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7590A -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7590A
KR20200007590A KR1020180081872A KR20180081872A KR20200007590A KR 20200007590 A KR20200007590 A KR 20200007590A KR 1020180081872 A KR1020180081872 A KR 1020180081872A KR 20180081872 A KR20180081872 A KR 20180081872A KR 20200007590 A KR20200007590 A KR 202000075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refrigerator
door
user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1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9201B1 (ko
Inventor
윤현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81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9201B1/ko
Priority to PCT/KR2019/008490 priority patent/WO2020013599A1/ko
Priority to US17/253,986 priority patent/US20210270519A1/en
Priority to EP19834314.7A priority patent/EP3822566A4/en
Publication of KR20200007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7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9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9201B1/ko
Priority to US18/378,308 priority patent/US20240035739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600/00Control issues
    • F25D2600/02Tim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4Sensors detecting the presence of a pers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04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based on a displacement or a deformation of a fluid
    • G02B26/005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based on a displacement or a deformation of a fluid based on electrowet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저장실이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와, 상기 본체의 일 지점에 배치되며 상기 냉장고 주변의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는 제1 센서와, 상기 도어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선택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제2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센서가 상기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없도록 상기 제2 센서를 비활성 상태로 유지하는 센싱부 및, 상기 제1 센서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제2 센서가 상기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도록 상기 센싱부를 제어하며, 상기 제2 센서가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제2 센서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도어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 등으로 이루어지는 냉동 사이클에 의해 생성된 냉기를 토출하여 고내의 온도를 저하시켜 음식물 등을 냉동시키거나 냉장 보관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의 도어는 불투명하게 제작되어 본체의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도어는 사용자가 냉장실이나 냉동실에 접근하기 위하여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어를 열기 전에는 냉장고에 저장된 음식물의 종류와 위치 등을 파악할 수 없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처럼 냉장고의 도어가 불투명하게 제작되는 경우, 사용자는 냉장고의 도어를 열지 않고서는 고내에 저장된 음식물을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현재는 도어의 적어도 일부가, 노크와 같은 두드림 또는 터치와 같은 기 설정된 입력에 따라 빛의 투과가 불가능한 불투명 상태에서 빛의 투과가 가능한 투명 상태로 전환되는 노크 온(Knock On) 기능을 구비하는 냉장고가 등장하였다. 이러한 노크 온 기능을 통해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도어의 상태를 투명하게 전환함으로써 도어를 열지 않고서도 저장된 음식물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이처럼 단순히 기 설정된 입력을 감지하여 도어의 상태를 전환하는 경우, 오작동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도어에 감지되는 진동 또는 터치를 감지하여 상기 도어의 상태를 전환하는 경우, 상기 진동을 유발하는 저주파 음향이나 도어에 가해지는 단순한 충격에 의해서도 상기 노크 온 기능에 따른 도어 상태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도어를 두드리는 음향 신호를 감지하여 도어의 상태를 전환하는 경우, 사용자의 의도에 따르지 않은 물리적 충격에 의한 소음으로 상기 노크 온 기능에 따른 도어 상태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노크 온 기능의 오작동이 자주 발생하는 경우, 제품 및 기능에 대한 사용자의 불신 및 불만이 야기될 수 있다. 또한 도어의 상태 전환이 이루어질 때에 냉장고 내의 조명이 발광되므로, 상기 도어의 상태 전환 및 조명의 발광에 따른 불필요한 전력이 소비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상기 노크온 기능의 오작동 가능성이 낮은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노크온 기능의 오작동 가능성을 크게 낮춤으로써,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전력이 보다 적은 냉장고 및 그 냉장고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이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와, 상기 본체의 일 지점에 배치되며 상기 냉장고 주변의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는 제1 센서와, 상기 도어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선택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제2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센서가 상기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없도록 상기 제2 센서를 비활성 상태로 유지하는 센싱부 및, 상기 제1 센서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제2 센서가 상기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도록 상기 센싱부를 제어하며, 상기 제2 센서가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제2 센서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도어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센서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상기 제2 센서가 상기 비활성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센싱부를 제어하며, 상기 제1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제2 센서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제2 센서가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도록 상기 센싱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센서를 항상 활성화 상태로 유지하여, 상기 제1 센서가 상기 냉장고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를 항상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센싱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는, 기 설정된 높이 이상의 높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는, 노크 온(Knock On) 기능을 선택받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에 형성되는 터치 센서 또는 상기 도어 주변에 배치된 마이크임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는, 자동 도어(Auto door) 기능을 선택받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이며, 상기 냉장고가 설치된 저면 근처에 배치되며, 상기 냉장고 주변에 근접한 사용자의 신체를 감지할 수 있는 근접 센서임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접 센서가 활성화되는 경우, 기 설정된 지시자를 통해 상기 근접 센서가 활성화된 상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활성화 상태로 전환된 제2 센서를 통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센서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제2 센서가 다시 비활성 상태로 전환되도록 상기 센싱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센서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도어에 관련된 복수의 기능 중 제1 기능을 선택받기 위한 제1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어느 하나의 제2 센서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활성화 상태로 전환된 제2 센서를 통해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제1 기능을 실행함과 동시에, 상기 활성화된 어느 하나의 제2 센서와 다른 또 하나의 제2 센서를 더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활성화 상태로 전환된 또 하나의 제2 센서를 통해 상기 도어에 관련된 복수의 기능 중 제2 기능을 선택받기 위한 제2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일부가 상기 도어 외부에서 상기 저장실의 내부가 보이지 않는 불투명한 상태에서, 상기 저장실의 내부가 보이는 투명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기능은, 상기 도어가 불투명한 상태에서 투명한 상태로의 전환을 포함하는 노크 온 기능이고, 상기 제2 기능은, 상기 도어가 자동으로 오픈되는 자동 도어 