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8603A - 스터드 클립 - Google Patents
스터드 클립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08603A KR20220008603A KR1020200086936A KR20200086936A KR20220008603A KR 20220008603 A KR20220008603 A KR 20220008603A KR 1020200086936 A KR1020200086936 A KR 1020200086936A KR 20200086936 A KR20200086936 A KR 20200086936A KR 20220008603 A KR20220008603 A KR 2022000860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hole
- stud
- hooks
- stud clip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2268 wool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 F16B21/07—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ocket has a resilient part
- F16B21/073—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ocket has a resilient part the socket having a resilient part on its insid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F16B5/0607—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 F16B5/0621—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 F16B5/0664—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at least one of the sheets or plates having integrally formed or integrally connected snap-in-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피고정물(인슐레이터 패드 등)에 결합할 경우, 피고정물의 결합부 주위가 울(우글쭈글해질) 우려가 없고, 탈부착이 용이한 스터드 클립을 개시한다.
실시예에 따른 스터드 클립은 내측에 제1 홀이 형성되고, 하면에 복수 개의 후크가 구비된 제1 플레이트 - 상기 복수 개의 후크는, 상기 제1 홀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됨 - ;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직 하방에 위치하되, 내측에 상기 제1 홀과 연통되는 제2 홀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후크에 의하여, 상기 제1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하면과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일측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힌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주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른 스터드 클립은 내측에 제1 홀이 형성되고, 하면에 복수 개의 후크가 구비된 제1 플레이트 - 상기 복수 개의 후크는, 상기 제1 홀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됨 - ;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직 하방에 위치하되, 내측에 상기 제1 홀과 연통되는 제2 홀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후크에 의하여, 상기 제1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하면과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일측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힌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주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개시(The Disclosure)는 차량의 내장재 등에 결합되는 스터드 클립과 관련된다.
차량의 내부에는 다양한 종류의 인슐레이터 패드(Insulator Pad)가 장착되고, 일부 인슐레이터 패드는 차체에 구비된 스터드와 결합된다.
통상 인슐레이터 패드는 그 재질 특성상 스터드와 직결될 수 없고, 인슐레이터 패드를 스터드와 결합하기 위해서는 스터드 클립이 필요하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34198호를 통하여, 스터드 클립의 일례를 확인할 수 있다.
피고정물(인슐레이터 패드 등)에 결합할 경우, 피고정물의 결합부 주위가 울(우글쭈글해질) 우려가 없고, 탈부착이 용이한 스터드 클립을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스터드 클립은 내측에 제1 홀이 형성되고, 하면에 복수 개의 후크가 구비된 제1 플레이트 - 상기 복수 개의 후크는, 상기 제1 홀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됨 - ;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직 하방에 위치하되, 내측에 상기 제1 홀과 연통되는 제2 홀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후크에 의하여, 상기 제1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하면과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일측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힌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주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후크 각각은 상기 제1 플레이트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2 플레이트의 두께보다 긴 길이를 갖는 보디부; 상기 보디부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리브부; 및 상기 보디부의 외측면 단부에 형성되는 윙부;를 포함할 수 있고, 이때 상기 제1 플레이트에는 상기 복수 개의 후크의 배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상기 제1 홀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의 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스터드 클립은 피고정물(인슐레이터 패드 등)에 결합할 경우, 피고정물의 결합부 주위가 울(우글쭈글해질) 우려가 없고, 탈부착이 용이하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스터드 클립을 원근 시점에서 본 모습을 나타낸다.
도 2는 피고정물에 결합된 실시예에 따른 스터드 클립을 원근 시점에서 본 모습을 나타낸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스터드 클립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4는 제1 플레이트의 슬릿에 막대가 삽입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2는 피고정물에 결합된 실시예에 따른 스터드 클립을 원근 시점에서 본 모습을 나타낸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스터드 클립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4는 제1 플레이트의 슬릿에 막대가 삽입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스터드 클립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스터드 클립(1)[이하 '스터드 클립(1)'이라 함]을 원근 시점에서 본 모습을 나타내고, 도 2는 피고정물(A)에 결합된 스터드 클립(1)을 원근 시점에서 본 모습을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터드 클립(1)은 제1 플레이트(100), 제2 플레이트(200) 및 힌지(300)를 포함한다.
제1 플레이트(100), 제2 플레이트(200) 및 힌지(300)는 합성수지 재질로 일체 사출성형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00)는 소정 면적을 갖는다. 제1 플레이트(100)는 특정 형태로 제한되지 않으며, 하나의 예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형태일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00)의 내측에는 스터드(B)를 수용하는 제1 홀(110)이 형성된다.
