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8683A - 전원 전압 생성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전원 전압 생성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8683A
KR20200008683A KR1020180082546A KR20180082546A KR20200008683A KR 20200008683 A KR20200008683 A KR 20200008683A KR 1020180082546 A KR1020180082546 A KR 1020180082546A KR 20180082546 A KR20180082546 A KR 20180082546A KR 20200008683 A KR20200008683 A KR 202000086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voltage
output
node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2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7844B1 (ko
Inventor
남양욱
이대식
임태곤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82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7844B1/ko
Priority to US16/388,231 priority patent/US11114056B2/en
Priority to CN201910633752.4A priority patent/CN110728939A/zh
Publication of KR20200008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86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7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78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92Details of a display terminals using a flat pane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8Details of timing specific for flat panels, other than clock recove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8Generation of voltages supplied to electrode drivers in a matrix display other than LC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데이터 구동부, 전원 전압 생성부, 구동 제어부 및 타이밍 보상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은 입력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표시 패널에 데이터 전압을 출력한다. 상기 전원 전압 생성부는 상기 데이터 구동부에 데이터 전원 전압을 출력한다.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구동부의 구동 타이밍을 제어한다. 상기 타이밍 보상부는 액티브 구간의 시작 시점에서 피드백되는 상기 데이터 전원 전압이 기준 데이터 전원 전압보다 작은 경우, 상기 데이터 구동부의 상기 데이터 전압의 출력 타이밍을 변경한다.

Description

전원 전압 생성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POWER VOLTAGE GENERATING CIRCUIT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원 전압 생성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데이터 전원 전압의 리플을 보상하는 전원 전압 생성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을 구동하는 표시 패널 구동부 및 상기 표시 패널 구동부에 전원 전압을 제공하는 전원 전압 생성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은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 및 복수의 픽셀들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 구동부는 상기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에 게이트 신호를 제공하는 게이트 구동부 및 상기 데이터 라인들에 데이터 전압을 제공하는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의 로드에 따라 상기 데이터 구동부에 제공되는 데이터 전원 전압에 리플(ripple)이 발생할 수 있고, 이와 같은 데이터 전원 전압의 리플에 의해 표시 패널의 표시 품질이 악화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데이터 전원 전압의 리플을 보상하여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원 전압 생성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전원 전압 생성 회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데이터 구동부, 전원 전압 생성부, 구동 제어부 및 타이밍 보상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은 입력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표시 패널에 데이터 전압을 출력한다. 상기 전원 전압 생성부는 상기 데이터 구동부에 데이터 전원 전압을 출력한다.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구동부의 구동 타이밍을 제어한다. 상기 타이밍 보상부는 액티브 구간의 시작 시점에서 피드백되는 상기 데이터 전원 전압이 기준 데이터 전원 전압보다 작은 경우, 상기 데이터 구동부의 상기 데이터 전압의 출력 타이밍을 변경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준 데이터 전원 전압은 수직 개시 신호의 라이징 에지로부터 제1 시간 경과한 후에 피드백되는 상기 데이터 전원 전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보상부는 상기 데이터 전압의 출력 시점이 상기 액티브 구간 이전의 수직 블랭크 구간이 되도록 상기 데이터 전압의 상기 출력 타이밍을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보상부는 상기 피드백되는 상기 데이터 전원 전압 및 상기 기준 데이터 전원 전압을 변환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 및 상기 변환된 상기 데이터 전원 전압 및 상기 변환된 기준 데이터 전원 전압을 비교하는 데이터 전원 전압 비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 및 상기 데이터 전원 전압 비교기는 상기 전원 전압 생성부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는 상기 전원 전압 생성부 내에 배치되고, 상기 데이터 전원 전압 비교기는 상기 구동 제어부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전압 생성부는 입력 노드에 연결되는 제1 전극 및 접지에 연결되는 제2 전극을 포함하는 캐패시터, 상기 입력 노드에 연결되는 제1 단 및 제1 노드에 연결되는 제2 단을 포함하는 인덕터, 상기 제1 노드에 연결되는 애노드 전극 및 출력 노드에 연결되는 캐소드 전극을 포함하는 다이오드, 스위치 컨트롤러에 연결되는 제어 전극, 상기 제1 노드에 연결되는 입력 전극 및 상기 접지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하는 스위치, 상기 출력 노드에 연결되는 제1 단 및 피드백 노드에 연결되는 제2 단을 포함하는 저항, 상기 피드백 노드에 연결되는 제1 입력 전극, 기준 전압이 인가되는 제2 입력 전극 및 출력 전극을 포함하는 에러 증폭기, 상기 에러 증폭기의 출력 전극에 연결되는 제1 입력 전극, 비교 전압이 인가되는 제2 입력 전극 및 상기 스위치 컨트롤러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하는 비교기 및 상기 비교기에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는 상기 스위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이밍 보상부는 상기 피드백 노드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액티브 구간 이전의 수직 블랭크 구간에 상기 데이터 전원 전압의 출력 노드에 로드를 인가하는 제2 타이밍 보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타이밍 보상부는 직렬로 연결되는 보상 저항 및 보상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타이밍 보상부는 직렬로 연결되는 제1 보상 저항 및 제1 보상 스위치를 포함하는 제1 보상부 및 직렬로 연결되는 제2 보상 저항 및 제2 보상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보상부와 병렬로 연결되는 제2 보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상 스위치의 턴 온 구간은 상기 제2 보상 스위치의 턴 온 구간과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전압 생성부는 입력 노드에 연결되는 제1 전극 및 접지에 연결되는 제2 전극을 포함하는 캐패시터, 상기 입력 노드에 연결되는 제1 단 및 제1 노드에 연결되는 제2 단을 포함하는 인덕터, 상기 제1 노드에 연결되는 애노드 전극 및 출력 노드에 연결되는 캐소드 전극을 포함하는 다이오드, 스위치 컨트롤러에 연결되는 제어 전극, 상기 제1 노드에 연결되는 입력 전극 및 상기 접지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하는 스위치, 상기 출력 노드에 연결되는 제1 단 및 피드백 노드에 연결되는 제2 단을 포함하는 저항, 상기 피드백 노드에 연결되는 제1 입력 전극, 기준 전압이 인가되는 제2 입력 전극 및 출력 전극을 포함하는 에러 증폭기, 상기 에러 증폭기의 출력 전극에 연결되는 제1 입력 전극, 비교 전압이 인가되는 제2 입력 전극 및 상기 스위치 컨트롤러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하는 비교기 및 상기 비교기에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는 상기 스위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타이밍 보상부는 상기 피드백 노드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에 따라 상기 데이터 구동부의 상기 데이터 전압의 출력 타이밍을 변경하는 제3 타이밍 보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 타이밍 보상부는 상기 구동 제어부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전압 생성 회로는 캐패시터, 인덕터, 다이오드, 스위치, 저항, 에러 증폭기, 비교기, 스위치 컨트롤러 및 타이밍 보상부를 포함한다. 상기 캐패시터는 입력 전압이 인가되는 입력 노드에 연결되는 제1 전극 및 접지에 연결되는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인덕터는 상기 입력 노드에 연결되는 제1 단 및 제1 노드에 연결되는 제2 단을 포함한다. 