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8125A - 테더로 연결된 스터드 클립 - Google Patents

테더로 연결된 스터드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8125A
KR20200008125A KR1020197034975A KR20197034975A KR20200008125A KR 20200008125 A KR20200008125 A KR 20200008125A KR 1020197034975 A KR1020197034975 A KR 1020197034975A KR 20197034975 A KR20197034975 A KR 20197034975A KR 20200008125 A KR20200008125 A KR 202000081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ud
nut
wall
clip
flexible tet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4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9822B1 (ko
Inventor
스캇 엠. 리벨트
션 에이. 토마셀리
Original Assignee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08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8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9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98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4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 F16B37/041Releasable devices
    • F16B37/043Releasable devices with snap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F16B5/0607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 F16B5/0621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 F16B5/0664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at least one of the sheets or plates having integrally formed or integrally connected snap-in-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Abstract

스터드 클립은 패스너를 구성요소에 견고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스터드 클립은 제1 부분, 패스너의 일부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제2 부분, 및 제1 부분을 제2 부분에 일체로 연결하는 가요성 테더를 포함한다. 제1 부분은 가요성 테더를 통해 제2 부분에 대해 접힌 상태로 접혀지도록 구성된다. 스터드 클립은 접힌 상태와 제2 부분이 제1 부분으로부터 원위에 위치되는 연장 상태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다.

Description

테더로 연결된 스터드 클립
관련 출원
본 출원은 2017년 5월 18일자로 출원된 "테더로 연결된 스터드 클립(Tethered Stud Clip)"이라는 명칭의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507,861호와 관련되고 이를 우선권으로 주장하며, 상기 가특허 출원은 그 전체가 참고로 본 명세서에 통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일반적으로 스터드 볼트를 구성요소에 결합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것과 같은, 테더로 연결된 스터드 클립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구성요소를 서로 고정하는 데 패스너가 사용된다. 한 가지 유형의 패스너는 웰드 스터드(weld stud) 및 웰드 스터드에 고정되는 스터드 너트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도 1은 웰드 스터드(12)와 너트(14)를 포함하는 알려진 패스너 조립체(10)의 정면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16)과 너트(14)는 분리된 별개의 구성요소이다. 패널(16)과 너트(14)는 스터드 볼트(12) 상에 고정되는 서브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너트(14)와 패널(16) 각각은 개별적으로 성형 및 형성되는 분리된 개별 구성요소이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너트(14)와 패널(16)은 잘못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너트(14)와 패널(16)은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일부가 잘못 배치되거나 손실되는 등의 영향을 받지 않는 패스너 조립체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또한, 개인이 패스너 조립체를 완성하기 위해 분리된 별개의 구성요소를 찾아보고, 발견하며, 조작할 필요가 없는, 더 신속하고 용이한 설치를 가능하게 하는 패스너 조립체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이러한 요구를 염두에 두고,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는 패스너를 구성요소에 견고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된 스터드 클립을 제공한다. 스터드 클립은 제1 부분, 패스너의 일부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제2 부분, 및 제1 부분을 제2 부분에 일체로 연결하는 가요성 테더(flexible tether)를 포함한다. 제1 부분은 가요성 테더를 통해 제2 부분에 대해 접힌 상태로 접혀지도록 구성된다. 스터드 클립은 접힌 상태와, 제2 부분이 제1 부분으로부터 원위(原位)에 위치되는 연장 상태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다. 제1 부분, 제2 부분, 및 가요성 테더는 단일 부품으로서 일체로 성형되어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1 부분은 너트 리테이너이고 제2 부분은 패스너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너트이다. 너트 리테이너는 너트가 너트 리테이너 상에 접혀질 때 너트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제1 부분은 림과, 림의 내경으로부터 연장된 원주 벽(circumferential wall)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을 관통하여 중앙 개구가 형성된다. 원주 벽은 노치에 의해 분리된 아치형 세그먼트(arcuate segments)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부분은 원주 베이스 플랜지(base flange), 이 원주 베이스 플랜지의 제1 표면으로부터 연장된 제1 벽, 및 이 제1 벽 반대편의, 원주 베이스 플랜지의 제2 표면으로부터 연장된 제2 벽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벽, 원주 베이스 플랜지, 및 제2 벽 사이에서 이들을 통해 제2 부분을 관통하여 중앙 스터드 채널이 형성된다. 제2 부분은 또한 하나 이상의 내향의 스터드 계합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터드 계합 돌기는 내향의 리브(inwardly-directed ribs)로부터 이격된 내향의 방사상 벽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2 부분은 스터드 입구를 획정(劃定)하는 캡에 연결된 직립 빔(upstanding beam)과, 하우징에 의해 획정된 내부 챔버 내로 연장된 복수의 스터드 계합 돌기를 갖는 스터드 유지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스터드 계합 돌기들 중 하나 이상은 내향의 가요성 연장 암, 및 연장 암의 원위 단부(distal end)로부터 연장되는 나사형 확장 헤드(threaded expanded head)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테더는 제1 부분의 제1 외측 에지에 일체로 연결된 제1 단부와 제2 부분의 제2 외측 에지에 일체로 연결된 제2 단부를 갖는 본체를 포함한다.