제1 플레이트(100)의 하면에는 제1 홀(110)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의 후크(120, 120', 120")가 구비된다. 복수 개의 후크(120, 120', 120")는 제1 플레이트(100)에 일체로 구성되고, 탄성력을 갖는다.
제2 플레이트(200)는 소정 면적을 갖고, 제1 플레이트(100)의 직 하방[도 1 (a) 기준]에 위치된다. 제2 플레이트(200)는 특정 형태로 제한되지 않으며, 하나의 예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플레이트(100)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는 사각 형태일 수 있다.
제2 플레이트(200)의 내측에는 제1 홀(110)과 연통되는 제2 홀(210)이 형성된다. 제2 홀(210)은 제1 홀(110)과 중심축이 일치하고, 제2 홀(210)의 지름은 제1 홀(110)의 지름과 동일하거나 조금 더 크다. 제2 플레이트(200)의 상면에는 복수 개의 주름으로 이루어진 주름부(220)가 형성된다. 주름부(220)는 피고정물(A)이 밀리는 것을 방지하여, 피고정물(A)의 결합부 주위가 울지 않도록 한다.
힌지(300)는 제1 플레이트(100)의 하면과 제2 플레이트(200)의 일측 가장자리를 연결한다. 힌지(300)가 접혀지면, 제1 플레이트(100)의 하면과 제2 플레이트(200)의 상면이 맞닿는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1 플레이트(100)와 제2 플레이트(200) 사이에는 피고정물(A)이 위치되고, 제2 플레이트(200)는 복수 개의 후크(120, 120', 120")에 의하여, 제1 플레이트(100)에 고정된다.
후크(120)는 보디부(121), 리브부(122) 및 윙부(123)로 구성될 수 있다.
보디부(121)는 제1 플레이트(100)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제2 플레이트(200)의 두께보다 긴 길이를 갖는다. 보디부(121)는 소정 폭과 소정 높이를 갖되, 일정 곡률로 휘어진 벽과 같은 형태일 수 있다. 힌지(300)가 접혀진 상태에서 보디부(121)는 제2 홀(210)의 내부 가장자리에 위치된다.
리브부(122)는 보디부(121)의 내측면[제2 홀(210)의 중심축과 마주하는 면]에 형성되어, 스터드(B)를 가압하는 기능을 한다. 리브부(122)는 보디부(121)의 상부 영역에서 제2 홀(210)의 중심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 제1 가지(122a)와, 제2 가지(122a)의 단부에서 수직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 제2 가지(122b)로 구성될 수 있다.
윙부(123)는 보디부(121)의 하단부 외측면에 형성된다. 힌지(300)가 접혀진 상태에서, 윙부(123)는 제2 플레이트(200)의 하면과 체결되어, 제2 플레이트(200)를 잠그는 기능을 한다.
한편 후크(120)는 리브부(122)가 스터드(B)와 맞닿으면[제1 홀(110)에 스터드(B)가 삽입되면], 보디부(121)가 꺽여지면서, 윙부(123)가 제2 홀(210)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스터드 클립(1)이 스터드(B)와 결합될 때, 제1 플레이트(100)와 제2 플레이트(200)의 체결 강도가 자연스럽게 증대된다. 계속해서 제2 플레이트(200)의 하면에는 함몰부(230)가 더 형성될 수 있고, 함몰부(230)는 제2 홀(210)의 둘레에 형성되어, 윙부(123)의 이동 영역을 제한하는 기능(스토퍼 기능)을 한다.
또 한편 제1 홀(110)의 둘레 해당하는 제1 플레이트(100)의 내측 영역에는 복수 개의 슬릿(130, 130', 130")이 복수 개의 후크(120, 120', 120")와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슬릿(130)은 후크(120)의 보디부(121) 배후에 소정 공간을 제공하고, 제1 홀(110)[제2 홀(210)]에 스터드(B)가 삽입될 때, 후크(120)의 보디부(121)가 자연스럽게 꺽여지도록 돕는다.
도 4는 제1 플레이트(100)의 슬릿(130)에 막대(C)가 삽입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4를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플레이트(100)에 복수 개의 슬릿(130, 130', 130")이 형성되면, 스터드 클립(1)의 제1 플레이트(100)와 제2 플레이트(200)를 막대(C)를 이용하여 분리할 수 있다.
본 개시(The Disclosure)의 실시예를 설명할 때 사용된 각종 표현(용어, 시각화된 이미지 등)들은 기술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한 도구적인 목적에 의해 선택된 것에 불과하다.