기능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냉장고 주변의 사용자를 감지하는 제1 센서 및, 비활성 상태로 유지되며,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에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제2 센서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가, 상기 냉장고 주변의 사용자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센서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제2 센서를 상기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와, 상기 활성화된 제2 센서가,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2 센서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냉장고의 도어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활성화된 제2 센서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의 입력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센서의 감지 결과를 다시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센서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제2 센서를 활성화 상태에서 비활성화 상태로 복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비활성 상태의 노크 온 센서 및 자동 도어 센서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활성화 상태에 있는 인체 감지 센서가 상기 냉장고 주변의 사용자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비활성 상태의 노크 온 센서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와, 상기 활성화 상태로 전환된 노크 온 센서를 통해 상기 냉장고의 도어에 인가되는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도어에 대해 인가되는 사용자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노크 온 기능을 실행함과 동시에, 상기 비활성 상태의 자동 도어 센서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와, 상기 자동 도어 센서의 활성화 상태를 표시 및, 상기 활성화된 자동 도어 센서로부터 상기 냉장고에서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근접한 사용자의 신체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자동 도어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자동 도어 기능을 실행하여 상기 냉장고의 도어를 오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인체 감지 센서는, 항상 활성화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자동 도어 센서가 배치된 높이 보다 더 높은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냉장고가 설치된 저면으로부터 기 설정된 높이 이상의 높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및 그 냉장고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은 냉장고가 설치된 저면으로부터 기 설정된 높이에 배치된 인체 감지 센서에서 인체가 감지될 때에 노크 온 기능을 위한 센서가 활성화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노크 온 기능이 오작동할 가능성을 크게 낮출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은 노크 온 기능의 오작동 가능성을 크게 낮춤으로써, 상기 노크 온 기능의 오작동으로 인한 불필요한 전력의 소비를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은 냉장고가 설치된 저면으로부터 기 설정된 높이에 배치된 인체감치센서에서 인체가 감지될 때에 냉장고의 다른 기능에 관련된 센서가 활성화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냉장고의 기능이 실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b 및 1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를 도시한 예시도들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에 구비되는 도어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에서 인체감지 센서에 의해 노크온 기능이 제어되는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에서 구비된 인체감지 센서의 예를 도시한 예시도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에서 인체감지 센서에 의해 자동 도어 기능이 제어되는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에서 인체감지 센서에 의해 노크 온 기능 및 노크 온 기능에 연계되는 자동 도어 기능이 제어되는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도시한 연계 동작 기능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가 동작하는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우선 도 1a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냉장고(1)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상기 냉장고(1)는 제어부(100) 및 상기 제어부(100)와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100)에 의해 제어되는 전원부(110), 도어부(120), 조명부(130), 저장부(140), 메모리(150) 및 센싱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냉장고(1)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냉장고(1)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전원부(110)는 제어부(100)의 제어 하에,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아 냉장고(1)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도어부(12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 내부에 구비되는 저장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냉장고(1) 본체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도어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복수의 도어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형성하여 도어에 대해 인가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복수의 도어는 음향 센서를 구비하여 도어를 두드리는 사용자의 노크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도어는 적어도 일부가 완전 불투명 상태에서 투명 상태까지 투명도의 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감지되는 사용자의 입력과 관련하여 상기 투명도의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복수의 도어는 사용자의 입력이 감지되면, 사용자의 입력이 감지된 도어의 투명도를 조절(이하 노크 온(Knock On) 기능)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입력이 감지된 도어가 자동으로 열리도록(이하 자동 도어(Auto door) 기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조명부(130)는 상기 냉장고(1)의 저장실 내부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조명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명은, 상기 저장실이 복수의 저장 영역으로 구분되는 경우 각각의 저장 영역에 적어도 하나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구분된 저장 영역에 대응하는 도어의 오픈 여부에 따라 발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냉장고(1)의 도어가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경우, 투명도가 조절된 도어의 상태에 따라 발광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저장부(140)는 음식물이 보관되는 저장실 및 상기 저장실 내부에 기 설정된 냉동 사이클에 따른 냉기를 토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40)는 상기 토출되는 냉기로 냉장고(1) 내의 온도를 저하시켜 저장실 내에 저장된 음식물 등을 냉동시키거나 냉장 보관할 수 있다.
한편 센싱부(160)는 냉장고(1) 내 정보, 냉장고(1)를 둘러싼 주변 환경을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의 센싱부(160)는 냉장고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인체 감지 센서(162)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냉장고(1)의 다양한 기능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일 예로 센싱부(160)는, 상기 냉장고(1)의 다양한 기능과 관련된 센서로서, 노크 온 기능과 관련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60)는 터치 센서 또는 마이크로폰(microphone, 이하 마이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터치 센서는 각각의 도어와 상호 레이어를 형성하여 각 도어에 대해 인가되는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마이크로폰은 도어를 일정한 패턴으로 두드릴 때에 발생하는 음향 신호를 감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어부(100)는 감지된 음향 신호의 패턴으로부터, 상기 두드림이 상기 도어에 대해 인가되는 사용자의 입력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상기 터치 센서 또는 마이크로부터 사용자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그에 대한 응답으로 노크 온 기능이 수행되도록 도어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상기 노크 온 기능과 관련된 센서를 노크 온 센서(164)라고 칭하기로 한다.
또한 센싱부(160)는, 상기 냉장고(1)의 다양한 기능과 관련된 센서로서, 자동 도어 기능과 관련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60)는 냉장고(1)에 근접한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는 근접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근접 센서는 근접한 사용자의 신체를 감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상기 근접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냉장고(1)의 복수의 도어 중 적어도 하나가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자동 도어 기능). 이하 상기 근접 센서와 같이 자동 도어와 관련된 센서를 자동 도어 센서(166)라고 칭하기로 한다.