제1 부분은 접힌 상태에서 제2 부분에 스냅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나사형 샤프트(threaded shaft)를 포함하는 패스너, 및 이 패스너를 구성요소에 견고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스터드 클립을 포함하는 패스너 조립체를 제공한다.
도 1은 스터드 볼트와 너트를 포함하는 알려진 패스너 조립체의 정면 분해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터드 클립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스너 조립체의 사시 단면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터드 클립의 평면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터드 클립의 측면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터드 클립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요소에 고정된 스터드 클립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요소에 고정된 패스너 조립체의 사시 단면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터드 클립의 내부 사시 단면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터드 클립의 내부 저면 사시 단면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테더가 단절 상태(disconnected state)에 있는, 구성요소에 고정된 스터드 클립의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터드 클립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터드 클립의 평면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3의 14-14 선을 통한 스터드 클립의 단면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스너 조립체를 통해 제2 구성요소에 고정된 제1 구성요소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구성요소에 고정된 스터드 클립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스너 조립체를 통해 제2 구성요소에 고정된 제1 구성요소의 단면도를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은 그 적용에 있어서 이하의 설명에 명시되거나 도면들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조 및 배치의 세부사항에 국한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도 가능하며 다양한 방식으로 실시되거나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어구 및 용어는 설명을 위한 것으로서,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됨을 이해해야 한다. "포함하는" 및 그 변형의 사용은 그 이전에 열거된 항목 및 그 등가물뿐만 아니라 추가의 항목 및 그 등가물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스터드와 같이, 패스너에 견고히 결합되도록 구성된 테더로 연결된 스터드 클립을 제공한다. 테더로 연결된 스터드 클립은 단일 부품으로 형성된다. 테더로 연결된 스터드 클립 각각은 구성요소 및 스터드에 견고히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터드 클립(100)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스터드 클립(100)은 단일 부품으로 일체로 성형 및 형성된다. 예를 들어, 스터드 클립(100)은 서로 연결된 스터드 클립(100)의 모든 부분을 형성하는 사출 성형 프로세스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스터드 클립(100)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
