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8834A - 파우치 전지 셀 검사유닛 - Google Patents

파우치 전지 셀 검사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8834A
KR20200008834A KR1020180082986A KR20180082986A KR20200008834A KR 20200008834 A KR20200008834 A KR 20200008834A KR 1020180082986 A KR1020180082986 A KR 1020180082986A KR 20180082986 A KR20180082986 A KR 20180082986A KR 20200008834 A KR20200008834 A KR 202000088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pair
cam
battery cell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2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4962B1 (ko
Inventor
오성준
최철규
Original Assignee
(주)휴민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휴민텍 filed Critical (주)휴민텍
Priority to KR1020180082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4962B1/ko
Publication of KR20200008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8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4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49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85Test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0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28Leak testing of cells or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우치 전지 셀 검사유닛에 관한 것으로, 파우치 전지 셀이 가이드되어 수납되는 셀 가이드 블럭이 상부에 배치되는 베이스판; 셀 가이드 블럭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위치되도록 베이스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가이드판; 가이드판과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경사면부가 형성되는 캠블럭; 캠블럭과 연결되어 캠블럭의 이동과 연동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파우치 전지 셀을 가압하는 푸셔; 캠블럭과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승강블럭; 승강블럭의 타측에 연결되어 경사면부와 접하도록 배치되는 캠팔로워; 및 승강블럭의 하부에 연결되어 승강블럭을 가이드판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승하강시켜 캠팔로워가 경사면부를 수평방향으로 미는 힘에 의해 캠블럭이 가이드판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푸셔가 파우치 전지 셀의 일측이나 타측을 가압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직선이송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파우치 전지 셀 검사유닛{Pouch type battery cell inspection unit}
본 발명은 파우치 전지 셀 검사유닛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파우치 전지 셀을 개별적으로 접촉하여 검사하여 각각의 파우치 전지 셀에 대한 정확한 검사 정보를 확보할 수 있는 파우치 전지 셀 검사유닛에 관한 것이다.
파우치 전지 셀은 전지 셀과 전지 셀이 내부에 구비되는 파우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파우치는 전지 셀을 보호하고 전지 셀의 전기 화학적 성질에 대한 보호나 방열 등을 위해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나 나일론과 같은 절연물질로 코팅된 알루미늄 박막이 사용된다. 절연물질로 코팅된 알루미늄 박막이 파우치로 사용되는 파우치 전지 셀은 외부 물리적 충격에 의해 내부 구조의 손상이 용이하게 발생되어 절연성이 파괴될 수 있으며, 절연성이 파괴되는 경우에 저전압을 유발하거나 스웰링(swelling) 현상 등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파우치 전지 셀의 절연성을 검사해야 하며, 관련 기술이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80830호(특허문헌 1)에 공개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80830호는 복수 개의 파우치 전지 셀로 구성되는 셀 모듈 어셈블리의 절연성을 검사하는 장치로서, 제1검침수단, 제2검침수단 및 측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검침수단은 셀 모듈 어셈블리의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촉되고, 제2검침수단은 파우치 전지 셀 중 선택된 복수 개의 파우치 전지 셀의 알루미늄층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며, 측정수단은 제1검침수단과 제2검침수단 사이의 절연저항을 측정하여 복수 개의 전지 셀로 구성되는 셀 모듈 어셈블리 전체의 절연저항을 한번에 측정할 수 있어 절연성에 대한 검사가 더욱 조속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80830호와 같은 종래의 복수 개의 파우치 전지 셀을 동시에 검사하는 장치는 소형화나 생산성에 대한 이점은 있으나 각각의 파우치 전지 셀에 대한 정확한 검사 정보를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검사 작업의 신뢰성을 저하시켜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저하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1):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80830호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파우치 전지 셀을 개별적으로 접촉하여 검사하여 각각의 파우치 전지 셀에 대한 정확한 검사 정보를 확보할 수 있는 파우치 전지 셀 검사유닛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파우치 전지 셀을 개별적으로 접촉하여 검사하여 각각의 파우치 전지 셀에 대한 정확한 검사 정보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검사 작업의 신뢰성을 개선시켜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파우치 전지 셀 검사유닛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파우치 전지 셀 검사유닛은 파우치 전지 셀이 가이드되어 수납되는 셀 가이드 블럭(cell guide block)이 상부에 배치되는 베이스판(base panel); 상기 셀 가이드 블럭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위치되도록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가이드판; 상기 가이드판과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경사면부가 형성되는 캠블럭(cam block); 상기 캠블럭과 연결되어 캠블럭의 이동과 연동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파우치 전지 셀을 가압하는 푸셔(pusher); 상기 캠블럭과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승강블럭; 상기 