상기 다이오드는 상기 제1 노드에 연결되는 애노드 전극 및 출력 전압을 출력하는 출력 노드에 연결되는 캐소드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스위치는 스위치 컨트롤러에 연결되는 제어 전극, 상기 제1 노드에 연결되는 입력 전극 및 상기 접지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저항은 출력 노드에 연결되는 제1 단 및 피드백 노드에 연결되는 제2 단을 포함한다. 상기 에러 증폭기는 상기 피드백 노드에 연결되는 제1 입력 전극, 기준 전압이 인가되는 제2 입력 전극 및 출력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비교기는 상기 에러 증폭기의 출력 전극에 연결되는 제1 입력 전극, 비교 전압이 인가되는 제2 입력 전극 및 상기 스위치 컨트롤러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스위치 컨트롤러는 상기 비교기에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를 제어한다. 상기 타이밍 보상부는 상기 피드백 노드에 연결되어 상기 출력 전압을 피드백 받고, 상기 피드백된 출력 전압의 레벨에 따라 타이밍 보상 신호를 출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보상부는 상기 피드백되는 상기 출력 전압 및 기준 데이터 전원 전압을 변환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 및 상기 변환된 상기 출력 전압 및 상기 변환된 기준 데이터 전원 전압을 비교하는 데이터 전원 전압 비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보상부는 직렬로 연결되는 보상 저항 및 보상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보상부는 직렬로 연결되는 제1 보상 저항 및 제1 보상 스위치를 포함하는 제1 보상부 및 직렬로 연결되는 제2 보상 저항 및 제2 보상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보상부와 병렬로 연결되는 제2 보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상 스위치의 턴 온 구간은 상기 제2 보상 스위치의 턴 온 구간과 상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원 전압 생성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따르면, 데이터 전원 전압을 피드백하여, 액티브 구간에서 상기 데이터 전원 전압이 드랍(drop)되지 않도록 상기 데이터 전원 전압의 파형을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데이터 전원 전압의 드랍에 의해 상기 표시 패널의 표시 품질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표시 패널의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수직 블랭크 구간에서는 표시 패널 구동 신호를 일정 레벨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표시 장치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원 전압 생성부 및 타이밍 보상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타이밍 보상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a는 도 2의 타이밍 보상부에 의해 데이터 전원 전압이 조절되지 않는 경우의 표시 패널 구동 신호들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4b는 도 2의 타이밍 보상부에 의해 데이터 전원 전압이 조절되는 경우의 표시 패널 구동 신호들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전원 전압 생성부 및 타이밍 보상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5의 타이밍 보상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7a는 도 5의 타이밍 보상부에 의해 데이터 전원 전압이 조절되지 않는 경우의 표시 패널 구동 신호들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7b는 도 5의 타이밍 보상부에 의해 데이터 전원 전압이 조절되는 경우의 표시 패널 구동 신호들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타이밍 보상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9는 도 8의 타이밍 보상부에 인가되는 제어 신호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10은 도 8의 타이밍 보상부에 의해 데이터 전원 전압이 조절되는 경우의 표시 패널 구동 신호들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제어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2a는 제1 입력 영상 데이터에 따른 표시 패널 구동 신호들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12b는 제2 입력 영상 데이터에 따른 표시 패널 구동 신호들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0) 및 표시 패널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 구동부는 구동 제어부(200), 게이트 구동부(300),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 데이터 구동부(500) 및 전원 전압 생성부(600)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100)은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에 이웃하여 배치되는 주변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100)은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GL),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DL) 및 상기 게이트 라인들(GL)과 상기 데이터 라인들(DL)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픽셀들을 포함한다. 상기 게이트 라인들(GL)은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고, 상기 데이터 라인들(DL)은 상기 제1 방향(D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2)으로 연장된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외부의 장치(미도시)로부터 입력 영상 데이터(IMG) 및 입력 제어 신호(CONT)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는 적색 영상 데이터, 녹색 영상 데이터 및 청색 영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는 백색 영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는 마젠타색(magenta) 영상 데이터, 황색(yellow) 영상 데이터 및 시안색(cyan) 영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제어 신호(CONT)는 마스터 클럭 신호,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제어 신호(CONT)는 수직 동기 신호 및 수평 동기 신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 및 상기 입력 제어 신호(CONT)를 근거로 제1 제어 신호(CONT1), 제2 제어 신호(CONT2), 제3 제어 신호(CONT3) 및 데이터 신호(DATA)를 생성한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입력 제어 신호(CONT)를 근거로 상기 게이트 구동부(3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1 제어 신호(CONT1)를 생성하여 상기 게이트 구동부(300)에 출력한다. 상기 제1 제어 신호(CONT1)는 수직 개시 신호 및 게이트 클럭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입력 제어 신호(CONT)를 근거로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2 제어 신호(CONT2)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에 출력한다. 상기 제2 제어 신호(CONT2)는 수평 개시 신호 및 로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를 근거로 데이터 신호(DATA)를 생성한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데이터 신호(DATA)를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에 출력한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입력 제어 신호(CONT)를 근거로 상기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3 제어 신호(CONT3)를 생성하여 상기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에 출력한다.
상기 게이트 구동부(300)는 상기 구동 제어부(200)로부터 입력 받은 상기 제1 제어 신호(CONT1)에 응답하여 상기 게이트 라인들(GL)을 구동하기 위한 게이트 신호들을 생성한다. 상기 게이트 구동부(300)는 상기 게이트 신호들을 상기 게이트 라인들(GL)에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상기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는 상기 구동 제어부(200)로부터 입력 받은 상기 제3 제어 신호(CONT3)에 응답하여 감마 기준 전압(VGREF)을 생성한다. 상기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는 상기 감마 기준 전압(VGREF)을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에 제공한다. 상기 감마 기준 전압(VGREF)은 각각의 데이터 신호(DATA)에 대응하는 값을 갖는다.
예를 들어, 상기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는 상기 구동 제어부(200) 내에 배치되거나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는 상기 구동 제어부(200)로부터 상기 제2 제어 신호(CONT2) 및 상기 데이터 신호(DATA)를 입력 받고, 상기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로부터 상기 감마 기준 전압(VGREF)을 입력 받는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는 상기 데이터 신호(DATA)를 상기 감마 기준 전압(VGREF)을 이용하여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한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는 상기 데이터 전압을 상기 데이터 라인(DL)에 출력한다.