또한, 메모리(150)는 냉장고(1)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50)는 냉장고(1)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냉장고(1)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냉장고(1)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각 저장 영역 별 온도 관리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냉장고(1)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00)는 냉장고(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0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5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a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0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냉장고(1)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연결된 각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00)는 상기 인체 감지 센서(162)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냉장고(1)의 도어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선택받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센서의 활성화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냉장고(1)의 도어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은, 도어에 대해 인가되는 노크 등의 두드림 또는 터치와 같은 기 설정된 입력에 따라 빛의 투과가 불가능한 불투명 상태에서 빛의 투과가 가능한 투명 상태로 도어의 상태가 전환되는 노크 온(Knock On) 기능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장고(1) 도어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은 냉장고(1)에 근접한 사용자 신체에 근거하여 상기 냉장고(1) 도어를 자동으로 오픈시키는 자동 도어 기능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00)는 상기 인체 감지 센서(162)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노크 온 센서(164), 그리고 자동 도어 센서(166)의 활성화 상태를 각각 제어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냉장고(1) 도어에 관련된 기능을 상기 노크 온 기능 또는 자동 도어 기능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먼저 제어부(100)는, 인체 감지 센서(162)는 항상 활성화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센싱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반면 상기 노크 온 센서(164) 및 자동 도어 센서(166)는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활성화된 상태로, 또는 활성화된 상태에서 비활성화된 상태로 전환되도록 센싱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가 활성화된 상태'는 것은, 센서가 기 설정된 자극이 인가될 때에 이를 감지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센서에 전원이 공급됨으로써, 터치 또는 음향 신호를 감지(터치 센서 또는 마이크)할 수 있는 상태가 되거나, 근접한 사용자의 신체를 감지(근접 센서)할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반면 '센서가 비활성화된 상태'라는 것은, 센서에 동작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와 같이, 기 설정된 자극이 인가되는 경우에도 센서가 이를 감지하지 못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00)는 인체 감지 센서(162)는 항상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인체 감지 센서(162)가 항상 활성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반면 제어부(100)는 상기 노크 온 센서(164) 또는 자동 도어 센서(166)는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이 충족될 때에 상기 노크 온 센서(164) 또는 자동 도어 센서(166)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활성화된 상태로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1b 및 도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냉장고(1)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는 내부에 저장실을 포함하는 본체(200)와, 상기 저장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200)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어들 중 어느 하나의 도어(210)는, 투명도 조절을 통해 완전 불투명 상태에서 투명 상태까지 투명도 조절이 가능한 도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210)는 상기 도어(210)를 일정한 패턴으로 두드리는 노크를 감지하기 위한 마이크를 구비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도어(210)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도어(210)의 적어도 일부는 문자, 이미지 또는 동영상 등 다양한 화상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한 투명 디스플레이 영역(201)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210)에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이 인가되는 경우, 제어부(100)는 이러한 터치 입력을 상기 도어(210)의 상태를 투명한 상태 또는 불투명한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입력으로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 설정된 터치 입력이란 상기 도어(210)에 인가되는 터치 입력 또는 기 설정된 패턴으로 인가되는 복수의 두드림일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00)는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이 상기 도어(210)에 대해 인가되면 상기 도어(210)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즉, 도 1b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도어(210)가, 대응되는 저장 공간에 저장된 음식물이 식별 불가능하게 불투명한 상태라면, 제어부(100)는 도 1c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도어(210)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저장된 음식물의 식별이 가능한 투명한 상태로 전환되도록, 상기 도어(2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와 반대로 상기 도어(210)가 투명하게 표시되는 상태라면, 제어부(100)는 상기 기 설정된 사용자의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도어(210)가 불투명한 상태로 전환되도록 상기 도어(210)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1b 내지 도 1c에서는 냉장고(1)에 형성된 도어들 중 어느 하나의 적어도 일부가 투명한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상기 냉장고(1)에 형성된 도어들 각각이, 적어도 일부가 투명한 상태로 전환되도록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d는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의 예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도 1d에서 보이고 있는 것처럼, 본체(200)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도어(210, 220, 230, 240)를 포함하여 냉장고(1)가 형성되는 경우, 각각의 도어(210, 220, 230, 240)는 각각 적어도 일부가 투명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도어(210, 220, 230, 240)는 각각 별개로 제어되는 투명 디스플레이 영역들(201, 221, 231, 241)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00)는 각각의 도어(210, 220, 230, 240)를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00)는 도 1b에서 보이고 있는 도어(210)와 같이, 각 도어들(220, 230, 240)을 투명한 상태 또는 불투명한 상태로 전환되도록 각각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각 도어들(210, 220, 230, 240)에 대응되는 저장 공간의 음식물들과 관련한 다양한 기능들이 수행되도록 상기 각 도어들(210, 220, 230, 240)에 대응되는 저장 공간들을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의 도어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및 제2 강화유리층 사이에 적층되는 고분자 분산형 액정(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PDLC)층으로 구성되어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투명한 상태 및 불투명한 상태가 전환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에 구비되는 도어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들로서, 상기 PLDC 층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2a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제1 전극(211b)과 제2 전극(212b)에 특정 전압(V3)을 인가하였을 때에는 세 개의 광(210a, 210b, 210c) 전부가 반사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전극기판(212a)이 평탄하게 구현되는 경우 상기 도어(210)는 거울처럼 보여질 수 있다. 특히, 전기장 의존층(217)이 광결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도어(210)는 보다 높은 반사율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전기장 의존층(217)은 전기장 의존성 물질이 각 셀에 충전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기장 의존층(217)에 충전되는 전기장 의존성 물질은, 제1 전극(211b)과 제2 전극(212b) 사이에 형성된 전기장에 의해 그 특성이 변화하는 물질로서 액정(Liquid crystal) 물질, 형광 물질, 광결정(photonic crystal) 물질, 전기영동(electrophoresis) 물질 및 전기 습윤(electrowetting) 물질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전기영동 물질은 전기영동 현상을 나타내는 물질을 의미하고, 전기 습윤 물질은 전기 습윤 현상을 나타내는 물질을 의미하며, 광전 변색 물질은 광전 변색 현상을 나타내는 물질을 의미할 수 있다. 몇 가지 전기장 의존성 물질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면, 광결정이란 공간적으로 반복되는 미세한 구조체의 규칙적 배열에 의해 광밴드갭(photonic band gap)이 형성되어 외부 입사 광 중 특정 파장만 반사되는 구조로서, 광결정에 의해 발현되는 색상을 구조색(structure color)이라고 한다.
광밴드갭의 형성은 광결정을 구성하는 입자의 크기, 간격, 굴절률 차이 등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전기장의 세기나 방향을 조절하여 광결정의 특성을 변화시키면 발현되는 색을 조절할 수 있다.
전기영동 현상은 대전된 입자들이 두 개의 전극 사이에 형성된 전기장에 의해 이동하는 현상이다. 고저항을 가지면서 점성이 낮은 유체에 색을 갖는 대전된 입자를 분산시키고 두 개의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면 대전된 입자가 이동하면서 색을 표시할 수 있다.
전기 습윤 방식의 디스플레이는 전도성 유체(물)와 비전도성 유체(기름)가 섞이지 않는 원리를 채용한 것으로서, 외부에서 전압을 인가하여 전도성 유체의 표면 장력을 제어하면 전도성 유체의 접촉각과 두 유체의 계면의 형상이 변화되면서 반사되는 광의 파장이 달라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의 설명에서는, 상기 전기장 의존성 물질 중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그러나 설명의 편의상 이하의 설명에서는 우수한 광 투과율을 구현할 수 있는 액정 물질 중 콜레스테릭 액정 물질을 사용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도 2b는 호메오트로픽 상태의 액정 배열을 나타낸다. 호메오트로픽 상태의 액정은 나선 구조가 풀어져(untwisted) 액정 분자들이 전기장 방향으로 배열된 상태를 의미한다. 이러한 호메오트로픽 상태의 액정 분자들의 배열은, 제1 전극(211b)과 제2 전극(212b)의 사이에 고전기장이 형성됐을 때의 배열이며, 광을 투과시키는 특성을 갖는다. 이에 따라 도 2b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입사되는 광이 그대로 투과되며, 상기 도어(210)는 투명하게 보여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상기 도어(210)를 통해 냉장고(1) 내에 저장된 음식물들을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2c는 플래너 상태의 액정 배열을 나타낸다. 플래너 상태는 콜레스테릭 액정의 나선축이 기판, 예컨대, 제1전극기판(211a)과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열된 상태를 의미한다. 플래너 상태의 액정층(217)은호메오트로픽 상태의 액정에 인가된 고전기장을 급격하게 낮추었을 때 형성되는 배열이며, 콜레스테릭 액정이 플래너 상태에 있을 때에는 입사되는 광 중 특정 파장의 광을 반사시킬 수 있다.