승강블럭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경사면부와 접하도록 배치되는 캠팔로워(cam follower); 및 상기 승강블럭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블럭을 가이드판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승하강시켜 상기 캠팔로워가 상기 경사면부를 수평방향으로 미는 힘에 의해 상기 캠블럭이 상기 가이드판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상기 푸셔가 파우치 전지 셀의 일측이나 타측을 가압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직선이송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파우치 전지 셀 검사유닛은 파우치 전지 셀을 개별적으로 접촉하여 검사하여 각각의 파우치 전지 셀에 대한 정확한 검사 정보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검사 작업의 신뢰성을 개선시켜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파우치 전지 셀 검사유닛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파우치 전지 셀 검사유닛의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파우치 전지 셀 검사유닛의 정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파우치 전지 셀 검사유닛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파우치 전지 셀 검사유닛의 측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캠블럭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파우치 전지 셀 검사유닛의 측면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캠블럭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나타낸 파우치 전지 셀 검사유닛의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파우치 전지 셀 검사유닛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파우치 전지 셀 검사유닛은 베이스판(base panel)(110), 가이드판(120,130), 캠블럭(cam block)(140,150), 푸셔(pusher)(160,170), 승강블럭(180,190), 캠팔로워(cam follower)(200,210) 및 직선이송기구(220,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베이스판(110)은 파우치 전지 셀(10)이 가이드되어 수납되는 셀 가이드 블럭(cell guide block)(111)이 상부에 배치되며, 가이드판(120,130)은 셀 가이드 블럭(111)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위치되도록 베이스판(110)의 상부에 배치된다. 캠블럭(140,150)은 가이드판(120,130)과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경사면부(141,151)가 형성되며, 푸셔(160,170)는 캠블럭(140,150)과 연결되어 캠블럭(140,150)의 이동과 연동되어 수평방향(Y)으로 이동하여 파우치 전지 셀(10)을 가압한다. 승강블럭(180,190)은 캠블럭(140,150)과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캠팔로워(200,210)는 승강블럭(180,190)의 타측에 연결되어 경사면부(141,151)와 접하도록 배치된다. 직선이송기구(220,230)는 승강블럭(140,150)의 하부에 연결되어 승강블럭(140,150)을 가이드판(120,130)을 따라 수직방향(Z)으로 승하강시켜 캠팔로워(200,210)가 경사면부(141,151)를 수평방향(Y)으로 미는 힘에 의해 캠블럭(140,150)이 가이드판(120,130)을 따라 수평방향(Y)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푸셔(160,170)가 파우치 전지 셀(10)의 일측이나 타측을 가압하도록 수평방향(Y)으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파우치 전지 셀 검사유닛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베이스판(110)은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사각형 판넬 형상으로 형성되어 파우치 전지 셀(10)이 가이드되어 수납되는 셀 가이드 블럭(111)이 상부에 배치되며, 각 모서리에 각각 베이스판(110)의 하부로 돌출되도록 지지축부재(112)가 삽입되어 연결된다. 즉, 베이스판(110)은 본 발명의 파우치 전지 셀 검사유닛을 전반적으로 지지하며, 사각형 판넬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베이스판(110)은 상부에 파우치 전지 셀(10)이 수납되는 셀 가이드 블럭(111)이 배치되어 연결되며, 4개의 모서리에 하부로 돌출되는 지지축부재(112)가 연결된다.
지지축부재(112)는 베이스판(110)의 4개 모서리에 각각 배치되기 위해 4개가 구비되고 4개의 지지축부재(112)는 각각 볼트형으로 형성되어 상부 끝단이 베이스판(110)의 하부에서 삽입되어 상부로 노출되도록 삽입되어 체결되며, 하부에는 지지받침블럭(112b)이 삽입되어 체결된다. 볼트형으로 형성된 지지축부재(112)는 상부가 베이스판(110)에 삽입되어 체결되기 위해 베이스판(110)의 4개의 모서리 부분에는 각각 나사산이 형성되는 홈이 형성되고, 지지받침블럭(112b)은 중앙에 나사산이 형성된 홈이 형성된다. 여기서, 베이스판(110)이나 지지받침블럭(112b)에 각각 형성되는 홈과 홈에 형성된 나사산은 공지된 기술이 적용됨으로 도면이 구체적으로 표시하지 않으며, 지지받침블럭(112b)은 파우치 전지 셀 검사유닛의 높이 조절이나 수평 조절 등을 위해 사용되거나 다른 부재(도시 않음)에 연결시켜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가이드판(120,130)은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셀 가이드 블럭(111)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위치되도록 베이스판(110)의 상부에 배치되며, 한 쌍이 구비되며, 한 쌍의 가이드판(120,130)은 서로 동일하게 구성된다.
한 쌍의 가이드판(120,130)은 각각 셀 가이드 블럭(111)의 일측이나 타측에 위치되도록 베이스판(110)의 상부에 배치되며, 각각 중앙에 구멍(120a: 도 1에 도시됨,130a: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됨)이 형성된다.
한 쌍의 가이드판(120,130) 중 하나는 일측과 타측에 각각 한 쌍의 제1LM 가이드(linear motion guide)(121,131)와 한 쌍의 제2LM 가이드(122,132)가 배치되어 연결된다. 한 쌍의 제1LM 가이드(121)는 한 쌍의 가이드판(120,130) 중 하나인 가이드판(120)의 일측에 서로 수직방향(Z)으로 평행이 되도록 구멍(120a)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배치되며, 한 쌍의 제2LM 가이드(122)는 한 쌍의 가이드판(120,130) 중 하나인 가이드판(120)의 타측에 서로 수평방향(Y)으로 평행이 되도록 구멍(120a)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된다.
한 쌍의 가이드판(120,130) 중 다른 하나인 가이드판(130)은 타측과 일측에 각각 한 쌍의 제1LM 가이드(131)와 한 쌍의 제2LM 가이드(132)가 배치되어 연결된다. 한 쌍의 제1LM 가이드(131)는 한 쌍의 가이드판(120,130) 중 다른 하나인 가이드판(130)의 타측에 한 쌍의 제1LM 가이드(121)가 서로 수직방향(Z)으로 평행이 되도록 구멍(130a)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배치되며, 일측에 한 쌍의 제2LM 가이드(132)가 서로 수평방향(Y)으로 평행이 되도록 구멍(130a)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된다.