스터드 클립(100)은, 제1 부분(102)을 제2 부분(104)에 연결하는, 일체로 형성된 가요성 테더(106)를 통해 제2 부분(104)(예를 들면, 스터드에 결합되는 너트)에 일체로 연결된 제1 부분(102)(예를 들면, 너트 리테이너)을 포함한다. 표시된 바와 같이, 제1 부분(102)은 제2 부분(104)을 구속하거나 아니면 달리 유지하도록 구성된 너트 리테이너일 수 있으며, 제2 부분(104)은 스터드의 일부를 수용 및 유지하도록 구성된 너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너트 리테이너(102)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이 너트(104)가 너트 리테이너(102) 상에 접혀질 때 너트(104)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제1 부분(102)은 외측 환형 림(outer annular rim)(108)을 포함할 수 있다. 림(108)의 내경(112)으로부터 원주 벽(110)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쪽으로 연장된다. 제1 부분(102)을 관통하여 중앙 개구(114)가 획정된다. 예를 들어, 중앙 개구(114)는 원주 벽(110)의 내부 표면(116)에 의해 획정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분(102)은 전체적으로 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부분(102)의 외부 경계는 직사각형, 삼각형 등과 같은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제2 부분(104)은 원주 베이스 플랜지(118)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벽(120)이 원주 베이스 플랜지(118)의 제1 표면(122)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고, 제2 벽(124)이 제1 벽(120) 반대편의, 원주 베이스 플랜지(118)의 제2 표면(126)으로부터 연장된다. 제1 벽(120), 원주 베이스 플랜지(118), 및 제2 벽(124) 사이에서 이들을 통해서 제2 부분(104)을 관통하여 중앙 스터드 채널(128)이 형성된다. 하나 이상의 내향의(inwardly-directed) 스터드 계합 돌기(132)[예컨대, 바브(barbs), 리브(ribs), 암(arms) 등]가 제1 벽(120)으로부터 중앙 스터드 채널(128) 내로 내측으로 연장된다. 스터드 계합 돌기(132)는 스터드의 나사형 샤프트와 같은, 스터드의 일부에 견고하게 계합하도록 구성된다. 추가적인 스터드 계합 돌기(132)가 제2 벽(124)으로부터 중앙 스터드 채널(128) 내로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추가로 및/또는 선택적으로, 중앙 스터드 채널(128)을 획정하는 제2 부분(104)의 내벽 부분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스터드의 나사형 샤프트와 나사체결로 계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요성 테더(106)는, 림(108)의 외측 에지와 같은 제1 부분(102)의 외측 에지(138)에 일체로 연결되는 제1 단부(136)와, 원주 베이스 플랜지(118)의 외측 에지와 같은 제2 부분(104)의 외측 에지(142)에 일체로 연결되는 제2 단부(140)를 갖는 본체(134)를 갖는 스트랩, 빔 등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요성 테더(106)는 제1 부분(102)을 제2 부분(104)에 일체로 연결하며, 그에 따라 제1 부분(102)이 제2 부분(104)으로부터 분리될 가능성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하거나, 또는 달리 감소시킨다. 제2 부분(104)은 일체로 연결된 테더(106)를 통해 화살표 A의 방향으로 제1 부분(102) 상에 접히도록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스너 조립체(200)의 사시 단면도를 도시한다. 패스너 조립체(200)는 스터드(202)와 같은, 패스너에 결합된 스터드 클립(100)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부분(104)은 제2 부분(102)의 제1 벽(120)이 제1 부분(102)의 원주 벽(110)에 의해서 그리고 그 내부에서 축방향으로 구속되도록 제1 부분(102) 상에 접혀진다. 가요성 테더(106)는, 제2 부분(104)이 제1 부분(102) 상에 접히는 것을 허용하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치형 상태로 구부러지고 접혀진다. 스터드(202)는 제2 부분(104)의 중앙 스터드 채널(128) 내에 유지되는 나사형 샤프트(204)를 포함한다.
도 4는 스터드 클립(100)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스터드 클립(100)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스터드 클립(100)의 상부 사시도를 예시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터드 클립(100)은 제2 부분(104)이 제1 부분(102)으로부터 원위(原位)에 위치되는 접혀지지 않은, 연장 상태에 있다.