이 때, 특정 파장은 콜레스테릭 액정의 나선 구조에서 나선 피치(helical pitch)에 따라 결정된다. 즉, 나선 피치를 조절하면 반사되는 광의 파장을 결정할 수 있으므로, 콜레스테릭 액정의 나선 피치를 조절하여 반사되는 색상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컬러 필터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원하는 색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d는 포컬 코닉 상태의 액정 배열을 나타낸다. 포컬 코닉 상태는 콜레스테릭 액정의 나선축이 제1 전극기판(211a)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포컬 코닉 상태의 액정 구조는 호메오트로픽 상태의 액정에 인가된 고전기장을 천천히 낮추었을 때 형성되는 배열이며, 광을 산란 또는 난반사시키는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액정이 포컬 코닉 상태일 경우 도어(210)는 불투명 상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래너 상태의 콜레스테릭 액정에 전기장을 인가하면 제1 전극기판(211a)에 수직이었던 나선축이 제1 전극기판(211a)과 평행한 상태로 변화하여 포컬 코닉 상태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콜레스테릭 액정에 인가되는 전기장은 10-20V일 수 있다.
포컬 코닉 상태의 콜레스테릭 액정에 더 큰 전기장을 인가하는 경우, 나선 구조가 풀어져(untwisted) 액정 분자들이 전기장 방향으로 배열되는 호메오트로픽 상태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콜레스테릭 액정에 인가되는 전기장은 30-50V일 수 있다. 그리고 호메오트로픽 상태에서 전기장을 서서히 제거하면 포컬 코닉 상태로 되돌아 갈 수 있고, 전기장을 급격히 제거하면 플래너 상태가 될 수 있다.
한편, 포컬 코닉 상태의 콜레스테릭 액정을 플래너 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콜레스테릭 액정에 더 큰 전기장을 인가하여 호메오트로픽 상태로 만든 후에, 전기장을 급격하게 제거하는 두 단계를 거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00)는 사용자가 기 설정된 입력을 인가하는 경우, 제1 전극(211b)과 제2 전극(212b)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콜레스테릭 액정을 호메오트로픽 상태로 만들 수 있다. 그러면 도어(210)는 광을 투과하여 투명하게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어부(100)는 기 설정된 조건, 예를 들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셀에 형성된 고전기장을 서서히 제거하거나 급격히 제거하여 포컬 코닉 상태 또는 플래너 상태로 만들 수 있다. 그러면 도어(210)는 투명한 상태에서 불투명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냉장고(1)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과 관련된 실시 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에서 인체감지 센서에 의해 노크 온 기능이 제어되는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의 제어부(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인체 감지 센서(162)가 항상 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인체 감지 센서(162)는 냉장고(1)에 사용자가 접근하는 경우 이를 감지할 수 있다(S300).
그리고 상기 인체 감지 센서(162)에서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경우, 제어부(100)는 노크 온 센서(164)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S302). 일 예로 제어부(100)는 상기 인체 감지 센서(162)가 사용자를 감지할 때까지 상기 노크 온 센서(164)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센싱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S300 단계에서 인체 감지 센서(162)가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경우에 상기 노크 온 센서(164)에 동작 전원이 공급되도록 센싱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노크 온 센서(164)는 인체 감지 센서(162)의 사용자 접근 감지 여부에 따라 활성화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사용자가 노크 온 기능을 위해 입력을 인가하는 경우, 이를 감지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한편 노크 온 센서(164)가 활성화 상태가 되면, 제어부(100)는 상기 노크 온 센서(164)를 통해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S304).
상기 노크 온 센서(164)는 도어와 레이어 구조 또는 일체형 구조를 이루는 터치 센서이거나, 또는 상기 도어 주변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도어를 노크할 때 발생하는 음향을 센싱할 수 있는 마이크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터치 센서 또는 마이크는 상기 도어에 인가되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도어를 일정한 패턴으로 두드릴 때 발생하는 음향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상기 감지된 터치 입력 또는 감지된 음향 신호에 근거하여 감지된 입력이 노크 온 기능을 위한 입력, 즉 노크 온 입력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S304 단계의 감지 결과, 노크 온 기능을 위한 입력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100)는 노크 온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즉, 상기 노크 온 입력이 감지된 도어가 투명해지도록 도어의 상태를 전환하고, 상기 노크 온 입력이 감지된 도어에 대응하는 저장실 내부의 내부 조명을 발광할 수 있다(S306).
한편 상기 S304 단계에서, 노크 온 센서가 활성화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상기 노크 온 기능을 선택받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100)는 인체 감지 센서(162)의 감지 결과를 다시 체크할 수 있다(S308). 그리고 인체 감지 센서(162)의 감지 결과 여전히 사용자의 신체가 감지되는 경우라면, 다시 S304 단계로 진행하여 노크 온 센서(164)가 활성화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S308 단계의 체크 결과, 사용자의 신체가 더 이상 감지되지 않는 경우라면, 제어부(100)는 현재 활성화된 노크 온 센서(164)를 다시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S310). 일 예로 상기 노크 온 센서(164)의 활성화가 상기 노크 온 센서(164)에 동작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S310 단계는 상기 노크 온 센서(164)에 동작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상기 센싱부(160)를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노크 온 센서(164)에 공급되는 동작 전원을 제어부(100)가 차단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노크 온 센서(164)는 다시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될 수 있으며, 상기 인체 감지 센서(162)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도 3의 과정이 다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도 3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는 인체 감지 센서(162)가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한 결과에 근거하여 노크 온 센서(164)의 활성화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인체 감지 센서(162)가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노크 온 센서(164)가 비활성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상기 노크 온 입력에 대응하는 충격 또는 두드림이 도어에 가해지는 경우라고 할지라도 상기 노크 온 센서(164)가 상기 충격 또는 두드림을 감지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냉장고 근처에 위치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도어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진동 등으로 인해 노크 온 기능이 실행되는 오작동 가능성을 크게 줄일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인체 감지 센서(162)는 냉장고(1)에 접근하는 사용자의 신체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체 감지 센서(162)는 냉장고(1)가 설치된 저면으로부터 기 설정된 높이 이상의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일정 높이 이하의 높이에 상기 인체 감지 센서(162)가 배치되는 경우, 사용자가 아닌 반려동물 등으로 인해 인체 감지 센서(162)가 오감지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인체 감지 센서(162)는 저면으로부터 1m 이상의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냉장고(1)를 열고 닫을 수 있는 최소 연령의 사용자가 7~8세 이후 연령의 사람으로 가정하였을 때에 설정될 수 있는 높이일 수 있다.