한 쌍의 제1LM 가이드(121,131)는 각각 승강블럭(180,190)이 연결되며 직선이송기구(220,230)에 의해 승강블럭(180,190)의 수직방향(Z)으로 이송 시 가이드하며, 한 쌍의 제2LM 가이드(122,132)는 각각 가이드판(120,130)에 형성된 구멍(120a,130a)을 통해 캠블럭((140,150))과 연결되는 푸셔(160,170가 캠팔로워(200,210)에 의해 이동되는 캠블럭((140,150))과 연동되어 수평방향(Y)으로 이동 시 가이드한다. 이러한 한 쌍의 제1LM 가이드(121,131)와 한 쌍의 제2LM 가이드(122,132)는 각각 공지된 LM 레일(부재번호 미도시)과 LM 이동블럭(부재번호 미도시)으로 적용됨으로 설명을 생략한다.
캠블럭(140,150)은 도 1, 도 2, 도 5 및 도 7에서와 같이 가이드판(120,130)과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경사면부(141,151)가 형성되며, 캠블럭(140,150)은 한 쌍이 구비된다. 한 쌍의 캠블럭(140,150)은 각각 가이드판(120,130)의 일측이나 타측에 가이드판(120,130)과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일측이나 타측에 경사면부(141,151)가 형성된다. 이러한 한 쌍의 캠블럭(140,150)은 동일하게 구성된다.
예를 들어, 한 쌍의 캠블럭(140,150) 중 하나 즉, 캠블럭(140)은 가이드판(120)의 구멍(120a)을 통해 푸셔(160)와 연결되고 일측에 홈(142)이 형성되며 홈(142)에 캠팔로워(200)와 접하는 경사면부(141)가 형성되며, 경사면부(141)는 홈(142)의 수평방향(Y)의 길이가 캠블럭(130)의 상부보다 하부가 크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한 쌍의 캠블럭(140,150) 중 다른 하나 즉, 캠블럭(150)은 가이드판(130)의 구멍(130a)을 통해 푸셔(170)와 연결되고 타측에 홈(152)이 형성되며 홈(152)은 캠팔로워(210)와 접하는 경사면부(151)가 형성되며, 경사면부(151)는 홈(152)의 수평방향(Y)의 길이가 캠블럭(150)의 상부보다 하부가 크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한 쌍의 캠블럭(140,150)에 각각 형성된 경사면부(141,151)는 각각 수평방향(Y)으로 한 쌍의 캠블럭(140,150)의 하부의 홈(142,153)의 길이보다 상부의 홈(142,153)의 길이가 작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한 쌍의 캠블럭(130)은 각각 상부와 하부에 각각 탄성부재(143,153)로 연결되어 한 쌍의 캠블럭(140,150)의 수평방향(Y)으로 이동 시 탄성력을 제공하며, 각각은 스프링이 사용된다.
푸셔(160,170)는 도 1, 도 2,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캠블럭(140,150)과 연결되어 캠블럭(140,150)의 이동과 연동되어 수평방향(Y)으로 이동하여 파우치 전지 셀(10)을 가압하며, 한 쌍이 구비되고, 한 쌍의 푸셔(160,170)는 각각 캠블럭(140,150)과 연결되며 캠블럭(140,150)의 이동과 연동되어 수평방향(Y)으로 이동하여 파우치 전지 셀(10)을 가압하며, 한 쌍의 푸셔(160,170)는 서로 동일하게 구성된다.
한 쌍의 푸셔(160,170) 중 하나 즉, 푸셔(160)는 고정 블럭(161), 푸셔 이동블럭(162) 및 푸셔부재(16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 블럭(161)은 베이스판(110)의 상부에 셀 가이드 블럭(111)의 일측에 배치되고 일측에 프로브핀(probe pin)(161a)이 배치되며, 푸셔 이동블럭(162)은 고정 블럭(161)과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캠블럭(140)과 연결되어 캠블럭(140)의 이동에 따라 가이드판(120)의 타측에 배치된 한 쌍의 제2LM 가이드(122)에 가이드되어 이동된다. 푸셔부재(163)는 푸셔 이동블럭(162)에 한 쌍의 연결부재(164)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푸셔 이동블럭(162)의 수평방향(Y)의 이동에 연동되어 파우치 전지 셀(10)의 일측이 고정 블럭(161)에 지지된 상태에서 파우치 전지 셀(10)의 일측에 위치한 전극(11)이 고정 블럭(161)에 배치된 프로브핀(161a)과 접촉되어 연결되도록 가압한다.
한 쌍의 푸셔(160,170) 중 다른 하나 즉, 푸셔(170)는 고정 블럭(171), 푸셔 이동블럭(172) 및 푸셔부재(17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 블럭(171)은 베이스판(110)의 상부에 셀 가이드 블럭(111)의 타측에 배치되고 일측에 프로브핀(171a)이 배치되며, 푸셔 이동블럭(172)은 고정 블럭(171)과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캠블럭(160)과 연결되어 캠블럭(160)의 이동에 따라 가이드판(130)의 타측에 배치된 한 쌍의 제2LM 가이드(132)에 가이드되어 이동된다. 푸셔부재(173)는 푸셔 이동블럭(172)에 한 쌍의 연결부재(174)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푸셔 이동블럭(172)의 수평방향(Y)의 이동에 연동되어 파우치 전지 셀(10)의 타측이 고정 블럭(171)에 지지된 상태에서 파우치 전지 셀(10)의 타측에 위치한 전극(12)이 고정 블럭(171)에 배치된 프로브핀(171a)과 접촉되어 연결되도록 가압한다. 여기서, 한 쌍의 푸셔(160,170)의 고정 블럭(161,171)에 각각 배치된 프로브핀(161a,171a)은 각각 고정 블럭(161,171)의 일측에 각각 박막으로 형성되어 파우치 전지 셀(1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위치한 전극(11,12)에 연결됨으로써 파우치 전지 셀(10)의 전류나 전압을 측정시 사용하게 된다.