상기 전원 전압 생성부(600)는 상기 게이트 구동부(300)를 동작시키기 위한 게이트 전원 전압(VON, VSS1, VSS2)을 생성하여 상기 게이트 구동부(300)에 출력한다. 상기 게이트 전원 전압은 상기 게이트 신호의 하이 레벨을 나타내는 게이트 온 전압(VON) 및 상기 게이트 신호의 로우 레벨을 나타내는 제1 게이트 오프 전압(VSS1) 및 제2 게이트 오프 전압(VSS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전압 생성부(600)는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를 동작시키기 위한 데이터 전원 전압(AVDD)을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에 출력한다. 상기 데이터 전원 전압(AVDD)은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 내의 증폭기에 제공되는 아날로그 전원 전압일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전원 전압 생성부(600) 및 타이밍 보상부(7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타이밍 보상부(7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전원 전압 생성부(600)는 상기 데이터 전원 전압(AVDD)을 생성하는 DC-DC 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전압 생성부(600)는 캐패시터(C1), 인덕터(L1), 다이오드(DI), 스위치(S1), 저항(R1), 에러 증폭기(EA), 비교기(CP), 스위치 컨트롤러(620)를 포함한다.
상기 캐패시터(C1)는 입력 전압(VIN)이 인가되는 입력 노드에 연결되는 제1 전극 및 접지에 연결되는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인덕터(L1)는 상기 입력 노드에 연결되는 제1 단 및 제1 노드(N1)에 연결되는 제2 단을 포함한다.
상기 다이오드(DI)는 상기 제1 노드(N1)에 연결되는 애노드 전극 및 상기 데이터 전원 전압(AVDD)을 출력하는 출력 노드에 연결되는 캐소드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전원 전압(AVDD)은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로 출력된다.
상기 스위치(S1)는 스위치 컨트롤러(620)에 연결되는 제어 전극, 상기 제1 노드(N1)에 연결되는 입력 전극 및 상기 접지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저항(R1)은 출력 노드에 연결되는 제1 단 및 피드백 노드에 연결되는 제2 단을 포함한다. 상기 피드백 노드에는 상기 데이터 전원 전압(AVDD)이 피드백된다. 상기 전원 전압 생성부(600)는 상기 저항(R1)에 연결되는 제1 단 및 상기 접지에 연결되는 제2 단을 포함하는 피드백 저항(R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전원 전압(AVDD)은 상기 저항(R1) 및 상기 피드백 저항(R2)에 의해 전압 분배되어, 상기 피드백 노드에는 피드백 데이터 전원 전압(AVDDF)이 인가될 수 있다.
상기 에러 증폭기(EA)는 상기 피드백 노드에 연결되는 제1 입력 전극, 기준 전압(VREF)이 인가되는 제2 입력 전극 및 출력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피드백 데이터 전원 전압(AVDDF)과 상기 기준 전압(VREF)의 차이는 상기 에러 증폭기(EA)에 의해 증폭되어 상기 비교기(CP)로 출력된다.
상기 비교기(CP)는 상기 에러 증폭기(EA)의 출력 전극에 연결되는 제1 입력 전극, 비교 전압(VRAMP)이 인가되는 제2 입력 전극 및 상기 스위치 컨트롤러(620)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비교 전압(VRAMP)은 톱니파 신호일 수 있다. 상기 비교기(CP)의 비교 신호는 상기 스위치 컨트롤러(620)로 전달된다.
상기 스위치 컨트롤러(620)는 상기 비교기(CP)에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스위치 컨트롤러(620)는 펄스 폭 변조 회로를 출력하는 펄스 폭 변조 컨트롤러일 수 있다. 상기 스위치(S1)는 상기 스위치 컨트롤러(620)에 의해 출력되는 스위치 제어 신호에 따라 턴 온 및 턴 오프 시간이 조절되며, 상기 스위치(S1)의 턴 온 및 턴 오프 시간에 따라, 상기 데이터 전원 전압(AVDD)의 레벨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데이터 전압(VD의 출력 타이밍을 변경하는 타이밍 보상부(7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타이밍 보상부(700)는 액티브 구간의 시작 시점에서 피드백되는 상기 데이터 전원 전압(AVDDF)이 기준 데이터 전원 전압보다 작은 경우,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의 상기 데이터 전압의 출력 타이밍을 변경한다.
상기 타이밍 보상부(700)는 상기 피드백되는 상기 데이터 전원 전압(AVDDF) 및 상기 기준 데이터 전원 전압을 변환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720) 및 상기 변환된 상기 데이터 전원 전압(AVDDFD) 및 상기 변환된 기준 데이터 전원 전압을 비교하는 데이터 전원 전압 비교기(74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720) 및 상기 데이터 전원 전압 비교기(740)는 상기 전원 전압 생성부(6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데이터 전원 전압 비교기(740)는 비교 결과(CR)를 상기 구동 제어부(500)에 출력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720)는 상기 전원 전압 생성부(600) 내에 배치되고, 상기 데이터 전원 전압 비교기(740)는 상기 구동 제어부(5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720)는 상기 변환된 상기 데이터 전원 전압(AVDDFD) 및 상기 변환된 기준 데이터 전원 전압을 상기 구동 제어부(500)에 출력할 수 있다.
도 4a는 도 2의 타이밍 보상부(700)에 의해 데이터 전원 전압이 조절되지 않는 경우의 표시 패널 구동 신호들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4b는 도 2의 타이밍 보상부(700)에 의해 데이터 전원 전압이 조절되는 경우의 표시 패널 구동 신호들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4a를 보면, 수직 블랭크 구간(VBANK) 동안 상기 데이터 전원 전압(AVDD)은 일정한 레벨을 유지할 수 있다. 액티브 구간(ACTIVE)에,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가 상기 데이터 전압(VD)을 상기 표시 패널(100)에 출력하기 시작하면, 상기 데이터 전원 전압(AVDD)은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의 갑작스런 로드 증가로 인해 그 레벨이 크게 감소하게 된다. (A1 구간)
그 이후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가 일정 시간 이상 구동되면서, 상기 데이터 전원 전압(AVDD)은 서서히 안정적인 레벨로 복귀하게 된다. (A2 구간)
상기 데이터 전원 전압(AVDD)의 레벨이 감소한 구간에서, 상기 표시 패널(100)에 인가되는 상기 데이터 전압(VD)의 레벨은 타겟 레벨에 비해 감소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액티브 구간(ACTIVE)의 초기 구간에 대응하는 상기 표시 패널(100)의 상부에 표시되는 영상의 휘도가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도 4b를 보면, 상기 타이밍 보상부(700)는 상기 데이터 전압(VD)의 출력 시점이 상기 액티브 구간(ACTIVE) 이전의 수직 블랭크 구간(VBLANK)이 되도록 상기 데이터 전압(VD)의 상기 출력 타이밍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전압(VD)의 상기 출력 타이밍은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의 데이터 클럭 신호(CLK)와 동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데이터 전압(VD)의 상기 출력 타이밍이 변경될 때, 상기 데이터 클럭 신호(CLK)의 타이밍이 변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타이밍 보상부(700)는 액티브 구간(ACTIVE)의 시작 시점에서 피드백되는 상기 데이터 전원 전압(AVDDF)이 기준 데이터 전원 전압보다 작은 경우,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의 상기 데이터 전압의 출력 타이밍을 제1 보상 시간만큼 앞당길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준 데이터 전원 전압은 수직 개시 신호(STV)의 라이징 에지로부터 제1 시간 경과한 후에 피드백되는 상기 데이터 전원 전압일 수 있다. 수직 개시 신호(STV)의 라이징 에지로부터 제1 시간 경과한 후에 피드백되는 상기 데이터 전원 전압은 안정적인 레벨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시간은 상기 데이터 전원 전압(AVDD)이 안정화되기 위해 필요한 시간(도 4a의 A1 구간)보다 크거나 같게 설정될 수 있다.