특히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터드 계합 돌기(132)는 내향 리브(132b)로부터 이격된 내향 방사상 벽 세그먼트(radial wall segments)(132a)를 포함할 수 있다. 벽 세그먼트(132a)와 리브(132b)는 중앙 스터드 채널(128)의 주위에 규칙적으로 이격될 수 있다. 벽 세그먼트(132a)는 도시된 것보다 더 크거나 더 작을 수 있다. 유사하게, 리브(132b)도 도시된 것보다 더 크거나 더 작을 수 있다. 선택적으로, 스터드 계합 돌기(132)는 벽 세그먼트(132a) 또는 리브(132a)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제2 부분(104)의 제1 벽(120)은 제1 부분(102)의 벽(11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다. 이와 같이, 제1 벽(120)은 제1 부분(102)의 중앙 개구(114) 내에 끼워질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벽(110)은, 공차(tolerance)를 증가시키고 [예컨대, 제1 벽(120)이 중앙 개구(114) 내로 이동될 때 등에] 융통성을 제공하기 위해 노치(110b)에 의해 분리된 아치형 세그먼트(110a)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더(106)는 제1 부분(102)의 림(108) 및 제2 부분(104)의 원주 베이스 플랜지(118)보다 얇을 수 있다(박형일 수 있음). 테더(106)의 얇은 두께는 유연성을 증가시킨다. 예를 들어, 원주 베이스 플랜지(118)와 림(108)은 테더(106)보다 더 강성이다. 테더(106)는 얇고, 가요성이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치형 상태로 접히도록 구성되는 한편, 림(108)과 베이스 플랜지(118)는 비교적 강성이며 안정된 형상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과 같은 구성요소(300)에 고정된 스터드 클립(100)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구성요소(300)는 제1 부분(102)의 벽(110)(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됨)과 제2 부분(104)의 제1 벽(120)이 삽입되는 개구(가려져 있어 보이지 않음)를 포함한다. 테더(106)는 구성요소(300)의 외측 에지(302) 주위로 접혀진다. 제1 부분이 구성요소(300)의 제1 측면(306)이 되는 한편, 제2 부분(104)이 구성요소(300)의 반대쪽 제2 측면(308)이 되도록, 제1 부분(102)은 가요성 테더(106)를 통해 제2 부분(104)에 대해 접혀진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요소(300)에 고정된 패스너 조립체(200)의 사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부분(104)이 구성요소(300) 상에 접혀짐에 따라, 제2 부분(104)은, 구성요소(300)를 관통하여 형성된 개구(320)를 통해서 제1 부분(102)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터드 클립(100)의 내부 사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스터드 클립(100)의 내부 저면 사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부분(104)은 제1 부분(102)에 스냅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부분(102)의 원주 벽(110)은, 제2 부분(104)의 제1 벽(120)의 편평한 레지(flat ledge)(164)에 걸려, 안전한 연결 인터페이스를 획정하는 무딘 에지(blunt edge)(162)에 연결된 경사형 도입 벽(ramped lead-in wall)(160)을 포함할 수 있다. 벽들(110 및 120) 모두는 제2 부분(104)의 벽(120)이 제1 부분(102)의 중앙 개구(114) 내로 가압됨에 따라 편향(deflection)을 허용하는 노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더(106)가 단절된 상태에 있는, 구성요소(300)에 고정된 스터드 클립(10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테더(106)는 단절 지점(400)과 같이, 제1 부분(102)과 제2 부분(104) 사이의 테더링 관계로부터 파단될 수 있다.
기재된 바와 같이, 테더(106)는 제1 부분(102)을 제2 부분(104)에 부착시킨다. 이와 같이, 테더(106)는 스터드 클립(100)이 단일 툴(tool) 또는 몰드(mold)를 통해 단일 부품으로서 일체로 형성 및 성형될 수 있게 한다. 테더(106)는 제1 부분(102)과 제2 부분(104)이 서로에 대해 접힌 상태로 안전한 연결 위치로 움직일 수 있게 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스터드 클립이 사용될 때 등에 테더(106)가 파단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터드 클립(100)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스터드 클립(100)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4는 도 13의 14-14 선을 통한 스터드 클립(10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스터드 클립(100)은, 제2 부분(104)에, 스터드 입구(506)를 획정하는 캡(504)에 연결된 직립 빔(upstanding beams)(502)을 포함하는 스터드 유지 하우징(500)이 포함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2 내지 도 11과 관련하여 설명된 스터드 클립과 유사하다. 