한 쌍의 푸셔(160,170)에 각각 포함되는 한 쌍의 연결부재(164,174)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푸셔 이동블럭(162,172)과 푸셔부재(163,173)를 연결하며, 끝단에는 수직연결부재(165,175)로 연결되며, 수직연결부재(165,175)와 푸셔 이동블럭(162,172) 한 쌍의 복귀 스프링부재(166,176)가 연결되어 푸셔 이동블럭(162,172)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한 쌍의 푸셔(160,170)에 각각 포함되는 푸셔 이등블럭(162,172)은 상부나 하부에 각각 LVDT(linear variable differential transformer)(167,177)가 삽입되어 연결되어 푸셔부재(163,173)에 접하여 파우치 전지 셀(10)의 일측이나 타측의 수평 상태를 측정하며, 푸셔 이등블럭(162,172)의 일측의 끝단에는 로드셀(load cell)(168,178)이 연결되어 파우치 전지 셀(10)로 가압되는 힘을 측정한다.
승강블럭(180,190)은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캠블럭(130)과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한 쌍이 구비되고, 한 쌍의 승강블럭(150)은 서로 동일하게 구성되며 각각 캠블럭(130)의 일측이나 타측에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한 쌍의 승강블럭(180,190) 중 하나 즉, 승강블럭(180)은 일측에 가이드판(120)의 타측에 배치된 한 쌍의 제1LM 가이드(121) 중 하나와 캠블럭(140)의 경사면부(141) 사이에 위치되도록 캠팔로워(200)가 삽입되어 회전되는 회전가이드 샤프트(181)가 삽입되어 연결된다. 한 쌍의 승강블럭 중 다른 하나 즉, 승강블럭(190)은 타측에 가이드판(130)의 일측에 배치된 한 쌍의 제1LM 가이드(131) 중 하나와 캠블럭(150)의 경사면부(151) 사이에 위치되도록 캠팔로워(210)가 삽입되어 회전되는 회전가이드 샤프트(191)가 삽입되어 연결된다.
캠팔로워(200,210)는 도 2 및 도 7에서와 같이 승강블럭(180,190)의 타측에 연결되어 경사면부(141,151)와 접하도록 배치되며, 한 쌍이 구비된다. 한 쌍의 캠팔로워(200,210)는 각각 승강블럭(180,190)의 일측이나 타측에 연결되어 경사면부(141,151)와 접하도록 배치된다. 예를 들어 한 쌍의 캠팔로워(200,210) 중 하나 즉, 캠팔로워(200)는 승강블럭(180)의 타측에 연결되어 경사면부(141)와 접하도록 배치되며, 한 쌍의 캠팔로워(200,210) 중 다른 하나 즉, 캠팔로워(210)는 승강블럭(190)의 일측에 연결되어 경사면부(151)와 접하도록 배치된다.
직선이송기구(220,230)는 도 1 및 도 3에서와 같이 승강블럭(150)의 하부에 연결되어 승강블럭(180,190)을 가이드판(120,130)을 따라 수직방향(Z)으로 승하강시켜 캠팔로워(200,210)가 경사면부(141,151)를 수평방향(Y)으로 미는 힘에 의해 캠블럭(140,150)이 가이드판(120,130)을 따라 수평방향(Y)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푸셔(160,170)가 파우치 전지 셀(10)의 일측이나 타측을 가압하도록 수평방향(Y)으로 이동시킨다. 즉, 직선이송기구(220,230)는 한 쌍이 구비되며, 한 쌍의 직선이송기구(220,230)는 각각 승강블럭(180,190)에 연결되어 승강블럭(180,190)을 가이드판(120,130)을 따라 수직방향(Z)으로 승하강시켜 캠팔로워(200,210)가 경사면부(141,151)를 수평방향(Y)으로 미는 힘에 의해 캠블럭(140,150)이 가이드판(120,130)을 따라 수평방향(Y)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푸셔(160,170)가 파우치 전지 셀(10)의 일측이나 타측을 가압하도록 수평방향(Y)으로 이동시킨다.