도 4a에서, 상기 액티브 구간(ACTIVE)의 시작 시점에서 상기 데이터 전원 전압(AVDD)은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의 급격한 로드 증가로 인해 레벨이 감소하게 된다. 상기 타이밍 보상부(700)는 상기 액티브 구간(ACTIVE)의 시작 시점에서 피드백되는 상기 데이터 전원 전압(AVDDF)을 안정화 시점 이후의 기준 데이터 전원 전압과 비교한다. 도 4a에서, 상기 액티브 구간(ACTIVE)의 시작 시점에서 피드백되는 상기 데이터 전원 전압(AVDDF)은 상기 기준 데이터 전원 전압보다 작으므로, 상기 타이밍 보상부(700)는 상기 데이터 전압(VD)의 출력 시점을 제1 보상 시간만큼 앞당긴다.
상기 타이밍 보상부(700)는 상기 데이터 전압(VD)의 출력 시점을 제1 보상 시간만큼 앞당긴 다음 프레임에서 다시 상기 액티브 구간(ACTIVE)의 시작 시점에서 피드백되는 상기 데이터 전원 전압(AVDDF)을 안정화 시점 이후의 기준 데이터 전원 전압과 비교한다.
만약, 상기 액티브 구간(ACTIVE)의 시작 시점에서 피드백되는 상기 데이터 전원 전압(AVDDF)은 상기 기준 데이터 전원 전압보다 작으면, 상기 타이밍 보상부(700)는 상기 데이터 전압(VD)의 출력 시점을 한번 더 상기 제1 보상 시간만큼 앞당긴다. 만약, 상기 액티브 구간(ACTIVE)의 시작 시점에서 피드백되는 상기 데이터 전원 전압(AVDDF)은 상기 기준 데이터 전원 전압보다 작지 않으면, 상기 타이밍 보상부(700)는 상기 데이터 전압(VD)의 출력 시점을 그대로 유지한다.
이와 같이, 상기 타이밍 보상부(700)는 상기 액티브 구간(ACTIVE)의 시작 시점에서 피드백되는 상기 데이터 전원 전압(AVDDF)이 상기 기준 데이터 전원 전압과 동일한 레벨을 가질 때까지, 상기 데이터 전압(VD)의 출력 타이밍을 조절한다. 그 결과 도 4b와 같이, 상기 데이터 전원 전압(AVDD)은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VBLANK)에 미리 드랍되며(도 4b의 A1 구간), 상기 액티브 구간(ACTIVE)의 시작 시점부터(도 4b의 A2 구간) 상기 데이터 전압(VD)은 타겟 레벨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타이밍 보상부(700)는 상기 피드백된 데이터 전원 전압(AVDD)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의 데이터 출력 타이밍을 조절하여, 액티브 구간(ACTIVE)에서 상기 데이터 전원 전압(AVDD)이 드랍(drop)되지 않도록 상기 데이터 전원 전압(AVDD)의 파형을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데이터 전원 전압(AVDD)의 드랍에 의해 상기 표시 패널(100)의 표시 품질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표시 패널(100)의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수직 블랭크 구간(VBLANK)에서는 표시 패널 구동 신호를 대체로 일정한 레벨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표시 장치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전원 전압 생성부 및 타이밍 보상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5의 타이밍 보상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원 전압 생성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는 타이밍 보상부를 제외하면, 도 1 내지 도 4의 전원 전압 생성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0) 및 표시 패널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 구동부는 구동 제어부(200), 게이트 구동부(300),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 데이터 구동부(500) 및 전원 전압 생성부(600)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장치는 수직 블랭크 구간(VBLANK)에 상기 데이터 전원 전압(AVDD)의 출력 노드에 로드를 인가하는 타이밍 보상부(8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표시 장치는 이전 실시예의 상기 타이밍 보상부(700)를 대체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타이밍 보상부(8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표시 장치는 이전 실시예의 상기 타이밍 보상부(700) 및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타이밍 보상부(800)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이밍 보상부(800)는 직렬로 연결되는 보상 저항(RA) 및 보상 스위치(S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상 스위치(SA)가 턴 온되면, 상기 데이터 전원 전압(AVDD)의 출력 노드에 상기 보상 저항(RA)만큼의 로드가 인가된다. 상기 보상 스위치(SA)는 상기 액티브 구간(ACTIVE)에 앞서,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VBLANK)에 미리 턴 온된다.
도 7a는 도 5의 타이밍 보상부(800)에 의해 데이터 전원 전압이 조절되지 않는 경우의 표시 패널 구동 신호들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7b는 도 5의 타이밍 보상부(800)에 의해 데이터 전원 전압이 조절되는 경우의 표시 패널 구동 신호들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7a를 보면, 수직 블랭크 구간(VBANK) 동안 상기 데이터 전원 전압(AVDD)은 일정한 레벨을 유지할 수 있다. 액티브 구간(ACTIVE)에,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가 상기 데이터 전압(VD)을 상기 표시 패널(100)에 출력하기 시작하면, 상기 데이터 전원 전압(AVDD)은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의 갑작스런 로드 증가(IAVDD)로 인해 그 레벨이 크게 감소하게 된다. (A1 구간)
그 이후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가 일정 시간 이상 구동되면서, 상기 데이터 전원 전압(AVDD)은 서서히 안정적인 레벨로 복귀하게 된다. (A2 구간)
상기 데이터 전원 전압(AVDD)의 레벨이 감소한 구간에서, 상기 표시 패널(100)에 인가되는 상기 데이터 전압(VD)의 레벨은 타겟 레벨에 비해 감소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액티브 구간(ACTIVE)의 초기 구간에 대응하는 상기 표시 패널(100)의 상부에 표시되는 영상의 휘도가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도 7b를 보면, 상기 보상 스위치(SA)에 인가되는 보상 스위치 제어 신호(CSA)에 의해 상기 수직 개시 신호(STV)가 인가되기 전에 상기 보상 스위치(SA)가 미리 턴 온된다. 상기 보상 스위치(SA)가 턴 온되면, 상기 데이터 전원 전압(AVDD)의 출력 노드에 상기 보상 저항(RA)만큼의 로드(IAVDD)가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VBLANK)부터 인가된다.