복수의 스터드 계합 돌기(132)가 하우징(500)에 의해 획정된 내부 챔버(507) 내로 연장된다. 스터드 계합 돌기들(132) 중 하나 이상은 내향의 가요성 연장 암(508)과, 연장 암(508)의 원위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나사형 확장 헤드(510)를 포함할 수 있다. 나사형 확장 헤드(510)는 내부 챔버(507) 내로 통과하는 스터드의 나사면(threaded surface)을 편향시키고 이에 견고히 계합하도록 구성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스너 조립체(200)를 통해 제2 구성요소(602)에 고정된 제1 구성요소(600)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6은 제1 구성요소(600)에 고정된 스터드 클립(100)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7은 패스너 조립체(200)를 통해 제2 구성요소(602)에 고정된 제1 구성요소(60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나사형 스터드(202)는 제2 구성요소(602)로부터 하우징(500) 내로 연장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스터드 클립(100)은 와이어 케이블 채널 구조를 차량에 고정시키는 데 특히 적합하다. 전형적으로 연질 플라스틱으로 제작될 수 있는 케이블 채널은 후드 아래의 엔진 베이(engine bay), 카펫 및 내부 트림(internal trim) 아래의 플로어 팬(floor pan) 내부와 같은, 차량의 주요 영역에서 배선(wiring)을 경로 설정하고 보호한다. 채널은 전기 배선을 위한 보호용 가이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와이어 가이드가 차량에 용이하고, 효율적이면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하는 한편, 또한 서비스의 용이성을 허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스터드 클립(100)은 또한 개별 패스너를 유지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터드 클립(100)은 라우팅 클립, 테이프-온 패스너, 타이 스트랩 패스너 등을 유지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요성 테더에 의해 (너트와 같은) 제2 부분에 결합된 (리테이너와 같은) 제1 부분을 포함하는 스터드 클립을 제공한다. 스터드 클립은 사출 성형 플라스틱의 단일 부품과 같이, 단일 부품으로서 일체로 성형 및 성형될 수 있어서, 툴링(tooling) 비용을 감소시킨다. 테더는 너트와 리테이너가 구성요소 상에 및/또는 주위로 접혀져서, 서로 견고히 연결될 수 있게 한다.
상단, 하단, 하부, 중간, 측면, 수평, 수직, 전면 등과 같은 다양한 공간 및 방향성 용어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나, 이러한 용어는 단지 도면에 도시된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되었을 뿐임이 이해된다. 상부 부분이 하부 부분이 되고, 또한 그 반대로도 되며, 수평은 수직이 되는 등과 같이 되도록, 배향은 반전, 회전, 또는 달리 변경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의 변형 및 수정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 및 정의된 실시예는 명세서 및/또는 도면에 언급되거나 이로부터 자명한 개별 특징들의 둘 이상의 모든 다른 조합까지 확장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들 상이한 조합 모두는 본 발명의 다양한 다른 양태를 구성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해 알려진 최상의 모드를 설명하며,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를 이용할 수 있게 할 것이다. 청구범위는 종래 기술에 의해 허용되는 한도까지 다른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첨부된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범위에서, "포함하는" 및 "∼에서"라는 용어는 "포함하는" 및 "여기서"라는 각각의 용어와 일반적으로 등등한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범위에서, "제1", "제2" 및 "제3" 등의 용어는 단지 라벨로서 사용되며, 그 객체에 수치적 요건(numerical requirements)을 부과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또한, 다음의 청구범위의 한정은 수단 + 기능 형식으로 쓰여지지 않으며, 이러한 청구범위의 한정은 명시적으로 추가적인 구조가 없는 기능의 기술(記述)이 선행되는 "~하는 수단"이라는 문구가 사용되는 경우가 아니면, 35 U.S.C.§ 112(f)에 기초하여 해석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은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되어 있다.