도 4a와 도 4b는 이처럼 일정 높이 이상의 높이에 배치되는 인체 감지 센서의 동작 예를 도시한 예시도들이다.
먼저 도 4a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에 반려동물(400)이 접근한 예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도 4a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인체 감지 센서(162)가, 냉장고(1)가 설치된 저면으로부터 충분한 높이에 배치되면, 배치된 높이 차로 인해 상기 인체 감지 센서(162)는 반려동물(400)의 접근을 감지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도 4a의 좌측 도면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반려동물(400)이 접근 및, 상기 반려동물(400)이 냉장고(1)를 두드리는 경우에도 노크 온 센서(164)의 비활성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반려동물(400)의 접근 및 두드림이 도어에 가해지는 경우에도 노크 온 센서(164)가 이를 감지하지 않을 수 있으며, 도 4a의 우측 도면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노크 온 기능이 실행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도 4b의 좌측 도면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일정 높이 이상의 키를 가지는 사람(402)이 냉장고(1)에 근접하는 경우, 상기 인체 감지 센서(162)는 냉장고(1)에 접근한 사람(402)의 신체를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00)는 비활성 상태가 유지되는 노크 온 센서(164)를, 활성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즉, 상기 노크 온 센서(164)를, 도어를 통해 인가되는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 4b의 좌측 도면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402)가 도어(210)를 두드리는 입력을 인가하는 경우, 상기 노크 온 센서(164)는 이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00)는 감지된 입력에 따라 노크 온 기능이 실행되도록 도어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b의 우측 도면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입력이 인가된 도어(210)의 적어도 일부가 투명하게 전환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210)에 대응되는 고내 저장실의 조명이 발광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도어(210)에 대응되는 고내 저장실에 보관된 음식물들을 상기 도어(210)를 열지 않고서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노크 온 기능에 대해서만 언급하였으나, 이와 유사한 다른 기능 역시 상기 도 3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접근하였을 때, 사용자가 일정 거리 이내로 근접하였음이 감지되면 이를 냉장고의 도어를 오픈(open)하려고 하는 사용자의 의도로 판단하고, 냉장고의 도어가 자동으로 오픈되도록 하는 자동 도어 기능 역시, 상기 도 3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에서 인체감지 센서에 의해 상기 자동 도어 기능이 제어되는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의 제어부(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인체 감지 센서(162)가 항상 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인체 감지 센서(162)는 냉장고(1)에 사용자가 접근하는 경우 이를 감지할 수 있다(S500).
그리고 상기 인체 감지 센서(162)에서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경우, 제어부(100)는 자동 도어 센서(166)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S502). 여기서 제어부(100)는 상기 인체 감지 센서(162)가 사용자를 감지할 때까지 상기 자동 도어 센서(166)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센싱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S500 단계에서 인체 감지 센서(162)가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경우에 상기 자동 도어 센서(166)에 동작 전원이 공급되도록 센싱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자동 도어 센서(166)는 도어에 근접한 사용자의 신체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근접 센서는, 사용자의 신체를 감지한다는 점에서 상기 인체 감지 센서(162)와 유사할 수 있으나, 감지 거리가 상기 인체 감지 센서(162)보다 짧다는 차이가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상기 자동 도어 센서(166)가 활성화되는 경우에, 기 설정된 지시자(indicator), 즉 지정된 LED를 발광시키거나 또는 레이저 포인트 등으로 상기 근접 센서가 감지할 수 있는 냉장고(1) 도어 주변의 특정 저면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근접 센서, 즉 자동 도어 센서(166)가 사용자의 신체를 감지하였는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S504).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특정 저면 위치 또는 상기 LED의 표시에 따른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근접 센서가 상기 사용자의 신체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자동 도어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S506). 즉, 자동 도어 기능의 실행에 따라 냉장고(1)의 도어를 오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S504 단계에서, 자동 도어 센서(166)가 활성화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자동 도어 센서(166)에서 사용자의 신체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100)는 인체 감지 센서(162)의 감지 결과를 다시 체크할 수 있다(S508). 그리고 인체 감지 센서(162)의 감지 결과를 다시 체크한 결과, 여전히 사용자의 신체가 감지되는 경우라면, 자동 도어 센서(166)의 활성화 상태를 유지하고, 다시 S504 단계로 진행하여 자동 도어 센서(166)을 통해 사용자의 신체가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S508 단계의 체크 결과, 인체 감지 센서(162)에서 사용자의 신체가 더 이상 감지되지 않는 경우라면, 제어부(100)는 현재 활성화된 자동 도어 센서를 다시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S510). 일 예로 상기 자동 도어 센서(166)의 활성화가 상기 노크 온 센서(164)에 동작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S510 단계는 상기 자동 도어 센서(166)에 동작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상기 센싱부(160)를 제어하거나, 또는 제어부(100)가 상기 자동 도어 센서(166)에 공급되는 동작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자동 도어 센서(166)는 다시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체 감지 센서(162)를 통해 냉장고(1) 주변에서 사용자가 다시 감지되는 경우 상기 도 5의 과정이 다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노크 온 기능과 자동 도어 기능이 각각 인체 감지 센서의 감지 결과에 의해 수행되는 구성을 설명하였으나, 상기 노크 온 기능과 자동 도어 기능은 상기 인체 감지 센서(162)의 감지 결과에 따라 서로 연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에서 인체감지 센서에 의해 노크 온 기능 및 노크 온 기능에 연계되는 자동 도어 기능이 제어되는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의 인체 감지 센서(162)는 항상 활성화 상태일 수 있다. 반면 상기 노크 온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노크 온 센서, 예를 들어 각 도어에 일체형 또는 레이어 구조로 형성된 터치 센서나 도어에 설치된 마이크는 비활성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 도어 기능을 위한 자동 도어 센서, 예를 들어 근접 센서는 비활성 상태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센서가 비활성 상태라는 의미는 기 설정된 자극이 인가되는 경우에도 상기 센서가 감지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센서가 비활성 상태에 있는 경우는, 상기 센서에 동작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반대로 센서가 활성화된 상태는 기 설정된 자극을 상기 센서가 감지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동작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센서에 동작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상기 센서는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체 감지 센서(162)는 상기 노크 온 센서(164) 또는 자동 도어 센서(166)와 달리 항상 활성화 상태에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냉장고(1) 주변으로 사용자가 접근하는 경우, 사용자의 인체를 감지할 수 있다(S600).