그 결과 도 7b와 같이, 상기 데이터 전원 전압(AVDD)은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VBLANK)에 미리 드랍되며(도 7b의 A1 구간), 상기 액티브 구간(ACTIVE)의 시작 시점부터(도 7b의 A2 구간) 상기 데이터 전압(VD)은 타겟 레벨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타이밍 보상부(800)는 수직 블랭크 구간(VBLANK)에 상기 데이터 전원 전압(AVDD)의 출력 노드에 로드를 인가하여, 액티브 구간(ACTIVE)에서 상기 데이터 전원 전압(AVDD)이 드랍(drop)되지 않도록 상기 데이터 전원 전압(AVDD)의 파형을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데이터 전원 전압(AVDD)의 드랍에 의해 상기 표시 패널(100)의 표시 품질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표시 패널(100)의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수직 블랭크 구간(VBLANK)에서는 표시 패널 구동 신호를 대체로 일정한 레벨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표시 장치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타이밍 보상부(800A)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9는 도 8의 타이밍 보상부(800A)에 인가되는 제어 신호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원 전압 생성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는 타이밍 보상부를 제외하면, 도 1 내지 도 4의 전원 전압 생성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4,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0) 및 표시 패널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 구동부는 구동 제어부(200), 게이트 구동부(300),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 데이터 구동부(500) 및 전원 전압 생성부(600)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장치는 수직 블랭크 구간(VBLANK)에 상기 데이터 전원 전압(AVDD)의 출력 노드에 로드를 인가하는 타이밍 보상부(800A)를 더 포함한다.
상기 표시 장치는 이전 실시예의 상기 타이밍 보상부(700)를 대체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타이밍 보상부(800A)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표시 장치는 이전 실시예의 상기 타이밍 보상부(700) 및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타이밍 보상부(800A)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이밍 보상부(800A)는 병렬로 연결되는 복수의 보상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각 보상부는 직렬로 연결되는 보상 저항 및 보상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타이밍 보상부(800A)는 병렬로 연결되는 3개의 보상부를 포함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타이밍 보상부(800A)는 병렬로 연결되는 제1 보상부, 제2 보상부 및 제3 보상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보상부는 직렬로 연결되는 제1 보상 저항(RA) 및 제1 보상 스위치(S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보상부는 직렬로 연결되는 제2 보상 저항(RB) 및 제2 보상 스위치(S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보상부는 직렬로 연결되는 제3 보상 저항(RC) 및 제3 보상 스위치(S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보상 스위치(SA)의 턴 온 구간은 상기 제2 보상 스위치(SB)의 턴 온 구간과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제2 보상 스위치(SB)의 턴 온 구간은 상기 제3 보상 스위치(SC)의 턴 온 구간과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제3 보상 스위치(SC)의 턴 온 구간은 상기 제1 보상 스위치(SA)의 턴 온 구간과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보상 스위치 제어 신호(CSA)는 제1 구간 동안 활성화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보상 스위치 제어 신호(CSB)는 제1 구간 및 제2 구간 동안 활성화 될 수 있다. 예컨대, 제3 보상 스위치 제어 신호(CSC)는 제1 구간, 제2 구간 및 제3 구간 동안 활성화 될 수 있다.
상기 제1 구간 동안 상기 제1 내지 제3 보상 스위치 제어 신호(CSA, CSB, CSC)가 활성화 레벨을 가지므로, 상기 제1 내지 제3 보상 스위치(SA, SB, SC)가 턴 온된다.
상기 제2 구간 동안 상기 제2 및 제3 보상 스위치 제어 신호(CSB, CSC)가 활성화 레벨을 가지므로, 상기 제2 및 제3 보상 스위치(SB, SC)가 턴 온된다.
상기 제3 구간 동안 상기 제3 보상 스위치 제어 신호(CSC)가 활성화 레벨을 가지므로, 상기 제3 보상 스위치(SC)가 턴 온된다.
도 10은 도 8의 타이밍 보상부(800A)에 의해 데이터 전원 전압이 조절되는 경우의 표시 패널 구동 신호들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7a를 보면, 수직 블랭크 구간(VBANK) 동안 상기 데이터 전원 전압(AVDD)은 일정한 레벨을 유지할 수 있다. 액티브 구간(ACTIVE)에,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가 상기 데이터 전압(VD)을 상기 표시 패널(100)에 출력하기 시작하면, 상기 데이터 전원 전압(AVDD)은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의 갑작스런 로드 증가(IAVDD)로 인해 그 레벨이 크게 감소하게 된다. (A1 구간)
그 이후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가 일정 시간 이상 구동되면서, 상기 데이터 전원 전압(AVDD)은 서서히 안정적인 레벨로 복귀하게 된다. (A2 구간)
상기 데이터 전원 전압(AVDD)의 레벨이 감소한 구간에서, 상기 표시 패널(100)에 인가되는 상기 데이터 전압(VD)의 레벨은 타겟 레벨에 비해 감소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액티브 구간(ACTIVE)의 초기 구간에 대응하는 상기 표시 패널(100)의 상부에 표시되는 영상의 휘도가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도 10을 보면, 상기 제1 내지 제3 보상 스위치(SA, SB, SC)에 인가되는 제1 내지 제3 보상 스위치 제어 신호(CSA, CSB, CSC)에 의해 상기 수직 개시 신호(STV)가 인가되기 전에 상기 제1 내지 제3 보상 스위치(SA, SB, SC)가 미리 턴 온된다. 상기 제1 내지 제3 보상 스위치(SA, SB, SC)가 턴 온되면, 상기 데이터 전원 전압(AVDD)의 출력 노드에 상기 제1 내지 제3 보상 저항(RA, RB, RC)의 합성 저항만큼의 제1 로드(IAVDD)가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VBLANK)부터 인가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구간 동안에는 상기 제1 내지 제3 보상 스위치(SA, SB, SC)가 모두 턴 온되므로, 상기 제1 내지 제3 보상 저항의 병렬 저항만큼의 로드(IAVDD)가 인가될 수 있다. 상기 제2 구간 동안에는 상기 제2 및 제3 보상 스위치(SB, SC)가 턴 온되므로, 상기 제2 및 제3 보상 저항의 병렬 저항만큼의 제2 로드(IAVDD)가 인가될 수 있다. 상기 제2 로드는 상기 제1 로드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3 구간 동안에는 상기 제3 보상 스위치(SC)만이 턴 온되므로, 상기 제3 보상 저항만큼의 제3 로드(IAVDD)가 인가될 수 있다. 