Claims (20)

  1. 패스너를 구성요소에 견고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된 스터드 클립(stud clip)으로서,
    제1 부분;
    패스너의 일부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제2 부분;
    상기 제1 부분을 상기 제2 부분에 일체로 연결하는 가요성 테더(flexible tether)로서,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가요성 테더를 통해 상기 제2 부분에 대해 접힌 상태로 접혀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스터드 클립은 상기 접힌 상태와, 상기 제2 부분이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원위에 위치되는 연장 상태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는 것인 가요성 테더
    를 포함하는, 스터드 클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 상기 제2 부분, 및 상기 가요성 테더는 단일 부품으로서 일체로 성형되고 함께 형성되는 것인, 스터드 클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너트 리테이너(nut retainer)이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패스너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너트이며, 상기 너트 리테이너는, 상기 너트가 상기 너트 리테이너 상에 접혀질 때 상기 너트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스터드 클립.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림(rim);
    상기 림의 내경으로부터 연장된 원주 벽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을 관통하여 중앙 개구가 형성되는 것인, 스터드 클립.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 벽은 노치에 의해 분리된 아치형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것인, 스터드 클립.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은,
    원주 베이스 플랜지;
    상기 원주 베이스 플랜지의 제1 표면으로부터 연장된 제1 벽;
    상기 제1 벽 반대편의, 상기 원주 베이스 플랜지의 제2 표면으로부터 연장된 제2 벽으로서, 상기 제1 벽, 상기 원주 베이스 플랜지, 및 상기 제2 벽 사이에서 이들을 통하여 상기 제2 부분을 관통하게 중앙 스터드 채널이 형성되는 것인 제2 벽
    을 포함하는 것인, 스터드 클립.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은 하나 이상의 내향의 스터드 계합 돌기(stud-engaging protuberance)를 더 포함하는 것인, 스터드 클립.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 계합 돌기는 내향의 리브(rib)로부터 이격된 내향의 방사상 벽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것인, 스터드 클립.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은 스터드 유지 하우징(stud-retaining housing)을 포함하고,
    상기 스터드 유지 하우징은,
    스터드 입구를 획정하는 캡에 연결된 직립 빔(upstanding beam);
    상기 스터드 유지 하우징에 의해 획정된 내부 챔버 내로 연장된 복수의 스터드 계합 돌기로서, 이 스터드 계합 돌기들 중 하나 이상은 내향의 가요성 연장 암(extension arm)과 이 가요성 연장 암의 원위 단부로부터 연장된 나사형 확장 헤드(threaded expanded head)를 포함하는 것인 복수의 스터드 계합 돌기
    를 포함하는 것인, 스터드 클립.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테더는, 상기 제1 부분의 제1 외측 에지에 일체로 연결된 제1 단부, 및 상기 제2 부분의 제2 외측 에지에 일체로 연결된 제2 단부를 갖는 본체를 포함하는 것인, 스터드 클립.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접힌 상태에서 상기 제2 부분에 스냅식으로 고정(lock)되는 것인, 스터드 클립.
  12. 패스너 조립체로서,
    나사형 샤프트(threaded shaft)를 포함하는 패스너;
    상기 패스너를 구성요소에 견고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된 스터드 클립
    을 포함하며,
    상기 스터드 클립은,
    너트 리테이너;
    상기 패스너의 일부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너트;
    상기 너트 리테이너를 상기 너트에 일체로 연결하는 가요성 테더로서, 상기 너트 리테이너는 상기 가요성 테더를 통해 상기 너트에 대해 접힌 상태로 접혀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스터드 클립은 상기 접힌 상태와, 상기 너트가 상기 너트 리테이너로부터 원위에 위치되는 연장 상태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으며, 상기 너트 리테이너는, 상기 너트가 상기 너트 리테이너 상에 접혀질 때 상기 너트를 유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가요성 테더는, 상기 너트 리테이너의 제1 외측 에지에 일체로 연결된 제1 단부 및 상기 너트의 제2 외측 에지에 일체로 연결된 제2 단부를 갖는 본체를 포함하는 것인 가요성 테더
    를 포함하는 것인, 패스너 조립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 리테이너, 상기 너트, 및 상기 가요성 테더는 단일 부품으로서 일체로 성형되고 함께 형성되는 것인, 패스너 조립체.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 리테이너는,
    림;
    상기 림의 내경으로부터 연장된 원주 벽
    을 포함하고,
    상기 너트 리테이너를 관통하여 중앙 개구가 형성되는 것인, 패스너 조립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 벽은 노치에 의해 분리된 아치형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것인, 패스너 조립체.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는,
    원주 베이스 플랜지;
    상기 원주 베이스 플랜지의 제1 표면으로부터 연장된 제1 벽;
    상기 제1 벽 반대편의, 상기 원주 베이스 플랜지의 제2 표면으로부터 연장된 제2 벽으로서, 상기 제1 벽, 상기 원주 베이스 플랜지, 및 상기 제2 벽 사이에서 이들을 통하여 상기 너트를 관통하게 중앙 스터드 채널이 형성되는 것인 제2 벽
    을 포함하는 것인, 패스너 조립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는 하나 이상의 내향의 스터드 계합 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인, 패스너 조립체.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는 스터드 유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스터드 유지 하우징은,
    스터드 입구를 획정하는 캡에 연결된 직립 빔;
    상기 스터드 유지 하우징에 의해 획정된 내부 챔버 내로 연장된 복수의 스터드 계합 돌기로서, 상기 스터드 계합 돌기들 중 하나 이상은 내향의 가요성 연장 암과 이 가요성 연장 암의 원위 단부로부터 연장된 나사형 확장 헤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스터드 계합 돌기
    를 포함하는 것인, 패스너 조립체.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 리테이너는 상기 접힌 상태에서 상기 너트에 스냅식으로 고정되는 것인, 패스너 조립체.