예를 들어, 한 쌍의 직선이송기구(220,230) 중 하나 즉, 직선이송기구(220)는 이송 샤프트(221)와 실린더(2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송 샤프트(221)는 베이스판(110)의 일측에 형성된 구멍(113)에 삽입되어 승강블럭(180)의 하부와 연결되며, 실린더(222)는 베이스판(110)의 일측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배치되며 이송 샤프트(221)와 연결되어 이송 샤프트(221)를 수직방향(Z)으로 이동시킴에 의해 승강블럭(180)을 승하강시킨다. 한 쌍의 직선이송기구(170) 중 다른 하나 즉, 직선이송기구(230)는 이송 샤프트(231)와 실린더(2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송 샤프트(231)는 베이스판(110)의 일측에 형성된 구멍(114)에 삽입되어 승강블럭(190)의 하부와 연결되며, 실린더(232)는 베이스판(110)의 일측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배치되며 이송 샤프트(231)와 연결되어 이송 샤프트(231)를 수직방향(Z)으로 이동시킴에 의해 승강블럭(190)을 승하강시킨다. 여기서, 실린더(222,232)는 공압이나 유압 실린더가 사용되며, 직선이송기구(230)는 볼스크류 직선이송기구나 리니어모터을 이용한 직선이송기구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파우치 전지 셀 검사유닛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파우치 전지 셀 검사유닛은 먼저 파우치 전지 셀(10)을 베이스판(110)의 상부에 배치된 셀 가이드 블럭(111)에 의해 가이드되어 하부의 끝단이 삽입되도록 하며, 셀 가이드 블럭(111)은 서로 이격된 한 쌍의 가이드 블럭(111a,111b)을 포함한다. 한 쌍의 가이드 블럭(111a,111b)은 서로 베이스판(110)의 상부에 배치되어 파우치 전지 셀(10)을 가이드하며, 파우치 전지 셀(10)은 셀 가이드 블럭(111)에 가이드되어 삽입된 상태에서 한 쌍의 푸셔(160,170)에 의해 지지되어 수납된다. 예를 들어, 파우치 전지 셀(10)은 셀 가이드 블럭(111)에 삽입된 상태에서 한 쌍의 푸셔(160,170)에 각각 구비되고 셀 가이드 블럭(111)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위치되도록 베이스판(110)의 상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고정 블럭(161,171)에 의해 지지되어 세워진 상태로 수납된다. 즉, 파우치 전지 셀(10)은 수직방향(Z)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전극(11,12: 도 2에 도시됨)이 수평방향(Y)과 직교되는 길이방향(X)으로 일측과 타측에 위치되도록 셀 가이드 블럭(111)에 가이드된 상태에서 한 쌍의 고정 블럭(161,171)에 의해 지지되어 세워진다.
셀 가이드 블럭(111)과 고정 블럭(161,171)에 의해 파우치 전지 셀(10)이 세워진 상태로 수납되면 한 쌍의 푸셔(160,170)에 포함되는 푸셔부재(163,173)가 이동하여 파우치 전지 셀(10)의 전극(11,12)을 중심으로 파우치 전지 셀(10)의 일측과 타측을 각각 가압한다. 푸셔부재(163,173)는 각각 한 쌍의 직선이송기구(220,230)에 의해 이동되며, 한 쌍의 직선이송기구(220,230)는 각각에 구비되는 실린더(222,232)를 구동시켜 실린더(222,232)에 연결된 이송 샤프트(221,231)를 수직방향(Z)으로 이동시킴에 의해 한 쌍의 승강블럭(180,190)을 승하강시킨다.
한 쌍의 승강블럭(180,190)은 각각 실린더(222,232)에 의해 한 쌍의 제1LM 가이드(121,131)를 따라 수직방향(Z)으로 이송된다. 한 쌍의 승강블럭(180,190)이 각각 한 쌍의 제1LM 가이드(121,131)를 따라 수직방향(Z)으로 이송되면 한 쌍의 승강블럭(180,190)의 일측이나 타측에 연결된 캠팔로워(200,210)가 경사면부(141,151)를 수평방향(Y)으로 미는 힘이 발생되고, 이 미는 힘에 의해 한 쌍의 캠블럭(140,150)은 한 쌍의 제2LM 가이드(122,132)를 따라 수평방향(Y)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한 쌍의 푸셔(160,170)가 각각 파우치 전지 셀(10)의 일측이나 타측을 가압하도록 수평방향(Y)으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한 쌍의 캠블럭(130)은 각각 상부와 하부에 각각 탄성부재(143,153)로 연결되어 한 쌍의 캠블럭(140,150)의 수평방향(Y)으로 이동 시 탄성력을 제공하며, 캠팔로워(200,210)가 경사면부(141,151)를 수평방향(Y)으로 미는 힘에 의해 한 쌍의 캠블럭(140,150)이 수평방향(Y)으로 이동됨에 의해 수직방향(Z)의 힘을 수평방향(Y)으로 변경함에 따라 입력 하중 대비 추력하중을 높일 수 있다. 즉, 캠팔로워(200,210)가 경사면부(141,151)를 수직방향(Z)으로 미는 힘은 수평방향(Y)으로 미는 힘보다 작게 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도 7에서와 같이 삼각함수를 이용한 방식으로 수직방향(Z)의 힘을 수평방향(Y)으로 변경하여 입력 하중 대비 추력 하중이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도 7에 도시된 θ1, θ2 및 θ3는 θ1=θ2=θ3이며, θ1, θ2 및 θ3가 서로 동일함으로 각각을 θ로 칭하면
Figure pat00001
가 되며,
Figure pat00002
가 된다. 따라서,
Figure pat00003
가 됨으로 경사면부(151)를 수직방향(Z)을 밀어 수평방향(Y)으로 힘이 작용할 때 수직방향(Z)으로 작용하는 힘은 수평방향(Y)으로 작용하는 힘보다 작게 되며, 경사면부(151)의 마찰계수는 전술한 삼각함수에 적용하지 않았으며, 수직방향(Z)의 z값은 θ값과 비례하게 된다.