상기 제3 로드는 상기 제2 로드보다 클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데이터 전원 전압(AVDD)의 로드(IAVDD)는 상기 제1 내지 제3 보상부에 의해 서서히 증가하는 파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전원 전압(AVDD)의 로드(IAVDD)가 서서히 증가하면, 상기 데이터 전원 전압(AVDD)의 드랍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표시 패널의 표시 품질 악화를 더욱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도 10과 같이, 상기 데이터 전원 전압(AVDD)은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VBLANK)에 미리 드랍되며(도 10의 A1 구간), 상기 액티브 구간(ACTIVE)의 시작 시점부터(도 10의 A2 구간) 상기 데이터 전압(VD)은 타겟 레벨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타이밍 보상부(800A)는 수직 블랭크 구간(VBLANK)에 상기 데이터 전원 전압(AVDD)의 출력 노드에 로드를 인가하여, 액티브 구간(ACTIVE)에서 상기 데이터 전원 전압(AVDD)이 드랍(drop)되지 않도록 상기 데이터 전원 전압(AVDD)의 파형을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데이터 전원 전압(AVDD)의 드랍에 의해 상기 표시 패널(100)의 표시 품질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표시 패널(100)의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수직 블랭크 구간(VBLANK)에서는 표시 패널 구동 신호를 대체로 일정한 레벨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표시 장치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제어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2a는 제1 입력 영상 데이터에 따른 표시 패널 구동 신호들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12b는 제2 입력 영상 데이터에 따른 표시 패널 구동 신호들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원 전압 생성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는 타이밍 보상부를 제외하면, 도 1 내지 도 4의 전원 전압 생성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4, 도 11 내지 도 12b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0) 및 표시 패널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 구동부는 구동 제어부(200), 게이트 구동부(300),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 데이터 구동부(500) 및 전원 전압 생성부(600)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장치는 수직 블랭크 구간(VBLANK)에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에 따라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의 상기 데이터 전압(VD)의 출력 타이밍을 조절하는 타이밍 보상부(2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표시 장치는 이전 실시예의 상기 타이밍 보상부(700)를 대체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타이밍 보상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표시 장치는 이전 실시예의 상기 타이밍 보상부(700) 및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타이밍 보상부(210)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타이밍 보상부(210)는 상기 구동 제어부(2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타이밍 보상부(210), 데이터 보정부(220) 및 제어 신호 생성부(230)를 포함한다.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논리적으로 구분하였을 뿐, 하드웨어적으로 구분한 것은 아니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에 인가되는 입력 영상 데이터(IMG)에 따라 상기 액티브 구간(ACTIVE)의 시작 시점에서 발생하는 데이터 구동부(500)의 로드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액티브 구간(ACTIVE)의 시작 시점에서 발생하는 데이터 구동부(500)의 로드가 큰 경우, 상기 데이터 전원 전압(AVDD)의 드랍이 크게 발생하고, 상기 액티브 구간(ACTIVE)의 시작 시점에서 발생하는 데이터 구동부(500)의 로드가 작은 경우, 상기 데이터 전원 전압(AVDD)의 드랍이 작게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가 단색 영상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는 같은 레벨을 계속하여 유지하므로,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의 로드가 크지 않을 수 있다. 반면,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가 가로 스트라이프 영상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는 하이 레벨과 로우 레벨 사이에서 스윙하므로,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의 로드가 클 수 있다.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에 따른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의 로드는 상기 표시 패널(100)의 패널 구조 및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의 버퍼 구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타이밍 보상부(210)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를 분석하여, 상기 데이터 보정부(220) 및 상기 제어 신호 생성부(230)에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의 구동 타이밍에 대한 타이밍 신호(TIM)를 출력한다.
상기 타이밍 보상부(210)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를 분석하여, 상기 액티브 구간(ACTIVE)의 시작 시점에서 상기 데이터 전원 전압(AVDD)의 드랍이 작은 경우,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의 데이터 전압(VD) 출력 타이밍을 적게 앞당길 수 있다. 반면, 상기 타이밍 보상부(210)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를 분석하여, 상기 액티브 구간(ACTIVE)의 시작 시점에서 상기 데이터 전원 전압(AVDD)의 드랍이 큰 경우,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의 데이터 전압(VD) 출력 타이밍을 많이 앞당길 수 있다.
도 12a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가 상기 액티브 구간(ACTIVE)의 시작 시점에서 데이터 전원 전압(AVDD)의 드랍을 적게 발생시키는 제1 입력 영상 데이터인 경우를 나타낸다. 도 12a에서, 상기 액티브 시작 시점에서 데이터 전원 전압(AVDD)의 드랍이 거의 발생하지 않아, 상기 데이터 전압(VD)은 상기 액티브 구간(ACTIVE)의 시작 시점부터 타겟 레벨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타이밍 보상부(210)는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의 데이터 전압(VD) 출력 타이밍을 앞당기지 않았다.
도 12b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가 상기 액티브 구간(ACTIVE)의 시작 시점에서 데이터 전원 전압(AVDD)의 드랍을 크게 발생시키는 제2 입력 영상 데이터인 경우를 나타낸다. 도 12b에서, 상기 타이밍 보상부(210)는 상기 데이터 전압(VD)의 출력 시점이 상기 액티브 구간(ACTIVE) 이전의 수직 블랭크 구간(VBLANK)이 되도록 상기 데이터 전압(VD)의 상기 출력 타이밍을 변경할 수 있다. 그 결과 도 12b와 같이, 상기 데이터 전원 전압(AVDD)은 상기 수직 블랭크 구간(VBLANK)에 미리 드랍되며(도 12b의 A1 구간), 상기 액티브 구간(ACTIVE)의 시작 시점부터(도 12b의 A2 구간) 상기 데이터 전압(VD)은 타겟 레벨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보정부(220)는 외부의 장치로부터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를 수신한다. 상기 데이터 보정부(210)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를 보정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DATA)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에 출력한다. 상기 데이터 보정부(220)는 상기 타이밍 신호(TIM)에 따라, 상기 데이터 신호(DATA)를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보정부(220)는 색 특성 보상부(미도시), 능동 캐패시턴스 보상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색 특성 보상부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를 수신하여 색 특성 보상(Adaptive Color Correction, ACC)을 수행한다. 상기 색 특성 보상부는 감마 곡선을 이용하여 입력 영상 데이터(IMG)를 보상할 수 있다. 상기 능동 캐패시턴스 보상부는 이전 프레임 데이터와 현재 프레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 프레임 데이터의 계조 데이터를 보정하는 능동 캐패시턴스 보상(Dynamic Capacitance Compensation, DCC)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 신호 생성부(230)는 외부로부터 상기 입력 제어 신호(CONT)를 수신하고, 상기 타이밍 보상부(210)로부터 상기 타이밍 신호(TIM)를 수신한다.