  20. 패스너를 구성요소에 견고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된 스터드 클립으로서,
    림과 이 림의 내경으로부터 연장된 원주 벽을 포함하는 제1 부분으로서, 상기 제1 부분을 관통하여 중앙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원주 벽은 노치에 의해 분리된 아치형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것인 제1 부분;
    패스너의 일부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제2 부분으로서, 하나 이상의 내향의 스터드 계합 돌기를 포함하는 제2 부분;
    상기 제1 부분을 상기 제2 부분에 일체로 연결하는 가요성 테더로서,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가요성 테더를 통해 상기 제2 부분에 대해 접힌 상태로 접혀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스터드 클립은 상기 접힌 상태와, 상기 제2 부분이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원위에 위치되는 연장 상태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부분, 상기 제2 부분, 및 상기 가요성 테더는 단일 부품으로서 일체로 성형되고 함께 형성되며,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접힌 상태에서 상기 제2 부분에 스냅식으로 고정되고, 상기 가요성 테더는, 상기 제1 부분의 제1 외측 에지에 일체로 연결된 제1 단부 및 상기 제2 부분의 제2 외측 에지에 일체로 연결된 제2 단부를 갖는 본체를 포함하는 것인 가요성 테더
    를 포함하는, 스터드 클립.
KR1020197034975A 2017-05-18 2018-04-24 테더로 연결된 스터드 클립 KR1026298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07861P 2017-05-18 2017-05-18
US62/507,861 2017-05-18
PCT/US2018/028989 WO2018212939A1 (en) 2017-05-18 2018-04-24 Tethered stud cli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8125A true KR20200008125A (ko) 2020-01-23
KR102629822B1 KR102629822B1 (ko) 2024-01-25

Family

ID=62148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4975A KR102629822B1 (ko) 2017-05-18 2018-04-24 테더로 연결된 스터드 클립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125264B2 (ko)
KR (1) KR102629822B1 (ko)
CN (1) CN110621890B (ko)
BR (1) BR112019024104A2 (ko)
DE (1) DE112018002529T5 (ko)
WO (1) WO201821293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8603A (ko) * 2020-07-14 2022-01-21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스터드 클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15742B2 (en) * 2018-03-21 2021-05-25 A. Raymond Et Cie Cable fastening assembly and method for using same
USD891235S1 (en) 2019-01-10 2020-07-28 Illinois Tool Works Inc. Fastener
US11519441B2 (en) 2019-01-10 2022-12-06 Illinois Tool Works Inc. Tree fastener removal assemblies and methods therefo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212U (ja) * 1992-08-28 1994-03-29 株式会社ニフコ シート材の固定構造
JP2000192924A (ja) * 1998-12-28 2000-07-11 Piolax Inc トリム固定用クリップ
US6287064B1 (en) * 1999-12-10 2001-09-11 Western Sky Industries, Inc. Clip type fastener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65992A (en) * 1967-06-27 1969-09-09 Tinnerman Products Inc Fastening device
US3758060A (en) * 1971-10-20 1973-09-11 Fastway Fasteners Cable clamp or fastener
US4100368A (en) * 1977-01-07 1978-07-11 Weckesser Company, Inc. Captive standoff connector
US4219064A (en) * 1978-06-23 1980-08-26 Shur-Lok Corporation Non-marring clip nut
US4286642A (en) * 1979-04-09 1981-09-01 Barry Wright Corporation Isolation connection
US4376605A (en) * 1981-07-14 1983-03-15 Weckesser Co. Inc. Captive standoff bushing
US4869454A (en) * 1987-09-21 1989-09-26 Byrne Thomas W Grommet
DE9205186U1 (ko) * 1992-04-14 1992-06-17 Emhart Inc., Newark, Del., Us
GB2271143B (en) * 1992-08-28 1995-09-27 Nifco Inc Fixing device for sheet member
US5660513A (en) * 1995-07-19 1997-08-26 Illinois Tool Works Inc. Stud clip having different insertion/withdrawal forces