한 쌍의 캠블럭(140,150)의 수평방향(Y)으로 이동은 한 쌍의 푸셔(160,170)의 푸셔 이동블럭(162,172)을 연동시켜 수평방향(Y)으로 이동시킨다. 푸셔 이동블럭(162,172)은 고정 블럭(161,171)과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한 쌍의 캠블럭(140,150)과 각각 연결되어 한 쌍의 캠블럭(140,150)의 이동에 따라 제2LM 가이드(122,132)에 가이드되어 이동되고, 푸셔부재(163,173)는 푸셔 이동블럭(162,172)의 이동에 연동되어 수평방향(Y)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푸셔부재(163,173)는 푸셔 이동블럭(162,172)에 한 쌍의 연결부재(164,174)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푸셔 이동블럭(162,172)의 수평방향(Y)의 이동에 연동되어 파우치 전지 셀(10)의 일측이 고정 블럭(161,171)에 지지된 상태에 가압한다. 여기서, 한 쌍의 푸셔(160,170)에 각각 포함되는 한 쌍의 연결부재(164,174)는 푸셔 이동블럭(162,172)과 푸셔부재(163,173)을 연결하며, 끝단에는 수직연결부재(165,175)로 연결되며, 수직연결부재(165,175)와 푸셔 이동블럭(162,172) 한 쌍의 복귀 스프링부재(166,176)이 연결되어 푸셔 이동블럭(162,172)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푸셔부재(163,173)는 푸셔 이동블럭(162,172)에 한 쌍의 연결부재(164,174)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푸셔 이동블럭(162,172)의 수평방향(Y)의 이동에 연동되어 파우치 전지 셀(10)의 일측이나 타측이 고정 블럭(161,171)에 지지된 상태에서 파우치 전지 셀(10)의 일측이나 타측에 위치한 전극(11,12)이 고정 블럭(171)에 배치된 프로브핀(171a)과 접촉되어 연결되도록 가압한다. 푸셔부재(163,173)가 파우치 전지 셀(10)의 일측이나 타측에 위치한 전극(11,12)이 고정 블럭(171)에 배치된 프로브핀(171a)과 접촉되어 연결되도록 가압하면 푸셔 이등블럭(162,172)의 상부나 하부에 각각 삽입된 한 쌍의 LVDT(167,177)는 파우치 전지 셀(10)을 가압하고 있는 푸셔부재(163,173)의 가압 평탄도를 측정하며, 푸셔 이등블럭(162,172)의 일측의 끝단에는 로드셀(168,178)이 연결되어 파우치 전지 셀(10)로 가압되는 압력을 측정한다.
LVDT(167,177)나 로드셀(168,178)에 의해 푸셔부재(163,173)의 가압 평탄도나 가압하는 압력 즉, 가압력의 측정과 함께 고정 블럭(161,171)에 각각 배치된 프로브핀(161a,171a)은 각각 파우치 전지 셀(1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위치한 전극(11,12)에 연결되어 파우치 전지 셀(10)의 전류나 전압을 측정한다. 이와 같이 파우치 전지 셀(10)의 가압 평탄도나 가압력의 측정과 함께 전류나 전압을 측정함으로써 파우치 전지 셀(10)을 가압함에 따라 변화될 수 있는 전기적인 특성이나 전해액의 누수를 검사하게 된다. 전기적인 특성은 씨-레이트(C-rate), 내부저항 및 출력 등이 있으며, C-rate은 파우치 전지 셀(10)이 1시간에 충전되는 전류의 역수를 나타내고, 내부저항은 파우치 전지 셀(10)의 내부 저항을 나타내며, 출력은 하나의 파우치 전지 셀(10) 단위로 측정할 수 있으며, 전해액의 누수는 파우치 전지 셀(10)의 가압 평탄도나 가압력을 이용해 측정할 수 있다. 즉, 전해액의 누수는 파우치 전지 셀(10)이 정상일 경우의 가압 평탄도나 가압력을 기준으로 측정된 값과 비교하여 전해액의 누수를 측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측정된 값은 베이스판(110)의 측면에 연결된 표시부(110a)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파우치 전지 셀 검사유닛은 파우치 전지 셀을 개별적으로 접촉하여 검사하여 각각의 파우치 전지 셀에 대한 정확한 검사 정보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검사 작업의 신뢰성을 개선시켜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개선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파우치 전지 셀 검사유닛은 파우치형 전지 셀 검사 장치의 제조 산업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10: 파우치 전지 셀 110: 베이스판
111: 셀 가이드 블럭 112: 지지축부재
120,130: 가이드판 121,131: 제1LM 가이드
122,132:제2LM 가이드 140,150: 캠블럭
141,151: 경사면부 160,170: 푸셔
161,171: 고정 블럭 162,172: 푸셔 이동블럭
163,173: 푸셔부재 164,174: 가이드부재
180,190: 승강블럭 200,210: 캠팔로워
220,230 직선이송기구 221,231: 이송 샤프트
222,232: 실린더

Claims (9)

  1. 파우치 전지 셀이 가이드되어 수납되는 셀 가이드 블럭(cell guide block)이 상부에 배치되는 베이스판(base panel);
    상기 셀 가이드 블럭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위치되도록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가이드판;
    상기 가이드판과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경사면부가 형성되는 캠블럭(cam block);
    상기 캠블럭과 연결되어 캠블럭의 이동과 연동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파우치 전지 셀을 가압하는 푸셔(pusher);
    상기 캠블럭과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승강블럭;
    상기 승강블럭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경사면부와 접하도록 배치되는 캠팔로워(cam follower); 및
    상기 승강블럭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블럭을 가이드판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승하강시켜 상기 캠팔로워가 상기 경사면부를 수평방향으로 미는 힘에 의해 상기 캠블럭이 상기 가이드판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상기 푸셔가 파우치 전지 셀의 일측이나 타측을 가압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직선이송기구를 포함하는 파우치 전지 셀 검사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은 사각형 판넬 형상으로 형성되며, 모서리에 각각 베이스판의 하부로 돌출되도록 지지축부재가 삽입되어 연결되는 파우치 전지 셀 검사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 상기 캠블럭, 상기 푸셔, 상기 승강블럭, 상기 캠팔로워 및 상기 직선이송기구는 각각 한 쌍이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판은 각각 상기 셀 가이드 블럭의 일측이나 타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캠블럭은 각각 가이드판의 일측이나 타측에 가이드판과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일측이나 타측에 경사면부가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푸셔는 각각 캠블럭과 연결되며 캠블럭의 이동과 연동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파우치 전지 셀을 가압하며,