상기 제어 신호 생성부(230)는 상기 입력 제어 신호(CONT) 및 상기 타이밍 신호(TIM)를 근거로 상기 제1 제어 신호(CONT1)를 생성하여 상기 게이트 구동부(300)에 출력한다. 상기 제어 신호 생성부(230)는 상기 입력 제어 신호(CONT) 및 상기 타이밍 신호(TIM)를 근거로 상기 제2 제어 신호(CONT2)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에 출력한다. 상기 제어 신호 생성부(230)는 상기 입력 제어 신호(CONT) 및 상기 타이밍 신호(TIM)를 근거로 상기 제3 제어 신호(CONT3)를 생성하여 상기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에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타이밍 보상부(210)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에 따라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의 데이터 출력 타이밍을 조절하여, 상기 액티브 구간(ACTIVE)에서 상기 데이터 전원 전압(AVDD)이 드랍(drop)되지 않도록 상기 데이터 전원 전압(AVDD)의 파형을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데이터 전원 전압(AVDD)의 드랍에 의해 상기 표시 패널(100)의 표시 품질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표시 패널(100)의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수직 블랭크 구간(VBLANK)에서는 표시 패널 구동 신호를 대체로 일정한 레벨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표시 장치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전압 생성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따르면, 표시 패널의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표시 장치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표시 패널 200: 구동 제어부
210: 타이밍 보상부 220: 데이터 보정부
230: 제어 신호 생성부 300: 게이트 구동부
400: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 500: 데이터 구동부
600: 전원 전압 생성부 620: 스위치 컨트롤러
700: 타이밍 보상부 720: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
740: 데이터 전원 전압 비교기 800, 800A: 타이밍 보상부

Claims (19)

  1. 입력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에 데이터 전압을 출력하는 데이터 구동부;
    상기 데이터 구동부에 데이터 전원 전압을 출력하는 전원 전압 생성부;
    상기 데이터 구동부의 구동 타이밍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 및
    액티브 구간의 시작 시점에서 피드백되는 상기 데이터 전원 전압이 기준 데이터 전원 전압보다 작은 경우, 상기 데이터 구동부의 상기 데이터 전압의 출력 타이밍을 변경하는 타이밍 보상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데이터 전원 전압은 수직 개시 신호의 라이징 에지로부터 제1 시간 경과한 후에 피드백되는 상기 데이터 전원 전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보상부는 상기 데이터 전압의 출력 시점이 상기 액티브 구간 이전의 수직 블랭크 구간이 되도록 상기 데이터 전압의 상기 출력 타이밍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보상부는
    상기 피드백되는 상기 데이터 전원 전압 및 상기 기준 데이터 전원 전압을 변환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 및
    상기 변환된 상기 데이터 전원 전압 및 상기 변환된 기준 데이터 전원 전압을 비교하는 데이터 전원 전압 비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 및 상기 데이터 전원 전압 비교기는 상기 전원 전압 생성부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는 상기 전원 전압 생성부 내에 배치되고, 상기 데이터 전원 전압 비교기는 상기 구동 제어부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전압 생성부는
    입력 노드에 연결되는 제1 전극 및 접지에 연결되는 제2 전극을 포함하는 캐패시터;
    상기 입력 노드에 연결되는 제1 단 및 제1 노드에 연결되는 제2 단을 포함하는 인덕터;
    상기 제1 노드에 연결되는 애노드 전극 및 출력 노드에 연결되는 캐소드 전극을 포함하는 다이오드;
    스위치 컨트롤러에 연결되는 제어 전극, 상기 제1 노드에 연결되는 입력 전극 및 상기 접지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하는 스위치;
    상기 출력 노드에 연결되는 제1 단 및 피드백 노드에 연결되는 제2 단을 포함하는 저항;
    상기 피드백 노드에 연결되는 제1 입력 전극, 기준 전압이 인가되는 제2 입력 전극 및 출력 전극을 포함하는 에러 증폭기;
    상기 에러 증폭기의 출력 전극에 연결되는 제1 입력 전극, 비교 전압이 인가되는 제2 입력 전극 및 상기 스위치 컨트롤러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하는 비교기; 및
    상기 비교기에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는 상기 스위치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밍 보상부는 상기 피드백 노드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구간 이전의 수직 블랭크 구간에 상기 데이터 전원 전압의 출력 노드에 로드를 인가하는 제2 타이밍 보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타이밍 보상부는 직렬로 연결되는 보상 저항 및 보상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타이밍 보상부는
    직렬로 연결되는 제1 보상 저항 및 제1 보상 스위치를 포함하는 제1 보상부; 및
    직렬로 연결되는 제2 보상 저항 및 제2 보상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보상부와 병렬로 연결되는 제2 보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상 스위치의 턴 온 구간은 상기 제2 보상 스위치의 턴 온 구간과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전압 생성부는
    입력 노드에 연결되는 제1 전극 및 접지에 연결되는 제2 전극을 포함하는 캐패시터;
    상기 입력 노드에 연결되는 제1 단 및 제1 노드에 연결되는 제2 단을 포함하는 인덕터;
    상기 제1 노드에 연결되는 애노드 전극 및 출력 노드에 연결되는 캐소드 전극을 포함하는 다이오드;
    스위치 컨트롤러에 연결되는 제어 전극, 상기 제1 노드에 연결되는 입력 전극 및 상기 접지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하는 스위치;
    상기 출력 노드에 연결되는 제1 단 및 피드백 노드에 연결되는 제2 단을 포함하는 저항;
    상기 피드백 노드에 연결되는 제1 입력 전극, 기준 전압이 인가되는 제2 입력 전극 및 출력 전극을 포함하는 에러 증폭기;
    상기 에러 증폭기의 출력 전극에 연결되는 제1 입력 전극, 비교 전압이 인가되는 제2 입력 전극 및 상기 스위치 컨트롤러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하는 비교기; 및
    상기 비교기에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는 상기 스위치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타이밍 보상부는 상기 피드백 노드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에 따라 상기 데이터 구동부의 상기 데이터 전압의 출력 타이밍을 변경하는 제3 타이밍 보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타이밍 보상부는 상기 구동 제어부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5. 입력 전압이 인가되는 입력 노드에 연결되는 제1 전극 및 접지에 연결되는 제2 전극을 포함하는 캐패시터;
    상기 입력 노드에 연결되는 제1 단 및 제1 노드에 연결되는 제2 단을 포함하는 인덕터;
    상기 제1 노드에 연결되는 애노드 전극 및 출력 전압을 출력하는 출력 노드에 연결되는 캐소드 전극을 포함하는 다이오드;
    스위치 컨트롤러에 연결되는 제어 전극, 상기 제1 노드에 연결되는 입력 전극 및 상기 접지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하는 스위치;
    상기 출력 노드에 연결되는 제1 단 및 피드백 노드에 연결되는 제2 단을 포함하는 저항;
    상기 피드백 노드에 연결되는 제1 입력 전극, 기준 전압이 인가되는 제2 입력 전극 및 출력 전극을 포함하는 에러 증폭기;
    상기 에러 증폭기의 출력 전극에 연결되는 제1 입력 전극, 비교 전압이 인가되는 제2 입력 전극 및 상기 스위치 컨트롤러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하는 비교기;
    상기 비교기에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는 상기 스위치 컨트롤러; 및
    상기 피드백 노드에 연결되어 상기 출력 전압을 피드백 받고, 상기 피드백된 출력 전압의 레벨에 따라 타이밍 보상 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밍 보상부를 포함하는 전원 전압 생성 회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보상부는
    상기 피드백되는 상기 출력 전압 및 기준 데이터 전원 전압을 변환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 및
    상기 변환된 상기 출력 전압 및 상기 변환된 기준 데이터 전원 전압을 비교하는 데이터 전원 전압 비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전압 생성 회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보상부는 직렬로 연결되는 보상 저항 및 보상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전압 생성 회로.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보상부는
    직렬로 연결되는 제1 보상 저항 및 제1 보상 스위치를 포함하는 제1 보상부; 및
    직렬로 연결되는 제2 보상 저항 및 제2 보상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보상부와 병렬로 연결되는 제2 보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전압 생성 회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상 스위치의 턴 온 구간은 상기 제2 보상 스위치의 턴 온 구간과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전압 생성 회로.