상기 S600 단계의 감지 결과, 상기 인체 감지 센서(162)가 사용자의 신체를 감지하는 경우, 제어부(100)는 먼저 노크 온 센서(164)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S602). 이에 따라 상기 노크 온 센서(164)는 노크 온 기능을 위해 인가되는 사용자의 입력, 즉 냉장고(1)의 도어에 인가되는 터치 또는 상기 도어를 일정한 패턴으로 두드리는 두드림을 감지할 수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처럼 노크 온 센서(164)가 활성화되면, 제어부(100)는 상기 노크 온 입력이 인가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S604).
한편 상기 S604 단계의 감지 결과 활성화된 노크 온 센서(164)로부터 노크 온 입력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100)는 노크 온 센서(164)를 다시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S608). 이에 따라 사용자가 다른 용무로 냉장고(1) 주변에 접근한 경우, 노크 온 기능이 실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S608 단계는 상기 인체 감지 센서(162)의 감지 결과를 다시 한번 체크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상기 인체 감지 센서(162)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노크 온 센서(164)의 비활성화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여전히 냉장고(1) 주변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제어부(100)는 상기 노크 온 센서(164)가 활성화된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냉장고(1) 주변에서 사용자가 더 이상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노크 온 센서(164)가 비활성 상태로 전환되도록 상기 센싱부(160)를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노크 온 센서(164)로 공급되는 동작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S604 단계에서 활성화된 노크 온 센서(164)를 통해 사용자의 노크 온 입력이 감지되면, 제어부(100)는 감지된 입력에 따라 노크 온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S606). 즉, 제어부(100)는 상기 노크 온 입력이 인가된 도어의 투명도를 조절하여 도어를 투명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크 온 입력이 인가된 도어에 대응하는 저장실 내 조명을 발광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어을 개방하지 않고서도, 상기 투명한 상태로 전환된 도어를 통해 저장실 내에 보관된 음식물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S606 단계는, 자동 도어 센서(166)를 활성화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자동 도어 센서(166)는 사용자의 신체가 냉장고에 근접하는 경우 이를 감지할 수 있는 근접 센서일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와 상기 인체 감지 센서(162)와 마찬가지로 인체를 감지하는 센서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인체 감지 센서(16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저면으로부터 기 설정된 높이 이상의 높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근접 센서는 저면에 근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인체 감지 센서(162)는 상기 근접 센서가 배치되는 높이보다 더 높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를 들어 냉장고(1)가, 복수개의 도어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복수의 도어가 적어도 하나의 상단 도어와 적어도 하나의 하단 도어로 형성될 수 있는 경우, 상기 인체 감지 센서(162)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단 도어 중 하나에, 상기 근접 센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단 도어 중 하나에 배치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근접 센서와 인체 감지 센서(162)는 모두 인체를 감지하는 센서일 수 있으나, 인체를 감지할 수 있는 거리가 서로 다른 센서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근접 센서는 감지 가능한 거리가 50cm 이내로 협소한 반면, 인체 감지 센서(162)는 대략 1m 정도 이내에 위한 인체를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인체 감지 센서(162)는 상기 근접 센서 보다 더 넓은 감지 거리를 가지는 센서일 수 있다.
한편 상기 S606 단계에서 노크 온 기능(도어 투명화, 고내 조명 발광) 및, 자동 도어 센서(166)가 활성화되면, 제어부(100)는 상기 활성화된 자동 도어 센서(166)를 통해 냉장고(1)에 근접한 사용자의 신체를 감지할 수 있다(S610). 그리고 S610 단계의 감지 결과 냉장고(1)에 근접한 사용자의 신체가 감지되는 경우 자동 도어 기능의 실행에 따라 냉장고(1)의 도어를 오픈(open)할 수 있다.
한편 상기 S610 단계의 감지 결과, 활성화된 자동 도어 센서(166)로부터 냉장고(1)에 근접한 사용자의 신체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100)는 자동 도어 센서(166)를 다시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S612). 이에 따라 사용자가 노크 온 입력을 인가하였으나, 냉장고(1)의 도어 개방을 의도하지 않는 경우, 상기 자동 도어 센서(166)를 다시 비활성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S612 단계 역시, 상기 인체 감지 센서(162)의 감지 결과를 다시 체크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상기 인체 감지 센서(162)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자동 도어 센서(166)의 비활성화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여전히 냉장고(1) 주변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제어부(100)는 상기 자동 도어 센서(166)가 활성화된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냉장고(1) 주변에서 사용자가 더 이상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자동 도어 센서(166)가 비활성 상태로 전환되도록 상기 센싱부(160)를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자동 도어 센서(166)로 공급되는 동작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S612 단계에서 인체 감지 센서(162)의 감지 결과를 더 체크하는 경우, 제어부(100)는 현재 냉장고(1)의 도어 상태 및 고내 조명 상태를 체크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상기 노크 온 기능의 실행으로 인해 투명해진 도어 및 발광된 고내 조명은, 사용자의 노크 온 입력이 인가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될 때 다시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00)는 상기 S610 단계에서 자동 도어 센서(166)로부터 냉장고(1)에 근접한 사용자의 신체가 감지되지 않으면, 먼저 상기 투명해진 도어 및 발광된 조명이 원상태로 복원되었는지를 체크할 수 있다. 체크 결과 상기 도어가 투명해진 상태 및 조명이 발광되는 상태가 유지되고 있는 경우(일정 시간이 경과되기 전 또는 사용자가 노크 온 입력을 추가로 인가한 경우) 제어부(100)는 상기 자동 도어 센서(166)의 활성화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체크 결과, 상기 도어가 불투명한 상태로 전환 및 조명이 오프된 상태라면, 제어부(100)는 상기 인체 감지 센서(162)의 감지 결과를 다시 체크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상기 인체 감지 센서(162)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자동 도어 센서(166)의 비활성화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100)는 도어가 불투명한 상태로 전환 및 조명이 오프된 상태, 즉 노크 온 기능이 종료된 상태에서, 냉장고(1) 근처에서 사용자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자동 도어 센서(166)를 비활성화 시킬 수 있다.