    상기 한 쌍의 승강블럭은 각각 캠블럭의 일측이나 타측에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캠팔로워는 각각 승강블럭의 일측이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경사면부와 접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직선이송기구는 각각 승강블럭에 연결되어 승강블럭을 가이드판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승하강시켜 상기 캠팔로워가 상기 경사면부를 수평방향으로 미는 힘에 의해 상기 캠블럭이 상기 가이드판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상기 푸셔가 파우치 전지 셀의 일측이나 타측을 가압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파우치 전지 셀 검사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판은 각각 중앙에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가이드판 중 하나는 일측에 한 쌍의 제1LM 가이드(linear motion guide)가 서로 수직방향으로 평행이 되도록 상기 구멍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배치되며, 타측에 한 쌍의 제2LM 가이드가 서로 수평방향으로 평행이 되도록 상기 구멍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판 중 다른 하나는 타측에 한 쌍의 제1LM 가이드가 서로 수직방향으로 평행이 되도록 상기 구멍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배치되며, 일측에 한 쌍의 제2LM 가이드가 서로 수평방향으로 평행이 되도록 상기 구멍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제1LM 가이드는 각각 상기 승강블럭이 연결되며 직선이송기구에 의해 승강블럭의 수직방향으로 이송 시 가이드하며, 상기 한 쌍의 제2LM 가이드는 각각 가이드판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캠블럭과 연결되는 푸셔가 캠팔로워에 의해 이동되는 캠블럭과 연동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 시 가이드하는 파우치 전지 셀 검사유닛.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캠블럭 중 하나는 가이드판의 구멍을 통해 푸셔와 연결되고 일측에 홈이 형성되며 상기 홈에 캠팔로워와 접하는 경사면부가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부는 홈의 수평방향의 길이가 캠블럭의 상부보다 하부가 크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캠블럭 중 다른 하나는 가이드판의 구멍을 통해 푸셔와 연결되고 타측에 홈이 형성되며 상기 홈은 캠팔로워와 접하는 경사면부가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부는 홈의 수평방향의 길이가 캠블럭의 상부보다 하부가 크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캠블럭은 각각 상부와 하부에 각각 탄성부재로 연결되는 파우치 전지 셀 검사유닛.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푸셔 중 하나는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에 상기 셀 가이드 블럭의 일측에 배치되며 일측에 프로브핀(probe pin)이 배치되는 고정 블럭과, 상기 고정 블럭과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캠블럭과 연결되어 캠블럭의 이동에 따라 가이드판의 타측에 배치된 한 쌍의 제2LM 가이드에 가이드되어 이동되는 푸셔 이동블럭과, 상기 푸셔 이동블럭에 한 쌍의 연결부재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푸셔 이동블럭의 수평방향의 이동에 연동되어 파우치 전지 셀의 일측이 상기 고정 블럭에 지지된 상태에서 파우치 전지 셀의 일측에 위치한 전극이 고정 블럭에 배치된 상기 프로브핀과 접촉되어 연결되도록 가압하는 푸셔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푸셔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에 상기 셀 가이드 블럭의 타측에 배치되며 일측에 프로브핀이 배치되는 고정 블럭과, 상기 고정 블럭과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캠블럭과 연결되어 캠블럭의 이동에 따라 가이드판의 일측에 배치된 한 쌍의 제2LM 가이드에 가이드되어 이동되는 푸셔 이동블럭과, 상기 푸셔 이동블럭에 한 쌍의 연결부재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푸셔 이동블럭의 수평방향의 이동에 연동되어 파우치 전지 셀의 타측이 상기 고정 블럭에 지지된 상태에서 파우치 전지 셀의 타측에 위치한 전극이 고정 블럭에 배치된 상기 프로브핀과 접촉되어 연결되도록 가압하는 푸셔부재를 포함하는 파우치 전지 셀 검사유닛.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 이등블럭은 상부나 하부에 각각 LVDT(linear variable differential transformer)가 삽입되어 연결되어 푸셔부재에 접촉하여 파우치 전지 셀의 일측의 수평 상태를 측정하며, 일측의 끝단에는 로드셀(load cell)이 연결되어 파우치 전지 셀로 가압되는 힘을 측정하는 파우치 전지 셀 검사유닛.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블럭은 한 쌍이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승강블럭 중 하나는 일측에 가이드판의 타측에 배치된 한 쌍의 제1LM 가이드 중 하나와 캠블럭의 경사면부 사이에 위치되도록 캠팔로워가 삽입되어 회전되는 회전가이드 샤프트가 삽입되어 연결되며,
    상기 한 쌍의 승강블럭 중 다른 하나는 타측에 가이드판의 일측에 배치된 한 쌍의 제1LM 가이드 중 하나와 캠블럭의 경사면부 사이에 위치되도록 캠팔로워가 삽입되어 회전되는 회전가이드 샤프트가 삽입되어 연결되는 파우치 전지 셀 검사유닛.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직선이송기구 중 하나는 베이스판의 일측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어 승강블럭의 하부와 연결되는 이송 샤프트와, 상기 베이스판의 일측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배치되어 이송 샤프트와 연결되어 이송 샤프트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킴에 의해 승강블럭을 승하강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직선이송기구 중 다른 하나는 베이스판의 타측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어 승강블럭의 하부와 연결되는 이송 샤프트와, 상기 베이스판의 일측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배치되어 이송 샤프트와 연결되어 이송 샤프트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킴에 의해 승강블럭을 승하강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파우치 전지 셀 검사유닛.