KR1020180082546A 2018-07-16 2018-07-16 전원 전압 생성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5278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546A KR102527844B1 (ko) 2018-07-16 2018-07-16 전원 전압 생성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6/388,231 US11114056B2 (en) 2018-07-16 2019-04-18 Power voltage generating circuit compensating ripple of a data power voltage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201910633752.4A CN110728939A (zh) 2018-07-16 2019-07-15 显示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546A KR102527844B1 (ko) 2018-07-16 2018-07-16 전원 전압 생성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8683A true KR20200008683A (ko) 2020-01-29
KR102527844B1 KR102527844B1 (ko) 2023-05-03

Family

ID=69139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2546A KR102527844B1 (ko) 2018-07-16 2018-07-16 전원 전압 생성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114056B2 (ko)
KR (1) KR102527844B1 (ko)
CN (1) CN11072893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7844B1 (ko) * 2018-07-16 2023-05-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원 전압 생성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11341262A (zh) * 2020-04-22 2020-06-26 合肥京东方显示技术有限公司 抑制噪声的电路、方法、时序控制板及显示装置
CN113571001B (zh) * 2021-09-24 2022-01-14 惠科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及显示系统
CN114299875B (zh) * 2021-12-24 2022-12-20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一种驱动电路、驱动控制单元以及电子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3345A (ko) * 2008-11-12 2010-05-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170038989A (ko) * 2015-09-30 2017-04-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타이밍 컨트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70065087A (ko) * 2015-12-02 2017-06-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유기발광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0445A (ja) * 2000-06-02 2001-12-21 Nec Corp Ac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KR100444491B1 (ko) 2002-04-10 2004-08-1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리플 감소를 위한 전원 회로 및 리플 감소 방법
US7483031B2 (en) * 2003-04-17 2009-01-27 Nvidia Corporation Method for synchronizing graphics processing units
JP4239892B2 (ja) * 2003-07-14 2009-03-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とその駆動方法ならびに投射型表示装置、電子機器
JP2005051956A (ja) * 2003-07-31 2005-02-24 Rohm Co Ltd Dc/dcコンバータ
KR100536222B1 (ko) * 2004-05-17 2005-12-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20100041085A (ko) * 2008-10-13 2010-04-2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533666B1 (ko) * 2008-12-01 2015-07-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WO2010095348A1 (ja) * 2009-02-23 2010-08-26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駆動装置
JP5185155B2 (ja) * 2009-02-24 2013-04-17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セントラル 液晶表示装置
KR20110081442A (ko) * 2010-01-08 2011-07-14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패드 내부에 전하 공유 스위치를 형성한 구조의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회로
KR101751998B1 (ko) * 2010-07-22 2017-06-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JP5726606B2 (ja) * 2011-04-13 2015-06-03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タッチ検出機能付き表示パネルおよびその駆動方法、駆動回路、ならびに電子機器
KR102050850B1 (ko) 2013-04-02 2019-12-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표시 장치
TWI502577B (zh) * 2013-10-18 2015-10-01 Au Optronics Corp 電荷分享控制方法及顯示面板
CN104091569B (zh) * 2014-07-31 2016-04-20 无锡力芯微电子股份有限公司 可消除led显示屏残影的led显示系统及其驱动电路
KR20160017871A (ko) 2014-08-06 2016-02-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160020041A (ko) * 2014-08-12 2016-02-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US9880649B2 (en) * 2014-09-29 2018-01-30 Apple Inc. Touch, pen and force sensor operation with variable refresh displays
KR102276244B1 (ko) 2014-12-24 2021-07-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와 그의 로드 제어방법
KR20160087466A (ko) * 2015-01-13 2016-07-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320146B1 (ko) * 2015-03-09 2021-11-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데이터 집적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340326B1 (ko) 2015-06-11 2021-12-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2331176B1 (ko) * 2015-06-11 2021-11-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WO2017069072A1 (ja) * 2015-10-23 2017-04-27 シャープ株式会社 映像信号線駆動回路およびそれを備える表示装置
KR102538875B1 (ko) * 2016-07-20 2023-06-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17810B1 (ko) * 2016-08-17 2023-04-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06357104B (zh) * 2016-10-14 2018-07-17 合肥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软启动供电电路及其控制方法、显示装置
US10490154B2 (en) * 2016-12-01 2019-11-26 Seiko Epson Corporation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KR102636683B1 (ko) * 2016-12-30 2024-02-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US20190385563A1 (en) * 2017-05-12 2019-12-19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CN107452333B (zh) * 2017-08-29 2019-07-0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像素补偿方法、像素补偿装置及显示装置
KR102527844B1 (ko) * 2018-07-16 2023-05-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원 전압 생성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3345A (ko) * 2008-11-12 2010-05-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170038989A (ko) * 2015-09-30 2017-04-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타이밍 컨트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70065087A (ko) * 2015-12-02 2017-06-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유기발광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020297A1 (en) 2020-01-16
CN110728939A (zh) 2020-01-24
US11114056B2 (en) 2021-09-07
KR102527844B1 (ko) 2023-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7844B1 (ko) 전원 전압 생성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9934750B2 (en) Data driver,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driving display panel using the same
JP5334947B2 (ja) Dc−dcコンバータ及びその制御方法
US9837037B2 (en) Method of driving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KR102340326B1 (ko)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US11250762B2 (en) Display device
US9384690B2 (en) Organic EL display apparatus
JP2014073069A (ja) Dc−dc変換器制御回路と、それを用いた映像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KR102519427B1 (ko) 구동 제어부,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CN100440287C (zh) 用于对电致发光显示器进行灰阶伽马校正的方法和设备
US8289253B2 (en) Method of driving display device to control over-current, circuit of driving display device using the method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9165504B2 (en) Method of controlling a dimming operation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performing the same
KR20210034878A (ko) 전원 공급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US11030961B2 (en) DC to DC converter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10083671B2 (en) DC-DC converter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7612743B2 (en) Electron emission display (EED) with decreased signal distortion and method of driving EED
KR20200040355A (ko) 표시 장치, 표시 장치를 위한 전원 공급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JP6708417B2 (ja)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US8259140B2 (en) Method of controlling an image display apparatus
JP2011018012A (ja) 画像表示装置の制御方法
KR20200108226A (ko) 감마 전압 생성 회로, 이를 포함하는 소스 드라이버 및 표시 장치
KR20230168653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040028421A (ko) 디스플레이 소자 구동장치
JP2001249648A (ja) 液晶表示装置用駆動回路
KR20040039970A (ko) 디스플레이 소자 구동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