도 7은, 도 6에서 도시한 연계 동작 기능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가 동작하는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면들의 설명 순서는, 좌측 상단의 도면을 시작으로, 시계 방향 순서로 설명하며, 좌측 상단의 도면은, '첫번째 도면', 우측 상단의 도면은 '두번째 도면', 우측 하단의 도면은 '세번째 도면', 좌측 하단의 도면은 '네번째 도면'으로 명명하면서, 설명한다.
먼저 도 7의 첫 번째 도면은, 사용자가 냉장고(1) 주변에 위한 상태에서 도어(210)를 두드리는 노크 온 입력을 인가하는 예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이 경우 제어부(100)는 인체 감지 센서(162)를 통해 상기 냉장고(1)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의 신체를 감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활성화된 노크 온 센서(164)를 통해 상기 두드림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00)는 도 7의 두 번째 도면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노크 온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노크 온 기능은 상기 두 번째 도면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노크 온 입력이 인가된 도어(210)를 투명한 상태로 전환하고, 냉장고(1) 내의 조명을 발광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두 번째 도면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도어(210)가 닫혀있는 상태에서도, 상기 도어(210) 내부의 저장실에 보관된 음식물이 상기 도어(210)에서 보여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두 번째 도면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노크 온 기능이 실행되면, 그와 동시에 제어부(100)는 자동 도어 센서(166), 즉 냉장고(1)가 설치된 저면 근처에 배치된 근접 센서(700)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근접 센서(700)가 활성화되면, 제어부(100)는 기 설정된 지시자를 통해 상기 활성화된 근접 센서(700)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00)는 도 7의 세 번째 도면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근접 센서(700)에 구비된 LED를 발광시켜 상기 활성화된 상태를 표시하거나, 또는 레이저나 프로젝터 등을 통해 상기 근접 센서(700)가 센싱 가능한 범위 또는 영역을 사용자가 식별 가능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이처럼 근접 센서(700)가 활성화 상태로 전환 및, 상기 활성화 상태가 표시되는 상태에서, 상기 근접 센서(700)가 냉장고(1)에 근접한 사용자의 신체를 감지하는 경우, 제어부(100)는 사용자가 자동 도어 기능의 실행을 위해 냉장고(1)에 근접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00)는 상기 자동 도어 기능을 실행할 수 있으며, 도 7의 네 번째 도면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자동 도어 기능의 실행에 따라 냉장고(1)의 도어(210)가 오픈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 단말기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과 관련된 실시 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상기 인체 감지 센서가, 냉장고(1)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인체 감지 센서(162)는 상기 냉장고(1)에 부착 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경우 상기 인체 감지 센서(162)는 자체 내에 내장된 배터리로 동작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항시 활성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인체 감지 센서(162)가 냉장고(1)에 부착 가능한 별개의 기기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인체 감지 센서(162)는 냉장고(1)의 임의의 위치에 자력 또는 스티커 등을 이용하여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냉장고(1)에 부착되는 경우 상기 냉장고(1)의 제어부(100)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00)는 근거리 통신을 통해 냉장고(1)에 부착된 상기 인체 감지 센서(162)를 식별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00)는 상기 노크 온 센서(164) 또는 자동 도어 센서(166)를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되도록 상기 센싱부(160)를 제어하거나, 상기 노크 온 센서(164) 또는 자동 도어 센서(166)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냉장고(1)에 부착된 인체 감지 센서(162)는 상기 근거리 통신을 통해 인체 감지 결과를 제어부(1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00)는 인체 감지 센서(162)로부터 수신되는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노크 온 센서(164) 또는 자동 도어 센서(166)를 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노크 온 기능 또는 자동 도어 기능의 오동작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인체 감지 센서(162)가 냉장고(1)에 부착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인체 감지 센서(162)가 부착되는 높이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인체 감지 센서(162)가 부착되는 높이가 달라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바람직하게는, 일정 높이, 예를 들어 1m 이상의 높이에 상기 인체 감지 센서(162)를 부착하여야 함은 물론이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0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4)

  1. 냉장고에 있어서,
    저장실이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
    상기 본체의 일 지점에 배치되며 상기 냉장고 주변의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는 제1 센서와, 상기 도어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선택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제2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센서가 상기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없도록 상기 제2 센서를 비활성 상태로 유지하는 센싱부; 및,
    상기 제1 센서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제2 센서가 상기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도록 상기 센싱부를 제어하며, 상기 제2 센서가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제2 센서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도어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센서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상기 제2 센서가 상기 비활성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센싱부를 제어하며,
    상기 제1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제2 센서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제2 센서가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도록 상기 센싱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센서를 항상 활성화 상태로 유지하여, 상기 제1 센서가 상기 냉장고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를 항상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센싱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는,
    기 설정된 높이 이상의 높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는,
    노크 온(Knock On) 기능을 선택받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에 형성되는 터치 센서 또는 상기 도어 주변에 배치된 마이크임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는,
    자동 도어(Auto door) 기능을 선택받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이며,
    상기 냉장고가 설치된 저면 근처에 배치되며, 상기 냉장고 주변에 근접한 사용자의 신체를 감지할 수 있는 근접 센서임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접 센서가 활성화되는 경우, 기 설정된 지시자를 통해 상기 근접 센서가 활성화된 상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활성화 상태로 전환된 제2 센서를 통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센서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제2 센서가 다시 비활성 상태로 전환되도록 상기 센싱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센서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도어에 관련된 복수의 기능 중 제1 기능을 선택받기 위한 제1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어느 하나의 제2 센서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활성화 상태로 전환된 제2 센서를 통해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제1 기능을 실행함과 동시에, 상기 활성화된 어느 하나의 제2 센서와 다른 또 하나의 제2 센서를 더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활성화 상태로 전환된 또 하나의 제2 센서를 통해 상기 도어에 관련된 복수의 기능 중 제2 기능을 선택받기 위한 제2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어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일부가 상기 도어 외부에서 상기 저장실의 내부가 보이지 않는 불투명한 상태에서, 상기 저장실의 내부가 보이는 투명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기능은,
    상기 도어가 불투명한 상태에서 투명한 상태로의 전환을 포함하는 노크 온 기능이고,
    상기 제2 기능은,
    상기 도어가 자동으로 오픈되는 자동 도어 기능임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냉장고 주변의 사용자를 감지하는 제1 센서 및, 비활성 상태로 유지되며,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에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제2 센서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가, 상기 냉장고 주변의 사용자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센서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제2 센서를 상기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활성화된 제2 센서가,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2 센서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냉장고의 도어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활성화된 제2 센서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의 입력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센서의 감지 결과를 다시 체크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센서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제2 센서를 활성화 상태에서 비활성화 상태로 복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13. 비활성 상태의 노크 온 센서 및 자동 도어 센서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활성화 상태에 있는 인체 감지 센서가 상기 냉장고 주변의 사용자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비활성 상태의 노크 온 센서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활성화 상태로 전환된 노크 온 센서를 통해 상기 냉장고의 도어에 인가되는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도어에 대해 인가되는 사용자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노크 온 기능을 실행함과 동시에, 상기 비활성 상태의 자동 도어 센서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자동 도어 센서의 활성화 상태를 표시 및, 상기 활성화된 자동 도어 센서로부터 상기 냉장고에서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근접한 사용자의 신체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자동 도어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자동 도어 기능을 실행하여 상기 냉장고의 도어를 오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 감지 센서는,