또한 여건상 본 개시는 제한된 수의 실시예에 의하여 설명되었고, 당업자(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는 설명된 실시예를 바탕으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새로운 실시예들을 창안해 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청구범위는 '발명의 설명' 및 '도면'에 나타난 일부 표현에 의하여 제한되어선 안되고, 명세서의 전반에 내재된 근본적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폭넓게 해석되어야 함이 마땅하다.
1... 스터드 클립
--
100... 제1 플레이트
110... 제1 홀
120, 120', 120"... 후크
121... 보디부
122... 리브부
122a... 제1 가지
122b... 제2 가지
123... 윙부
130, 130', 130"... 슬릿
--
200... 제2 플레이트
210... 제2 홀
220... 주름부
230... 함몰부
--
300... 힌지
--
A... 피고정물 / B... 스터드 / C... 막대
--
100... 제1 플레이트
110... 제1 홀
120, 120', 120"... 후크
121... 보디부
122... 리브부
122a... 제1 가지
122b... 제2 가지
123... 윙부
130, 130', 130"... 슬릿
--
200... 제2 플레이트
210... 제2 홀
220... 주름부
230... 함몰부
--
300... 힌지
--
A... 피고정물 / B... 스터드 / C... 막대
Claims (3)
- 피고정물에 결합되어, 피고정물을 스터드에 고정시키는 스터드 클립에 있어서,
내측에 제1 홀이 형성되고, 하면에 복수 개의 후크가 구비된 제1 플레이트 - 상기 복수 개의 후크는, 상기 제1 홀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됨 - ;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직 하방에 위치하되, 내측에 상기 제1 홀과 연통되는 제2 홀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후크에 의하여, 상기 제1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하면과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일측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힌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주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터드 클립.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후크 각각은,
상기 제1 플레이트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2 플레이트의 두께보다 긴 길이를 갖는 보디부;
상기 보디부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스터드를 가압하는 리브부; 및
상기 보디부의 외측면 단부에 형성되는 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터드 클립.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에는 상기 복수 개의 후크의 배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상기 제1 홀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의 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터드 클립.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86936A KR102403542B1 (ko) | 2020-07-14 | 2020-07-14 | 스터드 클립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86936A KR102403542B1 (ko) | 2020-07-14 | 2020-07-14 | 스터드 클립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08603A true KR20220008603A (ko) | 2022-01-21 |
KR102403542B1 KR102403542B1 (ko) | 2022-05-31 |
Family
ID=80050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86936A KR102403542B1 (ko) | 2020-07-14 | 2020-07-14 | 스터드 클립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03542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08125A (ko) * | 2017-05-18 | 2020-01-23 |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 테더로 연결된 스터드 클립 |
-
2020
- 2020-07-14 KR KR1020200086936A patent/KR10240354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08125A (ko) * | 2017-05-18 | 2020-01-23 |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 테더로 연결된 스터드 클립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03542B1 (ko) | 2022-05-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888375B1 (en) | Automobile cable/conduit retainer | |
EP2749778B1 (en) | Clip | |
RU2495285C2 (ru) | Крепежный элемент с выступом, подкрепленным ребром жесткости | |
CN111140574A (zh) | 紧固件反馈特征 | |
US20050217083A1 (en) | Clip and airbag body installation structure | |
JP2010159843A (ja) | ボルト用クリップ | |
KR20100045994A (ko) | 플라스틱 물질로 된 일체형 클립 | |
JPH07310708A (ja) | 長尺物用ファスナー | |
KR102403542B1 (ko) | 스터드 클립 | |
JP2002227809A (ja) | トリムボード等の取付部材を車体等の被取付部材に固定するクリップ | |
CN105659455A (zh) | 向波纹管的带夹安装构造 | |
JP5794962B2 (ja) | グロメット | |
US10472000B2 (en) | Carpet supporting member mounting structure | |
US3413690A (en) | Fastener stud for assembly in an apertured support | |
JP6088231B2 (ja) | ホールプラグ | |
JPH0134252Y2 (ko) | ||
JP6687576B2 (ja) | グロメット | |
JPH11230134A (ja) | フック止め具 | |
KR102529731B1 (ko) | 체결형 그로멧 | |
JP4441956B2 (ja) | 車両用内装材の取付け構造 | |
JPH0444884Y2 (ko) | ||
JP4094207B2 (ja) | クリップ | |
JP5785691B2 (ja) | 線材引出し構造及び線材引出し口キャップ | |
KR102284301B1 (ko) | 와이어링 고정클립 | |
JP2018050391A (ja) | ハーネス固定用クリップ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