계 또는 (d)단계에서는, 인쇄면에 배치된 이미지별로 식별정보, 주문자 정보, 작업지시 정보 및 썸네일 이미지를 포함한 인덱스 파일을 함께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 이미지 배치-인쇄-절단 자동화 방법.
KR1020180083307A 2018-07-18 2018-07-18 다수 이미지 배치-인쇄-절단 자동화 방법 KR102143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307A KR102143985B1 (ko) 2018-07-18 2018-07-18 다수 이미지 배치-인쇄-절단 자동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307A KR102143985B1 (ko) 2018-07-18 2018-07-18 다수 이미지 배치-인쇄-절단 자동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224A true KR20200009224A (ko) 2020-01-30
KR102143985B1 KR102143985B1 (ko) 2020-08-12

Family

ID=69321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3307A KR102143985B1 (ko) 2018-07-18 2018-07-18 다수 이미지 배치-인쇄-절단 자동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39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3138A (ko) * 2021-08-10 2023-02-17 주식회사 마플코퍼레이션 Pod 소량 생산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2618A (ko) 2001-11-23 2003-06-02 이경희 컴퓨터를 이용한 커팅 플로터의 문자 및 그래픽 이미지편집 방법
KR20060042065A (ko) * 2004-02-17 2006-05-12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디지탈 데이타 집합을 관리하는 방법
JP2007004804A (ja) * 2006-06-23 2007-01-11 Seiko Epson Corp 印刷用紙、印刷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媒体、印刷制御装置および印刷制御方法
JP2008225547A (ja) * 2007-03-08 2008-09-25 Seiko Epson Corp 画像データ生成装置、画像データ生成方法、画像データ生成プログラム、及び、印刷システム
KR101049813B1 (ko) 2008-12-31 2011-07-15 엔에이치엔(주) 이미지를 자동으로 배치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054307B1 (ko) * 2008-05-27 2011-08-08 주식회사 빅솔론 프린트 장치 및 프린트 장치의 실시간 명령 처리 방법
KR20140091554A (ko) * 2011-11-17 2014-07-21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이미지 컨텐트 기반 자동 태그 생성 기법
KR101665661B1 (ko) * 2016-02-05 2016-10-13 주식회사 히즈윌 자동 조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인쇄 자동화 시스템
KR101791047B1 (ko) * 2016-09-26 2017-10-27 주식회사 히즈윌 커팅 자동화 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커팅 자동화 시스템
KR101809204B1 (ko) 2016-03-02 2017-12-14 황금석 이미지 콘텐츠를 출판하는 서비스에 있어서 한 페이지에 이미지 콘텐츠를 최대로 배치하는 방법
KR20180080959A (ko) * 2017-01-05 2018-07-13 엑스와이지프린팅, 인크. 이미지 파일 변환 방법 및 3차원 인쇄 시스템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2618A (ko) 2001-11-23 2003-06-02 이경희 컴퓨터를 이용한 커팅 플로터의 문자 및 그래픽 이미지편집 방법
KR20060042065A (ko) * 2004-02-17 2006-05-12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디지탈 데이타 집합을 관리하는 방법
KR101122960B1 (ko) * 2004-02-17 2012-03-16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디지털 파일들 및 데이터의 빠른 시각적 정렬
JP2007004804A (ja) * 2006-06-23 2007-01-11 Seiko Epson Corp 印刷用紙、印刷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媒体、印刷制御装置および印刷制御方法
JP2008225547A (ja) * 2007-03-08 2008-09-25 Seiko Epson Corp 画像データ生成装置、画像データ生成方法、画像データ生成プログラム、及び、印刷システム
KR101054307B1 (ko) * 2008-05-27 2011-08-08 주식회사 빅솔론 프린트 장치 및 프린트 장치의 실시간 명령 처리 방법
KR101049813B1 (ko) 2008-12-31 2011-07-15 엔에이치엔(주) 이미지를 자동으로 배치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40091554A (ko) * 2011-11-17 2014-07-21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이미지 컨텐트 기반 자동 태그 생성 기법
KR101665661B1 (ko) * 2016-02-05 2016-10-13 주식회사 히즈윌 자동 조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인쇄 자동화 시스템
KR101809204B1 (ko) 2016-03-02 2017-12-14 황금석 이미지 콘텐츠를 출판하는 서비스에 있어서 한 페이지에 이미지 콘텐츠를 최대로 배치하는 방법
KR101791047B1 (ko) * 2016-09-26 2017-10-27 주식회사 히즈윌 커팅 자동화 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커팅 자동화 시스템
KR20180080959A (ko) * 2017-01-05 2018-07-13 엑스와이지프린팅, 인크. 이미지 파일 변환 방법 및 3차원 인쇄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3138A (ko) * 2021-08-10 2023-02-17 주식회사 마플코퍼레이션 Pod 소량 생산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3985B1 (ko) 2020-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854918B (zh) 图像处理装置、图像处理方法和图像处理系统
US957340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US5243518A (en) Document services architecture
CN101778186B (zh) 图像形成装置及作业处理方法
JP2012168587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CN112496553A (zh) 一种基于打印模板对卡片进行打印的方法及系统
DE60129066T2 (de) Methode zum Photodruck und aus mehreren Druckern bestehendes System hierzu
JP6775518B2 (ja) 成果物生産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5904267A (zh) 生产方法、生产系统以及记录有生产程序的记录介质
KR102143985B1 (ko) 다수 이미지 배치-인쇄-절단 자동화 방법
JP2006302038A (ja) ジョブ管理装置、印刷製本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802680B2 (ja) 情報処理装置、印刷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JP2023028855A (ja) 生産方法、生産システムおよび生産プログラム
US10754591B2 (en) Document processing system having a print controller for processing a print job
CN115708026A (zh) 生产方法、生产系统以及记录有生产程序的记录介质
US8010898B2 (en) Process of specifying print time fold method, location, and orientation
JP2017228039A (ja) 情報処理装置及び面付け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US9910625B2 (en) Method for creating specifications for a combined print product processing system
JP2021057783A5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100885147B1 (ko) 문서에 관한 작업을 수행하는 시스템
US20170236039A1 (en) Method & Apparatus for Automatic Design, Layout & Pre-Press for Photo Book
JP2010272001A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636189B2 (en) Image editing system, image editing device, image editing method, and image editing program
JP2005149154A (ja) 印刷制御装置、印刷装置、印刷制御方法、印刷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印刷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9477910B2 (en) Image editing apparatus, image editing method,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