    항상 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자동 도어 센서가 배치된 높이 보다 더 높은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냉장고가 설치된 저면으로부터 기 설정된 높이 이상의 높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1020180081872A 2018-07-13 2018-07-13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102149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1872A KR102149201B1 (ko) 2018-07-13 2018-07-13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PCT/KR2019/008490 WO2020013599A1 (ko) 2018-07-13 2019-07-10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US17/253,986 US20210270519A1 (en) 2018-07-13 2019-07-10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frigerator
EP19834314.7A EP3822566A4 (en) 2018-07-13 2019-07-10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CONTROL METHOD
US18/378,308 US20240035739A1 (en) 2018-07-13 2023-10-10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1872A KR102149201B1 (ko) 2018-07-13 2018-07-13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7590A true KR20200007590A (ko) 2020-01-22
KR102149201B1 KR102149201B1 (ko) 2020-08-28

Family

ID=69142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1872A KR102149201B1 (ko) 2018-07-13 2018-07-13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20210270519A1 (ko)
EP (1) EP3822566A4 (ko)
KR (1) KR102149201B1 (ko)
WO (1) WO2020013599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5506A (ko) * 2020-01-23 2021-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투시창이 설치된 가전기기
WO2021162467A1 (en) * 2020-02-13 2021-08-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ser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refrigerator
WO2023277315A1 (ko) * 2021-06-30 2023-01-0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US11852397B2 (en) 2020-06-19 2023-12-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with automatic door opening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1898787B2 (en) 2020-06-19 2024-0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with automatic door opening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2058816U (zh) * 2020-04-03 2020-12-01 代傲阿扣基金两合公司 敲击检测装置和具有敲击检测装置的家用电器
US20220112069A1 (en) * 2020-10-14 2022-04-14 Wilbur Curtis Co., Inc. Touchless Dispense System With Safety Feature
WO2023243737A1 (ko) * 2022-06-13 2023-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 제어 방법
WO2023249138A1 (ko) * 2022-06-23 2023-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 제어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4822A (ko) * 2006-07-06 2008-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자동표시장치
KR20080079920A (ko) * 2007-02-28 2008-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텔레비전 겸용 냉장고
KR20170082092A (ko) * 2016-01-05 2017-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20180080107A (ko) * 2017-01-03 2018-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75926B2 (en) * 2002-11-08 2005-12-13 Usa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management control of a compressor-based appliance that reduces electrical power consumption of an appliance
KR20110024883A (ko) * 2009-09-03 2011-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도어자동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20120085122A (ko) * 2011-01-21 2012-07-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작패널을 구비한 냉장고
KR101728196B1 (ko) * 2013-04-26 2017-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10280673B2 (en) * 2015-06-11 2019-05-07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for refrigerator
KR101954874B1 (ko) * 2016-01-05 2019-05-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JP2017146058A (ja) * 2016-02-19 2017-08-24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CN105953519A (zh) * 2016-05-03 2016-09-21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冰箱门体的开启方法与冰箱
US20200219606A1 (en) * 2017-08-30 2020-07-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4822A (ko) * 2006-07-06 2008-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자동표시장치
KR20080079920A (ko) * 2007-02-28 2008-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텔레비전 겸용 냉장고
KR20170082092A (ko) * 2016-01-05 2017-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20180080107A (ko) * 2017-01-03 2018-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5506A (ko) * 2020-01-23 2021-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투시창이 설치된 가전기기
WO2021162467A1 (en) * 2020-02-13 2021-08-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ser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refrigerator
CN115135942A (zh) * 2020-02-13 2022-09-30 三星电子株式会社 冰箱、服务器和用于控制冰箱的方法
US11920860B2 (en) 2020-02-13 2024-03-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ser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refrigerator
US11852397B2 (en) 2020-06-19 2023-12-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with automatic door opening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1898787B2 (en) 2020-06-19 2024-0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with automatic door opening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WO2023277315A1 (ko) * 2021-06-30 2023-01-0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13599A1 (ko) 2020-01-16
US20210270519A1 (en) 2021-09-02
KR102149201B1 (ko) 2020-08-28
US20240035739A1 (en) 2024-02-01
EP3822566A1 (en) 2021-05-19
EP3822566A4 (en) 2022-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9201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101954749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US10705638B2 (en) Input/output device with a dynamically adjustable appearance and function
KR102434867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GB2505797B (en) Smart window and display enclosure
KR10236777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8303151B2 (en) Microperforation illumination
US20110234557A1 (en)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same
KR20170010848A (ko) 가변 시야각 광학 시스템
TWI503811B (zh) 用於控制顯示裝置的電路
TW201033558A (en) Refrigerator
TW201351009A (zh) 具有透射率可控層的顯示結構體
US20220390134A1 (en) Thermostat control using touch sensor gesture based input
NL1042099B1 (en) Solid state disk
KR102557816B1 (ko) 냉장고
KR102515330B1 (ko) 냉장고
CN104050930B (zh) 显示装置和显示控制方法
CN103575055B (zh) 操作装置以及冷藏冷冻库
JP2001337623A (ja) ライトユニット、導光板、導光体及び該導光体を用いた表示装置
KR102547149B1 (ko) 냉장고
JP2007218488A (ja) 保管庫
KR102014270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2557815B1 (ko) 냉장고
KR20190100134A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19145A (ko) 투명 디스플레이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