KR1020180082986A 2018-07-17 2018-07-17 파우치 전지 셀 검사유닛 KR1021149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986A KR102114962B1 (ko) 2018-07-17 2018-07-17 파우치 전지 셀 검사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986A KR102114962B1 (ko) 2018-07-17 2018-07-17 파우치 전지 셀 검사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8834A true KR20200008834A (ko) 2020-01-29
KR102114962B1 KR102114962B1 (ko) 2020-06-05

Family

ID=69322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2986A KR102114962B1 (ko) 2018-07-17 2018-07-17 파우치 전지 셀 검사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496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47024B (zh) * 2020-09-10 2022-02-01 太仓众奥无纺制品有限公司 一种无纺布生产用送料装置
WO2022139107A1 (ko) * 2020-12-24 2022-06-3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전지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제조방법
KR102496174B1 (ko) * 2022-08-11 2023-02-06 탁원근 제조 중인 배터리의 성능을 테스트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63335A1 (ko) * 2022-09-21 2024-03-2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파우치 셀의 변형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변형 검사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4687A (ko) * 1995-12-30 1997-07-31 윤종용 전지삽입장치
KR101180830B1 (ko) 2008-10-13 2012-09-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셀 모듈 어셈블리의 절연성 검사 장치와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브
KR20150049969A (ko) * 2013-10-31 2015-05-08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셀의 pcm 폴딩장치 및 이를 이용한 pcm 폴딩방법
KR101866942B1 (ko) * 2017-09-05 2018-06-14 주식회사 부삼 배터리 셀 검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4687A (ko) * 1995-12-30 1997-07-31 윤종용 전지삽입장치
KR101180830B1 (ko) 2008-10-13 2012-09-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셀 모듈 어셈블리의 절연성 검사 장치와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브
KR20150049969A (ko) * 2013-10-31 2015-05-08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셀의 pcm 폴딩장치 및 이를 이용한 pcm 폴딩방법
KR101866942B1 (ko) * 2017-09-05 2018-06-14 주식회사 부삼 배터리 셀 검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47024B (zh) * 2020-09-10 2022-02-01 太仓众奥无纺制品有限公司 一种无纺布生产用送料装置
WO2022139107A1 (ko) * 2020-12-24 2022-06-3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전지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제조방법
KR102496174B1 (ko) * 2022-08-11 2023-02-06 탁원근 제조 중인 배터리의 성능을 테스트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4962B1 (ko) 2020-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4962B1 (ko) 파우치 전지 셀 검사유닛
US4099120A (en) Probe head for testing printed circuit boards
KR101058388B1 (ko) 이차전지 검사 장치
US7833036B2 (en) Electrical connecting apparatus
CN104380449A (zh) 晶片检查用接口和晶片检查装置
KR101706287B1 (ko) 단차부가 형성된 전지셀의 두께 검사 장치
WO2011007419A1 (ja) 電子部品押圧装置、電子部品試験装置及びインタフェース装置
US10215812B2 (en) Clamp-type probe device
TW201937648A (zh) 晶圓檢測機
KR20150036925A (ko) 배터리 셀의 사이즈 측정 장치
US11493316B2 (en) Apparatus for measuring thickness of battery materials
KR20170009752A (ko) 프로브 카드 반송 장치, 프로브 카드 반송 방법 및 프로브 장치
US11611113B2 (en) Simultaneous inspection device of multiple secondary battery cell pouches
CN111006616A (zh) 一种用于物联网半导体设备的测试装置及其测试方法
WO2020129135A1 (ja) プローブピン検査機構および検査装置
US11888173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specting degree of alignment of battery module
JP7344062B2 (ja) 小型二次電池の搬送トレイ及びその搬送方法
JP2021048065A (ja) 小型二次電池の充放電検査装置及びその充放電検査方法
KR20160131965A (ko) 테스트소켓 용 어댑터
KR101257226B1 (ko) 필름형 테스트 프로브 장치
KR101712661B1 (ko) Ssd 테스트 보드 가이드장치 및 ssd 가이드 장치
CN111798780B (zh) 测试装置及测试方法
JP6897505B2 (ja) 半導体検査治具
KR102101104B1 (ko) 다각형 마이크로 접촉 핀
CN218937239U (zh) 一种用于矩形被测物的几何量精密测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