US5816762A (en) * 1996-07-09 1998-10-06 Illinois Tool Works Inc. Stud clip having different insertion/withdrawal forces
US6431585B1 (en) * 2000-10-05 2002-08-13 Lear Corporation Dual stage fastener
US7465135B2 (en) * 2003-11-14 2008-12-16 Maclean-Fogg Company U-Nut fastening assembly
DE102005012605B4 (de) * 2005-03-18 2007-07-05 A. Raymond Et Cie Vorrichtung zum Verbinden eines Befestigungsteiles mit einem Bauteil
DE102005045723B3 (de) * 2005-09-23 2007-05-03 A. Raymond Et Cie Befestigungsklammer
JP4850573B2 (ja) * 2006-04-24 2012-01-11 ポップリベット・ファスナー株式会社 アンダーカバー等の固定具及び取付装置
US8316514B2 (en) * 2007-09-21 2012-11-27 Newfry Llc Trim clip for trim for curtain side air bag
GB0804196D0 (en) * 2008-03-06 2008-04-16 Newfrey Llc Fastener for automotive components
CN102362083B (zh) * 2009-03-23 2015-04-08 伊利诺斯工具制品有限公司 螺栓保持架组件
DE102010024870A1 (de) * 2010-06-22 2011-12-22 Illinois Tool Works Inc. Vorrichtung zum Befestigen eines Bauteils an einem Befestigungsbolzen
DE102012022239A1 (de) * 2012-11-14 2014-05-15 Daimler Ag Bauteil zur Befestigung an einem Trägerbauteil eines Automobils
JP5907190B2 (ja) * 2014-01-29 2016-04-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ピラーガーニッシュ取付構造およびテザークリップ
US9835190B2 (en) * 2016-04-05 2017-12-0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tud clip insert for panel hole
US10197089B2 (en) * 2016-09-01 2019-02-05 Nifco America Corp. Clip and clip attaching structur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212U (ja) * 1992-08-28 1994-03-29 株式会社ニフコ シート材の固定構造
JP2000192924A (ja) * 1998-12-28 2000-07-11 Piolax Inc トリム固定用クリップ
US6287064B1 (en) * 1999-12-10 2001-09-11 Western Sky Industries, Inc. Clip type fastener assembl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8603A (ko) * 2020-07-14 2022-01-21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스터드 클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125264B2 (en) 2021-09-21
KR102629822B1 (ko) 2024-01-25
US20200200207A1 (en) 2020-06-25
CN110621890B (zh) 2022-05-17
DE112018002529T5 (de) 2020-04-09
WO2018212939A1 (en) 2018-11-22
BR112019024104A2 (pt) 2020-06-02
CN110621890A (zh) 2019-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08125A (ko) 테더로 연결된 스터드 클립
US9168878B2 (en) Roof ditch molding retainer assembly
US20100072735A1 (en) Fastener clip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9593701B2 (en) Fastening clip assembly
US8555469B2 (en) Clip
US20140068900A1 (en) Seat trim retention clip
US10302109B2 (en) Panel fastening system
US20180186305A1 (en) Service hole fastening clip assembly
JP6446741B2 (ja) 留め具及び締結構造
US10941806B2 (en) Washer for a fastening clip assembly
US9611878B2 (en) Tethered fastener
US9475525B2 (en) Arcuate clip assembly
US10215214B2 (en) Multi-engagement push clip assembly
US10281061B2 (en) Clip and clip arrangement
US8609222B2 (en) Vehicle interior component
US20110268927A1 (en) Fastening clip assembly
JP6131904B2 (ja) グロメット
JP4191083B2 (ja) ベルトクランプ
US10507771B2 (en) W-shaped winged spring clip
US20020125699A1 (en) Self-retaining automotive airbag plate
JP6203772B2 (ja) スクリューホール用キャップ
WO2016209357A1 (en) Fastening clip assembly
JPH09257019A (ja) シート部材の取付具
JP6162476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2009143467A (ja) ワイヤハーネス用プロテ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